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56966A - 방부효과를 가지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방부효과를 가지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56966A
KR20140056966A KR1020120123489A KR20120123489A KR20140056966A KR 20140056966 A KR20140056966 A KR 20140056966A KR 1020120123489 A KR1020120123489 A KR 1020120123489A KR 20120123489 A KR20120123489 A KR 20120123489A KR 20140056966 A KR20140056966 A KR 201400569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sition
fragrance
present
perfum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234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유선
김재영
이지영
김성래
이건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리아나화장품
Priority to KR10201201234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56966A/ko
Publication of KR201400569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5696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3/00Formulations or additives for perfume prepar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1ANIMAL OR VEGETABLE OILS, FATS, FATTY SUBSTANCES OR WAXES; FATTY ACIDS THEREFROM; DETERGENTS; CANDLES
    • C11BPRODUCING, e.g. BY PRESSING RAW MATERIALS OR BY EXTRACTION FROM WASTE MATERIALS, REFINING OR PRESERVING FATS, FATTY SUBSTANCES, e.g. LANOLIN, FATTY OILS OR WAXES; 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Essential oils; Perfumes
    • C11B9/0003Compounds of unspecified constitution defined by the chemical reaction for their preparation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 Fats And Perfu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연향료를 함유함으로써 방부효과를 가지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분비나무오일, 네롤리오일, 다마스크로즈플라워오일, 선백리향오일을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방부효과를 가지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Fragrance Composition with Antiseptic Activity and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방부효과를 가지는 천연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은 피부를 청결하게 보호하고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피부에 반복적으로 장기간 사용하는 제품이기 때문에 안전성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하다. 그러나 화장품에는 다량의 물이 함유되어 있어 세균이나 진균에 의한 오염이 일어나기 쉬운데, 이러한 미생물 오염은 향취 이상, 색상 변화 그리고 점도 변화와 같은 물리적 변화를 초래하여 화장품 품질에 영향을 줄 뿐만 아니라 미생물에 오염된 화장품을 피부에 도포할 경우 상처를 통해 유입된 미생물로 인해 염증이나 피부 트러블이 발생할 수도 있다.
미생물의 변질을 방지하기 위해 화장품에서 사용되는 대표적 화학방부제는 메칠파라벤, 프로필파라벤, 에칠파라벤 등의 파라벤류를 들 수 있다. 파라벤류는 효모류 등을 포함한 진균류, 사상균류에도 효과적이며 비교적 세균류에 대해 매우 넓은 항균 스펙트럼을 갖는 등의 장점이 많아 전 세계적으로 사용량 및 사용빈도가 가장 높은 방부제이다. 그러나 파라벤류의 화학방부제는 알레르기성 접촉 피부염을 유발하는 경향을 가지고 있다는 보고가 있으며, 환경 호르몬 및 내균성 유발 가능성에 대한 연구도 있다(1998, Toxicology and applied pharmacology). 또한 종양전문학자 필리파 다버 박사의 보고서에는 “20개의 서로 다른 유방암 종양 샘플을 분석한 결과, 모두에서 파라벤류가 검출되었으며, 특히 4개 샘플에서는 파라벤류가 평균 수치의 두 배를 넘었다”고 보고하였다. 또 파라벤류가 발견된 형태로 보아 경국가 아닌 국소를 통해 체내로 스며든 것으로 본다고 하였다.
파라벤의 여러 문제점과 최근 사람들의 인식변화로 화장품 제형에서 파라벤과 같은 합성 방부제가 아닌 피부 자극이 없고 자체 방부를 가능케 하는 천연소재의 원료를 찾는데 주력하고 있다.
천연향료는 아주 오래된 방부제 중 하나로 고대 이집트에서는 시신을 방부처리 하기 위해 사용해 왔다. 식물이 천연향료인 에센셜오일과 같이 이차대사산물을 만드는 이유 중 하나는 박테리아, 바이러스 및 곰팡이의 공격을 막기 위해서이다. 에센셜 오일이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가하는 첫 번째 작용은 세포막에서 일어난다. 박테리아와 바이러스 세포막에서 일어나는 규칙적인 삼투압 작용에 에센셜 오일이 혼란을 주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천연향료를 추출하는 방법으로는 수증기 증류법(steam distillation)과 용매추출법(solvent extraction) 및 헤드스페이스(headspace)법과 고체상 마이크로 추출(solid phase micro extraction, 이하 'SPME'이라고 한다)방법이 있다.
수증기 증류법은 경제적이며 대량 추출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어 대부분의 천연향료를 추출하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으나, 열을 가하기 때문에 식물 본래의 향취가 변질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용매추출법은 핵산 등의 용매를 사용하기 때문에 향과 용매의 2차 반응이 생겨날 수 있으나 열을 가하지 않아 섬세한 꽃의 향을 추출하기에 적당하다. SPME 방법은 용매를 사용하지 않고 전처리도 필요 없어 신속하고 간편하게 향 성분을 분석할 수 있다. 최근에는 CO2기체를 이용하여 저온에서 추출하는 초임계 추출법이 사용되고 있으나, 질 좋은 향을 얻을 수 있는 반면 경제적으로 많은 비용이 드는 단점이 있다.
분비나무 오일(Abies sibirica oil)은 fir needle oil이라 불리는 침엽과의 침엽으로부터 추출된 오일 중 하나로, 사이베리안 퍼(A. sibirica)는 유럽과 미국에서 매우 흔한 퍼 니들로 정제된 방향으로 더 유명하다. 이 나무는 30~35m까지 성장하며, 다른 전나무속 나무와 마찬가지로 수지를 가지고 있고, 강한 향기를 가지고 있다. 아로마테라피에서는 항균 및 호흡기계 테라피 오일로 사용된다.
오렌지꽃 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flower oil)은 이탈리아의 네롤리 공주가 향수로 사용하여 네롤리라는 이름으로도 불리며 많은 민간요법에서 활용되어 왔다. 네롤리는 녹색나무로서 10미터까지 자라며 광택나는 짙은 녹색 잎과 향기나는 하얀 꽃을 가지고 있다. 아로마테라피에서는 진정 및 스트레스 해소, 최음제, 방부제, 항박테리아제로 알려져 있으며, 달콤하면서도 약간 톡 쏘는 프레쉬한 향취를 가지고 있다.
다마스크로즈 플라워오일(Rosa damacena)은 향으로는 최상급에 속하는 오일로서 영국 허브약전에 따르면 로즈 힙은 비타민 C함량이 많아 현재에도 사용되고 있는 오일이다. 로즈는 작고 가시가 많은 관목으로 약 1~2미터 높이까지 자라며, 분홍색의 향이 나는 꽃과 하얗고 털이 많은 잎이 난다. 아로마테라피에서는 우울증, 불면증에 많이 사용된다.
선백리향 오일(Thymus vulgaris)은 가장먼저 치료에 사용되기 시작한 식물 중 하나로 주로 호흡기 장애, 소화기 장애에 쓰이며 영국허브약전에서는 소화불량, 만성위염, 기관지염 등에 사용할 수 있다고 나와있다. 선백리향은 다년생의 상록수로 45cm 정도까지 자라며 가지가 많다. 잎은 회 녹색이며 아로마 향을 내고 꽃은 옅은 보라색 혹은 하얀색으로 되어있다.
본 발명에서는 천연 향료들을 사용하여 방부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기 위해 연구한 결과, 분비나무오일(Abies sibirica oil), 네롤리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다마스크로즈오일(Rosa damacena ab) 및 선백리향오일(Thymus vulgaris)의 천연향료를 일정한 비율로 조합하였을 때 우수한 방부효과가 있다는 것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분비나무 오일(Abies sibirica oil), 네롤리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다마스크로즈오일(Rosa damacena) 및 선백리향오일(Thymus vulgari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부용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따르면,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분비나무 오일 30~50중량%, 네롤리오일 20~40중량%, 다마스크로즈오일 5~30중량% 및 선백리향오일 5~20중량%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향료 조성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분비나무 오일, 네롤리오일, 다마스크로즈오일 및 선백리향 오일을 함유한 향료 조성물을 제공하고, 이 향료 조성물을 화장품에 적용함으로써 합성 방부제와 유사한 방부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프레쉬하고 네추럴한 플로랄 향취를 가지며 기호성이 뛰어나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향료 조성물은 방향제품, 스킨케어 제품 등에 다양하게 적용 가능하다.
본 발명은 분비나무 오일(Abies sibirica oil), 네롤리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다마스크로즈오일(Rosa damacena), 선백리향오일(Thymus vulgaris)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천연향료가 화장품 원료(방부제)로 사용되기 위해서는 생산량이 안정적으로 많아야 하며, 가격 역시 고려되어야 하기 때문에 본 발명에 사용된 천연향료는 천연향을 추출하는 방법 중 수증기 증류(steam distillation) 방법으로 추출된 것을 사용하였다.
발명이 제공하는 향료 조성물은 우수한 방부력이 있어 합성방부제의 사용에 따른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방부"란, 박테리아, 곰팡이 및 효모 등의 오염 미생물 전부에 대한 저항성을 의미하고, "방부력"이란 이들 오염 미생물에 대한 방어력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분비나무 오일(Abies sibirica oil), 네롤리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다마스크로즈오일(Rosa damacena) 및 선백리향오일(Thymus vulgaris)를 함유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향료 조성물은 향료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분비나무 오일(Abies sibirica oil) 30~50중량%, 네롤리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20~40중량%, 다마스크로즈오일(Rosa damacena) 5~30중량%, 및 선백리향오일(Thymus vulgaris) 5~20중량%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오일의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난 경우에는 기대하는 방부 효과를 얻을 수 없으며, 향취의 기호도가 현저하게 떨어져 제품의 가치를 떨어뜨린다.
상기의 범위로 혼합된 향료 조성물은 로션, 크림, 에멀션 등과 같은 화장품 뿐만 아니라, 연고, 가용화상, 현탁액,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의 피부 외용기제로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들 각 제형의 배합량은 당 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향료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1.0중량%의 양으로 함유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의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의 예로서 하기 표 1의 조성과 같이 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1: 향료조성물의 항균력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향료 조성물의 항균력을 확인하기 위해 각각의 에센셜오일에 대한 항균실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인 실험방법은 아래와 같다.
실험에 사용한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aureus),에스체리치아 콜리(Escherichiacoli),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균주는 트립티케이스 대두 배지(Tryptic Soy Broth)에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균주는 포테이토 덱스트로오스 배지(Potato Dextrose Broth)에서 배양했으며 이들 배양액을 시험균액으로 사용하였다.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 niger)균주는 포테이토 덱스트로오스 한천 배지(Potato Dextrose Agar)에서 계대하여 배양한 뒤 2 × 107cfu/ml이 되도록 제조한 포자 현탁액을 시험균액으로 사용하였다. 각 시험균액을 600nm 파장에서 흡광도를 측정한 뒤 각 배지 5ml에 세균은 2 × 107cfu/ml되도록, 곰팡이는 2 × 106cfu/ml되도록 첨가하여 잘 혼합하였다. 여기에 시험할 시료를 농도별로 희석하여 첨가한 뒤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에스체리치아 콜리(Escherichia coli),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는 37℃ 항온조에서,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 albicans),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niger)는 28℃ 항온조에서 배양하였다.
48시간 후에 균 증식여부를 현탁도로 확인하여 최소저해농도(MIC) 값을 결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상기 표 2를 보면, 항균력 실험결과 실시예 1~5의 향료조성물 중 실시예 1, 2의 향료조성물이 화장품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메칠파라벤과 유사한 항균력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에서의 방부력 평가
실시예 1~2의 향료 조성물이 제품에 함유되었을 때의 방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표 3과 같이 실시예 6~10 및 비교예 1~2의 크림 제형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여 방부력 실험을 실시하였다.
Figure pat00003
상기 표 3의 제형예를 이용하여 박테리아 및 곰팡이에 대한 항균 효과를 측정하였다.
먼저, 박테리아의 경우 상기 실시예 6-10의 화장료 및 비교예 1의 화장료 20-30 g에 에스체리치아 콜리 (Escherichiacoli;ATCC8739),슈도모나스 애루지노사(Pseudomonas aeruginosa ; ATCC9027) 및 스타필로코쿠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 ATCC6538)의 혼합 균액을 시료당 초기 농도가 107cfu/g되도록 첨가 혼합하였다. 이들을 30-32℃ 항온조에서 4주간 배양하면서 1, 7, 14, 21 및 28일 간격으로 각 화장료를 1 g씩 취하여 생균수를 측정하였다. 측정결과는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다음으로 곰팡이의 경우에는, 칸디다 알비칸스(Candidaalbicans;ATCC10231), 페니실리움 씨트리눔(Penicilliumcitrinum;KCTC2123) 및 아스퍼질러스 나이거(Aspergillusniger;ATCC16404)의 혼합균액을 시료당 107cfu/g이 되도록 첨가 혼합한 후 25℃ 항온조에서 배양하면서 7일 간격으로 변취 유무와 시료표면의 균사 및 포자발생 유무를 관찰하여, 그 결과를 하기의 표 4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 : 8주간 변취 및 균사와 포자 발생이 없고 양호
+ :4주 이내에 기벽이나 뚜껑에 곰팡이 발생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일부에 곰팡이 발생
+++ : 4주 이내에 변취 및 표면 전체에 곰팡이 발생

Claims (3)

  1. 분비나무 오일(Abies sibirica oil), 네롤리오일(Citrus aurantium dulcis), 다마스크로즈오일(Rosa damacena) 및 선백리향오일(Thymus vulgaris)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방부용 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향료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분비나무 오일 30~50중량%, 네롤리오일 20~40중량%, 다마스크로즈오일 5~30중량% 및 선백리향오일 5~20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부용 향료 조성물.
  3. 보존제로서 제 1 항 또는 제 2 항의 향료 조성물을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의 양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20123489A 2012-11-02 2012-11-02 방부효과를 가지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696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489A KR20140056966A (ko) 2012-11-02 2012-11-02 방부효과를 가지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23489A KR20140056966A (ko) 2012-11-02 2012-11-02 방부효과를 가지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56966A true KR20140056966A (ko) 2014-05-12

Family

ID=50888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23489A KR20140056966A (ko) 2012-11-02 2012-11-02 방부효과를 가지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56966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47836C1 (ru) * 2016-10-27 2018-03-19 Митче Анастасия Евгеньевна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и ароматизации воздуха
WO2020080821A1 (ko) * 2018-10-16 2020-04-23 (주)아모레퍼시픽 북양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WO2022186615A1 (ko) * 2021-03-05 2022-09-09 주식회사 자연인 로사 다마세나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용 조성물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647836C1 (ru) * 2016-10-27 2018-03-19 Митче Анастасия Евгеньевна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и ароматизации воздуха
WO2018080338A1 (ru) * 2016-10-27 2018-05-03 Евгений Тимофеевич РОДИОНОВ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обеззараживания и ароматизации воздуха
WO2020080821A1 (ko) * 2018-10-16 2020-04-23 (주)아모레퍼시픽 북양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KR20200042749A (ko) * 2018-10-16 2020-04-24 (주)아모레퍼시픽 북양전나무 오일을 포함하는 피부 장벽 강화용 조성물
CN112912062A (zh) * 2018-10-16 2021-06-04 株式会社爱茉莉太平洋 含有西伯利亚冷杉油的皮肤屏障强化用组合物
WO2022186615A1 (ko) * 2021-03-05 2022-09-09 주식회사 자연인 로사 다마세나 오일을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5781B1 (ko) 항균및항진균작용이있는정유조성물
Patil et al. Antibacterial and Antioxidant study of Ocimum basilicum Labiatae (sweet basil)
KR101532005B1 (ko) 유자씨 추출물을 포함하는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CN105707139B (zh) 天然防腐组合物
KR101525976B1 (ko) 용아초 추출물, 황련 추출물 및 용정차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1824687B1 (ko) 천연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항균 조성물
KR101806800B1 (ko) 황금 추출물을 포함하는 복합 천연 방부제 및 그 제조방법
KR20130128888A (ko) 연잎, 연꽃, 연씨 및 연근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2318361B1 (ko) 고삼뿌리, 소나무잎 및 쑥잎을 포함하는 자연유래 항균 보존제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6966A (ko) 방부효과를 가지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60103756A (ko) 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US20080003190A1 (en) Antibacterial botanicals
KR102448555B1 (ko) 편백, 해당화, 및 레몬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 및 항진균 화장료 조성물
KR101473925B1 (ko) 태산목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균 및 방부용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awarkhe et al. Formulation and evaluation of antioxidant face cream containing raspberry fruit and grape seeds extract
KR100722673B1 (ko)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및 고삼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507533B1 (ko) 백호은침 추출물, 후박 추출물 및 가자 추출물을 함유하는 천연 복합 방부제 조성물
KR100722674B1 (ko) 방부제로서 글리세릴 카프릴레이트 및 맹죽엽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74129B1 (ko) 고련피, 작약 및 초피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방부제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31119A (ko) 천연 항균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70122315A (ko) 미선나무 추출액을 이용한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
KR20110120481A (ko) 김치유산균 발효액과 버드나무 껍질 추출물을 항균 성분으로 함유하는 천연 방부제 화장료 조성물
KR101852906B1 (ko) 로즈마리와 카모마일을 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향균 및 피부개선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789310B1 (ko) 비자나무, 한라봉 및 녹차 에센셜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및 탈취 효과를 가지는 천연 조성물
Fauziyah et al. The valorization of neem leaves infused coconut oil at various concentrations for the production of natural liquid shampo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