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9980018186A - 사출성형용 금형 - Google Patents

사출성형용 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80018186A
KR19980018186A KR1019970032988A KR19970032988A KR19980018186A KR 19980018186 A KR19980018186 A KR 19980018186A KR 1019970032988 A KR1019970032988 A KR 1019970032988A KR 19970032988 A KR19970032988 A KR 19970032988A KR 19980018186 A KR19980018186 A KR 199800181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vity
gate
mold
resin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32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카나오 콘노
Original Assignee
카미조노 스미오
카부시키가이샤 사쿠라푸라스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카미조노 스미오, 카부시키가이샤 사쿠라푸라스틱 filed Critical 카미조노 스미오
Publication of KR199800181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18186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7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C45/26Moulds
    • B29C45/27Sprue channels ; Runner channels or runner nozzles
    • B29C45/2701Details not specific to hot or cold runner channels
    • B29C45/2708G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성형품의 형상과 상응된 형상을 보유하는 캐버티와 캐버티로 향한 수지를 공급하는 수지유로와 그 수지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수지를 캐버티내로 사출하는 게이트를 내부에 보유하는 사출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게이트를 캐버티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위치를 옮겨서 설치하므로서, 게이트의 캐버티측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일부만을 캐버티내로 개구시킨다. 이것에 의하여, 성형품을 이형시키기 위한 성형품과 게이트내에서 경화된 수지와의 사이로 인장력을 작용시켰을 때에, 게이트내에서 경화된 수지를 성형품측으로 잔류시키는 일 없이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사출성형용 금형
본 발명은, 사출성형법에 의하여 합성수지를 성형할 때에 사용하는 사출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출성형기에 사용되는 금형은, 분할가능한 제1 및 제2형판을 보유하는 금형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이 금형본체의 내부에, 성형해야할 목적물(성형품)의 형상에 상응된 모양의 캐버티(용융수지가 충전되는 空所)와, 그 캐버티로 향해서 용융수지를 유동시키는 수지유로와, 그 수지유로를 통하여 공급되는 용융수지를 캐버티내로 사출시키는 게이트가 형성된다. 제1형판 및 제2형판의 적어도 한쪽은, 분할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이들 형판의 상대적인 변위에 의하여, 금형본체를 개폐시키도록 되어 있다.
성형시에는, 제1형판 및 제2형판의 분할면에 따르는 단면이 서로 맞닿게 되며, 적당한 형틀체결기구에 의하여 양쪽 형판이 체결되어서 금형본체가 폐쇄된 상태로 된다. 그 상태에서 용융수지가 게이트를 통하여 캐버티내로 사출시켜져서, 성형품이 형성된다. 성형이 실시된 후, 제1 및 제2형판이 서로 떨어진 방향으로 변위되어서 금형본체가 개방되어, 성형품을 끄집어낸다.
도 11은 종래로부터 사용되고 있는 사출성형용 금형에 있어서의 금형본체(1)의 주요부의 구성을 표시한 것이다. 금형본체(1)는, 분할면(PL)의 위치에서 제1 및 제2형판(2 및 3)으로 분할되도록 되어 있고, 성형시에 제1 및 제2형판(2 및 3)의 분할면(PL)에 따르는 단면(2a 및 3a)이 서로 맞닿은 상태로 된다. 도면에 표시된 예에서는, 제1형판(2)의 내부에, 캐버티(4)의 일부를 형성하는 캐버티형성부(4a)와, 성형기의 노즐로부터 사출된 용융수지(5)를 삽입하는 스프루(6)가 형성되어 있다. 제2형판(3)의 내부에는, 캐버티(4)의 다른 부분을 형성하는 캐버티형성부(4b)와, 스프루(6)내로 주입된 용융수지를 분할면(PL)에 따라서 캐버티(4)측으로 유동시키는 러너(7)와, 러너(7)를 통하여 공급된 용융수지를 캐버티(4)의 측면측으로부터 그 캐버티내로 사출하는 게이트(8) 등이 형성되어 있다. 이 예에서는, 스프루(6)과 러너(7)에 의하여, 용융수지를 캐버티로 향해서 유동시키는 수지유로가 구성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캐버티(4)의 측면측으로부터 분할면(PL)에 따라서 캐버티내로 수지를 사출하도록 설치하는 게이트는, 서브머린게이트 또는 터널게이트로 호칭되어지고 있다.
도 11에 표시된 예에서는, 동시에 복수개의 성형품을 얻기 위하여, 스프루(6)의 우측에 다른 캐버티가 설치되어 있어서, 그 다른 캐버티에 수지를 공급하기 위한 러너(7)가 스프루(6)에 접속되어 있다.
도면에 표시된 예에서는, 제2형판(3)이 공기압실린더 등에 의하여 구동되어서, 도면에 표시하듯이 제1형판(2)에 맞닿은 상태로 이루어지는 폐위치와, 제1형판(2)으로부터 떨어진 상태로 이루어지는 개위치의 사이를 변위시킨다. 성형시에는, 제2형판(3)이 폐위치로 배치되어서,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형틀체결기구에 의하여, 용융수지의 사출압력에 견딜 수 있도록 제1형판(2)에 대하여 체결된다.
도 11에 표시된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성형을 실시할 때에는, 제1형판(2) 및 제2형판(3)을 형틀체결기구에 의하여 체결된 상태에서 스프루(6)내로 용융수지(5)를 사출하고, 그 용융수지를 러너(7) 및 게이트(8)를 통하여 캐버티(4)내로 주입하므로써, 수지성형체(9)를 형성한다. 이 수지성형체(9)는, 캐버티(4)내로 충전된 수지가 경화하므로써 형성된 목적의 성형품(9a)과, 게이트(8)내로 잔류된 수지가 경화하므로써 형성된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9b)와, 러너(7)내로 잔류된 수지가 경화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러너내의 수지성형체(9c) 및 스프루(6)내로 잔류된 수지가 경화하므로써 형성된 스프루내의 수지성형체(9d)가 연결된 구조를 보유하고 있다.
금형본체 내로 용융수지를 사출한 후, 제2형판(3)을 개위치로 변위시켜서, 스프루내의 수지성형체(9d)를 스프루(6)로부터 이탈시킴과 아울러, 캐버티(4)내의 성형품(9a)을 제1형판(2)내의 캐버티형성부(4a)로부터 이형시킨다. 또한,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이젝터핀에 의하여 캐버티내의 성형품(9a)을 제2형판(3)내의 캐버티형성부(4b)로부터 이형시키고, 그때에, 성형품(9a)을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9b)로부터 분리한다.
도 12는 종래의 다른 사출성형용 금형의 본체(1)의 주요부를 표시한 것이고, 이 예에서는, 제1형판(2)내로 러너(7)와 게이트(8)가, 분할면(PL)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따르도록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8)는, 캐버티(4)의 게이트가 접속되는 부분의 중심위치로 지향하도록 설치되어 있어서, 분할면(PL)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상대하는 캐버티의 양단부의 한쪽측으로부터 그 캐버티내로 용융수지를 사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분할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부터 캐버티내로 수지를 사출하도록 설치되는 게이트는, 핀포인트 게이트로 호칭되어지고 있다.
도 12에 표시된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을 행하는 경우에는, 금형본체(1)내로 용융수지를 사출한 후, 러너내의 수지성형체(9c)의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상단부를 구속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형판(2 및 3)을 동시에 도면상에서 아래쪽으로 변위시키므로써, 성형품(9a)과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9b)와의 사이로 인장력을 작용시켜서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9b)를 성형품(9a)으로부터 분리함과 아울러, 러너내의 수지성형체(9c)를 제1형판(2)내의 러너(7)로부터 이탈시킨다. 그후 제1형판(2)을 정지시켜서 제2형판(3)만을 도면에 표시한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므로써 성형품(9a)을 제1형판(2)내의 캐버티형성부(4a)로부터 이탈시켜서,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이젝터핀에 의하여 성형품(9a)을 제2형판(3)내의 캐버티형성부(4b)로부터 이탈시킨다.
도 11에 표시하듯이, 서브머린게이트에 의하여 캐버티(4)내로 수지를 사출하도록 한 경우에는, 성형품(9a)을 캐버티(4)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성형품(9a)과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9b)와의 경계부를 전단(剪斷)에 의하여 쉽게 분리할 수가 있기 때문에, 수지의 사출로부터 성형품의 이형에 이르는 성형기의 전공정의 자동운전을 쉽게 이행시킬 수가 있다.
따라서, 서브머린게이트를 채용한 금형에서는, 성형품(9a)과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9b)와의 사이를 분리했을 때에, 게이트(8)의 캐버티측의 개구부 근처에 수지의 파편이 잔류하여 게이트의 로딩(loading)이 발생하게 되고, 이 게이트의 로딩에 의하여, 다음 성형시의 주물액체의 주위가 악화되어서, 압탕 등의 성형불량이 발생하는 일이 있었다. 이와 같이, 서브머린게이트를 구비한 금형을 사용한 경우에는, 어느 정도의 수의 성형불량품이 발생하는 것을 회피할 수 없기 때문에, 제품의 수율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이것에 대하여, 도 12에 표시하듯이, 핀포인트 게이트를 구비한 금형을 사용한 경우에는, 성형품을 이형시킬 때에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의 분리를 전단에 의하여 행하는 것은 아니고, 성형품과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의 사이로 게이트의 축선방향에 따르는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것에 의해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의 분리를 행하기 때문에, 게이트의 로딩이 발생하는 일은 없고, 주물액체 주위의 불량에 기인하는 성형불량이 발생하는 일도 거의 없다.
그런데, 핀포인트 게이트를 채용한 경우에는,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9b)를 성형품(9a)으로부터 잡아떼어내는 향태로 분리하게 되므로, 게이트(8)의 중심부의 수지가 충분히 경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9b)를 성형품으로부터 분리하면, 게이트내의 중심부의 연한 수지가 실을 끌어당기는 상태로 되어서 성형품(9a)측에 잔류되며, 도 13에 표시하듯이, 그 잔류수지에 의하여 성형품(9a)의 외면에 큰 돌기(9a1)가 형성되어진다.
그래서, 핀포인트 게이트를 채용한 금형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금형내로 용융수지를 사출한 후, 게이트내의 중심부의 수지를 충분히 경화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냉각시간을 둔 다음,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9b)를 성형품(9a)으로부터 분리하도록 성형기의 동작사이클을 설정하므로써, 성형품(9a)에 큰 돌기(9a1)가 형성되지 않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성형기의 동작사이클을 설정하고 있어도, 성형이 몇번이나 반복되어서 게이트의 내면이 오염되어지면, 게이트의 내면을 통하여 행해지는 방열이 불량하게 되어서, 게이트내의 중심부의 수지가 경화하기 까지에 상당한 시간이 걸리기 때문에, 곧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9b)를 성형품(9a)으로부터 분리할 때에 게이트내의 중심부의 수지가 아직 경화하지 않은 상태가 발생하며,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9b)를 분리할 때에 성형품(9a)에 큰 돌기(9a1)가 형성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핀포인트 게이트를 채용한 종래의 사출성형용 금형을 사용한 경우에는, 금형을 단주기로 클리닝할 필요가 있고, 금형인 멘터넌스의 주기가 짧아져서, 생산성이 악화된다고 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게이트의 로딩에 의한 성형불량이 발생하는 일이 없도록 하여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키고 또한, 멘터넌스의 주기를 길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사출성형용 금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분할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형판을 보유하는 금형본체를 구비하고 있어서, 성형해야할 목적물의 형상에 상응한 형상을 보유하는 캐버티(성형품을 얻기 위하여 용융수지가 충전되는 공소)와, 캐버티로 향해서 용융수지를 흐르게하는 수지유로와, 캐버티와 수지유로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한쪽 끝이 상기한 캐버티에 접속됨과 아울러 다른쪽 끝이 상기한 수지유로에 접속된 게이트가 상기한 금형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사출성형용 금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한 캐버티내로 수지를 사출할 때에 상기한 게이트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일부분만을 캐버티내로 개구시키도록, 게이트를 상기한 캐버티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편심시킨 상태로 설치하였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게이트의 캐버티측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일부분만을 캐버티내로 개구시키도록 하면, 게이트내에서 경화된 수지의 캐버티측의 단부에, 성형품의 측면으로부터 튀어나온 돌출부분(성형품에 연결되어 있지 않은 부분)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성형품을 이형시킬 때에, 캐버티와 게이트내에서 경화된 수지와의 사이로 인장력을 작용시키면, 게이트내에서 경화된 수지의 돌출부분과 성형품과의 사이의 경계부에 응력의 집중이 발생하고, 그 경계부에 쉽게 균열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성형품을 이형시킬 때에, 게이트내의 수지를 용이하게 성형품으로부터 분리할 수가 있고, 이형된 성형품에 돌기가 형성되기 어려울 수가 있다. 또 게이트내에서 경화된 수지는, 균열의 진전에 의하여, 최종적으로는 수지의 경화가 가장 빠르게 진척되는 게이트의 내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성형품으로부터 분리되므로, 성형이 몇번이나 반복되어서 금형의 내면이 상당히 오염된 상태로 되어도, 게이트내의 수지가 분리될 때에 수지가 실을 끌어당기는 상태로 되어서 큰 돌기가 형성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금형의 멘터넌스의 주기를 종래보다도 길게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한 게이트는, 제1형판내에 있어서, 그 한쪽 끝이 제2형판측으로 개구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와, 그 한쪽 끝이 제1형판내에서 캐버티에 접속되도록 설치되는 경우가 있다.
상기한 게이트가 제1형판내에 있어서, 그 한쪽 끝이 제2형판측으로 개구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제1 및 제2형판이 맞닿아진 상태에 있는 경우에 게이트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일부분만을 캐버티내로 개구시켜, 게이트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다른 부분을 분할면에 따르는 제2형판의 단면과 대향시키도록, 게이트를 캐버티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편심시킨 상태로 설치한다.
또 상기한 게이트가 제1형판내에서 캐버티에 접속되도록 설치되는 경우에는, 게이트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일부분만을 캐버티내로 개구시키도록, 게이트를 캐버티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편심시킨 상태로 배치하며, 게이트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다른 부분은 캐버티의 게이트측의 단부에 인접하는 위치로 형성된 종단면에 의하여 종단한다.
본 발명에 관한 금형에 설치하는 게이트는, 종래의 금형에 설치되었던 핀포인트 게이트와 동일하게, 분할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하면 좋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반드시 게이트를 정확하게 분할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향하게 할 필요는 없고, 경우에 따라서는, 게이트내에서 경화된 수지의 이형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그 게이트를 분할면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부터 약간 경사진 방향으로 향하게 한 상태로 설치하도록 해도 좋다. 그 의미에서 본발명에 있어서는, 게이트를 분할면에 대하여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향하도록 설치하고 있다.
도 1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사출성형용 금형에 사용되는 금형본체의 주요부가 다른 구성예를 표시한 단면도.
도 2의 (A) 및 (B)는, 각각 본 발명에 관한 사출성형용 금형에 사용되는 금형본체의 주요부가 또 다른 구성예를 표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관한 금형에 설치되는 게이트의 캐버티측의 단부와 캐버티의 위치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
도 4의 (A) 내지 (D)는, 본 발명에 관한 금형의 게이트내에서 경화된 수지를 성형품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금형의 주요부의 구성을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표시한 주요부 확대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제1 및 제2형판의 캐버티 및 게이트부근의 구조를 전개하여 표시한 종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한 제1 및 제2형판의 캐버티 및 게이트부근의 구조를 표시한 확대 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X-X선 단면도.
도 10의 (A) 내지 (C)는, 각각,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성형하는 볼 베어링의 유지기의 외관을 표시한 평면도, 정면도 및 좌측면도.
도 11은, 종래에 널리 사용되었던 사출성형용 금형의 본체부분의 주요부의 구성을 표시한 단면도.
도 12는, 핀포인트 게이트를 구비한 종래의 금형의 주요부를 표시한 단면도.
도 13은, 도 12의 금형에 의하여 성형된 성형품의 주요부의 외관을 표시한 정면도.
도 1의 (A), (B) 및 도 2의 (A), (B)는 본 발명에 관한 사출성형용 금형에 설치되는 금형본체(11)의 여러가지의 구성예를 표시한 것으로, 이들의 예에 표시된 금형본체(11)는, 분할가능한 제1 및 제2형판(12 및 13)을 구비하고 있다.
제1 및 제2형판(12 및 13)은, 분할면(PL)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으로 변위할 수 있도록 지지되고, 성형시에는, 도면에 표시하듯이 제1 및 제2형판(12 및 13)의 분할면(PL)에 따르는 단면(12a 및 13a)이 서로 맞닿아서, 금형본체(11)가 폐쇄된 상태로 된다. 금형본체(11)의 내부에는, 성형품의 형상에 상응된 모양의 캐버티(14)와, 캐버티(14)로 향해서 용융수지를 유동시키는 수지유로의 일부를 구성하는 러너(15)와, 러너(15)를 통하여 공급되는 용융수지를 캐버티(14)내로 사출하는 게이트(16)가 형성되어 있다.
도 1(A), (B) 및 도 2(A), (B)에 각각 표시된 예에서는, 캐버티의 설치방향에 차이가 있지만, 이들의 예에 있어서, 게이트의 설치방향에 대한 기본사상은 동일하다.
도 1(A)에 표시된 예에서는, 제1형판(12)내로 제2형판(13)측으로 개구된 형틀구멍(17)이 형성되어 있다. 제2형판(13)에는 형틀구멍(17)내로 삽입되는 코어(18)가 고정되고, 도면에 표시하듯이 제1형판(12)과 제2형판(13)이 맞닿아서 금형본체(11)가 폐쇄된 상태에서, 형틀구멍(17)의 내면과 코어(18)와의 사이로 캐버티(14)가 형성되도록 되어있다. 러너(15)는 분할면(PL)에 대하여 직각인 방향에 따라서 제2형판(13)측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그 러너(15)의 선단부는 캐버티(14)측으로 향함에 따라서 점차 그 내경이 작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러너(15)의 선단의 최소경부와 캐버티(14)와의 사이를 접속하도록 게이트(16)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에 표시된 예에서는 캐버티(14)의 게이트에 접속되는 단부(제1의 형판측의 단부)측의 윤곽형상이 둥근고리형상을 나타내고 있고, 게이트(16)는 그 횡단면이 원형을 나타내도록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게이트(16)를, 캐버티(14)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편심시킨 상태에서 설치하므로서, 게이트(16)의 캐버티측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일부만을 캐버티내로 개구시키도록 한다. 즉,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 3에 표시된 바와같이, 게이트(16)의 캐버티(14)측의 한쪽 끝(16a)의 개구부의 중심위치(O1)를, 캐버티(14)의 게이트에 접속되는 부분의 중심위치(캐버티를 폭방향으로 2분하는 위치)(O2)에 대하여 일정한 거리(△x)만큼 캐버티의 외주측으로 편위시키므로서, 게이트(16)의 캐버티측의 한쪽 끝(16a)의 개구부의 일부(16a1)(도 3에 있어서 사선으로 표시한 부분)만을 캐버티(14)내로 개구시켜, 게이트의 한쪽 끝(16a)의 개구부의 다른 부분(16a2)은 적당한 면과 대향시켜서 종단한다. 도 1(A)에 표시된 예에서는, 게이트의 한쪽 끝(16a)의 개구부의 다른 부분(16a2)을 캐버티(14)의 게이트측의 단부에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종단면(19)과 대향시켜서 종단하고 있다.
도 1(B)에 표시된 예에서는, 캐버티(14)가 제1형판(12)내로 형성된 캐버티형성부(14a)와 제2형판(13)내로 형성된 캐버티형성부(14b) 등으로 이루어져 있어서, 그 캐버티(14)가 제1 및 제2형판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그외의 점은 도 1(A)에 표시된 예와 동일하다.
도 2(A)에 표시된 예에서는, 캐버티(14)가 제1형판(12)내에 형성된 캐버티형성부(14a)와 제2형판(13)내에 형성된 캐버티형성부(14b)로 이루어져 있고, 그 캐버티(14)가 제1 및 제2형판에 걸쳐서 형성되어 있다. 캐버티(14)의 제1형판(12)측의 단부의 일부에 약간의 깊이(△t)를 보유하는 오목부(14c)가 형성되며, 그 오목부(14c)의 밑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에서 게이트(16)가 캐버티(14)에 접속되어 있다. 도면에 표시된 예에서는, 오목부(14c)의 깊이(△t)가 제1형판(12)내의 캐버티형성부(14a)의 깊이와 동등하게 설정되고, 오목부(14c)의 밑부분이 제2형판(13)의 단면(13a)과 동일면상으로 배치되어 있다.
게이트(16)는, 그 캐버티측의 단부(16a)가 제2형판(13)측으로(제1형판의 단면(12a)으로) 개구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16)는, 캐버티(14)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편심되어져 있고, 도면에 표시하듯이 제1 및 제2형판을 맞닿은 상태에서, 게이트의 캐버티측의 한쪽 끝(16a)의 개구부의 일부분(16a1)만이 캐버티(14)내로 개구시켜지며, 게이트의 한쪽 끝(16a)의 개구부의 다른 부분(16a2)은, 분할면에 따르는 제2형판(13)의 단면과 대향시켜서 종단되어 있다.
도 2(B)에 표시된 예에서는, 제2형판(13)내에서만 캐버티(14)가 형성되며, 그 캐버티(14)의 게이트측의 단부는 제1형판(12)측으로 개구하고 있다. 게이트(16)는, 그 캐버티측의 한쪽 끝(16a)을 제2형판(13)측으로 개구시킨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게이트는 캐버티(14)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편심시키고 있고, 도면에 표시하듯이 제1 및 제2형판(12 및 13)을 맞닿은 상태에서, 게이트의 캐버티측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일부분(16a1)만이 캐버티(14)내로 개구시켜지며, 게이트의 한쪽 끝(16a)의 개구부의 다른 부분(16a2)은, 분할면(PL)에 따르는 제2형판(13)의 단면(13a)과 대향시켜져서 종단되도록 되어 있다.
도 1(A), (B) 및 도 2(A), (B)에 각각 표시된 예에 있어서는, 게이트의 캐버티측의 한쪽 끝(16a)의 개구부의 캐버티(14)내로 개구하는 부분(16a1)의 단면적(도 3에 사선으로 표시된 부분의 면적)이 게이트 개구부의 유효단면적(S1)으로 이루어지고, 게이트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종단되는 부분(16a2)의 단면적이 게이트 개구부의 무효단면적(S2)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유효단면적(S1)을 캐버티(14)내로 용융수지를 충분히 충전시키기 위해 필요한 크기로 설정하고, 유효단면적(S1)과 무효단면적(S2)의 비(S1/S2)를, 게이트내의 수지를 성형품측으로 거의 잔류시키는 일 없이, 성형품을 게이트내의 수지로부터 분리하기 위하여 필요한 크기로 설정한다. 게이트내의 수지를 성형품측으로 거의 잔류시키는 일 없이, 성형품을 게이트내의 수지로부터 분리하기 위해서는, S1/S2를 작게 설정하므로서, 금형의 오염이 진척하여 게이트의 내면을 통하여 실시되는 방열이 악화되었을 때에 수지의 경화가 지연되는 게이트내의 중심부 부근을, 캐버티내로 개구시키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금형을 사용하여 사출성형을 실시할 때에는, 도면에 표시하듯이 제1 및 제2형판(12 및 13)을 맞닿은 상태에서,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스프루로부터 러너(15)와 게이트(16)를 통하여 캐버티(14)내로 수지를 사출하여 수지성형체(20)를 형성한다. 이 수지성형체(20)는, 캐버티(14)내에 형성되는 성형품(20a)과, 게이트(16)내에 형성되는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20b)와, 러너(15)내에 형성되는 러너내의 수지성형체(20c)와,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스프루내에 형성되는 스프루내의 수지성형체를 일체로 연결한 것이다.
수지를 사출한 후, 러너내의 수지성형부(20c)를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형판(12 및 13)을 분할면(PL)과 직교하는 방향에 따라서 스프루와 반대측으로 동시에 이동시키므로서, 성형품(20a)과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20b)와의 사이로 인장력을 작용시켜, 이것에 의하여,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20b)를 성형품(20a)으로부터 분리한다. 그후, 제1 및 제2형판(12 및 13)을 다시 변위시켜서,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20b) 및 러너내의 수지성형체(20c)를 제1형판(12)으로부터 이탈시킨다. 계속하여, 제2형판(13)을 제1형판(12)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그 제1형판(12)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변위시켜서, 성형품(20a)을 제1형판(12)으로부터 이탈시킨 후,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이젝터핀에 의하여 성형품(20a)을 제2형판(13)으로부터 이탈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게이트(16)를 캐버티(14)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편심시켜서, 그 게이트의 캐버티측의 한쪽 끝(16a)의 개구부의 일부분(16a1)만을 캐버티(14)내로 개구시키도록 하면, 도 4(A)에 표시하듯이,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20b)의 캐버티측의 단부에, 성형품(20a)의 측면으로부터 튀어나온 돌출부분(20b1)이 발생한다. 그 때문에, 성형품을 이형시킬 때에, 도 4(B)에 표시하듯이 캐버티내의 성형품(20a)과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20b)와의 사이로 인장력을 작용시키면,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의 튀어나온 부분과 성형품과의 사이의 경계부(Q)에 응력의 집중이 발생한다. 경계부(Q)에 응력의 집중이 발생하면 쉽게 균열(21)이 발생한다. 이 균열(21)은 도 4(C)에 표시하듯이 쉽게 틈새(22)로 진전하기 때문에, 도 4(D)에 표시하듯이,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20b)가 성형품(20a)으로부터 무리없이 분리된다.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20b)는, 상기한 균열(21)의 진전에 의하여, 최종적으로는, 게이트(16)의 내면에 가까운 위치(G)(도 4(C) 참조)에서 성형품(20a)으로부터 분리된다. 게이트(16)의 내면에 가까운 위치(G)에서는, 게이트내면으로부터의 방열에 의하여 수지가 조기에 경화되므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최종적으로 게이트(16)의 내면에 가까운 위치(G)에서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20b)가 성형품으로부터 분리하도록 하여 두면, 금형의 오염이 진전된 상태(게이트내면으로부터의 방열이 어느정도 악화된 상태)에서도,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20b)가 성형품(20a)으로부터 분리될 때에 수지가 실을 끌어당기는 상태로 되는 일은 없이, 성형품(20a)에 큰 돌기가 형성되는 일은 없다. 따라서, 금형의 멘터넌스의 주기를 종래보다도 대폭으로 길게할 수 있고,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하는 경우, 게이트 개구부의 유효단면적(S1)과 무효단면적(S2)과의 비(S1/S2)를 작게하면 할수록,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20b)의 분리를 쉽게할 수가 있고, 성형품(20a)에 형성된 돌기를 작게할 수가 있다. 일반적으로는, S1/S2<1/2로 설정하여, 게이트의 캐버티측의 단부의 중심부(수지의 경화가 가장 지연되는 부분)가 캐버티내로 개구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S1/S2을 작게하면, 수지의 사출에 기여하는 유효단면적(S1)이 무효단면적(S2)에 대하여 작게되지만, 유효단면적(S1)의 필요한 크기는, 게이트(16)의 단면적(S)(=S1+S2)을 크게 설정하는 것에 의해 확보하면 된다. 단, 게이트(16)의 단면적(S)을 너무 크게하면, 수지의 낭비가 많아지므로, 실제로는, 게이트의 단면적을 과대하게 하지 않는 범위에서, S1/S2를 가능한한 작게하도록, 게이트의 단면적(S)과, 게이트의 캐버티측단부의 편심량을 설정한다.
상기한 설명에서는, 성형품의 이형시에, 성형품과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와의 사이로 인장력을 작용시키기 위하여, 러너내의 수지성형체를 움직이지 않도록 구속한 상태에서 제1 및 제2형판을 동시에 이동시키도록 하였지만, 성형품과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와의 사이로 인장력을 작용시키는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제1형판(12)을 관통시켜서 설치한 이젝터핀 등에 의하여 캐버티내의 성형품을 압압하면서, 제2형판(13)을 성형품과 아울러 제1형판(12)으로부터 떼어내는 방향으로 변위시키므로서, 성형품과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와의 사이로 인장력을 작용시켜서, 성형품을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로부터 분리하도록 해도 좋다.
상기한 예에서는, 도 3에 표시하듯이, 게이트(16)의 위치를 캐버티(14)의 외주측으로 편위시키므로서 게이트의 캐버티측의 한쪽 끝(16a)의 개구부의 일부(16a1)만을 캐버티내로 개구시키도록 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는, 게이트를 캐버티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편심시킨 상태로 설치하는 것에 의해, 게이트의 캐버티측의 한쪽 끝(16a)의 개구부의 일부만을 캐버티내로 개구시키도록 하면 좋고, 게이트의 편심방향은 상기한 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3에 있어서, 게이트(16)의 위치를 캐버티(14)의 내주측으로 편위시키므로서, 게이트의 캐버티측의 한쪽 끝(16a)의 개구부의 일부만을 캐버티(14)내로 개구시키도록 하여도 좋다.
다음에 도 5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볼 베어링에 사용하는 유지기를 사출성형하는 경우를 예로 들고 있다. 도 10(A) 내지 (C)는, 본 실시예에서 성형하는 볼 베어링의 유지기(30)를 표시한 것이다. 이 유지기는, 일정한 두께의 주벽부(30a)를 보유하는 링형상인 부재로 되어 있고, 그 주벽부(30a)에는, 그 주벽부를 지름방향으로 관통하고, 축선방향의 한쪽측으로 개구된 C자모양의 복수의 볼 유지부(30b, 30b, …)가, 원주방향으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다. 또 성형된 유지기(30)의 이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볼 유지부(30b, 30b, …) 상호간에 절단부(30c, 30c, …)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절단부를 설치해두면, 성형된 유지기를 캐버티내의 코어부분으로부터 이탈시킬 때에 각 볼 유지부(30b)의 양측부분(30b1, 30b1)을 탄성변형시킬 수가 있기 때문에, 성형된 유지기의 이형을 쉽게할 수가 있다. 유지기(30)의 볼 유지부(30b)가 개구된 축선방향 단부와는 반대측의 축선방향단부의 일부에 얕은 오목부(30d)가 형성되고, 이 오목부(30d)의 밑부분과 상응하는 위치에서, 캐버티가 게이트에 접속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상기한 유지기(30)는, 볼 베어링의 외륜과 내륜의 사이에 배치되어서, 각 볼 유지부(30b)의 내측으로 베어링의 볼(31)을 자유롭게 회전운동할 수 있도록 유지한다.
유지기(30)는 높은 치수정밀도가 요구되므로, 성형된 유지기(30)에 금형의 게이트내의 수지가 잔류하여 눈에 띄게 되는 돌기가 형성된 경우에는, 그 돌기를 제거하기 위한 후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본 발명의 금형을 사용하면, 성형된 유지기(30)의 외면에 후가공을 필요로 하는 큰 돌기가 형성되는 일은 없지만, 도면에 표시한 예에서는, 만전을 기하기 위하여, 성형품(30)의 일부에 오목부(30d)를 형성하여, 사출성형용 금형의 게이트내의 수지와 성형품과의 연결부를 그 오목부(30d)내로 위치시키도록 하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해두면, 만일 금형의 게이트내의 수지가 유지기측으로 잔류하여 돌기가 형성되었다고 하여도, 그 돌기는 유지기의 축선방향의 단부로부터 돌출하는 일이 없으므로, 그 돌기가 유지기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치는 일은 없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한 유지기(30)를 사출성형하기 위한, 금형을 도 5 ∼도 9에 표시하듯이 구성하였다. 도 5는 동일한 금형의 주요부의 구성을 표시하는 종단면도, 도 6은 도 5의 주요부를 확대하여 표시한 주요부 확대단면도, 도 7은 제1 및 제2형판의 캐버티 및 게이트부근의 구조를 전개하여 표시한 종단면도, 도 8은 제1 및 제2형판의 캐버티 및 게이트부근의 구조를 표시한 확대종단면도, 도 9는 도 8의 X-X선 단면도이다.
도 5에 있어서, 참조부호(50)는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성형기의 프레임에 고정된 고정판이다. 고정판(50)의 중앙부에는 설치구멍(51)이 형성되고, 설치구멍(51)내에 스프루부시(52)가 설치되어 있다. 스프루부시(52)에는, 고정판(50)의 두께방향의 한쪽의 단면(50a)측(성형기의 축선방향의 한쪽의 측)으로 개구된 사출노즐 삽입구(53)와, 한쪽 끝이 사출노즐 삽입구멍(53)내로 개구되며, 다른쪽 끝이 부시(52)의 선단측으로 개구된 스프루(54)가 형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표시되어 있듯이, 고정판의 다른 쪽의 단면(50b)의 측쪽으로, 제1형판(12)과 제2형판(13)이 제1형판(12)을 고정판(50)측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평행하게 배치되며, 제1형판(12)과 고정판(50)과의 사이에 제3형판(55)이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제1 및 제2형판(12 및 13)과 제3형판(55)에 의하여 금형본체(11)가 구성되어 있다.
도 5 및 도 6에 있어서 참조부호(PL1)는 제1형판(12)과 제2형판(13)의 분할면이고, 참조부호(PL2)는 제1형판(12)과 제3형판(55)의 분할면이다.
도 5에 표시된 바와 같이, 제3형판(55)의 중앙부에 설치된 구멍내로 부시(56)가 설치되며, 그 부시(56)에 스프루부시(52)의 선단부가 결합되어 있다. 도면에 표시하듯이 제3형판(55)을 고정판(50)의 다른쪽 단면(50b)에 맞닿게 하여, 스프루부시(52)의 선단부를 부시(56)와 결합시킨 상태에서, 부시(52 및 56)의 선단면이 제3형판(55)의 분할면(PL2)측의 단면과 동일평면상에 위치하도록 각 부의 치수가 설정되어 있다.
제1형판(12)은, 스프루(54)의 중심축선에 대하여 대칭인 위치에 한쌍의 형틀설치구멍(57a, 57a)을 보유하는 형틀유지판(57)과, 형틀유지구멍(57a, 57a)내에 고정된 형틀(58, 58)로 이루어져 있다. 형틀유지판(57)과 형틀(58, 58)에 걸쳐서, 분할면(PL2)에 따라서 연장되는 가로홈(15a)이 형성되어 있다. 가로홈(15a)은, 제1형판(12)과 제3형판(55)이 맞닿은 상태에 있는 경우에 그 중앙부를 스프루(54)와 연통시키도록 설치되어 있다. 각 형틀(58)의 내부에는, 세로구멍(15b)과, 캐버티(14)의 일부를 구성하는 캐버티형성부(14a)와, 게이트(16)가 형성되어 있다. 세로구멍(15b)은 그 한쪽 끝이 가로홈(15a)과 연통되고, 다른쪽 끝이 게이트와 연통하도록 설치되며, 가로홈(15a)과 세로구멍(15b, 15b)에 의하여, 스프루(54)를 통하여 공급되는 용융수지를 캐버티(14)측으로 유동시키는 러너(15)가 구성되어 있다.
캐버티형성부(14a)는, 도 10에 표시된 유지기(30)의 각 부의 안쪽, 오목부(30d)가 설치된 측의 축선방향단면(30A)과 그 오목부(30d)의 밑부분에 상응하는 위치와의 사이의 부분(도 10(C)의 A-A선 보다도 좌측의 부분)을 성형하기 위한 것이고, 둥근고리형상인 홈의 일부를 유지기의 오목부(30d)를 성형하기 위한 수컷형틀부(59)(도 7 참조)에 의하여 분단된 형상을 보유하고 있다. 도 6 및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16)는, 수컷형틀부(59)의 중앙부를 관통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그 캐버티측의 단부(16a)가 제2형판(13)측으로 개구되어 있다.
제2형판(13)은, 형틀유지판(57)의 형틀설치구멍(57a, 57a)과 각각 상응하는 위치로 형틀설치구멍(60a, 60a)을 보유하는 형틀유지판(60)과, 형틀설치구멍(60a, 60a)내에 각각 설치된 형틀(61, 61)로 이루어져 있다. 각 형틀(61)에는, 제1형판의 캐버티형성부(14a)와 아울러 캐버티(14)를 형성하는 캐버티형성부(14b)가 설치되어 있다. 이 캐버티형성부(14b)는, 유지기(30)의 각 부의 안쪽, 도 10(C)의 A-A선 보다도 우측의 부분을 성형하는 것이다. 도 7에 표시된 바와 같이, 캐버티형성부(14b)내에는, 유지기(30)의 볼 유지부(30b) 및 절단부(30c)를 각각 성형하기 위한 수컷형틀부(62 및 63)가 형성되어 있다.
도 8 및 도 9에 표시된 바와 같이, 게이트(16)의 캐버티측의 단부(16a)는, 캐버티(14)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편심시킨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도면에 표시하듯이, 제1 및 제2형판(12 및 13)이 맞닿은 상태에서, 게이트(16)의 캐버티측의 한쪽 끝(16a)의 개구부의 일부분(16a1)만이 캐버티(14)내로 개구되고, 게이트(16)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다른 부분(16a2)은 분할면(PL1)에 따르는 제2형판(13)의 단면(13a)과 대향시키고 있다.
도 5 및 도 6에 표시된 바와 같이, 러너형성용의 가로홈(15a)의 양단과 각각 상응하는 위치에 핀(64, 64)이 설치되어 있다. 이들의 핀(64, 64)은 성형기의 축선방향으로 연장되도록 설치되어 있고, 각각의 한쪽 끝이 고정판(50)에 고정되며, 핀(64, 64)의 고정판(50)으로부터 돌출된 부분이, 제3형판(55)에 형성된 구멍과 간극에 끼워져 있다. 핀(64, 64)의 선단부에는, 원뿔형상인 유지부(64a, 64a)가 설치되며, 도면에 표시하듯이 제3형판(55)이 고정판(50)과 맞닿고 있는 상태로 되어 있을 경우에, 핀(64, 64)의 각각의 선단의 유지부(64a, 64a)가 가로홈(15a)내로 돌출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의 핀(64, 64)은, 캐버티(14)내의 성형품을 게이트(16)내의 수지로부터 분리할 때에, 러너(15)내로 형성되는 수지성형체를 유지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제2형판(13)에 설치된 형틀(61, 61)에는, 캐버티(14)내의 성형품을 그 캐버티로부터 이탈시키기 위한 이젝터핀(65)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제3형판(55)과, 제1 및 제2형판(12 및 13)과는, 성형기의 축선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고, 공기압실린더 등에 의하여 구동되어서, 아래에 표시하는 동작을 실시하도록 소정의 순서로 제어된다.
상기한 성형기는, 그 축선을 수직방향 또는 수평방향으로 배치된 상태에서 배치할 수 있지만, 성형품의 이형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는, 축선을 수평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금형을 사용하여 성형을 실시할 때에는, 우선 도 5에 표시하듯이, 고정판(50)과 제3형판(55), 제3형판(55)과 제1형판(12) 및 제1형판(12)과 제2형판(13)을 각각 맞닿게 해서 금형을 폐쇄된 상태로 하고,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형틀체결기구에 의하여 이들의 판을 서로 체결한다. 이어서 도면에 표시하지 않은 사출노즐을 전진시켜서, 스프루부시(52)의 사출노즐 삽입구(53)내로 삽입하고, 그 노즐의 선단을 스프루(54)의 입구로 억누르고 스프루(54)내로 용융수지를 사출한다. 이것에 의하여 용융수지를 스프루(54)와, 러너(15) 및 게이트(16)를 통하여 캐버티내로 사출한다. 수지를 사출한 후, 게이트(16)내의 수지가 경화하여 게이트가 폐쇄될때까지의 사이에 보압(保壓)한다. 수지가 경화한 후, 우선 제1형판(12)과 제2형판(13)을 제3형판(55)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동시에 이동시킨다. 이때 러너(15)의 가로홈(15a)내에서 경화된 수지가 핀(64)의 선단의 유지부(64a)를 금속을 녹여서 감싸는 상태로서, 러너(15)내에서 수지가 경화하므로써 형성된 러너내의 수지성형체(20c)가 핀(64)에 의하여 구속된 상태로 되어 있으므로, 제1 및 제2형판(12 및 13)이 제3형판(55)으로부터 떨아진 측으로 동시에 이동하면, 게이트(16)내에서 수지가 경화되므로써 형성된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20b)가 캐버티(14)내로 형성된 성형품(20a)으로부터 분리되고, 성형품(20a)이 캐버티형성부(14a)로부터 이탈시켜진다.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20b)를 성형품(20a)으로부터 분리하는 과정은 도 4(A) 내지 (D)를 사용하여 이미 설명한 대로이다.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20b)가 성형품(20a)으로부터 분리된 후, 제1 및 제2형판(12 및 13)을 다시 이동시키므로서, 러너내의 수지성형체(20b)를 제1형판(12)의 러너(15)로부터 이탈시킨다. 그후, 제3형판(55)을 고정판(50)으로부터 떨어진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스프루(54)내에서 수지가 경화되므로써 형성된 스프루내의 수지성형체(20d)를 스프루(54)로부터 이탈시켜, 스프루내의 수지성형체(20d)와 러너내의 수지성형체(20c) 및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20b)가 연결된 구조의 성형체를 금형으로부터 이탈시킨다. 또, 이젝터핀(65)을 제1형판(12)측으로 변위시켜서, 캐버티형성부(14b)로부터 성형품(20a)을 끄집어낸다.
상기한 실시예에 표시된 금형을 사용하여, 도 10에 표시하는 볼 베어링의 유지기(30)를 염화비닐수지에 의하여 성형하는 실험을 실시한 바, 성형품의 게이트내의 수지성형부와의 연결부에 후가공을 필요로 하는 바와 같은, 돌기가 형성되는 일은 없었다. 또 외면에 돌기를 발생시키는 일 없이 성형품을 얻을 수가 있는 양호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하여 필요한 금형의 멘터넌스의 주기를, 종래보다도 대폭으로 길게할 수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 성형품을 이형시킨 후에, 게이트의 로딩이 발생하는 일은 없고, 게이트(16)의 캐버티측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캐버티내로 개구하는 부분(16a1)의 면적(유효단면적 S1)을 충분히 크게 하면, 수지의 충전량의 부족이나, 주물액체 주위의 불량에 의거하는 성형불량이 발생하지 않는 것이 분명하게 되었다.
도 5 내지 도 9에 표시된 실시예에서는, 금형이 2개의 꾸러미로 이루어지는 구성을 보유하고 있지만, 본 발명에 있어서, 동시에 형성하는 성형품의 수는 임의이다. 도 5 내지 도 9에 표시된 예에 있어서, 도 5의 지면과 직각인 방향으로 평행하게 2개의 캐버티를 형성하고, 상기 2개의 캐버티를 스프루(54)에 접속하는 러너 및 게이트를 다시 설치하므로서, 4개의 꾸러미로 이루어지는 금형을 구성할 수가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게이트의 캐버티측의 한쪽 끝이 개구부의 일부분만을 캐버티내로 개구시키므로서, 성형품을 이형시킬 때에, 게이트내의 수지성형체를, 게이트의 내면에 가까운 위치에서 성형품으로부터 분리할 수가 있도록 하였으므로, 성형회수의 증가에 의하여 금형의 오염이 진전된 상태에서도, 이형된 성형품에 큰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금형의 멘터넌스의 주기를 종래보다도 대폭으로 길게할 수가 있다. 또 본 발명에서는, 분할면과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부터 캐버티내로 수지를 사출하도록 게이트를 설치하므로서, 서브머린게이트를 사용한 경우와 같이 게이트의 로딩이 발생하는 일은 없고, 주물액체 주위의 불량에 의거하는 성형불량품이 혼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관한 금형을 사용하면, 제품의 수율을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멘터넌스의 주기를 종래보다도 길게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가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6)

  1. 분할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형판을 보유하는 금형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성형해야할 목적물의 형상과 상응된 형상을 보유하는 캐버티와, 상기한 캐버티로 향해서 용융수지를 흐르게하는 수지유로와, 상기한 캐버티와 상기한 수지유로의 사이에 설치되어서 한쪽 끝이 상기한 캐버티에 접속됨과 아울러 다른쪽 끝이 상기한 수지유로에 접속된 게이트가 상기한 금형본체의 내부에 형성되어 있는 사출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한 캐버티내로 수지를 사출할 때에 상기한 게이트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일부분만이 상기한 캐버티내로 개구하도록, 상기한 게이트가 상기한 캐버티로부터벗어나는 방향으로 편심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
  2. 분할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형판을 보유하는 금형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성형해야할 목적물의 형상과 상응된 형상을 보유하는 캐버티와, 상기한 캐버티로 향해서 용융수지를 흐르게하는 수지유로와, 상기한 캐버티와 수지유로와의 사이를 제1 및 제2형판의 분할면에 대하여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설치되어서 한쪽 끝이 상기한 캐버티에 접속됨과 아울러 다른쪽 끝이 상기한 수지유로에 접속된 게이트가 상기한 금형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한 게이트는 상기한 제1형판내에 있으며, 그 한쪽 끝이 상기한 제2형판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사출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형판이 맞닿은 상태로 되어 있을 경우에 상기한 게이트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일부분만이 상기한 캐버티내로 개구되고, 상기한 게이트의 한쪽 끝측의 개구부의 다른 부분은 상기한 분할면에 따르는 제2형판의 단면과 대향하도록 상기한 게이트가 상기한 캐버티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편심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
  3. 분할가능하게 설치된 제1 및 제2형판을 보유하는 금형본체를 구비하고 있고, 성형해야할 목적물의 형상과 상응된 형상을 보유하는 캐버티와, 상기한 캐버티로 향해서 용융수지를 흐르게하는 수지유로와, 상기한 캐버티와 수지유로와의 사이를 제1 및 제2형판의 분할면에 대하여 대략 직각인 방향으로 신장하도록 설치되어서 한쪽 끝이 상기한 캐버티에 접속됨과 아울러 다른쪽 끝이 상기한 수지유로에 접속된 게이트가 상기한 금형본체의 내부에 형성되고, 상기한 게이트는 상기한 제2형판내에 있으며, 그 한쪽 끝이 상기한 제2형판측으로 개구되어 있는 사출성형용 금형에 있어서,
    상기한 게이트는, 그 한쪽 끝의 개구부의 일부분만이 상기한 캐버티내로 개구하도록 상기한 캐버티로부터 벗어나는 방향으로 편심된 상태로 설치되고,
    상기한 게이트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다른 부분은 상기한 캐버티의 게이트측의 단부와 인접하는 위치에 형성된 종단면에 의하여 종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게이트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상기한 캐버티내로 개구된 일부분의 단면적(S1)과 다른 부분의 단면적(S2)과의 비(S1/S2)가 1/2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게이트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상기한 캐버티내로 개구된 일부분의 단면적(S1)과 다른 부분의 단면적(S2)과의 비(S1/S2)가 1/2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게이트의 한쪽 끝의 개구부의 상기한 캐버티내로 개구된 일부분의 단면적(S1)과 다른 부분의 단면적(S2)과의 비(S1/S2)가 1/2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출성형용 금형.
KR1019970032988A 1996-08-27 1997-07-16 사출성형용 금형 KR1998001818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225218 1996-08-27
JP8225218A JPH1058490A (ja) 1996-08-27 1996-08-27 射出成形用金型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18186A true KR19980018186A (ko) 1998-06-05

Family

ID=168258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32988A KR19980018186A (ko) 1996-08-27 1997-07-16 사출성형용 금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962042A (ko)
JP (1) JPH1058490A (ko)
KR (1) KR19980018186A (ko)
CN (1) CN1078842C (ko)
ID (1) ID18127A (ko)
TW (1) TW39775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017831A (ja) * 2004-06-30 2006-01-19 Fuji Photo Film Co Ltd 導光体の射出成形型および製造装置
US7661947B2 (en) * 2005-11-21 2010-02-16 Epoch Composite Product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molding roofing products with back gating
JP4963402B2 (ja) * 2006-11-01 2012-06-27 キヤノン株式会社 樹脂成形品の製造方法
US7985364B1 (en) 2010-04-23 2011-07-26 Lomont Molding, Inc. Method of manufacturing an injection molded product
US20110258896A1 (en) 2010-04-23 2011-10-27 Lomont Molding, Inc. Detectable signage apparatus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CN105437939B (zh) * 2014-08-14 2018-02-06 丹阳市利旺车辆部件有限公司 汽车遮阳罩成型工艺
JP6164715B1 (ja) * 2016-11-10 2017-07-19 株式会社ソディック カセット式金型装置
JP6441549B1 (ja) * 2018-02-27 2018-12-19 日立ジョンソンコントロールズ空調株式会社 空気調和機の製造方法および製造金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1058490A (ja) 1998-03-03
US5962042A (en) 1999-10-05
ID18127A (id) 1998-03-05
TW397758B (en) 2000-07-11
CN1177534A (zh) 1998-04-01
CN1078842C (zh) 2002-0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253445B1 (en) Injection mold and injection molding method using the same
KR100841032B1 (ko) 사출성형방법 및 사출성형장치
JPS5976230A (ja) 中空のプラスチック成形品の射出成形方法
US20070104824A1 (en) Laminant hot runner manifold
KR19980018186A (ko) 사출성형용 금형
KR101252574B1 (ko) 사출성형 금형의 핫 런너 시스템용 이중밸브핀 노즐장치
JP6615040B2 (ja) シリンダ成形用金型及びそれを用いたシリンダ成形方法
JP2905277B2 (ja) 射出成型方法及び射出成形金型
JP3326752B2 (ja) 接合部を有する成形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用金型
JPS5951418B2 (ja) 弁体にライニングを形成する方法
CN217393712U (zh) 一种mim产品注射模具
JPH10286844A (ja) 成形品の一部に小孔を射出成形する方法及びこの成形方法に用いられる射出成形用金型
KR101476969B1 (ko) 버(burr)를 최소화하는 인서트 사출방법
JP2000190354A (ja) 射出成形
JP3776574B2 (ja) 射出成形用金型および射出成形方法
JPS59166362A (ja) 繊維強化複合材の製造方法
JP2000167885A (ja) 中空体製品の成形方法および成形用金型
JPH11262934A (ja) 射出成形機用糸引き防止駒及びこれを用いた射出成形方法
JP4070833B2 (ja) 中空成形品の射出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用金型
JPH04284213A (ja) ガス注入成形方法
JP3749878B2 (ja) 深物成形品の射出成形方法および射出成形用金型
JPH0647705Y2 (ja) 成形型
JPS60234814A (ja) 射出成形方法および装置
JPS63274523A (ja) 射出成形用型
JPH0416054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