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20007919A -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 Google Patents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07919A
KR20020007919A KR1020000041459A KR20000041459A KR20020007919A KR 20020007919 A KR20020007919 A KR 20020007919A KR 1020000041459 A KR1020000041459 A KR 1020000041459A KR 20000041459 A KR20000041459 A KR 20000041459A KR 20020007919 A KR20020007919 A KR 200200079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pe
tube
connection
socket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14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7308B1 (ko
Inventor
이주형
김홍기
Original Assignee
이주형
김홍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주형, 김홍기 filed Critical 이주형
Priority to KR10-2000-00414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97308B1/ko
Publication of KR200200079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0791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73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73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2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 F16L47/22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based principally on specific properties of plastics using shrink-down mater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Joints That Cut Off Fluids, And Hose Joi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관체 연결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은, 소정 길이로 생산된 관체의 적어도 일측단부 외주면상에 관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열수축성 튜브가 일부구간 중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중첩된 구간의 튜브 주위에 가해지는 열에 의한 튜브의 수축으로 튜브의 내주면과 관체의 외면이 접착제가 개재된 상태로 서로 밀착 접착되고 나머지 관체의 외부로 연장된 구간의 튜브는 원래의 상태로 유지되어 연결용 소켓을 구성하는 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관체는 관체의 생산단계에서 관체의 적어도 일측에 열수축성 튜브로 이루어진 연결용 소켓이 일체로 성형 접착되어 출하되기 때문에 관체의 연결시공 현장에서는 단순히 상기 소켓 내부에 연결대상 관체를 삽입한 후 가열을 행하는 작업만으로 관체의 연결이 이루어짐에 기인하여 종래의 관 연결방식에 비해 작업성이 월등히 향상되고 또한 관 연결작업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으며, 또한 관 연결작업에서 중시되는 연결부의 수밀성 및 강도면에 있어서도 관연결부의 관체 외주면과 연결용 열수축 소켓 간에 접착제가 개재된 상태에서 확실한 밀착접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확실한 수밀성이 확보되고, 연결부 주위에 감싸진 소정 두께의 연결용 열수축 소켓 자체가 보유한 지지강도에 의해서 연결부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강도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Pipe having a thermo-shrinking socket for coupling}
본 발명은 소정 길이의 단관으로 이루어진 관체의 적어도 일측 단부에 열수축성 튜브의 일부 구간이 열수축을 통해서 접합되고 나머지 부위는 관체의 외측으로 확개된 상태로 연장된 연결용 소켓을 형성하여 관체의 연결시공시 연결대상 관체를 상기 연결용 소켓에 끼워 넣은 상태에서 열을 가해 소켓의 직경축소에 의한 연결대상 관체들간의 연결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간편하게 관체의 연결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합성수지로 재질로 이루어진 관체는 운반이나 보관상의 이유 등에 기인하여 일정한 길이를 갖는 규격 제품으로 제조되어 출하되고, 시공 현장에서는 상기의 일정한 길이를 갖는 규격 제품을 서로 연결시켜 파이프 라인을 구축하게 된다.
이와 같이, 단관을 서로 연속적으로 연결 시공함에 있어서는 연결부에서의 기밀성 및 수밀성이 충분히 유지됨과 아울러 연결부에서 강도가 떨어지지 않아야 할 것이 요구되는 바, 특히 상기 관체 연결작업이 지중에 매설되는 상,하수관 또는 지중 전선보호관 등에 대하여 행해지는 경우에는 그러한 연결작업이 한층 힘들고, 관로가 길수록 단관 연결작업은 더욱 많은 시간과 인력을 요구함에 따라 전체 배관작업중 관체 연결작업이 차지하는 비중이 그만큼 증대된다.
따라서, 전체 공정의 일정과 수지에 큰 영향을 미치는 관체의 연결작업을 보다 간편하게 하면서도 충분한 수밀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하는 수많은 관체 연결구조 및 방법이 개발되어 적용되고 있다.
종래 관체 연결구조의 몇 가지 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나선관 연결구조의 일예로 합성수지 나선관의 외주벽에 요입 형성되어 있는 나선홈에 합성수지재 로프등을 적당한 길이로 감아 놓고 그 위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연결관을 끼워줌으로써 연결되는 나선관의 접속부위에 기밀성이 유지되도록 하는 형태가 알려지고 있으나, 이는 나선관과 연결관을 긴밀하게 밀착시켜 주지 않으면 접착제에 의한 봉합이 완벽하게 이루어지지 못하는 것이어서 관체의 결합부위에서 누설이 빈번하게 일어나는 결합을 안고 있다.
한편, 국내 실용신안공고 제88-3710호에는 상호 접속연결을 요하는 나선관의 접속단부로부터 일정한 거리에 위치되는 나선홈에 팩킹의 나합돌출부가 끼워지고그 감합대의 양측단 결합턱은 나선관의 나선돌출부에 씌워져 걸린 상태로 감합되도록 한 뒤 이를 연결관의 양단 개구부를 통하여 각각 삽입시키고 나합전진시켜 결합하는 연결구조가 알려지고 있으나, 이러한 연결구조는 완벽한 수밀성을 얻기 위하여 부피가 큰 팩킹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나선관을 나합전진시키기가 매우 어렵게 되어 관의 연결 작업성이 저하되고, 작업성을 위하여 부피가 적은 팩킹을 사용하게 되면 완벽한 수밀성을 얻지 못하게 되는 결함이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또 다른 종래 관체 연결구조의 하나로 긴 고무 팩킹을 나선관의 나선홈에 감고, 외부에 금속제 클립을 씌워 체결하는 연결구조도 알려지고 있으나, 이러한 연결구조는 나선홈에 고무 팩킹을 나선형으로 감는 작업이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으며, 고무 팩킹을 균일하게 감아야 하나 이는 매우 까다로운 작업이어서 실제로는 고무 팩킹이 불균일하게 감겨지고 이로 인하여 외부에서 금속제 클립을 체결하여도 나선홈을 타고 흘러나오는 물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상기 종래의 관체 연결구조에서 지적되고 있는 문제점을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 본원인에 의해 선출원되어 등록된 바 있는 실용신안등록 제157905호의 나선관 연결구조가 도1에 도시되어 있는 바, 이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등록실용신안의 나선관 연결구조는, 서로 연결되는 나선관의 각 연결단부측 나선형 외벽(3)중 나선요부(3b)내에 수지물(나선관과 동일한 재질 또는 발포수지 등)을 충진시켜 나선돌부(3a)의 정부(頂部)보다 낮지 않은 평평한 외면을 갖는 연결부(4)가 일체로 형성되도록 하고, 그 연결부(4)의 외면에튜브상이나 폭이 넓은 띠 형태의 열수축성 밀착부재(5)를 감아 부착하며, 밀착부재 (5)의 외부에 체결밴드(6)를 체결하여 체결부(6a)를 볼트(7)와 너트로 체결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은 보강철판이고, 2는 평형내벽이다.
상기 나선관 연결구조에서는 종전의 관 연결구조에 비해 어느 정도 작업성이 개선되고 수밀성의 향상이 기대되는 이점이 있기는 하나, 관체의 연결작업이 모두 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음에 따라 작업성 면에서 개선의 여지가 남아 있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은 종래의 관체 연결구조에서 지적되고 있는 상기의 제반 단점과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안된 것으로, 단관의 생산단계에서 열수축성 튜브로 이루어진 연결용 소켓이 단관의 일측에 일체로 결합된 상태로 출하되도록 함으로써 현장에서의 관체 연결시공시 연결대상 관체를 상기 소켓에 끼운 상태에서 단순히 열을 가하는 작업만으로 관체의 연결작업이 손쉽게 완료되도록 한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을 제공하는 데 고안의 목적을 두고 있다.
도1은 종래 관 연결 구조의 일예를 도시한 일부절결 정면도.
도2의 (가) 내지 (라)는 직관의 일측 단부에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
도3의 (가) 내지 (다)는 파형관의 일측 단부에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
도4는 도3의 열수축 소켓을 이용하여 관체의 연결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
도5의 (가) 내지 (마)는 파형관의 일측 단부 외주면을 평탄면으로 한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
도6의 (가),(나)는 도5의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의 소켓 형성부 내측에 보강대가 결합된 구조의 본 발명 실시예 관체 구조를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
도7은 도2의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의 일 실시예 연결구조를 보인 종단면도.
도8은 도5의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의 일 실시예 연결구조를 보인일부절결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10'. 단관 11. 접착제
12. 열수축성 튜브 12a. 연결용 열수축 소켓
13. 가열원 15. 충진대
17a, 17b. 보강대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관체의 일측단부 외주면상에 접착제가 개재된 상태로 관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열수축성 튜브를 반쯤 끼운 상태에서 그 끼워진 구간의 튜브 주위에 열을 가하여 튜브를 수축시킴에 의해 튜브의 내주면과 관체의 외면이 서로 밀착 접착되고 나머지 관체의 외부로 연장된 구간의 튜브는 원래의 상태로 유지되어 연결용 소켓을 구성하도록 한 구조를 통해서 달성된다.
본 발명의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결합되어질 수 있는 관체의 종류로는 합성수지, 금속 또는 합성수지를 포함한 복합체 재질의 지중 또는 지상에 설치되는 상, 하수관, 배수관, 오수관, 전선 보호관 등을 들 수 있으며, 그러한 관체의 외형적 형태로는 외주면이 평활한 직관(단일 벽체 또는 이중벽체)이나 굴곡된 외주면을 갖는 나선관 및 주름관 등을 들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의 연결시공시에는 연결대상 관체의 연결접합부 외주면상에 접착된 소켓 자체만으로도 연결부의 수밀성과 강도가 확보되어지긴 하나, 지중 매설관과 같이 특별히 연결부에서의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경우에 있어서는 소켓의 외측으로 통상의 체결밴드나 보강대 등을 부가함으로써 요구되는 바의 연결부 강도를 확보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기술적 구성 및 그에 따른 작용효과 등에 관한 자세한 사항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는 도면을 참조한 아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서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먼저, 도2의 (가) 내지 (라)는 직관의 일측 단부에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로서, 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의 연결용 소켓이 관체의 일측 단부에 형성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2의 (가) 및 (나)에서와 같이 일정 길이로 성형 제작된 단관(10)의 일측 단부 외주면상에 접착제(11)를 도포한 상태에서 그 위에 소정 길이로 재단된 원통형의 열수축성 튜브(12)를 끼워 넣는다.
이때, 상기 열수축성 튜브(12)는 단관(10)의 직경에 비해 큰 직경을 갖는 것으로서 가열을 통한 수축시 수축된 내주면이 단관(1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정도의 직경범위 이내이면 족하다 할 것이다.
한편, 단관(10)의 일측 외주면에 형성되는 접착제(11)는 도시된 바와 같이 띠나 밴드 상으로 도포하거나 전체면에 걸쳐 고르게 펼쳐서 도포되도록 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경우에 따라서는 열수축성 튜브(12)의 내주면상에 접착제를 도포하여도 무방하다.
접착제(11)가 도포된 단관(10)의 외주면상에 열수축성 튜브(12)를 끼움에 있어서는 도2의 (다)에서와 같이 열수축성 튜브(12)의 전체 길이중 대략 절반 정도가 단관(10)과 중첩되도록 하고 나머지 길이는 단관의 외측으로 벗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도2의 (라)에서와 같이 가열원(13)을 이용하여 단관(10)과 중첩된 부위의 열수축성 튜브(12)를 가열하게 되면 튜브의 수축작용에 의해서 튜브의 내주면이 접착제(11)가 개재된 상태로 단관(10)의 외주면상에 밀착 접합되어지게 된다. 가열원(13)을 이용한 열수축성 튜브(12)의 가열 시에는 튜브의 삽입 단부측으로부터 가열원을 외측으로 서서히 이동시킴에 의해서 튜브의 전체 영역에서 고르게 수축이 일어나도록 함으로써 수축된 튜브(12)와 단관(10) 사이의 접합부위에서 부분적으로 들뜨거나 함이 없이 전체 영역에서 확실한 밀착상태가 유지되도록 함과 아울러 수축된 튜브의 외면 상태도 평탄한 외주면을 갖도록 유의하여야 한다.
상기와 같은 열수축성 튜브(12)의 가열작업시에는 단관(10) 삽입부의 반대편 열수축성 튜브(12) 내부로 열수축성 튜브의 직경보다도 약간 적은 외경을 갖는 지지관(14)을 삽입하여 그 단부가 기 삽입상태에 있는 단관(10)의 단부와 접촉하도록 한 상태에서 가열원(13)을 통한 가열이 이루어지도록 함으로써 단관 삽입부 외측의 열수축성 튜브(12) 영역만에 국한하여 수축이 일어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열수축성 튜브(12)에 대한 가열작업의 결과로 본 발명의 일측 단부의 외주면상에 연결용 열수축 소켓(12a)이 일체로 접합된 단관이 얻어지게 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은 소정길이를 갖는 단관(10)의 적어도 일측 외주면상에 단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열수축성 튜브(12)의 일부구간이 외삽되어 열수축에 의해 단관 외주면상에 일체로 접합된 구조에 기술적 특징이 있다.
상기 도2에 도시된 실시예의 단관(10)은 각기 평탄한 내벽과 외벽의 이중벽으로 이루어진 이중 벽관의 구조를 취하고 있으나, 통상의 단일벽체로 이루어진 직관의 적어도 일측단부 상에 상기의 연결용 열수축 소켓(12a)을 형성하는 과정은 상기 도2에서와 동일하다.
다음, 도3의 (가) 내지 (다)는 파형관의 일측 단부에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형성되는 과정을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도2의 실시예에 비해 단관이 파형 단관(10')인 점과 접착제(11)가 열수축성 튜브(12)의 내주면에 도포된다는 점에서 차이를 보이고 있을 뿐으로 그 외의 연결용 열수축 소켓(12a) 형성과정은 도2에서 살펴본 것과 동일하다.
도3의 (다)에서와 같이, 열수축성 튜브(12)를 단관(10')의 일측 단부상에 중첩시킨 상태에서 가열원(13)으로 열수축성 튜브를 가열시켜 수축이 일어나도록 하게 되면, 열수축성 튜브는 파형 단관(10')의 파형 외주면을 따라 밀착 접착됨으로써 수축이 완료된 상태의 튜브 접착부 외주면 역시도 파형상을 띠게 된다.
한편, 도4는 도3의 연결용 열수축 소켓(12a)이 구비된 단관(10')을 이용하여 관체의 연결이 완료된 상태를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로서, 이와 같은 연결작업은 단순히 열수축 소켓(12a)의 연장된 확개부 내부로 연결대상 단관(10')을 밀어 넣어 양 단관의 단부가 서로 밀착된 상태가 되도록 한 후 미수축 상태의 열수축 소켓(12a) 외주면에 가열을 행하여 수축에 의한 열수축 소켓(12a)의 내주면과 연결대상 단관(10')의 외주면이 접착제(11)가 개재된 상태로 서로 밀착 접착되도록 함에 의해서 완료된다.
상기와 같은 연결작업시에는 열수축 소켓(12a)의 연장 확개부 내주면이나 연결대상 단관(10')의 연결부 외주면중 어느 일측에 미리 접착제를 도포하여 두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열수축 소켓(12a)의 수축에 의해서 서로 연결된 단관(10)의 연결부는 접착제(11)가 개재된 상태에서의 양 단관(10) 연결부 외주면과 열수축 소켓(12a)간의 밀착접착에 의해서 확실한 수밀성이 확보되어짐과 아울러 열수축 소켓(12a) 자체에 구비되어 있는 지지강도에 의해서 연결부에서의 강도가 유지되어 진다.
한편, 도3과 도4에서와 같이 파형상의 외주면을 갖는 파형 단관(10')의 단부측 외주면상에 열수축성 튜브(12)를 접착시킴에 있어서는 단관의 파형 외주면을 따라 열수축성 튜브가 완전하게 밀착되도록 가열하는 데는 어려움이 따를 수 있음에 따라 도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축성 튜브(12)가 접착되는 부위의 단관(10') 외주면을 평탄면으로 구성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5의 (가)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관(10')의 파형중 골 형상 단면과 일치하는 단면을 갖는 충진대(15)를 파형 외주면의 골 부위에 감아 붙여 메움으로써 평탄면이 되도록 한 후 (나)에서와 같이 접착 테이프(16)를 이용하여 충진대(15)의 시작부위와 끝부위를 가로질러 접착시킴으로써 충진대(15)가 단관(10')의 외주면상에서 고정되도록 한다.
이어서, 도5의 (다) 내지 (마)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열수축성 튜브(12)를 충진대(15)가 감아 붙여진 단관(10')의 단부측에 끼우고 가열원(13)으로 가열함에 의해서 본 발명에 따른 연결용 열수축 소켓(12a)이 단관의 일측 단부에 일체로 형성되어 진다.
다음, 도6의 (가),(나)는 도5의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의 소켓 형성부 내측에 보강대가 결합된 구조의 본 발명 실시예 관체 구조를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단관(10')은 연결용 열수축 소켓(12a) 결합부의 내주면 파형 요입부에 나선상(또는 스프링 형상)의 보강대(17a)(17b)가 삽입된 구조를 이루고 있다.
상기 보강대중 도6의 (가)에 나타나 있는 것은 원형 단면의 보강대(17a)이고, (나)에 나타나 있는 것은 파형 요입부의 단면과 일치하는 단면의 보강대(17b)로서, 이들 보강대(17a)(17b)는 열수축 소켓(12a)의 수축을 통한 단관(10')에의 접착을 위해 가열을 행할 때 가해지는 열에 의해서 단관(10')의 형태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해 주는 역할을 한다.
다시 말하면, 상기 보강대(17a)(17b)는 고강도의 경질 합성수지나 합성수지 복합체 등으로 제작되어진 것으로 단관(10')의 내부에 나사끼움식으로 내삽되어 단관(10')의 형태를 잡아주는 역할을 함으로써 열수축 소켓(12a)의 접합시 가해지는 열에 의해서 단관(10')이 연화되는 경우가 발생하더라도 단관은 보강대의 지지작용에 의해서 원래의 형태를 그대로 유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단관을 이용하여 관체의 연결시공을 하는 경우에는 연결대상 관체를 소켓 내부에 밀어 넣은 상태에서 열수축 소켓을 가열하여 열수축성 튜브로 이루어진 소켓이 관체의 외주면에 접착되도록 함에 의해서 충분한 수밀성과 연결부 강도를 확보할 수 있긴 하나, 연결시공후 연결부에 심한 하중이 작용하거나 부등침하가 발생되는 지중 매설관등의 경우에는 특별히 연결부에서 보다 높은 강도가 요구되는 바 이와 같은 경우에는 도7 및 도8에 도시된 방식으로 관체를 연결 시공하여 연결부 강도의 보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을 것이다.
도7은 도2의 연결용 열수축 소켓(12a)이 구비된 관의 일 실시예 연결구조를 보인 종단면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용 열수축 소켓(12a)의 내부로 패킹(18)이 개재된 상태로 연결대상 단관(10')을 밀어 넣어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가열을 행하여 열수축 소켓(12a)의 수축에 의한 관체 상호간의 연결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어서, 수축이 완료된 열수축 소켓(12a)의 양 단부 각각에 원형고리 형태의 지지판(19a)(19b)을 위치시켜 이들 지지판 사이를 다수개의 조임볼트(20)로 조임으로써 관체의 연결부에 대한 강도의 보강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상기 열수축 소켓(12a)의 양측 단부는 지지판(19a)(19b)에 대한 걸림턱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다음, 도8은 도5의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의 일 실시예 연결구조를 보인 일부절결 정면도로서, 연결단부측의 파형 요입부가 충진대(15)의 부착에 의해 평탄화된 파형 단관(10')이 연결용 열수축 소켓(12a)의 수축에 의해서 일차적으로 연결 접합되고, 그 위에 다시 도7에서와 같은 구조의 지지판(19a)(19b)과 조임볼트(20)를 통해서 연결부의 보강이 이루어진 구조를 취하고 있다.
상기 도7 및 도8의 관 연결구조에서는 특히 지중 매설관으로서 하중이 상대적으로 많이 작용되고 관연결부 주위에서 부등침하 현상이 발생될 때 연결부에서 놓은 강도를 유지함에 따라 연결부에서 관체의 손상이나 파손이 발생될 위험이 최소화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관체는 관체의 생산단계에서 관체의 적어도 일측에 열수축성 튜브로 이루어진 연결용 소켓이 일체로 성형 접착되어 출하되기 때문에 관체의 연결시공 현장에서는 단순히 상기 소켓 내부에 연결대상 관체를 삽입한 후 가열을 행하는 작업만으로 관체의 연결이 이루어짐에 기인하여 종래의 관 연결방식에 비해 작업성이 월등히 향상되고 또한 관 연결작업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관 연결작업에서 중시되는 연결부의 수밀성 및 강도면에 있어서도 관연결부의 관체 외주면과 연결용 열수축 소켓 간에 접착제가 개재된 상태에서 확실한 밀착접착이 이루어짐에 따라 확실한 수밀성이 확보되고, 연결부 주위에 감싸진 소정 두께의 연결용 열수축 소켓 자체가 보유한 지지강도에 의해서 연결부에서 요구되는 수준의 강도가 유지되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관체의 외주면 형태 및 구경에 상관없이 거의 모든 종류의 합성수지재 관체의 적용되어 유용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Claims (5)

  1. 관체의 적어도 일측단부 외주면상에 관체의 직경보다 큰 직경의 열수축성 튜브가 일부구간 중첩되게 끼워진 상태에서 중첩된 구간의 튜브 주위에 가해지는 열에 의한 튜브의 수축으로 튜브의 내주면과 관체의 외면이 접착제가 개재된 상태로 서로 밀착 접착되고 나머지 관체의 외부로 연장된 구간의 튜브는 원래의 상태로 유지되어 연결용 소켓을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외주면이 평활한 직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체는 파형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은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접착되는 부위의 파형 요입부내에 충진대가 채워져 평탄면을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파형관의 연결용 열수축 소켓 형성부측 내주면 파형 요입부에는 보강대가 삽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KR10-2000-0041459A 2000-07-19 2000-07-19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KR1003973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459A KR100397308B1 (ko) 2000-07-19 2000-07-19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1459A KR100397308B1 (ko) 2000-07-19 2000-07-19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07919A true KR20020007919A (ko) 2002-01-29
KR100397308B1 KR100397308B1 (ko) 2003-09-06

Family

ID=196788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1459A KR100397308B1 (ko) 2000-07-19 2000-07-19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9730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026B1 (ko) * 2016-02-19 2016-10-17 (주)새한기술그룹 항공등화기구 시공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WO2018159927A1 (ko) * 2017-02-28 2018-09-07 주식회사 퍼팩트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26728B1 (ko) 2010-03-30 2012-03-29 (주)강화이엔씨 수축수지제를 이용한 파상형 전선관 방수 커플링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40003806Y1 (ko) * 1992-02-18 1994-06-11 윤윤택 케이블의 이동방지용 관구플럭
KR960004551B1 (ko) * 1993-08-12 1996-04-09 이주형 합성수지 나선관의 연결구조 및 연결방법
JPH07223261A (ja) * 1993-12-17 1995-08-22 Akio Yokobayashi 硬質塩化ビニール樹脂管の熱収縮を利用した管継手と その部材及び簡易製造器具並びに組立て施工法
JPH10114912A (ja) * 1996-10-11 1998-05-06 Nippon Steel Corp 着色被覆ケーブルのソケット口元被覆構造とその施工法
KR100311687B1 (ko) * 1999-03-23 2001-11-02 용 택 김 지중매설용 합성수지관 및 그의 제조방법
KR200203747Y1 (ko) * 2000-05-10 2000-11-15 김학건 합성수지관 융착용 열수축관의 구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66026B1 (ko) * 2016-02-19 2016-10-17 (주)새한기술그룹 항공등화기구 시공 장치 및 이의 시공 방법
WO2018159927A1 (ko) * 2017-02-28 2018-09-07 주식회사 퍼팩트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97308B1 (ko) 2003-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50026630A (ko) 철근 이음구
KR102359426B1 (ko) 관 연결 장치
KR100397308B1 (ko)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US7083204B1 (en) Composite metal pipe coupling and assembly
US7108294B1 (en) Composite pipe assembly and components
MXPA02006670A (es) Dispositivo de empalme para dos tubos de material compuesto a base de materia termoplastica.
KR200362280Y1 (ko) 주름관 연결장치
KR102372761B1 (ko)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는 관 연결부품 및, 이를 이용한 관 연결방법
KR200157905Y1 (ko) 나선관 및 그 연결구조
KR100531977B1 (ko)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KR100234898B1 (ko) 연결수단이 구비된 합성수지 나선관
KR101785632B1 (ko) 연결단부의 파손과 관 이탈을 방지하여 수밀성을 향상한 보호소켓 일체형 상하수도관 세트
KR200365436Y1 (ko) 관연결 소켓
KR200295367Y1 (ko) 합성수지 이중벽관의 연결구조
KR20110007801U (ko) 흄관의 연결구조
KR102277149B1 (ko)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KR200365425Y1 (ko) 파이프 연결용 커플링
KR100518465B1 (ko) 도로 및 건축 공사용 배수로관 연결 조임 장치
KR200307239Y1 (ko) 도로 공사용 나선관의 체결 장치
JPH037839B2 (ko)
JPH0359311B2 (ko)
JPH0629591Y2 (ja) 樹脂管の分岐部
KR101907360B1 (ko) 배관 연결 방법
KR100533367B1 (ko) 열선매입 연결관이 구비된 합성수지관
KR200286164Y1 (ko)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이중벽 파이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19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26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91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826

Year of fee payment: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