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7903B1 -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 Google Patents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7903B1
KR102267903B1 KR1020210011977A KR20210011977A KR102267903B1 KR 102267903 B1 KR102267903 B1 KR 102267903B1 KR 1020210011977 A KR1020210011977 A KR 1020210011977A KR 20210011977 A KR20210011977 A KR 20210011977A KR 102267903 B1 KR102267903 B1 KR 1022679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guide
slate
lifting fram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19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송준희
Original Assignee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전북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119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79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79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79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8Wrecking of build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B66C23/26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for use on building sites; constructed, e.g. with separable parts, to facilitate rapid assembly or dismantling, for operation at successively higher levels, for transport by road or rai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1/00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6F11/04Lif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movable platforms or cabins, e.g. on vehicles, permitting workmen to place themselves in any desired position for carrying out required oper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FHOISTING, LIFTING, HAULING OR PUSH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DEVICES WHICH APPLY A LIFTING OR PUSHING FORCE DIRECTLY TO THE SURFACE OF A LOAD
    • B66F17/00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 B66F17/006Safety devices, e.g. for limiting or indicating lifting force for working platfor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Transportation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는 크레인에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에 의해 승강 및 이동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제2 가이드부; 상기 베이스부 및 제1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승강되고 작업자가 탑승되는 제1 승강부; 상기 베이스부 및 제2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승강되고 작업자가 탑승되는 제2 승강부;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의 좌측에 연결되고 슬레이트가 적재되는 제1 적재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의 우측에 연결되고 상기 슬레이트가 적재되는 제2 적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OPERATING APPARATUS FOR REMOVING SLATE}
본 발명은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해체 작업에는 분진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안전한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주요 관건으로 하고 있다.
특히, 슬레이트와 같은 석면이 함유된 지붕의 해체는 석면 분진이 발생되지 않도록 깨뜨리지 않고 해체되도록 규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붕의 해체를 위해서는 작업자가 지붕의 상부에 올라가 지붕을 깨뜨리지 않고 해체하여야만 한다.
즉, 종래에는 슬레이트가 설치된 건축물의 상부로 작업자가 올라가 별도의 도구(절단용구)를 이용하여 슬레이트를 고정하는 못 등과 같은 고정부재의 상단을 절단 또는 제거한 후 상기 슬레이트를 지붕으로부터 분리하고 있다.
그런데, 해체되는 지붕이 노후화됨에 따라 작업자가 작업 도중 추락사고가 발생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지붕 해체 작업에서는 작업자의 안전을 위한 규제가 많이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작업자의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주로 사용되는 지붕 해체 작업 방법은 건물을 포위하는 비계를 설치하고, 지붕의 상부로 안전로프를 연결하기 위한 빔을 가로질러 설치하며, 작업자가 착용한 안전로프를 상기 빔에 연결하여 작업자가 지붕 위에서 작업하다가 추락하더라도 안전로프에 의해 작업자가 추락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이 사용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비계 파이프나 빔은 해체 작업이 이루어지는 건축물마다 조립과 분해 작업을 반복하면서 진행되기 때문에 신속성이 크게 떨어지고, 석면의 비산을 막기 위한 방진막의 설치 및 분해 작업등이 필요하여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모되기 때문에 비효율적이며, 작업자는 여전히 노후된 슬레이트를 직접 밟게 되어 추락의 위험성이 매우 높은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작업자가 해체된 슬레이트를 적재하는 곳까지 직접 들고 이동하여 적재하여야 하므로, 슬레이트 적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5-0012800호
상기와 같은 기술적 배경을 바탕으로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작업자가 노후된 슬레이트를 직접 밟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고, 슬레이트 적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는 크레인에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에 의해 승강 및 이동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제2 가이드부; 상기 베이스부 및 제1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승강되고 작업자가 탑승되는 제1 승강부; 상기 베이스부 및 제2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승강되고 작업자가 탑승되는 제2 승강부;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의 좌측에 연결되고 슬레이트가 적재되는 제1 적재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의 우측에 연결되고 상기 슬레이트가 적재되는 제2 적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가이드부, 제2 승강부 및 제2 적재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 제1 승강부 및 제1 적재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는, 상부 중심부에 상기 크레인에 연결되는 고정턱이 마련된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데,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 좌측 모퉁이로부터 전방 우측 모퉁이, 후방 우측 모퉁이, 후방 좌측 모퉁이 순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지지대, 제2 지지대, 제3 지지대, 제4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지지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1 좌측바; 상기 제1 좌측바의 우측에 연결되고 우측이 개방된 제1 우측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 좌측 가이드바; 상기 제2 지지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1 우측바; 및 상기 제1 우측바의 좌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측 가이드홈과 마주보도록 좌측이 개방된 제1 좌측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 우측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4 지지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2 좌측바; 상기 제2 좌측바의 우측에 연결되고 우측이 개방된 제2 우측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 좌측 가이드바; 상기 제3 지지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2 우측바; 및 상기 제2 우측바의 좌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측 가이드홈과 마주보도록 좌측이 개방된 제2 좌측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 우측 가이드바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1 모터;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제1 롤러가 마련된 제1 고정축; 상기 제1 우측 가이드홈 및 제1 좌측 가이드홈에 양측부가 각각 삽입되는 제1 승강틀; 상기 제1 승강틀의 하단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탑승되는 제1 승강판; 및 상기 제1 모터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 롤러를 거쳐 상기 제1 승강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1 승강틀을 연결시키는 제1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승강틀 및 제1 승강판은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제1 승강틀은 상기 제1 좌측 가이드바 및 제1 우측 가이드바에 의해 전후 유동 및 좌우 유동이 방지되고, 상기 제2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후방측에 배치되는 제2 모터; 상기 제3 지지대 및 제4 지지대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제2 롤러가 마련된 제2 고정축; 상기 제2 우측 가이드홈 및 제2 좌측 가이드홈에 양측부가 각각 삽입되는 제2 승강틀; 상기 제2 승강틀의 하단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탑승되는 제2 승강판; 및 상기 제2 모터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 롤러를 거쳐 상기 제2 승강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2 모터와 상기 제2 승강틀을 연결시키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승강틀 및 제2 승강판은 상기 제2 모터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제2 승강틀은 상기 제2 좌측 가이드바 및 제2 우측 가이드바에 의해 전후 유동 및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적재부는, 상기 제1 좌측 가이드바 및 제2 좌측 가이드바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고정바; 상기 제1 고정바의 우측부로부터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연결되고 상기 슬레이트가 적재되는 제1 적재판; 및 상기 제1 고정바의 상부로부터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적재부는, 상기 제1 우측 가이드바 및 제2 우측 가이드바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고정바; 상기 제2 고정바의 좌측부로부터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연결되고 상기 슬레이트가 적재되는 제2 적재판; 및 상기 제2 고정바의 상부로부터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고정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적재판 및 제2 적재판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권취된 와이어와 권취스프링이 구비된 지지릴; 및 상기 지지릴에 구비된 와이어에 연결되는 지지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고리는 상기 제1 고정대 또는 제2 고정대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릴은 상기 권취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지지고리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겨 상기 제1 적재판 또는 제2 적재판에 적재된 슬레이트를 가압하여 상기 슬레이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승강틀의 상단 전방측 및 제2 승강틀의 상단 후방측에 각각 설치되는 걸림봉; 및 상기 제1 좌측 가이드바의 하단 전방측, 제1 우측 가이드바의 하단 전방측, 제2 좌측 가이드바의 하단 후방측 및 제2 우측 가이드바의 하단 후방측에 각각 설치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 또는 제2 와이어가 끊어지는 경우, 상기 걸림봉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1 승강틀 또는 제2 승강틀이 지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좌측바 및 제2 좌측바에 각각 설치되는 알람부; 및 상기 걸림턱에 배치되고 상기 알람부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봉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알람부에 전달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작동스위치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빛 및/또는 소리를 발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는 작업자들이 제1 승강부 및 제2 승강부에 각각 탑승한 상태로 슬레이트 해체 작업을 실시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노후된 슬레이트를 직접 밟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는 작업자들이 제1 승강부 및 제2 승강부의 좌측에 배치된 제1 적재부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제2 적재부에 해체된 슬레이트를 적재할 수 있어, 슬레이트 적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작업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를 나타낸 것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 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는 작업자가 탑승되고, 크레인에 연결되어 크레인에 의해 승강 및 이동되어 건축물의 지붕에 씌워진 슬레이트를 해체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10)는 베이스부(100), 제1 가이드부(200), 제2 가이드부(300), 제1 승강부(400), 제2 승강부(500), 제1 적재부(600), 제2 적재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제2 가이드부(300), 제2 승강부(500) 및 제2 적재부(700)는 제1 가이드부(200), 제1 승강부(400) 및 제1 적재부(600)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크레인에 연결되어 크레인에 의해 승강 및 이동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베이스부(100)는 베이스판(110), 제1 지지대(120), 제2 지지대(130), 제3 지지대(140), 제4 지지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판(110)은 상부 중심부에 크레인에 연결되는 고정턱(111)이 마련되어, 크레인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지지대(120), 제2 지지대(130), 제3 지지대(140), 제4 지지대(150)는 베이스판(110)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데, 베이스판(110)의 전방 좌측 모퉁이로부터 전방 우측 모퉁이, 후방 우측 모퉁이, 후방 좌측 모퉁이 순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가이드부(200)는 베이스부(100)의 전방측에 연결될 수 있다.
좀 더 자세히 말하자면, 제1 가이드부(200)는 제1 좌측바(210), 제1 좌측 가이드바(220), 제1 우측바(230), 제1 우측 가이드바(2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좌측바(210)는 제1 지지대(12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좌측 가이드바(220)는 제1 좌측바(210)의 우측에 연결되고 우측이 개방된 제1 우측 가이드홈(220h)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우측바(230)는 제2 지지대(13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우측 가이드바(240)는 제1 우측바(230)의 좌측에 연결되고 제1 우측 가이드홈(220h)과 마주보도록 좌측이 개방된 제1 좌측 가이드홈(240h)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가이드부(300)는 베이스부(100)의 후방측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가이드부(300)는, 제2 좌측바(310), 제2 좌측 가이드바(320), 제2 우측바(330), 제2 우측 가이드바(3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좌측바(310)는 제4 지지대(15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좌측 가이드바(320)는 제2 좌측바(310)의 우측에 연결되고 우측이 개방된 제2 우측 가이드홈(320h)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우측바(330)는 제3 지지대(140)의 하측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우측 가이드바(340)는 제2 우측바(330)의 좌측에 연결되고 제2 우측 가이드홈(320h)과 마주보도록 좌측이 개방된 제2 좌측 가이드홈(340h)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승강부(400)는 베이스부(100) 및 제1 가이드부(200)에 연결되어 승강되고 작업자가 탑승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승강부(400)는 제1 모터(410), 제1 고정축(420), 제1 승강틀(430), 제1 승강판(440), 제1 와이어(4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터(410)는 베이스판(110)의 상부 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고정축(420)은 양단부가 제1 지지대(120) 및 제2 지지대(130)에 각각 고정되고 중심부에 제1 롤러(42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승강틀(430)은 제1 우측 가이드홈(220h) 및 제1 좌측 가이드홈(240h)에 양측부가 각각 삽입된 상태로 승강될 수 있다.
제1 승강판(440)은 제1 승강틀(430)의 하단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탑승될 수 있다.
제1 와이어(450)는 제1 모터(41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제1 롤러(421)를 거쳐 제1 승강틀(430)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제1 모터(410)와 제1 승강틀(43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제1 승강틀(430) 및 제1 승강판(440)은 제1 모터(41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승강틀(430)은 승강시, 제1 좌측 가이드바(220) 및 제1 우측 가이드바(240)에 의해 전후 유동 및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어,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제2 승강부(500)는 이스부 및 제2 가이드부(300)에 연결되어 승강되고 작업자가 탑승될 수 있다.
또한, 제2 승강부(500)는 제2 모터(510), 제2 고정축(520), 제2 승강틀(530), 제2 승강판(540), 제2 와이어(5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모터(510)는 베이스판(110)의 상부 후방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고정축(520)은 양단부가 제3 지지대(140) 및 제4 지지대(150)에 각각 고정되고 중심부에 제2 롤러(521)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승강틀(530)은 제2 우측 가이드홈(320h) 및 제2 좌측 가이드홈(340h)에 양측부가 각각 삽입되어 승강될 수 있다.
제2 승강판(540)은 제2 승강틀(530)의 하단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탑승될 수 있다.
제2 와이어(550)는 제2 모터(510)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제2 롤러(521)를 거쳐 제2 승강틀(530)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제2 모터(510)와 제2 승강틀(530)을 연결시킬 수 있다.
정리하면, 제2 승강틀(530) 및 제2 승강판(540)은 제2 모터(510)에 의해 승강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승강틀(530)은 승강시, 제2 좌측 가이드바(320) 및 제2 우측 가이드바(340)에 의해 전후 유동 및 좌우 유동이 방지될 수 있어,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제1 적재부(600)는 제1 가이드부(200) 및 제2 가이드부(300)의 좌측에 연결되고 슬레이트가 적재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적재부(600)는 제1 고정바(610), 제1 적재판(620), 제1 고정대(6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바(610)는 양단부가 제1 좌측 가이드바(220) 및 제2 좌측 가이드바(320)의 하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1 적재판(620)은 제1 고정바(610)의 우측부로부터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연결되고 슬레이트가 적재될 수 있다.
제1 고정대(6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고, 제1 고정바(610)의 상부로부터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고정대(630)에는 제1 적재판(620)에 적재되는 슬레이트가 기대어 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작업자는 슬레이트의 하부를 제1 적재판(620)에 안착시키고 슬레이트의 상부가 제1 고정대(630)에 기대어지도록 슬레이트를 제1 적재부(600)에 적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1 적재부(600)에 슬레이트를 겹쳐 놓을 수 있다.
제2 적재부(700)는 제1 가이드부(200) 및 제2 가이드부(300)의 우측에 연결되고 슬레이트가 적재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적재부(700)는 제2 고정바(710), 제2 적재판(720), 제2 고정대(7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고정바(710)는 양단부가 제1 우측 가이드바(240) 및 제2 우측 가이드바(340)의 하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제2 적재판(720)은 제2 고정바(710)의 좌측부로부터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연결되고 슬레이트가 적재될 수 있다.
제2 고정대(730)는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마련되고, 제2 고정바(710)의 상부로부터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고정대(730)에는 제2 적재판(720)에 적재되는 슬레이트가 기대어 질 수 있다.
다시 말해, 작업자는 슬레이트의 하부를 제2 적재판(720)에 안착시키고 슬레이트의 상부가 제2 고정대(730)에 기대어지도록 슬레이트를 제2 적재부(700)에 적재시킬 수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제2 적재부(700)에 슬레이트를 겹쳐 놓을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10)는 지지릴(810) 및 지지고리(820)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릴(810)은 제1 적재판(620) 및 제2 적재판(720)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권취된 와이어(811)와 권취스프링(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지지고리(820)는 지지릴(810)에 구비된 와이어(811)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고리(820)는 제1 고정대(630) 또는 제2 고정대(730)에 연결되도록 갈고리형상으로 마련되거나, 걸림홀(820h)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지지고리(820)는 제1 고정대(630) 또는 제2 고정대(730)에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릴(810)은 권취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지지고리(820)에 연결된 와이어(811)를 당겨 제1 적재판(620) 또는 제2 적재판(720)에 적재된 슬레이트를 가압하여 슬레이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10)는 걸림봉(BK), 걸림턱(AK), 알람부(AR) 및 작동스위치(ARs)를 포함할 수 있다.
걸림봉(BK)은 제1 승강틀(430)의 상단 전방측 및 제2 승강틀(530)의 상단 후방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걸림턱(AK)은 제1 좌측 가이드바(220)의 하단 전방측, 제1 우측 가이드바(240)의 하단 전방측, 제2 좌측 가이드바(320)의 하단 후방측 및 제2 우측 가이드바(340)의 하단 후방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와이어(450) 또는 제2 와이어(550)가 끊어지는 경우, 걸림봉(BK)은 걸림턱(AK)에 걸려 제1 승강틀(430) 또는 제2 승강틀(530)이 지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승강틀(430) 또는 제2 승강틀(530)에 탑승한 작업자의 추락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알람부(AR)는 제1 좌측바(210) 및 제2 좌측바(31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작동스위치(ARs)는 걸림턱(AK)에 배치되고 알람부(AR)에 연결되며 걸림봉(BK)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신호를 생성하여 알람부(AR)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알람부(AR)는 작동스위치(ARs)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빛 및/또는 소리를 발산하여 사고발생을 알릴 수 있다. 또한, 알람부(AR)는 LED, 스피커 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10)는 작업자들이 제1 승강부(400) 및 제2 승강부(500)에 각각 탑승한 상태로 슬레이트 해체 작업을 실시하게 되므로, 작업자가 노후된 슬레이트를 직접 밟지 않게 되어 작업자의 추락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10)는 작업자들이 제1 승강부(400) 및 제2 승강부(500)의 좌측에 배치된 제1 적재부(600) 또는 우측에 배치된 제2 적재부(700)에 해체된 슬레이트를 적재할 수 있어, 슬레이트 적재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을 앞서 기재한 바에 따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에 기재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개념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자들은 쉽게 이해할 것이다.
10 :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100 : 베이스부 110 : 베이스판
120 : 제1 지지대 130 : 제2 지지대
140 : 제3 지지대 150 : 제4 지지대
200 : 제1 가이드부 210 : 제1 좌측바
220 : 제1 좌측 가이드바 220h : 제1 우측 가이드홈
230 : 제1 우측바 240 : 제1 우측 가이드바
240h : 제1 좌측 가이드홈 300 : 제2 가이드부
310 : 제2 좌측바 320 : 제2 좌측 가이드바
320h : 제2 우측 가이드홈 330 : 제2 우측바
340 : 제2 우측 가이드바 340h : 제2 좌측 가이드홈
400 : 제1 승강부 410 : 제1 모터
420 : 제1 고정축 421 : 제1 롤러
430 : 제1 승강틀 440 : 제1 승강판
450 : 제1 와이어 500 : 제2 승강부
510 : 제2 모터 520 : 제2 고정축
521 : 제2 롤러 530 : 제2 승강틀
540 : 제2 승강판 550 : 제2 와이어
600 : 제1 적재부 610 : 제1 고정바
620 : 제1 적재판 630 : 제1 고정대
700 : 제2 적재부 710 : 제2 고정바
720 : 제2 적재판 730 : 제2 고정대
810 : 지지릴 811 : 와이어
820 : 지지고리 BK : 걸림봉
AK : 걸림턱 AR : 알람부
ARs : 작동스위치

Claims (9)

  1. 크레인에 연결되어 상기 크레인에 의해 승강 및 이동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전방측에 연결되는 제1 가이드부;
    상기 베이스부의 후방측에 연결되는 제2 가이드부;
    상기 베이스부 및 제1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승강되고 작업자가 탑승되는 제1 승강부;
    상기 베이스부 및 제2 가이드부에 연결되어 승강되고 작업자가 탑승되는 제2 승강부;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의 좌측에 연결되고 슬레이트가 적재되는 제1 적재부; 및
    상기 제1 가이드부 및 제2 가이드부의 우측에 연결되고 상기 슬레이트가 적재되는 제2 적재부를 포함하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부 중심부에 상기 크레인에 연결되는 고정턱이 마련된 베이스판; 및
    상기 베이스판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데, 상기 베이스판의 전방 좌측 모퉁이로부터 전방 우측 모퉁이, 후방 우측 모퉁이, 후방 좌측 모퉁이 순으로 각각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제1 지지대, 제2 지지대, 제3 지지대, 제4 지지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가이드부는,
    상기 제1 지지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1 좌측바;
    상기 제1 좌측바의 우측에 연결되고 우측이 개방된 제1 우측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 좌측 가이드바;
    상기 제2 지지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1 우측바; 및
    상기 제1 우측바의 좌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1 우측 가이드홈과 마주보도록 좌측이 개방된 제1 좌측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1 우측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2 가이드부는,
    상기 제4 지지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2 좌측바;
    상기 제2 좌측바의 우측에 연결되고 우측이 개방된 제2 우측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 좌측 가이드바;
    상기 제3 지지대의 하측에 연결되는 제2 우측바; 및
    상기 제2 우측바의 좌측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우측 가이드홈과 마주보도록 좌측이 개방된 제2 좌측 가이드홈이 형성된 제2 우측 가이드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전방측에 배치되는 제1 모터;
    상기 제1 지지대 및 제2 지지대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제1 롤러가 마련된 제1 고정축;
    상기 제1 우측 가이드홈 및 제1 좌측 가이드홈에 양측부가 각각 삽입되는 제1 승강틀;
    상기 제1 승강틀의 하단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탑승되는 제1 승강판; 및
    상기 제1 모터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1 롤러를 거쳐 상기 제1 승강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1 모터와 상기 제1 승강틀을 연결시키는 제1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승강틀 및 제1 승강판은 상기 제1 모터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제1 승강틀은 상기 제1 좌측 가이드바 및 제1 우측 가이드바에 의해 전후 유동 및 좌우 유동이 방지되고,
    상기 제2 승강부는,
    상기 베이스판의 상부 후방측에 배치되는 제2 모터;
    상기 제3 지지대 및 제4 지지대에 고정되고 중심부에 제2 롤러가 마련된 제2 고정축;
    상기 제2 우측 가이드홈 및 제2 좌측 가이드홈에 양측부가 각각 삽입되는 제2 승강틀;
    상기 제2 승강틀의 하단에 연결되고 작업자가 탑승되는 제2 승강판; 및
    상기 제2 모터에 일단부가 연결되고 상기 제2 롤러를 거쳐 상기 제2 승강틀에 타단부가 연결되어 상기 제2 모터와 상기 제2 승강틀을 연결시키는 제2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승강틀 및 제2 승강판은 상기 제2 모터에 의해 승강되며,
    상기 제2 승강틀은 상기 제2 좌측 가이드바 및 제2 우측 가이드바에 의해 전후 유동 및 좌우 유동이 방지되는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가이드부, 제2 승강부 및 제2 적재부는 상기 제1 가이드부, 제1 승강부 및 제1 적재부와 동일한 구성으로 마련되는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부는,
    상기 제1 좌측 가이드바 및 제2 좌측 가이드바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1 고정바;
    상기 제1 고정바의 우측부로부터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연결되고 상기 슬레이트가 적재되는 제1 적재판; 및
    상기 제1 고정바의 상부로부터 좌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1 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적재부는,
    상기 제1 우측 가이드바 및 제2 우측 가이드바의 하부에 연결되는 제2 고정바;
    상기 제2 고정바의 좌측부로부터 상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연결되고 상기 슬레이트가 적재되는 제2 적재판; 및
    상기 제2 고정바의 상부로부터 우측으로 기울어지도록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제2 고정대를 포함하는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적재판 및 제2 적재판의 하부에 각각 설치되고 권취된 와이어와 권취스프링이 구비된 지지릴; 및
    상기 지지릴에 구비된 와이어에 연결되는 지지고리를 포함하고,
    상기 지지고리는 상기 제1 고정대 또는 제2 고정대에 연결되며,
    상기 지지릴은 상기 권취스프링의 탄성력을 통해 상기 지지고리에 연결된 와이어를 당겨 상기 제1 적재판 또는 제2 적재판에 적재된 슬레이트를 가압하여 상기 슬레이트가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승강틀의 상단 전방측 및 제2 승강틀의 상단 후방측에 각각 설치되는 걸림봉; 및
    상기 제1 좌측 가이드바의 하단 전방측, 제1 우측 가이드바의 하단 전방측, 제2 좌측 가이드바의 하단 후방측 및 제2 우측 가이드바의 하단 후방측에 각각 설치되는 걸림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이어 또는 제2 와이어가 끊어지는 경우, 상기 걸림봉은 상기 걸림턱에 걸려 상기 제1 승강틀 또는 제2 승강틀이 지면으로 추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좌측바 및 제2 좌측바에 각각 설치되는 알람부; 및
    상기 걸림턱에 배치되고 상기 알람부에 연결되며 상기 걸림봉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알람부에 전달하는 작동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알람부는 상기 작동스위치로부터 작동신호를 전달받아 빛 및/또는 소리를 발산하는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KR1020210011977A 2021-01-28 2021-01-28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KR1022679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977A KR102267903B1 (ko) 2021-01-28 2021-01-28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1977A KR102267903B1 (ko) 2021-01-28 2021-01-28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7903B1 true KR102267903B1 (ko) 2021-06-21

Family

ID=765997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1977A KR102267903B1 (ko) 2021-01-28 2021-01-28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7903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113Y1 (ko) * 1996-06-14 1998-12-01 천경수 계단이 부설된 승강장치
KR19990036921U (ko) * 1999-03-17 1999-10-05 허대진 파렛트의짐고정용벨트구조
KR20050012800A (ko) 2002-06-19 2005-02-02 웨이브크레스트 래버러토리스, 엘엘씨 독립 위상 파라미터를 이용한 브러쉬리스 모터 제어
KR100923639B1 (ko) * 2009-06-01 2009-10-23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473434B1 (ko) * 2013-11-25 2014-12-18 김영선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KR20170112789A (ko) * 2016-04-01 2017-10-12 최윤상 발판이 있는 지붕작업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28113Y1 (ko) * 1996-06-14 1998-12-01 천경수 계단이 부설된 승강장치
KR19990036921U (ko) * 1999-03-17 1999-10-05 허대진 파렛트의짐고정용벨트구조
KR20050012800A (ko) 2002-06-19 2005-02-02 웨이브크레스트 래버러토리스, 엘엘씨 독립 위상 파라미터를 이용한 브러쉬리스 모터 제어
KR100923639B1 (ko) * 2009-06-01 2009-10-23 류순모 화재 피난용 안전 난간대
KR101473434B1 (ko) * 2013-11-25 2014-12-18 김영선 슬레이트 지붕 해체용 작업 장치
KR20170112789A (ko) * 2016-04-01 2017-10-12 최윤상 발판이 있는 지붕작업 장치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블러그(2018.01.0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McCann Deaths in construction related to personnel lifts, 1992–1999
KR101812231B1 (ko) 과 상승 방지장치를 포함하는 고소작업대 및 이를 운용하는 방법
KR102267903B1 (ko) 슬레이트 해체용 작업장치
JPH05330752A (ja) エレベータの保守点検安全装置
KR102056565B1 (ko) 고층건물 페인트 스프레이 방진막 장치
KR20210039624A (ko) 철탑 추락방지용 안전장치 및 그 설치방법
JP4714203B2 (ja) 防護ネットの施工方法
JP6873718B2 (ja) 床版部材の解体方法
JP4927556B2 (ja) エレベータ装置
JP2011051742A (ja) エレベータシステムのリニューアル工事に係る重量物揚重方法
JP6485985B1 (ja) 特殊伐採技術の学習方法
JP3994631B2 (ja) エレベータの主ロープ伸び調整方法
KR20220008104A (ko) 업다운 도어의 급락 방지장치
KR20100071518A (ko) 석면이 함유된 슬레이트 지붕 제거 장치 및 방법
US3970287A (en) Guide block for a cable
KR102608197B1 (ko) 슬레이트 지붕 철거시스템
KR100750627B1 (ko) 석면함유 지붕 철거 작업 방법 및 석면함유 지붕 철거작업용 답판
KR20210084924A (ko) 임시 엘리베이터 카의 조속기 작동 장치
JPH10203751A (ja) 2:1ローピングエレベータの主索交換方法及びその装置
KR102550522B1 (ko) 슬레이트 해체시스템
JP2849269B2 (ja) エレベーターの主索交換方法
JP2019208626A (ja) 足場用落下防止具
JP2000351569A (ja) 保守作業用足場装置
JPH10203750A (ja) エレベータ用ロープの交換治具
JPH05262475A (ja) エレベータの据付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