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83288B1 - 보드 이송 장치 - Google Patents

보드 이송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83288B1
KR102583288B1 KR1020210027905A KR20210027905A KR102583288B1 KR 102583288 B1 KR102583288 B1 KR 102583288B1 KR 1020210027905 A KR1020210027905 A KR 1020210027905A KR 20210027905 A KR20210027905 A KR 20210027905A KR 102583288 B1 KR102583288 B1 KR 1025832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nsfer
unit
board
plate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9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24384A (ko
Inventor
이광식
Original Assignee
(주)삼신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삼신기계 filed Critical (주)삼신기계
Priority to KR1020210027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328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43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3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32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32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59/00De-stacking of articles
    • B65G59/02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 B65G59/026De-stacking from the top of the stack with a stepwise upward movement of the sta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02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for articles, e.g. for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20Traction chains, ropes, or c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9/00Conveyors comprising an impeller or a series of impellers carried by an endless traction element and arranged to move articles or materials over a supporting surface or underlying material, e.g. endless scraper conveyors
    • B65G19/18Details
    • B65G19/22Impellers, e.g. push-plates, scrapers; Guiding means therefor
    • B65G19/24Attachment of impellers to traction el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14Articles of special size, shape or weigh
    • B65G2201/022Fl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kind or type of conveyors
    • B65G2812/02Belt or chain conveyors
    • B65G2812/02267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 B65G2812/02861Conveyors having endless traction elements moving the materials over supporting surfaces by impeller means, e.g. scra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814/00Indexing codes relating to loading or unloading articles or bulk materials
    • B65G2814/03Loading or unloading means
    • B65G2814/0301General arrangements
    • B65G2814/0308Destacking devices
    • B65G2814/031Removing from the to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Of Printed Wi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 Control And Other Processes For Unpacking Of Materials (AREA)
  • Intermediate Station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보드 이송장치는 보드를 밀어내거나 당기는 푸싱부; 상기 푸싱부를 이송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보드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푸싱부를 회전 순환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보드 이송 장치{Device for transferring the board}
본 발명은 판 형상의 보드 등과 같은 대상물을 이동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샌드위치패널용 보드의 이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샌드위치패널은 단열, 진동, 소음을 차단하기 위해 강판과 강판 사이에 제진재 등의 충전재 또는 보드를 끼워 넣은 적층구조의 패널로서, 보통 표면은 강판이나 알루미늄판 등의 금속판을 주로 사용하고 보드는 주로 발포스티로폼, 미네랄울, 글라스울 등을 삽입하여 보온, 참음, 단열 등을 고려하여 제조하고 있다.
샌드위치패널은 공사기간 단축이나 이미 축조된 건축물 등에서 벽면으로 적용되어 공간 구획이나 외벽 등으로 사용되는 건축자재 중의 하나로서, 시공의 간편성과 공사기간 단축 등의 장점으로 인해 그 적용범위가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샌드위치패널을 제조하기 위해, 복수로 적층된 보드를 수평으로 이송시키거나 수직으로 들어올리고 한장씩 다음 공정에 투입하는 과정이 필수적으로 필요하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2472호에는 보드를 투입 컨베이이어에 이송시킬 시에, 맨밑에 있는 광물성 섬유보드와 그 바로 위에 적층된 광물성 섬유보드를 서로 이격시켜서, 복수의 광물성 섬유보드를 하나씩 투입 컨베이어에 이송시킬 수 있는 기술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종래의 기술들은 대상물을 이동시킨 특정 푸싱부가 되돌아올 때까지 기다려야 다음 대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어서, 공정이 오래 걸리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0272472호
본 발명은 샌드위치패널 제조 중 필요한 보드 이송공정에 과도한 시간을 소요하지 않고, 연속적으로 이송시키는 보드 이송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보드를 수평방향으로 이송시키는 시간이 단축되는 되는 보드 이송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보드 이송장치는,
대상물을 밀어내거나 당기는 푸싱부; 및
상기 푸싱부를 이송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보드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푸싱부를 회전 순환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푸싱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제3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3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보드를 제4 위치로 이송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푸싱부를 순환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3 위치에 로딩되는 보드를 반복해서 상기 제4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드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제1 밀대와 제2 밀대가 마련되고,
제3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3 위치의 상기 보드를 제4 위치로 움직인 상기 제1 밀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3 경로로부터 도피되며,
상기 이송부는 제4 경로를 따라 상기 제1 밀대를 움직여서 제2 초기 위치로 상기 제1 밀대를 복귀시키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제1 밀대가 상기 제3 경로로부터 도피된 시간 구간 동안 상기 제2 밀대를 상기 제3 경로에 진입시키며,
상기 제3 경로에 진입한 상기 제2 밀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상기 제3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제3 위치에 새롭게 로딩된 보드를 상기 제4 위치로 움직이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가상의 제2 폐곡선을 따라 상기 푸싱부를 움직이는 이송 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푸싱부는 제2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2 폐곡선의 외부에서 상기 이송부에 연결되며,
상기 푸싱부는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2 폐곡선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폐곡선을 따라 움직이며 상기 보드를 이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이송부는 가상의 제2 폐곡선을 따라 상기 푸싱부를 움직이고,
상기 푸싱부는 상기 제2 폐곡선의 일부 곡선 구간에 해당하는 제3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상기 보드를 이송하고,
상기 푸싱부는 상기 제2 폐곡선의 다른 곡선 구간에 해당하는 제4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2 초기 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이송 체인이 마련되고,
상기 푸싱부는 상기 이송 체인을 형성하는 특정 제2 링크에 고정되며,
상기 특정 제2 링크는 상기 이송 체인의 회전에 의해 상기 보드에 대면되는 상기 이송 체인의 일측 구간 및 상기 보드에 비대면되는 상기 이송 체인의 타측 구간을 반복해서 순환 이동하고,
상기 푸싱부는 상기 특정 제2 링크가 상기 일측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보드의 일면을 밀어낼 수 있도록 상기 보드를 향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며,
상기 푸싱부는 상기 특정 제2 링크가 상기 타측 구간에 위치하면 상기 보드를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폐곡선 형상으로 형성된 이송 체인, 상기 이송 체인의 일단부가 감기는 제3 스프라켓, 상기 이송 체인의 타단부가 감기는 제4 스프라켓, 상기 제3 스프라켓 또는 상기 제4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이송 체인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링크를 포함하며,
상기 푸싱부는 특정 제2 링크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부에는 복수의 제2 링크가 서로 연결된 이송 체인이 마련되고,
상기 이송 체인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특정 제2 링크가 상기 이송 체인의 진행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제한하며, 상기 보드에 대해 상기 푸싱부를 제2 설정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푸싱부가 고정 연결되는 이송 체인이 마련되고,
상기 이송 체인은 서로 연결된 제2 외부 링크와 제2 내부 링크, 제2 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외부 링크는 양측에 제2 설치부와 중앙에 제2 연장부를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2 외부 플레이트, 상기 제2 설치부에서 상기 제2 외부 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2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부 링크는 양측에 상기 제2 연결핀이 끼워지는 제2 삽입홀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2 내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휠은 상기 제2 외부 링크와 상기 제2 내부 링크가 상기 제2 연결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핀의 가운데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핀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푸싱부는 상기 제2 외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내부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드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레일에는 상기 제2 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는 제1 이송판 및 제2 이송판이 마련되며,
상기 제2 휠은 상기 제1 이송판과 상기 제2 이송판 사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 이송판 또는 상기 제2 이송판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드의 이송 방향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레일이 마련되고,
상기 제2 레일에는 상기 제2 외부 링크에 마련된 2개의 상기 제2 연결핀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상기 제2 휠의 일측에 대면 설치되는 제1 이송판, 상기 제2 휠의 타측에 대면 설치되는 제2 이송판이 마련되며,
상기 제1 이송판과 상기 제2 이송판의 간격은 상기 제2 휠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보드를 향해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보드를 밀어내는 상기 푸싱부로 인해, 상기 제2 외부 링크에 설치된 2개의 상기 제2 휠 중에서 일측의 제2 휠은 상기 제1 이송판에 구름 접촉되며 타측의 제2 휠은 상기 제2 이송판에 구름 접촉되며,
상기 제1 이송판에 구름 접촉되는 일측의 제2 휠과 상기 제2 이송판에 구름 접촉되는 타측의 제2 휠로 인해 상기 제2 외부 링크는 상기 이송 방향에 제2 각도만큼 정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푸싱부는 상기 제2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상기 제2 외부 링크에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송 장치는 대상물을 이동시킨 특정 푸싱부가 되돌아올 때까지 기다릴 필요없이 다음 푸싱부를 이용해 다음 대상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대상물을 이동시킨 특정 밀대가 초기 위치로 돌아올 때까지 기다리는 대기 시간이 필요없다. 따라서, 전체 공정 시간에서 대기 시간만큼 이송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의 대상물을 끊김없이 연속적으로 수평으로 운반할 수 있는 고속 이송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5는 승강 유니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승강 유니트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은 제1 외부 링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8은 제1 지지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제1 지지부를 나타내는 다른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제1 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은 이송 유니트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2는 이송 유니트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3은 제2 외부 링크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4는 제2 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제2 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이송 장치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송 장치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면에 도시된 이송 장치는 승강 유니트(100) 및 이송 유니트(20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이송 장치는 승강 유니트(100) 및 이송 유니트(200)의 개념을 나타낸 개략도로,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일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의 실시예와 같이 승강 유니트(100)를 기준으로 이송 유니트(200)는 좌우가 아니라 전후로 방향이 변경되는 것이 현실성이 높을 수 있음을 환기한다.
승강 유니트(100)에는 대상물(9)을 승강시키는 승강부(130)가 마련될 수 있다.
이송 유니트(200)에는 일측의 대상물(9)을 타측으로 이동시키는 이송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승강부(130) 또는 이송부(230)는 대상물(9)을 물리적으로 가압하는 밀대 또는 받침대를 회전 순환시킬 수 있다.
비교 실시예로 직선 왕복 운동하면서 대상물(9)을 밀거나 밀어올리는 가압기가 마련될 수 있다. 직선 왕복 운동하는 가압기에 따르면 대상물(9)을 나르고 난 후 가아기가 초기 위치로 돌아오는 과정에서 각종 물리적 간섭이 배제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가압기가 특정 대상물(9)을 목적지로 이송한 후 곧바로 다음 대상물(9)이 이송될 수 없다. 왜냐하면, 가입기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올 때까지 기다려야 하기 때문이다. 이와 같은 불필요한 대기 시간은 대상물(9)을 이송하는 각 구간마다 발생되며, 해당 대기 시간의 누적 시간만큼 전체 공정이 지체될 수밖에 없다.
대상물(9)의 대기 시간을 단축시키기 위해서는 대상물(9)을 물리적으로 밀어내는 가압기 등의 가압 수단이 복수로 마련될 필요가 있다. 또한, 특정 가압 수단의 복귀 과정에서 다음 대상물(9)을 밀어내는 다음 가입 수단과 특정 가압 수단이 서로 간섭되지 않아야 한다.
해당 조건을 만족하기 위해 승강부(130) 또는 이송부(230)는 대상물(9)을 가압하는 가압 수단에 해당하는 밀대 또는 받침대를 회전 순환시킬 수 있다.
먼저 승강 유니트(1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5는 승강 유니트(1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5의 승강 유니트(100)는 받침부(110) 및 승강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10)는 대상물(9)을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받침부(110)는 대상물(9)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판 또는 막대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대상물(9)은 샌드위치패널의 가운데에 삽입되는 판 형상의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받침부(110)는 복수로 적층된 대상물(9)을 지지할 수 있다.
승강부(130)는 받침부(110)를 승강시키는 것을 통해 대상물(9)을 승강시킬 수 있다. 일 예로, 승강부(130)는 받침부(110)를 상승시켜 낮은 곳에 위치한 대상물(9)을 높은 곳으로 옮길 수 있다. 반대로, 승강부(130)는 받침부(110)를 하강시켜 높은 곳에 위치한 대상물(9)을 낮은 곳으로 옮길 수 있다.
승강부(130)는 받침부(110)를 회전 순환시킬 수 있다.
받침부(110)는 승강부(130)에 의해 제1 경로 k1을 따라 움직이면서 제1 위치 p1에 배치된 대상물(9)을 제2 위치 p2로 이송할 수 있다.
승강부(130)는 받침부(110)를 순환 회전시키면서 제1 위치 p1에 로딩되는 대상물(9)을 반복해서 제2 위치 p2로 이송할 수 있다.
제1 위치 p1에 로딩되는 대상물(9)을 신속하게 이송하기 위해 받침부(110)에는 복수의 받침대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대상물(9)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제1 받침대(111)와 제2 받침대(1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경로 k1을 따라 움직이면서 제1 위치 p1의 대상물(9)을 제2 위치 p2로 움직인 제1 받침대(111)는 승강부(130)에 의해 제1 경로 k1으로부터 도피될 수 있다.
승강부(130)는 제2 경로 k2를 따라 제1 받침대(111)를 움직여서 제1 초기 위치 a1으로 제1 받침대(111)를 복귀시킬 수 있다. 이때, 제1 초기 위치 a1은 제1 위치 p1에 배치된 대상물(9)에 대면되는 위치를 포함하거나, 제1 위치 p1에 배치된 대상물(9)에 물리적으로 맞닿는 최초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부(130)는 제1 받침대(111)가 제1 경로 k1으로부터 도피된 시간 구간 동안 제2 받침대(112)를 제1 경로 k1에 진입시킬 수 있다.
제1 경로 k1에 진입한 제2 받침대(112)는 승강부(130)에 의해 제1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1 위치 p1에 새롭게 로딩된 대상물(9)을 제2 위치 p2로 움직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승강 유니트(10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승강부(130)는 가상의 제1 폐곡선 t1을 따라 받침부(110)를 움직이는 승강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승강부(130)는 가상의 제1 폐곡선 t1을 따라 받침부(110)를 움직일 수 있다.
받침부(110)는 제1 연결부(120)에 의해 제1 폐곡선 t1의 외부(out)에서 승강부(130)에 연결될 수 있다. 만약, 받침부(110)가 제1 폐곡선 t1의 내부(in)에서 승강부(130)에 연결되면 받침부(110) 또는 받침부(110)를 움직이는 구동 수단 등이 다른 요소에 간섭될 수 있다. 하지만, 제1 폐곡선 t1의 외부(out)에서 승강부(130)에 연결되는 받침부(110)에 따르면, 적정 공간만 제공되는 경우 받침부(110)는 지속해서 다른 요소에 간섭되지 않거나 다른 요소를 간섭하는 않는 허공을 통과할 수 있다.
받침부(110)는 제1 연결부(120)에 의해 제1 폐곡선 t1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폐곡선 t1을 따라 움직이며 대상물(9)을 승강시킬 수 있다.
받침부(110)는 제1 폐곡선 t1의 일부 곡선 구간에 해당하는 제1 경로 k1을 따라 움직이면서 대상물(9)을 승강시킬 수 있다.
받침부(110)는 제1 폐곡선 t1의 다른 곡선 구간에 해당하는 제2 경로 k2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1 초기 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승강부(130)에는 제1 폐곡선 t1 형상으로 형성된 승강 체인(131)이 마련될 수 있다.
받침부(110)는 승강 체인(131)을 형성하는 특정 제1 링크(30)에 고정될 수 있다.
특정 제1 링크(30)는 승강 체인(131)의 회전에 의해 대상물(9)에 대면되는 승강 체인(131)의 일측 구간 및 대상물(9)에 비대면되는 승강 체인(131)의 타측 구간을 반복해서 순환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대상물(9)에 대면되는 승강 체인(131)의 일측 구간은 제1 구간 k1에 매칭될 수 있다. 대상물(9)에 비대면되는 승강 체인(131)의 타측 구간은 제2 구간 k2에 매칭될 수 있다.
받침부(110)는 특정 제1 링크(30)가 일측 구간에 위치하면 대상물(9)의 일면을 지지할 수 있도록 대상물(9)을 향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받침부(110)는 특정 제1 링크(30)가 타측 구간에 위치하면 대상물(9)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받침부(110)는 위치에 상관없이 승강 체인(131)이 형성하는 제1 폐곡선 t1의 외부에 배치되므로, 받침부(110)로 인해 승강 체인(131)의 동작 또는 기능이 제한되지 않을 수 있다.
승강부(130)에는 제1 폐곡선 t1 형상으로 형성된 승강 체인(131), 승강 체인(131)의 일단부가 감기는 제1 스프라켓(135), 승강 체인(131)의 타단부가 감기는 제2 스프라켓(136), 제1 스프라켓(135) 또는 제2 스프라켓(136)을 회전시키는 제1 구동 수단(139)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구동 수단(139)은 모터를 포함할 수 있다.
승강 체인(131)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1 링크(30)를 포함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받침부(110)는 특정 제1 링크(30)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제1 링크(30)가 서로 연결된 승강 체인(131)이 마련된 승강부(130)를 지지하는 제1 지지부(150)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지지부(150)는 승강 체인(131)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지지부(150)는 특정 제1 링크(30)가 승강 체인(131)의 진행 방향 m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제한하며, 대상물(9)에 대해 받침부(110)를 제1 설정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다.
지면에 평행하게 대상물(9)이 놓이는 경우, 해당 대상물(9)을 받치기 위해 받침부(110) 역시 지면에 평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받침부(110)가 연결된 특정 링크가 원하지 않게 기울어진다면 받침부(110) 역시 지면에 기울어지게 될 것이다.
대상물(9)을 정확하게 지지하기 위해 받침부(110)는 초기에 설정된 제1 설정 자세, 예를 들어 지면에 대한 설정 각도 등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제1 링크(30) 중 특정 링크에 받침부(110)가 설치되면, 받침부(110) 또는 대상물(9)의 자중에 의해 특정 링크가 기울어지고 받침부(110) 역시 기울어질 수 있다.
일측에 집중된 무게로 인해 제1 링크(30)가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지지부(150)가 이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받침부(110)가 고정 연결되는 승강 체인(131)은 서로 연결된 제1 외부 링크(10)와 제1 내부 링크(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승강 체인(131)은 제1 휠(4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은 제1 외부 링크(1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7에 도시된 제1 외부 링크(10)는 양측에 제1 설치부(14)와 중앙에 제1 연장부를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1 외부 플레이트(12), 제1 설치부(14)에서 제1 외부 플레이트(12)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1 연결핀(16)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 링크(20)는 양측에 제1 연결핀(16)이 끼워지는 제1 삽입홀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1 내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휠(40)은 제1 외부 링크(10)와 제1 내부 링크(20)가 제1 연결핀(16)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1 연결핀(16)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휠(40)은 제1 연결핀(16)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110)는 제1 외부 플레이트(12) 또는 제1 내부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또는, 받침부(110)는 제1 연결핀(16)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8은 제1 지지부(150)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9는 제1 지지부(150)를 나타내는 다른 개략도이다. 도 8의 제1 지지부(150) 및 도 9의 제1 지지부(150)는 서로 다른 각도에서 제1 지지부(150)를 바라본 모습을 나타낼 수 있다.
제1 지지부(150)에는 대상물(9)의 승강 방향 m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1 레일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레일에는 제1 휠(4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는 제1 승강판(151) 및 제2 승강판(152)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휠(40)은 제1 승강판(151)과 제2 승강판(152) 사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진 상태로 제1 승강판(151) 또는 제2 승강판(152)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
받침부(110)에 연결된 제1 외부 플레이트(12) 또는 제1 내부 플레이트에 마련된 적어도 2개의 제1 연결핀(16)이 제1 승강판(151)과 제2 승강판(152)의 사이에 삽입되면, 해당 제1 외부 플레이트(12) 또는 제1 내부 플레이트의 기울어짐이 제한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받침부(110)의 자중 등에 의해 제1 링크(30)의 일부가 받침부(110)와 함께 기울어지는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한편, 제1 승강판(151)과 제2 승강판(152)의 사이에 삽입된 제1 휠(40)은 제1 승강판(151) 또는 제2 승강판(152)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 이때, 제1 휠(40)은 제1 승강판(151)과 제2 승강판(152)에 동시에 접촉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제1 휠(40)의 일측이 제1 승강판(151)에 구름 접촉된 상태에서 제1 휠(40)의 타측이 제2 승강판(152)에 구름 접촉되면, 어느 한쪽의 구름 접촉은 다른 한쪽의 구름 접촉과 반대 방향이 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휠(4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1 승강판(151)에 대해 제1 휠(40)은 상승할 수 있다. 반면, 제1 휠(40)이 정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승강판(152)에 대해 제1 휠(40)은 하강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제1 레일에 대한 승강 체인(131)의 승강 동작에 상관없이 제1 휠(40)은 정지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 휠(40)의 기능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제1 지지부(15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지지부(150)에 구비된 제1 레일에는 제1 외부 링크(10)에 마련된 2개의 제1 연결핀(16)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제1 휠(40)의 일측에 대면 설치되는 제1 승강판(151), 2개의 제1 휠(40)의 타측에 대면 설치되는 제2 승강판(152)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승강판(151)과 제2 승강판(152)의 간격은 서로 인접한 2개의 제1 휠(40)의 중심 간의 거리 w1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제1 휠(4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휠(40)은 제1 승강판(151)과 제2 승강판(152)에 동시에 구름 접촉되지 못하고 어느 하나에만 구름 접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제1 휠(40)에 대해 제1 승강판(151)과 제2 승강판(152)이 서로 작용반작용으로 작용하는 현상이 배제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링크(10) 또는 제1 내부 링크(20)가 승강 방향에 대해 소정 각도만큼 기울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외부 플레이트(12) 또는 제1 내부 플레이트로부터 대상물(9)을 향해 돌출 형성된 받침부(110)로 인해, 제1 외부 링크(10)에 설치된 2개의 제1 휠(40) 중에서 상측의 제1 휠(40)은 제1 승강판(151)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 또한, 2개의 제1 휠(40) 중에서 하측의 제1 휠(40)은 제2 승강판(152)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
제1 승강판(151)에 구름 접촉되는 상측의 제1 휠(40)과 제2 승강판(152)에 구름 접촉되는 하측의 제2 휠(90)로 인해 제1 외부 링크(10)는 승강 방향 m에 제1 각도 g1만큼 정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그 결과, 제1 외부 링크(10)에 연결된 받침부(110) 역시 승강 방향 m에 대해 제1 각도 g1만큼 정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승강 방향 m에 대한 받침부(110)의 기울어짐을 보정하기 위해, 받침부(110)는 제1 각도 g1만큼 역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제1 외부 링크(10)에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외부 링크(10)는 제1 각도 g1만큼 기울어진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1 레일을 따라 승강할 수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1 외부 링크(10)에 연결된 받침부(110)는 지면에 평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자중에 의한 대상물(9)의 휘어짐 등을 방지하기 위해, 대상물(9)에 대해 승강 유니트(10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로 마련된 승강 유니트(100)의 승강부(130)는 대상물(9)을 함께 지지해야 하며, 또한, 대상물(9)을 함께 승강시켜야 한다. 대상물(9)을 함께 승강시키기 위해 복수의 승강부(130)는 동작 시점, 동작 거리 등이 서로 동기화될 필요가 있다. 동기화를 위해 먼저, 복수의 승강부(130)는 대상물(9)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대면 배치된 복수의 승강부(130)의 동작을 동기화시키는 동기화부(190)가 마련될 수 있다. 동기화부(190)는 각 승강부(130)에 마련된 각 제1 구동 수단(139)에 동시점에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또는, 동기화부(190)는 단일의 제1 구동 수단(139)에 연결된 링크축을 포함할 수 있다. 링크축은 각 승강부(130)의 스프라켓에 기어 연결될 수 있다. 이 경우, 단일의 제1 구동 수단(139)이 회전하면 링크축에 기어 연결된 복수의 스프라켓이 동일한 속도로 회전할 수 있다.
받침부(110)에는 대상물(9)이 복수로 적층될 수 있다. 승강부(130)는 받침부(110)에 적층된 최상부의 대상물(9)이 언로딩될 때마다 대상물(9)의 두께만큼 받침부(110)를 상승시킬 수 있다.
최상부의 대상물(9)은 받침부(110)에 의해 제2 위치 p2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위치 p2는 다른 이송 수단에 의해 대상물(9)이 수거될 수 있는 위치에 해당될 수 있다.
최상부의 대상물(9)이 다른 이송 수단, 예를 들어 이송 유니트(200)에 의해 수거된 이후 다음 대상물(9)이 받침부(110)에 의해 상승해서 제2 위치 p2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런 방식이 반복되면, 언로딩 가능한 제2 위치 p2에 다음 대상물(9)이 연속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이송 유니트(200)에 대해 살펴본다.
도 11은 이송 유니트(20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이송 유니트(200)는 푸싱부(210) 및 이송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싱부(210)는 대상물(9)을 밀어내거나 당길 수 있다. 일 예로, 푸싱부(210)는 대상물(9)을 밀어내는 동작을 통해 중력 방향에 기울어진 방향, 예를 들어 지면에 평행한 방향을 따라 대상물(9)을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230)는 푸싱부(210)를 이송시키는 것을 통해 대상물(9)을 이송시킬 수 있다. 푸싱부(210)가 되돌아오는 대기 시간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송부(230)는 푸싱부(210)를 회전 순환시킬 수 있다.
푸싱부(210)는 이송부(230)에 의해 제3 경로 k3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3 위치 p3에 배치된 대상물(9)을 제4 위치로 이송할 수 있다. 일 예로, 제3 위치 p3는 제2 위치 p2와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승강 유니트(100)에 의해 승강된 대상물(9)은 이송 유니트(200)에 의해 제4 위치 p4까지 연속해서 이동될 수 있다.
물론, 제3 위치 p3는 제2 위치 p2와 서로 달라도 무방하다.
이송부(230)는 푸싱부(210)를 순환 회전시키면서 제3 위치 p3에 로딩되는 대상물(9)을 반복해서 제4 위치 p4로 이송할 수 있다.
도 12는 이송 유니트(200)의 동작을 나타낸 개략도이다.
푸싱부(210)에는 대상물(9)에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제1 밀대(pusher)(211)와 제2 밀대(212)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밀대(211)는 제3 경로 k3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3 위치 p3의 대상물(9)을 제4 위치 p4로 움직일 수 있다. 대상물(9)을 제4 위치 p4로 옮긴 제1 밀대(211)는 이송부(230)에 의해 제3 경로 k3로부터 도피될 수 있다.
이송부(230)는 제4 경로 k4를 따라 제1 밀대(211)를 움직여서 제2 초기 위치 a2로 제1 밀대(211)를 복귀시킬 수 있다. 제2 초기 위치 a2는 제3 위치 p3에 배치된 대상물(9)에 대면되는 위치를 포함하거나, 제3 위치 p3에 배치된 대상물(9)에 물리적으로 맞닿는 최초 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부(230)는 제1 밀대(211)가 제3 경로 k3로부터 도피된 시간 구간 동안 제2 밀대(212)를 제3 경로 k3에 진입시킬 수 있다.
제3 경로 k3에 진입한 제2 밀대(212)는 이송부(230)에 의해 제3 경로 k3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3 위치 p3에 새롭게 로딩된 대상물(9)을 제4 위치 p4로 움직일 수 있다.
이송부(230)는 가상의 제2 폐곡선 t2를 따라 푸싱부(210)를 움직이는 이송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푸싱부(210)는 제2 연결부(220)에 의해 제2 폐곡선 t2의 외부에서 이송부(230)에 연결될 수 있다.
푸싱부(210)는 제2 연결부(220)에 의해 제2 폐곡선 t2의 외부(out)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제2 폐곡선 t2를 따라 움직이며 대상물(9)을 이송할 수 있다.
이송부(230)는 가상의 제2 폐곡선 t2를 따라 푸싱부(210)를 움직일 수 있다.
푸싱부(210)는 제2 폐곡선 t2의 일부 곡선 구간에 해당하는 제3 경로 k3를 따라 움직이면서 대상물(9)을 이송할 수 있다.
푸싱부(210)는 제2 폐곡선의 다른 곡선 구간에 해당하는 제4 경로 k4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2 초기 위치 a2로 복귀할 수 있다.
제2 폐곡선 t2 형상으로 형성된 이송 체인(2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송 체인(231)은 서로 연결되는 복수의 제2 링크(80)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싱부(210)는 이송 체인(231)을 형성하는 특정 제2 링크에 고정될 수 있다.
특정 제2 링크는 이송 체인(231)의 회전에 의해 대상물(9)에 대면도는 이송 체인(231)의 일측 구간 및 대상물(9)에 비대면되는 이송 체인(231)의 타측 구간을 반복해서 순환 이동할 수 있다.
푸싱부(210)는 특정 제2 링크가 일측 구간에 위치하면 대상물(9)의 일면을 밀어낼 수 있도록 대상물(9)을 향해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푸싱부(210)는 특정 제2 링크가 타측 구간에 위치하면 대상물(9)을 향하는 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이송부(230)에는 제2 폐곡선 t2 형상으로 형성된 이송 체인(231), 이송 체인(231)의 일단부가 감기는 제3 스크라켓, 이송 체인(231)의 타단부가 감기는 제4 스프라켓(236), 제3 스프라켓(235) 또는 제4 스프라켓(236)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 수단(239)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구동 수단(239)은 모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체인(231)은 서로 회동 가능하게 직렬로 연결된 복수의 제2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푸싱부(210)는 특정 제2 링크에 고정 연결될 수 있다.
이송부(230)에는 복수이 제2 링크가 서로 연결된 이송 체인(231)이 마련될 수 있다.
이송 체인(231)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250)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지지부는 특정 제2 링크가 이송 체인(231)의 진행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제2 지지부는 대상물(9)에 대해 푸싱부(210)를 제2 설정 자세로 유지시킬 수 있다.
대상물(9)을 정확하게 밀거나 당기기 위해 푸싱부(210)는 초기에 설정된 제2 설정 자세, 예를 들어 지면에 대한 설정 각도 또는 대상물(9)에 대한 설정 각도 등을 만족할 필요가 있다. 서로 회동 가능하게 연결된 복수의 제2 링크 중 특정 제2 링크에 푸싱부(210)가 설치되면, 대상물(9)을 가압하는 푸싱부(210)에 의해 특정 제2 링크가 기울어지고 푸싱부(210) 역시 기울어질 수 있다. 이때, 제2 지지부는 푸싱부(210)의 기울어짐을 방지하고, 제2 설정 자세로 푸싱부(210)를 유지시킬 수 있다.
푸싱부(210)가 고정 연결되는 이송 체인(231)은 서로 연결된 제2 외부 링크(60)와 제2 내부 링크(7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송 체인(231)은 제2 휠(90)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3은 제2 외부 링크(60)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 외부 링크(60)는 양측에 제2 설치부(64)와 중앙에 제2 연장부를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2 외부 플레이트(62), 제2 설치부(64)에서 제2 외부 플레이트(62)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2 연결핀(66)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부 링크(70)는 양측에 제2 연결핀(66)이 끼워지는 제2 삽입홀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2 내부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휠(90)은 제2 외부 링크(60)외 제2 내부 링크(70)가 제2 연결핀(66)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제2 연결핀(66)의 가운데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휠(90)은 제2 연결핀(66)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푸싱부(210)는 제2 외부 플레이트(62) 또는 제2 내부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도 14는 제2 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2 지지부에는 대상물(9)의 이송 방향 n과 평행하게 연장되는 제2 레일이 마련될 수 있다.
제2 레일에는 제2 휠(90)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는 제1 이송판(251) 및 제2 이송판(252)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이송판(251)은 제2 외부 링크(60)에 마련된 2개의 제2 연결핀(66)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제2 휠(90)의 일측에 대면 설치될 수 있다.
제2 이송판(252)은 제2 외부 링크(60)에 마련된 2개의 제2 연결핀(66)에 각각 설치된 2개의 제2 휠(90)의 타측에 대면 설치될 수 있다.
제2 휠(90)은 제1 이송판(251)과 제2 이송판(252) 사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진 상태로 제1 이송판(251) 또는 제2 이송판(252)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
도 15는 본 발명의 다른 제2 지지부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제1 이송판(251)과 제2 이송판(252)에 의해 가이드되는 제2 휠(90) 역시 제1 휠(40)과 마찬가지로 제1 이송판(251)과 제2 이송판(252)에 동시에 구름 접촉되지 않는 것이 좋다. 이를 위해, 제1 이송판(251)과 제2 이송판(252)의 간격 w2는 서로 인접한 2개의 제2 휠(90)의 중심 간의 거리보다 작은 범위 내에서 제2 휠(9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대상물(9)을 향해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대상물(9)을 밀어내는 푸싱부(210)로 인해, 제2 외부 링크(60)에 설치된 2개의 제2 휠(90) 중에서 일측의 제2 휠(90)은 제1 이송판(251)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 이때, 타측의 제2 휠(90)은 제2 이송판(252)에 구름 접촉될 수 있다.
제1 이송판(251)에 구름 접촉되는 일측의 제2 휠(90)과 제2 이송판(252)에 구름 접촉되는 타측의 제2 휠(90)로 인해 제2 외부 링크(60)는 이송 방향 n에 대해 제2 각도 g2만큼 정방향으로 기울어질 수 있다.
푸싱부(210)는 제2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제2 외부 링크(60)에 연결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통상의 기술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9...대상물 10...제1 외부 링크
12...제1 외부 플레이트 14...제1 설치부
16...제1 연결핀 20...제1 내부 링크
30...제1 링크 40...제1 휠
60...제2 외부 링크 62...제2 외부 플레이트
64...제2 설치부 66...제2 연결핀
70...제2 내부 링크 80...제2 링크
90...제2 휠 100...승강 유니트
110...받침부 111...제1 받침대
112...제2 받침대 120...제1 연결부
130...승강부 131...승강 체인
135...제1 스프라켓 136...제2 스프라켓
139...제1 구동 수단 150...제1 지지부
151...제1 승강판 152...제2 승강판
190...동기화부 200...이송 유니트
210...푸싱부 211...제1 밀대
212...제2 밀대 220...제2 연결부
230...이송부 231...이송 체인
235...제3 스프라켓 236...제4 스프라켓
239...제2 구동 수단 250...제2 지지부
251...제1 이송판 252...제2 이송판

Claims (11)

  1. 보드를 밀어내거나 당기는 푸싱부; 및
    상기 푸싱부를 이송시키는 것을 통해 상기 보드를 이송시키는 이송부;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푸싱부를 회전 순환시키는 보드 이송장치로서,
    상기 이송부에는 복수의 제2 링크가 서로 연결된 이송 체인이 마련되고,
    상기 이송 체인을 지지하는 제2 지지부가 마련되며,
    상기 제2 지지부는 특정 제2 링크가 상기 이송 체인의 진행 방향에 대해 기울어지는 것을 제한하며, 상기 보드에 대해 상기 푸싱부를 제2 설정 자세로 유지시키며,
    상기 이송 체인은 서로 연결된 제2 외부 링크와 제2 내부 링크, 제2 휠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외부 링크는 양측에 제2 설치부와 중앙에 제2 연장부를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2 외부 플레이트, 상기 제2 설치부에서 상기 제2 외부 플레이트에 수직하게 결합되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2 연결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내부 링크는 양측에 상기 제2 연결핀이 끼워지는 제2 삽입홀을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된 2개의 제2 내부 플레이트를 포함하며,
    상기 제2 휠은 상기 제2 외부 링크와 상기 제2 내부 링크가 상기 제2 연결핀을 통해 회동 가능하게 서로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제2 연결핀의 가운데에 배치되고, 상기 제2 연결핀을 회전축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되며,
    상기 이송부는 가상의 제2 폐곡선을 따라 상기 푸싱부를 움직이는 이동경로를 형성하고,
    상기 푸싱부는 제2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2 폐곡선의 외부에서 상기 제2 외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내부 플레이트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 연결부에 의해 상기 제2 폐곡선의 외부에 배치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상기 제2 폐곡선을 따라 움직이며 상기 보드를 이송시키고,
    상기 제 2지지부는 상기 제2 휠을 사이에 두고 서로 대면하게 배치되는 제1 이송판 및 제2 이송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휠은 상기 제1 이송판과 상기 제2 이송판 사이에 형성된 홈에 끼워진 상태로 상기 제1 이송판 또는 상기 제2 이송판에 구름 접촉되는 보드 이송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싱부는 상기 이송부에 의해 제3 경로를 따라 움직이면서 제3 위치에 배치된 상기 보드를 제4 위치로 이송하고,
    상기 이송부는 상기 푸싱부를 순환 회전시키면서 상기 제3 위치에 로딩되는 보드를 반복해서 상기 제4 위치로 이송하는 보드 이송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체인은 상기 이송 체인의 일단부가 감기는 제3 스프라켓, 상기 이송 체인의 타단부가 감기는 제4 스프라켓, 상기 제3 스프라켓 또는 상기 제4 스프라켓을 회전시키는 제2 구동 수단이 마련되는 보드 이송장치.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이송판과 상기 제2 이송판의 간격은 상기 제2 휠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고,
    상기 제2 외부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2 내부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보드를 향해 돌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보드를 밀어내는 상기 푸싱부로 인해, 상기 제2 외부 링크에 설치된 2개의 상기 제2 휠 중에서 일측의 제2 휠은 상기 제1 이송판에 구름 접촉되며 타측의 제2 휠은 상기 제2 이송판에 구름 접촉되며,
    상기 제1 이송판에 구름 접촉되는 일측의 제2 휠과 상기 제2 이송판에 구름 접촉되는 타측의 제2 휠로 인해 상기 제2 외부 링크는 상기 이송 방향에 제2 각도만큼 정방향으로 기울어지고,
    상기 푸싱부는 상기 제2 각도만큼 역방향으로 기울어지게 상기 제2 외부 링크에 연결되는 보드 이송장치.
KR1020210027905A 2021-03-03 2021-03-03 보드 이송 장치 KR1025832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905A KR102583288B1 (ko) 2021-03-03 2021-03-03 보드 이송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905A KR102583288B1 (ko) 2021-03-03 2021-03-03 보드 이송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384A KR20220124384A (ko) 2022-09-14
KR102583288B1 true KR102583288B1 (ko) 2023-09-26

Family

ID=832788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905A KR102583288B1 (ko) 2021-03-03 2021-03-03 보드 이송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32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388Y1 (ko) * 2002-01-03 2002-03-21 이길효 복수개 적층된 광물성 섬유보드를 투입하는 장치
KR200346563Y1 (ko) * 2003-12-29 2004-04-01 김영우 샌드위치 패널용 재단편의 교호 정렬 이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2241U (ja) * 1992-05-21 1993-12-17 株式会社イナックス 移送装置
JPH11503258A (ja) 1995-09-19 1999-03-23 マイクロチップ テクノロジー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ディジタル的にプログラム可能な閾値を有するマイクロコントローラ起立機能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69388Y1 (ko) * 2002-01-03 2002-03-21 이길효 복수개 적층된 광물성 섬유보드를 투입하는 장치
KR200346563Y1 (ko) * 2003-12-29 2004-04-01 김영우 샌드위치 패널용 재단편의 교호 정렬 이송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384A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513930B2 (ja) 立体自動倉庫
JP3895443B2 (ja) 自動倉庫
WO2022134893A1 (zh) 升降装置及搬运机器人
KR102572511B1 (ko) 보드 이송 장치
KR102583288B1 (ko) 보드 이송 장치
CN106241399A (zh) 一种保温板码垛***及卸垛供料***
JP2015044639A (ja) 物品搬送装置、並びに、物品保管装置
CN211711988U (zh) 一种台车升降装置
CN211476547U (zh) 一种合成石板材的冷却晾板***
JP6006100B2 (ja) 機械式駐車装置
JP6684124B2 (ja) 物品収納設備
KR102331521B1 (ko) 금형 이송 장치
JP6772851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
CN220744360U (zh) 一种输送装置
CN218143878U (zh) 一种用于左右滑轮自动装配回流线的物料托盘升降机
CN112897079B (zh) 一种移动式多工位玻璃缓存***
CN218261793U (zh) 旋转整形平台
CN221253586U (zh) 一种平板构件运输装置
JP4496567B2 (ja) 自動倉庫用搬送装置および自動倉庫
CN218260824U (zh) 一种双工位玻璃上下片台
CN220131828U (zh) 机器人及仓储***
TWI823407B (zh) 三軸手臂自動化設備
JP7156240B2 (ja) 搬送装置
CN216862595U (zh) 一种投入辊道装置
CN110455074B (zh) 一种发泡陶瓷生产用提升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