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0014826A - 내부 자기 실드를 갖는 음극선관 - Google Patents

내부 자기 실드를 갖는 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0014826A
KR20010014826A KR1020000022074A KR20000022074A KR20010014826A KR 20010014826 A KR20010014826 A KR 20010014826A KR 1020000022074 A KR1020000022074 A KR 1020000022074A KR 20000022074 A KR20000022074 A KR 20000022074A KR 20010014826 A KR20010014826 A KR 200100148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nges
pair
shield
ray tube
cathode r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2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이바라노부미쯔
가마다아끼히로
모로하시다까시
Original Assignee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네꼬 히사시, 닛본 덴기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가네꼬 히사시
Publication of KR200100148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1482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03Arrangements for eliminating unwanted electromagnetic effects, e.g. demagnetisation arrangements, shielding coi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229/00Details of cathode ray tubes or electron beam tubes
    • H01J2229/863Passive shielding means associated with the vessel
    • H01J2229/8634Magnetic shield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보정하는 내부 자기 실드를 갖춘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음극선관은 진공 용기와 내부 자기 실드를 포함한다. 용기는 페이스 패널, 전자총,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 비임이 관통하는 전자 비임 경로를 구비한다. 용기내에서 패널과 전자총의 사이에 위치한 실드는 사각뿔 절두체 형상을 갖는 중공 본체와, 한쌍의 플랜지들을 구비한다. 본체는 전자총측에 위치한 제1 개구와 패널측에 위치한 제2 개구를 갖는다. 본체는 전자 비임이 패널을 향해 제1 개구, 본체의 내부 및 제2 개구를 통해 관통하기 위해 경로를 둘러싸도록 위치한다. 플랜지 쌍은 제1 개구의 부근에서 본체에 고정되고 경로를 통해 서로 대향하도록 내향 돌출한다. 용기내 발생되는 편향 자계는 플랜지 쌍을 향해 끌어당겨진다.

Description

내부 자기 실드를 갖는 음극선관{CATHODE-RAY TUBE WITH INTERNAL MAGNETIC SHIELD}
본 발명은 칼라 음극선관(CRT)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크린상의 핀쿠션(pincushion) 또는 배럴(barrel) 형상의 래스터(raster) 왜곡의 보정을 용이하게 하는 내부 자기 실드를 구비한 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칼라 음극선관은 지자기 및 주변 회로로부터 유이된 자기에 기인하여 원하지 않는 외부 자계로부터 전자 비임의 경로를 자기적으로 차폐하기 위해 내부 자기 실드를 포함한다. 금속 플레이트 또는 플레이트들로 형성된 중공 부품인 내부 자기 실드는 사각뿔 절두체 형상을 갖는다. 실드는 페이스 패널측에 하부 개구를 구비하고 전자총측상에 상부 개구를 갖는다.
이전에는, 전자총측의 실드의 개구는 실드가 편향 요크에 의해 발생된 자계를 차단하지 않는 적절한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는 실드 또는 스크린이 요크에 의해 발생된 자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한편, 최근에는 요크에 의해 발생된 자계의 일부가 실드 내부를 적극적으로 관통하도록 사용됨으로써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보정한다. 예를 들면, 이러한 기술은 1994년에 발행된, 무심사된 일본 특허 공보 제6-310047호와, 1995년에 발행된 일본 특허 공보 제7-105863호 와, 1996년에 발행된 일본 특허 공보 제8-171866호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일본 특허 공보 제6-310047호와 일본 특허 공보 제7-105863호 에 기재된 종래 기술의 내부 자기 실드에 있어서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의 보정 효과가 불충분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보 제8-171866호에 기재된 종래 기술의 내부 자기 실등에 있어서는, 플랜지가 깔때기부 내벽 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전자총측 개구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플랜지가 깔때기부 내벽에 접촉할 가능성이 플랜지의 증가하는 높이(즉, 돌출된 길이)와 함께 커진다. 플랜지가 내벽과 접촉하면, 내벽에 코팅된 흑연층이 접촉 위치에서 박리되거나 벗겨질 수 있다.
결론적으로, 플랜지들의 높이는 제한되어, 그 결과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이 충분하게 보정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효율적으로 보정하는 내부 자기 실드를 갖춘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렴 영향을 저지하거나 수렴 에러를 보정하여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보정할 수 있게 한 내부 자기 실드를 갖춘 음극선관을 제공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기재하지 않은 다른 목적들과 함께 상기 목적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당업자에게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음극선관은, 내부에 페이스 패널과 전자총을 갖고,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 비임이 관통하는 전자 비임 경로를 갖는 진공 용기와, 상기 진공 용기내에서 상기 패널과 상기 전자총 사이에 위치하고, 사각뿔 절두체의 형상을 갖는 중공 본체와 한쌍의 플랜지들을 구비하는 내부 자기 실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자총측에 위치하는 제1 개구와 상기 패널측에 위치하는 제2 개구를 갖고, 상기 전자 비임이 상기 패널을 향해 상기 제1 개구, 상기 본체의 내부 및 상기 제2 개구를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자 비임 경로를 둘러싸기 위해 위치하고, 상기 플랜지 쌍은 상기 제1 개구의 부근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전자 비임 경로를 통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내향 돌출하고, 상기 용기내에 발생되는 편향 자계는 상기 플랜지 쌍을 향해 끌어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내부 자기 실드는 본체의 제1 개구 부근에서 본체에 고정된 플랜지 쌍을 포함한다. 플랜지 쌍은 진공 용기에서 전자 비임 경로를 통해 서로 내향하도록 돌출한다. 용기에서 발생된 편향 자계는 플랜지 쌍을 향해 끌어당겨진다.
따라서, 용기내의 편향 자계는 자계의 끌어당김에 의해 용기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확장된다. 이러한 자계의 확장은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일으키는 편향 자계의 요소를 약화시킴으로써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보정한다.
또한, 플랜지 쌍은 진공 용기내 전자 비임 경로를 통해 서로 대향하도록 내향 돌출하기 때문에, 편향 자계의 확장 효과는 커진다. 따라서,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감도는 향상된다.
더욱이, 플랜지 쌍이 용기의 내벽과 접촉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플랜지 상의 돌출 높이 또는 길이의 만족스러운 값이 보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이 효과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더욱이, 편향 자계의 요소를 약화시키는 효과가 강하고, 이와 동시에 플랜지 쌍의 돌출 높이 또는 길이가 소망한대로 크게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플랜지 쌍의 형상 및 형태가 선택적으로 설계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플랜지 쌍의 형상을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수렴에 대한 영향이 저지되거나 수렴 에러가 보정되면서 보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랜지 쌍은 용기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열되고 길이 방향의 축에 수직이다. 플랜지 쌍을 향해 끌어당겨지는 편향 자계는 수직하게 편향된 자계이다. 본 실시예에서, 음극선관의 스크린의 상하측 단부의 영역에서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효과적으로 보정될 수 있는 부가적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랜지 쌍의 돌출 높이는 플랜지 쌍이 연장하는 방향을 따라 변한다. 본 실시예에서, 편향 자계를 끌어당기는 효과는 국부적으로 제어될 수 있으므로,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의 보정 수준이 미세하게 또는 지속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랜지 쌍은 직사각형, 사다리꼴, 원호형 및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형상을 갖는다. 본 실시예에서, 플랜지 쌍의 형상은 간단하기 때문에, 편향 자계를 끌어당기는 효과는 컴퓨터를 사용하여 용이하게 시뮬레이션될 수 있고, 실드의 설계 및 실험 제작을 위해 필요한 기간이 단축될 수 있다는 부가적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랜지 쌍은 실드의 본체와 일체로 되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 플랜지 쌍이 본체의 일부분을 간단히 절곡시킴으로써 구현될 수 있기 때문에, 실드가 용이하게 제작될 수 있고, 이로써, 그 비용이 낮아질 수 있다는 부가적인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극선관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플랜지 쌍은 실드의 본체로부터 분리하도록 형성된 다음, 본체에 고정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아래와 같은 부가적인 이점들이 있다.
첫째, 본체에 플랜지 쌍의 고정 위치를 조정함으로써, 편향 자계를 끌어당기는 효과가 있고, 이로써,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의 보정 수준이 미세하게 조정될 수 있다.
둘째, 플랜지 쌍의 실드의 본체로부터 분리하여 제작될 수 있기 때문에, 플랜지 쌍의 형상은 복잡하게 제작될 수 있다. 따라서, 편향 자계를 끌어당기는 효과는 용이하게 조절될 수 있으며, 이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보다 효과적으로 보정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의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단면도.
도2는 도1의 제1 실시예에 따라 음극선관의 내부 자기 실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서 사용되는 내부 자기 실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서 사용되는 내부 자기 실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서 사용되는 내부 자기 실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서 사용되는 내부 자기 실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서 사용되는 내부 자기 실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서 사용되는 내부 자기 실드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20, 30, 40, 50, 60, 70 : 내부 자기 실드
11, 21, 31, 41, 51, 61, 71 : 플랜지
12 : 절결부
80 : 음극선관
81 : 페이스 패널
82 : 스커트
83 : 깔때기부
84 : 형광체
85 : 전자총
86 : 전자 비임
87 : 칼라 선별 전극
88 : 편향 요크
89 : 프레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80)은 유리로 제조된 진공 용기(90)를 포함한다. 진공 용기(90)의 내부에는 특정된 고부피 상태로 유지된다. 용기(90)는 페이스 패널(81), 스커트(82) 및 깔때기부(83)로 이루어진다. 패널(81)은 거의 직사각형이고 거의 평평하다. 음극선관(80)의 스크린이 패널(81)에 형성된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음극선관(80)은 패널(81)에 직각인 길이 방향의 축을 갖는다. 여기에서 길이 방향의 축은 Z 축으로 정의된다. 또한, X 축은 Z 축에 대해 직각인 방향으로 측방으로 연장하도록 정의된다. Y 축은 Z 축에 직각인 방향으로 수직하게 확장하도록 정의된다. 패널(81)은 도1에서 X 및 Y 축에 의해 형성된 X-Y 평면에 위치한다.
패널(81)의 상단부(81a) 및 하단부(81b)는 Y 축을 따라 Z 축으로부터 수직하게 이격 위치한다. 패널(81)의 좌우 단부(미도시함)는 X 축을 따라 Z 축으로부터 측방으로 이격 위치한다.
스커트(82)는 패널(81)과 일체로 형성된다. 패널(81)에 대향하는 스커트(82)의 개구단부는 깔때기부(83)의 대응 개구 단부에 연결된다. 거의 원뿔형인 깔때기부(83)는 패널(81)의 대향 단부에서 튜브형의 목부(83a)를 갖는다.
패널(81)의 내면에는 형광체 스크린(84)이 형성된다. 레드, 그린, 블루의 형광 물질이 전체 스크린(84)상에 규칙적으로 배열되어 있다.
용기(90)에서, 칼라 선별 전극(87)들이 패널(81)의 부근에 스크린(84)에 대향하도록 위치한다. 전극(87)들은 스크린(84)에 전자 비임(86)을 선별적으로 관통하도록 전자 비임(86)을 허용하는 다수의 구멍들을 갖는다.
내부 자기 실드(10)는 불필요한 외부 자계 또는 자계들을 차폐 또는 차단하기 위해서 깔때기부(83)내에 위치한다. 실드(10)는 전자 비임(86)이 스크린(84)으로 통과하는 상부 개구(13f)와 하부 개구(13e)를 가지고, 상부 개구(13f) 및 하부 개구(13e)는 Z 축을 따라 정렬된다. 실드(10)는 깔때기부(83)의 내벽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실드(10)는 칼라 선별 전극(87)을 따라 거의 직사각형을 갖는 프레임(89)에 고정된다. 프레임(89)은 지지 부재에 의해 스커트(82)의 내벽에 고정된다.
목부(83a)에서, 전자총(85)이 그린(G), 블루(B) 및 레드(R)의 3개의 전자 비임(86)들을 방출하도록 제공된다. 편향 요크(88)가 깔때기부(83)의 부분을 감싸도록 목부(83a)의 외측에 제공된다. 전자총(85)으로부터 방출된 전자 비임(86)은 요크(88)에 의해 발생된 수평 및 수직 자계들에 의해 편향되어 전체 형광체 스크린(84)에 주사된다. 이와 같이 주사된 비임(86)은 칼라 선별 전극(87)을 통해 이동한 다음, 형광체 스크린(84)에서 G, B 및 R 칼라의 형광 물질들에 선별적으로 충돌한다. 따라서, 입력 신호에 따라 스크린(84)에 화상이 형성되고, 페이스 페널(81)을 통해 시청자가 보게 된다.
도2는 내부 자기 실드(1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드(10)의 상부는 전자총(85)측에 위치해 있고, 실드(10)의 하부는 패이스 패널(81)측에 위치한다. 실드(10)의 길이 방향의 축은 Z축과 동축이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실드(10)는 사각뿔 절두체와 같은 형상의 본체(13)를 포함한다. 본체(13)는 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진 4개의 측판(13a, 13b, 13c, 13d)에 의해 형성된다. 플레이트(13a, 13c)는 사다리꼴과 동일한 형상을 갖는다. 플레이트(13b, 13d)는 거의 사다리꼴과 동일한 형상을 가진다. 플레이트(13b, 13d)는 그 상단부에 V자 형상의 절결부(12)를 갖는다. 4개의 플레이트(13a, 13b, 13c, 13d)의 하부 가장자리(13aa, 13ba, 13ca, 13da)는 거의 직사각형의 하부 개구(13e)를 형성한다. 4개의 플레이트(13a, 13b, 13c, 13d)의 상부 가장자리(13ab, 13bb, 13cb, 13da)는 거의 직사각형의 상부 개구(13f)를 형성한다. 하부 개구(13e)는 상부 개구(13f)보다 크다.
플레이트(13b, 13d)의 절결부(12)은 이미 알려진바 대로 지자기로 인한 전자빔(86)의 오류 랜딩 작용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용기(90)에서, 실드(10)는 다음의 방식으로 고정된다. 상세하게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13a, 13c)는 상하측에 각각 위치한다. 플레이트(13b, 13d)는 좌우측에 각각 위치한다. 상부 개구(13f)는 전자총(85)측에 위치하고, 하부 개구(13e)는 페이스 패널(81)측에 위치한다. 플레이트(13a, 13c)는 X축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된다. 플레이트(13b, 13d)는 Y축을 따라 수직하게 연장된다.
플레이트 (13a, 13c)는 Y축을 따라 진행하는 수직 자계를 차단 또는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플레이트(13b, 13d)는 X축을 따라 수평 자계를 차단 또는 차폐하는 역할을 한다.
한 쌍의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된 플랜지(11)는 각각 플레이트 (13a, 13c)의 상부 가장자리(13ab, 13cd)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플랜지(11)들은 전체 가장자리(13ab, 13cb)에 존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11)들은 그 단부 위치를 제외한 가장자리(13ab, 13cb)에 존재한다. 플랜지(11)는 본체(13)의 길이 방향의 축을 향하여 상부 개구(13f)에 돌출된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11)는 가장자리(13ab, 13cb)로부터 내향 돌출한다. 용기(90)에서, 플랜지(11)들은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Z축에 대해 거의 수직하도록 위치하고 Y축을 따라 서로 대향하고 있다.
한 쌍의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된 플랜지(14a, 14b)는 플레이트(13b)의 V 자형상의 가장자리(13bb)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플랜지 (14a, 14b)는 전체 가장자리(13bb)에 존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이들은 그 중심 및 단부 위치를 제외한 가장자리(13bb)에 존재한다. 플랜지(14a, 14b)는 본체(13)의 길이 방향의 축을 향하여 상부 개구(13f)에 돌출된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14a, 14b)는 가장자리(13bb)로부터 내향 돌출한다.
한 쌍의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으로 된 플랜지(14a', 14b')는 플레이트(13d)의 V 자형상의 가장자리(13db)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플랜지(14a', 14b')는 전체 가장자리(13db)에 존재하지 않는다. 다시 말하면 이들은 그 중심 및 단부 위치를 제외한 가장자리(13db)에 존재한다. 플랜지(14a', 14b')는 본체(13)의 길이 방향의 축을 향하여 상부 개구(13f)에 돌출된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14a', 14b')는 가장자리(13db)로부터 내향 돌출한다.
용기(90)에서, 플랜지(14a, 14a')는 Z축에 거의 수직하도록 위치하고, X축을 따라 서로 대향한다. 유사하게, 플랜지(14b, 14b')도 Z축에 거의 수직으로 위치하도록 위치하고 X축을 따라 서로 대향한다.
여기에서, 플랜지(11, 14a, 14b, 14a', 14b')는 본체(13)과 일체로 되도록 절곡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11, 14a, 14b, 14a', 14b')는 본체(13)와 동일한 자성 금속으로 이루어져 있다.
도1 및 도2에서 도시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80)에 있어서는, 상술한 바와 같이, 내부 자기 실드(10)는 상부 개구(13f) 부근의 상부 가장자리(13ab, 13cb)에서 본체(13)에 고정된 자기 플랜지(11) 쌍을 포함한다. 플랜지(11) 쌍은 진공 용기(90)내에 있는 전자 빔 경로를 통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내향 돌출한다. 플랜지(11) 쌍은 Y축을 따라 수직으로 돌출하고 X축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용기(90)에서 발생된 편향 자계는 전자 비임(86)을 주사하기 위한 편향 요크(88)에 의해 발생되며, 플랜지(11) 쌍을 향하여 끌어당겨진다.
따라서, 편향 자계는 자계의 유인에 기인하여 용기(90)의 길이 방향의 축(즉, Z축)을 따라 확장된다. 이러한 자계의 확장은 핀쿠션 또는 배럴상의 래스터 왜곡을 일으키는 편향 자계의 요소를 약화시킴으로써, 스크린의 상하측 단부에서 일어나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보정한다.
또한, 플랜지(11) 쌍은 진공 용기(90)내에 있는 전자 빔 경로를 통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내향 돌출하기 때문에, 편향 자계를 확장하기 위한 영향이 강화된다. 따라서,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보정하기 위한 감도가 향상된다.
더욱이, 플랜지(11) 쌍은 용기(90)의 내벽과 접촉될 가능성이 없기 때문에, 플랜지(11) 쌍의 돌출 높이나 길이의 만족스러운 값이 보장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도1 및 도2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 (80)에 있어서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효율적으로 보정할 수 잇다.
더욱이, 편향된 자계 요소를 약하게 하는 효과는 강해지고, 이와 동시에, 플랜지(11) 쌍의 돌출 높이 또는 길이는 소정의 크기로 설정될 수 있다. 이는 플랜지(11)의 형상 및 형태가 선택적으로 설계될 수 있는, 다시 말하면, 플랜지(11)의 높이(H) 또는 길이(L)가 원하는 대로 설정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플랜지(11) 쌍의 형상 및/또는 크기를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수렴 에러가 보정되면서 효과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더욱이, 제1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80)에 있어서, 내부 자기 실드(10)는 상부 개구(13f)의 상부 가장자리(13bb, 13db)에서 본체(13)에 고정된 자기 플랜지(14a, 14b, 14a', 14b') 쌍들을 더 포함한다. 자기 플랜지(14a, 14a') 쌍은 진공 용기(90)의 전자 비임 경로를 통해 서로 대향하도록 내향 돌출된다. 자기 플랜지(14b, 14b') 쌍은 진공 용기(90)의 전자 비임 경로를 통해 서로 대향하도록 내향 돌출된다. 플랜지(14a, 14b, 14a', 14b')들은 X 축을 따라 수평으로 돌출하고 Y 축을 따라 수직으로 연장한다. 따라서, 용기(90)에서 발생되는 편향된 자계는 플랜지(14a, 14b, 14a', 14b')들을 향하여 끌어당겨진다.
따라서, 편향된 자계는 자계의 끌어당김에 기인하여 용기(90)의 길이 방향의 축(즉, Z 축)을 따라 확장된다. 이러한 자계의 확장은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일으키는 편향된 자계의 요소를 약화시킴으로써, 스크린의 좌우측 단부 영역에서 일어나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보정한다.
제2 실시예
도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 사용된 내부 자기 실드(2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실드(20)는 도1 및 도2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80)에서 사용된 실드(10)의 플랜지(14a, 14b, 14a', 14b')들을 제거함으로써 얻어진 것과 일치한다. 제2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은 실드(10) 대신에 실드(20)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도1의 음극선관(8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3에서 제1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임으로써 본 명세서의 간단화를 위해 생략한다.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자기 실드(20)는 측판(13a, 13c)의 상부 가장자리(13ab, 13cb)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플랜지(21)를 갖는다. 플랜지(21)는 본체(13)의 길이 방향의 축(즉, Z 축)을 향해 상부 개구(13f)에 돌출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21)들은 가장자리(13ab, 13cb)로부터 내향 돌출된다. 용기(90)에서, 플랜지(21)들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Z 축에 거의 수직하게 위치하고 Y 축을 따라 서로 대향해 있다.
플랜지(21)들은 본체(13)와 일체로 되도록 절곡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21)들은 본체(13)와 동일한 자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제1 실시예의 플랜지(11)들과 달리, 플랜지(21)들은 각각 전체 가장자리(13ab, 13cb)에 존재한다. 이는 플랜지(14a, 14b, 14a', 14b')들이 제2 실시예에서는 생략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플랜지(21)들은 전체 가장자리(13ab, 13cb)에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3에 도시된 내부 자기 실드(20)를 사용하는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실드(20)는 상부 개구(13f) 부근의 상부 가장자리(13ab, 13cb)에서 본체(13)에 고정된다. 플랜지(21) 쌍은 진공 용기(90)에서 진자 비임 경로를 통해 서로 대향하도록 내향 돌출한다. 플랜지(21) 쌍은 Y 축을 따라 수직하게 돌출하고 X 축을 따라 수평하게 연장한다. 따라서, 전자 비임(86)을 주사하기 위해 편향 요크(88)에 의해 발생되는, 용기(90)에서 발생된 편향된 자계는 플랜지(21) 쌍을 향해 끌어당겨진다. 따라서, 편향된 자계는 용기(90)의 길이 방향의 축(즉, Z 축)을 따라 확장된다.
결과적으로, 제1 실시예에 따른 실드(10)와 동일한 방식으로, 스크린의 상하측 단부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플랜지(21) 쌍이 용기(90)의 내벽과 접촉하는 어떠한 가능성도 없이 효과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더욱이, 플랜지(21)의 높이(H) 및 길이(L)는 소망한 대로 설정될 수 있기 때문에, 수렴 에러가 플랜지(21)들의 높이(H) 및 길이(L)를 적절하게 설계함으로써 보정되면서,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이 효과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점을 확인하기 위해, 발명자들은 17 인치 칼라 음극선관을 위해 다음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실드(20)의 플랜지(21)들의 높이(H)는 5 mm 및 10 mm로 설정되었다. 또한, 비교예를 위해 높이(H)가 0 mm로 설정되었는데, 이는 플랜지(21)들이 생략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경우에, 비교예와 비교해 보면, 스크린의 상하측 단부의 영역들에서의 래스터 왜곡은 H = 5 mm 및 H = 10 mm에 대해 각각 핀쿠션 형상을 향해 0.6 mm 및 0.8 mm 이동하였다. 이와 동시에, 스크린의 상하측 단부 영역들에서의 수직 라인들의 수렴이 변화하였다. 상세하게는, 레드 수직 라인들의 수렴은 블루 수직 라인에 대해 스크린의 우측을 향하여 각각 0.08 mm 및 0.13 mm 이동하였다.
따라서, 자기 내부 실드(20)을 사용한 제2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의 보정 수준이 수렴 에러를 저지하면서 상승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 사용된 내부 자기 실드(3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실드(30)는 도3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드(20)의 플랜지(21)들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얻어진 것과 일치한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은 실드(10) 대신에 실드(30)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음극선관(8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4에서 제1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임으로써 본 명세서의 간단화를 위해 생략한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자기 실드(30)에서, 한쌍의 플레이트 형상의 플랜지(31)들은 측판(13a, 13c)의 상부 가장자리(13ab, 13cb)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다. 플랜지(31)는 본체(13)의 길이 방향의 축(즉, Z 축)을 향해 상부 개구(13f)에 돌출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31)들은 가장자리(13ab, 13cb)로부터 내향 돌출한다. 용기(90)에서, 플랜지(31)들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Z 축에 거의 수직하도록 위치하고 Y 축을 따라 서로 대향해 있다.
플랜지(31)들은 본체(13)와 일체로 되도록 절곡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31)들은 본체(13)와 동일한 자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제2 실시예의 플랜지(21)들과 같이, 플랜지(31)들은 각각 전체 가장자리(13ab, 13cb)에 존재한다. 이는 플랜지(14a, 14b, 14a', 14b')들이 제3 실시예에서는 생략되기 때문이며, 따라서, 플랜지(31)들은 전체 가장자리(13ab, 13cb)들에 용이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31)들은 거의 원호형이다. 따라서, 플랜지(31)들의 돌출 높이(H)는 그 중심에서 최대이고 점차 감소하여 양 단부에서는 제로로 된다.
도4에 도시된 내부 자기 실드(30)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도2의 제2 실시예와 같이, 스크린의 상하측 양단부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플랜지(31) 쌍이 용기(90)의 내벽과 접촉하는 어떠한 가능성도 없이 효과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또한, 수렴 에러도 보정될 수 있다.
도4의 내부 자기 실드(30)를 사용한 17 인치 칼라 음극선관을 위한 발명자들의 실험에 따르면, 다음의 결과가 주어진다.
실드(20)의 플랜지(31)들의 최대 높이(H)가 5 mm로 설정되었을 때, H = 0 mm인 비교예와 비교해보면, 스크린의 상하측 단부의 영역들에서의 래스터 왜곡은 핀쿠션 형상을 향해 0.7 mm 이동하였다. 이와 동시에, 스크린의 상하측 단부 영역들에서의 수직 라인들의 수렴이 변화하였다. 상세하게는, 블루 수직 라인들의 수렴은 레드 수직 라인에 대해 스크린의 우측을 향하여 0.15 mm 이동하였다.
자기 내부 실드(30)는 원호 형상을 갖는 플랜지(31)들을 구비하기 때문에,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드(20)와는 다른 효과를 제공한다. 상술한 실험 결과를 H = 5 mm 일 때의 제2 실시예에서 얻어진 것과 비교할 때,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에서의 이동값은 제2 실시예에서의 0.6 mm의 값과 거의 동일한 0.7 mm이다. 반대로, 수렴에서의 이동값은 0.15 mm로서, 이는 제2 실시예에서의 0.08 mm의 값과는 매우 다르다. 따라서, 다음의 사실이 발견될 수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실드(30)에 있어서는, 플랜지(31)들의 높이(H)의 값을 조정함으로써, 수렴의 이동값은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의 변경이 저지되면서 증가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수렴 에러가 보정되면서 보정될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5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 사용된 내부 자기 실드(4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실드(40)는 도3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드(20)의 플랜지(21)들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얻어진 것과 일치한다. 제4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은 실드(10) 대신에 실드(40)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음극선관(8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5에서 제1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임으로써 본 명세서의 간단화를 위해 생략한다.
도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자기 실드(40)는 측판(13a, 13c)의 상부 가장자리(13ab, 13cb)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플레이트 형상의 플랜지(41)들을 구비한다. 플랜지(41)들은 본체(13)의 길이 방향의 축(즉, Z 축)을 향해 상부 개구(13f)에 돌출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41)들은 가장자리(13ab, 13cb)로부터 내향 돌출한다. 용기(90)에서, 플랜지(41)들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Z 축에 거의 수직하도록 위치하고 Y 축을 따라 서로 대향해 있다.
제2 실시예의 플랜지(21)들과 같이, 플랜지(41)들은 각각 전체 가장자리(13ab, 13cb)에 존재한다. 플랜지(41)들은 본체(13)와 일체로 되도록 절곡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41)들은 본체(13)와 동일한 자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도5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41)들의 형상은 그 길이 방향의 중심에서 V 자 절결부를 갖는 거의 직사각형이다. 따라서, 플랜지(41)들은 그 중심에서 높이(H1)을 갖고, 양 단부 부근에서 높이(H2)를 가지며, H1은 H2보다 작다.
도5에 도시된 내부 자기 실드(40)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도2의 제2 실시예와 같이, 스크린의 상하측 단부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플랜지(41) 쌍이 용기(90)의 내벽과 접촉하는 어떠한 가능성도 없이 효과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또한, 수렴 에러도 보정될 수 있다.
플랜지(41)들의 형상 또는 서로 다른 높이(H1, H2)들로 인해, 스크린의 상하측 단부의 영역들에서 발생되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배럴 형상을 향해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블루 수직 라인들이 레드 수직 라인들에 대해 스크린의 우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수렴이 변경된다. 이는 다음의 이유 때문이다.
플랜지(41) 쌍은 플랜지(41) 쌍을 향해 편향 요크(88)에 의해 용기(90)내에 발생되는 편향 자계를 끌어당기기 때문에, 플랜지(41)들의 부근에서 존재하는 편향 자계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Z 축(즉, 페이스 패널(82)을 향해)을 따라 확장된다. 자계의 확장은 전자 비임(86)의 편향 수준을 감소시킨다. 즉, 편향 감도가 감소된다. 이와 동시에,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유인하는 편향 자계의 요소가 약화된다.
스크린의 중심 수직 축의 단부들의 부근에서, 편향 자계의 요소의 약화에 기인하여,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플랜지(41)들이 생략된 경우에 비교하여 핀쿠션 형상을 향해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블루 수직 라인들이 레드 수직 라인들에 대해 스크린의 우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수렴이 변경된다.
한편, 스크린의 대각선의 단부들의 부근에서, 플랜지(41)들의 단부의 높이(H2)는 중심부에서의 높이(H1)보다 크므로, 편향 감도의 저수준은 스크린의 중심 수직축 부근에서의 것보다 크다. 결과적으로, 전자 비임(86)의 편향 양은 스크린의 중심 수직축 부근에서의 것보다 작다. 따라서,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배럴 형상을 향해 이동된다. 수렴은 블루 수직 라인들이 레드 수직 라인들에 대해 스크린의 우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변경되는데, 이는 스크린의 중심 수직축의 단부들 부근에서 주어진 것과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4 실시예에 따른 실드(40)를 갖는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이 도3의 제2 실시예의 대향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렴 에러의 보정의 극성에 대한 래스터 왜곡의 보정의 극성은 제2 실시예에서 주어진 것과 다르게 될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6은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 사용된 내부 자기 실드(5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실드(50)는 도3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드(20)에서 플랜지(21)들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얻어진 것과 일치한다. 제5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은 실드(10) 대신에 실드(50)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음극선관(8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6에서 제1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임으로써 본 명세서의 간단화를 위해 생략한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자기 실드(50)는 측판(13a, 13c)의 상부 가장자리(13ab, 13cb)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플레이트 형상의 플랜지(51)들을 구비한다. 플랜지(51)들은 본체(13)의 길이 방향의 축(즉, Z 축)을 향해 상부 개구(13f)에 돌출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51)들은 가장자리(13ab, 13cb)로부터 내향 돌출한다. 용기(90)에서, 플랜지(51)들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Z 축에 거의 수직하도록 위치하고 Y 축을 따라 서로 대향해 있다.
제2 실시예의 플랜지(21)들과 같이, 플랜지(51)들은 각각 전체 가장자리(13ab, 13cb)에 존재한다. 플랜지(51)들은 본체(13)와 일체로 되도록 절곡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51)들은 본체(13)와 동일한 자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51)들의 형상은 거의 사다리꼴이다. 따라서, 플랜지(51)들은 그 중심에서 높이(H1)을 갖고, 그 단부 부근에서 높이(H2)를 가지며, H1은 H2보다 크다.
도6에 도시된 내부 자기 실드(50)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도2의 제2 실시예와 같이, 스크린의 상하측 단부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플랜지(51) 쌍이 용기(90)의 내벽과 접촉하는 어떠한 가능성도 없이 효과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또한, 수렴 에러도 보정될 수 있다.
플랜지(41)들의 형상 또는 서로 다른 높이(H1, H2)들로 인해, 스크린의 상하측 단부의 영역들에서 발생되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핀쿠션 형상을 향해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블루 수직 라인들이 스크린상의 레드 수직 라인들에 대해 스크린의 우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수렴이 변경된다. 이는 다음의 이유 때문이다.
플랜지(51) 쌍은 플랜지(51) 쌍을 향해 편향 요크(88)에 의해 용기(90)내에 발생되는 편향 자계를 끌어당기기 때문에, 플랜지(51)들의 부근에서 존재하는 편향 자계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한 방식으로 Z 축을 따라 확장된다. 자계의 확장은 전자 비임(86)의 편향 수준을 감소시킨다. 즉, 편향 감도는 감소된다. 이와 동시에,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유인하는 편향 자계의 요소가 약화된다.
스크린의 중심 수직 축의 단부들의 부근에서, 편향 자계의 요소의 약화에 기인하여,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플랜지(51)들이 생략된 경우에 비교하여 핀쿠션 형상을 향해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블루 수직 라인들이 레드 수직 라인들에 대해 스크린의 우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수렴이 변경된다.
한편, 스크린의 대각선의 단부들의 부근에서, 플랜지(51)들의 단부의 높이(H2)는 중심부에서의 높이(H1)보다 작으므로, 편향 감도의 저수준은 스크린의 중심 수직축 부근에서의 것보다 작다. 결과적으로, 전자 비임(86)의 편향 양은 스크린의 중심 수직축 부근에서의 것보다 크다. 따라서, 총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배럴 형상을 향해 이동된다. 수렴은 블루 수직 라인들이 레드 수직 라인들에 대해 스크린의 우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변경되는데, 이는 스크린의 중심 수직축의 단부들 부근에서 주어진 것과 동일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5 실시예에 따른 실드(50)를 갖는 음극선관에 있어서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이 도5의 제4 실시예의 대향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수렴 에러의 보정의 극성에 대한 래스터 왜곡의 보정의 극성은 제4 실시예에서 주어진 것과 다르게 될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7은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 사용된 내부 자기 실드(6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실드(60)는 도3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드(20)에서 플랜지(21)들의 형상을 변경함으로써 얻어진 것과 일치한다. 제6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은 실드(10) 대신에 실드(60)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음극선관(8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7에서 제1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임으로써 본 명세서의 간단화를 위해 생략한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자기 실드(60)는 측판(13a, 13c)의 상부 가장자리(13ab, 13cb)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플레이트 형상의 플랜지(61)들을 구비한다. 플랜지(61)들은 본체(13)의 길이 방향의 축(즉, Z 축)을 향해 상부 개구(13f)에 돌출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61)들은 가장자리(13ab, 13cb)로부터 내향 돌출한다. 용기(90)에서, 플랜지(61)들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Z 축에 거의 수직하도록 위치하고 Y 축을 따라 서로 대향해 있다.
제2 실시예의 플랜지(21)들과 같이, 플랜지(61)들은 각각 전체 가장자리(13ab, 13cb)에 존재한다. 플랜지(61)들은 본체(13)와 일체로 되도록 절곡 공정에 의해 형성된다. 따라서, 플랜지(61)들은 본체(13)와 동일한 자성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랜지(61)들의 형상은 거의 2등변 삼각형이다. 따라서, 플랜지(61)들은 그 중심에서 높이(H)를 갖는다.
도7에 도시된 내부 자기 실드(60)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도2의 제2 실시예와 같이, 스크린의 상하측 단부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플랜지(51) 쌍이 용기(90)의 내벽과 접촉하는 어떠한 가능성도 없이 효과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또한, 수렴 에러도 보정될 수 있다.
도6의 제4 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크린의 상하측 단부의 영역들에서 발생되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핀쿠션 형상을 향해 이동하고, 이와 동시에, 블루 수직 라인들이 레드 수직 라인들에 대해 스크린의 우측을 향하여 이동하는 방식으로 수렴이 변경된다.
상술한 제2 내지 제6 실시예에서, 플랜지(20, 30, 40, 50, 60) 쌍은 단순하 기하학적 형상을 가지고, 이로써, 편향 요크(88)에 의해 편향 자계를 끌어당기기 위한 효과는 사전에 컴퓨터에 의해 시뮬레이션될 수 있다. 따라서, 시행 착오 방식과 같은 설계 및 시험 제조는 불필요하고, 설계 및 시험 제조에 필요한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제1 내지 제6 실시예에서, 플랜지(20, 30, 40, 50, 60) 쌍들은 본체(13)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이들은 본체(13)를 위해 플레이트 형상의 재료를 간단히 절곡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고, 이로써, 생산성을 향상시키고 제조 원가를 낮춘다.
제7 실시예
도8은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 사용된 내부 자기 실드(70)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실드(70)는 플랜지(21) 쌍이 플랜지(71) 쌍과 교체된 것을 제외하고는 도3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실드(10)와 일치한다. 제7 실시예에 따른 음극선관은 실드(10) 대신에 실드(70)가 사용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음극선관(80)과 동일한 구성을 갖는다. 따라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도8에서 제1 실시예에 사용된 것과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 동일한 참조 부호를 붙임으로써 본 명세서의 간단화를 위해 생략한다.
도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내부 자기 실드(70)는 상부 가장자리(13ab, 13cb)들 부근의 측판(13a, 13c)의 내벽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형성된 한쌍의 직사각형 플레이트 형상의 플랜지(71)들을 구비한다. 플랜지(71)들은 본체(13)의 길이 방향의 축(즉, Z 축)을 향해 상부 개구(13f)에 돌출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플랜지(71)들은 가장자리(13ab, 13cb)로부터 내향 돌출한다. 용기(90)에서, 플랜지(71)들은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Z 축에 거의 수직하도록 위치하고 Y 축을 따라 서로 대향해 있다.
제2 실시예의 플랜지(21)들과 같이, 플랜지(71)들은 각각 전체 가장자리(13ab, 13cb)를 따라 연장한다. 플랜지(71)들은 측판(13a, 13b, 13c, 13d)으로부터 분리 형성된 다음에, 플레이트(13a, 13c)들의 내벽에 각각 고정된다. 여기에서, 플랜지(71)들은 본체(13)의 것과 동일한 자성 재료로 이루어진다.
도8에 도시된 내부 자기 실드(70)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제7 실시예에 따른 칼라 음극선관에 있어서, 도2의 제2 실시예와 같이, 스크린의 상하측 단부의 영역에서 발생하는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은 플랜지(71) 쌍이 용기(90)의 내벽과 접촉하는 어떠한 가능성도 없이 효과적으로 보정될 수 있다. 또한, 수렴 에러도 보정될 수 있다.
도3의 제2 실시예에서와 달리, 플랜지(71)들은 측판(13a, 13b, 13c, 13d)으로부터 분리 형성된 다음에, 용접 등에 의해 플레이트(13a, 13c)들의 내벽에 각각 고정된다. 따라서, 플레이트(13a, 13c)들에 대한 고정 공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플랜지(71)들의 위치가 음극선관들의 길이 방향의 축(즉, Z 축)을 따라 조정될 수 있고, 이로써,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의 보정 수준 또는 양을 지속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플랜지(71)들은 제7 실시예에서 직사각형 형상을 갖지만, 이들은 제3 내지 제6 실시예들에서 사용된 어떠한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은 물론이다. 더욱이, 플랜지(71)들의 형상으로서, 절곡식 스트립 형상 등의 복잡한 형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의 보정 수준 또는 양이 보다 효과적으로 될 수 있다.
변형예
본 발명은 상술한 제1 내지 제7 실시예들에서 칼라 음극선관에 적용되지만, 흑백 음극선관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내부 자기 실드의 플랜지들은 도2 내지 도8에 도시된 것과 임의의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는 것이 명백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형태가 기재되는 중에, 수정은 본 발명의 사상에 일탈됨이 없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해지는 것으로 이해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청구범위에 의해서만 결정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내부 자기 실드의 전자총 측 개구부 부근의 편향 요크 자계의 유인 효과를 높여, 핀쿠션 또는 배럴 형상의 래스터 왜곡을 효과적으로 보정할 수 있는 플랜지 구조를 실현할 수 있다.

Claims (7)

  1. 내부에 페이스 패널과 전자총을 갖고, 상기 전자총으로부터 방출된 전자 비임이 관통하는 전자 비임 경로를 갖는 진공 용기와,
    상기 진공 용기내에서 상기 패널과 상기 전자총 사이에 위치하고, 사각뿔 절두체의 형상을 갖는 중공 본체와 한쌍의 플랜지들을 구비하는 내부 자기 실드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자총측에 위치하는 제1 개구와 상기 패널측에 위치하는 제2 개구를 갖고, 상기 전자 비임이 상기 패널을 향해 상기 제1 개구, 상기 본체의 내부 및 상기 제2 개구를 관통하도록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자 비임 경로를 둘러싸기 위해 위치하고,
    상기 플랜지 쌍은 상기 제1 개구의 부근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고 상기 전자 비임 경로를 통하여 서로 대향하도록 내향 돌출하고,
    상기 용기내에 발생되는 편향 자계는 상기 플랜지 쌍을 향해 끌어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쌍은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의 축을 따라 연장하도록 배열되고 상기 길이 방향의 축에 수직하고,
    상기 플랜지 쌍을 향해 끌어당겨지는 상기 편향 자계는 수직하게 편향된 자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쌍의 돌출 높이는 상기 플랜지 쌍이 연장하는 방향으로 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쌍은 직사각형, 사다리꼴, 원호형 및 삼각형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쌍은 상기 실드의 상기 본체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 쌍은 상기 실드의 상기 본체로부터 분리하도록 형성된 다음,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극선관.
  7. 음극선관을 위해 사용되는 내부 자기 실드에 있어서,
    사각뿔 절두체의 형상을 갖고, 전자총측에 위치한 제1 개구와 페이스 페널측에 위치한 제2 개구를 갖는 중공 본체와,
    상기 제1 개구 부근에서 상기 본체에 고정되는 한쌍의 플랜지들을 포함하고,
    상기 본체는 상기 전자총에서 방출된 상기 전자 비임이 상기 패널을 향해 상기 제1 개구, 상기 본체의 내부 및 상기 제2 개구를 관통하기 위해 상기 전자 비임 경로를 둘러싸도록 위치하고,
    상기 플랜지 쌍은 상기 경로를 통해 서로 대향하도록 내향 돌출되고,
    상기 음극선관의 용기내에 발생된 편향 자계는 상기 플랜지 쌍에 의해 끌어당겨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부 자기 실드.
KR1020000022074A 1999-04-26 2000-04-26 내부 자기 실드를 갖는 음극선관 KR200100148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9-117795 1999-04-26
JP11117795A JP2000311620A (ja) 1999-04-26 1999-04-26 内部磁気シールドおよびカラー陰極線管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14826A true KR20010014826A (ko) 2001-02-26

Family

ID=147204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2074A KR20010014826A (ko) 1999-04-26 2000-04-26 내부 자기 실드를 갖는 음극선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2000311620A (ko)
KR (1) KR20010014826A (ko)
TW (1) TW463198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381B1 (ko) * 2004-10-04 2007-02-20 양태식 회전식 전기 구이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46582B1 (ko) * 2002-09-26 2008-07-1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음극선관용 이너쉴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7345A (en) * 1980-04-17 1981-11-16 Toshiba Corp Color picture tube
JPH03187131A (ja) * 1989-12-15 1991-08-15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EP0503709A2 (en) * 1991-03-08 1992-09-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lour display tube having an internal magnetic shield
US5363010A (en) * 1991-04-29 1994-11-08 U.S. Philips Corporation Color display tube having an internal magnetic shield
KR19990026470A (ko) * 1997-09-24 1999-04-15 손욱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6147345A (en) * 1980-04-17 1981-11-16 Toshiba Corp Color picture tube
JPH03187131A (ja) * 1989-12-15 1991-08-15 Toshiba Corp カラー受像管
EP0503709A2 (en) * 1991-03-08 1992-09-16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Colour display tube having an internal magnetic shield
US5363010A (en) * 1991-04-29 1994-11-08 U.S. Philips Corporation Color display tube having an internal magnetic shield
KR19990026470A (ko) * 1997-09-24 1999-04-15 손욱 음극선관용 인너실드와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4381B1 (ko) * 2004-10-04 2007-02-20 양태식 회전식 전기 구이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63198B (en) 2001-11-11
JP2000311620A (ja) 2000-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3822B1 (ko) 컬러음극선관
KR100432059B1 (ko) 칼라음극선관장치
KR100253060B1 (ko) 내부자기시일드를 가지는 컬러음극선관
KR20010014826A (ko) 내부 자기 실드를 갖는 음극선관
US6731056B2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electron gun
EP0467332B1 (en) Color cathode-ray tube apparatus
KR910010100B1 (ko) 컬러음극선관
US6229254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internal magnetic shield
EP0634772B1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reduced halo
US5861710A (en) Color cathode ray tube with reduced moire
US4983995A (en) Exposure device for forming phosphor deposited screen in in-line cathode ray tube
US20010026119A1 (en) Cathode ray tube for achieving small electron beam landing deviation
JPH06310047A (ja) 陰極線管
KR100434321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JP3015471B2 (ja) カラー受像管装置
KR100814868B1 (ko) 외부 자기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쉴드부재를 구비한음극선관
KR100596234B1 (ko)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1450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CN1015766B (zh) 具有改进型荫罩架组件的彩色显象管
JP4022378B2 (ja) 陰極線管
JPH09245662A (ja) 陰極線管およびその電子銃組立て治具
KR20020046996A (ko) 음극선관
JPH02142034A (ja) 陰極線管装置
JPH0562948U (ja) カラー陰極線管
JP2001292458A (ja) カラー陰極線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