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106073A -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연결 장치 - Google Patents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연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106073A
KR20010106073A KR1020000057578A KR20000057578A KR20010106073A KR 20010106073 A KR20010106073 A KR 20010106073A KR 1020000057578 A KR1020000057578 A KR 1020000057578A KR 20000057578 A KR20000057578 A KR 20000057578A KR 20010106073 A KR20010106073 A KR 200101060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pivot
connection
locking member
rece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575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93463B1 (ko
Inventor
유끼꼬 사또
요수케 사이또
류수케 무라야마
Original Assignee
나가토시 다쯔미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토시 다쯔미,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나가토시 다쯔미
Publication of KR200101060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607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934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9346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39Additional means for holding or locking coupling parts together, after engagement, e.g. separate keylock, retainer strap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7Snap or like fastening
    • H01R13/6275Latching arms not integral with the housing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커넥터(12)와 연결 목적물(11)간의 연결 상태를 체결하기 위한 잠금 부재(29)가 커넥터 내에 제공되고,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커넥터의 하우징 부재(27)의 조립부(31) 내에 조립된다. 상기 잠금 부재는 그 일단부에 맞물림부(29-1)와 타단부에 작동부(29-3)를 가지고, 맞물림부와 작동부 사이의 특정 위치에 형성된 피봇부를 가진다. 상기 피봇부는 일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1 피봇(29-5)과 타 표면으로부터 돌출되는 제 2 피봇(29-6)을 갖는다. 상기 조립부는 제 1 및 제 2 피봇을 회전식으로 고정하는 피봇 베어링부(35)를 갖는다. 맞물림부는 연결 목적물과 맞물린다. 상기 작동부는 작동력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다. 하우징 부재는 접촉 부재(25)를 수용한다.

Description

연결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연결 장치{CONNECTION APPARATUS HAVING AN IMPROVED LOCKING MECHANISM FOR MAINTAINING A CONNECTION STATE}
본 발명은 커넥터와 연결 목적물 간에 설정된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잠금 메카니즘을 갖는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일본 공개 실용신안 공보(JP-U) 소62-55883은 2개의 커넥터를 연결 상태로 유지하는 잠금 메카니즘을 개시하고 있다. 상기 잠금 메카니즘은 2개의 커넥터에 맞물리는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커넥터 중 하나가 회로판에 설치되면, 상기 잠금 부재가 적절히 배치되어 스크류로 고정되고, 이로써 설치된 커넥터가 회로판 위에서 흔들리거나 불안정한 것을 방지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적절한 배치가 용이한 것은 아니다. 또한, 스크류에 의한 고정이 요구되어 비용이 증가한다. 고정 후에는, 스크류가 한번 조여진 다음부터 느슨해지거나 풀어질 수 있다.
일본 공개 실용신안 공보(JP-U) 평4-16886 또는 평5-68085는 내부에 조립된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를 개시한다. 커넥터에서, 잠금 부재는 커넥터의 하우징에 의해 수용되어 그 중간 부분을 지지점으로하여 시소 동작을 수행하기에 적합하도록 되어 있다. 커넥터가 맞춤(mating) 커넥터에 연결되면, 상기 잠금 부재는 맞춤 커넥터와 맞물려서 작동 모드로 들어간다.
그러나, 잠금 부재가 작동 모드에 있는 동안 커넥터가 서로 강제로 분리되는 경우, 상기 잠금 부재는 하우징의 지지벽으로부터 해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잠금 부재는 그것의 최초 위치로 복귀할 수 없다. 따라서, 신뢰성이 부족하다. 이러한 강제적인 분리시 잠금 부재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지지점으로서의 중간 부분이 강화되어야 한다. 이것은 필연적으로 잠금 부재의 크기를 증가시켜서 커넥터의 프로파일이 소형화되는 것을 방해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회로판에 대하여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고 상기 회로판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맞춤 커넥터가 커넥터로부터 강제로 분리되는 경우라도 잠금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형의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전술한 목적을 모두 달성할 수 있는 잠금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제 1 태양에 따르면, 연결 목적물과의 연결을 위해 패널에 부착되고, 그리고 접촉 부재, 상기 접촉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커넥터와 상기 연결 목적물 간의 연결 상태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부재에 연결된 잠금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재에 의해 수용되는 피수용부, 상기 피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연결 목적물에 맞물리는 맞물림부, 및 상기 피수용부와 통합되어 상기 패널에 대한 부착물로 사용되는 나선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 2 태양에 따르면, 연결 목적물에 연결하기 위한 커넥터로서, 커넥터와 연결 목적물 간의 연결 상태를 체결하기 위한 잠금 부재와, 접촉 부재와, 그리고 상기 접촉 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잠금 부재가 내부에 조립되는 조립부를 갖는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상기 잠금 부재는 그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목적물과 맞물리는 맞물림부와, 타단부에 설정되어 작동력을 수용하는 작동부와, 그리고 상기 맞물림부와 상기 작동부 사이의 특정 위치에 형성되는 피봇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부는 상기 피봇부를 회전식으로 고정하는 피봇 베어링부를 갖는다. 상기 피봇부는 일 표면의 측면 상에서 돌출하는 제 1 피봇과 타 표면의 측면 상에서 돌출하는 제 2 피봇을 포함한다. 상기 피봇 베어링부는 제 1 및 제 2 피봇을 고정시킨다.
본 발명의 제 3 태양에 따르면, 연결 목적물과의 연결을 위해 패널에 부착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연결 목적물로서의 제 2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가 제공된다. 제 1 커넥터는 제 1 접촉 부재, 상기 제 1 접촉 부재를 수용하는 제 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 사이의 연결 상태를 체결하기 위해 상기 제 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는 제 1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잠금 부재는 상기 제 1 하우징 부재에 의해 수용되는 피수용부, 상기 피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 목적물과 맞물리는 제 1 맞물림부, 및 상기 피수용부와 통합되어 상기 패널에 대한 부착물로서 사용되는 나선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접촉 부재에 연결되는 제 2 접촉 부재, 상기 제 2 접촉 부재를 수용하는 제 2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 간의 연결 상태를 체결하기 위한 제 2 잠금 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는 내부에 상기 제 2 잠금 부재가 조립되는 조립부를 갖는다.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그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커넥터와 맞물리는 제 2 맞물림부, 타단부에 형성되어 작동력을 수용하는 작동부, 및 상기 맞물림부와 상기 작동부 사이의 특정 위치에 형성되는 피봇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립부는 상기 피봇부를 회전식으로 고정하는 피봇 베어링부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연결 장치의 특징부에 대한 확대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연결 장치에 포함된 제 1 커넥터가 패널과 회로판에 부착된 경우의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제 1 커넥터의 잠금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잠금 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잠금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잠금 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잠금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9은 도 1에 도시된 잠금 장치에 포함된 제 2 커넥터의 잠금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잠금 부재의 정면도이다.
도 11은 도 9에 도시된 잠금 부재의 우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9에 도시된 잠금 부재의 저면도이다.
도 13은 도 1에 도시된 연결 장치 내의 제 2 커넥터의 특징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4는 제 2 커넥터의 변형예의 특징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5는 제 2 커넥터의 다른 변형예의 단면도이다.
도 16은 도 15에 도시된 제 2 커넥터의 특징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17은 도 13과 유사하지만, 도 15에 도시된 제 2 커넥터의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 장치에 대해 기술한다.
상기 도에 도시된 연결 장치는 소켓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 1 커넥터(11), 및 상기 제 1 커넥터(11)에 대해 커넥터 연결 방향으로 연결되어 접속되는 연결 목적물로서의 플러그 커넥터를 포함하는 제 2 커넥터(12)를 포함한다.
추가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 1 커넥터(11)는 다수개의 제 1 접촉 수단(17), 상기 제 1 접촉 수단(17)을 직접 수용하는 제 1 하우징 부재(15), 및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11 및 12)를 연결 상태로 체결하기 위해 상기 제 1 하우징부재(15)에 연결되는 제 1 잠금 부재로서의 한쌍의 잠금 러그(1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하우징 부재(15)는 절연 물질로 만들어진다. 상기 제 1 접촉 부재(17) 각각은 전기 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제 1 하우징 부재(15)는 내부에 통공을 보유한 채 수평 회로판(21)의 상면에 설치되고 수직으로 연장되는 패널(23)에 부착, 고정된다. 상기 패널(23)에는 이를 관통하는 맞춤 구멍이 제공된다. 각각의 잠금 러그(13)는 회로판(21)의 접지(grounding) 통공을 통해 삽입되고 납땜하여 고정되는 통공 단자부(13-5)를 갖는다.
추가로 도 4 내지 8을 참조하면, 각각의 잠금 러그(13)는 상기 제 2 커넥터(12)와 맞물리는 제 1 맞물림부로서의 한쌍의 잠금 집게발 부분(13-1), 압축 맞춤에 의해 제 1 하우징 부재(15)의 조립 구멍 내에 고정되고 수용되는 피수용부로서의 압축-맞춤 은못부(press-fitting dowel portion)(13-3), 패널(23)의 맞춤 구멍을 통해 삽입되고 나선 구멍이 제공되는 나선부로서의 보스(13-7), 및 회로판(21)의 접지 통공을 통해 삽입되어 회로판(21)에 고정되고 배치 부재로서 작용하는 통공 단자부(13-5)를 갖는다. 각 잠금 러그(13)는 통합 접지 러그로서 형성된다. 상기 보스(13-7)는 도시된 예에서 패널(23)로부터 돌출되지만, 돌출되지 않을 수도 있다.
도 1로 되돌아가서, 제 2 커넥터(12)를 설명한다. 상기 제 2 커넥터(12)는 상기 제 1 접촉 부재(17)에 대해 일 대 일로 연결되는 다수개의 접촉 부재(25), 상기 제 2 접촉 부재(25)를 간접적으로 수용하는 쉘 또는 후드로서의 제 2 하우징 부재(27), 및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11 및 12) 사이의 연결 상태를 체결하기 위한 제 2 잠금 부재로서의 한쌍의 잠금 맞물림 부재(29)를 포함한다.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27)는 절연 물질로 만들어진다. 각각의 제 2 접촉 부재(17)는 전기 전도성 물질로 만들어진다.
제 2 하우징 부재(27)는 한쌍의 조립부(31)(도 1에는 그 중 한개만 도시됨)를 갖추는데, 여기서 잠금 맞물림 부재(29)가 각각 조립된다. 각각의 잠금 맞물림 부재(29)는 커넥터 연결 방향으로 연장된다. 각각의 조립부(31)에는 커넥터 연결 방향으로 연장되어 내부에 잠금 맞물림 부재(29)를 조립하는 바닥방향의 조립 구멍(33)이 제공된다.
도 9 내지 12를 참조하면, 각 잠금 맞물림 부재(29)는 판 재료로 만들어지고, 제 2 맞물림부로서의 잠금부(29-1)가 제공된 길이방향의 일단부와 작동부(29-3)가 제공된 길이방향의 타단부를 보유함과 아울러, 제 1 및 제 2 피봇(29-5 및 29-6)에 대해 한 방향으로 상기 잠금부(29-1)를 밀기 위한 보조 스프링(29-2)을 갖는다. 상기 잠금부(29-1)는 제 1 커넥터(11)의 잠금 집게발 부분(13-1)과 맞물리는 부분으로 작용한다.
잠금 맞물림 부재(29)에는 길이방향 일단부와 길이방향 타단부 사이의 특정 위치에 형성되어 대향하는 단부들로부터 폭방향으로 돌출되는 한쌍의 돌출부(29-4)가 제공된다. 상기 잠금 맞물림 부재(29)에는 돌출부(29-4)에 대응하는 길이방향의 위치에서 돌출하는 한쌍의 제 1 피봇(29-5)과 제 2 피봇(29-6)이 추가로 제공된다. 상기 제 1 피봇(29-5)은 잠금 맞물림 부재(29)의 하나의 표면 측에서 돌출하는 반면, 상기 제 2 피봇(29-6)은 상기 하나의 표면에 대향하는 다른 표면 측에서 돌출한다. 제 1 피봇 및 제 2 피봇(29-5 및 29-6)의 조합을 피봇부라고 칭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1 및 제 2 피봇(29-5 및 29-6)은 잠금 맞물림 부재(29)가 조립부(31) 내로 조립될 때 제 2 하우징 부재(27) 내에 형성된 피봇 베어링부(35)에 의해 회전식으로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조립부(31)에 의해 피봇식으로 지지되는 잠금 맞물림 부재(29)는 보조 스프링(29-2)에 의해 미는 방향인 하나의 방향으로 밀린다. 상세하게는, 상기 잠금부(29-1)가 상기 피봇부를 지지점으로 한 채 제 1 커넥터(11)의 잠금 집게발 부분(13-1)과의 맞물림을 유지하는 방향으로 밀린다.
다음, 도 13을 참조하여, 상기 잠금 맞물림 부재(29)와 상기 조립부(31) 사이의 관계의 일례에 대해 설명한다.
피봇 베어링부(35)는 서로 대향하는 제 1 및 제 2 피봇 수용 오목벽(35-1 및 35-2)을 갖는다. 상기 제 1 및 제 2 피봇 수용 오목벽(35-1 및 35-2)은 바닥 방향 조립 구멍(33)의 대략 중앙부가 커넥터 연결 방향으로 좁아지고 제 1 및 제 2 피봇(29-5 및 29-6)이 그 사이에서 고정되도록 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제 1 및 제 2 피봇 수용 오목벽(35-1 및 35-2)과 제 1 및 제 2 피봇(29-5 및 29-6) 사이에 지지점을 갖는 피봇 베어링 구조가 형성된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피봇(29-5 및 29-6)은 곡선부를 갖는다. 각각의 제 1 및 제 2 피봇 수용 오목벽(35-1 및 35-2)은 곡면을 갖는다.
여기서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11 및 12)가 서로 연결되어 접속되고 잠금부(29-1)가 잠금 집게발 부분(13-1)과 맞물려서 잠금 상태를 설정한다고 가정된다.
잠금 상태를 해제하기 위해서는, 작동 단추(37)를 눌러서 잠금 맞물림 부재(29)의 작동부(29-3)를 변위시킨다. 그 다음, 잠금 맞물림 부재(29)의 잠금부(29-1)는 보조 스프링(29-2)의 미는 방향에 반대 방향으로 피봇점(39) 둘레로 회전된다. 결과적으로, 잠금부(29-1)와 잠금 집게발 부분(13-1) 간의 맞물림이 해제된다. 이때, 제 2 피봇(29-6)이 상기 제 2 피봇 수용 오목벽(35-2)의 내부로 안내되어 회전 중심이 계속적으로 동일 위치에 유지될 수 있다.
이것은 또한 잠금 상태가 회복된 경우에도 적용된다. 상세하게는, 잠금 맞물림 부재(29)가 보조 스프링(29-2)의 반응력에 의해 반대로 회전될 때, 회전 중심이 동일 위치에 유지된다. 그 결과, 잠금 맞물림 부재가 그 최초 위치로 신뢰성있게 복귀된다.
제 2 하우징 부재(27)는 수용벽(41)을 가지고, 그 각각은 제 1 및 제 2 피봇 수용 오목벽(35-1 및 35-2)에 인접하여 계단부로서 형성된다. 돌출부(29-4) 각각에 접촉부(43)가 제공되어 수용벽(41)과 접촉하게 된다.
상기 수용벽(41)과 접촉부(43)가 서로 접촉하게 되므로, 상기 잠금 맞물림 부재(29)가 연결 및 해제 방향으로 과도하게 이동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결과, 제 1 및 제 2 커넥터(11, 12)가 서로 분리될 때 상기 잠금부 또는 잠금 메카니즘이 상기 해제 방향으로 지나친 힘을 받게되더라도, 제 2 커넥터(12)는 해제되는 것이 방지된다.
더욱이, 잠금 맞물림 부재(29)가 바닥 방향 조립 구멍(33)으로 조립될 때,수용벽(41)과 접촉부(43) 사이에 접촉이 이루어지면 사용자에게 클릭되는 느낌이 전해진다. 따라서, 조립에 있어 신뢰성 및 효율이 개선되고 조립 오류가 발생하지 않는다.
도 14를 참조하여, 잠금 맞물림 부재(29)와 조립부(31) 간의 관계에 대한 다른 예를 설명한다. 유사 부품에 대하여 동일 참조부호를 지정하였고 이는 더 이상의 설명은 생략하였다.
잠금 맞물림 부재(29)의 제 1 및 제 2 피봇(29-5 및 29-6) 각각은 각진 부분을 갖는다. 이에 상응하여, 제 1 피봇 수용 오목벽(35-1)은 제 1 피봇(29-5) 각각의 각진 부분을 수용하는 V자 홈이 형성된 면을 갖는다. 반면에, 제 2 피봇 수용 오목벽(35-2)은 제 2 피봇(29-6)을 수용하는 곡면을 갖는다.
잠금 맞물림 부재(29)의 맞물림을 해제하기 위해, 잠금부(29-1)가 지지점으로서의 제 1 피봇(29-5)으로 치환된다. 이러한 경우, 제 2 피봇(29-6)이 제 2 피봇 수용 오목벽(35-1)을 따라 움직이나, 잠금부(29-1)의 변위를 방해하지 않는다.
그 후에, 잠금 맞물림 부재(29)가 보조 스프링(29-2)의 반응력에 의해 최초 위치로 복귀되고, 제 2 피봇(29-6)은 제 2 피봇 수용 오목벽(35-1)을 따라 움직인다. 그러나, 제 1 피봇(29-5)이 제자리에서 변하지 않고 유지되므로, 잠금 상태가 해제되기 전에 잠금 맞물림 부재(29)가 이전의 위치로 복귀될 수 있다.
도 15 내지 17을 참조하여, 제 2 커넥터(15)의 변형예를 설명한다.
상기 변형예에서, 제 1 및 제 2 피봇 수용 오목벽(35-1, 35-2) 각각에 이들로부터 돌출된 한쌍의 지지부(46)가 제공된다. 제 1 및 제 2 피봇(29-5 및 29-6)은지지부(46) 상에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된다. 그 결과, 잠금 맞물림 부재(29)가 다수의 지점(도에서는 네 지점)에서 제 2 하우징 부재(27)에 의해 지지된다. 잠금 맞물림 부재(29)의 일단부와 타단부에 있는 잠금부(29-1) 및 작동부(29-3)는 제 1 및 제 2 피봇(29-5 및 29-6)의 중심점(47) 주위로 회전 가능하다.
도 16 및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용 요소(45)가 제 1 및 제 2 피봇 수용 오목벽(35-1 및 35-2)에 맞추어지고, 이로써 하중은 피봇축을 따라 연장되는 각각의 수용벽(41) 내의 평면에 인가된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고정이 달성된다는 것을 쉽게 알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회로판에 대하여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고 회로판에 확실히 고정될 수 있는 커넥터가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맞춤 커넥터가 커넥터로부터 강제로 분리되는 경우라도 잠금 부재가 하우징으로부터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소형 커넥터가 제공된다.

Claims (9)

  1. 연결 목적물과의 연결을 위하여 패널에 부착되는 커넥터에 있어서,
    접촉 부재,
    상기 접촉 부재를 수용하는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커넥터와 상기 연결 목적물 간의 연결 상태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는 잠금 부재를 포함하며, 그리고
    상기 잠금 부재는,
    상기 하우징 부재에 의해 수용되는 피수용부,
    상기 피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 목적물과 맞물리는 맞물림부; 및
    상기 피수용부와 통합되어 상기 패널에 대한 부착물로 사용되는 나선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피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커넥터가 설치된 회로판에 고정되는 단자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판이 통공을 가지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통공으로 삽입되어 상기 회로판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연결 목적물에 대한 연결을 위한 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와 상기 연결 목적물 간의 연결 상태를 체결하기 위한 잠금 부재,
    접촉 부재, 및
    상기 접촉 부재를 수용하고 상기 잠금 부재가 내부에 조립되는 조립부를 갖는 하우징 부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잠금 부재는,
    그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연결 목적물과 맞물리는 맞물림부,
    타단부에 형성되어 작동력을 수용하는 작동부, 및
    상기 맞물림부와 상기 작동부 사이의 특정 위치에 형성되는 피봇부를 포함하며, 상기 조립부는 상기 피봇부를 회전식으로 고정하는 피봇 베어링부를 가지고, 상기 피봇부는 하나의 표면 측에서 돌출되는 제 1 피봇과 다른 표면 측에서 돌출되는 제 2 피봇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베어링부는 상기 제 1 및 2 피봇을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잠금 부재가 상기 피봇부를 지지점으로 하여 상기 맞물림부를 한 방향으로 밀기 위한 보조 스프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피봇이 접촉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잠금 부재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접촉부와 접하게 되는 계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피봇이 곡선부를 포함하고, 상기 피봇 베어링부가 상기 곡선부를 수용하기 위한 곡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 4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피봇이 각진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피봇 베어링부는 상기 제 1 피봇의 상기 각진 부분을 수용하기 위한 V자 홈이 형성된 면과 상기 제 2 피봇을 수용하기 위한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연결 목적물과의 연결을 위해 패널에 부착되는 제 1 커넥터와 상기 연결 목적물로서의 제 2 커넥터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 1 커넥터가,
    제 1 접촉 부재,
    상기 제 1 접촉 부재를 수용하는 제 1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 사이의 연결 상태를 체결하기 위하여 상기 제 1 하우징 부재에 연결되는 제 1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잠금 부재는,
    상기 제 1 하우징 부재에 의해 수용되는 피수용부,
    상기 피수용부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연결 목적물과 맞물리는 제 1 맞물림부, 및
    상기 피수용부와 통합되어 상기 패널에 대한 부착물로 이용되는 나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 2 커넥터는,
    상기 제 1 접촉 부재에 연결되는 제 2 접촉 부재,
    상기 제 2 접촉 부재를 수용하는 제 2 하우징 부재, 및
    상기 제 1 및 제 2 커넥터 사이의 연결 상태를 체결하기 위한 제 2 잠금 부재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 2 하우징 부재는 상기 제 2 잠금 부재가 내부에 조립되는 조립부를 가지며,
    상기 제 2 잠금 부재는,
    그 일단부에 형성되어 상기 제 1 커넥터와 맞물리는 제 2 맞물림부,
    타단부에 형성되어 작동력을 수용하는 작동부, 및
    상기 맞물림부와 상기 작동부 사이의 특정 위치에 형성되는 피봇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립부는 상기 피봇부를 회전식으로 고정시키는 피봇 베어링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 장치.
KR10-2000-0057578A 2000-05-10 2000-09-30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 KR1003934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37598A JP3479770B2 (ja) 2000-05-10 2000-05-10 コネクタロック構造および相手側コネクタロック構造
JP2000-137598 2000-05-1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6073A true KR20010106073A (ko) 2001-11-29
KR100393463B1 KR100393463B1 (ko) 2003-08-09

Family

ID=186453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57578A KR100393463B1 (ko) 2000-05-10 2000-09-30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371789B1 (ko)
JP (1) JP3479770B2 (ko)
KR (1) KR100393463B1 (ko)
TW (1) TW48425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843492B1 (fr) * 2002-08-06 2004-11-26 Framatome Connectors Int Connecteur muni d'un moyen de verrouillage lateral
CN2567816Y (zh) * 2002-09-03 2003-08-20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插头连接器
ITAN20030006U1 (it) * 2003-01-31 2004-08-01 Gaposa Srl Gruppo di connessione elettrica per dispositivi per l'azionamento automatico di tende, serrande ed avvolgibili in genere
JP2008147008A (ja) * 2006-12-08 2008-06-26 Tyco Electronics Amp Kk 電気コネクタ
JP5233962B2 (ja) * 2009-11-10 2013-07-10 住友電装株式会社 ジョイントコネクタ及びワイヤハーネス
TWM428560U (en) * 2011-12-06 2012-05-01 Chun Nien Plastic Led Locking socket
US11283219B2 (en) * 2018-09-23 2022-03-22 Apple Inc. Connectors with high retention force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11659A (en) * 1989-04-21 1990-03-27 Amp Incorporated Electrical connector and a retention bracket therefor
JPH0416886A (ja) 1990-05-11 1992-01-21 Canon Inc 定着装置
US5147220A (en) * 1991-05-30 1992-09-15 Lybrand Brent B Board moun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JPH0568085A (ja) 1991-09-10 1993-03-19 Nec Corp 自動交換機の局データ設定方式
JP2540705B2 (ja) * 1992-12-01 1996-10-09 山一電機株式会社 シ―ルドコネクタアッセンブリ
US5383794A (en) * 1993-07-16 1995-01-24 The Whitaker Corporation Latch actuator for a connector
US5564945A (en) * 1994-07-29 1996-10-15 The Whitaker Corporation One-piece conductive connector shell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JPH0935816A (ja) * 1995-07-19 1997-02-07 Whitaker Corp:The ラッチ付電気コネクタ
US5603639A (en) * 1995-08-30 1997-02-18 Genrife Company Limited Shielded electrical connector
US5733142A (en) * 1996-02-29 1998-03-31 Berg Technology, Inc. Assembly for retaining a right angled connector on a printed circuit board
US5971790A (en) * 1997-10-31 1999-10-26 The Whitaker Corporation Unitary spring latch for an electrical connector assembly
US6149451A (en) * 1998-06-12 2000-11-21 Atl Technology, Inc. Cable connector latching device
TW389397U (en) * 1998-11-03 2000-05-01 Hon Hai Prec Ind Co Ltd Latch device of electrical connector
TW435851U (en) * 1998-12-24 2001-05-16 Hon Hai Prec Ind Co Ltd Locking device of electrical connector
KR100335002B1 (ko) * 1999-08-09 2002-05-02 정진택 회로기판과 케이블 접속용 커넥터 조립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84252B (en) 2002-04-21
KR100393463B1 (ko) 2003-08-09
JP3479770B2 (ja) 2003-12-15
JP2001319733A (ja) 2001-11-16
US6371789B1 (en) 2002-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345566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US6056582A (en) Lever fitting connector
CA2308319C (en) Wire harness connector
KR20020069484A (ko) 로크 기구 부착 커넥터 어셈블리
US5803242A (en) Switch connecting structure
JP3654493B2 (ja) フレキシブル回路基板の接続構造
KR100393463B1 (ko)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연결 장치
JPH10284174A (ja) ラッチ付コネクタ及びコネクタ用ラッチ
JP3321039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3250964B2 (ja) スイッチ
JPH11135178A (ja) コネクタソケット
US6459058B1 (en) Operating device having operating button adapted to slide in housing while being pushed to effect switching operation
JP3075164B2 (ja) レバー式コネクタ
JP2580074Y2 (ja) フレキシブル基板用電気コネクタ
JP2002216901A (ja) コネクタ
JPH11135179A (ja) コネクタソケット
US5099095A (en) Lever switch device
JP3268384B2 (ja) コネクタ
JP3350876B2 (ja) 取付け板付コネクタ
JP4270418B2 (ja) フレキシブル印刷配線基板用コネクタ
JPH09259978A (ja) コネクタ
JP2565581Y2 (ja) スイッチ装置
KR19990036448A (ko) 콘센트
JPH0782891B2 (ja) 電気コネクタの結合係止機構
US20060083399A1 (en) Earphone connector assembl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8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1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6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