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64678A - 흡입구체와 이를 갖는 전기청소기 - Google Patents

흡입구체와 이를 갖는 전기청소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64678A
KR19980064678A KR1019970074118A KR19970074118A KR19980064678A KR 19980064678 A KR19980064678 A KR 19980064678A KR 1019970074118 A KR1019970074118 A KR 1019970074118A KR 19970074118 A KR19970074118 A KR 19970074118A KR 19980064678 A KR19980064678 A KR 1998006467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let
blade
cleaner
suction
rot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1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56029B1 (ko
Inventor
다케모토리츠오
나이토쥰지
Original Assignee
구보미츠오
가부시키가이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보미츠오, 가부시키가이샤테크 filed Critical 구보미츠오
Publication of KR199800646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6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560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5602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9/00Details or accessories of suction cleaners, e.g. mechanical means for controlling the suction or for effecting pulsating action; Stor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to suction cleaners or parts thereof; Carrying-vehicles specially adapted for suction cleaners
    • A47L9/02Nozzles
    • A47L9/04Nozzles with driven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05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 A47L9/0416Driving means for the brushes or agitators driven by fluid pressure, e.g. by means of an air turb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5/00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 A47L5/1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 A47L5/22Structural features of suction cleaners with power-driven air-pumps or air-compressors, e.g. driven by motor vehicle engine vacuum with rotary fans
    • A47L5/36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 A47L5/362Suction cleaners with hose between nozzle and casing; Suction cleaners for fixing on staircases; Suction cleaners for carrying on the back of the horizontal type, e.g. canister or sledge typ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7/00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 A47L7/04Suction cleaners adapted for additional purposes; Tables with suction openings for cleaning purposes; Containers for cleaning articles by suction; Suction cleaners adapted to cleaning of brushes; Suction cleaners adapted to taking-up liquids for using the exhaust air for other purposes, e.g. for distribution of chemicals in a room, for sterilisation of the ai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Nozzles For Electric Vacuum Cleaners (AREA)

Abstract

청소기본체와 연통하여 집진하는 흡입구본체(10)의 바닥면(FL)측에, 집진용의 개구부(12)가 형성되어 흡입구본체(10)내에는 개구부(12)로부터 집진하는 회전청소체(13)가 배설되고, 회전청소체(13)는 바닥면(FL)을 불식하는 블레이드(14)를 구비하고, 흡입구본체(10)의 피청소면(11)에 대향하는 면이외의 전면부에 회전청소체(14)의 블레이드(14)에 공기를 부딪치게하여 회전청소체(13)를 회전시키는 공기도입구(15)가 개구되어 있다.

Description

흡입구체와 이를 갖는 전기청소기
본 발명은 회전청소체를 구비한 흡입구체와, 이 흡입구체를 갖는 전기청소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하는 전기청소기의 흡입구체가 알려져 있다. 이 흡입구체(100)는 도시하지 않는 청소기 본체에 연통하는 연장관에 접속되어 청소기 본체의 집진팬의 흡인력에 의하여 흡입구체(100)의 저면부(102)의 개구부(103)로부터 집진하는 것이다. 흡입구체(100)는 중공체로 되어있고, 내부에 회전청소체(104)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청소체(104)의 양단부에는 바람을 받아 회전청소체(4)를 회전시키는 팬(105)이 각각 설치되어 있고, 흡입구체(100)의 전벽부(100F)의 좌우에는 팬(105)에 공기를 이송하기 위한 개구부(106)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체(100)의 저면부(102)의 전후좌우에는 청소바닥면와의 간극을 형성하기 위한 롤러(107)가 설치되어 있다.
회전청소체(104)에는 축심부(108)로 부터 회전반경방향으로 똑바로 퍼지는 블레이드(109)가 돌출설치되어 있다. 회전청소체(104)는 팬(105)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하는 것으로 청소기 본체의 집진팬의 흡인력에 의하여 전벽부(100F)의 개구부(106,106)로부터 공기가 흡입구체(100)내로 도입되어, 팬(105)이 개구부(106)로부터의 공기를 받아 회전하고, 팬(105)과 일체로 장치된 축심부(108) 및 블레이드(109)가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또, 일본특개평 3-162814호공보에는 전동송풍기의 배기풍을 환류기관을 사용하여 먼지를 흡기하는 흡기구측으로 환류시켜, 이배기풍에 의하여 바닥면을 두들겨 때리기 위한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이것은 흡입기관과 환류기관을 칸막는 벽에 의하여 흡입구와는 칸막이된 실내에 회전체가 배설되어 있다. 그러나, 도 23 및 도 24에 도시한 종래의 전기청소기의 흡입구체(100)는 회전청소체(104)의 팬(105)이 회전청소체(104)의 양단부에 설치되기 때문에, 흡입구체(100)의 좌우폭에 비교하여 회전청소체(104)의 좌우폭의 치수가 작아지고, 흡입구체(100)의 좌우단에 있어서 집진능력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 팬(105)을 별도로 성형하여 축심부(108)에 장치하기 때문에 조립공정이나 성형공정이 부가되므로 제조코스트가 상승한다라는 문제도 있다.
또, 일본특개평 3-162814호 기재의 것은 전동송풍기의 배기풍을 이용하는 것에 착안된 것이므로, 회전청소체를 회전시키기 위해서는 환류기관을 설치하여야만한다. 특히 캐니스터형의 전기청소기에서는 호스, 연장관등을 통하여 청소기 본체에 흡입구체가 접속되기 때문에 환류기관을 청소기 본체, 연장관, 호스, 흡입구의 각각에 설치하여야 하고, 구조가 극히 복잡하게 된다라는 문제가 있다. 더욱더, 회전청소체는 흡기구와는 칸막이된 실내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회전청소체에 의하여 두들겨낸 먼지가 효율좋게 흡기구로 부터 흡인되지 않는다라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회전청소체의 좌우폭 치수의 협소화를 방지하면서, 회전청소체 전용의 모터 및 동력전달기구를 갖지 않는 가볍고 콤팩터한 흡입구체로 함과 동시에, 간단한 구성으로 흡입구체의 회전청소체의 회전기능을 향상할 수 있고, 집진효율을 향상할 수 있는 흡입구체와 이 흡입구체를 갖는 전기청소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관한 전기청소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관한 흡입구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흡입구체의 저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흡입구체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흡입구체의 사시도이다.
도 6는 타의 예의 흡입구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7는 도 6의 흡입구체의 단면이다.
도 8은 별도의 예의 흡입구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흡입구체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제 2실시예의 흡입구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에 도시하는 블레이드의 부분확대도이다.
도 12는 제 2실시예의 타의 예의 흡입구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은 제 3실시예의 흡입구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4는 도 13의 흡입구체의 저면도이다.
도 15는 도 13의 흡입구체의 구성을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6는 도 13에 도시하는 흡입구체의 정면도이다.
도 17은 회전청소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8은 제 3실시예의 흡입구체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19은 제 3실시예의 별도의 예의 흡입구체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0은 제 4실시예의 흡입구체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1는 도 20에 도시한 회전청소체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2는 제 4실시예의 타의 예의 흡입구체를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3은 종래의 흡입구체의 구성을 도시한 설명도이다.
도 24는 도 23의 흡입구체의 정면도이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청소기 본체와 연통하는 흡입구 본체의 피청소면측에 집진용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 본체내에 회전청소체가 배설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청소체는 상기 개구부에 임하여 배설됨과 동시에 회전중심으로 되는 축심부 주위에 회전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블레이드를 갖고, 이 블레이드에 청소기본체의 흡입풍을 부딪치게하여 상기 회전체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특징은 청소기 본체와 연통하는 흡입구 본체의 피청소면측에 집진용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 본체내에 회전청소체가 배설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청소체는 상기 개구부에 임하여 배설됨과 동시에 회전중심으로 되는 축심부 주위에 회전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블레이드를 갖고, 상기 흡입구본체의 피청소면과 대향하는 이외의 외면에 상기 블레이드에 부딪치게하는 흡입풍을 도입하는 공기도입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타의 특징은 청소기 본체와 연통하는 흡입구 본체의 피청소면측에 집진용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 본체내에 상기 개구부에 임하는 회전청소체가 배설된 전기청소기의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청소체는 회전중심으로 되는 축심부 둘레에 회전반경 반경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회전방향 선행측에 볼록한 블레이드를 갖고, 상기 흡입구 본체에는 상기 블레이드에 맞게되는 바람을 도입하는 공기도입구를 형상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타의 특징은 청소기본체와 연통하는 흡입구 본체의 피청소면 측에 집진용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 본체내에 회전청소체가 배설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청소체는 상기 개구부에 임하여 배설됨과 동시에 회전중심으로 되는 축심부의 둘레에 회전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블레이드를 갖고, 상기 흡입구 본체의 전진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인 방향으로 회전청소체를 회전시키는 바람을 도입하여 상기 블레이드에 내뿜는 공기도입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은 청소기 본체와 연통하는 흡입기구본체의 피청소면측에 집진용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 본체내에 회전청소체가 배설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청소체는 상기 개구부에 임하여 배설됨과 동시에 회전중심으로 되는 축심부의 둘레에 회전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복수의 블레이드를 갖고, 상기 회전청소체를 회전시키는 바람을 도입하여 블레이드를 향하여 내뿜음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이동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이 맞는 블레이드의 내뿜기 위치가 변화하는 공기도입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한 흡입구체를 갖는 전기청소기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 1실시예)
도 1에 있어서, 1은 전기청소기 본체는 이 본체(1)내에 형성된 집진실(2)을 부압으로 하는 전동송풍기(3)가 설치되고, 집진실(2)에는 집진필터(4)가 설치되어있다. 5는 일단이 전기청소기 본체(1)에 착탈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는 호스로 이호스(5)의 타단에는 바로 옆 조작관(6)이 설치되어 있다. 바로 옆 조작관(6)에는 손잡이부(6A)와 조작부(6B)가 설치되어 있고, 조작부(6B)에는 전동송풍기(3)의 전원을 끊는 오프스위치 S1나 전동송풍기(3)의 파워를 설정하는 설정스위치 S2,S3등이 설치되어 있다.
바로 옆조작관(6)에는 연장관(7)이 착탈가능하게 접속되고, 연장관(7)의 선단부에는 흡입구체(9)의 접속관(11)이 착탈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흡입구체(9)는 도 2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흡입구본체(10)와, 이본체(10)의 후부에 설치된 접속관(11)을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본체(10)는 횡단면이 돔상의 상 케이스(10a)와 이 상케이스(10a)의 아래에 장치된 하케이스(10b)를 갖고 있다. 하케이스(10b)의 저부에는 도 3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집진용의 개구부(12)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본체(10)의 후부의 통부(10C)에는 연장관(7)이 착탈되는 접속관(11)이 설치되어 있다. 17은 하케이스(10b)에 설치한 롤러이다.
흡입구 본체(10)내에는 흡입실(R)이 형성되고, 흡입실(R)내에 개구부(12)에 임하여 흡입구본체(10)의 좌우측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청소체(13)가 배설되어 있다. 회전청소체(13)는 회전함으로서 피청소면인 바닥면(FL)으로부터 먼지나 더러움을 긁어떨어 뜨린다. 케이스(10b)의 개구부(12)는 회전청소체(13)의 윤곽상당의 크기의 형상을 갖고 있다. 또, 회전청소체(13)는 그 양단부가 흡입구본체(10)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는 축받이에 의하여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그 양단부를 포함한 회전청소체(13)의 길이는 흡입구본체(10)의 좌우폭과 대략같다.
회전청소체(13)는 바닥면(FL)을 불식하는 좌우양단부까지 직선상으로 연장한 복수의 블레이드(14)를 갖고 있고, 케이스(10a)의 전부(10F)에는 도 5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회전청소체(13)의 블레이드(14)에 공기를 맞게하여 회전청소체(13)을 회전시키는 공기도입구(15)가 개구되어 있다.
공기도입구(15)의 흡입구본체(10)내측에는 블레이드(14)에 바람을 효율좋게 맞게하기위하여 가이드벽(15a)이 형성되어 있다. 이공기도입구(15)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블레이드(14)의 좌우폭상당 또 개구부(12)의 좌우폭의 크기로 형성되어 블레이드(14)의 좌우폭 전체에 걸쳐서 공기를 맞도록 되어 있다.
블레이드(14)는 황단면 형상이 원호상으로 형성되어, 선단부가 회전방향의 후방으로 향하여 있고, 블레이드(14)에 공기가 맞게되면 회전청소체(13)를 반시계회전(도 2에서)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블레이드(14)는 선단부(14b)가 기부(14a)보다 회전방향후방에 위치하면, 거의 직선적인 단면이라도 좋다. 또 블레이드(14)는 합성고무등의 탄성을 갖는 에라스토머로 부터 형성되어, 경질의 축심부(16)에 장착되어 있지만, 연질로 내마모성이 있는 플라스틱에 의하여 축심부(16)에 일체로 성형한 것일지라도 좋다.
블레이드(14)는 회전방향 선행측이 볼록하게 되도록 즉, 공기도입구(15)와 대향하는 측이 오목하게 되도록 원호상으로 만곡하고 있기 때문에 바닥면(FL)에 부딪치면 휘어지기 쉬우나, 공기도입구(15)로부터의 공기가 부딪치므로서 휘어지기 어렵게 되어 있어서 확실히 회전청소체(13)를 회전시킬 수가 있다.
다음에 상기의 전기청소기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전기청소기본체(1)에 호스(5)를 접속함과 동시에 이 호스(5)에 연장관(7)을 접속하고, 이 연장관(7)에 흡입구체(9)를 접속한다. 그리고 스위치(S1)또는 스위치(S2)를 누르면, 전동송풍기(3)가 설정된 파워로 동작하여 집진실(2)이 부압으로 된다. 이 부압이 호스(5), 연장관(7)및 접속관(11)을 통하여 흡입구체(9)의 흡입실(R)이 부압으로 되고, 개구부(12)나 도입구(15)로부터 공기가 흡기되어 간다.
흡입구본체(10)를 바닥면(FL)에 놓으면, 롤러(17)에 의하여, 바닥면(FL)과 하케이스(10b)와의 사이에 좁은 간극(18)이 생겨, 이 간극(18)으로부터 공기가 흡인되어 개구부(12)에 속으로 파고들어가지만, 간극(18)이 좁기 때문에, 공기도입구(15)로부터 도입되는 공기가 증가하고, 회전청소체(13)의 블레이드(14)에 부딪치는 풍압이 강하게 되어, 회전청소체(13)는 회전하기 시작한다.
또, 공기도입구(15)의 좌우폭이 블레이드(14)의 좌우폭 상당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공기도입구(15)로부터 내뿜은 공기가 부딪치는 블레이드(14)의 면적이 넓어지고, 더욱더, 공기도입구(15)의 상하의 폭이 좁으므로 공기도입구(15)로부터 내뿜는 공기의 유속은 고속화된다. 이때문에 공기도입구(15)로부터 내뿜는 공기가 블레이드(14)에 강하게 부딪쳐, 회전청소체(13)를 확실히 회전시켜 갈 수가 있다. 그리고,이 회전에 의하여 회전청소체(13)는 바닥면(FL)을 불식청소하여 간다.
바닥면(FL)이 융단의 경우에는 개구부(12)가 바닥면(FL)으로 막히는 상태로 되고, 이 결과, 공기도입구(15)로부터 도입되는 공기가 더욱더 증가하므로 블레이드(14)에 부딪치는 풍압이 더욱더 강하게 되어, 회전청소체(13)의 회전력이 더욱더 상승한다. 즉, 블레이드(14)에 의한 긁어 올림이 보다 필요한 융단의 경우에는 회전청소체(13)의 회전력이 더욱더 상승하는 것으로 된다.
블레이드(14)로 긁어 올린 먼지는 접속관(11), 연장관(7), 호스(5)를 통하여 청소기 본체(10)의 집진필터(4)에로 흡인되어간다.
흡입구본체(10)가 바닥면(FL)에서 떨어지면, 흡입실(R)의 공기압이 대기압과 같게되므로 공기도입구(15)로부터 공기흡인이 감소하여 회전청소체(13)의 회전이 정지혹은 저하한다. 더우기, 회전청소체(13)가 회전할때, 블레이드(14)의 선단부(14b)가 회전방향의 후방으로 향하고 있기 때문에, 축심부(16)로부터 회전반경방향으로 직립하는 경우 보다도 블레이드(14)가 바닥면(FL)과 접촉하는 접촉면적이 넓어지고, 집진효과 혹은 긁어내기 효과가 향상한다.
또, 이 제 1실시예에 의하면, 개구부(12)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와, 공기도입구(15)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와의 어느것도 회전청소체(13)를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므로, 회전청소체(13)의 회전력은 향상한다. 즉 회전청소체(13)의 회전기능이 향상하는 것으로 된다.
상술한 바와같이, 회전청소체(13)는 먼지를 긁어올리는 블레이드(14)에 부딪치는 공기에 의하여 회전하여가므로, 회전청소체(13)를 회전시키기 위한 전용의 팬이나 모터를 설치할 필요가 없고, 이때문에 가볍고 콤팩트한 흡입구체를 제공할 수가 있다.
또, 흡입구본체(10)에 공기도입구(15)를 설치하고, 이 공기도입구(15)로부터 흡입구본체(10)의 주위에 있는 외기를 흡인하고, 이 흡인한 흡입풍으로 회전청소체(13)를 회전시키고 있을 뿐이므로, 그 구성은 지극히 간단한 것이고, 이때문에 염가인 흡입구체(9)및 전기청소기를 제공할 수가 있다.
도 6 및 도 7은 타의 예의 흡입구체(40)를 도시한 것이고, 이 흡입구체(40)는 하케이스(10b)의 전촉의 하면에 오목부(41)를 설치하고, 이 오목부(41)에 의하여 공기도입구(42)를 형성한 것이다. 43은 가이드벽이다.
또, 흡입구본체(10)의 외주에는 범퍼(44)가 장치되어있고, 이 범퍼(44)의 전측부(44A)는 공기도입구(42)의 전단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이 범퍼(44)의 전측부(44A)에 의하여, 벽(K)쪽을 청소하는 경우, 벽(K)에 의하여 공기도입구(42)가 폐쇄되어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 흡입구체(40)에 의하면, 상기와 꼭같은 회전청소체(13)의 회전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외에 흡입구본체(10)의 전방위치에 있는 먼지로 흡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도 8 및 도 9는 별도의 예의 흡입구체(45)를 도시한 것이다. 이 흡입구체(45)는 상케이스(10a)의 후부의 양측에 공기도입구(46,46)을 설치한 것이다. 47은 가이드벽이다. 이 흡입구체(45)도 개구부(12)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와 공기도입구(46,46)로부터 흡인되는 공기와의 어느 것도 회전청소체(13)을 동일방향으로 회전시키도록 작용하므로, 회전청소체(13)의 회전력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제 2실시예)
제 10도 및 도 11은 제 2실시예의 흡입구체(50)를 도시한 것이고, 이 흡입구체(50)는 흡입구본체(20)와 접속관(25)를 구비하고 있다. 흡입구본체(20)는 상케이스(21)와 이 상케이스(21)에 장치된 하케이스(22)를 갖고 있다. 상케이스(21)의 전측에는 공기도입구(34)가 형성되어 있다. 하케이스(22)에는 집진용의 개구부(23)가 형성되어 있다. 흡입구체(20)의 후부의 통부(24)에는 연장관이 착탈되는 접속관(25)에 설치되어 있다.
흡입구체(20)내에는 흡입실(26)이 형성되고, 흡입실(26)내에 개구부(23)에 임하여 흡입구체(20)의 좌우폭 방향으로 연장하는 회전청소체(27)가 배설되어 있다. 회전청소체(27)는 회전함으로서 피청소면인 바닥면(28)에서 먼지나 더러움을 긁어 떨어뜨리면서 집진한다. 하케이스(22)의 개구부(23)는 회전청소체(27)의 평면형상 상당의 형상을 갖고 있다. 더우기, 회전청소체(27)의 좌우측 방향 길이는 제 1의 실시예와 꼭같다.
회전청소체(27)는 축심부(29)와 블레이드(30) 또 팬(31)이 일체적으로 형성된 통부(32)를 갖는다. 바닥면(28)을 불식하는 블레이드(30)와 팬(31)이 통부(32)에 일체로 번갈아 형성되어 있고, 통부(32)는 축심부(29)의 주위에 고착되어 있다. 블레이드(30)와 팬(31)은 통부(32)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므로서, 축심부(29)에의 고착이 용이하게 되어 있음과 동시에, 팬(31)의 받은 공기에 의한 회전력이 그대로 블레이드(30)의 회전력으로 된다.
블레이드(30)은 제 1실시예의 블레이드(14)와 동일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블레이드(30)의 회전반경방향의 길이는 팬(31)의 회전반경방향의 길이보다 길게설정되어, 팬(31)은 그 선단부가 케이스(22)의 개구부(23)로부터 바닥면(28)에 부딪치지 않도록 그길이가 설정되어 있다.
블레이드(30)에는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예를들면 직사각형의 개구(33)가 형성되어 있다. 이 개구(33)는 상케이스(21)의 전벽부의 공기도입구(34)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를 팬(31)에 부딪치게하여 팬(31)에 회전력을 부여하는 것이다.
블레이드(30)는 팬(31)보다 휘여지기 쉬운 재질로 형성되어, 바닥면(28)에 부딪치면 휘여져서 바닥면(28)을 불식하기 쉽게되어 있다.
팬(31)및 통부(32)는 굳은 재질로 형성되어 있다. 팬(31)의 두께는 블레이드(30)의 두께보다 두껍게 형성되어, 블레이드(30)보다도 굳은것으로 되어 있다. 블레이드(30)의 소재는 제 1실시예와 같다. 팬(31)의 소재는 예를들면 PP수지나 ABS수지등이다.
블레이드(30)와 팬(31), 통부(32)가 다른재질인 경우에, 이들을 일체로 성형하는데는 예를들면, 통부(32) 및 팬(31)을 경질의 수지로 형성한 후에, 통부(32)및 팬(31)으로 이루는 소체를 인서트 성형 금형에 세트하여, 블레이드(30)의 부분을 후에 성형한다. 통부(32)와 팬(31)을 형성할때에 블레이드(30)를 일체로 고착하는 돌기부를 통부(32)의 주위에 미리 성형하여도 좋다. 또,블레이드(30)와 팬(31)을 동재질로 형성하는 경우, 팬(31)의 두께를 두껍게하여 블레이드(30)보다 휘어지기 어렵게하는 것도 가능하다.
블레이드(30)에 형성된 개구(33)는 공기도입구(34)로부터 회전청소체(27)에 말려들어가게하는 기류(B)의 통로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 팬(31)에 효율좋게 공기를 맞게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다. 공기도입구(34)의 외측에는 통상의 가이드벽(35)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도입구(34)의 가이드벽(35)은 회전청소체(27)의 회전방향(A)에 따라 순(順)방향으로 공기를 이송하도록 되어 있고, 회전하는 팬(31)의 후방측에서 회전전방측을 향하여 공기를 도입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이 실시형태에서는 통부(24)의 축방향과 가이드벽(35)의 방향이 거의 같은 방향으로 행해지고, 통부(24)의 단면내부 그렇지 않으면 근방에 공기도입구(34)가 위치하여 있으므로, 공기도입구(34)로부터 흡인되는 공기가 직선적으로 통부(24)내부에 흡인되어, 이때문에 풍로저항이 작고, 공기도입구(34)로부터의 공기의 흡입효율이 향상한다.
이 공기도입구(34)의 좌우방향의 길이는 제 1실시예와 꼭같이, 블레이드(30)의 좌우방향의 길이와 거의 동일하게 되어있다.
이 제 2실시예에 의하면, 융단등을 상처입히지 않도록 블레이드(30)를 휘여지기 쉽게 형성하더라도 팬(31)을 딱딱하게 형성함으로서 회전청소체(27)의 회전력을 올리수가 있다. 이때문에 융단등에 상처를 입히지 않고 먼지의 긁어올림 효과를 올리수가 있다. 또, 회전청소체(27)는 시계회전(도 10에 있어서)으로 회전하여 가므로 흡입구본체(20)가 전진이동(도 10에서는 좌방향으로 이동)시켰을때에 바닥면(28)에 대한 블레이드(30)의 상대이동속도가 크게되므로, 블레이드(30)가 융단등을 보다 강하게 긁어 올려가므로서 블레이드(30)의 긁어올림효율이 향상한다.
또, 블레이드(30)에 개구(33)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공기도입구(34)로부터 흡인된 공기가 블레이드(30)을 향하여 내뿜더라도, 그 개구(33)을 지나 팬(31)에 부딪치므로, 그 내뿜기에 의하여 블레이드가 휘어져서 충분한 회전력을 얻을 수 없게 돼 버리는 것이 방지된다. 이때문에, 공기도입구(34)로부터 흡인된 공기에 의하여 회전청소체(27)는 효율좋게 회전해가는 것으로 된다.
도 12는 타의 예의 흡입구체(60)를 도시한 것이다. 이 흡입구체(60)는 블레이드(61)에 팬기능을 갖게한 회전청소체(62)를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것이고, 그외는 제 2실시예와 꼭같으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제 3실시예)
도 13 내지 도 16은 제 3실시예의 흡입구체(70)를 도시한 것이다. 이 흡입구체(70)는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같이 회전청소체(71)를 구비하고 있다. 이 회전청소체(71)는 복수의 블레이드(72)를 갖고 있고, 회전청소체(71)의 구성은 도 12에 도시하는 것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이 흡입구체(70)의 본체(73)는 상케이스(74)와 이 상케이스(74)에 장치된 하케이스(22)와를 갖고 있고, 상케이스(74)의 전측에는 좌우양측에 공기도입구(75,7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도입구(75,76)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 위치는 서로 다르고 높이 L만큼의 차가 있다. 이 실시예에 의하면, 회전청소체(71)가 회전하는 각도에 따라, 공기도입구(75,76)로부터 내뿜는 바람이 부딪치는 블레이드(72)의 부분이 변화해가는 것을 된다. 즉, 공기도입구(76)가 내뿜는 바람은 블레이드(72B)의 좌측부분(도 17에 있어서)이고, 이 블레이드(72B)가 블레이드(72A)의 위치에 오면 공기도입구(75)가 내뿜는 바람은 블레이드(72B)의 우측부분으로 된다.
이와같이하면, 회전속도의 변동을 작게하여 회전청소체(71)를 매끄럽게 회전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회전청소체(71)가 예를들면 각도 α회전하였을때, 블레이드(72B)가 실선의 위치로 부터 실선을 도시하는 블레이드(72A)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으로하고, 회전청소체(71)는 α/2의 각도회전하였을때, 블레이드(72B)가 실선의 위치로부터 파선으로 도시하는 블레이드(72B)의 위치까지 이동하는 것을 하면, 공기도입구(76)가 공기도입구(75)와 동일 높이위치에 있는 경우, 회전청소체(71)가 α/2의 각도회전하고, 블레이드(72B)가 실선의 위치로부터 파선위치로 이동하였을때, 블레이드(72B)는 공기도입구(75,76)로부터 내뿜는 공기에 의하여 되밀어진다(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이동하는 힘을 받는다). 이때문에, 회전청소체(71)의 회전력이 급격히 저하하여 큰 소음이 발생한다. 이때 회전청소체(71)의 회전력은 최소로 된다. 또, 공기도입구(76)가 공기도입구(75)와 동일높이위치에 있는 경우, 회전청소체(71)의 블레이드(72A)가 실선위치에 왔을때, 이 블레이드(72)가 받는 공기도입구(75,76)로부터 뿜어내는 공기의 풍압이 최대로 되는 것이면, 회전청소체(71)는 각도 α회전할때마다 2개의 공기도입구(75,76)로부터 동시에 회전력(F)을 얻으므로서, 그 회전력(F)는 최대로 된다.
즉, 회전청소체(71)는 α의 각도회전할때마다 최대의 회전력을 받으면서 회전하여가고, 그 최대회전력과 최소회전력의 차가 크게 된다. 즉, 회전력의 변동이 크고, 게다가 회전청소체(71)는 각도 α회전할때마다 회전력을 받으면서 회전하여 가므로, 회전청소체는 매끄롭게 회전하여 가지 않는다. 이때문에 진동이나 소음이 발생한다. 이에 대하여 공기도입구(75,76)의 높이위치가 다르면, 회전청소체(71)는 각도 α보다 작은 각도 β회전할때마다 F/2의 회전력을 얻는 것으로되고, 최대회전력과 최소회전력의 차는 작아진다. 즉, 회전력의 변동이 작아지고, 게다가, 회전청소체(71)는 각도 α보다 작은 각도 β회전할때마다 작은 회전력 F/2을 받으면서 회전하여 가므로, 회전청소체(71)는 매끄럽게 회전하여 가게되므로 진동이나 소음을 작게억제할 수가 있다. 또, 공기도입구(75,76)로부터 내뿜는 공기는 한번에 동일 블레이드(72)에 충돌하지 않고, 그 공기에 의한 충돌음은 작은 것을 된다. 도 18은 타의 예의 흡입구체(70')을 도시한 것이고, 이 흡입구체(70')는 회전청소체(71)대신에 회전청소체(27)를 구비한 것이다.
도 19는 별도의 예의 흡입구체(70)를 도시한 것이고, 이 흡입구체(70)는 상케이스(74)에 2개의공기도입구(75,76)를 설치하는 대신에 상케이스(74)에 좌우방향으로 연장한 하나의 공기도입구(78)를 설치하고, 이의 공기도입구(78)의 양단부(78A,75B)에서 높이위치를 변경한 것이다. 또 흡입구체(70)는 회전청소체(71)또는 회전청소체(27)를 구비하고 있다.
(제 4실시예)
도 20은 제 4실시예의 흡입구체(80)를 도시한 것이다. 이 흡입구체(80)는 도 21에 도시하는 회전청소체(90)를 구비하여 있고, 이 회전청소체(90)의 블레이드(91)는 축(92)방향에 따라서 나선상으로 비틀러져 있다. 블레이드(91)의 단면형상은 도 15에 도시하는 블레이드(72)와 동일하고, 그 재질도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흡입구체(80)의 상케이스(82)의 전측에는 좌우양측에 공기도입구(83,84)가 형성되어 있다. 이 공기도입구(83,84)가 형성되어 있는 높이 위치는 동일하게 되어 있지만, 회전청소체(90)의 블레이드(91)가 나선상으로 비틀어져 있으므로 제 3실시에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22는 타의 예의 흡입구체(80')를 도시한 것이다. 이 흡입구체(80')는 2개의 공기도입구(83,84)대신에 상케이스(82)의 전측에 좌우방향으로 연장된 하나의 공기도입구(85)를 형상한 것이다.
더구나, 상기 어느 실시예도, 공기도입구(15,34,42,46,75,76,78,83,84,85)로부터 도입하는 공기는 흡입구본체(10,20,73)의 주위에 있는 대기를 흡인하고, 이 흡인한 흡입풍으로 회전청소체 (13,27,71,90)을 회전시키고 있지만, 전동송풍기(3)에 의하여 배출되는 배기풍을 순환시켜, 이 배기풍을 이용하여 회전청소체(13,27,71,90)을 회전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이경우, 배기풍을 공기도입구(15,34,42,46,75,76,78,83,84,85)로 유도하기 위하여 파이프등을 호스(5)나 연장관(7)등에 설치할 필요가 있다.

Claims (15)

  1. 청소기 본체와 연통하는 흡입구 본체의 피청소면측에 집진용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 본체내에 회전청소체가 배설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청소체는 상기 개구부에 임하여 배설됨과 동시에 회전중심으로 되는 축심부 주위에 회전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블레이드를 갖고, 이 블레이드에 청소기 본체의 흡입풍을 부딪치게하여 상기 회전청소체를 회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2. 청소기 본체와 연통하는 흡입구 본체의 피청소면측에 집진용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 본체내에 회전청소체가 설치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청소체는 상기 개구부에 임하여 배설됨과 동시에, 회전중심으로 되는 축심부 둘레에 회전반경 방향으로 연장하는 블레이드를 갖고, 상기 흡입구 본체의 피청소면과 대향하는 이외의 외면에 상기 블레이드에 부딪치게되는 흡입풍을 도입하는 공기도입구를 형상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3. 청소기본체와 연통하는 흡입구 본체의 피청소면 측에 집진용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 본체내에 상기 개구부에 임하는 회전청소체가 배설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청소체는 회전중심으로 되는 축심부의 둘레에 회전반경방향으로 연장함과 동시에 회전방향 선행측에 볼록한 블레이드를 갖고, 상기 흡입구 본체에는 상기 블레이드에 부딪치는 바람을 도입하는 공기도입구를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4. 제 1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축심부에는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공기도입구로부터 도입되는 공기를 받아, 상기 회전청소체를 회전시키는 팬이 형성되어 이 팬의 회전반경방향의 길이가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반경방향의 길이보다 짧게설정되어, 상기 팬은 상기 블레이드 보다 휘어지기 어렵게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와 상기 팬이 일체로 성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에 상기 팬으로 바람을 부딪치게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7. 청소기 본체와 연통하는 흡입구 본체의 피청소면측에 집진용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 본체내에 회전청소체가 배설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청소체는 상기 개구부에 임하여 배설됨과 동시에 회전중심으로 되는 축심부 주위에 회전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블레이드를 갖고, 상기 흡입구본체의 전진방향에 대하여 순방향인 방향에 회전청소체를 회전시키는 바람을 도입하여 상기 블레이드에 내뿜는 공기도입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도입구를 흡입구 본체의 전측이고 동시에 회전청소체의 회전측 보다 하측에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도입구는 상기 흡입구본체의 전측의 하면에 설치한 오목부에 의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10.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도입구를 상기 흡입구 본체의 전측에 설치하고, 이 전측에 상기공기도입구 보다 전방으로 돌출한 돌기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는 흡입구 본체에 설치한 범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12. 청소기 본체와 연통하는 흡입구 본체의 피청소면측에 집진용의 개구부가 형성되어, 상기 흡입구 본체내에 회전청소체가 배설된 흡입구체에 있어서, 상기 회전청소체는 상기 개구부에 임하여 배설됨과 동시에 회전중심으로 되는 축심부 주위에 회전반경방향으로 연장하는 블레이드를 갖고, 상기 회전청소체를 회전시키는 바람을 도입하여 블레이드을 향하여 내뿜움과 동시에 상기 블레이드의 회전이동위치에 대응하여 바람이 부딪치는 블레이드의 부딪침 위치가 변하는 공기도입구를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평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공기도입구는 각각 다른 높이 위치에 복수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14.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블레이드는 회전청소체의 회전축에 따라 나선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공기도입구는 각각 동일높이위치에 상기 회전축방향에 따라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입구체.
  15. 제 1 항 내지 제 14 항의 흡입구체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청소기.
KR1019970074118A 1996-12-26 1997-12-26 흡입구체와이를갖는전기청소기 KR10025602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681196 1996-12-26
JP96-346811 1996-12-26
JP28996597A JP3202953B2 (ja) 1996-12-26 1997-10-22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97-289965 1997-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678A true KR19980064678A (ko) 1998-10-07
KR100256029B1 KR100256029B1 (ko) 2000-07-01

Family

ID=26557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118A KR100256029B1 (ko) 1996-12-26 1997-12-26 흡입구체와이를갖는전기청소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3202953B2 (ko)
KR (1) KR100256029B1 (ko)
CN (1) CN1145452C (ko)
HK (1) HK1015655A1 (ko)
MY (1) MY120526A (ko)
SG (1) SG60173A1 (ko)
TW (1) TW417478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996B1 (ko) * 2013-01-08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202953B2 (ja) * 1996-12-26 2001-08-2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GB0104675D0 (en) * 2001-02-24 2001-04-11 Dyson Ltd A tool for a vacuum cleaner
JP2003000486A (ja) * 2001-06-20 2003-01-07 Kowa Co Ltd 掃除機用床ノズルの回転ロータ
KR100767116B1 (ko) * 2001-10-12 2007-10-16 삼성광주전자 주식회사 진공청소기용 흡입구 조립체
KR100504890B1 (ko) * 2003-04-25 2005-07-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업라이트 청소기의 취약부흡입장치
KR100565614B1 (ko) 2003-09-17 200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캡션 송수신 방법
KR100806644B1 (ko) * 2006-12-30 2008-02-26 (주)월스타 진공청소기의 흡입력을 조절할 수 있는 진드기 흡입장치
CN102334948B (zh) * 2010-07-27 2016-03-02 Wallstar株式会社 打扫床上用品用吸嘴
CN102715872B (zh) * 2012-06-28 2015-02-18 柯约瑟 全自动位移扫地机
CN104172993B (zh) * 2014-08-21 2018-01-16 广东宝乐机器人股份有限公司 一种在智能扫地机上具有多种清洁方式的方法及其装置
DE102015100699A1 (de) * 2015-01-19 2016-07-21 Vorwerk & Co. Interholding Gmbh Bürstenwalze
CN106963285A (zh) * 2017-04-28 2017-07-21 苏州市海朋电子商务有限公司 吸尘器吸嘴
CN111358382B (zh) * 2019-12-25 2022-12-13 添可智能科技有限公司 地刷及清洗机
JP2022068680A (ja) * 2020-10-22 2022-05-10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清掃具及び電気掃除機
KR20240020600A (ko) * 2022-08-08 2024-02-15 삼성전자주식회사 진공 청소기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727170Y1 (ko) * 1968-11-28 1972-08-19
JPS5769665U (ko) * 1980-10-15 1982-04-27
JPH01265925A (ja) * 1988-04-15 1989-10-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
JPH0744911Y2 (ja) * 1989-03-06 1995-10-11 三洋電機株式会社 給湯機
JPH04152923A (ja) * 1990-10-17 1992-05-2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電気掃除機の床ノズル
JPH0595868A (ja) * 1991-10-11 1993-04-20 Akai Electric Co Ltd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JP3019056U (ja) * 1995-06-06 1995-12-05 茂 松林 吸気式掃除機吸い込み口ノズル
JP3202953B2 (ja) * 1996-12-26 2001-08-27 東芝テック株式会社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50996B1 (ko) * 2013-01-08 2014-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청소기의 노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G60173A1 (en) 1999-02-22
CN1190569A (zh) 1998-08-19
MY120526A (en) 2005-11-30
HK1015655A1 (en) 1999-10-22
JP3202953B2 (ja) 2001-08-27
CN1145452C (zh) 2004-04-14
JPH10234629A (ja) 1998-09-08
TW417478U (en) 2001-01-01
KR100256029B1 (ko) 2000-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56029B1 (ko) 흡입구체와이를갖는전기청소기
KR100849778B1 (ko) 전기청소기 및 그 흡입구체
EP1949841A1 (en) Suction brush assembly
US20060185119A1 (en) Brush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KR20060122521A (ko) 진공청소기
KR100824117B1 (ko) 회전 청소체와 전기 청소기
JP4051777B2 (ja) 電気掃除機用吸込具及び電気掃除機
KR100750724B1 (ko) 진공청소기의 흡입 브러시
KR100572153B1 (ko) 브러시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진공청소기
US7856694B2 (en) Nozzle assembly of vacuum cleaner
JP4738960B2 (ja) 電気掃除機用床ノズルと電気掃除機
AU2005229624A1 (en) A brush assembly for a vacuum cleaner
JP3585705B2 (ja) 電気掃除機の床ブラシ
JP2009066351A (ja) 掃除機用の吸入口体
JP2004065915A (ja) 吸込み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3457863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JP2002143051A (ja) 電気掃除機
KR100282221B1 (ko) 바닥용 흡입기구
CN220069609U (zh) 刷头组件及清洁装置
JP3448205B2 (ja) 電気掃除機の吸い込み口体
KR100205687B1 (ko) 진공청소기의 배기구조
JP3457865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KR20050102228A (ko) 진공청소기의 흡입노즐
JP2000300483A (ja) 電気掃除機
JP3457864B2 (ja) 電気掃除機の吸込口体及び電気掃除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20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18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9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