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06799B1 - 폴리-adp 리보스 폴리머라제 (parp) 억제제 - Google Patents

폴리-adp 리보스 폴리머라제 (parp) 억제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06799B1
KR102606799B1 KR1020197021891A KR20197021891A KR102606799B1 KR 102606799 B1 KR102606799 B1 KR 102606799B1 KR 1020197021891 A KR1020197021891 A KR 1020197021891A KR 20197021891 A KR20197021891 A KR 20197021891A KR 102606799 B1 KR102606799 B1 KR 1026067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ol
alkyl
disease
optionally substituted
ox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18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8760A (ko
Inventor
다이스케 다카하시
아서 클루지
바라트 라구
난 지
Original Assignee
미토브리지,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토브리지, 인크. filed Critical 미토브리지, 인크.
Publication of KR20190098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8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067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067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3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 C07D239/7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1,3-diazine or hydrogenated 1,3-diazine ring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or ring systems
    • C07D239/72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 C07D239/74Quinazolines; Hydrogenated quinazolines with only hydrogen atoms, hydrocarbon or substituted hydrocarbon radicals,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of the hetero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7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 systems, e.g. quinazoline, perimid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 A61P13/12Drugs for disorders of the urinary system of the kidne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uscular or neuromu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00Drugs for disorders of the metabolis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1/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li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6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li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5/1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romat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C07D405/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both one or more hetero rings having oxy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nd one or more rings having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17/08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arbon chain containing alicyclic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1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 C07D417/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at least one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15/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Neur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iabetes (AREA)
  • Hematology (AREA)
  • Obesit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Cardi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 및 하기 구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ADP-리보스)폴리머라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가변기의 정의는 본원에 제공된다.
Figure 112019076358104-pct00244

Description

폴리-ADP 리보스 폴리머라제 (PARP) 억제제
관련 출원에 대한 상호-참조
본 출원은 2016년 12월 30일에 출원된 미국 가출원 번호 62/440,581의 이익을 주장한다. 상기 언급된 출원의 전체 교시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발명의 분야
본 출원은 폴리(ADP-리보스)폴리머라제 (PARP)의 억제제, 특히 PARP-1 억제제, 및 예컨대 1종 이상의 PARP-관련 질환을 치료 또는 예방하기 위한 그의 사용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핵 효소 폴리(ADP-리보스) 폴리머라제-1 (PARP-1)은 PARP 효소 패밀리의 구성원이다. 효소의 이러한 증가하고 있는 패밀리는 PARP 예컨대, 예를 들어: PARP-1, PARP-2, PARP-3 및 볼트(Vault)-PARP로 이루어진다.
PARP는 DNA 가닥 파괴의 복구에서 역할을 하고, 따라서 그의 억제는 암 치료에 대한 확립된 접근법이다. PARP 억제는 DNA 손상 치료, 예컨대 이온화 방사선과 조합되는 경우에 또는 DNA 손상 작용제 예컨대 메틸화제, 토포이소머라제 I 억제제 및 다른 화학요법제 예컨대 시스플라틴 및 블레오마이신으로 치료한 후에 특히 효과적일 수 있다. PARP 효소 활성의 억제는 DNA 손상 치료에 대한 종양 세포의 증진된 감수성으로 이어질 것이다. PARP 억제제는, 아마도 DNA 가닥 절단부 재연결을 막는 그의 능력에 의해 및 여러 DNA 손상 신호전달 경로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종양 세포가 방사선 요법 후의 DNA의 잠재적 치사 및 준치사 손상으로부터 회복하는 것을 막는 데 효과적이고 방사선증감 (저산소성) 종양 세포에서 효과적일 것으로 보고되었다.
PARP-2의 억제는 산화성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를 제공할 수 있다 (문헌 [Szanto, et al., Cell Mol. Life Sci. 69:4079 (2012)] 참조). 이에 따라, PARP 억제제는 산화성 스트레스를 특징으로 하는 질환 (예를 들어, 허혈-재관류 손상, 염증성 질환, 화상, 파킨슨증, 헌팅턴병, 알츠하이머병 및 독성 손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PARP-1 및 PARP-2는 염증유발성이다 (문헌 [Rosado et al., Immunology 139:428 (2013)] 참조). 이에 따라, 그의 억제는 예를 들어 천식, 관절염, 결장염, 만성 폐쇄성 폐 질환 (COPD), 급성 호흡 곤란 증후군 (ARDS), 아테롬성동맥경화증, 심근경색 후 심장 재형성, 패혈증, 내독소성 쇼크, 출혈성 쇼크, 이식편-대-숙주 질환, 뇌척수염 및 자가면역 신염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PARP 억제는 또한 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문헌 [Atasheva et al., J. Virol. 88:2116 (2014) 및 Virag and Szabo Pharmacol. Rev. 54:375 (2002)] 참조), 예를 들어, 인간 면역 결핍 바이러스 1, 베네수엘라 말 뇌염 바이러스, 단순 포진 바이러스, 인간 B형 간염 바이러스, 및 인간 시토메갈로바이러스 감염에 대해 보호할 수 있다 (Virag and Szabo Pharmacol. Rev. 54:375 (2002)).
PARP는 글루코스 항상성의 제어에 수반된다 (문헌 [Bai and Canto Cell Metab. 16:290 (2012), Riffel et al., Nat. Rev. Drug Discovery 11:923 (2012) 및 Yeh et al., Diabetes 58:2476 (2009)] 참조). 예를 들어, PARP-1 억제는 글루코스 처리 및 인슐린 감수성을 개선시킨다 (문헌 [Bai and Canto Cell Metab. 16:290 (2012) 및 Pirinen et al., Cell Metab. 19:1034 (2014)] 참조). 이에 따라, PARP 억제는 질환 및 상태 예컨대 대사 증후군 및 제II형 당뇨병 및 그의 후속 합병증 예컨대 당뇨병성 신경계, 신장 및 안구 합병증을 치료하는 데 유용하다.
이에 따라, 이들 및 다른 치료 적응증을 위한 새롭고 개선된 PARP 억제제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본 출원인은 본 발명에 이르러 PARP의 효과적인 억제제인 신규 화합물을 발견하였다 (실시예 1-53 참조). 특히, 이들은 PARP-2에 비해 PARP-1에 대한 선택적 억제 활성을 갖는다 (실시예 54 참조). 추가적으로, 이들 PARP 억제제 중 일부가 세포 내 NAD+의 양을 증가시키는 데 유용한 것으로 입증되었다 (실시예 55 참조).
제1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 및 하기 구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9076358104-pct00001
여기서:
고리 A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임의로 치환된 5-6원 헤테로아릴이고;
고리 B는 아릴, 5-6원 헤테로아릴 또는 5-6원 헤테로시클릴이며, 각각 R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는 부재하거나 또는 결합이고;
"---- "가 부재하는 경우에 E는 N 또는 CH이거나 또는 "----"가 결합인 경우에 E는 C이고;
Figure 112019076358104-pct00002
는 (C1-C5)알킬 또는 히드록시 (C1-C5)알킬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NO2, -ORd, -NReRf, -S(O)iRe, -C(=NRe)NReRf, -NReS(O)iRf, -S(O)iNReRf, -C(=O)ORe, -OC(=O)ORe, -C(=S)ORe, -O(C=S)Re, -C(=O)NReRf, -NReC(=O)Rf, -C(=S)NReRf, -NReC(=S)Rf, -NRe(C=O)ORf, -O(C=O)NReRf, -NRe(C=S)ORf, -O(C=S)NReRf, -NRe(C=O)NReRf, -NRe(C=S)NReRf, -C(=S)Re, -C(=O)Re, 할로(C1-C5)알킬, 및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C1-C5)알킬은 -CN, -NO2, -ORe, -NReRf, -S(O)iRe, -NReS(O)iRf, -S(O)iNReRf, -C(=O)ORe, -OC(=O)ORe, -C(=S)ORe, -O(C=S)Re, -C(=O)NReRf, -NReC(=O)Rf, -C(=S)NReRf, -NReC(=S)Rf, -NRe(C=O)ORf, -O(C=O)NReRf, -NRe(C=S)ORf, -O(C=S)NReRf, -NRe(C=O)NReRf, -NRe(C=S)NReRf, -C(=S)Re, 또는 -C(=O)Re로 임의로 치환되고;
Rd는 -H, 할로(C1-C5)알킬 또는 (C1-C5)알킬이며, 여기서 (C1-C5)알킬은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e는 독립적으로 -H, 및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된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된 (C1-C5)알킬, (C1-C2)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C3-C6)시클로알킬, 및 (C1-C2)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4-6원 산소-함유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NReRf는 함께 (C1-C2)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4-6원 헤테로시클릴이거나; 또는
-C(=NRe)NReRf는 함께 Re로 임의로 치환된 4-6원 헤테로시클릴이고;
R5는 -H 또는 (C1-C5)알킬이고;
i는 0, 1, 또는 2이다.
제2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이전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하기 구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거나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Figure 112019076358104-pct00003
여기서:
고리 A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임의로 치환된 5-6원 헤테로아릴이고;
고리 B는 아릴, 5-6원 헤테로아릴 또는 5-6원 헤테로시클릴이며, 각각 R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는 부재하거나 또는 결합이고;
"---- "가 부재하는 경우에 E는 N 또는 CH이거나 또는 "----"가 결합인 경우에 E는 C이고;
Figure 112019076358104-pct00004
는 (C1-C5)알킬 또는 히드록시 (C1-C5)알킬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NO2, -ORd, -NReRf, -S(O)iRe, -C(=NRe)NReRf, -NReS(O)iRf, -S(O)iNReRf, -C(=O)ORe, -OC(=O)ORe, -C(=S)ORe, -O(C=S)Re, -C(=O)NReRf, -NReC(=O)Rf, -C(=S)NReRf, -NReC(=S)Rf, -NRe(C=O)ORf, -O(C=O)NReRf, -NRe(C=S)ORf, -O(C=S)NReRf, -NRe(C=O)NReRf, -NRe(C=S)NReRf, -C(=S)Re, -C(=O)Re, 할로(C1-C5)알킬 및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C1-C5)알킬은 -CN, -NO2, -ORe, -NReRf, -S(O)iRe, -NReS(O)iRf, -S(O)iNReRf, -C(=O)ORe, -OC(=O)ORe, -C(=S)ORe, -O(C=S)Re, -C(=O)NReRf, -NReC(=O)Rf, -C(=S)NReRf, -NReC(=S)Rf, -NRe(C=O)ORf, -O(C=O)NReRf, -NRe(C=S)ORf, -O(C=S)NReRf, -NRe(C=O)NReRf, -NRe(C=S)NReRf, -C(=S)Re, 또는 -C(=O)Re로 임의로 치환되고;
Rd는 -H, 할로(C1-C5)알킬 또는 (C1-C5)알킬이며, 여기서 (C1-C5)알킬은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e는 독립적으로 -H, 및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된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된 (C1-C5)알킬, (C1-C2)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C3-C6)시클로알킬, 및 (C1-C2)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4-6원 산소-함유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NReRf는 함께 (C1-C2)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4-6원 헤테로시클릴이거나; 또는
-C(=NRe)NReRf는 함께 Re로 임의로 치환된 4-6원 헤테로시클릴이며, 여기서 가변기의 나머지 (예를 들어, i)는 제1 실시양태에 정의되어 있다.
제3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1 또는 제2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하기 구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거나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Figure 112019076358104-pct00005
여기서:
고리 A는 임의로 치환된 페닐 또는 임의로 치환된 5-6원 헤테로아릴이고;
고리 B는 아릴, 5-6원 헤테로아릴 또는 5-6원 헤테로시클릴이며, 각각 R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Figure 112019076358104-pct00006
는 (C1-C5)알킬 또는 히드록시(C1-C5)알킬로 임의로 치환되며, 여기서 가변기의 나머지 (예를 들어, R3)는 제1, 또는 제2 실시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다.
제4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1, 제2, 또는 제3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거나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Figure 112019076358104-pct00007
여기서:
X1, X2, X3 및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및 C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단 X1, X2, X3 및 X4 중 2개 이하는 N이고;
X5는 NR2, O, 또는 S이고;
고리 B는 아릴, 5-6원 헤테로아릴 또는 5-6원 헤테로시클릴이며, 각각 R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Figure 112019076358104-pct00008
는 (C1-C5)알킬 또는 히드록시(C1-C5)알킬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NO2, -ORc, -NRaRb, -S(O)iRa, -NRaS(O)iRb, -S(O)iNRaRb, -C(=O)ORa, -OC(=O)ORa, -C(=S)ORa, -O(C=S)Ra, -C(=O)NRaRb, -NRaC(=O)Rb, -C(=S)NRaRb, -NRaC(=S)Rb, -NRa(C=O)ORb, -O(C=O)NRaRb, -NRa(C=S)ORb, -O(C=S)NRaRb, -NRa(C=O)NRaRb, -NRa(C=S)NRaRb, -C(=S)Ra, -C(=O)Rb, 할로(C1-C5)알킬 및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C1-C5)알킬은 -CN, -NO2, -ORc, -NRaRb, -S(O)iRa, -NRaS(O)iRb, -S(O)iNRaRb, -C(=O)ORa, -OC(=O)ORa, -C(=S)ORa, -O(C=S)Ra, -C(=O)NRaRb, -NRaC(=O)Rb, -C(=S)NRaRb, -NRaC(=S)Rb, -NRa(C=O)ORb, -O(C=O)NRaRb, -NRa(C=S)ORb, -O(C=S)NRaRb, -NRa(C=O)NRaRb, -NRa(C=S)NRaRb, -C(=S)Ra, 또는 -C(=O)Ra로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H, C1-5 알킬, 페닐, -C(O)(C1-5 알킬), -C(O)(페닐), -C(O)O(C1-5 알킬), -C(O)O(페닐), -S(O)2(C1-5 알킬) 또는 -S(O)2(페닐)이며, 여기서 R2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기에서의 각각의 알킬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페닐, 5-6원 헤테로아릴, (C1-C5) 알콕시, 및 할로(C1-C5)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R2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기에서의 각각의 페닐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시아노, 아미노, (C1-C5)알킬, 할로(C1-C5)알킬, (C1-C5)알콕시 및 할로(C1-C5)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a 및 각각의 Rb는 독립적으로 -H, 및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된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Rc는 -H, 할로(C1-C5)알킬 또는 (C1-C5)알킬이며, 여기서 (C1-C5)알킬은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되고;
i는 0, 1, 또는 2이고;
n은 0, 1 또는 2이며, 여기서 가변기의 나머지 (예를 들어, R3)는 제1, 제2, 또는 제3 실시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다.
제5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1, 제2, 제3, 또는 제4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거나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Figure 112019076358104-pct00009
여기서:
고리 B는 아릴, 5-6원 헤테로아릴 또는 5-6원 헤테로시클릴이며, 각각 R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Figure 112019076358104-pct00010
는 (C1-C5)알킬 또는 히드록시 (C1-C5)알킬로 임의로 치환되며, 여기서 가변기의 나머지 (예를 들어, R3)는 제1, 제2, 제3, 또는 제4 실시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다.
제6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1, 제2, 제3, 제4, 또는 제5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고리 B는
Figure 112019076358104-pct00011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4는 -H, (C1-C5)알킬, 또는 히드록시(C1-C5)알킬이고;
각각의 p는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각각의 m은 0 또는 1, 또는 2이며, 여기서 가변기의 나머지 (예를 들어, R3)는 제1, 제2, 제3, 제4, 또는 제5 실시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다.
제7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6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고리 B는
Figure 112019076358104-pct00012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가변기의 나머지는 제1, 제2, 제3, 제4, 제5, 또는 제6 실시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다.
제8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4, 제5, 제6, 또는 제7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1-C5)알킬, 할로(C1-C5)알킬, (C1-C5)알콕시, 할로(C1-C5)알콕시 또는 시아노이고;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C(=NRe)NHRf, -C(=NRd)NReRf, -S(O)iNReRf, -C(=O)NReRf, -C(=S)NReRf, -O(C=O)NReRf, -O(C=S)NReRf, -NRd(C=O)NReRf, -NRd(C=S)NReRf, 및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가변기의 나머지는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또는 제7 실시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다.
제9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4, 제5, 제6, 제7, 또는 제8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또는 (C1-C5)알킬이고;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C(=NRd)NReRf, -C(=O)NReRf, -C(=NRe)NHRf 및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가변기의 나머지는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또는 제7 실시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다.
제10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4, 제5, 제6, 제7, 또는 제8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 또는 메틸이고;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 -CN, -C(=NRd)NReRf, -C(=O)NReRf 및 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Figure 112019076358104-pct00013
기는 메틸 또는 히드록시메틸로 임의로 치환되며, 여기서 가변기의 나머지는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또는 제8 실시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다.
제11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6, 제7, 제8, 제9, 또는 제10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각각의 Re 및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H 및 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e는 -H이고 Rf는 각각 (C1-C2)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C3-C6)시클로알킬 또는 4-6원 산소 함유 헤테로시클릴이며, 여기서 가변기의 나머지는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또는 제10 실시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다.
제12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6, 제7, 제8, 제9 또는 제10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각각의 Re 및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H 및 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e는 -H이고 Rf는 각각 메틸로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또는 옥세타닐이며, 여기서 가변기의 나머지는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제10 또는 제11 실시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다.
제13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6, 제7, 제8, 제9 또는 제10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 -CN, -C(O)NH(시클로프로필), -C(O)NH2, -C(O)NH(CH3), -C(O)N(CH3)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14
, -C(O)NH(시클로부틸),
Figure 112019076358104-pct00015
, -C(=NH)NHCH3, 및 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가변기의 나머지는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제10, 제11 또는 제12 실시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다.
제14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4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R2는 -H 또는 (C1-C5)알킬, 바람직하게는, -H 또는 메틸이며, 여기서 가변기의 나머지는 제1, 제2, 제3, 제4, 제5, 제6, 제7, 제8, 제9, 제10, 제11, 제12 또는 제13 실시양태에 정의된 바와 같다.
제15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1 또는 제2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6-[(3S)-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제16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1 또는 제2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6-[(3R)-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제17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1 또는 제2 실시양태에 따른 제약 조성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6-[(3S)-4-[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제18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또한 실시예 또는 실시예 55의 표에 개시된 화합물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이들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화합물의 상응하는 중성 형태 둘 다가 포함된다.
제19 실시양태에서, 하기 구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112019076358104-pct00016
여기서:
R1은 F 또는 메틸이고;
R3은 -CN, -C(=NH)NHCH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17
또는 메틸이다.
제20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19 실시양태에 따른 화합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R1은 F이고; R3은 -CN이다.
제21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20 실시양태에 따른 화합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6-[(3S)-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제22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20 실시양태에 따른 화합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6-[(3R)-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제23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제20 실시양태에 따른 화합물을 제공하며, 여기서 화합물은 6-[(3S)-4-[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다.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타당한 의학적 판단의 범주 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 및 알레르기 반응 없이 인간 및 하등 동물의 조직과 접촉시켜 사용하기에 적합하고, 합리적인 이익/위험 비에 부합하는 제약 염을 지칭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에스. 엠. 베르그(S. M. Berge) 등은 문헌 [J. Pharm. Sci., 1977, 66, 1-19]에서 약리학상 허용되는 염을 기재한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이 본 발명의 교시에 포함된다. 염기성 기를 갖는 화합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산(들)과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형성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적합한 제약상 허용되는 산 부가염은 무기 산 (예컨대 염산, 브로민화수소산, 인산, 메타인산, 질산, 및 황산) 및 유기 산 (예컨대 아세트산, 벤젠술폰산, 벤조산, 에탄술폰산, 메탄술폰산, 숙신산, 및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의 염을 포함한다. 산성 기 예컨대 카르복실산을 갖는 본 발명의 교시의 화합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염기(들)와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형성할 수 있다. 적합한 제약상 허용되는 염기성 염은 암모늄 염, 알칼리 금속 염 (예컨대 나트륨 및 칼륨 염) 및 알칼리 토금속 염 (예컨대 마그네슘 및 칼슘 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폴리(ADP-리보스)폴리머라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갖는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1종 이상의 개시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폴리(ADP-리보스)폴리머라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개시된 화합물 중 1종 이상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제약 조성물의 용도가 본원에 제공된다.
본원에 제공된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개시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제약 조성물은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급성 신장 손상을 갖는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1종 이상의 개시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급성 신장 손상을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급성 신장 손상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개시된 화합물 중 1종 이상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제약 조성물의 용도가 본원에 제공된다.
본원에 제공된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개시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제약 조성물은 급성 신장 손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암을 갖는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1종 이상의 개시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암을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암의 치료를 위한 의약의 제조를 위한,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개시된 화합물 중 1종 이상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제약 조성물의 용도가 본원에 제공된다.
본원에 제공된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상기 실시양태 중 어느 하나에 따른 개시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제약 조성물은 암을 치료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것이다.
도 1은 PARP1 억제제인 실시예 29 및 실시예 30이 24시간 후에 신장 손상의 동물 모델에서 혈장 크레아티닌 및 혈액 우레아 질소 (BUN)를 감소시킨 것을 보여준다.
정의
본원에 사용된 용어 "할로"는 할로겐을 의미하고, 클로로, 플루오로, 브로모 및 아이오도를 포함한다.
단독으로 또는 보다 큰 모이어티, 예컨대 "알콕시" 또는 "할로알킬" 등의 일부로서 사용된 용어 "알킬"은 포화 지방족 직쇄 또는 분지형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의미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알킬 기는 전형적으로 1-5개의 탄소 원자를 가지며, 즉 (C1-C5)알킬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C1-C5)알킬" 기는 선형 또는 분지형 배열의 1 내지 5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라디칼을 의미한다. 예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등을 포함한다.
용어 "알콕시"는 산소 연결 원자를 통해 부착된 알킬 라디칼을 의미하고, -O-알킬에 의해 나타내어진다. 예를 들어, "(C1-C4)알콕시"는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및 부톡시를 포함한다.
용어 "할로알킬" 및 "할로알콕시"는, 경우에 따라, 1개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될 수 있는 알킬 또는 알콕시를 의미한다.
용어 "시클로알킬"은 모노시클릭 포화 탄화수소 고리계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C3-6 시클로알킬은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시클로펜틸 및 시클로헥실을 포함한다.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시클로알킬"은 3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다.
단독으로 또는 "헤테로아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알콕시"에서와 같은 보다 큰 모이어티의 일부로서 사용된 용어 "헤테로아릴", "헤테로방향족", "헤테로아릴 고리", "헤테로아릴 기", "헤테로방향족 고리", 및 "헤테로방향족 기"는 탄소 및 적어도 1개 (전형적으로 1 내지 4개, 보다 전형적으로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 (예를 들어, 산소, 질소 또는 황)로부터 선택되는 5 또는 6개의 고리 원자 (즉, "5-6원")를 갖는 모노시클릭 방향족 고리 기를 지칭한다.
모노시클릭 헤테로아릴 기의 예는 푸라닐 (예를 들어, 2-푸라닐, 3-푸라닐), 이미다졸릴 (예를 들어, N-이미다졸릴, 2-이미다졸릴, 4-이미다졸릴, 5-이미다졸릴), 이속사졸릴 (예를 들어, 3-이속사졸릴, 4-이속사졸릴, 5-이속사졸릴), 옥사디아졸릴 (예를 들어, 2-옥사디아졸릴, 5-옥사디아졸릴), 옥사졸릴 (예를 들어, 2-옥사졸릴, 4-옥사졸릴, 5-옥사졸릴), 피라졸릴 (예를 들어, 3-피라졸릴, 4-피라졸릴), 피롤릴 (예를 들어, 1-피롤릴, 2-피롤릴, 3-피롤릴), 피리딜 (예를 들어,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피리미디닐 (예를 들어, 2-피리미디닐, 4-피리미디닐, 5-피리미디닐), 피리다지닐 (예를 들어, 3-피리다지닐), 티아졸릴 (예를 들어, 2-티아졸릴, 4-티아졸릴, 5-티아졸릴), 트리아졸릴 (예를 들어, 2-트리아졸릴, 5-트리아졸릴), 테트라졸릴 (예를 들어, 테트라졸릴), 티에닐 (예를 들어, 2-티에닐, 3-티에닐), 피리미디닐, 피리디닐 및 피리다지닐을 포함한다.
용어 "헤테로시클릴"은 탄소 원자 및 1 또는 2개의 헤테로원자로부터 선택되는 4-6개의 고리 원자 (즉, "4-6원")를 함유하는 모노시클릭 비-방향족 고리 라디칼을 지칭한다. 각각의 헤테로원자는 독립적으로 질소, 4급 질소, 산화 질소 (예를 들어, NO); 산소; 및 술폭시드 및 술폰을 포함한 황으로부터 선택된다. 대표적인 헤테로시클릴 기는 모르폴리닐, 티오모르폴리닐, 피롤리디노닐, 피롤리디닐, 피페리디닐, 피페라지닐, 히단토이닐, 발레로락타밀, 옥시라닐, 옥세타닐, 테트라히드로푸라닐, 테트라히드로피라닐, 테트라히드로피리디닐, 테트라히드로피리미디닐, 테트라히드로티오페닐, 테트라히드로티오피라닐 등을 포함한다. "치환된 헤테로시클릴 기"는 임의의 1개 이상의 치환가능한 고리 원자에서 치환되고, 이는 수소에 결합된 고리 탄소 또는 고리 질소 원자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많은 모이어티 (예를 들어, 알킬, 알킬렌, 시클로알킬, 시클로알킬렌, 아릴, 아릴렌, 헤테로아릴, 헤테로아릴렌, 헤테로시클릴 또는 헤테로시클릴렌)는 "치환된" 또는 "임의로 치환된" 것으로 지칭된다. 모이어티가 이들 용어 중 1개에 의해 변형되는 경우에, 달리 나타내지 않는 한, 이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치환에 이용가능한 것으로 공지되어 있는 모이어티의 임의의 부분이 치환될 수 있으며, 1개 이상의 치환기를 포함한다는 것을 나타낸다. 1개 초과의 치환기가 존재하는 경우에, 각각의 치환기는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다. 치환을 위한 이러한 수단은 관련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고/거나 본 개시내용에 의해 교시된다. 임의적인 치환기는 모이어티에 부착되기에 적합한 임의의 치환기일 수 있다.
적합한 치환기는 PARP를 억제하는 화합물의 능력에 대해 유의한 유해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다. 적합한 치환기가 구체적으로 열거되지 않는 경우에, 예시적인 치환기는 (C1-C5)알킬, (C1-C5)히드록시알킬, (C1-C5)할로알킬, (C1-C5) 알콕시, (C1-C5) 할로알콕시, 할로겐, 히드록실, 시아노, 아미노, -CN, -NO2, -ORc, -NRaRb, -S(O)iRa, -NRaS(O)iRb, -S(O)iNRaRb, -C(=O)ORa, -OC(=O)ORa, -C(=S)ORa, -O(C=S)Ra, -C(=O)NRaRb, -NRaC(=O)Rb, -C(=S)NRaRb, -NRaC(=S)Rb, -NRa(C=O)ORb, -O(C=O)NRaRb, -NRa(C=S)ORb, -O(C=S)NRaRb, -NRa(C=O)NRaRb, -NRa(C=S)NRaRb, -C(=S)Ra, -C(=O)Ra, 페닐, 또는 5-6원 헤테로아릴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각각의 Ra 및 각각의 Rb는 독립적으로 -H, 및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된 (C1-C5)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c는 -H, (C1-C5)할로알킬 또는 (C1-C5)알킬이며, 여기서 (C1-C5)알킬은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된다.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중 일부는 다양한 입체이성질체 또는 호변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입체이성질체는 단지 그의 공간 배열만이 상이한 화합물이다. 개시된 화합물이 입체화학을 나타내지 않고 명명되거나 구조에 의해 도시되는 경우에, 명칭 또는 구조는 모든 가능한 입체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본질적으로 순수한 입체 또는 기하 이성질체 포함), 뿐만 아니라 그의 조합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특정 경우에 개시된 화합물의 호변이성질체 형태는 예컨대 하기 제시된 호변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한다:
Figure 112019076358104-pct00018
본원의 화합물이 구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거나 또는 본원의 화학 명칭에 의해 지정되는 경우에, 화합물에 대해 존재할 수 있는 모든 다른 호변이성질체 형태가 구조 화학식에 의해 포괄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된 화합물 중 일부는 다양한 입체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입체이성질체는 단지 그의 공간 배열만이 상이한 화합물이다. 거울상이성질체는 거울 상이 중첩가능하지 않은 입체이성질체의 쌍인데, 그 이유는 가장 통상적으로 그들이 키랄 중심으로서 작용하는 비대칭적으로 치환된 탄소 원자를 함유하기 때문이다. "거울상이성질체"는 서로 거울상이며 중첩가능하지 않은 한 쌍의 분자 중 하나를 의미한다. 부분입체이성질체는 2개 이상의 비대칭적으로 치환된 탄소 원자를 함유하는 입체이성질체이다. "기하 이성질체"는 탄소-탄소 이중 결합, 카르보시클릴 고리, 또는 가교 비시클릭계와의 관계에서 치환기 원자의 배향이 상이한 이성질체이다.
기하 이성질체가 명칭 또는 구조에 의해 도시된 경우에, 명명되거나 도시된 기하 이성질체의 기하 이성질체 순도가 적어도 60 중량%, 70 중량%, 80 중량%, 90 중량%, 99 중량%, 또는 99.9 중량% 순수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기하 이성질체 순도는 혼합물 중 명명되거나 도시된 기하 이성질체의 중량을 혼합물 중 모든 기하 이상질체의 총 중량으로 나눔으로써 결정된다.
개시된 화합물의 입체화학이 명명되거나 구조에 의해 도시되는 경우, 명명되거나 도시된 입체이성질체는 모든 다른 입체이성질체에 대해 적어도 60 중량%, 70 중량%, 80 중량%, 90 중량%, 99 중량% 또는 99.9 중량% 순수하다. 모든 다른 입체이성질체에 대해 중량 퍼센트 순도는 다른 입체이성질체의 중량에 대한 하나의 입체이성질체의 중량의 비이다. 단일 거울상이성질체가 명명되거나 구조에 의해 도시된 경우에, 도시되거나 명명된 거울상이성질체는 적어도 60 중량%, 70 중량%, 80 중량%, 90 중량%, 99 중량% 또는 99.9 중량% 광학적으로 순수하다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 순수하다"고도 지칭됨). 중량 퍼센트 광학 순도는 거울상이성질체의 중량 플러스 그의 광학 이성질체의 중량에 대한 거울상이성질체의 중량의 비이다.
개시된 화합물의 입체화학이 명명되거나 구조에 의해 도시되고, 명명되거나 도시된 구조가 하나 초과의 입체이성질체 (예를 들어, 부분입체이성질체 쌍에서와 같음)를 포괄하는 경우에, 포괄된 입체이성질체 중 하나 또는 포괄된 입체이성질체의 임의의 혼합물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명되거나 도시된 입체이성질체의 입체이성질체 순도는 모든 다른 입체이성질체에 대해 적어도 60 중량%, 70 중량%, 80 중량%, 90 중량%, 99 중량% 또는 99.9 중량% 순수한 것으로 추가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입체이성질체 순도는 혼합물 중 명칭 또는 구조에 의해 포괄된 입체이성질체의 총 중량을 혼합물 중 모든 입체이성질체의 총 중량으로 나눔으로써 결정된다.
개시된 화합물이 입체화학을 나타내지 않고 명명되거나 구조에 의해 도시되고, 화합물이 하나의 키랄 중심을 갖는 경우에, 명칭 또는 구조는 상응하는 광학 이성질체가 없는 화합물의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 화합물의 라세미 혼합물 및 하나의 거울상이성질체가 그의 상응하는 광학 이성질체에 비해 풍부한 혼합물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개시된 화합물이 입체화학을 나타내지 않고 명명되거나 구조에 의해 도시되고, 예를 들어 적어도 2개의 키랄 중심을 갖는 경우에, 명칭 또는 구조는 다른 입체이성질체가 없는 하나의 입체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및 하나 이상의 입체이성질체가 다른 입체이성질체(들)에 비해 풍부한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명칭 또는 구조는 다른 부분입체이성질체가 없는 하나의 입체이성질체,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 및 하나 이상의 부분입체이성질체가 다른 부분입체이성질체(들)에 비해 풍부한 입체이성질체의 혼합물을 포괄할 수 있다.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 혼합물은 널리 공지된 방법, 예컨대 키랄-상 기체 크로마토그래피, 키랄-상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화합물의 키랄 염 복합체로서의 결정화, 또는 키랄 용매 중 화합물의 결정화에 의해 그의 성분 거울상이성질체 또는 입체이성질체로 분해될 수 있다. 거울상이성질체 및 부분입체이성질체는 또한 널리 공지된 비대칭 합성 방법에 의해 부분입체이성질체적으로- 또는 거울상이성질체적으로-순수한 중간체, 시약, 및 촉매로부터 수득될 수 있다.
제약 조성물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PARP 억제제 (예를 들어, PARP-1 억제제)이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1종 이상의 PARP 억제제 (예를 들어, PARP-1 억제제)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 "제약상 허용되는 희석제"는 활성제의 제제화 및/또는 대상체에의 투여 및/또는 대상체에 의한 흡수를 보조하는 물질을 지칭하고 대상체에 대한 유의한 독성학적 유해 효과를 유발하지 않으면서 본 개시내용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희석제의 비제한적 예는 물, NaCl, 생리 염수 용액, 락테이트화 링거액, 정상 수크로스, 정상 글루코스, 결합제, 충전제, 붕해제, 윤활제, 코팅, 감미제, 향미제, 염 용액 (예컨대 링거액), 알콜, 오일, 젤라틴, 탄수화물 예컨대 락토스, 아밀로스 또는 전분, 지방산 에스테르, 히드록시메틸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딘, 및 색소 등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제는 멸균될 수 있고, 원하는 경우에, 본원에 제공된 화합물과 유해하게 반응하지 않거나 또는 그의 활성을 방해하지 않는 보조제 예컨대 윤활제, 보존제, 안정화제, 습윤제, 유화제, 삼투압에 영향을 미치는 염, 완충제, 착색제, 및/또는 방향 물질 등과 혼합될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른 제약 부형제가 개시된 화합물과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본 발명의 교시의 제약 조성물은 그를 위한 1종 이상의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희석제, 예컨대 락토스, 전분, 셀룰로스 및 덱스트로스를 임의로 포함한다. 다른 부형제, 예컨대 향미제; 감미제; 및 보존제, 예컨대 메틸, 에틸, 프로필 및 부틸 파라벤이 또한 포함될 수 있다. 적합한 부형제의 보다 완전한 목록은 문헌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5th Ed., Pharmaceutical Press (2005)]에서 찾아볼 수 있다.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다양한 유형의 투여 경로에 적합한 제제를 제조하는 방법을 알고 있을 것이다. 적합한 제제의 선택 및 제조를 위한 통상적인 절차 및 성분은 예를 들어 문헌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2003 - 20th edition) 및 The United States Pharmacopeia: The National Formulary (USP 24 NF19) published in 1999]에 기재되어 있다. 담체, 희석제 및/또는 부형제는 제약 조성물의 다른 성분과 상용성이고, 그의 수용자에게 유해하지 않다는 관점에서 "허용된다".
치료 방법
PARP는 DNA 복구, 미토콘드리아 항상성, 산화성 스트레스에 대한 보호, 염증, 대사 조절, 일주기 리듬, 분화 및 노화를 포함한 광범위한 세포 기능에 수반된다. 예를 들어, 문헌 [Peter Bai, Molecular Cell 58:947 (2015)]을 참조한다. 이에 따라, PARP 억제제는 광범위한 질병을 치료할 잠재력을 가지고 있고, 다수의 PARP 억제제가 암의 치료에 대해 승인되어 있다.
본 발명은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갖는 대상체에게 유효량의 1종 이상의 개시된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또는 상응하는 제약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대상체"는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이지만, 또한 수의학적 치료를 필요로 하는 동물, 예를 들어, 반려 동물 (예를 들어, 개, 고양이 등), 가축 (예를 들어, 소, 양, 돼지, 말 등) 및 실험 동물 (예를 들어, 래트, 마우스, 기니 피그 등)일 수 있다.
한 실시양태에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은 근육 구조 장애, 뉴런 활성화 장애, 근육 피로 장애, 근육 질량 장애, 베타 산화 질환, 대사 질환, 암, 혈관 질환, 안구 혈관 질환, 안근육 질환, 또는 신질환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한 측면에서, 근육 구조 장애는 베스렘 근병증, 중심핵병, 선천성 섬유형 불균형, 원위 근육 이영양증 (MD), 뒤시엔느 & 베커 MD, 에머리-드레이푸스 MD, 안면견갑상완 MD, 유리질소체 근병증, 지대 MD, 근육 나트륨 채널 장애, 근긴장성 연골이영양증, 근긴장성 이영양증, 근세관성 근병증, 네말린체 질환, 안인두 MD, 및 복압성 요실금으로부터 선택된다.
실시양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뉴런 활성화 장애는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샤르코-마리-투스병, 길랑-바레 증후군, 램버트-이튼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신경 병변, 말초 신경병증, 척수성 근육 위축, 만기성 척골 신경 마비, 및 독성 근신경 장애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또 다른 측면에서, 근육 피로 장애는 만성 피로 증후군, 당뇨병 (제I형 또는 제II형), 글리코겐 축적 질환, 섬유근육통, 프리드리히 운동실조, 간헐성 파행, 지질 축적 근병증, MELAS, 뮤코폴리사카라이드증, 폼페병, 및 갑상선중독성 근병증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또 다른 측면에서, 근육 질량 장애는 악액질, 연골 퇴행, 뇌성 마비, 구획 증후군, 중대 질병 근병증, 봉입체 근염, 근육 위축 (불사용), 근육감소증, 스테로이드 근병증, 및 전신 홍반성 루푸스이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베타 산화 질환은 전신 카르니틴 수송체, 카르니틴 팔미토일트랜스퍼라제 (CPT) II 결핍, 초장쇄 아실-CoA 데히드로게나제 (LCHAD 또는 VLCAD) 결핍, 삼중기능성 효소 결핍, 중쇄 아실-CoA 데히드로게나제 (MCAD) 결핍, 단쇄 아실-CoA 데히드로게나제 (SCAD) 결핍, 및 리보플라빈-반응성 β-산화 장애 (RR-MADD)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또 다른 측면에서, 대사 질환은 고지혈증, 이상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트리글리세리드혈증, HDL 저콜레스테롤혈증, LDL 고콜레스테롤혈증 및/또는 HLD 비-콜레스테롤혈증, VLDL 고단백혈증, 이상지단백혈증, 아포지단백질 A-I 저단백혈증, 아테롬성동맥경화증, 동맥 경화증 질환, 심혈관계 질환, 뇌혈관 질환, 말초 순환 질환, 대사 증후군, 증후군 X, 비만, 당뇨병 (제I형 또는 제II형), 고혈당증, 인슐린 저항성, 글루코스 내성 장애, 고인슐린증, 당뇨병성 합병증, 심기능부전, 심근경색, 심근병증, 고혈압,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NAFLD),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혈전증, 알츠하이머병, 신경변성 질환, 탈수초성 질환, 다발성 경화증, 부신 백질이영양증, 피부염, 건선, 여드름, 피부 노화, 털증, 염증, 관절염, 천식, 과민성 장 증후군,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및 췌장염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또 다른 측면에서, 혈관 질환은 말초 혈관 기능부전, 말초 혈관 질환, 간헐성 파행, 말초 혈관 질환 (PVD), 말초 동맥 질환 (PAD), 말초 동맥 폐쇄성 질환 (PAOD), 및 말초 폐쇄성 동맥병증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또 다른 측면에서, 안구 혈관 질환은 연령-관련 황반 변성 (AMD), 스타르가르트병, 고혈압성 망막병증, 당뇨병성 망막병증, 망막병증, 황반 변성, 망막 출혈, 및 녹내장으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추가 측면에서, 안근육 질환은 사시, 진행성 외안근마비, 내사시, 외사시, 굴절 및 조절 장애, 원시, 근시, 난시, 부동시, 노안, 조절 장애, 및 내안근마비로부터 선택된다.
이러한 실시양태의 최종 측면에서, 신질환은 사구체신염, 사구체경화증, 신증후군, 고혈압성 신경화증, 급성 신염, 재발성 혈뇨, 지속성 혈뇨, 만성 신염, 급속 진행성 신염, 급성 신부전 (급성 신장 손상으로도 알려짐), 만성 신부전, 당뇨병성 신병증, 및 바터 증후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은 유전성 지방이영양증,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NAFLD),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신장 허혈/재관류 손상 (IRI), 뒤시엔느 & 베커 근육 이영양증, 당뇨병 (제I형 또는 제II형), 비만, 및 근육감소증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은 알퍼스병, CPEO-만성 진행성 외안근마비, 컨스-세이어 증후군 (KSS), 레베르 유전성 시신경병증 (LHON), MELAS-미토콘드리아 근병증, 뇌근병증, 락트산 산증, 및 졸중-유사 삽화, MERRF-근간대성 간질 및 불균일-적색 근섬유 질환, NARP-신경원성 근육 약화, 운동실조, 및 색소성 망막염, 피어슨 증후군, 백금-기반 화학요법 유발된 이독성, 코케인 증후군, 색소성 건피증 A, 왈러 변성, 및 HIV-유발된 지방이영양증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은 급성 신장 손상이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 조성물을 사용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 조성물은 다양한 치료 용도, 예컨대, 예를 들어, 매우 다양한 질환 및 장애, 예컨대, 예를 들어, 노화 또는 스트레스에 관련된 질환 또는 장애, 당뇨병, 비만, 신경변성 질환, 심혈관 질환, 혈액 응고 장애, 염증, 암, 및/또는 홍조 등을 치료하고/거나 감소시키는 데 유용할 수 있다. 방법은 그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제약 유효량의 1종 이상의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제약 조성물을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고형 조직 이식편, 장기 이식물, 세포 현탁액, 줄기 세포, 골수 세포 등을 포함한 이식 또는 세포 요법에 유용한 세포를 처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세포 또는 조직은 자가이식편, 동종이식편, 동계이식편 또는 이종이식편일 수 있다. 세포 또는 조직은 대상체로의 투여/이식 전에, 투여/이식과 공동으로, 및/또는 투여/이식 후에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처리될 수 있다. 세포 또는 조직은 공여자 개체로부터의 세포의 분리 전에, 공여자 개체로부터의 세포 또는 조직의 분리 후에 생체외에서, 또는 수용자로의 이식 후에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공여자 또는 수용자 개체는 니코틴아미드 리보시드 클로라이드 제제 또는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로 전신 처리될 수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 조성물로 국부로 처리된 세포/조직의 하위세트를 가질 수 있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세포 또는 조직 (또는 공여자/수용자 개체)은 이식편 생존을 연장시키기에 유용한 또 다른 치료제, 예컨대 예를 들어 면역억제제, 시토카인, 혈관신생 인자 등으로 추가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또는 그의 제약 조성물은 피부 상태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원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치료될 수 있는 예시적인 피부 상태는 염증, 일광 손상 또는 자연 노화와 연관되거나 또는 그에 의해 유발된 장애 또는 질환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조성물은 접촉성 피부염 (자극성 접촉성 피부염 및 알레르기성 접촉성 피부염 포함), 아토피성 피부염 (알레르기성 습진으로도 알려짐), 광선 각화증, 각질화 장애 (습진 포함), 수포성 표피박리 질환 (천포창 포함), 박탈성 피부염, 지루성 피부염, 홍반 (다형성 홍반 및 결절성 홍반 포함), 일광 또는 다른 광원에 의해 유발된 손상, 원판상 홍반성 루푸스, 피부근염, 건선, 피부암 및 자연 노화 영향의 치료에 유용하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 조성물은, 예를 들어 1도, 2도 또는 3도 화상 및/또는 열, 화학 또는 전기 화상을 포함한 상처 및/또는 화상을 치료하여 치유를 촉진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 조성물은 또한 세포 사멸로부터 세포를 보호하기 위해, 세포 사멸과 연관된 질환, 예를 들어, 만성 질환의 치료를 위해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예시적인 질환은 신경 세포 사멸, 뉴런 기능장애, 또는 근육 세포 사멸 또는 기능장애와 연관된 것들, 예컨대 파킨슨병, 알츠하이머병, 다발성 경화증,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및 근육 이영양증; AIDS; 전격성 간염; 뇌의 변성과 연관된 질환, 예컨대 크로이츠펠트-야콥병, 색소성 망막염 및 소뇌 변성; 골수이형성증, 예컨대 재생불량성 빈혈; 허혈성 질환, 예컨대 심근 경색 및 졸중; 간 질환, 예컨대 알콜성 간염, B형 간염 및 C형 간염; 관절-질환, 예컨대 골관절염; 아테롬성동맥경화증; 탈모증; UV 광으로 인한 피부 손상; 편평 태선; 피부의 위축; 백내장; 및 이식편 거부를 포함한다. 세포 사멸은 또한 수술, 약물 요법, 화학물질 노출 또는 방사선 노출에 의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 조성물은 또한 급성 질환, 예를 들어, 기관 또는 조직에 대한 손상을 앓고 있는 대상체, 예를 들어 졸중 또는 심근경색을 앓고 있는 대상체 또는 척수 손상을 앓고 있는 대상체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 조성물은 또한 알콜성 간을 복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심혈관 질환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대상체에게 본 발명의 화합물 중 1종 이상 및/또는 그의 제약 조성물을 투여함으로써 심혈관 질환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 조성물을 사용하여 치료될 수 있는 심혈관 질환은 심근병증 또는 심근염; 예컨대 특발성 심근병증, 대사 심근병증, 알콜성 심근병증, 약물-유발된 심근병증, 허혈성 심근병증, 및 고혈압 심근병증을 포함한다. 또한, 주요 혈관, 예컨대 대동맥, 관상 동맥, 경동맥, 뇌혈관 동맥, 신동맥, 장골 동맥, 대퇴 동맥 및 슬와 동맥의 아테롬성 장애 (대혈관 질환)가 본원에 기재된 조성물 및 방법을 사용하여 치료가능하다. 치료될 수 있는 다른 혈관 질환은 혈소판 응집, 망막 세동맥, 사구체 세동맥, 신경벽 혈관, 심장 세동맥, 및 눈, 신장, 심장, 및 중추 및 말초 신경계의 연합 모세혈관상과 관련된 것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 및 그의 제약 조성물은 또한 개체의 혈장 내 HDL 수준을 증가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투여 방법 및 투여 형태
대상체에게 "유효량"을 제공하기 위해 투여되는 화합물의 정확한 양은 투여 방식, 암의 유형 및 중증도, 및 대상체의 특징, 예컨대 전반적 건강, 연령, 성별, 체중, 및 약물에 대한 허용성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통상의 기술자는 이들 및 다른 인자에 따라 적절한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다른 치료제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경우, 예를 들어, 항암제와 조합하여 투여되는 경우에, 임의의 추가의 치료제(들)의 "유효량"은 사용되는 약물의 유형에 따라 달라질 것이다. 적합한 투여량은 승인된 치료제에 대해 공지되어 있고, 대상체의 상태, 치료되는 상태(들)의 유형 및, 예를 들어, 문헌에 보고되고 문헌 [Physician's Desk Reference (57th ed., 2003)]에 권장된 투여량에 따라 사용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양에 따라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조정될 수 있다.
용어 "유효량"은 대상체에게 투여되는 경우에 임상 결과를 포함하여 유익하거나 바람직한 결과를 발생시키는, 예를 들어, 대조군과 비교하여 대상체에서 치료되는 상태의 증상을 억제, 저해 또는 감소시키는 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치료 유효량은 단위 투여 형태 (예를 들어, 1일에 0.1 mg 내지 약 50 g, 대안적으로 1일에 1 mg 내지 약 5 그램; 및 또 대안적으로 1일에 10 mg 내지 1 그램)로 주어질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투여하다", "투여하는", "투여" 등은 목적하는 생물학적 작용 부위로의 조성물의 전달을 가능하게 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방법을 지칭한다. 이들 방법은 관절내 (관절에서), 정맥내, 근육내, 종양내, 피내, 복강내, 피하, 경구, 국소, 척수강내, 흡입, 경피, 직장으로 등을 포함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기재된 작용제 및 방법과 함께 사용될 수 있는 투여 기술은 예를 들어, 문헌 [Goodman and Gilman, The Pharmacological Basis of Therapeutics, current ed.; Pergamon; 및 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current edition), Mack Publishing Co., Easton, Pa]에서 발견된다.
또한, 개시된 PARP 억제제는 다른 치료제와 공-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공-투여", "조합되어 투여되는", 및 그의 문법적 등가물은 단일 대상체에의 2종 이상의 치료제의 투여를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되고, 작용제가 동일하거나 상이한 투여 경로에 의해 또는 동일하거나 상이한 시점에 투여되는 치료 요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1종 이상의 화합물은 다른 작용제와 공-투여될 것이다. 이들 용어는 작용제 둘 다 및/또는 그의 대사물이 동시에 대상체에 존재하도록 하는 대상체에의 2종 이상의 작용제의 투여를 포괄한다. 이들은 개별 조성물로의 동시 투여, 상이한 시점에서의 개별 조성물로의 투여, 및/또는 작용제 둘 다가 존재하는 조성물로의 투여를 포함한다. 따라서,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및 다른 작용제(들)는 단일 조성물로 투여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 및 다른 작용제(들)는 조성물로 혼합된다.
특정한 투여 방식 및 투여 요법은 사례의 특성들 (예를 들어, 대상체, 질환, 수반되는 질환 상태, 및 특정한 치료)을 고려하여 담당 임상의에 의해 선택될 것이다. 치료는 수일 내지 수개월, 또는 심지어 수년의 기간에 걸친 1일마다 또는 수일마다 또는 1일마다보다 적은 (예컨대 1주마다 또는 1개월마다 등) 용량을 수반할 수 있다. 그러나,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안내를 위해 개시된 PARP 억제제 (예를 들어, PARP-1 억제제)를 사용하여 PPAR 매개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승인된 조성물의 투여량을 살펴 적절한 및/또는 등가 용량을 바로 인식할 것이다.
본원에 교시된 화합물 또는 상응하는 제약 조성물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이해될 바와 같이, 선택된 투여 경로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환자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교시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경구, 비경구, 협측, 설하, 비강, 직장, 패치, 펌프 또는 경피 투여, 및 그에 따라 제제화된 제약 조성물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정맥내, 복강내, 피하, 근육내, 경상피, 비강, 폐내, 척수강내, 직장 및 국소 투여 방식을 포함한다. 비경구 투여는 선택된 시간 기간에 걸친 연속 주입에 의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그의 의도된 투여 경로와 상용성이도록 제제화된다. 한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인간에게 정맥내, 피하, 근육내, 경구, 비강내 또는 국소 투여에 적합화된 제약 조성물로서 상용 절차에 따라 제제화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제약 조성물은 정맥내 투여를 위해 제제화된다.
전형적으로, 경구 치료적 투여의 경우, 본 발명의 교시의 화합물은 부형제와 함께 혼입될 수 있으며, 섭취가능한 정제, 협측 정제, 트로키, 캡슐, 엘릭시르, 현탁액, 시럽, 웨이퍼 등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전형적으로 비경구 투여의 경우, 본 발명의 교시의 화합물의 용액은 일반적으로 물 중에서 계면활성제, 예컨대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와 함께 적합하게 혼합되어 제조될 수 있다. 분산액은 또한 글리세롤,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DMSO, 및 알콜을 포함하거나 포함하지 않는 그의 혼합물 중에서, 및 오일 중에서 제조될 수 있다. 통상의 저장 및 사용 조건 하에, 이들 제제는 미생물의 성장을 막기 위해 보존제를 함유한다.
전형적으로, 주사 용도를 위해, 멸균 주사가능한 용액 또는 분산액의 즉석 제조를 위한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멸균 수용액 또는 분산액, 및 멸균 분말이 적절하다.
실시예
약어
Me 메틸
Et 에틸
Boc tert-부틸옥시카르보닐
Ac 아세틸
Ph 페닐
Tf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닐
DIPEA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EDC 3-(3-디메틸아미노프로필)-1-에틸카르보디이미드
HOBt 1-히드록시벤조트리아졸
DCM 디클로로메탄
DMF N,N-디메틸포름아미드
DMSO 디메틸술폭시드
TFA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THF 테트라히드로푸란
TMS 트리메틸 실란
TMSOTf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aq 수성
M mol/L로 표현된 농도
RT 실온
TLC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NMI 1-메틸 이미다졸
LCMS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측정법
ESI+ 질량 분광분석법 (이온화 ESI)에서의 m/z 값
ESI- 질량 분광분석법 (이온화 ESI)에서의 m/z 값
1H NMR (DMSO-d6) DMSO-d61H NMR에서의 피크의 δ (ppm)
s 단일선 (스펙트럼)
d 이중선 (스펙트럼)
t 삼중선 (스펙트럼)
q 사중선 (스펙트럼)
dd 이중 이중선 (스펙트럼)
br 넓은 선 (스펙트럼)
m 다중선 (스펙트럼)
4-ANI 4-아미노-1,8-나프탈이미드
ADP 아데노신 디포스페이트
CPM 분당 카운트
DNA 데옥시리보핵산
DTT DL-디티오트레이톨
FB 편평 바닥
mg 밀리 그램
mM 밀리 몰
NAD 니코틴아미드-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nM 나노 몰
ng 나노 그램
PARP 1 폴리 (ADP-리보스) 폴리머라제-1
SPA 섬광 근접 검정
μCi 마이크로 퀴리
μL 마이크로리터
T3P 프로필포스폰산 무수물
NMM 4-메틸모르폴린
CDI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TEMPO 2,2,6,6-테트라메틸-1-피페리디닐옥시
MTBE tert-부틸 메틸 에테르
HATU 1-[비스(디메틸아미노)메틸렌]-1H-1,2,3-트리아졸로[4,5-b]피리디늄 3- 옥시드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IPA 이소프로필 알콜
DMA N,N-디메틸아세트아미드
BINAP 1,1'-비나프탈렌-2,2'-디일)비스(디페닐포스핀
NMP 1-메틸-2-피롤리디논
Dppf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
DMAP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DIEA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실시예 1 - 3-클로로-4-(4-(3-(8-클로로-4-옥소-3,4-디히드로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N-시클로프로필벤즈아미드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19
물 (105 mL) 중 3-클로로-2-니트로-벤조산 (15 g, 0.074 mol)의 교반 용액에, 30% 수성 NH3 (6 mL) 및 아디티온산나트륨의 수용액 (52 g, 0.298 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pH = 3이 될 때까지 진한 HCl (30 mL)로 산성화시키고, EtOAc (2 x 500 mL)로 추출하고, 물 (2 x 100 mL) 및 염수 (150 mL)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Et2O (50 mL)로 세척하여 2-아미노-3-클로로벤조산 (9 g, 70%)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72.3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20
DMF (180 mL) 중 2-아미노-3-클로로-벤조산 (9g, 0.052 mol) 및 CDI (9 g, 0.055 mol)의 교반 용액을 70℃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이어서, 30% 수성 NH3 (144 mL)을 온도를 70℃에서 유지하면서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빙수 (1 L)에 붓고, EtOAc (2 x 2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 x 100 mL), 염수 (10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Et2O (2 x 30 mL)로 세척하여 2-아미노-3-클로로-벤즈아미드 (5.4 g, 60%)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71.3 [M+H]+.
단계: 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21
밀봉된 튜브에 담긴, 피리딘 (15 mL) 중에 용해된 2-아미노-3-클로로-벤즈아미드 (2 g, 11.76 mmol)의 교반 용액에, DCM (5 mL) 중 4-브로모부타노일 클로라이드 (3.3 g, 17.64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로 가열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물 (150 mL)로 희석하고, EtOAc (2 x 1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포화 수성 NH4Cl 용액 (2 x 50 mL),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톨루엔 (20 mL), 에테르 (2 x 10 mL)로 세척하여 8-클로로-2-(3-히드록시프로필)-3H-퀴나졸린-4-온 (600 mg, 21%)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39.4 [M+1]+.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022
ACN (10 mL) 중 8-클로로-2-(3-히드록시프로필)-3H-퀴나졸린-4-온 (500 mg, 2.10 mmol)의 교반 용액에, TEMPO (65 mg, 0.414 mmol) 및 인산나트륨 완충제 용액 (8 mL, pH = 6.5)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40℃로 가열하였다. 이어서, 아염소산나트륨 (15 mL 물 중 3.75 g) 및 아염소산나트륨 용액 (H2O 중 4%, 15mL)을 40℃에서 조금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pH = 8이 될 때까지 1 N NaOH 용액으로 염기성화시키고, 1 N Na2S2O3 용액 (50 mL)에 붓고, MTBE (2 x 25 mL)로 세척하였다. 수성 층을 pH = 1이 될 때까지 1 N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 (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3-(8-클로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250 mg, 47%)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어떠한 추가 정제도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53.3 [M+1]+.
단계-5:
Figure 112019076358104-pct00023
DMF (2.6 mL) 중 3-(8-클로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285 mg, 1.13 mmol) 및 3-클로로-N-시클로프로필-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308 mg, 1.1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432 mg, 2.26 mmol), HOBt (305 mg, 2.26 mmol) 및 DIPEA (0.96 mL, 5.65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냉수 (5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물 (25 mL), 염수 (25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텔레다인-이스코 콤비플래쉬(Teledyne-ISCO Combiflash) (5-7% MeOH-DCM, 4 gm 카트리지)에 의해 정제하여 3-클로로-4-(4-(3-(8-클로로-4-옥소-3,4-디히드로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N-시클로프로필벤즈아미드 (100 mg, 85% LCMS)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추가로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순수한 화합물 (25 mg, 5%)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54 (brs, 1H), 8.42 (d, J = 3.9 Hz, 1H), 8.05 -8.02 (m, 1H), 7.93-7.88 (m, 2H), 7.76 (dd, J = 8.1, 1.8 Hz, 1H), 7.42 (t, J = 7.8 Hz, 1H), 7.16 (d, J = 8.4 Hz, 1H), 3.70 (m, 2H), 3.61 (m, 2H), 3.08-2.92 (m, 2H), 2.8-2.79 (m, 7H), 0.71-0.62 (m, 2H), 0.60-0.52 (m, 2H).
LCMS: m/z: 514.4 [M+H]+.
실시예 2 - 3-클로로-4-[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24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3-클로로-4-플루오로-벤조산 (2.0 g, 11.4 mmol), 황산 (0.33 g, 3.4 mmol), MeOH (20 mL)를 채우고, 1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 (15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40 g, 1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3-클로로-4-플루오로-벤조에이트 (1.5 g, 69%)를 담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8.08 (dd, J = 6.9, 2.1 Hz, 1H), 7.94-7.89 (m, 1H), 7.18 (t, J = 8.7 Hz, 1H), 3.90 (s, 3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25
메틸 3-클로로-4-플루오로-벤조에이트 (1.5 g, 7.9 mmol)를 밀봉된 튜브에 담고, 피페라진-1-카르복실산 tert-부틸 에스테르 (1.48 g, 7.9 mmol)에 이어서 K2CO3 (3.29 g, 23 mmol) 및 DMSO (15 mL)를 첨가하고, 100℃에서 1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 (150 mL)에 붓고, EtOAc (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2 x 75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30 g, 1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2-클로로-4-메톡시카르보닐-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2.1 g, 74%)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55.4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26
THF:MeOH:H2O (10:1:1, 24 mL) 중 tert-부틸 4-(2-클로로-4-메톡시카르보닐-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2 g, 5.6 mmol)의 교반 용액에, LiOH·H2O (0.47 g, 11.2 mmol)를 첨가하고, 6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물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키고, pH = 2-3이 될 때까지 1 N HCl로 산성화시켰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4-(4-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3-클로로-벤조산 (1.4 g, 7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41.4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027
THF (5 mL) 중 4-(4-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3-클로로-벤조산 (0.5 g, 1.4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0.42 g, 2.2 mmol), HOBt·NH3 (0.33 g, 2.2 mmol) 및 DIPEA (0.75 mL, 4.4 mmol)를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빙수 (100 mL) 및 EtOAc (15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염수 (2 x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Et2O (3 x 5 mL), 펜탄 (3 x5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tert-부틸 4-(4-카르바모일-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4 g, 80%)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40.4 [M+H]+.
단계-5:
Figure 112019076358104-pct00028
0℃로 냉각된 DCM (4 mL) 중 tert-부틸 4-(4-카르바모일-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4 g, 1.0 mmol)의 교반 용액에, 4 N HCl-디옥산 (0.4 m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Et2O (3 x 10 mL), 펜탄 (2 x 5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3-클로로-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300 mg, 정량적)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40.4 [M+H]+.
단계-6:
Figure 112019076358104-pct00029
DMF (1 mL) 중 3-클로로-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0.1 g, 0.45 mmol)의 교반 용액에,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0.13 g, 0.50 mmol), HATU (0.26 g, 0.68 mmol) 및 DIPEA (0.23 mL, 1.37 mmol)를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 (10 mL)에 붓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으며, 이를 여과하고, Et2O (3 x 5 mL), 펜탄 (3 x 5 mL), MeOH (2 x 5 mL)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3-클로로-4-[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0.04 g, 20%)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22 (brs, 1H), 8.07 (dd, J = 8.1, 1.2 Hz, 1H), 7.98 (brs, 1H), 7.93 (d, J = 1.8 Hz, 1H), 7.83-7.78 (m, 2H), 7.76 (d, J = 1.2 Hz, 1H), 7.74-7.48 (m, 1H), 7.47 (brs, 1H), 7.44 (d, J = 7.2 Hz, 1H),3.69-3.61 (m, 4H), 3.07-2.97 (m, 4H), 2.89 (brs, 4H).
LCMS: m/z: 440.4 [M+H]+.
실시예 3 - 3-클로로-N-메틸-4-[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30
DMF (5 mL) 중 4-(4-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3-클로로-벤조산 (0.5 g, 1.4 mmol)의 교반 용액에, CDI (0.35 g, 2.2 mmol)를 첨가하고, 0℃로 냉각시키고,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메틸아민 용액 (THF 중 1 M 용액, 1.46 mL, 1.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8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빙냉수 (50 mL)에 붓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50 mL), 염수 (2 x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Et2O (3 x 10 mL) 및 펜탄 (3 x 10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tert-부틸 4-[2-클로로-4-(메틸카르바모일)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4 g, 77%)를 담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8.44 (br, 1H), 7.88 (d, J = 2.1 Hz, 1H), 7.78-7.75 (m, 1H), 7.19 (d, J = 8.4 Hz, 1H), 3.47 (t, J = 4.2 Hz, 4H), 2.98 (d, J = 4.8 Hz, 4H), 2.75 (d, J = 4.5 Hz, 3H), 1.42 (s, 9H).
LCMS: m/z: 354.4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31
0℃로 냉각된 DCM (4 mL) 중 tert-부틸 4-[2-클로로-4-(메틸카르바모일)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4 g, 1.0 mmol)의 교반 용액에, 4 N HCl-디옥산 (1.1 mL)을 첨가하고, 실온으로 가온하고,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Et2O (2 x 5 mL) 및 펜탄 (2 x 5 mL)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3-클로로-N-메틸-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300 mg, 91%)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54.4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32
DMF (1 mL) 중 3-클로로-N-메틸-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0.1 g, 0.45 mmol)의 교반 용액에,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0.14 g, 0.50 mmol), HATU (0.26 g, 0.68 mmol) 및 DIPEA (0.23 mL, 1.37 mmol)를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수에 붓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분리하고, 물 (30 mL),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Et2O (3 x 5 mL), 펜탄 (3 x 5 mL), 10% MeOH-DCM (3 x 5 mL)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3-클로로-N-메틸-4-[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0.04 g, 19%)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21 (brs, 1H), 8.45-8.44 (br, 1H), 8.07 (dd, J = 7.8, 1.2 Hz, 1H), 7.89 (d, J = 2.1 Hz, 1H), 7.79-7.73 (m, 2H), 7.57 (d, J = 7.8 Hz, 1H), 7.47-7.42 (m, 1H), 7.18 (d, J = 8.4 Hz, 1H), 3.69-3.59 (m, 4H), 3.07-2.97 (m, 4H), 2.89 (br s, 4H), 2.76 (d, J = 4.5 Hz, 3H).
LCMS: m/z: 454.4 [M+H]+.
실시예 4 - 3-클로로-N-시클로프로필-4-[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33
건조 DMF (10 mL) 중 3-클로로-4-플루오로-벤조산 (1 g, 5.73 mmol) 및 시클로프로판아민 (0.47 mL, 6.76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64 g, 8.56 mmol), HOBt (1.2 g, 8.89 mmol) 및 NMM (3.1 mL, 28.24 mmol)을 실온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함), 반응 혼합물을 냉수 (25 mL)로 희석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였으며, 이를 물 (50 mL)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3-클로로-N-시클로프로필-4-플루오로-벤즈아미드 (0.85 g, 70%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14.3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34
건조 DMSO (25 mL) 중 3-클로로-N-시클로프로필-4-플루오로-벤즈아미드 (3.1 g, 14.55 mmol)의 교반 용액에, 피페라진 (6.26 g, 72.77 mmol)을 실온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120℃에서 3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실온으로 냉각시킨 후, 반응물을 물 (20 mL)로 희석하고, 10% IPA-DCM (5 x 10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Et2O (2 x 20 mL)로 세척하여 3-클로로-N-시클로프로필-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3.9 g, 96%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80.4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35
건조 DMF (2 mL) 중 3-클로로-N-시클로프로필-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100 mg, 0.36 mmol) 및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94 mg, 0.43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03 mg, 0.54 mmol), HOBt (73 mg, 0.54 mmol) 및 DIPEA (0.2 mL, 1.15 mmol)를 실온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TLC에 의해 모니터링함), 반응 혼합물을 냉수 (20 mL)로 켄칭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 (50 mL)에 이어서 Et2O (2 x 5 mL)로 세척하여 화합물 3-클로로-N-시클로프로필-4-[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80 mg, 47%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31 (brs, 1H), 8.41 (brs, 1H), 8.08 (d, J = 8.1 Hz, 1H), 7.89 (s, 1H), 7.79-7.40 (m, 2H), 7.57 (d, J = 8.1 Hz, 1H), 7.45 (t, J = 7.8 Hz, 1H), 7.17 (d, J = 8.4 Hz, 1H), 3.69 (s, 2H), 3.62 (s, 2H), 3.07 (s, 2H), 2.97 (s, 2H), 2.88 (s, 4H), 2.85-2.81 (m, 1H), 0.71-0.65 (m, 2H), 0.56-0.55 (m, 2H).
LCMS: m/z: 480.5 [M+H]+.
실시예 5 - 3-클로로-N-시클로부틸-4-[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36
DMF (5 mL) 중 3-클로로-4-플루오로-벤조산 (500 mg, 2.865 mmol)의 교반 용액에, 시클로부탄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369 mg, 3.438 mmol), EDC·HCl (820 mg, 4.297 mmol), HOBt (580 mg, 4.297 mmol) 및 NMM (1.6 mL, 14.325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냉수 (6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6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3-클로로-N-시클로부틸-4-플루오로-벤즈아미드 (550 mg, 84%)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어떠한 추가 정제도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28.22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37
DMSO (5.5mL) 중 3-클로로-N-시클로부틸-4-플루오로-벤즈아미드 (550 mg, 2.422 mmol)의 교반 용액에, 피페라진 (1.04 g, 12.114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120℃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 (40 mL)에 부었고, 고체가 침전되었으며, 이를 아르곤 분위기 하에 여과하여 조 3-클로로-N-시클로부틸-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410 mg, 58%)를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후속 단계에 어떠한 정제도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94.39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38
DMF (2 mL) 중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00 mg, 0.458 mmol)의 교반 용액에, 3-클로로-N-시클로부틸-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134 mg, 0.458 mmol), EDC·HCl (131 mg, 0.687 mmol), HOBt (92 mg, 0.687 mmol) 및 DIPEA (0.16 mL, 0.916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수 (20 mL)에 붓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으며, 이를 여과하고, Et2O (20 mL)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3-클로로-N-시클로부틸-4-[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90 mg, 40%)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2 (s, 1H), 8.60 (d, J = 7.2 Hz, 1H), 8.07 (d, J = 7.7 Hz, 1H), 7.92 (s, 1H), 7.80-7.73 (m, 2H), 7.56 (d, J = 8.1 Hz, 1H), 7.45 (t, J = 7.5 Hz, 1H), 7.17 (d, J = 8.4 Hz, 1H), 4.42-4.37 (m, 1H), 3.65 (d, J = 22.5 Hz, 4H), 3.07 (brs, 2H), 2.97 (brs, 2H), 2.89 (s, 4H), 2.18 (brs, 2H), 2.07-1.98 (m, 2H), 1.67-1.65 (m, 2H).
LCMS: m/z: 494.70 [M+H]+.
실시예 6 - 3-클로로-N-(1-메틸시클로프로필)-4-[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39
DMF (2 mL) 중 3-클로로-4-플루오로-벤조산 (50 mg, 0.29 mmol)의 교반 용액에, 1-메틸시클로프로판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36 mg, 0.34 mmol), EDC·HCl (82 mg, 0.429 mmol), HOBt (58 mg, 0.429 mmol) 및 NMM (0.16 mL, 1.43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25 mL)로 희석하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으며, 이를 여과하였다. 고체를 물 (20 mL)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3-클로로-4-플루오로-N-(1-메틸시클로프로필)벤즈아미드 (50 mg, 78%)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28.19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40
DMSO (5 mL) 중 3-클로로-4-플루오로-N-(1-메틸시클로프로필)벤즈아미드 (500 mg, 2.21 mmol) 및 피페라진 (951 mg, 11.06 mmol)의 교반 용액을 120℃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EtOAc (200 mL)로 희석하고, 물 (1 x 100 mL) 및 염수 용액 (1 x 10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 3-클로로-N-(1-메틸시클로프로필)-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800 m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94.35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41
DMF (5mL) 중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300 mg, 1.37 mmol)의 교반 용액에, 3-클로로-N-(1-메틸시클로프로필)-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604 mg, 2.06 mmol), T3P (0.87 mL, 2.75 mmol, DMF 중 50%) 및 DIPEA (0.75 mL, 4.12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EtOAc (200 mL)로 희석하고, 물 (1 x 100 mL) 및 염수 용액 (1 x 10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3-클로로-N-(1-메틸시클로프로필)-4-[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140 mg, 20%)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20 (brs, 1H), 8.64 (brs, 1H), 8.07 (d, J = 8.0 Hz, 1H), 7.87 (s, 1H), 7.76-7.75 (m, 2H), 7.57 (d, J = 8.0 Hz, 1H), 7.45 (t, J = 8.0 Hz, 1H), 7.15 (d, J = 8.4 Hz, 1H), 3.69 (brs, 2H), 3.61 (brs, 2H), 3.06 (brs, 2H), 2.96 (brs, 2H), 2.89 (s, 4H), 1.34 (s, 3H), 0.71 (brs, 2H), 0.60 (brs, 2H).
LCMS: m/z: 494.50 [M+H]+.
실시예 7 - 3-클로로-N-(3-메틸옥세탄-3-일)-4-[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42
DMF (5 mL) 중 3-클로로-4-플루오로-벤조산 (500 mg, 2.86 mmol)의 교반 용액에, 3-메틸옥세탄-3-아민 히드로클로라이드 (420 mg, 3.43 mmol), EDC·HCl (820 mg, 4.29 mmol), HOBt (580 mg, 4.29 mmol) 및 NMM (1.6 mL, 14.32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EtOAc (200 mL)로 희석하고, 물 (1 x 100 mL), 염수 용액 (1 x 10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7 g, 7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3-클로로-4-플루오로-N-(3-메틸옥세탄-3-일)벤즈아미드 (610 mg, 87%)를 크림 색상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44.14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43
DMSO (6 mL) 중 3-클로로-4-플루오로-N-(3-메틸옥세탄-3-일)벤즈아미드 (600 mg, 2.46 mmol)의 교반 용액에, 피페라진 (1 g, 12.34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120℃에서 16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EtOAc (200 mL)로 희석하고, 물 (1 x 100 mL), 염수 용액 (1 x 10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조 3-클로로-N-(3-메틸옥세탄-3-일)-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900 mg)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310.34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44
DMF (5 mL) 중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200 mg, 0.917 mmol)의 교반 용액에, 3-클로로-N-(3-메틸옥세탄-3-일)-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425 mg, 1.37 mmol), T3P (0.58 mL, 1.83 mmol, DMF 중 50% 용액) 및 DIPEA (0.5 mL, 2.75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EtOAc (100 mL)로 희석하고, 물 (1 x 100 mL), 염수 용액 (1 x 10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3-클로로-N-(3-메틸옥세탄-3-일)-4-[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100 mg, 21%)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30 (brs, 1H), 8.86 (brs, 1H), 8.08 (dd, J = 8.1, 1.2 Hz, 1H), 7.92 (d, J = 1.8 Hz,1H), 7.81-7.73 (m, 2H), 7.57 (d, J = 7.8 Hz, 1H), 7.47-7.42 (m, 1H), 7.19 (d, J = 8.4 Hz, 1H), 4.69 (d, J = 6.0 Hz, 2H), 4.36 (d, J = 6.3 Hz, 2H), 3.70 (brs, 2H), 3.62 (brs, 2H), 3.08 (brs, 2H), 2.98 (brs, 2H), 2.90 (s, 4H), 1.58 (s, 3H).
LCMS: m/z: 510.69 [M+H]+.
실시예 8 - 2-[3-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H-퀴나졸린-4-온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45
100 mL 오븐 건조된 2구 둥근 바닥 플라스크에 마그네슘 터닝 (600 mg, 25 mmol) 및 건조 THF (5 mL)를 실온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채웠다. 이 혼합물에, 아이오딘 (20 mg)을 첨가하고, 격렬하게 교반하면서 70℃로 가열하고, 건조 THF (5 mL) 중 브로모벤젠 (1.57 g, 10 mmol)의 용액을 온도를 70℃에서 유지하면서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아르곤 분위기 하에 계속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아르곤 분위기 하에 건조 THF (5 mL) 중 tert-부틸 4-옥소피페리딘-1-카르복실레이트 (1 g, 5.0 mmol)의 사전-냉각된 (-50℃) 용액에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포화 수성 NH4Cl 용액 (10 mL)으로 켄칭하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10 mL), 염수 (25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조 생성물을 18% 수성 HCl 용액 (15 mL)에 녹이고, 1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용매를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Et2O (20 mL) 및 EtOAc (20 mL)로 세척하여 4-페닐-1,2,3,6-테트라히드로피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700 mg, 71%)를 회백색 고체 (흡습성)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60.3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46
MeOH (10 mL) 중 4-페닐-1,2,3,6-테트라히드로피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300 mg, 1.53 mmol)의 교반 용액에, 10% Pd-C (100 mg)를 실온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H2 (3회)로 플러싱하고, H2 분위기 (풍선) 하에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LCMS에 의해 모니터링함),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의 짧은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MeOH (5 mL)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건조 에테르 (2 x 5 mL)로 세척하여 4-페닐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300 mg, 99%)를 회백색 고체 (흡습성)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62.3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47
건조 DMF (1.5 mL) 중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200 mg, 0.917 mmol) 및 4-페닐피페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217 mg, 1.1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264 mg, 1.375 mmol), HOBt (187 mg, 1.38 mmol) 및 Na2CO3 (292 mg, 2.75 mmol)을 실온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빙냉수 (15 mL)로 켄칭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물 (10 mL)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25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2-[3-옥소-3-(4-페닐-1-피페리딜)프로필]-3H-퀴나졸린-4-온 (30 mg, 25%)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21 (s, 1H), 8.08 (d, J = 6.6 Hz, 1H), 7.79-7.73 (m, 1H), 7.57-7.52 (m, 1H), 7.48-7.43 (m, 1H), 7.38-7.22 (m, 5H), 4.51 (d, J = 12.6 Hz, 1H), 4.07 (d, J = 13.8 Hz, 1H), 3.14 (t, J = 12.6 Hz, 4H), 2.94-2.81 (m, 3H), 2.64-2.57 (m, 1H), 1.84-1.73 (m, 1H), 1.66-1.62 (m, 1 H), 1.42-1.33 (m, 1H).
LCMS: m/z: 362.5 [M+H]+.
실시예 9 - 2-[3-옥소-3-(4-페닐피페라진-1-일)프로필]-3H-퀴나졸린-4-온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48
AcOH (10 mL) 중 2-아미노벤즈아미드 (5 g, 36.76 mmol)의 교반 용액에, AcOH (10 mL) 중 숙신산 무수물 (3.67 g, 36.76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냉수 (100 mL)로 희석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냉수 (30 mL)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4-(2-카르바모일아닐리노)-4-옥소-부탄산 (8 g, 9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37.4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49
Ac2O (10 mL) 중 4-(2-카르바모일아닐리노)-4-옥소-부탄산 (8 g, 33.86 mmol) 및 NaOAc (2.78 g, 33.86 mmol)의 교반 현탁액을 12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물 (100 mL)로 켄칭하고, 1 N NaOH 용액을 pH = 10이 될 때까지 천천히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 (30 mL)로 세척하고, 수성 층을 분리하고, pH = 5가 될 때까지 AcOH로 산성화시키고,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였다. 고체를 헥산 (3 x 20 mL)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5.0 g, 68%)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19.3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50
건조 DMF (1.5 mL) 중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00 mg, 0.458 mmol) 및 1-페닐피페라진 (90 mg, 0.55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32 mg, 0.687 mmol), HOBt (93 mg, 0.688 mmol) 및 Na2CO3 (146 mg, 1.37 mmol)을 실온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아르곤 하에 교반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빙냉수 (15 mL)로 켄칭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 (10 mL)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켰다. 조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50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2-[3-옥소-3-(4-페닐피페라진-1-일)프로필]-3H-퀴나졸린-4-온 (33 mg, 20%)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21 (s, 1H), 8.07 (dd, J = 1.2, 8.1 Hz, 1H), 7.77-7.71 (m, 1H), 7.54 (d, J = 7.8 Hz, 1H), 7.47-7.42 (m, 1H), 7.23 (t, J = 7.5 Hz, 2H), 6.92 (d, J = 8.1 Hz, 2 H), 6.81 (t, J = 7.2 Hz, 1H), 3.67-3.57 (m, 4H), 3.20-3.06 (m, 4H), 2.89 (s, 4H).
LCMS: m/z: 363.5 [M+H]+.
실시예 10 - 2-[3-[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51
건조 톨루엔 (2 mL) 중 1-클로로-2-아이오도-벤젠 (140 mg, 0.590 mmol) 및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100 mg, 0.537 mmol)의 교반 용액에, xantphos (34 mg, 0.0590 mmol), Pd2(dba)3 (24 mg, 0.0262 mmol) 및 Cs2CO3 (261 mg, 0.80 mmol)을 실온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CEM 마이크로웨이브에서 100℃에서 30분 동안 조사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물 (2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2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0 g, 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100 mg, 63%)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7.37 (dd, J = 7.8, 1.2 Hz, 1H), 7.22 (td, J = 7.8, 1.2 Hz, 1H), 7.02-6.96 (m, 2H), 3.60 (t, J = 5.1 Hz, 4H), 2.99 (t, J = 5.1 Hz, 4H), 1.48 (s, 9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52
1,4-디옥산 (2 mL) 중 tert-부틸 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250 mg, 0.844 mmol)의 교반 용액에, 1,4-디옥산 중 4 N HCl (0.9 mL, 3.60 mmol)을 0℃에서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되도록 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디에틸 에테르 (2 x 20 mL)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1-(2-클로로페닐)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165 mg, 84%)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53
건조 DMF (2 mL) 중 1-(2-클로로페닐)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119 mg, 0.510 mmol) 및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11 mg, 0.509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98 mg, 0.511 mmol), HOBt (69 mg, 0.510 mmol) 및 DIPEA (0.18 mL, 1.03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냉수 (20 mL)로 켄칭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생성된 침전물을 여과하고, 고체를 Et2O (2 x 5 mL)로 세척하여 2-[3-[4-(2-클로로페닐)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90 mg, 44%)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20 (s, 1H), 8.08 (dd, J = 7.8, 1.2 Hz, 1H), 7.76-7.73 (m, 1H), 7.57 (d, J = 8.1 Hz, 1H), 7.48-7.41 (m, 2H), 7.31-7.28 (m, 1H), 7.15-7.04 (m, 2H), 3.68 (s, 2H), 3.61 (s, 2H), 3.00 (s, 4H), 2.89 (s, 4H).
LCMS: m/z: 397.30 [M+H]+.
실시예 11 - 6-[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54
DMA (20 mL) 중 6-클로로피리딘-3-카르보니트릴 (2 g, 14.43 mmol)의 교반 용액에, K2CO3 (3.4 g, 24.63 mmol), N-Boc-피페라진 (2.7 g, 14.50 mmol)을 실온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빙수 (100 mL)에 붓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으며, 이를 여과하고, Et2O (3 x 10 mL), 펜탄 (3 x 10 mL)으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tert-부틸 4-(5-시아노-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3 g, 73%)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89.3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55
DCM 중 tert-부틸 4-(5-시아노-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5 g, 1.736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0.5 mL)을 적가하고, 실온에서 4시간 동안 아르곤 분위기 하에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Et2O (2 x 5 mL), DCM (2 x 5 mL), 펜탄 (2 x 5 mL)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0.3 g, 93% 수율)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9.58 (brs, 2H), 8.54 (d, J = 2.8 Hz, 1H), 7.91-7.33 (dd, J = 3.2, 12.4 Hz, 1H), 7.02 (d, J = 12.0 Hz, 1H), 3.91 (t, J = 6.8 Hz, 4H), 3.14 (brs, 4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56
DMF (2 mL) 중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0.2 g, 0.974 mmol) 및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0.2 g, 0.913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0.35 g, 1.83 mmol), HOBt (0.24 g, 1.83 mmol) 및 DIPEA (0.8 mL, 4.59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 (30 mL)에 붓고, 15분 동안 교반하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으며, 이를 여과하고,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0 g, DCM 중 5% MeOH)에 의해 정제하여 6-[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0.025 g, 2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02 (s, 1H), 8.51 (d, J = 3.2 Hz, 1H), 8.08-8.05 (dd, J = 1.6, 10.4 Hz, 1H), 7.90-7.86 (dd, J = 3.2, 12.0 Hz, 1H), 7.77-7.71 (m, 1H), 7.54 (d, J = 10.4 Hz, 1H), 7.47-7.41 (m, 1H), 6.94 (d, J = 12.0 Hz, 1H), 3.77-3.75 (m, 2H), 3.64 (d, J = 4.8 Hz, 4H), 3.57-3.56 (m, 2H), 2.89 (s, 4H).
LCMS: m/z: 389.61 [M+H]+.
실시예 12 - 6-[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의 합성
Figure 112019076358104-pct00057
톨루엔 (1 mL) 중 6-[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100 mg, 0.257 mmol)의 교반 용액에, H2SO4 (127 mg, 1.285 mmol)를 실온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80℃에서 5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톨루엔 (3 x 5 mL)으로 공증류하고, pH = 9가 될 때까지 1 N NaOH 용액으로 염기성화시키고, 10% MeOH-DCM (3 x 10 mL)으로 추출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5 g, DCM 중 10% MeOH)에 의해 정제하여 6-[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0.025 g, 20%)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02 (s, 1H), 8.63 (d, J = 3.2 Hz, 1H), 8.08-8.05 (dd, J = 1.6,10.4 Hz, 1H), 8.00-7.96 (dd, J = 3.2,12.0 Hz, 1H), 7.79-7.71 (m, 2H), 7.54 (d, J = 10.8 Hz, 1H), 7.44(t, J = 10.4 Hz, 1H), 7.17 (s, 1H), 6.86 (d, J = 12 Hz, 1H), 3.69-3.64 (m, 4H), 3.56 (s, 4H), 2.89 (s, 4H).
LCMS: m/z: 407.5 [M+H]+.
실시예 13 - 6-[4-[3-(5-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58
실온에서 DMF (5 mL) 중 2-아미노-6-메틸-벤조산 (0.5 g, 3.31 mmol)의 교반 용액에, CDI (0.53 g, 3.3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고, 수성 암모니아 (25%, 10 mL)를 온도를 80℃에서 유지하면서 상기 반응 혼합물에 조심스럽게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이 되게 하고, 물 (3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 x 50 mL), 염수 (4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Et2O (10 mL)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2-아미노-6-메틸-벤즈아미드 (200 mg, 40%)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151.09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59
AcOH (3 mL) 중 2-아미노-6-메틸-벤즈아미드 (0.2 g, 1.33 mmol)의 교반 용액에, 숙신산 무수물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 (5 mL)에 붓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 (20 mL), 차가운 아세톤 (5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4-(2-카르바모일-3-메틸-아닐리노)-4-옥소-부탄산 (250 mg, 75%)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251.50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60
4-(2-카르바모일-3-메틸-아닐리노)-4-옥소-부탄산 (0.25 g, 1.0 mmol)을 2 N 수성 NaOH (5 mL)에 녹이고,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0℃로 천천히 냉각시키고, 2 N 수성 HCl을 사용하여 pH = 3-4로 산성화시키고 그동안 백색 고체가 침전되었다. 현탁액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물 (20 mL), 차가운 아세톤 (2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3-(5-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50 mg, 64%)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233.49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061
DMF (2 mL) 중 3-(5-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50 mg, 0.65 mmol) 및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145 mg, 0.77 mmol)의 교반 용액에, DIPEA (0.3 mL, 1.94 mmol) 및 T3P (EtOAc 중 50% 용액, 0.4 mL, 1.29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4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3 x 30 mL),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0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6-[4-[3-(5-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60 mg, 27%)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1.98 (brs, 1H), 8.51 (d, J = 2.1 Hz, 1H), 7.88 (dd, J = 9.0, 2.1 Hz 1H), 7.55 (t, J = 7.8 Hz, 1H), 7.34 (d, J = 7.8 Hz, 1H), 7.16 (d, J = 7.2 Hz, 1H), 6.93 (d, J = 9.0 Hz, 1H), 3.77-3.76 (m, 2H), 3.64-3.62 (m, 4H), 3.57-3.55 (m, 2H), 2.88-2.83 (m, 4H), 2.75 (s, 3H).
LCMS (ESI+): m/z: 403.66 [M+H]+.
실시예 14 - 6-[4-[3-(6-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62
THF (2 mL) 중 2-아미노-5-메틸-벤조산 (100 mg, 0.66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89 mg, 0.99 mmol), HOBt·NH3 (149 mg, 0.99 mmol) 및 DIPEA (0.35 mL, 1.99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전환을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EtOAc (1 x 50 mL)로 희석하고, 물 (1 x 20 mL) 및 염수 용액 (1 x 2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콤비플래쉬 Rf 200 텔레다인 이스코 (100% EtOAc, 12 gm 카트리지)에 의해 정제하여 2-아미노-5-메틸-벤즈아미드 (70 mg, 70%)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151.13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63
AcOH (6 mL) 중 2-아미노-5-메틸-벤즈아미드 (600 mg, 4.0 mmol)의 교반 용액에, 숙신산 무수물 (480 mg, 4.80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전환을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 (1 x 50 mL)로 희석하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으며, 이를 여과하고, 물 (1 x 50 mL)에 이어서 차가운 아세톤 (1 x 20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4-(2-카르바모일-4-메틸-아닐리노)-4-옥소-부탄산 (800 mg, 8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273.56 [M+Na]+.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64
수성 2 N NaOH (15 mL) 중 4-(2-카르바모일-4-메틸-아닐리노)-4-옥소-부탄산 (480 mg, 2.07 mmol)의 교반 용액을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화합물 4의 완전한 전환을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pH = 5가 될 때까지 AcOH로 산성화시키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 (1 x 80 mL)에 이어서 차가운 아세톤 (1 x 20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3-(6-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380 mg, 85%)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233.45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065
실온에서 DMF (5mL) 중 3-(6-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250 mg, 1.077 mmol)의 교반 용액에,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289 mg, 1.293 mmol), T3P (DMF 중 50%, 0.68 mL, 2.15 mmol) 및 DIPEA (0.57 mL, 3.23 mmol)를 첨가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1 x 80 mL)로 희석하고, 5분 동안 교반하고, 이때 고체가 침전되었으며, 이를 여과하였다. 고체를 물 (1 x 70 mL)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6-[4-[3-(6-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170 mg, 39%)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10 (brs, 1H), 8.51 (s, 1H), 7.90-7.87 (m, 2H), 7.56 (d, J = 8.1 Hz, 1H), 7.44 (d, J = 8.4 Hz, 1H), 6.94 (d, J = 9.3 Hz, 1H), 3.79-3.72 (m, 2H), 3.68-3.62 (m, 4H), 3.59-3.54 (m, 2H), 2.87 (s, 4H), 2.41 (s, 3H).
LCMS (ESI+): m/z: 403.66 [M+H]+.
실시예 15 - 6-[4-[3-(7-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66
THF (6 mL) 중 2-아미노-4-메틸-벤조산 (300 mg, 1.99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569 mg, 2.98 mmol), HOBt·NH3 (447 mg, 2.98 mmol) 및 DIPEA (1.06 mL, 5.96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3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5 g, 5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2-아미노-4-메틸-벤즈아미드 (190 mg, 64%)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7.62 (brs, 1H), 7.42 (d, J = 8.1 Hz, 1H), 6.93 (brs, 1H), 6.54-6.46 (m, 3H), 6.30- 6.27 (m, 1H), 2.15 (s, 3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67
AcOH (5 mL) 중 2-아미노-4-메틸-벤즈아미드 (190 mg, 1.27 mmol)의 교반 용액에, 숙신산 무수물 (151 mg, 1.52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20 mL)로 희석하였고, 고체가 침전되었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필요한 4-(2-카르바모일-5-메틸-아닐리노)-4-옥소-부탄산 (250 mg, 89%)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37 (brs, 1H), 11.88 (s, 1H), 8.33 (s, 1H), 8.20 (s, 1H), 7.70 (d, J = 8.1 Hz, 1H), 7.64 (s, 1H), 6.91 (d, J = 7.8 Hz, 1H), 2.53-2.50 (m, 4H), 2.31 (s, 3H).
LCMS: m/z: 273.50 [M+Na]+.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68
4-(2-카르바모일-5-메틸-아닐리노)-4-옥소-부탄산 (250 mg, 1 mmol)을 2 N NaOH (10 mL)에 녹이고, 3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0℃로 냉각시키고, pH = 4가 될 때까지 AcOH로 산성화시키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3-(7-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220 mg, 95%)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33.45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069
DMF (4 mL) 중 3-(7-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50 mg, 0.65 mmol) 및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173 mg, 0.78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85 mg, 0.97 mmol), HOBt (130 mg, 0.97 mmol) 및 DIPEA (0.46 mL, 2.58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냉수 (25 mL)에 붓고, 10분 동안 교반하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키고, Et2O (20 mL) 및 헥산 (20 mL)으로 세척하여 6-[4-[3-(7-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75 mg, 29%)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1 (s, 1H), 8.52 (s, 1H), 7.96-7.87 (m, 2H), 7.33 (s, 1H), 7.26 (d, J = 8.1 Hz, 1H), 6.94 (d, J = 9.3 Hz, 1H), 3.78 (brs, 2H), 3.65 (brs, 4H), 3.57 (brs, 2H), 2.87 (brs, 4H), 2.39 (s, 3H).
LCMS: m/z: 403.69 [M+H]+.
실시예 16 - 6-[4-[3-(8-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70
THF (15 mL) 중 2-아미노-3-메틸-벤조산 (0.5 g, 3.31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0.948 g, 4.97 mmol), HOBt·NH3 (0.745 g, 4.97 mmol) 및 DIPEA (1.76 mL, 9.93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전환을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3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 x 50 mL), 염수 (4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20 g, 5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2-아미노-3-메틸-벤즈아미드 (0.3 g, 60%)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51.09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71
AcOH (3 mL) 중 2-아미노-3-메틸-벤즈아미드 (0.3 g, 2.0 mmol)의 교반 용액에, 숙신산 무수물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 (10 mL)에 붓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 (20 mL), 차가운 아세톤 (5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4-(2-카르바모일-6-메틸-아닐리노)-4-옥소-부탄산 (280 mg, 5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51.48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72
2 N 수성 NaOH (5 mL) 중 4-(2-카르바모일-6-메틸-아닐리노)-4-옥소-부탄산 (0.28 g, 1.12 mmol)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pH = 3-4가 될 때까지 2 N 수성 HCl로 산성화시키고 그동안 백색 고체가 침전되었다. 현탁액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물 (20 mL), 차가운 아세톤 (5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3-(8-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80 mg, 69%)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33.45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073
DMF (3 mL) 중 3-(8-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00 mg, 0.43 mmol) 및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97 mg, 0.52 mmol)의 교반 용액에, DIPEA (0.23 mL, 1.29 mmol) 및 T3P (0.27 mL, 0.86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6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3 x 30 mL),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아세토니트릴 (5 mL)로부터 재결정화하여 6-[4-[3-(8-메틸-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60 mg, 34%)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20 (brs, 1H), 8.51 (d, J = 2.1 Hz, 1H), 7.92-7.86 (m, 2H), 7.60 (d, J = 6.9 Hz, 1H), 7.31 (t, J = 7.5 Hz, 1H), 6.93 (d, J = 9.0 Hz, 1H), 3.77-3.75 (m, 2H), 3.66-3.65 (m, 4H), 3.59-3.57 (m, 2H), 2.90 (s, 4H), 2.46 (s, 3H).
LCMS: m/z: 403.68 [M+H]+.
실시예 17 - 6-[4-[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Figure 112019076358104-pct00074
DMF (5 mL) 중 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250 mg, 1.054 mmol)의 교반 용액에,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283 mg, 1.265 mmol), EDC·HCl (302 mg, 1.582 mmol), HOBt (213 mg, 1.582 mmol) 및 DIPEA (0.56 mL, 3.164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7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1 x 80 mL)로 희석하고, 실온에서 5분 동안 교반하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으며, 이를 여과하고, 물 (1 x 70 mL)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6-[4-[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120 mg, 23%)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20 (brs, 1H), 8.51 (d, J = 2.1 Hz,1H), 7.88 (dd, J = 9.3, 2.4 Hz, 1H), 7.73-7.67 (m, 1H), 7.35 (d, J = 8.1 Hz, 1H) 7.21-7.15 (m, 1H), 6.94 (d, J = 9.3 Hz, 1H), 3.81-3.74 (m, 2H), 3.68-3.62 (m, 4H), 3.58-3.53 (m, 2H), 2.87 (s, 4H).
LCMS: m/z: 407.60 [M+H]+.
실시예 18 - 6-[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Figure 112019076358104-pct00075
DMF (2 mL) 중 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00 mg, 0.42 mmol) 및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95 mg, 0.51 mmol)의 교반 용액에, DIPEA (0.2 mL, 1.27 mmol) 및 T3P (0.3 mL, 0.85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4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3 x 30 mL),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0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6-[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60 mg, 35%)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33 (brs, 1H), 8.51 (d, J = 2.1 Hz, 1H), 7.88 (dd, J = 9.0, 2.1 Hz, 1H), 7.74 (d, J = 8.1 Hz, 1H), 7.64-7.62 (m, 2H), 6.93 (d, J = 9.3 Hz, 1H), 3.77-3.56 (m, 8H), 2.88 (s, 4H).
LCMS: m/z: 407.61 [M+1]+.
실시예 19 - 6-[4-[3-(7-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76
THF (6 mL) 중 2-아미노-4-플루오로-벤조산 (300 mg, 1.93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553 mg, 2.90 mmol), HOBt·NH3 (435 mg, 2.90 mmol), DIPEA (1.03 mL, 5.79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25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2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메쉬 실리카 겔, 5g, 5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2-아미노-4-플루오로-벤즈아미드 (195 mg, 65%)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7.71 (brs, 1H), 7.61-7.56 (m, 1H), 7.07 (brs, 1H), 6.89 (s, 2H), 6.42 (dd, J = 2.7, 12.0 Hz, 1H), 6.30-6.23 (m, 1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77
AcOH (4 mL) 중 2-아미노-4-플루오로-벤즈아미드 (195 mg, 1.26 mmol)의 교반 용액에, 숙신산 무수물 (151 mg, 1.51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20 mL)로 희석하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4-(2-카르바모일-5-플루오로-아닐리노)-4-옥소-부탄산 (260 mg, 81%)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10 (s, 1H), 8.40-8.26 (m, 3H), 7.92-7.87 (m, 1H), 7.79 (brs, 1H), 7.00-6.93 (m, 1H), 2.56-2.49 (m, 4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78
2 N NaOH (10 mL) 중 4-(2-카르바모일-5-플루오로-아닐리노)-4-옥소-부탄산 (250 mg, 0.98 mmol)의 교반 용액을 3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pH = 4가 될 때까지 AcOH로 산성화시키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3-(7-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210 mg, 90%)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37.43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079
DMF (4 mL) 중 3-(7-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50 mg, 0.63 mmol) 및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히드로클로라이드 (174 mg, 0.76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81 mg, 0.95 mmol), HOBt (130 mg, 0.95 mmol) 및 DIPEA (0.45 mL, 2.54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냉수 (25 mL)에 붓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키고, Et2O (20 mL), 헥산 (20 mL), 펜탄 (20 mL), EtOAc (15 mL)로 세척하고, 다시 진공 하에 건조시켜 6-[4-[3-(7-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110 mg, 43%)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30 (s, 1H), 8.51 (d, J = 2.1 Hz, 1H), 8.15-8.10 (m, 1H), 7.88 (dd, J = 2.4, 9.6 Hz, 1H), 7.33-7.27 (m, 2H), 6.94 (d, J = 9.0 Hz, 1H), 3.80-3.73 (m, 2H), 3.69-3.61 (m, 4H), 3.59-3.53 (m, 2H), 2.89 (s, 4H).
LCMS: m/z: 407.61 [M+H]+.
실시예 20 - 6-[4-[3-(8-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80
THF (10 mL) 중 2-아미노-3-플루오로-벤조산 (400 mg, 2.57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738 mg, 3.86 mmol), HOBt·NH3 (580 mg, 3.86 mmol) 및 DIPEA (1.38 mL, 7.73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3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4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플래쉬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메쉬 실리카 겔, 5g, 5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2-아미노-3-플루오로-벤즈아미드 (250 mg, 63%)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55.42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81
AcOH (5 mL) 중 2-아미노-3-플루오로-벤즈아미드 (250 mg, 1.62 mmol)의 교반 용액에, 숙신산 무수물 (389 mg, 3.89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20 mL)로 희석하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4-(2-카르바모일-6-플루오로-아닐리노)-4-옥소-부탄산 (400 mg, 97%)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55.42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82
4-(2-카르바모일-6-플루오로-아닐리노)-4-옥소-부탄산 (400 mg, 1.57 mmol)을 2 N NaOH (10 mL)에 녹이고, 1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pH = 4가 될 때까지 AcOH로 산성화시키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3-(8-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250 mg, 67%)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37.39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083
DMF (4 mL) 중 3-(8-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50 mg, 0.63 mmol) 및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170 mg, 0.76 mmol)의 교반 용액에, T3P (0.3 mL, 0.95 mmol) 및 DIPEA (0.45 ml, 2.54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냉수 (25 mL)에 붓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키고, 헥산 (30 mL), 클로로포름 (30 mL)으로 세척하고, 다시 진공 하에 건조시켜 6-[4-[3-(8-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80 mg, 23%)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8.51 (d, J= 2.1 Hz, 1H), 7.90-7.87 (m, 2H), 7.65-7.59 (m, 1H), 7.46-7.39 (m, 1H), 6.93 (d, J = 9.0 Hz, 1H), 3.77 (brs, 2H), 3.64 (brs, 4H), 3.57 (brs, 2H), 2.90 (s, 4H).
LCMS: m/z: 407.61 [M+H]+.
실시예 21 - 6-[4-[3-(4-옥소-3H-피리도[3,2-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84
AcOH (3 mL) 중 3-아미노피리딘-2-카르복스아미드 (0.3 g, 2.19 mmol)의 교반 용액에, 숙신산 무수물 (0.26 g, 2.63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 (5 mL)에 붓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 (10 mL), 차가운 아세톤 (5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4-[(2-카르바모일-3-피리딜)아미노]-4-옥소-부탄산 (320 mg, 61%)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어떠한 정제도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38.41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85
4-[(2-카르바모일-3-피리딜)아미노]-4-옥소-부탄산 (300 mg, 1.27 mmol)을 2 N 수성 NaOH (5 mL)에 녹이고, 10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pH = 3-4가 될 때까지 2 N 수성 HCl로 산성화시키고 그동안 백색 고체가 침전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 (10 mL), 차가운 아세톤 (4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3-(4-옥소-3H-피리도[3,2-d]피리미딘-2-일)프로판산 (200 mg, 72%)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어떠한 정제도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20.46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86
DMF (3 mL) 중 3-(4-옥소-3H-피리도[3,2-d]피리미딘-2-일)프로판산 (100 mg, 0.46 mmol) 및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104 mg, 0.55 mmol)의 교반 용액에, DIPEA (0.3 mL, 1.37 mmol) 및 T3P (0.23 mL, 0.92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4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3 x 20 mL),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0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6-[4-[3-(4-옥소-3H-피리도[3,2-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60 mg, 3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50 (brs, 1H), 8.71 (dd, J = 4.0, 1.2 Hz, 1H), 8.50 (d, J = 2.0 Hz, 1H), 7.95 (dd, J = 8.4, 1.6 Hz, 1H), 7.88 (dd, J = 9.2, 1.6 Hz, 1H), 7.73 (dd, J = 8.0, 4.0 Hz, 1H), 6.93 (d, J = 9.2 Hz, 1H), 3.77-3.75 (m, 2H), 3.66-3.63 (m, 4H), 3.57-3.55 (m, 2H), 2.90 (s, 4H).
LCMS: m/z: 390.69 [M+H]+.
실시예 22 - 6-[4-[3-(4-옥소-3H-피리도[3,4-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87
AcOH (6 mL) 중 3-아미노피리딘-4-카르복스아미드 (300 mg, 2.18 mmol)의 교반 용액에, 숙신산 무수물 (262 mg, 2.62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2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20 mL)로 희석하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하였다.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4-[(4-카르바모일-3-피리딜)아미노]-4-옥소-부탄산 (430 mg, 83%)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38.52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88
4-[(4-카르바모일-3-피리딜)아미노]-4-옥소-부탄산 (430 mg, 1.81 mmol)을 2 N NaOH (8.6 mL)에 녹이고, 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pH = 4가 될 때까지 AcOH로 산성화시키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3-(4-옥소-3H-피리도[3,4-d]피리미딘-2-일)프로판산 (380 mg, 96%)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20.42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89
DMF (5 mL) 중 3-(4-옥소-3H-피리도[3,4-d]피리미딘-2-일)프로판산 (200 mg, 0.91 mmol) 및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245 mg, 1.09 mmol)의 교반 용액에, T3P (0.87 mL, 1.36 mmol), DIPEA (0.64 mL, 3.65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희석하고 (30 mL), EtOAc (3 x 1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메쉬 실리카 겔, 4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6-[4-[3-(4-옥소-3H-피리도[3,4-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45 mg, 1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55 (s, 1H), 8.94 (s, 1H), 8.59 (d, J = 4.8 Hz, 1H), 8.51-8.50 (m, 1H), 7.91-7.87 (m, 2H), 6.94 (d, J = 9.2 Hz, 1H), 3.77 (brs, 2H), 3.65 (brs, 4H), 3.56 (brs, 2H), 2.92 (brs, 4H).
LCMS: m/z: 390.70 [M+H]+.
실시예 23 - 6-[4-[3-(4-옥소-3H-티에노[2,3-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90
아세트산 (3 mL) 중 2-아미노티오펜-3-카르복스아미드 (300 mg, 2.11 mmol)의 교반 용액에 실온에서 숙신산 무수물 (253 mg, 2.5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물 (20 mL)로 희석하고, 침전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수득된 고체를 진공 하에 건조시켜 4-[(3-카르바모일-2-티에닐)아미노]-4-옥소-부탄산 (410 mg, 69%)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20 (s, 1H), 12.14 (s, 1H), 7.89 (s, 1H), 7.50 (brs, 1H), 7.39 (d, J = 5.6 Hz, 1H), 6.93 (d, J = 6.0 Hz, 1H), 2.67 (t, J = 6.4 Hz, 2H), 2.56 (t, J = 6.8 Hz, 2H).
LCMS: m/z: 265.40 [M+Na]+.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91
4-[(3-카르바모일-2-티에닐)아미노]-4-옥소-부탄산 (350 mg, 1.44 mmol)을 실온에서 2 N NaOH (7 mL) 중에 현탁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AcOH (pH=4)로 산성화시켰다. 고체를 형성하고, 여과에 의해 수집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3-(4-옥소-3H-티에노[2,3-d]피리미딘-2-일)프로판산 (290 mg, 90%)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25.38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92
DMF (5 mL) 중 3-(4-옥소-3H-티에노[2,3-d]피리미딘-2-일)프로판산 (200 mg, 0.89 mmol) 및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239 mg, 1.07 mmol)의 교반 용액에 실온에서 T3P (0.85 mL, 1.33 mmol), DIPEA (0.62 mL, 3.56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희석하고 (30 mL), EtOAc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용매를 감압 하에 증발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수득된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4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6-[4-[3-(4-옥소-3H-티에노[2,3-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80 mg, 2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38 (s, 1H), 8.50 (d, J = 2.0 Hz, 1H), 7.88 (dd, J = 2.4, 9.2 Hz, 1H), 7.45 (d, J = 6.0 Hz, 1H), 7.32 (d, J = 5.6 Hz, 1H), 6.93 (d, J = 9.2 Hz, 1H), 3.77-3.74 (m, 2H), 3.65-3.62 (m, 4H), 3.57-3.55 (m, 2H), 2.92-2.84 (m, 4H).
LCMS: m/z: 395.62 [M+H]+.
실시예 24 - 6-[4-[3-(4-옥소-3H-티에노[3,2-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93
1 M 수산화나트륨 (14 mL, 14 mmol) 중 메틸 3-아미노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2 g, 12.72 mmol)의 교반 용액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pH = 2가 될 때까지 1 N HCl로 산성화시키고, 50% THF-EtOAc (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n-펜탄 (2 x 20 mL)으로 세척하여 3-아미노티오펜-2-카르복실산 (1.4 g, 77%)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어떠한 정제도 없이 사용하였다.
LCMS (ESI+): m/z: 144.30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94
THF (20 mL) 중 3-아미노티오펜-2-카르복실산 (1 g, 6.99 mmol) 및 CDI (1.24 g, 7.69 mmol)의 용액을 6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25% 수성 암모니아 용액 (16 mL)을 첨가하고, 60℃에서 3시간 동안 계속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EtOAc (2 x 75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4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20 g, 50-7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3-아미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400 mg, 40%)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143.33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095
AcOH (10 mL) 중 3-아미노티오펜-2-카르복스아미드 (390 mg, 2.74 mmol)의 교반 현탁액에, 숙신산 무수물 (277 mg, 2.77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40 mL)로 켄칭하고, 15분 동안 교반하고,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 (1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4-[(2-카르바모일-3-티에닐)아미노]-4-옥소-부탄산 (585 mg, 88%)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243.40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096
2 N 수산화나트륨 용액 (16 mL, 32 mmol) 중 4-[(2-카르바모일-3-티에닐)아미노]-4-옥소-부탄산 (500 mg, 2.07 mmol)의 용액을 8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pH = 5가 될 때까지 AcOH로 산성화시키고, 백색 침전물을 여과하고, 물 (20 mL)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건조시켜 3-(4-옥소-3H-티에노[3,2-d]피리미딘-2-일)프로판산 (330 g, 7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225.42 [M+H]+.
단계-5:
Figure 112019076358104-pct00097
DMF (10 mL) 중 3-(4-옥소-3H-티에노[3,2-d]피리미딘-2-일)프로판산 (200 mg, 0.89 mmol),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240 mg, 1.07 mmol) 및 DIPEA (0.31 mL, 1.78 mmol)의 교반 용액에, EtOAc 중 50% T3P 용액 (0.85 mL, 1.34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60 mL)로 켄칭하고, DCM (2 x 5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20 g, 2-4%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6-[4-[3-(4-옥소-3H-티에노[3,2-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60 mg, 17%)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37 (s, 1H), 8.50 (d, J = 2.0 Hz, 1H), 8.12 (d, J = 5.2 Hz, 1H), 7.88 (dd, J = 5.6, 9.2 Hz, 1H), 7.29 (d, J = 5.2 Hz, 1H), 6.93 (d, J = 9.2 Hz, 1H), 3.80-3.72 (m, 2H), 3.68-3.61 (m, 4H), 3.59-3.55 (m, 2H), 2.92-2.85 (m, 4H).
LCMS (ESI+): m/z: 395.63 [M+H]+.
실시예 25 - 6-[(2S)-2-메틸-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098
DMSO (10 mL) 중 tert-부틸 (3S)-3-메틸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500 mg, 2.50 mmol) 및 6-클로로피리딘-3-카르보니트릴 (415 mg, 3.0 mmol)의 교반 용액에, K2CO3 (863 mg, 6.25 mmol) 및 Cu(MeCN)4PF6 (18 mg, 0.05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4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물 (2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 x 30 mL) 및 염수 (4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5 g, 3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S)-4-(5-시아노-2-피리딜)-3-메틸-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260 mg, 34%)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03.60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099
0℃로 냉각된 DCM (5 mL) 중 tert-부틸 (3S)-4-(5-시아노-2-피리딜)-3-메틸-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260 mg, 0.86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5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Et2O (5 mL)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6-[(2S)-2-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120 mg, 68%)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03.45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00
0℃로 냉각된 DMF (5 mL) 중 6-[(2S)-2-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100 mg, 0.46 mmol) 및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11 mg, 0.55 mmol)의 교반 용액에, T3P (0.3 mL, 0.92 mmol, DMF 중 50%) 및 DIPEA (0.25 mL, 1.3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2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6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3 x 30 mL), 염수 (4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8 g, 5% MeOH-EtOAc)에 의해 정제하여 6-[(2S)-2-메틸-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40 mg, 2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28 (s, 1H), 8.52 (d, J = 1.8 Hz, 1H), 8.06 (d, J = 7.5 Hz, 1H), 7.88 (dd, J = 1.8 Hz, J = 9.0 Hz, 1H), 7.76-7.17 (m, 1H), 7.51 (d, J = 8.1 Hz, 1H), 7.44 (t, J = 7.5 Hz, 1H), 6.90 (d, J = 9.0 Hz, 1H), 4.66-4.58 (m, 1H), 4.25-4.14 (m, 2H), 4.05-3.87(m, 1H), 3.47 (d, J = 10.5 Hz, 1H), 3.12-2.99 (m, 2H), 2.91-2.84 (m, 4H), 1.20-.98 (m, 3H).
LCMS: m/z: 403.66 [M+H]+.
실시예 26 - 6-[(2R)-2-메틸-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01
DMSO (10 mL) 중 tert-부틸 (3R)-3-메틸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500 mg, 2.5 mmol), 6-클로로피리딘-3-카르보니트릴 (415 mg, 3 mmol)의 교반 용액에, 탄산칼륨 (690 mg, 5 mmol), Cu(MeCN)4PF6 (18 mg, 0.05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4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실온이 되게 하고, 물 (3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4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30 mL), 염수 (4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메쉬 실리카 겔, 7 g, 3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R)-4-(5-시아노-2-피리딜)-3-메틸-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15 mg, 55%)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CDCl3]: δ 8.39 (d, J = 2.4 Hz, 1H), 7.62-7.58 (m, 1H), 6.54 (d, J = 9.0 Hz, 1H), 4.51 (brs, 1H), 4.13-3.89 (m, 3H), 3.27-3.13 (m, 2H), 3.00 (brs, 1H), 1.45 (s, 9H), 1.23-1.16 (m, 3H).
LCMS: m/z: 247.46 [M-tBu]+.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02
0℃로 냉각된 1,4-디옥산 (4 mL) 중 tert-부틸 (3R)-4-(5-시아노-2-피리딜)-3-메틸-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10 mg, 1.35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1.35 mL, 5.4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천천히 실온이 되게 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 6-[(2R)-2-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310 mg, 96%)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어떠한 정제도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03.41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03
DMF (2 mL) 중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00 mg, 0.45 mmol), 6-[(2R)-2-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93 mg, 0.45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31 mg, 0.68 mmol), HOBt (92 mg, 0.68 mmol) 및 DIPEA (0.16 mL, 0.91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냉수 (2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1 x 30 mL), 염수 용액 (40 mL)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메쉬 실리카 겔, 4 g, 3%의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6-[(2R)-2-메틸-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60 mg, 33%)을 연분홍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30 (brs, 1H), 8.52 (d, J = 2.1 Hz, 1H), 8.06 (d, J = 7.8 Hz, 1H), 7.88 (dd, J =9.0, 2.1 Hz, 1H), 7.76 - 7.71 (m, 1H), 7.51 (d,J = 8.1 Hz, 1H), 7.44 (t, J = 7.5 Hz, 1H), 6.89 (d, J = 9.0 Hz, 1H), 4.66-4.58 (m, 1H), 4.24-4.14 (m, 2H), 4.05-3.87 (m, 1H), 3.34-3.31 (m, 1H), 3.05-2.72 (m, 6H), 1.20-0.98 (m, 3H).
LCMS: m/z: 403.66 [M+H]+.
실시예 27 - 6-[(3R)-3-메틸-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04
DMF (20 mL) 중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 g, 4.58 mmol), tert-부틸 (3R)-3-메틸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917 mg, 4.58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3 g, 6.88 mmol), HOBt (928 mg, 6.88 mmol) 및 DIPEA (1.6 mL, 9.17 mmo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냉수 (4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4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50 mL), 염수 (4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화합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메쉬 실리카 겔, 10 g, DCM 중 3%의 MeOH)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R)-3-메틸-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10 mg, 22%)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01.67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05
0℃로 냉각된 1,4-디옥산 (4 mL) 중 tert-부틸 (3R)-3-메틸-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10 mg, 1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1.0 mL, 4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 2-[3-[(2R)-2-메틸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히드로클로라이드 (310 mg, 정량적)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어떠한 정제도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301.61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06
DMSO (4 mL) 중 2-[3-[(2R)-2-메틸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히드로클로라이드 (200 mg, 0.66 mmol), 6-클로로피리딘-3-카르보니트릴 (110 mg, 0.79 mmol)의 교반 용액에, 탄산칼륨 (183 mg, 1.33 mmol), Cu(MeCN)4PF6 (5 mg, 0.013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4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천천히 실온이 되게 하고, 냉수 (3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4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30 mL), 염수 (4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메쉬 실리카 겔, 4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6-[(3R)-3-메틸-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65 mg, 24%)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20 (s, 1H), 8.48 (s, 1H), 8.06 (d, J = 7.6 Hz, 1H), 7.86 (d, J = 7.6 Hz, 1H), 7.73 (brs, 1H), 7.52 (m, 1H),7.44 (t, J = 2.0 Hz, 1H), 6.93 (brs, 1H), 4.56 (brs, 1H), 4.37 - 4.14 (m, 3H), 3.52-3.31 (m, 2H), 2.98-2.88 (m, 5H), 1.20-1.00 (m, 3H).
LCMS: m/z: 403.62 [M+H]+.
실시예 28 - 6-[(3S)-3-메틸-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07
0℃로 냉각된 DMF (10 mL) 중 tert-부틸 (2R)-2-메틸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55 g, 2.75 mmol) 및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0.5 g, 2.29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0.657 g, 3.44 mmol), HOBt (0.464 g, 3.44 mmol) 및 DIPEA (1.2 mL, 6.8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물 (2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6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3 x 30 mL), 염수 (4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5 g, 5% MeOH-EtOAc)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S)-3-메틸-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3 g, 32%)를 수득하였다.
LCMS: m/z: 401.67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08
0℃로 냉각된 DCM (5 mL) 중 tert-부틸 (3S)-3-메틸-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2 g, 0.5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5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Et2O (5 mL)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2-[3-[(2S)-2-메틸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히드로클로라이드 (120 mg, 80%)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01.61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09
DMSO (3 mL) 중 2-[3-[(2S)-2-메틸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히드로클로라이드 (100 mg, 0.33mmol), 6-클로로피리딘-3-카르보니트릴 (55mg, 0.39 mmol), K2CO3 (138 mg, 0.10 mmol) 및 Cu(MeCN)4PF6 (2 mg, 0.006 mmol)의 용액을 14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물 (2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 x 30 mL), 염수 (1 x 3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0 g, 5% MeOH-EtOAc)에 의해 정제하여 6-[(3S)-3-메틸-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30 mg, 22%)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24 (s, 1H), 8.49 (d, J = 2.1, 1H), 8.06 (d, J = 7.2 Hz, 1H), 7.87 (dd, J = 9.0, 2.4 Hz, 1H), 7.78-7.70 (m, 1H), 7.55-7.42 (m, 2H), 7.01-6.91 (m, 1H), 4.61-4.51 (m, 1H), 4.38-4.15 (m, 2H), 3.95-3.85 (d, J = 12.9 Hz, 1H), 3.51-3.40 (m, 1H), 3.25-3.17 (m, 1H), 3.05 -2.81 (m, 5H), 1.22-0.99 (m, 3H).
LCMS: m/z: 403.63 [M+H]+.
실시예 29 - 6-[(3S)-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10
THF (300 mL) 중 2-아미노-5-플루오로-벤조산 (15 g, 96.69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27.70 g, 145.03 mmol), HOBt·NH3 (21.75 g, 145.03 mmol) 및 DIPEA (51.0 mL, 290.07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물 (15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1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 x 100 mL), 염수 (1 x 10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300 g, 4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2-아미노-5-플루오로-벤즈아미드 (10.0 g, 67%)를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55.38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11
AcOH (35 mL) 중 2-아미노-5-플루오로-벤즈아미드 (7.0 g, 45.45 mmol)의 교반 용액에, 숙신산 무수물 (5.45 g, 54.54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 (250 mL)에 붓고, 침전된 고체를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물 (50 mL), 차가운 아세톤 (20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4-(2-카르바모일-4-플루오로-아닐리노)-4-옥소-부탄산 (9.0 g, 77%)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55.57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12
2 N 수성 NaOH (100 mL) 중 4-(2-카르바모일-4-플루오로-아닐리노)-4-옥소-부탄산 (9.0 g, 35.43 mmol)의 교반 용액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pH= 4-5가 될 때까지 2 N 수성 HCl로 산성화시키고 그동안 백색 침전물이 형성되었다. 현탁액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물 (2 x 50 mL) 및 차가운 아세톤 (20 mL)으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7.0 g, 83%)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37.43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113
0℃로 냉각된 DMF (50 mL) 중 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5.0 g, 21.19 mmol) 및 tert-부틸 (3S)-3-메틸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2 g, 21.19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6.06 g, 31.78 mmol), HOBt (4.29 g, 31.78 mmol) 및 DIPEA (11.2 mL, 63.56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물 (10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2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3 x 50 mL),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80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S)-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0 g, 45%)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19.73 [M+H]+.
단계-5:
Figure 112019076358104-pct00114
0℃로 냉각된 1,4-디옥산 (20 mL) 중 tert-부틸 (3S)-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0 g, 9.57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10 mL, 40.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Et2O (10 mL)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6-플루오로-2-[3-[(2S)-2-메틸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히드로클로라이드 (2.0 g, 65%)를 수득하였으며, 후속 단계에 어떠한 정제도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319.63 [M+H]+.
단계-6:
Figure 112019076358104-pct00115
DMSO (20 mL) 중 6-플루오로-2-[3-[(2S)-2-메틸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히드로클로라이드 (2.5 g, 7.86 mmol), 6-클로로피리딘-3-카르보니트릴 (1.08 g, 7.86 mmol), 및 K2CO3 (3.2 g, 23.58 mmol)의 교반 용액에, Cu(MeCN)4PF6 (58 mg, 0.16 mmol)을 첨가하고, 14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물 (5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1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 x 100 mL), 염수 (1 x 1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조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40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6-[(3S)-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1.3 g, 40%)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31 (s, 1H), 8.48 (d, J = 2.4 Hz, 1H), 7.86 (dd, J = 8.8, 2.0 Hz, 1H), 7.73 (dd, J = 8.8, 2.8 Hz, 1H), 7.68-7.55 (m, 2H), 6.97-6.88 (s, 1H), 4.56-4.36 (m, 1H), 4.30-4.14 (m, 3H), 3.51-3.44 (m, 1H), 3.24-3.17 (m, 1H), 2.98 (s, 1H), 2.95-2.80 (s, 4H), 1.25-0.94 (m, 3H).
LCMS: m/z: 421.72 [M+H]+.
실시예 29a - 6-[(3R)-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16
아세토니트릴 (80 mL) 중 6-클로로피리딘-3-카르보니트릴 (10 g, 0.06 mol) 및 (2R)-2-메틸피페라진 (6.35 g, 0.06 mol)의 혼합물에, K2CO3 (12.0 g, 0.09 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6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물 (15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8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6-[(3R)-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10.0 g, 69% 수율)을 수득하였다.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17
건조 DMF (40 mL, ~8 vol) 중 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5.0 g, 21.19 mmol, 실시예 29, 단계 3으로부터 수득됨)의 교반 용액에, 6-[(3R)-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4.06 g, 20 mmol), EDCI·HCl (6.08 g, 31.6 mmol), HOBt (3.43 g, 25.4 mmol) 및 DIPEA (14.5 mL, 84.5 mol)를 10-15℃에서 첨가하고, 2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 (50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7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화합물을 EtOAc (50 mL)와 함께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흡인 건조시켰다. 수득된 고체를 EtOAc로 다시 슬러리로 만들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EtOAc (50 mL)로 세척하여 (50 mL) 6-[(3R)-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을 43% 수율 (3.8g)로 수득하였다. 키랄 HPLC를 사용하여 화합물이 화합물 29의 거울상이성질체인 것을 확인하였다. 사용된 칼럼: 룩스,5 마이크로미터, 셀룰로스-4 (250 X 4.6 mm, 5 마이크로미터, 이동상: 50:50 n-헥산:(1:1 에탄올:메탄올 중 0.1% HCOOH), 유량: 1.0 mL/분, 온도: 25℃. R-거울상이성질체에 대한 체류 시간 = 12.9분; 화합물 29에 대한 체류 시간 = 13.4분.
실시예 30 - 6-[(3S)-4-[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18
THF (150 mL) 중 2-아미노-6-플루오로-벤조산 (15 g, 96.77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27 g, 145.16 mmol), HOBt·NH3 (21 g, 145.16 mmol), 및 DIPEA (52 mL, 290.32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화합물 1의 완전한 전환을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EtOAc (300 mL)로 희석하고, 물 (3 x 100 mL), 염수 (1 x 15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10% EtOAc-헥산 (2 x 150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2-아미노-6-플루오로-벤즈아미드 (12.2 g, 80%)를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55.42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19
AcOH (120 mL) 중 2-아미노-6-플루오로-벤즈아미드 (12 g, 77.92 mmol)의 교반 용액에, 숙신산 무수물 (9.3 g, 93.50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전환을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 (1 x 200 mL)로 희석하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때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 (1 x 150 mL)에 이어서 차가운 아세톤 (1 x 100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4-(2-카르바모일-3-플루오로-아닐리노)-4-옥소-부탄산 (16 g, 81%)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77.46 [M+Na]+, 238.49 [M-NH2]+.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20
수성 2 N NaOH (160 mL) 중 4-(2-카르바모일-3-플루오로-아닐리노)-4-옥소-부탄산 (15.5 gm, 6.10 mmol)의 교반 용액을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전환을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pH = 5가 될 때까지 AcOH로 산성화시키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물 (250 mL)에 이어서 차가운 아세톤 (1 x 100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1 g, 80%)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37.47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121
DMF (52 mL) 중 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5.2g, 22 mmol)의 교반 용액에, tert-부틸 (3S)-3-메틸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6.6 g, 33.05 mmol), EDC·HCl (6.2g, 33.05 mmol), HOBt (4.4g, 33.05 mmol) 및 DIPEA (12 mL, 66.10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전환을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 (160 mL)로 켄칭하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때 고체가 침전되었으며, 이를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EtOAc (3 x 200 mL)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1 x 200 mL), 염수 (1 x 20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60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3S)-4-[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 g, 43%)를 크림 색상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19.73 [M+H]+.
단계-5:
Figure 112019076358104-pct00122
DCM (60 mL) 중 tert-부틸 (3S)-4-[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6 g, 14.35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60 m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전환을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증발시키고, 조 잔류물을 톨루엔 (2 x 100 mL)으로 공증류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5-플루오로-2-[3-[(2S)-2-메틸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히드로클로라이드 (4.7 g, 94%)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19.59 [M+H]+.
단계-6:
Figure 112019076358104-pct00123
밀봉된 튜브에 들은 DMSO (52 mL) 중 5-플루오로-2-[3-[(2S)-2-메틸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히드로클로라이드 (5.2 g, 14.73 mmol)의 교반 용액에, K2CO3 (4 g, 29.40 mmol), 6-클로로피리딘-3-카르보니트릴 (2 g, 14.73 mmol) 및 테트라키스(아세토니트릴)구리 (I) 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109 mg, 0.29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5분 동안 탈기시키고, 11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전환을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30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2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1 x 200 mL), 염수 (1 x 200 mL)로 세척하고, 유기 층을 분리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60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회백색 고체를 수득하였다. 이 고체를 5% MeOH-EtOAc로 세척하여 6-[(3S)-4-[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1.4 g, 2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22 (s, 1H), 8.47 (d, J = 2.0 Hz, 1H), 7.85 (dd, J = 9.2, 2.4 Hz, 1H), 7.73-7.65 (m, 1H), 7.32 (t, J = 8.4 Hz, 1H), 7.19-7.14 (m, 1H), 6.91(d, J = 8.0 Hz, 1H), 4.55-4.35 (m, 1H), 4.29-4.11 (m, 3H), 3.48 (t, J = 9.2 Hz, 1H), 3.26-3.18 (m, 1H), 3.04-2.94 (m, 1H), 2.91-2.84 (m, 4H), 1.21-0.98 (m, 3H).
LCMS: m/z: 421.72 [M+H]+.
실시예 31 - 6-[3-(히드록시메틸)-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24
DMSO (3 mL) 중 피페라진-2-일메탄올 디히드로클로라이드 (100 mg, 0.53 mmol)의 교반 용액에, 6-클로로피리딘-3-카르보니트릴 (88 mg, 0.63 mmol), K2CO3 (146 mg, 1.062 mmol) 및 Cu(MeCN)4PF6 (3.9 mg, 0.01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4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물 (1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5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6-[3-(히드록시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50 mg, 32%)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19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25
건조 DMF (2 mL) 중 6-[3-(히드록시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120 mg, 0.55 mmol) 및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20 mg, 0.55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57 mg, 0.825 mmol), HOBt (113 mg, 0.825 mmol) 및 DIPEA (0.2 mL, 1.1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냉수 (2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6-[3-(히드록시메틸)-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26 mg, 1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17 (s, 1H), 8.49 (d, J = 1.6 Hz, 1H), 8.08-8.06 (m, 1H), 7.88-7.85 (m, 1H), 7.74 (t, J = 8 Hz,1H), 7.53 (d, J = 8.4 Hz, 1H), 7.46-7.42 (m, 1H), 6.93-6.86 (m, 1H), 5.0-4.82 (m, 2H), 4.42-3.88 (m, 4H), 3.56-3.47 (m, 2H), 2.99-2.89 (m, 6H).
LCMS: m/z: 419.76 [M+H]+.
실시예 32 - 6-[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히드록시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Figure 112019076358104-pct00126
DMF (4 mL) 중 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300 mg, 1.27 mmol) 및 6-[3-(히드록시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277 mg, 1.27mmol)의 교반 용액에, DIPEA (0.68 mL, 3.81 mmol), T3P (0.8 mL, 2.54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M 마이크로웨이브에서 8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천천히 실온이 되게 하고, 물 (1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6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3 x 30 mL),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조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5 g, 5-10%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6-[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히드록시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90% LCMS, 300 mg)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HPLC로 재정제하여 순수한 화합물 (154 mg, 27%)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31 (brs, 1H), 8.48 (s, 1H), 7.85 (dd, J = 9.2, 2.4 Hz, 1H), 7.74 (dd, J = 8.8, 2.4 Hz, 1H), 7.66-7.61 (m, 2H), 6.92-6.86 (m, 1H), 5.07-4.84 (m, 2H), 4.44-4.37 (m, 1H), 4.33-4.16 (m, 4H), 3.94-3.86(m, 1H), 3.12-2.78 (m, 6H).
LCMS:m/z: 437.75 [M+H]+.
실시예 33 - 6-[4-[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히드록시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Figure 112019076358104-pct00127
실온에서 DMF (4 mL) 중 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400 mg, 1.69 mmol) 및 6-[3-(히드록시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369 mg, 1.69 mmol)의 교반 용액에, DIPEA (0.88 mL, 5.08 mmol)에 이어서 T3P (1.0 mL, 3.39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M 마이크로웨이브에서 8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천천히 실온이 되게 하고, 물 (1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6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3 x 30 mL),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5 g, 5-10%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6-[4-[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히드록시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90% LCMS, 300 mg)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순수한 화합물 (160 mg, 21%)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12.36 (brs, 1H), 8.49 (s, 1H), 7.86 (dd, J = 8.8, 2.0 Hz, 1H), 7.70 (q, J = 8.0 Hz, 1H), 7.34 (d, J = 8.4 Hz, 1H), 7.20-7.15 (m, 2H), 6.93-6.86 (m, 1H), 5.02-4.81(m, 1H), 4.42-4.39 (m, 1H), 4.33-3.88 (m, 3H), 3.53-3.41(m, 2H), 2.95-2.87 (m, 6H).
LCMS: m/z: 437.75 [M+H]+.
실시예 34 - 2-[3-옥소-3-[4-(2-피리딜)피페라진-1-일]프로필]-3H-퀴나졸린-4-온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28
DMSO (10 mL) 중 2-클로로피리딘 (750 mg, 6.60 mmol)의 교반 용액에,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1.4 g, 7.92 mmol), K2CO3 (1.8 g, 13.27 mmol) 및 Cu(MeCN)4PF6 (49 mg, 0.132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14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4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6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8 g, 20%의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350 mg, 20%)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64.55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29
1,4-디옥산 (4 mL) 중 tert-부틸 4-(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350 mg, 1.32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1.3 mL, 5.30mmol)을 0℃에서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Et2O (50 mL)로 세척하여 1-(2-피리딜)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210 mg, 96%)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64.48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30
건조 DMF (2 mL) 중 1-(2-피리딜)피페라진히드로클로라이드 (100 mg, 0.609 mmol) 및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21 mg, 0.609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74 mg, 0.913 mmol), HOBt (123 mg, 0.913 mmol) 및 DIPEA (0.2 mL, 1.2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냉수 (20 mL)로 켄칭하고, 15분 동안 교반하였고, 고체가 침전되었으며, 이를 여과하고, Et2O (2 x 5 mL)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2-[3-옥소-3-[4-(2-피리딜)피페라진-1-일]프로필]-3H-퀴나졸린-4-온 (55 mg, 24%)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12.20 (s, 1H), 8.13-8.11 (dd, J = 4.8, 1.5 Hz, 1H), 8.08 (dd, J = 7.8, 1.2 Hz, 1H), 7.76-7.74 (m, 1H), 7.58-7.52 (m, 2H), 7.46-7.41 (m, 1H), 6.84 (d, J = 8.7 Hz, 1H), 6.68-6.64 (m, 1H), 3.62 (s, 2H), 3.59-3.51 (m, 4H), 3.46-3.46 (m, 2H), 2.89 (brs, 4H).
LCMS: m/z: 364.62 [M+H]+.
실시예 35 - 2-[3-[4-(5-메틸-2-피리딜)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31
톨루엔 (10 mL) 중 2-클로로-5-메틸-피리딘 (500 mg, 2.68 mmol)의 교반 용액에,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09 mg, 3.22 mmol), Pd2(dba)3 (122 mg, 0.13 mmol), BINAP (167 mg, 0.27 mmol) 및 t-BuOK (903 mg, 8.06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3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8 g, 30%의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5-메틸-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560 mg, 92%)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32
0℃로 냉각된 1,4-디옥산 (5 ml) 중 1-(5-메틸-2-피리딜)피페라진;히드로클로라이드 (560 mg, 1.80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1.8 ml, 7.22 mmol)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여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Et2O (5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1-(5-메틸-2-피리딜)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350 mg, 98%)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300 MHz, DMSO-d6]: δ 9.64 (brs, 2H), 7.95 (s, 1H), 7.85 (d, J = 8.7 Hz, 1H), 7.25 (d, J = 8.7 Hz, 1H), 3.90 (m, 4H), 3.22 (m, 4H), 2.22 (s, 3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33
건조 DMF (2 mL) 중 1-(5-메틸-2-피리딜)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100 mg,0.56 mmol) 및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35 mg, 0.67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61 mg, 0.84 mmol), HOBt (114 mg, 0.84 mmol) 및 DIPEA (0.2 mL, 1.1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켄칭하고, DCM (3 x 1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4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2-[3-[4-(5-메틸-2-피리딜)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50 mg, 2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18 (s, 1H), 8.07 (dd, J = 6, 0.9 Hz, 1H), 7.96 (s, 1H), 7.75-7.71 (m, 1H), 7.54 (d, J = 6 Hz, 1H), 7.46-7.38 (m, 2H), 6.78 (d, J = 6.6 Hz, 1H), 3.62-3.61 (m, 2H), 3.59-3.51 (m, 4H), 3.39-3.38 (m, 2H), 2.88 (brs, 4H), 2.14 (brs, 3H).
LCMS: m/z: 378.37 [M+H]+.
실시예 36 - 2-[3-[4-(3-메틸-2-피리딜)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34
톨루엔 (10 mL) 중 2-클로로-3-메틸-피리딘 (500 mg, 2.68 mmol)의 교반 용액에,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09 mg, 3.22 mmol), Pd2(dba)3 (122 mg, 0.13 mmol), BINAP (167 mg, 0.26 mmol) 및 t-BuOK (903 mg, 8.06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3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8 g, 3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3-메틸-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560 mg, 92%)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35
0℃로 냉각된 1,4-디옥산 (5 mL) 중 tert-부틸 4-(3-메틸-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560 mg, 1.80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1.8 mL, 7.2 mmol)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Et2O (50 mL)로 세척하여 1-(3-메틸-2-피리딜)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350 mg, 98%)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어떠한 정제도 없이 사용하였다.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36
건조 DMF (2 mL) 중 1-(3-메틸피리딘-2-일)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100 mg, 0.46 mmol) 및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35 mg, 0.67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61 mg, 0.84 mmol), HOBt (114 mg, 0.84 mmol) 및 DIPEA (0.2 mL, 1.1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3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화합물 2-[3-[4-(3-메틸-2-피리딜)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50 mg, 2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18 (s, 1H), 8.12-8.06 (m, 2H), 7.77-7.73 (m, 1H), 7.59-7.57 (m, 1H), 7.53-7.51 (m, 1H), 7.46-7.42 (m, 1H), 6.96-6.93 (m, 1H), 3.66 (brs, 2H), 3.59 (brs, 2H), 3.11 (brs, 2H), 2.98 (brs, 2H), 2.89 (s, 4H), 2.26 (s, 3H).
LCMS: m/z: 378.61 [M+H]+.
실시예 37 - 2-[3-[4-(6-메틸-2-피리딜)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37
톨루엔 (10 mL) 중 2-클로로-6-메틸-피리딘 (500 mg, 2.68 mmol)의 교반 용액에,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09 mg, 3.22 mmol), Pd2(dba)3 (122 mg, 0.13 mmol), BINAP (167 mg, 0.26 mmol), tBuOK (903 mg, 8.06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물 (2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8 g, 3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6-메틸-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560 mg, 75%)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78.59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38
0℃로 냉각된 1,4-디옥산 (5 mL) 중 tert-부틸 4-(6-메틸-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560 mg, 1.80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1.8 mL, 7.22 mmol)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이 되게 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Et2O (50 mL) 및 EtOAc (50 mL)로 세척하여 1-(6-메틸-2-피리딜)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350 mg, 98%)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78.48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39
DMF (2 mL) 중 화합물 5 (100 mg, 0.45 mmol), 1-(6-메틸-2-피리딜)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81 mg, 0.45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31 mg, 0.68 mmol), HOBt (92 mg, 0.68 mmol) 및 DIPEA (0.16 ml, 0.9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냉수 (30 mL)로 희석하고, 10분 동안 교반하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EtOAc (3 x 10 mL)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2-[3-[4-(6-메틸-2-피리딜)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62 mg, 3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19 (s, 1H), 8.07 (dd, J = 7.6, 1.2 Hz, 1H), 7.76-7.72 (m, 1H), 7.545 (d, J = 8.0 Hz, 1H), 7.44 (t, J = 7.6 Hz, 2H), 6.62 (d, J = 8.8 Hz, 1H), 6.53 (d, J = 7.2 Hz, 1H), 3.63-3.61 (m, 2H), 3.57-3.53 (m, 4H), 3.45-3.43 (m, 2H), 2.89 (s, 4H), 2.31 (s, 3H).
LCMS: m/z: 378.57 [M+H]+.
실시예 38 - 2-[3-[4-(4-메틸-2-피리딜)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40
DMSO (3 mL) 중 2-클로로-4-메틸-피리딘 (200 mg, 1.07 mmol)의 교반 용액에,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161 mg, 1.29 mmol), Pd2(dba)3 (49 mg, 0.05 mmol), BINAP (66 mg, 0.107 mmol) 및 t-BuOK (360 mg, 3.22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물 (3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0 g, 30%의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4-메틸-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240 mg, 80%)를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41
0℃로 냉각된 1,4-디옥산 (5 mL) 중 tert-부틸 4-(4-메틸-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560 mg, 1.805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1.8 mL, 7.220 mmol)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Et2O (50 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1-(4-메틸-2-피리딜)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350 mg, 98% 수율)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42
건조 DMF (2 mL) 중 1-(4-메틸-2-피리딜)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100 mg, 0.564 mmol) 및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35 mg, 0.677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61 mg, 0.84 mmol), HOBt (114 mg, 0.84 mmol) 및 DIPEA (0.2 mL, 1.1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켄칭하고, DCM (3 x 1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8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2-[3-[4-(4-메틸-2-피리딜)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50 mg, 23%)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18 (s, 1H), 8.08-8.06 (d, J = 9.2 Hz, 1H), 7.99-7.97 (d, J = 5.2 Hz, 1H), 7.77-7.73 (m, 1H), 7.54 (d, J = 8 Hz, 1H), 7.46-7.42 (m, 1H), 6.67 (s, 1H), 6.51 (d, J = 5.2 Hz, 1H), 3.62-3.43 (m, 8H), 2.89 (s, 4H), 2.22 (s, 3H).
LCMS: m/z: 378.63 [M+H]+.
실시예 39 - 5-[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라진-2-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43
NMP (4 mL) 중 5-브로모피라진-2-카르보니트릴 (350 mg, 1.90 mmol)의 교반 용액에,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424 mg, 2.28 mmol), Pd2(dba)3 (35 mg, 0.04 mmol), X-Phos (72 mg, 0.152 mmol) 및 K2CO3 (367 mg, 2.66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0℃에서 20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EtOAc (50 mL)로 희석하고, 냉수 (2 x 20 mL)로 세척하고, 유기 층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5 g, 3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5-시아노피라진-2-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320 mg, 58%)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90.61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44
1,4-디옥산 (4 mL) 중 tert-부틸 4-(5-시아노피라진-2-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310 mg, 1.07 mmol)의 교반 용액에, 0℃로 냉각된 1,4-디옥산 중 4 N HCl (1.07 mL, 4.29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5-피페라진-1-일피라진-2-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210 mg, 정량적)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190.46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45
DMF (4 mL) 중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200 mg, 0.917 mmol) 및 5-피페라진-1-일피라진-2-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208 mg, 1.10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262 mg, 1.37 mmol), HOBt (185 mg, 1.37 mmol) 및 DIPEA (0.64 mL, 3.66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냉수 (4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4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5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5-[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라진-2-카르보니트릴 (70 mg, 20%)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19 (s, 1H), 8.58 (d, J = 1.2 Hz, 1H), 8.43 (d, J = 1.2 Hz, 1H), 8.07 (dd, J = 1.6, 8.0 Hz, 1H), 7.77-7.72 (m, 1H), 7.55 (d, J = 8.0 Hz, 1H), 7.47-7.43 (m, 1H), 3.87-3.83 (m, 2H), 3.76-3.66 (m, 4H), 3.63-3.57 (m, 2H), 2.90 (s, 4H).
LCMS: m/z: 390.68 [M+H]+.
실시예 40 - 2-[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티아졸-5-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46
아르곤 분위기 하에 마이크로웨이브 바이알에 담긴 톨루엔 (4 mL) 중 2-브로모티아졸-5-카르보니트릴 (200 mg, 1.05 mmol),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800 mg, 4.3 mmol), 삼염기성 인산칼륨 (260 mg, 1.22 mmol), 아세트산팔라듐 삼량체 (40 mg, 0.06 mmol), 트리-tert-부틸포스핀 테트라플루오로보레이트 (20 mg, 0.06 mmol)의 교반 용액을 80℃에서 30분 동안 조사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1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수득된 조 생성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20 g, 10-3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5-시아노티아졸-2-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200 mg, 64%)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295.60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47
디옥산 (10 mL) 중 tert-부틸 4-(5-시아노티아졸-2-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200 g, 0.680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5 m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EtOAc (2 x 15 mL)에 이어서 디에틸 에테르 (15 mL)로 세척하여 2-피페라진-1-일티아졸-5-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155 mg, 98%)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195.44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48
무수 DMF 중 2-피페라진-1-일티아졸-5-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155 mg, 0.55 mmol)의 교반 용액에, DIPEA (0.3 mL, 1.74 mmol),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20 mg, 0.67 mmol) 및 EtOAc 중 50% T3P 용액 (0.53 mL, 0.82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수 (60 mL)로 켄칭하고, DCM (2 x 50 mL)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25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켰다. 조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200 g, 2-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2-[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티아졸-5-카르보니트릴 (50 mg, 23%)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18 (brs, 1H), 8.09-8.05 (m, 2H), 7.77-7.72 (m, 1H), 7.55 (d, J = 8.0 Hz, 1H), 7.45 (t, J = 7.2 Hz, 1H), 3.75-3.55 (m, 6H), 3.53-3.50 (m, 2H), 2.89 (s, 4H).
LCMS (ESI+): m/z: 395.62 [M+H]+.
실시예 41 - 6-[4-[3-(4-옥소-3H-피리도[4,3-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49
EtOH (80 mL) 중 KOH (5.82 g, 0.104 mol)의 교반 용액에, 1H-피리미딘-6-온 (10 g, 0.104 mol)에 이어서 MeI (7.20 mL, 0.114 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TLC는 10-15%의 미반응 출발 물질을 나타냄). 추가량의 MeI (1.5 g, 0.01 mol)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천천히 실온이 되게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여과하고, DCM (100 mL)으로 세척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200 g, 2-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3-메틸피리미딘-4-온 (4.5 g, 39%)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111.30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50
10℃로 냉각된 황산 (50 mL)에, 3-메틸피리미딘-4-온 (5.5 g, 50.00 mol)에 이어서 발연 질산 (6.6 mL, 157.15 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이 되게 하고, 10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다시 실온이 되게 하고, 분쇄 얼음 (500 g)에 부은 다음; 50% 수성 수산화나트륨 용액을 pH = 5가 될 때까지 천천히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HCl3 (3 x 250 mL)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EtOH (15 mL)로부터 재결정화하여 3-메틸-5-니트로-피리미딘-4-온 (2 g, 26%)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156.36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51
CEM 마이크로웨이브 바이알에서, 3-메틸-5-니트로-피리미딘-4-온 (300 mg, 1.94 mmol), 메틸 아세토아세테이트 (2.7 g, 23.27 mmol), 아세트산암모늄 (1.79 g, 23.22 mmol) 및 MeOH (8.0 mL)를 첨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조사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40 g, 5-10%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메틸 4-아미노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를 수득하였다; 이 반응 혼합물을 6개 배치에서 수행하고 (각각 300 mg), 후처리 후 조 물질을 합하고, 정제하여 메틸 4-아미노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900 mg, 51%)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153.43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152
EtOH-물 (120 mL, 1:1) 중 메틸 4-아미노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2 g, 13.15 mmol)의 교반 용액에, LiOH·H2O (1.21 g, 28.80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80℃에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물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EtOAc (2 x 25 mL)로 세척하여 비-극성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수성 층을 pH = 1이 될 때까지 1 N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 (2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MeOH (20 mL)로부터 결정화하여 4-아미노피리딘-3-카르복실산 (1 g, 55%)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139.31 [M+H]+.
단계-5:
Figure 112019076358104-pct00153
THF (50 mL) 중 4-아미노피리딘-3-카르복실산 (3 g, 0.013 mol)의 교반 용액에, SOCl2 (3.6 mL, 0.045 mol) 및 촉매 DMF (30 μ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3시간 동안 아르곤 분위기 하에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THF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0℃로 냉각시키고, 7 N NH3-메탄올 (22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고, 침전물을 여과하고, 여과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60 g, 10% MeOH-10% NH4OH-DCM)에 의해 정제하여 4-아미노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475 mg, 27%)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어떠한 정제도 없이 사용하였다.
LCMS (ESI+): m/z: 138.33 [M+H]+.
단계-6:
Figure 112019076358104-pct00154
DMF (10 mL) 중 4-아미노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500 mg, 3.65 mmol), 4-tert-부톡시-4-옥소-부탄산 (762 mg, 4.38 mmol), TEA (1 mL, 7.29 mmol)의 교반 용액에, EtOAc 중 50% T3P 용액 (3.5 mL, 5.5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50 mL)로 켄칭하고, DCM (2 x 35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3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20 g, 10% MeOH-10% NH4OH-DCM)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3-카르바모일-4-피리딜)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 (500 mg, 47%)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1.74 (s, 1H), 9.07 (s, 1H), 8.69 (d, J = 5.2 Hz, 1H), 8.52 (d, J = 5.2 Hz, 1H), 7.11 (brs, 1H), 5.83 (brs, 1H), 2.75-2.70 (m, 2H), 2.68-2.63 (m, 2H), 1.44 (s, 9H).
LCMS (ESI+): m/z: 316.59 [M+Na]+.
단계-7:
Figure 112019076358104-pct00155
THF (31 mL) 중 tert-부틸 4-[(3-카르바모일-4-피리딜)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 (900 mg, 3.071 mmol)의 교반 용액에, 물 (0.9 mL), LiOH·H2O (645 mg, 15.35 mmol)를 0℃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이 되게 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EtOAc (2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3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펜탄 (2 x 15 mL)으로 세척하여 tert-부틸 3-(4-옥소-3H-피리도[4,3-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에이트 (700 mg, 83%)를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276.48 [M+H]+.
단계-8:
Figure 112019076358104-pct00156
DCM (26 mL) 중 tert-부틸 3-(4-옥소-3H-피리도[4,3-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에이트 (700 mg, 2.545 mmol)의 교반 용액에, TFA (5.7 mL, 74.50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톨루엔 (2 x 10 mL)으로 공증류하여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펜탄 (2 x 20 mL)으로 연화처리하여 3-(4-옥소-3H-피리도[4,3-d]피리미딘-2-일)프로판산 (351mg, 63%)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220.42 [M+H]+.
단계-9:
Figure 112019076358104-pct00157
DMF (2.5 mL) 중 3-(4-옥소-3H-피리도[4,3-d]피리미딘-2-일)프로판산 (250 mg, 1.141 mmol),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256 mg, 1.361 mmol)의 교반 용액에, DIPEA (0.4 mL, 2.325 mmol) 및 EtOAc 중 50% T3P 용액 (0.75 mL, 1.711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25 mL)로 켄칭하고, DCM (3 x 30 mL)으로 추출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1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켰다. 용매를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0 g, 10% MeOH-5% NH4OH-DCM)에 의해 정제하여 6-[4-[3-(4-옥소-3H-피리도[4,3-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45 mg, 10%)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57 (brs, 1H), 9.22 (s, 1H), 8.74 (d, J = 5.6 Hz, 1H), 8.50 (d, J = 2.0 Hz, 1H), 7.88 (dd, J = 8.8, 2.0Hz, 1H), 7.45 (d, J = 5.6 Hz, 1H), 6.94 (d, J = 9.2 Hz, 1H), 3.78-3.76 (m, 2H), 3.64 (t, J = 4.8 Hz, 4H), 3.57-3.54 (m, 2H), 3.31 (s, 4H).
LCMS (ESI+): m/z: 390.63 [M+H]+.
실시예 42 - 6-[4-[3-(4-옥소-3H-피리도[2,3-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58
건조 THF (60 mL) 중 DIPEA (4.16 mL, 29.3 mmol)의 용액을 드라이 아이스-아세톤 조에서 -78℃로 냉각시켰다. 헥산 중 n-BuLi (1.6 M, 18.3 mL, 29.3 mmol)를 -78℃에서 적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건조 THF (30 mL) 중 벤질 아세테이트 (3.8 mL, 26.6 mmol)를 온도를 -78℃ 미만으로 유지하면서 반응 플라스크에 적가하였다. 첨가가 완료되었을 때, 플라스크를 드라이 아이스-Et2O 조로 옮기고, 온도가 -90℃ 미만으로 떨어질 때까지 교반하였다. THF (30 mL) 중 tert-부틸 2-브로모아세테이트 (5.9 mL, 40.0 mmol)를 상기 용액에 적가하고, -9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 (100 mL)을 천천히 첨가하여 켄칭하고, 실온으로 가온하고, Et2O (2 x 1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60 g, 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벤질 tert-부틸 부탄디오에이트 (2.3 g, 27%)를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87.6 [M+Na]+.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59
건조 THF (30 mL) 중 벤질 tert-부틸 부탄디오에이트 (2.3 g, 8.71 mmol)의 교반 용액에, 10% Pd-C (0.23 g)를 첨가하고, H2 분위기 (풍선) 하에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CHCl3 (100 mL)으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30 g, 3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4-tert-부톡시-4-옥소-부탄산 (0.8 g, 52%)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2.65-2.61 (m, 2H), 2.56-2.52 (m, 2H), 1.44 (s, 9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60
THF (15 mL) 중 2-아미노피리딘-3-카르복실산 (0.9 g, 6.52 mmol)의 교반 용액에, 실온에서 EDC·HCl (1.86 g, 9.78 mmol), HOBt·NH3 (1.46 g, 9.78 mmol) 및 DIPEA (4.67 mL, 26.0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물 (3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7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2 x 40 mL), 염수 (40 mL)로 세척하고, 분리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20 g, 6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2-아미노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0.4 g, 45%)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38.3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161
DMF (15 mL) 중 2-아미노피리딘-3-카르복스아미드 (0.35 g, 2.55 mmol)의 교반 용액에, 4-tert-부톡시-4-옥소-부탄산 (0.66 g, 3.83 mmol), HATU (1.45 g, 3.83 mmol) 및 Et3N (0.7 mL, 5.04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6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SM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3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2 x 30 mL), 염수 (3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0 g, 2%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3-카르바모일-2-피리딜)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 (0.22 g, 26%)를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94.6 [M+H]+.
단계-5:
Figure 112019076358104-pct00162
0℃에서 THF (8 mL) 및 물 (0.3 mL) 중 tert-부틸 4-[(3-카르바모일-2-피리딜)아미노]-4-옥소-부타노에이트 (0.22 g, 0.75 mmol)의 교반 용액에, LiOH·H2O (0.16 g, 3.88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물 (10 mL)로 희석하고, EtOAc (2 x 7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tert-부틸 3-(4-옥소-3H-피리도[2,3-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에이트 (140 mg, 63%)를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76.4 [M+H]+.
단계-6:
Figure 112019076358104-pct00163
DCM (5 mL) 중 tert-부틸 3-(4-옥소-3H-피리도[2,3-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에이트 (0.14 g, 0.50 mmol)의 교반 용액에, TFA (1.1 mL, 15.0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3-(4-옥소-3H-피리도[2,3-d]피리미딘-2-일)프로판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 (0.14 g, 75%)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연황색 액체로서 사용하였다.
LCMS: m/z: 220.3 [M+H]+.
단계-7:
Figure 112019076358104-pct00164
DMF (4 mL) 중 3-(4-옥소-3H-피리도[2,3-d]피리미딘-2-일)프로판산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염 (0.087 g, 0.39 mmol) 및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0.133 g, 0.59 mmol)의 교반 용액에, DIPEA (0.14 mL, 0.79 mmol) 및 EtOAc 중 50% T3P 용액 (0.5 mL, 0.78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켄칭하고, DCM (3 x 3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1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농축시켜 조 생성물 (150 mg, 54% LCMS)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정제하여 6-[4-[3-(4-옥소-3H-피리도[2,3-d]피리미딘-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29 mg, 18%)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49 (brs, 1H), 8.86 (dd, J = 4.0, 1.6 Hz, 1H), 8.50 (d, J = 2.4 Hz, 1H), 8.45 (dd, J = 7.6, 1.6 Hz, 1H), 7.88 (dd, J = 8.8, 2.0 Hz, 1H), 7.47 (dd, J = 8.0, 4.8 Hz, 1H), 6.94 (d, J = 9.2 Hz, 1H), 3.83-3.77 (m, 2H), 3.69-3.62 (m, 4H), 3.58-3.53 (m, 2H), 2.93 (s, 4H).
LCMS: m/z: 390.67 [M+H]+.
실시예 43 - 6-[4-[3-(4-옥소-3H-퀴나졸린-2-일)부타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65
분말 KOH (6.0 g, 0.10 mol)를 톨루엔 (36 mL) 중 3-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2-온 (2.0 g, 0.02 mol) 및 벤질 브로마이드 (14.0 g, 0.08 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110℃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고, 톨루엔을 진공 하에 제거하여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MeOH (40 mL) 중에 용해시켰다. KOH (2.0 g, 0.035 mol) 및 물 (20 mL)을 상기 용액에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16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Et2O (2 x 50 mL)로 세척하고, 수성 층을 진한 HCl을 사용하여 pH = 2-3으로 산성화시키고, DCM (3 x 5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4-벤질옥시-2-메틸-부탄산 (3.4 g, 81%)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37-7.26 (m, 5H), 4.53-4.50 (m, 2H), 3.54 (t, J = 6.4 Hz, 2H), 2.73-2.64 (m, 1H), 2.09-2.00 (m, 1H), 1.76-1.68 (m, 1H), 1.21 (d, J = 7.2 Hz, 3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66
DMF (5 mL) 중 2-아미노벤즈아미드 (0.3 g, 2.20 mmol)의 교반 용액에, 4-벤질옥시-2-메틸-부탄산 (0.59 g, 2.83 mmol), HATU (1.25 g, 3.28 mmol) 및 Et3N (0.61 mL, 4.35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3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2 x 30 mL), 염수 (3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20 g, 3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2-[(4-벤질옥시-2-메틸-부타노일)아미노]벤즈아미드 (0.63 g, 79%)를 무색 액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27.6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67
2 N 수성 NaOH (12 mL) 중 2-[(4-벤질옥시-2-메틸-부타노일)아미노]벤즈아미드 (0.63 g, 1.93 mmol)를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pH = 3-4가 될 때까지 2 N 수성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 (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3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2-(3-벤질옥시-1-메틸-프로필)-3H-퀴나졸린-4-온 (450 mg, 67%)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어떠한 정제도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309.5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168
THF (15 mL) 중 2-(3-벤질옥시-1-메틸-프로필)-3H-퀴나졸린-4-온 (0.55 g, 1.78 mmol)의 교반 용액에, 10% Pd-C 촉매 (50% 습윤, 1.0 g)를 첨가하고, H2 분위기 (풍선) 하에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THF (30 mL)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진공 하에 농축시켜 2-(3-히드록시-1-메틸-프로필)-3H-퀴나졸린-4-온 (0.3 g, 78%)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19.49 [M+H]+.
단계-5:
Figure 112019076358104-pct00169
0℃로 냉각된 DCM (25 mL) 중 2-(3-히드록시-1-메틸-프로필)-3H-퀴나졸린-4-온 (0.40 g, 1.83 mmol)의 교반 용액에, 데스-마르틴 퍼아이오디난 (0.85 g, 2.0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Na2S2O3으로 켄칭하고, EtOAc (2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25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0 g, 1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3-(4-옥소-3H-퀴나졸린-2-일)부탄알 (220 mg, 5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17.5 [M+H]+.
단계-6:
Figure 112019076358104-pct00170
5℃에서 THF (10 mL) 중 3-(4-옥소-3H-퀴나졸린-2-일)부탄알 (0.20 g, 0.92 mmol)의 교반 용액에, t-BuOH (5 mL), 물 (1.5 mL) 및 2-메틸-2-부텐 (0.51 g, 7.28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NaClO2 (0.25 g, 2.77 mmol) 및 NaH2PO4·H2O (0.43 g, 2.75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이 되게 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고, 물 (15 mL)로 희석하고, EtOAc (2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25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0 g, 10%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3-(4-옥소-3H-퀴나졸린-2-일)부탄산 (150 mg, 52%)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33.4 [M+H]+.
단계-7:
Figure 112019076358104-pct00171
DMF (5 mL) 중 3-(4-옥소-3H-퀴나졸린-2-일)부탄산 (0.15 g, 0.64 mmol) 및 6-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0.15 g, 0.71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0.18 g, 0.96 mmol), HOBt (0.13 g, 0.96 mmol) 및 DIPEA (0.34 mL, 1.93 mmol)를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 (3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2 x 25 mL),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 (100 mg, 71% LCMS)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정제하여 6-[4-[3-(4-옥소-3H-퀴나졸린-2-일)부타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28 mg, 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19 (brs, 1H), 8.50 (d, J = 2.4 Hz, 1H), 8.06 (d, J = 7.6 Hz, 1H), 7.87 (dd, J = 8.8, 2.4 Hz, 1H), 7.75-7.70 (m, 1H), 7.53 (d, J = 8.0 Hz, 1H), 7.43 (t, J = 8.0 Hz, 1H), 6.92 (d, J = 9.2 Hz, 1H), 3.76-3.66 (m, 4H), 3.62-3.51 (m, 4H), 3.25-3.08 (m, 2H), 2.64-2.59 (m, 1H), 1.26 (d, J = 7.2 Hz, 3H).
LCMS: m/z: 403.7 [M+H]+.
실시예 44 - 6-[(3S)-4-[3-(5,6-디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72
디-tert-부틸 디카르보네이트 (3.0 g, 23.2 mmol)를 건조 THF (45 mL) 중 3,4-디플루오로아닐린 (5.5 g, 25.2 mmol)에 첨가하고,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헥산 (15 mL)으로 세척하였다. 수득된 백색 고체를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tert-부틸 N-(3,4-디플루오로페닐)카르바메이트 (5 g, 93%)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어떠한 정제도 없이 사용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7.45-7.40 (m, 1H), 7.08-7.01 (m, 1H), 6.92-6.89 (m, 1H), 6.45 (brs, 1H), 1.51 (s, 9H).
LCMS: m/z: 174.4 [M+H-56]+.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73
-78℃에서 THF (30 mL) 중 tert-부틸 N-(3,4-디플루오로페닐)카르바메이트 (1 g, 4.36 mmol)의 교반 용액에, t-BuLi (7.54 mL, 9.82 mmol)를 적가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에틸 클로로포르메이트 (0.48 g, 5.1 mmol)를 반응 혼합물에 -78℃에서 천천히 첨가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0℃가 되게 하고, 10분의 기간에 걸쳐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용액 (24 mL)으로 처리한 다음, 실온으로 가온하고, EtOAc (100 mL) 및 물 (50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수성 상을 EtOAc (2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20 g, 2%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에틸 6-(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3-디플루오로-벤조에이트 (0.5 g, 38%)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9.44 (brs, 1H), 8.11-8.08 (m, 1H), 7.30-7.23 (m, 1H), 4.45 (q, J = 6.8 Hz, 2H), 1.51 (s, 9H), 1.41 (t, J = 7.2 Hz, 3H).
LCMS: m/z: 202.4 [M+H-100]+.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74
DCM (14 mL) 중 에틸 6-(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2,3-디플루오로-벤조에이트 (0.5 g, 1.66 mmol)의 교반 용액에, TFA (2.27 mL)를 실온에서 적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에틸 6-아미노-2,3-디플루오로-벤조에이트 (0.43 g, 89%)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02.3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175
THF:H2O (2:1, 15 mL) 중 에틸 6-아미노-2,3-디플루오로-벤조에이트 (0.43 g, 1.44 mmol)의 교반 용액에, LiOH·H2O (0.46 g, 14.3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pH = 4-5가 될 때까지 1 N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6-아미노-2,3-디플루오로-벤조산 (0.2 g, 80%)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174.39 [M+H]+.
단계-5:
Figure 112019076358104-pct00176
THF (15 mL) 중 6-아미노-2,3-디플루오로-벤조산 (0.7 g, 4.0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15 g, 6.0 mmol), HOBt·NH3 (0.91 g, 6.0 mmol) 및 DIPEA (2.17 mL, 12.0 mmol)를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냉수 (40 mL) 및 EtOAc (10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냉수 (2 x 20 mL), 염수 (2 x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20 g, 2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6-아미노-2,3-디플루오로-벤즈아미드 (0.45 g, 65%)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73.4 [M+H]+.
단계-6:
Figure 112019076358104-pct00177
실온에서 AcOH (4.5 mL) 중 6-아미노-2,3-디플루오로-벤즈아미드 (0.45 g, 2.61 mmol)의 교반 용액에, 숙신산 무수물 (0.31 g, 3.13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냉수 (10 mL)에 붓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침전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 (10 mL), 차가운 아세톤 (5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4-(2-카르바모일-3,4-디플루오로-아닐리노)-4-옥소-부탄산 (500 mg, 70%)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73.5 [M+H]+.
단계-7:
Figure 112019076358104-pct00178
2 N 수성 NaOH (5 mL) 중 4-(2-카르바모일-3,4-디플루오로-아닐리노)-4-옥소-부탄산 (0.50 g, 1.83 mmol)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0℃로 냉각시키고, pH = 3-4가 될 때까지 2 N 수성 HCl로 산성화시키고 그동안 백색 고체가 침전되었다. 현탁액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고, 물 (10 mL), 차가운 아세톤 (2 mL)으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3-(5,6-디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300 mg, 65%)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어떠한 정제도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55.46 [M+H]+.
단계-8:
Figure 112019076358104-pct00179
DMA (6 mL) 중 (2S)-2-메틸피페라진 (0.30 g, 2.1 mmol)의 교반 용액에, 6-클로로피리딘-3-카르보니트릴 (0.29 g, 2.3 mmol) 및 K2CO3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60℃로 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냉수 (2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20 mL) 및 염수 (2 x 2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0 g, 10%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6-[(3S)-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0.29 g, 67%)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03.4 [M+H]+.
단계-9:
Figure 112019076358104-pct00180
DMF (5 mL) 중 3-(5,6-디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0.25 g, 1.0 mmol) 및 6-[(3S)-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0.19 g, 1.0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0.28 g, 1.4 mmol), HOBt (0.22 g, 1.4 mmol) 및 DIPEA (0.5 mL, 2.9 mmol)를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빙수 (30 mL) 및 EtOAc (5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빙수 (2 x 15 mL), 염수 (2 x 15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 (200 mg, 47% LCMS)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정제하여 6-[(3S)-4-[3-(5,6-디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40 mg, 9%)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12.33 (brs, 1H), 8.48 (d, J = 2.4 Hz, 1H), 7.86 (dd, J = 9.2, 2.4 Hz, 1H), 7.84-7.76 (m, 1H), 7.39-7.33 (m, 1H), 6.95-6.91 (m, 1H), 4.55-4.34 (m, 1H), 4.30-3.86 (m, 3H), 3.49-3.42 (m, 1H), 3.23-3.15 (m, 1H), 3.05-2.94 (m, 1H), 2.89-2.78 (m, 4H), 1.20-0.98 (m, 3H).
LCMS: m/z: 439.7 [M+H]+.
실시예 45 - 2-[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81
1,4-디옥산 (20 mL) 중 5-브로모-2-클로로-피리미딘 (0.5 g, 2.58 mmol)의 용액에,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722 g, 3.88 mmol) 및 K2CO3 (0.713 g, 5.17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물 (2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 x 40 mL), 염수 (1 x 4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추가로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5 g, 1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7 g, 78%)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CDCl3]: δ 8.29 (s, 2H), 3.75 (t, J = 4.8 Hz, 4H), 3.47 (t, J = 5.2 Hz, 4H), 1.47 (s, 9H).
LCMS: m/z: 287.44 [M-tBu]+.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82
DMF (15 mL) 중 tert-부틸 4-(5-브로모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500 mg, 1.46 mmol)의 교반 용액에, Zn(CN)2 (513 mg, 4.37 mmol) 및 X-phos (84 mg, 0.15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 기체로 20분 동안 탈기시킨 다음, Pd(PPh3)4 (168 mg, 0.15 mmol)를 첨가하고, 100℃에서 18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이 되게 하고, 물 (20 mL)로 희석하고, EtOAc (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물 (2 x 40 mL), 염수 (1 x 4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물질을 수득하였다. 조 물질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2 g, 1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5-시아노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300 mg, 71%)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90.49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83
0℃에서 DCM (5 mL) 중 tert-부틸 4-(5-시아노피리미딘-2-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300 mg, 0.5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5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Et2O (5 mL)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2-피페라진-1-일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히드로클로라이드 (200 mg, 80%)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90.46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184
DMF (2 mL) 중 2-피페라진-1-일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130 mg, 0.69 mmol) 및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00 mg, 0.46 mmol)의 교반 용액에, DIPEA (0.3 mL, 1.38 mmol) 및 T3P (291 mg, 0.92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4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냉수 (3 x 20 mL),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조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0 g, 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2-[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미딘-5-카르보니트릴 (30 mg, 1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20 (s, 1H), 8.79 (s, 2H), 8.06 (dd, J= 7.6, 1.2 Hz, 1H), 7.78-7.73 (m, 1H), 7.57 (d, J = 8.0 Hz, 1H), 7.47-7.43 (m, 1H), 3.93 (t, J = 4.4 Hz, 2H), 3.81 (t, J = 4.4 Hz, 2H), 3.66 (t, J = 4.8 Hz, 2H), 3.57 (t, J = 5.6 Hz, 2H), 2.90 (s, 4H).
LCMS: m/z: 390.67 [M+H]+.
실시예 46 - 2-메틸-5-[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라졸-3-카르보니트릴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85
Et3N (17.3 mL, 0.12 mol)을 MeOH (80 mL), H2O (40 mL) 중 디메틸 부트-2-인디오에이트 (8 g, 0.05 mmol)의 용액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메틸 히드라진 술페이트 (8.92 g, 61.9 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70℃에서 2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정치시키고, 형성된 고체를 여과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메틸 5-히드록시-2-메틸-피라졸-3-카르복실레이트 (3.5 g, 40%)를 연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57.3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86
0℃에서 DCM (30 mL) 중 메틸 5-히드록시-2-메틸-피라졸-3-카르복실레이트 (0.3 g, 1.92 mmol)의 교반 용액에, 피리딘 (0.18 g, 2.30 mmol)에 이어서 Tf2O (0.59 g, 2.11 m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천천히 가온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물 (15 mL)로 희석하고, DCM (2 x 3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25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메틸 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옥시)피라졸-3-카르복실레이트 (580 mg, 93%)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89.4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87
밀봉된 튜브에 1,4-디옥산 (40 mL) 중 메틸 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술포닐옥시)피라졸-3-카르복실레이트 (1.7 g, 5.90 mmol),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1.64 g, 6.48 mmol), KOAc (1.73 g, 17.6 mmol)를 채우고, N2 하에 15분 동안 탈기시켰다. Dppf (0.15 g, 0.29 mmol) 및 PdCl2(dppf).CH2Cl2 (0.24 g, 0.29 mmol)를 첨가하고, 다시 N2 하에 추가로 10분 동안 탈기시켰다. 생성된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톨루엔 (30 mL), 물 (20 mL)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하였다. 셀라이트 패드를 톨루엔 (50 mL)으로 세척하고, 합한 유기 세척물을 분리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펜탄 (70 mL)으로 연화처리하고, 여과하였다. 펜탄 층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5-메톡시카르보닐-1-메틸-피라졸-3-일)보론산 (1 g, 92%)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85.5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188
실온에서 DCM (20 mL) 중 (5-메톡시카르보닐-1-메틸-피라졸-3-일)보론산 (1.05 g, 5.64 mmol) 및 N-Boc-피페라진 (0.8 g, 4.34 mmol)의 교반 용액에, 피리딘 (1.03 g, 13.03 mmol), 4 Å 분자체 및 Cu(OAc)2 (1.57 g, 8.67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O2 분위기 (풍선 압력) 하에 실온에서 1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은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DCM (2 x 3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 (41% 순도)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30 g, 15%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피라졸-3-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43 g, 60% LCMS)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25.7 [M+H]+.
단계-5:
Figure 112019076358104-pct00189
THF:MeOH:H2O (1:1:1, 15 mL) 중 tert-부틸 4-(5-메톡시카르보닐-1-메틸-피라졸-3-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43 g, 1.32 mmol)의 교반 용액에, LiOH·H2O (0.27 g, 6.63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pH = 4-5가 될 때까지 1 N HCl로 산성화시키고, EtOAc (2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2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5-(4-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2-메틸-피라졸-3-카르복실산 (0.24 g, 58%)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11.4 [M+H]+.
단계-6:
Figure 112019076358104-pct00190
THF (20 mL) 중 5-(4-tert-부톡시카르보닐피페라진-1-일)-2-메틸-피라졸-3-카르복실산 (0.47 g, 1.51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0.43 g, 2.27 mmol), HOBt·NH3 (0.34 g, 2.27 mmol) 및 DIPEA (0.8 mL, 4.55 mmol)를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실온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고, 잔류물을 물 (40 mL) 및 EtOAc (100 mL)로 희석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냉수 (2 x 20 mL), 염수 (2 x 2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20 g, 2.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5-카르바모일-1-메틸-피라졸-3-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40 g, 86%)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10.7 [M+H]+.
단계-7:
Figure 112019076358104-pct00191
0℃로 냉각된 THF (5.0 mL) 중 tert-부틸 4-(5-카르바모일-1-메틸-피라졸-3-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17 g, 0.55 mmol)의 교반 용액에, Et3N (0.19 mL, 1.37 mmol)에 이어서 Tf2O (0.27 mL, 1.9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천천히 실온이 되게 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10 mL)로 희석하고, EtOAc (2 x 25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포화 NaHCO3 용액 (10 mL)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tert-부틸 4-(5-시아노-1-메틸-피라졸-3-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11 g, 68%)를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92.5 [M+H-100]+.
단계-8:
Figure 112019076358104-pct00192
0℃로 냉각된 1,4-디옥산 (5 mL) 중 tert-부틸 4-(5-시아노-1-메틸-피라졸-3-일)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0.11 g, 0.37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3 m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이 되게 하고, 5시간 동안 교반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Et2O (5 mL)로 세척하고, 고진공 하에 건조시켜 2-메틸-5-피페라진-1-일-피라졸-3-카르보니트릴 히드로클로라이드 (70 mg, 73%)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92.5 [M+H]+.
단계-9:
Figure 112019076358104-pct00193
실온에서 DMF (2 mL) 중 2-메틸-5-피페라진-1-일-피라졸-3-카르보니트릴;히드로클로라이드 (0.06 g, 0.28 mmol) 및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0.075 g, 0.34 mmol)의 교반 용액에, EtOAc 중 50% T3P (0.36 mL, 0.57 mmol) 및 DIPEA (0.1 mL, 0.57 mmol)를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고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5% MeOH-DCM (75 mL)으로 희석하고, 냉수 (2 x 1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잔류물 (110 mg, 37% LCMS)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정제하여 2-메틸-5-[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라졸-3-카르보니트릴 (22 mg, 16%)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15 (brs, 1H), 8.07 (d, J = 6.8, 1.2 Hz, 1H), 7.76-7.72 (m, 1H), 7.53 (d, J = 8.0 Hz, 1H), 7.44 (t, J = 7.2 Hz, 1H), 6.62 (s, 1H), 3.83 (s, 3H), 3.61 (t, J = 4.8 Hz, 2H), 3.54 (t, J = 5.2 Hz, 2H), 3.18 (t, J = 6.4 Hz, 2H), 3.06 (t, J = 4.8 Hz, 2H), 2.87 (s, 4H).
LCMS: m/z: 392.7 [M+H]+.
실시예 47 - 3-클로로-N,N-디메틸-4-[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94
THF (5 mL) 중 3-클로로-4-플루오로-벤조산 (0.5 g, 2.87 mmol)의 교반 용액에, Me2NH (0.3 mL, 5.74 mmol, THF 중 1M) 및 CDI (0.7 g, 4.31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4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3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여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Et2O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3-클로로-4-플루오로-N,N-디메틸-벤즈아미드 (450 mg, 78%)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02.40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95
DMSO (5 mL) 중 3-클로로-4-플루오로-N,N-디메틸-벤즈아미드 (0.4 g, 1.99 mmol) 및 피페라진 (0.8 g, 9.38 mmol)의 용액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 120℃에서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4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Et2O (10 mL)로 세척하여 3-클로로-N,N-디메틸-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550 mg, 65%)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68.56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96
건조 DMF (2 mL) 중 3-클로로-N,N-디메틸-4-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150 mg, 0.55 mmol) 및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22 mg, 0.55 mmol)의 교반 용액에, EDC·HCl (160 mg, 0.83 mmol), HOBt (113 mg, 0.83 mmol) 및 DIPEA (0.2 mL, 1.16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물 (20 mL)로 켄칭하고, EtOAc (3 x 1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5 g, 5%의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3-클로로-N,N-디메틸-4-[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벤즈아미드 (80 mg, 43%)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20 (s, 1H), 8.07 (dd, J = 8, 1.2 Hz, 1H), 7.78-7.74 (m, 1H), 7.57 (d, J = 8 Hz, 1H), 7.47-7.43 (m, 2H), 7.36 (dd, J = 8.4, 2 Hz, 1H), 7.15 (d, J = 8.4 Hz, 1H), 3.70 (brs, 2H), 3.61 (brs, 2H), 3.05 (brs, 2H), 2.94 (s, 8H), 2.89 (s, 4H).
LCMS: m/z: 468.73 [M+H]+.
실시예 48 - N-메틸-6-[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복스아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197
밀봉된 튜브에 들은 2,5-디브로모피리딘 (2 g, 10.7 mmol), 소듐 tert-부톡시드 (1.6 g, 16.6 mmol), xantphos (400 mg, 0.7 mmol) 및 톨루엔 (100 mL)의 교반 용액에 아르곤을 5분 동안 퍼징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3.4 g, 14.30 mmol)에 이어서 Pd2(dba)3 (200 mg, 0.21 mmol)을 첨가하고, 80℃에서 4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EtOAc (200 mL), 물 (100 mL)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하고, EtOAc (2 x 30 mL)로 세척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5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50 g, 10-2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5-브로모-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3 g, 82%)를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342.57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198
디옥산 (30 mL) 중 tert-부틸 4-(5-브로모-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3 g, 8.77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10 m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EtOAc (5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고체를 여과하고, 에테르 (20 mL)로 세척하고, 감압 하에 건조시켜 1-(5-브로모-2-피리딜)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2.1 g, 93%)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242.43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199
DMF (20 mL) 중 1-(5-브로모-2-피리딜)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2.1 g, 8.12 mmol)의 교반 용액에, DIPEA (3.8 mL, 22.01 mmol),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6 g, 7.34 mmol)에 이어서 EtOAc 중 50% T3P 용액 (7 mL, 11.00 mmol)을 실온에서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수 (200 mL)로 켄칭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수득된 고체를 여과하고, 물 (50 mL), 아세톤 (20 mL)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2-[3-[4-(5-브로모-2-피리딜)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1.6 g, 50%)을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442.59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200
밀봉된 튜브에 들은 디옥산 (30 mL) 중 2-[3-[4-(5-브로모-2-피리딜)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1.6 g, 3.62 mmol)의 교반 용액에, 아세트산칼륨 (1.1 g, 11.21 mmol)을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이어서 비스(피나콜레이토)디보론 (1.3 g, 5.12 mmol) 및 Pd(dppf)Cl2 (89 mg, 0.11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EtOAc (75 mL)로 희석하고, 셀라이트® 층을 통해 여과하고, EtOAc (2 x 50 mL)로 세척하고;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25 mL)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펜탄 (2 x 10 mL)으로 세척하여 2-[3-옥소-3-[4-[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2-피리딜]피페라진-1-일]프로필]-3H-퀴나졸린-4-온 및 [6-[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3-피리딜]보론산 둘 다의 혼합물 (1.16 g)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반응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ESI+): m/z: 408.69 [M+H]+.(보론산)
단계-5:
Figure 112019076358104-pct00201
아르곤 분위기 하에 THF 중 2-[3-옥소-3-[4-[5-(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2-피리딜]피페라진-1-일]프로필]-3H-퀴나졸린-4-온 & [6-[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3-피리딜]보론산의 혼합물 (1.16 g), 구리 (I) 티오펜-2-카르복실레이트 (1.1 g, 5.77 mmol), 트리-2-푸릴 포스핀 (140 mg, 0.60 mmol)의 교반 용액에, Pd2(dba)3 (91 mg, 0.1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아르곤으로 5분 동안 퍼징한 다음, THF (18 mL) 중 N,N'-비스(tert-부톡시카르보닐)-S-메틸이소티오우레아 (600 mg, 1.97 mmol)를 아르곤 분위기 하에 첨가하고 그동안 농후한 균질 용액이 형성되었다. 반응 혼합물을 65℃에서 18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LCMS는 16%의 보론산을 나타냄), 실온이 되게 하고, 포화 수성 NaHCO3 용액 (20 mL) 및 EtOAc (30 mL)를 첨가하였다. 유기 층을 분리하고, 염수 (25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100 g, 2-5% MeOH-DCM)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N-[(E)-N-tert-부톡시카르보닐-C-[6-[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3-피리딜]카본이미도일]-N-메틸-카르바메이트 (240 mg, 12% LCMS)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정제용 HPLC에 의해 재정제하여 순수한 화합물 (13 m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620.92 [M+H]+.
단계-6:
Figure 112019076358104-pct00202
디옥산 (0.5 mL) 중 tert-부틸 N-[(E)-N-tert-부톡시카르보닐-C-[6-[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3-피리딜]카본이미도일]-N-메틸-카르바메이트 (13 mg, 0.021 mmol)의 교반 용액에, 디옥산 중 4 N HCl (0.4 mL, 1.744 mmol)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LCMS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생성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EtOAc (2 x 5 mL)에 이어서 Et2O (2 x 5 mL)로 세척한 다음, CH3CN (5 mL) 및 물 (5 mL)의 혼합물 중에서 동결건조시켜 N-메틸-6-[4-[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복스아미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2 mg, 99%)를 회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8.58 (brs, 1H), 8.14 (d, J = 7.6 Hz, 2H), 7.99 (brs, 1H), 7.92-7.78 (m, 2H), 7.63-7.57 (m, 1H), 7.35 (brs, 1H), 7.13-7.08 (m, 1H), 4.26 (brs, 5H), 3.81 (s, 2H), 3.68 (s, 4H), 3.60 (s, 2H), 3.06 (s, 3H).
LCMS (ESI+): m/z: 420.70 [M+H]+.
단계-7:
Figure 112019076358104-pct00203
0℃로 냉각된 DMF (20 mL) 중 tert-부틸 N-[(tert-부톡시카르보닐아미노)-메틸술파닐-메틸렌]카르바메이트 (1 g, 3.44 mmol)의 용액에, 60% 수소화나트륨 (276 mg, 6.916 mmol)에 이어서 MeI (0.32 mL, 5.162 mmol)를 조금씩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반응 혼합물을 빙수 (30 mL)로 켄칭하고,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염수 (30 mL)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20 g, 5-1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N-(N-tert-부톡시카르보닐-C-메틸술파닐-카본이미도일)-N-메틸-카르바메이트 (650 mg, 63%)를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
LCMS (ESI+): m/z: 305.66 [M+H]+.
실시예 49 - 2-[3-[4-[5-(4,5-디히드로-1H-이미다졸-2-일)-2-피리딜]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204
DMF (5 mL) 중 메틸 6-클로로피리딘-3-카르복실레이트 (500 mg, 2.91 mmol)의 교반 용액에, tert-부틸 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720 mg, 3.87 mmol), K2CO3 (1.2 g, 8.74 mmol) 및 DMAP (35 mg, 0.29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CEM 마이크로웨이브에서 80℃에서 30분 동안 가열하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물 (20 mL)로 희석하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고체를 여과하고, EtOAc (50 mL) 중에 용해시키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5 g, 30% EtOAc-헥산)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5-메톡시카르보닐-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510 mg, 54%)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22.63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205
0℃로 냉각된 톨루엔 (12 mL) 중 트리메틸 알루미늄 (1.86 mL, 3.73 mmol, 톨루엔 중 2 M)의 교반 용액에, 에틸렌디아민 (0.25 mL, 3.7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5분 동안 교반하고, 톨루엔 (4 mL) 중 tert-부틸 4-(5-메톡시카르보닐-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200 mg, 0.62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3시간 동안 환류시키고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천천히 실온이 되게 하고, 물 (5 mL)로 켄칭하고, MeOH (15 mL) & DCM (15 mL) 중에 용해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Na2SO4를 통해 여과하고; 수득된 여과물을 진공 하에 증발시켜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잔류물을 EtOAc (50 mL) 중에 용해시키고, 80℃에서 5분 동안 가열하고, Na2SO4를 통해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켜 조 화합물을 수득하였다. 조 잔류물을 칼럼 크로마토그래피 (100-200 실리카 겔, 4 g, 10% MeOH-80% DCM-10% 수성 NH3)에 의해 정제하여 tert-부틸 4-[5-(4,5-디히드로-1H-이미다졸-2-일)-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160 mg, 78%)를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332.70 [M+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206
0℃로 냉각된 1,4-디옥산 (3 ml) 중 tert-부틸 4-[5-(4,5-디히드로-1H-이미다졸-2-일)-2-피리딜]피페라진-1-카르복실레이트 (160 mg, 0.48 mmol)의 교반 용액에, 1,4-디옥산 중 4 N HCl (0.48 mL, 1.93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증발시켜 1-[5-(4,5-디히드로-1H-이미다졸-2-일)-2-피리딜]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130 mg, 100%)를 수득하였으며, 이를 후속 단계에 추가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LCMS: m/z: 232.56 [M+H]+.
단계-4:
Figure 112019076358104-pct00207
DMF (5 mL) 중 3-(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100 mg, 0.458 mmol)의 교반 용액에, 1-[5-(4,5-디히드로-1H-이미다졸-2-일)-2-피리딜]피페라진 히드로클로라이드 (127 mg, 0.55 mmol), EDC·HCl (131 mg, 0.68 mmol), HOBt (93 mg, 0.68 mmol) 및 DIPEA (0.32 mL, 1.83 mmol)를 실온에서 첨가하고, 1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TLC는 출발 물질의 완전한 소모를 나타냄). 휘발성 물질을 감압 하에 제거하여 조 잔류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냉수 (30 ml)로 희석하고 그동안 고체가 침전되었다. 침전물을 여과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조 생성물 (120 mg, 92% LCMS)을 수득하고, 정제용 HPLC에 의해 정제하여 2-[3-[4-[5-(4,5-디히드로-1H-이미다졸-2-일)-2-피리딜]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3H-퀴나졸린-4-온 (55 mg, 28%)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1H NMR [400 MHz, DMSO-d6]: δ 12.0 (s, 1H), 8.54 (d, J = 2.0 Hz, 1H), 8.07 (dd, J = 1.6, 8.0 Hz, 1H), 7.92 (dd, J = 2.4, 9.2 Hz, 1H), 7.76-7.71 (m, 1H), 7.54 (d, J = 8.0 Hz, 1H), 7.46-7.42 (m, 1H), 6.87(d, J = 9.2 Hz, 1H), 3.70-3.65 (m, 4H), 3.56 (brs, 8H), 2.89 (brs, 4H).
LCMS: m/z: 432.73[M+H]+.
실시예 50 - 8-클로로-2-(3-(4-(4-플루오로페닐)-3,6-디히드로피리딘-1(2H)-일)-3-옥소프로필)퀴나졸린-4(3H)-온의 합성
단계-1:
Figure 112019076358104-pct00208
2-아미노-3-클로로벤조산 (10 g, 58.3 mmol)을 DMF (30 mL) 중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HOBt (10.2 g, 75.8 mmol), EDCI (13.4 g, 69.9 mmol), 염화암모늄 (12.5 g, 233 mmol) 및 DIEA (40.6 mL, 233 mmol)를 그 순서대로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H2O (200 mL)와 EtOAc (200 mL) 사이에 분배하고, 상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EtOAc (2 x 1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50%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농축시켜 황색/백색 고체 잔류물을 수득하였다. 고체 잔류물을 DMF (10 mL) 중에 용해시켰다. DCM (10 mL)을 첨가하여 백색 침전물을 수득하였으며, 이를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이 과정을 2회 더 반복하여 2-아미노-3-클로로-벤즈아미드 (5.1 g)를 백색 솜털모양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171.1 [M+H]+
단계-2:
Figure 112019076358104-pct00209
톨루엔 (5 mL) 중 2-아미노-3-클로로-벤즈아미드 (500 mg, 2.93 mmol) 및 숙신산 무수물 (293 mg, 2.93 mmol)의 현탁액을 110℃에서 교반하였다. 혼합물은 1시간 후에 균질해졌다. 추가로 16시간 후, 침전이 형성되었다.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1 N NaOH (10 mL)를 잔류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10℃에서 10분 동안 가열한 다음, 실온으로 냉각시켰다. 1 N HCl을 pH가 ~ 1에 도달할 때까지 첨가하였다. 백색 침전을 형성하고, 여과에 의해 수집하였다. 고체를 물 (2 x 5mL)로 세척하고, 건조시켜 3-(8-클로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294 m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253.0 [M+H]+
1H NMR (500 MHz, DMSO-d6) δ 12.45 (s, 1H), 12.20 (br.s, 1H), 8.04 (dd, J = 7.9, 1.5 Hz, 1H), 7.92 (dd, J = 7.8, 1.4 Hz, 1H), 7.43 (t, J = 7.8 Hz, 1H), 2.89 (dd, J = 10.6, 3.7 Hz, 2H), 2.78 (dd, J = 10.6, 3.6 Hz, 2H).
단계-3:
Figure 112019076358104-pct00210
DMF (3 mL) 중 4-(4-플루오로페닐)-1,2,3,6-테트라히드로피리딘 히드로클로라이드 (18.6 mg, 0.087 mmol) 및 3-(8-클로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판산 (20.0 mg, 0.079 mmol)의 용액에 HATU (33.1 mg, 0.087 mmol)에 이어서 DIEA (33.9 μL, 0.190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한 다음, EtOAc (40 mL)로 희석하고, 포화 NaHCO3 (수성) (10 mL), 50% 포화 염수 (3x5 mL)로 세척하고, 건조시키고 (MgSO4), 여과하고, 진공 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플래쉬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LC-MS 및 NMR에 의해 90% 순수한 물질인 조 생성물 (13 m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이 고체를 EtOAc (3 mL)로 연화처리하고, 액체를 가만히 따름으로써 고체를 수집하여 8-클로로-2-(3-(4-(4-플루오로페닐)-3,6-디히드로피리딘-1(2H)-일)-3-옥소프로필)퀴나졸린-4(3H)-온 (1.2 mg)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LC-MS: m/z 412.1 [M+H]+
1H NMR (500 MHz, CDCl3) δ 11.08 (s, 1H), 8.18 (d, J = 8.0 Hz, 1H), 7.79 (d, J = 7.7 Hz, 1H), 7.38 - 7.28 (m, 3H), 7.03 (td, J = 8.7, 2.0 Hz, 2H), 5.98 (d, J = 45.0 Hz, 1H), 4.23 (d, J = 77.1 Hz, 2H), 3.80 (dt, J = 100.6, 5.7 Hz, 2H), 3.17 (dd, J = 13.7, 7.8 Hz, 2H), 3.02 - 2.84 (m, 2H), 2.65 - 2.48 (m, 2H).
실시예 51 - 2-(3-(4-(4-플루오로페닐)-3,6-디히드로피리딘-1(2H)-일)-3-옥소프로필)퀴나졸린-4(3H)-온의 합성
Figure 112019076358104-pct00211
화합물을 8-클로로-2-(3-(4-(4-플루오로페닐)-3,6-디히드로피리딘-1(2H)-일)-3-옥소프로필)퀴나졸린-4(3H)-온 (실시예 50)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LC-MS: m/z 378.4 [M+H]+
1H NMR (500 MHz, DMSO-d6) δ 12.19 (s, 1H), 8.07 (d, J = 7.9 Hz, 1H), 7.72 (ddd, J = 8.5, 7.2, 1.6 Hz, 1H), 7.53 (d, J = 8.1 Hz, 1H), 7.50 - 7.46 (m, 2H), 7.46 - 7.41 (m, 1H), 7.18 (t, J = 8.8 Hz, 2H), 6.20 - 6.12 (m, 1H), 4.24 (d, J = 2.6 Hz, 1H), 4.09 (d, J = 2.7 Hz, 1H), 3.72 (t, J = 5.6 Hz, 1H), 3.66 (t, J = 5.7 Hz, 1H), 2.98 - 2.85 (m, 4H), 2.58 (s, 1H), 2.42 (s, 1H).
실시예 52 - 2-(3-(4-(4-플루오로페닐)피페라진-1-일)-3-옥소프로필)퀴나졸린-4(3H)-온의 합성
Figure 112019076358104-pct00212
화합물을 8-클로로-2-(3-(4-(4-플루오로페닐)-3,6-디히드로피리딘-1(2H)-일)-3-옥소프로필)퀴나졸린-4(3H)-온 (실시예 50)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적절한 출발 물질을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LC-MS: m/z 381.4 [M+H]+
1H NMR (500 MHz, DMSO-d6) δ 12.18 (s, 1H), 8.07 (dd, J = 8.0, 1.2 Hz, 1H), 7.77 - 7.71 (m, 1H), 7.55 (d, J = 8.0 Hz, 1H), 7.44 (ddd, J = 8.1, 7.3, 1.1 Hz, 1H), 7.10 - 7.04 (m, 2H), 7.01 - 6.95 (m, 2H), 3.70 - 3.63 (m, 2H), 3.63 - 3.54 (m, 2H), 3.15 - 3.10 (m, 2H), 3.04 - 2.98 (m, 2H), 2.89 (s, 4H).
실시예 53 - 2-(3-(4-(4-플루오로페닐)-3,6-디히드로피리딘-1(2H)-일)-3-옥소프로필)-7-메틸-3,7-디히드로-4H-피롤로[2,3-d]피리미딘-4-온의 합성
Figure 112019076358104-pct00213
화합물을 8-클로로-2-(3-(4-(4-플루오로페닐)-3,6-디히드로피리딘-1(2H)-일)-3-옥소프로필)퀴나졸린-4(3H)-온 (실시예 50)과 동일한 순서에 따라 적절한 출발 물질 (2-아미노-1-메틸-1H-피롤-32-카르복스아미드, CAS 번호:1894093-24-3)을 사용하여 합성하였다.
LC-MS: m/z 381.4 [M+H]+
1H NMR (500 MHz, DMSO) δ 11.70 (s, 1H), 7.48 (ddd, J = 8.7, 5.6, 2.1 Hz, 2H), 7.21 - 7.14 (m, 2H), 6.98 (d, J = 3.3 Hz, 1H), 6.37 (d, J = 3.3 Hz, 1H), 6.16 (t, J = 3.3 Hz, 1H), 4.23 (d, J = 2.5 Hz, 1H), 4.10 (d, J = 2.6 Hz, 1H), 3.71 (t, J = 5.6 Hz, 1H), 3.67 (t, J = 5.7 Hz, 1H), 3.61 (d, J = 6.5 Hz, 3H), 2.92 - 2.80 (m, 4H), 2.60 - 2.54 (m, 1H), 2.46 - 2.40 (m, 1H).
실시예 54 인간 PARP 검정
폴리 (ADP-리보스) 폴리머라제-1 (PARP-1) 및 폴리 (ADP-리보스) 폴리머라제-2 (PARP-2)는 DNA 복구를 포함한 세포 활성 다수에 수반되는 2종의 핵 효소이고, DNA 및 염색질 구조의 완전성을 유지하는 데 주요 역할을 한다. 이 검정은 PARP-1 또는 PARP-2의 활성을 억제하는 시험 물질의 잠재력을 평가하도록 설계되고, 섬광 근접 검정 (SPA) 포맷을 사용한다.
섬광 근접 검정 (SPA)은 정제된 재조합 PARP-1 효소를 사용하여 PARP 활성을 측정하도록 설계되고, 약물 발견을 위한 소분자 억제제의 고처리량 스크리닝에 이상적이다. 여기서, 재조합 인간 PARP-1 또는 PARP-2 효소는 기질 믹스 (NAD, 3H-NAD 및 비오티닐화-NAD)와 함께 인큐베이션되었고, [3H] 및 비오틴-표지된 ADP-리보스 중합체는 스타렙타비딘-접합된 PVT SPA 비드를 사용하여 포획되었다. 효소 억제의 부재 하에, 100% 신호가 수득되었다. 억제제는 PARP-1 또는 PARP-2 매개 폴리-ADP 리보스 중합체 형성이 감소되는 경우 신호의 감소에 의해 확인된다.
이 프로토콜에 사용된 화학물질 및 시약은 공급원 및 카탈로그 번호와 함께 하기에 열거된다.
Figure 112019076358104-pct00215
주: 모든 화학물질을 0.01mg의 감도를 갖는 칭량 밸런스를 사용하여 칭량함.
기기: 퍼킨 엘머; 탑카운트 NXT
시약 & 완충제 제조
완충제 A 4X:
트리스 pH 8 : 100 mM; MgCl2: 4 mM; 스페르민: 4 mM; KCl: 200 mM; 노니데트 P-40 대체물: 0.04%.
웰당 검정 믹스 A
● 완충제 A 4X : 12.5 μL
● DTT 100mM : 0.5 μL
● PARP-1 효소 : 1 단위/웰, 부피는 로트 비활성에 따라 달라짐
● PARP-2 효소 : 30 ng/웰, 부피는 로트 비활성에 따라 달라짐
● H2O : 35 μL까지
웰당 검정 믹스 B
● [아데닌-2,8-3H]-NAD 100 uCi/ml : 1 μL (0.1 μCi/웰)
● 3H-NAD 100 uCi/ml : 2 μl (0.2 μCi/웰)
● NAD 1.5 mM : 0.05 μL
● 비오티닐화-NAD 2501.iM : 0.03 μL
● 활성화된 송아지 흉선 DNA : 50 μg
● H2O : 10 μL까지
검정 믹스 C
● 스트렙타비딘-SPA 비드: 200 mM EDTA pH 8.0 중 2.5 mg/mL (PARP-1 검정의 경우)
● 스트렙타비딘-SPA 비드: 2.5 mg/ml dH2O (PARP-2 검정의 경우)
검정 절차
참조 화합물, 4-아미노-1,8-나프탈이미드 (4-ANI)의 10 mM 용액을 100% DMSO를 사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10 mM 4-ANI를 2 mM으로 희석하고, 추가로 100% DMSO를 사용하여 200 μM으로 희석하였다. 100% DMSO 중 200 μM 4-ANI의 연속 희석을 수행하여 3배 희석된, 10개 농도를 수득하였다. 연속 희석물 5μL를 물 95 μL로 옮겨 검정에서의 최종 농도의 10X를 수득하였다. 검정에서 4-ANI의 최고 농도는 1 μM이었다.
보다 먼저 제조된 2 mM 4-ANI의 용액을 물 중에서 100 μM으로 희석하였다. 이 100 μM 4-ANI 5 μL를 "NC" (음성 대조군) 웰에 첨가하였다. "NC" 웰에서 4-ANI의 최종 농도는 10 μM이었다. "NC" 웰은 최저 신호를 갖는 웰로 정의된다.
시험 화합물의 10 mM 용액을 100% DMSO를 사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10 mM 용액을 검정에서 목적하는 최종 농도의 200X로 희석하였다. 100% DMSO 중 200X 화합물 용액의 연속 희석을 수행하여 3배 희석된, 10개 농도를 수득하였다.
사전-희석 플레이트: 연속 희석물 5 μL를 폴리프로필렌 플레이트 내의 물 95 μL로 옮겨 검정에서 최종 목적하는 농도의 10X를 수득하였다.
PARP 반응 진전: 검정 플레이트
사전희석 마이크로플레이트로부터의 5 μL/웰을 96 웰 백색 마이크로플레이트 (코닝 3600)로 옮겼다. 35 μL/웰의 검정 믹스 A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10 μL/웰의 검정 믹스 B를 첨가하여 반응을 시작하였다. 검정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3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검정 플레이트 검출:
50 μL/웰의 검정 믹스 C를 첨가하였다. 탑실-A 96이 있는 플레이트를 밀봉하였다. 검정물을 완만하게 진탕시키면서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검정 플레이트를 삼중수소 및 PVT SPA 비드에 대해 최적화된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탑카운트 상에서 판독하였다.
검정 조건
Figure 112019076358104-pct00216
결과 및 데이터 분석:
미가공 데이터를 CPM으로서 수집하였다. 4-파라미터 비-선형 회귀를 사용하여 농도-반응 곡선을 피팅시키고, IC50 값을 계산하였다. NC, PC 군에 대한 이중 CPM 값을 평균내었다. NC의 평균을 모든 미가공 CPM 카운트에서 감산하였다. 이어서, 이들 배경-감산된 값을 평균 양성 대조군으로 나누어 활성의 %를 생성하였다. % 활성을 100에서 감산하여 % 억제를 생성하였다. 데이터를 플롯팅하고 하기 방정식에 피팅시켰다:
Figure 112019076358104-pct00217
실시예 55 PARP-1 세포 기반 검정
DNA 손상에 반응하여, PARP 패밀리의 주요 이소형인 폴리-(ADP-리보스) 폴리머라제-1 (PARP-1)은 환경 작용제, 암 요법, 염증, 허혈-재관류 및 신경변성에 대한 노출로부터 발생하는 DNA 가닥 파괴에 의해 급속하게 활성화된다. 활성화되면, 주요 수용자로서 PARP-1을 포함하는 표적 핵 단백질 상에서 발견되는 고도로 음으로 하전된 중합체 폴리-ADP리보스 (PAR)의 합성에 NAD+가 소모된다. PARP 활성화의 결과로서, 광범위한 DNA 손상은 세포 내 NAD+의 고갈로 이어지고, 세포 사멸로 이어질 수 있다. 따라서, PARP-1은 암 요법, 염증, 허혈 및 신경변성의 다양한 요법에 유용한 약물의 개발을 위한 유망한 표적으로서 간주된다.
본 검정에서, 세포 내의 PARP 활성을 모니터링하기 위해, HeLa 세포를 PARP-1 억제제로 처리하고 이어서 H2O2로 DNA 손상을 유발하였다. 최종 PARP1 활성은 처리된 및 비-처리된 세포로부터 수집된 세포 용해물 내 NAD+ 및 NADH의 수준을 측정함으로써 평가하였다.
물질 & 시약
Figure 112019076358104-pct00219
기기: 검출: 엔비전 플레이트 판독기/탑카운트 (퍼킨 엘머)에서의 발광 검출
시약 & 배지 제조
배양 배지 제조
● DMEM 배지 : 1X
● FBS (열 비활성화됨) : 10%
● 펜-스트렙 (10,000 U/mL) : 0.1 mg/ml
● L-글루타민 : 2 mM
루시페린 검출 시약의 제조
재구성 완충제를 해동시켰다. 재구성 완충제 및 루시페린 검출 시약을 실온으로 평형화시켰다. 재구성 완충제 병의 전체 내용물을 동결건조된 루시페린 검출 시약의 호박색 병으로 옮겼다. 2종의 시약을 와류 또는 반전에 의해 혼합하여 균일한 용액을 수득하였다. 볼텍싱은 하지 않았다. 루시페린 검출 시약을 1분 미만 내에 용이하게 용액 내로 넣어야 한다.
NAD/NADH-Glo™ 검출 시약의 제조
NAD+ 또는 NADH를 함유하는 각각의 샘플에 동등한 부피의 NAD/NADH-Glo™ 검출 시약을 첨가하였다.
재구성된 루시페린 검출 시약을 실온으로 평형화시켰다. 리덕타제, 리덕타제 기질 및 NAD+ 사이클링 기질을 실온에서 또는 사용 직전에 얼음 상에서 해동시켰다. NAD+ 사이클링 효소를 물 275 μL를 첨가함으로써 재구성하였다. 혼합물을 바이알에서 완만하게 와류시키고, 얼음 상에서 저장하였다. 필요량의 NAD/NADH-Glo™ 검출 시약을 재구성된 루시페린 검출 시약 1 mL당 리덕타제 5 μL, 리덕타제 기질 5 μL, NAD+ 사이클링 효소 5 μL 및 NAD+ 사이클링 기질 25 μL를 첨가함으로써 제조하였다. 혼합물을 5회 완만하게 반전시켰다.
최종 검정 조건:
Figure 112019076358104-pct00220
세포 시딩 & 화합물 처리:
96-웰 세포 배양 마이크로플레이트 내의 HeLa 세포를 90 μL 배양 배지에서 10,000개 세포/웰의 밀도로 시딩하였다. 플레이트를 5% CO2 분위기 하에 37℃에서 4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8 포인트에 걸쳐 연속 희석된 10X 화합물 (5% DMSO) 10 μL (농도 범위: 0.3-100 nM)를 첨가하였다. 처리된 플레이트를 5% CO2 하에 37℃에서 18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H2O 중 H2O2 용액 5 μL (최종 농도 200 μM)를 첨가하여 DNA 손상을 촉발시켰다. H2O2로 처리되지 않은 세포를 음성 대조군 웰에서 유지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5분 동안 인큐베이션한 다음, 반전시켜 완만하게 배지를 제거하였다. 1xPBS 50 μL를 모든 웰에 첨가하였다.
PARP 활성 결정: NAD+ 및 NADH의 개별 측정
이 프로토콜은 96-웰 백색 발광측정기 플레이트에서 웰당 PBS 50 μl 내의 세포를 검정하기 위한 것이다. 세포의 각 웰을 2종의 샘플로 분할하였다: 하나의 샘플은 산으로 처리하여 NAD+를 정량화하고, 다른 것은 염기로 처리하여 NADH를 정량화하였다. 세포를 플레이팅할 때, 플레이트 상의 웰을 샘플 분할을 위해 보존하였다. 대안적으로, 샘플을 분할할 때 제2 플레이트를 사용하였다.
1% DTAB를 갖는 염기 용액 50 μl를 PBS 50 μl 중 세포의 각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플레이트 진탕기 상에서 잠시 혼합하여 균질성 및 세포 용해를 보장하였다. 각 샘플 50 μl를 산 처리를 위해 빈 웰에 옮겼다. 이들 샘플에, 웰당 0.4 N HCl 25 μl를 첨가하였다; 이들 웰은 산-처리된 샘플을 함유하였다. 원래 샘플 웰은 염기-처리된 샘플이다. 플레이트를 덮고, 60℃에서 15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10분 동안 평형화시켰다. 0.5 M 트리즈마® 염기 25 μl를 산-처리된 세포의 각 웰에 첨가하여 산을 중화시켰다. HCl/트리즈마® 용액 50 μl를 염기-처리된 샘플을 함유하는 각 웰에 첨가하였다. NAD/NADH-Glo™ 검출 시약을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동등한 부피의 NAD/NADH-Glo™ 검출 시약 (예를 들어, 100 μl)을 각 웰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혼합되도록 완만하게 진탕시켰다. 플레이트를 실온에서 30-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발광을 발광측정기 (엔비전, 퍼킨엘머)를 사용함으로써 기록하였다. 발광 값을 수집하였다. 비-선형 회귀를 사용하여 용량 반응 곡선을 생성하고 IC50 값을 계산하였다.
하기 표는 PARP1-1 및 PARP-2 활성에 대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화합물의 억제 효과를 열거한다. 결과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PARP-2에 비해 PARP1-1을 선택적으로 억제하였고, 세포 내 NAD+의 양을 증가시키는 데 유용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Figure 112019076358104-pct00222
Figure 112019076358104-pct00223
Figure 112019076358104-pct00224
Figure 112019076358104-pct00225
Figure 112019076358104-pct00226
실시예 56 급성 신장 손상 (AKI) 래트 모델
동물, 수술 및 투여: 표준 먹이 및 물에 자유롭게 접근이 가능한, 대략 300-350g 무게의 스프라그-돌리 수컷 래트를 이들 실험에 사용하였다. 래트를 이소플루란으로 마취시키고 온도 제어된 가열된 수술 플랫폼 상에 복측으로 위치시켰다. 피부를 배측 표면 상에서 절개하여, 측복부 절개를 통해 양쪽 신장을 노출시켰다. 혈관 클립을 양쪽 신장 페디클에 적용하고 폐쇄를 45분 지속하였다. 45분 후, 클립을 제거하고, 신장을 성공적 재관류에 대해 모니터링하고, 수술 부위를 봉합하였다. 모의-수술군을 폐쇄 클램프를 적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유사한 외과적 절차에 적용하였다. 화합물을 N-메틸 피롤리돈: PEG300: 프로필렌 글리콜: 생리 염수 (10: 30: 20: 40) 중 실시예 29 및 실시예 30의 매일 신선한 투명 용액으로서 제제화하였다. 화합물 또는 비히클을 수술 당일 재관류 4시간 후에 꼬리 정맥을 통해 15 mg/kg (3mL/kg)으로 IV 투여하였다. (수술 후 날짜) 제1일에 동물에게 비히클 또는 15mg/kg의 실시예 29 또는 실시예 30 (3mL/kg I.V)을 광 주기의 시작 시에 투여하였다. 모의 수술 대조군 동물에게 비히클을 유사하게 투여하였다.
혈장 수집 및 바이오마커 측정: 재관류 이십사 (24) 시간 후에, 경도의 이소플루란 마취 하에 모든 군으로부터 안와후 채혈에 의해 K2 EDTA 튜브에 혈액을 수집하였다. 혈장을 4℃에서 10분 동안 3000 rpm에서 원심분리함으로써 분리하였다. 혈장 크레아티닌 및 혈액 우레아 질소 (BUN)를 완전 자동화 임상 생화학 분석기 (지멘스 디멘션(Siemens Dimension)® 엑스팬드(Xpand)® 플러스 인테그레이티드 케미스트리 시스템)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데이터 분석 및 통계적 분석: 그래프패드 프리즘 소프트웨어, 버전 6.05를 그래프화 및 통계적 검정에 사용하였다. 크레아티닌 및 BUN을 모든 군에서 디'아고스티노-피어슨 옴니버스 정규성 검정 또는 샤피로-윌크 정규성 검정을 통해 정규 분포에 대해 시험하였다. 통계적 유의성 (p<0.05)을 모의-비히클을 IR-비히클과 비교하거나 또는 IR-비히클을 화합물 처리군과 비교하는 스튜던트 t-검정에 의해 결정하였다. ##p<0.01, ###p<0.001, ####p<0.0001 모의 vs. IR 비히클; *p<0.05, **p<0.01 IR-비히클 vs. 화합물 처리군 (실시예 29 또는 실시예 30).
결과: 허혈-재관류 후 IV 투여된 PARP1-억제제 실시예 29 및 실시예 30은 신장 손상을 감소시켰다. 화합물 둘 다는 15mg/kg로 투여된 경우에 혈장 크레아티닌 및 BUN을 유의하게 감소시켰다 (도 1).
실시예 57 시험관내 및 생체내 소핵 검정
본 발명의 특정 화합물은 시험관내 및/또는 생체내 소핵 검정에서 어떠한 염색체이상유발 활성도 나타내지 않았다.

Claims (34)

  1.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 및 하기 구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폴리(ADP-리보스)폴리머라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 급성 신장 손상, 암, 화상, 또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로서,
    Figure 112023054943510-pct00227

    여기서:
    고리 A는 페닐 또는 5-6원 헤테로아릴이고, 각각 R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고리 B는 아릴, 5-6원 헤테로아릴 또는 5-6원 헤테로시클릴이며, 각각 R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는 부재하거나 또는 결합이고;
    "---- "가 부재하는 경우에 E는 N 또는 CH이거나 또는 "----"가 결합인 경우에 E는 C이고;
    Figure 112023054943510-pct00228
    는 (C1-C5)알킬 또는 히드록시 (C1-C5)알킬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NO2, -ORc, -NRaRb, -S(O)iRa, -NRaS(O)iRb, -S(O)iNRaRb, -C(=O)ORa, -OC(=O)ORa, -C(=S)ORa, -O(C=S)Ra, -C(=O)NRaRb, -NRaC(=O)Rb, -C(=S)NRaRb, -NRaC(=S)Rb, -NRa(C=O)ORb, -O(C=O)NRaRb, -NRa(C=S)ORb, -O(C=S)NRaRb, -NRa(C=O)NRaRb, -NRa(C=S)NRaRb, -C(=S)Ra, -C(=O)Rb, 할로(C1-C5)알킬 및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C1-C5)알킬은 -CN, -NO2, -ORc, -NRaRb, -S(O)iRa, -NRaS(O)iRb, -S(O)iNRaRb, -C(=O)ORa, -OC(=O)ORa, -C(=S)ORa, -O(C=S)Ra, -C(=O)NRaRb, -NRaC(=O)Rb, -C(=S)NRaRb, -NRaC(=S)Rb, -NRa(C=O)ORb, -O(C=O)NRaRb, -NRa(C=S)ORb, -O(C=S)NRaRb, -NRa(C=O)NRaRb, -NRa(C=S)NRaRb, -C(=S)Ra, 또는 -C(=O)Ra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NO2, -ORd, -S(O)iRe, -C(=NRe)NReRf, -NReS(O)iRf, -S(O)iNReRf, -C(=O)ORe, -OC(=O)ORe, -C(=S)ORe, -O(C=S)Re, -C(=O)NReRf, -NReC(=O)Rf, -C(=S)NReRf, -NReC(=S)Rf, -NRe(C=O)ORf, -O(C=O)NReRf, -NRe(C=S)ORf, -O(C=S)NReRf, -NRe(C=O)NReRf, -NRe(C=S)NReRf, -C(=S)Re, -C(=O)Re, 할로(C1-C5)알킬, 및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C1-C5)알킬은 -CN, -NO2, -ORe, -NReRf, -S(O)iRe, -NReS(O)iRf, -S(O)iNReRf, -C(=O)ORe, -OC(=O)ORe, -C(=S)ORe, -O(C=S)Re, -C(=O)NReRf, -NReC(=O)Rf, -C(=S)NReRf, -NReC(=S)Rf, -NRe(C=O)ORf, -O(C=O)NReRf, -NRe(C=S)ORf, -O(C=S)NReRf, -NRe(C=O)NReRf, -NRe(C=S)NReRf, -C(=S)Re, 또는 -C(=O)Re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a 및 각각의 Rb는 독립적으로 -H, 및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된 (C1-C5)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c는 -H, 할로(C1-C5)알킬 또는 (C1-C5)알킬이며, 여기서 (C1-C5)알킬은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되고;
    Rd는 -H, 할로(C1-C5)알킬 또는 (C1-C5)알킬이며, 여기서 (C1-C5)알킬은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e는 독립적으로 -H, 및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된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된 (C1-C5)알킬, (C1-C2)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C3-C6)시클로알킬, 및 (C1-C2)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4-6원 산소 함유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NReRf의 경우, Re 및 Rf는, 이들이 부착된 N과 함께, (C1-C2)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4-6원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또는
    -C(=NRe)NReRf의 경우, Re 및 Rf는, 이들이 부착된 원자들과 함께, Re로 임의로 치환된 4-6원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R5는 -H 또는 (C1-C5)알킬이고;
    i는 0, 1, 또는 2이며;
    여기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은 근육 구조 장애, 뉴런 활성화 장애, 근육 피로 장애, 근육 질량 장애, 베타 산화 질환, 대사 질환, 혈관 질환, 안구 혈관 질환, 안근육 질환, 또는 신질환이며,
    근육 구조 장애가 베스렘 근병증, 중심핵병, 선천성 섬유형 불균형, 원위 근육 이영양증 (MD), 뒤시엔느 & 베커 MD, 에머리-드레이푸스 MD, 안면견갑상완 MD, 유리질소체 근병증, 지대 MD, 근육 나트륨 채널 장애, 근긴장성 연골이영양증, 근긴장성 이영양증, 근세관성 근병증, 네말린체 질환, 안인두 MD, 및 복압성 요실금으로부터 선택되고;
    뉴런 활성화 장애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샤르코-마리-투스병, 길랑-바레 증후군, 램버트-이튼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신경 병변, 말초 신경병증, 척수성 근육 위축, 만기성 척골 신경 마비, 및 독성 근신경 장애로부터 선택되고;
    근육 피로 장애가 만성 피로 증후군, 당뇨병 (제I형 또는 제II형), 글리코겐 축적 질환, 섬유근육통, 프리드라이히 운동실조, 간헐성 파행, 지질 축적 근병증, MELAS, 뮤코폴리사카라이드증, 폼페병, 및 갑상선중독성 근병증으로부터 선택되고;
    근육 질량 장애가 악액질, 연골 퇴행, 뇌성 마비, 구획 증후군, 중대 질병 근병증, 봉입체 근염, 근육 위축 (불사용), 근육감소증, 스테로이드 근병증, 및 전신 홍반성 루푸스이고;
    베타 산화 질환이 전신 카르니틴 수송체, 카르니틴 팔미토일트랜스퍼라제 (CPT) II 결핍, 초장쇄 아실-CoA 데히드로게나제 (LCHAD 또는 VLCAD) 결핍, 삼중기능성 효소 결핍, 중쇄 아실-CoA 데히드로게나제 (MCAD) 결핍, 단쇄 아실-CoA 데히드로게나제 (SCAD) 결핍, 및 β-산화의 리보플라빈-반응성 장애 (RR -MADD)로부터 선택되고;
    대사 질환이 고지혈증, 이상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트리글리세리드혈증, HDL 저콜레스테롤혈증, LDL 고콜레스테롤혈증 및/또는 HLD 비-콜레스테롤혈증, VLDL 고단백혈증, 이상지단백혈증, 아포지단백질 A-I 저단백혈증, 아테롬성동맥경화증, 동맥 경화증 질환, 심혈관계 질환, 뇌혈관 질환, 말초 순환 질환, 대사 증후군, 증후군 X, 비만, 당뇨병 (제I형 또는 제II형), 고혈당증, 인슐린 저항성, 글루코스 내성 장애, 고인슐린증, 당뇨병성 합병증, 심기능부전, 심근경색, 심근병증, 고혈압,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NAFLD),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혈전증, 알츠하이머병, 신경변성 질환, 탈수초성 질환, 다발성 경화증, 부신 백질이영양증, 피부염, 건선, 여드름, 피부 노화, 털증, 염증, 관절염, 천식, 과민성 장 증후군,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및 췌장염으로부터 선택되고;
    혈관 질환이 말초 혈관 기능부전, 말초 혈관 질환, 간헐성 파행, 말초 혈관 질환 (PVD), 말초 동맥 질환 (PAD), 말초 동맥 폐쇄성 질환 (PAOD), 및 말초 폐쇄성 동맥병증으로부터 선택되고;
    안구 혈관 질환이 연령-관련 황반 변성 (AMD), 스타르가르트병, 고혈압성 망막병증, 당뇨병성 망막병증, 망막병증, 황반 변성, 망막 출혈, 및 녹내장으로부터 선택되고;
    안근육 질환이 사시, 진행성 외안근마비, 내사시, 외사시, 굴절 및 조절 장애, 원시, 근시, 난시, 부동시, 노안, 조절 장애, 및 내안근마비로부터 선택되고;
    신질환이 사구체신염, 사구체경화증, 신증후군, 고혈압성 신경화증, 급성 신염, 재발성 혈뇨, 지속성 혈뇨, 만성 신염, 급속 진행성 신염, 급성 신부전, 만성 신부전, 당뇨병성 신병증, 및 바터 증후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하기 구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거나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제약 조성물.
    Figure 112023054943510-pct00229

    여기서:
    고리 A는 페닐 또는 5-6원 헤테로아릴이고, 각각 R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고리 B는 아릴, 5-6원 헤테로아릴 또는 5-6원 헤테로시클릴이며, 각각 R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는 부재하거나 또는 결합이고;
    "---- "가 부재하는 경우에 E는 N 또는 CH이거나 또는 "----"가 결합인 경우에 E는 C이고;
    Figure 112023054943510-pct00230
    는 (C1-C5)알킬 또는 히드록시 (C1-C5)알킬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NO2, -ORd, -S(O)iRe, -C(=NRe)NReRf, -NReS(O)iRf, -S(O)iNReRf, -C(=O)ORe, -OC(=O)ORe, -C(=S)ORe, -O(C=S)Re, -C(=O)NReRf, -NReC(=O)Rf, -C(=S)NReRf, -NReC(=S)Rf, -NRe(C=O)ORf, -O(C=O)NReRf, -NRe(C=S)ORf, -O(C=S)NReRf, -NRe(C=O)NReRf, -NRe(C=S)NReRf, -C(=S)Re, -C(=O)Re, 할로(C1-C5)알킬 및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C1-C5)알킬은 -CN, -NO2, -ORe, -NReRf, -S(O)iRe, -NReS(O)iRf, -S(O)iNReRf, -C(=O)ORe, -OC(=O)ORe, -C(=S)ORe, -O(C=S)Re, -C(=O)NReRf, -NReC(=O)Rf, -C(=S)NReRf, -NReC(=S)Rf, -NRe(C=O)ORf, -O(C=O)NReRf, -NRe(C=S)ORf, -O(C=S)NReRf, -NRe(C=O)NReRf, -NRe(C=S)NReRf, -C(=S)Re, 또는 -C(=O)Re로 임의로 치환되고;
    Rd는 -H, 할로(C1-C5)알킬 또는 (C1-C5)알킬이며, 여기서 (C1-C5)알킬은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e는 독립적으로 -H, 및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된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H,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된 (C1-C5)알킬, (C1-C2)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C3-C6)시클로알킬, 및 (C1-C2)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4-6원 산소 함유 헤테로시클릴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NReRf의 경우, Re 및 Rf는, 이들이 부착된 N과 함께, (C1-C2)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4-6원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거나; 또는
    -C(=NRe)NReRf의 경우, Re 및 Rf는, 이들이 부착된 원자들과 함께, Re로 임의로 치환된 4-6원 헤테로시클릴을 형성하고;
    i는 0, 1, 또는 2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하기 구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거나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제약 조성물.
    Figure 112022120334573-pct00231

    여기서:
    고리 A는 페닐 또는 5-6원 헤테로아릴이고, 각각 R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고리 B는 아릴, 5-6원 헤테로아릴 또는 5-6원 헤테로시클릴이며, 각각 R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Figure 112022120334573-pct00232
    는 (C1-C5)알킬 또는 히드록시(C1-C5)알킬로 임의로 치환된다.
  4.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거나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제약 조성물.
    Figure 112022120334573-pct00233

    여기서:
    X1, X2, X3 및 X4는 각각 독립적으로 N 및 CH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단 X1, X2, X3 및 X4 중 2개 이하는 N이고;
    X5는 NR2, O, 또는 S이고;
    고리 B는 아릴, 5-6원 헤테로아릴 또는 5-6원 헤테로시클릴이며, 각각 R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Figure 112022120334573-pct00234
    는 (C1-C5)알킬 또는 히드록시(C1-C5)알킬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NO2, -ORc, -NRaRb, -S(O)iRa, -NRaS(O)iRb, -S(O)iNRaRb, -C(=O)ORa, -OC(=O)ORa, -C(=S)ORa, -O(C=S)Ra, -C(=O)NRaRb, -NRaC(=O)Rb, -C(=S)NRaRb, -NRaC(=S)Rb, -NRa(C=O)ORb, -O(C=O)NRaRb, -NRa(C=S)ORb, -O(C=S)NRaRb, -NRa(C=O)NRaRb, -NRa(C=S)NRaRb, -C(=S)Ra, -C(=O)Rb, 할로(C1-C5)알킬 및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 여기서 R1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C1-C5)알킬은 -CN, -NO2, -ORc, -NRaRb, -S(O)iRa, -NRaS(O)iRb, -S(O)iNRaRb, -C(=O)ORa, -OC(=O)ORa, -C(=S)ORa, -O(C=S)Ra, -C(=O)NRaRb, -NRaC(=O)Rb, -C(=S)NRaRb, -NRaC(=S)Rb, -NRa(C=O)ORb, -O(C=O)NRaRb, -NRa(C=S)ORb, -O(C=S)NRaRb, -NRa(C=O)NRaRb, -NRa(C=S)NRaRb, -C(=S)Ra, 또는 -C(=O)Ra로 임의로 치환되고;
    R2는 -H, C1-5 알킬, 페닐, -C(O)(C1-5 알킬), -C(O)(페닐), -C(O)O(C1-5 알킬), -C(O)O(페닐), -S(O)2(C1-5 알킬) 또는 -S(O)2(페닐)이며, 여기서 R2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기에서의 각각의 알킬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히드록시, 시아노, 페닐, 5-6원 헤테로아릴, (C1-C5) 알콕시, 및 할로(C1-C5)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여기서 R2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기에서의 각각의 페닐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히드록시, 니트로, 시아노, 아미노, (C1-C5)알킬, 할로(C1-C5)알킬, (C1-C5)알콕시 및 할로(C1-C5)알콕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각각의 Ra 및 각각의 Rb는 독립적으로 -H, 및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된 (C1-C5)알킬로부터 선택되고;
    Rc는 -H, 할로(C1-C5)알킬 또는 (C1-C5)알킬이며, 여기서 (C1-C5)알킬은 히드록실 또는 (C1-C3)알콕시로 임의로 치환되고;
    i는 0, 1, 또는 2이고;
    n은 0, 1 또는 2이다.
  5. 제4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하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구조 화학식에 의해 나타내어지거나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제약 조성물.
    Figure 112019076358104-pct00235

    여기서:
    고리 B는 아릴, 5-6원 헤테로아릴 또는 5-6원 헤테로시클릴이며, 각각 R3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1개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로 치환되고;
    Figure 112019076358104-pct00236
    는 (C1-C5)알킬 또는 히드록시(C1-C5)알킬로 임의로 치환된다.
  6. 제4항에 있어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1-C5)알킬, 할로(C1-C5)알킬, (C1-C5)알콕시, 할로(C1-C5)알콕시 또는 시아노이고;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C(=NRe)NHRf, -S(O)iNReRf, -C(=O)NReRf, -C(=S)NReRf, -O(C=O)NReRf, -O(C=S)NReRf, -NRe(C=O)NReRf, -NRe(C=S)NReRf, 및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또는 (C1-C5)알킬이고;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할로겐, -CN, -C(=O)NReRf, -C(=NRe)NHRf 및 (C1-C5)알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8. 제5항에 있어서,
    각각의 R1은 독립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 또는 메틸이고;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 -CN, -C(=NRe)NHRf, -C(=O)NReRf 및 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여기서 -C(=NRe)NHRf의 경우, Re 및 Rf는, 이들이 부착된 원자들과 함께, 4-6원 헤테로시클릴을 임의로 형성하고;
    Figure 112023054943510-pct00239
    기는 메틸 또는 히드록시메틸로 임의로 치환된 것인
    제약 조성물.
  9. 제7항에 있어서, 고리 B는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고;
    각각의 R4는 -H, (C1-C5)알킬, 또는 히드록시 (C1-C5)알킬이고;
    각각의 p는 독립적으로 0 또는 1이고;
    각각의 m은 0 또는 1, 또는 2인
    제약 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고리 B는 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각각의 Re 및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H 및 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e는 -H이고 Rf는 각각 (C1-C2) 알킬로 임의로 치환된 -(C3-C6)시클로알킬 또는 4-6원 산소 함유 헤테로시클릴인
    제약 조성물.
  12.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Re 및 각각의 Rf는 독립적으로 -H 및 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Re는 -H이고 Rf는 각각 메틸로 임의로 치환된 시클로프로필, 시클로부틸 또는 옥세타닐인
    제약 조성물.
  13. 제10항에 있어서,
    각각의 R3은 독립적으로 클로로, 플루오로, -CN, -C(O)NH(시클로프로필), -C(O)NH2, -C(O)NH(CH3), -C(O)N(CH3)2,
    Figure 112022120334573-pct00240
    , -C(O)NH(시클로부틸),
    Figure 112022120334573-pct00241
    , -C(=NH)NHCH3, 및 메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14. 제4항에 있어서, R2는 -H 또는 (C1-C5)알킬인, 제약 조성물.
  15. 제4항에 있어서, R2는 -H 또는 메틸인 제약 조성물.
  16.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6-[(3S)-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제약 조성물.
  17. 제1항에 있어서, 화합물이 6-[(3S)-4-[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제약 조성물.
  18. 하기 구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112022120334573-pct00242

    여기서:
    R1은 F 또는 메틸이고;
    R3은 -CN, -C(=NH)NHCH3,
    Figure 112022120334573-pct00243
    또는 메틸이다.
  19. 제18항에 있어서,
    R1은 F이고;
    R3은 -CN인
    화합물.
  20. 화합물로서, 6-[(3S)-4-[3-(6-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화합물.
  21. 화합물로서, 6-[(3S)-4-[3-(5-플루오로-4-옥소-3H-퀴나졸린-2-일)프로파노일]-3-메틸-피페라진-1-일]피리딘-3-카르보니트릴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인 화합물.
  22.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폴리(ADP-리보스)폴리머라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을 갖는 대상체를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로서,
    여기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은 근육 구조 장애, 뉴런 활성화 장애, 근육 피로 장애, 근육 질량 장애, 베타 산화 질환, 대사 질환, 혈관 질환, 안구 혈관 질환, 안근육 질환, 또는 신질환이며,
    근육 구조 장애가 베스렘 근병증, 중심핵병, 선천성 섬유형 불균형, 원위 근육 이영양증 (MD), 뒤시엔느 & 베커 MD, 에머리-드레이푸스 MD, 안면견갑상완 MD, 유리질소체 근병증, 지대 MD, 근육 나트륨 채널 장애, 근긴장성 연골이영양증, 근긴장성 이영양증, 근세관성 근병증, 네말린체 질환, 안인두 MD, 및 복압성 요실금으로부터 선택되고;
    뉴런 활성화 장애가 근위축성 측삭 경화증, 샤르코-마리-투스병, 길랑-바레 증후군, 램버트-이튼 증후군, 다발성 경화증, 중증 근무력증, 신경 병변, 말초 신경병증, 척수성 근육 위축, 만기성 척골 신경 마비, 및 독성 근신경 장애로부터 선택되고;
    근육 피로 장애가 만성 피로 증후군, 당뇨병 (제I형 또는 제II형), 글리코겐 축적 질환, 섬유근육통, 프리드라이히 운동실조, 간헐성 파행, 지질 축적 근병증, MELAS, 뮤코폴리사카라이드증, 폼페병, 및 갑상선중독성 근병증으로부터 선택되고;
    근육 질량 장애가 악액질, 연골 퇴행, 뇌성 마비, 구획 증후군, 중대 질병 근병증, 봉입체 근염, 근육 위축 (불사용), 근육감소증, 스테로이드 근병증, 및 전신 홍반성 루푸스이고;
    베타 산화 질환이 전신 카르니틴 수송체, 카르니틴 팔미토일트랜스퍼라제 (CPT) II 결핍, 초장쇄 아실-CoA 데히드로게나제 (LCHAD 또는 VLCAD) 결핍, 삼중기능성 효소 결핍, 중쇄 아실-CoA 데히드로게나제 (MCAD) 결핍, 단쇄 아실-CoA 데히드로게나제 (SCAD) 결핍, 및 β-산화의 리보플라빈-반응성 장애 (RR -MADD)로부터 선택되고;
    대사 질환이 고지혈증, 이상지혈증, 고콜레스테롤혈증, 고트리글리세리드혈증, HDL 저콜레스테롤혈증, LDL 고콜레스테롤혈증 및/또는 HLD 비-콜레스테롤혈증, VLDL 고단백혈증, 이상지단백혈증, 아포지단백질 A-I 저단백혈증, 아테롬성동맥경화증, 동맥 경화증 질환, 심혈관계 질환, 뇌혈관 질환, 말초 순환 질환, 대사 증후군, 증후군 X, 비만, 당뇨병 (제I형 또는 제II형), 고혈당증, 인슐린 저항성, 글루코스 내성 장애, 고인슐린증, 당뇨병성 합병증, 심기능부전, 심근경색, 심근병증, 고혈압,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NAFLD),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혈전증, 알츠하이머병, 신경변성 질환, 탈수초성 질환, 다발성 경화증, 부신 백질이영양증, 피부염, 건선, 여드름, 피부 노화, 털증, 염증, 관절염, 천식, 과민성 장 증후군, 궤양성 결장염, 크론병, 및 췌장염으로부터 선택되고;
    혈관 질환이 말초 혈관 기능부전, 말초 혈관 질환, 간헐성 파행, 말초 혈관 질환 (PVD), 말초 동맥 질환 (PAD), 말초 동맥 폐쇄성 질환 (PAOD), 및 말초 폐쇄성 동맥병증으로부터 선택되고;
    안구 혈관 질환이 연령-관련 황반 변성 (AMD), 스타르가르트병, 고혈압성 망막병증, 당뇨병성 망막병증, 망막병증, 황반 변성, 망막 출혈, 및 녹내장으로부터 선택되고;
    안근육 질환이 사시, 진행성 외안근마비, 내사시, 외사시, 굴절 및 조절 장애, 원시, 근시, 난시, 부동시, 노안, 조절 장애, 및 내안근마비로부터 선택되고;
    신질환이 사구체신염, 사구체경화증, 신증후군, 고혈압성 신경화증, 급성 신염, 재발성 혈뇨, 지속성 혈뇨, 만성 신염, 급속 진행성 신염, 급성 신부전, 만성 신부전, 당뇨병성 신병증, 및 바터 증후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23.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급성 신장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24.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급성 신장 손상을 치료하기 위한 것인, 제약 조성물.
  25.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암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26.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암을 치료하기 위한 것인, 제약 조성물.
  27. 제22항에 있어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이 유전성 지방이영양증,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NAFLD),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신장 허혈/재관류 손상 (IRI), 뒤시엔느 & 베커 근육 이영양증, 당뇨병 (제I형 또는 제II형), 비만, 및 근육감소증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28.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이 유전성 지방이영양증, 비-알콜성 지방간 질환 (NAFLD), 비-알콜성 지방간염 (NASH), 신장 허혈/재관류 손상 (IRI), 뒤시엔느 & 베커 근육 이영양증, 당뇨병 (제I형 또는 제II형), 비만, 및 근육감소증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29. 제22항에 있어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이 알퍼스병, CPEO-만성 진행성 외안근마비, 컨스-세이어 증후군 (KSS), 레베르 유전성 시신경병증 (LHON), MELAS-미토콘드리아 근병증, 뇌근병증, 락트산 산증, 및 졸중-유사 삽화, MERRF-근간대성 간질 및 불균일-적색 근섬유 질환, NARP-신경원성 근육 약화, 운동실조, 및 색소성 망막염, 피어슨 증후군, 백금-기반 화학요법 유발된 이독성, 코케인 증후군, 색소성 건피증 A, 왈러 변성, 및 HIV-유발된 지방이영양증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30.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PARP의 억제에 의해 호전될 수 있는 질환이 알퍼스병, CPEO-만성 진행성 외안근마비, 컨스-세이어 증후군 (KSS), 레베르 유전성 시신경병증 (LHON), MELAS-미토콘드리아 근병증, 뇌근병증, 락트산 산증, 및 졸중-유사 삽화, MERRF-근간대성 간질 및 불균일-적색 근섬유 질환, NARP-신경원성 근육 약화, 운동실조, 및 색소성 망막염, 피어슨 증후군, 백금-기반 화학요법 유발된 이독성, 코케인 증후군, 색소성 건피증 A, 왈러 변성, 및 HIV-유발된 지방이영양증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제약 조성물.
  31.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화상을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32.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상을 치료하기 위한 것인, 제약 조성물.
  33. 제18항 내지 제2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34. 제1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처를 치료하기 위한 것인, 제약 조성물.
KR1020197021891A 2016-12-30 2017-12-28 폴리-adp 리보스 폴리머라제 (parp) 억제제 KR1026067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440581P 2016-12-30 2016-12-30
US62/440,581 2016-12-30
PCT/US2017/068636 WO2018125961A1 (en) 2016-12-30 2017-12-28 Poly-adp ribose polymerase (parp) inhibi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8760A KR20190098760A (ko) 2019-08-22
KR102606799B1 true KR102606799B1 (ko) 2023-11-28

Family

ID=610078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1891A KR102606799B1 (ko) 2016-12-30 2017-12-28 폴리-adp 리보스 폴리머라제 (parp) 억제제

Country Status (32)

Country Link
US (1) US11034670B2 (ko)
EP (1) EP3562822B1 (ko)
JP (1) JP7141399B2 (ko)
KR (1) KR102606799B1 (ko)
CN (1) CN110167926B (ko)
AR (1) AR110706A1 (ko)
AU (1) AU2017388376B2 (ko)
BR (1) BR112019011676A2 (ko)
CA (1) CA3047137A1 (ko)
CO (1) CO2019007906A2 (ko)
CY (1) CY1124565T1 (ko)
DK (1) DK3562822T3 (ko)
EA (1) EA201991412A1 (ko)
ES (1) ES2875841T3 (ko)
HR (1) HRP20210887T1 (ko)
HU (1) HUE054382T2 (ko)
IL (1) IL267676B (ko)
JO (1) JOP20190115B1 (ko)
LT (1) LT3562822T (ko)
MA (1) MA47165B1 (ko)
MD (1) MD3562822T2 (ko)
MX (1) MX2019007870A (ko)
PH (1) PH12019501529A1 (ko)
PL (1) PL3562822T3 (ko)
PT (1) PT3562822T (ko)
RS (1) RS61895B1 (ko)
SA (1) SA519401894B1 (ko)
SI (1) SI3562822T1 (ko)
TW (1) TWI773718B (ko)
UA (1) UA124777C2 (ko)
WO (1) WO2018125961A1 (ko)
ZA (2) ZA20190400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292466A (en) * 2019-10-30 2022-06-01 Digmbio Inc Isoquinolone derivatives, a method for their preparation and pharmaceutical preparations containing them as an active ingredient for the cause or treatment of diseases related to poly(adp-ribose) polymerase 1
EP4373808A1 (en) * 2021-07-23 2024-05-29 Institut national de la santé et de la recherche médicale (INSERM) Gram-negative bacteria efflux pump inhibitors
CN113603630B (zh) * 2021-08-10 2023-06-27 苏州小栗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4-苯基哌啶盐酸盐的合成方法
WO2024061768A1 (en) 2022-09-19 2024-03-28 Basf Se Azole pesticidal compound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6022A1 (en) 2012-08-29 2014-03-06 Amgen Inc. Quinazolinone compounds and derivative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1070737A2 (en) 2000-03-20 2001-09-27 Sepracor, Inc. Therapeutic heterocyclic compounds for the treatment of asthma and allergy and use thereof
US20030087917A1 (en) 2000-03-27 2003-05-08 Dorothea Strack Use of dopamine-d3 receptor ligands for the treatment of disease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AUPR201600A0 (en) 2000-12-11 2001-01-11 Fujisawa Pharmaceutical Co., Ltd. Quinazolinone derivative
EP1217000A1 (en) 2000-12-23 2002-06-26 Aventis Pharma Deutschland GmbH Inhibitors of factor Xa and factor VIIa
JP4912145B2 (ja) 2004-02-26 2012-04-11 あすか製薬株式会社 ピリミジン誘導体
US8039674B2 (en) 2004-06-23 2011-10-18 Ono Pharmaceutical Co., Ltd. Compound having S1P receptor binding potency and use thereof
WO2006003146A1 (en) * 2004-06-30 2006-01-12 Janssen Pharmaceutica N.V. Quinazolinone derivatives as parp inhibitors
GB0419072D0 (en) 2004-08-26 2004-09-29 Kudos Pharm Ltd Phthalazinone derivatives
JP2009501235A (ja) 2005-07-15 2009-01-15 シェーリング コーポレイション 癌処置において有用なキナゾリン誘導体
EP1988077A4 (en) 2006-02-23 2009-09-02 Shionogi & Co NUCLEIC HETEROCYCLIC DERIVATIVES SUBSTITUTED BY CYCLIC GROUPS
EP2010505B1 (en) 2006-03-28 2012-12-05 Atir Holding S.A.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in the treatment of sexual disorders
EP2637669A4 (en) 2010-11-10 2014-04-02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their use
US9353067B2 (en) 2011-04-10 2016-05-31 Atir Holding S.A.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in the treatment of sexual disorders
CN102838600A (zh) 2011-06-24 2012-12-26 山东亨利医药科技有限责任公司 苯基喹唑啉类PI3Kδ抑制剂
RS56211B1 (sr) 2013-07-31 2017-11-30 Merck Patent Gmbh Oksohinazolinil-butanamid derivati
BR112016025396A2 (pt) 2014-05-07 2017-08-15 Merck Patent Gmbh derivados de heterociclil-butanamida
CN105924434A (zh) * 2015-02-28 2016-09-07 广东东阳光药业有限公司 取代的氨基嘧啶类化合物及其使用方法和用途
US11186564B2 (en) 2016-08-04 2021-11-30 Sunovion Pharmaceuticals Inc. Dual NAV1.2/5HT2a inhibitors for treating CNS disord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36022A1 (en) 2012-08-29 2014-03-06 Amgen Inc. Quinazolinone compounds and derivatives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0167926A (zh) 2019-08-23
JOP20190115B1 (ar) 2023-09-17
UA124777C2 (uk) 2021-11-17
SI3562822T1 (sl) 2021-08-31
JOP20190115A1 (ar) 2019-05-20
JP2020512298A (ja) 2020-04-23
DK3562822T3 (en) 2021-05-03
EP3562822A1 (en) 2019-11-06
RS61895B1 (sr) 2021-06-30
PT3562822T (pt) 2021-06-02
CO2019007906A2 (es) 2019-10-21
HRP20210887T1 (hr) 2021-07-23
US20200071299A1 (en) 2020-03-05
JP7141399B2 (ja) 2022-09-22
CY1124565T1 (el) 2022-07-22
ES2875841T3 (es) 2021-11-11
CA3047137A1 (en) 2018-07-05
MA47165A (fr) 2019-11-06
IL267676A (en) 2019-08-29
KR20190098760A (ko) 2019-08-22
AU2017388376B2 (en) 2022-01-06
BR112019011676A2 (pt) 2019-10-15
HUE054382T2 (hu) 2021-09-28
ZA202003310B (en) 2021-08-25
PH12019501529A1 (en) 2020-09-14
WO2018125961A1 (en) 2018-07-05
AU2017388376A1 (en) 2019-07-04
EA201991412A1 (ru) 2019-11-29
SA519401894B1 (ar) 2023-02-19
US20220033380A1 (en) 2022-02-03
CN110167926B (zh) 2022-09-13
TWI773718B (zh) 2022-08-11
MD3562822T2 (ro) 2021-07-31
TW201834657A (zh) 2018-10-01
MX2019007870A (es) 2019-08-16
US11034670B2 (en) 2021-06-15
IL267676B (en) 2021-09-30
LT3562822T (lt) 2021-06-10
ZA201904004B (en) 2022-12-21
EP3562822B1 (en) 2021-03-10
WO2018125961A8 (en) 2019-05-23
MA47165B1 (fr) 2021-06-30
AR110706A1 (es) 2019-04-24
PL3562822T3 (pl) 2021-09-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17238C2 (ru) Соединения 1-циано-пирролидинов в качестве ингибиторов USP30
AU2017226004B2 (en) Inhibitors of WDR5 protein-protein binding
JP6949952B2 (ja) スピロ環化合物
KR102606799B1 (ko) 폴리-adp 리보스 폴리머라제 (parp) 억제제
KR102376354B1 (ko) 6-(5-히드록시-1h-피라졸-1-일)니코틴아미드 유도체 및 phd의 저해제로서의 그의 용도
JP6001048B2 (ja) チアゾロピリミジン化合物
BR112016011024B1 (pt) Composto,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usos dos mesmos
BR112018003812B1 (pt) Compostos de heteroarila como inibidores de irak, seu uso, composição farmacêutica, e kit
BR112020005934A2 (pt) inibidor de pde9 e uso do mesmo
WO2021207186A1 (en) Cd38 inhibitors
CN117957219A (zh) 一种吡啶类衍生物及其用途
US11993585B2 (en) Poly-ADP ribose polymerase (PARP) inhibitors
EA040674B1 (ru) Ингибиторы поли(адф-рибоза)полимеразы (parp)
NZ754385A (en) Poly-adp ribose polymerase (parp) inhibitors
KR20240069725A (ko) 피리딘 유도체 및 이의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