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70141A -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 Google Patents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70141A
KR20000070141A KR1019997006366A KR19997006366A KR20000070141A KR 20000070141 A KR20000070141 A KR 20000070141A KR 1019997006366 A KR1019997006366 A KR 1019997006366A KR 19997006366 A KR19997006366 A KR 19997006366A KR 20000070141 A KR20000070141 A KR 200000701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polyester film
film
resin
easily adhes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63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7033B1 (ko
Inventor
야노신지
후꾸다마사유끼
기따자와사또시
Original Assignee
기타지마 요시토시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타지마 요시토시,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야스이 쇼사꾸,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기타지마 요시토시
Publication of KR20000070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70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70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70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1Base layers supports or substrat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MPRINTING, DUPLICATING, MARKING, OR COPYING PROCESSES; COLOUR PRINTING
    • B41M5/00Duplicating or marking methods; Sheet materials for use therein
    • B41M5/26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 B41M5/40Thermography ; Marking by high energetic means, e.g. laser otherwise than by burning, an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used characterised by the base backcoat, intermediate, or covering layers, e.g. for thermal transfer dye-donor or dye-receiver sheets; Heat, radiation filtering or absorbing means or layers; combined with other image registration layers or compositions; Special originals for reproduction by thermography
    • B41M5/42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 B41M5/44Intermediate, backcoat, or covering layers characterised by the macromolecular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27Coating with only one layer of a composition containing a polymer bind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7/0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 C09J7/20Adhesives in the form of films or foils characterised by their carriers
    • C09J7/22Plastics; Metallised plastics
    • C09J7/25Plastics; Metallised plastic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9J7/255Polyest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8Web or sheet containing structurally defined element or component and having an adhesive outermost layer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기재층과 이접착성층으로 이루어진, 특히 승화형 감열전사 기록재의 기재층으로서 유용한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이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에서 240 ℃ 까지의 승온온도치수변화곡선에, 상기 곡선의 기울기가 양에서 음으로 변화되는 점을 갖지 않는다. 상기 기재층의 온도 치수 변화는 5 % 를 넘는 않는다. 상기 이접착층은 (ⅰ) 비닐계 수지로 변성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 혹은 (ⅱ)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계 수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에폭시 수지 가교제의 혼합물이 가교된 수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READILY BONDABLE POLYESTER FILM}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그 기계특성, 치수안정성, 내열성 등의 우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현재까지 많은 분야에서 사용되고 있다. 그 중 하나가 감열전사 기록재료의 기재필름으로서의 용도를 들 수 있다.
감열전사기록방식 중에서도 승화형 감열전사기록방식은 고화질의 풀컬러화상을 간편하게 출력할 수 있는 기록방식으로서 보급도가 매우 신장되고 있다. 승화형 감열전사기록방식이란, 열승화성염료를 함유한 바인더에 열을 가함으로써, 바인더를 남기고 염료만을 승화시켜 피전사지의 수상층에 흡수시켜 계조성 (階調性) 의 화상을 형성시키는 방식이다. 이 방법에서는 염료만을 승화시키기 위해 바인더와 기재필름의 높은 밀착성이 필요하며, 나아가서는 환경변화 또는 시간경과에 의한 밀착성의 저하가 없는 것이 필수이다. 밀착성이 부족하면, 바인더층이 피전사지로 이행되어 계조성을 현저하게 손상시켜, 과전사라고 하는 문제가 발생된다.
일반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고도로 결정배향되어 있기 때문에, 접착성이 부족하여 직접 잉크층을 도포해도 그다지 밀착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잉크층과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하여 필름표면에 물리적ㆍ화학적처리를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으나 충분한 접착성을 얻을 수 없었다.
또, 필름에 프라이머처리를 하는 방법도 성능면 및 가공면에 있어서 매우 유리하여 널리 실시되고 있다.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계, 우레탄 수지 등을 단독으로 또는 혼합체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8-104064 호 참조) 로, 또는 이들 혼합체에 가교제를 첨가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8-11447 호 및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9-175046 호 참조) 한 것으로 프라이머처리를 하는 방법이 알려져 있다.
한편, 기재필름은 최대한 얇은 것이 추구되는 반면에 고강도의 것을 필요로 하고, 인쇄시의 가열수축에 의한 치수변화가 작은 것도 필요시 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1-171988 호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면(片面)에 특정 치환기와 중합성 탄소-탄소 이중결합을 갖는 화합물을 폴리에스테르의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 중에서 중합시켜 얻어진 반응생성물을 함유하는 도포액을 도포하고, 연신하여 승화형 감열전사기록재용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60 ~ 130 ℃ 에서 2 ~ 6 배로 연신한 일축연신 필름에 도포액을 도포한 후, 직각방향으로 80 ~ 130 ℃ 에서 2 ~ 6 배로 연신하고, 150 ~ 250 ℃ 에서 1 ~ 600 초 동안 열처리하는 방법으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3-67695 호에는, 필름과 동시에 연신처리 및 열처리된 이접착층을 갖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또는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필름이 열전사 시이트용 기재필름으로서 개시되어 있다. 상기 동시연신처리 및 열처리조건으로서, 그 실시예에는 80 ℃ 에서 4 배의 기계 축방향에 대한 연신, 이어서 110 ℃ 에서 4 배의 가로방향 연신 그리고 210 ℃ 에 의한 열처리가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3-106691 호에는, 열전사 시이트용의 기재필름으로서 이접착성층을 구비한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이 개시되어 있다. 동 공보에는 이축연신의 구체적 조건에 대해서는 아무런 개시도 되어 있지 않다.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 아크릴계, 우레탄 수지 등의 도막 또는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아크릴계 수지의 혼합체 도막에서는 원하는 접착성이 얻어진다 해도 내습성, 내수성, 내용제성, 내블로킹성 등이 떨어진다. 또,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아크릴계 수지의 혼합체에 일반적인 가교제를 사용함으로써, 원하는 접착성 또는 내습성, 내수성, 내용제성, 내블로킹성을 부여할 수 있으나, 반면에 제조공정에 있어서의 도제의 포트라이프(Pot-life)가 짧아져 그 취급이 어려워진다. 예를 들면, 멜라민계 가교제는 반응성이 매우 높기 때문에, 상온에서 가교반응이 진행되어 도제의 포트라이프가 짧아지고, 제조공정상에 있어서의 관리가 어려워진다. 나아가서는 승화염료의 이접착성층에 대한 염착성의 문제도 있다. 또, 최근 고속프린트화가 진행되고 있고, 순간적으로 더 높은 온도가 가해지도록 되어 있어, 이접착성층의 내열성, 열 발생시의 잉크층과의 밀착성이 필요하다. 밀착성이 나쁘면 본래의 색농도 또는 계조성이 불충분해진다. 고속화에 의해 전사기록재에 받는 열량은 많아지고, 기재에 사용되고 있는 필름의 변형은 커지며, 화상이 선명하지 않게 되거나 필름에 주름이 발생되어 극단적인 경우에는 전혀 인쇄되지 않는 등의 문제가 있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의 목적은,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승화형 감열전사기록매체의 기재필름으로서 바람직한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승화성 잉크층과의 밀착성이 우수하고, 승화성 염료의 이접착성층에 대한 염착성을 억제하며, 열 발생시의 필름의 변형이 작으며계조성이 우수한 전사화상을 얻는 승화형 감열전사기록매체의 기재필름으로서 바람직한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기타 목적 및 이점은 이하의 설명에서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이점은
(a)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기재층, 여기서 이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에서 240 ℃ 까지의 승온온도 치수변화곡선에, 이 곡선의 기울기가 양에서 음으로 변화되는 점을 갖지 않으며, 또한 5 % 를 넘는 치수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 및
(b)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상에 형성된,
(ⅰ) 비닐계 수지로 변성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수용성 또는 수분산 성 수지 및
(ⅱ)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계 수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에폭시 수지 가교제의 혼합물이 가교된 수지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수지로 이루어진 이접착성층으로 이루어지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은 이(易)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도포층을 가짐으로써, 특히 승화형 잉크층과의 접착성이 우수하므로, 승화형 감열전사 기록매체용으로 바람직한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관한 것이다.
도 1 은 실시예 1 에서 얻어진 필름의 폭방향의 0 ℃ 에서 240 ℃ 까지 승온시켰을 때의 온도치수변화곡선,
도 2 는 비교예 3 에서 얻어진 필름의 폭방향의 0 ℃ 에서 240 ℃ 까지 승온시켰을 때의 온도치수변화곡선,
도 3 은 실시예 3 에서 얻어진 필름의 폭방향의 0 ℃ 에서 240 ℃ 까지 승온시켰을 때의 온도치수변화곡선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기재층을 구성하는 폴리에스테르는 방향족 이염기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디올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에 의해 합성된 선상 포화 폴리에스테르이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반복단위의 구체예로는, 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에틸렌이소프탈레이트, 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1,4-시클로헥실렌디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는 이들 반복단위로 이루어진 호모폴리머, 공중합체 또는 이것들과 적은 비율의 기타 수지와의 혼합물 등도 함유된다. 이들 중,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가 바람직하고, 보다 박막화, 내열화를 추구한다면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는 입경 0.1 ~ 5 ㎛ 의 이산화규소, 탄산칼슘, 알루미나, 카올린, 실리콘 입자 등의 무기 또는 유기 윤활제를 0.03 ~ 3.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0.1 ~ 1.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들 윤활제를 첨가함으로써 이접착성층 표면의 중심선 평균조도가 0.01 ~ 1 ㎛ 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중심선 평균조도가 0.01 ㎛ 보다 작으면 충분한 미끄럼성을 얻을 수 없고, 필름에 주름이 생기거나 서멀헤드부의 스테킹이 발생된다. 중심선 평균조도가 1 ㎛ 보다 커지면, 인쇄시에 열전도성이 악화되어 충분한 화상을 얻을 수 없다.
또, 본 발명에 사용되는 폴리에스테르에는 본래의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을 정도로, 필요에 따라 안정제, 착색제, 산화방지제, 기타 첨가제를 함유하여도 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전술한 폴리에스테르를 필름형상으로 용융압출하고, 캐스팅드럼에 감아 냉각고화시켜 미연신 필름으로 하고, 그 미연신필름을 Tg ~ (Tg+60) ℃ 로 가열하여 길이방향으로 1 회 또는 2 회 이상, 합계의 배율이 3 배 ~ 7 배가 되도록 연신하고, 그 후 Tg ~ (Tg+60) ℃ 에서 폭방향이 3 ~ 5 배가 되도록 연신하고, 다음으로 (Tg+50) ~ (Tg+140) ℃ 에서 1 ~ 100 초 동안 열처리하고, 폭방향으로 0 ~ 3 % 수축 또는 0 ~ 3 % 신장처리시키면서 재열처리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기재층) 은,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에서 240 ℃ 까지의 승온온도치수변화곡선에, 상기 곡선의 기울기가 양에서 음으로 변화되는 점을 갖지 않으며, 또한 5 % 를 넘는 치수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
공지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폭방향의 온도치수변화곡선을 측정하면, 그 곡선의 기울기가 음에서 양 및 양에서 음으로 변화되는 점이 있고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4-41297 호 참조), 이 필름을 승화형 감열전사용에 이용할 경우, 필름의 왜곡이 일정하지 않게 되어 해상도가 나빠진다. 또한, 전술한 치수변화의 최대값이 5 % 를 넘으면, 즉, 치수가 당초 치수의 5 % 를 넘어 수축되면 인쇄시에 필름의 수축이 커지고 주름이 발생하여 인쇄가 불가능해지고, 한편, 치수가 5 % 를 넘어 신장되면 인쇄시에 필름이 느슨해져 해상도가 악화된다.
한편, 본 발명의 승화형 감열전사용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는, 온도에 의한 필름의 변형이 일정하기 때문에 고해상도의 인쇄에 유리하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의 필름의 온도치수변화곡선은, 길이 15 ㎜, 폭 4 ㎜ 인 필름의 폭방향 양단을 쥐고 5 g 의 하중을 가하면서 0 ℃ 에서 240 ℃ 까지 5 ℃/분의 승온속도로 필름을 가열하여, 온도의 함수로서 필름의 원래 길이에 대한 치수변화율을 그린 곡선이다.
본 발명에서의 기재층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바람직하게는 0 ℃ 에서 240 ℃ 까지의 승온온도치수변화곡선에, 상기 곡선의 기울기가 양에서 음으로 변화되는 점을 갖지 않으며, 또한 5 % 를 넘는 치수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 특히, 승온 온도치수변화곡선에 대해 2 % 를 넘는 치수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것이 더 바람직하며, 또한 승온온도치수변화곡선의 기울기가 + 0.02 - 0.02 %/℃ 사이에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두께가 0.5 ~ 10 ㎛ 인 것이 바람직하고, 1 ~ 5 ㎛ 가 더욱 바람직하다. 최근 인쇄기기의 소형화, 인쇄의 고속화 등에 의해 필름의 박막화가 요구되고 있기 때문에 두께는 얇을수록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두께가 1.5 ㎛ 미만인 것은 제조가 어렵지만, 더욱 고강도의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필름은 두께 0.5 ㎛ 의 필름을 제조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필름의 두께가 10 ㎛ 보다 두꺼워지면 인쇄시의 열전도성이 악화되어 고속인쇄가 불가능해진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두께 불균일이 각각 0 ~ 5 % 범위가 바람직하고, 0 ~ 2 % 범위가 더욱 바람직하다. 두께 불균일이 5 % 보다 커지면 백코트 및 승화성 잉크층을 균일하게 도포할 수 없어 인쇄시의 주행성이나 인쇄의 해상도 등이 악화된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길이방향 및 폭방향의 굴절율이 각각 1600 ~ 1800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굴절율이 1600 보다 작으면 기계적 강도가 저하되어 인쇄시의 신장이 커지고, 1800 을 넘으면 필름의 배향도가 커지기 때문에 필름이 쉽게 찢어진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길이방향의 F5 값이 10 ~ 16 ㎏/㎟ 범위가 바람직하다. 길이방향의 F5 값이 10 ㎏/㎟ 보다 작으면 강도가 낮기 때문에 탄성회복되기 어렵고 필름의 신장이 생겨 인쇄에 적당하지 않다. 길이방향의 F5 값이 16 ㎏/㎟ 보다 크면 강성이 강하여 인쇄시에 필름이 찢어지는 일이 생긴다.
그리고, 필름의 F5 값은 폭 10 ㎜, 길이 150 ㎜ 의 필름을 척(Chuck) 사이 100 ㎜, 인장속도 10 ㎜/분, 차트속도 100 ㎜/분의 조건으로 인장시험했을 때의 5 % 신장시 응력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은, 기재층인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적어도 편면상에
(ⅰ) 비닐계 수지로 변성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 및
(ⅱ)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계 수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에폭시 수지 가교제의 혼합물이 가교된 수지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수지로 이루어지는 이접착성층을 구비한다. 상기 이접착성층은, 예를 들면, 승화형 감열전사용의 승화성 잉크와 수지 바인더로 이루어진 잉크층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성을 높이기 위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층을 구성하는 비닐계 수지로 변성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 (ⅰ) 은, 예를 들면, 폴리에스테르의 수용액 또는 수분산액 중에서 2 종 이상의 비닐모노머를 공중합시킴으로써 합성할 수 있다.
이러한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성분으로, 이하의 다염기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와 폴리올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를 예시할 수 있다. 즉, 다염기산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무수 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다이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 성분을 2 종 이상 사용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합성할 수 있다. 또, 약간량의 말레인산, 이타콘산 등과 같은 불포화 다염기산 성분이나, p-히드록시 안식향산 등과 같은 히드록시 카르복실산을 이용할 수 있다. 또, 폴리올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크실렌글리콜, 디메틸올프로판, 폴리(에틸렌옥시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시드) 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은 2 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비닐계 수지 성분으로는 이하에 예시하는 비닐계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즉, 알킬아크릴레이트,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실기 함유 모노머 ;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알킬아크릴아미드, N-알킬메타크릴아미드, N,N-디알킬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메타크릴아미드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N-알콕시아크릴아미드, N-알콕시메타크릴아미드, N,N-디알콕시아크릴아미드, N,N-디알콕시메타크릴아미드 (알콕시기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등을 들 수 있다),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페닐아크릴아미드, N-페닐메타크릴아미드 등의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 함유 모노머 ;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말레인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스티렌술폰산 및 그의 염 (나트륨염, 칼륨염, 암모늄염, 제 3 급 아민염 등을 들 수 있다.) 등의 카르복실기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하는 모노머 ; 무수 말레인산, 무수 이타콘산 등의 산무수물 모노머 ; 비닐이소시아네이트, 알릴이소시아네이트,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비닐트리알콕시실란, 알킬말레인산 모노에스테르, 알킬푸마르산 모노에스테르, 알킬이타콘산 모노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염화비닐리덴, 에틸렌, 프로필렌, 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 부타디엔 등의 모노머를 들 수 있다. 이들 모노머는 1 종 또는 2 종 이상을 사용하여 공중합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이들 예시된 모노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중, 비닐계 수지로 변성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로는, 비닐계 수지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산/메타크릴산/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수지, 폴리에스테르로서 테레프탈산/이소프탈산/5-Na 술포이소프탈산/에틸렌글리콜/네오펜틸글리콜로 구성되는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수지를 바람직한 예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가교된 수지 (ⅱ) 를 구성하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계 수지는, 이하에 예시하는 모노머를 2 종 이상 공중합하여 얻어지는 공중합체이다.
즉, 2-히드록시에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계 모노머 ; 알킬아크릴레이트 또는 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기로는 각각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 로 대표되는 아크릴에스테르계 모노머 ;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N-알킬아크릴아미드, N-알킬메타크릴아미드, N,N-디알킬아크릴아미드, N,N-디알킬메타크릴레이트 (알킬기로는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2-에틸헥실기, 시클로헥실기 등), N-알콕시아크릴아미드, N-알콕시메타크릴아미드, N,N-디알콕시아크릴아미드, N,N-디알콕시메타크릴아미드 (알콕시기로는 메톡시기, 에톡시기, 부톡시기, 이소부톡시기 등), N-메틸올아크릴아미드, N-메틸올메타크릴아미드, N-페닐아크릴아미드, N-페닐메타크릴아미드 등과 같은 아미드기 함유 모노머 ;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알릴글리시딜에테르 등의 글리시딜기 함유 모노머 ; 비닐이소시아네이트, 알릴이소시아네이트,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비닐트리알콕시실란, 알킬말레인산 모노에스테르, 알킬푸마르산 모노에스테르, 알킬이타콘산 모노에스테르,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염화비닐리덴, 에틸렌, 프로필렌, 염화비닐, 아세트산비닐, 부타디엔 등과 같은 모노머를 예시할 수 있다.
이러한 공중합체를 구성하는 모노머의 주성분으로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MMA) 및 에틸아크릴레이트 (EA) 가 바람직하다. 특히, MMA/EA 비가 몰비로 0.5 ∼ 3 범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0.7 ∼ 2.5 범위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MMA 와 EA 의 합계량은 전체 모노머에 대하여 50 ∼ 98 몰% 범위가 바람직하고, 80 ∼ 96 몰% 가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접착성층을 구성하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계 수지는 수산기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산기 함유 모노머의 양은 0.5 ∼ 15 몰% 가 바람직하고, 1 ∼ 10 몰% 가 더욱 바람직하다.
특히,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계 수지는 유리 카르복실기를 갖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접착성층을 구성하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구성하는 성분으로는, 다음과 같은 다염기산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와 폴리올 또는 그의 에스테르 형성 유도체를 바람직한 것으로 예시할 수 있다.
즉, 다염기산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프탈산, 무수 프탈산, 2,6-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1,4-시클로헥산디카르복실산, 아디프산, 세바신산, 트리멜리트산, 피로멜리트산, 다이머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성분을 2 종 이상 사용하여 공중합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합성한다. 또, 약간량이지만 불포화 다염기산성분인 말레인산, 이타콘산 등 및 p-히드록시안식향산 등과 같은 히드록시카르복실산을 사용할 수 있다.
또, 폴리올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리콜, 1,4-부탄디올,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6-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크실렌글리콜, 디메틸올프로판, 폴리(에틸렌옥시드)글리콜, 폴리(테트라메틸렌옥시드)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폴리올성분을 1 종 혹은 2 종 이상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에틸렌글리콜 및 디에틸렌글리콜로 이루어진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접착성층을 구성하는 에폭시 수지 가교제로는 글리시딜아민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이 글리시딜아민 화합물은 1 분자중에 적어도 1 개의 3 급 아미노기와 2 개 이상의 글리시딜기를 갖는 화합물로, 예를 들면 하기 3 종의 화합물을 바람직하게 들 수 있다.
이들 화합물외에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린트리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글리시딜 화합물을 소량 병용할 수도 있다. 또, 수산기와 글리시딜기의 반응을 촉진하는 화합물 (반응촉진화합물) 을 사용할 수 있다. 반응촉진화합물로는, 예를 들면 3 급 아미노기함유 화합물, 질소함유 고리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그의 염, 4 급 암모늄염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예를 들면, 트리-n-부틸아민, 디메틸아미노벤젠,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메틸이미다졸, 테트라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접착성층을 형성하는 가교된 수지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계 수지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에폭시수지 가교제의 양비는 하기 식 (1) 및 (2) 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25 ≤(A)/(B) ≤4.0 … (1)
1.5 ≤{(A)/(B)}/(C) ≤199 … (2)
[단, 상기 식중의 (A), (B) 및 (C) 는 각각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부 및 에폭시 수지 가교제의 중량부를 나타낸다.]
식 (1) 에서의 양비에 있어서 (A)/(B) 가 0.25 미만이면,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밀착성은 양호하지만 잉크층과의 접착성이 부족한 경향이 있다. 한편, (A)/(B) 가 4.00 을 넘으면, 잉크층과의 접착성은 양호하지만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밀착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나타난다.
식 (2) 에서의 양비에 있어서 {(A)/(B)}/(C) 가 199 를 넘으면, 이접착성층이 가교부족이 되기 때문에, 내습성, 내수성, 내용제성, 내블로킹성이 악화되는 경향이 있다. 한편 {(A)/(B)}/(C) 가 1.5 미만이면, 미반응의 가교제분자가 이접착성층에 남아 있기 때문에, 블로킹이 일어나거나 또한 이접착성층의 반대면에 형성된 스틱 방지층의 영향을 받아 접착성이 악화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층의 두께는 0.001 ∼ 1 ㎛ 범위가 바람직하고, 0.01 ∼ 0.5 ㎛ 이 더욱 바람직하다. 이접착성층의 두께가 0.001 ㎛ 보다 얇으면 잉크층과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성부족이 된다. 이접착성층의 두께가 1 ㎛ 보다 두꺼워지면, 이접착성층 도포후의 필름을 롤형상으로 감았을 때 블로킹이 쉽게 발생하거나, 또한 승화성 염료의 이접착성층에 대한 염착이 일어나 충분한 색농도나 계조성을 얻기 어려워진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층 표면의 습윤지수는 35 ∼ 75 dyne/㎝ 범위가 바람직하고, 40 ∼ 70 dyne/㎝ 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접착성층 표면의 습윤지수가 35 dyne/㎝ 보다 작으면, 승화성 염료와 수지바인더로 이루어진 도포액을 도포할 때 도료가 튀어 균일한 층이 되기 어렵다. 이접착성층 표면의 습윤지수가 75 dyne/㎝ 보다 크면, 친수성이 높아져 잉크층과의 밀착성이 악화되게 된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층은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의 중량비 1 대 1 의 혼합물에 대한 팽윤도가 5 ∼ 500 % 범위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10 ∼ 400 % 가 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층의 환구식 연화점은 50 ∼ 250 ℃ 범위가 바람직하고, 100 ∼ 250 ℃ 가 더욱 바람직하다. 이접착성층의 환구식 연화점이 50 ℃ 보다 작으면, 인쇄시의 가열에 의해 잉크층이 박리되어 인쇄가 어려워진다. 도포층의 환구식 연화점이 250 ℃ 보다 크면, 도포막이 단단하여 인성이 저하되고 기재필름과 도포층의 밀착성이 부족하여 잉크층과의 접착성을 얻을 수 없어 잉크리본의 작성이 어려워진다.
팽윤도가 5 % 보다 작으면 기재필름과 잉크층의 밀착성이 불충분해지고, 팽윤도가 500 % 보다 크면 잉크층의 용매에 대한 내성이 쉽게 없어지고, 잉크층 도포시에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터 도포층이 박리되어 충분한 밀착성을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의 이접착성층의 도포액은 약간의 유기용제를 함유하고 있어도 된다. 도포액은 음이온형 계면활성제, 양이온형 계면활성제 혹은 비이온형 계면활성제 등의 계면활성제를 필요량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계면활성제로는 수성도포액의 표면장력을 40 dyne/㎝ 이하로 저하시킬 수 있고, 폴리에스테르 필름에 대한 습윤을 촉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글리세린지방산에스테르, 지방산금속비누, 알킬황산염, 알킬술폰산염, 알킬술포호박산염, 제 4 급 암모늄클로라이드염, 알킬아민염산, 베타인형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효과를 소실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예를 들면 대전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안료, 유기필러, 무기필러, 윤활제, 블로킹방지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병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이접착성층은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 적어도 편면에 도포액을 도포하여 형성된다.
이접착성 도포액의 도포방법으로는 공지의 도포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도포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공정과 따로 떼어 실시하여도 되며, 또는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공정중에 실시하여도 된다. 인쇄시의 결점의 원인이 되는 티끌이나 먼지 등을 끌어들이기 어려운 깨끗한 분위기에서의 도포가 가능한 점 및 비교적 저가로 제조할 수 있는 점에서,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공정중에 도포하는 방법, 즉 결정배향이 완료되기 전의 폴리에스테르 필름 중 적어도 편면에 도포하여 건조, 연신 및 열처리를 실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도포액의 고형분 농도는 0.1 ∼ 30 중량% 가 바람직하고, 1 ∼ 10 중량% 가 더욱 바람직하다. 도포량은 주행중인 필름 1 ㎡ 당 0.5 ∼ 50 g 이 바람직하다.
도공방법으로는 공지의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롤코트법, 그라비어코트법, 롤브러시법, 스프레이코트법, 에어나이프법, 함침법, 커튼코트법 등을 단독 또는 조합하여 적용하면 된다.
이하,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그 요지를 넘지 않는한,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 각 특성치는 다음 방법에 의해 측정한다.
(1) 온도치수변화곡선
서멀 테크니컬 애널라이저 (세이코 인스트루먼트(주) 제조의 TMA/SS120C) 를 사용하여, 길이 15 ㎜, 폭 4 ㎜, 두께 0.5 ∼ 10 ㎛ 범위의 시료를 석영제 홀더를 사용하여, 측정온도범위 0 ∼ 280 ℃, 승온속도 5 ℃/분, 하중 5g 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2) 필름두께
필름의 중량을 측정하여 폴리에스테르의 밀도로부터 산출하였다.
(3) 필름 두께 불균일
연속 필름두께 측정기 (전자마이크로미터 사용) 에 의해,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길이방향 및 폭방향을 따라 측정하여 5 m 의 길이에 대하여 다음식으로 산출하였다.
두께 불균일 =
[(필름 최대두께 - 필름 최소두께)/필름 평균두께] ×100
(4) 굴절율
나트륨 D 선 (589 nm) 을 광원으로 하는 압베 굴절율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그리고, 마운트액에는 요오드화메틸렌을 사용하여 25 ℃, 65 % RH 의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5) 도포층표면의 중심선 평균조도 (Ra)
중심선 평균조도 (Ra) 는 JIS-B0601 로 정의되는 값으로, 본 발명에서는 (주)오자까 켕큐조의 촉침식 표면조도계 (SURFCORDER SE-30C) 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조건 등은 이하와 같다.
(a) 촉침선단반경 : 2 ㎛
(b) 측정압력 : 30 ㎎
(c) 컷오프 : 0.25 ㎜
(d) 측정길이 : 2.5 ㎜
(e) 데이터의 정리방법 : 동일 시료에 대하여 5 회 반복하여 측정하고, 가장 큰 값을 하나 제외한 나머지 4 개의 데이터의 평균값을 Ra 로 한다.
(6) F5 값
필름을 시료폭 10 ㎜, 길이 15 ㎝ 로 잘라, 척 사이 100 ㎜ 로 하여 인장속도 10 ㎜/분, 차트속도 100 ㎜/분으로 인스트롱 타입의 만능 인장시험장치로 끌어당겨, 5 % 신장시의 응력을 측정하였다.
(7) 도포층의 두께
도포액의 1 ㎡ 당 도포량과 고형분농도로부터 산출하였다.
(8) 습윤지수
이접착층 표면에 대하여, JIS K 6768 법에 의해 23 ℃ 이면서 50 % RH 의 조건하에서 측정하였다. 즉, 포름아미드와 에틸렌글리콜모노에틸에테르를 각각 소정의 비율로 혼합하여 1 dyne/㎝ 간격으로 작성하고, 다시 착색도가 높은 염료를 아주 소량 첨가하여 표준액으로 하였다. 직경 1 ㎜ 봉의 선단에 탈지면 (15 ∼ 20 ㎎) 을 15 ∼ 20 ㎜ 의 길이로 균등하게 감아, 이것을 상기 표준액에 액적이 떨어지지 않을 정도로 듬뿍 담가 면봉을 시료에 수평으로 대고 한방향으로 이동하여 도포한다. 도포되는 액막의 폭이 가능한한 넓어지도록 하고 그 면적이 6 ㎠ 가 되도록 하여, 도포를 0.5 초에 완료하도록 한다.
(9) 팽윤도
도포액을 건조시켜 중량 5 g 의 건고물을 작성하고, 메틸에틸케톤/톨루엔 (중량비 1/1) 혼합용제에 실온 (23 ℃) 에서 24 시간 함침하여, 함침전후의 중량으로부터 이하의 식으로 산출하였다.
팽윤도 =
[(함침후의 건고물의 중량 - 건고물의 중량)/건고물의 중량 ×100]
(10) 환구식 연화점
도포액을 건조시켜 건고물을 작성하고, JIS K-2531-1960 에 준하여 연화점을 측정하였다. 가열욕액은 글리세린을 사용하고 승온속도는 약 5 ℃/분으로 한다.
(11) 승화형 잉크바인더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성 (접착성 1)
승화형 잉크바인더 (C.I. 솔벤트블루 22, 4.5 중량%, 폴리비닐아세탈수지 4.5 중량%, 메틸에틸케톤 45.5 중량%, 톨루엔 45.5 중량%) 를 이접착면에 도포하여 건조시키고, 그 후 80 ℃ 에서 1 분간 다시 건조하여 잉크층을 고착시켰다. 그 후, 스미또모쓰리엠(주) 제조의 멘딩테이프 (810) 를 잉크층면에 붙여 급속박리하여, 잉크층의 박리의 정도에 따라 접착성을 이하의 기준으로 평가하였다.
5 ; 잉크층 박리가 전혀 없다
4 ; 잉크층 박리면적이 10 % 미만
3 ; 잉크층 박리면적이 10 % 이상 30 % 미만
2 ; 잉크층 박리면적이 30 % 이상 80 % 미만
1 ; 잉크층 박리면적이 80 % 이상
(12) 승화형 잉크바인더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성 (접착성 2)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승화잉크층을 형성하여 60 ℃ 에서 7 일간 방치하고, 그 후 (11) 과 동일한 기준으로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13) 승화형 잉크바인더와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접착성 (접착성 3)
상기 (1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승화잉크층을 형성하여, 40 ℃, 상대습도 90 % 로 7 일간 방치하고, 그 후 (11) 과 동일한 기준으로 접착성을 평가하였다.
(14) 유리전이점 (Tg)
파킹엘머사 제조의 DSC (시차주사열량계) 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시료 10 ㎎ 를 DSC 장치에 셋팅하고 300 ℃ 의 온도에서 5 분간 용융한 후, 액체질소 중에서 급냉한다. 상기 급냉시료를 10 ℃/분으로 승온하여 유리전이점 (Tg) 을 검지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도포액의 조성은 이하와 같다.
〈도포액 1〉
도포액 1 의 조성은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한다. 주제(主劑)로서 비닐계 수지로 변성된 폴리에스테르는 비닐계수지부분 (45 중량부) 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5 몰%/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 20 몰%/아크릴산 5 몰%/메타크릴산 5 몰%/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5 몰% 로 구성되며, 폴리에스테르부분 (45 중량부) 이 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35 몰%/이소프탈산 10 몰%/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5 몰%, 글리콜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45 몰%/네오펜틸글리콜 5 몰% 로 구성된 수지를 고형분중량으로 90 중량부, 습윤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를 고형분중량으로 10 중량부이다.
〈도포액 2〉
도포액 2 의 조성은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한다. 주제로서 우레탄수지 (다이닛뽕잉크 가가꾸고오교(주) 제조의 하이드란 AP-20) 를 고형분중량으로 81 중량부, 가교제로서 트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를 고형분중량으로 9 중량부, 습윤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를 고형분중량으로 10 중량부이다.
〈도포액 3〉
도포액 3 의 조성은 이하의 구성으로 한다.
아크릴계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 (A)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65 몰%/에틸아크릴레이트 28 몰%/2-히드록시에틸메타크릴레이트 2 몰%/N-메틸올아크릴아미드 5 몰% 로 구성되며, 고형분중량으로 42 중량부,
폴리에스테르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수지 (B) : 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35 몰%/이소프탈산 13 몰%/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2 몰%, 글리콜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45 몰%/디에틸렌글리콜 5 몰%로 구성되며, 고형분중량으로 42 중량부, 에폭시계 가교제 (C) : N,N,N',N'-테트라글리시딜-m-크실렌디아민이 고형분중량으로 6 중량부, 습윤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를 고형분중량으로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다.
〈도포액 4〉
도포액 4 의 조성은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한다.
에폭시계 가교제 (C) 를 첨가하지 않는 것 외에는 도포액 3 과 동일한 구성으로, 아크릴계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 (A) 가 고형분중량으로 45 중량부, 폴리에스테르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 (B) 가 고형분중량으로 45 중량부, 습윤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를 고형분중량으로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다.
<도포액 5>
도포액 5 의 조성은 이하와 같은 구성으로 한다.
아크릴계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 (A) : 메틸메타크릴레이트 75 몰%/에틸아크릴레이트 22 몰%/아크릴산 1 몰%/N-메틸올아크릴아미드 2 몰% 로 구성되며, 고형분중량으로 40 중량부, 폴리에스테르의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 (B) : 산성분으로서 테레프탈산 30 몰%/이소프탈산 15 몰%/5-나트륨술포이소프탈산 5 몰%, 글리콜성분으로서 에틸렌글리콜 30 몰%/1,4-부탄디올 20 몰% 로 구성되며, 고형분중량으로 40 중량부, 가교제로서 멜라민계 화합물인 메틸올화 멜라민이 고형분중량으로 10 중량부, 습윤제로서 폴리옥시에틸렌노닐페닐에테르를 고형분중량으로 10 중량부로 이루어진 혼합물이다.
(실시예 1)
25 ℃ 의 o-클로로페놀 중에서 측정한 고유점도 0.61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윤활제함유) 를 T 다이(die) 에서 압출하고, 이것을 약 40 ℃ 로 유지되어 있는 회전냉각드럼상에서 정전인가하면서 급냉하여 미연신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미연신필름을 115 ℃ 에서 길이방향으로 3.6 배 연신하여 일축연신필름을 얻었다. 상기 일축연신필름의 편면에 고형분농도 3 중량% 의 도포액 1 을 키스코트법으로 2.7 g/㎡ 의 양을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120 ℃ 에서 폭방향으로 3.8 배로 연신하여 230 ℃ 에서 고정길이로 긴장열처리를 실시하고, 계속해서 230 ℃ 에서 폭방향으로 신축, 신장을 하지 않고 재열처리하여, 두께 4.5 ㎛ 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상기 필름의 폭방향의 온도치수변화곡선을 도 1 에, 그밖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폭방향의 온도치수변화곡선에서 곡선의 기울기가 양에서 음으로 변화되는 점이 존재하지 않으며, 또한 치수변화의 최대값은 0.5 % 이하의 미소한 값이었다.
(실시예 2)
25 ℃의 o-클로로페놀 중에서 측정한 고유점도 0.61 의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윤활제함유) 를 T 다이에서 압출하고, 이것을 약 40 ℃ 로 유지되어 있는 회전냉각드럼상에서 정전인가하면서 급냉하여 미연신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미연신필름을 125 ℃ 에서 길이방향으로 3.6 배 연신하여 일축연신필름을 얻었다. 상기 일축연신필름의 편면에 고형분농도 3 중량% 의 도포액 1 을 키스코트법으로 2.7 g/㎡ 의 양을 도포하였다. 다음으로 140 ℃ 에서 폭방향으로 3.8 배로 연신하여 240 ℃ 에서 고정길이로 긴장열처리를 하고, 계속해서 240 ℃ 에서 폭방향으로 신축, 신장을 하지 않고 재열처리하여, 두께 4.5 ㎛ 의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상기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필름폭방향의 온도치수변화곡선은 실시예 1 의 것 (도 1) 과 대략 동일하며, 또한, 치수변화의 최대값은 0.5 % 이하의 미소한 값이었다.
(비교예 1)
이접착층의 도공을 실시하지 않는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막제조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상기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2)
도포액 1 대신에 도포액 2 를 도포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막제조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상기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3)
25 ℃의 o-클로로페놀 중에서 측정한 고유점도 0.61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윤활제함유) 를 T 다이에서 압출하고, 이것을 약 40 ℃ 로 유지되어 있는 회전냉각드럼상에서 정전인가하면서 급냉하여 미연신필름을 얻는다. 이어서, 상기 미연신필름을 115 ℃ 에서 길이방향으로 3.6 배 연신하여 일축연신필름을 얻었다. 이 일축연신필름의 편면에 고형분농도 3 중량% 의 도포액 1 을 키스코트법으로 2.7 g/㎡ 양을 도포한다. 다음으로 120 ℃ 에서 폭방향으로 3.8 배 연신하고 225 ℃ 에서 열처리하며, 계속해서 215 ℃ 에서 폭방향으로 6 % 신축시키면서 재열처리하여 두께가 4.5 ㎛ 인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상기 필름의 폭방향의 온도치수변화곡선을 도 2 에, 그밖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또한, 폭방향의 온도치수변화곡선에서 곡선의 기울기가 양에서 음으로 변화되는 점이 존재하며, 또한 치수변화의 최대치는 2.5 % 를 나타낸다.
실시예 1 실시예 2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평균선 중심 조도 (Ra) (㎛) 0.022 0.014 0.022 0.022 0.022
굴절율 길이방향 1.650 1.757 1.665 1.648 1.648
폭방향 1.674 1.762 1.654 1.673 1.673
F5 값 길이방향(㎏/㎟) 12 14 12 12 12
습윤지수(dyne/㎝) 46 46 42 52 46
팽윤도 (%) 53 53 - 160 53
환구식연화점 (℃) 110 110 - 95 110
접착성 1 5 5 1 3 5
종합평가 × ×
○: 양호, △ : 사용하는데 제약있음, ×: 사용불가
(실시예 3)
25 ℃ 의 o-클로로페놀중에서 측정한 고유점도 0.61 의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윤활제 함유) 를 T 다이에서 압출하고, 이것을 약 40 ℃ 로 유지되어 있는 회전냉각드럼상에서 정전인가하면서 급냉하여 미연신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미연신필름을 115 ℃ 에서 길이방향으로 3.6 배 연신하여 일축연신필름을 얻는다. 이 일축연신필름의 편면에 고형분농도 3 중량% 의 도포액 3 을 키스코트법으로 2.7 g/㎡ 양을 도포한다. 다음으로 120 ℃ 에서 폭방향으로 3.8 배 연신하고 230 ℃ 에서 고정길이로 긴장열처리하며, 계속해서 230 ℃ 에서 폭방향으로 신축, 신장을 하지 않고 재열처리하여, 두께가 4.5 ㎛ 인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다. 이 필름의 폭방향의 온도치수변화곡선을 도 3 에, 그밖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폭방향의 온도치수변화곡선에서 곡선의 기울기가 양에서 음으로 변화되는 점이 존재하지 않으며, 또한 치수변화의 최대치는 0.5 % 이하의 미소한 값이다.
(실시예 4)
25 ℃ 의 o-클로로페놀중에서 측정한 고유점도 0.61 의 폴리에틸렌-2,6-나프탈레이트 (윤활제 함유) 를 T 다이에서 압출하고, 이것을 약 40 ℃ 로 유지되어 있는 회전냉각드럼상에서 정전인가하면서 급냉하여 미연신필름을 얻었다. 이어서, 상기 미연신필름을 125 ℃ 에서 길이방향으로 3.6 배 연신하여 일축연신필름을 얻는다. 이 일축연신필름의 편면에 고형분농도 3 중량% 의 도포액 3 을 키스코트법으로 2.7 g/㎡ 양을 도포한다. 다음으로 140 ℃ 에서 폭방향으로 3.8 배로 연신하고 240 ℃ 에서 고정길이로 긴장열처리하며, 계속해서 240 ℃ 에서 폭방향으로 신축, 신장을 하지 않고 재열처리하여, 두께가 4.5 ㎛ 인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는다.
이 필름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또한, 이 필름의 폭방향의 온도치수변화곡선은 실시예 3 의 것 (도 3) 과 대략 동일하며, 또한 치수변화의 최대치는 0.5 % 이하의 미소한 값이다.
(비교예 4)
이접착성층의 도공을 실시하지 않는 것 외에는, 실시예 3 과 동일하게 막제조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5)
도포액 1 대신에 도포액 4 를 도포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막제조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표 1 에 나타낸다.
(비교예 6)
도포액 1 대신에 도포액 5 를 도포하는 것 외에는,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막제조하여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얻었다. 이 필름의 특성을 표 2 에 나타낸다.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4 비교예 5 비교예 6
평균선 중심 조도 (Ra) (㎛) 0.022 0.014 0.022 0.022 0.022
굴절율 길이방향 1.652 1.754 1.659 1.648 1.653
폭방향 1.667 1.761 1.661 1.673 1.670
F5 값 길이방향(㎏/㎟) 12 14 12 12 12
습윤지수(dyne/㎝) 46 46 42 52 48
팽윤도 (%) 53 53 - 160 120
접착성 1 5 5 1 5 5
접착성 2 5 5 1 1 5
접착성 3 5 5 1 1 5
비고 (주 1)
종합평가 × ×
(주 1) 도포액의 포트라이프가 짧아 구조상 사용이 어렵다.○: 양호, △ : 사용하는데 제약있음, ×: 사용불가
본 발명의 승화형 감열전사용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에서는, 온도에 의한 필름의 변형이 일정하기 때문에 고해상도의 인쇄에 유리하다.

Claims (21)

  1. (a) 이축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기재층, 여기서 이 기재층은 폴리에스테르의 유리전이온도에서 240 ℃ 까지의 승온온도치수변화곡선에, 상기 곡선의 기울기가 양에서 음으로 변화되는 점을 갖지 않으며, 또한 5 % 를 넘는 치수변화를 나타내지 않는다, 및
    (b) 상기 기재층의 적어도 일방의 면상에 형성된,
    (ⅰ) 비닐계 수지로 변성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수지 및
    (ⅱ)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계 수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에폭시 수지 가교제의 혼합물이 가교된 수지
    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수지로 이루어진 이(易)접착성층으로 이루어지는 이(易)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2.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이 0 ℃ 에서 240 ℃ 까지의 승온온도치수변화곡선에, 상기 곡선의 기울기가 양에서 음으로 변화되는 점을 갖지 않으며, 또한 5 % 를 넘는 치수변화를 나타내지 않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온온도치수변화곡선에 2 % 를 넘는 치수변화가 존재하지 않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승온온도치수변화곡선의 기울기가 + 0.02 와 -0.02 % /℃ 의 사이에 있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5.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의 두께가 0.5 ∼ 10 ㎛ 인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6.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의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진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7. 제 1 항에 있어서, 기재층의 폴리에스테르가 폴리에틸렌-2,6-나프탈렌디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진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8. 제 1 항에 있어서, 이접착성층의 중심선 평균조도 (Ra) 가 0.01 ∼ 1 ㎛ 의 범위에 있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9. 제 1 항에 있어서, 이접착성층의 두께가 0.001 ∼ 1 ㎛ 의 범위에 있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0. 제 1 항에 있어서, 이접착성층 표면의 습윤지수가 35 ∼ 75 dyne/cm 의 범위에 있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1. 제 1 항에 있어서, 메틸에틸케톤과 톨루엔의 중량비 1 대 1 의 혼합용제에 대한 이접착성층의 팽윤도가 5 ∼ 500 % 의 범위에 있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2. 제 1 항에 있어서, 이접착성층의 환구식 연화점이 50 ∼ 250 ℃ 의 범위에 있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3. 제 1 항에 있어서, 비닐계 수지로 변성된 폴리에스테르로 이루어진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의 수용액 또는 분산액중에 있어서 2 종 이상의 비닐계 모노머를 공중합시켜 제조된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4.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계 수지,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수지 및 에폭시 수지 가교제의 혼합물이 하기 관계식 (1) 및 (2) :
    0.25 ≤(A)/(B) ≤4.0 … (1)
    1.5 ≤(A)/(B)·(C) ≤199 … (2)
    (여기서, (A) 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계 수지의 중량부, (B) 는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중량부 및 (C) 는 에폭시수지 가교제의 중량부이다)
    를 만족하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5. 제 1 항에 있어서, 수용성 또는 수분산성 아크릴계 수지가 수산기를 갖는 아크릴계 수지인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6. 제 1 항에 있어서, 에폭시 수지 가교제가 1 분자중에 적어도 1 개의 아미노기와 적어도 2 개의 글리시딜기를 갖는 글리시딜 아민 화합물인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7.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의 두께 불균일이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서 각각 0 ∼ 2 % 의 범위에 있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8.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의 굴절율이 길이방향 및 폭방향에서 각각 1600 ∼ 1800 의 범위에 있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19. 제 1 항에 있어서, 필름의 F5 값이 길이방향에서 10 ∼ 16 kg/㎟ 의 범위에 있는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20. 제 1 항에 있어서, 승화형 감열전사용인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21. 제 1 항의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상기 접착성 폴리에스테르의 이접착성층 위에 승화형 감열전사재층을 형성하여 승화형 감열전사재 필름을 제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방법.
KR10-1999-7006366A 1997-11-13 1998-11-11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5370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214697 1997-11-13
JP97-312146 1997-11-13
JP97-312145 1997-11-13
JP31214597 1997-11-13
PCT/JP1998/005080 WO1999025553A1 (fr) 1997-11-13 1998-11-11 Film de polyester adherant facilemen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70141A true KR20000070141A (ko) 2000-11-25
KR100537033B1 KR100537033B1 (ko) 2005-12-16

Family

ID=265670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6366A KR100537033B1 (ko) 1997-11-13 1998-11-11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391441B1 (ko)
EP (1) EP0951991B1 (ko)
JP (1) JP3357678B2 (ko)
KR (1) KR100537033B1 (ko)
CN (1) CN1116167C (ko)
AU (1) AU1052299A (ko)
CA (1) CA2277489C (ko)
DE (1) DE69833875T2 (ko)
WO (1) WO1999025553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177061A2 (ko) * 2011-06-23 2012-12-2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광활성 가교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KR101218146B1 (ko) * 2005-11-08 2013-01-0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광학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96578C (zh) * 1999-04-19 2005-04-13 东丽株式会社 双轴取向聚酯薄膜、其制造方法和磁记录媒体
KR100572506B1 (ko) 1999-06-14 2006-04-24 데이진 가부시키가이샤 2축 배향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자기 기록 매체
SG109426A1 (en) * 1999-08-16 2005-03-30 Nat Starch Chem Invest Film adhesive composition for electronic packaging
US6703138B1 (en) * 1999-10-19 2004-03-09 Toyo Boseki Kabushiki Kaisha Laminated polyester film
DE60123182T2 (de) 2000-02-10 2007-09-20 Teijin Ltd. Polyesterfolienverbund, Lichtstreuplatte und deren Verwendung
TW573304B (en) * 2000-11-29 2004-01-21 Teijin Ltd Polyester film for capacitors
US6761968B2 (en) 2000-12-01 2004-07-13 Teijin Limited Biaxially oriented polyester film
WO2002047889A1 (fr) 2000-12-11 2002-06-20 Teijin Limited Film polyester biaxialement oriente et procede de production de ce film
US20040081839A1 (en) * 2001-09-05 2004-04-29 Koji Kubo Polyester film being easy to adhere to ink receiving layer
CN1512934A (zh) * 2001-12-10 2004-07-14 ���˶Ű�����ձ���ʽ���� 光学用粘结性聚酯膜
US6951594B2 (en) * 2002-06-27 2005-10-04 Tweel Home Furnishings, Inc. Printed oven mitt and method for making same
KR100642889B1 (ko) * 2005-05-25 2006-11-03 엘에스전선 주식회사 반도체용 접착필름
GB0602678D0 (en) 2006-02-09 2006-03-22 Dupont Teijin Films Us Ltd Polyester film and manufacturing process
JP4840223B2 (ja) * 2007-03-29 2011-12-21 東レ株式会社 易接着層を有する感熱転写リボン用二軸配向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4957562B2 (ja) * 2008-01-17 2012-06-20 ソニー株式会社 熱転写記録媒体
WO2011057030A1 (en) * 2009-11-09 2011-05-12 Toray Plastics (America) Inc. Polyester film with adhesive properties
JP5271293B2 (ja) * 2010-02-07 2013-08-21 三菱樹脂株式会社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1132565A1 (ja) * 2010-04-20 2011-10-27 日東電工株式会社 水分散型アクリル系粘着剤組成物及び粘着シート
JP2011245809A (ja) * 2010-05-29 2011-12-08 Mitsubishi Plastics Inc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WO2012121117A1 (ja) * 2011-03-09 2012-09-13 富士フイルム株式会社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の製造方法、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太陽電池用バックシート
CN104619510B (zh) 2012-09-11 2017-04-05 凸版印刷株式会社 热敏转印记录介质
KR101549791B1 (ko) 2013-09-30 2015-09-02 주식회사 엘지화학 아크릴계 광학 필름,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KR20150037541A (ko) * 2013-09-30 2015-04-08 주식회사 엘지화학 내용제성이 우수한 광학 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편광판
JP6264992B2 (ja) * 2014-03-26 2018-01-24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6361388B2 (ja) * 2014-09-08 2018-07-25 凸版印刷株式会社 感熱転写記録媒体
JP6379990B2 (ja) * 2014-10-21 2018-08-29 凸版印刷株式会社 感熱転写記録媒体
WO2016199868A1 (ja) * 2015-06-09 2016-12-15 旭化成株式会社 タッチパネル用水性樹脂組成物、転写フィルム及び硬化膜積層体、並びに樹脂パターン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パネル表示装置
CN109791079B (zh) * 2016-09-29 2021-10-15 富士胶片株式会社 压力测定用材料组合物、压力测定用材料及压力测定用材料组
CN111040213A (zh) * 2019-12-12 2020-04-21 江苏澳盛复合材料科技有限公司 热固性树脂真空成型用低表面张力聚酯薄膜的制备方法
CN113773546B (zh) * 2021-09-10 2022-12-06 中国科学技术大学先进技术研究院 一种亲水性聚酯薄膜及其制备方法、以及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97302B2 (ja) * 1987-12-28 1998-09-17 ダイアホイルヘキスト株式会社 昇華型感熱転写記録材
JP3124534B2 (ja) 1989-03-07 2001-01-1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
JP2967538B2 (ja) 1989-07-14 1999-10-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熱転写シート及びカードの製造方法
JPH0676593B2 (ja) 1989-09-29 1994-09-28 株式会社資生堂 透明固形洗浄剤
JP2581270B2 (ja) * 1990-06-06 1997-02-12 東レ株式会社 熱転写用リボン
JP3727033B2 (ja) 1994-06-20 2005-12-14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昇華型感熱転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373297B2 (ja) 1994-06-30 2003-02-04 三菱化学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株式会社 昇華型感熱転写記録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8104064A (ja) * 1994-10-05 1996-04-23 Diafoil Co Ltd 昇華型感熱転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271688B2 (ja) * 1995-12-22 2002-04-02 東レ株式会社 昇華型感熱転写材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146B1 (ko) * 2005-11-08 2013-01-03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광학용 이축 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WO2012177061A2 (ko) * 2011-06-23 2012-12-27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광활성 가교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WO2012177061A3 (ko) * 2011-06-23 2013-04-04 주식회사 동진쎄미켐 광활성 가교제 화합물, 이의 제조방법, 액정 배향제, 액정 배향막 및 액정 표시 소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69833875T2 (de) 2006-12-07
CA2277489A1 (en) 1999-05-27
KR100537033B1 (ko) 2005-12-16
EP0951991A1 (en) 1999-10-27
CA2277489C (en) 2007-08-21
AU1052299A (en) 1999-06-07
CN1249714A (zh) 2000-04-05
CN1116167C (zh) 2003-07-30
JP3357678B2 (ja) 2002-12-16
US6391441B1 (en) 2002-05-21
EP0951991B1 (en) 2006-03-15
EP0951991A4 (en) 2001-05-02
WO1999025553A1 (fr) 1999-05-27
DE69833875D1 (de) 2006-05-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37033B1 (ko) 이접착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0354803B1 (ko) 승화형감열전사기록매체용폴리에스테르필름
US6303228B1 (en) Thermal transfer ribbon and base film thereof
JP2002053687A (ja)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0730525B1 (ko) 감열전사 기록매체용 적층 베이스 필름
JP3339746B2 (ja) 昇華型感熱転写記録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3271688B2 (ja) 昇華型感熱転写材
KR920003248B1 (ko)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기재(基材)로 한 라벨
JP2002127621A (ja) 積層フィルム
JPH08198989A (ja) 積層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及び昇華型感熱転写材
JP2002127620A (ja) 積層フィルム
JP2001213985A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263954A (ja) 昇華型感熱転写用インキ易接着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100246716B1 (ko) 점착 테이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
JP2000272249A (ja) 昇華型感熱転写用インキ易接着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JP2002053686A (ja)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0263952A (ja) 昇華型感熱転写用インキ易接着ポリエステルフイルム
KR100246717B1 (ko) 점착 테이프용 폴리에스테르 필름의 제조방법
JP2001106808A (ja)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113845A (ja) 感熱転写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01179912A (ja) 易接着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H0912754A (ja) 積層フイルム
JP3122016B2 (ja) 積層フイルム
JP2001180129A (ja) 昇華型感熱転写リボンおよびそのベースフィルム
JPH0911423A (ja) 積層フイル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2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