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56013B1 - 컨텐츠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56013B1
KR102656013B1 KR1020160142341A KR20160142341A KR102656013B1 KR 102656013 B1 KR102656013 B1 KR 102656013B1 KR 1020160142341 A KR1020160142341 A KR 1020160142341A KR 20160142341 A KR20160142341 A KR 20160142341A KR 102656013 B1 KR102656013 B1 KR 102656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ent
output device
communication network
external
content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423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6766A (ko
Inventor
김정수
성상범
이재훈
장시명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1423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56013B1/ko
Priority to EP17194143.8A priority patent/EP3316522B1/en
Priority to PCT/KR2017/011279 priority patent/WO2018080060A1/en
Priority to CN201710982203.9A priority patent/CN108024389B/zh
Priority to US15/794,091 priority patent/US10932210B2/en
Publication of KR2018004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56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56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6/00Synchronisation arrangements
    • H04W56/001Synchronization between n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1Multimode Transmission, e.g. transmitting basic layers and enhancement layers of the content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or transmitting with different error corrections, different keys or with different transmission protoco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74Peer-to-peer [P2P] networks for supporting data block transmission mechanisms
    • H04L67/1078Resource delivery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46Interconnection of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50Queue scheduling
    • H04L47/62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 H04L47/625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for service slots or service orders
    • H04L47/6255Queue scheduling characterised by scheduling criteria for service slots or service orders queue load conditions, e.g. longest queue fi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60Network streaming of media packets
    • H04L65/70Media network packetis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5/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supporting real-time applications in data packet communication
    • H04L65/80Responding to Qo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2Peer-to-peer [P2P] networks using topology managemen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50Network services
    • H04L67/56Provisioning of proxy services
    • H04L67/568Storing data temporarily at an intermediate stage, e.g. cach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3Content storage operation, e.g. storage operation in response to a pause request, caching oper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2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audio buffer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1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 H04N21/6106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 H04N21/6125Network physical structure; Signal processing specially adapted to the downstream path of the transmission network involving transmission via Interne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60Network structure or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 or between remote clients; Control signalling between clients,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Transmission of management data between server and client, e.g. sending from server to client commands for recording incoming content stream; Communication details between server and client 
    • H04N21/63Control signaling related to video distribution between client, server and network components; Network processes for video distribution between server and clients or between remote clients, e.g. transmitting basic layer and enhancement layers over different transmission paths, setting up a peer-to-peer communication via Internet between remote STB's; Communication protocols; Addressing
    • H04N21/633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 H04N21/6332Control signals issued by server directed to the network components or client directed to cli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12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distributing signals to two or more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3/00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 H04S3/008Systems employing more than two channels, e.g. quadraphonic in which the audio signals are in digital form, i.e. employing more than two discrete digital channe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 H04S5/005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of the pseudo five- or more-channel type, e.g. virtual surrou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7/00Indicating arrangements; Control arrangements, e.g. balanc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medium used
    • H04L2012/2841Wirel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2012/2847Home automation network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home appliance used
    • H04L2012/2849Audio/video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0Protocols in which an application is distributed across nodes in the network
    • H04L67/104Peer-to-peer [P2P] networks
    • H04L67/1044Group management mechanis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18Self-organising networks, e.g. ad-hoc networks or sensor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컨텐츠 출력 장치가 개시된다. 컨텐츠 출력 장치는, 외부 장치 및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컨텐츠 출력 요청이 외부 장치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컨텐츠를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통신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컨텐츠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Content out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
본 발명은 컨텐츠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그룹 재생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종류의 전자 장치가 개발되어 보급되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TV를 비롯한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들이 일반 가정에서 사용되고 있다. 이들 전자 장치들은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점차 다양한 기능을 구비하게 되었다.
일 예로,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피커 장치들로 전송함으로써, 다수의 스피커 장치들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여 보다 좋은 음질로 오디오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되었다.
다만, 오디오 신호를 네트워크상 떨어져 있는 다수의 스피커 장치로 전송하다 보면, 전송 딜레이가 존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복수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그룹 재생시 복수의 네트워크 연결이 모두 완료되기 전에 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미리 전송하여, 최단 시간 내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는, 외부 장치 및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컨텐츠의 출력 요청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AP 기반의 Wireless LAN 네트워크이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Wi-Fi)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동기화하여 출력하면서,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와이파이 P2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와이파이 P2P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된 컨텐츠 파트 이후의 컨텐츠 파트를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를 기설정된 품질 미만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면, 상기 기설정된 품질 이상으로 인코딩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를 그룹핑하여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는, 출력부,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1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어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수신 버퍼를 출력 버퍼에 연결하여 상기 제1 수신 버퍼에 버퍼링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가 상기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되면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2 수신 버퍼가 상기 출력 버퍼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된 컨텐츠 양이 기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2 수신 버퍼가 상기 출력 버퍼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는, 각각 스피커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컨텐츠는 음향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시스템은,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의 출력 요청 신호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와 동기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와 동기화하여 출력하면서,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출력하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한편,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 장치로부터,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의 출력 요청이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AP 기반의 Wireless LAN 네트워크이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Wi-Fi)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이며,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와이파이 P2P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와이파이 P2P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된 컨텐츠 파트 이후의 컨텐츠 파트를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기설정된 품질 미만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면, 상기 기설정된 품질 이상으로 인코딩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는, 각각 스피커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컨텐츠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컨텐츠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1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어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수신 버퍼를 출력 버퍼에 연결하여 상기 제1 수신 버퍼에 버퍼링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가 상기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되면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2 수신 버퍼가 상기 출력 버퍼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된 컨텐츠 양이 기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2 수신 버퍼가 상기 출력 버퍼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그룹 재생시, 복수의 네트워크 연결이 모두 완료되기 전에 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미리 전송하여, 최단 시간 내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각 네트워크 특성에 따른 적절한 인코딩 방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부하 및 네트워크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하는 도면들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의 세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 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 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 및 도 1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의 구현 예를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도 1a 및 도 1b에 따르면, 컨텐츠 출력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또는 전자 장치(100)) 및,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연결, 쌍방향 통신이 가능한 홈 네트워크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네트워크를 통해 복수의 기기를 연결하여 제어하는 시스템이면 이에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와 AP(Access Point)(10)에 기반한 와이파이(Wi-Fi)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마트 폰, 태블릿, 스마트 TV,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싸이니지, PC, 셋탑 박스, HMD(Head mounted Display, 웨어러블 디바이스) 등과 같이 기저장되어 있거나, 외부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제공할 수 있는 다양한 유형의 전자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는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를 그룹핑하여 컨텐츠를 재생하는 그룹 재생 기능을 제어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의 그룹 재생 기능을 제어하는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을 구동하여 해당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되는 UI 화면에서 컨텐츠를 선택하고, 선택된 컨텐츠를 재생할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를 그룹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로 다른 룸(room) 에 위치한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를 그룹핑하여 동일한 컨텐츠를 출력하거나, 하나의 룸에 위치한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를 그룹핑하여 서라운드 채널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a와 같이 컨텐츠 출력 시스템에 포함된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가 스피커 장치로 구현되어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경우, 각 스피커 장치에 사운드 채널을 설정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4채널로 설정하고자 하는 경우 그룹핑된 4 개의 스피커 장치를 Front L, Front R, Surround L, Surround R로 각각 설정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는 컨텐츠 출력이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장치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향 컨텐츠 출력이 가능한 Wireless 스피커, 사운드 바, TV 내장 스피커 등과 같은 스피커 장치로 구현되거나,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영상 컨텐츠 출력이 가능한 스마트 폰, 태블릿, 스마트 TV, 인터넷 TV, 웹 TV,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싸이니지, PC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는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한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는 P2P(Peer-to-Peer) 통신 네트워크 특히, 와이파이 P2P(Wi-Fi Peer-to-Peer)(또는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와이파이 P2P(Wi-Fi Peer-to-Peer)는 와이파이 얼라이언스 기기 간 접속을 지원하는 와이파이 다이렉트 AP를 거치지 않고 와이파이를 탑재한 기기 간 직접적으로 통신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이 경우, P2P 연결 방식에 따라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 중 하나는 마스터 디바이스로 동작하고, 나머지 하나는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동작하게 된다. 이 경우 마스터 디바이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컨텐츠를 수신하여 출력하고, 슬레이브 디바이스, 예를 들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마스터 디바이스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는 동일한 유형의 장치(예를 들어, 스피커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는 다른 유형의 장치(예를 들어, TV 및 스피커 장치)로 구현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TV가 마스터 디바이스로, 적어도 하나의 홈 스피커가 슬레이브 디바이스로 동작하는 경우 TV는 수신된 영상 컨텐츠 중 음향 컨텐츠 만을 홈 스피커로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컨텐츠 출력 시스템에서 컨텐츠 출력 시간이 지연되지 않도록 하고, 네트워크 부하 및 네트워크 지연을 최소화하기 위한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저장부(110), 디스플레이(120), 통신 인터페이스(130) 및 프로세서(140)를 포함한다.
저장부(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어플리케이션과 관련된 GUI(graphical user interface), GUI를 제공하기 위한 오브젝트(예를 들어, 이미지 텍스트, 아이콘, 버튼 등), 사용자 정보, 문서,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10)는 복수의 컨텐츠 출력 장치,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도 1, 200, 300)의 그룹 재생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의 그룹 재생 기능을 제어하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그 밖에, 저장부(110)는 사용자 센싱 모듈, 통신 제어 모듈, 음성 인식 모듈, 모션 인식 모듈, 광 수신 모듈, 디스플레이 제어 모듈, 오디오 제어 모듈, 외부 입력 제어 모듈, 전원 제어 모듈, 음성 데이터베이스(DB), 또는 모션 데이터베이스(DB)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10)는 다양한 통신 모듈 예를 들어 와이 파이 통신을 수행하기 위한 와이파이 모듈과 관련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110)는 프로세서(140)에 포함된 롬(ROM),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4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부(110)의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 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Panel),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디스플레이(110)는 경우에 따라 터치패드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120)은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 인터페이스로 사용될 수 있게 된다.
특히, 디스플레이(120)는 저장부(110)에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 의해 제공되는 다양한 UI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120)는 컨텐츠가 선택을 위한 UI 화면,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할 컨텐츠 출력 장치를 그룹핑하기 위한 UI 화면, 각 컨텐츠 출력 장치에 사운드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UI 화면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도 1, 200, 300)와 제1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제1 통신 네트워크는,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을 수행하는 방식이 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 인터페이스(130)는 와이파이 통신 모듈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 예 구현에 적합하다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않고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와 같은 통신 네트워크도 이용될 수 있다.
프로세서(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140)는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컨트롤러(controller),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2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로 구현될 수 있고, 컨텐츠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40)는 복수의 컨텐츠 출력 장치를 그룹 재생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 컨텐츠(예를 들어, 음향 컨텐츠, 영상 컨텐츠 등) 및 그룹 재생 요청 신호를 통신 인터페이스(130)를 통해 복수의 컨텐츠 출력 장치 중 하나로 전송한다. 컨텐츠 및 그룹 재생 요청 신호를 수신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디폴트로 정의된 컨텐츠 출력 장치 중 하나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40)는 기 저장된 어플리케이션에서 제공하는 UI 화면을 통해 컨텐츠가 선택되고, 선택된 컨텐츠를 기설정된 출력 방식(또는 출력 방법)으로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기설정된 출력 방식에 따라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요청 및 선택된 컨텐츠를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한다. 여기서, 기설정된 출력 방식이란,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 가 동기를 이루어 컨텐츠를 출력하는 형태라면 한정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선택된 컨텐츠를 출력할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를 그룹핑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 중 하나로 컨텐츠 및 그룹 재생 요청 신호를 전송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는 해당 UI 화면에서 선택된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로 컨텐츠 및 그룹 재생 요청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그룹 재생이란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가 동일한 컨텐츠의 동일한 채널(예를 들어 모노 채널)을 출력하거나, 동일한 컨텐츠의 상이한 채널(예를 들어, L 및 R 채널)을 출력하는 등과 같이 재생 형태 뿐 아니라, 서로 하모니를 이루는 상이한 컨텐츠(예를 들어, 비디오 컨텐츠 및 오디오 컨텐츠)를 출력하는 등의 재생 형태도 포함할 수 있다.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UI 화면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b 및 도 2c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서로 다른 Room에 구비된 복수의 스피커 장치를 그룹핑하기 위한 UI 화면을 도시한다.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다른 Room에 구비된 스피커 장치에 대응되는 복수의 UI 영역(121, 122, 123)을 포함하는 화면(120')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복수의 UI 영역(121, 122, 123) 각각은 그룹 설정 메뉴(121-1, 122-1, 123-1) 및 써라운드 설정 메뉴(121-2, 122-2, 123-3)을 포함할 수 있다.
이어서 Living Room 에 대응되는 UI 영역(121)의 그룹 설정 메뉴(121-1)가 선택되면,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룹핑할 Room의 스피커를 선택하기 위한 UI 화면이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 선택된 Room의 스피커는 그룹핑되어 동일한 컨텐츠 예를 들어, Living Room의 컨텐츠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다만, 도 2b 및 도 2c에 도시된 UI 화면은 각 Room의 스피커가 음향 컨텐츠를 출력하는 상태에서 그룹되는 실시 예를 도시한 것이며, 컨텐츠 소스 선택을 위한 UI 화면이 그룹핑 화면과 별도로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하나의 공간(예를 들어, 하나의 Room)에 구비된 복수의 스피커 장치를 그룹핑하기 위한 UI 화면이 제공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가 스피커 장치로 구현되고, 각 스피커 장치에 사운드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40)는 각 스피커 장치로 사운드 채널을 설정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에 써라운드 채널을 설정하는 경우, 해당 정보를 선택된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로 전송하거나,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 모두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은 UI 화면의 써라운드 설정 메뉴(121-2, 122-2, 123-3)를 통해 사운드 채널을 설정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를 그룹핑하여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컨텐츠 소스 자체를 제1 컨텐츠 출력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는 P2P(Peer-to-Peer) 통신 네트워크로 동작하고, 마스터로 동작하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대응되는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는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는 수신한 컨텐츠 소스로부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용 컨텐츠를 직접 인코딩하여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40)는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를 그룹핑하여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수신되면,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 용 컨텐츠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 용 컨텐츠를 구분하여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로 동작하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용 컨텐츠를 그대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a에 따르면,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출력부(220) 및 프로세서(230)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외부 장치(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통신한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외부 장치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신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통신 네트워크는, AP 기반의 Wireless LAN 네트워크이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와이파이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Wireless LAN 네트워크와 유사하게 동작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210)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로 통신한다. 여기서, 제2 통신 네트워크는 P2P(peer to peer)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히, 와이파이 P2P(Wi-Fi Peer-to-Peer)(또는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네트워크가 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와이파이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와 유사하게 동작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22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한다. 출력부(230)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오디오 앰프(audio amplifier)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프로세서(230)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230)의 구현 형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구비된 프로세서(140)의 구현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컨텐츠 및 컨텐츠 출력 요청이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를 그룹핑하여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그룹 재생 요청 및 출력 대상 컨텐츠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AP(Access Point)(10)에 기반한 와이파이(Wi-Fi) 네트워크를 통해 그룹 재생 요청 신호 및 출력 대상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와이파이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완료되면, 컨텐츠를 제2 통신 인터페이스(220)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그룹 재생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P2P 연결을 수행하여 수신된 컨텐츠를 P2P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각 네트워크 특성에 따른 적절한 인코딩 방법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부하 및 네트워크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일 예로, 프로세서(230)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의 컨텐츠 출력 시간을 최대한 앞당기기 위해. 수신된 컨텐츠를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저품질로 인코딩하여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수 있다. 즉, 최대한 신속히 저품질로 인코딩을 수행하여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컨텐츠를 최대한 빨리 전송할 수 있다. 이 후,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기설정된 품질 이상, 예를 들어 고품질로 인코딩된 컨텐츠를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240)는 인코더를 구비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인코더의 인코딩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예로, 프로세서(230)는 수신된 컨텐츠를 디코딩한 상태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 다른 예로, 프로세서(230)는 수신된 컨텐츠를 그대로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인코딩 컨텐츠를 그대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a 내지 도 4c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a는 제1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a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는 수신 버퍼(405)에 저장된다. 이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는 고품질 컨텐츠, 즉 고품질로 인코딩된 컨텐츠가 될 수 있다. 수신 버퍼(405)에 저장된 컨텐츠는 디코더(410)로 제공되어 디코딩되고, 디코딩된 컨텐츠는 렌더러(420)에 제공되어 렌더링됨과 동시에 카피되어 캡쳐 버퍼(450)에 버퍼링될 수 있다. 여기서, 디코더(410) 및 렌더러(420)는 일종의 DSP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코더(410) 및 렌더러(420)는 별도의 DSP 칩으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DSP 칩 내의 분리된 신호 처리 기능으로 구현 가능하다. 이어서, 렌더러(420)에 의해 렌더링된 컨텐츠는 출력 버퍼(또는 재생 버퍼)(430)에 버퍼링되면서 AMP(4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의 동기화를 위해 출력 버퍼(430)가 AMP(440)로 컨텐츠를 제공하는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기능이 특정 어플리케이션에서 제어되는 경우,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출력 버퍼(430)의 컨텐츠 출력 시점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캡쳐 버퍼(450)에 버퍼링된 컨텐츠는, 제1 인코더(461)에서 저품질(또는 저용량 또는 낮은 Sampling rate)로 인코딩되므로, 빠른 시간 내에 인코딩되어 제1 전송 버퍼(471)로 제공되어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또는 스트리밍)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전송 버퍼(471)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 드라이버(Wi-Fi Driver) 단의 버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가 서라운드 사운드로 인코딩한 컨텐츠인 경우, 렌더러(420)에서 렌더링된 컨텐츠 중 제1 채널(예를 들어, L 채널) 컨텐츠 만이 출력 버퍼(430)로 제공되고, 제2 채널(예를 들어, R 채널) 컨텐츠 만이 캡쳐 버퍼(450)로 버퍼링되어, 제1 인코더(461)에서 저품질로 인코딩된 후 제1 전송 버퍼(471)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가 제2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Fi P2P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캡쳐 버퍼(450)에 버퍼링된 컨텐츠는 제2인코더(462)에서 고품질로 인코딩된 후 제2 전송 버퍼(472)로 제공되어 와이파이 P2P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전송 버퍼(472)는 예를 들어, 와이파이 드라이버(Wi-Fi Driver) 단의 버퍼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의 WiFi P2P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제2 인코더(462)이 동작 및 제2 전송 버퍼(472)에 버퍼링된 컨텐츠의 전송이 개시됨과 동시에 제1 인코더(461)의 동작이 중지되어 제1 전송 버퍼(471)에 의한 전송이 중지될 수도 있다. 다만, 제2 인코더(462)이 동작과 관계 없이, 제1 인코더(461)의 동작 및 제1 전송 버퍼(471)에 의한 전송이 계속하여 유지되는 것도 가능하다.
도 4b는 제2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a에 도시된 구성과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b에 따르면, 렌더러(420)에서 렌더링된 컨텐츠는 출력 버퍼(430)로 버퍼링됨과 동시에, 카피되어 캡쳐 버퍼(450)로 버퍼링되어 제1 전송 버퍼(471)로 제공되어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의 WiFi P2P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캡쳐 버퍼(450)에 버퍼링된 컨텐츠는 제2 전송 버퍼(472)로 제공되어 와이파이 P2P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4c는 제3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도 4a에 도시된 구성과 상이한 구성에 대해서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c에 따르면, 수신 버퍼(405)에 버퍼링된 컨텐츠는, 그대로 카피되어 캡쳐 버퍼(450)로 버퍼링되고, 캡쳐 버퍼(450)로 버퍼링된 컨텐츠는 제1 전송 버퍼(471)로 제공되어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인코딩된 컨텐츠를 그 상태 그대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제공될 수도 있다.
한편,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의 WiFi P2P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캡쳐 버퍼(450)에 버퍼링된 컨텐츠는 제2 전송 버퍼(472)로 제공되어 와이파이 P2P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도 3a로 돌아가서, 프로세서(230)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된 시점을 기준으로,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된 컨텐츠 파트(예를 들어, 패킷, 프레임, 청크) 이후의 컨텐츠 파트를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된 컨텐츠 파트 또는 바로 이후 의 컨텐츠 파트 또는 바로 이전의 컨텐츠 파트부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230)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던 컨텐츠의 전송을 중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30)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된 시점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임계 시간 이후 또는 기설정된 양의 컨텐츠가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된 이후에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전송을 중단할 수 있다. 다만, 경우에 따라서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연결 연결되더라도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컨텐츠 전송을 중단하지 않고 계속 유지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라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가 서로 다른 컨텐츠 타입을 출력하는 상이한 형태의 기기로 구현되는 경우, 해당 기기에서 출력 가능한 컨텐츠 부분 만을 출력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는 TV 등과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로 구현되고,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홈 시어터와 같은 음향 출력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230)는 수신된 컨텐츠가 비디오 컨텐츠 및 오디오 컨텐츠를 포함하는 컨텐츠인 경우, 수신된 컨텐츠를 비디오 컨텐츠 및 오디오 컨텐츠로 분리하여 비디오 컨텐츠는 출력부(220)를 통해 출력하고, 오디오 컨텐츠는 상술한 방법으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세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b에 따르면,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210), 출력부(220), 프로세서(230), 저장부(240) 및 전원 공급부(250)를 포함한다. 도 3b에 도시된 구성 중, 도 3a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230)는 CPU(231),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 및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또는 휘발성 메모리)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전원 공급부(250)에서부터 내부 구성요소들(210 내지 240)에게 공급되는 전원을 제어한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저장부(240)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23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231)는 저장부(2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2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2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또한, 프로세서(230)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을 포함할 수 있고, DSP는 디지털 필터, 이펙트, 음장감 등 다양한 기능을 추가할 수 있으며, 샘플레이트 컨버터(SRC)를 통해 디지털과 아날로그 간 변환시의 음질 열화를 방지하는 오버샘플링(Over Sampling) 기술도 적용할 수 있다.
저장부(240)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저장부(240)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 및 프로세서(23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2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향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이 경우, 저장부(2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되는 음향 컨텐츠 타입에 따라 음향 컨텐츠 소스 자체를 저장하거나, 고품질 또는 저품질로 인코딩된 음향 컨텐츠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저장부(240)는 프로세서(230)에 포함된 롬(ROM),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23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부(240)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컨텐츠 출력 장치(200) 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컨텐츠 출력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출력 장치(2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컨텐츠 출력 장치(200) 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컨텐츠 출력 장치(2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컨텐츠 출력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출력 장치(2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되고, 컨텐츠 출력 장치(2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micro SD 카드, USB 메모리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50)는 프로세서(230)의 제어에 의해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 내부의 구성 요소들(210 내지 240)로 외부 전원 소스에서부터 입력되는 전원을 공급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5에 따르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통신 인터페이스(310), 출력부(320) 및 프로세서(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각각 스피커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외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와 통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외부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 각각과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한다. 여기서, 제1 통신 네트워크는, AP 기반의 Wireless LAN 네트워크이 될 수 있으나, Wireless LAN 네트워크와 유사하게 동작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신 인터페이스(310)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통신한다. 여기서, 제2 통신 네트워크는 P2P(peer to peer)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히, 와이파이 P2P(Wi-Fi Peer-to-Peer)(또는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네트워크가 될 수 있으나, 이와 유사하게 동작하는 통신 네트워크이라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출력부(320)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한다. 출력부(320)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 오디오 앰프(audio amplifier) 등으로 구현 가능하다.
프로세서(330)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프로세서(330)의 구현 형태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에 구비된 프로세서(240)의 구현 형태와 동일 또는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330)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1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출력부(32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어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출력부(320)를 통해 출력한다.
이 경우, 프로세서(330)는 제1 버퍼를 출력 버퍼에 연결하여 제1 버퍼에 수신된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던 것을,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전달된 컨텐츠가 제2 버퍼에 수신되면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제2 버퍼가 출력 버퍼에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스피커 장치 뿐 아니라, TV 등과 같은 영상 출력 장치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는, 스피커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의 세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6a에 따르면, 프로세서(330)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 즉 제1 스피커 장치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LAN을 통해 수신된 음향 컨텐츠를 제1 수신 버퍼(611)에 버퍼링하여 출력 버퍼(620)로 제공한다. 이 경우, WLAN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는 저품질로 인코딩된 음향 컨텐츠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어서, 프로세서(330)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P2P를 통해 수신된 음향 컨텐츠를 제2 수신 버퍼(612)에 버퍼링하고,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제2 수신 버퍼(612)가 출력 버퍼(620)에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P2P을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는 고품질로 인코딩된 음향 컨텐츠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30)는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된 시점으로부터 기설정된 시간 경과 후,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제2 수신 버퍼(612)가 출력 버퍼(620)에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330)는 제2 수신 버퍼(612)에 버퍼링된 음향 컨텐츠(예를 들어, 패킷, 프레임, 청크 등)의 양, 버퍼링 시간 등에 기초하여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제2 수신 버퍼(612)가 출력 버퍼(620)에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제2 수신 버퍼(612)에 버퍼링된 음향 컨텐츠의 양이 기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제2 수신 버퍼(612)가 출력 버퍼(620)에 연결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출력 버퍼(620)에 순차적으로 버퍼링된 음향 컨텐츠는 앰프(630)로 전달되어 출력된다.
도 6b는 도 6a에 도시된 구성을 좀더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에 따르면,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 즉 제1 스피커 장치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LAN을 통해 전송되는 음향 컨텐츠는 제1 수신 버퍼(511)에 버퍼링된 후, 제1 디코더(641)로 제공되어 디코딩된다. 디코딩된 음향 컨텐츠는 제1 렌더러(651)제공되어 렌더링(예를 들어, 필터링 및 패닝 등)된 후, 출력 버퍼(620)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가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P2P를 통해 수신된 음향 컨텐츠는 제2 수신 버퍼(612)에 버퍼링된다. 이 경우, 프로세서(340)는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제1 수신 버퍼(611) 대신 제2 수신 버퍼(612)가 출력 버퍼(620)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네트워크 연결이 이루어지는 동안 제1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음향 컨텐츠를 출력하여 최단 시간 내 컨텐츠 그룹 재생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 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7a 및 도 7b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200, 300)가 스피커 장치로 구현되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7a에 따르면, 우선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특정 음향 컨텐츠가 선택되고, 선택된 음향 컨텐츠를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에서 그룹핑하여 출력하기 위한 그룹 요청 명령이 수신되면(S711),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선택된 컨텐츠및 그룹 요청 신호를 기 연결된 제1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스피커 장치(200)로 전송한다(S712). 여기서, 제1 스피커 장치(20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선택된 마스터 장치가 될 수 있다. 그룹 요청 신호에는 그룹핑 제어 신호 및 그룹핑할 상대 기기에 대한 식별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그룹 요청 신호를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스피커 장치(200)에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 저장된 음향 컨텐츠를 실시간으로 기설정된 전송 단위(예를 들어 오디오 패킷, 오디오 프레임, 오디오 청크 등)로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스피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피커 장치(200)는 연속적으로 수신되는 음향 컨텐츠를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스피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음향 컨텐츠를 기설정된 전송 단위에 기초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1 스피커 장치(200)로 전송하고, 제2 스피커 장치(200)는 수신된 음향 컨텐츠를 기설정된 전송 단위에 기초하여 스트리밍 방식으로 제2 스피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피커 장치(200)는 수신된 음향 컨텐츠를 저품질로 인코딩하여 제2 스피커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음향 컨텐츠가 고품질로 인코딩된 컨텐츠인 경우 제1 스피커 장치(200)는 해당 음향 컨텐츠를 그대로 제2 스피커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해당 음향 컨텐츠를 저품질로 인코딩하여 제2 스피커 장치(3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제1 스피커 장치(200)는 수신된 음향 컨텐츠를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스피커 장치(300)로 전송하면서, 수신된 음향 컨텐츠를 디코딩하여 제2 스피커 장치(300)와 함께 그룹 재생할 수 있다(S713). 제1 스피커 장치(200) 및 제2 스피커 장치(300)는 출력을 동기화시켜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스피커 장치(200) 및 제2 스피커 장치(300)의 출력 동기화에는 다양한 방법이 적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스피커 장치(200)로 수신되는 음향 컨텐츠 단위, 제2 스피커 장치(300)로 수신되는 음향 컨텐츠 단위에는 현재 시간, 재생 시간 등의 시간 정보가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제1 스피커 장치(200)는 수신된 음향 컨텐츠를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스피커 장치(300)로 전송하면서, 제2 스피커 장치(3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714). 여기서, 제2 통신 네트워크는 P2P(Peer-to-Peer)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와이파이 P2P(Wi-Fi Peer-to-Peer)(또는 와이 파이 다이렉트(Wi-Fi Direct))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제2 스피커 장치(300)는 제1 스피커 장치(200)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음향 컨텐츠를 제1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제1 스피커 장치(100)와 함께 그룹 재생하면서, 제1 스피커 장치(2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을 수행할 수 있다.
이어서, 제1 스피커 장치(200) 및 제2 스피커 장치(300)의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제1 스피커 장치(200)는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스피커 장치(300)로 컨텐츠를 전송한다(S714).
제2 스피커 장치(300)는 제1 스피커 장치(200)로부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제1 스피커 장치(100)와 함께 그룹 재생할 수 있다.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의 네트워크 연결 동작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b는 제2 통신 네트워크가 와이파이 P2P 통신 네트워크인 경우를 예를 든 것으로, 도 7b에서, S721, S722, S723 단계는, 도 7a의 S711, S712, S713 단계와 유사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S721, S722, S723 단계 이후에, 제1 스피커 장치(200)는 수신된 음향 컨텐츠를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스피커 장치(300)로 전송하면서, 제2 스피커 장치(3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피커 장치(200) 및 제2 스피커 장치(300)는 스캔 동작을 수행한다(S714). 스캔 동작에서, 제1 스피커 장치(200) 및 제2 스피커 장치(300)는 와이파이 통신 규격에서 정의된 모든 채널을 스캔하여, 주변의 디바이스들과 네트워크 환경에 대한 정보를 수집한다. 즉, 제1 스피커 장치(200) 및 제2 스피커 장치(300)는 와이파이 P2P 기능이 실행되면 복수 개의 채널을 순차적으로 선택하면서 각 채널을 통해 스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캔 동작이 이루어지는 채널은 와이파이 통신 규격에서 정의된 2.4GHz 대역 또는 5GHz 대역의 채널일 수 있다.
스캔 동작 후, 제1 스피커 장치(200) 및 제2 스피커 장치(300)는 리슨(listen) 동작 및 써치(serach) 동작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와이파이 P2P 통신을 수행할 외부 기기를 발견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스피커 장치(200) 및 제2 스피커 장치(300) 각각은 리슨 동작에서, 특정 채널을 선택하여 외부 기기가 전송하는 프로브 요청 패킷(Probe Request Packet)을 기다리고, 기설정된 시간 동안 리슨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외부 기기가 써치 동작에서 전송한 프로브 요청 패킷이 수신되면, 프로브 응답 패킷(Probe Response Packet)을 외부 기기로 전송한다. 또한, 써치 동작에서, 특정 채널을 통해 프로브 요청 패킷을 전송하고, 프로브 요청 패킷을 전송한 각 채널을 통해 프로브 응답 패킷을 수신한다.
이와 같이, 제1 스피커 장치(200) 및 제2 스피커 장치(300)는 리슨 동작 및 써치 동작을 반복하다가 공통 채널에 도달하면, 프로브 요청 패킷과 프로브 응답 패킷을 통해 디바이스 명칭, 타입 등과 같은 장치 관련 정보를 교환하여 서로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제1 스피커 장치(200)가 써치 동작 수행 시 특정 채널을 통해 프로브 요청 패킷을 전송하면, 해당 채널을 해 리슨 동작을 수행하는 제2 스피커 장치(300)는 프로브 응답 패킷을 제1 스피커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스피커 장치(200)는 주변에 존재하는 와이파이 P2P 통신 가능한 제2 스피커 장치(300)를 발견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디바이스 디스커버리 과정이 완료되면, 그룹 형성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175). 그룹 형성이란, 와이파이 P2P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들 간에 P2P GO(Group Owner) 역할 및 P2P 클라이언트 역할을 결정하는 단계를 의미한다. 이에 따라, P2P GO로 결정된 디바이스는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P2P 클라이언트로 결정된 디바이스는 스테이션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은 그룹 형성 동작은 와이파이 P2P 연결 과정의 Group Owner Negotiation 프로토콜에 의해 결정된다. 예를 들어, 제1 스피커 장치(200)는 공통 채널을 통해 검색된 제2 스피커 장치(300)로 GO Negotiation Request 패킷을 전송하고, 제2 스피커 장치(300)로부터 GO Negotiation Response 패킷이 수신되면 GO Negotiation Confimation을 제2 스피커 장치(300)로 전송하여 그룹 협상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각 패킷 내에 포함된 정보(가령, Group Owner Intent)에 기초하여 제1 스피커 장치(200)는 P2P GO(Group Owner)로 동작하고, 제2 스피커 장치(300)는 P2P 클라이언트로서 동작할 수 있다(S716, S717). 제1 스피커 장치(200)는 연결 채널(즉, 동작 채널(operating channel))을 통해 제2 스피커 장치(300)와 와이파이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스피커 장치(200) 및 제2 스피커 장치(300)는 와이파이 통신 규격에 따라 와이파이 P2P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 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에서는 컨텐츠 소스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아닌, 별도의 소스 디바이스(400)가 제공하는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에 따르면, 우선 외부장치(100)에서 컨텐츠 출력 요청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스피커 장치(200, 300)를 그룹핑하여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그룹 출력 요청이 수신되고(S811), 소스 디바이스(400)의 컨텐츠가 재생 컨텐츠로 선택되면(S812),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요청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400)가 제1 통신 네트워크 예를 들어,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로 선택된 컨텐츠를 전송할 수 있다(S813). 이 후, S814, S815, S816 단계는 도 7a의 S713, S714, S715 단계와 동일하므로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도시된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외부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출력 대상 컨텐츠 및 컨텐츠 출력 요청을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한다(S910). 예를 들어, 컨텐츠 출력 요청은 컨텐츠 출력 장치(200) 및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300)의 그룹핑 출력 요청이 될 수 있다.
이어서, 수신된 컨텐츠를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고,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동기화하여 컨텐츠를 출력한다(S920). 여기서, 제1 통신 네트워크는, AP 기반의 Wireless LAN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S910, S920 단계에서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컨텐츠를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될 수 있다.
동시에,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을 수행한다(S930). 여기서, 제2 통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Wi-Fi) P2P(peer to peer) 네트워크가 될 수 있다.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컨텐츠를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한다(S940).
이 경우, S930, S940 단계에서는, 컨텐츠를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동기화하여 출력하면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와이파이(Wi-Fi) P2P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컨텐츠를 와이파이(Wi-Fi) P2P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S940 단계에서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된 시점을 기준으로,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된 컨텐츠 파트 이후의 컨텐츠 파트를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S920 단계에서는, 컨텐츠를 기설정된 품질 미만으로 인코딩하여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고, S940 단계에서는, 기설정된 품질 이상으로 인코딩된 컨텐츠를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의 제어 방법에 따르면, 제1 컨텐츠 출력 장치(200)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1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출력한다(S1010). 이 경우, 제1 수신 버퍼를 출력 버퍼에 연결하여 제1 수신 버퍼에 버퍼링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제2 컨텐츠 출력 장치(300)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어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출력한다(S1020). 이 경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가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되면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제2 수신 버퍼가 출력 버퍼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된 컨텐츠 양이 기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제2 수신 버퍼가 출력 버퍼에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복수의 네트워크를 이용한 컨텐츠 그룹 재생시, 복수의 네트워크 연결이 모두 완료되기 전에 기 연결된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를 미리 전송하여, 최단 시간 내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네트워크 부하 및 네트워크 지연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중 경로의 장점을 활용하여 네트워크 에러에 대한 강건성 또한 향상시켜 사용자 경험의 퀄리티를 개선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사용자 단말 장치 및 컨텐츠 출력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 외부의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210: 통신 인터페이스 220: 출력부
230: 프로세서

Claims (20)

  1. 컨텐츠 출력 장치에 있어서,
    외부 장치 및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출력하는 출력부; 및
    상기 컨텐츠의 출력 요청이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도록 상기 통신인터페이스를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외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지 않고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를 제1 품질로 인코딩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면, 상기 제1 품질 이상의 제2 품질로 인코딩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AP 기반의 Wireless LAN 네트워크이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Wi-Fi)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이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컨텐츠를 상기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동기화하여 출력하면서,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와이파이 P2P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와이파이 P2P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된 컨텐츠 파트 이후의 컨텐츠 파트를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는, 각각 스피커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컨텐츠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컨텐츠인, 컨텐츠 출력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를 그룹핑하여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기 위한 출력 요청 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7. 컨텐츠 출력 장치에 있어서,
    출력부;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통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1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고,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어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상기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외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지 않고 연결되며,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된 컨텐츠 양이 기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2 수신 버퍼가 출력 버퍼에 연결되도록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수신 버퍼를 출력 버퍼에 연결하여 상기 제1 수신 버퍼에 버퍼링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가 상기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되면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2 수신 버퍼가 상기 출력 버퍼에 연결되도록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9. 삭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는, 각각 스피커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컨텐츠는 음향 컨텐츠인, 컨텐츠 출력 장치.
  11. 제1 및 제2 컨텐츠 출력 장치를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시스템에 있어서,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의 출력 요청 신호가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되면, 상기 수신된 컨텐츠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와 동기화하여 출력하며,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연결 설정을 수행하는 제1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컨텐츠를 제1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와 동기화하여 출력하면서,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는 컨텐츠를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제2 컨텐츠 출력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외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지 않고 연결되며,
    상기 제1 컨텐츠 출력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제1 품질로 인코딩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면, 상기 제1 품질 이상의 제2 품질로 인코딩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컨텐츠 출력 장치는,
    상기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된 컨텐츠 양이 기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2 수신 버퍼가 출력 버퍼에 연결되도록 하는 컨텐츠 출력 시스템.
  12.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 및 상기 컨텐츠의 출력 요청이 외부 장치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외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지 않고 연결되며,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외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지 않고 연결되며,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제1 품질로 인코딩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면, 상기 제1 품질 이상의 제2 품질로 인코딩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AP 기반의 Wireless LAN 네트워크이며,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와이파이(Wi-Fi) P2P(peer to peer) 네트워크이며,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상기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상기 컨텐츠를 출력하고, 상기 컨텐츠를 상기 Wireless LAN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와이파이 P2P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면, 상기 컨텐츠를 상기 와이파이 P2P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된 시점을 기준으로,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된 컨텐츠 파트 이후의 컨텐츠 파트를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를 기설정된 품질 미만으로 인코딩하여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로 연결되면, 상기 기설정된 품질 이상으로 인코딩된 상기 컨텐츠를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는, 각각 스피커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컨텐츠는 상기 외부 장치로부터 전송되는 음향 컨텐츠인, 제어 방법.
  17.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로부터, 제1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1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와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한 연결 설정이 완료되어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컨텐츠가 수신되면, 수신된 컨텐츠를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통신 네트워크는 외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해 연결되고,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는 상기 외부 네트워크 장치를 통하지 않고 연결되며,
    상기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된 컨텐츠 양이 기설정된 임계 값을 초과하는 경우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2 수신 버퍼가 출력 버퍼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수신 버퍼를 출력 버퍼에 연결하여 상기 제1 수신 버퍼에 버퍼링된 컨텐츠가 출력되도록 하고,
    상기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하여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제2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컨텐츠가 상기 제2 수신 버퍼에 버퍼링되면 버퍼 연결을 스위칭하여 상기 제2 수신 버퍼가 상기 출력 버퍼에 연결되도록 하는, 제어 방법.
  19. 삭제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 및 상기 외부 컨텐츠 출력 장치는, 각각 스피커 장치로 구현되며,
    상기 컨텐츠는 음향 컨텐츠인, 제어 방법.












KR1020160142341A 2016-10-28 2016-10-28 컨텐츠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656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341A KR102656013B1 (ko) 2016-10-28 2016-10-28 컨텐츠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17194143.8A EP3316522B1 (en) 2016-10-28 2017-09-29 Content out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PCT/KR2017/011279 WO2018080060A1 (en) 2016-10-28 2017-10-13 Content out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201710982203.9A CN108024389B (zh) 2016-10-28 2017-10-20 内容输出装置及其控制方法
US15/794,091 US10932210B2 (en) 2016-10-28 2017-10-26 Content out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42341A KR102656013B1 (ko) 2016-10-28 2016-10-28 컨텐츠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6766A KR20180046766A (ko) 2018-05-09
KR102656013B1 true KR102656013B1 (ko) 2024-04-11

Family

ID=600197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42341A KR102656013B1 (ko) 2016-10-28 2016-10-28 컨텐츠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932210B2 (ko)
EP (1) EP3316522B1 (ko)
KR (1) KR102656013B1 (ko)
CN (1) CN108024389B (ko)
WO (1) WO20180800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009862B1 (en) * 2017-09-06 2018-06-26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Bluetooth media device time synchronization
CN108829675A (zh) * 2018-06-11 2018-11-16 天津科技大学 文档表示方法及装置
JP7154833B2 (ja) 2018-06-20 2022-10-18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118764B2 (ja) * 2018-06-20 2022-08-16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805658B2 (en) * 2018-09-12 2020-10-13 Roku, Inc. Adaptive switching in a whole home entertainment system
US10834296B2 (en) * 2018-09-12 2020-11-10 Roku, Inc. Dynamically adjusting video to improve synchronization with audio
US11197054B2 (en) 2018-12-05 2021-12-07 Roku, Inc. Low latency distribution of audio using a single radio
CN112351411B (zh) * 2019-08-09 2024-06-25 荣耀终端有限公司 信息传输的方法和电子设备
EP4181516A4 (en) * 2020-10-16 2023-12-06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CONNECTION OF WIRELESS AUDIO OUTPUT DEVICE
KR102589864B1 (ko) * 2023-02-16 2023-10-16 (주)유유코리아 음향 동기화 기술이 적용된 디지털 음향의 무선 WiFi 전송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5805A1 (en) * 2012-06-15 2015-07-23 Sonos, Inc. Low-Latency Audio Networking
US20150334338A1 (en) * 2014-05-16 2015-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output apparatus, mobil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3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1275B2 (ja) * 1989-09-29 1996-09-04 日本電気株式会社 Atmセル転送方式
US8385977B2 (en) * 2001-05-02 2013-02-26 Trex Enterprises Corp Cellular communication system with high speed content distribution
US7697523B2 (en) * 2001-10-03 2010-04-13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for data packet transport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n internet protocol
US7171506B2 (en) * 2003-11-17 2007-01-30 Sony Corporation Plural interfaces in home network with first component having a first host bus width and second component having second bus width
DE102004047366A1 (de) * 2004-09-29 2006-03-30 Siemens Ag Verfahren zum Verteilen von Daten auf Anforderung sowie entsprechendes Datennetz
US7743183B2 (en) * 2005-05-23 2010-06-22 Microsoft Corporation Flow control for media streaming
CN101253734A (zh) * 2005-07-07 2008-08-27 高通股份有限公司 用于无线广域网、无线局域网和无线个域网中的位置确定和基于位置的服务的方法和装置
GB0608385D0 (en) * 2006-04-27 2006-06-07 Nokia Corp Communications in relay networks
EP2055036B1 (en) * 2006-08-21 2012-05-23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rrangement for adapting transmission of encoded media
EP2080387B1 (en) * 2006-10-17 2019-12-18 D&M Holdings, Inc. Configuring and connecting to a media wireless network
CN101309442B (zh) * 2007-05-17 2011-12-21 华为技术有限公司 无线通信设备及数据传输方法
CN101312550B (zh) * 2007-05-22 2016-05-25 株式会社Ntt都科摩 在混合网络中实现载荷均衡的方法和装置
US20080311852A1 (en) * 2007-06-15 2008-12-18 Broadcom Corporation Multiple communication link coordination for shared data transmissions
US8589578B2 (en) 2007-06-29 2013-11-19 Toshiba America Research, Inc. Streaming video over multiple network interfaces
CN101420369A (zh) * 2007-10-24 2009-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通用分组无线业务隧道协议报文传输方法、***及设备
KR100960124B1 (ko) * 2007-12-18 2010-05-27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단말 및 그 핸드오버방법
CN101222296B (zh) * 2008-01-31 2010-06-09 上海交通大学 上行蜂窝视频通信中自适应的传输方法及***
TW200952457A (en) * 2008-06-06 2009-12-16 Inventec Appliances Corp Audio-video sharing system and audio-video sharing method thereof
CN101686183B (zh) * 2008-09-28 2012-06-0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控制分组语音业务传输的方法及装置与***
CN101997892A (zh) * 2009-08-25 2011-03-30 成都市华为赛门铁克科技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装置、***和网络节点
CN101646077A (zh) * 2009-09-09 2010-02-10 南京工业大学 一种传感器网络中自适应的多媒体流控制方法
KR101269678B1 (ko) * 2009-10-29 2013-05-3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2p 스트리밍 장치, 방법 및 시스템 구성방법
KR101443061B1 (ko) 2010-11-12 2014-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패킷 손실에 강인한 애드혹 멀티미디어 그룹통신 단말 및 그 동작방법
US8954588B1 (en) * 2012-08-25 2015-02-10 Sprint Communications Company L.P. Reservations in real-time brokering of digital content delivery
KR20140090814A (ko) 2013-01-10 2014-07-18 (주)휴맥스 미디어 서버 시스템 및 이에 있어서 컨텐츠 공유 방법
US9900166B2 (en) * 2013-04-12 2018-02-2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for delivery of flows of objects over broadcast/multicast enabled networks
KR20150081759A (ko) 2014-01-06 2015-07-15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디바이스들 간의 연결 방법 및 장치
US9723180B2 (en) * 2014-01-08 2017-08-01 Vizio Inc Device and method for correcting lip sync problems on display devices
KR102185702B1 (ko) 2014-05-16 2020-12-02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출력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61870A (ko) 2014-11-24 2016-06-0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다중 경로를 통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장치
EP3040851B1 (en) 2014-12-30 2017-11-29 GN Audio A/S Method of operating a computer and computer
JP6811043B2 (ja) * 2016-07-13 2021-01-13 株式会社ディーアンドエムホールディングス ワイヤレスオーディオシステ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05805A1 (en) * 2012-06-15 2015-07-23 Sonos, Inc. Low-Latency Audio Networking
US20150334338A1 (en) * 2014-05-16 2015-11-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ntent output apparatus, mobil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932210B2 (en) 2021-02-23
EP3316522A1 (en) 2018-05-02
EP3316522B1 (en) 2019-09-04
CN108024389A (zh) 2018-05-11
CN108024389B (zh) 2023-10-31
US20180124719A1 (en) 2018-05-03
KR20180046766A (ko) 2018-05-09
WO2018080060A1 (en) 2018-05-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56013B1 (ko) 컨텐츠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EP4033773B1 (en) Connection method for multimedia playing device, multimedia playing device and control terminal
US20190200133A1 (en) Speaker discovery and assignment
JP6577082B2 (ja) サテライトボリュームコントロール
CN111316658B (zh) 具有多个媒体回放协议的***中的成组方法和回放设备
KR102050984B1 (ko)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네트워크에서 와이-파이 디스플레이 세션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그리고 그에 따른 시스템
CN107113465B (zh) 用于与多个输出装置的视听同步的方法、装置及***
US20150095510A1 (en) Protocol Switching over Multi-Network Interface
US10212530B2 (en) Dynamically changing master audio playback device
US10341772B2 (en) Audio stick for controlling wireless speakers
KR102648190B1 (ko) 컨텐츠 출력 시스템,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60150011A1 (en) Media output device to transmit and synchronize playback of a media content stream that is received over a point-to-point connection on multiple interconnected devices
KR20130095519A (ko) 스크린 미러링 방법 및 그 장치
CA286179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networked music playback
JP7123594B2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166101B2 (en) Audio stick for controlling wireless speakers
KR101769845B1 (ko) 기기 간의 컨텐츠 공유 방법 및 장치
US11093206B2 (en) Communication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storage medium
EP3376771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communication system, communication method, and program
JP6513770B2 (ja) 有用な有線接続の特定
WO2015169005A1 (zh) 共享屏幕和操作控制的方法、***和主共享端
WO2022088899A1 (zh) 显示设备、显示设备与外接音响的通信方法及外接音响音频输出方法
WO2018096849A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19215762A (ja) 通信装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CN114793308A (zh) 一种音箱组件、无线音频播放***以及通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