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44603B1 - 북양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북양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44603B1
KR102644603B1 KR1020180123302A KR20180123302A KR102644603B1 KR 102644603 B1 KR102644603 B1 KR 102644603B1 KR 1020180123302 A KR1020180123302 A KR 1020180123302A KR 20180123302 A KR20180123302 A KR 20180123302A KR 102644603 B1 KR102644603 B1 KR 1026446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ion
skin barrier
oil
strengthening
norther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3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2749A (ko
Inventor
손의동
김형수
김지현
김형준
전병배
최지영
이태룡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123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44603B1/ko
Priority to CN201980069156.6A priority patent/CN112912062A/zh
Priority to PCT/KR2019/013577 priority patent/WO2020080821A1/ko
Priority to JP2021513404A priority patent/JP7354230B2/ja
Publication of KR2020004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2749A/ko
Priority to US17/197,526 priority patent/US20210196619A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446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446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61K8/9767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55Gymnosperms [Coniferophyta]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6/00Medicinal preparations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fungi or plants, or derivatives thereof, e.g. traditional herbal medicines
    • A61K36/13Coniferophyta (gymnosperms)
    • A61K36/15Pinaceae (Pine family), e.g. pine or ceda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6Ointments; Bases therefor; Other semi-solid forms, e.g. creams, sticks,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0Sweetener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00Non-alcoholic beverages; Dry compositions or concentrates therefor; Their preparation
    • A23L2/52Adding ingredients
    • A23L2/68Acidifying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18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skin health and hair or co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4Skin, i.e. galenical aspects of topical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87Galenical forms not covered by A61K9/02 - A61K9/7023
    • A61K9/0095Drinks; Beverages; Syrups; Compositions for reconstitution thereof, e.g. powders or tablets to be dispersed in a glass of water; Veterinary drench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13Organic compounds, e.g. phospholipids, fats
    • A61K9/2018Sugars, or sugar alcohols, e.g. lactose, mannitol;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20Pills, tablets, discs, rods
    • A61K9/2004Excipients; Inactive ingredients
    • A61K9/2022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9/205Polysaccharides, e.g. alginate, gums; Cyclodextri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Bird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Alternative & Traditional Medicin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 Non-Alcoholic Beverages (AREA)
  • Confectio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북양전나무(Abies sibirica)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북양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Composition comprising Abies sibirica oil for strengthening skin barrier}
본 발명은 북양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는 외부로부터 개체를 보호하는 장벽 기능이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장벽 기능은 화학 물질, 대기오염 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과 같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 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피부는 조직학적으로 표피(epidermis), 진피(dermis), 피하지방(subcutis)의 3층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이중 가장 외부에 존재함으로써 피부노화의 측면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며 이에 따라 피부 미용면에서도 가장 집중적인 연구의 대상이 되고 있는 것이 바로 표피이다.
표피에서도 최외각층인 각질층을 구성하는 성분은 각질세포와 피부지질로서 피부지질은 피부의 장벽 기능을 담당하는데, 이와 같은 피부의 장벽기능은 각질의 세포분열과 분화를 조절하여 외부 유해물질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체내 물질의 유출을 방지하며 피부 수분증발을 방지하는 중요한 기능이라고 할 수 있다.
피부지질 중에서도 피부 장벽기능을 담당하는 주된 지질은 표피의 각화세포(keratinocytes)가 분화되면서 생성되는 지질로서, 이 지질은 분화한 각질세포(corneocytes) 사이의 공간을 채우고 있어서 세포간의 결합력을 부여하는 역할도 하고 있다. 이러한 지질은 주로 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및 유리지방산으로 구성되어 있고 이들은 각각 지질층 지질 전체의 약 40~65%, 10% 및 25%를 차지한다. 또한 소량의 파이토스핑고신(phytosphingosine), 스핑고신(sphingosine)이 함께 존재하는 조성을 가진다.
한편, 코에 존재하는 향 수용체들은 각종 장기를 비롯해 피부에도 존재한다는 점이 알려졌다. 이때 코와 달리 장기나 피부에 존재하는 향 수용체들의 기능은 코에 있을 때와 다르다고 알려진 바 있다. 상기 향 수용체 중 OR6M1(Olfactory receptor family 6 subfamily M member 1)은 표피세포에서 발현되는 경우 피부 장벽 기능을 진단 또는 평가하는 바이오마커로 사용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향 수용체와 반응하는 향이 현재까지 알려지지 않았으며, 상기 향 수용체와의 반응을 이용한 피부 장벽 강화 기능 또는 보습 효과 기능에 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북양전나무(Abies sibirica) 오일이 피부 장벽 기능을 진단 또는 평가할 수 있는 향 수용체인 OR6M1과 반응하여 피부 장벽을 강화하거나 손상된 피부 장벽을 회복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북양전나무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북양전나무(Abies sibirica)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지니고 있다.
도 1은 HEK 293 세포에서 OR6M1의 세포막 발현을 관찰한 사진이다.
도 2는 DMSO 처리에 따른 cAMP 농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3은 북양전나무 오일의 농도에 따른 cAMP 농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4는 실험예 3의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장벽 손상 회복 정도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북양전나무(Abies sibirica)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북양전나무(Abies sibirica) 오일은 북양전나무에서 추출한 것으로, 북양전나무의 잎, 뿌리, 줄기, 열매 또는 이의 혼합물에서 추출된 오일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북양전나무 오일의 추출은 당 업계에서 알려진 방법이라면,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일 구현예로 수증기 증류법(steam distillation)을 이용하여 얻을 수 있다. 상기 수증기 증류법은 수증기를 통해 증류하여 유용 성분을 수집하는 방법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수증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고안된 용기에 북양전나무를 넣고 통과시키면, 북양전나무의 세포벽이 파괴되어 세포벽 사이의 에센스와 수증기가 모아지게 된다. 이들은 파이프를 통과하면서 냉각되어 증기는 증류액(수용액 성분)으로 에센스는 오일(지용성 성분)로 분리되는데, 상기 오일은 가벼워 상층부에 존재하게 되므로, 상기 상층부의 분리를 통하여 북양전나무 오일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북양전나무 오일은 약 34종의 주요 성분을 가지며, 그 중에서도 캠펜(Camphene) 20 내지 30 중량%, 델타-3-카렌(delta-3-Carene) 10 내지 20 중량%, 알파-피넨(alpha-Pinene) 10 내지 20 중량%, 미르센(Myrcene) 1 내지 5 중량%로 주요 구성을 이루고 있다.
상기 북양전나무 오일은 파인(pine) 향을 가지며, 피부에 존재하는 향 수용체인 인간 OR6M1 유전자와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OR6M1(Olfactory receptor family 6 subfamily M member 1) 유전자는 향 수용체로, 후세포의 향 수용체 6M1(olfactory receptor 6M1) 단백질을 코딩하며, OR6M1 유전자의 NCBI accession ID는 NM_001005325.1이다.
또한, 향 수용체인 상기 OR6M1 유전자는 표피세포에서 발현되는 경우 피부 장벽 기능을 진단 또는 평가하는 바이오마커로 사용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북양전나무 오일은 표피세포에 존재하는 향 수용체 OR6M1과 반응하며, 상기 반응을 통하여 피부 장벽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상기 북양전나무 오일의 향이 표피세포에 존재하는 향 수용체 OR6M1과 반응하며, 상기 반응을 통하여 피부 장벽을 강화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피부 장벽 강화 효과는 손상된 피부 장벽을 회복시키는 효과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장벽 강화 및 손상된 피부 장벽 회복의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피부 장벽(Stratum corneum, Skin barrier)은 죽은 각질세포(Coneocyte)와 세포간 지질(Intercellular lipid)로 구성되어 있고, 외부 자극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며, 피부에서 수분이 증발하는 것을 막아주는 피부 보호막으로, 피부 건강에 핵심적인 기능을 담당한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보습 증진 효과도 나타낼 수 있다.
본 발명의 북양전나무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며, 바람직하게는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북양전나무 오일이 0.01 내지 1 중량%로 포함될 경우 본 발명의 의도한 효과를 나타내기에 적절할 뿐만 아니라, 조성물의 안정성 및 안전성을 모두 만족할 수 있으며, 비용 대비 효과의 측면에서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국소 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액,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유상에 수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고체, 겔, 분말, 페이스트, 포말(foam) 또는 에어로졸 조성물의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형의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한 물질 이외에 피부 장벽 강화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체적으로는 피부 장벽 강화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비타민, 고분자 펩티드, 분자 다당 및 스핑고 지질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에몰리언트제, 계면 활성제, 자외선 흡수제, 방부제, 살균제, 산화 방지제, pH 조정제, 유기 및 무기 안료, 향료, 냉감제 또는 제한(制汗)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성분의 배합량은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선정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약학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하여 상용되는 무기 또는 유기의 담체를 가하여 고체, 반고체 또는 액상의 형태로 경구 투여제 혹은 비경구 투여제로 제제화할 수 있다.
상기 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서는 정제, 환제, 과립제, 연, 경 캡슐제, 산제, 세립제, 분제, 유탁제, 시럽제, 펠렛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재로는 주사제, 점적제, 연고, 로션, 스프레이, 현탁제, 유제, 좌제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을 제제화하기 위해서는 상법에 따라서 실시하면 용이하게 제제화할 수 있으며 계면활성제, 부형제, 착색료, 향신료, 보존료, 안정제, 완충제, 현탁제, 기타 상용하는 보조제를 적당히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은 피부 장벽을 강화시키는 효과가 우수하여 피부 장벽의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질환의 치료 및 예방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피부장벽 손상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질환으로는 아토피 피부염(atopic dermatitis), 피부건조증(xeroderma), 건선(psoriasis), 어린선(ichthyosis), 여드름 등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직장, 국소, 경피, 정맥 내, 근육 내, 복강 내, 피하 등으로 투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활성성분의 투여량은 치료 받을 대상의 연령, 성별, 체중과, 치료할 특정 질환 또는 병리 상태, 질환 또는 병리 상태의 심각도, 투여경로 및 처방자의 판단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이러한 인자에 기초한 투여량 결정은 당업자의 수준 내에 있다. 일반적인 투여량은 0.001 mg/kg/일 내지 2000 mg/kg/일, 구체적으로는 0.5 mg/kg/일 내지 1500 mg/kg/일이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상술한 성분 이외에도 피부 장벽 강화에 효과가 있는 이외의 성분을 북양전나무 오일의 효능을 저해하지 않는 수준의 양에서 추가적으로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당분, 산, 당알코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식품 조성물은 건강 식품, 기능성 식품 및 식품 첨가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다양한 종류의 부형제 또는 첨가제를 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상적인 방법을 통하여 정제, 환제, 캅셀제, 과립제, 드링크제, 캐러멜, 다이어트바, 티백 등의 여러 제형으로 응용이 가능하다. 조성물에는 제형 또는 사용 목적에 따라 유효 성분 이외에 해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성분들을 당업자가 어려움 없이 적의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다른 성분과 배합할 경우 상승 효과가 일어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1. 북양전나무( Abies sibirica ) 오일
북양전나무 오일로 프랑스 Robertet사의 제품을 사용하였다.
비교예 1. 구주소나무( Pinus sylvestris ) 오일
구주소나무 오일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OR6M1 유전자의 세포막 발현 관찰
향 수용체인 OR6M1 유전자를 과발현 시키기 위하여 pcDNA(plasmid cloning DNA)에 OR6M1 유전자를 넣은 플라스미드(plasmid)를 대구경북 과학기술원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OR6M1 유전자가 들어있는 플라스미드를 OR6M1 유전자를 포함하지 않은 세포인 HEK293 세포에 주입하였고, 상기 HEK293 세포에서 정상적으로 OR6M1이 발현되는지 면역세포화학(immunocytochemistry)으로 확인하였다(도 1).
이 때 1차 항체(Primary antibody)로 anti-FLAG(mouse, Sigma #M1804)를 사용하였고, 2차 항체(Secondary antibody)로 anti-mouse(Alexa 568, Abcam #ab175472)를 사용하였으며, 이미징을 위하여 공초점 현미경(Confocal microscope, LSM700, Zeiss, 400x)을 사용하였다.
도 1의 결과에서, 적색은 향 수용체인 OR6M1을 의미하는 것으로, 상기 OR6M1이 HEK293 세포에서 과발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북양전나무 오일과 OR6M1 유전자의 반응성 확인
향 수용체인 OR6M1 유전자를 과발현 시키기 위하여 pcDNA(plasmid cloning DNA)에 OR6M1 유전자를 넣은 플라스미드(plasmid)를 대구경북 과학기술원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OR6M1 유전자가 들어있는 플라스미드를 OR6M1 유전자를 포함하지 않은 세포인 HEK293 세포에 주입하였다.
또한, 향 수용체인 OR6V1 유전자를 과발현 시키기 위하여 pcDNA(plasmid cloning DNA)에 OR6V1 유전자를 넣은 플라스미드(plasmid)를 대구경북 과학기술원에서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상기 OR6V1 유전자가 들어있는 플라스미드를 OR6V1 유전자를 포함하지 않은 세포인 HEK293 세포에 주입하였다.
상기 OR6M1 유전자가 주입된 HEK293 세포 및 OR6V1 유전자가 주입된 HEK293 세포를 DMSO 용매로 처리하였을 때, 상기 OR6M1 및 OR6V1 유전자가 주입된 각각의 HEK293 세포의 cAMP의 농도는 변화를 보이지 않았다(도 2).
상기 실시예 1에서 제조한 북양전나무 오일을 DMSO 용매에 용해하여 0.1ppm(10-5%), 1ppm(10-4%), 10ppm(10-3%) 및 100ppm(10-2%) 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OR6M1 유전자가 주입된 HEK293 세포 및 OR6V1 유전자가 주입된 HEK293 세포를 상기 농도의 북양전나무 오일로 각각 처리하여 HEK293 세포의 cAMP 농도를 관찰하였다(도 3).
그 결과, OR6V1 유전자는 북양전나무 오일과 반응하지 않았으며, OR6M1 유전자는 북양전나무 오일과 반응하여 HEK293 세포의 cAMP 농도가 증가하였으며, 북양전나무 오일의 농도에 의존하는 결과를 보였다.
따라서, 향 수용체인 OR6M1 유전자는 북양전나무 오일과 선택적으로 반응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실험예 3. 손상된 피부 장벽의 회복 효과 측정
북양전나무 오일이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 장벽기능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 측정하였다.
신생아의 각질형성세포(normal human epidermal keratinocyte:P988, 론자)를 각질형성 배지(KGM)를 사용하여 60 mm 세포 배양 디쉬(cell culture dish)에 1.25×104 cells/dish의 밀도로 분주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80% 정도 confluency까지 배양하였다.
상기 실시예 1의 북양전나무 오일을 DMSO 용매에 용해하여 100ppm(10-2%) 용액을 제조하였다.
또한, 상기 비교예 1의 구주소나무(Pinus sylvestris) 오일을 DMSO 용매에 용해하여 100ppm(10-2%) 용액을 제조하였다.
그 후, 상기 각질형성세포에 자외선(UVB 25mJ/cm2)을 처리, 자외선(UVB 25mJ/cm2) 및 100ppm의 북양전나무 오일 용액을 함께 처리, 자외선(UVB 25mJ/cm2) 및 100ppm의 구주소나무 오일 용액을 함께 처리한 각각의 세포를 2일 동안 배양한 후 표피 분화 마커인 keratin-1(KRT1, Hs01549614_g1) 및 keratin-10(KRT10, Hs01043114_g1)의 유전자 변화를 확인하였다.
각각의 표피 분화 마커 발현 변화는 세포성장 배지를 제거하고 트리졸(Trizol, Invitrogen) 1 mL을 첨가하여 invitrogen사의 RNA 분리법에 따라 RNA를 분리한 후 자외선 검정기(HEWLETT PACKARD)를 이용하여 260 nm에서 RNA를 정량한 후, RT-PCR(Reverse transcription-polymerase chain reaction)을 실시하였다. 각 샘플에 대한 KRT1과 KRT10에 대한 유전자 분석을 위해 taqman probe(Hs01549615_g1, Hs00166289_m1)를 사용하였으며 상보적인 유전자인 RPL13A(Hs01578912_m1)를 기준으로 보정하였다.
그 결과, 자외선을 처리하지 않은 각질형성세포의 KRT1의 mRNA 발현양(con)을 기준으로 하였을 때, 자외선만을 처리한 KRT1의 mRNA 발현양은 현저하게 감소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자외선 및 북양전나무 오일을 함께 처리한 KRT1의 mRNA 발현양은 자외선만을 처리한 결과에 비해 높은 발현양을 보였으며, 상기 결과로부터 북양전나무 오일은 손상된 피부 장벽을 회복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자외선 및 구주소나무 오일을 함께 처리한 KRT1의 mRNA 발현양은 자외선만을 처리한 결과에 비해 다소 높게 측정되었으나, 자외선 및 북양전나무 오일을 함께 처리한 결과 보다는 매우 낮게 측정되었다. 또한, KRT10의 결과도 KRT1과 유사하게 측정되었다(도 4).
상기 실험예 1 내지 3의 결과로부터, 각질형성세포는 향 수용체인 OR6M1을 가지므로, 북양전나무 오일은 세포의 OR6M1과 반응하여 손상된 피부 장벽을 회복시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상기 구주소나무 오일은 OR6M1과 반응하지 않아 손상된 피부 장벽을 회복시키지 못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북양전나무 오일은 피부 장벽을 강화시키는 효과를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제형예 1. 영양 화장수
하기 표 1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화장수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글리세린 3
부틸렌글리콜 3
프로필렌글리콜 3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
실시예 1의 북양전나무 오일 1
밀납 4
폴리솔베이트 60 1.5
카프릴릭/카프릭 리글리세라이드 5
스쿠알란 5
솔비타세스퀴올레이트 1.5
세테아릴 알코올 1
트리에탄올아민 0.2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2. 영양 로션
하기 표 2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로션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정제수 잔량
글리세린 3
부틸렌글리콜 3
유동파라핀 5
베타글루칸 7
실시예 1의 북양전나무 오일 1
카보머 0.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3
스쿠알란 5
세테아릴 글루코사이드 1.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0.4
폴리솔베이트 60 1.5
방부제 적량
적량
색소 적량
트리에탄올아민 0.1
100
제형예 3. 영양 크림
하기 표 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글리세린 3.5
유동파라핀 3
베타글루칸 7
카보머 7
실시예 1의 북양전나무 오일 1
카프릴릭/카프릭 트리글리세라이드 1
스쿠알란 3
세타아릴 글루코사이드 5
소르비탄 스테아레이트 1.5
폴리솔베이트 60 0.4
트리에탄올아민 1.2
방부제, 향료 적량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4. 국소 투여용 약제(패취제)의 제조
하기 표 4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국소 투여용 약제(패취제)를 제조하였다.
원료명 함량(중량%)
실시예 1의 북양전나무 오일 1
베타-1,3-글루칸 3
디에틸아민 0.7
아황산나트륨 0.1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E.O=9) 1
폴리히드록시에틸렌세틸스테아릴에테르(Cetomacrogol 1000) 1
점성의 파라핀 오일 2.5
카프릴산에스테르/카프르산에스테르(Cetiol LC) 2.5
폴리에틸렌글리콜 400 3
폴리아크릴산(Carbopol 934P) 1
정제수 잔량
100
제형예 5. 정제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북양전나무 오일 2mg, 옥수수 전분 100mg, 유당 100mg 및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2m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정제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타정하여 제조하였다.
제형예 6. 환의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북양전나무 오일 0.03g, 유당 1.5g, 글리세린 1g 및 자일리톨 0.5g을 혼합한 후, 통상의 제조방법에 따라서 1환 당 4g이 되도록 제조하였다.
제형예 7. 드링크제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북양전나무 오일 360mg, 포도당 10g, 구연산 0.6g, 및 액상 올리고당 25g 혼합한 후 정제수 300mL를 가하여 각 병에 200mL씩 충진하였다. 병에 충진한 후 130℃에서 4~5 초간 살균하여 음료를 제조하였다.
제형예 8. 캬라멜 제형 제조
상기 실시예 1의 북양전나무 오일 58mg, 옥수수 시럽(corn syrup) 1.8g, 탈지우유 0.5g, 대두 레시틴 0.5g, 버터 0.6g, 식물성 경화유 0.4g, 설탕 1.4g, 마가린 0.58g, 및 식염 20mg을 혼합하여 캬라멜 제형을 제조하였다.

Claims (8)

  1. 북양전나무(Abies sibirica) 오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북양전나무 오일은 피부에 존재하는 향 수용체인 OR6M1 유전자와 반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북양전나무 오일은 북양전나무의 잎, 뿌리, 줄기, 열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오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북양전나무 오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1 내지 1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보습 증진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20180123302A 2018-10-16 2018-10-16 북양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26446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302A KR102644603B1 (ko) 2018-10-16 2018-10-16 북양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CN201980069156.6A CN112912062A (zh) 2018-10-16 2019-10-16 含有西伯利亚冷杉油的皮肤屏障强化用组合物
PCT/KR2019/013577 WO2020080821A1 (ko) 2018-10-16 2019-10-16 북양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JP2021513404A JP7354230B2 (ja) 2018-10-16 2019-10-16 北洋トドマツオイルを含む、紫外線による皮膚損傷によって損傷した皮膚保湿及び皮膚バリア機能の回復及び強化用の組成物
US17/197,526 US20210196619A1 (en) 2018-10-16 2021-03-10 Composition comprising abies sibirica oil for strengthening skin barri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3302A KR102644603B1 (ko) 2018-10-16 2018-10-16 북양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2749A KR20200042749A (ko) 2020-04-24
KR102644603B1 true KR102644603B1 (ko) 2024-03-07

Family

ID=702833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3302A KR102644603B1 (ko) 2018-10-16 2018-10-16 북양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10196619A1 (ko)
JP (1) JP7354230B2 (ko)
KR (1) KR102644603B1 (ko)
CN (1) CN112912062A (ko)
WO (1) WO202008082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62675A1 (ja) * 2022-09-20 2024-03-28 株式会社 資生堂 角層形成促進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2245A (ja) 2009-11-10 2011-05-26 Zecfield:Kk モミの木の抽出物
WO2015021005A1 (en) 2013-08-07 2015-02-12 Davies Matthew P Antifungal, antibacterial top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rious skin conditions including diaper rash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55146B1 (ko) * 2009-08-31 2016-09-08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당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JP3164452U (ja) * 2010-08-31 2010-12-02 株式会社ゼックフィールド 足うらの美容用パックセット
JP2013256448A (ja) * 2012-06-11 2013-12-26 Kao Corp 美白剤
KR20140056966A (ko) * 2012-11-02 2014-05-12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방부효과를 가지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RU2526125C1 (ru) * 2013-08-14 2014-08-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научное учреждение Всероссийский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ий институт лекарственных и ароматических растений Россельхозакадемии (ГНУ ВИЛАР Россельхозакадемии) СПОСОБ ОПРЕДЕЛЕНИЯ АНТИОКСИДАНТНОЙ АКТИВНОСТИ ЭФИРНОГО МАСЛА РАСТИТЕЛЬНОГО ПРОИСХОЖДЕНИЯ in vitro
KR20160000318A (ko) * 2014-06-24 2016-01-04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7055943A1 (en) * 2015-07-15 2017-04-06 Bakel Srl Cosmetic composition
KR101715202B1 (ko) * 2016-04-26 2017-03-13 (주)아모레퍼시픽 식물 당단백질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02245A (ja) 2009-11-10 2011-05-26 Zecfield:Kk モミの木の抽出物
WO2015021005A1 (en) 2013-08-07 2015-02-12 Davies Matthew P Antifungal, antibacterial top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various skin conditions including diaper rash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edical Science Monitor, 23권, pp.521-527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196619A1 (en) 2021-07-01
WO2020080821A1 (ko) 2020-04-23
JP2022512545A (ja) 2022-02-07
JP7354230B2 (ja) 2023-10-02
KR20200042749A (ko) 2020-04-24
CN112912062A (zh) 2021-06-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99036A1 (en) Composition, containing tyndallized lactobacillus dead cells as active ingredient, for skin moisturizing or wrinkle improvement
US11590185B2 (en) Antioxidant composition comprising Sargassum serratifolium extract or fraction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US11504409B2 (en) Composition for improving skin damage by fine dust comprising culture or its extract of Aureobasidium pullulans
US20120065272A1 (en) Novel use of panduratin derivatives or extract of kaempferia pandurata comprising the same
KR102644603B1 (ko) 북양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102299277B1 (ko) 파시플로라 에듈리스의 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두피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996732B1 (ko) 용암해수를 이용하여 발효한 오메기주의 농축물을 포함하는 피부의 주름개선, 탄력개선 또는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2374A (ko) 틴달화 유산균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주름개선용 조성물
US9084785B2 (en) Composition for accelerating change in muscle type
JP6055667B2 (ja) コラーゲン産生促進剤
KR102139659B1 (ko) 피부 개선용 조성물
EP4112037A1 (en) Oxygen gas sustained released nano-emulsion composition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CN113613666A (zh) 包含肉豆蔻提取物或肉豆蔻木酚素作为有效成分的用于缓解由环境污染因素引起的皮肤刺激及保护皮肤的组合物
JP2022111283A (ja) 新規コラーゲン再利用促進作用剤
US20220370317A1 (en) Composition for skin whitening, comprising carvone or salt thereof as active ingredient
KR102039608B1 (ko) 미도드린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의 용도
US11248017B2 (en) Anti-inflammatory composition including novel kaempferol-based compound derived from post-fermented tea
KR101597505B1 (ko) 감인, 속수자 및 영실 혼합 추출오일을 함유하는 민감성 피부 예방 또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2014114251A (ja) セラミド産生促進剤
KR102579105B1 (ko) 프로바이오틱스를 이용한 수세미오이 추출물의 효소적 전환을 통한 피부미백 개선, 자외선 차단 및 피부암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7455350B2 (ja) 大気汚染物質によるダメージ抑制剤、化粧料及び飲食品
US20150093456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reating wounds or revitalizing skin comprising euphorbia kansui extracts, fractions thereof or diterpene compounds separated from the fractions as active ingredient
KR101881690B1 (ko) 글리폴린의 신규한 합성방법과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비만 또는 당뇨 예방 및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170112454A (ko) 펜타사이클릭 트리터펜 카페익 액씨드 에스터를 포함하는 피부 보습 또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240070841A (ko) 톱니모자반으로부터 분리된 플라스토퀴논 나노에멀젼을 포함하는 치주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