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80799A -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80799A
KR19980080799A KR1019980010777A KR19980010777A KR19980080799A KR 19980080799 A KR19980080799 A KR 19980080799A KR 1019980010777 A KR1019980010777 A KR 1019980010777A KR 19980010777 A KR19980010777 A KR 19980010777A KR 19980080799 A KR19980080799 A KR 1998008079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tape
lever
spring
p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07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꾸이에다까히로
Original Assignee
다까노야스아끼
상요덴기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까노야스아끼, 상요덴기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다까노야스아끼
Publication of KR199800807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079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3Control or regulation of mechanical tension of record carrier, e.g. tape te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2Stopp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Controlling Rewinding, Feeding, Winding, Or Abnormalities Of Webs (AREA)

Abstract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에 있어서,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된 모드 이행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자기 테이프(3)에 맞닿는 텐션 핀(52)을 지니며 샤시(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텐션 레버(5)와, 동작 모드에 따라서 회전하도록 샤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어 레버(7)와, 이 텐션 레버와 제어 레버 사이에 제1 인장 스프링(9)과, 제2 인장 스프링(10)을 장착하는 동시에 제2 인장 스프링의 일 단부에 U자형의 결합부(10a)를 설치하고, 동작 모드의 이행에 수반하는 텐션 레버와 제어 레버 사이의 거리가 소정 이상이 된 때, 제2 인장 스프링이 압박력을 부여하도록 구성한다.

Description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
본 발명은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있어서의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에 관한 것이며, 통상의 재생 모드뿐만 아니라 기타 모드에 있어서도 자기 테이프의 적절한 텐션 제어를 행할 수 있도록 구성한 것이다.
도6 및 도7은 종래 기술에 의한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샤시(100) 상에는 자기 테이프(101)가 내장된 카세트(102)가 끼워지도록 공급측(S측) 릴 다이(103)가 설치되어 있다. 기록 재생을 행하는 경우에는 한 쌍의 선도 가이드 블록(104)에 의해 자기 테이프(101)를 카세트(102) 내로부터 인출하여 회전 실린더(도시 생략)에 권취하고, 자기 테이프(101)를 주행시킨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자기 테이프(101)에 일정한 텐션을 부여하고, 자기 테이프(101)의 주행을 안정시키기 위해 공급측 릴 다이(103)에 회전 부하를 부여하는 백텐션 기구를 설치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즉, 도면에 있어서, 텐션 레버(105)는 지지축(106)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텐션 레버(105)의 선단부에는 텐션 핀(107)이 꽂아 설치되어 있다. S측 릴 다이(103)의 측면에는 밴드 브레이크(108)가 권취되고, 텐션 레버(105)의 지지축(106)과 텐션 핀(107) 사이에서 지지축(106)에 접근하여 상기 밴드 브레이크(108)의 양단부가 부착되어 있다. 텐션 레버(105)는 인장 스프링(109)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되고, 인장 스프링(109)의 일 단부는 샤시(100) 상에 고정된 스프링 걸이부(110)에 걸쳐져 있다. 샤시(100)의 지지축(106) 근방에는 원호형의 관통 구멍(111)이 개방 설치되고, 텐션 레버(105)에 일체로 설치된 접촉 부재(112)는 관통 구멍(111)을 통해서 샤시(100) 하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상기 자기 기록 재생 장치에 카세트(102)를 착탈하는 EJECT시에는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접촉 부재(112)에는 해제 레버(113)의 일단부가 접촉하고 있다. 해제 레버(113)는 축(114)을 중심으로 하여 샤시(100)의 이면 측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일 단부는 샤시(100)의 이면을 따라서 미끄럼 이동하는 제어판(115)에 결합 분리한다. 해제 레버(113)는 스프링(116)에 의해 인장 스프링(109)보다도 작은 인장 장력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압박되고 있다. 제어판(115)의 좌우로의 미끄럼 이동에 의해 해제 레버(113)가 스프링(116)에 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해제 레버(113)는 텐션 레버(105)를 인장 스프링(109)에 저항하여 압박하고, 이에 의해 밴드 브레이크(108)는 완화되고, S측 릴 다이(103)의 브레이크가 해제된다.
기록 재생(이하 PLAY)시에는 도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판(115)이 좌측으로 미끄럼 이동하여 해제 레버(113)를 해방한다. 해제 레버(113)는 스프링(116)에 압박되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접촉 부재(112)로부터 분리된다. 인장 스프링(109)에 의해 텐션 레버(10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밴드 브레이크(108)가 긴장 상태로 유지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S측 릴 다이(103)에는 회전 부하가 부여되고, S측 릴 다이(103)로부터 송출되는 자기 테이프(101)에 인장 장력이 부여되는 것이다.
본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빨리 감기(이하 FF)나 되감기(이하 REW)시에는 자기 테이프에 PLAY시와 동등한 인장 장력이 가해진 상태에서는 원활한 주행이 행해지지 않을 우려가 있다. 따라서, FF/REW시에는 텐션 레버(105)를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제어판(115)을 활주시킨다. 이 결과, 밴드 브레이크(108)의 긴장 상태가 완화되고, S측 릴 다이(103)에 가해지는 회전 부하는 경감된다. 역전 재생시(이하 REV)도 백텐션 기구의 작동 상태는 FF/REW시와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FF/REW 모드 시에 강제적으로 텐션 레버(105)의 동작을 해제하므로, 텐션 핀(107)은 테이프 텐션에 따른 동작을 하지 않고, 모드 이행 시에 텐션 변동이 발생해도 이 변동을 흡수할 수 없으므로, 공간 손실이 발생하기 쉽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텐션의 변동에 관계없이 테이프를 권취하므로, 카세트 허브 내에서 테이프 단 권취가 발생하기 쉽고, 그 후의 PLAY 모드에서의 테이프 주행에 악영향을 준다는 결점이 있었다.
또한, 본 출원인은 일본 특허 공개 평6-333299호 공보(G11B15/43)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텐션 레버와 제어 레버 사이에 스프링을 장착한 백텐션 기구를 이미 출원하고 있다. 그러나, 이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텐션 레버와 제어 레버의 상대적인 위치 관계에 의해 스프링력이 결정되므로, PLAY 모드 및 기타 모드에서 텐션 핀이 테이프를 압박하는 힘을 소망의 일정 값으로 설정하는 것은 극히 곤란하다. 즉, S측 릴 다이의 권취 토오크 손실없이 안정시키는 것은 곤란하며, 예를 들어 T120의 테이프 권취 개시의 REV에서는 권취 테이프 텐션이 매우 낮아지므로, 스프링이 강하게 텐션 핀의 위치가 안쪽에 있으면 테이프의 텐션 손실도 커지며, 핀치 롤러부에서 송출된 테이프가 권취되지 않고, 테이프가 느슨해져 버리는 사태로 이어질 우려가 있다.
또한, PLAY에 대해 REV의 권취 토오크를 올리기 위해 마찰 기구를 고안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지만, 마찰 기구에 원웨이 등의 정반대의 토오크 가변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어 매우 고가이면서 복잡한 기구가 되어 버리는 데다가 마찰 기구의 높이 방향 두께가 증가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게다가, S측의 릴 다이까지의 감속비를 변경하는 등의 대책을 세움으로써, S측의 릴 다이 귄취 토오크를 올릴 수 있지만, FF/REW를 행하는 경우에 FF에 비해 REW의 권취 시간이 지연된다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것을 회피하려하면, REW시의 캡스턴 모터의 회전수를 올려야만 하고, 그렇게 하면 전류, 소비 전력의 상승이 되어 전원부의 부담이 증가한다. 또한, S측 릴 다이를 2단 기어로 하여 REV/REW시에 다른 기어에 중계 기어를 치합하여 토오크와 권취 시간을 양립시키는 기구도 있지만, 중계 기어의 기구가 복잡해져 버린다. 혹은 또한, PLAY의 권취 토오크도 올려서 결과적으로 REV의 권취 토오크를 올려 처리하는 경우, 테이프 주행 시스템의 각 가이드 류의 기울기의 영향이 현저하게 나타나고 권취 텐션이 강해진 만큼 슬로우 재생 등으로 테이프의 에지가 손상되는 등의 부작용이 쉽게 나타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개선하는 것이며, 간단한 구성으로 안정된 모드 이행을 행할 수 있는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를 실현하는 것이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의 언로딩 모드를 도시한 도면.
도2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의 제2 인장 스프링을 도시한 도면.
도3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의 PLAY 모드를 도시한 도면.
도4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의 REV 모드를 도시한 도면.
도5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의 텐션 레버의 압박력을 도시한 도면.
도6은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면.
도7은 종래 기술을 도시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샤시
2 : 카세트
3 : 자기 테이프
4 : 공급측 릴 다이
5 : 텐션 레버
52 : 텐션 핀
6 : 밴드 브레이크
7 : 제어 레버
8 : 제어 슬라이드
9 : 제1 인장 스프링
10 : 제2 인장 스프링
10a : U자형 결합부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을 개선하기 위해 본 발명은 릴 다이를 회전 구동시키고, 카세트 내부로부터 인출되어 회전 실린더에 권취된 자기 테이프를 주행시킬 때에 공급측의 릴 다이에 회전 부하를 부여하는 백텐션 기구를 구비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에 맞닿는 텐션 핀을 지니며, 샤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텐션 레버와, 상기 텐션 레버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공급측 릴 다이에 권취된 텐션 밴드와, 동작 모드에 따라서 회전하도록 샤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어 레버와, 상기 텐션 레버와 제어 레버 사이에 장착된 제1 인장 스프링과, 상기 텐션 레버와 제어 레버 사이에 장착되는 동시에 일 단부에 U자형의 결합부가 설치된 제2 인장 스프링을 지니며, 상기 제2 인장 스프링은 동작 모드의 이행에 수반하여 상기 텐션 레버와 제어 레버 사이의 거리가 소정 이상이 된 때, 압박력을 부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제1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를 제2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PLAY 모드에 있어서, 상기 텐션은 상기 제1 인장 스프링과 제2 인장 스프링의 양쪽의 압박력으로 자기 테이프에 접촉하는 동시에, REV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인장 스프링의 압박력만으로 상기 자기 테이프에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게다가 본 발명은 PLAY 모드에 있어서, 상기 텐션 레버와 제어 레버는 상기 제1 인장 스프링과 제2 인장 스프링의 양쪽의 압박력으로 서로 당기는 동시에 그 이외의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인장 스프링의 압박력만으로 서로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이하, 도면에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의 언로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면에 있어서, 1은 메커니즘 샤시, 2는 자기 테이프(3)가 내장된 카세트, 4는 공급측(S측) 릴 다이이다. S측 릴 다이(4)의 좌측에는 텐션 레버(5)가 축(5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샤시(1)에 저어널되어 있으며, 이 텐션 레버(5)의 일 단부에는 텐션 핀(52)이 꽂아 설치되어 있다. 6은 브레이크 밴드이며, 그 양단부가 텐션 레버(5) 상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고정 부재(53, 54)에 고정되는 동시에, S측 릴 다이(4)에 귄취되어 있다. 7은 축(71)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샤시(1)의 이면에 저어널된 제어 레버이며, 상기 제어 레버(7)의 일 단부에는 캠 핀(72)이 꽂아 설치되어 있다. 8은 제어 슬라이드이며,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메커니즘 모드에 따라서 회전하도록 샤시(1)의 이면에 설치되는 동시에, 캠 홈(81)이 형성되고, 제어 레버(7)의 캠 핀(72)이 끼워 맞추어져 있다. 따라서, 제어 슬라이드(8)가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 캠 홈(81)과 캠 핀(72)에 의해 제어 레버(7)도 축(7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텐션 레버(5)와 제어 레버(7)는 각각에 설치된 제1 걸림 설편(55, 73)에 장착된 제1 스프링(9) 및 제2 걸림 설편(56, 74)에 장착된 제2 스프링(10)에 의해 연결되고, 제어 레버(7)의 반시계 반향의 회전에 따라서 텐션 레버(5)도 축(51)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제2 스프링(10)은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레버(7)측의 걸림 설편(74)에 결합하는 결합부(10a)가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어 레버(7)가 도2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로 회전하기까지는 스프링(10)에는 힘이 가해지지 않으며, 이 2점 쇄선의 위치를 넘어서 회전하면, 스프링(10)에 인장력이 작용하게 된다. 11은 샤시(1) 상에 고정된 소거 헤드, 12는 샤시(1) 상에 꽂아 설치된 고정 가이드이다.
다음에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1에 도시한 언로딩 상태로부터 PLAY 모드로의 이행이 지시되면, 도시하지 않은 구동 기구에 의해 제어 슬라이드(8)가 회전하면, 캠 홈(81)과 캠 핀(72)에 의해 제어 레버(7)가 회전하고, 도3에 도시한 PLAY 상태가 된다. 이 때, 2개의 스프링(9, 10)은 모든 제어 레버(7)에 의해 신장된 상태에 있으며, 이에 의해 텐션 레버(5)는 도면에 도시한 위치까지 회전된다. 따라서 텐션 레버(5)의 텐션 핀(52)은 소거 헤드(11)와 고정 가이드(12) 사이에서 2개의 스프링(9, 10)의 압박력에 의해 자기 테이프(3)에 접촉한다. 그리고, 밴드 브레이크(6)는 2개의 스프링(9, 10)의 압박력에 의해 긴장 상태가 되어 S측 릴 다이(4)에 권취되고, S측 릴 다이(4)에 회전 부하가 부여되고, 자기 테이프(3)에 소정의 테이프 텐션이 부여된다. 자기 테이프(3)의 텐션이 소정치 이하의 상태가 되면 텐션 핀(52)은 2개의 스프링 장력에 의해 자기 테이프(3)에 접촉한 위치로부터 도3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고, S측 릴 다이(4)에 의해 강한 토오크를 밴드 브레이크(6)에 의해 부여함으로써, 테이프 텐션이 일정치로 유지된다.
카세트(2)의 S측 릴로부터 송출되는 자기 테이프(3)가 적게 남겨지며, S측 릴에 귄취되어 있는 자기 테이프(3)의 반경이 작아진 상태에서는 자기 테이프(3)의 텐션은 증대한다. 그리고 테이프 텐션이 소정치 이상이 되면 텐션 핀(52)은 자기 테이프(3)에 의해 2개의 스프링(9, 10) 압박력에 저항하여 복귀되고, 밴드 브레이크(6)의 긴장 상태가 완화한다. 따라서, S측 릴 다이(4)의 회전 부하가 경감되고, 자기 테이프(3)의 텐션은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다음에, 도4에 도시한 역전 재생(REV) 상태에 있어서는 도3의 상태에서 제어 레버(7)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2개의 스프링(9, 10)을 느슨하게 한다. 이 때, 제2 스프링(10)의 일 단부는 U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제어 레버(7)가 어느 정도 회전하면 자유로이 길어지며, 텐션 레버(5)에 대한 압박력이 작용하지 않게 된다. 따라서, 도4에 도시한 REV 상태에서는 텐션 레버(5)에는 제1 스프링(9)의 압박력만이 작용하게 된다.
여기에서, 제1 스프링(9)의 스프링 정수는 REV 상태에 가장 적절한 값으로 설정할 수 있고, 게다가 종래와 비교하여 작게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REV시에 텐션 핀(52)이 자기 테이프(3)를 누르는 힘의 변동을 종래에 비해 극히 작게 할 수 있다. 또한, REV시에 텐션 핀(52)이 자기 테이프(3)에 대해 항상 접촉하도록 설정할 수 있으므로, 테이프 텐션에 변동이 발생해도 이 변동을 검출하여 밴드 브레이크(6)를 동작시키는 것이 가능해지며, 공간 손실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다.
도5는 이와 같은 PLAY 상태로부터 REV 상태로의 이행시 텐션 레버(5)의 압박력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에 있어서, 1점 쇄선은 제1 스프링(9), 그리고 2점 쇄선은 제2 스프링(10), 하중과 스프링 길이의 관계를 도시한 것이며, 본 발명의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에 따르면,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은 비선형의 관계가 된다. PLAY 상태에 있어서는 제1 스프링(9) 및 제2 스프링(10)의 양쪽이 작용하고, REV 상태에 있어서는 제1 스프링(9)만이 작용한다. 이로 인해, 각 모드에 있어서의 가장 적절한 스프링 하중의 설정이 가능해지며, 설계의 자유도가 확대된다.
또, FF/REW 상태에 있어서도, REV 상태와 마찬가지로 제어 레버(7)를 회전 시키면, 텐션 핀(52)이 가볍게 자기 테이프(3)에 접촉한 상태에서, 테이프 청력을 검출하면서 백토오크를 부여하고 있으므로, 장력의 변동에 의한 단권취 등이 미연에 방지되는 동시에 테이프 주행의 안정화가 도모된다.
또한, 언로딩 시에는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 레버(7)의 일단부가 제1 스프링(9)의 압박력에 의해 텐션 레버(5)의 일 단부에 접촉하고, 텐션 레버(5)의 위치 결정을 행한다. 이로 인해, 언로딩 동작 도중에서 텐션 레버(5)가 제어 레버(7)에 대해 자유로워지지 않으며 원활한 언로딩 동작이 행해진다. 또한, 언로딩 상태에서의 제1 스프링의 압박력을 작게 설정할 수 있으므로, 제어 레버(7)의 일 단부와 텐션 레버(5)의 접촉에 의한 각 레버의 마모 염려는 없다.
게다가, 메커니즘의 동작 모드 구성으로서는 도1에 도시한 언로딩 모드로부터 도3에 도시한 PLAY 모드로의 이행 도중에 REV 및 FF/REW 모드가 설정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본 발명에서는 비교적 스프링 압박력이 약한 제1 스프링(9)으로 제어 레버(7)와 텐션 레버(5)를 결합하고 있으므로, 동작 모드가 이행시에 급격한 테이프 장력의 변동이 발생해도, 그에 따라서 텐션 레버(5)가 회전하여 테이프 텐션을 제어하므로, 테이프가 손상되는 등의 문제를 발생하지 않고 원활한 동작 모드의 이행을 행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에 따르면, 테이프에 접촉하여 테이프 텐션을 검출하는 텐션 핀이 설치되고, 샤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텐션 레버와, 동작 모드에 따라서 회전하도록 샤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어 레버 사이에 제1 인장 스프링과, 일 단부에 U자형의 결합부가 설치된 제2 인장 스프링을 장착하는 동시에 제2 인장 스프링은 PLAY 모드로 이행한 때에 압박력을 부여하도록 구성하였으므로, PLAY 모드 이외의 모드에 있어서의 텐션 핀의 테이프에 대한 접촉력을 적절한 값으로 용이하게 설정할 수 있고, 테이프 주행의 안정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원활한 동작 모드의 절환을 행할 수 있다.

Claims (5)

  1. 권취측 릴 다이를 회전 구동시키고, 카세트(2) 내로부터 인출되어 회전 실린더에 권취된 자기 테이프(3)를 주행시킬 때에 공급측 릴 다이(4)에 회전 부하를 부여하는 백텐션 기구를 구비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에 압박력을 갖고 접촉하는 텐션 핀(52)을 지니며, 샤시(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텐션 레버와,
    상기 텐션 핀에 상기 자기 테이프에 대한 압박력을 부여하는 제1 및 제2 압박 수단을 지니며,
    공급측 릴 다이로부터 권취측 릴 다이에 테이프를 이송하는 정방향 테이프 이송 시에는 상기 제1 및 제2 압박 수단의 양쪽에서 텐션 핀을 압박하는 동시에, 권취측 릴 다이로부터 공급측 릴 다이로 테이프를 이송하는 역방향 테이프 이송 시에는 상기 제1 압박 수단만에 의해 텐션 핀을 압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
  2. 릴 다이를 회전 구동시키고, 카세트(2) 내로부터 인출되어 회전 실린더에 권취된 자기 테이프(3)를 주행시킬 때 공급측 릴 다이(4)에 회전 부하를 부여하는 백텐션 기구를 구비한 자기 기록 재생 장치의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3)에 맞닿는 텐션 핀(52)을 지니며 샤시(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텐션 레버(5)와,
    상기 텐션 레버에 양단부가 고정되고 상기 공급측 릴 다이에 권취된 텐션 밴드(6)와,
    동작 모드에 따라서 회전하도록 샤시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어 레버(7)와,
    상기 텐션 레버와 제어 레버 사이에 장착된 제1 인장 스프링(9)과, 상기 텐션 레버와 제어 레버 사이에 장착되는 동시에, 일 단부에 U자형의 결합부(10a)가 설치된 제2 인장 스프링(10)을 지니며,
    상기 제2 인장 스프링은 동작 모드의 이행에 수반하여 상기 텐션 레버와 제어 레버 사이의 거리가 소정 이상이 된 때, 압박력을 부여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를 제2 인장 스프링의 스프링 정수보다도 작게 설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PLAY 모드에 있어서, 상기 텐션 핀은 상기 제1 인장 스프링과 제2 인장 스프링의 양 쪽 압박력으로 자기 테이프에 맞닿는 동시에 REV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인장 스프링의 압박력만으로 상기 자기 테이프에 맞닿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PLAY 모드에 있어서, 상기 텐션 레버와 제어 레버는 상기 제1 인장 스프링과 제2 인장 스프링의 양 압박력으로 서로 당기는 동시에, 그 이외의 모드에 있어서는 상기 제1 인장 스프링의 압박력만으로 서로 당기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
KR1019980010777A 1997-03-28 1998-03-27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 KR1998008079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78336A JPH10275378A (ja) 1997-03-28 1997-03-28 テープテンション制御装置
JP97-78336 1997-03-2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0799A true KR19980080799A (ko) 1998-11-25

Family

ID=136591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0777A KR19980080799A (ko) 1997-03-28 1998-03-27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34593A (ko)
EP (1) EP0867875A3 (ko)
JP (1) JPH10275378A (ko)
KR (1) KR1998008079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1029323A1 (en) * 1998-03-27 2000-08-23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Device having tension control means including a coil spring for controlling the tension in an elongate material
KR20010010685A (ko) * 1999-07-22 2001-02-15 윤종용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JP3066346U (ja) * 1999-08-04 2000-02-18 船井電機株式会社 テ―プデッキ
KR100497495B1 (ko) * 2002-12-09 2005-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풀림 방지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78209U (ko) * 1973-11-16 1975-07-07
DE2522582A1 (de) * 1975-05-22 1976-12-09 Bosch Gmbh Robert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US4434954A (en) * 1982-04-02 1984-03-06 Ampex Corporation Tape tensioning apparatus
JPS59149251U (ja) * 1983-03-22 1984-10-05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テ−プ自動装填型記録再生装置
NL8403472A (nl) * 1984-11-14 1986-06-02 Philips Nv Magneetbandapparaat.
EP0707312B1 (en) * 1989-03-31 1999-06-02 Sony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stable tape-traveling i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CA2015431C (en) * 1989-04-29 1995-06-20 Yoshikazu Sasaki Magnetic tape back tension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KR940006037Y1 (ko) * 1989-12-13 1994-09-01 주식회사 금성사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US5430585A (en) * 1993-05-21 1995-07-04 Sanyo Electric Co., Ltd.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having a tape tension control slide movable in a circular motion
JP3531293B2 (ja) * 1995-06-29 2004-05-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67875A3 (en) 1999-07-21
EP0867875A2 (en) 1998-09-30
US5934593A (en) 1999-08-10
JPH10275378A (ja) 1998-10-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396018B1 (en) Magnetic tape back tension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US5363256A (en) Tape tension adjusting device
KR19980080799A (ko) 테이프 텐션 제어 장치
US6215612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having a rotary head cylinder and a mechanism for passing a magnetic tape around the rotary head cylinder for a predetermined arc
US6122136A (e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having a tape loading mechanism
EP0944062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JP2004103227A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ピンチローラーユニット
JPH05174453A (ja) 記録再生装置におけるテープテンション機構
JP3032579U (ja) 磁気テープ装置
JPH0728249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491542B2 (ja) テープドライブ装置
US5833164A (en) Tape reel driving device
KR100277153B1 (ko) 릴대의 후방 장력 기구
KR100452980B1 (ko) 비디오카세트레코더의 역탐색제어방법
JPH01109560A (ja) リール台駆動機構
JP3111271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71939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954739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のカム操作機構
KR950008505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구동장치
KR0133682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텐션장치
KR016523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브레이크 장치
JP3096757U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のソフトブレーキ構造
KR0176894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데크메커니즘
JPH11306618A (ja) テープレコーダ
JP2002100084A (ja) 磁気記録再生機器のリール台ブレーキ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