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73013B1 -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 Google Patents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73013B1
KR102673013B1 KR1020190114499A KR20190114499A KR102673013B1 KR 102673013 B1 KR102673013 B1 KR 102673013B1 KR 1020190114499 A KR1020190114499 A KR 1020190114499A KR 20190114499 A KR20190114499 A KR 20190114499A KR 102673013 B1 KR102673013 B1 KR 102673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aring
peripheral surface
outer peripheral
steering knuckle
bearing c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144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33152A (ko
Inventor
박진우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901144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73013B1/ko
Publication of KR202100331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1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9/00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9/22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 F16C19/3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 F16C19/36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rollers
    • F16C19/364Bearings with rolling contact,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with bearing rollers essentially of the same size in one or more circular rows, e.g. needle bearings for both radial and axial load with a single row of rollers with tapered rollers, i.e. rollers having essentially the shape of a truncated c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7/00Steering linkage; Stub axles or their mountings
    • B62D7/18Steering knuckles; King pi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20Land vehicles
    • F16C2326/24Steering systems, e.g. steering rods or colum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teering-Linkage Mechanisms And Four-Wheel Steer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조향너클에 설치되는 롤러 베어링의 유격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부품들의 분해 및 재조립 없이 롤러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컵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정함에 의해 베어링 유격을 조정할 수 있는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Description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Bearing clearance adjust device of steering knuckle}
본 발명은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조향너클에 설치되는 롤러 베어링의 유격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는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륜에 장착된 조향너클은, 액슬빔과 결합되어 차륜을 차체에 지지시키고, 운전석의 조향휠이 조작됨에 따라 전달되는 조타력에 의해 회전되어 차륜이 조향되도록 한다.
상기 조향너클은 액슬빔에 킹핀을 매개로 조립되며, 상기 킹핀은 차륜의 방향 전환 시에 회전중심이 된다.
종래의 조향너클은 상하로 너클 아암이 배치되도록 형성되고 상하 양측의 너클 아암 사이에 수용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수용공간에는 액슬빔의 말단부가 삽입되며, 상기 액슬빔의 말단부가 상기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에서 킹핀이 상기 너클 아암의 하부로부터 상기 액슬빔의 말단부 및 너클 아암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이때 상기 킹핀은 액슬빔의 말단부에 압입되어 고정되고, 상기 킹핀과 너클 아암 사이의 마찰을 줄이기 위해 상기 너클 아암을 관통하는 킹핀의 외주면에는 부시가 조립된다.
그런데 차량이 험로를 주행하거나 주행거리가 증가할 경우 조향너클에 다양한 하중이 전달되고, 이러한 하중으로 인해 상기 부시의 변형 및 마모가 빠르게 진행되는 등으로 인해 상기 부시와 너클 아암 사이에 간극이 증가하는 문제가 발생하였다.
이에 최근에는 종래 부시의 내구력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상부 너클 아암과 킹핀 사이에 베어링이 적용되고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베어링(1)의 경우, 킹핀(2)의 외주면에 고정되는 베어링 지지부(1a)와, 상부 너클 아암(3a)의 내주면에 조립되는 베어링 컵(1b), 및 그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는 복수의 롤러 베어링(1c)으로 구성되어, 상기 킹핀(2)을 중심으로 하는 상부 너클 아암(3a)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이러한 베어링(1)은, 상기 베어링 지지부(1a)에 의해 롤러 베어링(1c)의 장착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 컵(1b)에 의해 롤러 베어링(1c)에 가해지는 하중 및 롤러 베어링(1c)의 유격이 결정된다.
그런데 상기 조향너클(3)과 킹핀(2) 및 베어링(1) 등의 부품들은 제작시 가공공차가 발생하기 때문에, 그러한 가공공차에 의해 베어링 유격량이 변동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유격량을 조정하기 위해서는, 그 전에 먼저 상기 부품들을 분해하여 조립상태를 해제해야 하며, 또한 유격량 조정을 완료한 다음에는 상기 부품들을 재조립해야 한다. 따라서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관리가 용이하지 않으며 그에 따른 품질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부품들의 분해 및 재조립 없이 롤러 베어링을 지지하는 베어링 컵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조정함에 의해 베어링 유격을 조정할 수 있는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액슬빔의 말단부를 관통하는 킹핀을 매개로 상기 액슬빔에 조립되는 조향너클과 상기 킹핀 사이에 개재되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유격 조정을 위한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로서, 상기 조향너클의 상부 너클 아암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너클 아암의 내주면과 상기 테이퍼 롤러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컵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인접하는 구동바; 상기 베어링 컵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바와 이웃하여 연결되고, 상기 구동바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피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피동부의 상하 이동 시에 상기 베어링 컵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유격량이 조정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를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테이퍼 롤러 베어링은 테이퍼진 원통 모양의 롤러 베어링이며 상기 킹핀의 외주면에 장착된 베어링 지지부와 상기 베어링 컵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상기 베어링 컵의 내주면과 베어링 지지부의 외주면은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되며, 상기 베어링 컵은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된다.
또한, 상기 구동바의 말단부는 상기 상부 너클 아암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구동바의 회전을 제한하고 회전위치를 고정해주는 너트부재와 체결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구동바의 외주면에는 구동바의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구동바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구동치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피동부는 베어링 컵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베어링 컵의 축선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피동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구동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피동치와 맞물린 상태가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피동부는 베어링 컵의 외주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요홈부일 수 있으며, 상기 구동바는 구동바의 외주면이 부분 절각된 음각부가 구비될 수 있고, 상기 음각부는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어 요홈부의 상측면과 하측면 중 적어도 한쪽에 이웃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에 의하면, 구동바를 회전시켜 베어링 컵을 상하로 이동시킴에 의해 테이퍼 롤러 베어링과 상기 베어링 컵 간에 유격량을 조정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부품들의 분해 및 재조립 등의 작업 없이 베어링 유격을 간편하게 조정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베어링 유격을 조정함으로써 유격 불량으로 인한 품질문제(차량 쏠림, 타이어 편마모 등)를 개선할 수 있으며, 유격 조정 작업이 간단하여 조정시간이 단축되고 작업성이 개선되며, 따라서 필드에서 베어링 유격으로 인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단시간내에 베어링 유격량을 조정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조향너클과 액슬빔의 조립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바가 조향너클의 상부 너클 아암을 관통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도 2의 A-A에서 본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를 나타낸 도면
이하, 본 발명을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조향너클(10)은 액슬빔(30)의 말단부를 관통하는 킹핀(31)을 매개로 상기 액슬빔(30)에 조립되며, 상기 킹핀(31)은 차륜의 방향 전환 시에 회전중심이 된다.
상기 조향너클(10)은 액슬빔(30)의 말단부가 회전가능하게 개재될 수 있는 수용공간(13)이 구비되며, 상기 수용공간(13)의 상하 양측에 배치되는 상부 너클 아암(11)과 하부 너클 아암(12)이 구비된다. 상기 액슬빔(30)의 말단부가 상기 수용공간(13)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킹핀(31)은 하부 너클 아암(12)의 하측으로부터 상기 액슬빔(30)의 말단부와 상부 너클 아암(11)을 관통하여 체결된다. 상기 킹핀(31)은 상부로 갈수록 직경이 감소되는 테이퍼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액슬빔(30)의 말단부에 압입되어 고정될 수 있다.
상기 상부 너클 아암(11)에는 조향너클(10)의 회전을 지지하는 복수의 테이퍼 롤러 베어링(20)이 원주방향으로 배치되어 장착된다. 상기 테이퍼 롤러 베어링(20)은 킹핀(31)의 상측부 외주면에 장착되는 베어링 지지부(21)와 상부 너클 아암(11)의 내주면에 조립되는 베어링 컵(22)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배치되어 지지되며, 상기 킹핀(31)을 중심으로 하는 상부 너클 아암(11)의 회전을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하부 너클 아암(12)에는 킹핀(31)의 하측부가 부시(32)를 개재하여 조립될 수 있다.
상기 테이퍼 롤러 베어링(20)은 테이퍼진 원통 모양의 롤러 베어링이며, 상기 베어링 컵(22)의 내주면과 베어링 지지부(21)의 외주면은 테이퍼 롤러 베어링(20)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컵(22)은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된다.
이때 상기 베어링 지지부(21)에 의해 테이퍼 롤러 베어링(20)의 상하방향의 장착위치가 고정되고, 상기 베어링 컵(22)에 의해 테이퍼 롤러 베어링(20)에 가해지는 하중 및 테이퍼 롤러 베어링(20)의 유격량이 결정된다.
따라서 상기 테이퍼 롤러 베어링(20)의 유격량을 조정하기 위해 상기 베어링 컵(22)의 상하방향의 위치를 변경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베어링 컵(22)의 상하방향의 위치 변경을 위해, 상기 조향너클(10)에는 구동바(15)가 조립되고 상기 베어링 컵(22)에는 피동부(23)가 구비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바(15)는 상부 너클 아암(11)을 관통하여 베어링 컵(22)의 외주면에 인접하게 된다. 상부 너클 아암(11)에는 상기 구동바(15)가 회전가능하게 조립되는 관통홀(14)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바(15)는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어 상부 너클 아암(11)을 관통하게 되며, 이때 구동바(15)의 외주면 일측이 베어링 컵(22)의 외주면 일측(즉, 피동부)에 이웃하게 된다.
상기 베어링 컵(22)의 외주면에는 상기 구동바(15)와 인접하여 연결되고 상기 구동바(15)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되는 피동부(23)가 구비된다. 상기 피동부(23)의 상하 이동 시에 상기 베어링 컵(22)이 피동부(23)와 일체로 이동하게 되며, 그에 따라 테이퍼 롤러 베어링(20)의 유격량이 조정되게 된다.
상기 구동바(15)는 관통홀(14)에 배치된 상태에서 작업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작업자에 의해 회전될 때 구동바(15)의 회전력이 피동부(23)를 통해 베어링 컵(22)에 전달된다. 따라서, 구동바(15)의 회전운동은 베어링 컵(22)의 직선운동으로 전환될 수 있으며, 상기 베어링 컵(22)의 직선운동에 의해 테이퍼 롤러 베어링(20)의 유격량이 조정될 수 있다. 이때 구동바(15)의 회전 및 베어링 컵(22)의 상하 이동에 따른 유격 조정량은 매우 작은 값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어링 컵(22)의 상하 이동에 의한 유격 조정량은 0.05mm ~ 02mm 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피동부(23)는 베어링 컵(22)의 외주면에 형성된 복수의 피동치(23a)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링 컵(22)의 외주면에는 베어링 컵(22)의 축선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피동치(23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피동치(23a)는 베어링 컵(22)의 외주면을 따라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바(15)의 외주면에는 상기 피동치(23a)와 맞물린 상태로 이웃하는 구동치(15a)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바(15)의 외주면에는 구동바(15)의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구동바(15)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구동치(15a)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구동치(15a)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피동치(23a)와 맞물린 상태가 되며,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바(15)가 회전됨에 의해 베어링 컵(22)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바(15)가 제1 방향(예를 들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피동치(23a)가 상승되는 동시에 상기 베어링 컵(22)이 상승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바(15)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예를 들어, 시계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피동치(23a)가 하강되는 동시에 상기 베어링 컵(22)이 하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구동치(15a)는 구동바(15)의 외주면 중 관통홀(14)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상부 너클 아암(11)의 내측공간(즉, 베어링 수용공간)으로 배치되는 일부분에 구비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피동부(23)는 베어링 컵(22)의 외주면에 형성된 요홈부(23b)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베어링 컵(22)의 외주면에는 베어링 컵(22)의 반경방향을 따라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요홈부(23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요홈부(23b)는 베어링 컵(22)의 외주면에 직사각 모양의 단면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구동바(15)의 외주면에는 상기 요홈부(23b)에 삽입되는 음각부(15b)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음각부(15b)는 구동바(15)의 외주면이 부분 절각되어 평면으로 표면 가공된 부분일 수 있다. 즉, 상기 음각부(15b)는 요홈부(23b)에 삽입 가능하게 절각된 부분일 수 있으며, 요홈부(23b)에 삽입된 음각부(15b)의 표면이 상기 요홈부(23b)의 상측면과 하측면 중 적어도 한쪽에 이웃하여 접촉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음각부(15b)는 상기 요홈부(23b)에 삽입되어 요홈부(23b)의 상측면과 하측면 중 적어도 한쪽에 이웃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구동바(15)가 회전됨에 의해 베어링 컵(22)이 상승 또는 하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구동바(15)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피동치(23a)가 상승되는 동시에 상기 베어링 컵(22)이 상승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바(15)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피동치(23a)가 하강되는 동시에 상기 베어링 컵(22)이 하강될 수 있다.
상기 요홈부(23b)는 베어링 컵(22)의 외주면 중 구동바(15)와 인접하게 되는 부분에 배치되거나 또는 베어링 컵(22)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구동바(15)는 관통홀(14)에 조립될 때 구동바(15)의 말단부가 상부 너클 아암(1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상기 구동바(15)의 말단부에는 구동바(15)의 회전을 제한하고 구동바(15)의 회전위치를 고정해주는 너트부재(16)가 체결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16)는 상부 너클 아암(11)의 외측면에 밀착되도록 조여져서 구동바(15)의 말단부에 체결될 수 있다. 상기 구동바(15)의 말단부 외주면에는 너트부재(16)에 의해 조여져서 고정될 수 있는 나사구조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너트부재(16)를 체결해제방향으로 토크를 주어 회전시키면 구동바(15)가 관통홀(14)내에서 회전가능한 상태가 된다. 이때 구동바(15)를 제1 방향 또는 제2 방향으로 일정 각도로 회전시켜 베어링 컵(22)을 상하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베어링 컵(22)을 상하로 이동시켜 테이퍼 롤러 베어링(20)과 베어링 컵(22) 사이의 유격을 조정한 다음, 상기 너트부재(16)를 체결방향으로 토크를 주어 회전시키면 구동바(15)가 관통홀(14)내에 고정되어 구동바(15)의 회전이 차단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 조향너클 11 : 상부 너클 아암
12 : 하부 너클 아암 13 : 수용공간
14 : 관통홀 15 : 구동바
15a : 구동치 15b : 음각부
16 : 너트부재 20 : 테이퍼 롤러 베어링
21 : 베어링 지지부 22 : 베어링 컵
23 : 피동부 23a : 피동치
23b : 요홈부 30 : 액슬빔
31 : 킹핀 32 : 부시

Claims (8)

  1. 액슬빔의 말단부를 관통하는 킹핀을 매개로 상기 액슬빔에 조립되는 조향너클과 상기 킹핀 사이에 개재되는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유격 조정을 위한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로서,
    상기 조향너클의 상부 너클 아암을 관통하여 상기 상부 너클 아암의 내주면과 상기 테이퍼 롤러 베어링 사이에 배치되는 베어링 컵의 외주면에 회전가능하게 인접하는 구동바;
    상기 베어링 컵의 외주면에 구비되어 상기 구동바와 이웃하여 연결되고, 상기 구동바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하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는 피동부;
    를 포함하며, 상기 피동부의 상하 이동 시에 상기 베어링 컵이 상하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유격량이 조정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테이퍼 롤러 베어링은 테이퍼진 원통 모양의 롤러 베어링이며 상기 킹핀의 외주면에 장착된 베어링 지지부와 상기 베어링 컵 사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베어링 컵의 내주면과 베어링 지지부의 외주면은 테이퍼 롤러 베어링의 외주면에 대응하여 테이퍼지게 형성되고, 상기 베어링 컵은 상부로 갈수록 내경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가 제1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피동부가 상승되고, 상기 구동바가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될 때 상기 피동부가 하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의 말단부는 상기 상부 너클 아암의 외측으로 돌출되어서 상기 구동바의 회전을 제한하고 회전위치를 고정해주는 너트부재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동바의 외주면에는 구동바의 축선방향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구동바의 원주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구동치가 구비되고, 상기 피동부는 베어링 컵의 외주면을 따라 연장되게 형성되어 베어링 컵의 축선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피동치로 이루어지며, 상기 구동치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피동치와 맞물린 상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동부는 베어링 컵의 외주면에 일정 깊이로 형성되는 요홈부로 구성되며, 상기 구동바는 구동바의 외주면이 부분 절각된 음각부가 구비되고, 상기 음각부는 상기 요홈부에 삽입되어 요홈부의 상측면과 하측면 중 적어도 한쪽에 이웃하게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향너클은 액슬빔의 말단부가 개재되는 수용공간과 상기 수용공간의 상하 양측에 배치되는 상부 너클 아암 및 하부 너클 아암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KR1020190114499A 2019-09-18 2019-09-18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KR102673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499A KR102673013B1 (ko) 2019-09-18 2019-09-18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14499A KR102673013B1 (ko) 2019-09-18 2019-09-18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152A KR20210033152A (ko) 2021-03-26
KR102673013B1 true KR102673013B1 (ko) 2024-06-05

Family

ID=752592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14499A KR102673013B1 (ko) 2019-09-18 2019-09-18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7301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021Y1 (ko) 1996-05-31 2002-11-13 주식회사클라크머터리얼핸들링아시아 지게차의조향너클베어링유격방지구조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08835B (en) * 1987-08-21 1991-05-15 Gen Motors Overseas Kingpin assembly
KR20110062107A (ko) * 2009-12-02 2011-06-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액슬 빔과 너클의 조립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71021Y1 (ko) 1996-05-31 2002-11-13 주식회사클라크머터리얼핸들링아시아 지게차의조향너클베어링유격방지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152A (ko) 2021-03-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91296B2 (ja) 車輪軸受装置
US10816089B2 (en) Gear unit for motor vehicle
US9376139B2 (en) Ball screw having bearing compensation
KR101591562B1 (ko) 자동차 휠의 캠버 및/또는 토의 조절 장치
US8813594B2 (en) Rack and pinion steering gear unit
WO2019111534A1 (ja) 伸縮リンク及びサスペンション
JP2015168393A (ja) 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2673013B1 (ko) 조향너클의 베어링 유격 조정 장치
KR20040047710A (ko) 전동파워 스티어링 장치
US4196947A (en) Adjustable four point contact bearing
KR20100064074A (ko) 전동식 동력조향장치의 웜 기어축 지지장치
JP2535083Y2 (ja) ステアリング装置
US6234271B1 (en) Power steering device
KR102053467B1 (ko) 조향 기어박스 마운팅 구조
JP6970572B2 (ja) 転舵機能付ハブ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JP4211126B2 (ja) ステアリング位置調整制御装置
CN220114684U (zh) 转向管柱的安装结构及转向管柱***
JP6512387B1 (ja) 伸縮リンク及びサスペンション
US5138896A (en) Steering gear, especially for motor vehicles
JP2019051846A (ja) 補助転舵機能付ハブユニットおよびそれを備えた車両
KR102679629B1 (ko)
JP2007038875A (ja) 車両用サスペンション
JP2003011633A (ja) 産業車両の操舵装置
JP2023178764A (ja) 転舵軸付ハブユニット、操舵システムおよび車両
KR20190095158A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