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10100B1 - 컬러음극선관 - Google Patents

컬러음극선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10100B1
KR910010100B1 KR1019880015338A KR880015338A KR910010100B1 KR 910010100 B1 KR910010100 B1 KR 910010100B1 KR 1019880015338 A KR1019880015338 A KR 1019880015338A KR 880015338 A KR880015338 A KR 880015338A KR 910010100 B1 KR910010100 B1 KR 9100101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cathode ray
ray tube
color cathode
long si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15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0991A (ko
Inventor
가즈히로 지하라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시기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314438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5703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314440A external-priority patent/JP2526948B2/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기 가부시끼가이샤, 시기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기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09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09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101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01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 H01J29/06Screens for shielding; Masks interposed in the electron stre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86Vessels; Containers; Vacuum locks
    • H01J29/867Means associated with the outside of the vessel for shielding, e.g. magnetic shiel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JELECTRIC DISCHARGE TUBES OR DISCHARGE LAMPS
    • H01J29/00Details of cathode-ray tubes or of electron-beam tubes of the types covered by group H01J31/00
    • H01J29/02Electrodes; Screens; Mounting, supporting, spacing or insulating thereof

Landscapes

  • Electrodes For Cathode-Ray Tubes (AREA)
  • Video Image Reproduction Devices For Color Tv Syste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컬러음극선관
제1도는 종래의 컬러음극선관의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
제2도는 종래의 컬러음극선관의 외부자기실드의 형상을 도시한 분해사시도.
제3도는 전자빔에 대한 지자기의 영향을 설명하기 위한 형광면의 정면도.
제4도는 스트라이프형상 형광면의 구성을 도시한 일부 확대도.
제5도는 종래예의 자속분포의 제1상한을 도시한 정면도.
제6도는 제7도는 각각 제안된 다른 자기 소거수단을 도시한 도면.
제8도는 컬러음극선관의 관축방향 외부자계의 영향에 의한 화면상의 빔이동방향을 도시한 도면.
제9도는 빔 이동량과 보정효과를 도시한 특성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의 주요부인 외부자기 실드를 도시한 사시도.
제11도는 제1실시예의 자계분포의 제1상한을 도시한 정면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13도는 제2실시예의 외부자계에 의한 자속분포를 도시한 일부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바깥둘레진공기 1a : 패널부
1b : 퍼넬부 5 : 내부자기실드
7 : 외부 자기실드 7a : 긴변측 연장부
7b : 짧은 변측 연장부 7c : 대각측 연장부
7d : 절단부
본 발명은 오이부자기실드(shield)를 갖는 컬러음극선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컬러음극선관의 동작중에 있어서, 전자빔은 편향요크의 자계이외에 외부표유제계, 예를 들면 지자기나 텔레비젼 수상기에 조립된 전자회로에서 발생하는 불필요한 자계등의 영향을 받아 편향 오동작을 하여 바라지 않는 형광체를 발광시켜서 색순도의 저하등의 바람직하지 않는 결과를 초래하고 있었다.
이와같은 외부표유자계의 영향을 제거하기 위해서 통상 컬러음극선관의 퍼넬(funnel)의 바깥둘레부를 둘러싸는 철판이나 규소강판등으로 제작한 외부자기실드를 마련하던가 또는 실드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 컬러음극선관의 퍼넬내에 철판이나 규소강판등으로 제작한 내부 자기실드를 마련하던가, 실드효과를 최대로 하기 위해서 외부자기실드와 내부자기실드를 병설하고 있었다.
이와같은 종래의 컬러음극선관중, 내부자기실드와 외부자기실드를 병설한 컬러음극선관을 도면에 따라 설명한다.
제1도는 종래의 컬러음극선관의 일부를 절단한 측면도, 제2도는 분해사시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컬러음극선관의 바깥둘레의 진공기를 구성하고 있는 관체로서, 내면에 형광면(9)가 형성된 퍼널부(1a)와 이 퍼널부(1a)의 바깥둘레 끝에 프릿 글라스등을 사용해서 녹여붙인 퍼넬부(1b)와 이 퍼넬부(1b)에 일체로 형성되어 있는 네크부(1c)로 구성되어 있다. (2)는 개구형 마스크로써, 일정패턴으로 형성된 다수의 미세한 구멍(10)을 갖고, 패널부(1a)의 형광면(9)에 대향해서 소정의 간극(20)을 유지하여 배치되어 있고, 컬러음극선관의 색선택작용을 한다. (3)은 환형의 프레임으로써, 판두께 1∼2mm의 자성금속제로 형성되고, 개구형 마스크(2)를 그 둘레끝에서 유지한다.
(4)는 판형상의 탄성부재로 한쪽끝이 프레임(3)에 고착되고 다른쪽끝은 패널부(1a)의 측벽에 설치된 핀(도시하지 않음)에 끼워 맞추어져 개구형 마스크(2)를 관체(1)내의 소정위치에 유지한다. (5)는 퍼넬부(1b)의 내면에 따라서 배치된 내부자기실드로써, 판두께 0.1∼0.2mm의 자성금속판으로 전자빔(8)의 주행로를 덮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앞가장자리부가 프레임(3)에 고착되어 유지되어 있다. (7)은 외부자기실드로서, 자성금속판에 의해 퍼넬부(1b)에서 이것에 계속되는 패널부(1a) 측면의 전방까지를 일체로 둘러싸는 연장부(7a)를 마련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컬러음극선관을 동작시키면 네크부(1c)에 수용된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8)이 개구형 마스크(2)의 미세한 구멍(10)을 통하여 패널부(1a)에 형성된 형광면(9)에 충돌해서 형광면(9)를 발광시킨다. 여기서 제3도에 의해 컬러음극선관을 동E, 서W, 남S, 북N의 각각의 방향을 향해서 설치했을 때 전자빔(8)의 형광면(9)상에서의 충돌점이 지자기의 존재에 의해서 어떠한 영향(편향)을 받는가를 설명한다.
제3도에 있어서, (9)는 패널부(1a)측에서 본 형광면, a∼i는 지자기가 존재하지 않을 때의 전자빔(8)의 각대표 충돌점, 즉 전자빔(8)이 본래 충돌해야할 바람직한 점이다. 또, 각 충돌점 a∼i에서 부호 E,W,S,N으로 표시된 각 벡터는 컬러음극선관을 각각 동,서,남,북방향으로 향해서 설치했을 때 각 충돌점 a∼i에 각각 충돌 해야할 전자빔(8)이 지자기의 영향을 받아서 이동하는 방향과 그 크기를 표시하고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지구의 북극 근방에는 자석으로서의 S극이 존재하고, 남극근방에는 N극이 존재하고 있으므로 남에서 북으로 향한 지자기의 자계가 존재하고 있다.
그 때문에,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광면(9)에 대한 지자기의 자계방향은 컬러음극선관에 동쪽방향으로 설치했을 때에는 화살표 E방향(도면의 오른쪽 방향), 서쪽방향일때에는 화살표W 방향(도면의 왼쪽방향), 남쪽방향일 때에는 ⓧ S방향(도면에 수직으로 향하는 방향), 북쪽방향일 때에는 ⊙ N방향(도면에 수직으로 바로 앞쪽방향)으로 된다.
또, 전자빔(8)은 형광면(9)의 중앙점, 즉 점e에서 수직선 상에서 배치된 전자총에설 형광면(9)을 향해서 발사되어 편향요크의 자계로 편향되어서 형광면(9)상을 수평주사함과 동시에, 수직주사해서 전면주사하므로 플레밍의 왼손의 법칙에서도 명확한 바와 같이 제3도와 같이 전자빔(8)이 각각 도시하는 벡터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컬러음극선관을 동쪽 또는 서쪽방향으로 향해서 설치한 경우 전자빔(8)은 형광면(9)의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고, 남쪽 또는 북쪽방향으로 향해서 설치한 경우에는 점e를 중심으로 하는 원의 접선방향에 도시하는 방향으로 이동한다.
제4도는 스트라이프형상의 형광면(9)의 일부확대도로써, B는 청색형광체 열, R은 적색형광체 열, G는 녹색형광체 열이다. 개구형 마스크(2)에 형성되어 있는 미세한 구멍(10)은 1조의 형광체 열 B,R,G에 각각 대응하고 있고, 전자총에서 발사된 전자빔(8)은 개구형 마스크(2)의 미세한 구멍(10)을 통해서 대응하는 형광체 열B,R또는 G에 충돌하여 바라는 색을 발광시킨다.
그러나, 이와같은 스트라이프형상의 형광면(9)를 갖는 컬러음극선관에 있어서는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각 전자빔(8)이 지자기의 영향을 받아서 상하방향으로 이동하여도 같은 색의 형광체 열에 반드시 충돌하므로 색순도의 저하를 야기시키는 일은 없다.
그런데,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종래의 형의 외부자기실드(7)은 장방형이므로 실제로 컬러음극선관을 동쪽 또는 서쪽방향으로 향해서 설치한 경우 외부자기실드(7)의 대각부에서 자속의 난조가 생긴다. 제5도는 종래의 형의 외부자기실드(7)을 동쪽 또는 서쪽방상으로 향해서 설치했을 때의 자속의 분포상태를 제1상한에 대해서 도시한 정면도이다. 동일 도면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동쪽 또는 서쪽방향으로 향해서 설치하여 지자기에 의한 자계를 인가한 경우 그 자속(11)은 도면의 좌우방향으로 흐른다.
이 경우 외부자기실드(7)의 짧은 변측 연장부(7b)의 대각부 부근에 집속되는 자속(11)은 외부자기실드(7)의 긴변측 연장부(7a)의 대각부 부근으로 향해서 누설자속(12a)로써 방출되고, 재차 자기저항이 작은 외부자기실드(7)의 긴변측 연장부(7a)로도 흐른다. 그러나,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패널(1a)의 형광면(9)와 개구형 마스크(2)의 간극(20)에는 자기실드가 없으므로 방출된 누설자속(12a)는 대각부 부근을 통과하는 전자빔(8)에 큰 영향을 주어 색순도가 저하한다.
또, 제2도의 종래형의 외부자기실드(7)에는 컬러음극선관을 수상기 본체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30)을 통하게 하기 위해서 긴변측 연장부(7a)에 절단부(7e)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단부(7e)에서 새로운 누설자속(12b)가 발생한다. 이 누설자속(12b)는 누설자속(12a)와 마찬가지로 개구형 마스크(2)를 통과해서 형광면(9)에 충돌하는 전자빔(8)에 악 영향을 크게 주어 색순도를 저하시킨다.
최근, 컬러음극선관이 대형화하여 간극(20)의 길이도 크게되어 있고, 예를 들면 대략 장방형의 형광면(9)를 갖는 37인치, 110도 편향의 컬러음극선관에서는 간극(20)이 50mm정도로 되고, 제3도에 도시하는 충돌점 a,c,g,i에서의 수평방향의 전자빔의 이동량은 동서방향의 자계를 0.8G 변화시켰을 때에 148㎛로 된다.
이 한계 이동량은 컬러음극선관의 종류에 따라서 다르지만, 37인치, 110도 편향 컬러음극선관에서는 한계 이동량(150㎛)의 값이 실용이 가능한가 아닌가으 기준으로 되는 값이다.
이와같이 종래의 컬러음극선관의 전자빔의 이동량은 실제로 사용되는 한계이동량의 150㎛와 거의 같은 값이고, 제조상 전극(20)의 길이의 불안정으로 전자빔의 이동량 증가에 의한 색순도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전자빔 이동량의 평균값을 작게할 필요가 있다.
또, 외부자계의 소거효율을 높이기 위해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바깥둘레 진공기(1)의 외부에 마련한 외부자기실드판(7)(이하 EMS라 한다)의 긴변측 연장부(7a) 및 짧은 변측 연장부(7b)의 안쪽에 N/S소거코일(13)을 배치한 예가 제안되어 있다.
도면의 형편상 BV 및 E/W용 소거코일은 생략하고 있다. 이 EMS(7)은 내부자기실드를 갖는 컬러음극선관 또는 내부자기실드를 갖지 않은 컬러음극선관과 조합해서 사용할 수 있지만 소거코일(13)이 EMS(7)에 덮어지므로 소거자계는 EMS(7)을 자심으로 해서 요율좋게 컬러음극선관에 가해진다. 따라서 소거효율을 높일 수가 있다.
그러나, 제6도에 도시한 방식의 것은 발생하는 소거자계의 자계분포를 지자기등의 외부자계분포와 일치시키기 힘들고, 따라서 컬러음극선관의 빔이동을 화면의 어느 장소에서도 완전히 없애는 것은 곤란하다.
또, 추가해서 설명하면 지자기등의 외부자계의 영향에 의해 컬러음극선관의 형광면상의 빔위치가 본래위치에서 어긋남이 생기지만 소거코일(13)에 적당한 전류를 흐르게해서 소거자계를 발생시켜도 화면의 어느위치에서 빔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것이 곤란한 것을 알았다.
제7도는 EMS(7)의 안쪽과 바깥쪽의 양쪽에 걸쳐서 자기소거코일(13)을 갖는 것으로써,(7a)는 패널부(1a)의 긴변부 측면과 거의 평행하게 된 긴변측 연장부, (7b)는 마찬가지로 짧은 변측면과 거의 평행하게 된 짧은 변측 연장부, (7e)는 긴변측 연장부(7a)에 관측방향으로 형성된 컬러음극선관을 도시하고 있지 않은 박스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재(30)을 통하게 하기 위한 절단부이다.
이 방식에 있어서는 컬러음극선관의 화면의 각 위치의 외부자계에 의한 빔이동량에 대응해서 소거 보정을 강하게 하고자 하는 부분에 대응한 코일위치에는 소거코일(13)을 EMS(7)의 긴변측 연장부(7a)의 안쪽에 배치하고, 소거보정을 약하게 하고자하는 부분에 대응한 코일위치에서는 소거코일(13)을 EMS(7)의 짧은 변측 연장부(7b)의 바깥쪽에 배치시키는 것에 의해 소거자계분포가 바라는 형상으로 된다.
또, 제8도에서는 관축방향의 자계를 없애기 위한 N/S소거코일(13)에 대해서만 도시하고 있지만, BV 및 E/W자계에 대해서는 연장부(7a)(7b)의 길이를 충분히 길게 해서 패널부의 앞쪽까지 덮은 형상으로 구성하면 실용상 소거코일은 필요없게 된다.
EMS(7)의 긴변측 연장부(7a)에는 관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절단부(7e)가 형성되어 있다. N/S소거코일(13)은 절단부(7e)를 경계로 EMS(7)의 안쪽과 바깥쪽 양쪽에 걸쳐서 감겨져 있다. 컬러음극선관(1)의 화면의 양쪽옆(짧은 변측) 및 코너(대각측)에 해당하는 코일부(13c)(13d)는 EMS(7)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화면의 상하부(긴변측)에 해당하는 코일부(13a)(13b)는 EMS(7)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주지하는 바와 같이 컬러음극선관을 지자기가 존재하는 장소에서 북쪽(N방향)으로 설치하면, 화면상의 형광면빔에는 제8도중에 표시한 화살표와 같은 회전이동이 생겨 색 어긋남이나 래스터회전의 원인으로 된다. 이 빔이동의 정도는 컬러음극선관의 편향각, 인치크기 및 전자총구조등에 의존하지만, 화면상의 장소에 의해서도 이동량은 달라진다. 빔이동의 구체적인 예로써, 형광면의 이동량(미스랜딩량)을 화면의 제1상한에서 제8도중의 T, TTR, TR, TRR, R의 각 점을 대표해서 작성하면 제9도의 곡선a로 된다. 이 예에서는 EMS(2)를 마련한 37인치, 110도 스트라이프형광면 방식의 컬러음극선관에 관측방향으로 0.3G의 지자기를 가하여 자화의 소거를 행한후의 수평방향 빔이동량을 ㎛의 단위로 작성하고 있다.
제9도에 있어서, 곡선 b1은 제6도의 방식에 대응하는 소거보정량, 곡선 b2는 보정부족량을 표시한 것이다.
즉, 제6도에서 도시한 소거코일(13)에 화면코너 TR점의 빔이동이 0으로 되는 전류를 흐르게한 경우 화면 T, TTR점에서는 곡선 b2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대폭적인 보정부족이 생기고, TRR점에서는 대폭적인 보정과다로 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단, 이 경우의 소거보정량의 곡선 b1은 곡선a와는 극성이 역(마이너스) 이것에 주의해야 할 것이다.
이것에 대하여 제7도의 방식에서 소거보정량은 곡선 c1로, 또 소거보정부족량은 c2와 같이 되고, 제6도의 방식의 것은 곡선 b2에 비해서 대폭적인 보정부족량이 감소 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이유는 다음과 같다.
즉, EMS(7)을 자심으로 해서 코일(13)이 안쪽, 즉 컬러음극선관쪽에 있는 경우는 EMS(7) 내부에 큰소거자계가 발생하고, 코일(13)을 바깥쪽에 배치한 경우는 EMS(7)의 부에 큰 소거자계가 발생한다. 다시 말하면, EMS(7)의 바깥쪽에 코일(13)을 배치한 해당 장소에서는 소거자계가 컬러음극선관에 그다지 가해지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제7도의 방식이라도 TTR점에서는 보정부족, TR,TRR점에서는 보정과다로 되는 불균형 상태가 남아 있어 화면의 어느 위치에서도 빔 이동을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가장 좋은 방식은 아니다.
이것은 TTR점에 대응한 위치의 EMS의 긴변측 연장부에 절단부(7e)가 마련되어 있어 이 부분에서 소거효과가 저하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외부자계에 대해서의 소거효율이 좋고, 빔 이동을 화면상의 어느 위치에서도 거의 완전히 억제할 수 있는 컬러음극선관을 얻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서의 주요부인 외부자기실드의 사시도로써, 제2도에 도시한 종래예와 다른 것은 외부자기실드(7)의 대각부에 긴변측 연장부(7a)와 짧은 변측 연장부(7b)를 패널부(1a)의 대각부에 따라서 연결하는 대각측 연장부(7c)를 마련하고, 이 대각측 연장부(7c)에 부착부재(30)을 통하게 하기 위해 절단부(7d)를 마련하고 있는 점이다.
즉, 이 제1실시예의 외부자기실드는 바깥둘레진공기(1)의 퍼넬부(1b)의 바깥면에 따라서 배치되어 이 퍼넬부(1b)를 둘러싸고, 2개의 긴변 벽부와 2개의 짧은 변벽부, 이들 양 벽부간을 연결하고 있는 4개의 대변벽부로 되고, 이 대변벽부와 긴변벽부가 이루는 각도 및 대변벽부와 짧은 변벽부가 이루는 각도는 둔각이고, 패널부(1a)방향에 확장된 형상을 이루는 기저부(7f)와 이 기저부(7f)의 2개의 긴변벽부의 패널부(1a)측의 끝부분에서 각각 연장 굴곡으로 형성되고, 패널부(1a)긴변측의 측벽에 따라서 배치되며, 또한 패널부(1a)앞면에서 돌출한 돌출부를 갖는 2개의 긴변측연장부(7a)와 상기 기저부(7f)의 2개의 짧은 변벽부의 패널부(1a)측의 끝부분에서 각각 연장굴곡으로 형성되고, 패널부(1a)의 짧은 변측의 측벽에 따라서 배치되며, 또한 패널부(1a)앞면에서 돌출한 돌출부를 갖는 2개의 짧은 변측연장부(7b)와 상기 기저부(7f)의 4개의 대변벽부의 패널부(1a)측의 끝부분에서 각각 연장굴곡으로 형성되고, 패널부(1a)의 측벽 모서리부에 따라 배치되며 또한 패널부(1a)앞면에서 돌출한 돌출부를 갖는 것과 동시에, 상기 긴변측 연장부(7a) 및 짧은 변측 연장부(7b)와 이루는 각도가 둔각으로 연결되어 있는 4개의 대각측 연장부(7c)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고, 이 대각측 연장부(7c)에는 바깥둘레진공기(1)의 패널부(1a)의 측벽 모서리부에 마련된 부착부재(30)을 통하게 하기 위한 절단부(7d)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외부자기실드(7)은 철판이나 규소강판등의 자성판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다음에 이 제1실시예의 작용을 제11도에 따라 설명한다.
제11도는 제10도에 도시한 외부자기실드(7)을 장착한 컬러음극선관을 동쪽 또는 서쪽방향으로 향해서 설치했을 때의 자속분포상태의 제1상한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동서방향의 자계를 인가한 경우 그 자속(11)은 외부자기실드(7)의 짧은 변측 연장부(7b)의 대각부 부근으로 집속하는 것은 종래예와 마찬가지이지만, 컬러음극선관의 대각부에 근접해서 외부자기실드(7)의 대각측 연장부(7c)가 존재하므로 이 대각측 연장부(7c)가 자력선의 자기통로가 되어 긴변측 연장부(7a)로 흐른다.
또, 부착부재(30)을 통하게 하기 위한 절단부(7d)는 대각측 연장부(7c)에 마련되어 있으므로 이 절단부(7d)에 누설자속(12c)가 발생하지만, 대각측 연장부(7c)가 자기통로에 적합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5도에 도시한 종래의 외부자기실드(7)의 대각부에서의 누설자속(12a)에 비해서 대단히 적게할 수가 있다.
또한, 긴변측 연장부(7a)에는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지 않으므로 외부자기실드(7)의 대각부에서 긴변부에 걸쳐서 자력선의 유효한 자기통로가 발생하므로 패널부(1a)의 형광면(9)와 개구형 마스크(2)의 간극(20)으로 방출되는 자속을 없앨 수 있다. 따라서 색순도의 저하를 대단히 적게할 수가 있다.
실제로 지자기의 영향을 관찰하기 위해 37인치, 110도 편향의 컬러음극선관을 사용해서 동서방향의 자계를 0.8G변화시킨 경우, 상기 제1실시예의 전자빔 이동량과 제4도에 도시한 종래의 전자빔 이동량의 실측값을 다음의 표에 표시한다.
표중의 관찰점은 제3도에 도시하는 형광면(9)의 제1상한인 오른쪽 상부에서 j점은 b점과 c점의 중간점, k점은 c점과 f점의 중간점, b1,c1,f1,j1,k1은 각각 형광면(9)의 중앙점 e와 각점 b,c,f,j,k의 중간점이다.
[표 1]
Figure kpo00001
상기 표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전자빔의 이동량은 c점에 있어서는 종래예의 약73%로, 또 j점에 있어서는 종래의 약29%로 감소하여 매우 큰 실드 효과가 얻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결국, 이 제1실시예에 있어서는 퍼넬부에서 이것에 계속되는 패널부측면의 앞쪽까지를 일체로 둘러싸는 형상으로한 외부자기실드의 대각부에 바깥둘레진공기의 대각부에 근접해서 긴변측 연장부와 짧은 변측 연장부를 패널의 대각부에 따라서 연결하는 대각측 연장부를 마련한 것이므로 외부표유자계에 의한 색순도의 저하가 적은 컬러음극선관이 얻어지는 효과가 있다.
제1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0도에 도시한 제1실시예에 대해서 N/S소거코일(13)을 외부자기실드(7)에 부착하여 외부자계의 소거효율을 높이도록 한 것이다.
이 소거코일(13)은 절단부(7d)를 경계로해설 외부자기 실드(7)의 안쪽과 바깥쪽의 양쪽에 걸쳐서 감겨져 있고, 바깥둘레진공기(1)의 패널부(1a)의 양측, 즉 짧은 변측 벽부에 위치하는 코일부(13c)(13d)는 자기실드(7)의 짧은 변측 연장부(7d)의 바깥쪽에 배치되고, 패널부(1a)의 상하측, 즉 긴변측 벽부에 위치하는 코일부(13a)(13b)는 자기실드(7)의 긴변측 연장부(7a)의 안쪽에 배치되어 있다.
다음에 제2실시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2도에 도시한 EMS(7)를 장착한 컬러음극선관을 남 또는 북쪽방향으로 향해서 설치하고 관축방향(N/S방향)의 외부자계를 인가한 경우 그 자속은 EMS(7)를 자기통로로 해서 흐른다. 따라서 EMS(7)로 둘러 싸여진 제8도에 도시한 긴변측의 T,TTR점에서의 빔 이동량은 제9도 중의 곡선b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제1도에 도시한 종래의 EMS(7)을 사용한 경우의 곡선a로 표시한 빔 이동량보다 작은 이동량으로 된다.
또, 제8도에 도시한 대각부의 TR점에서의 빔 이동량은 절단부(7d)를 마련한 것에 의해 자기저항이 크게 되어 빔 이동량이 크게되는 방향으로 되지만 EMS(7)에 대각측 연장부(7c)를 형성한 것이므로 빔 이동량을 더욱 적게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 즉, 제1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축방향의 외부자계를 인가한 경우 그 자속(11)은 EMS(7)과 내부자기실드(5) 및 개구형 마스크(2)를 그 둘레끝에서 유지하는 환형의 프레임(3)을 통하는 병렬 자기통로를 통해서 흐른다. EMS(7)내를 흐르는 자력선(14a)는 그 상태대로 EMS(7)의 선단에서 방출된다. 또, IMS(5)를 흐르는 자력선(14b)는 프레임(3)의 앞끝에서 방출되지만 개구형 마스크(2)와 바깥둘레진공기(1)의 패널부(1a)의 내면에 형성된 형광면(9)의 간극(20)의 자기저항이 매우 크기 때문에 그 대부분은 자기 저항이 작은 EMS(7)에 들어가서 EMS(7)의 앞끝에서 방출된다. 따라서 프레임(3)의 앞끝에서 방출되는 자력선(14b)중 개구형 마스크(2)의 둘레로 들어가는 자력선을 매우 적게할 수 있으므로 개구형 마스크(2)의 미세한 구멍(10)을 통과하는 전자빔(15)에 주는 영향을 작게할 수가 있다.
제7도에 도시한 종래예의 EMS(7)의 대각부는 긴변측 연장부(7a)와 짧은 변측 연장부(7b)가 대략 직각으로 교차하고 있으므로 바깥둘레진공기(1)의 대각부와의 사이에 간극이 생겨 큰 자기 저항부를 갖고 있었다. 제12도에 도시한 이 제2실시예의 EMS(7)에서는 바깥둘레진공기(1)의 패널부(1a)의 대각부의 외벽에 따른 가까운 위치에 EMS(7)의 대각측 연장부(7c)를 마련하였으므로 바깥둘레진공기(1)의 대각부에서의 빔 이동량은 제9도의 곡선 a의 TR점에 표시한 값과 같은 정도의 빔 이동량으로 된다.
이것을 소거보정하면 그 보정량은 제9도에 도시한 곡선 c1이므로 소거보정 부족량은 곡선 c3으로 된다. 즉, 제8도에 도시된 TR 및 TTR점을 과보정 상태로 할 수가 있다. 따라서, 화면의 어느위치에서도 약간의 과보정 상태이므로 소거코일(13)으로 흐르게 하는 전류를 미소 조정하는 정도로서 빔 이동을 거의 완전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결국, 이 제2실시예로서는 긴변측 연장부와 짧은 변측 연장부 및 이들 양쪽 연장부를 바깥둘레진공기의 패널부 측면에 따라서 연결하는 절단부가 형성되어 있는 대각측 연장부를 갖고, 상기 바깥둘레진공기의 퍼넬부에서 이것에 계속되는 패널부 측면의 앞쪽까지를 일체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된 EMS와 이 EMS의 긴변측 연장부의 안쪽과 짧은 변측 연장부의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감겨진 소거코일을 마련하고 있으므로 소거코일에 흐르는 소거 전류값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 전면에 걸쳐서 과부족이 없는 소거자계분포가 얻어져 이상적인 외부의 불필요한 자기소거 효과가 얻어진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스트라이프 형광면을 가진 컬러 브라운관에 대해서 설명을 하였지만, 도트구조 형광면의 컬러 브라운관에 대해서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외부의 불필요한 자계가 교번자계 AC의 경우는 그것에 대응한 교류소거 전류를 통전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대형의 컬러음극선관을 예로 해서 설명했지만 소형의 컬러음극선관으로서는 외부자기실드(7)에 바깥둘레진공기(1)내사이에 접착수지를 유입시켜서 고착하고, 컬러음극선관의 박스로의 부착은 외부자기실드에 마련한 부착부재를 거쳐서 장착하는 구성으로 하여도 좋고, 제1실시예에 있어서 이경우는 대각측 연장부(7c)에 절단부(7d)를 형성할 필요는 없으며, 이 절단부(7d)의 유무는 자기실드 효과에 특별한 영향을 주지 않는다.

Claims (14)

  1. 내면에 형광면(9)가 형성되어 있는 패널부(1a) 및 상기 패널부와 둘레에서 접합된 퍼넬부(1b)를 갖는 바깥둘레진공기(1), 상기 바깥둘레진공기내에 상기 형광면과 대향해서 배선된 개구형 마스크(2), 자성판으로 되어 상기 패널부(1a)의 긴변부 측면과 평행한 긴변측 연장부(7a), 상기 패널부의 짧은 변부 측면과 평행한 짧은 변측 연장부(7b) 및 상기 패널부의 대각부 측면에 따라서 상기 긴변측 연장부와 짧은 변측 연장부를 연결하는 대각측 연장부(7c)를 가지며, 또한 이들의 연장부는 상기 바깥둘레진공기(1)의 퍼낼부(1b)에서 패널부(1a)측면까지를 일체로 둘러싼 형상으로 형성된 외부자기실드(7)를 구비한 컬러음극선관.
  2.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컬러음극선관을 박스에 부착시키기 위한 부착부재(30)을 통하는 절단부가 상기 외부자기실드(7)의 대각측연장부(7c)에 관축방향으로 연장하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컬러음극선관.
  3.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기실드(7)은 바깥둘레진공기와의 사이에 유입된 접착수지에 의해 바깥둘레진공기에 고착되어 있는 컬러음극선관.
  4.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 있어서, 컬러음극선관을 박스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30)이 상기 외부자기실드(7)에 마련되어 있는 컬러음극선관.
  5.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기실드(7)의 긴변측 연장부(7a), 짧은 변측연장부(7b) 및 대각측 연장부(7c)는 상기 바깥둘레진공기의 패널부(1a)앞면보다 돌출한 위치까지 연장하고 있는 컬러음극선관.
  6. 내면에 형광면(9)가 형성되어 있는 패널부(1a) 및 상기 패널부와 둘레에서 접합된 퍼넬부(1b)를 갖는 바깥진공기(1), 상기 바깥둘레진공기내에 상기 형광면과 대향해서 배설된 개구형 마스크(2), 상기 퍼넬부의 긴변부 측면에 따라서 배치된 긴변측 기저부(7f) 및 상기 긴변측 기저부에서 상기 패널부의 긴변부 측면에 따라서 배치된 긴변측 연장부(7a)로 되고 자성재료로된 긴변부, 상기 퍼넬부의 짧은 변측면에 따라서 배치된 짧은 변측 기저부와 상기 짧은 변측 기저부에서 상기 패널부의 짧은 변부 측면에 따라서 배치된 짧은 변측 연장부로 되고 자성재료로된 짧은 변부 및 상기 퍼넬부와 패널부의 측면모서리부에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긴변부 및 짧은 변부와 둔각을 이루어 결합하고, 상기 바깥둘레진공기측에 누설되는 자기를 통하게 하기 위해 마련된 대변부를 갖는 외부자기실드(7)을 구비한 컬러음극선관.
  7.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기실드(7)은 그 긴변부, 짧은 변부 및 대변부가 바깥둘레진공기의 패널부(1a)앞면보다 돌출하고 있는 컬러음극선관.
  8. 특허청구의 범위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대변부의 패널부 측면 모서리부에 따른 위치에 상기 패널부 측면 모서리부에 마련된 부착부재(30)을 위한 절단부(7d)가 형성되어 있는 컬러음극선관.
  9. 내면에 형광면(9)가 형성되어 있는 패널부(1a) 및 상기 패널부와 둘레에서 접합된 퍼넬부(1b)를 갖는 바깥둘레진공기(1), 상기 바깥둘레진공기내에 상기 형광면과 대향해서 배설된 개구형 마스크(2), 자성판으로 되고 상기 패널부의 긴변부측면과 평행한 긴변측 연장부(7a), 상기 패널부의 짧은 변부측면과 평행한 짧은 변측 연장부(7b) 및 상기 패널부의 대각부 측면에 따라서 상기 긴변측 연장부와 짧은 변측 연장부를 연결하는 대각측 연장부(7c)를 가지며 또한 이들의 연장부는 상기 바깥둘레진공기(1)의 퍼넬부(1b)에서 패널부(1a)측면까지를 일체로 둘러싸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동시에 상기 대각측 연장부에 관축방향으로 연장하는 절단부(7d)가 형성되어 있는 외부자기실드(7), 상기 외부자기실드(7)의 절단부(7d)를 통해서 긴변측 연장부(7a)에서는 안쪽에, 짧은 변측 연장부에서는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감겨진 자기소거코일(13)을 구비한 컬러음극선관.
  10. 특허청구의 범위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둘레진공기(1)의 패널부(1a)의 대각부 측면에 컬러음극선관을 박스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3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부착부재가 상기 외부자기실드(7)의 대각부측 연장부(7c)에 형성된 절단부(7d)에 삽입되어 있는 컬러음극선관.
  11. 특허청구의 범위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기실드(7)의 긴변측 연장부(7a), 짧은 변측연장부(7b) 및 대각측 연장부(7c)는 상기 바깥둘레진공기의 패널부 앞면보다 돌출한 위치까지 연장하고 있는 컬러음극선관.
  12. 내면에 형광면이 형성되어 있는 패널부 및 상기 패널부와 둘레에서 접합된 퍼넬부를 갖는 바깥둘레진공기(1), 상기 바깥둘레진공기내에 상기 형광면과 대향해서 배설된 개구형 마스크(2), 상기 퍼넬부의 긴변부 측면에 따라서 배치된 긴변측 기저부와 상기 긴변 기저부에서 상기 패널부의 긴변부 측면에 따라서 배치된 긴변측 연장부로 되고 자성재료로된 긴변부, 상기 퍼넬부의 짧은 변측면에 따라서 배치된 짧은 변측 기저부와 상기 짧은 변측 기저부에서 상기 패널부의 짧은 변부 측면에 따라서 배치된 짧은 변측 연장부로 되고 자성 재료로 된 짧은 변부 및 상기 퍼넬부와 패널부의 측면 모서리부에 따라서 배치되고, 상기 긴변부 및 짧은 변부와 둔각을 이루어 결합하고, 상기 바깥둘레진공기측에 누설되는 자기를 통하게 하기 위해 마련됨과 동시에 절단부가 형성된 대변부를 갖는 외부자기실드(7), 상기 외부자기실드의 절단부를 통해서 긴변측 연장부에서는 안쪽에, 짧은변측 연장부에서는 바깥쪽에 위치하도록 상기 외부자기실드에 감겨진 자기소거코일(13)에 구비한 컬러음극선관.
  13. 특허청구의 범위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자기실드(7)은 그 긴변부, 짧은 변부 및 대변부가 상기 바깥둘레진공기의 패널부 앞면보다 둘출하고 있는 컬러음극선관.
  14. 특허청구의 범위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바깥둘레진공기의 패널부의 측면모서리부에 컬러음극선관을 박스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재(30)이 마련되어 있고, 상기 부착부재가 대변부에 형성된 절단부(7d)에 삽입되어 있는 컬러음극선관.
KR1019880015338A 1987-12-11 1988-11-22 컬러음극선관 KR9100101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62-314440 1987-12-11
JP62-314438 1987-12-11
JP62314438A JPH01157034A (ja) 1987-12-11 1987-12-11 カラー陰極線管
JP62314440A JP2526948B2 (ja) 1987-12-11 1987-12-11 カラ―陰極線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0991A KR890010991A (ko) 1989-08-11
KR910010100B1 true KR910010100B1 (ko) 1991-12-16

Family

ID=26567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15338A KR910010100B1 (ko) 1987-12-11 1988-11-22 컬러음극선관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4949008A (ko)
KR (1) KR910010100B1 (ko)
DE (1) DE384159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205661A (ja) * 1992-01-24 1993-08-13 Hitachi Ltd Crtディスプレイ装置
KR100210501B1 (ko) * 1995-11-08 1999-07-15 손욱 자기 차폐 음극선관
IT1318959B1 (it) 2000-10-03 2003-09-19 Videocolor Spa Schermatura magnetica laterale per tubi a raggi catodici a colori.
US6737796B2 (en) * 2001-05-04 2004-05-18 Thomson Licensing S. A. Cathode-ray tube mounting apparatus
KR100778499B1 (ko) * 2001-05-18 2007-11-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지자기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을 방지하기 위한수단을 갖는 음극선관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56166A (ja) * 1984-12-28 1986-07-15 Toshiba Corp 現像剤補給装置
KR900001701B1 (ko) * 1985-03-20 1990-03-19 미쯔비시 뎅기 가부시끼가이샤 칼라음극선관
JPS6285592A (ja) * 1985-10-09 1987-04-20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ブラウン管
JPS61264992A (ja) * 1985-05-20 1986-11-22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テレビジヨン受像機
US4943755A (en) * 1985-05-20 1990-07-2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agnetic shielding with constant-current coils for CRT
JPS61289787A (ja) * 1985-06-17 1986-12-19 Mitsubishi Electric Corp カラ−テレビジヨン受像機
JPS6264084A (ja) * 1985-09-13 1987-03-20 日本特殊陶業株式会社 点火プラグ
JPS63221790A (ja) * 1987-03-11 1988-09-14 Sony Corp 陰極線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49008A (en) 1990-08-14
DE3841591A1 (de) 1989-06-29
KR890010991A (ko) 1989-08-11
DE3841591C2 (de) 1994-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10100B1 (ko) 컬러음극선관
JP3153597B2 (ja) カラー受像管
KR900001701B1 (ko) 칼라음극선관
US5336963A (en) Color cathode-ray tube
US6229254B1 (en) Color cathode ray tube having an improved internal magnetic shield
KR100778500B1 (ko) 지자기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을 방지하기 위한수단을 갖는 음극선관
KR100778499B1 (ko) 지자기에 의한 전자빔의 미스 랜딩을 방지하기 위한수단을 갖는 음극선관
KR100778494B1 (ko) 음극선관용 인너 실드
JPH0737228Y2 (ja) カラー陰極線管
JPH0927281A (ja) カラー受像管
JP3978220B2 (ja) 陰極線管
KR100846582B1 (ko) 음극선관용 이너쉴드
US20020070658A1 (en) Shrinkage band and cathode ray tube comprising the same
KR100414502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전자총
KR100418206B1 (ko) 칼라 음극선관용 인너 쉴드
KR100805148B1 (ko) 외부 자기장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쉴드부재를 구비한음극선관
KR100313123B1 (ko) 지자계 차폐용 인너실드 조립체
KR100778495B1 (ko) 인너 실드 및 이 인너 실드를 구비하는 음극선관
KR100229314B1 (ko) 평면칼라 브라운관의 인너쉴드 고정장치
KR100814868B1 (ko) 외부 자기에 의한 영향을 감소시키는 쉴드부재를 구비한음극선관
JPH11167877A (ja) 陰極線管
JPH03187131A (ja) カラー受像管
JP2004524670A (ja) 内部磁気遮蔽体を有するカラー陰極線管
KR20000013827A (ko) 칼라브라운관의 편향장치
JPH05159711A (ja) カラー陰極線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208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