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3056B1 -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 Google Patents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3056B1
KR102633056B1 KR1020180129591A KR20180129591A KR102633056B1 KR 102633056 B1 KR102633056 B1 KR 102633056B1 KR 1020180129591 A KR1020180129591 A KR 1020180129591A KR 20180129591 A KR20180129591 A KR 20180129591A KR 102633056 B1 KR102633056 B1 KR 1026330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primary filter
pair
primary
filt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95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48006A (ko
Inventor
최보근
오제승
강희준
김응찬
정영민
최한규
하정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295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3056B1/ko
Priority to EP19878900.0A priority patent/EP3810844B1/en
Priority to CN201980059757.9A priority patent/CN112703285B/zh
Priority to PCT/KR2019/014294 priority patent/WO2020091351A1/en
Priority to US16/666,902 priority patent/US11433341B2/en
Publication of KR2020004800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4800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30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30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24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 B01D46/2403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using rigid hollow filter bodies characterised by the physical shape or structure of the filtering element
    • B01D46/2411Filter cartridges
    • B01D46/2414End caps including additional functions or special form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0General details of 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22Lint collect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01D46/004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 B01D46/0045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for feeding by using v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01D46/62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 B01D46/64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connected in series arranged concentrically or coaxi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68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 B01D46/68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means acting on the cake side involving movement with regard to the filter elements by scrapers, brushes or the like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58/00Domestic laundry dryers
    • D06F58/02Domestic laundry dryers having dryer drum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axis
    • D06F58/04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Abstract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가 개시된다. 개시된 필터 조립체는 1차 필터; 상기 1차 필터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2차 필터; 상기 1차 필터의 개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수의 공기유입구멍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2차 필터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1차 필터를 상기 2차 필터로부터 분리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1차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을 상기 1차 필터의 내부 하측으로 압축하는 압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FILTER ASSEMBLY AND DRYER FOR THE SAME}
본 개시는 필터 조립체 및 이를 포함한 건조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드럼에서 의류, 얇은 담요, 수건 등을 건조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린트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건조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류 건조기는 세탁되어 젖어 있는 빨래를 고온 건조한 공기로써 건조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의류 건조기는 동력원에 따라 가스식 건조기와 전기식 건조기로 분류되며, 건조 대상물로부터 흡수한 습기를 처리하는 방식에 따라 배기식 건조기와 응축식 건조기로 분류된다. 배기식 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습한 공기를 길게 연장된 배기 덕트를 통해 실외로 배출시킨다. 응축식 건조기는 드럼으로부터 흘러나오는 습한 공기를 열교환 장치를 통해 수분을 제거하고 건조시킨 다음에 다시 드럼으로 보내 순환시키는 방식을 사용한다. 공기의 흐름이 폐루프를 형성하므로 열원으로 가스를 사용하기 어렵고 전기를 주로 사용하므로 상대적으로 유지 비용이 많이 들지만, 공기가 드럼 내의 건조 대상물과 열교환 장치 사이를 순환하므로 배기 덕트가 필요가 없어서 설치가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편, 드럼 내에 젖은 의류를 넣고 건조를 진행하면 린트(lint)가 발생하게 된다. 린트는 공기와 함께 유로를 따라 이동하다가 응축식 건조기 내부의 열교환 장치에 달라붙게 되므로, 일반적으로 열교환 장치 입구 쪽 유로에 린트를 여과하는 필터가 설치된다.
상기 건조기의 필터에 린트가 계속 쌓이는 경우 공기의 흐름을 방해하게 되어 열교환 효율이 떨어지고 결국 건조기의 성능이 저하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필터를 주기적으로 청소해야 한다.
종래의 의류 건조기는 본체 내측의 배치된 드럼 내부로 공기를 공급하고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드럼에 연결되는 공기유로가 마련된다. 또한,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응축시키도록 공기 유로에 배치되는 제습유닛과, 제습유닛에 의해 생성되는 응축수를 수집하는 물받이와, 드럼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되는 린트를 여과하는 필터와, 물받이로부터 회수되는 물을 저장 하는 회수용 물통을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의류 건조기를 사용하여 의류 건조시 린트가 다시 드럼으로 유입되거나 린트로 인한 열교환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기 위해, 건조기의 매 동작마다 수집된 린트를 필터로부터 제거하도록 필터 청소를 해주어야 한다. 이 경우, 사용자는 필터를 건조기에서 분리하여 적절한 방법으로 수집된 린트를 제거하여야 하는데, 반복된 필터 청소 작업은 사용자에게 불편함을 초래하고 있다.
특히 즉시 건조기를 사용해야 할 경우, 필터를 청소하는 것은 연속된 건조 작업의 불편을 초래할 수 있으며, 필터를 청소하는 방법에 있어서도 수집된 린트를 손으로 제거하고 물청소를 수행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또한 필터 청소 중에 발생하는 린트의 비산 역시 청결을 중요시 하는 의류 건조 작업에서 사용자의 불편함으로 작용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목적은, 수집된 린트의 압축을 위한 건조기 필터의 구조를 제안하고, 이를 통해 사용자가 건조기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필터 조립체에 포집된 린트의 배출 회수를 최소화하고, 수집된 린트를 압축하여 필터 조립체의 청소를 간편하게 행할 수 있는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개시에서는 1차 필터; 상기 1차 필터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2차 필터; 상기 1차 필터의 개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수의 공기유입구멍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2차 필터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1차 필터를 상기 2차 필터로부터 분리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1차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을 상기 1차 필터의 내부 하측으로 압축하는 압축부재;를 포함하는 필터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 압축부재는 상기 1차 필터의 내측과 비접촉되는 제1 자세에서 상기 1차 필터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1차 필터의 내측과 접촉되는 제2 자세로 변경되고,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1차 필터가 이동하여 원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1 자세로 변경될 수 있다.
상기 1차 필터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압축부재에 비간섭되도록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부재는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1차 필터의 내부 양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와, 상기 1차 필터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단턱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재는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 홈에 일측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제2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제1 자세로 변경되도록 무게 중심이 하나의 블레이드 측으로 편향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상기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 중 상기 제1 자세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블레이드는 상측에 위치하는 블레이드보다 더 큰 무게를 갖도록 내측에 웨이트가 매립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는 러버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1차 필터는 하부의 양측에 각각 상기 1차 필터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1차 필터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2차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을 긁어 내도록 상기 2차 필터의 내부 양측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는 러버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는 상면에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2차 필터는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하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2차 필터는 상기 하부 공간에 수집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도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재는, 회전 중심축; 상기 회전 중심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블레이드와 제2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 중심축의 일측에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와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된 작동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상기 작동돌기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일측의 개구로 유입되어 양측면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1차 필터; 상기 1차 필터가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1차 필터로부터 유입되어 양측면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2차 필터; 및 상기 1차 필터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1차 필터의 일부분이 푸시됨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1차 필터의 양측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긁어 상기 1차 필터의 타측으로 압축하는 압축부재;를 포함하는 필터조립체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 있다.
상기 압축부재는 상기 1차 필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 시 상기 1차 필터에 의한 일부분의 푸시가 해제되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1차 필터의 양측면과 비접촉될 수 있다.
상기 1차 필터의 양측면에 부착된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는 상기 1차 필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2차 필터의 양측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긁어 상기 2차 필터의 타측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내측에 배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 내부로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 본체; 및 상기 투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드럼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건조기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목적을 달성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건조기의 성능을 저하시키지 않으면서 기존 필터 대비 필터 조립체의 청소 회수를 감소시킬 수 있고, 필터 조립체 내에 포집된 린트를 압축시켜 필터 조립체의 청소를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조립체를 구비한 의류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1차 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케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a 내지 도 5d는 1차 필터에 수집된 린트를 수집 및 압축하는 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에 의해 2차 필터에 수집된 린트를 수집하는 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2차 필터에 수집된 린트를 배출하기 위한 배출도어를 구비한 예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동일한 구성의 중복 설명은 되도록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개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개시를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다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개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상기 어떤 구성요소와 상기 다른 구성요소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예: 제 3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필터 조립체는 드럼 내부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이 경우 드럼 내부에서 배출된 공기는 1차 필터 상부의 개구에 결합된 케이스를 통해 1차 필터 내부로 유입된 후 1차 필터를 통과해 2차 필터를 거쳐 필터 조립체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건조기에 구비된 필터 조립체는 2차 필터링이 가능하도록 1차 필터가 2차 필터 내측에 분리 가능하도록 삽입될 수 있다. 필터 조립체는 건조기의 드럼 내부에서 의류를 건조하는 과정 중에 발생하는 린트(lint)를 여과한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필터 조립체는 린트 외에 의류로부터 분리된 다양한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본 개시에서 건조기는 의류를 건조하는데 한정되지 않고 얇은 담요나 수건 등 세탁기에서 세탁한 다양한 형태의 세탁물을 건조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필터 조립체는 2차 필터에 분리 가능하게 삽입된 1차 필터를 2차 필터로부터 인출하는 방향으로 당기는 동작에 의해 1차 필터 내측에 포집된 린트를 긁어 1차 필터 하부로 수집함과 동시에 수집된 린트를 압축시킬 수 있다. 이 경우, 필터 조립체는 건조기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채 1차 필터의 청소가 가능하다.
본 개시에 따른 필터 조립체는 1차 필터를 2차 필터로 인출하는 방향으로 당겨 1차 필터를 청소한 후, 다시 1차 필터를 2차 필터로 삽입하는 방향으로 밀면 2차 필터 내측에 포집된 린트를 긁어 2차 필터 하부로 수집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필터 조립체는 1차 및 2차 필터를 청소 시 건조기로부터 분리할 필요 없이 단순히 1차 필터를 2차 필터로부터 인출 및 삽입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는 단순한 동작에 의해 1차 필터 및 2차 필터를 각각 청소할 수 있어 필터 조립체를 자주 청소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건조기(10)는 본체(11)와, 본체(11) 내측에 의류를 건조하기 위해 회전 가능하게 배치된 드럼(30)을 포함할 수 있다.
본체(11)는 전원 온/오프 및 건조 작업을 조작하기 위한 다수의 스위치와 디스플레이 패널이 구비된 조작부(13)를 구비할 수 있고, 드럼(30)으로 의류를 투입하거나 인출하기 위한 투입구(40)가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체(11)는 투입구(40)를 개폐할 수 있도록 힌지 연결된 도어(5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구(40)에는 드럼(30)에서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린트를 여과하기 위한 필터 조립체(100)가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는 장착홈(70)이 형성될 수 있다. 장착홈(70)은 투입구(40) 하단에 위치할 수 있으며, 필터 조립체(100)를 통과한 공기를 배출하기 위한 소정의 배출덕트(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필터 조립체(100)의 상단(케이스(170)의 상면)은 투입구(40)를 통해 의류를 드럼으로 투입 및 인출할 때 의류가 필터 조립체(100)에 간섭되지 않도록 투입구(40)의 일부 형상에 대응하도록 소정 곡률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필터 조립체(100)는 드럼(30)에서 건조 작업 시 의류에서 발생하는 린트를 포집한다.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린트를 포함한 공기는 필터 구조체(100)의 상단을 통해 필터 구조체(100) 내부로 유입되어 2중 여과 처리된 후 배출덕트(미도시)를 통해 건조기(10) 내부의 응축기(미도시)로 전달될 수 있다. 이 경우, 응축기는 공기에 포함된 수분을 제거하고 다시 건조기의 드럼(30) 내부로 공기를 흘려 보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조립체(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조립체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1차 필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의 케이스의 다른 예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필터 조립체(100)는 1차 필터(110)와, 1차 필터(110)가 삽입되는 2차 필터(130)와, 2차 필터(130)에 결합된 압축부재(150)와, 1차 필터(110)에 결합된 케이스(170)를 포함할 수 있다.
1차 필터(110)는 상부에 공기의 유입을 위한 개구가 마련되고 도 2를 기준으로 전면 및 후면(Y축 방향)에 각각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가지는 한 쌍의 제1 메시(mesh)(111a, 111b)가 결합될 수 있다.
2차 필터(130)는 상부에 1차 필터(110)가 삽입될 수 있는 개구가 마련되고 1차 필터와 마찬가지로 전면 및 후면(Y축 방향)에 각각 다수의 미세 구멍을 가지는 한 쌍의 제2 메시(mesh)(131a,131b)가 결합될 수 있다.
1차 필터(110)의 제1 메시(111a,111b)는 1차 필터(110)를 2차 필터(130)에 삽입할 경우 2차 필터(130)의 제2 메시(131a,131b)와 각각 마주하게 된다. 이 경우, 제2 메시(131a,131b)의 미세 구멍의 크기는 제1 메시(111a,111b)의 미세 구멍의 크기와 동일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제2 메시(131a,131b)의 미세 구멍의 크기를 제1 메시(111a,111b)의 미세 구멍의 크기보다 작게 제작할 수도 있으며, 이를 통해 1차 메시(111a,111b)에서 여과되지 않은 미세한 린트나 이물질을 2차 메시(131a,131b)에서 단계적 포집하여 필터링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메시(111a,111b) 및 제2 메시(131a,131b)의 미세 구멍의 크기는 건조기(10) 내에서의 공기의 흐름과 압력손실을 함께 감안하여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3을 참조하면, 1차 필터(110)는 하단의 힌지(119, 도 5a 참조)를 기준으로 회전하여 상측이 벌어질 수 있도록 제1 및 제2 부분(113,115)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부분(113,115)을 상호 회전 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119)는 1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하에서 사용자는 1차 필터(110)에 수거된 린트를 손쉽게 분리 배출할 수 있고 1차 필터(110)의 세척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1차 필터(110)는 좌측 및 우측면(도 2의 X축 방향)에 한 쌍의 가이드 홈(114a,114b)이 1차 필터(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홈(114a,114b)은 1차 필터(110)가 Z축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2차 필터(130)에 결합된 압축부재(150)에 의해 1차 필터(110)가 간섭되지 않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한 쌍의 가이드 홈(114a,114b)을 통해서 1차 필터(110)가 2차 필터(130)에 삽입된 상태에서 Z축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하므로, 필터 조립체(100)를 건조기의 장착홈(70)으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에서 1차 필터(110)의 Z축 방향 이동과 압축부재(150)에 의해 1차 필터(110)를 청소할 수 있다.
한 쌍의 가이드 홈 가운데 하나의 가이드 홈(114a)은 상단에 단턱(116)이 형성될 수 있다. 단턱(116)은 1차 필터(110)를 2차 필터(130)로부터 인출하는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동작에 연동하여 압축부재(150)를 동작시킬 수 있다. 압축부재(150)의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하기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1차 필터(110)의 개구(상부의 개방된 부분)에는 케이스(170)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1차 필터(110)와 케이스(170) 간의 스냅 결합을 위해, 1차 필터(110)의 전면 및 후면의 상단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117a,117b)가 형성되고, 케이스(170)의 전면 및 후면의 하단에는 한 쌍의 결합돌기(117a,117b)가 스냅 결합되는 한 쌍의 결합구멍(173a,173b)이 형성될 수 있다.
케이스(170)는 드럼(30)으로부터 배출되는 공기를 1차 필터(100) 내부로 유입하도록 상부에 다수의 공기유입구멍(171)이 형성될 수 있다. 다수의 공기유입구멍(171)은 드럼(30)으로부터 공기가 배출되는 통로로 사용되는 것은 물론, 1차 필터(110)를 2차 필터(130)로부터 인출하거나 삽입하는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사용자는 공기유입구멍(171)에 손가락을 집어 넣고 케이스(170)를 파지한 상태에서 1차 필터(110)를 Z축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케이스(170)에 형성된 다수의 공기유입구멍(171)은 1차 필터(110)의 이동을 위해 케이스(170)를 좀 더 쉽게 파지할 수 있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80)의 상면 중앙에 2개의 대형 공기유입구멍(181a,181b)을 형성하고, 그 주변에 대형 공기유입구멍(181a,181b)보다 작은 다수의 소형 공기유입구멍(183)을 형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압축부재(150)는 1차 필터(110)를 2차 필터(130)로부터 인출하는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1차 필터(110)의 한 쌍의 제1 메시(111a,111b)에 포집된 린트를 수집 및 압축할 수 있다.
이러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압축부재(150)는 2차 필터(1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압축부재(150)의 양단(X축 방향)에는 한 쌍의 힌지돌기(151a,151b)가 형성되며, 2차 필터(130)의 좌측 및 우측면의 상부(2차 필터(130)의 개구에 인접한 부분)에는 한 쌍의 힌지돌기(151a,151b)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한 쌍의 힌지구멍(133a,133b)이 형성될 수 있다.
압축부재(150)는 압축부재(1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대칭 형성된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를 구비할 수 있다.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는 압축부재(150)가 제1 자세(도 5a 참조)일 때 1차 필터(110)의 한 쌍의 제1 메시(111a,111b)과 비접촉되도록 상하로 배치될 수 있고, 압축부재(150)가 제2 자세(도 5c 참조)일 때 1차 필터(110)의 한 쌍의 제1 메시(111a,111b)와 접촉되도록 수평에 가까운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는 소정 길이로 이루어진 회전 중심축(151)의 길이 방향을 따라 대략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는 회전 중심축(151)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의 배치는 제2 자세에서 1차 필터(110)의 한 쌍의 제1 메시(111a,111b)에 포집된 린트를 긁어 낼 수 있도록 고려된다.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의 폭은 1차 필터(110)가 2차 필터(130)에 삽입되는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 시 제2 자세에서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의 단부가 한 쌍의 제1 메시(111a,111b)의 내측면(112a,112b, 도 5c 참조)에 포집된 린트(190)를 긁어 낼수 있는 정도이면 족하다. 이 경우 린트(190)를 효과적으로 긁어 낼수 있도록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는 탄성력 및 마찰력을 가질 수 있는 러버 재질 또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압축부재(150)는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경될 수 있고,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자세에서 제1 자세로 변경될 수 있다.
압축부재(150)는 제1 자세에서 제2 자세로 변경하기 위해 1차 필터(110)의 단턱(116)에 의해 푸시되는 작동돌기(156)를 힌지돌기(151a)에 인접한 위치에 구비할 수 있다.
작동돌기(156)은 단턱(116)에 의해 푸시된 후 +Z축 방향으로 1차 필터(110)가 계속 이동하면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작동돌기(156)의 일측이 가이드 홈(114a)의 내측면에 지지되고(도 5c 참조),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의 각 단부가 한 쌍의 제1 메시(111a,111b)의 내측에 접촉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메시(111a,111b)의 내측에 포집된 린트(190)는 1차 필터(110)의 하부 공간(118, 도 5d 참조)에 수거 및 압축될 수 있다.
또한 1차 필터(110)를 -Z축 방향으로 이동하여 2차 필터(130)에 완전히 삽입되는 위치로 이동하면 작동돌기(156)의 상측이 케이스(170)의 하단(176)에 푸시됨에 따라, 압축부재(150)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자세에서 제1 자세로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압축부재(150)는 건조기(10)의 건조 처리 시 케이스(170)의 다수의 공기유입구멍(171)을 통해 1차 필터(110)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가 상하로 배치되어 자연스럽게 제1 자세가 유지될 수도 있다.
또한 압축부재(150)는 하나의 메인 블레이드(153,155) 측으로 무게 중심이 편향되게 배치되는 경우 건조기 내에서의 공기의 흐름이 없는 경우에도 제1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 중 하나의 메인 블레이드(153)에는 웨이트(154)가 매립될 수도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조립체(100)의 구조를 설명한다. 도 5a 내지 도 5d는 1차 필터에 수집된 린트를 수집 및 압축하는 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건조기(10)의 건조 처리 시에는 드럼(30)으로부터 필터 조립체(100)로 유입되는 공기의 흐름에 의해 압축부재(150)가 제1 자세로 유지될 수 있다.
건조 처리가 완료된 후 또는 건조기(10)가 작동하지 않는 상태에서, 필터 조립체(100)를 청소하기 전에 건조기(10)의 도어(50)를 개방한다.
도 5b를 참조하면, 필터 조립체(100)의 청소를 위해 케이스(170)의 다수의 공기유입구멍(171)에 손가락을 넣고 케이스(170)를 +Z축 방향으로 당긴다. 이때, 1차 필터(110)는 2차 필터(130)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단턱(116)이 압축부재(150)의 작동돌기(156)의 일측을 푸시한다. 이에 따라 압축부재(150)는 일방향(도 5b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시작한다.
도 5c를 참조하면, 계속해서 케이스(170)를 +Z축 방향으로 당김에 따라 1차 필터(150)는 케이스(170)와 함께 +Z축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 작동돌기(156)는 곗혹 단턱(116)에 의해 푸시되면서 가이드 홈(114a)으로 삽입되고, 압축부재(150)는 계속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제2 자세로 변경된다.
작동돌기(156)의 일측이 가이드 홈(114a)의 내측면에 지지되면서 압축부재(150)는 제2 자세를 유지한다. 제2 자세에서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는 각 단부가 한 쌍의 제1 메시(111a,111b)의 내측면(112a,112b)에 접촉하게 된다.
1차 필터(110)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안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는 각 단부가 한 쌍의 제1 메시(111a,111b)의 내측면(112a,112b)에 포집된 린트(190)를 긁어 낸다.
도 5d를 참조하면, 한 쌍의 블레이드(153,155)에 의해 한 쌍의 제1 메시(111a,111b)의 내측면(112a,112b)으로부터 분리된 린트(190)는 1차 필터(110)가 +Z축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1차 필터(110)의 하부 공간(118)에 수집된다.
이 경우, 1차 필터(110)를 +Z축으로 이동할 수 있는 최고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면, 1차 필터(110)의 하부 공간(118)에 수집된 린트(190)는 한 쌍의 블레이드(153,155)에 의해 가압되면서 압축된다.
1차 필터(110)의 청소가 완료되면 -Z축 방향으로 케이스(170)를 밀어 1차 필터(110)를 원위치로 이동시킨다. 이때, 작동돌기(156)가 가이드 홈(114a)으로부터 벗어나기 시작하는 위치부터 케이스(170)의 하단(176)에 작동돌기(156)이 상측이 푸시되면서 압축부재(150)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제1 자세로 변경된다.
2차 필터(130)의 한 쌍의 제2 메시(131a,131b)에 포집되는 린트의 포집량은 1차 필터(110)에 포집되는 린트의 포집량에 비해 적기 때문에 1차 필터(110) 만 청소하여도 건조기의 성능에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한편, 전술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0)는 필터 조립체(100)를 건조기(10)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1차 필터(110)를 청소할 수 있으나, 이하에서 설명하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0a)는 필터 조립체(100a)를 건조기(10)로부터 분리하지 않고 1차 필터(110)뿐만 아니라 2차 필터(130)도 청소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를 나타낸 단면도이고, 도 7a 내지 도 7c는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에 의해 2차 필터에 수집된 린트를 수집하는 예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도면들이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필터 조립체(100a)는 전술한 필터 조립체(100)의 구성과 대부분 동일하므로, 전술한 필터 조립체(100)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재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을 생략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필터 조립체(100a)는 1차 필터(110)의 하부의 전면 및 후면에 따라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210,230)가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210,230)는 각 단부가 2차 필터(130)의 한 쌍의 제2 메시(131a,131b) 내측면(132a,132b)에 접촉할 수 있는 정도의 폭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쌍의 서브 블레이드(210,230)는 1차 필터(110)로부터 2차 필터(130)를 향해 소정 각도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1차 필터(110)를 2차 필터(130)로부터 분리하는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2차 필터(130)의 한 쌍의 제2 메시(131a,131b)에 포집된 린트를 제거하지 못하도록 하고, 반대로 1차 필터(110)를 2차 필터(130)에 삽입하는 방향(-Z축 방향)으로 이동할 때 2차 필터(130)의 한 쌍의 제2 메시(131a,131b)에 포집된 린트를 긁어 낼 수 있도록 고려한 배치이다.
한쌍의 서브 블레이드(210,230)는 전술한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와 마찬가지로 탄성력 및 마찰력을 갖도록 러버 재질 또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210,230)는 1차 필터(110)를 ±Z축 방향으로 이동 시 도 7a 및 7b와 같이 각각 반대 방향으로 일정 부분 휘어질 수 있다.
도 7a를 참조하면, 한쌍의 서브 블레이드(210,230)는 각 단부의 상면에 마찰력을 감소할 수 있도록 매끄러운 코팅층(240)을 형성할 수 있다. 이는 1차 필터(110)가 2차 필터(130)로부터 분리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한쌍의 서브 블레이드(210,230)는 각 단부에 의해 2차 필터(130)의 한 쌍의 제2 메시(131a,131b)에 포집된 린트를 제거하지 않을 확률을 높일 수 있다.
도 7b를 참조하면, 한쌍의 서브 블레이드(210,230)는 1차 필터(110)를 2차 필터(130)에 삽입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때 각 단부가 일정 부분 휘어지면서 한 쌍의 제2 메시(131a,131b)의 내측면(132a,132b)에 밀착되면서 포집된 린트(191)를 효과적으로 긁어 낼 수 있다.
도 7c를 참조하면, 한쌍의 서브 블레이드(210,230)에 의해 한 쌍의 제2 메시(131a,131b)의 내측면(132a,132b)으로부터 분리된 린트(191)는 2차 필터(130)의 하부 공간(135)에 수집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2차 필터(130)는 하부 공간(135)에 수집된 린트(191)를 효과적으로 배출하기 위해, 하단에 하부 공간(135)을 개방할 수 있는 배출도어(250)를 구비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 경우 배출도어(250)는 일측이 2차 필터(130)에 힌지 연결될 수 있고, 타측이 2차 필터(130)에 통상의 스냅 결합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에서는 1차 필터(110)와, 1차 필터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2차 필터(130)와, 1차 필터의 개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수의 공기유입구멍이 형성된 케이스(170)와, 2차 필터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1차 필터를 2차 필터로부터 분리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1차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예를 들면, 의류 건조 시 의류로부터 분리된 린트)을 1차 필터의 내부 하측으로 압축하는 압축부재(150)를 포함하는 필터조립체(100)를 제공함으로써, 필터조립체(100)를 건조기(10)로부터 분리하지 않은 상태로 1차 필터(110)를 슬라이딩 이동하는 간단한 동작으로 필터조립체(100)에 수집된 린트(190)를 필터조립체(100) 내부의 일측으로 압축시켜 필터조립체(100)의 통기 성능을 양호하게 유지하여 필터링 성능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개시에 따른 필터조립체(100)를 건조기(10)에 적용함으로써 건조기(10)의 성능을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필터 조립체(100)에 포집된 린트(190)의 배출 회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수집된 린트(190)를 압축하여 필터 조립체(100)를 손쉽게 청소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부재(150)는 양단이 1차 필터(110)의 내측과 비접촉되는 제1 자세에서 1차 필터(110)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1차 필터(110)의 내측과 접촉되는 제2 자세로 변경될 수 있고,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을 따라 이동하여 1차 필터(110)가 원위치함에 따라 다시 제1 자세로 변경될 수 있다.
압축부재(150)는 제2 자세에서 1차 필터(110)의 내부 양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와, 1차 필터(110)가 제1 및 제2 방향으로 이동 시 압축부재(110)에 비간섭되도록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형성된 한 쌍의 가이드 홈(114a,114b)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단턱(116)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돌기(156)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압축부재(150)는 작동돌기(156)가 한 쌍의 가이드 홈 중 어느 하나의 가이드 홈(114a)에 삽입되면 가이드 홈(114a)에 일측이 지지됨에 따라 제2 자세가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압축부재(150)는 회전 중심축(151)과, 회전 중심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및 제2 블레이드(153,155)와, 회전 중심축의 일측에 제1 및 제2 블레이드와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된 작동돌기(156)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블레이드(153,155)는 회전 중심축(151)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되거나,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작동돌기(156)는 제1 및 제2 블레이드에 대하여 대략 직각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는 자중에 의해 제2 자세에서 제1 자세로 변경되도록 무게 중심이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 중 어느 하나의 블레이드(153) 측으로 편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무게 편향을 위해,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 중 제1 자세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블레이드(153)는 상측에 위치하는 블레이드(155)보다 더 큰 무게를 갖도록 내측에 웨이트(154)가 매립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153,155)는 소정의 탄력을 가질 수 있도록 러버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1차 필터(110)는 하부의 양측에 각각 1차 필터(110)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1차 필터(110)를 제2 방향으로 이동 시 2차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린트)을 긁어 내도록 2차 필터의 내부 양측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210,2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210,230)는 1차 필터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 휘어질 수 있도록 러버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210,230)는 각 서브 블레이드의 상면이 2차 필터에 포집된 린트와의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250)이 형성될 수 있다. 코팅층(250)은 마찰력이 낮은 물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2차 필터(130)는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210,230)를 통해 2차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린트)을 저장할 수 있도록 하부 공간(135)이 마련될 수 있다. 2차 필터(130)는 하부 공간(135)에 수집된 이물질(린트)을 손쉽게 배출하기 위해 배출도어(250)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필터조립체(100)는 일측의 개구로 유입되어 양측면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1차 필터(110)와, 1차 필터가 제1 방향과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1차 필터로부터 유입되어 양측면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2차 필터(130)와, 1차 필터가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1차 필터의 일부분이 푸시됨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1차 필터의 양측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긁어 상기 1차 필터의 타측으로 압축하는 압축부재(150)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압축부재(150)는 1차 필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 시 1차 필터에 의한 일부분의 푸시가 해제되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1차 필터의 양측면과 비접촉될 수 있다. 1차 필터(110)는 양측면에 부착된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210,23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는 1차 필터가 제2 방향으로 이동 시 2차 필터의 양측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긁어 2차 필터의 타측으로 수집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에서는 전술한 필터조립체(100)와, 내측에 배치된 드럼(30), 드럼 내부로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40) 및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50)를 포함한 본체(11)를 포함한 건조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 경우, 필터조립체(100)는 투입구(40)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드럼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린트)을 필터링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또한, 본 개시에 따른 실시 예들은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개시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개시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개시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건조기 70: 장착홈
100,100a: 필터 조립체 110: 1차 필터
130: 2차 필터 150: 압축부재
153,155: 메인 블레이드 170: 케이스
210,230: 서브 블레이드 250: 배출도어

Claims (20)

1차 필터;
상기 1차 필터가 분리 가능하게 삽입되는 2차 필터;
상기 1차 필터의 개구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다수의 공기유입구멍이 형성된 케이스; 및
상기 2차 필터에 양단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1차 필터를 상기 2차 필터로부터 분리하는 제1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1 필터의 제1 방향 이동에 연동하여 변경된 자세로 상기 1차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을 상기 1차 필터의 내부 하측으로 압축하는 압축부재;를 포함하는 필터조립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재는 상기 1차 필터의 내측과 비접촉되는 제1 자세에서 상기 1차 필터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상기 1차 필터의 내측과 접촉되는 제2 자세로 변경되고,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방향으로 상기 1차 필터가 이동하여 원위치함에 따라 상기 제1 자세로 변경되는 필터조립체.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필터는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1 방향의 역방향인 제2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압축부재에 비간섭되도록 양측에 길이 방향을 따라 한 쌍의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압축부재는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1차 필터의 내부 양면과 접촉하는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와, 상기 1차 필터의 이동에 의해 상기 한 쌍의 가이드 홈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된 단턱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작동돌기를 포함하는 필터조립체.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재는 상기 작동돌기가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면 상기 가이드 홈에 일측이 지지됨에 따라 상기 제2 자세가 유지되는 필터조립체.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는 자중에 의해 상기 제2 자세에서 상기 제1 자세로 변경되도록 무게 중심이 하나의 블레이드 측으로 편향된 필터조립체.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 중 상기 제1 자세에서 하측에 위치하는 블레이드는 상측에 위치하는 블레이드보다 더 큰 무게를 갖도록 내측에 웨이트가 매립된 필터조립체.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메인 블레이드는 러버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필터조립체.
제2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필터는 하부의 양측에 각각 상기 1차 필터의 폭 방향을 따라 형성되며, 상기 1차 필터를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2차 필터에 포집된 이물질을 긁어 내도록 상기 2차 필터의 내부 양측면에 접촉되는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는 필터조립체.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는 러버 재질 또는 탄성을 갖는 합성수지로 형성된 필터조립체.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는 상면에 마찰을 방지하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된 필터조립체.
제8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필터는 이물질을 수집하기 위한 하부 공간이 마련된 필터조립체.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2차 필터는 상기 하부 공간에 수집된 이물질을 배출하기 위한 배출도어를 포함하는 필터 조립체.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재는,
회전 중심축;
상기 회전 중심축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제1 블레이드와 제2 블레이드; 및
상기 회전 중심축의 일측에 상기 제1 및 제2 블레이드와 상이한 방향으로 돌출된 작동돌기;를 포함한 필터조립체.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는 상기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대칭으로 배치된 필터조립체.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는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필터조립체.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돌기는 상기 제1 블레이드 및 제2 블레이드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돌출된 필터조립체.
일측의 개구로 유입되어 양측면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1차 필터;
상기 1차 필터가 제1 방향과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1차 필터로부터 유입되어 양측면으로 배출되는 공기를 필터링하는 2차 필터; 및상기 1차 필터가 상기 제1 방향으로 이동하는 동작에 의해 상기 1차 필터의 일부분이 푸시됨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하여 변경된 자세로 상기 1차 필터의 양측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긁어 상기 1차 필터의 타측으로 압축하는 압축부재;를 포함하는 필터조립체.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부재는 상기 1차 필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하여 원위치로 복귀 시 상기 1차 필터에 의한 일부분의 푸시가 해제되면서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1차 필터의 양측면과 비접촉되는 필터조립체.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1차 필터의 양측면에 부착된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를 더 포함하며,
상기 한 쌍의 서브 블레이드는 상기 1차 필터가 상기 제2 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2차 필터의 양측면에 포집된 이물질을 긁어 상기 2차 필터의 타측으로 수집하는 필터조립체.
내측에 배치된 드럼과, 상기 드럼 내부로 의류를 투입하기 위한 투입구와, 상기 투입구를 개폐하는 도어를 포함한 본체; 및
상기 투입구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되어 드럼 내부로부터 배출되는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필터 조립체;를 포함하는 건조기.
KR1020180129591A 2018-10-29 2018-10-29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KR1026330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91A KR102633056B1 (ko) 2018-10-29 2018-10-29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EP19878900.0A EP3810844B1 (en) 2018-10-29 2019-10-28 Filter assembly and dryer for the same
CN201980059757.9A CN112703285B (zh) 2018-10-29 2019-10-28 过滤器总成及其烘干机
PCT/KR2019/014294 WO2020091351A1 (en) 2018-10-29 2019-10-28 Filter assembly and dryer for the same
US16/666,902 US11433341B2 (en) 2018-10-29 2019-10-29 Filter assembly and dryer for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9591A KR102633056B1 (ko) 2018-10-29 2018-10-29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48006A KR20200048006A (ko) 2020-05-08
KR102633056B1 true KR102633056B1 (ko) 2024-02-02

Family

ID=703249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9591A KR102633056B1 (ko) 2018-10-29 2018-10-29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433341B2 (ko)
EP (1) EP3810844B1 (ko)
KR (1) KR102633056B1 (ko)
CN (1) CN112703285B (ko)
WO (1) WO20200913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4236B1 (ko) * 2016-06-23 2023-11-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세탁물 건조기
EP4206392A1 (en) * 2021-12-29 2023-07-05 Arçelik Anonim Sirketi A combined filter for a drying machine
KR20230122789A (ko) * 2022-02-15 2023-08-22 삼성전자주식회사 건조 겸용 세탁기
CN115021104B (zh) * 2022-08-08 2022-11-08 人民电器集团(山东)枣矿智能制造有限公司 一种高低压开关柜的轴流式清洁装置
CN117339319A (zh) * 2023-10-12 2024-01-05 意朗智能科技(南通)有限公司 节能空压机用空气分级过滤干燥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677A (ja) * 2008-07-23 2010-02-04 Kowa Co Ltd 洗濯乾燥機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62450A (ko) 2001-01-20 2002-07-26 엘지전자주식회사 배기식 건조기의 자동 필터 장치
US6662464B2 (en) * 2002-02-15 2003-12-16 Daniel Mark Treu Method and apparatus for cleaning dryer lint screens
DE102005054681A1 (de) * 2005-11-16 2007-05-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Hausgerät mit einer linear bewegbaren Komponente
DE102005055179A1 (de) * 2005-11-18 2007-05-24 BSH Bosch und Siemens Hausgeräte GmbH Flusenfiltereinrichtung und Verfahren zum Reinigen einer Flusenfiltereinrichtung
US7802375B2 (en) * 2006-05-05 2010-09-28 Michael Johnson Clothes dryer lint screen assembly with built in lint scraper blade
JP4246761B2 (ja) * 2006-09-27 2009-04-02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ドラム式洗濯乾燥機
JP2008194439A (ja) * 2007-01-19 2008-08-28 Mitsubishi Electric Corp 洗濯乾燥機
KR100826535B1 (ko) * 2007-02-20 2008-05-02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 청소장치 및 이를 구비한 덕트리스 건조기
KR100989734B1 (ko) * 2008-06-03 2010-10-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건조기
JP4245653B1 (ja) * 2008-06-26 2009-03-25 株式会社コーワ 乾燥機
KR101153661B1 (ko) * 2008-12-17 2012-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건조기 및 건조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US9062410B2 (en) 2008-12-17 2015-06-23 Lg Electronics Inc. Dryer and foreign material removing apparatus thereof
WO2011042345A1 (en) * 2009-10-08 2011-04-14 Arcelik Anonim Sirketi A laundry dryer having a self cleaning lint filter
JP5418203B2 (ja) * 2009-12-22 2014-02-19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衣類乾燥機
KR20110075779A (ko) 2009-12-29 2011-07-06 삼성전자주식회사 필터 청소장치
EP2567016B1 (en) 2010-05-07 2021-08-25 LG Electronics Inc. Clothes treating apparatus and filter technology
KR101704420B1 (ko) 2010-05-13 2017-02-09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KR101716821B1 (ko) 2010-10-12 2017-03-15 삼성전자주식회사 의류건조기 및 이에 구비되는 린트 청소장치
KR101832764B1 (ko) 2011-12-08 2018-04-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필터커버 걸림장치를 구비한 필터가이드 및 이를 이용한 의류건조기
EP2682513A1 (en) 2012-07-06 2014-01-08 Electrolux Home Products Corporation N.V. Laundry dryer
KR102052970B1 (ko) * 2012-12-31 2019-12-0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처리장치
PL2843123T3 (pl) * 2013-08-30 2022-10-31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Urządzenie do suszenia prania z pomocniczym filtrem kłaczków
EP3031977B1 (en) * 2014-12-12 2020-07-22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drying apparatus with removable lint filter unit
CN106149328B (zh) 2015-04-14 2019-10-01 青岛海尔洗衣机有限公司 带自清理功能的过滤***及干衣机
DE102016213321A1 (de) 2016-07-21 2018-01-25 BSH Hausgeräte GmbH Filtereinsatz und Gerät zum Behandeln von Wäsche
PL3562988T3 (pl) * 2016-12-29 2022-05-30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Suszarka do prania zawierająca zespół filtra i sposób czyszczenia zespołu filtra
US11047085B2 (en) * 2016-12-29 2021-06-29 Electrolux Appliances Aktiebolag Laundry dryer comprising a filter assembly and a method to clean a filter assembly
KR102366458B1 (ko) * 2017-03-02 2022-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의류 건조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22677A (ja) * 2008-07-23 2010-02-04 Kowa Co Ltd 洗濯乾燥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0091351A1 (en) 2020-05-07
US20200129908A1 (en) 2020-04-30
KR20200048006A (ko) 2020-05-08
EP3810844A4 (en) 2021-08-11
EP3810844B1 (en) 2023-05-10
CN112703285A (zh) 2021-04-23
CN112703285B (zh) 2023-09-08
EP3810844A1 (en) 2021-04-28
US11433341B2 (en)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3056B1 (ko)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건조기
US20120084992A1 (en) Clothes dryer and lint cleaning device thereof
JP4706572B2 (ja) 洗濯乾燥機
KR101070485B1 (ko) 건조기 및 건조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EP2843123B1 (en) Appliance for drying laundary with auxiliary de-fluff filter
US9657431B2 (en) Laundry treating apparatus having cleaning device
KR20110125570A (ko) 의류 건조기
US11441257B2 (en) Dryer
KR20100072399A (ko) 건조기 및 필터링 유닛
JP2010005097A (ja) 乾燥機
EP2843103B1 (en) Appliance for drying laundary with auxiliary de-fluff filter
TWI661098B (zh) Filter device for washing machine and washing machine equipped with the same
KR20210052079A (ko) 의류 건조기
JP2018110789A (ja) 洗濯乾燥機
CN219586411U (zh) 衣物处理设备
KR100947223B1 (ko) 의류 건조기
CN219586412U (zh) 衣物处理设备
KR20110123359A (ko) 건조기
KR101241875B1 (ko) 응축식 건조기
KR101191207B1 (ko) 건조기
KR101253193B1 (ko) 건조기
JP2018058006A (ja) フィルター清掃装置及び衣類乾燥機
CN115945002A (zh) 一种自清洁过滤装置和具有其的干衣机
CN116180404A (zh) 衣物处理设备
CN116219680A (zh) 衣物处理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