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96490B1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96490B1
KR102596490B1 KR1020180141966A KR20180141966A KR102596490B1 KR 102596490 B1 KR102596490 B1 KR 102596490B1 KR 1020180141966 A KR1020180141966 A KR 1020180141966A KR 20180141966 A KR20180141966 A KR 20180141966A KR 102596490 B1 KR102596490 B1 KR 1025964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guide
base
frame
conta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41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7486A (ko
Inventor
진종만
이종혁
최은수
최미나
Original Assignee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비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419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6490B1/ko
Priority to US16/679,857 priority patent/US11122201B2/en
Priority to CN201911126656.7A priority patent/CN111200703B/zh
Publication of KR202000574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748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64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64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90Arrangement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e.g. multiple cameras in TV studios or sports stadiu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Accessories Of Camera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촬영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촬영부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에 결합되며 이미지를 획득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회전가능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가능하고, 상기 프레임부에 접촉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 시 회전 중심축의 이동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촬상 장치{Photographing apparatu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촬영 모드의 변경이 가능하고 모드 변경 시 위치 재현성 및 스티칭(stitching)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감시카메라는 일정지역에 설치되어 전방 또는 후방을 각각 또는 일시에 감시하기 위하여 카메라 렌즈를 적어도 하나 이상 배치하여 사용하게된다. 복수 개의 카메라 렌즈를 사용하는 경우 각각의 렌즈로부터 촬영된 영상은 통상적인 신호변환기와 영상편집기를 통해 모니터에 각각 또는 파노라마 영상을 출력하여 감시활동을 수행하게 된다.
종래 단일의 촬상 장치에 카메라 렌즈가 복수 개 설치되는 경우 렌즈의 화면 비율이 4:3 또는 16:9일 경우라도, 렌즈가 고정되어 있어서 가로 방향 영상 또는 세로 방향 영상 중 하나의 영상만 볼 수 있어 촬상 장치가 설치되는 영역에서 목적에 따라 선택적으로 가로 폭 또는 세로 폭으로 넓은 영역 감시를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11570호(2007.04.19 등록, 발명의 명칭: 파노라마 감시카메라용 렌즈 조정 브래킷)에는 파노라마 감시카메라가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가이드부가 베이스부의 회전 시 회전 중심축의 이동을 방지함으로 인하여 촬영 모드 변경 시 위치 재현성 및 스티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러나 이러한 과제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촬영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촬영부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에 결합되며 이미지를 획득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회전가능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가능하고, 상기 프레임부에 접촉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 시 회전 중심축의 이동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되는 각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 및 상기 렌즈부가 함께 회전되며 촬영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중심축을 공유하며,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는 가이드본체; 및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에 돌출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와 접촉되는 가이드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본체와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접촉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베이스부가 연결되는 가이드부가 프레임부에 접촉됨으로 인하여 베이스부의 회전 시 회전 중심축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탄성부재로 인하여 촬영 모드 변경 시 베이스부의 위치를 고정시켜 위치 재현성 및 스티칭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지지부재로 인하여 베이스부와 프레임부 간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의 위치 편차가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고, 베이스부 및 이와 연결되는 렌즈부, 센서부, 가이드부의 회전을 지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 및 촬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부분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9a 및 도 9b는 촬영 모드에 따른 이미지 획득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촬상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 및 촬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6은 도 2의 A부분을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가 회전되는 상태를 도시한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는 프레임부(100), 촬영부(200), 탄성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100)는 뒤에 설명할 복수 개의 촬영부(200)가 설치되는 것으로, 상하좌우(도 1 기준) 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케이스(5)의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프레임부(100)가 케이스(5)의 내부에서 회전 또는 이동됨에 따라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는 촬영부(200)가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체를 향하도록 하여 대상체를 촬영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에서는 프레임부(100)에 4개의 촬영부(200)가 설치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프레임부(100)에 적어도 하나의 촬영부(200)가 설치되는 등 촬상 장치(1)의 목적에 따라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2,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100)의 일면 상에는 프레임스토퍼(101)가 외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스토퍼(101)는 뒤에 설명할 베이스부(230)에 형성되는 베이스스토퍼(231)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센서부(220), 렌즈부(210)와 결합되는 베이스부(230)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프레임부(100) 상에서 회전할 때 베이스스토퍼(231)의 이동 경로 상에 배치되는 프레임스토퍼(101)와 접촉되고, 베이스부(230) 및 이와 결합되어 함께 이동하는 센서부(220), 렌즈부(210)가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만 회전되도록 한다.
프레임스토퍼(101)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뒤에 설명할 베이스부(23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 구체적으로 90도로 회전 시 베이스부(230)의 양 목표 지점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도 3,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부(100)에는 베이스부(230)의 회전 중심축과 동심을 이루는 프레임홈부(103)가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홈부(103)는 하측에서 상측 방향(도 6 기준)으로 홈부의 형상으로 형성되며, 뒤에 설명할 가이드부(240)에 형성되는 가이드웰부(243)와 접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가이드웰부(243)의 외경은 프레임홈부(103)의 내경보다 상대적으로 작게 형성되며, 가이드웰부(243)의 외주면과 프레임홈부(103)의 내주면은 서로 면접촉된다.
이로 인하여 가이드부(240)가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 구체적으로 90도만큼 회전 시 가이드부(240)의 회전 중심축이 기울어지지 않고, 다시 말하여 가이드부(240)에 연결되는 베이스부(230)가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회전 중심축이 회전되지 않고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프레임부(100)의 하면(도 6 기준)에는 뒤에 설명할 가이드부(240), 구체적으로 가이드본체(241)와 결합되는 가이드접촉부(245)가 접촉된다. 가이드접촉부(245)는 복수 개가 구비되며 가이드본체(241)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둘레를 따라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3, 도 6을 참조하면, 베이스부(230)가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프레임부(100) 상에서 회전 시 베이스부(230)와 연결되는 가이드부(240), 구체적으로 가이드본체(241)에 형성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접촉부(245)가 프레임부(100)의 하면에 접촉(도 6 기준)됨으로 인하여, 베이스부(230)의 회전 시, 베이스부(230) 및 이와 결합되는 센서부(220), 렌즈부(210)의 회전 중심이 유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200)는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는 것으로, 커버부(205), 렌즈부(210), 센서부(220), 베이스부(230), 가이드부(240), 지지부재(2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촬영부(200)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본 명세서에서는 4개(200A, 200B, 200C, 200D)가 구비되어 프레임부(100)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1개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5개가 설치될 수 있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205)는 렌즈부(210)와 결합되는 것으로, 렌즈부(210)의 외관을 보호하고, 외부로부터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렌즈부(210)는 커버부(205) 및 베이스부(230)에 결합되는 것으로, 촬영하고자 하는 대상체로부터 오는 빛을 모으거나, 발산시켜 광학적 상을 맺게 한다. 렌즈부(210)의 내부에는 센서부(220)가 설치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220)는 렌즈부(210)와 베이스부(230)에 각각 결합되는 것으로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220)는 장측부(221) 및 장측부(221)보다 상대적으로 짧게 형성되는 단측부(223)로 형성되고, 일반적으로 1:1 비율이 아닌 4:3, 16:9 비율로 형성될 수 있다.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촬영 목적 및 대상에 따라 가로 모드/세로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가로 모드에서는 제1촬영부(200A)에 의해 제1가로 영역(W1), 제2촬영부(200B)에 의해 제2가로 영역(W2), 제3촬영부(200C)에 의해 제3가로 영역(W3), 제4촬영부(200D)에 의해 제4가로 영역(W4)이 촬영된다.
세로 모드에서는 제1촬영부(200A)에 의해 제1세로 영역(H1), 제2촬영부 (200B)에 의해 제2세로 영역(H2), 제3촬영부(200C)에 의해 제3세로 영역(H3), 제4촬영부(200D)에 의해 제4세로 영역(H4)이 촬영된다.
도 9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에서 가로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장측부(221)는 촬영 이미지 상에서 가로(도 9a 기준 좌우 방향)로 배치되고, 단측부(223)는 촬영 이미지 상에서 세로(도 9a 기준 상하 방향)로 배치되며, 세로 모드에 비해 좌우 방향(도 9a 기준)으로 넓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에서 세로 모드로 설정하는 경우 장측부(221)는 촬영 이미지 상에서 세로(도 9b 기준 상하 방향)로 배치되고, 단측부(223)는 촬영 이미지 상에서 가로(도 9b 기준 좌우 방향)로 배치되며, 가로 모드에 비해 상하 방향(도 9b 기준)으로 넓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다.
센서부(220)는 CCD(Charge coupled device) 등의 촬상 소자(미도시)가 배치되어 대상체인 피사체를 촬영하거나 감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는 돔형 감시 카메라이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돔형 카메라가 아닌 다른 형식의 카메라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230)는 센서부(220)에 결합되는 것으로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프레임부(100)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프레임부(100) 또는 베이스부(230)에는 구동부(도면 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으며, 베이스부(230)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은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프레임부(100) 상에서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230)는 센서부(220), 렌즈부(210), 커버부(205)와 함께 결합되고, 베이스부(230)가 전원을 공급받아 회전됨에 따라 센서부(220), 렌즈부(210), 커버부(205)도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베이스부(23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미리 설정된 각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90도로 설정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45도, 135도 등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230)는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되는 각도 내에서 회전 중심축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도 9a 기준)으로 회전이 가능하며, 베이스부(230)가 프레임부(100) 상에서 회전됨에 따라 센서부(220) 및 렌즈부(210)가 함께 회전되며 가로 모드 또는 세로 모드로 촬영 모드가 변경될 수 있다.
도 2,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부(230)의 일면에는 베이스스토퍼(231)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스토퍼(231)는 베이스부(230)가 회전됨에 따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미리 설정되는 각도만큼 회전된다.
베이스스토퍼(231)가 회전되면서, 베이스스토퍼(231)의 회전 경로 상에 배치되는 프레임스토퍼(101)와 접촉되며, 프레임스토퍼(101)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각도를 초과하여 베이스부(2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40)는 베이스부(230)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이 가능한 것으로, 프레임부(100)에 접촉되어 베이스부(230)의 회전 시 베이스부(230)의 회전 중심축의 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240)는 가이드본체(241), 가이드접촉부(245), 가이드리브부(24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 도 4,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본체(241)는 베이스부(230)에 연결되는 것으로, 베이스부(230)와 맞물려 함께 회전가능하다. 가이드본체(241)는 베이스부(230)와 회전 중심축을 공유하며 베이스부(230)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4,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부(240)의 일측에는 걸림부(242)가 형성될 수 있고, 뒤에 설명할 탄성부재(300)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걸림부(242)가 한 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복수 개가 가이드본체(241) 상에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탄성부재(300)가 연결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본체(241)에는 둘레를 따라 가이드웰부(243)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웰부(243)는 가이드본체(241) 상에서 상측(도 6 기준)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으며, 상하부(도 6 기준)가 개방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웰부(243)의 외면은 프레임부(100)에 형성되는 프레임홈부(103)의 내면과 가이드웰부(243)의 둘레를 따라 접촉될 수 있다.
이로 인하여 베이스부(230)가 회전됨에 따라 가이드부(240)도 회전함에 있어 가이드웰부(243)로 인하여 가이드부(240)의 회전 중심축, 가이드부(240)와 연결되는 베이스부(230)의 회전 중심축이 미리 설정되는 각도만큼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 시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가이드웰부(243)가 가이드본체(241)의 둘레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미리 설정되는 구간에서는 개방되도록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4,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접촉부(245)는 가이드본체(241)와 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본체(241)의 외주면에 중심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돌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접촉부(245)는 가이드본체(241)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고, 별물로 형성되어 결합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가이드접촉부(245)는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고, 복수 개의 가이드접촉부(245)는 가이드본체(241)의 외주면 둘레를 따라 등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접촉부(245)는 접촉본체(246)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본체(246)는 가이드본체(241)에 결합되는 것으로, 가이드본체(241)의 외주면에, 구체적으로 가이드본체(241)의 중심으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접촉돌기부(247)는 접촉본체(246) 상에서 형성되는 것으로, 도 6을 기준으로 하측에서 상측(도 6 기준) 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접촉돌기부(247)는 접촉본체(246)와 직교를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접촉돌기부(247)는 프레임부(100)의 일면(도 6 기준 하면)에 접촉된다. 가이드접촉부(245), 구체적으로 접촉본체(246)가 복수 개 구비되고, 접촉본체(246)가 복수 개 구비됨에 따라 이에 대응되는 접촉돌기부(247)도 각각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균일하게 배치되는 복수 개의 가이드접촉부(245), 구체적으로 접촉돌기부(247)가 프레임부(100)의 각각 접촉(점 접촉 또는 면 접촉)됨으로 인하여, 베이스부(230)와 결합되는 센서부(220), 렌즈부(210), 커버부(205) 등이 베이스부(23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 시 베이스부(230)의 회전 중심축이 일정하게 유지되고,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리브부(248)는 가이드본체(241) 및 가이드접촉부(245)와 모두 접촉되는 것으로, 가이드본체(241)와 가이드접촉부(245)의 연결 부분에 설치되어 가이드본체(241)와 가이드접촉부(245) 간 결합력을 향상시키고, 강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가이드리브부(248)는 별물로 형성되어 가이드본체(241) 및 가이드접촉부(245)에 결합되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가이드본체(241), 가이드접촉부(245)와 일체로 형성되어 가이드접촉부(245)와 가이드본체(241)의 연결 부분에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50)는 가이드본체(241)와 프레임부(100) 사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가이드본체(241)와 프레임부(100)에 각각 접촉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재(250)는 베이스부(230)와 맞물리도록 프레임부(100)에 형성되는 프레임홈부(103)에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지부재(250)는 볼 베어링(ball bearing)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웨이브 와셔(wave washer)(도면 미도시) 방식의 판 스프링 구조로 형성되는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하다.
지지부재(250)로 인하여 프레임부(100)에 설치되는 베이스부(230)가 회전됨에 따라 발생되는 회전 중심축 방향으로의 프레임부(100)와 베이스부(230) 간 위치 편차, 즉 높이 편차, 회전 중심축의 편심, 뒤틀림 등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3 내지 도 5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30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으로, 프레임부(100)와 가이드부(240)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탄성부재(300)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핀 스프링 등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3,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성부재(300)의 일측은 프레임부(100)에서 미리 설정되는 지점에 위치 고정되고, 탄성부재(300)의 타측은 가이드부(240)의 미리 설정되는 부분, 구체적으로 가이드본체(241)에 형성되는 걸림부(242)에 위치 고정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230)가 미리 설정되는 각도만큼 회전됨에 따라 이에 연결되는 가이드부(240), 구체적으로 가이드본체(241)가 회전된다. 이 경우 가이드본체(241)의 회전 반경의 중심에 해당하는 프레임부(100) 상의 미리 설정된 지점에 탄성부재(300)의 일측이 고정되고, 타측이 가이드본체(241)에 형성되는 걸림부(242)에 위치 고정된다.
이로 인하여 베이스부(230)의 회전 반경의 양 단부, 즉 베이스스토퍼(231)와 프레임스토퍼(101)가 접촉되는 복수 개의 지점에 대응되는 가이드본체(241)의 회전 반경의 양 단부에서 탄성부재(300)의 탄성복원력에 의해 베이스부(230) 및 이와 연결되는 가이드본체(241)의 위치가 고정되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베이스부(230) 및 이와 연결되는 가이드본체(241)의 회전 반경의 양 단부에 대응되는 촬영 모드, 구체적으로 가로 모드, 세로 모드의 반복되는 변경 시 정확한 위치에 고정되며 위치 재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하여 세로 모드에서 가로 모드로 변경 시 중첩되는 영상, 구체적으로 제1촬영부(200A), 제2촬영부(200B)의 중첩 영역인 제1중첩 영역(O1), 제2촬영부(200B), 제3촬영부(200C)의 중첩 영역인 제2중첩 영역(O2), 제3촬영부(200C), 제4촬영부(200D)의 중첩 영역인 제3중첩 영역(O3)을 일치시키는 스티칭 성능 및 품질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9a 및 도 9b는 촬영 모드에 따른 이미지 획득 영역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9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는 프레임부(100), 촬영부(200), 탄성부재(300)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부(100), 촬영부(200), 탄성부재(300)는 케이스(5)의 내부에 설치되며, 베이스부(230)는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프레임부(100) 상에서 회전이 가능하다.
도 9a, 도 9b를 참조하면, 사용자는 촬상 장치(1)로 대상체를 촬영하는 목적에 따라 가로(도 9a 기준)가 세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길게 형성되는 가로 모드, 가로(9b 기준)가 세로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짧게 형성되는 세로 모드로 촬영 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부(도면 미도시)에서 베이스부(230)와 연결되는 구동부(도면 미도시)로 전기적 신호를 전달하고, 구동부는 베이스부(230)에 동력을 전달하여 베이스부(23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 도 5를 참조하면, 베이스부(230)는 렌즈부(210), 센서부(220), 가이드부(240)와 결합되며, 구동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미리 설정된 각도만큼 회전된다.
도 8a, 도 8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230), 렌즈부(210), 커버부(205), 센서부(220)가 설치되는 프레임부(100) 상의 일면에 대향되는 타면을 도시한 것으로, 베이스부(230)에 연결되고 베이스부(230)가 회전됨에 따라 함께 회전되는 가이드부(240)가 도시되어 있다.
가이드부(240)는 베이스부(230)와 회전 중심축을 공유하며, 서로 연결되어 베이스부(230)가 회전되면 가이드부(240)도 함께 프레임부(100) 상에서 회전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베이스부(230) 및 이와 연결되는 가이드부(240)는 프레임부(100) 상에서 가로 모드(또는 세로 모드)에 해당되는 위치에 있고, 도 8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230) 및 이와 연결되는 가이드부(240)가 회전됨에 따라 프레임부(100) 상에서 세로 모드(또는 가로 모드)에 해당하는 위치에 있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도 3,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베이스부(230) 및 이와 연결되는 렌즈부(210), 센서부(220), 가이드부(240)는 미리 설정되는 각도, 구체적으로 프레임스토퍼(101)와 베이스스토퍼(231)가 접촉되는 위치(도 3 기준)까지 90도 회전되고, 탄성부재(300)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하여 베이스부(230) 및 이와 연결되는 가이드부(240)의 위치가 변동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에 더하여 반복되는 가로 모드, 세로 모드인 촬영 모드의 변경에 따른 위치 재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고, 위치 재현성이 향상됨으로 인하여 특히 가로 모드에서 각 센서부(220)가 획득하는 이미지 간 중첩되는 부분을 일치시키는 스티칭 작업의 효율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6, 도 7을 참조하면, 가이드부(240), 구체적으로 가이드본체(241)에 형성되는 가이드웰부(243)의 외주면이 프레임홈부(103)의 내주면과 접촉됨으로 인하여 베이스부(230)의 회전 시 회전 중심축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적어도 하나 이상의 가이드접촉부(245), 구체적으로 접촉돌기부(247)가 프레임부(100)의 일면(도 6 기준 하면)에 접촉(면 접촉 또는 점 접촉)되고, 복수 개가 구비되는 경우 균일하게 프레임부(100)에 접촉됨으로 인하여 베이스부(230) 및 이와 연결되는 가이드부(240)의 회전 시 베이스부(230) 및 이와 결합되는 렌즈부(210), 센서부(220) 등의 회전 중심축이 뒤틀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하여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간 반복되는 모드 변경 시 위치 재현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가로 모드와 세로 모드의 각 위치에서 탄성부재(300)의 탄성복원력으로 인한 위치 고정성 향상으로 겹치는 영상 부분을 일치시키는 스티칭 작업 성능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지지부재(250)로 인하여 베이스부(230)와 프레임부(100) 사이의 높이 편차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고, 베이스부(230) 및 이와 연결되는 렌즈부(210), 센서부(220), 가이드부(240)의 회전을 지지하고, 베이스부(230) 등의 회전 중심축의 편심, 뒤틀림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촬상 장치 5: 케이스
100: 프레임부 101: 프레임스토퍼
103: 프레임홈부 200: 촬영부
205: 커버부 210: 렌즈부
220: 센서부 221: 장측부
223: 단측부 230: 베이스부
231: 베이스스토퍼 240: 가이드부
241: 가이드본체 242: 걸림부
243: 가이드웰부 245: 가이드접촉부
246: 접촉본체 247: 접촉돌기부
248: 가이드리브부 250: 지지부재
300: 탄성부재

Claims (6)

  1. 프레임부;
    상기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촬영부;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촬영부는, 렌즈부와; 상기 렌즈부에 결합되며 이미지를 획득하는 센서부와; 상기 센서부에 결합되고 외부에서 전원을 공급받아 상기 프레임부 상에서 회전가능한 베이스부와;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어 함께 회전가능하고, 상기 프레임부에 접촉되어 상기 베이스부의 회전 시 회전 중심축의 이동을 방지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와 회전 중심축을 공유하며, 상기 베이스부와 연결되며 상기 베이스와 평행하게 배치되는 가이드본체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회전 중심축을 기준으로 미리 설정되는 각도 내에서 회전이 가능하며, 상기 베이스부가 회전됨에 따라 상기 센서부 및 상기 렌즈부가 함께 회전되며 촬영 모드가 변경되는, 촬상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탄성 재질로 형성되며, 상기 프레임부와 상기 가이드부에 각각 결합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는 코일 스프링으로 형성되는, 촬상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외측면에 돌출 결합되며 상기 프레임부와 접촉되는 가이드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본체와 상기 프레임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가이드본체와 상기 프레임부에 각각 접촉되는 지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촬상 장치.
KR1020180141966A 2018-11-16 2018-11-16 촬상 장치 KR102596490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966A KR102596490B1 (ko) 2018-11-16 2018-11-16 촬상 장치
US16/679,857 US11122201B2 (en) 2018-11-16 2019-11-11 Imaging apparatus
CN201911126656.7A CN111200703B (zh) 2018-11-16 2019-11-18 成像设备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41966A KR102596490B1 (ko) 2018-11-16 2018-11-16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7486A KR20200057486A (ko) 2020-05-26
KR102596490B1 true KR102596490B1 (ko) 2023-10-31

Family

ID=707266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41966A KR102596490B1 (ko) 2018-11-16 2018-11-16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122201B2 (ko)
KR (1) KR102596490B1 (ko)
CN (1) CN111200703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1876B1 (ko) * 2018-11-09 2024-01-05 한화비전 주식회사 촬상 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570B1 (ko) * 2006-11-20 2007-04-27 에치디프로 주식회사 파노라마 감시카메라용 렌즈 조정 브래킷
KR100724164B1 (ko) * 2006-04-18 2007-05-31 김배훈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 모듈
JP4052547B2 (ja) * 2001-09-05 2008-02-27 三菱化学株式会社 複数の1次元ccdカメラの姿勢および位置の調整方法
KR101125374B1 (ko) * 2009-06-17 2012-03-27 이종목 개별 제어가 가능한 멀티형 감시 카메라
JP2014082768A (ja) * 2013-11-27 2014-05-08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6090626A (ja) * 2014-10-30 2016-05-23 カムイ・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マルチカメラのセンサー回転機構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21784A (ja) * 1999-10-29 2001-05-08 Canon Inc 記録装置
JP2004104652A (ja) * 2002-09-12 2004-04-02 Minolta Co Ltd 撮像装置
JP2006119261A (ja) * 2004-10-20 2006-05-11 Sony Corp 撮像装置
KR100630040B1 (ko) * 2004-11-03 2006-09-27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 렌즈 어셈블리의 손떨림 보정 장치
JP4424424B2 (ja) * 2008-01-31 2010-03-03 ソニー株式会社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2011150755A (ja) * 2010-01-22 2011-08-04 Sanyo Electric Co Ltd 光ピックアップ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KR101792328B1 (ko) * 2014-11-28 2017-11-02 삼성전기주식회사 카메라 모듈
WO2016109572A1 (en) * 2014-12-29 2016-07-07 Avigilon Corporation Multi-headed adjustable camera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2547B2 (ja) * 2001-09-05 2008-02-27 三菱化学株式会社 複数の1次元ccdカメラの姿勢および位置の調整方法
KR100724164B1 (ko) * 2006-04-18 2007-05-31 김배훈 회전형 카메라가 장착된 카메라 모듈
KR100711570B1 (ko) * 2006-11-20 2007-04-27 에치디프로 주식회사 파노라마 감시카메라용 렌즈 조정 브래킷
KR101125374B1 (ko) * 2009-06-17 2012-03-27 이종목 개별 제어가 가능한 멀티형 감시 카메라
JP2014082768A (ja) * 2013-11-27 2014-05-08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6090626A (ja) * 2014-10-30 2016-05-23 カムイ・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マルチカメラのセンサー回転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62672A1 (en) 2020-05-21
CN111200703B (zh) 2023-05-19
CN111200703A (zh) 2020-05-26
KR20200057486A (ko) 2020-05-26
US11122201B2 (en) 2021-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7622B2 (en) Camera assembly and method of installing the same
US8992103B2 (en) Dome camera
JP4515106B2 (ja) ドーム型カメラ
US7129460B1 (en) Electronic imaging apparatus with high resolution and wide field of view and method
KR101722621B1 (ko) 회전식 거치대
JP5650141B2 (ja) カメラの調整方法
KR102596490B1 (ko) 촬상 장치
KR102065761B1 (ko) 드론을 이용하여 피사체 정보의 오류를 보정할 수 있는 영상처리시스템
TWI679485B (zh) 帶抖動修正功能的光學單元
US10345691B2 (en) Lens driving mechanism and related camera device
EP3114518B1 (en) Camera and lens module
JP2011221506A (ja) 撮像装置
JP4438398B2 (ja) 監視カメラ装置の光軸回転構造
US20180288322A1 (en) Image-capturing apparatus and image-capturing control method
JP2021170749A (ja) 撮像装置
JP2019020536A (ja) 撮像装置
US9565781B2 (en) Holding apparatus that holds electronic apparatus
JP4761098B2 (ja) 光学装置
KR102141863B1 (ko) 캠 거치구조
JP2013125229A (ja) レンズ鏡筒および撮像装置
JP3894451B2 (ja) 監視カメラ装置
JPH08159381A (ja) 指向方向旋回装置
US11843864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JP5870491B2 (ja) 撮像装置
KR200488981Y1 (ko) 회전각도가 미세하게 조절되는 지그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