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959A - 복합조작스위치 - Google Patents

복합조작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959A
KR20010014959A KR1020000027377A KR20000027377A KR20010014959A KR 20010014959 A KR20010014959 A KR 20010014959A KR 1020000027377 A KR1020000027377 A KR 1020000027377A KR 20000027377 A KR20000027377 A KR 20000027377A KR 20010014959 A KR20010014959 A KR 200100149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witch
composite
operating parts
circuit boar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73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9897B1 (ko
Inventor
소에따가오루
오오바히로끼
가와세다쯔아끼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20010014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98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98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54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the operating part having at least five or an unspecified number of operative positions
    • H01H19/56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 H01H19/58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having only axial contact pressure, e.g. disc switch, wafer switch
    • H01H19/585Angularly-movable actuating part carrying contacts, e.g. drum switch having only axial contact pressure, e.g. disc switch, wafer switch provided with printed circuit contac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9/00Switches operated by an operating part which is rotatable about a longitudinal axis thereof and which is acted upon directly by a solid body external to the switch, e.g. by a hand
    • H01H19/02Details
    • H01H19/10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9/14Operating parts, e.g. turn knob
    • H01H2019/143Operating parts, e.g. turn knob having at least two concentric turn knobs

Landscapes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Switches With Compound Operation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 Rotary Switch, Piano Key Switch, And Lever Switch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과제)
장치본체로의 입력조작부의 배치자유도가 제한되지 않아 장치본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람의 손가락에 의한 확실한 전환조작이 가능하여, 조작성이 우수한 복합조작 스위치의 입력조작부의 구조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하우징 (2) 과, 이 하우징 (2) 내에 배설되어 복수의 회로패턴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회로기판 (3, 4) 과, 이 제 1 및 제 2 회로기판 (3, 4) 과의 대향면에 복수의 접동자 (5, 6) 가 형성되고, 상기 하우징 (2) 에 동축선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및 제 2 회전조작체 (7, 8) 와, 이 제 1 및 제 2 회전조작체 (7, 8) 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조작부 (12, 13) 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의 조작부 (12, 13) 에 형성된 조작면 (12c, 13b) 은, 동일방향으로부터 조작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축선방향으로 병렬하여 형성하였다.

Description

복합조작스위치 {multiplex operating switch}
본 발명은, 비디오, 퍼스컴, 게임 등의 입력조작수단으로 사용되는 복합조작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입력조작부의 조작면의 구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비디오 등에 사용되는 입력조작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일본공개특허공보 평7-92939 호의 화상재생장치가 있다. 이 종래의 화상재생장치에 있어서는, 화상을 확대하여 스크롤하는 경우에, 복합조작 스위치, 즉, 죠그·셔틀 스위치를 사용하고 있다. 이것은, 화상의 회전, 확대율의 변화나 스크롤을 행하는 경우에, 통상의 누름버튼 스위치를 사용하면, 복수개의 누름버튼 스위치가 필요하게 되어, 비용이 상승될 뿐만아니라, 이들의 조작 스피드는 그 때의 사용자의 의지가 전혀 반영되지 않아, 크게 스크롤이나 화상의 회전, 확대율의 변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누름버튼 스위치를 계속 누르지 않으면 안되어, 시간이 너무 걸리는 것이나, 또, 스크롤이나 화상의 회전, 확대율의 변화를 중단하고싶은 곳에 중단할 수 없어 지나가 버리는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또, 마우스나 트랙볼 등의 포인팅 디바이스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나, 마우스나 트랙볼에서는 연속적인 동작은 가능해지지만, 크게 스크롤하거나, 화상의 회전, 확대율의 변화를 행하는 경우에는, 구체 (볼) 를 몇 회나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시켜야만 하므로 조작이 번거로웠다.
이에 대하여, 입력조작수단에 죠그·셔틀 스위치를 사용한 종래의 화상재생장치에 있어서는, 화상을 확대 또는 축소, 회전하거나, 스크롤시키는 경우에는, 통상의 누름버튼 스위치보다도 조작성이 우수하고, 기능성도 우수하다.
이와 같은 종래의 죠그·셔틀 스위치의 구조를 도 4 및 도 5 에 나타낸다. 도 4 는 죠그·셔틀 스위치의 조작부의 상태를, 도 5 는 죠그·셔틀 스위치를 리모트 컨트롤장치에 사용한 상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스위치본체 (21) 에는, 공통의 하우징을 갖는 2 개의 로터리 스위치부 (도시생략) 가 수납되어 있다. 이 2 개의 로터리 스위치부에는, 각각 회로기판 (도시생략) 과 이 회로기판의 회로패턴에 슬라이드 접합되는 접동자 (도시생략) 를 구비한, 제 1 및 제 2 회전조작체 (22, 23)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및 제 2 회전조작체 (22, 23) 는, 상기 하우징에 동축선상에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일부가 상기 하우징의 상면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회전조작체 (22) 에는, 원반형상의 제 1 조작부 (죠그 다이얼 ; 24) 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회전조작체 (23) 에는, 선단이 링형상의 제 2 조작부 (셔틀링 ; 25)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조작부 (24) 와 상기 제 2 조작부 (25) 는, 서로 동축선상에 중합되어 있고, 상기 제 2 조작부 (25) 의 링내측에 수납되는 형태로, 상기 제 1 조작부 (24)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조작부 (24) 의 상면의 노출평면부에는, 사람의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용 오목부 (24a) 가 형성되고, 상기 제 2 조작부 (25) 의 측부의 외주면부에는, 조작용 돌부 (25a)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죠그·셔틀 스위치로 비디오의 화상의 확대, 축소나 스크롤 등의 조작을 행하는 경우에는, 먼저, 리모트 컨트롤장치 (26) 의 화상처리버튼 (27) 을 누름으로써, 각각의 처리모드를 선택한다. 예를 들면 화상배율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조작부 (죠그 다이얼 ; 24) 를 회전함으로써 화상배율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 스크롤 모드에서는, 상기 제 1 조작부 (죠그 다이얼 ; 24) 와 제 2 조작부 (셔틀 링; 25) 의 회전을 조합함으로써 스크롤의 조정을 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모드나 화상의 재생 등도, 상기 제 1 조작부 (죠그 다이얼;24) 를 회전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다. 즉,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 (죠그 다이얼 및 셔틀링 ; 24, 25) 의 회전조작을 각각 조합함으로써, 화상처리가 가능해지고 있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의 화상재생장치의 죠그·셔틀 스위치에 있어서는, 조작자가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 (죠그 다이얼 및 셔틀 링 ; 24, 25) 을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경우에, 각각의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 (24, 25) 를 상기 리모트 컨트롤장치 (26) 의 패널표면측으로부터밖에 조작할 수 없어, 장치본체로의 입력조작부의 배치자유도가 제한되는 문제가 있었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 (죠그 다이얼 및 셔틀링 ; 24, 25) 가 하우징의 동축선상의 지름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상기 제 1, 제 2 조작부 (24, 25) 의 외형이 각각 커지고, 이에 따라 장치본체의 크기도 커지기 때문에, 소형화를 할 수 없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장치본체로의 입력조작부의 배치자유도가 제한되지 않고 장치본체의 소형화를 꾀할 수 있음과 동시에, 사람의 손가락에 의한 확실한 전환조작이 가능하여, 조작성이 우수한 복합조작 스위치의 입력조작부의 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 은 복합조작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동일한 전체의 사시도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복합조작 스위치를 마우스에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 는 종래의 죠그·셔틀 스위치의 조작부의 단면도이다.
도 5 는 종래의 죠그·셔틀 스위치를 리모트 컨트롤 장치에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죠그·셔틀 스위치 (복합조작스위치) 2 : 하우징
2a : 지축 3 : 제 1 회로기판
4 : 제 2 회로기판 5 : 제 1 접동자
6 : 제 2 접동자 7 : 제 1 회전조작체
7a : 제 1 회전판 7b : 제 1 회전축
7c : 제 1 관통구멍 7d : 제 1 걸어맞춤 홈부
8 : 제 2 회전조작체 8a : 제 2 회전판
8b : 제 2 회전축 8c : 제 2 관통구멍
8d : 제 2 걸어맞춤 홈부 9 : 제 1 접속단자
10 : 제 2 접속단자 11 : 공간부
12 : 제 1 조작부 12a : 걸어맞춤 기부
12b : 걸어맞춤 구멍 12c : 제 1 조작면
12d : 조작용 오목부 13 : 제 2 조작부
13a : 걸어맞춤 구멍 13b : 제 2 조작면
13c : 제 2 걸어맞춤 돌부 14 : 마우스
15 : 광체 16a, 16b : 누름버튼 스위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제 1 수단으로서,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형성되어, 복수의 회로패턴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회로기판과, 이 제 1 및 제 2 회로기판과의 대향면에 복수의 접동자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동축선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및 제 2 회전조작체와, 이 제 1 및 제 2 회전조작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에 형성된 조작면은, 동일방향으로부터 조작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축선방향으로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2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의 어느 하나 일방의 상기 조작면에는, 손가락의 감촉에 의해 상기 조작부의 식별이 가능한 조작부 식별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3 수단으로서, 상기 조작부 식별수단은, 상기 조작면을 경사면부로 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4 수단으로서, 상기 조작부 식별수단이, 상기 조작면에 형성된 요철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제 5 수단으로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 중,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노출평면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3 에 나타낸다. 도 1 은 본 발명의 복합조작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 는 동일하게 전체의 사시도, 도 3 은 퍼스컴의 입력조작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복합조작스위치를 마우스에 사용한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면에서, 하우징 (2)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이루어지고, 상면이 개구된 상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내저면의 중앙에는 원기둥형상의 지축 (2a)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하우징 (2) 의 내부에는, 복수의 회로패턴 (도시생략) 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회로기판 (3,4) 과, 이 제 1 및 제 2 회로기판 (3,4) 과의 대향면에 제 1, 제 2 의 접동자 (5,6) 를 갖고, 상기 하우징 (2) 의 지축 (2a) 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및 제 2 회전조작체 (7,8) 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회로기판 (3,4) 은,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대략 평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방의 면에는 황동 등의 접점용 판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회로패턴 (도시생략) 이, 인서트 성형 등으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및 제 2 회로기판 (3,4) 의 일측단부로부터는, 상기 하우징 (2) 의 외방으로 연달아 형성되는 제 1, 제 2 접속단자 (9, 10) 가, 상기 회로패턴과 도전된 상태로 돌출되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회로기판 (3, 4) 은, 상기 하우징 (2) 내에 걸어맞춰져 지지되어 있다.
상기 제 1 및 제 2 회전조작체 (7, 8) 는, 동일하게 합성수지 등의 절연재로 형성되고, 금속성의 판스프링재로 이루어지는 접점용의 상기 제 1, 제 2 접동자 (5, 6) 가 고착된 제 1, 제 2의 회전판 (7a, 8a) 과, 이 제 1, 제 2 회전판 (7a, 8a) 의 중심부에 형성되어, 그 선단부가 상기 하우징 (2) 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되는, 제 1, 제 2 회전축 (7b, 8b) 을 갖고 있으며, 상기 제 1, 제 2 접동자 (5, 6) 는, 상기 제 1 및 제 2 회로기판 (3, 4) 의 각각의 회로패턴 (도시생략) 에 슬라이드 접속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회전축 (7b) 에는, 상기 하우징 (2) 의 지축 (2a) 에 관통되는 제 1 관통구멍 (7c) 이 형성되고, 또, 상기 제 2 회전축 (8b) 에는, 상기 제 1 회전축 (7b) 에 관통되는 제 2 관통구멍 (8c) 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상기 하우징 (2) 의 지축 (2a) 의 둘레에, 상기 제 1, 제 2 회전축 (7b, 8b) 이 동축선상을 회전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제 1 회전축 (7b) 의 선단부와, 상기 제 1 회전축 (8b) 의 선단부는, 상기 하우징 (2) 의 지축 (2a) 에 중합된 상태로, 일정한 간격의 공간부 (11) 가 형성되어 있고, 이 공간부 (11) 에, 후술하는 제 1 조작부의 걸어맞춤 기부가 삽입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제 2 회전축 (7b, 8b) 에는, 후술하는 제 1, 제 2 의 조작부의 걸어맞춤 돌부가 걸어맞춰져, 이 제 1 , 제 2 조작부를 상기 제 1, 제 2 의 회전축 (7b, 8b) 에 위치결정 고착하는 제 1, 제 2 의 걸어맞춤 홈부 (7d, 8d) 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조작부 (12) 는, 상기 제 1 회전조작체 (7) 의 회전축 (7b) 선단에 고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합성수지 등의 성형재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1 조작부 (12) 의 하면중앙에는, 원통형상의 걸어맞춤 기부 (12a) 가 형성되어 있다. 이 걸어맞춤 기부 (12a) 에는, 상기 제 1 회전축 (7b) 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 구멍 (12b) 이 형성되고, 또, 원주측부에 형성된 조작면 (12c) 은, 경사면부로 되어 있으며, 이 경사면부에는, 사람이 손가락으로 조작하는 경우에 조작하기 쉽도록 조작용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제 1 조작부 (12) 의 상면의 노출평면부에는, 사람의 손가락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용 오목부 (12d) 가 형성되어 있다.
제 2 조작부 (13) 는, 상기 제 2 회전조작체 (8) 의 회전축 (8b) 선단에 고착되어 사용되는 것으로, 동일하게 합성수지 등의 성형재로 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제 2 조작부 (13) 의 중앙에도, 제 2 회전축 (8b) 에 걸어맞춰지는 걸어맞춤구멍 (13a) 이 형성되고, 또, 외주면부에 형성된 제 2 조작면 (13b) 은, 축선방향에 평행인 평면으로 되어, 이 제 2 조작면 (13b) 에는, 조작용의 요철부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상기 제 2 조작면 (13b) 의 조작용의 요철부는, 상기 제 1 조작면 (12c) 의 조작용의 요철부와는, 다른 감촉이 되도록 형상을 다르게하여 형성하고 있고, 이로써, 손가락의 감촉에 의한 조작면의 식별을 가능하게 하고 있다.
또, 상기 걸어맞춤 구멍 (13a) 의 내주부에는 1 쌍의 제 2 걸어맞춤 돌부 (13c) 가 형성되어 있고, 이 제 2 걸어맞춤 돌부 (13c) 가 상기 제 2 회전축 (8b) 의 제 2 걸어맞춤 홈부 (8d) 와 걸어맞춤으로써 위치결정고정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 조작부 (12) 와 상기 제 2 조작부 (13) 는, 상기 하우징 (2) 의 내저면에 형성한 상기 지축 (2d) 의 축선방향에, 아래로부터 상기 하우징 (2), 다음에 상기 제 2 조작부 (13), 다음에 상기 제 1 조작부 (12) 의 순서로 병렬하여 위치결정고정되어 있고, 동일하게, 상기 제 1 조작면 (12c) 과 제 2 조작면 (13b) 도 축선방향으로 병렬배치되어 있다.
다음으로, 상술한 본 발명의 복합조작스위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람의 손가락 등에 의해, 상기 제 1 조작부 (12) 가 조작되면, 이 제 1 조작부 (12) 에 걸어맞춰진 제 1 회전축 (7b) 이 회전하고, 이 제 1 회전축 (7b) 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제 1 회전판 (7a) 이 회전한다. 이 때, 상기 제 1 회전판 (7a) 에 고착된 제 1 접동자 (5) 가, 상기 제 1 회전판 (7a) 과 대향되어 형성된, 상기 제 1 회로기판 (3) 의 회로패턴 (도시생략) 과 슬라이드 접속되게 되어, 원하는 출력신호 (펄스신호) 가 얻어진다. 이 출력신호는 상기 제 1 접속단자 (9) 를 통하여 도시하지 않은 다른 제어회로수단으로 입력되는 것으로 된다. 또한, 상기 제 2 조작부 (13) 가 조작된 경우에 있어서도, 동일한 동작이 행해지기 때문에, 여기에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복합조작 스위치를, 퍼스컴의 입력조작수단으로 마우스에 사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 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마우스 (14) 는, 사람의 손으로 쥐는 경우에 딱 알맞은 크기의 대략 상자형으로 형성된 광체 (15) 와, 이 광체 (15) 의 바닥면부에 그 일부를 노출시킨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 볼 (도시생략) 과, 이 볼의 회전상태 (회전속도나 회전방향 등) 를 검지하는 로타리 인코더 등의 회전검출부를 갖는 X 축 및 Y 축 좌표 정보입력부 (도시생략) 와, 2 개의 누름버튼 스위치 (16a, 16b) 와, 화상대상물을 X-Y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Z 축 좌표정보를 입력하기 위해, 또는, 화면을 스크롤시키는 지시를 입력하기 위한 죠그·셔틀 스위치 (복합조작스위치 ; 1) 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죠그·셔틀 스위치 (1) 는,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 (12, 13) 의 조작으로 각각 고유의 펄스신호를 발신하여, 정보의 입력을 콘트롤하도록 한 일종의 로터리 스위치이고, 이 경우, 상기 제 1 회로부 (제 1 회로기판 (3) 과 제 1 접동자 (5)) 에서는, 예를 들면, 비디오의 재생시의 재생 등과 같은 미소한 이동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펄스신호를 발생시켜, 상기 제 2 회로부 (제 2 회로기판 (4) 과 제 2 접동자 (6)) 에서는, 빨리감기 재생 등과 같은 대량 이동에 대한 정보를 입력하는데 사용되는 펄스신호를 발생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다음으로, 마우스 (14) 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마우스 (14) 를 손으로 쥐어, 볼의 회전운동에 맞춰 평면상을 이동시키면, 상기 X 축 및 Y 축 좌표정보입력부 (도시생략) 에 의해, 컴퓨터에 접속된 모니터 (도시생략) 의 화면 상에서 커서 등의 화상대상물을 X-Y 평면상에서 움직이기 위한 X 축 및 Y 축 좌표정보가 입력된다. 여기에서, 상기 화상대상물이 화면 상의 희망한 위치에 이동했을 때,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 (16a, 16b) 를 누름 (또는 떼어냄) 으로써 상기 누름버튼 스위치 (16a, 16b) 가 온 (또는 오프) 되어, 컴퓨터에 다음의 지시가 전달된다.
다음에, 상기 화상대상물을 상기 X-Y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Z축 좌표정보나, 화면을 상하, 좌우로 스크롤시키는 지시를 입력시키는 경우에는, 상기 죠그·셔틀 스위치 (1) 를 조작시킴으로써 행한다.
이 경우에, 상기 죠그·셔틀 스위치 (1) 를 조작하는 방향 (회전방향) 과 그 거리 (회전펄스수) 가 검지되어, 이들의 검지정보가 상기 화상대상물을 X-Y 평면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움직이기 위한 Z축 좌표정보로서, 또는 화상을 스크롤시키는 정보로서, 컴퓨터에 입력되는 것으로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기 죠그·셔틀 스위치 (1) 는, 상기 제 1 조작부 (12) 와 제 2 조작부 (13) 가, 상기 광체 (15) 의 측면부로부터 돌출되어 지지됨과 동시에, 동일방향으로부터의 조작이 가능하도록 상기 광체 (15) 의 측면부에 병렬하여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손의 엄지손가락 하나의 회전조작으로 필요한 정보의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작자의 손가락의 이동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장치본체로의 입력조작부의 배치자유도가 넓어짐으로써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상기 제 1 조작부 (12) 의 조작면 (12c) 을 경사면부로 하고, 상기 제 2 조작부 (13) 의 조작면 (13b) 과는 그 형상을 이형으로 했기 때문에, 조작시의 손가락의 촉감에 의해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 (12, 13) 의 식별이 가능하여, 확실한 조작이 가능해져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상기 제 1 조작부 (12) 의 상면의 노출평면부에는, 사람의 손각락으로 조작하기 위한 조작용 오목부 (12d) 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디자인에 따라서는, 상면과 측면의 양방으로부터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복합조작 스위치는, 제 1 및 제 2 의 조작부에 형성된 조작면이, 동일방향으로부터 조작가능하도록 하우징의 축선방향으로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손가락의 엄지손가락 하나의 회전조작으로 필요한 정보의 입력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여, 조작자의 손가락의 이동을 작게 할 수 있다. 또, 장치본체로의 입력조작부의 배치자유도가 넓어짐으로써 장치의 소형화가 가능해진다.
또, 제 1 및 제 2 조작부의 어느 하나의 일방의 조작면에는, 손가락의 촉감에 의해 조작부의 식별이 가능한 조작부 식별수단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조작시의 손가락의 촉감에 의해 제 1 및 제 2 조작부의 식별이 가능하여, 확실한 조작이 가능해져, 조작성이 향상된다.
또, 조작부 식별수단은, 조작면을 경사단면으로 하여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구조를 복잡하게 하지않고 간이한 구조에서의 조작부의 식별이 가능해진다.
또, 조작부 식별수단이, 조작면에 형성된 요철부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더욱 확실한 조작이 가능해진다.
또, 제 1 및 제 2 조작부 중, 하우징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상기 조작부에는, 하우징의 축선반향과 직교하는 노출평면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장치의 디자인에 따라서는, 상면과 측면의 양방으로부터의 조작이 가능해진다.

Claims (5)

  1. 하우징과, 이 하우징내에 배설되어, 복수의 회로패턴이 형성된 제 1 및 제 2 회로기판과, 상기 제 1 및 제 2 회로기판과의 대향면에 복수의 접동자가 형성되어 상기 하우징에 동축선상에서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제 1 및 제 2 회전조작체와, 이 제 1 및 제 2 회전조작체에 형성된 제 1 및 제 2 조작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에 형성된 조작면은, 동일방향으로부터 조작가능하도록 상기 하우징의 축선방향으로 병렬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스위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의 어느 하나 일방의 상기 조작면에는, 손가락의 감촉에 의해 상기 조작부의 식별이 가능한 조작부 식별수단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스위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식별수단은, 상기 조작면을 경사면부로 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스위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부 식별수단이, 상기 조작면에 형성된 요철부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스위치.
  5. 제 1 항 내지 제 4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및 제 2 조작부 중, 상기 하우징으로부터 먼 위치에 있는 상기 조작부에는, 상기 하우징의 축선방향과 직교하는 노출평면부에,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합조작스위치.
KR1020000027377A 1999-05-24 2000-05-22 복합조작스위치 KR10033989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43427 1999-05-24
JP11143427A JP2000331566A (ja) 1999-05-24 1999-05-24 複合操作スイッ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959A true KR20010014959A (ko) 2001-02-26
KR100339897B1 KR100339897B1 (ko) 2002-06-10

Family

ID=153384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7377A KR100339897B1 (ko) 1999-05-24 2000-05-22 복합조작스위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00331566A (ko)
KR (1) KR100339897B1 (ko)
CN (1) CN1253906C (ko)
TW (1) TW459257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4035960B4 (de) * 2004-07-23 2013-02-28 Preh Gmbh Drehsteller
JP2006086048A (ja) * 2004-09-17 2006-03-30 Olympus Corp 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9897B1 (ko) 2002-06-10
TW459257B (en) 2001-10-11
JP2000331566A (ja) 2000-11-30
CN1253906C (zh) 2006-04-26
CN1274936A (zh) 2000-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42529B2 (ja) 座標入力装置
EP1073004B1 (en) Electronic device with trackball user input
JP2004070654A (ja) 携帯用電子機器
KR100339897B1 (ko) 복합조작스위치
JPH0714475A (ja) 多方向入力装置
JP4913673B2 (ja) 多方向操作スイッチ
JPH02234215A (ja) Xy座標入力装置
JPH04148408A (ja) キースイツチおよびキーボード入力装置
JP3701861B2 (ja) エンコーダ
JPH086709A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並びに情報処理装置の情報入力装置並びに携帯型情報処理端末装置
JPH0423028A (ja) 組合せデータ入力装置及び入力方法
JP4022304B2 (ja) 座標入力装置
JP2006318687A (ja) 方向入力装置
JPH03266018A (ja) コンピュータ用入力装置
JPH02234216A (ja) Xy座標入力装置
JP2008217676A (ja) 入力装置、入力方法
JPH0378016A (ja) X―y方向入力装置
JPH02234212A (ja) Xy座標入力装置
JP2001142613A (ja) 入力装置
JPH02280220A (ja) マウス装置
JPH02234214A (ja) Xy座標入力装置
JPH04123433U (ja) マウス
JP2003167672A (ja) 入力装置
JP2004334290A (ja) 入力装置
JP2004334291A (ja) 入力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0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