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581B1 -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 Google Patents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581B1
KR102673581B1 KR1020230172399A KR20230172399A KR102673581B1 KR 102673581 B1 KR102673581 B1 KR 102673581B1 KR 1020230172399 A KR1020230172399 A KR 1020230172399A KR 20230172399 A KR20230172399 A KR 20230172399A KR 102673581 B1 KR102673581 B1 KR 10267358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electric vehicle
fire
fire extinguishing
water ta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723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정자
팽상현
팽상원
김춘화
팽순광
Original Assignee
유정자
팽상현
팽상원
김춘화
팽순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정자, 팽상현, 팽상원, 김춘화, 팽순광 filed Critical 유정자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5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58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07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vehicles, e.g. in road vehicl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00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 A62C3/16Fire prevention, containment or extinguishing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objects or places in electrical installations, e.g. cableway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 A62C37/36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 A62C37/38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an actuating signal being generated by a sensor separate from an outlet device by both sensor and actuator, e.g. valve, being in the danger zone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62C99/0009Methods of extinguishing or preventing the spread of fire by cooling down or suffocating the fl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Fire-Extinguishing By Fire Departments, And Fire-Extinguishing Equipment And Control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하여 주차장 충전소 등에서의 설치 상의 취약함을 해결할 수 있으며 주차장에서 충전하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화재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은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하여 전기자동차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전기자동차의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수조 내에 전기자동차가 위치하도록 차수판을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차수판이 설정위치까지 하강하면 상기 전기자동차가 상기 수조 내의 상기 소화용수에 담궈져 침강되도록 상기 살수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소화용수를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화재가 소화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조 내의 소화용수를 배수시키고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차수판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Automatic fire extinguishing method for electric vehicles}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설치가 용이하여 주차장 충전소 등에서의 설치 상의 취약함을 해결할 수 있으며 주차장에서 충전하고 있는 전기자동차의 화재 발생 시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는 전기자동차의 보급이 증가하면서 아파트의 지하주차장이나 관공서 및 공원 등의 주차장에 전기자동차 충전소가 많이 설치되는 추세이다. 그런데 이러한 전기자동차 충전소에서는 전기자동차 충전 시 종종 화재가 발생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화재의 원인은 배터리의 이상 작동 또는 충전장치에 의한 이상 작동이나 이 외 배터리와 충전장치 간의 이상 작동 등이 있으며, 이중 전기자동차의 화재는 주로 차량 내 연소성이 강한 리튬 이온배터리의 이상에 의한 화재가 주원이다.
한편, 전기자동차의 리튬이온 배터리는 대부분 차량 하부에 각형, 원형, 파우치형 등의 형태로 설치되는데 외부충격, 과충전 분리막 훼손, 제조결함 등의 원인으로 화재가 발생하는데, 이렇게 전기자동차의 배터리로 인하여 화재가 발생되면, 유해가스 발생과 열에 의한 연쇄반응이 쉽게 일어나 급속한 화재로 발생하기 쉽고 일반 기존 외부 살수 소화방식으로는 화재 진압이 어려워지는 심각한 문제점이 있는데, 이에 대처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으로는 이동형 수조를 설치한 후 화재가 발생한 전기차량을 크레인으로 이동시켜 수조에 침강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방법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종래의 전기자동차 화재진압 시스템은 이동식 수조를 구비해야하는 만큼 이동식 수조를 구비한 지역 소방서가 제한적일 뿐만 아니라, 준비된 수조차와 수조에 화재 차량을 넣기 위한 인양 장비가 함께 출동해야 하기 때문에 이동 시간이 길고, 장소에 따라서는 작업이 어려워 신속한 소화가 어려우며, 살수 소화방식으로 화재를 진압하는데 있어 소비되는 소화용수의 사용용량이 크고 소화시간 또한 장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485458호
본 발명은, 전기자동차의 화재 소화를 신속하고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주차된 전기자동차의 주위를 따라 세워져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하강 시 바닥면과 수조를 형성하여 상기 수조 내부로 상기 전기자동차를 수용하는 차수판과;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수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모듈과;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수판이 하강하여 수조를 형성하면 소화용수를 분사하여 상기 전기자동차가 상기 수조 내의 상기 소화용수에 담궈져 침강되게 하는 살수장치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로부터 상기 전기자동차의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듈을 구동제어하여 상기 차수판을 하강시키고, 상기 살수장치에서 소화용수가 분사되게 제어하여 상기 전기자동차가 상기 수조에 수용된 상기 소화용수에 담궈져 침강되게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프레임부는, 육면체 프레임구조로 상기 전기자동치의 주위에 세워지는 기둥프레임들과, 상기 기둥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들과, 상기 기둥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전면을 차폐하는 전면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수판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상기 전기자동차의 양측면과 후면에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위치하며 하강 시 상기 전면플레이트와 바닥면을 통하여 사각수조를 형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양방향 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와 축연결되어 양방향회전하고, 상기 차수판의 상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며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구동스크류와, 내주면으로 상기 구동스크류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구동스크류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나사이동부와, 상기 나사이동부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차수판에 고정결합되는 고정결합부를 포함하여, 상기 구동스크류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차수판을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연결브라켓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구동모듈은,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양방향 회전하는 구동모터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축연결되고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회전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에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축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회전롤러와, 일측은 상기 회전롤러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양방향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롤러에 권취되거나 풀려지고, 타측은 하부의 상기 차수판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롤러에 권취되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차수판을 상하 이동시키는 연결부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는, 일단부는 일측의 상기 차수판에 결합되고 중간부분은 상기 회전롤러에 연결되어 권취되거나 풀려지고 타측은 상기 차수판과 서로 대면하는 타측의 상기 차수판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롤러의 회전에 따라 서로 대면하는 양측의 상기 차수판이 서로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은,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와 축연결되고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회전하고 상기 회전롤러가 결합되는 제1회전축과,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 타측에 설치되고, 연결수단에 의하여 상기 제1회전축과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축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회전롤러가 결합되는 제2회전축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수판은, 하단부에 하강 시 지면과의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살수장치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와, 상기 공급펌프와 연결되어 상기 소화용수를 공급받고 상기 전기자동차의 평면형상과 대응되게 사각 폐루프형상으로 배치되는 공급파이프와, 상기 공급파이프에 구비되어 상기 소화용수를 하방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장치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센서부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감지센서와, 주위 온도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를 포함하고, 이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센서와 상기 열감지센서로부터 수신된 일산화탄소량과 온도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센서부는, 상기 차수판이 하강하여 수조를 형성한 후 상기 소화용수가 분사되면 상기 수조 내의 상기 소화용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와, 상기 수조 내 상기 소화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를 포함하고, 이에 상기 제어부는, 상기 수위센서로부터 수신된 상기 소화용수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해당하고, 상기 수조 내 소화용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살수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소화용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본 발명은 상기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을 이용하여, 상기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하여 전기자동차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전기자동차의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수조 내에 상기 전기자동차가 위치하도록 상기 차수판을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차수판이 설정위치까지 하강하면 상기 전기자동차가 상기 수조 내의 상기 소화용수에 담궈져 침강되도록 상기 살수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소화용수를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화재가 소화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조 내의 소화용수를 배수시키고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차수판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차수판을 하강시키는 단계는, 일산화탄소 감지센서와 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일산화탄소량과 온도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차수판을 상승시킬 수 있다.
상기 차수판을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소화용수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해당하고, 상기 수조 내 소화용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전기자동차의 화재가 소화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살수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소화용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첫째, 센서들을 이용하여 고온 및 일산화탄소를 감지해 자동으로 작동하므로 대기 시간이 거의 없으며 화재를 초기 10분 이내의 단시간에 소화할 수 있어 화재 시 초기에 신속한 소화가 이루어져 차량 및 인명 피해와 2차 화재 확산을 막아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으며, 주변차량까지 급증하는 화재피해를 줄일 수 있다.
둘째, 화재 시 2~3분 이내로 모두 단계적으로 무인 자동소화가 진행되기 때문에 화재 진압에 있어 초기 소화 인력이 필요 없으며 이를 통해 소요 인력 에너지 및 인명 피해 가능성을 줄일 수 있다.
셋째, 전기자동차 주위로 수조를 형성하여 전기자동차 배터리를 침수시켜 화재를 진압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가장 안정적이고 확실한 방법으로 소화시킬 수 있으며, 독성가스 발생이 적으며 재발화 위험을 저감시킬 수 있다.
넷째, 신속한 수조형 질식소화방식으로 소화하기 때문에 살수방식으로 진압하는데 사용되는 소화용수에 비하여 수조에 충수하는데 소비되는 소화용수의 양이 현저히 적어 에너지 절감의 효과가 있으며, 화재 신고 시 소방차가 출동하여 현장에 설치된 수조에 추가적인 살수도 가능하며 소방서의 화재진압에 따른 장비와 인력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다섯째, 차수판의 상승 복귀 후 다회성으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탄소배출을 저감하는 효과가 있다.
여섯째, 개방형 구조로서 사용자가 안심하고 충전이 가능하며 자체 경보 및 대피안내 방송으로 운전자 및 탑승자 탈출이 용이하다.
일곱째, 기존 지하 주차장 건축물 베이스 변경 없이 설치가 용이하다.
여덟째, 수조의 충수가 완료되면 수조 내측 벽면에 설치된 온도센서가 일정 온도 이상 상승 시 급수 전자변이 추가로 개방되어 수조 내부 온도를 안정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의 측면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에서 패킹부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에서 구동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에서 구동모듈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에서 도 5의 구동모듈의 세부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에서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의 세부과정을 나타내는 절차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도록 첨부된 도면을 참조한 바람직한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은, 프레임부(100)와, 차수판(200)과, 구동모듈(300)과, 살수장치(400)와, 센서부(500)와, 제어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프레임부(100)는, 주차된 전기자동차(10)의 주위를 따라 세워져 설치되며, 상기 차수판(200), 구동모듈(300), 살수장치(400), 센서부(500) 및 제어부(600, 제어판넬)가 결합되어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세부적으로,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전기자동치의 주위에 세워지는 기둥프레임(110)들과, 상기 기둥프레임(110)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120)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전기자동차(10)의 형상에 대응하여 도시된 바와 같이 육면체 프레임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프레임부(100)는, 상기 기둥프레임(110)에 결합되고 상기 전기자동차(10)의 전면을 차폐하며 상기 센서부(500) 및 제어부(600)가 결합되는 전면플레이트(1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차수판(200)은, 설정 높이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100)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하강 시 바닥면과 수조를 형성하며, 형성된 수조 내부로 상기 전기자동차(10)를 수용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차수판(200)은, 상기 전기자동차(10)의 양측면과 후면에 각각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도록 위치하며 바닥까지 하강하면 상기 전면플레이트(130)와 바닥면과 함께 사각수조를 형성하여 내부로 소화용수(물 등)를 수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차수판(200)은, 수조형성 시 소화용수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도록 기밀을 유지하기 위한 패킹부(210)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패킹부(210)는, 상기 차수판(200)의 하단부에 구비되어 하강 시 주차장 바닥(지면)과 밀착되어 차수되도록 할 수 있다.
세부적으로, 상기 패킹부(210)는, 차수판(200)의 하면 길이방향을 따라 결합될 수 있으며, 바닥면과의 밀착력을 높일 수 있는 고무재질 또는 수지계열의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패킹부(2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가 개방된 반원통형으로 형성되어 차수판(200)의 하강 시 내측의 제1변부와 외측의 제2변부를 통해 이중으로 바닥면과의 기밀을 유지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킹부(210)는, 차수판(200)의 내측에 위치하는 제1변부를 제2변부보다 길게 형성되어, 차수판(200)의 하강 시 제1변부가 바닥면을 따라 차수판(200)의 내측으로 휘어져 펼쳐짐으로써 수조형성 시 차수판(200)을 통한 수직벽뿐만 아니라 차수판(200)의 내측 수평벽도 형성함으로써 소화용수의 누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 차수판(200)과 기둥프레임(110)과의 기밀을 유지하고, 상기 차수판(200)의 상하방향 이동을 가이드하기 위하여 상기 기둥프레임(110)에 수직한 방향으로 가이드홈(111)이 형성되고, 상기 차수판(200)에는 상기 가이드홈(111)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차수판(200)은 상하방향 이동 시 삽입돌출부가 가이드홈(111)에 삽입된 상태로 이동하여 보다 안정적인 상하방향 이동이 가능하고, 홈과 돌기형태로 차수판(200)과 기둥프레임(110)이 서로 결합되어 수조 형성 시 소화용수의 누수를 보다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차수판(200)은 수조 형성 시 소화용수의 누수를 방지하기 위한 기밀구성으로 상기한 패킹부(210) 외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하다.
이에 대한 실시예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상기 차수판(200)은,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차수판과, 상기 제1차수판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어 상기 제1차수판이 다닥면까지 하강되면 수조의 내측으로 펼쳐져 바닥면에 접촉하는 제2차수판과, 상기 제2차수판과 상기 제1차수판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제2차수판이 상기 제1차수판에 부착되어 접혀지거나 분리되어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탈부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탈부착수단은,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온오프작동하여 자력을 발생시키는 전자석으로 구성되어, 하강시에는 오프되어 상기 제2차수판이 제1차수판으로부터 분리되어 수조의 내측으로 펼쳐지고 상승시에는 온되어 제2차수판이 제1차수판에 부착되게 할 수 있다.
상기한 바에 따르면, 상기 차수판(200)은, 하강 후 제2차수판이 펼쳐졌을 때 제1차수판과 제2차수판의 수직단면형상이 ㄴ자 형상으로 펼쳐져 소화용수의 수압에도 제2차수판이 수조 내측 바닥면과 접촉하여 지지하기 때문에 제1차수판이 밀리지 않고 수직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여 소화용수의 수압에도 수조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고 바닥면과 차수판(200) 하단면 사이의 틈새로 인한 누수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수판(200)은 탈부착수단을 통하여 하강시에는 제1차수판과 제2차수판이 부착되어 평단면적을 줄임으로써 간섭을 방지하고 하강후에 제2차수판이 펼쳐지도록 하여 차지하는 공간을 줄일 수 있다.
상기 구동모듈(300)은, 상기 프레임부(100)에 설치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수판(200)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동모듈(300)은 다양한 실시예에 따라 구성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로프방식과 웜기어방식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도 4를 참조하여 로프방식에 따른 상기 구동모듈(3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로프방식에 따른 구동모듈(300)은, 차수판(200)을 로프를 통하여 상하방향으로 견인하면서 이동시키는 방식으로, 구동모터(311)와, 회전축(312)과, 회전롤러(313)와, 연결부재(31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311)는, 구동원으로서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양방향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면에서, 상기 구동모터(311)는 회전축(312)의 위치를 고려하여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회전축(312)은, 상기 구동모터(311)와 축연결되어 구동모터(311)의 양방향 회전에 대응하여 양방향 회전하며,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면에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 회전한다.
상기 회전축(312)은 도시된 바와 같이 차수판(200)의 길이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부(100)의 일측단부에서 타측단부까지 설정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회전롤러(313)는, 상기 회전축(312)에 축결합되어 상기 회전축(312)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하며, 원통형으로 외주면에 상기 연결부재(314)가 연결되어 회전에 따라 상기 연결부재(314)를 외주면으로 권취하거나 풀려지게 할 수 있다.
상기 회전롤러(313)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회전축(312)의 길이방향을 따라 복수개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각각에는 연결부재(314)가 연결되어 차수판(200)을 여러 위치에서 연결되어 안정적으로 상하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 회전롤러(313)의 일측에 가이드롤러를 구비하여 회전롤러(313)부터 연결부재(314)를 가이드하여 차수판(200)과 연결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314)는, 일측이 상기 회전롤러(313)에 고정결합되어 상기 회전롤러(313)의 양방향회전에 따라 상기 회전롤러(313)에 권취되거나 풀려지고, 타측은 하부의 상기 차수판(200)과 결합되어 상기 회전롤러(313)에 권취되거나 풀림에 따라 상기 차수판(200)을 상하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부재(314)는, 와이어나 로프 등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면 다양한 소재가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모듈(300)은, 복수개의 차수판(200)을 하나의 구동모터(311)에 의하여 서로 연동하여 상하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구동모듈(300)은,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부 일측에 설치되고 상기 구동모터(311)와 축연결되고 회전하며 수평한 방향으로 배치되어 수평회전축을 중심으로 양방향회전하고 상기 회전롤러(313)가 결합되는 제1회전축(312a)과, 상기 프레임부(100)의 후방 상면에 설치되고, 연결수단(315)에 의하여 상기 제1회전축(312a)과 연결되어 상기 제1회전축(312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고 상기 회전롤러(313)가 결합되는 제2회전축(312b)과, 상기 제1회전축(312a)과 대향되어 마주보도록 상기 프레임부(100)의 타측 상면에 각각 회전롤러(313)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상기 연결부재(314)는, 일단부는 일측의 상기 차수판(200)에 결합되고 중간부분은 제1회전축(312a)과 연결된 일측의 회전롤러(313)에 연결되어 권취되거나 풀려지고, 타측은 상기 차수판(200)과 서로 대면하는 타측의 회전롤러(313)를 거쳐 타측의 차수판(200)에 결합되어, 상기 회전롤러(313)의 회전에 따라 서로 대면하는 양측의 상기 차수판(200)이 서로 연동하여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314)는, 일단부가 상기 제2회전축(312b)에 결합되어 권취되거나 풀려지고 타단부는 전방의 차수판(200)에 결합되어 후방 차수판(200)을 견인하여 이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수단(315)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회전축(312a)의 단부에 결합되는 제1베벨기어(315a)와, 상기 제1회전축(312a)과 인접하는 상기 제2회전축(312b)의 단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베벨기어(315a)와 치합되어 상기 제1베벨기어(315a)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제2베벨기어(315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웜기어방식에 따른 상기 구동모듈(300)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구동모듈(300)은,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양방향 회전하는 구동모터(321)와, 상기 구동모터(321)와 축연결되어 양방향회전하는 구동스크류(322)와, 상기 구동스크류(322)에 나사결합되고 상기 차수판(200)과 고정결합되어 상기 구동스크류(322)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상기 차수판(200)을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연결브라켓(323)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스크류(322)는, 상기 차수판(200)의 상하 이동방향에 대응하여 수직한 방향으로 세워지며 외주면으로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동스크류(3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둥프레임(110)의 내측에 세워져 결합될 수 있으며, 상기 차수판(200)의 양측에 각각 구비되어 상기 차수판(200)을 양측에서 이동시킬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상기 연결브라켓(323)은, 내주면으로 상기 구동스크류(322)가 나사결합되어 상기 구동스크류(322)의 양방향 회전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나사이동부(324)와, 상기 나사이동부(324)의 외측에 돌출 형성되고 상기 차수판(200)에 고정결합되는 고정결합부(32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정결합부(3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나사이동부(324)의 양측에 구비되어 양측 차수판(200)에 각각 구비되어 두 개의 차수판(200)을 동시에 견인하여 상하방향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살수장치(400)는, 상기 프레임부(100)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수판(200)이 하강하여 수조를 형성하면 소화용수를 분사하여 상기 전기자동차(10)가 수조 내의 소화용수에 담궈져 침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살수장치(400)는, 전기자동차(10)의 상부에 위치하여 소화용수가 전기자동차(10)의 상부에서 분사되게 함으로써 효과적인 화재 진압 및 수조의 충수는 물론 독성 가스의 연기를 효과적으로 가라앉힐 수 있다.
상기 살수장치(400)는,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소화용수를 공급하는 공급펌프(430)와, 상기 공급펌프(430)와 연결되어 소화용수를 공급받눈 공급파이프(410)와, 상기 공급파이프(410)에 구비되어 상기 소화용수를 하방으로 분사하는 복수개의 분사장치(420)들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급파이프(410)는, 전기자동차(10)의 평면형상과 대응되게 사각 폐루프형상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설정위치에 공급파이프(410)를 개폐하는 개폐밸브들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전기자동차(10)의 화재발생 여부를 감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와 더불어 상기 차수판(200)의 높이를 감지하여 하강 및 상승 시 설정된 위치에 위치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센서부(500)는, 일산화탄소를 감지하는 일산화탄소 감지센서(510)와, 주위 온도를 감지하는 열감지센서(520)를 포함하고, 이에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일산화탄소 감지센서(510)와 상기 열감지센서(520)로부터 수신된 일산화탄소량과 온도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렇게 상기 센서부(500)의 정보로부터 상기 전기자동차(10)의 화재발생이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구동모듈(300)을 구동제어하여 상기 차수판(200)을 하강시키고, 상기 살수장치(400)에서 소화용수가 분사되게 제어하여 상기 전기자동차(10)가 상기 수조에 수용된 상기 소화용수에 담궈져 침강되게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센서부(500)는, 상기 차수판(200)이 하강하여 수조를 형성한 후 상기 소화용수가 분사되면 상기 수조 내의 상기 소화용수의 수위를 측정하는 수위센서(530)와, 상기 수조 내 상기 소화용수의 온도를 측정하는 온도센서(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수위센서(530)로부터 수신된 상기 소화용수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해당하고, 상기 수조 내 소화용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살수장치(400)를 제어하여 상기 소화용수의 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도 7은 상기 제어부(600)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일산화탄소 감지센서(510)와 열감지센서(520)로부터 수신된 정보들을 통하여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여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되면 알람부(700)를 작동시키고, 상기 구동모듈(300)을 구동제어하여 차수판(200)을 하강시켜 수조를 형성하도록 한다.
이렇게 차수판(200)이 하강하여 수조를 형성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분사장치(420)를 작동제어하여 소화용수를 분사시켜 화재를 진압하고, 온도센서(540)를 통하여 수조 내 소화용수의 온도를 통하여 소화용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인 경우 화재가 진압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부(600)는 수위센서(530)를 통하여 수조 내 소화용수의 수위를 감지하여 설정수위에 도달하면 분사장치(420)의 작동을 중단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600)는 화재진압이 완료되었다고 판단되면 소화용수를 배수시키고 구동모듈(300)을 구동제어하여 차수판(200)을 상승시킨 후 대기모드로 전환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우선, 여기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이의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이하에서는 자동소화 방법에 대해서 세부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센서부(500)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하여 전기자동차(10)의 화재발생여부를 자동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일산화탄소 감지센서(510)와 열감지센서(520)로부터 수신된 일산화탄소량과 온도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S10).
한편, 상기 제어부(600)는 센서부(500)를 통한 화재발생 자동감지뿐만 아니라 수동모드로서 작업자가 화재모드로의 수동 동작이 이루어지면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인식하여 화재진압 프로세스를 진행할 수 있다.
이렇게 전기자동차(10)의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제어부(600)는 전기자동차(10)의 충전기 전원을 차단(off)시켜 전기차 충전을 멈추고 화재 경보 경광 사이렌과 화재대피 안내방송을 포함하는 알람을 발생시키며, 구동모듈(300)을 제어하여 수조 내에 상기 전기자동차(10)가 위치하도록 차수판(200)을 하강시킨다(S20).
이렇게 상기 차수판(200)이 하강하여 설정위치까지 하강하면 차수판(200) 하부 리미트 동작), 상기 제어부(600)는 구동모듈(300)을 제어하여 차수판(200)의 하강을 정지시킨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600)는, 전기자동차(10)가 수조 내의 소화용수에 담궈져 침강되도록 살수장치(400)를 제어하여 소화용수를 분사한다(S30). 이러면, 전기자동차(10)는 소화용수에 담궈져 전기자동차(10)의 하부에 설치된 배터리가 수조에 충수된 소화용수(물)에 잠기게 되어 배터리의 열을 식힐 수 있으며 내부 전원이 방전되어 추가적인 열 폭주 현상을 막을 수 있다.
이후 상기 제어부(600)는, 수조 내 소화용수가 일정한 수위가 될 때까지 소화용수를 분사하며, 수위센서(530)로부터 수신된 정보에 의하여 차수판(200) 수위 상한을 넘어가고, 수조 내 침수조 소화용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가 되면 전기자동차(10)의 화재가 진압되었다고 판단하여 소화용수의 분사를 중단할 수 있으며(급수 닫힘), 설정온도를 초과하면 화재진압 미완료로 판단하여 소화용수의 살수가 필요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급수 열림).
여기서, 화재가 진압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는 소화용수의 설정온도는 25도 이하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바람직한 실시예로 변경가능하다.
상기한 바에 따라 상기 소화용수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해당하고, 상기 수조 내 소화용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제어부(600)는, 상기 전기자동차(10)의 화재가 소화되었다고 판단하고, 화재종료가 확인되면 상기 살수장치(400)를 제어하여 상기 소화용수의 공급을 중단하고, 비화재 수동으로 리셋된 후 상기 수조 내의 소화용수를 배수시키고(배수 열림), 상기 구동모듈(300)을 제어하여 상기 차수판(200)을 상승시켜(S40) 원위치로 이동시킨 후 화재 전 대기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
여기서, 제어부(600)는 차수판(200) 상부 리미트를 확인하여 차수판(200)의 상승을 중단하도록 구동모듈(300)을 제거할 수 있으며, 나아가 화재대피 및 화재경보 경과사이렌을 정지하고 충전시스템의 전원을 온(on)시키고, 동절기 급수설비의 동파를 예방하기 위하여 소화용수의 급수파이프 말단 밸브를 개방하여 잔류 소화용수를 퇴수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전기자동차 100 : 프레임부
110 : 기둥프레임 111 : 가이드홈
120 : 연결프레임 130 : 전면플레이트
200 : 차수판 210 : 패킹부
300 : 구동모듈 311,321 : 구동모터
312 : 회전축 312a : 제1회전축
312b : 제2회전축 313 : 회전롤러
314 : 연결부재 315 : 연결수단
315a : 제1베벨기어 315b : 제2베벨기어
322 : 구동스크류 323 : 연결브라켓
324 : 나사이동부 325 : 고정결합부
400 : 살수장치 410 : 공급파이프
420 : 분사장치 430 : 공급펌프
500 : 센서부 510 : 일산화탄소 감지센서
520 : 열감지센서 530 : 수위센서
540 : 온도센서 600 : 제어부
700 : 알람부

Claims (3)

  1. 주차된 전기자동차의 주위를 따라 세워져 설치되는 프레임부와;
    상기 프레임부에 상하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설정 높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하강 시 바닥면과 수조를 형성하여 상기 수조 내부로 상기 전기자동차를 수용하는 차수판과;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고 제어신호에 따라 상기 차수판을 상하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동모듈과;
    상기 프레임부의 상부에 설치되어, 상기 차수판이 하강하여 수조를 형성하면 소화용수를 분사하여 상기 전기자동차가 상기 수조 내의 상기 소화용수에 담궈져 침강되게 하는 살수장치;를 포함하되,
    상기 프레임부는,
    육면체 프레임구조로 상기 전기자동차의 주위에 세워지는 기둥프레임들과,
    상기 기둥프레임들을 서로 연결하는 연결프레임들과,
    상기 기둥프레임에 결합되어 상기 전기자동차의 전면을 차폐하는 전면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은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정보를 통하여 전기자동차의 화재발생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와;
    전기자동차의 화재발생이 감지되면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수조 내에 상기 전기자동차가 위치하도록 상기 차수판을 하강시키는 단계와;
    상기 차수판이 설정위치까지 하강하면 상기 전기자동차가 상기 수조 내의 상기 소화용수에 담궈져 침강되도록 상기 살수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소화용수를 분사하는 단계와;
    상기 전기자동차의 화재가 소화되었다고 판단되면 상기 수조 내의 소화용수를 배수시키고 상기 구동모듈을 제어하여 상기 차수판을 상승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판을 하강시키는 단계는,
    일산화탄소 감지센서와 열감지센서를 포함하는 센서부로부터 수신된 일산화탄소량과 온도값이 기준값 이상이면 화재가 발생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차수판을 하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수판을 상승시키는 단계는,
    상기 소화용수의 수위가 설정 수위에 해당하고, 상기 수조 내 소화용수의 온도가 설정온도 이하이면 상기 전기자동차의 화재가 소화되었다고 판단하여 상기 살수장치를 제어하여 상기 소화용수의 공급을 중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KR1020230172399A 2022-12-28 2023-12-01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KR10267358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86577 2022-12-28
KR1020220186577 2022-12-28
KR1020230016276A KR102611735B1 (ko) 2022-12-28 2023-02-07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276A Division KR102611735B1 (ko) 2022-12-28 2023-02-07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73581B1 true KR102673581B1 (ko) 2024-06-10

Family

ID=89166720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276A KR102611735B1 (ko) 2022-12-28 2023-02-07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KR1020230172399A KR102673581B1 (ko) 2022-12-28 2023-12-01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16276A KR102611735B1 (ko) 2022-12-28 2023-02-07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10261173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7457B1 (ko) 2024-03-12 2024-05-20 주식회사 쉴드원 대형 전기자동차 자동 화재진압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756A (ko) * 2018-11-27 2020-06-04 배유근 텐션 시스템을 활용한 가든 하우스
KR102439822B1 (ko) * 2022-06-08 2022-09-02 이승희 살수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KR20220131447A (ko) * 2021-03-19 2022-09-28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KR102485458B1 (ko) 2021-08-09 2023-01-05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화재 진압용 소방 트레일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62756A (ko) * 2018-11-27 2020-06-04 배유근 텐션 시스템을 활용한 가든 하우스
KR20220131447A (ko) * 2021-03-19 2022-09-28 (주)한국소방기구제작소 전기자동차 충전소의 화재감지 및 자동소화시스템
KR102485458B1 (ko) 2021-08-09 2023-01-05 인선모터스 주식회사 전기 자동차 화재 진압용 소방 트레일러
KR102439822B1 (ko) * 2022-06-08 2022-09-02 이승희 살수형 차량화재 진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611735B1 (ko) 2023-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3331B1 (ko) 전기자동차 주차장 화재진압장치
KR102673581B1 (ko) 전기자동차의 자동소화 방법
CN101790401A (zh) 用于建筑物的火灾逃离装置
CA2113399C (en) Remote fuel station
KR102579072B1 (ko) 레일 이동식 전기차 소방 시스템
KR200496577Y1 (ko) 지하매설식 소방장치
KR102082567B1 (ko) 건물의 화재 확대 방지 소방 시스템
JP2019218698A (ja) 防災扉
CN203008256U (zh) 快速组装式消防室外疏散楼梯
CN217642806U (zh) 一种防火防爆叉车电池充电柜
CN110281798B (zh) 联动式电动车充电亭
JP6670702B2 (ja) トンネル内消火栓設備
CN114306991A (zh) 一种消防充电装置
CN114602086A (zh) 高层建筑用高空消防救援装置及其控制方法
CN210416277U (zh) 联动式电动车充电亭
CN110556720B (zh) 一种可升降的弱电箱及弱电井
CN113018729A (zh) 一种电动车位灭火结构
KR102657019B1 (ko) 전기자동차 주차장용 소화시스템
KR102621681B1 (ko) 부력을 이용한 전기자동차의 화재 확산방지 및 진압장치
KR102679800B1 (ko) 전기자동차 전기충전 주차장용 지하매립식 소화장치
KR102681724B1 (ko) 전기 자동차용 화재 대처장치
JP6679434B2 (ja) トンネル非常用設備
CN219365581U (zh) 一种新能源车防火车库结构
CN219587474U (zh) 一种可自动闭合的防火监控***门
JP7126010B2 (ja) 機器収納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