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8197B1 -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 Google Patents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8197B1
KR102608197B1 KR1020210141019A KR20210141019A KR102608197B1 KR 102608197 B1 KR102608197 B1 KR 102608197B1 KR 1020210141019 A KR1020210141019 A KR 1020210141019A KR 20210141019 A KR20210141019 A KR 20210141019A KR 102608197 B1 KR102608197 B1 KR 1026081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ate
lower frame
frame
roof
ba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0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057056A (ko
Inventor
이도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스
Priority to KR10202101410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08197B1/ko
Publication of KR202300570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570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81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819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3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 B66C23/42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mounted on road or rail vehicles; Manually-movable jib-cranes for use in workshops; Floating cranes with jibs of adjustable configuration, e.g.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62Constructional features or details
    • B66C23/72Counterweights or supports for balancing lifting couples
    • B66C23/78Supports, e.g. outriggers, for mobile cran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5/00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for scaffolds
    • E04G5/001Safety or protective measures against falling down relating to scaffo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700/00Cranes
    • B66C2700/03Cranes with arms or jibs; Multiple cranes
    • B66C2700/0321Travelling cranes
    • B66C2700/0357Cranes on road or off-road vehicles, on trailers or towed vehicles; Cranes on wheels or crane-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은 건축물의 지붕에 씌워진 슬레이트를 해체하기 위한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으로써, 상측이 개방된 적재칸이 마련된 차량; 상기 적재칸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탱판과, 상기 지탱판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한 쌍씩 배치되고 상기 차량의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지탱부재로 이루어지는 지탱부; 상기 지탱판에 설치되는 크레인; 및 상기 크레인에 연결되고 상기 크레인을 통해 상기 건축물의 지붕으로 이동되며 전방 승강부 및 후방 승강부를 통해 상기 슬레이트 측으로 하강되는 작업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Removing system for slate}
본 발명은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주로 농어촌 주거용 건물 및 창고 등의 건물의 지붕재로 많이 사용되었던 슬레이트 지붕은 폐암, 중피종, 석면폐증, 피부질환 및 호흡기 질환 등을 야기하는 것으로 알려진 석면을 10 - 30% 가량 함유하고 있는 석면 함유 물질(Asbestos containing materials: ACM) 중 하나이다.
최근, 노후화된 이러한 슬레이트 지붕재로 된 건물의 지붕 개량 또는 건물 개량 사업에 따라 슬레이트 지붕재의 철거가 빈번하며, 따라서 유해 물질로 분류된 석면을 함유하는 석면 함유 물질의 철거 작업에는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산업안전보건법 제38조에 의해 석면함유설비 또는 건축물의 파쇄, 개보수 등으로 인하여 석면분진이 흩날릴 우려가 있고 작은 입자의 석면 폐기물이 발생되는 작업을 시행할 때에는 그 작업을 시행하기 전에 허가를 받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지붕을 해체할 때에는 작업자의 안전, 작업환경 및 주변 주민의 건강보호를 위해 관련법규에서 정한 규정을 준수하여 작업해야 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지붕의 해체를 위해서 작업자가 지붕의 상부에 올라가 지붕을 깨뜨리지 않고 해체 하여야만 하였다.
즉, 종래에는 슬레이트가 설치된 건축물의 상부로 작업자가 올라가 별도의 도구(절단용구)를 이용하여 슬레이트를 고정하는 못 등과 같은 고정부재의 상단을 절단 또는 제거한 후 상기 슬레이트를 지붕으로부터 분리하였다.
그런데, 해체되는 지붕이 노후화됨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 도중 추락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지붕 해체 작업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규제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주로 사용되는 지붕 해체 작업 방법은 건물을 포위하는 비계를 설치하고, 지붕의 상부로 안전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빔을 가로질러 설치하며,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로프를 상기 빔에 연결하여 작업자가 지붕 위에서 작업하다가 추락하더라도 안전로프에 의해 작업자가 추락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계 파이프나 빔은 해체 작업이 이루어지는 건축물마다 조립과 분해 작업을 반복하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신속성이 크게 떨어지고, 석면의 비산을 막기 위한 방진막의 설치 및 분해 작업등이 필요하여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며, 작업자는 여전히 노후된 슬레이트를 직접 밟게 되어 추락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가 해체된 슬레이트를 적재하는 곳까지 직접 들고 이동하여 적재하여야 하므로, 슬레이트 적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2800호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작업자가 노후된 슬레이트를 직접 밟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슬레이트 적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은 건축물의 지붕에 씌워진 슬레이트를 해체하기 위한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으로써, 상측이 개방된 적재칸이 마련된 차량; 상기 적재칸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탱판과, 상기 지탱판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한 쌍씩 배치되고 상기 차량의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지탱부재로 이루어지는 지탱부; 상기 지탱판에 설치되는 크레인; 및 상기 크레인에 연결되고 상기 크레인을 통해 상기 건축물의 지붕으로 이동되며 전방 승강부 및 후방 승강부를 통해 상기 슬레이트 측으로 하강되는 작업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지탱부재는, 상기 적재칸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차량의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돌출 또는 내부로 인입되는 수평로드가 마련된 수평지탱바; 및 상기 수평지탱바의 단부에 설치되고 하측방향으로 돌출 또는 내부로 인입되는 수직로드가 마련된 수직지탱바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로드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크레인은, 상기 지탱판의 상부의 후측부에 수평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대; 상기 선회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내부에 인입된 로드들이 타단부측으로 인출되어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연장대; 상기 연장대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1 회전지지바; 상기 제1 회전지지바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 회전지지바; 상기 제2 회전지지바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인입된 조정로드가 인출됨으로써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연장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는, 상기 크레인에 연결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단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단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단부를 승강시키는 전방승강부;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단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부를 승강시키는 후방승강부;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슬레이트가 적재되는 적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건축물의 지붕과 작업대의 충돌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건축물의 지붕으로부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보호하는 돌출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적재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중심부측인 일측면에 안착면이 형성된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측으로 하강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는 안착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작업대는,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슬레이트의 측부를 지지하여 상기 슬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상기 수직판의 타측면에 전후방향으로 설치되고 내부의 로드들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의 단부에 상기 길이조절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은 작업대가 전방승강부 또는 후방승강부를 통해 슬레이트 지붕 측으로 하강될 수 있으므로, 작업자가 슬레이트 철거 작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은 작업자들이 작업대의 하부프레임에 각각 탑승한 상태로 슬레이트 해체 작업을 실시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노후된 슬레이트를 직접 밟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은 작업자들이 하부프레임의 양측부에 마련된 적재부에 해체된 슬레이트를 적재할 수 있어, 슬레이트 적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을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을 통해 작업대를 슬레이트 지붕에 배치하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의 지탱부, 크레인 및 작업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의 작업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의 작업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의 작업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의 작업대를 나타낸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의 이탈방지부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10)은 슬레이트 지붕을 갖는 건축물의 근처로 차량(100)을 통해 이동되고, 작업대(400)에 작업자가 탑승되며, 크레인(300)에 의해 작업대(400)가 슬레이트 지붕 근처로 이동되며, 작업대(400)가 슬레이트 지붕 측으로 하강되어, 작업자가 건축물의 지붕에 씌워진 슬레이트(ST)를 해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10)은 크레인(300) 및 작업대(400)를 포함할 수 있다.
크레인(300)은 차량(100)의 지탱부(200)에 설치될 수 있다.
차량(100)은 상측이 개방된 적재칸(110)이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차량(100)은 특장차로 마련될 수 있고, 1톤에서 5톤 까지의 화물차를 특장하거나 8톤 이상의 대형 화물차를 특장할 수도 한다.
지탱부(200)는 적재칸(110)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탱판(220)과, 지탱판(220)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한 쌍씩 배치되고 차량(100)의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지탱부재(210)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차량(100)이 건축물 인근에 정차하면, 지탱부(200)는 작동되어 지면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탱부재(210)는 수평지탱바(211) 및 수직지탱바(212)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지탱바(211)는 적재칸(110)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차량(100)의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돌출 또는 내부로 인입되는 수평로드(211a)가 마련될 수 있다. 도2를 참고하면, 수평지탱바(211)가 배치된 방향에 따라, 수평로드(211a)가 차량(100)의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수직지탱바(212)는 수평지탱바(211)의 단부에 설치되고 하측방향으로 돌출 또는 내부로 인입되는 수직로드(212a)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로드(212a)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안착될 수 있다. 또한, 수직로드(212a)의 하단부에는 받침판(212b)이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받침판(212b)은 수직로드(212a)가 지면으로부터 미끌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크레인(300)은 지탱판(220)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크레인(300)은 작업대(400)에 연결되어 작업대(400)를 슬레이트 지붕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크레인(300)은 선회대(310), 연장대(320), 제1 회전지지바(330), 제2 회전지지바(340), 연장바(350)를 포함할 수 있다.
선회대(310)는 지탱판(220)의 상부의 후측에 수평 선회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연장대(320)는 선회대(310)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내부에 인입된 로드들이 타단부측으로 인출되어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장대(320)는 시중에 유통되는 붐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제1 회전지지바(330)는 연장대(320)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연장대(320)의 타단부를 기준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제2 회전지지바(340)는 제1 회전지지바(330)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제1 회전지지바(330)의 타단부를 기준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연장바(350)는 제2 회전지지바(340)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인입된 조정로드가 인출됨으로써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정로드의 단부에는 작업대(400)가 연결될 수 있다.
작업대(400)는 크레인(300)의 단부에 연결되어 승강되어 슬레이트 지붕 측으로 하강될 수 있다.
그리고, 작업대(400)는 턴테이블(410), 상부프레임(420), 하부프레임(430), 전방승강부(440), 후방승강부(450), 보호판(460), 난간(470), 적재부(490)를 포함할 수 있다.
턴테이블(410)은 상단부가 크레인(300)의 단부에 연결되고 크레인(300)의 단부를 기준으로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작업대(400)는 턴테이블(410)을 통해 크레인(300)의 단부로부터 좌우방향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상부프레임(420)은 턴테이블(410)의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하부프레임(430)은 상부프레임(420)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프레임(430)은 작업자가 탑승될 수 있는 바닥판을 제공할 수 있다.
전방승강부(440)는 상부프레임(420)의 전단부와 하부프레임(430)의 전단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승강부(440)는 상단부가 상부프레임(420)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가 하부프레임(43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며 하부프레임(430)의 전단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전방승강부(440)는 전방상부바(441)와 전방하부바(44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전방상부바(441)는 상부프레임(420)의 하부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고 전방하부바(442)는 하부프레임(430)의 상부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며, 전방하부바(442)의 타단부는 전방상부바(441)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전방상부바(441)의 타단부를 기준으로 회전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하부바(442)가 회전이동되는 방향에 따라 전방상부바(441)와 전방하부바(442)가 이루는 각도가 커지거나 작아질 수 있다. 또한, 전방상부바(441)와 전방하부바(442)가 이루는 각도가 커지는 경우, 하부프레임(430)은 하강될 수 있고, 전방상부바(441)와 전방하부바(442)가 이루는 각도가 작아지는 경우, 하부프레임(430)은 상승될 수 있다. 그리고, 전방상부바(441)의 일단부와 전방하부바(442)의 일단부에는 각각 전방상부바(441)와 전방하부바(442)를 회전이동시키는 작동모터(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다.
후방승강부(450)는 상부프레임(420)의 후단부와 하부프레임(430)의 후단부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후방승강부(450)는 상단부가 상부프레임(420)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가 하부프레임(430)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며 하부프레임(430)의 후단부를 승강시킬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후방승강부(450)는 후방상부바(451)와 후방하부바(45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후방상부바(451) 및 후방하부바(452)는 앞에서 설명한 전방상부바(441) 및 전방하부바(442)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되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보호판(460)은 하부프레임(430)의 후단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보호판(460)은 슬레이트 지붕으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할 수 있다.
난간(470)은 하부프레임(430)의 상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난간(470)은 작업자가 중심을 잡는데 이용될 수 있다.
적재부(490)는 하부프레임(430)의 상부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슬레이트(ST)가 적재될 수 있다.
그리고, 적재부(490)는 수직판(491), 및 안착바(492)를 포함할 수 있다.
수직판(491)은 하부프레임(430)의 상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하부프레임(430)의 중심부측인 일측면에 안착면이 형성될 수 있다.
안착바(492)는 수직판(491)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고 하부프레임(430)측으로 하강되어 하부프레임(43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안착바(492)에는 슬레이트(ST)가 안착될 수 있고, 수직판(491)에는 슬레이트(ST)가 기대어 포개질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10)의 작업대(400)는 돌출프레임(480), 이탈방지부(CB)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프레임(480)은 상부프레임(420)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상부프레임(420)의 후측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그리고, 돌출프레임(480)은 작업대(400)가 슬레이트 지붕측으로 이동될 때, 작업대(400)가 슬레이트 지붕에 충돌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돌출프레임(480)은 범퍼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이탈방지부(CB)는 적재부(490)에 적재된 슬레이트(ST)의 측부를 지지하여 슬레이트(ST)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이탈방지부(CB)는 길이조절부(CBa) 및 이탈방지부재(CBb)를 포함할 수 있다.
길이조절부(CBa)는 한 쌍으로 마련되고, 수직판(491)의 타측면에 전후방향으로 각각 설치되며, 내부의 로드들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길이조절부(CBa)는 내부의 로드들을 통해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그리고, 길이조절부(CBa)는 텔레스코프타입으로 마련될 수 있다.
이탈방재부재는 길이조절부(CBa)의 단부에 길이조절부(CBa)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정리하면, 이탈방지부(CB)는 길이조절부(CBa)를 통해 인장된 후, 이탈방재부재가 슬레이트(ST)측으로 회전이동되고 길이조절부(CBa)를 통해 슬레이트(ST)의 측부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이탈방지부(CB)는 적재부(490)에 적재된 슬레이트(ST)의 측부를 지지하여 슬레이트(ST)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10)은 작업대(400)가 턴테이블(410)을 통해 크레인(300)의 단부에서 회전이동될 수 있으므로, 작업대(400)가 슬레이트 지붕 근처에 용이하게 배치될 수 있어,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10)은 작업자들이 작업대(400)의 하부프레임(430)에 각각 탑승한 상태로 슬레이트 해체 작업을 실시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노후된 슬레이트(ST)를 직접 밟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10)는 작업자들이 하부프레임(430)의 양측부에 마련된 적재부(490)에 해체된 슬레이트(ST)를 적재할 수 있어, 슬레이트(ST) 적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100 : 차량 110 : 적재칸
200 : 지탱부 210 : 지탱부재
211 : 수평지탱바 211a : 수평로드
212 : 수직지탱바 212a : 수직로드
212b : 받침판 220 : 지탱판
300 : 크레인 310 : 선회대
320 : 연장대 330 : 제1 회전지지바
340 : 제2 회전지지바 350 : 연장바
400 : 작업대 410 : 턴테이블
420 : 상부프레임 430 : 하부프레임
440 : 전방승강부 441 : 전방상부바
442 : 전방하부바 450 : 후방승강부
451 : 후방상부바 452 : 후방하부바
460 : 보호판 470 : 난간
480 : 돌출프레임 490 : 적재부
491 : 수직판 492 : 안착바
CB : 이탈방지부 CBa : 길이조절부
CBb : 이탈방지부재 ST : 슬레이트

Claims (8)

  1. 건축물의 지붕에 씌워진 슬레이트를 해체하기 위한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으로써,
    상측이 개방된 적재칸이 마련된 차량;
    상기 적재칸의 상부에 설치되는 지탱판과, 상기 지탱판의 전단부 및 후단부에 각각 한 쌍씩 배치되고 상기 차량의 좌측 및 우측방향으로 각각 돌출되는 지탱부재로 이루어지는 지탱부;
    상기 지탱판에 설치되는 크레인; 및
    상기 크레인에 연결되고 상기 크레인을 통해 상기 건축물의 지붕으로 이동되며 전방 승강부 및 후방 승강부를 통해 상기 슬레이트 측으로 하강되는 작업대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는,
    상기 크레인에 연결되는 상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으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하부프레임;
    상기 상부프레임의 전단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단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전단부를 승강시키는 전방승강부;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단부와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부의 사이에 배치되고 상단부가 상기 상부프레임의 하부에 힌지결합되고 하단부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에 힌지결합되며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부를 승강시키는 후방승강부;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의 양측부에 설치되고 슬레이트가 적재되는 적재부;
    상기 하부프레임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건축물의 지붕과 작업대의 충돌로부터 작업자를 보호하는 보호판; 및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의 가장자리에 설치되고 작업자의 추락을 방지하는 난간을 포함하고,
    상기 적재부는,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부로부터 수직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의 중심부측인 일측면에 안착면이 형성된 수직판; 및
    상기 수직판의 하단부에 힌지결합되고 상기 하부프레임측으로 하강되어 상기 하부프레임의 상측에 배치되는 안착바를 포함하고,
    상기 작업대는, 상기 적재부에 적재된 슬레이트의 측부를 지지하여 상기 슬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탈방지부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상기 수직판의 타측면에 전후방향으로 각각 설치되고 텔레스코프타입으로 마련되어 내부의 로드들이 전방 또는 후방으로 돌출되어 길이가 조절되는 길이조절부; 및
    상기 길이조절부의 단부에 상기 길이조절부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회전이동되도록 설치되고 절곡된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슬레이트의 측부에 밀착됨으로써 상기 슬레이트의 측부를 지지하여 상기 슬레이트의 이탈을 방지하는 이탈방지부재를 포함하는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탱부재는,
    상기 적재칸에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차량의 좌측방향 또는 우측방향으로 돌출 또는 내부로 인입되는 수평로드가 마련된 수평지탱바; 및
    상기 수평지탱바의 단부에 설치되고 하측방향으로 돌출 또는 내부로 인입되는 수직로드가 마련된 수직지탱바를 포함하고,
    상기 수직로드는 하측방향으로 돌출되어 지면에 안착되는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레인은,
    상기 지탱판의 상부의 후측부에 수평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선회대;
    상기 선회대에 일단부가 고정되고 내부에 인입된 로드들이 타단부측으로 인출되어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연장대;
    상기 연장대의 타단부에 일단부가 힌지결합되는 제1 회전지지바;
    상기 제1 회전지지바의 타단부에 힌지결합되는 제2 회전지지바;
    상기 제2 회전지지바의 타단부에 연결되고 내부에 인입된 조정로드가 인출됨으로써 길이조정이 가능하도록 마련된 연장바를 포함하는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단부에 설치되고 상기 상부프레임의 후측방향으로 돌출되어 건축물의 지붕으로부터 상부프레임 및 하부프레임을 보호하는 돌출프레임을 포함하는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210141019A 2021-10-21 2021-10-21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KR1026081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019A KR102608197B1 (ko) 2021-10-21 2021-10-21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41019A KR102608197B1 (ko) 2021-10-21 2021-10-21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056A KR20230057056A (ko) 2023-04-28
KR102608197B1 true KR102608197B1 (ko) 2023-11-30

Family

ID=861433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019A KR102608197B1 (ko) 2021-10-21 2021-10-21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60819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434B1 (ko) * 2013-11-25 2014-12-18 김영선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KR101589375B1 (ko) * 2014-05-29 2016-01-27 최재형 지붕작업장치
KR101827625B1 (ko) * 2016-04-01 2018-03-22 최윤상 발판이 있는 지붕작업 장치
KR102018028B1 (ko) * 2019-03-24 2019-09-03 김종하 다목적 크레인 차량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36397A (ja) * 1993-05-27 1994-12-06 Nagano Kogyo Kk 作業用車輌
US6727668B1 (en) 2002-06-19 2004-04-27 Wavecrest Laboratories, Llc Precision brushless motor control utilizing independent phase parameters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73434B1 (ko) * 2013-11-25 2014-12-18 김영선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KR101589375B1 (ko) * 2014-05-29 2016-01-27 최재형 지붕작업장치
KR101827625B1 (ko) * 2016-04-01 2018-03-22 최윤상 발판이 있는 지붕작업 장치
KR102018028B1 (ko) * 2019-03-24 2019-09-03 김종하 다목적 크레인 차량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57056A (ko) 2023-04-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846631B1 (en) Apparatus for use in the construction of buildings
KR20170112789A (ko) 발판이 있는 지붕작업 장치
KR102608197B1 (ko)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JP2004169461A (ja) 構造物解体用自動散水方法とその装置
JP3135373U (ja) 吊下式作業台
KR101473434B1 (ko)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KR20110135791A (ko) 석면 함유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KR102550522B1 (ko) 슬레이트 해체시스템
KR101605992B1 (ko) 협착방지용 고소작업대
JP2010059614A (ja) 工事用足場
EP3517360B1 (en) Side structure of a cargo space
KR102550511B1 (ko) 슬레이트 제거차량용 접이식 버켓
US4050259A (en) Safety shield and temporary roof support
CN111559711B (zh) 一种建筑板材的提升装置及其使用方法
KR200201580Y1 (ko) 낙하물 방호장치
JP6308693B1 (ja) 高所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解体方法、及び壁高欄コンクリートの解体方法
CN211417219U (zh) 重型自卸车顶棚清理安全平台
KR100563241B1 (ko) 터널 굴착장비
KR102267903B1 (ko)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KR102674473B1 (ko) 지붕재 해체용 작업장치
KR200408504Y1 (ko) 이동식 작업대
AU2013203442B2 (en) Screen Module
JP2003192272A (ja) 建設機械
KR100771088B1 (ko) 원터치식 지주간 받침대
JP2021020517A (ja) 荷台転落防止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