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5702B1 - 컨텐츠 출력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컨텐츠 출력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5702B1
KR102185702B1 KR1020140081042A KR20140081042A KR102185702B1 KR 102185702 B1 KR102185702 B1 KR 102185702B1 KR 1020140081042 A KR1020140081042 A KR 1020140081042A KR 20140081042 A KR20140081042 A KR 20140081042A KR 102185702 B1 KR102185702 B1 KR 1021857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put
content
signal
external speaker
soun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81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131896A (ko
Inventor
임병극
박세형
성상범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15792466.3A priority Critical patent/EP3138300B1/en
Priority to PCT/KR2015/004837 priority patent/WO2015174753A1/en
Priority to US14/713,587 priority patent/US9871992B2/en
Priority to CN201510250683.0A priority patent/CN105100860B/zh
Publication of KR201501318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131896A/ko
Priority to US15/835,165 priority patent/US10097787B2/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57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57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02Content synchronisation processes, e.g. decoder synchronisation
    • H04N21/4307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 H04N21/43076Synchronising the rendering of multiple content streams or additional data on devices, e.g. synchronisation of audio on a mobile phone with the video output on the TV screen of the same content streams on multiple devices, e.g. when family members are watching the same movie on differe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loudspeak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60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for the sound sig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2Interface to dedicated audio devices, e.g. audio drivers, interface to CODEC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 H04M1/6033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including speech amplifiers for providing handsfree use or a loudspeaker mode in telephone 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08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characterised by an identification number or address, e.g. local network addres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04N21/42206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characterized by hardware details
    • H04N21/4222Remote control device emulator integrated into a non-television apparatus, e.g. a PDA, media center or smart to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4Disassembling of a multiplex stream, e.g. demultiplexing audio and video streams, extraction of additional data from a video stream; Remultiplexing of multiplex streams; Extraction or processing of SI; Disassembling of packetised elementary stream
    • H04N21/4341Demultiplexing of audio and video strea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15Interfacing a Home Network, e.g. for connecting the client to a plurality of peripher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6Interfacing a local distribution network, e.g. communicating with another STB or one or more peripheral devices inside the home
    • H04N21/4363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 H04N21/43637Adapting the video stream to a specific local network, e.g. a Bluetooth® network involving a wireless protocol, e.g. Bluetooth, RF or wireless LAN [IEEE 802.11]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5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 H04N21/4852End-user interface for client configuration for modifying audio parameters, e.g. switching between mono and stereo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20/00Details of connection covered by H04R, not provided for in its groups
    • H04R2420/07Applications of wireless loudspeakers or wireless micro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SSTEREOPHONIC SYSTEMS 
    • H04S5/00Pseudo-stereo systems, e.g. in which additional channel signals are derived from monophonic signals by means of phase shifting, time delay or reverber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Television Receiver Circuits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 Stereophonic System (AREA)

Abstract

컨텐츠 출력 장치가 개시된다. 컨텐츠 출력 장치는 컨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수신부, 컨텐츠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컨텐츠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음향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달하는 통신부 및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제어부는,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부를 제어하고,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2 출력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스피커부를 제어한다. 이에 따라, 컨텐츠의 영상 신호, 음향 신호 및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동기화시키는 최적의 모드가 자동적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최적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여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Description

컨텐츠 출력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CONTENTS OUTPUT APPARATUS, MOBIL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컨텐츠 출력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음향 신호를 복수의 스피커에 전송하여 동기화시키기 위한 출력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멀티미디어 재생 장치로부터 나오는 오디오 신호를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피커 장치들로 전송함으로써, 다수의 스피커 장치들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는 기술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에 따라, TV와 같은 디자인과 구조적인 문제로 스피커에 음질 열화가 있는 장치에서 재생되는 오디오를 고 음질 스피커 기능을 가진 다수의 무선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피커 장치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보다 좋은 음질로 음악을 감상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TV에서 실시간 재생되는 오디오 신호를 네트워크상 떨어져 있는 다수의 스피커 장치로 전송하다 보면, 전송 딜레이가 존재하게 되고, 이는 거리에 비례하여 더 심해지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실시간 재생되는 컨텐츠가 음향 신호만 있는 음악이라면, 송신측에서 출력을 딜레이시켜 네트워크로 연결된 스피커의 출력과 동기를 맞추면 되지만, TV와 같은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함께 출력하는 장치의 경우에는 TV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딜레이시키면, TV의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간에 동기가 맞지 않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와 외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 간의 출력을 자동적으로 설정하거나, 사용자에게 관련된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하여 가이드를 하고자 하는 필요성이 증대되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컨텐츠의 재생 모드 및 컨텐츠 출력 장치의 종류에 따라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는 컨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수신부, 상기 컨텐츠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컨텐츠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상기 음향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달하는 통신부 및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2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3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별개로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출력 모드 및 상기 제3 출력 모드에서의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WiFi Direct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출력 모드 및 상기 제3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WiFi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포함하면 상기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불포함하면 상기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는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와 연결 가능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소스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모드,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불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출력 모드가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되면, 출력 모드 선택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하는 통신부,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에 대한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유저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제어 화면에 대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화면에서 상기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가 선택되면, 복수의 출력 모드 중에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의 종류에 대응되는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의 출력 동작과 별개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제3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모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별개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음향 신호만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화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재생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에 따라 상기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화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핑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의 종류에 대응되는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그룹핑된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
한편, 본 발며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수신부, 상기 컨텐츠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컨텐츠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입력되면 상기 컨텐츠의 음향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달하는 단계 및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2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3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별개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에서의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WiFi Direct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출력 모드 및 상기 제3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WiFi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한다.
또한, 상기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포함하면 상기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불포함하면 상기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연결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모드,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한다.
또한, 상기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불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출력 모드가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되면, 출력 모드 선택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제어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에 대한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화면에 대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화면에서 상기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가 선택되면, 복수의 출력 모드 중에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의 종류에 대응되는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되어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되어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별개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제3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되어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모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별개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음향 신호만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되어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화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재생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에 따라 상기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화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핑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의 종류에 대응되는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그룹핑된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한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컨텐츠의 영상 신호, 음향 신호 및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를 선택적으로 동기화시키는 최적의 모드가 자동적으로 설정되거나, 사용자가 최적의 모드를 설정할 수 있도록 가이드 하여 사용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라운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신호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라운드 모드가 컨텐츠 출력 장치인 TV와 복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송 딜레이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음향 신호를 처리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라운드 모드에서의 컨텐츠 출력 장치와 외부 스피커 간의 음향 신호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룸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라운드 모드 및 멀티룸 모드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의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외부 스피커의 음성 신호의 출력에 관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모드 선택에 대한 안내 메시지에 관한 도면이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출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통해 서라운드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 출력이 가능한 장치가 소스 장치로 선택된 경우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에서 서라운드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신호만 출력이 가능한 장치가 소스 장치인 상황에서 외부 스피커가 추가되는 경우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에서 멀티룸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된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컨텐츠 출력 장치(100)는 수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스피커부(130), 통신부(140) 및 제어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컨텐츠 출력 장치(100)는 TV, BD(Blu-ray Disc) Player, Home Theater, MP3 player, CD player, 스마트 폰, 태블릿, 데스크탑 PC, 노트북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전자 장치 또는 시스템으로 구현될 수 있다.
수신부(110)는 컨텐츠를 입력받는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출력 장치(100)가 TV인 경우 수신부(110)는 튜너 또는 케이블 수신부, 통신부로 구현될 수 있으며, 튜너를 통해 방송 신호 또는 오디오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방송 신호는 영상, 오디오 및 부가 데이터(예를 들어, EPG)를 포함할 수 있으며, 수신부(110)는 지상파 방송, 케이블 방송, 위성 방송, 인터넷 방송 등과 같이 다양한 소스로부터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출력 장치(100)가 노트북인 경우 수신부(110)는 통신부 또는 통신 모듈로 구현될 수 있으며, 웹이나 서버로부터 다양한 컨텐츠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20)는 컨텐츠의 영상 신호를 출력한다. 즉, 디스플레이부(120)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이미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으며, 여기서 이미지는 정지 영상 이미지, 동영상 이미지, 문서, 사진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부(12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LCD), 유기 전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iting Display, OLED) 또는 플라즈마 표시 패널(Plasma Display Panel,PDP)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스피커부(130)는 컨텐츠의 음향 신호를 출력한다. 즉, 스피커부(130)는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디오를 출력할 수 있으며, 스피커부(130)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 내에 구비되거나 부착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근거리에 이격되어 위치하는 사운드 바와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140)는 컨텐츠의 음향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달한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40)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의 연결을 수행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통신부(140)는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 이더넷,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와이파이(Wifi)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컨텐츠 출력 장치(1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연결할 수 있다. 물론 통신부(140)는 컨텐츠 출력 장치와 외부 스피커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부 장치와도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를 위해, 통신부(140)는 각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칩 또는 입력 포트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선 LAN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유선 LAN 카드(미도시) 및 입력 포트(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50)는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 여기서, 복수의 출력 모드는 컨텐츠의 영상 신호, 음향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달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 간의 동기에 관한 출력 모드로서, 크게 두 개의 출력 모드로 구분될 수 있다.
복수의 출력 모드는 서라운드 모드(Surround Mode)와 멀티룸 모드(Multi-room Mode)를 포함할 수 있다.
서라운드 모드는 소스 기기 즉, 컨텐츠 출력 장치에서 영상과 함께 재생 중인 오디오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고, 컨텐츠 출력 장치의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송되는 음향 신호의 동기를 맞추는 출력 모드이다.
여기서, 서라운드 모드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영상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 컨텐츠 출력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송되는 음향 신호의 동기를 맞추는 출력 모드도 포함한다.
또한, 서라운드 모드는 AV Sync 기술, Group Play, 1 room, Direct Audio와 같은 용어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구체적으로, 서라운드 모드는 WiFi-Direct 방식을 통해 전송되는 신호가 미치는 거리에 존재하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오디오를 듣는 기술로서, 도 2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라운드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소스 디바이스(210)인 TV와 타겟 디바이스(220)인 사운드 바, 복수의 외부 스피커 및 Access Point로 동작하는 무선 공유기(23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소스 디바이스(210)인 TV는 타겟 디바이스(220)인 사운드 바 및 복수의 외부 스피커와 무선 공유기(230)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되는 무선 통신 방식은 주로 WiFi 방식(240)을 이용하며, 이외에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와 같은 방식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210)인 TV가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타겟 디바이스(220)인 사운드 바 및 복수의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무선 공유기(230)를 거쳐서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소스 디바이스(210)인 TV가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무선 공유기(230)를 통해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타겟 디바이스(220)인 사운드 바 및 복수의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지 않고, WiFi Direct 방식(250)을 사용하여 타겟 디바이스(220)인 사운드 바 및 복수의 외부 스피커로 현재 생 중인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즉, 소스 디바이스(210)인 TV는 무선 공유기(230)를 통하지 않고, 음향 신호를 타겟 디바이스(220)인 사운드 바 및 복수의 외부 스피커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공유기(230)를 통해 WiFi 방식(240)을 사용하여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발생하는 전송 딜레이에 비하여 무선 공유기(230)를 통하지 않고, WiFi Direct 방식(250)을 사용하여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발생하는 전송 딜레이가 줄어들게 된다. 여기서, 무선 공유기(230)를 통하지 않고, WiFi Direct 방식(250)을 사용하여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발생하는 전송 딜레이는 최대 45ms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준의 전송 딜레이는 소스 디바이스(210)인 TV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 및 영상 신호와의 동기를 맞추는데 있어서 매우 작은 수준의 딜레이에 해당되므로, 소스 디바이스(210)인 TV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 및 영상 신호와 타겟 디바이스(220)인 사운드 바 및 복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간의 동기가 맞게 된다.
즉, 서라운드 모드는 하나의 방안에 컨텐츠 출력 장치(100)와 복수의 외부 스피커가 존재하는 상태에서 컨텐츠 출력 장치(100)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와 복수의 외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로부터 전송된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 간의 동기를 맞추어야 하는 경우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서라운드 모드는 주로 사용자가 컨텐츠 출력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고, 복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들을 경우에 최적화된 모드이다.
한편, 서라운드 모드를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 예는 도 3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의 상세한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Audio/Video Decoder부(151), Video Processor부(152), Audio Processor부(153), Audio Capture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신호를 수신받아 스피커별로 채널을 분리하여 재생하는 스피커의 수신부(RX Speaker 1, 310)가 도시되어 있다. RX Speaker 2, 3, 4, 5는 동일한 구성을 포함하고, 처리 동작도 동일하게 수행되므로, RX Speaker 1(310)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RX Speaker 1(310)는 Audio Receiver(311)과 Audio Player(312)를 포함한다.
한편, Audio/Video Decoder부(151)는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디코딩하고, Video Processor부(152)는 디코딩된 영상 신호의 화질을 처리하고, Audio Processor부(153)는 디코딩된 음향 신호의 음질을 처리한다.
그리고, Audio Capture부(154)는 Audio/Video Decoder부(151)에서 음향 신호를 디코딩함과 동시에 음향 신호를 실시간으로 주기적으로 캡쳐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40)는 Audio Capture부(154)에서 캡쳐된 음향 신호에 시간 정보와 코덱 정보들을 포함하는 메타 데이터 헤더를 부가하여 전송한다.
RX Speaker 1(310)의 Audio Receiver(311)는 통신부(140)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하고, 음향 신호에 추가된 메타 데이터 헤더를 분석하여 캡쳐된 음향 신호에 관한 시간 정보 및 코덱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Audio Player(312)는 검출된 시간 정보 및 코덱 정보에 기초하여 RX Speaker 1(310)에 대응되는 채널의 음향 신호를 다른 외부 스피커(Speaker 2, 3, 4, 5)와 동기를 맞추어 재생할 수 있다.
특히, 서라운드 모드가 동작하기 위해서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면서,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여야 하는데, 이는 Audio Capture부(154)가 Audio/Video Decoder부(151)에서 음향 신호를 디코딩함과 동시에 음향 신호를 실시간으로 주기적으로 캡쳐하여 통신부(140)를 통해 외부 스피커(310)로 전송하는 것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도 4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신호의 처리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Audio Decoder(410)는 도 3의 Audio/Video Decoder부(151)에 대응되며, Audio Renderer(420)는 Audio Processor부(153)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Audio Renderer(42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Audio Out Buffer(430)에 버퍼링되면서 AMP(440)를 통해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이와 동시에 Audio Renderer(42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Audio Capture Buffer(450)에 주기적으로 복사되어 버퍼링될 수 있으며, 이렇게 Audio Capture Buffer(450)에 버러링된 음향 신호는 다시 주기적으로 복사되어 WiFi Driver Buffer(460)로 스트리밍될 수 있다. 그리고, WiFi Driver Buffer(460)는 WiFi Direct 방식을 통하여 스트리밍된 음향 신호를 외부 스피커로 전송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음향 신호의 처리 과정을 통하여,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음향 신호의 디코딩과 음향 신호의 주기적 캡쳐를 동시에 수행함으로써,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면서,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전송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Audio Decoder(410)는 5.1 채널 이상의 음향 신호는 Bit-Stream(Element Stream)으로 출력하도록 설정하여 5.1 채널 이상의 음향 신호가 디코딩되더라도 원음 그대로 캡쳐되어 WiFi Driver Buffer(46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Bit-Stream이란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방법 중 하나로서 Bit Stream D/A 컨버터를 통해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가 1비트씩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될 수 있다.
한편, WiFi Driver Buffer(460)는 WiFi Direct 방식을 통하여 스트리밍된 음향 신호를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는데 있어서, OSI-7 Layer 중 Layer 2 이하 계층을 통하여 음향 신호를 전송함으로써 전송 딜레이를 저감시킬 수 있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또한, 상술한 Audio Decoder(410), Audio Renderer(420), Audio Out Buffer(430), Audio Capture Buffer(450) 및 WiFi Driver Buffer(460)에서 수행되는 동작은 프로그램으로 구현되어 실행될 수 있으며, 제어부(150) 내에서 각각의 모듈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라운드 모드가 컨텐츠 출력 장치인 TV와 복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구현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컨텐츠 출력 장치(100)인 TV(510)와 복수의 외부 스피커(530, 540, 550, 560, 570)는 각각 상용 Wi-Fi 모듈(511, 531, 541, 551, 561, 571)만을 구비하고 있을 뿐, 별도의 무선 수신 장치는 구비하고 있지 않다.
즉, TV(510)와 복수의 외부 스피커(530, 540, 550, 560, 570)는 Access Point인 무선 공유기(520)를 통해 무선 통신(580)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이러한 무선 통신에는 Wi-Fi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TV(510)와 복수의 외부 스피커(530, 540, 550, 560, 570)는 무선 공유기(520)를 사용하지 않고, 음향 신호를 서로 주고 받을 수 있는데 이때 Wi-Fi Direct 방식(590)이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TV(510)가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TV(510)와 복수의 외부 스피커(530, 540, 550, 560, 570)는 무선 공유기(520)를 사용하지 않고, Wi-Fi Direct 방식(590)을 사용하여 음향 신호를 송수신하게 된다.
이에 따라, TV(510)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면서, 음향 신호를 전송 딜레이를 저감시키면서 전송할 수 있어, 영상 신호 및 복수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간의 동기를 맞출 수 있고, 또한, 음향 신호만을 도 5에 도시된 복수의 스피커(530, 540, 550, 560, 570)를 통해 5.1 채널로 분리하여 출력할 수 있게 된다.
한편, WiFi Direct 방식을 사용하여 통신이 수행되는 경우 전송 딜레이를 저감킬 수 있는 방법에 대해 도 6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송 딜레이를 저감시키기 위하여 음향 신호를 처리하여 전송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Audio Sender(610)에 해당되는 콘텐츠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150)는 audio decoder로부터 출력된 디코딩된 음향 신호(611)를 캡쳐하여 WiFi Driver 단의 MAC 주소와 함께 OSI-7 Layer 중 Layer 2 이하 계층인 MAC Layer(620)와 Physical Layer(630)을 거쳐 Audio Receiver(640)에 해당되는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면, 수신된 음향 신호(611)는 송신할 때와 반대로 Physical Layer(630) 및 MAC Layer(620)의 순서를 거쳐 외부 스피커에서 출력되게 된다.
이에 따라, 도 6에 도시된 과정은 기존의 무선 네트워크상에서 데이터 송신을 위해 데이터는 Application Layer로부터 OSI-7 Layer를 거쳐 무선 공유기로 전달되고, 무선 공유기에서 스피커로 데이터를 전송하면, 전송된 데이터는 다시 OSI-7 Layer를 거쳐 Application Layer로 전달되는 과정에 비하여 데이터가 OSI-7 Layer를 모두 거치지 않고, AP와 같은 무선 공유기에서 처리되는 시간을 줄이게 되어 전송 딜레이가 저감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라운드 모드에서의 컨텐츠 출력 장치와 외부 스피커 간의 음향 신호 송수신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제어부(150)는 네트워크에 존재하는 스피커 장치들을 검색하고 UI를 통해 서라운드 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명령을 입력받으면(S710), 검색된 스피커 장치들의 MAC 주소를 수신할 수 있다(S720).
그리고, 제어부(150)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와 스피커 장치 간에 Wi-Fi Direct 방식으로 연결하고(S730), 컨텐츠 출력 장치(100)에서 Audio가 재생되면 주기적으로 Audio를 캡쳐한다(S740).
그리고, 제어부(150)는 캡쳐된 Audio 데이터에 시간 정보 등과 같은 메타 데이터를 추가하고(S750), MAC 주소를 바탕으로 스피커 장치에 Audio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전송하면(S760), 스피커 장치들은 Audio 데이터를 전달받아 설정된 서라운드 모드에 해당하는 것만 동기를 맞추어 출력한다(S770).
한편, 복수의 출력 모드 중 멀티룸 모드는 소스 기기에서 재생 중인 음향 신호가 유/무선으로 연결된 외부 스피커에 전송됨으로서, 수신된 음향 신호가 전송 딜레이로 인하여 외부 스피커에서 늦게 출력되더라도 소스 기기에 구비된 스피커 및 외부 스피커에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동기를 맞추는 출력 모드이다.
즉, 멀티룸 모드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가 영상 신호를 출력하지 않고, 음향 신호만을 출력하는 경우, 컨텐츠 출력 장치에 구비된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장치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동기를 맞추는 출력 모드이다.
또한, 멀티룸 모드는 AA Sync 기술, Party Play, Zone Play와 같은 용어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즉, 멀티룸 모드는 거리가 멀어 전송 딜레이가 있다 하더라도 유/무선 공유기가 신호가 닫는 거리까지 떨어진 다수의 스피커 장치에 음향 신호를 전송하여 동기를 맞추는 출력 모드로서, 여러 방 각각에 존재하는 복수의 스피커들을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동기를 맞추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멀티룸 모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소스 디바이스(810)인 TV와 타겟 디바이스(820)인 사운드 바, 복수의 외부 스피커 및 Access Point로 동작하는 무선 공유기(830)이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소스 디바이스(810)인 TV는 타겟 디바이스(820)인 사운드 바 및 복수의 외부 스피커와 무선 공유기(830)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데, 여기서 사용되는 무선 통신 방식은 주로 WiFi 방식(840)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외에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와 같은 방식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소스 디바이스(810)인 TV는 멀티룸 모드로 동작하게 되면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무선 공유기(830)를 거쳐 타겟 디바이스(820)인 사운드 바 및 복수의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게 되고, 이에 따라 전송 딜레이는 최대 1초까지 발생하게 된다.
이에 따라, 소스 디바이스(810)인 TV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딜레이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는데, 타겟 디바이스(820)까지 음향 신호가 전송되는데 있어서 발생하는 전송 딜레이만큼 음향 신호를 딜레이 처리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소스 디바이스(810)인 TV가 음향 신호를 딜레이 처리하여 출력하게 되면 소스 디바이스(810)인 TV에 구비된 스피커부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타겟 디바이스(820)의 사운드 바 및 복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동기가 맞게 된다.
한편, 복수의 스피커 중 일부의 스피커(821)는 소스 디바이스(810)로부터 수신된 음향 신호를 다른 스피커(822)로 다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스피커 중 일부의 스피커(821)는 수신된 음향 신호가 다른 스피커(822)로 전송되는데 발생하는 전송 딜레이만큼 음향 신호를 딜레이 처리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스피커 중 일부의 스피커(821)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일부의 스피커(821)로부터 음향 신호를 수신받는 다른 스피커(822)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서로 동기가 맞게 된다. 이러한 스피커들 간의 통신 방식을 통하여 음향 신호는 더욱 멀리 전송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멀티룸 모드는 사용자가 컨텐츠 출력 장치(100)를 통해 영상을 시청하지 않고, 다수의 방에 존재하는 복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음향을 들을 경우 최적화된 모드이다.
상술한 서라운드 모드 및 멀티룸 모드에 따라 컨텐츠 출력 장치에서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와 외부 스피커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 간의 동기가 어떻게 맞추어지는 설명하고, 멀티룸 모드에 관한 두 가지 실시 예를 설명하도록 하겠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서라운드 모드 및 멀티룸 모드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의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외부 스피커의 음성 신호의 출력에 관한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도 9는 전송 지연이 거의 존재하지 않거나 없는 서라운드 모드에 관한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외부 스피커의 출력을 도시한 것으로, 컨텐츠 출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920)를 출력하고, 스피커부(130)를 통해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930)를 출력하며, 컨텐츠 출력 장치(100)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WiFi Direct 방식을 사용하여 Network Speaker로 전송한다.
여기서, 가로 축이 시간 축임을 고려할 때,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920)의 출력 시작 시점과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930)의 출력 시작 시점은 동일하다.
그리고,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940)의 출력 시작 시점은 WiFi Direct 방식을 사용하는 음향 신호가 전송됨에 따라 전송 딜레이(950)가 발생할 수 있는데, 발생되는 전송 딜레이가 최대 45ms 발생하게 되면 최대 45ms가 지연될 수 있으나, 설령 45ms의 전송 딜레이로 인하여 음향 신호(940)의 출력 시작 시점이 지연된다고 하더라도 이는 사용자에게 있어 체감할 수 없는 수준일 뿐이다.
이에 따라,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920),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및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동기가 맞게 되며, 이에 따라, 서라운드 모드가 구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은 전송 지연이 발생하는 멀티룸 모드 1에 관한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음성 신호 및 외부 스피커의 음성 신호의 출력을 도시한 것으로, 멀티룸 모드 중 컨텐츠 출력 장치(100)가 영상 신호를 출력하지 않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출력 장치(100)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지 않아 No Video(1020)이고, 스피커부(130)를 통해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1030)를 출력하고,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WiFi 방식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Nework 스피커로 전송한다.
한편, 컨텐츠 출력 장치(100)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1030)를 딜레이 처리(1050)하여 스피커부(130)를 통한 출력 시작 시점을 지연시킬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1040)의 출력 시작 시점은 전송 딜레이(1060)에 의해 지연될 수 있다. 여기서, WiFi Direct 방식이 아닌 WiFi 방식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경우 전송 딜레이(1060)는 최대 1초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1040)의 출력 시작 시점은 최대 1초가 지연될 수 있다.
따라서, 컨텐츠 출력 장치(100)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1030)를 최대 1초 딜레이 처리(1050)하여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1030) 및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1040)의 동기가 맞게 되며 이에 따라, 멀티룸 모드 1이 구현될 수 있다.
도 11을 참조하면, 도 11은 전송 지연이 발생하는 멀티룸 모드 2에 관한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및 외부 스피커의 음성 신호의 출력을 도시한 것으로, 멀티룸 모드 중 컨텐츠 출력 장치(100)가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경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출력 장치(100)는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1120)를 출력하고, 스피커부(130)를 통해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1130)를 출력하며,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WiFi 방식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하여 Nework 스피커로 전송한다.
여기서,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1120)와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1130)는 동기가 맞지만,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1140)는 전송 딜레이(1150)에 의하여 그 출력 시점이 전송 딜레이(1150)만큼 지연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1120) 및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1130)과 동기가 맞지 않게 된다.
여기서, 도 10과 마찬가지로, WiFi Direct 방식이 아닌 WiFi 방식과 같은 무선 통신 방식을 사용할 경우 전송 딜레이(1060)는 최대 1초가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1040)의 출력 시작 시점은 최대 1초가 지연될 수 있다.
이러한 멀티룸 모드 2는 방안에 존재하는 TV를 통해 제1 사용자가 영상 및 음향을 시청하고, 방밖에 존재하는 스피커를 통해 제2 사용자가 음향만을 듣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는 출력 모드이다.
상술한 서라운드 모드, 멀티룸 모드 1 및 멀티룸 모드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출력 모드,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에 대응되는 것으로 정의하기로 한다.
한편, 제어부(150)는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데,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 및 스피커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제1 출력 모드에 대응되는 서라운드 모드에서는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가 전송 딜레이가 없이 출력되거나 전송 딜레이가 거의 없어 체감할 수 없는 정도만큼 지연되어 출력되는 경우,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출력 동작과 동기가 되도록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서라운드 모드에서 전송 딜레이가 거의 없거나 없을 수 있는 이유에 관하여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구체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의 출력 시작 시점이 체감할 수 없을 정도의 딜레이만큼 지연되거나 지연되지 않는 경우이므로, 제어부(150)는 굳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을 고려하지 않고, 동시에 디스플레이부(120) 및 스피커부(130)를 제어하여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더라도, 서로 간의 동기가 맞게 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2 출력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스피커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제2 출력 모드에 대응되는 멀티룸 모드 1에서는 도 10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없는 상태이고, 이때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전송 딜레이로 인하여 그 출력 시작 시점이 늦어지게 된다. 여기서, 발생하는 전송 딜레이는 최대 1ms가 될 수 있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 시작 시점도 최대 1ms만큼 지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 시작 시점이 지연되는 만큼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도 강제로 지연시킴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동기를 맞추어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3 출력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별개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120) 및 스피커부(13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제3 출력 모드에 대응되는 멀티룸 모드 2에서는 도 11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가 존재하는 상태이고, 이때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전송 딜레이로 인하여 그 출력 시작 시점이 늦어지게 된다. 여기서, 발생하는 전송 딜레이는 최대 1ms가 될 수 있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출력 시작 시점도 최대 1ms만큼 지연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키지 않고 별개로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할 수 있다. 즉,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서로 시간 차를 두고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에서의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인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제1 출력 모드에 대응되는 서라운드 모드에서는, 멀티룸 모드 1 및 멀티룸 모드 2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과는 다른 통신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의 동작이 제2 출력 모드에서 제1 출력 모드 즉, 멀티룸 모드 1이나 멀티룸 모드 2에서 서라운드 모드로 변경될 경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하는 통신 방식도 변경되게 된다.
또한, 제어부(150)는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WiFi Direct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WiFi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제1 출력 모드에 대응되는 서라운드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WiFi Direct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에 대응되는 멀티룸 모드 1 및 멀티룸 모드 2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WiFi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WiFi Direct 방식 및 WiFi 방식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고, 각 모드에서 사용되는 통신 방식이 서로 다름에 대해서도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구체적이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150)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면,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하고,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불포함하면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는데, 컨텐츠 출력 장치(100)에 연결되는 또 다른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도 있고, 컨텐츠에 관한 파일의 확장자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에 관한 파일의 확장자가 midi, mp3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제어부(150)는 컨텐츠가 음악 재생에 관한 파일임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컨텐츠는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컨텐츠에 관한 파일의 확장자가 avi를 포함하고 있는 경우 컨텐츠는 동영상 재생에 관한 파일임을 알 수 있고, 이에 따라, 컨텐츠는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다고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컨텐츠와 관련된 코덱 정보 또는 컨텐츠에 부가된 컨텐츠의 종류를 나타내는 메타 데이터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를 판단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으면, 영상 신호를 출력함과 동시에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및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동기를 모두 맞추는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불포함하고 있으면,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 동기화시키기 위하여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강제로 딜레이 처리하여 출력하는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에 연결되는 또 다른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데, 이에 대해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럭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컨텐츠 출력 장치(1200)는 수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스피커부(130), 통신부(140), 제어부(150) 및 연결부(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수신부(110), 디스플레이부(120), 스피커부(130) 및 통신부(140)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연결부(160)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와 연결이 가능하다. 즉, 컨텐츠 출력 장치(1200)는 연결부(160)를 통해 다른 소스 장치와 연결이 가능하며, 다른 소스 장치로부터 컨텐츠를 제공받을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출력 장치인 TV가 연결부(160)를 통해 음악 파일이 들어있는 USB와 연결되거나, CD player가 연결되는 경우를 상정해볼 수 있다. 또는 반대로, 컨텐츠 출력 장치인 셋탑 박스가 연결부(160)를 통해 TV와 연결되는 경우도 상정해볼 수 있다.
제어부(150)는 연결부(160)를 통해 연결된 소스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컨텐츠 출력 장치(100)인 TV가 연결부(160)를 통해 CD player와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연결부(160)를 통해 연결된 소스 장치가 CD player임을 확인할 수 있고, CD player는 음악을 재생하는 장치이므로, CD player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는 영상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제2 출력 모드 즉, 멀티룸 모드 1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컨텐츠 출력 장치(100)인 셋탑 박스가 연결부(160)을 통해 TV와 연결되는 경우, 제어부(150)는 연결부(160)를 통해 연결된 소스 장치가 TV임을 확인할 수 있고, TV는 영상을 재생하는 장치이므로, TV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는 영상 신호를 포함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한다고 판단되면, 제1 출력 모드 즉,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연결부를 통해 BD(Blu-ray Disc) Player, DVD Player 등이 연결된 경우에도 BD(Blu-ray Disc) Player, DVD Player들은 주로 영상을 재생하는 장치이므로, 이들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는 영상 신호를 포함한다고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연결된 소스 장치의 종류뿐만 아니라 컨텐츠에 관한 파일의 확장자를 함께 고려하여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출력 장치(100)인 TV가 연결부(160)를 통해 USB 장치와 연결되는 경우, USB 장치는 음악 파일이나 동영상 파일을 모두 포함할 수 있으므로, 제어부(150)는 단지 USB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판단할 수는 없으며, 이러한 경우 제어부(150)는 연결부(160)를 통해 연결된 USB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컨텐츠에 관한 파일의 확장자를 함께 고려하여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사용자가 컨텐츠를 변경하는 경우 예를 들면, TV를 통해 영화를 보다가 인터넷을 통해 음악 파일을 다운받아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에도 출력되는 컨텐츠에 관한 파일의 확장자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TV가 영화를 디스플레이하다가 음악을 재생하는 경우 제어부(150)는 TV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에서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로 변경되었으므로, 이에 따라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하다가 제2 출력 모드로 변경하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출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 출력 모드,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50)는 연결된 소스 장치의 종류 또는 컨텐츠에 관한 파일의 확장자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제1 출력 모드,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어부(150)는 출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수동적으로 제1 출력 모드,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연결부(160)를 통해 연결되는 장치가 CD player인 경우 제어부(150)는 CD player는 음악을 재생하는 장치이므로 CD player로부터 출력되는 컨텐츠는 영상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다고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나, 사용자가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서는 스틸 이미지를 시청하고, 컨텐츠 출력 장치(100)와 연결된 CD player로부터 제공되는 음악 파일을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스피커부(130)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듣고자 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스틸 이미지에 대응되는 영상 신호와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연결부(160)를 통해 연결되는 CD player로부터 제공되어 스피커부(130)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서로 동기가 꼭 맞을 필요가 없다. 따라서, 제어부(150)가 연결되는 소스 장치의 종류를 판단하여 자동적으로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하는 것으로 결정하더라도, 사용자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와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동기를 맞추기 위한 제2 출력 모드를 원하는 경우에는 제2 출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도 10에서는 제2 출력 모드 즉, 멀티룸 모드 1에 대해 설명할 때, 컨텐츠 출력 장치(100)에서 영상 신호가 나오지 않는 경우를 상정하여 설명하였으나, 컨텐츠 출력 장치(100)에서 영상 신호가 나오는 경우 영상 신호와 스피커부(130)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와의 동기를 맞출 필요가 없는 상술한 예와 같은 상황에 대해서도 멀티룸 모드 1에 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50)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불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 출력 모드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되면, 출력 모드 선택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즉, 제어부(150)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불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자동적으로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 만약 제1 출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에 적합한 제1 출력 모드에 관한 설명 및 제2 출력 모드가 현재 상태에서 더 적합하다는 출력 모드 선택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12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출력 모드에 관한 설명은 현재 컨텐츠 출력 장치(100)는 영상과 음향을 함께 재생하고 있어, 전송 딜레이가 없는 제1 출력 모드를 선택해야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간의 동기가 서로 맞을 수 있다는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출력 모드 선택에 대한 안내 메시지에 관한 도면이다.
도 13을 참조하면,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에는 음향 출력 설정에 관한 영역(1310) 및 출력 모드 선택에 대한 안내 메시지에 관한 영역(1320)을 포함하는 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음향 출력 설정에 관한 영역(1310)에 도시된 외부 스피커 연결 여부를 통하여 사용자는 외부 스피커의 연결을 유지하거나 해제할 수 있고, 스피커 추가/삭제하기를 통하여 사용자는 또 다른 외부 스피커를 추가로 등록하거나, 기존에 등록된 외부 스피커를 삭제할 수 있으며, 또한 음향 출력 모드 설정하기를 통해 사용자는 서라운드 모드(1311) 및 멀티룸 모드(1312) 중 하나를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 서라운드 모드(1311)은 제1 출력 모드에 대응되고, 멀티룸 모드(1312)는 제2 출력 모드에 대응되는 것으로 가정한다.
예를 들어, 컨텐츠 출력 장치(100)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멀티룸 모드(1312)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1 출력 모드인 서라운드 모드가 적합하다고 판단하고, 이에 따라 안내 메시지에 관한 영역(1320)을 통해 "현재 영상이 출력되고 있어 음향만 출력되는 경우에 적합한 멀티 룸 모드는 현 상태에서 부적절합니다."라는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즉,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부(150)는 자동적으로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으나, 제1 출력 모드를 선택하지 않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제3 출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별개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함으로써, 거실에서는 제1 사용자가 TV를 통해 영상 및 음향을 시청하고, 거실로부터 멀리 떨어진 방에 있는 제2 사용자는 음향만 시청하는 경우에 적합하게 동작할 수 있다.
도 14 내지 도 16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출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멀티룸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S1410), 제어부(150)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420),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으면 서라운드 모드(제1 출력 모드)로의 변경에 관한 확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430). 서라운드 모드로의 변경에 관한 확인 메시지에 대하여 "YES"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1440). 여기서, 서라운드 모드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유/무에 따라 두 가지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및 외부 스피커를 통해 츨력되는 음향 신호 모두의 동기를 맞추는 실시 예와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동기를 맞추는 실시 예가 있다.한편, 컨텐츠가 영상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제어부(150)는 멀티룸 모드 1(제2 출력 모드)로 자동적으로 동작하게 되고(S1450), 이에 따라,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강제적으로 딜레이 처리하여 출력함으로써,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및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간의 동기를 맞출 수 있다.
한편, 서라운드 모드로의 변경에 관한 확인 메시지에 대하여 "NO"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멀티룸 모드 2로 동작할 수 있다(S1460). 이에 따라, 제어부(150)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강제적으로 딜레이 처리하지 않고 출력하며, 따라서,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및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간의 동기는 맞지 않게 된다.
도 14에 도시된 과정은 제어부(150)가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고,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자동적으로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에 대하여 제어부(150)가 자동적으로 판단하는 예만을 들어 설명하였으나, 사용자가 직접 컨텐츠가 음향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에 대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하여 결정할 수도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멀티룸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S1510), 제어부(150)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510),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으면 자동적으로 서라운드 모드(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하고,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지 않으면 자동적으로 멀티룸 모드 1(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한다.
도 14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으면 제어부(150)는 서라운드 모드에 따라 동작하는데, 여기서, 서라운드 모드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유/무에 따라 두 가지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및 외부 스피커를 통해 츨력되는 음향 신호 모두의 동기를 맞추는 실시 예와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동기를 맞추는 실시 예가 있다. 또한,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50)는 멀티룸 모드 1(제2 출력 모드)로 자동적으로 동작하게 되고(S1450), 이에 따라,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강제적으로 딜레이 처리하여 출력함으로써,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및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간의 동기를 맞출 수 있다.
도 15에 도시된 과정은 제어부(150)가 컨텐츠의 영상 신호 포함 여부에 따라 제1 출력 모드 및 제2 출력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로 자동적으로 동작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네트워크 스피커 설정 메뉴에 진입하면(S1610), 제어부(150)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고(S1620),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으면, 멀티룸 모드를 비활성화 시킨다(S1630). 즉, 제어부(150)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경우 멀티룸 모드를 비활성화시킴으로써(S1630), 사용자가 처음부터 멀티룸 모드를 선택할 수 없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50)는 멀티룸 모드를 비활성화시킴(S1630)과 동시에 자동적으로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S1640). 여기서, 서라운드 모드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유/무에 따라 두 가지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있는 경우에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및 외부 스피커를 통해 츨력되는 음향 신호 모두의 동기를 맞추는 실시 예와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없는 경우에는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디스플레이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영상 신호 및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의 동기를 맞추는 실시 예가 있다.
한편, 제어부(150)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경우 서라운드 모드(제1 출력 모드)로의 변경에 관한 확인 메시지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S1650). 서라운드 모드로의 변경에 관한 확인 메시지에 대하여 "YES"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고(S1640), 서라운드 모드로의 변경에 관한 확인 메시지에 대하여 "NO"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50)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멀티룸 모드 1로 동작할 수 있다(S1660). 이에 따라 이에 따라,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를 강제적으로 딜레이 처리하여 출력함으로써,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및 스피커부(13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간의 동기를 맞출 수 있다.
도 16에 도시된 과정은 제어부(150)가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멀티룸 모드(제2 출력 모드 또는 제3 출력 모드)를 비활성화시키고 자동적으로 서라운드 모드(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및 제어부(150)가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불포함하는 것으로 판단하는 경우 서라운드 모드의 실행 여부에 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사용자 조작에 따라 영상 신호의 출력이 없더라도 강제적으로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하거나 자동적으로 멀티룸 모드 1(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하여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외부 스피커와 같은 장치는 별도로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하고 있지 않아 외부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 가능한 유저 인터페이스부가 활성화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는 이러한 외부 스피커를 설정하기 위한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함으로써 소스 장치와 외부 스피커 간의 연결을 통해 출력 모드를 설정하는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모바일 장치를 사용하여 외부 스피커를 설정할 수 있게 되고, 이에 따라 사용자의 편의가 증가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700)는 통신부(1710), 유저 인터페이스부(1720) 및 제어부(1730)를 포함한다.
통신부(171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710)는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 이더넷,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USB(Universal Serial Bus), IEEE 1394, 와이파이(Wifi) 등 다양한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모바일 장치(1700)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를 연결할 수 있다. 물론 통신부(1710)는 모바일 장치(1700)와 외부 스피커뿐만 아니라, 다양한 외부 장치와도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를 위해, 통신부(1710)는 각 통신 방식에 대응되는 칩 또는 입력 포트 등을 구비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유선 LAN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유선 LAN 카드(미도시) 및 입력 포트(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유저 인터페이스부(1720)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에 대한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저 인터페이스부(1720)는 터치 스크린로 구현되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에 대한 제어에 관한 사용자 터치 조작을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유저 인터페이스부(1720)는 외부 스피커의 볼륨 조절, 음질 조절, 음향 효과 설정 및 복수의 외부 스피커 간의 그룹핑 등에 관한 사용자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제어부(1730)는 제어 화면에 대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외부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스피커의 볼륨 업/다운 명령에 관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어부(1730)는 외부 스피커로 볼륨을 업/다운시키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스피커의 음향 효과를 차내 효과로 설정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입력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어부(1730)는 외부 스피커로 외부 스피커의 음향 효과를 차내 효과로 설정하는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30)는 제어 화면에서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가 선택되면, 복수의 출력 모드 중에서 컨텐츠 출력 장치의 종류에 대응되는 출력 모드에 따라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도 18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를 통해 서라운드 모드로 설정하는 것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소스 디바이스(1810)인 TV와 타겟 디바이스인 외부 스피커(1820), Access Point로 동작하는 무선 공유기(1840) 및 외부 스피커를 제어하기 위한 모바일 장치(1830)가 도시되어 있다.
여기서, 소스 디바이스(1810), TV와 타겟 디바이스인 외부 스피커(1820) 및 모바일 장치(1830)는 무선 공유기(1840)를 통해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이때, 사용되는 무선 통신 방식은 주로 WiFi 방식(1850)을 이용하며, 이외에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와 같은 방식도 사용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소스 디바이스(1810)인 TV가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타겟 디바이스인 외부 스피커(1820)로 전송하기 위해서는 무선 공유기(1840)를 거쳐서 전송하게 된다.
그러나, 외부 스피커(1820)과 통신을 수행하는 모바일 장치(1830)의 유저 인터페이스부는 외부 스피커(1820)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고, 제어부(1730)는 제어 화면을 통해 외부 스피커(1820)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 즉 소스 장치(1810)가 선택되면, 복수의 출력 모드 중에서 컨텐츠의 출력 장치의 종류에 대응되는 출력 모드에 따라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즉, 제어부(1730)는 선택된 소스 장치(181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여 선택된 소스 장치(1810)로 하여금 소스 장치(1810)의 종류에 대응되는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모드에 따라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8은 선택된 소스 장치(1810)가 TV 이고, TV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므로, 이에 대응되는 출력 모드를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모드에 따라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TV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TV는 영상 신호를 출력하는 장치에 대응되는 서라운드 모드로 동작하여 무선 공유기(1840)를 통해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외부의 스피커(1820)로 전송하지 않고, WiFi Direct 방식(1860)을 사용하여 타겟 디바이스인 외부 스피커(1820)로 현재 재생 중인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를 전송하게 된다. 즉, 소스 디바이스(1810)인 TV는 무선 공유기(1840)를 통하지 않고, 음향 신호를 타겟 디바이스인 외부 스피커(182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공유기(1840)를 통해 WiFi 방식(1850)을 사용하여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발생하는 전송 딜레이에 비하여 무선 공유기(1840)를 통하지 않고, WiFi Direct 방식(1860)을 사용하여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발생하는 전송 딜레이가 줄어들게 된다. 여기서, 무선 공유기(1840)를 통하지 않고, WiFi Direct 방식(1860)을 사용하여 음향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 발생하는 전송 딜레이는 최대 45ms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수준의 전송 딜레이는 소스 디바이스(1810)인 TV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 및 영상 신호와의 동기를 맞추는데 있어서 매우 작은 수준의 딜레이에 해당되므로, 소스 디바이스(1810)인 TV에서 출력되는 컨텐츠에 대응되는 음향 신호 및 영상 신호와 타겟 디바이스인 외부 스피커(1820)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간의 동기가 맞게 된다.
도 18에서는 서라운드 모드에 관하여 모바일 장치를 통해 외부 스피커를 제어하고, 소스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멀티룸 모드에 대해서도 모바일 장치를 통해 외부 스피커를 제어하고, 소스 디바이스로 제어 명령을 전송하는 예는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선택된 컨텐츠 출력 장치가 선택가능한 복수의 출력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과 동기화시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모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모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별개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제3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출력 모드는 서라운드 모드에 대응되고, 제2 출력 모드는 멀티룸 모드 1에 대응되며, 제3 출력 모드는 멀티룸 모드 3에 대응된다. 각 출력 모드에 대해서는 이미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제어부(1730)는 컨텐츠 출력 장치가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의 음향 출력 동작과 별개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컨텐츠 출력 장치가 음향 신호만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부(1730)는 제어 화면에서 선택된 컨텐츠 출력 장치가 TV인 경우, TV는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므로,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30)는 제어 화면에서 선택된 컨텐츠 출력 장치가 CD player인 경우, CD player는 음향 신호만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면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30)는 제어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재생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에 따라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30)는 제어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로서 TV가 선택된 경우, TV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영상이라면, 컨텐츠는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어 컨텐츠의 재생 모드는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출력이 되고 이에 따라, TV가 제1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TV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30)는 TV가 제공하는 컨텐츠가 음악이라면, 컨텐츠는 음향 신호만을 포함하고 있어 컨텐츠의 재생 모드는 음향 신호 출력이 되고 이에 따라, TV가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TV로 전송할 수 있다.
미리 설명한 컨텐츠 출력 장치(100)의 제어부(150)가 연결부(160)를 통해 연결된 장치의 종류 또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은 모바일 장치(1700)가 컨텐츠 출력 장치(1700)로 제어 신호를 전송하는 경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신호 출력이 가능한 장치가 소스 장치로 선택된 경우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의 제어 화면에서 외부 스피커의 source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고(S1910), 다양한 source들 중 TV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S1920), 컨텐츠 출력 장치인 TV의 제어부는 TV가 영상을 재생하는 장치이므로 서라운드 모드로 강제로 세팅을 하고(S1930), 외부 스피커와 TV와의 연결을 무선 공유기를 사용하는 WiFi 방식에서 무선 공유기를 사용하지 않고 직접 통신하는 WiFi Direct 방식으로 강제로 설정함으로써(S1940),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 간의 Latency 없이 즉 동기를 맞출 수 있다. 이에 따라 TV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가 외부 스피커로 전송되어 출력되게 된다(S1950).
즉, 도 19에 도시된 과정은 모바일 장치(1700)의 제어부(1730)는 선택된 컨텐츠 출력 장치가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 대해 적용될 수 있다.
도 2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에서 서라운드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700)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7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외부 스피커에 대한 제어 화면(2010)이 도시되어 있다.
거실에 존재하는 스피커에 대한 제어 화면(2010)에서 source 항목(2020)이 선택되면, 다양한 소스 장치들의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되고, 이 중 거실에 존재하는 TV 항목(2030)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TV는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므로, 모바일 장치(1700)의 제어부(1730)는 거실에 존재하는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TV가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거실에 존재하는 TV로 전송할 수 있다.
TV는 모바일 장치(17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하고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1700)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720)에는 거실에 존재하는 TV와 통신이 연결되고 TV로부터 음향 신호를 제공받고 있음을 나타내는 스피커에 대한 제어 화면(2040)이 디스플레이된다.
한편, 제어부(1730)는 제어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핑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컨텐츠 출력 장치의 종류에 대응되는 출력 모드에 따라 그룹핑된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컨텐츠 출력 장치인 CD player가 거실에 존재하는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여 출력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어 화면에서 침실에 존재하는 외부 스피커와 거실에 존재하는 외부 스피커를 그룹핑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제어부(1730)는 CD player에 대응되는 제2 출력 모드에 따라 그룹핑된 침실에 존재하는 외부 스피커 및 거실에 존재하는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CD player로 전송할 수 있다.
도 2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향 신호만 출력이 가능한 장치가 소스 장치인 상황에서 외부 스피커가 추가되는 경우 출력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을 참조하면, CD player의 스피커를 통해 음향 신호가 출력되고 있는 상태에서(S2110), 모바일 장치(1700)의 제어 화면에서 외부 스피커를 추가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이 입력된다(S2120). 여기서, 외부 스피커를 추가하기 위한 항목은 Group이란 아이콘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는 일 예일 뿐 다양한 명칭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현재 소스 장치는 CD player로서 CD player는 음향 신호만 출력하는 장치이므로 CD player의 제어부는 멀티룸 모드로 강제로 세팅을 하고(S2130), 여기서는 도 19의 서라운드 모드로 설정하는 것과 다르게 외부 스피커와 CD player 간의 통신 방식을 WiFi 방식으로 유지한다. 즉, 기존의 통신 방식을 유지한다(S2140).
그리고, CD player의 제어부는 CD player의 음향 신호를 전송 딜레이만큼 지연 처리하여 출력하고(S2150), 이에 따라, CD player에서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외부 스피커를 통해 출력되는 음향 신호 간의 동기를 맞출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다수의 스피커로부터 동시에 음향 신호가 동기를 맞추어 출력되게 된다(S2160).
도 2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에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유저 인터페이스부에서 멀티룸 모드를 결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를 참조하면, 모바일 장치(1700)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720)에 의해 디스플레이되는 두 개의 외부 스피커에 대한 제어 화면이 각각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두 개의 외부 스피커에 대한 제어 화면은 거실에 존재하는 스피커에 대한 제어 화면(2210)과 침실에 존재하는 스피커에 대한 제어 화면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현재 CD player로부터 출력되는 음향 신호는 침실에 존재하는 스피커를 통해서만 출력되는 것으로 상정하기로 한다.
거실에 존재하는 스피커에 대한 제어 화면(2210) 중 다른 외부 스피커를 추가하기 위한 Group 항목(2220)이 선택되면, 각 그룹 별의 스피커들에 관한 리스트가 디스플레이된다. 도 22에서는 스피커들이 위치하는 장소에 따라 스피커들을 그룹핑한 예를 들었으나, 위치하는 장소에 한정되지 않고, 알파벳순, 출력 성능별로 스피커들이 그룹핑될 수도 있다.
한편, 각 그룹 별의 스피커들에 관한 리스트에서 침실에 존재하는 스피커를 선택하는 항목(2230)을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고, 이를 실행시키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S2240), CD player는 음향 신호만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므로, 모바일 장치(1700)의 제어부(1730)는 거실에 존재하는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CD player가 새롭게 추가된 침실에 존재하는 스피커를 통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CD player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D player는 모바일 장치(170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수신하여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하고, 이에 따라, 모바일 장치(1700)의 유저 인터페이스부(1720)에는 거실에 존재하는 스피커 및 침실에 존재하는 스피커 모두 CD player와 통신이 연결되고 CD player로부터 음향 신호를 제공받고 있음을 나타내는 거실에 존재하는 스피커 및 침실에 존재하는 스피커에 대한 제어 화면(2250)이 디스플레이된다.
도 2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3에 도시된 방법에 따르면, 컨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수신부, 컨텐츠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컨텐츠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및 음향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컨텐츠가 입력되면 컨텐츠의 음향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달한다(S2310).
이후,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할 수 있다(S2320).
여기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부를 제어하고,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2 출력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스피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3 출력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별개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호시켜 출력하도록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에서의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WiFi Direct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에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WiFi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통신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면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하고,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불포함하면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은 연결된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출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 출력 모드,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또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불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출력 모드가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되면, 출력 모드 선택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는, 컨텐츠가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제1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도 2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4에 도시된 방법에 따르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한다(S2410).
이후,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에 대한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한다(S2420).
그리고, 제어 화면에 대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외부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한다(S2430).
여기서, 제어하는 단계는, 제어 화면에서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가 선택되면, 복수의 출력 모드 중에서 컨텐츠 출력 장치의 종류에 대응되는 출력 모드에 따라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출력 모드는,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되어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모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모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별개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제3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하는 단계는, 컨텐츠 출력 장치가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면, 저겅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되어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의 음향 신호 동작과 별개로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컨텐츠 출력 장치가 음향 신호만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면,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되어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하는 단계는, 제어 화면에서 스피커 장치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가 선택되면, 선택된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재생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에 따라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제어하는 단계는, 제어 화면에서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핑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컨텐츠 출력 장치의 종류에 대응되는 출력 모드에 따라 그룹핑된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제어 방법을 순차적으로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예로,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의 출력 모드로 선택적으로 동작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어 화면에 대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외부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저장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가 제공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모바일 장치에 대해 도시한 상술한 블록도에서는 버스(bus)를 미도시하였으나, 컨텐츠 출력 장치 및 모바일 장치에서 각 구성요소 간의 통신은 버스를 통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각 디바이스에는 상술한 다양한 단계를 수행하는 CPU,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과 같은 프로세서가 더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0: 컨텐츠 출력 장치 110: 수신부
120: 디스플레이부 130: 스피커부
140: 통신부 150: 제어부
1700: 모바일 장치 1710: 통신부
1720: 유저 인터페이스부 1730: 제어부

Claims (32)

  1. 디스플레이부;
    스피커부; 및
    통신부;를 포함하며,
    컨텐츠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컨텐츠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고,
    상기 음향 신호가 상기 영상 신호와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복수의 출력모드 중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되는 통신 방식으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는 출력 모드의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UI(User Interface)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디스플레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2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신호가 상기 영상 신호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I를 통해 상기 제2 출력 모드를 선택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더라도, 상기 제1 출력 모드를 선택하도록 유도하는 UI를 디스플레이하거나 자동적으로 상기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음향 신호가 상기 영상 신호와 관련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UI에서 상기 제1 출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활성화시키고, 상기 제2 출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UI를 비활성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3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별개로 상기 영상 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출력 모드 및 상기 제3 출력 모드에서의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WiFi Direct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출력 모드 및 상기 제3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WiFi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포함하면 상기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불포함하면 상기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와 연결 가능한 연결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연결부에 연결된 상기 소스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출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모드,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불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출력 모드가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되면, 출력 모드 선택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
  13. 통신부;
    디스플레이부; 및
    유저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하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에 대한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어 화면에서 상기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가 선택되면, 복수의 출력 모드 중에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의 종류에 대응되는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모바일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서 제공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의 출력 동작과 별개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제3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모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별개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음향 신호만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6.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화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재생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에 따라 상기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7.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어 화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핑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의 종류에 대응되는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그룹핑된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
  18. 컨텐츠를 입력받기 위한 수신부, 상기 컨텐츠의 영상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부, 상기 컨텐츠의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부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달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컨텐츠가 입력되면 상기 음향 신호가 상기 영상 신호와 관련된 것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상기 판단 결과에 대응하는 통신 방식으로 상기 음향 신호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는 출력 모드의 선택을 유도하기 위한 화면을 디스플레이 하는 단계; 및
    상기 화면을 바탕으로 선택된 출력 모드로 동작하여 상기 음향 신호를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스피커부를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2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시켜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제3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별개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스피커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에서의 제1 통신 방식과 상이한 제2 통신 방식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WiFi Direct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2 출력 모드 및 상기 제3 출력 모드에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WiFi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상기 통신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포함하면 상기 제1 출력 모드로 동작하고,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불포함하면 상기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연결된 상기 컨텐츠를 제공하는 소스 장치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25.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출력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모드, 제2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26.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불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제1 출력 모드가 상기 사용자 조작에 의해 선택되면, 출력 모드 선택에 대한 안내 메시지를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27.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가 상기 영상 신호를 포함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제1 출력 모드 및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컨텐츠 출력 장치의 제어 방법.
  28.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와 통신하는 단계;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에 대한 제어 화면을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 화면에 대해 입력되는 사용자 조작에 따라 상기 외부 스피커의 동작을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화면에서 상기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가 선택되면, 복수의 출력 모드 중에서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의 종류에 대응되는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되어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에서 제공하는 영상 신호 및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제공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되어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모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상기 음향 신호를 전송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별개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제3 출력 모드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되어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1 출력 모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별개로 상기 영상 신호 및 음향 신호를 동기화시켜 출력하는 제3 출력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가 상기 음향 신호만을 포함하는 컨텐츠를 제공하는 장치이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의 음향 신호 출력 동작과 동기화되어 상기 음향 신호를 출력하는 제2 출력 모드로 동작하도록 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 방법.
  31.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화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로 음향 신호를 제공할 컨텐츠 출력 장치가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컨텐츠 출력 장치가 제공하는 컨텐츠의 재생 모드에 기초하여 결정된 상기 복수의 출력 모드 중 하나에 따라 상기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 방법.
  32.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제어 화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외부 스피커 중 적어도 하나를 그룹핑하는 사용자 조작이 입력되면,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의 종류에 대응되는 출력 모드에 따라 상기 그룹핑된 외부 스피커와 연동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컨텐츠 출력 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0140081042A 2014-05-16 2014-06-30 컨텐츠 출력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857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5792466.3A EP3138300B1 (en) 2014-05-16 2015-05-14 Content output apparatus, mobil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PCT/KR2015/004837 WO2015174753A1 (en) 2014-05-16 2015-05-14 Content output apparatus, mobil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US14/713,587 US9871992B2 (en) 2014-05-16 2015-05-15 Content output apparatus, mobil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CN201510250683.0A CN105100860B (zh) 2014-05-16 2015-05-15 内容输出设备、移动设备及其控制方法
US15/835,165 US10097787B2 (en) 2014-05-16 2017-12-07 Content output apparatus, mobil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94377P 2014-05-16 2014-05-16
US61/994,377 2014-05-1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896A KR20150131896A (ko) 2015-11-25
KR102185702B1 true KR102185702B1 (ko) 2020-12-02

Family

ID=54845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81042A KR102185702B1 (ko) 2014-05-16 2014-06-30 컨텐츠 출력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EP (1) EP3138300B1 (ko)
KR (1) KR10218570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984431B2 (en) 2009-03-16 2015-03-17 Apple In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current position in content at a variable scrubbing rate
US10706096B2 (en) 2011-08-18 2020-07-07 Apple Inc. Management of local and remote media items
US9002322B2 (en) 2011-09-29 2015-04-07 Apple Inc. Authentication with secondary approver
WO2014143776A2 (en) 2013-03-15 2014-09-18 Bodhi Technology Ventures Llc Providing remote interactions with host device using a wireless device
KR102201095B1 (ko) 2014-05-30 2021-01-08 애플 인크. 하나의 디바이스의 사용으로부터 다른 디바이스의 사용으로의 전환
US10339293B2 (en) 2014-08-15 2019-07-02 Apple Inc. Authenticated device used to unlock another device
CN113824998B (zh) 2014-09-02 2024-07-12 苹果公司 用于音乐用户界面的方法和设备
KR101790429B1 (ko) 2016-02-15 2017-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DK179186B1 (en) 2016-05-19 2018-01-15 Apple Inc REMOTE AUTHORIZATION TO CONTINUE WITH AN ACTION
DK201670622A1 (en) 2016-06-12 2018-02-12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transactions
KR102656013B1 (ko) 2016-10-28 2024-04-11 삼성전자주식회사 컨텐츠 출력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1431836B2 (en) 2017-05-02 2022-08-30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initiating media playback
US10992795B2 (en) 2017-05-16 2021-04-27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US10928980B2 (en) 2017-05-12 2021-02-23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playing and managing audio items
EP3445056B1 (en) * 2017-05-16 2022-03-02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CN111343060B (zh) 2017-05-16 2022-02-11 苹果公司 用于家庭媒体控制的方法和界面
US20220279063A1 (en) 2017-05-16 2022-09-01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home media control
US20200270871A1 (en) 2019-02-27 2020-08-27 Louisiana-Pacific Corporation Fire-resistant manufactured-wood based siding
KR102371751B1 (ko) * 2017-10-31 2022-03-07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이를 제어하는 방법
KR102429556B1 (ko) * 2017-12-05 2022-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음향 출력 방법
US11010121B2 (en) 2019-05-31 2021-05-18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media control
DK201970533A1 (en) 2019-05-31 2021-02-15 Apple Inc Methods and user interfaces for sharing audio
KR20240049648A (ko) 2019-05-31 2024-04-16 애플 인크. 오디오 미디어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US10904029B2 (en) 2019-05-31 2021-01-26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managing controllable external devices
US11079913B1 (en) 2020-05-11 2021-08-03 Apple Inc. User interface for status indicators
US11392291B2 (en) 2020-09-25 2022-07-19 Apple Inc. Methods and interfaces for media control with dynamic feedback
CN112423105B (zh) * 2020-10-27 2024-03-15 深圳Tcl新技术有限公司 数据传输方法、设备及介质
US11847378B2 (en) 2021-06-06 2023-12-19 Apple Inc. User interfaces for audio routing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7765A (ja) 2012-03-08 2013-09-19 Panasonic Corp 映像音声処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657829B2 (en) * 2005-01-20 2010-02-02 Microsoft Corporation Audio and video buffer synchronization based on actual output feedback
US8310603B2 (en) * 2005-12-20 2012-11-13 Panasonic Corporation Device linkage apparatus
US20120066711A1 (en) * 2009-08-24 2012-03-15 Novara Technology, LLC Virtualized home theater service
TWI501673B (zh) * 2011-02-16 2015-09-21 Amtran Technology Co Ltd 無線音訊與視訊同步播放的方法及其播放系統
KR101945812B1 (ko) * 2012-06-08 2019-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3187765A (ja) 2012-03-08 2013-09-19 Panasonic Corp 映像音声処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131896A (ko) 2015-11-25
EP3138300B1 (en) 2020-11-11
EP3138300A1 (en) 2017-03-08
EP3138300A4 (en) 2017-1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85702B1 (ko) 컨텐츠 출력 장치,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097787B2 (en) Content output apparatus, mobile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JP7176033B2 (ja) 複数のメディア再生プロトコルを有するシステムにおけるグループ化
JP6680863B2 (ja) 較正状態変数
JP6501844B2 (ja) メディアの好みの認識アカウント
JP6214780B2 (ja) ソフトウェアアプリケーション及びゾーン
JP6294501B2 (ja) 将来のイベントのための再生待ち列のリモート生成
US11546710B2 (en) Conditional content enhancement
US11606596B2 (en) Methods, systems, and media for synchronizing audio and video content on multiple media devices
KR10254583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의 배경음악 제공방법 및 배경음악 제공 시스템
US10932210B2 (en) Content output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130033044A (ko) 컨텐츠 공유 방법 및 그를 이용한 영상 표시 장치
KR20110037680A (ko) 포터블 디바이스의 멀티 채널 오디오 출력 장치 및 방법
WO2014027382A1 (ja) 端末装置、表示装置、端末装置連動システム、端末装置連動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JP2009055099A (ja) コンテンツ視聴システム
JP6008378B2 (ja) 端末装置、表示装置、端末装置連動システム、端末装置連動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140063212A1 (en) Display apparatus, glasses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TWI521957B (zh) A method and a device for sharing multimedia messages in a remote sequence
KR101063162B1 (ko) 리모콘 및 리모콘을 이용한 데이터 파일 재생 시스템
US20140368623A1 (en) Display apparatus providing multi-view mod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JP2016208166A (ja) 信号処理装置
KR20150041384A (ko) 다중 이퀄라이저 모드 설정 장치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