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7232B1 - 연출 출력 완구 - Google Patents

연출 출력 완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7232B1
KR102647232B1 KR1020210087612A KR20210087612A KR102647232B1 KR 102647232 B1 KR102647232 B1 KR 102647232B1 KR 1020210087612 A KR1020210087612 A KR 1020210087612A KR 20210087612 A KR20210087612 A KR 20210087612A KR 102647232 B1 KR102647232 B1 KR 1026472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unit
state
identification information
presen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87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9331A (ko
Inventor
마유 아사노
고타로 사사다
마사요시 사이토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반다이
Publication of KR20220009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93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72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72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6Magnetic or electric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009Toy swords or similar toy weapons; Toy shiel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33/00Other toys
    • A63H33/22Optical, colour, or shadow toy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HTOYS, e.g. TOPS, DOLLS, HOOPS OR BUILDING BLOCKS
    • A63H5/00Musical or noise- producing devices for additional toy effects other than acoustic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체와, 본체에 착탈 가능한 베젤을 구비하고, 본체와 베젤 사이에서 무선 통신에 의해 정보를 수수하는 연출 출력 완구의 흥취성을 향상시킨다.
본체(1)와, 본체(1)에 착탈 가능한 베젤(2)을 갖고, 본체(1)는 연출 출력부를 구비하고, 베젤(2)은 받침대부(6)와, 받침대부(6)에 마련되며 받침대부(6)에 대해 변위 가능한 판상 파츠(8)를 구비하고, 연출 출력부는, 판상 파츠(8)가 변위된 것에 기초하여 판상 파츠(8)의 변위 상태에 따른 다른 연출 내용을 출력하는, 연출 출력 완구.

Description

연출 출력 완구{PRESENTATION OUTPUTTING TOY}
본 발명은 연출 출력 완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용자가 행하는 조작에 응답하여 연출을 출력하는 연출 출력 완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주 완구체와 부 완구체를 접근시킴으로써 연출을 출력하는 완구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1 참조). 특허문헌 1에서는, 주 완구체에 대해 부 완구체가 접근하고 있는지 이격되고 있는지를 판단하고, 그 판단에 따라 다른 연출을 출력하는 것이 기재되어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14-4263호 공보
특허문헌 1에서는, 부 완구체의 형태에 변화는 없으며, 그러므로 부 완구체의 형태의 변화에 기초하여 다른 연출을 출력하는 것 등은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완구의 흥취성을 더욱 향상시키는 관점에서는, 부 완구체의 형태의 변화에 따라서 다양한 연출을 출력할 것이 요망된다.
그 밖의 과제와 신규의 특징은, 본 명세서의 설명 및 첨부 도면으로부터 명백해진다.
본원에 있어서 개시되는 실시 형태 중, 대표적인 것의 개요를 간단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일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출 출력 완구는, 주 완구체와 상기 주 완구체에 착탈 가능한 부 완구체를 갖고, 상기 주 완구체는, 연출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 완구체는, 받침대부와, 상기 받침대부에 마련되며, 상기 받침대부에 대해 변위 가능한 변위부를 구비하고, 상기 연출 출력부는, 상기 변위부가 변위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변위부의 변위 상태에 따른 다른 연출 내용을 출력하는 것이다.
일 실시 형태에 따르면, 연출 출력 완구의 흥취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출 출력 완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본체 및 원반체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출 출력 완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4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출 출력 완구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5는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출 출력 완구의 내부의 안테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출 출력 완구에 메달을 삽입하는 양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출 출력 완구의 블록도이다.
도 8은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출 출력 완구의 동작 플로우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실시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 반복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 형태에서는, 특별히 필요한 때를 제외하고, 동일 또는 마찬가지인 부분의 설명을 원칙적으로 반복하지 않는다.
또한, 본원에 있어서 설명되는 X 방향, Y 방향 및 Z 방향은 서로 직교하고 있다. 본원에서는 설명을 간단하게 하기 위해, Z 방향을 어느 구조체의 상하 방향, 높이 방향 또는 두께 방향으로서 설명하는 경우도 있다.
또한,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면은 평면을 이루고, Z 방향에 수직인 평면이다. 본원에 있어서 「평면으로 보아」라고 표현한 경우, 그것은 Z 방향으로부터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면을 보는 것을 의미하며, Z 방향과 직교하는 면을 보는 것을 의미한다.
(실시 형태)
본 실시 형태의 연출 출력 완구는, 손목 시계형의 완구이며, 다양한 연출을 출력함으로써 높은 흥취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연출은, 연출 출력 완구에 메달을 삽입하였을 때, 연출 출력 완구의 원반체를 회전시켰을 때, 또는 원반체의 반면(盤面)에 마련된 판상 파츠를 변위시켰을 때 등에 출력된다. 그 연출 내용은 예를 들어 음성 또는 광이며, 메달의 종류, 원반체의 회전 후의 위치, 판상 파츠의 위치 등에 따라 다르고, 그들의 조합에 따라 다양하다. 이러한 연출을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변신을 유사 체험할 수 있는 설정이다.
<연출 출력 완구의 구성>
이하에 도 1 내지 도 7을 사용하여, 실시 형태에 있어서의 연출 출력 완구(10)에 대해 설명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연출 출력 완구(10)는 손목 시계의 형상을 갖고 있는 것으로서 설명하고 있지만, 형상은 어떠한 형상이어도 된다. 연출 출력 완구(10)는, 본체(주 완구체)(1)와, 본체(1)에 대해 착탈 가능한 원반체(부 완구체)(2)를 구비하고 있다. Y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1)의 한쪽 측면에는 벨트(24)가 설치되고, Y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1)의 다른 쪽 측면에는 벨트(25)가 설치되어 있다. 본체(1)는, 도 2에서 후술하는 원반체(2)를 설치 가능한 설치면(9)이 마련된 표면과, Z 방향에 있어서 당해 제1 면과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이면을 갖고 있다. 원반체(2)는, 도 2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본체(1)의 표면측의 설치면(9)에 설치된다.
Y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1)의 한쪽 측면에는, 후술하는 메달을 Y 방향으로부터 삽입 가능한 삽입구(3)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Y 방향에 있어서의 본체(1)의 다른 쪽 측면에는, 메달을 배출 가능한 배출구가 마련되어 있다. 본체의 측면에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압입)에 의해 메달을 배출구로부터 배출하기 위한 푸시 스위치(4)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삽입구(3)와 인접하는 본체(1)의 측면에는, 광에 의한 연출을 출력하는 개소인 발광부(연출 출력부)(5a)가 마련되어 있다.
설치면(9)에 설치된 원반체(2)는, 본체(1)에 대해 설치면(9)이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평면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함으로써, 본체(1)에 대해,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평면에 있어서 소정의 위치로부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원반체(2)는 회동 가능하며 회동 축은, Z 방향을 따른다. 예를 들어, 원반체(2)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본체(1)에 대해 90도의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여기서, Z축 방향의 평면으로 보아 원반체(2)가 초기 위치로 하는 소정의 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회전한 위치는 제1 회전 위치이고, 원반 부재(2)가 시계 방향으로 끝까지 회전한 위치는 제2 회전 위치이다. 도 1에 있어서, 원반 부재(2)는 제1 회전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원반체(2)의 받침대부(6)는 상면의 중앙부에 마련되며, 원반 형상이다.
평면으로 보아, 받침대부(6)의 단부에는, 하나의 조작부(7)가 마련되어 있다. 조작부(7)는,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평면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반면의 중앙을 향해 압입함으로써 조작 가능한 조작부이다. 조작부(7)는,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평면을 따르는 방향이며, 반면의 중앙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조작부(7)를 압입한 후, 조작부(7)를 압입하는 힘을 약하게 하면, 조작부(7)는 자동적으로 압입되기 전의 위치로 복귀된다.
원형의 반면에는, 반원 형상을 갖는 판상 파츠(변위부)(8)가 마련되어 있고, 판상 파츠(8)의 반원형의 면은, 원형의 반면의 절반의 영역을 차지하고 있다. 즉,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평면을 따라, 평면으로 보아 원형의 반면의 중심을 통과하는 중심선을 경계로 하여, 반면은 제1 위치(1A)와 제2 위치(2B)로 나누어져 있고, 도 1에서는 판상 파츠(8)는 제1 위치(1A)에 위치하고 있다.
판상 파츠(8)는, 당해 중심선을 축으로 하여 받침대부(6) 상에서 180도 회전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판상 파츠(8)는 받침대부(6)에 대해 변위 가능하다. 즉, 판상 파츠(8)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제1 위치(1A)측 또는 제2 위치(2B)측으로 변위시킬(쓰러뜨릴, 스윙할) 수 있다. 즉, 판상 파츠(8)는 변위 전의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위치(1A)로부터, 변위 후의 상태에 대응하는 제2 위치(2B)로 변위 가능하다.
반면에는, 평면으로 보아 당해 중심선과 겹치는 위치에 가압부(12)가 마련되어 있다. 가압부(12)는 예를 들어 스프링을 구비하여 구성되며, 판상 파츠(8)는 가압부(12)에 의해 제1 위치(1A)측으로부터 제2 위치(2B)측으로 쓰러지는 방향으로 변위되도록 가압되고 있다. 단, 받침대부(6)에는 후술하는 걸림 고정부(14)가 마련되어 있고, 판상 파츠(8)는 제1 위치(1A)에 있어서 당해 걸림 고정부(14)에 의해 걸림 고정되어 있다. 걸림 고정부(14)는, 판상 파츠(8) 상에 있어서, 평면으로 보아 당해 중심선측과는 반대측으로 돌출된 돌출부를 갖고 있다. 이 돌출부의 하면에 판상 파츠(8)가 압박 접촉됨으로써 판상 파츠(8)는 걸림 고정된다. 이와 같이, 판상 파츠(8)는 제2 위치(2B)측으로 쓰러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있는 상태에서, 제1 위치(1A)에 위치하고 있다. 원형의 반면의 중심에는, 광에 의한 연출을 출력하는 개소인 발광부(연출 출력부)(5b)가 마련되어 있다. 발광부(5a, 5b) 각각은, 예를 들어 LED(Light Emitting Diode)를 구비하고 있다.
판상 파츠(8)가 제1 위치(1A)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면에는 소정의 디자인(여기서는, 예를 들어 「A」의 문자)이 나타나 있다.
도 2에는, 본체(1)와, 본체(1)로부터 분리된 원반체(2)를 도시하고 있다. 도 2에서는, 본체(1)는 표면측이 도시되고, 원반체(2)는 이면측이 도시되어 있다.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체(1)의 표면 상에는 설치부(9)가 마련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설치부(9)는 본체(1)에 대해 X 방향 및 Y 방향으로 이루어지는 평면에 있어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바꾸어 말하면, 설치부(9)의 회전축은 Z 방향을 따른다. 설치부(9)는 본체(1)에 대해 소정의 위치로부터 90도의 범위에서 회전 가능하다.
받침대부(6)의 이면과, 설치부(9)의 상면은, 원반체(2)를 본체(1)에 설치하였을 때에 대향한다. 설치부(9)의 상면에는 복수의 구멍부(11)가 마련되어 있다. 또한, 받침대부(6)의 이면(피설치부)에는, 복수의 구멍부(11)와 대응하는 위치에, 복수의 돌기부(6a)가 마련되어 있다. 원반체(2)를 본체(1)에 설치할 때에는, 돌기부(6a)가 구멍부(11) 내에 끼워 맞추어지고, 이에 의해 받침대부(6)는 설치부(9)에 고정된다. 즉, 설치부(9)를 본체(1)에 대해 회전시킴으로써, 원반체(2)는 본체(1)에 대해 회전한다.
설치부(9)는 양측의 측면에 한 쌍의 볼록부(9a)를 갖고 있으며, 볼록부(9a) 내에는 자석이 내장되어 있다. 이 자석은, 원반체(2)의 회전을 검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체(1)의 측면에는, 본체(1)의 전원의 온, 오프를 조작하기 위한 전원 스위치(26)가 마련되어 있다.
원반체(2)에는 복수의 종류가 있으며, 본체(1)에 대해 장착하는 원반 부재(2)는 다른 종류의 원반체(2)와 교환 가능하다. 원반체(2)는 종류마다 다른 식별 정보를 갖고 있고, 당해 식별 정보는 도 7을 사용하여 후술하는 기억부(23)에 기억되어 있다.
도 3에,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원반체(2)를 도 1에 도시하는 상태로부터 시계 방향으로 90도 회전시킨 도면을 도시한다.
도 4에, 판상 파츠(8)를 제1 위치(1A)로부터 제2 위치(2B)로 변위시킨 도면을 도시한다. 판상 파츠(8)는 사용자가 손가락으로 조작부(7)를 압입함으로써, 가압부(12)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제2 위치(2B)로 변위된다. 바꾸어 말하면, 조작부(7)는 걸림 고정부(14)의 걸림 고정을 해제 가능하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다. 걸림 고정부(14)에 의한 걸림 고정이 해제되면, 판상 파츠(8)는 가압부(12)에 의해 가해진 힘에 의해 제2 위치(2B)측으로 180도 회전하여 쓰러진다. 판상 파츠(8)가 제2 위치(2B)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도 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반면에는 소정의 디자인(여기서는, 예를 들어 「B」의 문자)이 나타난다. 판상 파츠(8)를 제2 위치(2B)로부터 제1 위치(1A)로 변위시키려면, 사용자가 판상 파츠(8)를 회전시켜, 판상 파츠(8)를 걸림 고정부(14)에 걸림 고정시키면 된다.
도 5에, 본체(1) 및 원반체(2)에 내장된 안테나(1r, 2r)를, 본체(1) 및 원반체(2)를 투과시켜 도시한다. 도 5에서는, 본체(1) 및 원반체(2)의 각각의 윤곽을 2점 쇄선으로 도시하며, 본체(1)의 내부 안테나(1r)와, 원반체(2)의 내부 안테나(2r)만을 도시하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안테나(1r)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원 형상을 갖는 본체(1)의 외주를 따라 다중으로 루프한 구조를 갖는 코일이며, 본체(1)에 내장된 전자 기판(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안테나(2r)는, 평면으로 보아 대략 원 형상을 갖는 원반체(2)의 외주를 따라 다중으로 루프한 구조를 갖는 코일이며, 원반체(2)에 내장된 전자 기판(도시 생략)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도시는 되어 있지 않지만, 본체(1)는 음성에 의한 연출을 출력하는 개소인 음성 출력부(연출 출력부)를 내장하고 있다. 음성 출력부는, 본체(1)에 내장된 전자 기판에 접속되어 있다.
도 6에, 메달(13)을 연출 출력 완구(10)에 삽입하는 모습을 도시한다. 메달(13)의 형상은 두께가 얇은 원통형이다. 메달(13)에는, 안테나 코일 및 IC(Integrated Circuit)가 일체로 된 태그가 매립되어 있다. 당해 태그는 전자 정보를 보유하는 정보 보유 매체이며, 메달(13)의 종류마다 당해 태그에는 다른 식별 정보가 기억되어 있다.
도 6에서는, 메달(13)의 표면에 「C」의 문자 디자인을 나타내고 있다. 메달(13)의 표면에는, 예를 들어 캐릭터의 디자인을 부여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예를 들어 복수의 캐릭터에 대응하여 복수 종류의 메달(13)이 있고, 캐릭터마다 메달(13)은 다른 식별 정보를 갖고 있다.
도 5에 도시하는 안테나(1r, 2r) 각각은, 본체(1)와 원반체(2)와 메달(13)의 상호간에 있어서 정보 통신을 행하기 위한 송수신부이다. 본체(1)에 삽입된 메달(13)은 사용자가 푸시 스위치(4)를 누름으로서 배출구로부터 배출된다.
도 7에, 본 실시 형태의 연출 출력 완구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본체(1)는, 전원부(15), 제어 회로(16), 기억부(17) 및 통신부(18)를 갖고 있다. 통신부(18)는 제어 회로(16)에 접속된 통신 제어부(19)와, 통신 제어부(19)에 접속된 안테나(1r)를 구비하고 있다. 전원부(15) 및 기억부(17) 각각은, 제어 회로(16)에 접속되어 있다. 전원부(15)는, 예를 들어 본체(1)에 착탈 가능한 건전지이다.
원반체(2)는 받침대부(6)에 마련된 RF(Radio Frequency) 태그(20)를 구비하고 있다. RF 태그(20)는, 제어 회로(22)와, 제어 회로(22)에 접속된 기억부(23)와, 제어 회로(22)에 접속된 안테나(2r)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체(1)에 내장된 통신부(18)와 원반체(2)에 내장된 RF 태그(20)는, 서로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지 않으며, 상호간의 통신은 안테나(1r, 2r)를 사용한 무선 통신에 의해 행해진다. 이 때문에, 본체(1)와 원반체(2)를 용이하게 착탈할 수 있고, 본체(1)에 대해 원반체(2)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RF 태그(20)의 구성 요소는, 본체(1)측의 통신부(18)로부터 송신된 질문 신호를 포함하는 전자파에 의해 유기된 기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따라서, 원반체(2)는 전원부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소형이면서 경량이므로, 저연령의 사용자라도 용이하게 취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체(1)와 원반체(2)는 서로 무선 통신을 행하는 것이며, 원반체는 전원부를 요하지 않으므로, 연출 출력 완구(10)(도 1 참조)는 저연령의 사용자라도 용이하게 사용 가능하다.
도시는 되어 있지 않지만, 도 1 내지 도 4에 도시하는 받침대부(6)의 걸림 고정부(14) 근방에는 누름 스위치가 마련되어 있고, 당해 누름 스위치는 도 7에 도시하는 제어 회로(22)에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누름 스위치의 누름 상태의 검지에 의해, 제어 회로(22)는 판상 파츠(8)의 변위 상태를 판정 가능한 판정부로서 기능한다. 당해 누름 스위치는 온 상태와 오프 상태를 갖고 있다. 당해 누름 스위치는, 판상 파츠(8)가 걸림 고정부(14)에 걸림 고정되어 제1 위치(1A)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는 눌려서 온 상태가 되고, 판상 파츠(8)가 제1 위치(1A)에 위치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해제되어 오프 상태가 된다. 즉, 당해 누름 스위치는, 판상 파츠(8)가 제1 위치(1A)에 위치하여 판상 파츠(8)가 당해 누름 스위치를 누른 상태임으로써 온 상태가 되고, 판상 파츠(8)의 제1 위치(1A)로부터의 변위에 따라서 판상 파츠(8)가 누름 스위치를 당해 누른 상태의 해제를 검지한 것에 따라서 당해 누름 스위치가 오프 상태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어 회로(22)는, 판상 파츠(8)에 의한 누름 상태의 변화에 의해 온 상태와 오프 상태로 전환 가능한 당해 누름 스위치를 포함하며, 당해 누름 스위치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에 기초하여 판상 파츠(8)가 변위 전의 상태인지 변위 후의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판정부이다.
또한, 본체(1)에는 메달(13)이 삽입된 것을 검지하기 위한 기계적인 스위치가 내장되어 있다. 당해 스위치는, 제어 회로(16)에 접속되어 있다.
<연출 출력 완구의 동작>
다음으로, 연출 출력 완구의 동작에 대해 도 8에 나타내는 플로우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도 1 내지 도 7을 사용하여 설명한 각 명칭에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또한, 여기서 설명하는 각종 연출은, 예를 들어 음성 또는 광에 의한 것이며, 연출 출력부(본체(1)에 내장된 음성 출력부, 발광부(5a 또는 5b))에 의해 출력된다.
연출 출력 완구(10)를 동작시킬 때에는, 먼저 전원 스위치(26)를 온으로 한다. 이때, 제어 회로(16)는 연출 출력부에 기동 시의 연출을 출력시켜도 된다.
다음으로, 연출 출력 완구(10)에 메달(13)을 삽입한다(스텝 S1). 이에 의해, 본체(1)의 메달 삽입 위치에 마련된 스위치가 온 상태가 되어, 제어 회로(16)가 메달(13)의 삽입을 검지할 수 있다. 계속해서, 제어 회로(16)는 통신 제어부(19)를 통해 안테나(1r)로부터 2종류의 질문 신호를 송신한다(스텝 S2). 즉, 제어 회로(16)는 메달(13)의 종류에 따른 메달의 식별 정보를 문의하는 제1 질문 신호, 원반체(2)에 마련된 판상 파츠(8)의 위치에 따른 원반체(2)의 식별 정보(판상 파츠(8)가 변위 전의 상태인 것과 관련된 식별 정보 또는 판상 파츠(8)가 변위 후의 상태인 것과 관련된 식별 정보)를 문의하는 제2 질문 신호를 송신한다. 즉, 안테나(1r)는 전원부(15)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원반체(2) 및 메달(13)에 제1, 제2 질문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부이다.
제1 질문 신호의 송신에 의해, 안테나(1r)와 메달(13) 내의 태그 사이에서, 메달(13) 내의 태그가 보유하는 식별 정보에 관한 신호의 수수가 이루어진다. 이에 의해, 제어 회로(16)는 메달(13)의 종류를 판정하고, 메달(13)의 종류에 따른 메달 삽입 시 연출을 연출 출력부에 출력시킬 수 있다. 메달(13)의 종류에 따른 메달 삽입 시 연출은, 기억부(17)에 기억되어 있다.
제2 질문 신호의 송신에 의해, 안테나(2r)에 유도 기전력이 발생한다. RF 태그(20)를 구성하는 안테나(2r), 제어 회로(22) 및 기억부(23) 각각은, 당해 유도 기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송신된 제2 질문 신호는 안테나(2r)에 의해 수신된다. 여기서, 기억부(23)는 판상 파츠(8)가 변위 전의 상태인(제1 위치(1A)에 위치하는) 것과 관련된 식별 정보인 제1 식별 정보와, 판상 파츠(8)가 변위 후의 상태인(제1 위치(1A)에 위치하지 않는) 것과 관련된 식별 정보인 제2 식별 정보를 기억하고 있다. 그리고 제어 회로(22)는, 상기 누름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것에 기초하여 판상 파츠(8)가 변위 전의 상태라고 판정하거나, 혹은 상기 누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것에 기초하여 판상 파츠(8)가 변위 후의 상태라고 판정한다.
제어 회로(22)는, 이들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기억부(23)에서 기억한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 중 어느 한쪽을 판독하고, 안테나(2r)를 사용하여 안테나(1r)로 송신한다.
안테나(1r)는, 전원부(15)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어, 원반체(2)로부터 송신된 식별 정보를 수신한다. 즉, 안테나(1r)는 질문 신호의 송신 및 식별 정보의 수신을 행하는 송수신부이다. 제어 회로(16)는, 연출 출력부에, 안테나(1r)에 의해 수신한 제1 식별 정보와 관련하여 기억부(17)에서 기억한 제1 연출 내용을 출력시킨다. 여기서, 본체(1)에 내장된 음성 출력부 및 발광부(5a)는 본체(1)의 전원부(15)에 의해 구동되는 것에 비해, 발광부(5b)는 상기 유도 기전력에 의해 구동된다. 즉, 발광부(5b)를 발광시키는 연출을 행할 때에는, 제2 질문 신호를 안테나(2r)에 의해 수신함으로써 안테나(2r)에 발광부(5b)를 구동 가능한 유도 기전력이 발생하고, 제어 회로(22)는 기억부(23)로부터 판독한 원반체(2)에 관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발광 연출을 출력하도록 제어 명령을 내린다. 이것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다른 연출을 출력하는 경우라도 마찬가지이다.
상기 제1 연출 내용은, 예를 들어 대기 연출이다. 단, 상기 제1 연출 내용은, 대기 연출 외에, 대기 연출의 출력 전에 출력되는 변신 전 연출(변신 준비 연출)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여기서는, 예로서, 제1 연출 내용으로서 변신 전 연출을 출력하고(스텝 S3), 그 후 대기 연출을 출력한다(스텝 S4).
상기한 바와 같이 제어 회로(22)가 제1 식별 정보를 수취한 경우에는 제1 연출 내용이 출력되지만, 판상 파츠(8)가 변위 후의 상태임(제1 위치(1A)에 위치하지 않음)으로써, 제어 회로(22)가 제1 식별 정보가 아닌 제2 식별 정보를 수취한 경우에는, 제1 연출 내용은 출력되지 않는다. 그 경우는, 예를 들어 제1 연출 내용, 후술하는 제2 연출 내용 및 제3 연출 내용과는 다른 연출이 출력된다. 즉, 제1 식별 정보와 관련된 제1 연출 내용이 출력되기 전에 제2 식별 정보를 수취한 경우에는, 제2 식별 정보와 관련된 후술하는 제2 연출 내용은 출력되지 않는다.
또한, 스텝 S3 및 스텝 S4에 의한 제1 연출 내용의 출력은, 예를 들어 스텝 S2에서 메달을 삽입한 후, 사용자가 원반체(2)를 도 1에 도시하는 제1 회전 위치로부터 도 3에 도시하는 제2 회전 위치로 회전시키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행해도 된다. 이 경우, 원반체(2)가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하였다고 제어 회로(16)가 판정한 후에, 제1 연출 내용을 연출 출력부가 출력한다. 즉, 메달 삽입 시 연출 후에 계속해서 제1 연출 내용을 출력하는 것이 아니라, 원반체(2)의 회전을 기다리고 나서 제1 연출 내용을 출력한다. 원반체(2)가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하였는지 여부는, 도 2에 도시하는 설치부(9)에 마련된 볼록부(9a) 내의 자석에 의한 자력을, 본체(1)에 마련된 자력 센서에 의해 검출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어 회로(16)는, 대기 연출 출력 중인 소정의 시간 내에, 판상 파츠(8)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되었는지 여부를 판정한다(스텝 S5). 여기서는, 사용자가 조작부(7)를 조작함(누름)으로써, 판상 파츠(8)는 도 3에 도시하는 제1 위치(1A)로부터 도 4에 도시하는 제2 위치(2B)로 변위된다. 판상 파츠(8)가 제1 위치(1A)로부터 변위됨으로써, 받침대부(6) 상에 마련된 판상 파츠(8)에 의한 누름 상태를 변화 가능한 누름 스위치는 눌러진 상태로부터 해제되어, 누름 스위치는 오프 상태가 된다. 누름 스위치에 접속된 제어 회로(22)는,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서 판상 파츠(8)가 변위되어, 판상 파츠(8)가 변위 후의 상태라고 판정한다. 이 판정에 기초하여, 기억부(23)에서 기억한 제2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안테나(2r)를 통해 안테나(1r)로 송신한다.
스텝 S5에 있어서, 대기 연출 출력을 개시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제어 회로(16)가 제2 식별 정보를 수취하고, 이것에 기초하여 판상 파츠(8)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변위되었다고 판정한 경우에는, 제어 회로(16)는 연출 출력부에 제2 연출 내용을 출력시킨다(스텝 S6). 제2 연출 내용은, 안테나(1r)에 의해 수신한 제2 식별 정보와 관련하여 기억부(17)에서 기억한 것이며, 제1 연출 내용과는 다르다. 제2 연출 내용은 예를 들어 변신 연출이며, 이 연출의 출력에 의해, 사용자는 연출 출력 완구를 사용한 변신을 유사 체험할 수 있다.
제어 회로(16)가 제2 연출 내용을 출력시키는 판단을 하는 조건으로서, 상기한 바와 같이 대기 연출 출력을 개시한 후, 소정의 시간 내에 제어 회로(16)가 제2 식별 정보를 수취하는 것을 규정하고 있지만, 이 소정의 시간이란, 예를 들어 대기 연출의 출력 중인 시간, 즉, 대기 연출의 출력 개시로부터 종료까지의 시간이다.
당해 소정의 시간 내에 제어 회로(16)가 제2 식별 정보를 수취하지 않은 경우, 즉, 사용자가 조작부(7)를 조작하지 않아 판상 파츠(8)가 제1 위치(1A)로부터 변위되지 않은 경우에는, 당해 소정의 시간 종료 후이며, 또한 대기 연출의 출력 종료 후에, 제어 회로(16)는 연출 출력부에 제3 연출 내용을 출력시킨다(스텝 S7). 제3 연출 내용은, 제1 연출 내용 및 제2 연출 내용의 어느 것과도 다른 것이다. 제3 연출 내용은,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변신의 실패를 알리는 음성, 또는 변신을 위한 조작을 다시 행할 것을 재촉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것이다.
그 후, 사용자가, 판상 파츠(8)를 조작하여 제2 위치(2B)로부터 제1 위치(1A)로 변위시켜, 원반체(2)를 제1 회전 위치로 복귀시킨 후, 원반체(2)를 제1 회전 위치로부터 제2 회전 위치로 회전시킴으로써, 연출 출력 완구(10)의 동작은 스텝 S3로 돌아갈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효과>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의 연출 출력 완구(10)는, 판상 파츠(8)가 변위된 것에 기초하여, 판상 파츠(8)의 변위 상태에 따른 다른 연출 내용을 출력함으로써 높은 흥취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즉, 메달(13)의 종류 및 원반체(2)의 회전 위치뿐만 아니라, 원반체(2)의 적어도 일부의 변위 상태(적어도 일부가 변위되어 있는지 여부에 의한 원반체(2)의 형태의 변화)에 의해서도 연출 내용을 변경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연출 출력 완구(10)는 원반체(2)의 외관의 변화에 기초하여 연출 출력 완구(10)로부터 출력하는 연출 내용을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제2 연출 내용은 1종류뿐만 아니라, 예를 들어 메달(13)의 종류 혹은 원반체(2)의 종류 또는 그들 양쪽의 조합에 의해 복수 준비되어 있어도 된다. 즉, 메달(13)의 종류 혹은 원반체(2)의 종류 또는 그들 양쪽의 조합에 의해 다양한 연출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판상 파츠(8)의 변위를 판정하기 위한 누름 스위치를, 판상 파츠(8)가 제2 위치(2B)에 위치할 때에 눌러지는 것으로서 배치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는, 판상 파츠(8)가 제1 위치(1A)에 위치하고 있을 때, 판상 파츠(8)는 걸림 고정부(14)에 의해 걸림 고정되어 있는 것에 비해, 판상 파츠(8)가 제2 위치(2B)에 위치하고 있을 때, 판상 파츠(8)는 걸림 고정되어 있지 않다. 이 때문에, 본체(1)가 이동하는 것 등에 의해 판상 파츠(8)가 제2 위치(2B)로부터 변위되기 쉽다. 따라서, 누름 스위치가, 판상 파츠(8)가 제2 위치(2B)에 위치할 때에 눌러지는 것인 경우, 판상 파츠(8)가 제2 위치(2B)로부터 변위되기 쉬우므로, 판상 파츠(8)가 제1 위치(1A)로부터 제2 위치(2B)로 변위되었는지 여부의 판정에 있어서 오동작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이에 비해, 본 실시 형태의 누름 스위치는, 판상 파츠(8)가 걸림 고정부(14)에 의해 걸림 고정되는 제1 위치(1A)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눌러지므로, 걸림 고정부(14)를 해제하지 않는 한 판상 파츠(8)는 변위되지 않으므로,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누름 스위치는, 판상 파츠(8)가 걸림 고정부(14)에 의해 걸림 고정되는 제1 위치(1A)에 위치하고 있을 때에 눌러지기 때문에, 사용자가 조작부(7)를 조작하여 걸림 고정부(14)를 해제한 직후에 판상 파츠(8)가 변위된 것을 판정 가능하므로, 조작부(7)를 조작하여 걸림 고정부(14)를 해제하고 나서 제2 연출 내용의 출력을 신속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조작과 연출의 출력 사이의 시간차를 축소할 수 있어, 원반체(2)의 형태 변화에 기초하여 반응 좋게 연출을 변화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상, 본원의 발명을 실시 형태에 기초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원의 발명은 상기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요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경 가능하다.
1: 본체
2: 원반체
3: 삽입구
6: 받침대부
7: 조작부
8: 판상 파츠
10: 연출 출력 완구

Claims (9)

  1. 주 완구체와 상기 주 완구체에 착탈 가능한 부 완구체를 갖고,
    상기 주 완구체는,
    상기 부 완구체를 장착 가능한 설치부와,
    연출 출력부를 구비하고,
    상기 부 완구체는,
    상기 설치부에 장착 가능한 피설치부를 갖는 받침대부와,
    상기 받침대부에 마련되며, 상기 받침대부에 대해 변위 가능한 변위부
    를 구비하고,
    상기 연출 출력부는, 상기 변위부가 상기 받침대부에 대하여 변위된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변위부의 변위 상태에 따른 다른 연출 내용을 출력하는, 연출 출력 완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의 변위 상태를 판정 가능한 판정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변위부가 변위 전의 상태인지 및 상기 변위 후의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연출 출력 완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부는, 상기 변위 전의 상태에 대응하는 제1 위치로부터 상기 변위 후의 상태에 대응하는 제2 위치로 변위 가능하며,
    상기 부 완구체는,
    상기 제1 위치로부터 상기 제2 위치로 변위되도록 상기 변위부를 가압하는 가압부와,
    상기 받침대부에 마련되며, 상기 제1 위치에 상기 변위부를 걸림 고정시키는 걸림 고정부와,
    상기 걸림 고정부의 걸림 고정을 해제 가능하게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조작부를 갖는, 연출 출력 완구.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받침대부에 마련되며, 상기 변위부에 의한 누름 상태의 변화에 의해 온 상태와 오프 상태로 전환 가능한 누름 스위치를 포함하고, 누름 스위치가 온 상태인지 오프 상태인지에 기초하여 상기 변위부가 상기 변위 전의 상태인지 상기 변위 후의 상태인지를 판정하는, 연출 출력 완구.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누름 스위치는, 상기 변위부가 상기 제1 위치에 위치하고 해당 누름 스위치를 누른 상태임으로써 온 상태가 되고, 상기 변위부의 상기 제1 위치로부터의 변위에 따라서 상기 변위부가 상기 누름 스위치를 누른 상태의 해제를 검지한 것에 따라서 상기 누름 스위치가 오프 상태로 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판정부는, 상기 누름 스위치가 온 상태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변위부가 상기 변위 전의 상태라고 판정하고, 상기 누름 스위치가 오프 상태인 것에 기초하여 상기 변위부가 상기 변위 후의 상태라고 판정하는, 연출 출력 완구.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주 완구체는,
    전원부와,
    상기 부 완구체의 식별 정보와 관련된 연출 내용을 기억하는 제1 기억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부 완구체에 질문 신호를 송신하는 제1 송신부와,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부 완구체로부터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제1 수신부
    를 갖고,
    상기 연출 출력부는, 상기 전원부로부터 공급되는 전력에 의해 구동되고,
    상기 부 완구체는,
    상기 변위부가 상기 변위 전의 상태인 것과 관련된 식별 정보인 제1 식별 정보 및 상기 변위부가 상기 변위 후의 상태인 것과 관련된 식별 정보인 제2 식별 정보를 기억하는 제2 기억부와,
    상기 제1 송신부로부터의 상기 질문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질문 신호의 수신에 의해 발생한 유도 기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제2 수신부와,
    상기 유도 기전력에 의해 구동되며, 상기 판정부에서의 판정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억부에서 기억한 제1 식별 정보 및 제2 식별 정보 중 어느 한쪽을 판독하여 상기 제1 수신부로 송신하는 제2 송신부
    를 갖는, 연출 출력 완구.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변위부가 상기 변위 전의 상태라고 상기 판정부에서 판정한 것에 기초하여, 제2 기억부에서 기억한 상기 제1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제1 수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연출 출력부는,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제1 식별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기억부에서 기억한 제1 연출 내용을 출력하고,
    상기 제2 송신부는, 상기 제1 연출 내용의 적어도 일부의 출력을 개시한 후,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서 상기 변위부가 변위되고, 상기 변위부가 상기 변위 후의 상태라고 상기 판정부에서 판정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제2 기억부에서 기억한 상기 제2 식별 정보를 판독하여 상기 제1 수신부로 송신하고,
    상기 연출 출력부는, 상기 제1 수신부에서 수신한 상기 제2 식별 정보와 관련하여 상기 제1 기억부에서 기억한, 상기 제1 연출 내용과는 다른 제2 연출 내용을 출력하는, 연출 출력 완구.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연출 출력부는, 상기 제1 연출 내용의 출력을 개시한 후, 소정 시간 내에, 사용자에 의한 조작에 따라서 상기 변위부가 변위되고, 상기 변위부가 상기 변위 후의 상태라고 상기 판정부가 판정하지 않은 경우, 상기 제1 연출 내용 및 상기 제2 연출 내용과는 다른 제3 연출 내용을 출력하는, 연출 출력 완구.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판정부는 상기 유도 기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연출 출력 완구.
KR1020210087612A 2020-07-15 2021-07-05 연출 출력 완구 KR10264723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121739A JP7078674B2 (ja) 2020-07-15 2020-07-15 演出出力玩具
JPJP-P-2020-121739 2020-07-1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9331A KR20220009331A (ko) 2022-01-24
KR102647232B1 true KR102647232B1 (ko) 2024-03-14

Family

ID=782462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87612A KR102647232B1 (ko) 2020-07-15 2021-07-05 연출 출력 완구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2) JP7078674B2 (ko)
KR (1) KR102647232B1 (ko)
CN (2) CN113577791B (ko)
WO (1) WO2022014658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16318A (ja) 2015-04-28 2016-02-01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2016106658A (ja) * 2014-12-02 2016-06-20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CN208599179U (zh) * 2018-07-17 2019-03-15 廖世伟 投影玩具
KR102100772B1 (ko) 2019-01-07 2020-04-16 주식회사 히토 웨어러블 완구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1465164U (zh) * 2009-06-04 2010-05-12 北京握奇数据***有限公司 一种射频贴片卡
JP5122014B1 (ja) 2012-06-26 2013-01-16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応答玩具および玩具体
CN202939590U (zh) * 2012-10-23 2013-05-15 北京康迪电子设备有限公司 交互式电子白板
JP6650501B2 (ja) * 2018-09-26 2020-02-19 株式会社バンダイ 動作応答玩具および主玩具体
CN210687839U (zh) * 2019-12-11 2020-06-05 深圳市奥美奇电子科技有限公司 按压稳定的玩具头灯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06658A (ja) * 2014-12-02 2016-06-20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JP2016016318A (ja) 2015-04-28 2016-02-01 株式会社バンダイ 演出出力玩具
CN208599179U (zh) * 2018-07-17 2019-03-15 廖世伟 投影玩具
KR102100772B1 (ko) 2019-01-07 2020-04-16 주식회사 히토 웨어러블 완구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078674B2 (ja) 2022-05-31
CN113577791A (zh) 2021-11-02
CN117547840A (zh) 2024-02-13
JP2022018557A (ja) 2022-01-27
CN113577791B (zh) 2023-11-21
WO2022014658A1 (ja) 2022-01-20
JP2022103394A (ja) 2022-07-07
KR20220009331A (ko) 2022-0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13026A1 (en) Game card
EP2118814B1 (en)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communicating information from a personal electronic device
JP2006167329A (ja) ゲーム用チップ
US8536981B2 (en) Warning system for signaling the presence of a radio frequency communica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CN105594059A (zh) 电子设备壳体上使用设计元件的可重构天线的***和方法
US11130038B2 (en) Interactive component for an amusement park
US20060219797A1 (en) Game card
US20070117602A1 (en) Game mobile element, such as a game piece, and related game system
KR102647232B1 (ko) 연출 출력 완구
JP2004174112A (ja) 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装置を用いた遊技機
KR20120102129A (ko) 인간/기계 다이얼로그 시스템
JP6532973B1 (ja) 発音玩具
JP3514171B2 (ja) タグ用リーダライタ
JP4601051B2 (ja) ゲーム用チップ
JP2003030602A (ja) タグリーダ
JP2007305004A (ja) Rfidリーダ/ライタ用アンテナ及びrfidリーダ/ライタ
JP4352631B2 (ja) タグリーダ
CA3050303A1 (en) Tabletop gaming system, figurine pedestal, game pieces and related methods
WO2004052479A1 (ja) ゲーミングチップ
JP7404699B2 (ja) ゲーム装置
JP2006033372A (ja) シート型アンテナ
JP4714933B2 (ja) 遊技場監視システム
KR20030047281A (ko) 골프클럽 분실 방지장치
CN106030669B (zh) 用于与自动交易设备一起使用的前框组件
JP2022140520A (ja) 情報処理装置および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