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91052A - 전기 커넥터 - Google Patents

전기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91052A
KR20010091052A KR1020010018120A KR20010018120A KR20010091052A KR 20010091052 A KR20010091052 A KR 20010091052A KR 1020010018120 A KR1020010018120 A KR 1020010018120A KR 20010018120 A KR20010018120 A KR 20010018120A KR 20010091052 A KR20010091052 A KR 200100910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act
housing
cavity
socket
electrical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18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52323B1 (ko
Inventor
구로다게이지
아라모토기요시
Original Assignee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시무라 마사오, 니혼 앗사쿠단시세이조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시무라 마사오
Publication of KR200100910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910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523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5232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2Securing in resilient one-piece base or case, e.g. by friction; One-piece base or case formed with resilient lock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6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snap action of the par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28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 H01R13/43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by resilient locking means on the contact members; by locking means on resilient contact members by stamped-out resilient tongue snapping behind shoulder in base or cas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0Securing contact members in or to a base or case; Insulating of contact members
    • H01R13/42Securing in a demountable manner
    • H01R13/436Securing a plurality of contact members by one locking piece or operation
    • H01R13/4367Insertion of locking piece from the rear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제 1 걸림부를 갖는 콘택트; 및 콘택트가 캐비티에 수용된 상태에 있을 때 콘택트가 캐비티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콘택트가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제 1 걸림부와 대면하는 제 2 걸림부 및 콘택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캐비티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콘택트가 캐비티에 삽입되는 측에 배치되고 제 2 걸림부를 갖는 제 1 부재; 및 제 2 걸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제 1 부재에 조립된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 커넥터{ELECTRICAL CONNECTOR}
본 발명은 하우징내에 제공되는 수용 캐비티에 콘택트가 수용된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일본 (심사되지 않은) 특개평9(1997)-102,348호 공보는 얇은 금속 시트로 성형된 암(female)-성형 콘택트(소켓 콘택트) 및 그 소켓 콘택트에 대한 수용 캐비티를 갖는 일체로 성형된 하우징을 갖는 전기 커넥터를 개시한다. 각각의 소켓 콘택트는 그 표면 상에 그 표면으로부터 돌출한 걸림부를 갖고, 하우징은 캐비티의 내부로 뻗은, 랜스라 불리는 걸림부를 갖는다. 두 걸림부는 소켓 콘택트가 캐비티에 수용되는 중에 있을 때 어떠한 장애도 형성하지 않는다. 그러나, 소켓 콘택트가 캐비티의 소정 위치에 이를 때, 걸림부는 걸림부가 캐비티로부터 제거되는 방향에 대하여 서로 대면하는 위치로 놓인다. 따라서, 소켓 콘택트가 캐비티에 수용된 후에, 캐비티로부터 소켓을 빼내는 것은 어렵게 된다.
최근에는, 소형 전기 장치 또는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PDA)와 같은 소형전기 장치에서의 사용을 위한 얇은 소형 전기 커넥터가 점점 요구되고 있다. 상기 인용의 공보에서 설명된 전기 커넥터의 하우징이 사출 성형과 같은 성형 처리에 의해서 수지로 일체 성형될 때, 하우징은 소켓 콘택트가 빠지는 것을 확실히 방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최소 두께를 그 걸림부에서 가져야만 하고 또한 성형형을 빼내기 위한 충분한 공간을 가져야만 하기 때문에, 하우징의 두께를 더 얇게 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얇은 하우징을 디자인하기 위해 생각할 수 있는 하나의 접근법은, 캐비티의 내부로 돌출된 걸림부 근방에서 하우징에 개구부를 제공하고, 그로써 소켓 콘택트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걸림부의 최소 두께 및 성형형을 빼내는 공간을 보장하면서 하우징 및 따라서 전기 커넥터가 얇게 디자인되는 것이다.
그러나, 하우징에 개구부가 제공될 때, 소켓 콘택트의 걸림부 및 그 주위는 개구부를 통하여 노출되는 상태에 놓인다. 결과로서, 개구부로부터 들어온 먼지 등에 의해서 인접 소켓 콘택트의 우발적인 단락이 야기될 수 있고 핀 콘택트가 하우징에 삽입된 소켓 콘택트에 플러그 인 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분리될 때 조작자가 우발적으로 소켓 콘택트와 접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하우징에서 콘택트를 노출시키는 임의의 개구부를 제공하지 않고, 콘택트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하우징의 걸림부의 최소 두께 및 성형형을 빼내는 공간을 보장하면서, 얇게 디자인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조립 전의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반대 방향에서 볼 때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포함된 제 1 부재의, 도 1의 라인(A-A)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포함된 제 2 부재의, 도 1의 라인(A-A)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포함된 콘택트의 측면도,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포함된 제 1 및 제 2 부재의 조합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라인(A-A)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라인(A-A)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포함된 제 1 부재의, 도 1의 라인(B-B)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포함된 제 2 부재의, 도 1의 라인(B-B)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10은 도 1에 도시된 전기 커넥터에 포함된 제 1 및 제 2 부재의 조립된 상태를 도시하는, 도 1의 라인(B-B)에 따라서 본 단면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도 12는 도 11의 반대 방향에서 볼 때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의 사시도.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제 1 걸림부를 갖는 콘택트; 및 콘택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캐비티, 및 콘택트가 캐비티에 수용되어 있는 상태에 있을 때 콘택트가 캐비티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그러한 방식으로 제 1 걸림부와 대면하는 제 2 걸림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하우징은 콘택트가 캐비티에 삽입되는 측에 배치되고 제 2 걸림부를 갖는 제 1 부재; 및 제 2 걸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제 1 부재에 조립된 제 2 부재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제 1 걸림부는 콘택트의 표면 상에 제공된 돌출부일 수 있고, 제 2 걸림부는 콘택트가 캐비티에 수용되는 중에 있을 때 제 1 걸림부에 의해 눌러짐으로써 콘택트가 캐비티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허용되는 위치로 시프팅되고 콘택트가 캐비티내의 소정 위치에 도달할 때 캐비티로부터 빠지는 방향에 대하여 제 1 걸림부와 대면하는 위치로 탄성 복귀되는 돌출부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는 제 2 걸림부를 덮는 부분에 상응하는 제 2 부재의 캐비티의 부분은 나머지 부분에 상응하는 제 2 부재의 캐비티의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껍다.
본 발명의 전기 커넥터는 단일 캐비티 및 단일 콘택트를 가질 수 있고, 필요하다면 둘 이상의 수용 캐비티 및 둘 이상의 콘택트를 가질 수 있다. 소켓 콘택트 및 핀 콘택트와 같은 임의 유형의 콘택트가 캐비티에 수용되는 콘택트로서 사용될 수 있다. 콘택트면 상에 제공되는 제 1 걸림부는 콘택트의 표면으로부터 뻗어나온 돌출부에 더하여, 콘택트에 형성된 구멍 또는 오목부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하우징은 제 1 및 제 2 부재에 한정하지 않고, 부가적 부재를 포함하는 셋 이상의 부재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더 나아가, 제 1 및 제 2 부재는 다른 부재 또는 접착제의 사용에 의해서 서로에 고정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또는 대안으로 맞물림에 의해서 분리 가능하게 서로에게 조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더 나아간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첨부 도면과 연관된 이하 설명으로부터 더 완전히 명백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가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먼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 1, 2 및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는 (ⅰ)랜스 하우징(제 1 부재;3) 및 소켓 하우징(제 2 부재;2)의 조합에 의해서 형성된 하우징(5) 및 (ⅱ) 하우징(5)의 거의 전체 길이에 따라서 각각 뻗은 각각의 14개의 수용 캐비티(21)에 수용되는 14개의 소켓 콘택트(4)를 포함한다. 하우징(5)을 형성하는 랜스 하우징(3) 및 소켓 하우징(2)은 사출 성형에 의해 적절한 플라스틱 재료로 각각 일체로 성형된다. 각각의 소켓 콘택트(4)는 적절한 도전성 금속 시트를 구부림으로써 형성된다. 리드선(42)은 도면에 묘사된 바와 같이, 그들 각각의 소켓 콘택트(4)에 접속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캐비티(21)는 랜스 하우징(3)을 통하여 길이로 뻗도록 랜스 하우징(3) 내부에 형성된 배면부(21a)를 갖는다. 각각의 소켓 콘택트(4)는 배면부(21a)의 종단에서 개구부로부터 캐비티(21)에 삽입된다.
랜스 하우징(3)은 각각 "랜스"라 불리는, 14개의 돌출부(제 2 걸림부;31)를 갖는다. 각각의 돌출부(31)는 랜스 하우징(3)의 베이스 부분으로부터 소켓 하우징(2)으로 향해 돌출되고, 돌출부(31)의 최종단은 랜스 하우징(3)의 표면으로부터 내부로 위치한다. 랜스 하우징(3)의 돌출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랜스 하우징(3)에 가해질 때, 랜스 하우징(3)은 힘의 작용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탄성 변형된다. 그 힘이 해제될 때, 랜스 하우징(3)은 그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원된다. 예시된 실시예에서, 14개의 돌출부(31)는 각각 14개의 소켓 콘택트(4)에 대해 제공된다. 각각의 소켓 콘택트(4)는 돌출부(31)를 탄성 변형시키는데 요구될 뿐인 약간의 힘에 의해서 캐비티(21)에 삽입될 수 있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 하우징(3)은 돌출부(31) 및 배면부(21a)에 더하여, 일반적으로 사각형상을 각각 갖는 세 개의 돌출판(35)을 갖는다. 세 개의 돌출판(35)은 랜스 하우징(3)의 길이 방향에 따라 서로 떨어져 일정한 간격으로 있고 14개의 돌출부(31)와 평행하게 정렬된다. 일반적으로 사각형상의 컷아웃은 인접 돌출판(35) 사이에 형성된다. 각각의 돌출판(35)은 돌출판(35)의 중앙부에 형성된 사각 구멍(32)을 갖는다. 더 나아가, 랜스 하우징(3)은 그 길이의 양 종단에 측면부(36)를 갖고, 그 측면부(36)에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록부(37)가 랜스 하우징(3)의 길이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고 슬롯(33a)을 갖는 돌출판(33)이 소켓 콘택트(4)의 삽입 방향으로 뻗어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2)은 그 길이 방향에 따라서 뻗도록 소켓 하우징(2)의 내부에 형성된 캐비티(21)의 일부로서 정면부(21b)를 갖는다. 정면부(21b)는 랜스 하우징(3)측에 반대되는 종단에 형성된 핀 콘택트(도시되지 않음)의 삽입 구멍(29)을 통해서 외부와 연통한다.
소켓 하우징(2)은 랜스 하우징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는다. 소켓 하우징(2)의 길이의 양 종단 및 돌출부(24)와 노치(28)가 제공되는 각각의 측에 위치한 측면부(23)는 위치에 있어서 랜스 하우징(3)의 측면부(36)에 상응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2)은 소켓 하우징(2)의 표면 상에 교대로 형성된 세 개의 돌출부(26) 및 두 개의 볼록부(27)를 갖는다. 볼록부(27)는 랜스 하우징(3) 상의 두 인접한 돌출판(35) 사이에 형성된 일반적으로 사각형상의 컷아웃에 실질적으로 형상이 상응하는 플랜 구성을 갖는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하우징(2)의 캐비티(21)의 정면부(21b)는 랜스 하우징(3)측 상에 두께(T1)를 갖는 제 1 영역(도 4에서 참조 번호(22)로 나타내어짐), 및 반대측 상에 두께(T2)를 갖는 제 2 영역(도 4에서 참조 번호(25)로 나타내어짐)을 갖는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랜스 하우징(3)의 돌출부(31)가 소켓 하우징(2)의 제 1 영역(22)에 쉽게 수용되고 소켓 하우징(2)의 제 1 영역(22)이 랜스 하우징(3)의 돌출부(31)를 덮게 하기 위해서, 제 1 영역의 두께(T1)는 제 2영역의 두께(T2)보다 더 두껍게 만들어진다.
도 1, 2 및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에 포함된 소켓 콘택트(4)의 각각은 리드선(42)이 접속된 배럴(44)을 갖고 구리와 같은 금속으로 형성된 원통형의 터미널 부속 장치이다. 소켓 콘택트(4)는, 그 길이의 일 표면 상에, 리드선(42)쪽으로 굽은 돌출부(41)를 갖는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켓 콘택트(4)가 캐비티(21)에 수용될 때, 소켓 콘택트(4)의 돌출부(41)는 랜스 하우징(3)의 돌출부(31)와 맞물린다. 즉, 소켓 콘택트(4)가 캐비티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소켓 콘택트(4)의 돌출부(41)와 랜스 하우징(3)의 돌출부(31)가 서로 맞닿게 된다. 소켓 콘택트(4)는, 그 정면 종단에, 핀-콘택트 핀(도시되지 않음)이 삽입되는 암커넥터부(45)를 갖는다. 암커넥터부(45)에 삽입되는 핀 커넥터는 암커넥터부(45)내의 걸림부(47)에 의해 유지된다.
다음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의 조립 절차가 설명될 것이다. 처음에, 랜스 하우징(3)과 소켓 하우징(2)이 조립된다. 특히, 랜스 하우징(3)의 돌출부(31)측이 우선 소켓 하우징(2)의 제 1 영역(22)에 접근한다. 그 후, 랜스 하우징(3)에 형성된 돌출판(35)의 정면 종단이 소켓 하우징(2)에 제공된 돌출부(26)와 접촉하게 된다. 랜스 하우징(3)의 삽입 절차로서, 돌출판(35)은 돌출부(26)의 경사진 표면을 따라 바깥쪽으로 확장되도록 점차로 탄성 변형된다. 돌출부(26) 및 구멍(32)이 위치에 있어서 서로 상응할 때, 서로 끼워맞춰지고 돌출판(35)은 탄성 변형되어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동시에, 돌출판(33)의 정면 종단은 소켓 하우징(2)의 돌출부(24)와 접촉하게 되고 그 후 돌출부(24)의 경사진 표면을 따라 바깥쪽으로 확장되도록 탄성 변형된다. 돌출판(33)의 정면 종단부가 돌출부(24) 위로 올라갈 때, 돌출부(24)는 슬롯(33a)에 각각 끼워맞춰지고 또한 볼록부(37)는 노치(28)에 각각 끼워맞춰진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우징(5)이 완성된다.
즉, 상기 구성을 갖는 랜스 하우징(3)과 소켓 하우징(2)이 조립될 때, 소켓하우징(2)의 돌출부(26)가 랜스 하우징(3)의 구멍(32)에 끼워맞춰지고, 동시에, 돌출판(35) 사이에 형성된 컷아웃과 소켓 하우징(2)의 볼록부(27)가 서로 끼워맞춰진다. 더하여, 랜스 하우징(3)의 볼록부(37)가 소켓 하우징(2)의 노치(28)에 끼워맞춰지고 또한 소켓 하우징(2)에 제공된 돌출부(24)가 랜스 하우징(3)의 슬롯(33a)에 끼워맞춰진다. 상기 끼워맞춤은 돌출판(35, 33)을 바깥쪽으로 강제적으로 확장하지 않고는 해제될 수 없다.
따라서, 랜스 하우징(3)과 소켓 하우징(2)이 끼워맞춤에 의해서 조립될 때,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랜스 하우징(3)의 돌출부(31), 소켓 콘택트(4)의 돌출부(41), 및 그 주위가 캐비티(21)의 내부에 놓이고 소켓 하우징(2)이 그것들을 덮는다. 즉, 돌출부(31) 및 돌출부(41)가 외부에서 관찰되거나 조작될 수 없는 상태에 놓이고, 따라서 외부에 노출되는 것이 방지된다.
그 후, 소켓 콘택트(4)가 하우징(5)의 캐비티(21)에 삽입된다. 각각의 소켓 콘택트(4)가 캐비티(21)에 점차로 삽입될 때, 소켓 콘택트(4)에 제공된 돌출부(41)는 랜스 하우징(3)의 돌출부(31)와 접촉하게 된다. 소켓 콘택트(4)를 캐비티(21)내로 더 누를 때, 소켓 콘택트(4)가 캐비티(21)내로 지나가는 동안, 소켓 콘택트(4)의 돌출부(41)는 캐비티의 돌출부(31)를 캐비티(21)의 바깥쪽으로 시프팅한다. 돌출부(41)가 돌출부(31)의 정면 종단을 지나 통과할 때, 돌출부(31)는 원래의 위치로 탄성 복귀하여 소켓 콘택트(4)가 캐비티(21)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돌출부(41)와 대면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1)의 조립이 완성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에서, 관련부의 둘 이상의 쌍이 서로에 끼워맞춰지게 함으로써 전치됨이 없이 소켓 하우징(2)과 랜스 하우징(3)이 분리 가능하게 조립된다.
본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에서, 랜스 하우징(3)은 소켓 하우징(2)과 별개로 성형되기 때문에(즉, 하우징(5)은 랜스 하우징(3) 및 소켓 하우징(2)을 포함하는 두 블록 구조를 갖는다), 랜스 하우징(3)은 소켓 콘택트(4)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돌출부(31)의 최소 두께 및 성형형을 위한 공간을 보장하면서, 얇게 디자인될 수 있다. 더하여, 하우징(5)이 두 부분 구조로서 디자인되기 때문에, 랜스 하우징(3)의 돌출부(31)의 성형이 용이하고, 그러한 것은 인접 수용 캐비티(21) 사이의 피치가 예를 들어 1.5mm 이하 또는 더 나아가 1.25mm 이하로 감소되게 할 수 있다. 이것은 하우징(5) 자체의 크기가 작아지게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는 퍼스널 디지털 어시스턴트와 같은 소형 전기 장치에서의 사용에 적합하다.
또한, 소켓 콘택트(4)가 분리되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소켓 콘택트(4)의 돌출부(41) 및 돌출부(31)가 하우징(5)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개구부로부터 들어오는 먼지 등에 의해서 인접 소켓 콘택트의 우발적인 단락이 야기될 수 있는 가능성 및 핀 콘택트가 하우징(5)의 캐비티(21)에 삽입된 소켓 콘택트에 플러그 인 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분리될 때 조작자가 우발적으로 소켓 콘택트와 접촉할 수 있는 가능성을 피할 수 있다.
더하여, 본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에서, 돌출부(31) 및 돌출부(41)의 어느것도 하우징(5)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소켓 콘택트(4)와 하우징(5) 사이의 맞물림이 돌출부(31) 및/또는 돌출부(41)에 외력을 가함으로 인해 우발적으로 해제될 수 있는 가능성은 거의 없다. 따라서, 전기 커넥터(1)는 높은 신뢰도를 산출하는 이점을 갖는다.
본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1)에서, 소켓 하우징(2)에 제공되는 정면부(21b)는 랜스 하우징(3)측 상에 두께(T1)를 갖는 제 1 영역 및 반대측 상에 두께(T2)를 갖는 제 2 영역을 가지며, 랜스 하우징(3)의 돌출부(31)가 소켓 하우징(2)의 제 1 영역(22)에 쉽게 수용되고 소켓 하우징(2)의 제 1 영역(22)이 랜스 하우징(3)의 돌출부(31)를 덮게 하기 위해서, 제 1 영역의 두께(T1)가 제 2 영역의 두께(T2)보다 더 두껍게 만들어진다. 소켓 하우징(2)의 제 1 영역(22)이 돌출부(31)를 덮은 상태에서, 임의의 장애를 형성하지 않고 소켓 콘택트(4)를 캐비티(21)에 수용하도록 돌출부(31)가 바깥쪽으로 탄성 변형하는데 요구되는 최소 클리어런스가 소켓 하우징(2)의 제 1 영역(22)과 돌출부(31) 사이에 형성된다. 소켓 하우징(2)의 제 2 영역(25)은 소켓 하우징(2)의 제 1 영역(22)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소켓 하우징(2) 전체가 제 1 영역(22)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교될 때, 하우징(5)은 상기 정도까지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커넥터가 설명될 것이다. 상기 제 1 실시예는 14개의 터미널 포스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인 반면에, 제 2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는 도 11 및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2개의 터미널 포스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도 11 및 12는 2개의 터미널 포스트를 갖는전기 커넥터(50)의 전체 사시도를 도시한다. 전기 커넥터의 터미널 수를 제외하고는, 제 2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는 실질적으로 제 1 실시예의 전기 커넥터와 동일한 구조를 가지므로, 단면도와 같은 관련 도면은 생략된다. 2개의 터미널 포스트를 갖는 전기 커넥터에 있어서도,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하우징, 즉, 랜스 하우징(51) 및 소켓 하우징(52)을 포함하는 하우징(53)을 형성함으로써 얇은 소형 전기 커넥터(50)가 생산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특정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예시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디자인 변화 및 수정이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의 캐비티의 형상은 소켓 콘택트의 형상에 상응하여 적절하게 수정될 수 있다. 랜스 하우징(제 1 부재)과 소켓 하우징(제 2 부재)을 조립하는 방법 및 랜스의 수는 적절하게 수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우징에서 콘택트를 노출시키는 임의의 개구부를 제공하지 않고, 콘택트가 빠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요구되는 하우징의 걸림부의 최소 두께 및 성형형을 빼내는 공간을 보장하면서, 얇게 디자인될 수 있는 전기 커넥터를 제공한다.
따라서, 소켓 콘택트(4)가 분리되어 나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되는 소켓 콘택트(4)의 돌출부(41) 및 돌출부(31)가 하우징(5)으로부터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개구부로부터 들어오는 먼지 등에 의해서 인접 소켓 콘택트의 우발적인 단락이 야기될 수 있는 가능성 및 핀 콘택트가 하우징(5)의 캐비티(21)에 삽입된 소켓콘택트에 플러그 인 되거나 또는 그로부터 분리될 때 조작자가 우발적으로 소켓 콘택트와 접촉할 수 있는 가능성을 피할 수 있다.
또한, 소켓 하우징(2)의 제 2 영역(25)은 소켓 하우징(2)의 제 1 영역(22)보다 더 얇은 두께를 갖도록 형성되므로, 소켓 하우징(2) 전체가 제 1 영역(22)의 두께와 동일한 두께로 형성되는 경우에 비교될 때, 하우징(5)은 상기 정도까지 두께가 얇아질 수 있다.

Claims (3)

  1. 제 1 걸림부를 갖는 콘택트; 및
    상기 콘택트를 수용하기 위한 수용 캐비티, 및 상기 콘택트가 상기 캐비티에 수용된 상태에 있을 때 상기 콘택트가 상기 캐비티로부터 빠지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식으로 상기 제 1 걸림부와 대면하는 제 2 걸림부를 갖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콘택트가 상기 캐비티에 삽입되는 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 2 걸림부를 갖는 제 1 부재; 및
    상기 제 2 걸림부를 덮을 수 있도록 상기 제 1 부재에 조립된 제 2 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걸림부는 상기 콘택트의 표면 상에 제공된 돌출부이고, 상기 제 2 걸림부는 상기 콘택트가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는 중에 있을 때 상기 제 1 걸림부에 의해서 눌러짐으로써 상기 콘택트가 상기 캐비티에 수용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허용되는 위치로 시프팅되고 상기 콘택트가 상기 캐비티내의 소정 위치에 도달할 때 상기 콘택트가 상기 캐비티로부터 빠지는 방향에 대하여 상기 제 1 걸림부와 대면하는 위치로 탄성 복귀하는 돌출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걸림부를 덮는 부분에 상응하는 상기 제 2 부재의 상기 캐비티의 부분은 나머지 부분에 상응하는 상기 제 2 부재의 상기 캐비티의 부분보다 두께가 더 두꺼운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커넥터.
KR1020010018120A 2000-04-07 2001-04-06 전기 커넥터 KR10055232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00111852A JP2001291547A (ja) 2000-04-07 2000-04-07 電気コネクタ
JP2000-111852 2000-04-0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91052A true KR20010091052A (ko) 2001-10-22
KR100552323B1 KR100552323B1 (ko) 2006-02-20

Family

ID=186241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18120A KR100552323B1 (ko) 2000-04-07 2001-04-06 전기 커넥터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585543B2 (ko)
EP (1) EP1143565A3 (ko)
JP (1) JP2001291547A (ko)
KR (1) KR100552323B1 (ko)
CN (1) CN1240162C (ko)
TW (1) TW501314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67B1 (ko) * 2008-12-04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296182A (ja) * 2003-03-26 2004-10-21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4962696B2 (ja) * 2005-12-12 2012-06-27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4962697B2 (ja) * 2005-12-12 2012-06-27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DE102006043575B3 (de) * 2006-09-16 2007-10-18 Hirschmann Automation And Control Gmbh Solarsteckverbinder mit einem Kabeladapter zur Anpassung an Kabel mit unterschiedlichen Durchmessern
CN200972950Y (zh) * 2006-10-09 2007-11-07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DE102014200176A1 (de) * 2014-01-09 2015-07-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Laststecker zur elektrischen Stromübertragung, insbesondere zur Verwendung in einem Kraftfahrzeug
CN104882706B (zh) * 2014-02-28 2017-02-22 凡甲电子(苏州)有限公司 电连接器及电连接器组件
JP2017004736A (ja) * 2015-06-09 2017-01-05 住友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CN209217300U (zh) 2019-01-31 2019-08-06 上海莫仕连接器有限公司 电连接器
TWD202845S (zh) 2019-01-31 2020-02-21 美商莫仕有限公司 電連接器之部分
JP2021193657A (ja) * 2020-06-08 2021-12-23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コネクタ組立体、及びリテーナ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68609B1 (it) * 1994-09-30 1997-03-06 Framatome Connectors Italia Connettore elettrico
JP3730685B2 (ja) * 1995-06-09 2006-01-05 菱星電装株式会社 コネクタ
GB9514797D0 (en) 1995-07-19 1995-09-20 Amp Gmbh Electrical connector with two step positive contact retention
JPH09102348A (ja) * 1995-10-04 1997-04-15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US6071153A (en) * 1998-02-19 2000-06-06 Delphi Technologies, Inc. Dual lock for multi-row electrical connector system
JP3542710B2 (ja) * 1998-02-20 2004-07-14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4168478B2 (ja) * 1998-04-30 2008-10-22 モレックス 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電気コネクタ
JP3378983B2 (ja) * 1998-09-30 2003-02-17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07267B1 (ko) * 2008-12-04 2011-01-13 주식회사 포스코 집진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집진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52323B1 (ko) 2006-02-20
CN1240162C (zh) 2006-02-01
JP2001291547A (ja) 2001-10-19
TW501314B (en) 2002-09-01
EP1143565A2 (en) 2001-10-10
EP1143565A3 (en) 2005-02-09
CN1317852A (zh) 2001-10-17
US6585543B2 (en) 2003-07-01
US20010029132A1 (en) 2001-10-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95174B2 (ja) 電気コネクタ
US4797116A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movable contact guide and lance-maintaining member
EP1119078B1 (en) Wire harness connector
US6325680B1 (en) Female contact for an electrical connector
KR100552323B1 (ko) 전기 커넥터
JPH08213103A (ja) 電気コネクタ
US5980283A (en) Lever-fitting type connector with lever insertion limitation and withdrawal portion
JP2006510169A (ja) 端子位置維持(assurance)システムを有する電気コネクタ
EP0982808A1 (en)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and method for assembling and connecting a retractable electrical connector structure
KR20000017090A (ko) 커넥터의 하우징 및 그것에 의해 제조된 커넥터
KR910003912Y1 (ko) 슬라이드스위치부착 코넥터소켓
EP1276181B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receiving a plug
US6702623B2 (en) Connector
JP4732996B2 (ja) カードエッジコネクタ
EP1109261B1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contact orientation features
US5738549A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terminal retention member and bridging contacts
JPH1116625A (ja) コネクタの二重係止部材
US6547577B2 (en) Card edge connector
US7927150B2 (en) Connectors including spring tabs for holding a contact module
JP3087810B2 (ja) 多極平形コネクタプラグ
JP3217036B2 (ja) ロック機構付きコネクタ
JP3312645B2 (ja) 低挿入力コネクタ
US6939170B2 (en) Connector
JP2010118150A (ja) コネクタ
JPH0950850A (ja) リテーナ付き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22

Year of fee payment: 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30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19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20

Year of fee payment: 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