KR20020081249A - 생분해성 필름 및 창이 부착된 상자 - Google Patents

생분해성 필름 및 창이 부착된 상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81249A
KR20020081249A KR1020027008965A KR20027008965A KR20020081249A KR 20020081249 A KR20020081249 A KR 20020081249A KR 1020027008965 A KR1020027008965 A KR 1020027008965A KR 20027008965 A KR20027008965 A KR 20027008965A KR 20020081249 A KR20020081249 A KR 200200812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box
window
stretched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7008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데라다시게노리
다카기준
요시가노리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쥬시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0200812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81249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1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paper or card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5/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of polygonal cross-section, e.g. boxes, cartons or trays, formed by folding or erecting one or more blanks made of paper
    • B65D5/42Details of containers or of foldable or erectable container blanks
    • B65D5/4204Inspection openings or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38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46Applications of disintegrable, dissolvable or edible materials
    • B65D65/466Bio- or photodegradable packaging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4Polyesters derived from hydroxy carboxylic acids, e.g. lacto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90/00Enabling technologies or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W90/10Bio-packaging, e.g. packing containers made from renewable resources or bio-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 Wrappers (AREA)
  • Biological Depolymerization Polymer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haping Of Tube Ends By Bending Or Straightening (AREA)
  • Cartons (AREA)

Abstract

고온사용 환경하에서의 내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의장성을 높이기위한 엠보싱 가공성에도 우수하고, 또한 자연환경 중에서 분해성을 가지는 생분해성 필름을 제공하는 본 발명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며, 100℃/5분에서의 수축율이 3%이하이고, 또한 데드폴드성이 70°이상인 생분해성 필름으로 한다.

Description

생분해성 필름 및 창이 부착된 상자{BIODEGRADABLE FILM AND BOX HAVING WINDOW WITH FILM}
현재, 상자 안에 넣은 상품이 보이도록, 창을 설치한 포장상자가 많이 사용되고 있는데, 통상, 훤히 들여다 보이는 창을 뚫은 것 뿐인 포장상자는 안의 상품이 더럽혀지는 문제가 있거나, 상품의 형상에 따라서는 상품이 창으로부터 상자밖으로 나와버리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창의 부분에 폴리프로필렌 등의 플라스틱필름 그 외의 투시성이 있는 재료를 붙인 창이 부착된 상자가 사용되고 있다.
포장상자의 기재가 되는 종이는, 기본적으로 내수성, 내유지성, 인열강도 등이 충분하지 않다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창이 뚫린 종이제의 상자 전체에 플라스틱 재료를 복합화하도록 하고 있어, 창이 부착된 상자의 창 및 그 주위만을 플라스틱 재료로 피복하는 예는 적다.
플라스틱 재료로서는 폴리프로필렌이 일반적인데, 폴리프로필렌제 필름은, 예를 들면 하절기에 자동차내에 방치된 경우와 같은 고온 환경하에서의 내열성(내열변형성)에는 뛰어나지만, 의장적인 가치를 높이기위해서, 인쇄를 병용하여, 예를들면 무늬, 로고마크, 상품명, 회사명 등을 도드라지게 하는 가공, 이른바 엠보싱 가공을 정밀도 좋게 행하기 어렵다는 결점을 가진다.
또, 폴리프로필렌제 필름과 종이를 복합화한 창이 부착된 상자는 자동 제함기(製函機) 적성이 좋지않기(자동 제함기에서는 접혀진 상자가 서지않기)때문에, 수동접기로 조립하고 있다. 또한 이들의 플라스틱 재료를 사용하여 창이 부착된 상자를 제조하는데 있어서, 종이에 붙인 후의 창의 부분을 관찰하면, 파형, 느즈러짐, 주름 등이 보여, 마무리의 점에서는 양호하다고는 하기어려운 것이었다. 또한, 일반적으로 플라스틱 재료는 자연환경 중에서 분해되지 않고 잔존하므로, 복합화된 창이 부착된 상자는 자연 붕괴성을 가지지않는다는 문제도 지니고 있었다.
한편, 플라스틱 재료로서 자연환경중에 방치하면 분해되는 생분해성 플라스틱이, 근래, 자연환경 보호의 관점에서 주목을 받아오고 있다. 그 중의 하나로서 폴리락트산계 플라스틱재료가 있다.
폴리락트산계 재료와 종이를 복합화한 것으로서는, 식물성 섬유를 함유하는 기재에 폴리락트산 또는 그 유도체를 피복한 것(일본 특개평 4-334448호 공보), 폴리락트산 또는 락트산과 옥시카르복실산의 코폴리머를 주성분으로 하는 열가소성 분해성 폴리머와 종이로 이루어지는 분해성 라미네이트지(일본 특개평 4-336246호 공보) 등이 알려져 있다. 또, 상기의 공개된 생분해성 필름을 이용하여, 이것을 창 특정의 배향 폴리락트산계 필름으로 하고, 종이와 라미네이트한 것(일본 특개평 8-252895호 공보) 등이 공지이다.
본 발명은, 내열성 및 엠보싱 가공성을 개량한 생분해성 필름, 및 생분해성 필름의 연신필름을 이용한 창이 부착된 상자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생분해성 필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창이 부착된 상자의 전개도,
도 2는 생분해성 필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창이 부착된 상자의 사시도,
도 3은 생분해성 필름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창이 부착된 상자의 다른 형태의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전개도를 오려내어, 풀칠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맞붙이고, 둘로 접은 상태로 한 도면,
도 5는 도 4의 둘로 접은 상태의 것을 상하를 흡인하여 세워서 내용물을 충전해 가는 도면,
도 6은 자동 제함적성의 실험방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
본원의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하에 상세히 설명한다.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생분해성 필름재료의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는, L-, D- 또는 DL-락트산 단위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로, 소량 공중합성분으로서 다른 히드록시 카르복실산 단위를 포함하여도 좋고, 또 소량의 사슬 연장제 잔기를 포함하여도 좋다.
중합법으로서는, 축중합법, 개환 중합법 등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축중합법에서는, L-락트산 또는 D-락트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직접 탈수 축중합하여, 임의의 조성을 가진 폴리락트산을 얻을 수가 있다.
또, 개환 중합법(락티드법)에서는, 락트산의 환상 2량체인 락티드를, 필요에 따라서 중합 조절제 등을 이용하면서, 선택된 촉매를 사용하여 폴리락트산을 얻을 수가 있다.
본원의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 사용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의 중량평균 분자량의 바람직한 범위로서는 6만∼70만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8만∼40만,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만∼30만이다. 분자량이 너무 작으면 기계물성이나 내열성 등의 실용물성이 거의 발현되지않고, 너무 크면 용융점도가 너무 높아 성형 가공성이 떨어진다.
폴리락트산에 공중합되는 모노머로서는, 락트산의 광학 이성체(L-락트산에 대해서는 D-락트산, D-락트산에 대해서는 L-락트산), 글리콜산, 3-히드록시 부티르산, 4-히드록시 부티르산, 2-히드록시-n-부티르산, 2-히드록시-3, 3-디메틸부티르산, 2-히드록시-3-메틸부티르산, 2-메틸락트산, 2-히드록시 카프론산 등의 2관능 지방족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이나 카프로락톤, 부티로락톤, 발레로락톤 등의 락톤류를 들 수 있다.
여러 물성을 조정하는 목적에서, 열안정제, 광안정제, 광흡수제, 윤활제, 가소제, 무기 충전제, 착색제, 안료 등을 첨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의 필름은, 소요 강도를 얻는 등의 관점에서 연신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연신필름에는 1축 연신필름, 2축 연신필름이 있고, 물성 등의 관점에서 후자가 바람직하다.
1축 연신필름의 제조에 있어서는 주속에 차이가 있는 복수의 롤을 이용한 롤법에 의한 종방향만의 연신 또는 텐터법에 의한 횡방향만의 연신이 있다.
2축 연신필름의 제조에 있어서는 종연신을 롤법으로, 횡연신을 텐터법으로 행하는 순차 2축 연신법, 또는 종횡 동시에 텐터로 연신하는 동시 2축 연신법이 일반적이다.
연신조건으로서는, 종방향으로 1. 5∼6배, 바람직하게는 2∼4. 5배, 횡방향으로 1. 5∼6배, 바람직하게는 2∼4. 5배의 범위에서 적절히 선택된다. 특히, 필름의 강도, 나아가서는 두께 정밀도의 관점에서 1축 연신에서는 3배이상, 2축 연신에서는 종횡 각각 2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종횡의 연신배율을 곱셈한 면적 연신배율로 6. 5배 이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축 연신법에 있어서는 연신온도는 70∼90℃이고, 순차 2축 연신법에 있어서는, 종연신온도가 70∼90℃ 또한 횡연신온도가 70∼80℃의 범위내인 것이 바람직하고, 동시 2축 연신법에서는, 순차 2축 연신법에 포괄되는 의미에서, 연신온도를 70∼80℃의 범위에서 연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신배율 및 연신온도의 범위에 없는 경우에는, 얻어진 필름의 두께 정밀도는 현저히 저하된 것이고, 특히 연신 후 열처리되는 필름에 있어서는 이 경향이 현저하다. 이와 같은 두께 편차는, 필름을 인쇄하거나, 종이와의 라미네이션 등의 2차 가공에 있어서, 제품에 주름, 파형 등 외관을 형편없게 하는 요인이 된다.
본원의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의 수축율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그 바람직한 수축율은, 100℃/5분에서의 수축율이 3%이하이다. 수축율이 3%를 초과하여 너무 크면, 사용 환경하에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특히, 포장상자의 피복 등으로서 옥외에서 사용되는 경우는, 자동차 등의 트렁크 안이나대쉬보드 내에 놓여지는 일이 있고, 이러한 사용 환경에서는 하절기 등에 매우 고온이 되어, 필름의 수축율이 소정치 이상으로 크면 창이 부착된 부분, 특히 2면 이상에 걸치는 부분의 필름은 수축하여 변형하게 된다.
필름의 열수축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필름을 파지하여 긴장시킨 상태에서 열 처리할 필요가 있다. 통상, 롤 법에서는 연신 후, 가열 롤에 접촉시켜서 열처리되고, 텐터법에서는, 클립으로 필름을 파지한 상태로 연신되었을 때에 열처리된다.
열처리온도는, 사용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의 융점에 따라 다르지만, 110℃∼(융점-10)℃의 사이이고, 3초이상 열처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온도범위나 열처리시간을 하회하면, 얻어진 필름의 열수축율이 높아져, 상술한 사용 환경하에서 지장을 초래하게 된다.
이와 관련하여,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의 융점(Tm)은, 퍼킨엘머사제 DSC-7을 이용하여, JIS K 7121 및 JIS K 7122에 의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즉, 원단(미연신상태)의 필름으로부터 제작한 시험편(10mg)을 표준상태로 상태조절을 행한 후, 질소가스유량 25ml/분, 가열온도 10℃/분으로 200℃까지 승온하는 동안에 그려지는 DSC곡선으로부터 흡열피크를 판독하여, 이것을 Tm이라고 한다.
예를 들면, L체의 락트산 성분과 D체의 락트산 성분의 비율이 98:2인 폴리락트산의 융점은 158℃이고, L체의 락트산 성분과 D체의 락트산 성분의 비율이 95:5인 폴리락트산의 융점은 148℃이다.
또한 수축율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상기 조건에서, 1축 방향 또는 2축 방향으로 약간 줄이면서 열처리하는 이른바 이완 열처리가 유효하다.
본원의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에 있어서의 필름은, 후술하는 방법에 의해 측정한 데드폴드성이 70°이상이다.
데드폴드성이 70°보다 떨어지는 필름은, 엠보싱 가공성이 나빠지고, 의장성을 내기위해서 인쇄면의 일부분에, 예를 들면 무늬, 로고마크, 상품명, 회사명 등의 부분을 외표면이 볼록부가 되도록 도드라지게 하는 이른바 엠보싱가공을 할 때에, 엠보싱 가공부의 코너가 샤프하게 되지않는 경우가 있다.
필름은, 예를 들면 크라프트지, 인쇄용지, 모조지, 판지 등의 종이에 대하여 드라이라미네이트, 웨트라미네이트, 핫멜트 라미네이트하는 등, 공지의 방법으로 라미네이트할 수가 있고, 그 상태에서 상기의 엠보싱가공이 행하여지는 경우가 많다.
라미네이트에 사용하는 접착제 또는 점착제(이하, 접착제 등이라고 한다.)로서는, 비닐계, 아크릴계, 폴리아미드계, 고무계, 우레탄계, 생분해성의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접착제 등은 소량인데, 이들도 생분해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생분해성의 접착제 등으로서는, 전분 등의 탄수화물류, 아교, 젤라틴, 카제인 등의 단백질류, 미가황 천연고무 등을 들 수 있다.
필름을 이용한 라미네이트재의 층 구성은, 본 발명의 필름/종이의 2층 구조, 본 발명의 필름/종이/ 본 발명의 필름의 3층 구조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 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필름은, 종이와 복합화하기 전에 코로나 처리하여 두는 것이 좋다. 코로나처리를 함으로써 필름표면의 습윤성을 향상시키고, 접착제를 도포하여,종이와 맞붙인 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코로나 처리가 없는 필름에서는, 경미한 힘으로 종이로부터 벗겨져버린다. 코로나 처리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장치에서 사용가능하다. 필름의 코로나 처리하는 면은, 종이와의 맞붙이기에 사용하는 면에 행한다.
본 발명의 필름이 사용되는 창이 부착된 상자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이제의 포장상자의 기판에, 미리 내용물(상품)을 투시할 수 있는 크기 및 형상으로 창(1)을 뚫어두고, 그 위(외측의 면)에 생분해성 필름(2)을 맞붙인 필름 라미네이트 기판(3)을 조립한 형태를 취한다.
라미네이트된 필름과 종이(기판)의 적층체로 이루어지는 필름 라미네이트 기판(3)은, 도 1에 도시된 전개도와 같이 오려내고, 이어서 자동 제함기 또는 수작업으로 도 2에 나타내는 사각형상의 상자체(포장상자)(A)로 조립된다.
자동 제함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도 1에 나타내는 전개도의 필름 라미네이트 기판의 풀칠부분(4)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접는 선(5)을 산형상으로 접어 맞붙여서, 둘로 접은 상태로 한 후, 상하를 흡인하여 세워서 내용물(상품)을 충전한다.
또한, 창(1)의 크기, 수 등은 특별히 한정은 없고,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의 위치는 상자의 1면내라도 좋고, 도 3에 도시한 형태의 상자체(포장상자)(B)와 같이, 창(6)이 인접하는 2면에 걸쳐져 있어도 좋고, 도시는 생략하지만, 또한 3면 또는 4면에 걸쳐져 있어도 좋다.
본원의 생분해성 필름에 관한 발명의 관련사항에 관하여, 이하에 항목을 나누어 열거한다.
(1)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100℃/5분에서의 수축율이 3%이하이고, 또한 데드폴드성이 70°이상인 생분해성 필름으로 이루어지는 투시창이 부착된 포장상자 피복용 생분해성 필름.
(2) 생분해성 필름이, 연신온도 70∼90℃에서 한 방향으로 1. 5∼6배로 연신되고, 또한 그 연신된 상태에서 110℃∼(Tm-10)℃[단, Tm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의 융점이다.]의 온도에서 3초이상 열처리된 1축 연신필름인 (1)항 기재의 투시창이 부착된 포장상자 피복용 생분해성 필름.
(3) 생분해성 필름이, 연신온도 70∼90℃에서 종방향으로 1. 5∼6배로 연신되고, 또한 연신온도 70∼80℃에서 횡방향으로 1. 5∼6배로 연신되고, 그 연신된 상태에서 110℃∼(Tm-10)℃[단, Tm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의 융점이다.]의 온도에서 3초이상 열처리된 2축 연신필름인 (1)항 기재의 투시창이 부착된 포장상자 피복용 생분해성 필름.
그런데, 본 발명에 있어서의 창이 부착된 상자란, 도 1,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예와 같이, 상품 등의 종이제의 포장용의 상자에 있어서, 내용물을 투시할 수 있도록 창을 뚫어두고, 그 위에 필름을 맞붙인 형태를 취한 것이다. 또한, 창의 크기, 수 등은 특별히 한정은 없고, 창의 위치는 상자의 1면내라도 좋고, 이웃하는 2면, 3면 또는 4면에 걸쳐 있어도 좋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필름의 수축율을 제어하는 것이 중요하다. 즉, 그 바람직한 수축율은, 80℃/10분에 있어서의 수축율이 0. 5∼5%이다. 수축율이 너무 낮으면 창이 되는 구멍이 뚫린 종이와의 라미네이션 후에, 그 창부분을 관찰하면 필름은, 느즈러짐, 파형, 주름 등이 들어가, 깨끗하게 마무리되지않는다. 너무 높으면, 라미네이트시에 가해지는 열에 의해, 필름이 크게 수축해버려, 주름이 들어가고, 라미네이트 후의 종이와의 적층체가 컬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한다. 수축율이 상기 범위이면, 라미네이트시에 필름이 약간 수축하여, 창에 붙인 부분의 필름의 느즈러짐, 파형, 주름이 없는 마무리가 양호한 창이 부착된 상자가 된다. 보다 바람직한 수축율로서는, 80℃/10min에서 1∼3%이다.
필름과 종이와의 라미네이션에 있어서는, 공정에서의 정전기의 발생의 억제, 나아가서는 주름 등이 없는 마무리를 고려하면, 양호한 미끄럼성을 가지는 것이 중요하다. 필름의 미끄럼성을 향상하는데는, 필름표면에 왁스형상물을 도포하는 방법이 가장 간편한데, 이것은 필름과 종이와의 접착력을 저하시키므로, 바람직한 방법은 아니다. 제 2의 방법으로서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 중에 불활성인 무기계 입자를 혼합하고, 연신과정에서 필름표면상에 돌기시켜서 표면을 거칠게하는 방법이다. 이것에 의해, 필름끼리 또는 종이 등의 접촉면적이 저하하고, 미끄럼성이 향상한다. 그 거칠기는 기준으로서는, JIS B060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으로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평균 거칠기(Ra)가 0.01를 넘고, 0.08이하이다. 평균 거칠기(Ra)가 너무 작으면 실질필름의 표면이 거칠어지지않고, 마찰계수가 높아지며, 미끄럼성은 낮다. 반대로 평균 거칠기(Ra)가 너무 크면 필름표면에서의 광의 산란이 심해져, 투명성이 저하한다. 투명성에 관해서 언급하면, 본 발명의 목적은 내용물을 투시할 수 있는 창이 부착된 상자에 있고, 헤이즈가 10%이하, 바람직하게는 5%이하가 바람직하다. 헤이즈가 10%를 넘는 필름에서는, 내용물의 투시는 가능하지만, 흐린 감은 없앨 수 없어, 선명함이 부족하다.
필름의 열수축을 억제하는 점에 있어서는 필름을 파지한 상태로 열처리하는 것이 필요하다. 통상, 롤법에서는 연신 후, 가열롤에 접촉시켜서 열처리되고, 텐터법에서는, 클립으로 필름을 파지한 상태로 연신되므로 즉시 열처리된다. 열처리온도는, 사용하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의 융점에 따라 다르지만, 110∼(융점-10)℃의 사이에서 3초이상 열처리한다. 이러한 범위를 하회하면 얻어진 필름의 열수축율은 높아, 상술한 필름의 라미네이트공정에 있어서, 가공중에 필름이 수축하는 등의 문제를 일으키기쉽다. 열처리온도를 (융점 -10)℃이상으로 하면, 열처리중에 필름의 표면의 거칠기가 현저해지고, 백화하여 투명성이 손상된다. 또한 융점이상으로 하면, 필름은 융해하여, 파단을 일으킨다.
또,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연신필름(A)은, 상자의 코너를 확실히 낸다는 관점에서, 탄성율이 200∼500kgf/㎡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450kgf/㎟이다. 상자의 코너를 확실히 낸다는 것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자의 형태로 종이와의 적층체를 접었을 때에, 창이 상자의 2면에 걸쳐있는 곳에서는 필름자체에 각을 형성하게 된다. 그 각이 깨끗하게 접혀져서, 선이 되는 것을 말한다. 유연한 필름에서는, 각이 형성되지않고, 이 부분에서 느즈러짐, 파형이 보인다. 이것은 필름의 자기 지지성에 관련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연신필름(A)은, 종이와 복합화하기전에 코로나처리하여 두는 것이 좋다. 코로나처리를 행함으로써 필름표면의 습윤성을 향상시키고, 접착제를 도포하여, 종이와 맞붙인 후의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코로나처리가 없는 필름에서는, 경미한 힘으로 종이로부터 벗겨져버린다. 코로나처리는 종래부터 사용되고 있는 공지의 장치로 사용가능하다. 필름의 코로나처리하는 면은, 종이와의 맞붙이기에 사용하는 면에 행한다. 단, 종이와 맞붙인 적층체는, 예를 들면 도 1의 전개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형으로 오려내어, 상자가(제함) 된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풀칠부분에 접착제를 도포 또는 점적(点滴)하고, 전개도와 같은 적층체를 둘러싸도록 하여, 종이의 내측과 풀칠부분이 연결된다. 이 풀칠부분은 필름의 종이와 맞붙인 반대의 면이 된다. 따라서, 필름상에 접착제를 도포하고 있으므로, 일단 붙여도 외력이 가해지면, 예를 들면 상자안에 상품을 넣어두는 상태에서, 뜻밖의 낙하에 의한 충격으로 용이하게 필름과 접착제와의 계면에서의 박리가 생기는 경우가 있다. 그래서, 보다 강고한 접착력을 원하는 경우는, 이 면위의 습윤성을 향상시켜두는 것이 바람직하고, 코로나처리하여 두는 편이 좋다.
본 발명에서 이용하는 연신필름(A)으로서는, 상기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그 표면 습윤지수가 40∼55dyn/cm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45∼55dyn/cm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종이(B)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고, 예를 들면 크라프트지, 인쇄용지, 모조지, 판지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연신필름(A)은, 종이(B)와 드라이라미네이트, 웨트라미네이트, 핫멜트라미네이트 등, 공지의 방법으로 라미네이트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창이 부착된 부분의 필름의 미려감을 돋보이게 하는 관점에서, 60∼80℃에서 라미네이트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미네이트시의 온도가 너무 낮으면 필름의 수축을 얻을 수 없고, 라미네이트시의 온도가 너무 높으면 수축율이 너무 높아진다.
또, 연신필름(A)은, 접착제 내지 접착제에 의해 종이(B)와 맞붙여도 좋다. 사용하는 접착제, 점착제로서는, 비닐계, 아크릴계, 폴리아미드계, 고무계, 우레탄계, 생분해성의 것 등을 들 수 있다. 사용되는 접착제, 점착제는 창이 부착된 상자 전체에서 보면 극히 소량이지만, 이들도 생분해성인 것이 바람직하다. 생분해성의 것으로서는, 전분 등의 탄수화물류, 아교, 젤라틴, 카제인 등의 단백질류, 미가황 천연고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창이 부착된 상자의 소재의 층구성은, 연신필름(A)/종이(B)의 2층구조, 연신필름(A)/종이(B)/연신필름(A)의 3층구조 등을 들 수 있는데,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라미네이트된 필름과 종이로 이루어지는 적층체는,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전개도와 같이 오려내고, 이어서 자동제함기 또는 수작업으로 상자가 된다. 자동제함기의 사용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한 전개도로부터 풀질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맞붙이고, 도 4와 같은 둘로 접은 상태로 한 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하를 흡인하여 세워서 내용물을 충전하여 간다. 단, 이 세워진 상태에 따라서 자동제함 적성은 다르고, 도 5에서 나타내는 각도 (θ)가 0°에 가까우면 바람직한 상태가 된다. 이 자동제함 적성의 기준으로서는 20°이하, 바람직하게는 10°이하이다.
그러나, 상기의 일본 특개평 4-334448호 공보, 일본 특개평 4-336246호 공보에 개시되어 있는 필름은 무르기때문에, 포장용기의 창에 붙인 부분은 용이하게 깨져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또, 일본 특개평 8-252895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필름은, 취약성의 개량이 이루어지고 있어, 종이와의 라미네이트성에 관하여 양호한 특징을 나타내지만, 하절기 등에 있어서 예를 들면 60℃정도의 고온사용 환경하에서 변형되기 어렵다는 내열성, 또 의장성을 높이기위한 엠보싱 가공성이 불충분한 것이었다.
그래서, 본원 발명의 과제는, 고온사용 환경하에서의 내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의장성을 높이기 위한 엠보싱 가공성에도 우수하며, 게다가 자연환경 중에서 분해성을 가지는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상기의 특성을 가지고, 포장상자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적용할 수 있는 생분해성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자동 제함기 적성이 좋고, 창에 붙인 부분의 느즈러짐, 주름, 파형 등이 없고, 마무리가 양호한, 자연환경 중에서 분해성을 가지는 창이 부착된 상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원의 발명자들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위해 예의검토한 결과, 본원의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원의 발명에 있어서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로 이루어지고, 100℃/5분에서의 수축율이 3%이하이고, 또한 데드폴드성이 7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필름으로 한 것이다.
또, 상기의 생분해성 필름은, 연신온도 70∼90℃에서 한 방향으로 1. 5∼6배로 연신되고, 또한 그 연신된 상태에서 110℃∼(Tm-10)℃[단, Tm은 폴리락트산계중합체의 융점이다.]의 온도에서 열처리된 1축 연신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의 생분해성 필름은, 연신온도 70∼90℃에서 종방향으로 1. 5∼6배로 연신되고, 또한 연신온도 70∼80℃에서 횡방향으로 1. 5∼6배로 연신되고, 그 연신된 상태에서 110℃∼(Tm-10)℃(단, Tm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의 융점이다.]의 온도에서 열처리된 2축 연신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생분해성 필름은, 상기한 소정의 요건을 만족시킴으로써, 하절기의 고온 사용시에 종이재와의 라미네이트부분에 주름이 발생하기 어렵다는 등의 특성이 보이는 내열성이 우수한 것이 되고, 또한 의장성을 내기 위한 정밀한 엠보싱 가공성에도 우수하고, 게다가 자연환경 중에서 분해성을 가지는 필름, 특히 포장상자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적용할 수 있는 생분해성 필름이 된다.
또,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며, 80℃/10min에서의 수축율이 0. 5∼5%이고, 헤이즈가 10%이하인 연신필름(A)과 종이(B)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상자의 내부가 투시가능한 창을 가지는 창이 부착된 상자에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로서는, 연신필름(A)의 표면의 평균 거칠기(Ra)가 0. 01을 초과하고, 0. 08이하인 상기의 창이 부착된 상자, 연신필름(A)의 적어도 어느 한 쪽의 표면이 코로나 처리되어 있는 상기의 창이 부착된 상자, 연신필름(A)의 양쪽의 표면이 코로나 처리되어 있는 상기의 창이 부착된 상자, 연신필름(A)의 표면 습윤지수가 40∼55dyn/cm인 상기의 창이 부착된 상자, 연신필름(A)과 종이(B)를 60∼80℃에서 라미네이트한 상기의 창이 부착된 상자를 들 수 있다.
이하에 실시예를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중에 나타내는 측정, 평가는 다음에 나타내는 조건으로 행하였다.
(1) 열수축율
필름 샘플을 길이방향(MD), 그 직행방향(TD)으로 각각 140mm(폭 10mm)로 잘라내고, 길이방향으로 100mm의 사이를 벌려서 직행방향으로 평선(評線)(표)을 형성하고, 100℃의 온수바스에 5분 침지한 후, 그 평선간의 치수를 재어, 다음 식에 따라서 열수축율을 산출하였다.
열수축율(%)
={(수축전의 치수-수축후의 치수)/(수축전의 치수)}×100
(2) 데드폴드성
필름샘플을 폭 20mm, 길이 150mm의 샘플로 잘라내어, 그 길이방향의 일단을 유지하고, 유지하고 있지않는 타단으로부터 30mm의 개소를 180°(도)유지하고 있는 방향으로 접고, 0.15MPa의 과중을 0.5초간 건 후, 즉시 과중을 제거하여 유지하고 있지않는 단을 손으로 원래 위치까지 되돌린 후, 손을 떼었을 때에 유지하고 있는 각도를 분도기로 측정하여 데드폴드성으로 하였다. 수치가 클수록, 데드폴드성이 우수하다. (최대: 180°, 최소 : 0°)
(3) 사용환경하에 있어서의 내열성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은 2면에 걸친 창 부착가공한 상자체를, 60℃의 열풍건조기에 1주간 보관하고, 창 부착부의 변형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이상을 합격으로 평가하였다.
○ : 이상없음
△ : 접은 부분이 약간 풀어져 있다.
× : 변형을 일으키고 있다.
(4) 엠보싱 가공성
프레스기에 의해, 크기 35포인트이고 깊이 2mm의 회사명(미쓰비시 수지주식회사)을 실온에서 엠보싱가공한 후, 엠보싱부, 특히 코너부의 마무리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이하에 나타내는 △이상을 합격으로 평가하였다.
○ : 코너부도 정확히 형태가 유지되고 있다.
△ : 약간 마무리가 엉성하다
× : 마무리가 매우 엉성하여 형상이 유지되고 있지않다.
(5) 융점
퍼킨엘머제 DSC-7을 사용해서, JIS-K7121에 의거하여, 융점을 측정하였다. 즉, 필름으로부터의 시험편 10mg을, 표준상태로 상태조절을 한 후, 질소가스유량 25ml/분, 가열온도 10℃/분으로 200℃까지 승온하는 동안에 그려지는 DSC곡선으로부터, 흡열피크를 판독하여, 그 때의 온도를 융점으로 하였다.
(6) 헤이즈
JIS K7105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값이 작을수록, 투명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7) 표면 거칠기
측정은, JIS B0601에 기재되어 있는 방법에 의거하여 행하였다. (주) 고사카연구소제 표면거칠기 측정기(SE-3F)를 이용하여, 중심선 평균 거칠기(Ra)와 십점 평균 거칠기(Rz)를 구하였다. 측정기의 촉침 선단반경은 2㎛, 하중은 30mg로 하고, 측정길이는 8mm, 컷오프값은 0. 08mm로 하였다.
(8) 표면 습윤지수
JIS K 6788에 준거하여 측정을 하였다.
(9) 라미네이트 적성
소정의 위치에 작은 창을 뚫은 A3사이즈의 두꺼운 종이에 접착제를 균일하게 도포하고, 이어서 A3로 잘라낸 필름을 수동식의 롤러로 압착하였다. 사용한 접착제는, 다케락 A-991/다케네이트 A-19(15/1의 비율로 혼합)(다케다 약품공업(주)제)이다. 곧, 이 적층체를 60℃의 오븐 중에 1분간 유지하여 건조시켰다. 그 후, 이 필름의 외관과 종이와 필름과의 접착력을 관찰하였다. 수축에 의한 주름이 있는 것, 적층체가 컬되어 있는 것, 용이하게 박리하는 것에 관해서는 ×, 그렇지않은 것을 ○으로 표기하였다.
(10) 창 부착부분의 마무리
(9)의 평가 후, 창 부착부분을 관찰하여, 느즈러짐, 파형, 주름이 있는 것은×, 그렇지않은 것은 ○으로 표기하였다.
(11) 자동 제함적성
(9)에서 제작하고, 38℃에서 48시간 이상 에이징한 적층체를 도 1의 전개도와 같이 오려내고, 풀칠부분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도 4와 같이 맞붙여서, 둘로 접은 상태로 하였다. 사용한 접착제는 (9)에서 사용한 것과 동일하고, 38℃에서 48시간 이상 에이징하여 두었다. 이어서, 도6(a)와 같이 손으로 상하를 일으켜서, 세우고, 게다가 도6(b)와 같이 사각형을 넘고, 역으로 하중을 걸어서 45°까지 찌부러뜨린다. 그 후, 하중을 걸지않은 상태로 했을 때의 상자의 선 상태를 도6(c)와 같이 각도 (θ)를 계측하여 평가하였다. 이 수치가 20°이하일 때는 양호한 상태로 ○, 그렇지 않은 경우는 ×로 표기하였다.
(12) 낙하시험
(11)에서 제작한 상자 안에 무게 150g의 통나무를 넣고, 봉함하였다. 이것을 높이 1m상에서 콘크리트제의 바닥면에 낙하시켰다. 낙하 후의 충격에 의한 상자의 변형, 특히 맞붙인 부분의 관찰을 하였다. 풀칠부분에서 완전한 박리가 보이는 것은 ×, 약간이라도 이어져 고정되어 있는 경우를 △, 거의 이상이 없는 것은 ○으로 표기하였다.
(실시예 1)
L-락트산 성분과 D-락트산 성분의 비율이 98:2인 분자량 약 22만의 폴리락트산(융점 158℃)과, 평균 입자직경 약 2.5㎛의 후지시리시아 화학(주)제 입상 이 산화규소(실리카)(상품명:사이리시아430) 1중량부를 각각 건조하여 충분히 수분을 제거한 후, ø40mm 동일방향 2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약 200℃에 설정하여 용융 혼합하고, 스트랜드로 하여 압출하여, 냉각하면서 펠릿형상으로 컷트하였다. 이 펠릿을 마스터배치로 하고, 재차 건조하여, 동일하게 건조한 상기 폴리락트산에 10%혼합하고, ø40mm 동일방향 2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설정온도 210℃에서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회전하는 냉각드럼으로 급냉 고화시켜서, 실질적으로 비정질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는, 온수 순환식 롤에 접촉시키면서 적외선히터를 병용하여 가열하고, 주속차(周速差) 롤사이에서 종방향으로 75℃에서 2.6배, 이어서 이 종연신시트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로 유도하고, 필름흐름의 수직방향으로 75℃, 2.8배로 연신한 후, 135℃에서 약 20초간 열처리하여, 25㎛두께의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을 폴리우레탄계 용제형 접착제(다케락 A-970/다케네이트 A-19=15/1, 다케다 약품 공업사제)를 1㎛가 되도록 균일하게 도포하고, 60℃ 오븐 중에서 3분간 건조하였다. 창 부착부를 뚫은 두께 60μ의 상질지와, 상기 폴리락트산계 필름을 롤러로 압착하면서 맞붙이고, 40℃에서 24시간 에이징하여 라미네이트 재료를 얻었다. 얻어진 라미네이트재로, 도 3에 나타내는 창 부착상자를 가공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치의 측정 및 실용성은, 상기의 방법으로 행하였다. 필름물성과, 창 부착상자(포장상자)로서의 실용성을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
L-락트산 성분과 D-락트산 성분의 비율이 98 : 2인 분자량 약 22만의 폴리락트산(융점 158℃)과, 평균 입자직경 약 2. 5㎛의 후지시리시아 화학(주)제 입상 이산화규소(실리카)(상품명:사이리시아430) 1중량부를 각각 건조하여 충분히 수분을 제거한 후, ø40mm 동일방향 2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약 200℃로 설정하여 용용혼합하고, 스트랜드로 하여 압출하여, 냉각하면서 펠릿형상으로 컷트하였다. 이펠릿을 마스터배치로 하고, 재차 건조하여, 동일하게 건조한 상기 폴리락트산에 10% 혼합하고, ø40mm 동일방향 2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설정온도 210℃에서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회전하는 냉각드럼으로 급냉 고화시켜서, 실질적으로 비정질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는, 온수 순환식 롤에 접촉시키면서 적외선 히터를 병용하여 가열하고, 주속차 롤사이에서 종방향으로 77℃에서 2. 6배, 이어서 이 종연신시트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로 유도하고, 필름흐름의 수직방향으로 72℃, 2. 8배로 연신한 후, 135℃에서 약 20초간, 종방향 및 횡방향으로 5%의 이완 열처리하여, 25㎛ 두께의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필름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라미네이트재, 창 부착상자를 얻었다. 필름물성과, 창 부착상자로서의 실용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사하고, 그 결과를 표 1 중에 병기하였다.
(비교예 1)
L-락트산 성분과 D-락트산 성분의 비율이 95 : 5인 분자량 약 20만의 폴리락트산(융점 148℃)과, 평균 입자직경 약 2. 5㎛의 후지시리시아 화학(주)제 입상 이산화규소(실리카)(상품명 : 사이리시아430) 1중량부를 각각 건조하여 충분히 수분을 제거한 후, ø40mm 동일방향 2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약 200℃로 설정하여 용융 혼합하고, 스트랜드로 하여 압출하고, 냉각하면서 펠릿형상으로 컷트하였다. 이 펠릿을 마스터배치로 하고, 재차 건조하여, 동일하게 건조한 상기 폴리락트산에 10% 혼합하고, ø40mm 동일방향 2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설정온도 210℃에서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회전하는 냉각드럼으로 급냉 고화시켜서, 실질적으로 비정질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는, 온수 순환식 롤에 접촉시키면서 적외선 히터를 병용하여 가열하고, 주속차 롤사이에서 종방향으로 77℃에서 2. 6배, 이어서 이 종연신시트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로 유도하고, 필름흐름의 수직방향으로 72℃ 2. 8배로 연신한 후, 115℃에서 약 15초간 열처리하고, 25㎛ 두께의 필름을 제작하였다.
이 필름을 이용하여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라미네이트재, 창 부착상자를 얻었다. 필름물성과, 창 부착상자로서의 실용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1중에 병기하였다.
(비교예 2)
폴리락트산계 필름 대신에, 25μ의 2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을 이용한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라미네이트재 및 창 부착상자를 얻었다.
필름물성과 창 부착상자로서의 실용성을 실시예 1과 동일한 조건으로 조사하여, 그 결과를 표 1중에 병기하였다.
(실시예 3)
L-락트산 성분과 D-락트산 성분의 비율이 95 : 5인 분자량 약 20만의 폴리락트산과, 평균 입자직경 약 2. 5㎛의 후지시리시아 화학(주)제 입상 이산화규소(실리카)(상품명 : 사이리시아430) 1중량부를 각각 건조하여 충분히 수분을 제거한 후, Ф40mm 동일방향 2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약 200℃에 설정하여 용융 혼합하고, 스트랜드로 하여 압출하고, 냉각하면서 펠릿형상으로 컷트하였다. 이 펠릿을 마스터배치로 하고, 재차 건조하여, 동일하게 건조한 상기 폴리락트산에 10% 혼합하고, Ф40mm 동일방향 2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설정온도 210℃에서,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회전하는 냉각드럼으로 급냉 고화시켜서, 실질적으로 비정질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로 온수 순환식 롤과 접촉시키면서 적외선 히터로 병용하여 가열하고, 주속차 롤간에서 종방향으로 75℃에서 3. 0배, 이어서 이 종연신 시트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로 유도하고, 필름흐름의 수직방향으로 75℃ 3. 0배로 연신한 후, 120℃에서 약 15초간 열처리하여, 15㎛ 두께의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은 필요에 따라서 코로나 처리기에서, 표 2에 나타내는 습윤지수가 되도록 공기중에서 표면처리를 하였다. 표면으로의 코로나 처리는,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면으로 행한 것, 한쪽면에만 행한 것이 있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을 상기의 방법으로 측정하였다. 또, 상기의 방법으로 종이와 라미네이트하고, 또, 제함을 행하였다. 이 때의 라미네이트 특성이나 제함 적성 등을 평가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열수축율은, 100℃의 온수 바스 대신에 80℃의 온수 바스를 이용한 것 이외는, 상기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4)
표 2에 기재된 조건에 따른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라미네이트 특성이나 제함적성 등을 상기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평가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열수축율은, 100℃의 온수 바스 대신에 80℃의 온수 바스를 이용한 것 이외는, 상기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실시예 5)
L-락트산 성분과 D-락트산 성분의 비율이 98:2인 분자량 약 22만의 폴리락트산과, 평균 입자직경 약 2. 5㎛의 후지시리시아 화학(주)제 입상 이산화규소(실리카)(상품명 : 사이리시아430) 1중량부를 각각 건조하여 충분히 수분을 제거한 후, Ф40mm 동일방향 2축 압출기에 투입하고, 약 200℃에 설정하여 용융 혼합하고, 스트랜드로 하여 압출하고, 냉각하면서 펠릿형상으로 컷트하였다. 이 펠릿을 마스터배치로 하여, 재차 건조하고, 동일하게 건조한 상기 폴리락트산에 10% 혼합하여, Ф40mm 동일방향 2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설정온도 210℃에서, 시트상으로 압출하고, 회전하는 냉각드럼으로 급냉 고화시켜서, 실질적으로 비정질의 시트를 얻었다. 얻어진 시트로 온수 순환식 롤과 접촉시키면서 적외선 히터로 병용하여 가열하고, 주속차 롤간에서 종방향으로 77℃에서 2. 6배, 이어서 이 종연신시트를 클립으로 파지하면서 텐터로 유도하고, 필름흐름의 수직방향으로 72℃ 2. 8배로 연신한 후, 135℃에서 약 15초간 열처리하여, 15㎛두께의 필름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라미네이트 특성이나 제함적성 등을 상기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평가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열수축율은, 100℃의 온수 바스 대신에 80℃의 온수 바스를 이용한 것 이외는, 상기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비교예 3)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표 2에 기재된 필름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라미네이트 특성이나 제함적성 등을 상기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평가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열수축율은, 100℃의 온수 바스 대신에 80℃의 온수 바스를 이용한 것 이외는, 상기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비교예 4∼7)
표 2에 기재된 조건에 따른 것 이외는, 실시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필름을 제작하였다.
비교예 4에서는, 입상 이산화규소(실리카)의 평균 입자직경을 6. 0㎛(후지시리시아 화학(주)제, 상품명:사이리시아770)을 사용하였다.
얻어진 필름의 물성, 라미네이트 특성이나 제함 적성 등을 상기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평가하였다. 이들의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또한, 열수축율은, 100℃의 온수 바스 대신에 80℃의 온수 바스를 이용한 것 이외는, 상기의 방법에 따라서 측정하였다.
본원의 각 청구항에 관한 발명은,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소정의 열수축율을 가지고, 또한 소정의 데드폴드성을 가지는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는 생분해성 필름으로 한 것으로, 고온 사용환경하에서의 내열성이 우수하고, 또한 의장성을 높이기 위한 엠보싱 가공성에도 우수하고, 또한 자연환경 중에서 분해성을 가지는 필름이라는 이점이 있다.
또, 이와 같은 생분해성 필름은, 상기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때문에, 포장상자용 라미네이트 필름에 적용할 수 있는 것이고, 이것을 이용하여 사용환경하에서의 내열성이 우수함과 동시에 의장성이 우수하고, 게다가 자연환경 중에서 분해성을 가지는 창이 부착된 포장상자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해, 자동 제함기 적성이 좋고, 창에 붙인 부분의 느즈러짐, 주름, 파형 등이 없고, 마무리가 양호한, 자연환경 중에서 분해성을 가지는 창이 부착된 상자를 제공할 수가 있다.

Claims (9)

  1.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며, 100℃/5분에서의 수축율이 3%이하이고, 또한 데드폴드성이 70°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필름이, 연신온도 70∼90℃에서 한 방향으로 1. 5∼6배로 연신되고, 또한 그 연신된 상태로 110℃∼(Tm-10)℃[단, Tm은 폴리락트산 계 중합체의 융점이다.]의 온도에서 열처리된 1축 연신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생분해성 필름이, 연신온도 70∼90℃에서 종방향으로 1. 5∼6배로 연신되고, 또한 연신온도 70∼80℃에서 횡방향으로 1. 5∼6배로 연신되고, 그 연신된 상태로 110℃∼(Tm-10)℃[단, Tm은 폴리락트산계 중합체의 융점이다.]의 온도에서 열처리된 2축 연신필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분해성 필름.
  4. 폴리락트산계 중합체로 이루어지며, 80℃/10min에서의 수축율이 0. 5∼5%이고, 헤이즈가 10%이하인 연신필름(A)과 종이(B)의 적층체로 이루어지고, 상자의 내부가 투시가능한 창을 가지는 창이 부착된 상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필름(A)의 표면의 평균 거칠기(Ra)가 0.01을 넘고, 0.08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이 부착된 상자.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필름(A)의 적어도 어느 한 표면이 코로나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이 부착된 상자.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필름(A)의 양쪽의 표면이 코로나 처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이 부착된 상자.
  8. 제 4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필름(A)의 표면 습윤지수가 40∼55dyn/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이 부착된 상자.
  9. 제 4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연신필름(A)과 종이(B)를 60∼80℃에서 라미네이트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창이 부착된 상자.
KR1020027008965A 2000-01-12 2000-11-27 생분해성 필름 및 창이 부착된 상자 KR200200812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003726A JP2001192478A (ja) 2000-01-12 2000-01-12 生分解性フィルム
JPJP-P-2000-00003726 2000-01-12
PCT/JP2000/008349 WO2001051545A1 (fr) 2000-01-12 2000-11-27 Film biodegradable et boite a fenetre avec film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81249A true KR20020081249A (ko) 2002-10-26

Family

ID=185326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7008965A KR20020081249A (ko) 2000-01-12 2000-11-27 생분해성 필름 및 창이 부착된 상자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1270650B1 (ko)
JP (1) JP2001192478A (ko)
KR (1) KR20020081249A (ko)
CN (1) CN1182183C (ko)
DE (1) DE60044398D1 (ko)
WO (1) WO200105154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447B1 (ko) 2005-05-16 2008-01-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369737C (zh) 2001-07-19 2008-02-20 卡吉尔.道有限责任公司 通过拉伸和热固定制备的模塑物品和用于生产该物品的方法
WO2003070450A1 (fr) * 2002-02-21 2003-08-28 Riken Film d'acide polyhydroxyalcanoique haute resistance et procede de production associe
US7700500B2 (en) * 2002-12-23 2010-04-2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Durable hydrophilic treatment for a biodegradable polymeric substrate
JP5148089B2 (ja) * 2003-05-20 2013-02-20 三菱樹脂株式会社 脂肪族ポリエステル系樹脂反射フィルム及び反射板
CN102476444B (zh) * 2010-11-30 2015-06-10 远东新世纪股份有限公司 耐热性聚乳酸元件的制造方法
CN102952282B (zh) * 2011-08-23 2015-02-25 伟盟工业股份有限公司 聚乳酸膜及其制造方法
CN107618725A (zh) * 2017-09-28 2018-01-23 上海界龙永发包装印刷有限公司 带可视窗的包装盒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44113A (en) * 1988-08-08 1995-08-22 Ecopol, Llc End use applications of biodegradable polymers
JP2513091B2 (ja) * 1991-05-10 1996-07-03 株式会社島津製作所 生分解性複合材料およびその製造法
JPH07205278A (ja) * 1994-01-11 1995-08-08 Mitsubishi Plastics Ind Ltd ポリ乳酸系重合体延伸フイルムの製造方法
US5763513A (en) * 1994-05-19 1998-06-09 Mitsui Toatsu Chemicals, Inc. L-lactic acid polymer composition, molded product and film
JP3473714B2 (ja) * 1994-09-09 2003-12-08 大日本インキ化学工業株式会社 乳酸系ポリマーから成る耐熱性シート及び成形品の製造方法
JP3388052B2 (ja) * 1995-03-16 2003-03-17 三菱樹脂株式会社 分解性ラミネート材料
FI951637A (fi) * 1995-04-06 1996-10-07 Yhtyneet Paperitehtaat Oy Pakkausmateriaali
JPH10147653A (ja) * 1996-11-20 1998-06-02 Gunze Ltd 微生物分解性延伸フィルム
JPH1142752A (ja) * 1997-07-28 1999-02-16 Toyobo Co Ltd ガス遮断性に優れた生分解性積層フィルム
JP3659388B2 (ja) * 1998-07-27 2005-06-15 東洋紡績株式会社 乳酸系ポリマー二軸延伸フィル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93447B1 (ko) 2005-05-16 2008-01-14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생분해성 지방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423672A (zh) 2003-06-11
JP2001192478A (ja) 2001-07-17
WO2001051545A1 (fr) 2001-07-19
EP1270650A1 (en) 2003-01-02
EP1270650B1 (en) 2010-05-12
EP1270650A4 (en) 2008-10-29
DE60044398D1 (de) 2010-06-24
CN1182183C (zh) 2004-12-29
EP1270650A9 (en) 2003-03-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388925C (en) Biaxially stretched biodegradable film
US7396578B2 (en) Adhesion-promoted , heatsealable and peelable polyester film, process for its production and its use
KR20040091572A (ko) 공압출, 열시일성, 필러블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CA2443161A1 (en) Process for the production of biodegradable packaging from biaxially stretched films
KR20040091574A (ko) 강한 필특성을 갖는 공압출, 열시일성, 필러블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KR20040091575A (ko) 공압출, 열시일성, 필러블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방법 및 그 용도
KR20040091573A (ko) 쉬운 필특성을 갖는 공압출, 열시일성, 필러블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 방법 및 그 용도
EP2431177A1 (en) Polyester film
US11186072B2 (en) Peelable polyester film, use thereof and process for production thereof
KR20040091576A (ko) 공압출, 열시일성 및 필러블 폴리에스테르 필름, 그 제조공정 및 그 용도
JP3388052B2 (ja) 分解性ラミネート材料
KR20020081249A (ko) 생분해성 필름 및 창이 부착된 상자
US20050281967A1 (en) Battery packag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5492547B2 (ja) ラベル付き容器とその製造方法
US20050262809A1 (en) Method for producing package
JP3605324B2 (ja) 生分解性袋
JP2001002126A (ja) 窓貼り箱
JP2001219522A (ja) ポリ乳酸系積層2軸延伸フィルム
JP2003118726A (ja) 窓貼り箱
JP2004217289A (ja) 生分解性ブリスターパック
JP3902371B2 (ja) 生分解性積層シート状物
JP2008105428A (ja) ポリ乳酸系積層2軸延伸フィルム
JP4269805B2 (ja) 熱収縮性粘着フィルム及び該フィルムに被覆された柔軟性容器
TWI252163B (en) Biodegradable film and window pasting case
JP2004027222A (ja) 生分解性フィ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