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21876B1 - 촬상 장치 - Google Patents

촬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21876B1
KR102621876B1 KR1020180137607A KR20180137607A KR102621876B1 KR 102621876 B1 KR102621876 B1 KR 102621876B1 KR 1020180137607 A KR1020180137607 A KR 1020180137607A KR 20180137607 A KR20180137607 A KR 20180137607A KR 102621876 B1 KR102621876 B1 KR 1026218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or modules
sensor
imaging
length
modu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76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4005A (ko
Inventor
이종혁
이종경
고도원
정중균
Original Assignee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화비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화비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76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21876B1/ko
Priority to US16/678,281 priority patent/US11290630B2/en
Publication of KR20200054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4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218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218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1Hous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8Means for changing the camera field of view without moving the camera body, e.g. nutating or panning of optics or image sen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Remote control of cameras or camera parts, e.g. by remote contro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67Camera operation mode switching, e.g. between still and video, sport and normal or high- and low-resolution m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5Control of camera direction for changing a field of view, e.g. pan, tilt or based on tracking of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70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 H04N23/73Circuitry for compensating brightness variation in the scene by influencing the exposure ti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04Synchronis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24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for obtaining an image which is composed of whole input images, e.g. splitscree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 Camera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 모듈들의 센서 회전 방향에 따라 복수 화각의 연결 영상을 생성하는 촬상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이 광축을 유지하면서 센서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을 마운트 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마운트되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 및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연결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촬상 장치{APPARATUS FOR CAPTURING IMAGES}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촬상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의 센서 회전 방향에 따라 복수 화각의 연결 영상을 생성하는 촬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감시카메라와 같은 촬상 장치가 도처에 설치되고 있으며, 설치되는 촬상 장치의 구성과 형태는 날로 다양해 지고 있다.
특히 한 대의 촬상 장치가 여러 대의 촬상 장치의 역할을 하거나, 보다 넓은 화각의 영상을 획득하기 위하여 복수개의 센서 모듈일 탑재된 촬상 장치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촬상 장치의 효율적인 운용 방법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본 발명은 촬상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획득한 부분 영상을 병합하여 연결 영상을 생성함에 있어서, 보다 자연스러운 연결 영상을 생성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복수 화각의 연결 영상을 제공하는 촬상 장치를 구현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 모듈들의 센서 회전 방향에 따라 복수 화각의 연결 영상을 생성하는 촬상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이 광축을 유지하면서 센서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을 마운트 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마운트되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 및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연결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 각각에 포함되는 센서는 제1 길이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에 의해 정의되는 직사각형의 촬상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은 상기 제1 길이의 픽셀 열(Pixel Row)단위로, 상기 센서의 촬상 영역을 상기 제2 길이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노출시켜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인접하는 센서 모듈의 촬상 영역 간에 상기 제1 길이의 모서리가 근접하도록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촬상 모드에서, 상기 인접하는 센서 모듈들의 촬상 영역 상의 노출 영역은 서로 멀어지거나 또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인접하는 센서 모듈의 촬상 영역 간에 상기 제2 길이의 모서리가 근접하도록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2 촬상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의 촬상 영역 상의 노출 영역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을 상기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엑츄에이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엑츄에이터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1 촬상 모드 및 제2 촬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결정하고, 결정된 촬상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을 회전시킬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촬상 장치에 포함되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획득한 부분 영상을 병합하여 연결 영상을 생성함에 있어서, 센서 모듈들의 촬상 영역의 가장자리 부분의 노출 시간대를 인접하는 다른 모듈의 촬상 영역의 노출 시간대와 동시화 시킴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연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촬상 장치의 별다른 수정 없이, 복수의 화각의 연결 영상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20B)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20B)의 센서부(124B)에 포함되는 센서(125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10)의 일부분으로,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의 고정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제1 촬상 모드에서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가 제1 촬상 모드에서 획득한 연결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촬상 모드에서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가 제2 촬상 모드에서 획득한 연결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형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의 센서 회전 방향에 따라 복수 화각의 연결 영상을 생성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은 영상 획득을 위한 센서(또는 영상 센서)를 포함하는 센서 조립체를 의미할 수 있다. 센서 모듈에 대한 설명은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본 발명에서 '부분 영상'은 전술한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 각각이 획득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부분 영상은 센서 모듈(120A)이 획득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분 영상은 후술하는 연결 영상의 일 부분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연결 영상'은 둘 이상의 센서가 획득한 부분 영상을 영상간의 연결 관계를 고려하여 병합한 영상으로, 예를 들어 파노라마(Panorama)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가령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촬상 장치(100)가 네 개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을 포함하는 경우, 연결 영상은 네 개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이 획득한 영상을 종방향 또는 횡방향으로 연결한 영상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영상은 후술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프레임(110),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 및 프로세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10)은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 내의 센서 각각이 광축을 유지하면서, 소정의 각도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 각각을 마운트 할 수 있다. 이때 '광축'은 예를 들어 센서 모듈에 포함되는 렌즈부의 중심축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10)은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 각각이 광축을 중심으로 수평 방향으로 넓은 이미지 또는 수직 방향으로 넓은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 각각은 전술한 프레임(110)상에 마운트 되어 연결 영상의 생성에 필요한 부분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20B)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20B)은 핸들부(122B), 렌즈부(123B), 센서부(124B) 및 기타 나머지 구성요소들(126B)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핸들부(122B)는 사용자가 광축(121B)을 중심축으로 센서 모듈(120B)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이와 같은 핸들부(122B)는 후술하는 다른 구성요소들(123B, 124B, 126B)과 일체로 결합되어 사용자의 조작(가령 사용자의 센서 모듈(120B)을 회전시키는 조작)에 따라 센서 모듈(120B)을 회전시키는데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123B)는 센서부(124B)의 센서(125B)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도록 광을 적절히 조절하는 광학적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렌즈부(123B)의 중심축은 광축(121B)과 일치하여, 핸들부(122B)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광축(121B)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부(124B)는 영상을 획득하는 센서(125B)를 포함하는 회로기판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센서(125B)의 중심점은 광축(121B)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센서부(124B)는 전술한 핸들부(122B)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광축(121B)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기타 나머지 구성요소들(126B)은 전술한 렌즈부(123B)를 비롯한 구성요소들이 일체로 결합되어 센서 모듈(120B)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하는 하나 이상의 수단일 수 있다.
한편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센서 모듈(120B)의 구성에 대해서만 도시하지만, 나머지 센서 모듈들(120A, 120C, 120D)도 센서 모듈(120B)과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120B)의 센서부(124B)에 포함되는 센서(125B)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125B)는 제1 길이(L1) 및 제1 길이(L1)보다 짧은 제2 길이(L2)에 의해 정의되는 직사각형의 촬상 영역(125B-1)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촬상 영역(125B-1)은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는 복수개의 픽셀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125B)는 제1 길이(L1)의 픽셀 열(Pixel Row)단위로, 센서(125B)의 촬상 영역(125B-1)을 제2 길이(L2)의 방향(D)으로 순차적으로 노출시켜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바꾸어 말하면, 센서(125B)는 촬상 영역(125B-1) 상에서 노출 영역(125B-2)을 제2 길이(L2)의 방향(D)으로 이동시켜 영상을 촬상할 수 있다. 가령 센서(125B)는 롤링 셔터(Rolling Shutter) 방식으로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도 3에서는 예시적으로 센서 모듈(120B)의 센서부(124B)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나머지 센서 모듈들(120A, 120C, 120D)의 센서부도 이와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10)의 일부분으로,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의 고정부분을 도시한 도면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10)은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 각각이 광축(121A, 121B, 121C, 121D)을 유지하면서 센서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운트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레임(110)은 센서 모듈(120B)의 센서(125B)의 중심점을 광축(121B) 상에 유지시키면서, 센서 모듈(120B)이 소정의 강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마운트 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10)은 센서 모듈(120B)이 특정 각도에서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령 프레임(110)은 센서 모듈(120B)이 소정의 기준 각도(가령 0도)를 기준으로, 0도 및 90도에서만 회전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110)은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 각각의 광축(121A, 121B, 121C, 121D)이 하나의 평면상에 위치하도록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을 마운트 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광축의 방향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사용자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 각각의 회전 각도가 모두 0도 또는 모두 90도가 되도록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을 조작할 수 있다. 가령 사용자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의 핸들부에 외력을 가하여,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이 0도 에서 90도 회전된 상태로 전환하거나, 또는 90도에서 0도 회전된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도 5는 제1 촬상 모드에서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가 제1 촬상 모드에서 획득한 연결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제2 촬상 모드에서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이 회전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가 제2 촬상 모드에서 획득한 연결 영상을 도시한 도면이다.
제1 촬상 모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의 촬상 영역(125A-1, 125B-1, 125C-1, 125D-1)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될 수 있다.
제1 촬상 모드에서,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은 인접하는 센서 모듈의 촬상 영역 간에 제1 길이(L1)의 모서리가 근접하도록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인접하는 센서 모듈들의 촬상 영역 상의 노출 영역은 서로 멀어지거나 또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가령 인접하는 두 개의 센서 모듈(120A, 120B)의 촬상 영역(125A-1, 125B-1)의 경우, 각각의 노출 영역(125A-2, 125B-2)은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센서 모듈(120B, 120C)의 촬상 영역(125B-1, 125C-1)의 경우, 각각의 노출 영역(125B-2, 125C-2)은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은 촬상 영역(125A-1, 125B-1, 125C-1, 125D-1)의 가장자리 부분(도 6의 211, 212, 213)의 노출 시간대를 인접하는 다른 모듈의 촬상 영역의 노출 시간대와 동시화 시킴으로써 보다 자연스러운 연결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1 촬상 모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제2 촬상 모드에서 생성한 연결 영상(도 8의 220) 대비 세로 방향이 더 길고, 가로 방향이 더 짧은 연결 영상(210)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1 촬상 모드는 세로방향으로 확장된 화각이 필요할 때 사용되는 모드일 수 있다.
제2 촬상 모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의 촬상 영역(125A-1, 125B-1, 125C-1, 125D-1)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열될 수 있다.
제2 촬상 모드에서,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은 인접하는 센서 모듈의 촬상 영역 간에 제2 길이(L2)의 모서리가 근접하도록 회전된 상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의 촬상 영역(125A-1, 125B-1, 125C-1, 125D-1) 상의 노출 영역(125A-2, 125B-2, 125C-2, 125D-2)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한편 제2 촬상 모드에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제1 촬상 모드에서 생성한 연결 영상(도 6의 210) 대비 가로 방향이 더 길고, 세로 방향이 더 짧은 연결 영상(220)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제2 촬상 모드는 가로방향으로 확장된 화각이 필요할 때 사용되는 모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미도시)는 전술한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이 획득한 부분 영상으로부터 도 6의 210 및 도 8의 220과 같은 연결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프로세서는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는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의 일 예로써,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CPU),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망라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프로세서는 단일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촬상 장치(100)는 엑츄에이터 모듈 및 메모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엑츄에이터 모듈은 전술한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수단을 의미할 수 있다. 이때 엑츄에이터 모듈은 프로세서의 제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을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킬 수 있다. 가령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미도시)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촬상 장치(100)의 동작 모드를 제1 촬상 모드 및 제2 촬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결정하고, 결정된 촬상 모드에 대응하여 복수의 센서 모듈들(120A, 120B, 120C, 120D)이 회전되도록 엑츄에어터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메모리(미도시)는 프로세서가 처리하는 데이터, 명령어(instructions), 프로그램, 프로그램 코드, 또는 이들의 결합 등을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메모리는 자기 저장 매체(Magnetic Storage Media) 또는 플래시 저장 매체(Flash Storage Media)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메모리는 전술한 데이터 외에, 각 촬상 모드에서의 엑츄에이터의 동작 제어 신호, 각 촬상 모드에서 부분영상을 연결하여 연결 영상을 생성하기 위한 참조 데이터(예를 들어 룩업테이블 등)를 더 저장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것으로 본 발명의 사상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특정 실행들은 일 실시 예들로서,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의 간결함을 위하여, 종래 전자적인 구성들, 제어 시스템들, 소프트웨어, 상기 시스템들의 다른 기능적인 측면들의 기재는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구성 요소들 간의 선들의 연결 또는 연결 부재들은 기능적인 연결 및/또는 물리적 또는 회로적 연결들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실제 장치에서는 대체 가능하거나 추가의 다양한 기능적인 연결, 물리적인 연결, 또는 회로 연결들로서 나타내어질 수 있다. 또한, "필수적인", "중요하게" 등과 같이 구체적인 언급이 없다면 본 발명의 적용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구성 요소가 아닐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촬상 장치
110: 프레임
120A, 120B, 120C, 120D: 센서 모듈들

Claims (7)

  1. 삭제
  2. 삭제
  3. 복수의 센서 모듈들의 센서 회전 방향에 따라 복수 화각의 연결 영상을 생성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이 광축을 유지하면서 센서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을 마운트 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마운트되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 및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연결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에 포함되는 센서는
    제1 길이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에 의해 정의되는 직사각형의 촬상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은
    상기 제1 길이의 픽셀 열(Pixel Row)단위로, 상기 센서의 촬상 영역을 상기 제2 길이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노출시켜 영상을 촬상하고,
    인접하는 센서 모듈의 촬상 영역 간에 상기 제1 길이의 모서리가 근접하도록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촬상 모드에서,
    상기 인접하는 센서 모듈들의 촬상 영역 상의 노출 영역은 서로 멀어지거나 또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촬상 장치.
  4. 복수의 센서 모듈들의 센서 회전 방향에 따라 복수 화각의 연결 영상을 생성하는 촬상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이 광축을 유지하면서 센서가 소정의 각도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을 마운트 하는 프레임;
    상기 프레임 상에 마운트되는 복수의 센서 모듈들; 및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연결 영상을 생성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에 포함되는 센서는
    제1 길이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에 의해 정의되는 직사각형의 촬상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은
    상기 제1 길이의 픽셀 열(Pixel Row)단위로, 상기 센서의 촬상 영역을 상기 제2 길이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노출시켜 영상을 촬상하고,
    인접하는 센서 모듈의 촬상 영역 간에 상기 제2 길이의 모서리가 근접하도록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2 촬상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의 촬상 영역 상의 노출 영역은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촬상 장치.
  5. 제3 항 및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 장치는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을 상기 소정의 각도로 회전시키는 엑츄에이터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엑츄에이터 모듈은 상기 프로세서의 제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을 회전시키는, 촬상 장치.
  6. 제3 항 및 제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촬상 장치의 동작 모드를 제1 촬상 모드 및 제2 촬상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결정하고,
    결정된 촬상 모드에 대응하여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을 회전시키는, 촬상 장치.
  7. 프레임, 복수의 센서 모듈들 및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촬상 장치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의 센서 회전 방향에 따라 복수 화각의 연결 영상을 생성하는 촬상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에서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촬영한 영상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프로세서에서 획득한 영상으로부터 연결 영상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 각각에 포함되는 센서는
    제1 길이 및 상기 제1 길이보다 짧은 제2 길이에 의해 정의되는 직사각형의 촬상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은
    상기 제1 길이의 픽셀 열(Pixel Row)단위로, 상기 센서의 촬상 영역을 상기 제2 길이의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노출시켜 영상을 촬상하고,
    인접하는 센서 모듈의 촬상 영역 간에 상기 제1 길이의 모서리가 근접하도록 상기 복수의 센서 모듈들이 회전된 상태로 배치되는 제1 촬상 모드에서,
    상기 인접하는 센서 모듈들의 촬상 영역 상의 노출 영역은 서로 멀어지거나 또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이동하는, 촬상 방법.
KR1020180137607A 2018-11-09 2018-11-09 촬상 장치 KR1026218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607A KR102621876B1 (ko) 2018-11-09 2018-11-09 촬상 장치
US16/678,281 US11290630B2 (en) 2018-11-09 2019-11-08 Imaging apparatus, imaging method, and computer program for capturing imag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7607A KR102621876B1 (ko) 2018-11-09 2018-11-09 촬상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4005A KR20200054005A (ko) 2020-05-19
KR102621876B1 true KR102621876B1 (ko) 2024-01-05

Family

ID=705500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7607A KR102621876B1 (ko) 2018-11-09 2018-11-09 촬상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1290630B2 (ko)
KR (1) KR10262187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2108866A (ja) * 2021-01-14 2022-07-27 キヤノン株式会社 撮像装置
KR102528202B1 (ko) * 2021-08-03 2023-05-03 (주)케이아이오티 카메라 모듈 및 그를 이용한 차량의 군중 계수 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632B1 (ko) * 2006-03-29 2007-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파노라마 사진촬영 장치 및 방법
US20100097443A1 (en) * 2008-10-16 2010-04-22 Peter Lablans Controller in a Camera for Creating a Panoramic Image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1570B1 (ko) 2006-11-20 2007-04-27 에치디프로 주식회사 파노라마 감시카메라용 렌즈 조정 브래킷
KR101411987B1 (ko) 2007-09-11 2014-06-26 삼성전자주식회사 촬상영역이 분할된 촬영장치 및 그 촬상소자
US10585344B1 (en) * 2008-05-19 2020-03-10 Spatial Cam Llc Camera system with a plurality of image sensors
KR101200974B1 (ko) 2010-11-19 2012-11-12 국방과학연구소 영상 표적 추출 시스템, 장치 및 방법
KR101521109B1 (ko) 2013-11-11 2015-05-18 (주) 유파인스 Cmos 이미지 센서를 이용한 프레임 고속화 처리방법 및 프레임 고속화 시스템
JP2014082768A (ja) 2013-11-27 2014-05-08 Sony Corp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2016090626A (ja) 2014-10-30 2016-05-23 カムイ・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マルチカメラのセンサー回転機構
WO2016109572A1 (en) * 2014-12-29 2016-07-07 Avigilon Corporation Multi-headed adjustable camera
JP2016171463A (ja) * 2015-03-12 2016-09-23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7023662B2 (ja) * 2017-10-04 2022-02-22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撮像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0574886B2 (en) * 2017-11-02 2020-02-25 Thermal Imaging Radar, LLC Generating panoramic video for video management systems
KR102350916B1 (ko) * 2017-12-19 2022-01-13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및 감시 카메라 어셈블리 설치 방법
US10904423B2 (en) * 2018-03-16 2021-01-26 Hanwha Techwin Co., Ltd. Image providing apparatus and method
KR102511533B1 (ko) * 2018-04-24 2023-03-20 한화비전 주식회사 감시카메라용 렌즈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카메라
KR102525183B1 (ko) * 2018-04-24 2023-04-25 한화비전 주식회사 감시 카메라
KR102596490B1 (ko) * 2018-11-16 2023-10-31 한화비전 주식회사 촬상 장치
KR20200085556A (ko) * 2019-01-07 2020-07-15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설정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102613098B1 (ko) * 2019-01-23 2023-12-12 한화비전 주식회사 이미지 센서 모듈
KR20210022973A (ko) * 2019-08-21 2021-03-04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멀티 카메라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촬영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8632B1 (ko) * 2006-03-29 2007-09-14 삼성전자주식회사 파노라마 사진촬영 장치 및 방법
US20100097443A1 (en) * 2008-10-16 2010-04-22 Peter Lablans Controller in a Camera for Creating a Panoramic Ima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90630B2 (en) 2022-03-29
US20200154018A1 (en) 2020-05-14
KR20200054005A (ko) 2020-05-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9442B2 (ja) キャリブレーション装置、キャリブレーションシステム、およびキャリブレーション方法
US9426362B2 (en) Three-axis OIS for super-resolution imaging
US9842624B2 (en) Multiple camera video image stitching by placing seams for scene objects
TWI622293B (zh) 產生全景影像的方法、儲存媒介以及攝影機系統
CN104126299B (zh) 视频图像稳定化
KR100934424B1 (ko) 영상 정보를 형성하기 위한 전자장비 및 전자장비에서의방법, 그리고 이 방법의 구현을 위한 프로그램 생성물
WO2018204279A1 (en) Automated matrix photo framing using range camera input
US9083873B1 (en) Devices and methods for providing multi-aperture lens functionality
US11394881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image processing method, storage medium, system, and electronic apparatus
US10291828B1 (en) Scalable three-dimensional, 360-degree virtual reality camera system
JP2019511024A (ja) パノラマフレームを生成するプロセスにおけるフレームの適応ステッチング
JP2018067963A5 (ko)
CN102769718A (zh) 用于图像稳定化的方法和***
KR102621876B1 (ko) 촬상 장치
CN106797460A (zh) 三维视频的重建
CN105530431A (zh) 一种反射式全景成像***及方法
US934473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ompressive sense imaging
KR102613098B1 (ko) 이미지 센서 모듈
US10708520B2 (en) Calibration method of an image device and related image device and operational device thereof
US20210405518A1 (en) Camera system with a plurality of image sensors
KR101820632B1 (ko) 겹눈 구조 렌즈 및 그 렌즈를 포함한 카메라 시스템
JP2007517264A (ja) 多次元の撮像装置、システムおよび方法
Taguchi et al. Axial light field for curved mirrors: Reflect your perspective, widen your view
CN111095101A (zh) 一种摄影***和方法
TWI745805B (zh) 包含用以產生深度圖的多光圈成像裝置之裝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