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7503B1 -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7503B1
KR102627503B1 KR1020220059510A KR20220059510A KR102627503B1 KR 102627503 B1 KR102627503 B1 KR 102627503B1 KR 1020220059510 A KR1020220059510 A KR 1020220059510A KR 20220059510 A KR20220059510 A KR 20220059510A KR 102627503 B1 KR102627503 B1 KR 1026275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bracket
shock absorber
torsion bar
lower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59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60008A (ko
Inventor
방재근
김기정
주성권
Original Assignee
서한이노빌리티(주)
한국무브넥스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한이노빌리티(주), 한국무브넥스 (주) filed Critical 서한이노빌리티(주)
Priority to KR1020220059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7503B1/ko
Publication of KR20230160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0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75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75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 B60G11/18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the torsion-bar consisting of a bundle of torsion elements
    • B60G11/185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torsion-bar springs only the torsion-bar consisting of a bundle of torsion elements the elements being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02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 B60G3/04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60G3/06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a single pivoted arm the arm being esse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the arm being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6Attaching arms to sprung or unsprung part of vehicle, characterised by comprising attachment means controlled by an external actuator, e.g. a fluid or electrical mo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4Torsion spring comprising a transversal torsion bar and/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4Mounting of suspension arms
    • B60G2204/143Mounting of suspension arms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60Subframe constru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1Reducing damages in case of crash, e.g. by improving battery prot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6Suspension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또는 설치면에 고정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일 측이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외측에서 각각 상대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 측이 차륜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로워 암; 일 단부가 상기 제1브라켓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제2브라켓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며, 상기 로워 암의 회동에 따라서 타 단부가 비틀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는 토션바; 및 상기 토션바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로워 암의 회동운동을 상기 토션바의 비틀림 운동으로 전환하는 토크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a shock absorber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각 차륜을 통하여 차량의 바디 측으로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가장치는 스프링 작용에 의해 차체의 중량을 지지함과 동시에 차륜의 상하 진동을 완화함으로써 승차감을 향상 및 주행 안정성을 증대시키기 위해 마련된다.
이러한 현가장치는 보통 차축식과 독립 현가장치로 대별되고, 또한 스프링의 조율에 따라 기계 스프링식, 유체 스프링식(공기식, 유압/공기식) 등으로 분류할 수 있다.
예컨대, 종래 현가장치 중 맥퍼슨형 독립 현가장치의 경우, 쇽 업소버(shock absorber)가 내장된 스트럿과, 코일 스프링이 일체로 구성되고, 쇽 업소버와 코일 스프링이 차량의 상하 방향 또는 이에 근접하도록 소정의 기울기를 갖고 설치된다.
따라서, 종래의 충격 흡수장치는 전기한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각 차륜과 바디를 연결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태의 바디에 동일한 차량 플랫폼을 공용화 하는데 한계를 가지고 있다. 또한, 충격 흡수장치의 중량이 스프링의 하중량을 포함하기 때문에 승차감이 저하되거나, 차량 상단에 위치할 수 밖에 없는 한계성으로 인해 조종 성능이 저하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1999-0029094호(1999.07.15 공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전/후 방향 방향으로 충격 흡수장치를 배치할 수 있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은 차량 또는 설치면에 고정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일 측이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외측에서 각각 상대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 측이 차륜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로워 암; 일 단부가 상기 제1브라켓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제2브라켓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며, 상기 로워 암의 회동에 따라서 타 단부가 비틀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는 토션바; 및 상기 토션바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로워 암의 회동운동을 상기 토션바의 비틀림 운동으로 전환하는 토크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토크 변환부는 상기 토션바의 타 단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상기 토션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커암과, 상기 제2브라켓의 외측에서 상기 로워 암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로커암의 타 측을 가압하도록 회동하는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커암은 상기 토션바의 타 단부가 삽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된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로부터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을 향해 돌출되고 외주면의 일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가압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와 가압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가 가압 플레이트와 연동하여 회동하면, 상기 체결부재가 토션바의 타 단부에 비틀림 응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배치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와 가압 플레이트 사이를 차폐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는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외측에 밀착 결합되어 상기 로워 암의 회전력을 상기 가압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회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는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설정된 간격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워 암의 회전 중심은 상기 체결부재의 회전 중심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토션바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로워 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재의 회전중심이 서로 등간격 또는 등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에 의하면,
첫째, 차륜이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충격 흡수장치가 배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바디와 차륜 사이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바디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하며,
둘째, 충격 흡수장치가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기존 현가장치가 차량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구조에 비하여 공간 활용도가 증대되며,
셋째,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충격 흡수장치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바디 플랫폼을 공용화할 수 있고,
넷째, 충격 흡수장치의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어 주행성능과 연비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다섯째, 충격 흡수장치에서 토션바가 상대 회동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저항에 의해 힘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가 구비된 차량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의 I-I'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의 토크 변환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 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가 구비된 차량을 도시하는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1)는 차륜(W)이 4개 구비된 차량을 기준으로 설명하되, 전차륜이 독립적으로 충격을 흡수할 수 있고, 조향을 제어할 수 있으며, 적어도 2개 또는 전차륜이 구동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러한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1)는 차륜(W)이 하나에서 세 개인 경우, 또는 4개를 초과하는 차량에도 적용이 가능하다.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는 로워 암(110)과 제1브라켓(도 3 참조, 120) 및 제2브라켓(도 3 참조, 130)과, 토션바(140)와 토크 변환부(1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1)는 로워 암(110)의 단부에 너클(10)과 허브 베어링(20)의 조립체를 통해서 차륜(W)이 결합되고, 제1브라켓(120)과 제2브라켓(130) 또는 제1브라켓(120)과 제2브라켓(130)을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40)가 차량의 바디(body) 측에 결합된다. 고정 플레이트(40) 상에는 별도의 케이스(200) 구조가 구비될 수도 있다. 물론,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1)는 제1브라켓(120)과 제2브라켓(130)이 직접적으로 차량의 바디에 고정되는 구조를 취할 수도 있다.
도 3은 도 2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의 I-I' 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를 분해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의 토크 변환부를 분리하여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3에 나타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가 작동하는 상태를 도시하는 참고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로워 암(110)은 일 측이 차륜(W)과 결합된 너클(도 1 참조, 10) 측에 결합되고, 타 측 양 단부가 각각 제1브라켓(120)과 제2브라켓(130)으로부터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로워 암(110)의 상대 회동은 차륜(W)의 상하 이동에 대응하여 발생할 수 있다.
로워 암(110)은 세 개의 지점에서 연결이 이루어지는데, 너클의 하측에 결합되는 연결암(111)과, 제1브라켓(120)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1암(112)과, 제2브라켓(130)에 대응하도록 배치되는 제2암(113)을 포함한다.
제1암(112)과 제2암(113)은 각각 제1브라켓(120)과 제2브라켓(130)의 외측에 배치된다.
제1암(112)과 제1브라켓(120) 사이에는 베어링(121)이 결합된다. 따라서, 베어링(121)을 중심으로 제1암(112)은 제1브라켓(120) 상에서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그리고, 제2암(113)은 후기할 회전 플레이트(50) 상에 결합되어 가압 플레이트(155)와 동시에 회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와 관련한 토크 변환부의 설명은 후기하기로 한다.
제1암(112)과 제2암(113)은 대략 "C"자 형상 또는 "┏┓"자 형상으로 일체로 절곡되며, 양 단부가 서로 마주하도록 배치되며, 연결암은 제1암(112) 및 제2암(113)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돌출되어 로워 암(110)은 대략 "Y"자 형상 또는 "y"자 형상의 단면을 갖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연결암이 제1암(112) 또는 제2암(113)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게 치우친 경우, 제2암(113)에 인접하게 치우치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제1암(112)과 제2암(113) 중 제2암(113)에 전달되는 힘의 크기가 더 크기 때문이다. 즉, 제1브라켓(120)과 제1암(112)은 단순히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인 반면에, 제2브라켓(130)과 제2암(113)은 로워 암(110)의 회전에 따라서 토크 변환부에 비틀림 응력을 전달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제1암(112) 보다는 제2암(113)에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이 힘의 전달구조 또는 구조적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1)는 제1브라켓(120) 상에 복수개의 토션바(140)의 일 단부가 고정된다. 토션바(140)의 일 단부는 제1브라켓(120)을 관통하여 고정될 수 있고, 또는 제1브라켓(120)에 형성된 홈에 삽입되면서 고정될 수 있다. 예컨대, 토션바(140)의 일 단부가 제1브라켓(120)을 관통하여 결합되는 경우, 제1브라켓(120)을 관통한 외측에서 스냅링(141)에 의해 빠지지 않도록 고정될 수 있다.
이때, 토션바(140)는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토션바(140)는 로워 암(110)의 회전 중심을 기준으로 원주 방향을 따라서 6개가 배치된 것을 일 예로 설명하며, 토션바(140)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1)는 제2브라켓(130)과 제2암(113)이 연결되는 부분에서 힘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진다. 즉, 차륜(W)의 상하 이동에 따라 로워 암(110)이 상하 이동하면서 제2암(113)이 회동한 만큼 토크 변환부(150)를 통해서 토션바(140)의 타 단부가 비틀어지는데, 이때 로워 암(110)의 상하운동이 토션바(140)의 비틀림 응력으로 전환되어 힘의 방향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충격을 흡수하거나 저장하게 된다.
제2브라켓(130)에는 복수개 토션바(140)의 타 단부가 관통하도록 결합된다. 이때, 제2브라켓(130)과 토션바(140)가 중첩되는 영역에는 베어링(142)이 구비될 수 있다. 제2브라켓(130)의 외측에서 토션바(140)의 타 단부에는 토크 변환부(150)가 마련된다.
토크 변환부(150)는 로커암(151)과 가압 플레이트(155)를 포함한다.
로커암(151)은 토션바(140)의 타 단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타 측이 가압 플레이트(155)의 내부에서 간섭되도록 배치된다. 로커암(151)은 토션바(140)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배치된다. 토션바(140)의 타 단부는 로커암(151)을 관통한 선단에 스냅링(143)이 결합될 수 있다.
로커암(151)은 체결부재(152)와 가압부재(153) 및 연결부재(154)를 포함한다.
체결부재(152)는 토션바(140)의 타 단부가 삽입되도록 통공(152a)이 형성된다.
가압부재(153)는 가압 플레이트(155)의 내부에 형성된 요홈(156)을 향해 돌출된다. 가압부재(153)의 외주면은 요홈(156)의 형상에 대응하도록 일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가압부재(153)는 요홈(156) 내부에서 슬립이 발생하면서 상대 회동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부재(154)는 체결부재(152)와 가압부재(153) 사이를 연결한다. 이때, 연결부재(154)는 요홈(156)의 폭 보다 작은 폭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컨대, 가압부재(153)는 요홈(156)의 형상에 대응하는 형상과 폭으로 이루어지고, 연결부재(154)는 가압부재(153) 보다 작은 폭으로 이루어져, 가압부재(153)와 가압 플레이트(155)가 상대 회동할 수 있는 간격을 제공하면서 회동 각도를 제한할 수도 있다.
또한, 가압부재(153)가 가압 플레이트(155)와 연동하여 회동하면, 체결부재(152)가 각각의 토션바(140)의 타 단부에 토크(torque)를 발생시켜 비틀림 응력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가압 플레이트(155)의 일 측은 제2브라켓(130)의 외측에 배치되어 각 로커암(151)의 외측을 감싸도록 배치되며, 내주면에 로커암(151)들이 적어도 일부 삽입될 수 있도록 요홈(156)이 등각의 방사형으로 형성된다.
또한, 가압 플레이트(155)는 제2브라켓(130)의 단부가 가압 플레이트(155)의 외주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배치된 커버부재(131) 내측에 결합된다. 여기서, 가압 플레이트(155)의 외주면과 커버부재(131)의 내주면 사이에서 이들이 중첩되는 영역에는 실링부재(132)가 개재된다. 따라서, 실링부재(132)는 가압 플레이트(155)의 외주면과 커버부재(131)의 내주면 사이를 차폐할 수 있다.
가압 플레이트(155)의 타 측과 제2암(113) 사이에는 회전 플레이트(50)가 마련된다.
회전 플레이트(50)는 제2브라켓(130) 상에서 로워 암(110)의 회전력을 가압 플레이트(155에 전달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회전 플레이트(50)와 제2브라켓(130)이 중첩되는 영역에는 베어링(51)이 구비될 수 있다. 즉, 로워 암(110)의 제2암(113)을 관통한 패스너(f)는 회전 플레이트(50)를 관통하여 가압 플레이트(155)까지 고정시킨다.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50)와 가압 플레이트(155)는 서로 밀착 결합되고, 로워 암(110)의 회전에 따라서 회전 플레이트(50)와 가압 플레이트(155)가 동시에 회전하도록 배치된다.
도 6을 참조하면, 도 6(a)는 차륜(W)이 지면으로부터 상승된 범프(bump) 상태를 나타내고, 도 6(b)는 정차 상태 또는 차륜(W)에 충격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로 주행중인 상태에서의 차륜(W) 높이를 나타내는 중립 상태를 나타내고, 도 6(c)는 요철을 지나자마자 또는 지면에 홈이 파인 곳을 지날 때 차륜(W)이 아래로 처진 리바운드(rebound) 상태를 나타낸다.
도 6(a)와 같이, 범프 상태가 되면, 로워 암(110)의 차륜(W) 측이 차량 바디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상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토션바(140)의 타 단부는 가압 플레이트가 제1방향(예컨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커암(151)과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차륜(W)에 전달된 충격량을 적어도 일부 흡수하게 된다. 즉, 범프 상태로 차륜(W)이 상승하게 되면, 차량 바디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하강하게 되는데, 이때 토션바(140)에 비틀림 응력(torque)이 발생하면서 차륜(W)의 충격량을 일부 흡수하고 일부 저장하게 된다.
그리고, 도 6(b)와 같이, 중립 상태에서는 토션바(140)에 소정의 비틀림 응력이 부여될 수 있지만 이는 외부 충격에 의한 응력이 아닌 차량의 하중에 의한 응력으로 해석할 수 있다.
또한, 도 6(c)와 같이, 리바운드 상태가 되면, 로워 암(110)의 차륜(W) 측이 차량 바디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하향 이동하게 된다. 이때, 토션바(140)의 타 단부는 가압 플레이트(155)가 제2방향(예컨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로커암(151)과 함께 같은 방향으로 회전하여, 범프 상태에서 저장된 일부 충격량을 적어도 일부 또는 모두 상쇄하게 된다. 즉, 리바운드 상태에서 차륜(W)은 하강하게 되고, 차량 바디의 위치가 상대적으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토션바(140)에 비틀림 응력이 해제되면서 차륜(W)의 충격량이 모두 제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에 의하면, 차륜이 외부 충격으로 인하여 이동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충격 흡수장치가 배치되기 때문에 차량의 바디와 차륜 사이의 높이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른 바디 설계의 자유도가 증가하며, 충격 흡수장치가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배치되어 기존 현가장치가 차량의 상하방향을 따라서 배치되는 구조에 비하여 공간 활용도가 증대되며, 차량의 전후 방향을 따라서 충격 흡수장치를 설치할 수 있기 때문에 바디 플랫폼을 공용화할 수 있고, 충격 흡수장치의 전체적인 무게 중심을 낮출 수 있어 주행성능과 연비 및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충격 흡수장치에서 토션바가 상대 회동하는 구조를 적용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하는 과정에서 저항에 의해 힘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예시하기 위해 구체적인 실시 예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구체적인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에만 국한되지 않고, 여러 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그와 같은 변형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1: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110: 로워 암
120: 제1브라켓
130: 제2브라켓
140: 토션바
150: 토크 변환부

Claims (7)

  1. 차량 또는 설치면에 고정되며, 서로 마주하도록 이격 배치되는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
    일 측이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의 외측에서 각각 상대회동이 가능하도록 결합되고, 타 측이 차륜의 상하 이동과 연동하도록 연결되는 로워 암;
    일 단부가 상기 제1브라켓에 고정되고, 타 단부가 상기 제2브라켓 상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결합되며, 상기 로워 암의 회동에 따라서 타 단부가 비틀어질 수 있도록 배치되는 토션바; 및
    상기 토션바의 타 단부에 연결되어 상기 로워 암의 회동운동을 상기 토션바의 비틀림 운동으로 전환하는 토크 변환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토크 변환부는,
    상기 토션바의 타 단부에 일 측이 결합되고, 상기 토션바의 길이방향과 직교한 방향으로 돌출되는 로커암과,
    상기 제2브라켓의 외측에서 상기 로워 암의 회동에 따라서 상기 로커암의 타 측을 가압하도록 회동하는 가압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로커암은,
    상기 토션바의 타 단부가 삽입되도록 통공이 형성된 체결부재와,
    상기 체결부재로부터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내주면에 형성된 요홈을 향해 돌출되고 외주면의 일 단면이 원형으로 형성된 가압부재 및
    상기 체결부재와 가압부재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압부재가 가압 플레이트와 연동하여 회동하면, 상기 체결부재가 토션바의 타 단부에 비틀림 응력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브라켓은,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외주면을 적어도 일부 감싸도록 배치되는 커버부재와,
    상기 커버부재와 가압 플레이트 사이를 차폐시키는 실링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가압 플레이트의 외측에 밀착 결합되어 상기 로워 암의 회전력을 상기 가압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회전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브라켓과 제2브라켓을 설정된 간격으로 고정시키는 고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7.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로워 암의 회전 중심은 상기 체결부재의 회전 중심과 서로 이격되도록 배치되고,
    상기 토션바가 복수개인 경우, 상기 로워 암의 회전 중심으로부터 상기 체결부재의 회전중심이 서로 등간격 또는 등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1020220059510A 2022-05-16 2022-05-16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KR1026275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510A KR102627503B1 (ko) 2022-05-16 2022-05-16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59510A KR102627503B1 (ko) 2022-05-16 2022-05-16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008A KR20230160008A (ko) 2023-11-23
KR102627503B1 true KR102627503B1 (ko) 2024-01-19

Family

ID=889745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59510A KR102627503B1 (ko) 2022-05-16 2022-05-16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2750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5077A (ja) 2015-11-13 2017-06-01 Kyb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及びダンパ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17945C (en) * 1994-10-12 2003-03-25 Laurence J. Holt Suspension system
KR19990029094U (ko) 1997-12-27 1999-07-15 양재신 스프링 각도 설정이 용이한 스러스트 베어링 설치 구조를 갖는 현가장치
KR20210050669A (ko) * 2019-10-29 2021-05-10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서스펜션 유닛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95077A (ja) 2015-11-13 2017-06-01 Kyb株式会社 サスペンション装置及びダン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0008A (ko) 2023-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48978A1 (en) In-wheel motor system for a steering wheel
CN111043232B (zh) 一种移动机器人的云台减震机构
JP6084783B2 (ja) 車両用アンチロール装置
KR102627503B1 (ko)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JP5625644B2 (ja) 自動車の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2632596B1 (ko) 현가장치용 케이스 및 이를 구비한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US7614467B2 (en) In-wheel motor system having damping mechanism
JPS58112814A (ja) 車輌サスペンシヨン・システム
KR100475910B1 (ko) 상용차의 프론트 및 데드 액슬용 현가장치의 롤 저감구조
CN205601605U (zh) 传动轴中间支撑总成
KR102593212B1 (ko) 지상고 조절이 가능한 토션바형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US20090085266A1 (en) Integrated insulator type strut assembly for suspension system
KR102606916B1 (ko) 지상고 조절이 가능한 토션바형 차량용 충격 흡수장치
JP3168856B2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の取付構造
KR100986085B1 (ko) 현가장치용 인슐레이터 유닛
JP2000025435A (ja) ストラット式サスペンション
US20230406056A1 (en) Reinforcing structure of the suspension
KR100857648B1 (ko) 자동차 범프스토퍼용 컵
CN215971759U (zh) 减震装置、动力模组和移动底盘
CN217328281U (zh) 一种摆臂式减震装置
KR20100008980A (ko) 차량용 트레일링 암 부시유닛
KR100313799B1 (ko) 자동차의현가장치
EP1445128B1 (en) Suspension system
CN206218012U (zh) 车架及汽车
KR20100007181A (ko) 스트럿 어셈블리용 스프링 어퍼시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