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47148Y1 - 자동차용 팔받침대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팔받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47148Y1
KR200147148Y1 KR2019950016157U KR19950016157U KR200147148Y1 KR 200147148 Y1 KR200147148 Y1 KR 200147148Y1 KR 2019950016157 U KR2019950016157 U KR 2019950016157U KR 19950016157 U KR19950016157 U KR 19950016157U KR 200147148 Y1 KR200147148 Y1 KR 200147148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cking
rotating member
armrest
rotating
tee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5001615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5011U (ko
Inventor
양현남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5001615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47148Y1/ko
Publication of KR97000501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501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471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47148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63Arm-rests adjustable
    • B60N2/77Height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75Arm-rests
    • B60N2/753Arm-rests movable to an inoperative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팔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특히 스프링 탄성을 받으면서 회전 가능한 한쌍의 회전부재가 구비된 작동부재를 작동봉의 조작을 통해 브라켓 내에서 상 하로 이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팔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탑승자에게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팔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팔받침대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팔받침대의 분해사시도.
제2도 (a), (b)는 본 고안에 따른 팔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a)는 걸림부재의 가압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b)는 팔받침대의 사용상태를 나타내는 정면도.
제3도는 종래의 팔받침대의 설치위치를 나타내는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걸림부재 12, 36a, 36b : 걸림턱
14 : 작동봉 14a : 누름부
16 : 힌지핀 18, 24a, 24b, 24c : 톱니
20 : 고정원반 22 : 고정부재
26a, 26b, 26c : 스프링 30a, 30b : 제1, 제2 회전부재
32 : 안착부 34 : 홈부
38, 42a, 42b, 56 : 돌기 40 : 작동부재
50 : 브라켓 52 : 공간부
54 : 걸림홈 60 : 등받이
62 : 팔받침대홈 100 : 팔받침대
본 고안은 자동차용 팔받침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스프링 탄성을 받으면서 회전 가능한 한쌍의 회전부재가 구비된 작동부재를 작동봉의 조작을 통해 브라켓 내에서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팔받침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되어 탑승자에게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해 줄 수 있는 높이조절이 가능한 자동차용 팔받침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종래의 팔받침대(100)는, 첨부도면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등받이(60)의 저면 중앙에는 고정부재(22)와 일체로 고정된 고정원반(20)이 설치되고, 팔받침대(100) 내부에는 이와 대응하는 걸림부재(10)가 힌지핀(16)으로 고정되어 이것들(20), (10)이 서로 결착됨에 따라 접철 가능한 구조를 갖도록 되어 있었다.
특히, 상기 걸림부재(10)는 스프링(26a)의 탄성을 받으며 작동봉(14)에 의해 강제 회전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저부에는 톱니(18)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고정원반(20)의 테두리부에도 한쌍의 톱니(24a), (24b)가 일정한 거리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걸림부재(10)의 톱니(18)와 고정원반(20)의 톱니(24a), (24b)가 서로 맞물리게 되므로서, 걸림부재(10) 를 포함하는 팔받침대(100) 전체의 자세 예컨대, 수평 및 수직자세유지가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종래의 팔받침대(100)를 사용하기 위하여, 등받이(60)의 팔받침대홈(62) 내에 수납되어 있는 팔받침대(100)의 누름부(14a)를 누르게 되면, 작동봉(14)은 힌지핀(16)으로 고정된 걸림부재(10)을 가압하게 되고, 이에 따라 걸림부재(10)의 회전과 동시에 그 일측에 형성된 톱니(18)는 고정원반(20)의 상부에 형성된 톱니(24b)로부터 이탈된다.
이와 같이 고정원반(20)의 톱니(24b)로부터 이탈된 걸림부재(10)는 고정원반(20)의 테두리부를 따라 회전 가능하게 되어, 이와 일체로 고정된 팔받침대(100)도 동시에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팔받침대(100)를 앞쪽으로 회전시키고 계속해서 누름부(14a)에 작용되는 외력을 제거하게 되면, 걸림부재(10)와 작동봉(14)에 각각 일측씩 고정된 스프링(26a)의 복원력으로 걸림부재(10)는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되고, 걸림부재(10)의 일측에 형성된 톱니(18)는 고정원반(20)의 테두리부에 밀착되어 회전된다.
이렇게 팔받침대(100)와 함께 회전되는 걸림부재(10)는 이 걸림부재(10)의 저부에 형성된 톱니(18)와 고정원반(20)의 저부에 형성된 톱니(24a)가 서로 맞물리게 되면서 더 이상 회전되지 않게 되고, 따라서, 걸림부재(10)와 일체로 고정된 팔받침대(100)도 사용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팔받침대는 회전중심이 되는 고정원반이 등받이에 고정되어 있어서, 이용자가 원하는 높이로 팔받침대를 조절할 수 없는 결점을 갖고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걸림턱이 형성되어 있으며 스프링의 탄성지지를 받는 한쌍의 회전부재와 고정원반을 팔받침대와 일체로 된 작동부재에 설치하고, 상기 작동부재를 상하로 이동될 수 있게 함으로써, 팔받침대의 높이를 사용자의 체형에 맞도록 조절 가능하게 한 자동차용 팔받침대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에 따른 팔받침대의 특징은, 상단부의 걸림턱(12)과 하단부의 톱니(18)를 가지면서 힌지핀(16)으로 고정되어 그 중심부에 연결되는 작동봉(14)을 통해 강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되, 상단부 일측에 연결되는 스프링(26a)에 의한 탄성을 받으면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 걸림부재(10)와, 상기 걸림부재(10)의 톱니(18)와 맞물릴 수 있도록 테두리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3개의 톱니(24a), (24b), (24c)를 갖는 고정원반(20)과, 상기 걸림부재(10)의 걸림턱(12)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32)와 회전중심이 되는 홈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 일측이 수평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턱(36a)을 포함하는 제1회전부재(30a) 및 상기 걸림턱(36a)과 대향되는 걸림턱(36b)을 갖는 동시에 상기 홈부(34)에 삽입 위치되는 끼움돌기(38)를 이용하여 상기 제1회전부재(30a)와 중첩 결합되면서 이것(30a)과 상대적으로 비례 회전운동이 가능한 제2회전부재(30b)와, 상기 제2회전부재(30b) 및 고정원반(20)을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돌기(42b) 및 고정돌기(40a)가 구비되어 있고, 이것들(30b), (20)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단차면을 가지면서 상하 유동 가능한 작동부재(40)와, 내면의 양측에 상기 한쌍의 걸림턱(36a), (36b)이 동시에 탈착될 수 있도록 된 소정의 걸림홈(54)을 포함하면서 상기 작동부재(40)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는 공간부(52)와 상측에 스프링 고정돌기(56)를 가지는 브라켓(50)과, 상기 고정원반(20)과 제1회전부재(30a), 제2회전부재(30b)와 브라켓(50)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이 두요소(30a), (30b)를 각각 탄성지지하는 스프링(26b), (26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제1, 제2회전부재(30a), (30b)의 각 걸림턱(36a), (36b)은 동일한 높이 수준으로 유지되어 있고, 상기 제1회전부재(30a)의 홈부(34)는 제2회전부재(30b)의 회전궤적이 갖는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장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브라켓(50)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54)은 양편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2개씩 조합되는 동시에 이러한 조합은 브라켓 상하 길이방향에 걸쳐서 균등간격으로 적어도 3개 이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및 제2회전부재(30a), (30b)는 스프링(26b), (26c)에 의해 서로 반대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구성에 대하여 상세하게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1도는 본 고안에 따른 팔받침대의 높이조절 가능한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팔받침대(100)의 후단 내부에는 작동봉(14)에 의해 강제 회전될 수 있도록 스프링탄성을 받는 걸림부재(10)가 힌지핀(16)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걸림부재(10)에는 힌지핀(16)을 중심으로 상측의 일부가 이 걸림부재(10)의 회전방향에 대해 수직방향으로 돌출되는 걸림턱(12)의 형성되어 있고, 이것(12)이 후술하는 제1회전부재(30a)의 안착부(32)를 가압하여 이 제1회전부재(30a)를 회전 가능하게 해준다. 또한, 하측에는 톱니(18)가 형성되어 팔받침대(100)가 회전됨에 따라 고정 원반(20)의 테두리부에 형성된 3개의 톱니(24a), (24b), (24c) 중에서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게 된다.
즉, 작동봉(14)을 포함하는 걸림부재(10)는 팔받침대(100)에 내장되어 있으며, 팔받침대(100)를 사용하기 전에는 걸림부재(10)의 톱니(18)는 고정원반(20)의 중간톱니(24b)와 맞물리게 되어 수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팔받침대(100)를 사용 가능한 상태로 만들기 위해 회전가능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누름부(14a)를 눌러 서로 맞물려진 2개의 톱니(18), (24b)를 해제시키고, 팔받침대(100)을 앞쪽으로 회전시켜 걸림부재(10)의 톱니 (18)가 고정원반(20)의 가장 아래쪽에 위치한 톱니(24a)와 맞물리게 하므로서, 팔받침대를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걸림부재(10)와 작동봉(14)의 일측에는 스프링(26a)의 양끝이 연결 설치되어 있어서, 작동봉(14)의 강제 회전에 따른 걸림부재(10)의 회전복원력을 얻을 수 있다.
이와같이, 걸림부재(10)가 내장된 팔받침대(100)는 고정원반(20)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고정원반(20)의 테두리부에는 상기 걸림부재(10)의 톱니(18)와 선택적으로 맞물릴 수 있도록 3개의 톱니(24a), (24b), (24c)가 형성되어 있으며, 이러한 고정원반(20)은 후술하는 작동부재(40)의 고정돌기(42a)에 고정되어 있어서, 이 작동부재(40)와 함께 팔받침대(100)의 높이조절에 따른 상하 이동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한편, 상기 걸림부재(10)와 고정원반(20)의 윗쪽으로는 팔받침대(100)가 높낮이를 조절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걸림기능을 갖는 한쌍의 회전부재(30a), (30b)가 구성되어 있다. 여기서 30a는 제1회전부재, 30b는 제2회전부재이다.
상기 제1회전부재(30a)에는 일측 상부에 안착부(32)가 형성되어 있어서, 상술한 바 있는 걸림부재(10)의 걸림턱(12)이 이곳을 압박함에 따라 이때의 제1회전부재(30a)는 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되며, 중앙에는 그 두께를 관통하면서 소정의 길이를 가지는 홈부(34)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상기 홈부(34)는 후술하는 제2회전부재(30b)의 회전궤적과 동일한 곡률을 가지면서 상하방향에 걸쳐 길게 절개된 장공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여기에 제2회전부재(30b)의 회전돌기(427)가 끼워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회전부재(30a)는 이 회전돌기(42b)를 회전중심으로 하여 회전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제1회전부재(30a)의 하단부에는 바깥쪽으로 더욱 수평 연장된 걸림턱 (36a)이 형성되어 있다. 이때의 걸림턱(36a)은 이 제1회전부재(30a)와 중첩 결합되는 제2회전부재(30b)의 걸림턱(36b)과 동일한 높이 수준을 가지면서 이것(36b)과 짝을 이루어 후술하는 브라켓(50)의 양편 측벽에 각각 형성된 걸림홈(54)에 끼워지게 되므로서, 후술하는 작동부재(40)를 포함하는 팔받침대 전체의 상하 이동을 제한하게 된다.
또한, 상기 고정원반(20)과 제1회전부재(30a) 사이에는 스프링(26b)의 양측이 각각 고정되어 있다. 이 스프링(26b)은 걸림부재(10)의 가압에 의해 회전되는 제1회전 부재(30a)를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게 하는 복원력을 제공하게 된다. 상기 제2회전부재(30b)에는 저부에 걸림턱(36b)이 연장 형성되어 있되, 이 걸림턱 (36b)은 상기 제1회전부재(30a)의 걸림턱(36a)과 상호 대향되는 방향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부에 끼움돌기(38)가 돌출 형성되어 있어서, 여기에 제1회전부재(30a)가 홈부(34)를 이용하여 삽입 결합되어 이곳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제2회전부재(30b)는 상기 끼움돌기(38)의 일측에 형성된 구멍을 통하여 작동부재(40) 상에서 자유롭게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 된다.
특히, 상기한 한쌍의 회전부재(30a), (30b)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즉, 한쌍의 회전부재(30a), (30b)는 작동부재(40)의 전면에 차례로 적층 결합되고, 이렇게 결합되는 제2회전부재(30b)는 작동부재(40)의 회전돌기(42b)를 중심으로, 제1회전부재(30a)는 제2회전부재(30b)의 끼움돌기(38)를 중심으로 각각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작동부재(40)의 전면에는 윗쪽의 회전돌기(42b)와 아래쪽의 고정돌기(42a)가 각각 갖추어져 있으며, 이때의 고정돌기(42a)에는 고정원반(20)이 끼워져 지지 된다.
여기서, 상기 작동부재(40)의 전면부는 단차진 구조를 갖게 되고, 이는 제1 및 제2회전부재(30a), (30b)의 작동범위와 고정원반(20)의 작동범위가 각각 확보되게 하여 서로간의 작동간섭을 받지 않게 해준다.
이와 같이 각각의 돌기(42a, 42b)에 고정원반(20)과 제1 및 제2회전부재(30a), (30b)가 고정 설치되고, 이렇게 일체형으로 조합된 상태에서의 작동부재(40)는 후술하는 브라켓(50)의 공간부(52) 내에서 슬라이드 결합된다.
상기 브라켓(50)은 수직으로 세워진 상태로 등받이(60)에 고정 설치되며, 그 안쪽은 공간부(52)로 이루어져 있고 양측벽에는 다수의 걸림홈(54)을 가지고 있다. 이때의 걸림흠(54)은 측벽을 따라가면서 균등간격으로 형성되며 양측벽의 각각의 걸림홈(54)들은 서로 마주보도록 일대일 대칭구조를 이루게 된다. 또한, 브라켓(50)의 상부에는 고정돌기(56)가 형성되어 스프링(26c)의 일단이 걸릴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기 스프링(26c)은 제2회전부재(30b)의 상단부와 브라켓(50)의 고정돌기 (56)에 각각 일측씩 고정되면서, 상기 고정원반(20) 및 한쌍의 회전부재(30a), (30b)를 갖는 작동부재(40) 전체가 브라켓(50)의 상부로 이동될 수 있도록 복원력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동과정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2도 (a)는 본 고안에 따른 팔받침대의 미사용상태 즉, 등받이(60)의 팔받침대홈(62) 내부에 수납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 높이조절에 따른 걸림부재 (10)의 가압상태를 나타낸다.
이상태에서 팔받침대(100)의 높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먼저, 작동봉(14)과 연결된 누름부(14a)를 누름조작하여 걸림부재(10)의 톱니(18)와 고정원반(20)의 중앙톱니(24b)간의 맞물림을 해제시키며 팔받침대(100)를 등받이(60)의 뒷쪽방향으로 회전시킨다.
한편, 상기와 같은 작동과정이 이루어지기 전에 각 회전부재(30a), (30b)의 걸림턱(36a), (36b)은 브라켓(50)의 공간부(52) 내면에 형성된 걸림홈(54)에 끼워져 있게 됨에 따라 작동부재(40)는 브라켓(50) 내의 적정높이에서 고정되어 있게 되고, 걸림부재(10)와 작동봉(14)에 일측씩 고정된 스프링(26a)은 탄성력을 저장하고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중앙톱니(24b)로부터 맞물림이 해제된 걸림부재(10)는 팔받침대(100)가 점차 뒷쪽으로 젖혀지게 됨에 따라 고정원반(20)의 테두리부를 따라 움직이게 되며 동시에, 걸림부재(10)의 걸림턱(12)은 제1회전부재(30a)의 안착부(32)를 가압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가압되는 제1회전부재(30a)는 홈부(34)에 끼워진 회전돌기(38)를 중심으로 걸림부재(10)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와 동시에 이 제1회전부재(30a)의 걸림턱(36a)은 브라켓(50)의 걸림홈(54)으로부터 이탈되기 시작한다.
한편, 상기 홈부(34)에 끼워져 있는 회전돌기(38)는 제1회전부재(30a)의 회전량에 비례하여 상대적으로 홈부(34)를 따라 하향 슬라이드 접동되게 되므로서, 이때의 제2회전부재(30b)도 회전돌기(42b)를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회전부재(30b)는 상기 제1회전부재(30a)와 반대방향으로 회전 되고, 이 제2회전부재(30b)의 저부에 형성된 걸림턱(36b)도 걸림홈(54)로부터 이탈되기 시작한다.
즉, 상기 제1회전부재(30a)와 제2회전부재(30b)의 각 걸림턱(36a), (36b)은 브라켓(50)의 걸림홈(54)으로부터 동시에 이탈되게 되고, 이에 따라 팔받침대(100)는 상하유동 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10)와 제1회전부재(30a), 제2회전부재(30b)와 브라켓(50) 사이에 각각 고정된 한쌍의 스프링(26b), (26c)도 탄성을 받게 된다.
상기 걸림부재(10)를 더욱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걸림턱(12)은 고정원반(20)의 상부 톱니(24c)와 맞물리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한쌍의 걸림턱(36a), (36b)은 걸림홈(54)으로부터 완전히 빠져나오게 되고, 작동부재(40)는 브라켓(50)의 공간부(52) 내에서 상하 슬라이드 유동이 가능하게 된다.
계속해서, 작동부재(40)을 공간부(52) 내에서 적정한 높이로 위치시키고, 작동봉(14) 을 이용하여 상기 걸림부재(10)의 걸림턱(12)과 고정원반(20)의 상부 톱니(24c)가 물림이 해제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상기 각각의 스프링(26b), (26c)의 복원력으로 상기 부재(30a), (30b)는 그때의 조절된 위치에서 고정 가능하게 된다. 즉, 상기 부재(30a), (30b)의 걸림턱(36a), (36b)이 그 위치에서 걸림홈(34)에 끼워지게 되어 팔받침대(100)는 조절된 높이가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걸림부재(10)의 톱니(18)는 고정원반(20)의 중간톱니(24b)에 맞물려 있게 된다.
첨부도면 제2도 (b)는 본 고안에 따른 팔받침대의 사용상태 예컨대, 높이 조절이 완료된 상태에서의 사용상태를 나타낸다.
작동봉(14)을 이용하여 걸림부재(10)의 톱니(18)를 고정원반(20)의 중간톱니(24b)로 부터 맞물림을 해제시키면서 팔받침대(100)를 앞쪽으로 젖히게 되면, 상기 걸림부재(10)는 고정원반(20)을 중심으로 저부로 회전되고, 이와 같이 회전됨에 따라 걸림부재(10)의 톱니(18)는 고정원반(20)의 테두리부를 따라 회전되면서 고정원반(20)의 저부 톱니(24a)와 서로 맞물리게 된다. 따라서, 팔받침대(100)는 사용 가능하도록 수평으로 펴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높이조절이 가능한 팔받침대를 제공함으로써, 다양한 체형의 탑승자에게 보다 편안한 승차감을 부여해 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5)

  1. 상단부의 걸림턱(17)과 하단부의 톱니(18)를 가지면서 힌지핀(16)으로 고정되어 그 중심부에 연결되는 작동봉(14)을 통해 강제 회전가능하게 이루어지되, 상단부 일측에 연결되는 스프링(26a)에 의한 탄성을 받으면서 회전 가능하게 이루어진 걸림부재(10)와, 상기 걸림부재(10)의 톱니(18)와 맞물릴 수 있도록 테두리부에 소정의 간격으로 3개의 톱니(24a), (24b), (24c)를 갖는 고정원반(20)과, 상기 걸림부재(10)의 걸림턱(12)이 안착될 수 있는 안착부(32)와 회전중심이 되는 홈부(34)가 형성되어 있으며, 하단 일측이 수평 연장되어 형성된 걸림턱(36a)을 포함하는 제1회전부재(30a) 및 상기 걸림턱(36a)과 대향되는 걸림턱(36b)을 갖는 동시에 상기 홈부(34)에 삽입 위치되는 끼움돌기(38)를 이용하여 상기 제1회전부재(30a)와 중첩 결합되면서 이것(30a)과 상대적으로 비례 회전운동이 가능한 제2회전부재(30b)와, 상기 제2회전부재(30b) 및 고정원반(20)을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회전돌기(42b) 및 고정돌기(40a)가 구비되어 있고, 이것들(30b), (20)이 서로 간섭되지 않도록 하는 단차면을 가지면서 상하 유동 가능한 작동부재(40)와, 내면의 양측에 상기 한쌍의 걸림턱(36a), (36b)이 동시에 탈착될 수 있도록 된 소정의 걸림홈(54)을 포함하면서 상기 작동부재(40)가 슬라이드 결합될 수 있는 공간부(52)와 상측에 스프링 고정돌기(56)를 가지는 브라켓(50)과, 상기 고정원반(20)과 제1회전부재(30a), 제2회전부재(30b)와 브라켓(50) 사이에 각각 연결 설치되어 이 두요소(30a), (30b)를 각각 탄성지지하는 스프링(26b), (26c)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팔받침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2회전부재(30a), (30b)의 각 걸림턱(36a), (36b)은 동일한 높이 수준으로 유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팔받침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34)는 제2회전부재(30b)의 회전궤적이 갖는 곡률과 동일한 곡률을 갖는 장공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팔받침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50)에 형성되는 다수의 걸림홈(54)은 양편에서 서로 마주보도록 2개씩 조합되는 동시에 이러한 조합은 브라켓 상하 길이방향에 걸쳐서 균등간격으로 적어도 3개 이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팔받침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회전부재(30a), (30b)는 스프링(26b), (26c)에 의해 서로 반대회전방향으로 탄성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팔받침대.
KR2019950016157U 1995-07-03 1995-07-03 자동차용 팔받침대 KR2001471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157U KR200147148Y1 (ko) 1995-07-03 1995-07-03 자동차용 팔받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50016157U KR200147148Y1 (ko) 1995-07-03 1995-07-03 자동차용 팔받침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011U KR970005011U (ko) 1997-02-19
KR200147148Y1 true KR200147148Y1 (ko) 1999-06-15

Family

ID=194174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50016157U KR200147148Y1 (ko) 1995-07-03 1995-07-03 자동차용 팔받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47148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282B1 (ko) 2014-10-28 2016-02-05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시트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92282B1 (ko) 2014-10-28 2016-02-05 주식회사 서연이화 자동차 시트의 암레스트 높이 조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5011U (ko) 1997-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35935B2 (ja) ヘッドレスト装置
US4616877A (en) Chair with back height adjustment
JPH064044B2 (ja) 車両等の座席
JP2001061592A (ja) 座席の背もたれのためのヘッドレスト
EP0970846A1 (en) A headrest for motor-vehicle
KR200147148Y1 (ko) 자동차용 팔받침대
KR100494550B1 (ko) 자동차용 럼버서포트 장치 연동형 등판 지지구조
JPS6310773Y2 (ko)
JP4199965B2 (ja) 椅子の背凭れ装置
JPH0517957Y2 (ko)
GB2317820A (en) Reclining child seat stowed in a vehicle seat
JP4097186B2 (ja) 椅子のヘッドレスト装置
JP3322982B2 (ja) ヘッドレストの前後調整装置
JPS5873447A (ja) 車両等の座席構造
JP3654581B2 (ja) ロッキング椅子
KR200150390Y1 (ko) 시트쿠션 높이 조절장치
KR100187166B1 (ko) 자동차용 헤드레스트의 틸트구조
JPH1016707A (ja) 車両用シートのヘッドレスト及びシートベルトの高さ調節機構
KR0145971B1 (ko) 헤드레스트의 전,후위치 가변구조
JPH064755Y2 (ja) シート
KR0127707Y1 (ko) 자동차의 헤드레스트 조절장치
JPH0439718Y2 (ko)
JPH0539356U (ja) 椅子の傾動制御装置
JPH0523081Y2 (ko)
JP3555173B2 (ja) 車両用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