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65436Y1 - 관연결 소켓 - Google Patents

관연결 소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65436Y1
KR200365436Y1 KR20-2004-0021467U KR20040021467U KR200365436Y1 KR 200365436 Y1 KR200365436 Y1 KR 200365436Y1 KR 20040021467 U KR20040021467 U KR 20040021467U KR 200365436 Y1 KR200365436 Y1 KR 20036543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
pipe
socket
groove
synthetic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4-002146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수영
김종령
윤철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현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현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현테크
Priority to KR20-2004-002146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6543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6543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65436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06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with sleeve or socket formed by or in the pipe en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47/00Connecting arrangements or other fittings specially adapted to be made of plastics or to be used with pipes made of plastics
    • F16L47/14Flanged joi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anged Joints, Insulating Joints, And Other Joint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관을 연결하는 소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몸체로 이루어진 소켓을 체결하는 동작에 의해 두 관을 밀착시켜 견고하고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소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상기 본 고안의 구성은, 연결되는 관의 연결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연결단부 및 플랜지의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와,
두 개의 몸체로 구성되며 각 몸체의 내주면에 상기 맞닿은 양측 플랜지 둘레에 씌워 서로를 결속하는 내향된 결속홈을 가지면서 양단에 대향된 몸체를 볼트로 체결하는 체결부를 갖는 연결소켓으로 구성하되,
상기 결속홈은 개구단부 쪽은 상기 맞닿은 두 플랜지의 두께보다 넓고 내측 단부쪽은 좁게 형성하여 양측 두 단부 사이에 조임면을 갖도록 하여 달성된다.
이러한 본 고안의 연결소켓은 두 개의 몸체로 되어 각 몸체의 내주면에 상기 플랜지 둘레에 씌워 서로를 결속하는 내향된 결속홈 및 상기 결속홈 내부에 경사진 조임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연결소켓을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의 양측 플랜지의 둘레에 씌우고 양측 몸체의 체결부를 볼트로 체결하여 조이게 되면 양측 몸체가 서로가 근접되면서 맞대어진 플랜지를 서로 밀착시키게 되므로 기밀하고 견고한 관 연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 또한 단순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관연결 소켓{a socket for connecting of pipe}
본 고안은 관을 연결하는 소켓에 관한 것으로 특히, 두몸체로 이루어진 소켓을 체결하는 동작에 의해 두 관을 밀착시켜 견고하고 긴밀하게 연결할 수 있도록 하는 소켓 구조에 관한 것이다.
지하에 매설되는 상수 또는 하수관 등 각종 관은 관이 매설되는 위치로 터파기를 실시한 후 여러 개의 관들을 순차적으로 연결하고 매립하여 완성한다.
종래에는 상수관을 주로 주철로 사용하고 하수관은 콘크리트관으로 사용하고 있는데, 주철관은 지중에 존재하는 부식을 촉진시키는 각종 요인들 예를 들면 수분, 폐수 또는 그 외의 화학물질들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쉽게 부식되는 단점이 있고, 또 하수관으로 이용되는 콘크리트관은 관과 관의 연결상태가 불량하여 누수로 인한 지하수 오염 등의 문제가 있었다. 특히 이러한 두 재질로 이루어진 관들은 중량이 많이 나가는 관계로 설치 및 유지관리가 난해한 단점이 있었다. 그래서 요즘은 주로 합성수지재관을 사용하며, 특히 하수관과 같은 경우에는 거의 합성수지재관을 사용한다.
합성수지재관은 상수 및 하수관의 제조는 압출성형이 어려워 작은 관형태로 압출되는 관을 나선형태로 감으면서 접착하여 대구경의 관을 성형하게 되는데, 작은 관이 벽을 이루기 때문에 내부가 비어있는 꼴이 되어 이중벽관이라고 칭하기도 한다.
이러한 수지관은 가볍고 설치가 용이한 장점은 있으나 온도와 같은 주변의 여건에 따라 길이가 신장되거나 수축되는 등 쉽게 변형되는 특징이 있어 특히 연결시에는 연결부의 견고한 결합이 중요한 관건이다.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데는 융착에 의한 것과 플랜지를 이용하여 볼트체결로 연결하는 방법이 있는데, 융착에 의한 연결은 현장시공성 및 작업성이 떨어져 잘 사용되지 않고 주로 플랜지 결합을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플랜지결합은 연결되는 양측 관의 연결부에 형성된 플랜지를 일치시키고 볼트구멍을 일치시켜 볼트를 체결해야 하는데, 그 작업이 쉽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즉, 연결되는 관의 일측을 연결되어지는 관의 연결부와 일치시키기 위해 연결되는 관을 들어올려 센터를 맞추고 서로를 근접시키면서 플랜지에 형성된 볼트구멍을 일치시켜 볼트체결을 실시한다. 하지만 관을 들어 올릴 때 관의 둘레에 와이어를 감은 후 그 와이어의 양단을 포크레인과 같은 리프트 장비에 메달아 들어올리게 되므로 연결관 서로간의 센터를 일치시키는 작업은 쉽게 할 수 있으나, 와이어로 메달린 상태에서 플랜지의 볼트구멍을 일치시키는 작업은 와이어가 관의 둘레를 조르고 있는 상태와 같기 때문에 너무나 어려운 일이라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합성수지관을 연결하는데 많은 시간이 걸리게 됨에 따라 작업성이 떨어지고 공기가 연장되는 등의 폐단이 있었다.
또한 플랜지를 이용하여 관을 연결하더라도 기밀성을 유지해야 하는데, 플랜지와 플랜지 사이에 패킹을 개재하더라도 체결력의 불균일에 의해 밀폐 불량의 문제점이 있을 수 있으므로 볼트의 체결을 신중하게 실시해야 하는 단점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그 목적은, 관의 연결작업을 단순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것과 아울러 완벽한 밀폐 및 견고한 연결상태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관연결 소켓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은, 연결되는 관의 연결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연결단부 및 플랜지의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와,
두 개의 몸체로 구성되며 각 몸체의 내주면에 상기 맞닿은 양측 플랜지 둘레에 씌워 서로를 결속하는 결속홈을 가지면서 양단에 대향된 몸체를 볼트로 체결하는 체결부를 갖는 소켓으로 구성하되, 상기 결속홈은 개구단부 쪽은 상기 맞닿은 두 플랜지의 두께보다 넓고 내측 단부쪽은 좁게 형성하여 양측 두 단부 사이에 조임면을 이루도록 하여 달성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연결 소켓의 구조를 나타낸 분리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연결 소켓에 의해 관을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연결 소켓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와 패킹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와 패킹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와 패킹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와 패킹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8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와 패킹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일부 단면도.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트의 구성을 나타낸 개략도.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 소켓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a, 10b - 합성수지관 12a, 12b - 플랜지
13a, 13b - 링홈 14a, 14b - 패킹링
15 - 패킹부재 20 - 연결소켓
22a, 22b - 몸체 24a-1, 24a-2, 24b-1, 24b-2 - 체결부
25a-1, 25a-2, 25b-1, 25b-2 - 볼트구멍
26 - 볼트 27 - 너트
28 - 결속홈 29 - 조임면
32a-1, 32a-2, 32b-1, 32b-2 - 몸체
33a, 33b - 관절부
이하, 본 고안의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연결 소켓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연결 소켓에 의해 관을 연결한 상태의 단면도이면,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관연결 소켓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상기 도면들에 도시된 바에 의하면, 합성수지관(10a,10b)을 연결하기 위해 연결되는 양측 합성수지관(10a,10b)의 연결단부에 플랜지(12a,12b)가 융착에 의해 또는 성형 등의 방법에 의해 설치되고, 두 합성수지관(10a,10b)의 사이에는 상기 합성수지관(10a,10b)의 연결단부 및 플랜지(12a,12b)의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15)가 개재된다. 또 상기 양측 플랜지(12a,12b) 대향면에 링홈(13a,13b)을 형성하여 이에 패킹링(14a,14b)이 개재된다.
그리고 맞닿아진 양측 플랜지(12a,12b)의 둘레에는 연결소켓(20)이 결합되어 양측 합성수지관(10a,10b)을 견고하고 긴밀하게 연결한다. 이때 상기 연결소켓(20)은 두 개의 반원형 몸체(22a,22b)로 형성하고, 각 몸체(22a,22b)의 양 단부에 서로를 체결하기 위한 체결부(24a-1,24a-2,24b-1,24b-2) 즉, 양단을 외측으로 절곡하여 이에 볼트구멍(25a-1,25a-2,25b-1,25b-2)을 형성한 구조의 체결부(24a-1,24a-2,24b-1,24b-2)를 갖고, 각 몸체(22a,22b)의 체결부(24a-1,24a-2,24b-1,24b-2)가 맞닿도록 한 후 서로를 볼트(26) 및 너트(27)로 체결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각 몸체(22a,22b)의 내주면에는 상기 맞닿은 양측 플랜지(12a,12b) 둘레에 씌워 서로를 결속하는 내향된 결속홈(28)을 구성한다. 이 결속홈(28)은 개구단부 쪽은 상기 맞닿은 두 플랜지(12a,12b)의 두께보다 넓고 내측 단부쪽은 좁게 형성하여 양측 두 단부 사이에 조임면(29)을 갖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연결소켓(20)을 이용하여 단부에 플랜지(12a,12b)를 갖는 양측 합성수지관(10a,10b)을 연결하고자 할 때에는 양측 플랜지(12a,12b)를 맞댄 다음 그 둘레에 두 몸체(22a,22b)의 연결소켓(20)을 서로 대향되게 씌운다. 그리고 양측 체결부(24a-1,24a-2,24b-1,24b-2)에 볼트(26)를 체결하여 조이게 되면 볼트(26)의 체결방향으로 두 연결소켓(20)은 상호 간격이 가까워진다. 이때 연결소켓(20)의 결속홈(28)내에 위치한 양측 플랜지(12a,12b)의 단부는 조임면(29)에 맞닿아져 있어 지속적으로 연결소켓(20)의 양측 몸체(22a,22b)가 근접되게 되면 그 조임면(29)이 양측 플랜지(12a,12b)를 쐐기박음식으로 조이게 되고, 양측 플랜지(12a,12b)는 조임면(29)의 경사면에 의해 밀착되어 패킹부재(15) 및 패킹링(14a,14b)을 압착시키면서 밀착되게 된다. 즉, 연결소켓(20)의 양측 체결부(24a-1,24a-2,24b-1,24b-2)의 볼트(26) 및 너트(27)의 조임작업에 의해 양측합성수지관(10a,10b)체는 자동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어 연결되며, 또 그 밀착된 연결상태를 지속적으로 유지하게 된다. 부가적으로 상기 조임면(29)에 밀착된 양측 플랜지(12a,12b)단부의 면을 조임면(29)의 경사방향으로 약간의 경사를 이루도록 하면 연결소켓(20)의 조임시 조임면(29)에 의한 양측 플랜지(12a,12b)의 밀착 이동이 좀더 부드럽고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도 4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와 패킹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연결소켓(20)의 양측 체결부를 볼트 및 너트의 조임작업에 의해 양측 합성수지관(110,120)들이 자동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되,
양측 합성수지관(110,120)의 플랜지(111,121)에는 각각 "V"형 홈(112)과 "V"형 돌기(122)를 형성하고,
상기의 "V"형 홈(112)과 "V"형 돌기(122)의 접촉면에 패킹(130)을 위치시킨 후 연결소켓(20)을 조이면서 밀착되도록 하면 패킹(130)에 의해 긴밀한 밀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와 패킹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연결소켓(20)의 양측 체결부를 볼트 및 너트의 조임작업에 의해 양측 합성수지관(110,120)들이 자동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되,
양측 합성수지관(110,120)의 플랜지(113,123)에는 하나씩의 링홈(114)(124)을 형성하고,
상기 하나의 링홈(114)(124)에 하나의 돌출부(132)가 끼워지는 패킹(131)의 연장부(133)를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함으로써 연결소켓(20)을 조이면서 밀착되도록 하면 패킹(131)의 돌출부(132)와 연장부(133)에서 긴밀한 밀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와 패킹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연결소켓(20)의 양측 체결부를 볼트 및 너트의 조임작업에 의해 양측 합성수지관(110,120)들이 자동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되,
양측 합성수지관(110,120)의 플랜지(115,125)에는 다수의 링홈(116,116)(127)(127)을 형성하고,
상기의 링홈(116,116)(127)(127)에 다수의 돌출부(135)(136)가 끼워지는 패킹(134)의 연장부(137)를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함으로써 연결소켓(20)을 조이면서 밀착되도록 하면 패킹(134)의 돌출부(135)(136)와 연장부(137)에서 긴밀한 밀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와 패킹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양측 체결부를 볼트 및 너트의 조임작업에 의해 양측 합성수지관(140,150)들이 자동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되,
양측 합성수지관(140,150)의 플랜지(141,151)에는 "V"형 홈(142)과 "V"형 돌기(152)를 형성하고,
상기의 "V"형 홈(142)과 "V"형 돌기(152)의 접촉면에 패킹(160)을 위치시킨 후 플랜지(141,151)를 볼트(171)와 너트(172)로 조이면서 밀착되도록 하면 패킹(160)에 의해 긴밀한 밀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플랜지와 패킹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양측 체결부를 볼트 및 너트의 조임작업에 의해 양측 합성수지관(140,150)들이 자동적으로 긴밀하게 밀착되도록 하되,
양측 합성수지관(140,150)의 플랜지(143,153)에는 "V"형 홈(144)과 "V"형 돌기(154)를 형성하고,
상기의 "V"형 홈(144)과 "V"형 돌기(154)의 접촉면에 패킹(161)을 위치시킨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143,153)의 외면에 링형 패킹(162)을 절곡부(174)가 일체인 볼트(173)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면서 너트(175)로 조이면서 밀착되도록 하면 패킹(161)(162)에 의해 긴밀한 밀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볼트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볼트(181)의 나사선(180)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를 절곡지게 형성한 고정부(182)에 의해 걸림부(191)와 지지부(192)(193)를 다수 형성한 지지편(190)에 의해 면접합이 이루어져 안정되고 긴밀한 밀폐가 가능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연결 소켓의 구조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상기 연결소켓(20)을 이루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두 몸체(22a,22b)의중앙부를 절단하여 그 절단부를 힌지결합함으로써 절첩가능한 관절부(33a,33b)를 갖도록 한 것이다. 결국 네개의 몸체(32a-1,32a-2,32b-1,32b-2)로 구성하였다.
이러한 구조는 각 몸체(32a-1,32a-2,32b-1,32b-2)의 체결부(24a-1,24a-2,24b-1,24b-2)를 체결하여 볼트(26) 및 너트(27) 조임에 의해 양측 합성수지관(10a,10b)의 플랜지(12a,12b)를 상호 조이게되면, 양측 몸체(32a-1,32a-2,32b-1,32b-2)는 서로 체결되는 방향으로 근접되게 이동하게 됨과 동시에 각 몸체(32a-1,32a-2)(32b-1,32b-2)의 양측이 관절부(33a,33b)를 기준으로 합성수지관(10a,10b)의 중앙부를 향하여 회전하려는 힘이 동시에 발생된다.
따라서 연결소켓(20) 내부의 조임면(29)이 양측 플랜지(12a,12b) 둘레를 고른 분포로 조이게 되므로 밀착효과를 더욱더 향상시킬 수가 있게 된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연결소켓은 두 개의 몸체로 되어 각 몸체의 내주면에 상기 플랜지 둘레에 씌워 서로를 결속하는 내향된 결속홈 및 상기 결속홈 내부에 경사진 조임면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이를 연결되는 합성수지관의 양측 플랜지의 둘레에 씌우고 양측 몸체의 체결부를 볼트로 체결하여 조이게 되면 양측 몸체가 서로가 근접되면서 맞대어진 플랜지를 서로 밀착시키게 되어 있으므로 기밀하고 견고한 관연결작업을 실시할 수 있음과 아울러 상기 합성수지관의 연결작업 또한 단순하고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Claims (9)

  1. 연결되는 관의 연결단부에 설치되는 플랜지와,
    상기 연결단부 및 플랜지의 사이에 개재되는 패킹부재와,
    두 개의 몸체로 구성되며 각 몸체의 내주면에 상기 맞닿은 양측 플랜지 둘레에 씌워 서로를 결속하는 내향된 결속홈을 가지면서 양단에 대향된 몸체를 볼트로 체결하는 체결부를 갖는 연결소켓으로 구성하되,
    상기 결속홈은 개구단부 쪽은 상기 맞닿은 두 플랜지의 두께보다 넓고 내측 단부쪽은 좁게 형성하여 양측 두 단부 사이에 조임면을 갖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 소켓.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양측 플랜지 대향면에 링홈을 형성하여 이에 패킹링이 개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 소켓.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에는 각각 "V"형 홈과 "V"형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의 "V"형 홈과 "V"형 돌기의 접촉면에 패킹을 위치시킨 후 연결소켓을 조이면서 밀착되도록 한 관연결 소켓.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에는 하나씩의 링홈을 형성하고,
    상기 하나의 링홈에 하나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패킹의 연장부를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한 관연결 소켓.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에는 다수의 링홈을 형성하고,
    상기의 링홈에 다수의 돌출부가 끼워지는 패킹의 연장부를 직각으로 절곡되게 형성한 관연결 소켓.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에는 "V"형 홈과 "V"형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의 "V"형 홈과 "V"형 돌기의 접촉면에 패킹을 위치시킨 후 플랜지를 볼트와 너트로 조이도록 한 관연결 소켓.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합성수지관의 플랜지에는 "V"형 홈과 "V"형 돌기를 형성하고,
    상기의 "V"형 홈과 "V"형 돌기의 접촉면에 패킹을 위치시키고,
    상기 플랜지의 외면에 링형 패킹을 절곡부가 일체인 볼트에 의해 지지되도록 하면서 너트로 조이도록 한 관연결 소켓.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볼트의 나사선이 형성되지 않은 부위를 절곡지게 형성한 고정부에 의해 걸림부와 지지부를 형성한 지지편 의해 면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한 관연결 소켓.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소켓을 이루는 두 몸체는 두 중앙부를 절단하여 힌지결합하여 절첩가능한 관절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관연결 소켓.
KR20-2004-0021467U 2004-07-27 2004-07-27 관연결 소켓 KR20036543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467U KR200365436Y1 (ko) 2004-07-27 2004-07-27 관연결 소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4-0021467U KR200365436Y1 (ko) 2004-07-27 2004-07-27 관연결 소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65436Y1 true KR200365436Y1 (ko) 2004-10-26

Family

ID=494395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4-0021467U KR200365436Y1 (ko) 2004-07-27 2004-07-27 관연결 소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65436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95B1 (ko) * 2009-03-06 2009-10-21 주식회사 대영통신 하수도 분기관 연결구조
KR101023940B1 (ko) * 2010-10-14 2011-03-28 정규호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2469048B1 (ko) * 2021-09-23 2022-11-23 주식회사 경림엔지니어링 관리보수가 용이한 상하수관 연결구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22595B1 (ko) * 2009-03-06 2009-10-21 주식회사 대영통신 하수도 분기관 연결구조
KR101023940B1 (ko) * 2010-10-14 2011-03-28 정규호 합성수지관 연결 장치
KR102469048B1 (ko) * 2021-09-23 2022-11-23 주식회사 경림엔지니어링 관리보수가 용이한 상하수관 연결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365436Y1 (ko) 관연결 소켓
JP2009057714A (ja) マンホールと下水道本管との接続構造
CA2322919C (en) Stab joint coupling
KR200277297Y1 (ko) 관 연결장치
KR100522195B1 (ko) 파형강관 연결장치
JP2000154894A (ja) 伸縮管継手
KR101458394B1 (ko) 나선관용 연결장치
KR200402713Y1 (ko) 맨홀용 지수단관의 연결구조
KR100921992B1 (ko) 플랜지용 접이형 하수관
KR20140125947A (ko) 파형강관의 접철식 결합구조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100531977B1 (ko) 플랜지에 의해 결합되는 3중벽 하수관
JPH0139984Y2 (ko)
KR100751807B1 (ko) 플랜지를 가진 범용 관의 접속장치
KR102277149B1 (ko) 회전 가능한 플랜지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의 연결구 및 이를 구비한 이중 파형강관
JPH0514071Y2 (ko)
JPS5911150Y2 (ja) 手摺の笠木における接続部構造
KR200496826Y1 (ko) 원형 파형관용 관로구 연결장치
KR20020007919A (ko) 연결용 열수축 소켓이 구비된 관
KR100540211B1 (ko) 요철관을 이용한 연결용 이중벽 하수관
KR100318009B1 (ko) 배관용 연결 소켓링
JPH0514072Y2 (ko)
KR200379822Y1 (ko) 패킹을 이용한 콜게이트관 연결 구조
JP2510327Y2 (ja) 仮設簡易配管用金属管
KR200286164Y1 (ko) 몸체부의 외경과 평행한 소켓부를 갖는 이중벽 파이프
JPH0238153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25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