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54019B1 -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복제의 억제제 및 이의 용도 - Google Patents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복제의 억제제 및 이의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54019B1
KR102554019B1 KR1020197020318A KR20197020318A KR102554019B1 KR 102554019 B1 KR102554019 B1 KR 102554019B1 KR 1020197020318 A KR1020197020318 A KR 1020197020318A KR 20197020318 A KR20197020318 A KR 20197020318A KR 102554019 B1 KR102554019 B1 KR 1025540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alkylene
mmol
membered
methy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203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2545A (ko
Inventor
창후아 탕
칭윈 렌
준준 인
카이 이
이보 레이
예준 왕
잉준 장
Original Assignee
선샤인 레이크 파르마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선샤인 레이크 파르마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선샤인 레이크 파르마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900925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25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40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40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87/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 C07D487/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7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87/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3Amin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4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 A61K31/7052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 A61K31/7056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nd heterocyclic ring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nucleosides, nucleotides containing five-membered rings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1/00Antiinfectives, i.e. antibiotics, antiseptics, chemotherapeutics
    • A61P31/12Antivirals
    • A61P31/14Antivirals for RNA viruses
    • A61P31/16Antivirals for RNA viruses for influenza or rhinoviru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7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 C07D471/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e nitrogen atom, not provided for by groups C07D451/00 - C07D463/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71/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95/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 C07D495/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495/04Ortho-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9/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more than one system of two or more relevant hetero rings condensed among themselves or condensed with a common carbocyclic ring system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53/00 or C07D455/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Vir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Communicable Diseases (AREA)
  • Onc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Nitrogen Condensed Heterocyclic Rings (AREA)
  • Nitrogen And Oxygen Or Sulfur-Condensed Heterocyclic Ring System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복제의 억제제인 소정 부류의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이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의 치료에서 이러한 화합물 및 이의 약학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복제의 억제제 및 이의 용도
관련 출원
본원은 2016년 12월 15일자로 중국 특허청에 출원된 중국 특허출원 제201611158754.5호(이의 전문은 본원에 참조로 혼입됨)를 우선권 주장한다.
기술분야
본 발명은 의학 분야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복제 억제제로서 사용되는 신규한 화합물, 이의 제조 방법, 이러한 화합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 및 인플루엔자 치료에 있어서 이러한 화합물 및 약학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화합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RNA 중합효소의 억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다.
인플루엔자(이하, 플루로서 지칭됨)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되며 높은 유병률, 광범위하고 빠른 전파가 특징적인, 급성 호흡기 감염 질환으로, 인간 건강에 유해하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면역계가 약한 노인과 어린이, 그리고 폐렴 또는 심폐 부전과 같이 면역약화된 환자들에서 심각한 증상들을 야기할 수 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H1N1로 지칭한 영국인 윌슨 스미스에 의해 최초로 발견되었다. H는 혈구응집소를 나타내고; N은 뉴라미다제를 나타내며; 숫자는 상이한 타입을 표시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발견된 이래로 여러번 대유행을 일으켰으며,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발병은 거의 10년 주기로 발생하여, 전세계적으로 상당한 손실을 초래한다. 인플루엔자는 전세계적으로 매년 발생을 전파하여, 사망자 약 25만명 내지 50만명과 중증 질환 사례 약 300만건 내지 500만건이 발생하고 있으며, 전세계적으로 인구의 전체 약 5% 내지 15%가 감염된다. 매번 대유행은 인간에서 새로운 균주의 출현이 원인이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새로운 균주는 기존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가 다른 동물 종에서 인간에게로 전파됨으로써 발생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오르토믹소비리대(orthomyxoviridae) 과,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속에 속하는 RNA 바이러스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비리온 핵 단백질(NP)과 기질 단백질(M)의 항원 특징 및 유전자 특징의 차이에 따라, A, B, C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이러한 3가지 유형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생화학적 특징과 생물학적 특징이 유사하다. 바이러스 입자는 직경이 80 내지 120 nm이며, 필라멘트 형태일 수도 있지만, 일반적으로 거의 구형이다. 바이러스는 3개의 층으로 구성되는 데, 내층은 핵 단백질(NP), P 단백질 및 RNA를 함유한 바이러스 뉴클레오캡시드이다. NP는 유형 특이성 및 항원 안정성을 가진 가용성 항원(S 항원)이다. P 단백질(P1, P2, P3)은 RNA 전사 및 복제에 필요한 중합효소일 수 있다. 바이러스의 중간 막은 지질 층과 막 단백질 층(MP)으로 구성되며, MP는 항원 안정성과 유형 특이성을 가지고 있다. 외층은 2종의 서로 다른 당단백질 돌기, 즉 헴어글루티닌(H) 및 뉴라미다제(N)로 이루어진 방사상 결절(radial tuber)이다. H는 민감성 세포 표면에 바이러스 흡착을 위한 도구로서 적혈구의 응집을 일으킬 수 있으며, N은, 점액 단백질과 세포 표면에 특이적인 당단백질 수용체의 말단에 위치한 N-아세틸뉴라민산을 가수분해할 수 있는, 바이러스 복제가 완료된 후 세포 표면에서 해리되기 위한 도구이다. H와 N 둘 다 변이 특징이 있으며, 균주 특이적인 항원을 가지고 있어, 이의 항체는 예방 효과를 가진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A는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 한 종이 있다. 야생 수생 조류(wild aquatic bird)가 매우 다양한 인플루엔자 A의 자연 숙주이다. 때때로, 바이러스는 다른 종으로 전파되어, 가축에 치명적인 질병을 유발하거나 인간 인플루엔자 유행을 야기할 수 있다. A형 바이러스는 3가지 유형의 인플루엔자들 중 가장 병독성이 높은 인간 병원체이며, 가장 심각한 질환을 야기하며, 다른 종으로 전파되어 인간 인플루엔자 유행을 유발할 수 있다.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는 이들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 반응을 토대로 여러가지 혈청형으로 세분할 수 있다. 인간에서 확증된 혈청형은, 확인된 인간 유행성 사망자 수로 순위를 매겼을 때, 1918년 스페인 독감을 유발한 H1N1; 1957년에 아시아 독감을 유발한 H2N2; 1968년 홍콩 독감을 유행시킨 H3N2; 2007 내지 2008년 인플루엔자 시즌에 유행성 위협을 야기한 H5N1; 희귀한 동물원성 감염 가능성(zoonotic potential)을 가진 H7N7; 인간 및 돼지에서 유행한 H1N2; H9N2; H7N2; H7N3; 및 H10N7이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B로는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 한 종이 있으며, 이는 국지적인 유행성 인플루엔자를 유발하지만, 인플루엔자 대유행은 유발하지 못한다. 인플루엔자 B 감염에 감수성인 것으로 알려진 유일한 동물이 사람과 바다표범이다. 이 타입의 인플루엔자는 A형보다 2 내지 3배 천천히 변이가 발생하며, 그래서 유전자 다양성이 낮고, 인플루엔자 B 혈청형도 한가지뿐이다. 인플루엔자 B에 대한 일정 수준의 면역성은, 항원 다양성 부족으로 인해, 일반적으로 어린 나이에 획득된다. 그러나, 인플루엔자 B는 지속적인 면역이 가능하지 않을 정도로 변형된다. 이러한 항원 변화 속도 저하가, 제한된 숙주 범위(교차 종의 항원 이동 억제)와 결합되어, 인플루엔자 B의 유행이 발생되지 않게 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C로는 인플루엔자 C 바이러스 한 종이 있으며, 이는 산발적인 형태로 존재하며, 일반적으로 어린이에게서 경미한 질병만 유발한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C는 일반적으로 인플루엔자 유행을 유발하지 못하며, 인간 및 돼지에 감염된다.
바이러스는 특이하게, 게놈이 하나의 조각으로 된 핵산이 아니며, 분절화된 (-) 센스 RNA 조각 7개 또는 8개를 가지고 있다.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의 게놈은 단백질 11종을 코딩한다: 헴어글루티닌(H), 뉴라미다제(N), 핵 단백질(NP), M1, M2, NS1, NS2(NEP), PA, PB1(중합효소 베이직 1), PB1-F2 및 PB2. 헴어글루티닌(H) 및 뉴라미다제(N)는 바이러스 입자의 외측에 존재하는 2개의 큰 당단백질이다. HA는 바이러스의 타겟 세포에의 결합과 바이러스 게놈의 타겟 세포로의 도입을 매개하는 렉틴이고, NA는 성숙한 바이러스 입자에 결합하는 당을 절단함으로써 감염된 세포에서 후대 바이러스를 방출하는 데 관여한다. 즉, 이들 단백질이 항바이러스제의 표적이다. 또한, 이들 단백질은 항체를 생성시킬 수 있는 항원이다. 인플루엔자 A 바이러스는 H 및 N에 대한 항체 반응을 토대로 서브타입들로 분류된다. 이러한 HA 및 NA의 여러가지 타입들은, 예를 들어 H5N1과 같이, H 및 N 차이에 따라 구성된다.
백신 접종과 항-바이러스제의 사용이 인플루엔자 유행에 대응하는 중요한 도구이다. 독감 바이러스 항원의 높은 돌연변이율로 인해, 백신을 인플루엔자 유행 전에 대량 생산할 수 없다. 인플루엔자에 대해 사용되는 2가지 유형의 항바이러스제는 M2 단백질 억제제(아만타딘(amantadine) 및 리만타딘(rimantadine)) 및 뉴라미다제 억제제(오셀타미비르(oseltamivir), 자나미비르(zanamivir), 페라미비르(peramivir) 및 라니나미비르(laninamivir))이다. 그러나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는 이들 약물 모두에 약물 내성을 나타낸다. 따라서, 새로운 항-인플루엔자 치료제에 대한 지속적인 요구가 존재하고 있다.
새로운 기전을 가진 새로운 항-바이러스제로서 파비피라비르(favipiravir)가 출시되었으며, 이는 바이러스 유전자 복제 억제를 표적으로 하기 위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NA 중합효소를 억제함으로써 항-바이러스 작용을 수행하지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한 치료학적 효과 및 약물 내성은 여전히 입증이 필요한 실정이다. 따라서, 이러한 기전의 항-인플루엔자 제제로서 또 다른 화합물에 대한 연구가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NA 중합효소 억제제로서 사용되는 새로운 유형의 화합물을 개시한다. 이 화합물 및 이의 조성물은 환자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거나 관리하거나 치료하거나 완화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한 양상에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01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및 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부 양태에서, 각각의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H, D, F, Cl, Br, CN, NO2, -C(=O)Ra, -C(=O)ORb, -C(=O)NRcRd, ORb, -NRcRd, RbO-C1-4 알킬렌, RdRcN-C1-4 알킬렌, C1-6 알킬, C2-6 알켄일 또는 C2-6 알킨일이거나,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3-6 탄소환형 고리, 5- 또는 6-원 헤테로환형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이때 각각의 C1-6 알킬,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6 탄소환형 고리, 5- 또는 6-원 헤테로환형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및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는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ORb, -NRcRd, C1-6 알킬, C1-6 할로알킬, RbO-C1-4 알킬렌 및 RdRcN-C1-4 알킬렌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4는 ORb, -NRcRd, C2-6 알킬,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12 카보사이클릴, C3-12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6-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6-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이때 각각의 C2-6 알킬,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12 카보사이클릴, C3-12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6-원 헤테로아릴 및 (5- 내지 16-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은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5는 H, D, F, Cl, Br, CN, NO2, -C(=O)Ra, -C(=O)ORb, -C(=O)NRcRd, ORb, -NRcRd, RbO-C1-4 알킬렌, RdRcN-C1-4 알킬렌, C1-6 알킬,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12 사이클로알킬, C3-12 사이클로알킬-C1-4 알킬렌,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이때 각각의 C1-6 알킬,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12 사이클로알킬, C3-12 사이클로알킬-C1-4 알킬렌,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및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은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거나,
R4 및 R5는, 이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3-12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12-원 헤테로환형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이때 각각의 C3-12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12-원 헤테로환형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및 5- 내지 10-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는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각각의 R'는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Rb, -NRcRd, RbO-C1-4 알킬렌, RdRcN-C1-4 알킬렌, Ra-C(=O)-O-C1-4 알킬렌-O-C1-4 알킬렌, RbO-C(=O)-O-C1-4 알킬렌-O-C1-4 알킬렌, -C(=O)Ra, -C(=O)ORb, -C(=O)NRcRd, C1-12 알킬, C1-6 할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C1-4 알킬렌,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이때 각각의 C1-12 알킬, C1-6 할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C1-4 알킬렌,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및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은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Rb, -NRcRd, C1-6 알킬, C1-6 할로알킬, RbO-C1-4 알킬렌 및 RdRcN-C1-4 알킬렌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6은 H, D 또는 C1-6 알킬이고, 이때 C1-6 알킬은 임의적으로 D, F, Cl, Br, CN, NO2 및 ORb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W는 C1-8 알킬, C3-12 카보사이클릴 또는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때 각각의 C1-8 알킬, C3-12 카보사이클릴 및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은 독립적으로 1, 2, 3 또는 4개의 Rw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각각의 Rw는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옥소(=O), -C(=O)Ra, -C(=O)ORb, -C(=O)-O-C1-4 알킬렌-O-C(=O)-ORb, -C(=O)NRcRd, -NReC(=O)Ra, -NReC(=O)NRcRd, -S(=O)2Rf, -S(=O)2NReC(=O)Ra, -S(=O)2NRcRd, (RbO)2P(=O)-C0-2 알킬렌, ORb, RbO-C1-2 알킬렌, RdRcN-C1-2 알킬렌, C1-6 알킬,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때 각각의 C1-6 알킬,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및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은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3, 옥소(=O), NO2, ORb, C1-6 알킬 및 C1-6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각각의 Ra, Rb, Rc, Rd, Re 및 Rf는 독립적으로 H, D, 하이드록시, C1-6 할로알킬, C1-6 알킬, n-헵틸, C1-6 알콕시,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6 카보사이클릴, C3-6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이때 각각의 C1-6 알킬, n-헵틸, C1-6 알콕시,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6 카보사이클릴, C3-6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및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은 독립적으로 D, F, Cl, CN, OH, NH2,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거나,
Rc 및 Rd는,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5- 내지 8-원 헤테로아릴이고, 각각의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및 5- 내지 8-원 헤테로아릴은 독립적으로 D, F, Cl, CN, OH, NH2,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02
상기 식에서,
A, R1, R2, R3, R6, R', q 및 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A는 C3-12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이고; q는 0, 1, 2, 3, 4 또는 5이다.
다른 양태에서, 각각의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H, D, F, Cl, Br, CN, NO2, -C(=O)Ra, -C(=O)ORb, -C(=O)NRcRd, ORb, -NRcRd,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i-프로필이거나,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5-6 탄소환형 고리, 5- 또는 6-원 헤테로환형 고리, 벤젠 고리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이때 각각의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C5-6 탄소환형 고리, 5- 또는 6-원 헤테로환형 고리, 벤젠 고리 및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는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ORb, -NRcRd 및 C1-3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R4는 ORb, -NRcRd, C2-4 알킬, C2-4 알켄일, C2-4 알킨일, C3-6 카보사이클릴, C3-6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이때 각각의 C2-4 알킬, C2-4 알켄일, C2-4 알킨일, C3-6 카보사이클릴, C3-6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및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은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5는 H, D, F, Cl, Br, CN, NO2, -C(=O)Ra, -C(=O)ORb, -C(=O)NRcRd, ORb, -NRcRd, C1-3 알킬, C2-4 알켄일, C2-4 알킨일, C3-6 사이클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C1-4 알킬렌,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이때 각각의 C1-3 알킬, C2-4 알켄일, C2-4 알킨일, C3-6 사이클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C1-4 알킬렌,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및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거나,
R4 및 R5는, 이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3-6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6-원 헤테로환형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이때 각각의 C3-6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6-원 헤테로환형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및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는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각각의 R'는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Rb, -NRcRd, Ra-C(=O)-O-C1-2 알킬렌-O-C1-2 알킬렌, RbO-C(=O)-O-C1-2 알킬렌-O-C1-2 알킬렌, -C(=O)Ra, -C(=O)ORb, -C(=O)NRcRd, C1-9 알킬, C1-3 할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페닐, 페닐-C1-2 알킬렌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이고, 이때 각각의 C1-9 알킬, C1-3 할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페닐, 페닐-C1-2 알킬렌 및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은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Rb, -NRcRd,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i-프로필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각각의 R'는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Rb, -NRcRd,
Figure 112019071341718-pct00003
, -C(=O)Ra, -C(=O)ORb, -C(=O)NRcRd,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다이플루오로메틸, 모노플루오로메틸, 2,2-다이플루오로에틸, 1,2-다이플루오로에틸, 트라이플루오로에틸, 1-플루오로에틸, 2-플루오로에틸, 사이클로프로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엔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아피란일, 피페리딜, 모폴린일, 티오모폴린일, 피페라진일, 페닐, 페닐-C1-2 알킬렌, 퓨릴, 벤조퓨란일, 피롤릴, 피리딘일,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엔일, 벤조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또는 피리미딘일이고, 이때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다이플루오로메틸, 모노플루오로메틸, 2,2-다이플루오로에틸, 1,2-다이플루오로에틸, 트라이플루오로에틸, 1-플루오로에틸, 2-플루오로에틸, 사이클로프로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엔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아피란일, 피페리딜, 모폴린일, 티오모폴린일, 피페라진일, 페닐, 페닐-C1-2 알킬렌, 퓨릴, 벤조퓨란일, 피롤릴, 피리딘일,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엔일, 벤조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및 피리미딘일은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H, -NH2,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i-프로필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R6은 H, D, CF3,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i-프로필이다.
다른 양태에서, W는 C1-6 알킬, C5-8 카보사이클릴 또는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때 각각의 C1-6 알킬, C5-8 카보사이클릴 및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은 독립적으로 1, 2, 3 또는 4개의 Rw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Rw는 D, F, Cl, Br, CN, NO2, 옥소(=O), -C(=O)OCH3, -C(=O)OCH2CH3, -C(=O)OCH2CH2CH2CH3, -C(=O)O(CH2)6CH3, -C(=O)OH,
Figure 112020114581703-pct00004
, -C(=O)NRcRd, -NHC(=O)Ra, -NHC(=O)NRcRd, -S(=O)2Rf, -S(=O)2NHC(=O)Ra, -S(=O)2NRcRd, (RbO)2P(=O)-C0-2 알킬렌, ORb,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퓨릴, 피롤릴, 피리딜,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딜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때 각각의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퓨릴, 피롤릴, 피리딜,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딜 및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은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3, 옥소(=O), NO2, -OCH3, C1-3 알킬 및 C1-3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각각의 Ra, Rb, Rc, Rd, Re 및 Rf는 독립적으로 H, D, 하이드록시,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틸, 에틸, i-프로필, n-프로필, n-부틸, t-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메톡시, 에톡시, C3-6 카보사이클릴,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페닐,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이때 각각의 메틸, 에틸, i-프로필, n-프로필, n-부틸, t-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메톡시, 에톡시, C3-6 카보사이클릴,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페닐,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및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은 독립적으로 D, F, Cl, CN, OH, NH2, C1-3 알킬, C1-3 할로알킬 및 메톡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거나, Rc 및 Rd는,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이고, 이때 각각의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및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은 독립적으로 D, F, Cl, CN, OH, NH2, C1-3 알킬, C1-3 할로알킬 및 메톡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A는 C3-6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6-원 헤테로환형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이다.
다른 양태에서, R4는 ORb, -NRcRd, 에틴일, 프로핀일, C3-6 카보사이클릴, 피롤리딘일, 피라졸리딘일, 이미다졸리딘일, 테트라하이드로퓨릴, 테트라하이드로티엔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피페리딘일, 모폴린일, 티오모폴린일, 피페라진일, 페닐, 나프틸, 퓨릴, 벤조퓨릴, 피롤릴, 피리딜,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아다이아졸릴, 티엔일, 벤조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딘일, 인돌일, 퓨린일, 퀴놀릴, 이소퀴놀릴, 페녹사티인일,
Figure 112019071341718-pct00005
이고, 이때 각각의 에틴일, 프로핀일, C3-6 카보사이클릴, 피롤리딘일, 피라졸리딘일, 이미다졸리딘일, 테트라하이드로퓨릴, 테트라하이드로티엔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피페리딘일, 모폴린일, 티오모폴린일, 피페라진일, 페닐, 나프틸, 퓨릴, 벤조퓨릴, 피롤릴, 피리딜,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아다이아졸릴, 티엔일, 벤조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딘일, 인돌일, 퓨린일, 퀴놀릴, 이소퀴놀릴, 페녹사티인일,
Figure 112019071341718-pct00006
는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5는 H, D, F, Cl, Br, CN, NO2, 메틸, 에틸 또는 i-프로필이거나,
R4 및 R5는, 이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3-6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6-원 헤테로환형 고리, 벤젠, 나프탈렌, 퓨란, 벤조퓨란, 피롤, 피리딘, 피라졸,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라이아졸, 테트라졸, 옥사졸, 옥사다이아졸, 1,3,5-트라이아진, 티아졸, 티오펜, 벤조티오펜, 피라진, 피리다진, 피리미딘, 인돌, 퓨린,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을 형성하고, 이때 각각의 C3-6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6-원 헤테로환형 고리, 벤젠, 나프탈렌, 퓨란, 벤조퓨란, 피롤, 피리딘, 피라졸,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라이아졸, 테트라졸, 옥사졸, 옥사다이아졸, 1,3,5-트라이아진, 티아졸, 티오펜, 벤조티오펜, 피라진, 피리다진, 피리미딘, 인돌, 퓨린, 퀴놀린 및 이소퀴놀린은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A는 C3-6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6-원 헤테로환형 고리, 벤젠, 나프탈렌, 퓨란, 벤조퓨란, 피롤, 피리딘, 피라졸,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라이아졸, 테트라졸, 옥사졸, 옥사다이아졸, 1,3,5-트라이아진, 티아졸, 티오펜, 벤조티오펜, 피라진, 피리다진, 피리미딘, 인돌, 퓨린,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이다.
다른 양태에서, W는 하기 하위-화학식 중 하나이다:
Figure 112019071341718-pct00007
상기 식에서,
n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n은 0, 1, 2, 3 또는 4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I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08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V]
Figure 112019071341718-pct00009
상기 식에서,
A, R1, R2, R3, R', q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V]
Figure 112019071341718-pct00010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V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V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11
상기 식에서,
A, R1, R2, R3, R', q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V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VI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12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V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VII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13
상기 식에서,
A, R1, R2, R3, R', q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X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X]
Figure 112019071341718-pct00014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X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X]
Figure 112019071341718-pct00015
상기 식에서,
A, R1, R2, R3, R', q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X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X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16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X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XI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17
상기 식에서,
A, R1, R2, R3, R', q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X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XII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18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X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XIV]
Figure 112019071341718-pct00019
상기 식에서,
A, R1, R2, R3, R', q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상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보조제, 비히클 또는 이들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약학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치료제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제 또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이다.
다른 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액체, 고체, 반-고체, 겔 또는 스프레이 형태이다
다른 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에서, 치료제는 아만타딘, 리만타딘, 오셀타미비르, 자나미비르, 페라미비르, 라니나미비르, 라니나미비르 옥타노에이트 수화물, 파비피라비르, 아르비돌, 리바비린, 스타키플린, 인가비린, 플루다제, CAS 번호 1422050-75-6, JNJ-872, AL-794, 인플루엔자 백신[플루미스트 콰드리발런트(FluMist Quadrivalent: 등록상표), 플루아릭스(Fluarix: 등록상표) 콰드리발런트, 플루존(Fluzone: 등록상표) 콰드리발런트, 플루셀박스(Flucelvax: 등록상표) 또는 플루블록(FluBlok: 등록상표)]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또는 질병을 예방하거나 관리하거나 치료하거나 완화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바이러스 감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NA 중합효소를 억제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또는 질병을 예방하거나 관리하거나 치료하거나 완화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바이러스 감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NA 중합효소를 억제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치료 효과량의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대상에게 투여함을 포함하는, 대상에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또는 질병을 예방하거나 관리하거나 치료하거나 완화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바이러스 감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이다.
다른 양상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NA 중합효소를 억제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모든 입체 이성질체, 기하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용매화물, 수화물, 대사산물, 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전구약물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한 양태에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은, 물질 또는 조성물이 제형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들과 화학적으로 및/또는 독성적으로 혼용가능하여야 하고/거나, 포유동물을 이것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또한 이로부터 형성된 염을 포함하고, 이러한 염은 반드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및/또는 정제 및/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분리하기 위한 중간체로서 유용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이의 염을 비롯하여, 수화물 형태로 수득할 수 있거나 이의 결정화에 사용되는 다른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선천적으로 또는 설계상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물 포함)와 용매화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용매화된 형태와 비-용매화된 형태를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여러 개의 비대칭 중심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일반적으로 지칭되는 라세미체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또한, 전체 라세미체 혼합물, 라세미체 혼합물의 일부 및 분리에 의해 정제된 거울상 이성질체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 모두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회전 이성질체, 회전장애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의 가능한 이성질체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회전 이성질체, 회전장애 이성질체 등의 이성질체의 혼합물, 이성질체, 회전 이성질체, 회전장애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의 혼합물의 일부, 및 회전 이성질체, 회전장애 이성질체, 분리를 통해 정제된 호변 이성질체 등의 이성질체는 본 발명의 일부를 구성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이 동위원소 농축 화합물, 예를 들어, 3H, 14C 및 18F와 같은 방사성 동위원소 또는 2H 및 13C와 같은 비-방사성 동위원소가 존재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I의 화합물을 제조, 분리 또는 정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전술한 내용들은 주로 본원에 개시된 특정 양상을 요약 개시한 것이며, 사실상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양상과 다른 양상 및 양태는 아래에서 보다 충분히 설명된다.
일반적인 용어의 정의
이제 본원에 개시된 특정 양태가 상세히 기술될 것이며, 그 예는 첨부된 구조와 식으로 예시된다. 본 발명은 본원에 걔시된 범주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대안, 변형 및 균등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는 본원에 언급된 실무에 사용될 수 있는, 본원에 기재된 것들과 유사하거나 등가의 다수 방법들과 물질들을 인지할 것이다. 본 발명은 어떠한 방식으로도 본원에 기재된 방법 및 물질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원에 포함된 문헌, 특허 및 유사 매체들 중 하나 이상이, 비제한적인 예컨대, 정의된 용어, 용어 사용, 기술된 기법 등을 비롯하여 본원과 다르거나 상반될 경우에는, 본원이 우선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일부 특징들은 명확하게 나타내기 위해 별도의 양태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 또한 하나의 양태로 조합되어 제공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반대로,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들이 간결하게 나타내기 위해 하나의 양태로 기술되어 있지만, 이 역시 각각 분리되거나 임의의 적합한 하위-조합으로도 제공될 수 있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 개시된 모든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는 의미와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본원에 언급된 모든 특허 및 간행물들은 그 전체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원에서, 달리 기재되지 않는 한, 하기 정의들이 적용될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 상, 화학원소는 원소 주기율표, CAS 버전, 및 문헌[Handbook of Chemistry and Physics, 75 th Ed. 1994]에 따라 식별된다. 또한, 유기 화학의 일반적인 원리는 문헌[Sorrell et al., "Organic Chemistry", University Science Books, Sausalito: 1999] 및 문헌["March's Advanced Organic Chemistry", by Michael B. Smith and Jerry March, John Wiley & Sons, New York: 2007]에 기술되어 있으며, 이들 문헌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원에서, 용어 "대상"은 동물을 지칭한다. 전형적으로, 동물은 포유동물이다. 대상은 또한 영장류(예컨대, 인간), 소, 양, 염소, 말, 개, 고양이, 토끼, 래트, 마우스, 어류, 조류 등을 지칭한다. 특정 양태에서, 대상은 영장류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대상은 인간이다.
용어 "대상"은 본 발명에서 "환자"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대상" 및 "환자"는 동물(예컨대, 닭, 메추라기 또는 칠면조와 같은 조류 또는 포유동물), 특히 비-영장류(예컨대, 소, 돼지, 말, 양, 토끼, 기니아피그, 래트, 개, 고양이 및 마우스) 및 영장류(예컨대, 원숭이, 침팬지 및 인간) 등의 포유동물, 보다 구체적으로는 인간을 의미한다. 일부 양태에서, 대상은 인간을 제외한 동물, 예를 들어, 가축(예컨대, 말, 소, 돼지 또는 양) 또는 애완동물(예컨대, 개, 고양이, 기니아피그 또는 토끼)이다. 다른 양태에서, "환자"는 인간을 의미한다.
또한, 본원에 주어진 임의의 식은 화합물의 동위원소 비-강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동위원소 강화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동위원소 강화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원자가 선택한 원자량 또는 질량수를 가진 원자로 치환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원에 주어진 식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병합될 수 있는 동원원소의 예로는 수소, 탄소, 질소, 산소, 인, 황, 불소 및 염소의 동위원소, 예를 들어 2H, 3H, 13C, 14C, 15N, 16O, 17O, 31P, 32P, 36S, 18F 및 37Cl 등을 각각 포함한다.
전술한 동위원소 또는 다른 원소의 동위원소를 포함하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적 염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부 동위원소-표지된 화합물, 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원소, 예를 들어 3H 또는 14C가 병합된 화합물은 약물 및/또는 물질의 조직 분포 분석에 유용하다. 삼중수소화된, 즉, 3H 및 탄소-14, 즉, 14C와 같은 동위원소는 제조 및 검출 용이성으로 인해 바람직하다. 나아가, 헤비 동위원소로의 치환, 특히 중수소(즉, 2H 또는 D)로 치환하면 대사 안정성 증가, 예컨대 생체내 반감기 증가, 필요 용량 저하 또는 치료학적 인덱스 개선으로 인해 일부 치료학적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즉, 헤비 동위원소가 어떤 경우에는 바람직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되는 입체화학적 정의 및 규약은 일반적으로 문헌[S. P. Parker, Ed., McGraw-Hill Dictionary of Chemical Terms (1984) McGraw-Hill Book Company, New York] 및 문헌[Eliel, E. and Wilen, S., "Stereochemistry of Organic Compounds", John Wiley & Sons, Inc., New York, 1994]에 기술된 정의를 따른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비대칭 중심 또는 키랄 중심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여러가지 입체 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모든 입체 이성질체 형태, 비제한적으로, 부분입체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회전장애 이성질체뿐만 아니라 라세미체 혼합물과 같은 이들의 혼합물 역시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수많은 유기 화합물들이 광학 활성 형태로 존재하며, 즉, 이들은 평면-편광의 평면을 회전시키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광학 활성 화합물을 기술하는 데 있어서, 접두사 DL, 또는 RS가 이의 키랄 중심에 대한 분자의 절대 배위를 나타내는 데 사용된다. 접두사 d 1 또는 (+) 및 (-)는 화합물에 의한 평면-편광의 회전 신호를 나타내는 데 사용되며, (-) 또는 l은 화합물이 좌선성임을 나타낸다. 접두사 (+) 또는 d가 표시된 화합물은 우선성이다. 특정 입체 이성질체는 또한 거울상 이성질체로도 지칭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이성질체들의 혼합물을 보통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이라 한다. 특정 입체 이성질체는 또한 거울상 이성질체로 지칭될 수 있고, 이러한 이성질체들의 혼합물을 보통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이라 한다. 거울상 이성질체들의 50:50 혼합물을 라세미체 혼합물 또는 라세미체라 하며, 이는 화학 반응 또는 공정에서 입체선택성 또는 입체특이성이 없는 경우에 생길 수 있다.
출발 물질과 공정의 선택에 따라, 화합물은, 비대칭 탄소 원자의 갯수에 따라, 가능한 입체 이성질체 형태들 중 한가지의 형태이거나 이들의 혼합물 형태로, 예를 들어 라세미체 및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로 존재할 수 있다. 광학 활성 (R)-이성질체 및 (S)-이성질체는 키랄 신톤(synthon) 또는 키랄 반응제를 이용하여 제조하거나 통상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분리할 수 있다. 화합물에 이중 결합이 있는 경우, 치환은 E 또는 Z 배위일 수 있다. 화합물이 2치환된 사이클로알킬을 포함하는 경우, 사이클로알킬 치환기는 시스 또는 트랜스-배위를 가질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비대칭 또는 키랄 중심을 포함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여러가지 입체 이성질체로 존재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모든 입체 이성질체 형태, 비제한적으로, 부분입체 이성질체, 거울상 이성질체, 회전장애 이성질체 및 기하(또는 구조) 이성질체뿐만 아니라 라세미체 혼합물과 같은 이들의 혼합물 역시 본 발명의 일부를 형성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 개시된 식은 또한 모든 이성질체(예컨대, 거울상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회전장애 이성질체 및 기하(구조); 예를 들어, 모든 (R)- 및 (S)-이성질체, 이중 결합에 대한 (Z) 및 (E) 이성질체, (Z) 및 (E) 형태 이성질체를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하나의 입체화학 이성질체뿐만 아니라 거울상 이성질체 혼합물, 부분입체 이성질체 혼합물, 또는 기하 이성질체의 혼합물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용어 "호변 이성질체" 또는 "호변 이성질체 형태"는 낮은 에너지 장벽을 통해 상호변환가능한 상이한 에너지를 가진 구조 이성질체를 의미한다. 호변 이성질화가 (예컨대, 용매 중에서) 발생가능한 경우, 호변 이성질체들 간의 화학적 평형을 이룰 수 있다. 예를 들어, 양성자 호변 이성질체(양성자성 호변 이성질체로도 알려짐)는 케토-에놀 및 이민-엔아민 이성질화와 같은 양성자의 이동을 통한 상호변환을 포함한다. 원자가 호변 이성질체는 결합된 전자들의 일부 재조직화에 의한 상호변환을 포함한다. 케토-에놀 호변 이성질화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펜탄-2,4-다이온과 4-하이드록시펜트-3-엔-2-온 호변 이성질체 간의 상호변환이다. 호변 이성질화에 대한 다른 예는 페놀-케토 간의 호변 이성질화이다. 페놀-케토 호변 이성질화에 대한 구체적인 예는 피리딘-4-올과 피리딘-4(1H)-온 간의 호변 이성질화이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에 대한 모든 호변 이성질체 형태들이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N-옥사이드"는 질소 원자 1개 이상이 산화되어 N-옥사이드를 형성한 것을 의미하며, 이때 화합물은 수개의 아민 작용기를 포함한다. N-옥사이드에 대한 구체적인 예로는 질소-함유 헤테로사이클의 질소 원자 또는 3차 아민의 N-옥사이드가 있다. N-옥사이드는 해당 아민에 과산화수소 또는 과-산(예컨대, 퍼옥시카복실산)을 처리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문헌[Advanced Organic Chemistiy, by Jerry March, 4th Edition, Wiley Interscience, pages] 참조). 보다 구체적으로는, N-옥사이드는, 아민 화합물을 m-클로로퍼옥시벤조산(MCPBA)과, 예를 들어 다이클로로메탄 등의 불활성 용매 중에서 반응시키는 문헌[L. W. Deady, Syn. Comm. 1977, 7, 509-514]의 공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용매화물"은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와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로 된 조합 또는 복합체를 지칭한다. 용매화물을 형성하는 용매에 대한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이소프로판올, 에탄올, 메탄올, 다이메틸설폭사이드, 에틸 아세테이트, 아세트산 및 에탄올아민을 포함한다. 용어 "수화물"은 용매 분자가 물인 복합체를 지칭한다.
"대사산물"은 명시된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이 체내 대사를 통해 생성되는 산물이다. 화합물의 대사산물은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통상적인 기법을 이용하여 동정할 수 있으며, 이의 활성은 본원에 개시된 검사 등의 검사를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이러한 산물은, 투여된 화합물의, 예를 들어, 산화, 환원, 가수분해, 아미드화, 탈아미드화, 에스터화, 탈에스터화, 효소 절단 등으로 생길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충분한 시간 동안 포유동물과 접촉시킴으로써 생성되는 대사산물 등의,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에 대한 대사산물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유기 염 또는 무기 염을 지칭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당해 기술 분야에 잘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버지(S. M. Berge) 등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문헌[J. Pharmaceutical Sciences, 1977, 66: 1-19]에서 상세히 설명하고 있으며, 이는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무독성 염에 대한 일부 비제한적인 예로는, 염산, 브롬화수소산, 인산, 황산 및 과염소산과 같은 무기 산과 함께 형성되거나 아세트산, 옥살산, 말레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석신산 또는 말론산과 같은 유기 산과 함께 형성되거나 이온 교환과 같은 당업계에서 사용되는 다른 방법을 사용하여 형성되는, 아미노 기의 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는 아디페이트, 알기네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젠설포네이트, 벤조에이트, 바이설페이트, 보레이트, 부티레이트, 캄판산 염, 캄퍼설포네이트, 사이클로펜탄프로피오네이트, 다이글루코네이트, 도데실설페이트, 에탄설포네이트, 포름에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헵토네이트, 글리세로포스페이트, 글루코네이트, 헤미설페이트, 헵타노에이트, 헥사노에이트, 하이드로요오다이드, 2-하이드록시-에탄설포네이트, 락토바이오네이트, 락테이트, 라우레이트, 라우릴설페이트, 말레이트, 메탄설포네이트, 2-나프탈렌설포네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올리에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펙티네이트, 퍼설페이트, 3-페닐프로피오네이트, 피크레이트, 피발레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스테아레이트, 티오시아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운데카노에이트, 발레레이트 염 등이 있다. 적절한 염기로부터 유래되는 염으로는 알칼리 금속, 알칼리토 금속, 암모늄 및 N+(C1-4 알킬)4 염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임의의 염기성 질소-함유 기의 4차화도 포함한다. 이러한 4차화에 의해 물 또는 오일에 대한 용해성 또는 분산성 생성물을 수득할 수 있다. 대표적인 알칼리 염 또는 알칼리토 금속 염으로는 나트륨, 리튬, 칼륨, 칼슘, 마그네슘 등이 있다. 추가적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으로는, 적절할 경우, 무독성 암모늄, 4차 암모늄, 및 할라이드, 하이드록사이드, 카복실레이트, 설페이트, 포스페이트, 니트레이트, C1-8 설포네이트 또는 아릴 설포네이트와 같은 반대이온을 이용해 형성된 아민 양이온을 포함한다.
용어 "전구약물"은, 생체내에서 화학식 I의 화합물로 변환되는 화합물을 지칭한다. 이러한 변환은, 예를 들어, 전구약물 형태의 혈액 또는 조직 내에서 모 형태로의 혈중 가수분해 또는 효소적 변환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전구약물은, 예를 들어, 에스터 화합물일 수 있다. 전구약물로서 이용될 수 있는 몇가지 일반적인 에스터 화합물은 페닐 에스터, 지방족 (C1-C24) 에스터, 아실옥시메틸 에스터, 카보네이트, 카바메이트 및 아미노산 에스터 화합물들이다.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 기를 포함하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이의 전구약물 형태에서 그 위치가 아실화될 수 있다. 그외 전구약물 형태로는, 예를 들어, 모 화합물 상의 하이드록시 기의 포스폰화(phosphonation)로 인해 형성되는 포스페이트 화합물 등의 포스페이트 화합물을 포함한다. 전구약물에 대한 상세한 논의는 문헌[T. Higuchi and V. Stella, Pro-drugs as Novel Delivery Systems, Vol. 14 of the A.C.S. Symposium Series, Edward B. Roche, ed., Bioreversible Carriers in Drug Design, American Pharmaceutical Association and Pergamon Press, 1987], 문헌[J. Rautio et al., Prodrugs: Design and Clinical Applications, Nature Review Drug Discovery, 2008, 7, 255-270] 및 문헌[S. J. Hecker et al., Prodrugs of Phosphates and Phosphonates, Journal of Medicinal Chemistry, 2008, 51, 2328-2345]에 제공되며, 이들 문헌의 전체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된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임의의 비대칭 원자(예컨대, 탄소 등)는, 라세미체 또는 거울상 이성질체적으로 강화된 형태로, 예를 들어, (R)-, (S)- 또는 (R,S)-배위로 존재할 수 있다. 특정 양태에서, 각 비대칭 원자는 (R)- 또는 (S)-배위에서 50% 이상, 60% 이상, 70% 이상, 80% 이상, 90% 이상, 95% 이상 또는 99% 이상의 거울상 이성질체 과잉(enantiomeric excess)을 가진다. 화합물이 이중 결합을 가진 경우, 치환기는 시스-(Z) 또는 트랜스-(E) 배위일 수 있다.
따라서,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회전 이성질체, 회전장애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또는 이의 혼합물 등의 모든 가능한 이성질체 형태로, 즉, 실질적으로 순수한 기하(시스- 또는 트랜스-)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광학 이성질체(거울상 이성질체), 라세미체, 또는 이들의 혼합물의 형태로 존재할 수 있다.
입체 이성질체들로 된 임의의 수득되는 혼합물은 구성 성분의 물리화학적 차이를 토대로 순수한 또는 실질적으로 순수한 기하 이성질체, 광학 이성질체, 부분입체 이성질체, 라세미체로, 예를 들어 크로마토그래피 및/또는 분별 결정화(fractional crystallization)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최종 생성물 또는 중간체인 임의의 수득되는 라세미체는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방법으로, 예를 들어 이의 부분입체 이성질체 염의 분리에 의해, 광학 대장체(optical antipode)로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라세미체 생성물은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예를 들어, 키랄 흡착제를 이용한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에 의해 분리할 수 있다. 또한, 바람직한 거울상 이성질체는 비대칭적인 합성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문헌[Jacques, et al., Enantiomers , Racemates and Resolutions (Wiley Interscience, New York, 1981); Principles of Asymmetric Synthesis (2nd Ed. Robert E. Gawley, Jeffrey Aube, Elsevier, Oxford, UK, 2012)]; 문헌[Eliel, E.L. Stereochemistry of Carbon Compounds (McGraw-Hill, NY, 1962)]; 문헌[Wilen, S.H. Tables of Resolving Agents and Optical Resolutions p. 268 (E.L. Eliel, Ed., Univ. of Notre Dame Press, Notre Dame, IN 1972)]을 참조한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임의적으로 하기에 일반적으로 예시되거나 본 발명의 특정 클래스, 서브클래스 및 종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임의적으로 치환된"이라는 표현은 "치환되거나 비치환된"이라는 표현과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용어 "임의적인" 또는 "임의적으로"는 뒤에 기술된 경우 또는 상황이 반드시 발생하는 것은 아니지만 발생할 수 있으며, 경우 또는 상황이 발생한 경우와 발생하지 않은 경우를 기술하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적으로, 용어 "임의적으로"가 용어 "치환된" 앞에 오거나 그렇지 않은 경우, 용어 "치환된"은 명시된 치환기의 라디칼로 주어진 구조내 하나 이상의 수소 라디칼의 치환 또는 비치환을 의미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임의적으로 치환되는 기는 각 치환가능한 기 위치에서 치환기를 가질 수 있다. 주어진 구조에서 2곳 이상의 위치가 특정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2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는 경우, 치환기는 각 위치에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이때, 치환기는, 비제한적으로, D, F, Cl, Br, CN, N3, OH, NH2, NO2, 옥소(=O), -C(=O)Ra, -C(=O)ORb, -C(=O)NRcRd, -NReC(=O)Ra, -S(=O)2Rf, -S(=O)2NReC(=O)Ra, -S(=O)2NRcRd, (RbO)2P(=O)-C0-2 알킬렌, ORb, -NRcRd, RbO-C1-4 알킬렌, RdRcN-C1-4 알킬렌, Ra-C(=O)-O-C1-4 알킬렌-O-C1-4 알킬렌, RbO-C(=O)-O-C1-4 알킬렌-O-C1-4 알킬렌, -C(=O)-O-C1-4 알킬렌-O-C(=O)-ORb, C1-12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C1-6 알킬아미노,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12 사이클로알킬, C3-12 사이클로알킬-C1-4 알킬렌, C3-12 카보사이클릴, C3-12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6-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6-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각각의 Ra, Rb, Rc, Rd, Re 및 Rf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또한, 설명이 필요한 부분은, 표현 "각각 ...은 독립적으로" 및 "각각의 ... 및 ...은 독립적으로"가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광의의 범위로 이해되어야 하는 것이다. 동일한 기호로 표현된 구체적인 옵션들은 다른 군들에서 서로 독립적이거나 동일한 기호로 표현된 구체적인 옵션들은 동일 군들에서 서로 독립적이다.
본 명세서의 도처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치환기들이 군 또는 범위로 기술되어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군 및 범위에 속하는 구성원들로 된 각각의, 그리고 모든 개개 서브조합을 포괄하는 것으로 특히 의도된다. 예를 들어, 용어 "C1-6 알킬"은 메틸, 에틸, C3 알킬, C4 알킬, C5 알킬 및 C6 알킬을 각각 나타내는 것으로 명확하게 의도된다.
본 명세서의 도처에서, 연결 치환기(linking substituent)들이 언급된다. 구조에 명백하게도 연결기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그러한 기에 대해 열거된 마쿠쉬 타입의 변수들은 연결기인 것으로 이해된다. 예를 들어, 구조에 연결기가 필요하고, 마쿠쉬 타입의 이들 변수에 대한 정의에 "알킬" 또는 "아릴"이 열거되어 있다면, "알킬" 또는 "아릴"은 각각 연결성 알킬렌 기(linking alkylene group) 또는 연결성 아릴렌 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용어 "알킬" 또는 "알킬기"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의 포화된 직쇄 또는 분지쇄의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알킬 기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알킬 기는 1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알킬 기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알킬 기는 1 내지 9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알킬 기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알킬 기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알킬 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알킬 기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알킬 기에 대한 일부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틸(Me, -CH3), 에틸(Et, -CH2CH3), n-프로필(n-Pr, -CH2CH2CH3), 이소프로필(i-Pr, -CH(CH3)2), n-부틸(n-Bu, -CH2CH2CH2CH3), 이소부틸(i-Bu, -CH2CH(CH3)2), sec-부틸(s-Bu, -CH(CH3)CH2CH3), t-부틸(t-Bu, -C(CH3)3), n-펜틸(-CH2CH2CH2CH2CH3), 2-펜틸(-CH(CH3)CH2CH2CH3), 3-펜틸(-CH(CH2CH3)2), 2-메틸-2-부틸(-C(CH3)2CH2CH3), 3-메틸-2-부틸(-CH(CH3)CH(CH3)2), 3-메틸-l-부틸(-CH2CH2CH(CH3)2), 2-메틸-l-부틸(-CH2CH(CH3)CH2CH3), n-헥실(-CH2CH2CH2CH2CH2CH3), 2-헥실(-CH(CH3)CH2CH2CH2CH3), 3-헥실(-CH(CH2CH3)(CH2CH2CH3)), 2-메틸-2-펜틸(-C(CH3)2CH2CH2CH3), 3-메틸-2-펜틸(-CH(CH3)CH(CH3)CH2CH3), 4-메틸-2-펜틸(-CH(CH3)CH2CH(CH3)2), 3-메틸-3-펜틸(-C(CH3)(CH2CH3)2), 2-메틸-3-펜틸(-CH(CH2CH3)CH(CH3)2), 2,3-다이메틸-2-부틸(-C(CH3)2CH(CH3)2), 3,3-다이메틸-2-부틸(-CH(CH3)C(CH3)3, n-헵틸 및 n-옥틸 등이 있다. 이때, 알킬 기는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용어 "알킬" 또는 접두어 "알크-"는 직쇄 및 분지쇄의 포화 탄소 쇄를 모두 포괄한다.
용어 "알킬렌"은 직쇄 또는 분지쇄의 포화된 탄화수소에서 2개의 수소 원자의 제거에 의해 유래되는 포화된 2가 탄화수소 기를 지칭한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알킬렌 기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알킬렌 기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알킬렌 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알킬렌 기는 1 또는 2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알킬렌 기는 메틸렌(-CH2-), 에틸렌(-CH2CH2-), 이소프로필렌(-CH(CH3)CH2-) 등으로 예시된다. 이때, 알킬렌 기는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본원에 개시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용어 "알켄일"은 하나 이상의 불포화된 탄소-탄소 이중 결합(sp2)을 가진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또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또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직쇄 또는 분지쇄 1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하며, 알켄일 라디칼은 독립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적으로 치환될 수 있으며, "시스" 및 "트랜스" 배위 또는 다른 예로 "E" 및 "Z" 배위를 가진 라디칼을 포함한다. 알켄일 기의 구체적인 예는, 비제한적으로, 비닐(-CH=CH2), 알릴(-CH2CH=CH2) 등을 포함한다.
용어 "알킨일"은 하나 이상의 불포화 부위, 즉 탄소-탄소, sp 삼중 결합을 가진 2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 2 내지 8개의 탄소 원자, 또는 2 내지 6개의 탄소 원자, 또는 2 내지 4개의 탄소 원자의 직쇄 또는 분지쇄 일가 탄화수소 라디칼을 지칭하며, 알킨일 라디칼은 독립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알킨일 기의 구체적인 예는, 비제한적으로, 아세티닐(-C≡CH), 프로파길(-CH2C≡CH), 1-프로피닐(-C≡C-CH3) 등을 포함한다.
용어 "알콕시"는 산소 원자를 통해 주 분자 잔기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정의되는 알킬 기가 결합된 것을 의미한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알킬 기는 1 내지 2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알킬 기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알킬 기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알킬 기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알킬 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알킬 기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알콕시 기에 대한 일부 비제한적인 예로는, 메톡시(MeO, -OCH3), 에톡시(EtO, -OCH2CH3), 1-프로폭시(n-PrO, n-프로폭시, -OCH2CH2CH3), 2-프로폭시(i-PrO, i-프로폭시, -OCH(CH3)2), 1-부톡시(n-BuO, n-부톡시, -OCH2CH2CH2CH3), 2-메틸-l-프로폭시(i-BuO, i-부톡시, -OCH2CH(CH3)2), 2-부톡시(s-BuO, s-부톡시, -OCH(CH3)CH2CH3), 2-메틸-2-프로폭시(t-BuO, t-부톡시, -OC(CH3)3), 1-펜톡시(n-펜톡시, -OCH2CH2CH2CH2CH3), 2-펜톡시(-OCH(CH3)CH2CH2CH3), 3-펜톡시(-OCH(CH2CH3)2), 2-메틸-2-부톡시(-OC(CH3)2CH2CH3), 3-메틸-2-부톡시(-OCH(CH3)CH(CH3)2), 3-메틸-l-부톡시(-OCH2CH2CH(CH3)2), 2-메틸-l-부톡시(-OCH2CH(CH3)CH2CH3) 등이 있다. 이때, 알콕시 기는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용어 "할로알킬", "할로알켄일" 또는 "할로알콕시"는 각각 알킬 기, 알켄일 또는 알콕시 기가 경우에 따라 하나 이상의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것을 지칭한다. 일부 양태에서, 할로알킬 기는 1 내지 10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다른 양태에서, 할로알킬 기는 1 내지 8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다른 양태에서, 할로알킬 기는 1 내지 6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할로알킬 기는 1 내지 4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할로알킬 기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함유한다. 할로알킬 기 및 할로알콕시 기의 일부 비제한적인 예는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모노플루오로에틸, 트라이플루오로메톡시 등을 포함한다.
본원에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 용어 "카보사이클", "카보사이클릴", "탄소환형" 및 "탄소환형 고리"는 3 내지 14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갖고, 포화되거나 하나 이상의 불포화 단위를 함유하지만, 고리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방향족 고리가 없는 비-방향족 탄소환형 고리 시스템을 지칭한다. 일부 양태에서, 탄소 원자의 수는 3 내지 12개이고; 다른 양태에서, 탄소 원자의 수는 3 내지 10개이고; 다른 양태에서, 탄소 원자의 수는 3 내지 8개이고; 다른 양태에서, 탄소 원자의 수는 3 내지 6개이고; 다른 양태에서, 탄소 원자의 수는 5 또는 6개이고; 다른 양태에서, 탄소 원자의 수는 5 내지 8개이고; 다른 양태에서, 탄소 원자의 수는 6 내지 8개이다. "카보사이클릴"은 단환형, 이환형 또는 다환형 융합 고리, 스피로 고리 또는 가교된 고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이환형 카보사이클릴 기는 가교된 이환형 카보사이클릴, 융합된 이환형 카보사이클릴 및 스피로 이환형 카보사이클릴 기를 포함하며, 융합된 이환형 시스템은 2개의 인접 고리 원자를 공유한 2개의 고리를 포함한다. 가교된 이환형 기는 2, 3, 4 또는 5개의 인접 고리 원자를 공유한 2개의 고리를 포함한다. 스피로 이환형 시스템은 1개의 고리 원자를 공유한 2개의 고리를 포함한다. 지환족 기에 대한 일부 비제한적인 예로는 사이클로알킬, 사이클로알켄일 및 사이클로알킨일 등이 있다. 카보사이클릴 기에 대한 일부 비제한적인 예로는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1-사이클로펜트-l-엔일, l-사이클로펜트-2-엔일, l-사이클로펜트-3-엔일, 사이클로헥실, 1-사이클로헥스-l-엔일, l-사이클로헥스-2-엔일, l-사이클로헥스-3-엔일, 사이클로헥사다이엔일, 사이클로헵틸, 사이클로옥틸, 사이클로논일, 사이클로데실, 사이클로운데실, 사이클로도데실 등이 있다. 가교된 이환형 카보사이클릴 기로는, 비제한적으로, 바이사이클로[2.2.2]옥틸, 바이사이클로[2.2.1]헵틸, 바이사이클로[3.3.1]논일, 바이사이클로[3.2.3]논일 등이 있다.
용어 "사이클로알킬"은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하는 하나 이상의 부착부를 가진, 고리 3 내지 12개의 탄소 원자의 포화된 단환형, 이환형 또는 삼환형 고리 시스템을 지칭한다. 일부 양태에서, 사이클로알킬 기는 3 내지 10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사이클로알킬 기는 3 내지 8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사이클로알킬 기는 3 내지 6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사이클로알킬 기는 5 또는 6개의 고리 탄소 원자를 포함한다. 사이클로알킬 기의 예는, 비제한적으로, 사이클로프로필, 사이클로부틸, 사이클로펜틸 등을 포함한다. 사이클로알킬 라디칼은 독립적으로 비치환되거나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본원에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된 용어 "헤테로사이클",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헤테로환형 고리"는 하나 이상의 고리 원자가 질소, 황 및 산소로부터 선택되는 3 내지 12개의 고리 원자를 함유하는 포화 또는 부분 불포화 비-방향족 단환형, 이환형 또는 삼환형 고리를 지칭하고, 이때 헤테로사이클릴 시스템은 비-방향족이고, 헤테로사이클릴 시스템 내에 존재하는 방향족 고리가 없고,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된 하나 이상의 부착부를 가질 수 있다. 용어 "헤테로사이클릴"은 단환형, 이환형, 또는 융합된 다환형, 스피로, 가교된 헤테로환형 고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바이헤테로사이클릴 라디칼은 가교된 바이헤테로사이클릴, 융합된 바이헤테로사이클릴 및 스피로 바이헤테로사이클릴을 포함한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탄소- 또는 질소-연결될 수 있고, -CH2- 기는 임의적으로-C(=O)- 기로 대체될 수 있다. 이때, 황은 임의적으로 S-옥사이드로 산소처리되고; 질소는 임의적으로 N-옥사이드로 산소처리된다. 일부 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기이고;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3- 내지 6-원 헤테로사이클릴 기이고;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5- 내지 7-원 헤테로사이클릴 기이고;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기이고;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6-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기이고;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기이고;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4-원 헤테로사이클릴 기이고;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5-원 헤테로사이클릴 기이고;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기이고;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7-원 헤테로사이클릴 기이고;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8-원 헤테로사이클릴 기이다.
헤테로사이클릴 기에 대한 일부 비제한적인 예는 옥시란일, 아제티딘일, 옥세탄일, 티에탄일, 피롤리딘일, 2-피롤린일, 3-피롤린일, 피라졸린일, 피라졸리딘일, 이미다졸린일, 이미다졸리딘일,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다이하이드로퓨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엔일, 다이하이드로티엔일, 1,3-다이옥솔란일, 다이티올란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다이하이드로피란일, 2H-피란일, 4H-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일, 피페리딘일, 모르폴린일, 티오모르폴린일, 피페라진일, 다이옥산일, 다이티안일, 티옥산일, 호모피페라진일, 호모피페리딘일, 옥세판일, 티에판일 등을 포함한다. -CH2- 기가 -C(=O)- 잔기로 치환된 헤테로사이클릴에 대한 일부 비제한적인 예는 2-옥소피롤리딘일, 옥소-1,3-티아졸리딘일, 2-피페리디논일, 3,5-다이옥소피페리딘일, 피리미딘다이온-일 또는
Figure 112020114581703-pct00020
등을 포함한다. 고리 황 원자가 산화된 헤테로사이클릴에 대한 일부 비제한적인 예는 설폴란일 및 1,1-다이옥소-티오모르폴린일 등을 포함한다. 가교된 헤테로사이클릴 기에 대한 일부 비제한적인 예는 2-옥사바이사이클로[2.2.2]옥틸, 1-아자바이사이클로[2.2.2]옥틸, 3-아자바이사이클로[3.2.1]옥틸 등을 포함한다. 헤테로사이클릴 기는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임의적으로 치환될 수 있다.
용어 "가교된"은 분자의 서로 다른 2개의 파트를 연결하는 결합, 원자 또는 비-분지형 원자 쇄를 의미한다. 가교로 연결된 2개의 원자(일반적으로, 항상은 아니지만, 2개의 3차 탄소 원자)를 "교두보"라 한다.
용어 "m-원"에서 m은 전형적으로 고리를 구성하는 원자의 수가 m개인 잔기에서 고리를 구성하는 원자의 수를 기술하는 정수이다. 예를 들어, 피페리딘일은 6-원 헤테로사이클릴의 일례이고, 1,2,3,4-테트라하이드로-나프탈렌은 10-원 카보사이클릴 기의 예이다.
용어 "헤테로원자"는 O, S, N, P 및 Si(N, S 및 P의 모든 산화된 형태를 포함함); 임의의 염기성 질소의 4차화된 형태; 또는 헤테로사이클릭 고리의 치환가능한 질소, 예를 들어, N(3,4-다이하이드로-2H-피롤릴에서와 같이), NH(피롤리딘일에서와 같이) 또는 NR(N-치환된 피롤리딘일에서와 같이)을 지칭한다.
용어 "할로겐"은 불소(F), 염소(Cl), 브롬(Br) 또는 요오드(I)를 지칭한다.
용어 "아지도" 또는 "N3"은 아지드 잔기를 의미한다. 이 라디칼은 예를 들어 메틸 기에 결합하여 아지도메탄(메틸 아지드, MeN3); 또는 페닐 기에 결합하여 페닐 아지드(PhN3)를 형성할 수 있다.
용어 "D"는 중수소, 즉, 2H를 지칭한다.
단독으로 또는 "아릴알킬", "아릴알콕시" 또는 "아릴옥시알킬"의 큰 부분으로서 사용되는 용어 "아릴"은 총 6 내지 14개의 고리원 또는 6 내지 12개의 고리원 또는 6 내지 10개의 고리원을 갖되,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고리가 방향족이고, 시스템의 각 고리가 3 내지 7개의 고리원을 포함하며, 분자의 나머지 부분과 결합하는 하나 또는 복수의 부착부를 가진, 단환형, 이환형 및 삼환형 탄소환형 고리 시스템을 지칭한다. 용어 "아릴"은 용어 "아릴 고리" 또는 "방향족 고리"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아릴 기에 대한 일부 비제한적인 예로는 페닐, 2,3-다이하이드로-1H-인덴일, 나프틸 및 안트라센이 있다. 아릴 기는 임의적으로 비치환되거나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될 수 있다.
단독으로 또는 "헤테로아릴알킬" 또는 "헤테로아릴알콕시"의 큰 부분으로서 사용되는 용어 "헤테로아릴"은, 총 5 내지 16개의 고리원을 갖되; 시스템에서 하나 이상의 고리가 방향족이며; 하나 이상의 고리 원자가 헤테로원자로부터 선택되며; 시스템의 각 고리가 5 내지 11개의 고리원을 포함하며,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결합하는 하나 또는 수개의 지점을 가진, 단환형, 이환형 및 삼환형 고리 시스템을 지칭한다. 헤테로아릴 기에 -CH2- 기가 존재하는 경우, -CH2- 기는 임의적으로 -C(=O)- 기로 대체될 수 있다. 용어 "헤테로아릴" 및 "헤테로방향족 고리" 또는 "헤테로방향족 화합물"은 본원에서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한 양태에서, 헤테로아릴 기는 O, S 및 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1, 2, 3 또는 4개를 포함하는 5- 내지 14-원 헤테로아릴이다.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아릴 기는 O, S 및 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1, 2, 3 또는 4개를 포함하는 5- 내지 12-원 헤테로아릴이다.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아릴 기는 O, S 및 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1, 2, 3 또는 4개를 포함하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이다.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아릴 기는 O, S 및 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1, 2, 3 또는 4개를 포함하는 5- 내지 8-원 헤테로아릴이다.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아릴 기는 O, S 및 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헤테로원자를 1, 2, 3 또는 4개를 포함하는 5- 내지 7-원 헤테로아릴이다.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아릴 기는 O, S 및 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이다.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아릴 기는 O, S 및 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5-원 헤테로아릴이다.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아릴 기는 O, S 및 N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헤테로원자를 포함하는 6-원 헤테로아릴이다.
다른 양태에서, 헤테로아릴 기에 대한 일부 비제한적인 예는 다음과 같은 단환형 기, 2-퓨란일, 3-퓨란일, N-이미다졸릴, 2-이미다졸릴, 4-이미다졸릴, 5-이미다졸릴, 3-이속사졸릴, 4-이속사졸릴, 5-이속사졸릴, 2-옥사졸릴, 4-옥사졸릴, 5-옥사졸릴, N-피롤릴, 2-피롤릴, 3-피롤릴, 2-피리딜, 3-피리딜, 4-피리딜, 2-피리미딘일, 4-피리미딘일, 5-피리미딘일, 피리다진일(예컨대, 3-피리다진일), 2-티아졸릴, 4-티아졸릴, 5-티아졸릴, 테트라졸릴(예컨대, 5H-테트라졸릴, 2H-테트라졸릴), 트라이아졸릴(예컨대, 2-트라이아졸릴, 5-트라이아졸릴, 4H-1,2,4-트라이아졸릴, 1H-1,2,4-트라이아졸릴 및 1,2,3-트라이아졸릴), 2-티엔일, 3-티엔일, 피라졸릴(예컨대, 2-피라졸릴 및 3-피라졸릴), 이소티아졸릴, 1,2,3-옥사다이아졸릴, 1,2,5-옥사다이아졸릴, 1,2,4-옥사다이아졸릴, 1,3,4-옥사다이아졸릴, 1,2,3-티아다이아졸릴, 1,3,4-티아다이아졸릴, 1,2,5-티아다이아졸릴, 피라진일, 1,3,5-트라이아진일, 및 다음과 같은 이환형 고리, 비제한적으로: 인돌린일, 1,2,3,4-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벤즈이미다졸릴, 벤조퓨릴, 벤조티오페닐, 인돌릴(예컨대, 2-인돌릴), 퓨린일, 퀴놀린일(예컨대, 2-퀴놀린일, 3-퀴놀린일, 4-퀴놀린일), 이소퀴놀린일(예컨대, 1-이소퀴놀린일, 3-이소퀴놀린일 또는 4-이소퀴놀린일), 페녹사티이닐,
Figure 112019071341718-pct00021
등을 포함한다. 헤테로아릴 기는 임의적으로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치환기로 치환된다.
용어 "카복시" 또는 "카복실"은 단독으로 또는 "카복시알킬"과 같은 다른 용어와 함께 사용되든 간에 -CO2H를 지칭한다. 용어 "카보닐"은 단독으로 또는 "아미노카보닐" 또는 "아실옥시"와 같이 다른 용어와 함께 사용되든 간에 -(C=O)-를 지칭한다.
용어 "알킬아미노"는 아미노 기가 각각 1 또는 2개의 알킬 라디칼로 독립적으로 치환된 "N-알킬아미노" 및 "N,N-다이알킬아미노"를 지칭한다. 일부 양태에서, 알킬아미노 기는 질소 원자가 결합된 1 또는 2개의 C1-6 알킬 기를 가진 저급 알킬아미노 기이다. 다른 양태에서, 알킬아미노 기는 1 내지 3개의 탄소 원자를 갖는 저급 알킬아미노 기이다. 적합한 알킬아미노 라디칼은 모노알킬아미노 또는 다이알킬아미노일 수 있다. 알킬아미노 라디칼의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N-메틸아미노, N-에틸아미노, N,N-다이메틸아미노 및 N,N-다이에틸아미노 등이 있다.
용어 "아릴아미노"는 1 또는 2개의 아릴 기로 치환된 아미노 기를 의미한다. 이러한 기에 대한 일부 비제한적인 예로는 N-페닐아미노를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아릴아미노의 아릴 기는 추가로 치환될 수 있다.
용어 "아미노알킬"은 하나 이상의 아미노 기로 치환된 C1-10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기를 의미한다. 일부 양태에서, 아미노알킬은 하나 이상의 아미노 기로 치환된 알킬 기로부터 유도된 C1-6 저급 아미노알킬이다. 아미노알킬 기에 대한 일부 비제한적인 예로는 아미노메틸, 아미노에틸, 아미노프로필, 아미노부틸 및 아미노헥실 등이 있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리 시스템에서 치환기에서 하나의 고리의 중심까지 그려진 결합은, 고리 상의 모든 치환가능한 위치에서의 치환을 의미하며, 고리 시스템은 단환형, 이환형 또는 다환형 고리 시스템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a는 하기 화학식 b-1 내지 화학식 b-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고리 시스템 상의 임의의 치환가능한 위치에서 치환기의 치환을 의미한다:
Figure 112019071341718-pct00022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고리 시스템에서 치환기에서 하나의 고리의 중심까지 그려진 결합은, 결합이 분자의 나머지 부분에 고리 상의 모든 결합가능한 위치에서 결합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c는 하기 화학식 d-1 및 화학식 d-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고리의 임의의 치환가능한 위치에서 분자의 나머지에 부착될 수 있는 치환기의 치환을 의미한다:
Figure 112019071341718-pct00023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하나의 화학식에서 동일자 글자, 숫자 또는 기호로 표시되는 2개 이상의 치환기가 존재하는 경우, 치환기는 서로 독립적이다.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e에서, 각각의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고, 각각의 RW는 서로 독립적이고,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Figure 112019071341718-pct00024
.
용어 "불포화"는 잔기가 하나 이상의 불포화 부위를 가지는 것을 의미한다.
용어 "포함하는" 또는 "포함한다"는 언급된 구성 요소를 포함하나, 다른 요소를 배제하지 않는, 개방된 의미를 의미한다.
본원에 개시된 바와 같이,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임의의 용매, 분산 매질, 코팅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보존제(예컨대, 항세균제, 항진균제), 등장제, 염, 약물 안정화제, 결합제, 부형제, 분산제, 윤활제, 감미제, 착향제, 착색제,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며, 이들 모두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잘 알려져 있다(예컨대,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 Mack Printing Company, 1990, pp. 1289-1329],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 임의의 통상적인 담체가 활성 성분과 혼용불가(incompatible)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치료 또는 약학 조성물에 효과적으로 사용된다.
본원에서, 용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복제 억제"는 바이러스 복제의 양적 감소(예컨대, 10% 이상 감소) 및 바이러스 복제의 완전한 중단(즉, 바이러스 복제를 양적으로 100% 감소)을 모두 포함한다. 일부 양태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복제는 50% 이상, 65% 이상, 75% 이상, 85% 이상, 90% 이상, 또는 95% 이상 감소된다.
본원에서, "효과량"은 원하는 생물 반응을 발생시키는 데 충분한 양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생물 반응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복제 억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의 양적 감소,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중증도, 지속 기간, 진행 또는 발병의 저하 또는 완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의 진행 예방,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과 관련된 증상의 재발, 발생, 발병 또는 진행의 예방, 또는 인플루엔자 감염에 대해 사용되는 다른 치료제의 예방학적 또는 치료학적 효과 강화 또는 개선이다. 대상에게 투여되는 화합물의 정확한 양은 투여 방식, 감염 타입과 중증도 및 대상의 특징, 예를 들어 전체적인 건강 상태, 나이, 성별, 체중 및 약물에 대한 허용성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이들 인자들과 그외 인자들에 따라 적절한 투여량을 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아들 항-바이러스 제제와 공동-투여하는 경우, 예를 들어, 항-인플루엔자 약물과 공동-투여하는 경우, 제2 제제의 "효과량"은 사용되는 약물의 타입에 따라 결정될 것이다. 적합한 투여량은 승인된 제제에 대해서는 공지되어 있으며, 대상의 상태, 치료 중인 병태의 타입 및 사용되는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의 양에 따라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조절할 수 있다. 양이 명시되지 않은 경우, 효과량은 추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은 치료학적 또는 예방학적 처치시 약 0.01 내지 100 mg/kg 체중/일의 투여량 범위로 대상에게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치료한다", "치료하는" 또는 "치료"는 치료학적 처치 및 예방학적 처치를 모두 지칭한다. 예를 들어, 치료학적 처치는, 하나 이상의 치료제(예컨대,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조성물과 같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의 투여로 인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매개 병태의 진행, 중증도 및/또는 기간의 감소 또는 완화, 또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매개 병태의 하나 이상의 증상(특히, 하나 이상의 식별가능한 증상)의 완화를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치료학적 처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매개 병태의 한가지 이상의 측정가능한 물리적 파라미터의 완화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학적 처치는 신체적으로, 예를 들어, 식별가능한 증상의 안정화에 의해, 생리학적으로, 예를 들어 신체 파라미터의 안정화에 의해, 또는 이 둘 다에 의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매개 병태의 진행 억제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치료학적 처치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매개 감염의 저하 또는 안정화를 포함한다. 항바이러스 약물은 지역사회에서 증상의 중증도를 낮추고 병가 일수를 줄이기 위해 이미 인플루엔자에 걸린 사람을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보호기" 또는 "PG"는 화합물의 다른 작용기와의 반응 중에 특정 작용기를 차단 또는 보호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치환기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아미노-보호기"는 화합물에서 아미노 작용기를 차단 또는 보호하는 아미노기에 부착된 치환기이다. 적합한 아미노-보호기로는 아세틸, 트라이플루오로아세틸, p-톨루엔설폰일(Ts), t-부톡시카보닐(BOC, Boc), 벤질옥시카보닐(CBZ, Cbz) 및 9-플루오레닐메틸렌옥시카보닐(Fmoc) 등이 있다. 마찬가지로, "하이드록시-보호기"는 하이드록시 작용기를 차단 또는 보호하는 하이드록시 기의 치환기를 지칭한다. 적합한 보호기로는 아세틸과 실릴이 있다. "카복시-보호기"는 카복시 작용기를 차단 또는 보호하는 카복시 기의 치환기를 지칭한다. 일반적인 카복시-보호기로는 -CH2CH2SO2Ph, 시아노에틸, 2-(트라이메틸실릴)에틸, 2-(트라이메틸실릴)에톡시메틸, 2-(p-톨루엔설포닐)에틸, 2-(p-니트로페닐설포닐)에틸, 2-(다이페닐포스피노)에틸, 니트로에틸 등이 있다. 보호기 및 이의 용도에 대한 일반적인 설명으로는, 문헌[T. W. Greene,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John Wiley & Sons, New York, 1991]; 및 문헌[P. J. Kocienski, Protecting Groups, Thieme, Stuttgart, 2005]을 참조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기술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NA 중합효소 억제제로서 사용되는 새로운 유형의 화합물을 개시한다. 이 화합물 및 이의 조성물은 환자에서 바이러스 감염을 예방하거나 관리하거나 치료하거나 완화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한 양상에서,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25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R6 및 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일부 양태에서, 각각의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H, D, F, Cl, Br, CN, NO2, -C(=O)Ra, -C(=O)ORb, -C(=O)NRcRd, ORb, -NRcRd, RbO-C1-4 알킬렌, RdRcN-C1-4 알킬렌, C1-6 알킬, C2-6 알켄일 또는 C2-6 알킨일이거나,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3-6 탄소환형 고리, 5- 또는 6-원 헤테로환형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이때 각각의 C1-6 알킬,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6 탄소환형 고리, 5- 또는 6-원 헤테로환형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및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는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ORb, -NRcRd, C1-6 알킬, C1-6 할로알킬, RbO-C1-4 알킬렌 및 RdRcN-C1-4 알킬렌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4는 ORb, -NRcRd, C2-6 알킬,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12 카보사이클릴, C3-12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6-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6-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이때 각각의 C2-6 알킬,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12 카보사이클릴, C3-12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6-원 헤테로아릴 및 (5- 내지 16-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은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5는 H, D, F, Cl, Br, CN, NO2, -C(=O)Ra, -C(=O)ORb, -C(=O)NRcRd, ORb, -NRcRd, RbO-C1-4 알킬렌, RdRcN-C1-4 알킬렌, C1-6 알킬,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12 사이클로알킬, C3-12 사이클로알킬-C1-4 알킬렌,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이때 각각의 C1-6 알킬,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12 사이클로알킬, C3-12 사이클로알킬-C1-4 알킬렌,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및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은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거나,
R4 및 R5는, 이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3-12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12-원 헤테로환형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이때 각각의 C3-12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12-원 헤테로환형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및 5- 내지 10-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는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각각의 R'는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Rb, -NRcRd, RbO-C1-4 알킬렌, RdRcN-C1-4 알킬렌, Ra-C(=O)-O-C1-4 알킬렌-O-C1-4 알킬렌, RbO-C(=O)-O-C1-4 알킬렌-O-C1-4 알킬렌, -C(=O)Ra, -C(=O)ORb, -C(=O)NRcRd, C1-12 알킬, C1-6 할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C1-4 알킬렌,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이때 각각의 C1-12 알킬, C1-6 할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C1-4 알킬렌,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및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은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Rb, -NRcRd, C1-6 알킬, C1-6 할로알킬, RbO-C1-4 알킬렌 및 RdRcN-C1-4 알킬렌으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6은 H, D 또는 C1-6 알킬이고, 이때 C1-6 알킬은 임의적으로 D, F, Cl, Br, CN, NO2 및 ORb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고;
W는 C1-8 알킬, C3-12 카보사이클릴 또는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때 각각의 C1-8 알킬, C3-12 카보사이클릴 및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은 독립적으로 1, 2, 3 또는 4개의 Rw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각각의 Rw는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옥소(=O), -C(=O)Ra, -C(=O)ORb, -C(=O)-O-C1-4 알킬렌-O-C(=O)-ORb, -C(=O)NRcRd, -NReC(=O)Ra, -NReC(=O)NRcRd, -S(=O)2Rf, -S(=O)2NReC(=O)Ra, -S(=O)2NRcRd, (RbO)2P(=O)-C0-2 알킬렌, ORb, RbO-C1-2 알킬렌, RdRcN-C1-2 알킬렌, C1-6 알킬,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때 각각의 C1-6 알킬,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및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은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3, 옥소(=O), NO2, ORb, C1-6 알킬 및 C1-6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각각의 Ra, Rb, Rc, Rd, Re 및 Rf는 독립적으로 H, D, 하이드록시, C1-6 할로알킬, C1-6 알킬, n-헵틸, C1-6 알콕시,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6 카보사이클릴, C3-6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이때 각각의 C1-6 알킬, n-헵틸, C1-6 알콕시,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6 카보사이클릴, C3-6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및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은 독립적으로 D, F, Cl, CN, OH, NH2,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거나,
Rc 및 Rd는,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5- 내지 8-원 헤테로아릴이고, 각각의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및 5- 내지 8-원 헤테로아릴은 독립적으로 D, F, Cl, CN, OH, NH2, C1-6 알킬, C1-6 할로알킬, C1-6 알콕시 및 C1-6 알킬아미노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26
상기 식에서,
A, R1, R2, R3, R6, R', q 및 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A는 C3-12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릭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이고; q는 0, 1, 2, 3, 4 또는 5이다.
다른 양태에서, 각각의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H, D, F, Cl, Br, CN, NO2, -C(=O)Ra, -C(=O)ORb, -C(=O)NRcRd, ORb, -NRcRd,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i-프로필이거나, R1 및 R2는, 이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5-6 탄소환형 고리, 5- 또는 6-원 헤테로환형 고리, 벤젠 고리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이때 각각의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C5-6 탄소환형 고리, 5- 또는 6-원 헤테로환형 고리, 벤젠 고리 및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는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ORb, -NRcRd 및 C1-3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R4는 ORb, -NRcRd, C2-4 알킬, C2-4 알켄일, C2-4 알킨일, C3-6 카보사이클릴, C3-6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이때 각각의 C2-4 알킬, C2-4 알켄일, C2-4 알킨일, C3-6 카보사이클릴, C3-6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및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은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5는 H, D, F, Cl, Br, CN, NO2, -C(=O)Ra, -C(=O)ORb, -C(=O)NRcRd, ORb, -NRcRd, C1-3 알킬, C2-4 알켄일, C2-4 알킨일, C3-6 사이클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C1-4 알킬렌,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이때 각각의 C1-3 알킬, C2-4 알켄일, C2-4 알킨일, C3-6 사이클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C1-4 알킬렌,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및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거나,
R4 및 R5는, 이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3-6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6-원 헤테로환형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이때 각각의 C3-6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6-원 헤테로환형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및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가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R4는 ORb, -NRcRd, C2-4 알킬, C2-4 알켄일, C2-4 알킨일, C3-6 카보사이클릴, C3-6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이때 각각의 C2-4 알킬, C2-4 알켄일, C2-4 알킨일, C3-6 카보사이클릴, C3-6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및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은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각각의 R'는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Rb, -NRcRd, Ra-C(=O)-O-C1-2 알킬렌-O-C1-2 알킬렌, RbO-C(=O)-O-C1-2 알킬렌-O-C1-2 알킬렌, -C(=O)Ra, -C(=O)ORb, -C(=O)NRcRd, C1-9 알킬, C1-3 할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페닐, 페닐-C1-2 알킬렌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이고, 이때 각각의 C1-9 알킬, C1-3 할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페닐, 페닐-C1-2 알킬렌 및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이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Rb, -NRcRd,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i-프로필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각각의 R'는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Rb, -NRcRd,
Figure 112019071341718-pct00027
, -C(=O)Ra, -C(=O)ORb, -C(=O)NRcRd,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다이플루오로메틸, 모노플루오로메틸, 2,2-다이플루오로에틸, 1,2-다이플루오로에틸, 트라이플루오로에틸, 1-플루오로에틸, 2-플루오로에틸, 사이클로프로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엔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아피란일, 피페리딜, 모폴린일, 티오모폴린일, 피페라진일, 페닐, 페닐-C1-2 알킬렌, 퓨릴, 벤조퓨란일, 피롤릴, 피리딘일,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엔일, 벤조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또는 피리미딘일이고, 이때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다이플루오로메틸, 모노플루오로메틸, 2,2-다이플루오로에틸, 1,2-다이플루오로에틸, 트라이플루오로에틸, 1-플루오로에틸, 2-플루오로에틸, 사이클로프로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엔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아피란일, 피페리딜, 모폴린일, 티오모폴린일, 피페라진일, 페닐, 페닐-C1-2 알킬렌, 퓨릴, 벤조퓨란일, 피롤릴, 피리딘일,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엔일, 벤조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및 피리미딘일이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H, -NH2, 메틸, 에틸, n-프로필 및 i-프로필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R6은 H, D, CF3,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i-프로필이다.
다른 양태에서, W는 C1-6 알킬, C5-8 카보사이클릴 또는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때 각각의 C1-6 알킬, C5-8 카보사이클릴 및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이 독립적으로 1, 2, 3 또는 4개의 Rw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Rw는 D, F, Cl, Br, CN, NO2, 옥소(=O), -C(=O)OCH3, -C(=O)OCH2CH3, -C(=O)OCH2CH2CH2CH3, -C(=O)O(CH2)6CH3, -C(=O)OH,
Figure 112020114581703-pct00028
, -C(=O)NRcRd, -NHC(=O)Ra, -NHC(=O)NRcRd, -S(=O)2Rf, -S(=O)2NHC(=O)Ra, -S(=O)2NRcRd, (RbO)2P(=O)-C0-2 알킬렌, ORb,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퓨릴, 피롤릴, 피리딜,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딜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이고, 이때 각각의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퓨릴, 피롤릴, 피리딜,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딜 및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이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3, 옥소(=O), NO2, -OCH3, C1-3 알킬 및 C1-3 할로알킬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각각의 Ra, Rb, Rc, Rd, Re 및 Rf는 독립적으로 H, D, 하이드록시,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틸, 에틸, i-프로필, n-프로필, n-부틸, t-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메톡시, 에톡시, C3-6 카보사이클릴,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페닐,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이때 각각의 메틸, 에틸, i-프로필, n-프로필, n-부틸, t-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메톡시, 에톡시, C3-6 카보사이클릴,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페닐,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및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 독립적으로 D, F, Cl, CN, OH, NH2, C1-3 알킬, C1-3 할로알킬 및 메톡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거나, Rc 및 Rd는, 이들이 부착된 질소 원자와 함께,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이고, 이때 각각의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및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이 독립적으로 D, F, Cl, CN, OH, NH2, C1-3 알킬, C1-3 할로알킬, C1-3 알콕시 및 메톡시로부터 독립적으로 선택되는 1, 2, 3 또는 4개의 치환기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A는 C3-6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6-원 헤테로환형 고리, C6-10 방향족 고리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이다.
다른 양태에서, R4는 ORb, -NRcRd, 에틴일, 프로핀일, C3-6 카보사이클릴, 피롤리딘일, 피라졸리딘일, 이미다졸리딘일, 테트라하이드로퓨릴, 테트라하이드로티엔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피페리딘일, 모폴린일, 티오모폴린일, 피페라진일, 페닐, 나프틸, 퓨릴, 벤조퓨릴, 피롤릴, 피리딜,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아다이아졸릴, 티엔일, 벤조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딘일, 인돌일, 퓨린일, 퀴놀릴, 이소퀴놀릴, 페녹사티인일,
Figure 112019071341718-pct00029
이고, 이때 각각의 에틴일, 프로핀일, C3-6 카보사이클릴, 피롤리딘일, 피라졸리딘일, 이미다졸리딘일, 테트라하이드로퓨릴, 테트라하이드로티엔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피페리딘일, 모폴린일, 티오모폴린일, 피페라진일, 페닐, 나프틸, 퓨릴, 벤조퓨릴, 피롤릴, 피리딜,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아다이아졸릴, 티엔일, 벤조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딘일, 인돌일, 퓨린일, 퀴놀릴, 이소퀴놀릴, 페녹사티인일,
Figure 112019071341718-pct00030
가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5는 H, D, F, Cl, Br, CN, NO2, 메틸, 에틸 또는 i-프로필이거나,
R4 및 R5는, 이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3-6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6-원 헤테로환형 고리, 벤젠, 나프탈렌, 퓨란, 벤조퓨란, 피롤, 피리딘, 피라졸,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라이아졸, 테트라졸, 옥사졸, 옥사다이아졸, 1,3,5-트라이아진, 티아졸, 티오펜, 벤조티오펜, 피라진, 피리다진, 피리미딘, 인돌, 퓨린,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을 형성하고, 이때 각각의 C3-6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6-원 헤테로환형 고리, 벤젠, 나프탈렌, 퓨란, 벤조퓨란, 피롤, 피리딘, 피라졸,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라이아졸, 테트라졸, 옥사졸, 옥사다이아졸, 1,3,5-트라이아진, 티아졸, 티오펜, 벤조티오펜, 피라진, 피리다진, 피리미딘, 인돌, 퓨린, 퀴놀린 및 이소퀴놀린이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된다.
다른 양태에서, A는 C3-6 탄소환형 고리, 3- 내지 6-원 헤테로환형 고리, 벤젠, 나프탈렌, 퓨란, 벤조퓨란, 피롤, 피리딘, 피라졸,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라이아졸, 테트라졸, 옥사졸, 옥사다이아졸, 1,3,5-트라이아진, 티아졸, 티오펜, 벤조티오펜, 피라진, 피리다진, 피리미딘, 인돌, 퓨린,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이다.
다른 양태에서, W는 하기 하위-화학식 중 하나이다:
Figure 112019071341718-pct00031
상기 식에서,
n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n은 0, 1, 2, 3 또는 4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I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32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V]
Figure 112019071341718-pct00033
상기 식에서,
A, R1, R2, R3, R', q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V]
Figure 112019071341718-pct00034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V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V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35
상기 식에서,
A, R1, R2, R3, R', q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V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VI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36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V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VII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37
상기 식에서,
A, R1, R2, R3, R', q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X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IX]
Figure 112019071341718-pct00038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X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X]
Figure 112019071341718-pct00039
상기 식에서,
A, R1, R2, R3, R', q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X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X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40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X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XI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41
상기 식에서,
A, R1, R2, R3, R', q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XII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XIII]
Figure 112019071341718-pct00042
상기 식에서,
R1, R2, R3, R4, R5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XIV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화학식 XIV]
Figure 112019071341718-pct00043
상기 식에서,
A, R1, R2, R3, R', q 및 Rw는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다.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비제한적으로, 하기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대사산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전구약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9071341718-pct00044
Figure 112019071341718-pct00045
Figure 112019071341718-pct00046
Figure 112019071341718-pct00047
Figure 112019071341718-pct00048
Figure 112019071341718-pct00049
Figure 112019071341718-pct00050
Figure 112019071341718-pct00051
Figure 112019071341718-pct00052
Figure 112019071341718-pct00053
Figure 112019071341718-pct00054
Figure 112019071341718-pct00055
Figure 112019071341718-pct00056
.
다른 양상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이 본원에 제공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보강제, 비히클 또는 이들의 조합물을 추가로 포함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제공된 약학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치료제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제제 또는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백신이다.
다른 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액체, 고체, 반-고체, 겔 또는 스프레이 형태이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약학 조성물에서, 치료제는 아만타딘, 리만타딘, 오셀타미비르, 자나미비르, 페라미비르, 라니나미비르, 라니나미비르 옥타노에이트 수화물, 파비피라비르, 아르비돌, 리바비린, 스타키플린, 인가비린, 플루다제, CAS 번호 1422050-75-6, JNJ-872, AL-794, 인플루엔자 백신[플루미스트 콰드리발런트(등록상표), 플루아릭스(등록상표) 콰드리발런트, 플루존(등록상표) 콰드리발런트, 플루셀박스(등록상표) 또는 플루블록(등록상표)]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대상에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또는 질병을 예방하거나 관리하거나 치료하거나 완화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특정 양태에서, 본원에 개시된 바이러스 감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이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NA 중합효소를 억제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있어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한 양태에서, 염은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이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되는"은, 물질 또는 조성물이 제형을 구성하는 다른 성분들과 화학적으로 및/또는 독성적으로 혼용가능하여야 하고/거나, 포유동물을 이것으로 치료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또한 이의 염을 포괄하고, 염은 반드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인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및/또는 정제 및/또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거울상 이성질체를 분리하기 위한 중간산물로서 유용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산 부가 염은 무기산 또는 유기산과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세테이트, 아스파르테이트, 벤조에이트, 베실레이트, 브로마이드/하이드로브로마이드, 바이카보네이트/카보네이트, 바이설페이트/설페이트, 캄퍼설포네이트, 클로라이드/하이드로클로라이드, 클로르테오필리네이트, 시트레이트, 에탄다이설포네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셉테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쿠로네이트, 히푸레이트(hippurate), 하이드로요오다이드/요오다이드, 이세티오네이트, 락테이트, 락토바이오네이트, 라우릴설페이트, 말레이트, 말리에이트, 말로네이트, 만델레이트, 메실레이트, 메틸설페이트, 나프토에이트, 납실레이트, 니코티네이트, 니트레이트, 옥타데카노에이트, 올리에이트, 옥살레이트, 팔미테이트, 파모에이트, 포스페이트/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다이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폴리갈락투로네이트, 프로피오네이트, 스테아레이트, 숙시네이트, 섭살리실레이트, 타르트레이트, 토실레이트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테이트 염이 있다.
염이 유래될 수 있는 무기산으로는, 예를 들어, 염산, 브롬화수소산, 황산, 질산, 인산 등이 있다.
염이 유래될 수 있는 유기산으로는 예를 들어, 아세트산, 프로피온산, 글리콜산, 옥살산, 말레산, 말론산, 석신산, 푸마르산, 타르타르산, 시트르산, 벤조산, 만델산, 메탄설폰산, 에탄설폰산, 톨루엔설폰산, 설포살리실산 등이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기 부가 염은 무기 또는 유기 염기를 이용해 형성될 수 있다.
염이 유래될 수 있는 무기 염기로는, 예를 들어, 주기율 표의 I족 내지 XII족의 금속 및 암모늄 염 등이 있다. 특정 양태에서, 염은 나트륨, 칼륨, 암모늄, 칼슘, 마그네슘, 철, 은, 아연 및 구리로부터 유래되며; 특히, 적합한 염으로는 암모늄, 칼륨, 나트륨, 칼슘 및 마그네슘 염 등이 있다.
염이 유래될 수 있는 유기 염기로는, 예를 들어, 1차, 2차 및 3차 아민, 천연적으로 발생되는 치환된 아민 등의 치환된 아민, 환형 아민, 염기성 이온 교환 수지 등이 있다. 구체적인 유기 아민으로는 이소프로필아민, 벤즈아틴, 콜리네이트, 다이에탄올아민, 다이에틸아민, 라이신, 메글루민, 피페라진 및 트로메타민 등이 있다.
본 발명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은 통상적인 화학 방법을 통해 염기성 또는 산성 잔기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은 이들 화합물의 유리 산 형태를 화학량론적 양의 적절한 염기(예컨대, Na, Ca, Mg, 또는 K 하이드록사이드, 카보네이트, 바이카보네이트 등)와 반응시키거나 이들 화합물의 유리 염기 형태를 화학량론적 양의 적절한 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반응은 전형적으로 수중 또는 유기 용매 중에, 또는 이 2종의 혼합물 중에 수행된다. 일반적으로, 실행가능한 경우, 에터, 에틸 아세테이트,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또는 아세토니트릴과 같은 비-수성 매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부가적인 적절한 염에 대한 리스트는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20th ed.,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85)]; 및 문헌["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by Stahl and Wermuth (Wiley-VCH, Weinheim, Germany, 2002)]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이의 염을 비롯하여, 수화물 형태로 수득할 수 있거나 이의 결정화에 사용되는 다른 용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선천적으로 또는 설계상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물 포함)와 용매화물을 형성할 수 있으며, 따라서,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용매화된 형태와 비-용매화된 형태를 모두 포괄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또한, 본원에 주어진 임의의 식은 화합물의 동위원소 비-강화된 형태뿐만 아니라 동위원소 강화된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의도된다. 동위원소 강화된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원자가 선택한 원자량 또는 질량수를 가진 원자로 치환된 것을 제외하고는 본원에 주어진 식으로 표시되는 구조를 가진다. 본 발명의 화합물에 병합될 수 있는 동원원소의 예로는 수소, 탄소, 질소, 산소, 인, 황, 불소 및 염소의 동위원소, 예를 들어 2H, 3H, 11C, 13C, 14C, 15N, 18F, 31P, 32P, 36S, 37Cl, 125I 등을 각각 포함한다.
다른 양상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이 동위원소 강화된 화합물, 예를 들어, 방사성 동위원소, 예를 들어 3H, 14C 및 18F가 존재하거나 비-방사성 동위원소, 예를 들어 2H 및 13C가 존재하는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러한 동위원소 강화된 화합물은 대사 연구(14C), 반응 속도 연구(예를 들어 2H 또는 3H), 검출 또는 이미징 기법, 예컨대, 약물 또는 기질의 조직 분포 분석 등의 양전자 방출 토모그라피(PET) 또는 단일-광자 방출 단층 촬영(SPECT), 또는 환자의 방사성 치료에 유용하다. 특히, 18F-강화된 화합물은 PET 또는 SPECT 연구에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화학식 I의 동위원소-강화된 화합물은 통상적으로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된 통상적인 기법에 의해 또는 기존에 적용된 비-표지 시약 대신 적절한 동위원소-표지된 시약을 이용하여 첨부된 실시예 및 제조법에 기술된 공정과 유사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나아가, 헤비 동위원소, 특히 중수소(즉, 2H 또는 D)로 치환하면 대사 안정성 증가, 예컨대 생체내 반감기 증가, 필요 용량 저하 또는 치료학적 인덱스 개선으로 인해 일부 치료학적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문맥상 중수소는 화학식 I의 화합물의 치환기로서 간주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이러한 헤비 동위원소, 특히 중수소의 농도는, 동위원소 강화 인수(isotopic enrichment factor)로 정의될 수 있다. 용어 "동위원소 강화 인수"는, 본원에서, 명시된 동원원소의 동위원소 존재량과 천연 존재량 간의 비율을 의미한다. 만일 본 발명의 화합물에서 치환기가 중수소일 경우, 이 화합물은 각 명시된 중수소 원자의 동위원소 강화 인수가 적어도 3,500(각 명시된 중수소 원자에서 중수소 병합률 52.5%), 적어도 4,000(중수소 병합률 60%), 적어도 4,500(중수소 병합률 67.5%), 적어도 5,000(중수소 병합률 75%), 적어도 5,500(중수소 병합률 82.5%), 적어도 6,000(중수소 병합률 90%), 적어도 6,333.3(중수소 병합률 95%), 적어도 6,466.7(중수소 병합률 97%), 적어도 6,600(중수소 병합률 99%), 또는 적어도 6,633.3(중수소 병합률 99.5%)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용매화물은 결정화 용매가 예컨대 D2O, 아세톤-d 6 , DMSO-d 6 으로 동위원소 치환될 수 있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의 약학 조성물 및 제조 및 투여
본 발명은 치료 효과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이의 입체 이성질체의 라세미 혼합물 또는 비-라세미 혼합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또는 용매화물을 함유하는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 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보조제 또는 비히클, 및 임의적으로 다른 치료 및/또는 예방 성분을 추가로 포함한다. 한 양태에서, 약학 조성물은 효과량의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보조제 또는 비히클을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생물 활성을 과도하게 억제하지 않는 불활성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대상에 투여시 다른 부적절한 반응을 유발하지 않고, 생체적합한, 즉, 무독성, 비-염증성, 비-면역원성이어야 한다. 표준적인 약학적 제형 기법이 채택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원에 개시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은, 구체적인 바람직한 투약 형태에 맞게,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보조제 또는 비히클을 추가로 포함하며, 본원에서 이러한 것으로는 임의의 모든 용매, 희석제 또는 다른 액체 비히클, 분산 또는 현탁 보조제, 계면활성제, 등장제, 증점제, 유화제, 보존제, 고체 결합제, 윤활제 등이 있다. 문헌[Remington :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1st edition, 2005, ed. D.B. Troy,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Philadelphia] 및 문헌[Encyclopedia of Pharmaceutical Technology, eds. J. Swarbrick and J. C. Boylan, 1988-1999, Marcel Dekker, New York](각 문헌의 내용은 본원에 참조로 포함됨)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의 조제에 사용되는 다양한 담체들이 기술되어 있으며, 이의 조제에 공지된 기법들이 기술되어 있다. 임의의 통상적인 담체 매질이 임의의 부적절한 생물 효과를 발생시키거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의 임의의 다른 성분과 유해한 방식으로 상호작용함으로써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과 혼용불가하지 않는 한, 이의 사용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로서 사용될 수 있는 물질의 일부 예로는, 비제한적으로, 이온 교환제, 알루미나, 알루미늄 스테아레이트, 레시틴, 혈청 단백질, 예컨대, 인간 혈청 알부민, 완충제 물질, 예컨대, 트윈(Tween) 80, 포스페이트, 글리신, 소르브산 또는 칼륨 소르베이트, 포화된 식물 지방산의 일부 글리세라이드 혼합물 물, 염 또는 전해질, 예를 들어, 프로타민 설페이트, 다이나트륨 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칼륨 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나트륨 클로라이드, 아연 염, 콜로이드형 실리카, 마그네슘 트라이실리케이트, 폴리비닐 피롤리돈, 폴리아크릴레이트, 왁스, 폴리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블록 중합체, 메틸 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 양모지, 당류, 예컨대, 락토스, 글루코스 및 슈크로스; 전분, 예컨대, 옥수수 전분 및 감자 전분; 셀룰로스 및 이의 유도체, 예컨대, 나트륨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및 셀룰로스 아세테이트; 분말 트라가칸트; 말트; 젤라틴; 탈크; 부형제, 예컨대, 코코아 버터 및 좌제 왁스; 오일, 예컨대, 땅콩 오일, 면실유; 홍화 오일; 참깨 오일; 올리브 오일; 옥수수 오일 및 대두 오일; 글리콜,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에스터, 예컨대, 에틸 올리에이트 및 에틸 라우레이트; 아가; 완충화제, 예컨대, 마그네슘 하이드록사이드 및 알루미늄 하이드록사이드; 알긴산; 발열원 제거 수(pyrogen-free water); 등장성 염수; 링거액; 에틸 알코올, 및 포스페이트 완충제 용액, 뿐만 아니라 그외 무독성의 사용가능한 윤활제, 예컨대, 나트륨 라우릴 설페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등이 있으며, 또한 착색제, 부착제, 코팅제, 감미제, 착향제, 향제, 보존제 및 산화방지제가 조제사(formulator)의 판단에 따라 조성물에 존재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조성물은 인간 및 기타 동물에게 경구, 직장, 비경구, 낭내, 질내, 복막내, 국소(예컨대, 산제, 연고제 또는 점적제에 의해서와 같이), 구강 또는 코 스프레이로서 볼 등에 치료 중인 감염의 중증도에 따라 투여될 수 있다.
경구 투여를 위한 액체 제형은, 비제한적으로,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화액, 마이크로-유화액, 용액, 현탁액, 시럽 및 엘릭서제(elixir)를 포함한다. 액체 투약 형태는, 활성 성분 외에도, 당해 기술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불활성 희석제, 예를 들어, 물 또는 기타 용매, 가용화제 및 유화제, 예컨대, 에틸 알코올, 이소프로필 알코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렌 글리콜, 다이메틸포름아미드, 오일(특히, 면실유, 땅콩유, 옥수수유, 배아유, 올리브유, 캐스터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테트라하이드로퓨릴 알코올,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터 및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 조성물은, 불활성 희석제 외에도, 습윤제, 유화제, 현탁화제, 감미제, 착향제 및 향료와 같은 보강제를 포함할 수 있다.
주사용 제제, 예를 들어, 무균 주사용 수성 또는 유성 현탁액는, 적절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이용해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방법에 따라 제형화될 수 있다. 무균 주사용 제제는 또한 무독성의 비경구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무균 주사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예를 들어 1,3-부탄다이올 중의 용액일 수 있다. 사용될 수 있는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는 특히 물, 링거액, U.S.P. 및 등장성 나트륨 클로라이드 용액이다. 또한, 무균성의 비-휘발성 오일이 용매 또는 현탁 매질로서 통례적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합성 모노- 또는 다이글리세라이드 등의 임의의 블랜드 비-휘발성 오일(bland non-volatile oil)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지방산, 예를 들어, 올레산이 주사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주사용 제형은 멸균 처리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박테리아 체류 필터를 통한 여과 또는 사용 직전에 멸균수 또는 기타 무균 주사용 매질에 용해 또는 분산될 수 있는 멸균 고체 조성물의 형태로 살균제를 투입함으로써, 멸균 처리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의 효과를 연장하기 위해, 화합물을 피하 또는 근육내 주사로부터 흡수를 늦추는 것이 종종 바람직할 수 있다. 이는 수용해성이 불량한 결정질 또는 비정질 물질의 액체 현탁액을 사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그런 후, 약물의 흡수 속도는 이의 용해 속도에 따라 결정되며, 용해 속도는 결정 크기와 결정질 형태에 좌우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비경구 투여된 화합물 형태의 지연성 흡수는 오일 비히클 중에 화합물을 용해 또는 현탁함으로써 달성된다. 주사용 데포 형태(injectable depot form)는 폴리락티드-폴리글리콜라이드 등의 생분해성 중합체 중에 화합물의 마이크로엔캡슐 매트릭스를 형성시킴으로써, 제조된다. 화합물 : 중합체의 비율과 사용되는 구체적인 중합체의 특성에 따라, 화합물의 방출 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그외 생분해성 중합체의 예로는 폴리(오르토에스터) 및 폴리(무수물) 등이 있다. 또한, 주사용 데포 제형은 신체에 사용가능한 리포좀 또는 마이크로에멀젼내에 화합물을 포집함으로써 제조된다.
직장 또는 질 투여를 위한 조성물은 구체적으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주위 온도에서는 고체이지만 체온에서는 액체이어서 직장 또는 질내에서 용해되어 활성 화합물을 방출하는 코코아 버터,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좌제 왁스와 같은 적합한 비-자극성 부형제 또는 담체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는, 좌제이다.
경구 투여하기 위한 고체 투약 형태로는 캡슐제, 정제, 환제, 산제 및 과립제 등이 있다. 이러한 고체 투약 형태의 경우, 활성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불활성 부형제 또는 담체, 예를 들어, 나트륨 시트레이트 또는 칼슘 포스페이트 및/또는 (a) 충진제 또는 팽윤제(swelling agent), 예컨대, 전분, 락토스, 슈크로스, 글루코스, 만니톨 및 규산; (b) 접착제, 예컨대, 카복시메틸셀룰로스, 알기네이트, 젤라틴, 폴리에틸렌 피롤 케톤, 슈크로스 및 아라비아 검; (c) 보습제, 예컨대, 글리세롤; (d) 붕해제, 예컨대, 아가, 칼슘 카보네이트, 감자 전분 또는 타피오카 전분, 알긴산, 특정 실리케이트 및 나트륨 카보네이트; (e) 차단성 용액, 예로 파라핀; (f) 흡수 촉진제, 예컨대, 4차 암모늄 화합물; (g) 습윤제, 예컨대, 세틸 알코올 및 글리세롤 모노스테아레이트; (h) 흡착제, 예컨대,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 (i) 윤활제, 예컨대, 탈크, 칼슘 스테아레이트,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고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라우릴나트륨 설페이트, 및 이의 혼합물과 혼합된다. 캡슐제, 정제 및 환제의 경우, 약학 조성물은 또한 완충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비슷한 타입의 고체 조성물 역시 락토스 또는 유당(milk sugar)과 같은 부형제뿐만 아니라 고분자량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을 이용해 충전제로서 연질 및 경질-충전된 젤라틴 캡슐제에 사용될 수 있다. 정제, 당의정제, 캡슐제, 환제 및 과립제의 고체 투약 형태는 약제 제형 분야에 잘 알려진 장용 코팅제 및 기타 코팅제와 같은 코팅제 및 쉘(shell)을 구비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들 제형은 임의적으로 불투명화제(opacifying agent)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이 활성 성분만, 또는 바람직하게는 장관(intestinal tract)의 소정 부분에서 임의적으로는 지연된 방식으로 방출하는 조성물일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임베딩(embedding) 조성물로는 중합체 물질 및 왁스 등이 있다. 비슷한 타입의 고체 조성물은 또한 락토스 또는 유당뿐만 아니라 고분자량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과 같은 부형제를 사용해, 연질- 및 경질-충전된 젤라틴 캡슐제에 충전제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또한, 활성 화합물은 전술한 하나 이상의 부형제와 함께 마이크로캡슐화된 형태일 수 있다. 정제, 당의정제, 캡슐제, 환제 및 과립제의 고체 투약 형태는 약제 제형 분야에 잘 알려진 장용 코팅제, 제어된 방출 코팅제 및 기타 코팅제와 같은 코팅제 및 쉘을 구비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고체 투약 형태에서, 활성 성분은 슈크로스, 락토스 또는 전분과 같은 하나 이상의 불활성 희석제와 혼합될 수 있다. 이러한 투약 형태는 또한 정상적인 실시에서와 같이 불활성 희석제 이외의 다른 추가적인 물질, 예를 들어 타정 윤활제 및 그외 타정 보조제, 예를 들어,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미세결정 셀룰로스를 포함할 수 있다. 캡슐제, 정제 및 환제의 경우, 약학 조성물은 또한 완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임의적으로 불투명화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또한, 활성 성분만, 또는 바람직하게는 장관의 소정 부분에서 임의적으로는 지연된 방식으로 방출하는 조성물일 수도 있다. 사용될 수 있는 임베딩 조성물로는 중합체 물질 및 왁스 등이 있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국소 또는 경피 투여하기 위한 투약 형태로는 연고제, 페이스트제, 크림제, 로션제, 겔제, 산제, 용액제, 스프레이제, 흡입제 또는 패치 등이 있다. 활성 성분은 필요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 임의의 필요한 보존제 또는 완충제와 함께 무균 조건 하에 혼합된다. 눈 제형, 점이제 및 점안제 역시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신체에 화합물을 조절된 방식으로 전달하는 부가적인 이점을 가진, 경피 패치의 사용도 포함한다. 이러한 투약 형태는 적절한 매질 중에 화합물을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의 피부를 통한 흡수를 증가시키기 위해 흡수 보조제도 이용할 수 있다. 흡수율은 속도 제어 막을 구비하거나 중합체 매트릭스 또는 겔 중에 화합물을 분산시킴으로써, 제어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은 경구, 비경구, 흡입 스프레이에 의해, 국소적으로, 직장에 의해, 코를 통해, 볼을 통해, 질을 통해 또는 이식된 저장체(reservoir)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본원에서, 용어 "비경구"는 피하,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활액내(intra-synovial), 흉골내(intrasternal), 척추강내(intrathecal), 간내(intrahepatic), 병변내 및 두개강내 주사 또는 주입 기법을 포함하지만,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원에 개시된 조성물의 무균 주사 형태는 수성 현탁액 또는 유성(oleaginous) 현탁액을 포함한다. 이들 현탁액은 적절한 분산제 또는 습윤제 및 현탁화제를 사용해 당해 기술 분야에 공지된 기술에 따라 제형화할 수 있다. 무균 주사용 제제는 또한 무독성의 비경구로 허용되는 희석제 또는 용매 중의, 예를 들어, 1,3-부탄다이올 중의 용액으로서 무균 주사용 용액, 현탁액 또는 에멀젼일 수 있다. 허용되는 비히클 및 용매는 특히 물, 링거액 및 등장성 나트륨 클로라이드 용액이다. 또한, 무균성의 비-휘발성 오일이 용매 또는 현탁성 매질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으로, 임의의 블랜드 비-휘발성 오일은 합성 모노- 또는 다이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한다. 주사제의 제조에 사용가능한 올레산과 같은 지방산 및 이의 글리세라이드 유도체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천연 오일, 올리브 오일 또는 캐스터 오일로서, 특히 폴리옥시에틸화된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오일 용액 또는 현탁액은 또한 장쇄 알코올 희석제 또는 분산제, 예를 들어, 카복시메틸 셀룰로스 또는 유화액 및 현탁액 등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투약 형태의 제형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유사한 분산화제를 포함할 수 있다. 그외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계면활성제, 예를 들어 트윈, 스판(Span) 및 기타 유화제,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고체, 액체 또는 기타 투약 형태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생체이용성 강화제가 제형화 목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원에 개시된 약학 조성물은, 비제한적인 예컨대, 캡슐제, 정제, 수성 현탁액 또는 용액 등의 임의의 경구적으로 허용되는 투약 형태로 경구 투여될 수 있다. 경구용 정제의 경우,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로는, 비제한적으로, 락토스 및 옥수수 전분 등이 있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 역시 전형적으로 첨가된다. 캡슐제 형태로 경구 투여하는 경우, 이용가능한 희석제로는 락토스 및 건조된 옥수수 전분 등이 있다. 수성 현탁액이 경구 사용을 위해 필요할 경우, 활성 성분을 유화제 및 현탁화제와 조합한다. 적절할 경우, 특정 감미제, 착향제 또는 착색제가 첨가될 수 있다.
다른 양태로, 본원에 개시된 약학 조성물은 직장 투여용 좌제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이는 물질을 실온에서는 고체이지만 직장 온도에서는 액체이어서 직장에서 용해되어 약물을 방출하는 적절한 비-자극성 부형제와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물질로는, 비제한적으로, 코코아 버터, 밀랍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이 있다.
본원에 개시된 약학 조성물은 또는 국소적으로, 특히 치료 목적이 눈, 피부 또는 하부 장관 질병 등의 국소 적용에 의해 쉽게 접근가능한 부위 또는 장기를 포함하는 경우에, 국소적으로 투여될 수 있다. 적합한 국소 제형은 이들 부위 또는 장기 각각에 따라 쉽게 제조된다.
하부 장관에 대한 국소 적용은 직장 좌제(상기 참조) 또는 적절한 관장제 제형으로 구현될 수 있다. 국소-경피 패치 역시 사용될 수 있다.
국소 적용하는 경우, 약학 조성물은 하나 이상의 담체에 현탁되거나 용해된 활성 성분이 함유된 적합한 연고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화합물을 국소 투여하기 위한 담체로는, 비제한적으로, 미네랄 오일, 액체 바셀린, 백색 페트롤라툼, 프로필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폴리옥시프로필렌 화합물, 유화 왁스 및 물 등을 포함한다. 다른 예로, 약학 조성물은 한가지 이상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에 현탁되거나 용해된 활성 성분을 포함하는 적합한 로션제 또는 크림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적합한 담체로는, 비제한적으로, 미네랄 오일, 소르비탄 모노스테아레이트, 폴리소르베이트 60, 세틸 에스터 왁스, 세테아릴 알코올, 2-옥틸도데카놀, 벤질 알코올 및 물 등이 있다.
눈에 사용하는 경우, 약학 조성물은 등장성의 pH 적정된 무균 식염수 중의, 또는 특히 보존제로서 벤질알코늄 클로라이드가 첨가되거나 첨가되지 않은 등장성의 pH 적정된 무균 식염수 중의 마이크로화된 현탁액로서 제형화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눈에 사용하는 경우, 약학 조성물은 페트롤라툼과 같은 연고로 제형화될 수 있다.
또한, 약학 조성물은 코 에어로졸 또는 흡입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이러한 조성물은 약제 제형 기술 분야에 잘 알려진 기법에 따라 제조되며, 이는 벤질 알코올 또는 기타 적합한 보존제, 생체이용성을 강화하기 위한 흡수 촉진제, 플루오로탄소 및/또는 그외 통상적인 가용화제 또는 분산화제를 사용해 식염수 중의 염 용액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은 단위 투약 형태(unit dosage form)로 제형화될 수 있다. 용어 "단위 투약 형태"는 환자가 치료 중인 환자에 단일한 투여량(unitary dosage)으로서 적합한 물리적인 분산 단위(physical dispersion unit)를 지칭하며, 각 단위는 원하는 치료학적 효과를 임의적으로 적합한 약학적 담체와 조합하여 발휘하도록 계산된 미리 정해진 양으로 활성 물질을 포함한다. 단위 투약 형태는 매일 1회 복용량(single daily dose)이거나 매일 다회 복용량(multiple daily dose) 중 하나(예컨대, 1일 당 약 1 내지 4회 또는 그 이상)일 수 있다. 매일 다회로 사용하는 경우, 단위 투약 형태는 각 복용량이 동일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화합물 및 약학 조성물의 용도
본원에 제공된 화합물 및 약학 조성물은 환자에서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발되는 질환 또는 질병을 예방하거나 치료하거나 완화하기 위한 약제의 제조에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바이러스 감염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이다.
또한,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NA 중합효소의 억제제인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전술한 화합물 및 약학 조성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을 치료 효과량으로 치료가 필요한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바이러스에 의해 유발된 감염을 치료하거나 예방하거나 지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바이러스는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이고, 화합물 또는 이의 약학 조성물은 다른 치료제 또는 치료제와 공동-투여될 수 있다. 공동-투여는 동시에, 연속적으로 또는 일정 시간 간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기능, 예를 들어, 치료, 예방 또는 지연을 구현하는 데 필요한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의 투여량은 투여할 구체적인 화합물, 환자, 구체적인 질병 또는 질환 및 이의 중증도, 투여여 경로 및 빈도 등에 따라 일반적으로 결정되며, 구체적인 상황에 따라 주치의에 의해 결정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약학 조성물이 정맥내로 투여되는 경우, 투여는 1주일에 1회 또는 이보다 더 긴 간격으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NA 중합효소의 억제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유형의 화합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계절성 독감, 조류 독감, 돼지 독감뿐만 아니라 타미플루-내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돌연변이를 치료하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약제를 다양한 투약 형태로 제조하는 데 적합하다.
이들 화합물은, 인간 치료에 사용되는 것 외에도, 동물, 예컨대, 반려 동물, 희귀 동물(외래종) 및 농장 동물에 대한 수의학적 치료에 유용하다. 다른 양태에서, 본원에 기술된 동물은 말, 개 및 고양이를 포함한다. 본원에서,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유도체를 포함한다.
일반적인 합성 과정
본 명세서에서, 화합물의 화학 명칭이 상응하는 화학식과 부합되지 않는 경우, 화합물은 상응하는 구조에 의해 특징지어진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할 목적으로 제공된다. 본 발명이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은 발명을 실시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에 불과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치환기가 추가로 언급된 경우를 제외하고는 화학식 I에 정의된 바와 같이 정의되는,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은, 본원에 개시된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아래 비제한적인 반응식과 실시예는 본 발명을 추가로 예시하기 위해 제공된다.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라면, 본원에 기재된 화학 반응을 본원에 개시된 다수의 다른 화합물을 제조하기 위해 쉽게 변형시킬 수 있으며,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에 대한 대안적인 제조 방법도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됨을 알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예시되지 않은 화합물의 합성은 당해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게 자명한 변형을 통해, 예를 들어, 간섭 기를 적절히 보호하고/거나, 언급된 시약 이외의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적절한 시약을 사용하고/거나, 반응 조건에 통상적 변형을 가함으로써 성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본원에 개시되거나 당업계에 공지된 다른 반응들도 본원에 개시된 다른 화합물들을 제조하기 위한 적용성을 가지는 것으로 인지될 것이다.
이하 기술된 실시예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모든 온도는 섭씨(℃)로 기재된다. 시약은 알드리치 케미칼 캄파니(Aldrich Chemical Company), 아르코 케미칼 캄파니(Arco Chemical Company) 및 알파 케미칼 캄파니(Alfa Chemical Company) 등의 상업적인 공급업체로부터 구입하였으며,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추가로 정제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공통 용매는 산투 시롱 케미칼 팩토리(Shantou XiLong Chemical Factory), 광동 광후아 리젠트 케미칼 팩토리 캄파니 리미티드(Guangdong Guanghua Reagent Chemical Factory Co. Ltd.), 광주 리젠트 케미칼 팩토리(Guangzhou Reagent Chemical Factory), 티안진 위위 파인 케미칼 리미티드(Tianjin YuYu Fine Chemical Ltd.), 티안징 푸첸 케미칼 리젠트 팩토리(Tianjing Fuchen Chemical Reagent Factory), 우한 신후아위안 테크놀로지 디벨롭먼트 캄파니 리미티드(Wuhan XinHuayuan technology development co., LTD.), 칭다오 텅롱 리젠트 케미칼 리미티드(Qingdao Tenglong Reagent Chemical Ltd.), 칭다오 오션 케미칼 팩토리(Qingdao Ocean Chemical Factory), 베이징 오우헤 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Beijin Ouhe Technology Co., Ltd.), 상하이 탑바이오켐 테크놀로지 캄파니 리미티드(Shanghai Topbiochem Technology Co., Ltd) 및 아셀라 켐바이오 캄파니 리미티드(Accela ChemBio Co., Ltd.)와 같은 상업적인 공급업체로부터 구입하였다.
무수 THF, 1.4-다이옥산, 톨루엔 및 에터는 용매를 나트륨과 함께 환류함으로써 수득하였다. 무수 CH2Cl2 및 CHCl3은 용매를 CaH2, EtOAc, PE, n-헥산, DMF 및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와 함께 환류함으로써 수득하였고, 사용 전에 무수 Na2SO4로 처리하였다.
하기 기술된 반응들은 일반적으로 질소 또는 아르곤의 정압 하에 또는 건조 관(drying tube)을 이용하여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무수 용매 중에서 수행하였으며, 반응 플라스크에는 전형적으로 물질과 시약을 주사기를 통해 투입하기 위한 고무 셉터를 장착하였다. 유리 제품은 오븐 건조 및/또는 열 건조하였다.
컬럼 크로마토그래피는 실리카 겔 컬럼을 이용하여 수행하였다. 실리카 겔(300 매지 400 메쉬)은 칭다오 오션 케미칼 팩토리로부터 구입하였다.
1H NMR 스펙트럼은, 기준 표준으로서 TMS(0 ppm) 또는 클로로포름(7.25 ppm)과, 용액으로서 CDCl3, DMSO-d 6 , CD3OD 또는 아세톤-d 6 을 이용해(ppm으로 기록), 브루커(Bruker) 400 MHz 또는 600 MHz에서 기록하였다. 피크 다중도가 확인된 경우, 이하 약어가 사용된다: s(단일선), d(이중선), t(삼중선), m(다중선), br(광역), dd(이중선의 이중선) 및 dt(삼중선의 이중선). 커플링 상수는, 주어진 경우, 헤르츠(Hz)로 기록한다.
저해상도 질량 스펙트럼(MS) 데이터는 애길런트 조르막스(Agilent Zorbax) SB-C18(2.1 x 30 mm, 3.5 μm)이 장착된 애길런트 6120 콰드루폴(Quadrupole) HPLC-M 분광계에서 측정하였다. 유량은 0.6 mL/분이었으며; 이동상은 A(0.1% 포름산/CH3CN)와 B(0.1% 포름산/H2O)로 구성되며 농도 구배 방식으로 사용되며(5% -> 95%), ESI 소스를 사용하였고, HPLC의 피크는 210/254 nm에서 UV-Vis 검출을 이용해 기록하였다.
화합물 순도는 애길런트 1260 시리즈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Pre-HPLC) 또는 칼레셉 펌프(Calesep Pump) 250 시리즈 분취용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Pre-HPLC)에서 210/254 nm에서 UV 검출하여 수행하였다[노바셉(NOVASEP), 50/80 mm. DAC).
본 명세서 전체에서 아래 약어들이 사용된다:
AcOH, HAc, HOAc, CH3COOH: 아세트산
AcOK, KOAc, CH3COOK: 칼륨 아세테이트
BnOH: 페닐카르비놀
Bu4NF: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BOC, Boc: t-부톡시카보닐
(Boc)2O: 다이-t-부틸 다이카보네이트 에스터
n-BuOH: n-부틸 알코올
CHCl3: 클로로포름
CDC13: 클로로포름-d
CD3OD: 메틸 알코올-d 4
DCM, CH2Cl2: 다이클로로메탄
CH3CN, MeCN: 아세토니트릴
CH3Cl: 클로로메탄
CH3I: 요오도메탄
CH3SO2Cl, MsCl: 메틸설포닐 클로라이드
Cbz: 벤질옥시카보닐
DIAD: 다이이소프로필 아조다이카복실레이트
DIEA, DIPEA, iPr2Net: N,N-다이이소프로필에틸아민
DMF: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다이메틸포름아미드
DMF-DMA: N,N-다이메틸포름아미드 다이메틸 아세탈
DME: 다이메틸 에터
DMAP: 4-다이메틸아미노피리딘
DMSO: 다이메틸설폭사이드
DMSO-d 6 : 다이메틸 설폭사이드-d 6
DPPA: 다이페닐포스포릴 아지드
EC50: 절반 효과 농도
EA, EtOAc: 에틸 아세테이트
Et3N, TEA: 트라이에틸아민
Et2O: 에틸 에터
EtOH: 에틸 알코올
Et3SiH: 트라이에틸 실리칸
g: 그램
h: 시간
H2: 수소
H2O: 물
HCl: 염산
H2O2: 과산화수소
H3PO4: 인산
H2SO4: 황산
HNO3: 질산
HCOOK: 칼륨 포름에이트
HCOONH4: 암모늄 포름에이트
HBF4: 플루오로붕산
HPLC: 고성능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HPTLC: 고성능 박층 크로마토그래피
HRMS: 고해상도 질량 분석법
I2: 요오드
Fe: 철
2-MeTHF: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
LDA: 리튬 다이이소프로필아미드
LiOH: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MgSO4: 마그네슘 설페이트
CH3OH, MeOH: 메탄올
MeI, CH3I: 요오도메탄
mL, ml: 밀리리터
min: 분
N2: 질소
NH3: 암모니아
NMP: N-메틸피롤리돈
NaHCO3: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NaBH4: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
NaBH3CN: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
NaOMe, NaOCH3, CH3ONa: 나트륨 메톡사이드
NaOH: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
NaCl: 나트륨 클로라이드
NaH2PO4: 나트륨 다이하이드로겐 포스페이트
NaH: 나트륨 하이드라이드
NaI: 나트륨 요오다이드
Na2SO4: 나트륨 설페이트
Na2S2O3: 나트륨 티오설페이트
NBS: N-브로모석신이미드
NFSI: N-플루오로벤젠설폰이미드
NIS: N-요오도석신이미드
NCS: N-클로로석신이미드
NH4Cl: 암모늄 클로라이드
NH2OH·HCl: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
psi: 제곱인치 당 파운드
Pd/C: 활성탄에 흡착된 팔라듐
Pd(OAc)2: 팔라듐 다이아세테이트
Pd(OH)2: 팔라듐 하이드록사이드
Pd(PPh3)4: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
Pd(PPh3)2Cl2, PdCl2(PPh3)2: 비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II) 클로라이드
Pd(dppf)Cl2, PdCl2(dppf): [1,1'-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페로센]다이클로로팔라듐(II)
Pd(dppf)Cl2 ·CH2Cl2: 1,1'-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페로센-팔라듐(II)다이클로라이드 다이클로로메탄 착물
Pd2(dba)3: 트리스(다이벤질리덴아세톤)다이팔라듐
P(t-Bu)3: 트라이-t-부틸포스핀
Pd(dtbpf)Cl2, PdCl2(dtbpf): 1,1'-비스(다이-t-부틸포스피노)페로센 팔라듐 다이클로라이드
PE: 석유 에터(60 내지 90℃)
POCl3: 인 옥시클로라이드
Ph3CCl: 트라이페닐클로로메탄
K2CO3: 칼륨 카보네이트
K3PO4: 칼륨 포스페이트
KOH: 칼륨 하이드록사이드
RT, rt, r.t.: 실온
Rt: 체류 시간
SOCl2: 티오닐 클로라이드
SI: 치료 인덱스
t-BuOK: 칼륨 t-부톡사이드
THF: 테트라하이드로퓨란
TFA: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TBAI: 테트라부틸암모늄 요오다이드
TBAF: 테트라부틸암모늄 플루오라이드
TBS: 트리스(하이드록시메틸)아미노메탄 염수 완충제
TsCl: 토실 클로라이드
Ts: 토실
ZnCl2-TMEDA: 다이클로로(N,N,N',N'-테트라메틸에탄-1,2-다이아민)아연(II)
X-Phos: 2-(다이사이클로헥실포스피노)-2',4',6'-트라이-i-프로필-1,1'-바이페닐
잔트포스: 9,9-다이메틸-4,5-비스(다이페닐포스피노)잔텐
Vss: 분포의 겉보기 부피
Zn: 아연
μL: 마이크로리터
하기 반응식은 각각의 A, R1, R2, R4, R5 R', Rw 및 q가 본원에 정의된 바와 같고; X가 Br 또는 Cl이고, Ry가 C3-8 알킬,
Figure 112019071341718-pct00057
인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합성 단계를 열거한다.
[반응식 1]
Figure 112019071341718-pct00058
화학식 8의 중간체를, 반응식 1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1을 화합물 2와 Pd 촉매의 존재 하에 반응시켜 화합물 3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3을 염기의 존재 하에 환화 반응시켜 화합물 4를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4를 요오드화시켜 화합물 5를 수득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화합물 5를 알칼리성 조건 하에 Ph3CCl과 반응시켜 화합물 6을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화합물 6을 화합물 7과 반응시켜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화합물 8을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2]
Figure 112019071341718-pct00059
화학식 14의 중간체를, 반응식 2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화합물 9를 빛의 부재 하에 화합물 10과 반응시켜 화합물 11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11을 염기, 예컨대 나트륨 메톡사이드의 존재 하에 개환 반응시켜 화합물 12를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12, 및 DPPA 및 벤질 알코올을 알칼리성 조건 하에 재배열 반응시켜 화합물 13을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화합물 13의 아미노-보호기를 환원 조건 하에 제거하여 중간체 14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3]
Figure 112019071341718-pct00060
화학식 20 및 화학식 21의 화합물을, 반응식 3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화합물 15 및 붕산 화합물 16을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17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17을 알칼리성 조건 하에 화합물 14와 반응시켜 화합물 18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18 및 화합물 8을 Pd 촉매의 존재 하에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19를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19의 아미노-보호기를 산 및 Et3SiH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20을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화합물 20의 카복시-보호기를 염기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21을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4]
Figure 112019071341718-pct00061
화학식 26 및 화학식 27의 화합물을, 반응식 4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화합물 22를 알칼리성 조건 하에 화합물 14와 반응시켜 화합물 23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23과 붕산 화합물 16을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24를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24와 화합물 8을 Pd 촉매의 존재 하에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25를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25의 아미노-보호기를 산 및 Et3SiH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26을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화합물 26의 카복시-보호기를 염기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27을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5]
Figure 112019071341718-pct00062
화학식 33 및 화학식 34의 화합물을, 반응식 5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화합물 28을 화합물 29의 존재 하에 메탄올과 반응시켜 화합물 30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30과 화합물 17을 축합 반응시켜 화합물 31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31과 화합물 8을 Pd 촉매의 존재 하에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32를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32의 아미노-보호기를 산 및 Et3SiH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33을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화합물 33의 카복시-보호기를 염기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34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6]
Figure 112019071341718-pct00063
화학식 38 및 화학식 39의 화합물을, 반응식 6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화합물 35를 알칼리성 조건 하에 화합물 14와 반응시켜 화합물 36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36과 화합물 8을 Pd 촉매의 존재 하에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37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37의 아미노-보호기를 산 및 Et3SiH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38을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화합물 33의 카복시-보호기를 염기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39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7]
Figure 112019071341718-pct00064
화학식 43 및 화학식 44의 화합물을, 반응식 7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40과 화합물 14를 알칼리성 조건 하에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41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41과 중간체 8을 Pd 촉매의 존재 하에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42를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42를 산 및 Et3SiH의 존재 하에 탈보호 반응시켜 아미노-보호기를 제거하여 화합물 43을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화합물 43을 알칼리성 조건 하에 반응시켜 화합물 44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8]
Figure 112019071341718-pct00065
화학식 49 및 화학식 50의 화합물을, 반응식 8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40과 화합물 45를 알칼리성 조건 하에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46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46과 중간체 8을 Pd 촉매의 존재 하에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48을 수득할 수 있거나; 먼저, 화합물 46을 HBr과 반응시켜 화합물 47을 수득할 수 있고, 이어서 화합물 47을 중간체 8과 Pd 촉매의 존재 하에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48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48을 산 및 Et3SiH의 존재 하에 탈보호 반응시켜 아미노-보호기를 제거하여 화합물 49를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화합물 49를 알칼리성 조건 하에 반응시켜 화합물 50을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9]
Figure 112019071341718-pct00066
화학식 54 및 화학식 55의 화합물을, 반응식 9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화합물 17과 화합물 45를 알칼리성 조건 하에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51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51과 중간체 8을 Pd 촉매의 존재 하에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53을 수득할 수 있거나; 먼저, 화합물 51을 HBr과 반응시켜 화합물 52를 수득할 수 있고, 이어서 화합물 52와 중간체 8을 Pd 촉매의 존재 하에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53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53을 산 및 Et3SiH의 존재 하에 탈보호 반응시켜 아미노-보호기를 제거하여 화합물 54를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화합물 54를 반응시켜 화합물 55를 알칼리성 조건 하에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10]
Figure 112019071341718-pct00067
화학식 59 및 화학식 60의 화합물을, 반응식 10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화합물 40을 화합물 30과 반응시켜 화합물 56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56과 화합물 8을 Pd 촉매의 존재 하에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58을 수득할 수 있거나; 먼저, 화합물 56을 브롬화수소산과 반응시켜 화합물 57을 수득할 수 있고, 이어서, 화합물 57과 화합물 8을 Pd 촉매의 존재 하에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58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58을 산 및 Et3SiH의 존재 하에 탈보호 반응시켜 아미노-보호기를 제거하여 화합물 59를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화합물 59의 카복시-보호기를 알칼리성 조건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60을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11]
Figure 112019071341718-pct00068
화학식 64 및 화학식 65의 화합물을, 반응식 5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화합물 22를 알칼리성 조건 하에 화합물 45와 반응시켜 화합물 61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61과 붕산 유도체 16을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62를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62와 화합물 8을 Pd 촉매의 존재 하에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63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63을 산 및 Et3SiH의 존재 하에 탈보호 반응시켜 아미노-보호기를 제거하여 화합물 64를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화합물 64를 탈보호 반응시켜 카복시-보호기를 염기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65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12]
Figure 112019071341718-pct00069
화학식 18의 중간체를, 반응식 5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화합물 15를 알칼리성 조건 하에 화합물 14와 반응시켜 화합물 66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66을 붕산 유도체 16과 반응시켜 스즈끼 커플링 반응을 수행하여 중간체 18을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13]
Figure 112019071341718-pct00070
화학식 20 및 화학식 21의 화합물을, 반응식 13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화합물 18을 HBr과 반응시켜 화합물 67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67과 화합물 8을 Pd 촉매의 존재 하에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19를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19를 산 및 Et3SiH의 존재 하에 탈보호 반응시켜 아미노-보호기를 제거하여 화합물 20을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화합물 20을 탈보호 반응시켜 카복시-보호기를 염기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21을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14]
Figure 112019071341718-pct00071
화학식 72의 화합물을, 반응식 14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화합물 52를 탈보호 반응시켜 카복시-보호기를 염기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68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68을 화합물 69와 반응시켜 화합물 70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70과 화합물 8을 Pd 촉매의 존재 하에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71을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화합물 71을 탈보호 반응시켜 아미노-보호기를 산 및 Et3SiH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72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15]
Figure 112019071341718-pct00072
화학식 72의 화합물을 또한, 반응식 15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화합물 53을 탈보호 반응시켜 카복시-보호기를 염기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73을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73을 화합물 69와 반응시켜 화합물 71을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화합물 71을 탈보호 반응시켜 아미노-보호기를 산 및 Et3SiH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72를 수득할 수 있다.
[반응식 16]
Figure 112019071341718-pct00073
화학식 78의 화합물을, 반응식 16에 설명된 공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먼저, 화합물 74와 화합물 17을 축합 반응시켜 화합물 75를 수득할 수 있다. 이어서, 화합물 75와 화합물 8을 Pd 촉매의 존재 하에 스즈끼 커플링 반응시켜 화합물 76을 수득할 수 있다. 화합물 76을 탈보호 반응시켜 아미노-보호기를 산 및 Et3SiH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77을 수득할 수 있다. 최종적으로, 화합물 77을 탈보호 반응시켜 카복시-보호기를 염기의 존재 하에 제거하여 화합물 78을 수득할 수 있다.
바람직한 양태의 기술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해석될 순 없다.
제조예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 방법은 본 발명의 화합물들 중 일부를 예로 사용하여, 하기 실시예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실시예 1: (+/-)- 트랜스- 3- ((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 -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74
단계 1: 메조-엔도-테트라하이드로-4,7-에타노이소벤조퓨란-1,3-다이온
Figure 112019071341718-pct00075
2,000 mL 건조된 플라스크에 말레산 무수물(100 g, 1.02 mol) 및 클로로포름(1,000.0 mL)을 차례차례 첨가한 후, 혼합물을 0℃까지 냉각하고, 1,3-사이클로헥사다이엔(112.5 mL, 1.12 mol)을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빛의 부재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메탄올(700.0 mL)을 잔사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50℃까지 가열하고,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0℃까지 냉각하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흡입에 의해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45℃에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47 g, 81%).
MS (ESI, 양이온) m/z: 179.1 [M+H]+;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6.28 (dd, J = 4.2, 3.4 Hz, 2H), 3.29 (s, 2H), 3.04 (s, 2H), 1.61 (d, J = 7.9 Hz, 2H), 1.22 (d, J = 7.6 Hz, 2H).
단계 2: (+/-)- 트랜스- 3-(메톡시카보닐)바이사이클로[2.2.2]옥트-5-엔-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76
건조된 플라스크에 메조-엔도-테트라하이드로-4,7-에타노이소벤조퓨란-1,3-다이온(33.50 g, 188.01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메탄올 중 나트륨 메톡사이드의 용액(5 M, 300.8 mL)을 0℃에서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4일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진공 중에 농축하여 메탄올의 부분(약 120 mL)을 제거하였다. 잔사를 0℃ 염산 수용액(277 mL, 18 중량%)에 천천히 첨가하고, 침전된 백색 고체가 존재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메탄올을 제거하고, 잔사를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흡입에 의해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물로 3회 세척하고, 진공 중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7.19 g, 94%).
MS (ESI, 음이온) m/z: 209.0 [M-H]-;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28 (s, 1H), 6.34 (s, 1H), 6.17 (s, 1H), 3.65 (s, 3H), 2.94 (s, 1H), 2.91 (d, J = 4.4 Hz, 1H), 2.86 (d, J = 2.4 Hz, 1H), 2.72 (s, 1H), 1.48 - 1.58 (m, 1H), 1.34- 1.44 (m, 1H), 1.26 - 1.16 (m, 1H), 1.09 - 0.99 (m, 1H).
단계 3: (+/-)- 트랜스- 메틸 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트-5-엔-2-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9071341718-pct00077
톨루엔(50 mL) 중 (+/-)-트랜스-메틸 3-(메톡시카보닐)바이사이클로[2.2.2]옥트-5-엔-2-카복실산(6.0 g, 29 mmol)의 용액을 탈기시키고, 질소로 3회 충전하고, 이어서 다이페닐 아지도포스페이트(7.0 mL, 32 mmol) 및 트라이에틸아민(4.0 mL, 29 mmol)을 차례차례 주사기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까지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페닐카비놀(3.0 mL, 29 mmol)을 주사기로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이러한 온도에서 유지하면서 추가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60 mL)를 첨가하여 혼합물을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60 mL x 2) 및 포화 염수(50 mL)로 차례차례 세척하고, 유기 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이어서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8/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8.25 g, 92%).
MS (ESI, 양이온) m/z: 316.1 [M+H]+.
단계 4: (+/-)- 트랜스- 메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9071341718-pct00078
(+/-)-트랜스-메틸 3-(((벤질옥시)카보닐)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트-5-엔-2-카복실레이트(8.21 g, 26.0 mmol),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 mL) 및 메탄올(20 mL)을 오토클레이브에 차례차례 첨가하였다. Pd/C(10 중량%의 Pd, 1.40 g)를 용액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40 psi의 수소압 하에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여 촉매를 제거하고, 이어서 여과 케이크를 메탄올(20 mL) 및 에틸 아세테이트(20 mL)로 차례차례 세척하였다. 합한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무색 오일을 수득하고, 실리카-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20/1-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3.95 g, 83%).
MS (ESI, 음이온) m/z: 184.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3.68 (s, 3H), 3.31 (d, J = 6.7 Hz, 1H), 2.11 (d, J = 6.7 Hz, 1H), 1.98 - 1.91 (m, 1H), 1.83 - 1.71 (m, 1H), 1.60 - 1.33 (m, 10H).
단계 5: 5-클로로-3-((트라이메틸실릴)에틴일)피라진-2-아민
3-브로모-5-클로로피라진-2-아민(200 mg, 0.96 mmol), 트라이에틸아민(290 mg, 2.88 mmol), 구리(I) 요오다이드(5 mg, 0.33 mmol) 및 팔라듐(II)비스(트라이페닐포스핀) 다이클로라이드(13 mg, 0.02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5 mL)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이어서 트라이메틸실릴아세틸렌(0.15 mL, 1.06 mmol)을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55℃까지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50 mL)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3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08 mg, 96%).
MS (ESI, 양이온) m/z: 227.0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98 (s, 1H), 5.11 (s, 2H), 0.31 (s, 9H).
단계 6: 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
THF(8 mL) 중 5-클로로-3-((트라이메틸실릴)에틴일)피라진-2-아민(100 mg, 0.44 mmol)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이어서 칼륨 t-부톡사이드(59 mg, 0.5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12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80 mL)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3/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0 mg, 59%).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8.29 (s, 1H), 7.98 (d, J = 3.5 Hz, 1H), 6.62 (d, J = 3.5 Hz, 1H), 5.75 (s, 1H).
단계 7: 2-클로로-7-요오도-5 H -피롤로[2,3- b ]피라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0 mL) 중 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80 mg, 1.82 mmol)의 용액에 NIS(451 mg, 2.00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나트륨 티오설페이트(5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EtOAc(5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 → 4/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56 mg, 89%).
MS (ESI, 양이온) m/z: 280.00 [M+H]+;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81 (s, 1H), 8.36 (s, 1H), 8.21 (d, J = 2.7 Hz, 1H).
단계 8: 2-클로로-7-요오도-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DMF(10 mL) 중 2-클로로-7-요오도-5H-피롤로[2,3-b]피라진(1.76 g, 6.30 mmol), K2CO3(1.74g, 12.60 mmol) 및 트라이페닐클로로메탄(1.93 g, 6.93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8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96 g, 90%).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92 (s, 1H), 7.65 (s, 1H), 7.35 - 7.30 (m, 10H), 7.17 (dd, J = 6.5, 3.0 Hz, 5H).
단계 9: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THF(10 mL) 중 2-클로로-7-요오도-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500 mg, 0.96 mmol) 및 이소프로폭시보론산 피나콜 에스터(231 mg, 1.25 mmol)의 용액을 질소 보호 하에 -27℃까지 냉각하고, 이어서 이소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 용액(2 M, 0.70 mL)을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27℃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10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10 mg, 42%).
단계 10: 2,4-다이클로로-6-(퓨란-2-일)피리미딘
테트라하이드로퓨란(4 mL) 중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100 mg, 0.55 mmol)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43 mg, 0.05 mmol), 퓨란-2-일보론산(61 mg, 0.55 mol) 및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 수용액(1 M, 1.64 mL, 1.64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녹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2 mg, 36%).
MS (ESI, 양이온) m/z: 215.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67 (d, J = 0.7 Hz, 1H), 7.58 (s, 1H), 7.43 (d, J = 3.4 Hz, 1H), 6.65 (dd, J = 3.4, 1.6 Hz, 1H).
단계 11: (+/-)- 트랜스- 메틸 3-((2-클로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트랜스-메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29 mg, 2.34 mmol) 및 2,4-다이클로로-6-(퓨란-2-일)피리미딘(420 mg, 1.95 mmol)을 DMF(6 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칼륨 카보네이트(809 mg, 5.8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83 mg, 54%).
MS (ESI, 양이온) m/z: 362.1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56 (s, 1H), 7.22 (s, 1H), 6.93 (s, 1H), 6.55 (d, J = 1.6 Hz, 1H), 5.47 (d, J = 5.5 Hz, 1H), 4.44 (s, 1H), 3.70 (s, 3H), 2.44- 2.33 (m, 1H), 1.96 (d, J = 2.5 Hz, 1H), 1.88 (s, 1H), 1.84- 1.58 (m, 8H).
단계 12: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b]피라진-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13 mg, 0.30 mmol, 50%), K2CO3(115 mg, 0.83 mmol), PdCl2(dppf)(20 mg, 0.03 mmol) 및 (+/-)-트랜스-메틸 3-((2-클로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28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H2O(1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발포 배출시킴으로써 질소와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21 mg, 61%).
단계 13: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8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20 mg, 0.17 mmol)의 용액에 트라이에틸 실리칸(200 mg, 1.72 mmo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200 mg, 1.75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6 mg, 57%).
단계 14: (+/-)- 트랜스- 3- ((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 -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3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6 mg, 0.10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81 mg, 1.94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6 mg, 58%).
MS (ESI, 양이온) m/z: 465.0 [M+H]+;
HRMS (ESI, 양이온) m/z: 465.1452 [M+H]+, (C23H22ClN6O3)[M+H]+ 이론적인 값: 465.1442;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73 (s, 1H), 8.60 (s, 1H), 8.36 (s, 1H), 7.87 (s, 1H), 7.46 (d, J = 6.5 Hz, 1H), 7.22 (s, 1H), 6.70 (s, 1H), 6.64 (s, 1H), 4.57 (s, 1H), 2.10 (s, 1H), 1.97 (s, 1H), 1.74- 1.35 (m, 8H), 1.24 (s, 2H).
실시예 2: ( R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탄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79
단계 1: ( R )-메틸 3-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메탄올(60 mL) 중 (R)-3-아미노-4,4-다이메틸펜탄산(1.01 g, 6.96 mmol)의 0℃ 용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0.9 mL, 10 mmo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이러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65℃까지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톨루엔(30 mL x 3)으로 세척하고, 흡입에 의해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11 g, 99%).
MS (ESI, 양이온) m/z: 160.3 [M+H]+.
단계 2: ( R )-메틸 3-((2-클로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DMF(6 mL) 중 (R)-메틸 3-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243 mg, 1.67 mmol) 및 2,4-다이클로로-6-(퓨란-2-일)피리미딘(300 mg, 1.40 mmol)의 용액에 칼륨 카보네이트(385 mg, 2.8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3 mg, 22%).
MS (ESI, 양이온) m/z: 339.2 [M+H]+.
단계 3: ( R )-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1,4-다이옥산(8 mL) 중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189 mg, 0.18 mmol, 50%), K2CO3(115 mg, 0.83 mmol), Pd(dppf)Cl2(13 mg, 0.02 mmol) 및 (R)-메틸 3-((2-클로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56 mg, 0.17 mmol)의 용액에 H2O(1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발포 배출시킴으로써 질소와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3 mg, 20%).
단계 4: ( R )-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DCM(8 mL) 중 (R)-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53 mg, 0.08 mmol)의 용액에 Et3SiH(86 mg, 0.76 mmol) 및 TFA(88 mg, 0.7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8 mg, 64%).
단계 5: ( R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탄산
THF/MeOH(v/v = 5 mL/5 mL) 중 (R)-메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22 mg, 0.05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21 mg, 0.48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물(1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5 mg, 70%).
MS (ESI, 양이온) m/z: 441.1 [M+H]+;
HRMS (ESI, 양이온) m/z: 441.1448 [M+H]+, (C21H22ClN6O3)[M+H]+ 이론적인 값: 441.1442;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71 (s, 1H), 8.58 (s, 1H), 8.37 (s, 1H), 7.87 (s, 1H), 7.31 (d, J = 8.3 Hz, 1H), 7.20 (s, 1H), 6.69 (s, 1H), 6.66 (s, 1H), 5.33 (t, J = 4.6 Hz, 1H), 2.02 - 1.99 (m, 3H), 1.02 (s, 9H).
실시예 3: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80
단계 1: (+/-)- 트랜스- 메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5 mL) 중 2,4,6-트라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2.21 g, 8.78 mmol), (+/-)-트랜스-메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75 g, 8.78 mmol) 및 K2CO3(2.43 g, 17.60 mmol)의 현탁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7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71 g, 89%).
MS (ESI, 양이온) m/z: 348.00 [M+H]+.
단계 2: (+/-)- 트랜스- 메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중 퓨란-2-붕산(0.22g, 1.00 mmol), K2CO3(0.63g, 4.00 mmol), Pd(dppf)Cl2(0.12 g, 0.10 mmol), (+/-)-트랜스-메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00 mg, 1.44 mmol)의 용액에 H2O(0.5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발포 배출시킴으로써 질소와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23 mg, 66%).
MS (ESI, 양이온) m/z: 380.1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66 (s, 1H), 7.19 - 7.14 (m, 1H), 6.59 (dd, J = 3.4, 1.7 Hz, 1H), 5.33 (s, 1H), 4.51 (s, 1H), 3.78 (s, 3H), 2.43 (d, J = 5.7 Hz, 1H), 2.02 (d, J = 2.1 Hz, 1H), 1.91 (s, 1H), 1.84 (t, J = 11.7 Hz, 1H), 1.69 (dd, J = 18.2, 10.0 Hz, 5H), 1.46 (t, J = 10.7 Hz, 1H), 1.28 (s, 1H).
단계 3: (+/-)- 트랜스-t -부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중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1.38 g, 1.32 mmol, 50%), K2CO3(110 mg, 0.77 mmol), PdCl2(dppf)(75 mg, 0.10 mmol) 및 (+/-)-트랜스-메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85 mg, 1.01 mmol)의 용액에 H2O(0.5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발포 배출시킴으로써 질소와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499 mg, 67%).
단계 4: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CM(15 mL) 중 (+/-)-트랜스-t-부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99 mg, 0.68 mmol)의 용액에 Et3SiH(1.3 mL, 8.10 mmol) 및 TFA(1.0 mL, 8.1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2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흑색 오일로서 수득하였고(46 mg, 57%),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MS (ESI, 양이온) m/z: 497.10 [M+H]+.
단계 5: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 6 mL/6 mL/6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635 mg, 1.28 mmol)의 용액에 NaOH(0.52 g, 12.7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포화 염수(4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묽은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 mg, 단계 4 및 단계 5의 수율: 1.2%).
MS (ESI, 양이온) m/z: 483.2 [M+H]+;
HRMS (ESI, 양이온) m/z: 483.1224 [M+H]+, (C23H21ClN6O3)[M+H]+ 이론적인 값: 483.1348;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74 (s, 1H), 8.54 (s, 1H), 8.36 (s, 1H), 7.99 (s, 1H), 7.61 (s, 1H), 6.76 (s, 1H), 5.32 (s, 1H), 4.67 (s, 1H), 2.85 (d, J = 6.8 Hz, 1H), 2.11 (s, 1H), 1.74 (s, 2H), 1.57 - 1.40 (m, 4H), 1.35 (s, 1H), 1.17 (s, 2H), 0.85 (s, 2H).
실시예 4: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81
단계 1: (+/-)- 트랜스- 메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트랜스-메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00 g, 5.74 mmol), 페닐보론산(0.70 g, 5.74 mmol), 칼륨 아세테이트(1.70 g, 17.2 mmol) 및 Pd(dppf)Cl2(0.50 g, 0.57 mmol)를 아세토니트릴(100 mL)에 첨가하고, 이어서 물(5 mL)을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12시간 동안 질소 보호 하에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30 mg, 19.2%).
MS (ESI, 양이온) m/z: 390.1 [M+H]+.
단계 2: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293 mg, 0.28 mmol, 50%), K2CO3(110 mg, 0.77 mmol), Pd(dppf)Cl2(20 mg, 0.03 mmol) 및 (+/-)-트랜스-메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26 mmol)를 1,4-다이옥산(8 mL) 및 H2O(1 mL)의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발포 배출시킴으로써 질소와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6 mg, 50%).
단계 3: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CM(5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97 mg, 0.13 mmol)의 용액에 Et3SiH(150 mg, 1.30 mmol) 및 TFA(150 mg, 1.3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3 mg, 50%).
MS (ESI, 양이온) m/z: 508.20 [M+H]+.
단계 4: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6 mg, 0.07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31 mg, 0.71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물(1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 mg,46%).
MS (ESI, 양이온) m/z: 493.3 [M+H]+;
HRMS (ESI, 양이온) m/z: 493.1556 [M+H]+, (C25H23ClN6O3)[M+H]+ 이론적인 값: 493.1555;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3.03 (s, 1H), 8.63 (s, 1H), 8.43 (d, J = 3.9 Hz, 2H), 8.41 (s, 1H), 7.74 (d, J = 6.3 Hz, 1H), 7.49 (d, J = 6.7 Hz, 3H), 4.70 (s, 1H), 2.87 (d, J = 6.8 Hz, 1H), 1.98 (d, J = 15.0 Hz, 2H), 1.85 - 1.31 (m, 9H).
실시예 5: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1-메틸-1 H -피라졸-4-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82
단계 1: (+/-)- 트랜스- 메틸 3-((2-클로로-6-(1-메틸-1 H -피라졸-4-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중 (1-메틸-1H-피라졸-4-일)보론산(180 mg, 1.44 mmol), K2CO3(595 mg, 4.31 mmol), Pd(dppf)Cl2(110 mg, 0.14 mmol), (+/-)-트랜스-메틸 3-((2,6-다이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00 mg, 1.44 mmol)의 용액에 H2O(1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발포 배출시킴으로써 질소와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90 mg, 34%).
MS (ESI, 양이온) m/z: 394.05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09 - 7.99 (m, 2H), 5.25 (s, 1H), 4.49 (s, 1H), 3.98 (s, 3H), 3.78 (s, 3H), 2.42 (d, J = 5.7 Hz, 1H), 2.01 (d, J = 2.1 Hz, 1H), 1.91 (s, 1H), 1.67 (s, 8H).
단계 2: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1-메틸-1 H -피라졸-4-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중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55 mg, 0.34 mmol, 50%), K2CO3(130 mg, 0.91 mmol), PdCl2(dppf)(18 mg, 0.03 mmol) 및 (+/-)-트랜스-메틸 3-((2-클로로-6-(1-메틸-1H-피라졸-4-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20 mg, 0.30 mmol)의 용액에 H2O(1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발포 배출시킴으로써 질소와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6 mg, 46%).
단계 3: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1-메틸-1 H -피라졸-4-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CM(5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1-메틸-1H-피라졸-4-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11 mg, 0.15 mmol)의 용액에 Et3SiH(200 mg, 1.47 mmol) 및 TFA(200 mg, 1.47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3 mg, 57%).
MS (ESI, 양이온) m/z: 511.25 [M+H]+.
단계 4: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1-메틸-1 H -피라졸-4-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1-메틸-1H-피라졸-4-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0 mg, 0.06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21 mg, 0.57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물(1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8 mg, 64%).
MS (ESI, 양이온) m/z: 497.1 [M+H]+;
HRMS (ESI, 양이온) m/z: 497.1612 [M+H]+, (C23H23ClN8O2)[M+H]+ 이론적인 값: 497.1617;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72 (s, 1H), 8.59 (s, 1H), 8.36 (s, 1H), 8.34 (s, 1H), 8.11 (s, 1H), 7.43 (d, J = 6.3 Hz, 1H), 4.65 (t, J = 6.5 Hz, 1H), 3.96 (s, 3H), 2.84 (d, J = 7.1 Hz, 1H), 2.11 (s, 1H), 1.73 (d, J = 8.5 Hz, 2H), 1.61 - 1.31 (m, 6H), 1.23 (s, 2H);
13C NMR (101 MHz, DMSO-d 6 ) δ (ppm): 176.10, 155.97, 155.79, 142.64, 141.03, 139.18, 139.08, 138.32, 136.02, 135.85, 135.02, 131.96, 130.11, 116.84, 114.39, 60.21, 51.19, 48.02, 28.81, 28.59, 25.93, 24.20, 21.69, 19.56.
실시예 6: (+/-)- 트랜스- 3-((6-(벤조퓨란-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83
단계 1: (+/-)- 트랜스- 메틸 3-((6-(벤조퓨란-2-일)-2-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중 벤조퓨란-2-붕산(50 mg, 0.29 mmol), K2CO3(0.63 g, 4.00 mmol), Pd(dppf)Cl2(0.12 g, 0.10 mmol), (+/-)-트랜스-메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29 mmol)의 용액에 H2O(1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발포 배출시킴으로써 질소와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3 mg, 27%).
MS (ESI, 양이온) m/z: 430.20 [M+H]+.
단계 2: (+/-)- 트랜스- 메틸 3-((6-(벤조퓨란-2-일)-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중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262 mg, 0.25 mmol, 50%), K2CO3(90 mg, 0.67 mmol), PdCl2(dppf)(18 mg, 0.02 mmol) 및 (+/-)-트랜스-메틸 3-((6-(벤조퓨란-2-일)-2-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96 mg, 0.22 mmol)의 용액에 H2O(1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발포 배출시킴으로써 질소와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3 mg, 58%).
단계 3: (+/-)- 트랜스- 메틸 3-((6-(벤조퓨란-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CM(5 mL) 중 (+/-)-트랜스-메틸 3-((6-(벤조퓨란-2-일)-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11 mg, 0.15 mmol)의 용액에 Et3SiH(200 mg, 1.47 mmol) 및 TFA(200 mg, 1.47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3 mg, 56%).
MS (ESI, 양이온) m/z: 548.10 [M+H]+.
단계 4: (+/-)- 트랜스- 3-((6-(벤조퓨란-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트랜스-메틸 3-((6-(벤조퓨란-2-일)-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0 mg, 0.05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21 mg, 0.53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물(1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 mg,56%).
MS (ESI, 양이온) m/z: 533.2 [M+H]+;
HRMS (ESI, 양이온) m/z: 533.1509 [M+H]+, (C27H23ClN6O3)[M+H]+ 이론적인 값: 533.1504;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79 (s, 1H), 8.62 (s, 1H), 8.38 (s, 1H), 7.83 (d, J = 7.7 Hz, 1H), 7.73 (dd, J = 8.1, 4.1 Hz, 3H), 7.46 (t, J = 7.6 Hz, 1H), 7.36 (t, J = 7.4 Hz, 1H), 4.72 (s, 1H), 2.90 (d, J = 7.2 Hz, 1H), 2.15 (s, 1H), 2.02 (s, 2H), 1.85 - 1.32 (m, 8H);
13C NMR (101 MHz, DMSO-d 6 ) δ (ppm): 176.02, 156.27, 155.16, 152.85, 152.74, 150.62, 142.74, 141.04, 139.07, 137.02, 136.07, 135.98, 135.27, 128.17, 126.58, 124.03, 122.62, 114.08, 112.09, 110.25, 110.17, 51.48, 47.88, 28.78, 28.50, 25.91, 24.21, 21.70, 19.61.
실시예 7: (+/-)- 트랜스- 3-((6-(벤조[ b ]티오펜-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84
단계 1: (+/-)- 트랜스- 메틸 3-((6-(벤조[ b ]티오펜-2-일)-2-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중 벤조퓨란-2-붕산(255 mg, 1.44 mmol), K2CO3(595 mg, 4.31 mmol), Pd(dppf)Cl2(110 mg, 0.14 mmol), (+/-)-트랜스-메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00 mg, 1.44 mmol)의 용액에 H2O(1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발포 배출시킴으로써 질소와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23 mg, 66%).
MS (ESI, 양이온) m/z: 446.2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09 (s, 1H), 7.93 - 7.84 (m, 2H), 7.43 - 7.38 (m, 2H), 5.40 (d, J = 4.2 Hz, 1H), 4.53 (s, 1H), 3.80 (s, 3H), 2.45 (d, J = 5.7 Hz, 1H), 2.03 (s, 1H), 1.94 (s, 1H), 1.90 - 1.64 (m, 8H).
단계 2: (+/-)- 트랜스- 메틸 3-((6-(벤조[ b ]티오펜-2-일)-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중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262 mg, 0.30 mmol, 50%), K2CO3(90 mg, 0.81 mmol), PdCl2(dppf)(18 mg, 0.03 mmol) 및 (+/-)-트랜스-메틸 3-((6-(벤조[b]티오펜-2-일)-2-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20 mg, 0.27 mmol)의 용액에 H2O(1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분 동안 발포 배출시킴으로써 질소와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6 mg, 77%).
단계 3: (+/-)- 트랜스- 메틸 3-((6-(벤조[ b ]티오펜-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트랜스-메틸 3-((6-(벤조[b]티오펜-2-일)-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66 mg, 0.21 mmol)의 용액에 트라이에틸 실리칸(250 mg, 2.06 mmo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236 mg, 2.06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3 mg, 37%).
MS (ESI, 양이온) m/z: 564.20 [M+H]+.
단계 4: (+/-)- 트랜스- 3-((6-(벤조[ b ]티오펜-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트랜스-메틸 3-((6-(벤조[b]티오펜-2-일)-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3 mg, 0.07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30 mg, 0.74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물(1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0 mg, 49%).
MS (ESI, 양이온) m/z: 549.2 [M+H]+;
HRMS (ESI, 양이온) m/z: 549.1269 [M+H]+, (C27H23ClN6O2S)[M+H]+ 이론적인 값: 549.1276;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81 (s, 1H), 8.56 (s, 1H), 8.39 (s, 1H), 8.22 (s, 1H), 8.10 - 8.00 (m, 2H), 7.76 (d, J = 6.4 Hz, 1H), 7.49 - 7.42 (m, 2H), 4.71 (s, 1H), 2.89 (d, J = 6.9 Hz, 1H), 2.14 (s, 1H), 2.02 (s, 2H), 1.76 (d, J = 8.4 Hz, 2H), 1.65 - 1.31 (m, 6H).
실시예 7a: (2 S ,3 S )-3-((6-(벤조[ b ]티오펜-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85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과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 S ,3 S )-에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5 mL) 중 2,4,6-트라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2.34 g, 11.70 mmol),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2.48 g, 10.60 mmol) 및 K2CO3(4.40 g, 31.80 mmol)의 현탁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H2O(10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8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수(15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22 g, 58%).
MS (ESI, 양이온) m/z: 349.15 [M+H]+.
단계 3: (2 S ,3 S )-메틸 3-((6-(벤조[ b ]티오펜-2-일)-2-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시약으로서 벤조[b]티오펜-2-일보론산(770 mg, 4.30 mmol), K2CO3(1.80 g, 13.00 mmol), Pd(dppf)Cl2(110 mg, 0.43 mmol), (2S,3S)-에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50 g, 4.30 mmol), 및 혼합된 용매로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8 mL) 및 H2O(1 mL)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7의 단계 1에 기술된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40 mg, 42%).
MS (ESI, 양이온) m/z: 461.25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07 (s, 1H), 7.89 (d, J = 7.1 Hz, 1H), 7.87 - 7.85 (m, 1H), 7.43 - 7.39 (m, 2H), 5.42 (d, J = 4.6 Hz, 1H), 4.57 (d, J = 5.5 Hz, 1H), 4.28 - 4.24 (m, 2H), 2.43 (d, J = 5.8 Hz, 1H), 2.05 (d, J = 2.5 Hz, 1H), 1.94 (d, J = 2.6 Hz, 1H), 1.76 - 1.64 (m, 8H), 1.30 - 1.27 (m, 3H).
단계 4: (2 S ,3 S )-에틸 3-((6-(벤조[ b ]티오펜-2-일)-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시약으로서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1.04 g, 1.20 mmol, 60%), K2CO3(460 mg, 3.28 mmol), PdCl2(dppf)(90 mg, 0.11 mmol) 및 (2S,3S)-메틸 3-((6-(벤조[b]티오펜-2-일)-2-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03 mg, 1.10 mmol), 및 혼합된 용매로서 1,4-다이옥산(8 mL) 및 H 2 O(1 mL)의 혼합물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7의 단계 2에 기술된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92 mg, 77%).
단계 5: (2 S ,3 S )-에틸 3-((6-(벤조[ b ]티오펜-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시약으로서 (2S,3S)-에틸 3-((6-(벤조[b]티오펜-2-일)-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691 mg, 0.84 mmol), Et3SiH(1.35 mL, 8.43 mmol) 및 TFA(0.70 mL, 8.43 mmol), 및 용매로서 DCM(5 mL)을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7의 단계 3에 기술된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9 mg, 12%).
MS (ESI, 양이온) m/z: 578.0 [M+H]+.
단계 6: (2 S ,3 S )-3-((6-(벤조[ b ]티오펜-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시약으로서, (2S,3S)-에틸 3-((6-(벤조[b]티오펜-2-일)-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8 mg, 0.10 mmol), 및 물(1 mL) 중 NaOH(30 mg, 0.74 mmol)의 용액, 및 용매로서 THF/MeOH(v/v = 5 mL/5 mL)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7의 단계 4에 기술된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9 mg, 54%).
MS (ESI, 양이온) m/z: 549.1 [M+H]+;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82 (s, 1H), 8.57 (s, 1H), 8.39 (s, 1H), 8.22 (s, 1H), 8.07 (s, 1H), 8.03 (s, 1H), 7.76 (s, 1H), 7.47 (s, 2H), 4.71 (s, 1H), 2.89 (d, J = 5.8 Hz, 1H), 2.14 (s, 1H), 2.02 (s, 2H), 1.77 (s, 2H), 1.58 - 1.35 (m, 6H).
실시예 8: ( R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탄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86
단계 1: ( R )-메틸 3-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메탄올(60 mL) 중 (R)-메틸 3-아미노-4,4-다이메틸펜탄산(1.01 g, 6.96 mmol)의 0℃ 용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0.9 mL, 10 mmo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이러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65℃까지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용액을 농축 건조하고, 잔사를 톨루엔(30 mL x 3)으로 세척하고, 흡입에 의해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11 g, 99%).
MS (ESI, 양이온) m/z: 160.3 [M+H]+.
단계 2: ( R )-메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DMF(20 mL) 중 2,4,6-트라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0.71 g, 3.80 mmol) 및 (R)-메틸 3-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1.13 g, 4.20 mmol)의 용액에 칼륨 카보네이트(1.63 g, 12.0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 건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98 g, 79%).
MS (ESI, 양이온) m/z: 324.20 [M+H]+.
단계 3: ( R )-메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R)-메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0.93 g, 2.90 mmol), 퓨란-2-붕산(0.33 g, 2.90 mmol), Pd(dppf)Cl2(0.23 g, 0.29 mmol) 및 K2CO3(1.25 g, 8.60 mmol)을 밀봉-관에 첨가하고, 이어서 용매 THF(20 mL) 및 물(1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 내의 공기를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질소로 교환하고, 상기 관을 밀봉하였다. 혼합물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390 mg, 38%).
MS (ESI, 양이온) m/z: 356.10[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66 (s, 1H), 7.19 - 7.13 (m, 1H), 6.60 - 6.57 (m, 1H), 5.64 (d, J = 9.3 Hz, 1H), 3.65 (s, 3H), 3.56 (s, 1H), 2.76 - 2.44 (m, 3H), 1.01 (s, 9H).
단계 4: ( R )-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1,4-다이옥산(8 mL) 중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76 mg, 0.36 mmol, 50%), K2CO3(90 mg, 0.97 mmol), Pd(dppf)Cl2(18 mg, 0.03 mmol) 및 (R)-메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120 mg, 0.32 mmol)의 용액에 H2O(1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 내의 공기를 10분 동안 발포 배출시킴으로써 질소와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91 mg, 83%).
단계 5: ( R )-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DCM(5 mL) 중 (R)-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191 mg, 0.27 mmol)의 용액에 Et3SiH(0.50 mL, 2.67 mmol) 및 TFA(0.20 mL, 2.67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1 mg, 32%).
MS (ESI, 양이온) m/z: 474.10 [M+H]+.
단계 6: (R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탄산
THF/MeOH(v/v = 5 mL/5 mL) 중 (R)-메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41 mg, 0.09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31 mg, 0.87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물(2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3 mg, 33%).
MS (ESI, 양이온) m/z: 459.2 [M+H]+;
HRMS (ESI, 양이온) m/z: 459.1354 [M+H]+, (C23H21ClN6O3)[M+H]+ 이론적인 값: 459.1348;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72 (s, 1H), 8.54 (s, 1H), 8.37 (s, 1H), 7.98 (s, 1H), 7.43 (d, J = 8.8 Hz, 1H), 7.25 (s, 1H), 6.76 (s, 1H), 4.89 (d, J = 4.3 Hz, 1H), 2.61 (s, 2H), 1.04 (s, 9H);
13C NMR (151 MHz, DMSO-d 6 ) δ (ppm): 173.83, 155.62, 153.59, 148.71, 145.65, 142.60, 140.96, 139.03, 135.91, 135.48, 134.74, 131.82, 114.28, 112.57, 100.54, 55.40, 36.19, 35.44, 27.07.
실시예 9: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퓨란-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87
단계 1: 2,4-다이클로로-6-(퓨란-3-일)피리미딘
글리콜 다이메틸 에터(32 mL) 중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500 mg, 2.73 mmol)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317 mg, 0.27 mmol), 퓨란-3-일보론산(308 mg, 2.75 mmol) 및 나트륨 카보네이트 용액(1 M, 8.18 mL, 8.18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8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물(30 mL)을 희석된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3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 건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2 mg, 31%).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26 (s, 1H), 7.57 (s, 1H), 7.36 (s, 1H), 6.89 (s, 1H).
단계 2: (+/-)- 트랜스- 메틸 3-((2-클로로-6-(퓨란-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트랜스-메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24 mg, 1.77 mmol) 및 2,4-다이클로로-6-(퓨란-3-일)피리미딘(317 mg, 1.47 mmol)을 DMF(6 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칼륨 카보네이트(611 mg, 4.42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40 mL)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로 정제하고,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53 mg, 66%).
MS (ESI, 양이온) m/z: 362.1 [M+H]+.
단계 3: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퓨란-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중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1.16 g, 1.11 mmol, 50%), K2CO3(77 mg, 0.55 mmol), Pd(dtbpf)Cl2(37 mg, 0.06 mmol) 및 (+/-)-트랜스-메틸 3-((2-클로로-6-(퓨란-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28 mmol)의 용액에 H2O(0.5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 내의 공기를 10분 동안 발포 배출시킴으로써 질소와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98 mg, 48.08%).
단계 4: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퓨란-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CM(5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퓨란-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98 mg, 0.14 mmol)의 용액에 Et3SiH(0.26 mL, 1.63 mmol) 및 TFA(0.12 mL, 1.6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2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흑색 오일로서 수득하였고(46 mg, 57%),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MS (ESI, 양이온) m/z: 479.10 [M+H]+.
단계 5: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퓨란-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 5 mL/5 mL/5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퓨란-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00 mg, 0.42 mmol)의 용액에 물 중 NaOH(0.17 g, 4.20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수(1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MeTHF(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 mg, 2 단계의 수율: 8%).
MS (ESI, 양이온) m/z: 465.0 [M+H]+;
HRMS (ESI, 양이온) m/z: 465.1435 [M+H]+, (C23H22ClN6O3)[M+H]+ 이론적인 값: 465.1442;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72 (s, 1H), 8.62 (s, 1H), 8.36 (s, 1H), 7.81 (s, 1H), 7.36 (s, 1H), 7.00 (s, 1H), 6.50 (s, 1H), 4.56 (s, 1H), 2.02 (m, 3H), 1.81-1.34 (m, 7H).
실시예 10: (+/-)- 트랜스- 3-((6-(벤조퓨란-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88
단계 1: 2,4-다이클로로-6-(벤조퓨란-2-일)피리미딘
테트라하이드로퓨란(8 mL) 중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1.25 g, 6.79 mmol)의 용액에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720 mg, 0.62 mmol), 벤조퓨란-2-일보론산(1.00 g, 6.17 mmol) 및 나트륨 카보네이트(1.56 g, 18.52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80℃에서 밤새 교반하고,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녹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52 mg, 34%).
MS (ESI, 양이온) m/z: 266.95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80 (d, J = 4.2 Hz, 2H), 7.73 (d, J = 7.8 Hz, 1H), 7.59 (d, J = 8.4 Hz, 1H), 7.48 (t, J = 7.7 Hz, 1H), 7.35 (t, J = 7.5 Hz, 1H).
단계 2: (+/-)- 트랜스- 메틸 3-((6-(벤조퓨란-2-일)-2-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트랜스-메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50 mg, 1.25 mmol) 및 2,4-다이클로로-6-(벤조퓨란-2-일)피리미딘(300 mg, 1.13 mmol)을 DMF(6 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칼륨 카보네이트(312 mg, 2.2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50 mg, 75%).
MS (ESI, 양이온) m/z: 412.20 [M+H]+.
단계 3: (+/-)- 트랜스- 메틸 3-((6-(벤조퓨란-2-일)-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중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282 mg, 0.27 mmol, 50%), K2CO3(115 mg, 0.73 mmol), Pd(dppf)Cl2(20 mg, 0.03 mmol) 및 (+/-)-트랜스-메틸 3-((6-(벤조퓨란-2-일)-2-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24 mmol)의 용액에 H2O(1 m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10 mg, 59%).
단계 4: (+/-)- 트랜스- 메틸 3-((6-(벤조퓨란-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CM(5 mL) 중 (+/-)-트랜스-메틸 3-((6-(벤조퓨란-2-일)-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11 mg, 0.14 mmol)의 용액에 Et3SiH(200 mg, 1.44 mmol) 및 TFA(200 mg, 1.44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0 mg, 79%).
단계 5: (+/-)- 트랜스- 3-((6-(벤조퓨란-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트랜스-메틸 3-((6-(벤조퓨란-2-일)-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2 mg, 0.04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21 mg, 0.41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물(1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 mg, 77%).
MS (ESI, 양이온) m/z: 515.1 [M+H]+;
HRMS (ESI, 양이온) m/z: 515.1602 [M+H]+, (C27H24ClN6O3)[M+H]+ 이론적인 값: 515.1598;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78 (s, 1H), 8.67 (s, 1H), 8.38 (s, 1H), 7.79 (d, J = 7.7 Hz, 1H), 7.68 (s, 2H), 7.62 (d, J = 6.6 Hz, 1H), 7.43 (t, J = 7.7 Hz, 1H), 7.33 (t, J = 7.5 Hz, 1H), 6.90 (s, 1H), 4.60 (s, 1H), 2.12 (s, 1H), 1.98 (s, 2H), 1.85 - 1.33 (m, 8H).
실시예 11: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퀴나졸린-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89
단계 1: (+/-)- 트랜스- 메틸 3-((2-클로로퀴나졸린-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THF(10 mL) 중 2,4-다이클로로퀴나졸린(542 mg, 2.72 mmol), (+/-)-트랜스-메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98 mg, 3.27 mmol) 및 DIPEA(2.5 mL, 27.23 mmol)의 현탁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H2O(10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35 mg, 67%).
MS (ESI, 양이온) m/z: 346.05 [M+H]+.
단계 2: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퀴나졸린-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중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03 mg, 0.29 mmol, 50%), K2CO3(120 mg, 0.86 mmol), PdCl2(dppf)(21 mg, 0.03 mmol) 및 (+/-)-트랜스-메틸 3-((2-클로로퀴나졸린-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99 mg, 0.29 mmol)의 용액에 H2O(1 m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5 mg, 22%).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59 (s, 1H), 7.95 (s, 2H), 7.76 -7.68 (m, 2H), 7.44- 7.38 (m, 1H), 7.31 (d, J = 5.1 Hz, 10H), 7.26-7.24 (m, 5H), 4.80 (s, 1H), 3.57 (s, 3H), 2.07 (d, J = 9.3 Hz, 5H), 1.74-1.63 (m, 7H).
단계 3: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퀴나졸린-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퀴나졸린-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97 mg, 0.48 mmol)의 용액에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60 mL, 8.08 mmol) 및 트라이에틸 실리칸(0.39 mL, 2.43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10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5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3 mg, 61%).
MS (ESI, 양이온) m/z: 463.05 [M+H]+.
단계 4: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퀴나졸린-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3 mL/3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퀴나졸린-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3 mg, 0.05 mmol)의 용액에 물(0.5 mL) 중 NaOH(21 mg, 0.52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1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1 mg, 49%).
MS (ESI, 양이온) m/z: 450.25 [M+H]+;
HRMS (ESI, 양이온) m/z: 449.1491[M+H]+, (C23H22ClN6O2)[M+H]+ 이론적인 값: 449.1493;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75 (s, 1H), 8.63 (s, 1H), 8.38 (s, 1H), 7.84 (s, 1H), 7.74 (d, J = 8.4 Hz, 1H), 7.49 - 7.42 (m, 1H), 6.88 (s, 1H), 6.65 (s, 1H), 5.33 (s, 1H), 4.88 (s, 1H), 2.19 (s, 2H), 2.11 - 1.95 (m, 3H), 1.92 - 1.41 (m, 6H).
실시예 12: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90
단계 1: 2,4-다이클로로-6-페닐피리미딘
THF(5 mL) 중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0.29 mL, 2.5 mmol)의 용액에 팔라듐 아세테이트(8 mg, 0.035 mmol), 트라이페닐포스핀(18 mg, 0.065 mmol), 벤젠보론산(0.20 g, 1.6 mmol) 및 나트륨 카보네이트 수용액(1 M, 3.3 mL, 3.3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60℃에서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H2O(10 mL)를 잔사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225 g, 61%).
MS (ESI, 양이온) m/z: 225.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15-8.04 (m, 2H), 7.70 (s, 1H), 7.63-7.50 (m, 3H).
단계 2: (+/-)- 트랜스- 메틸 3-((2-클로로-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N,N-다이메틸폼아미드(10 mL) 중 2,4-다이클로로-6-페닐피리미딘(1.52 g, 6.7 mmol) 및 메틸 (+/-)-트랜스-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84 g, 10.0 mmol)의 용액에 칼륨 카보네이트(0.92 g, 6.7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H2O(50 mL)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5 g, 66%).
MS (ESI, 양이온) m/z: 372.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04-7.91 (m, 2H), 7.51-7.41 (m, 3H), 6.78 (s, 1H), 5.41 (s, 1H), 4.32 (s, 1H), 3.73 (s, 3H), 2.38 (d, J = 5.1 Hz, 1H), 2.07 (s, 1H), 1.86 (m, 1H), 1.73 (m, 1H), 1.70-1.60 (m, 4H), 1.57 (m, 2H), 1.51-1.41 (m, 1H).
단계 3: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616 mg, 0.59 mmol, 50%), K2CO3(230 mg, 1.61 mmol), PdCl2(dppf)(40 mg, 0.05 mmol) 및 (+/-)-트랜스-메틸 3-((2-클로로-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00 mg, 0.54 mmol)를 1.4-다이옥산(8 mL) 및 H2O(1 mL)의 혼합된 용매에서 혼합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3 mg, 41%).
단계 4: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3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5 mg, 0.03 mmol)의 용액에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26 mL, 3.42 mmol) 및 트라이에틸 실리칸(0.20 mL, 1.03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5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3 mg, 78%).
MS (ESI, 양이온) m/z: 490.10 [M+H]+.
단계 5: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3 mL/3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페닐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3 mg, 0.03 mmol)의 용액에 물(0.5 mL) 중 NaOH(12 mg, 0.27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물(1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 mg, 63%).
MS (ESI, 양이온) m/z: 476.10 [M+H]+;
HRMS (ESI, 양이온) m/z: 475.1649[M+H]+, (C25H24ClN6O2)[M+H]+ 이론적인 값: 475.1644;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75 (s, 1H), 8.65 (s, 1H), 8.38 (s, 1H), 8.18 (s, 2H), 7.57 - 7.48 (m, 3H), 7.44 (s, 1H), 6.82 (s, 1H), 4.58 (s, 1H), 2.10 (s, 1H), 1.97 (m, 3H), 1.82 - 1.33 (m, 9H).
실시예 13: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91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과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4-다이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 mL) 중 티오펜(300 mg, 3.57 mmol)의 용액에 -15℃의 n-부틸리튬(1.4 mL, 3.57 mmol, 2.5 mol/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ZnCl2-TMEDA(300 mg, 1.18 mmol)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팔라듐 다이클로라이드(65 mg, 0.36 mmol), 트라이페닐포스핀(188 mg, 0.71 mmol) 및 5-플루오로-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790 mg, 3.92 mmol)을 혼합물에 차례차례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55℃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이러한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66 mg, 41%).
MS (ESI, 양이온) m/z: 250.9 [M+H]+.
단계 3: (2 S ,3 S )-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5 mL) 중 2,4-다이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366 mg, 1.47 mmol),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411 mg, 1.76 mmol) 및 K 2 CO3(406 mg, 2.94 mmol)의 현탁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H2O(10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8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염수(18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88 mg, 64%).
MS (ESI, 양이온) m/z: 410.20[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84 (s, 1H), 7.57 (d, J = 4.8 Hz, 1H), 7.18 (t, J = 4.2 Hz, 1H), 5.34 (s, 1H), 4.53 (s, 1H), 4.24 (m, 2H), 2.41 (d, J = 5.5 Hz, 1H), 2.05 (d, J = 10.7 Hz, 2H), 1.93 - 1.77 (m, 3H), 1.69 (d, J = 9.2 Hz, 5H), 1.29 (t, J = 5.2 Hz, 3H).
단계 4: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417 mg, 0.40 mmol, 50%), K2CO3(152 mg, 1.10 mmol), PdCl2(dppf)(30 mg, 0.04 mmol) 및 (2S,3S)-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50 mg, 0.37 mmol)를 1,4-다이옥산(8 mL) 및 H2O(1 mL)의 혼합된 용매에서 혼합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82 mg, 100%).
단계 5: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CM(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82 mg, 0.37 mmol)의 용액에 Et 3 SiH(200 mg, 3.67 mmol) 및 TFA(200 mg, 3.67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75 mg, 39%).
MS (ESI, 양이온) m/z: 528.05 [M+H]+.
단계 6: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75 mg, 0.14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60 mg, 1.42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물(1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8 mg, 25%).
MS (ESI, 양이온) m/z: 499.1 [M+H]+;
HRMS (ESI, 양이온) m/z: 499.1107[M+H]+, (C23H21ClFN6O2S)[M+H]+ 이론적인 값: 499.1119;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76 (s, 1H), 8.52 (s, 1H), 8.38 (s, 1H), 7.89 (s, 1H), 7.86 (d, J = 4.8 Hz, 1H), 7.64 (d, J = 6.4 Hz, 1H), 7.32 - 7.26 (m, 1H), 4.67 (s, 1H), 2.85 (d, J = 6.3 Hz, 1H), 2.10 (s, 1H), 2.00 (s, 2H), 1.78 - 1.37 (m, 8H).
실시예 14: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티에노[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92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과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 S ,3 S )-에틸 3-((2-클로로티에노[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20 mL) 중 2,4-다이클로로티에노[2,3-d]피리미딘(1.01 g, 4.93 mmol),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1.15 g, 4.93 mmol)의 용액에 K2CO3(1.36 g, 9.84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H2O(5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5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25 g, 69%).
MS (ESI, 양이온) m/z: 366.00 [M+H]+;
1H NMR (600 MHz, CDCl3) δ (ppm): 7.26 (d, J = 6.0 Hz, 1H), 7.16 (d, J = 5.8 Hz, 1H), 4.64 (t, J = 5.3 Hz, 1H), 4.25 (q, J = 7.1 Hz, 2H), 2.45 (d, J = 5.7 Hz, 1H), 2.03 (d, J = 2.4 Hz, 1H), 1.96 (d, J = 2.7 Hz, 1H), 1.89 - 1.82 (m, 1H), 1.75 - 1.63 (m, 6H), 1.46 (m,1H), 1.28 (t, J = 7.1 Hz, 4H).
단계 3: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티에노[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1.15 g, 1.10 mmol, 50%), K2CO3(395 mg, 2.86 mmol), Pd(OAc)2(38 mg, 0.17 mmol), X-Phos(159 mg, 0.40 mmol) 및 (2S,3S)-에틸 3-((2-클로로티에노[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00 mg, 0.82 mmol)를 1,4-다이옥산(10 mL) 및 H2O(0.5 mL)의 혼합된 용매에서 혼합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밀봉-관에서 밀봉하고, 11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258 mg, 44%).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8.47 (s, 1H), 8.12 (s, 1H), 7.66 (d, J = 6.2 Hz, 1H), 7.50 (d, J = 5.9 Hz, 1H), 7.38 - 7.31 (m, 9H), 7.21 (d, J = 7.5 Hz, 6H), 4.70 (s, 1H), 4.03 (m, 2H), 3.44 (s, 1H), 3.31 (s, 1H), 2.77 (m, 1H), 1.88 (s, 1H), 1.71 (m, 2H), 1.51 m, 3H), 1.41 (m, 3H), 1.17 (t, J = 7.1 Hz, 4H).
단계 4: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티에노[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CM(8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티에노[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58 mg, 0.36 mmol)의 용액에 Et3SiH(0.70 mL, 1.63 mmol) 및 TFA(0.12 mL, 1.6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2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3/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48 mg, 9%).
MS (ESI, 양이온) m/z: 483.15 [M+H]+.
단계 5: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티에노[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2 mL/2 mL/2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티에노[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8 mg, 0.01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0.52 g, 12.78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포화 염수(2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2 mg, 26%).
MS (ESI, 양이온) m/z: 455.0 [M+H]+;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2.77 (s, 1H), 8.60 (s, 1H), 8.37 (s, 1H), 7.73 (d, J = 6.0 Hz, 1H), 7.65 (d, J = 6.4 Hz, 1H), 7.49 (d, J = 5.9 Hz, 1H), 4.80 (s, 1H), 2.77 (d, J = 7.0 Hz, 1H), 2.13 (s, 1H), 2.03 - 1.96 (m, 2H), 1.76 (m, 2H), 1.58 (m, 3H), 1.49 - 1.35 (m, 3H).
실시예 15: (2 S ,3 S )-3-((6-(벤조[ b ]티오펜-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93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과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4-(벤조[ b ]티오펜-2-일)-2,6-다이클로로피리미딘
THF(15 mL) 및 물(5 mL)의 혼합물 중 벤조[b]티오펜-2-일보론산(485 mg, 2.73 mmol), 비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II) 클로라이드(383 mg, 0.54 mmol),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0.50 g, 2.73 mmol) 및 나트륨 카보네이트(867 mg, 8.18 mmol)의 현탁액을 질소 보호 하에 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00 mg, 65%).
MS (ESI, 양이온) m/z: 281.0 [M+H]+.
단계 3: (2 S ,3 S )-에틸 3-((6-(벤조[ b ]티오펜-2-일)-2-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498 mg, 2.13 mmol) 및 4-(벤조[b]티오펜-2-일)-2,6-다이클로로피리미딘(500 mg, 1.77 mmol)을 DMF(10 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칼륨 카보네이트(740 mg, 5.3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가열하고, 8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20 mg, 66%).
단계 4: (2 S ,3 S )-에틸 3-((6-(벤조[ b ]티오펜-2-일)-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10 mL) 및 H2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26 mg, 0.40 mmol, 60%), K2CO3(187 mg, 1.35 mmol), PdCl2(dppf)(26 mg, 0.03 mmol) 및 (2S,3S)-에틸 3-((6-(벤조[b]티오펜-2-일)-2-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50 mg, 0.33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3 mg, 30%).
단계 5: (2 S ,3 S )-에틸 3-((6-(벤조[ b ]티오펜-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CM(5 mL) 중 (2S,3S)-에틸 3-((6-(벤조[b]티오펜-2-일)-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50 mg, 0.18 mmol)의 용액에 트라이에틸 실리칸(0.38 mL, 4.95 mmo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80 mL, 4.9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10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5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3 mg, 50%).
MS (ESI, 양이온) m/z: 559.2 [M+H]+.
단계 6: (2 S ,3 S )-3-((6-(벤조[ b ]티오펜-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2S,3S)-에틸 3-((6-(벤조[b]티오펜-2-일)-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3 mg, 0.09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37 mg, 0.94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물(1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5 mg,49%).
MS (ESI, 양이온) m/z: 531.2 [M+H]+;
HRMS (ESI, 양이온) m/z: 531.1361 [M+H]+, (C27H24ClN6O2S)[M+H]+ 이론적인 값: 531.1370;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3.32 (s, 1H), 8.82 (s, 1H), 8.50 (d, J = 9.8 Hz, 1H), 8.24 (s, 1H), 8.09 (s, 1H), 7.99 (s, 1H), 7.48 (d, J = 3.7 Hz, 2H), 6.95 (s, 1H), 4.65 (s, 1H), 2.56 (s, 1H), 2.04 (m, 2H), 1.76 (m, 3H), 1.60 - 1.42 (m, 5H).
실시예 16: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94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4-다이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미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 mL) 중 티오펜(500 mg, 5.94 mmol)의 용액에 -15℃의 n-부틸리튬(2.4 mL, 6.0 mmol, 2.5 mol/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다이클로로(N,N,N',N'-테트라메틸에틸렌다이아민) 아연(II)(495 mg, 1.96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팔라듐 다이클로라이드(105 mg, 0.59 mmol), 트라이페닐포스핀(658 mg, 1.19 mmol) 및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1.09 g, 5.94 mmol)을 혼합물에 차례차례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55℃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이러한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16 mg, 45%).
MS (ESI, 양이온) m/z: 230.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86 (d, J = 3.7 Hz, 1H), 7.66 (d, J = 4.9 Hz, 1H), 7.51 (s, 1H), 7.24- 7.17 (m, 1H).
단계 3: (2 S ,3 S )-에틸 3-((2-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362 mg, 1.55 mmol) 및 2,4-다이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미딘(300 mg, 1.29 mmol)을 DMF(6 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칼륨 카보네이트(538 mg, 3.89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30 mg, 64%).
MS (ESI, 양이온) m/z: 392.2 [M+H]+.
단계 4: (2 S ,3 S )-에틸 3-((2-브로모-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S,3S)-에틸 3-((2-클로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26 mmol) 및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5 mL, 30.00 mmol, 33%)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까지 냉각하고,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3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8 mg, 97%).
MS (ESI, 양이온) m/z: 436.1[M+H]+.
단계 5: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10 mL) 및 H2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258 mg, 0.29 mmol, 60%), K2CO3(136 mg, 0.99 mmol), Pd(dppf)Cl2(26 mg, 0.03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8 mg, 0.24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3 mg, 28%).
단계 6: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3 mg, 0.07 mmol)의 용액에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 (0.80 mL, 4.95 mmol) 및 트라이에틸 실리칸(0.38 mL, 4.9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카보네이트(10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5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0 mg, 55%).
MS (ESI, 양이온) m/z: 509.2 [M+H]+.
단계 7: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3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0 mg, 0.04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15 mg, 0.40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희석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3 mg, 68%).
MS (ESI, 양이온) m/z: 481.1 [M+H]+;
HRMS (ESI, 양이온) m/z: 481.1183 [M+H]+, (C23H22ClN6O2S)[M+H]+ 이론적인 값: 481.1213;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3.43 (s, 1H), 8.83 (s, 1H), 8.55 (s, 1H), 7.95 (s, 2H), 7.37 (s, 1H), 6.85 (s, 1H), 4.63 (s, 1H), 2.00 (s, 2H), 1.85 (d, J = 12.0 Hz, 3H), 1.69 (s, 1H), 1.58 (s, 3H), 1.45 (d, J = 11.5 Hz, 2H).
실시예 17: ( R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탄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95
단계 1: 2,4-다이클로로-7-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
THF(8 mL) 중 2,4-다이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1.00 g, 5.32 mmol)의 0℃ 용액을 0℃에서 5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나트륨 하이드라이드(255 mg, 6.38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요오도메탄(8.50 g, 53.20 mmol)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물(6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0 g, 93%).
MS (ESI, 양이온) m/z: 202.0[M+H]+.
단계 2: ( R )-메틸 3-((2-클로로-7-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DMF(10 mL) 중 2,4-다이클로로-7-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1.06 g, 5.25 mmol)의 용액에 (R)-메틸 3-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913 mg, 5.73 mmol) 및 K2CO3(1.45 g, 10.50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6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5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 중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15 mg, 18%).
MS (ESI, 양이온) m/z: 325.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6.88 (s, 1H), 5.45 (s, 1H), 4.74 (s, 1H), 3.76 (s, 3H), 3.60 (s, 3H), 2.74 (dd, J = 14.8, 4.0 Hz, 1H), 2.47 (dd, J = 14.8, 8.8 Hz, 1H), 1.71 (s, 1H), 1.01 (s, 9H).
단계 3: ( R )-메틸 3-((2-브로모-7-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1 M, 10 mL)에 (R)-메틸 3-((2-클로로-7-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0.37 g, 1.14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100 mL)에 천천히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 중 용매를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325 mg, 77%).
MS (ESI, 양이온) m/z: 369.2 [M+H]+.
단계 4: ( R )-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1,4-다이옥산(10 mL) 및 H 2 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0.39 g, 0.45 mmol, 60%), K2CO3(197 mg, 1.42 mmol), Pd(dppf)Cl2(60 mg, 0.08 mmol) 및 (R)-메틸 3-((2-브로모-7-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150 mg, 0.41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40 mg, 50%).
단계 5: ( R )-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DCM(8 mL) 중 (R)-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7-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140 mg, 0.20 mmol)의 용액에 Et3SiH(0.40 mL, 2.52 mmol) 및 TFA(0.19 mL, 2.7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EtOAc(v/v) = 1/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71 mg, 79%).
MS (ESI, 양이온) m/z: 442.20 [M+H]+.
단계 6: ( R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탄산
THF/MeOH/H2O(v/v/v =2 mL/2 mL/2 mL) 중 (R)-메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7-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71 mg, 0.16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64 mg, 1.60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포화 염수(20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묽은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2 mg, 32%).
MS (ESI, 양이온) m/z: 428.15 [M+H]+;
HRMS (ESI, 양이온) m/z: 428.1613[M+H]+, (C20H23ClN7O2)[M+H]+ 이론적인 값: 428.1602;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2.60 (s, 1H), 8.50 (s, 1H), 8.34 (s, 1H), 7.08 (s, 1H), 7.06 (d, J = 3.0 Hz, 1H), 6.68 (d, J = 3.3 Hz, 1H), 5.06 (s, 1H), 3.75 (s, 3H), 2.63 (m, 1H), 2.48 -2.41 (m, 1H), 1.03 (s, 9H).
실시예 18: (2 S ,3 S )-3-((6-(벤조[ b ]티오펜-2-일)-5-플루오로-2-(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96
단계 1: 7-요오도-5 H -피롤로[2,3- b ]피라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8 mL) 중 5H-피롤로[2,3-b]피라진(500 mg, 4.20 mmol)의 용액에 NIS(1.13 g, 5.04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나트륨 티오설페이트(5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EtOAc(5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 → 4/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65 mg, 94%).
MS (ESI, 양이온) m/z: 246.0 [M+H]+;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51 (s, 1H), 8.46 (d, J = 2.5 Hz, 1H), 8.29 (d, J = 2.5 Hz, 1H), 8.11 (d, J = 2.5 Hz, 1H).
단계 2: 7-요오도-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DMF(8 mL) 중 7-요오도-5H-피롤로[2,3-b]피라진(937 mg, 3.82 mmol)의 교반된 0℃ 용액에 NaH(185 mg, 4.59 mmol, 60%)를 천천히 첨가하고, 이어서 트라이페닐클로로메탄(1.18 g, 4.21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2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55 g, 83%).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40 (d, J = 2.5 Hz, 1H), 7.98 (d, J = 2.5 Hz, 1H), 7.65 (s, 1H), 7.34- 7.29 (m, 10H), 7.20 - 7.17 (m, 5H).
단계 3: 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THF(10 mL) 중 7-요오도-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500 mg, 1.03 mmol) 및 이소프로폭시보론산 피나콜 에스터(250 mg, 1.33 mmol)의 용액을 질소 보호 하에 -27℃까지 냉각하고, 이어서 이소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 용액(2 M, 0.70 mL)을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27℃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10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83 mg, 77%).
MS (ESI, 양이온) m/z: 488.3 [M+H]+.
단계 4: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과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5: (2 S ,3 S )-에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5 mL) 중 2,4,6-트라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2.34 g, 11.70 mmol),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2.48 g, 10.60 mmol) 및 K2CO3(2.95 g, 21.30 mmol)의 현탁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6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22 g, 58%).
MS (ESI, 양이온) m/z: 349.15 [M+H]+.
단계 6: (2 S ,3 S )-에틸 3-((6-(벤조[ b ]티오펜-2-일)-2-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벤조[b]티오펜-2-일보론산(770 mg, 4.30 mmol), K2CO3(1.80 g, 13.00 mmol), Pd(dppf)Cl2(110 mg, 0.43 mmol), (2S,3S)-에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50 g, 4.30 mmol),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8 mL) 및 H2O(1 mL)를 포함하는 용매를 사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7의 단계 1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40 mg, 42%).
MS (ESI, 양이온) m/z: 461.25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07 (s, 1H), 7.89 (d, J = 7.1 Hz, 1H), 7.87 - 7.85 (m, 1H), 7.43 - 7.39 (m, 2H), 5.42 (d, J = 4.6 Hz, 1H), 4.57 (d, J = 5.5 Hz, 1H), 4.28 - 4.24 (m, 2H), 2.43 (d, J = 5.8 Hz, 1H), 2.05 (d, J = 2.5 Hz, 1H), 1.94 (d, J = 2.6 Hz, 1H), 1.76 - 1.64 (m, 8H), 1.30 - 1.27 (m, 3H).
단계 7: (2 S ,3 S )-에틸 3-((6-(벤조[ b ]티오펜-2-일)-5-플루오로-2-(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및 H2O(1 mL)의 혼합된 용매에 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225 mg, 0.46 mmol, 60%), K2CO3(175 mg, 1.25 mmol), Pd(dppf)Cl2(34 mg, 0.04 mmol) 및 (2S,3S)-에틸 3-((6-(벤조[b]티오펜-2-일)-2-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10 mg, 0.42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1 mg, 49%).
단계 8: (2 S ,3 S )-에틸 3-((6-(벤조[ b ]티오펜-2-일)-5-플루오로-2-(5 H -피롤로[2,3-b]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CM(5 mL) 중 (2S,3S)-에틸 3-((6-(벤조[b]티오펜-2-일)-5-플루오로-2-(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66 mg, 0.08 mmol)의 용액에 Et3SiH(0.14 mL, 0.84 mmo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07 mL, 0.84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3 mg, 94%).
MS (ESI, 양이온) m/z: 543.3 [M+H]+.
단계 9: (2 S ,3 S )-3-((6-(벤조[ b ]티오펜-2-일)-5-플루오로-2-(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2S,3S)-에틸 3-((6-(벤조[b]티오펜-2-일)-5-플루오로-2-(5H-피롤로[2,3-b]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3 mg, 0.08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31 mg, 0.77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고, 이어서 물(1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 mg, 40%).
MS (ESI, 양이온) m/z: 515.2 [M+H]+;
HRMS (ESI, 양이온) m/z: 515.1663[M+H]+, (C27H24FN6O2S)[M+H]+ 이론적인 값: 515.1665;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48 (s, 1H), 8.59 (s, 1H), 8.46 (s, 1H), 8.31 (s, 1H), 8.20 (s, 1H), 8.08 (d, J = 4.9 Hz, 1H), 8.03 (d, J = 4.9 Hz, 1H), 7.71 (d, J = 6.1 Hz, 1H), 7.46 (d, J = 3.5 Hz, 2H), 4.68 (s, 1H), 2.88 (d, J = 6.7 Hz, 1H), 2.13 (s, 1H), 2.01 (s, 1H), 1.99 (s, 1H), 1.94-1.40 (m, 8H).
실시예 19: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이소프로필-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9071341718-pct00097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4-다이클로로-7-이소프로필-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
DMF(5 mL) 중 2,4-다이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500 mg, 2.66 mmol)의 용액에 0℃의 NaH(130 mg, 3.19 mmol, 60%)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이러한 온도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2-요오도프로판(904 mg, 5.32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5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60 mg, 75%).
MS (ESI, 양이온) m/z: 232.0 [M+H]+.
단계 3: (2 S ,3 S )-에틸 3-((2-클로로-7-이소프로필-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염산(1.26 g, 5.40 mmol) 및 2,4-다이클로로-7-이소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1.10 g, 5.40 mmol)을 테트라하이드로퓨란(5 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칼륨 카보네이트(1.87 g, 13.5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물(5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5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79 mg, 50%).
단계 4: (2 S ,3 S )-에틸 3-((2-브로모-7-이소프로필-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380 mg, 1.54 mmol, 33%)에 (2S,3S)-에틸 3-((2-클로로-7-이소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 [2.2.2]옥탄-2-카복실레이트(500 mg, 1.28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얼음-물(40 mL)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63 mg, 83%).
MS (ESI, 양이온) m/z: 435.0 [M+H]+.
단계 5: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이소프로필-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12 mL)에 (2S,3S)-에틸 3-((2-브로모-7-이소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50 mg, 0.34 mmol), K2CO3(143 mg, 1.03 mmol), PdCl2(dppf)(30 mg, 0.03 mmol) 및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30 mg, 0.38 mmol)을 첨가하고, 이어서 H2O(1 m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생성된 혼합물 중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고, 이어서 관 내의 혼합물을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6 mg, 64%).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46 (s, 1H), 7.92 (s, 1H), 7.33-7.28 (m, 10H), 7.27-7.23 (m, 5H), 7.03 (d, J = 3.6 Hz, 1H), 6.44 (s, 1H), 5.18- 5.12 (m, 1H), 4.75 (t, J = 7.4 Hz, 1H), 4.10-4.01 (m, 2H), 2.37 (d, J = 7.2 Hz, 1H), 2.05 (s, 2H), 1.77 - 1.62 (m, 9H), 1.54 (m, 6H), 1.17 (t, J = 7.1 Hz, 3H).
단계 6: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이소프로필-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7-이소프로필-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66 mg, 0.22 mmol)의 용액에 Et3SiH(0.37 mL, 2.20 mmol) 및 TFA(0.18 mL, 2.2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0 mg, 89%).
MS (ESI, 양이온) m/z: 508.3 [M+H]+;
HRMS (ESI, 양이온) m/z: 508.2239, (C26H31ClN7O2)[M+H]+ 이론적인 값: 508.2228;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99 (s, 1H), 8.53 (s, 1H), 8.25 (s, 1H), 7.06 (d, J = 3.6 Hz, 1H), 6.48 (s, 1H), 5.23 (dt, J = 13.1, 6.5 Hz, 1H), 4.86 (s, 1H), 4.20-3.98 (m, 2H), 2.51 (s, 1H), 2.07 (s, 2H), 1.91 (d, J = 12.0 Hz, 2H), 1.81-1.61 (m, 5H), 1.56 (dd, J = 6.7, 2.0 Hz, 6H), 1.29 (d, J = 10.0 Hz, 2H), 1.15 (t, J = 7.1 Hz, 3H).
실시예 20: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이소프로필-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98
THF/MeOH(v/v = 5 mL/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7-(티오펜-2,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19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88 mg, 1.91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급랭시키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1 mg, 67%).
MS (ESI, 양이온) m/z: 480.1 [M+H]+;
HRMS (ESI, 양이온) m/z: 480.1920 [M+H]+, (C24H27ClN7O2)[M+H]+ 이론적인 값: 480.1915;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57 (s, 1H), 8.50 (s, 1H), 8.34 (s, 1H), 7.23 (s, 1H), 7.19 (s, 1H), 6.64 (s, 1H), 5.08-4.95 (m, 1H), 4.74 (s, 1H), 2.69 (d, J = 6.4 Hz, 1H), 2.16 (s, 1H), 1.99 (s, 1H), 1.94-1.54 (m, 6H), 1.49 (t, J = 6.3 Hz, 6H), 1.43-1.30 (m, 2H);
13C NMR (151 MHz, DMSO-d 6 ) δ (ppm): 176.22, 155.96, 153.85, 149.84, 142.29, 140.99, 136.16, 135.55, 134.12, 120.89, 116.13, 101.68, 98.95, 55.37, 48.89, 45.69, 28.93, 26.17, 24.26, 23.12, 23.05, 21.65, 19.60, 19.01.
실시예 21: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099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 S ,3 S )-에틸 3-((2-클로로-7-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1.26 g, 5.40 mmol) 및 2,4-다이클로로-7-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1.10 g, 5.40 mmol)을 DMF(5 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K2CO3(1.50 g, 11.00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물(5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5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79 mg, 50%).
MS (ESI, 양이온) m/z: 363.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6.87 (d, J = 3.4 Hz, 1H), 6.41 (s, 1H), 5.32 (s, 1H), 4.63 (s, 1H), 4.21 (q, J = 7.1 Hz, 2H), 3.76 (s, 3H), 2.39 (d, J = 4.9 Hz, 1H), 1.96 - 1.52 (m, 10H), 1.26 (t, J = 7.0 Hz, 3H).
단계 3: (2 S ,3 S )-에틸 3-((2-브로모-7-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360 mg, 1.20 mmol, 33%)에 (2S,3S)-에틸 3-((2-클로로-7-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35 mg, 1.20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얼음-물(30 mL)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71 mg, 96%).
MS (ESI, 양이온) m/z: 407.2 [M+H]+.
단계 4: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12 mL) 및 H2O(1 mL)의 혼합물에 (2S,3S)-에틸 3-((2-브로모-7-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71 mg, 1.16 mmol), K2CO3(480 mg, 3.47 mmol), PdCl2(dppf)(90 mg, 0.12 mmol) 및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1.11 g, 1.27 mmol)을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생성된 혼합물 중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고, 이어서 관 내의 혼합물을 밀봉하고,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705 mg, 84%).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49 (s, 1H), 7.93 (s, 1H), 7.31-7.29 (m, 10H), 7.24 (m, 5H), 6.90 (d, J = 3.5 Hz, 1H), 6.42 (s, 1H), 4.74 (t, J = 7.2 Hz, 1H), 4.07 (m, 2H), 3.88 (s, 3H), 2.36 (d, J = 6.7 Hz, 1H), 2.04 (s, 2H), 1.94 (s, 2H), 1.70-1.49 (m, 7H), 1.15 (t, J = 7.2 Hz, 3H).
단계 5: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CM(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7-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700 mg, 0.97 mmol)의 용액에 Et3SiH(1.60 mL, 9.70 mmol) 및 TFA(0.80 mL, 9.7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20 mg, 47%).
MS (ESI, 양이온) m/z: 480.1 [M+H]+.
단계 6: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메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7-메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20 mg, 0.44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180 mg, 4.44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급랭시키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 내지 4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6 mg, 33%).
MS (ESI, 양이온) m/z: 452.1 [M+H]+;
HRMS (ESI, 양이온) m/z: 452.1618[M+H]+, (C22H23ClN7O2)[M+H]+ 이론적인 값: 452.1602;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58 (s, 1H), 8.51 (d, J = 2.8 Hz, 1H), 8.34 (s, 1H), 7.19 (d, J = 6.3 Hz, 1H), 7.10 (d, J = 3.2 Hz, 1H), 6.62 (d, J = 2.9 Hz, 1H), 4.74 (s, 1H), 3.77 (s, 3H), 2.68 (d, J = 6.3 Hz, 1H), 2.16 (s, 1H), 2.01-1.33 (m, 10H).
실시예 22: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이속사졸-5-일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00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1-(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에탄온
아세트산(100 mL) 중 2,4-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5.03 g, 30.10 mmol)의 용액에 황산 수용액(160 mL, 240 mmol, 1.5 M)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10℃로 냉각하고, 이어서 수성 암모늄 퍼설페이트(60 mL, 60 mmol, 1 M) 및 수성 철(I) 설페이트 용액(60 mL, 90 mmol, 1.5 M)을 혼합물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10℃에서 5시간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흡입에 의해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0℃ 물(50 mL)로 세척하고,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40 g, 22%).
1H NMR (400 MHz, CDCl3) δ (ppm): 2.71 (s, 3H).
단계 3: (2 S ,3 S )-에틸 3-((6-아세틸-2-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10 mL) 중 1-(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에탄온(1.06 g, 5.25 mmol)의 용액에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1.90 g, 8.11 mmol) 및 DIPEA(4.70 mL, 26.9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 중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37 g, 55%).
MS (ESI, 양이온) m/z: 370.3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6.88 (s, 1H), 5.45 (s, 1H), 4.74 (s, 1H), 3.76 (s, 3H), 3.60 (s, 3H), 2.74 (dd, J = 14.8, 4.0 Hz, 1H), 2.47 (dd, J = 14.8, 8.8 Hz, 1H), 1.71 (s, 1H), 1.01 (s, 9H).
단계 4: (2 S ,3 S )-에틸 3-((6-아세틸-2-브로모-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30 mL, 33%)에 (2S,3S)-에틸 3-((6-아세틸-2-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91 g, 2.5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100 mL)에 천천히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 중 용매를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0.98 g, 96%).
MS (ESI, 양이온) m/z: 414.10 [M+H]+.
단계 5: (2 S ,3 S )-에틸 3-((2-브로모-6-(( E )-3-(다이메틸아미노)아크릴로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DMA(20 mL) 중 (2S,3S)-에틸 3-((6-아세틸-2-브로모-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98 g, 2.40 mmol)의 용액을 50℃까지 가열하고, 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87 g, 78%).
MS (ESI, 양이온) m/z: 469.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83 (s, 1H), 5.86 (s, 1H), 4.51 (s, 1H), 4.24 (q, J = 6.7 Hz, 2H), 3.19 (s, 3H), 2.97 (s, 3H), 2.38 (d, J = 5.7 Hz, 1H), 2.03 (d, J = 1.8 Hz, 1H), 1.89 (s, 1H), 1.81 (m, 1H), 1.62 (m, 8H), 1.28 (m, 3H).
단계 6: (2 S ,3 S )-에틸-3-((2-브로모-5-플루오로-6-(이속사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무수 에탄올(15 mL) 중 (2S,3S)-에틸 3-((2-브로모-6-((E)-3-(다이메틸아미노)아크릴로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87 g, 1.90 mmol)의 용액에 하이드록실아민 하이드로클로라이드(0.27 g, 3.80 mmol)를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78℃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에틸 아세테이트(20 mL)에 용해시켰다. 이어서, 물(3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44 g, 54%).
MS (ESI, 양이온) m/z: 439.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40 (d, J = 1.7 Hz, 1H), 6.99 (s, 1H), 4.57 (t, J = 4.8 Hz, 1H), 4.25 (q, J = 7.1 Hz, 2H), 2.43 (d, J = 5.8 Hz, 1H), 1.93 (d, J = 2.3 Hz, 1H), 1.82 (m, 1H), 1.74-1.64 (m, 7H), 1.48 (m, 1H), 1.28 (m, 4H).
단계 7: (2 S ,3 S )-에틸-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이속사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15 mL)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0.41 g, 0.51 mmol, 60%), K2CO3(190 mg, 1.40 mmol), Pd(AcO)2(21 mg, 0.09 mmol), X-Phos(90 mg, 0.18 mmol) 및 (2S,3S)-에틸-3-((2-브로모-5-플루오로-6-(이속사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50 mg, 0.41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H 2 O(0.5 m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5℃까지 가열하고,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37 mg, 98%).
단계 8: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이속사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10 mL) 중 (2S,3S)-에틸-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이속사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37 mg, 0.45 mmol)의 용액에 Et3SiH(0.86 mL, 5.40 mmol) 및 TFA(0.40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8 mg, 8%).
MS (ESI, 양이온) m/z: 512.20 [M+H]+.
단계 9: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이속사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1 mL/1 mL/0.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이속사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8 mg, 0.04 mmol)의 용액에 물(0.5 mL) 중 NaOH(15 mg, 0.38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포화 염수(1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메틸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3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박층 분취용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 mg, 18%).
MS (ESI, 양이온) m/z: 484.20 [M+H]+.
HRMS (ESI, 양이온) m/z: 484.1306, (C22H20ClN7O3)[M+H]+ 이론적인 값: 484.1300;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2.86 (s, 1H), 9.18 (s, 1H), 8.63 (s, 1H), 8.38 (s, 1H), 7.85 (s, 1H), 7.24 (s, 1H), 4.70 (s, 1H), 3.18 (s, 1H), 2.87 (s, 1H), 2.12 (s, 1H), 1.75 (s, 3H), 1.62 -1.38 (m, 6H).
실시예 23: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페닐에틴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01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4-다이클로로-6-(2-페닐에틴일)피리미딘
톨루엔(3 mL) 중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101 mg, 0.55 mmol)의 용액에 페닐에틴일 트라이-n-부틸주석(259 mg, 0.66 mmol), 아르세닉 트라이페닐(67 mg, 0.22 mmol) 및 Pd(PPh3)Cl2(40 mg, 0.0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까지 가열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2 mg, 94%).
MS (ESI, 양이온) m/z: 249.3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40 (t, J = 7.9 Hz, 2H), 8.29 (d, J = 8.7 Hz, 1H), 7.88- 7.74 (m, 2H).
단계 3: (2 S ,3 S )-에틸 3-((2-클로로-6-(페닐에틴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5 mL) 중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568 mg, 2.43 mmol) 및 2,4-다이클로로-6-(2-페닐에틴일)피리미딘(622 mg, 2.91 mmol)의 용액에 칼륨 카보네이트(671 mg, 4.86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24 mg, 63%).
MS (ESI, 양이온) m/z: 410.2 [M+H]+.
단계 4: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페닐에틴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468 mg, 0.54 mmol, 60%), K2CO3(211 mg, 1.46 mmol), PdCl2(dppf)(40 mg, 0.05 mmol) 및 (2S,3S)-에틸 3-((2-클로로-6-(페닐에틴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00 mg, 0.49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H2O(1 m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15 mg, 31%).
단계 5: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페닐에틴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페닐에틴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15 mg, 0.15 mmol)의 용액에 Et3SiH(0.23 mL, 1.50 mmol) 및 TFA(0.11 mL, 1.5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3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5 mg, 70%).
MS (ESI, 양이온) m/z: 527.3 [M+H]+.
단계 6: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페닐에틴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페닐에틴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5 mg, 0.10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42 mg, 1.04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1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1 mg, 21%).
MS (ESI, 양이온) m/z: 499.4 [M+H]+;
HRMS (ESI, 양이온) m/z: 499.1645[M+H]+, (C27H24ClN6O2)[M+H]+ 이론적인 값: 499.1649;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3.07 (s, 1H), 8.65 (s, 1H), 8.47 (s, 1H), 7.73 (s, 1H), 7.67 (s, 2H), 7.51 (s, 4H), 5.76 (s, 1H), 4.38 (s, 1H), 2.02-1.79 (m, 6H), 1.54 (s, 3H).
실시예 24: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옥사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02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2,6-다이클로로피리미딘-4-일)옥사졸
무수 DMF(10 mL) 중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0.29 g, 1.60 mmol)의 용액에 비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II) 클로라이드(99 mg, 0.14 mmol) 및 2-(트라이부틸스탄일)옥사졸(500 mg, 1.40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9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 중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0 mg, 27%).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07 (s, 1H), 7.94 (s, 1H), 7.46 (s, 1H).
단계 3: (2 S ,3 S )-에틸 3-((2-클로로-6-(옥사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5 mL) 중 2-(2,6-다이클로로피리미딘-4-일)옥사졸(80 mg, 0.37 mmol)의 용액에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89 mg, 0.38 mmol) 및 칼륨 카보네이트(95 mg,0.69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2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0 mg, 72%).
MS (ESI, 양이온) m/z: 377.2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84 (s, 1H), 7.35 (s, 1H), 7.18 (s, 1H), 4.34 (s, 1H), 4.22 (q, 2H), 2.36 (d, J = 5.5 Hz, 1H), 2.10 (s, 1H), 1.87 (s, 1H), 1.77 (m, 1H), 1.71 - 1.66 (m, 3H), 1.57 (s, 2H), 1.49 (m, 2H), 1.29 - 1.27 (m, 3H).
단계 4: (2 S ,3 S )-에틸 3-((2-브로모-6-(옥사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S,3S)-에틸 3-((2-클로로-6-(옥사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87 g, 1.90 mmol)를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33%, 5 mL)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30 mL)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설페이트(9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1 mg, 90%).
MS (ESI, 양이온) m/z: 421.10 [M+H]+.
단계 5: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옥사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10 mL) 중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3,4-b]피라진(0.21 g, 0.26 mmol, 65%), K2CO3(0.10 g, 0.72 mmol), Pd(dppf)Cl2(54 mg, 0.07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6-(옥사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24 mmol)의 혼합물에 H2O(0.3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5℃까지 가열하고, 질소 보호 하에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8 mg, 33%).
단계 6: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옥사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CM(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옥사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8 mg, 0.08 mmol)의 용액에 Et3SiH(0.16 mL, 1.00 mmol) 및 TFA(0.07 mL, 0.9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0 mg, 77%).
단계 7: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옥사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1 mL/1 mL/1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옥사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0 mg, 0.06 mmol)의 용액에 NaOH(25 mg, 0.63 mmol)를 여러 분획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수(1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0 mg, 71%).
MS (ESI, 양이온) m/z: 466.10 [M+H]+;
HRMS (ESI, 양이온) m/z: 466.1427, (C22H21ClN7O3)[M+H]+ 이론적인 값: 466.1394;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8.67 (s, 1H), 8.35 (s, 1H), 8.24 (s, 1H), 7.70 (d, J = 5.9 Hz, 1H), 7.47 (s, 1H), 7.01 (s, 1H), 4.67 (s, 1H), 2.23 (d, J = 4.6 Hz, 1H), 2.06 (s, 1H), 1.99 (s, 1H), 1.89 - 1.80 (m, 1H), 1.78 - 1.58 (m, 4H), 1.50 (m, 3H).
실시예 25: (2 S ,3 S )-3-((6-(5-카바모일퓨란-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03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4-다이클로로-6-(퓨란-2-일)피리미딘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의 단계 10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단계 3: 2,4-다이클로로-6-(5-브로모퓨란-2-일)피리미딘
DMF(8 mL) 중 2,4-다이클로로-6-(퓨란-2-일)피리미딘(200 mg, 0.93 mmol)의 용액에 NBS(198 mg, 1.12 mmol)를 여러 분획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5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분말로서 수득하였다(187 mg, 68%).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54 (s, 1H), 7.38 (d, J = 3.6 Hz, 1H), 6.57 (d, J = 3.6 Hz, 1H).
단계 4: (2 S ,3 S )-에틸 3-((6-(5-브로모퓨란-2-일)-2-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10 mL) 중 2,4-다이클로로-6-(5-브로모퓨란-2-일)피리미딘(188 mg, 0.64 mmol),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180 mg, 0.77 mmol) 및 K3CO3(265 mg, 1.92 mmol)의 현탁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10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10 mg, 75%).
MS (ESI, 양이온) m/z: 442.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18 (d, J = 3.3 Hz, 1H), 6.64 (s, 1H), 6.49 (d, J = 3.4 Hz, 1H), 4.30 (s, 1H), 3.79 (s, 3H), 2.38 (d, J = 4.9 Hz, 1H), 2.06 (s, 1H), 1.87 (d, J = 2.4 Hz, 1H), 1.70 - 1.46 (m, 9H).
단계 5: (2 S ,3 S )-에틸 3-((2-클로로-6-(5-시아노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S,3S)-에틸 3-((6-(5-브로모퓨란-2-일)-2-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633 mg, 1.39 mmol),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0)(322 mg, 0.28 mmol), 구리(I) 시아나이드(633 mg, 6.96 mmol)를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이어서 DMF(15 m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150℃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20 mL)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206 mg, 37%).
MS (ESI, 양이온) m/z: 401.2 [M+H]+.
단계 6: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시아노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20 mL) 및 H 2 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491 mg, 0.57 mmol, 50%), K2CO3(213 mg, 1.54 mmol), PdCl2(dppf)(41 mg, 0.05 mmol) 및 (2S,3S)-에틸 3-((2-클로로-6-(5-시아노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06 mg, 0.51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31 mg, 34%).
단계 7: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시아노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20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5-시아노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31 mg, 0.17 mmol)의 용액에 Et3SiH(0.28 mL, 1.73 mmol) 및 TFA(0.14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51 mg, 57%).
MS (ESI, 양이온) m/z: 518.2 [M+H]+.
단계 8: (2 S ,3 S )-3-((6-(5-카바모일퓨란-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 2 mL/2 mL/1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5-시아노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2 mg, 0.10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42 mg, 1.00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수(1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5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9 mg, 57%).
MS (ESI, 양이온) m/z: 508.6 [M+H]+;
HRMS (ESI, 양이온) m/z: 508.1497, (C24H22FN6O5)[M+H]+ 이론적인 값: 508.1500;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2.76 (s, 1H), 8.63 (d, J = 2.3 Hz, 1H), 8.37 (s, 1H), 7.94 (s, 1H), 7.57 (d, J = 6.6 Hz, 1H), 7.51 (s, 1H), 7.29 (s, 2H), 6.82 (s, 1H), 5.33 (t, J = 4.9 Hz, 1H), 4.58 (s, 1H), 2.10 (s, 1H), 1.94 (m, 2H), 1.79-1.43 (m, 8H).
실시예 26: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04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과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4-다이클로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 mL) 중 2-메틸티오펜(500 mg, 5.09 mmol)의 용액에 -15℃의 n-부틸리튬(2.00 mL, 5.10 mmol, 2.5 mol/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다이아민)아연(II) 다이클로라이드(425 mg, 1.68 mmol)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팔라듐 다이클로라이드(91 mg, 0.51 mmol), 트라이페닐포스핀(270 mg, 1.02 mmol) 및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1.21 g, 5.60 mmol)을 혼합물에 차례차례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55℃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이러한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42 mg, 35%).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68 (d, J = 3.8 Hz, 1H), 7.41 (s, 1H), 6.88 (dd, J = 3.8, 0.9 Hz, 1H), 2.59 (s, 3H).
단계 3: (2 S ,3 S )-에틸 3-((2-클로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6 mL) 중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505 mg, 2.16 mmol) 및 2,4-다이클로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42 mg, 1.80 mmol)의 용액에 칼륨 카보네이트(500 mg, 3.61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50 mg, 34%).
MS (ESI, 양이온) m/z: 406.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55 (d, J = 3.6 Hz, 1H), 6.83-6.77 (m, 1H), 6.60 (s, 1H), 5.38 (d, J = 4.7 Hz, 1H), 4.21 (dd, J = 7.1, 4.6 Hz, 2H), 2.55 (s, 3H), 2.39-2.32 (m, 1H), 2.08 (s, 1H), 1.89-1.84 (m, 1H), 1.67 (m, 6H), 1.60 (s, 3H), 1.25 (d, J = 7.1 Hz, 3H).
단계 4: (2 S ,3 S )-에틸 3-((2-브로모-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235 mg, 1.25 mmol, 33%)에 (2S,2S)-에틸 3-((2-클로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25 mg, 0.8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3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80 mL x 3) 및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10 mg, 86%).
MS (ESI, 양이온) m/z: 452.5 [M+H]+.
단계 5: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및 H 2 O(1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660 mg, 0.76 mmol, 60%), K2CO3(290 mg, 2.07 mmol), PdCl2(dppf)(60 mg, 0.07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10 mg, 0.69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60 mg, 49%).
1H NMR (400 MHz, CDCl3) δ(ppm): 8.53 (s, 1H), 7.94 (s, 1H), 7.54 (d, J = 3.6 Hz, 1H), 7.38 -7.30 (m, 10H), 7.22 (dd, J = 6.3, 3.4 Hz, 5H), 6.79 (d, J = 2.7 Hz, 1H), 6.55 (s, 1H), 4.31 (s, 1H), 4.16 (d, J = 7.1 Hz, 2H), 2.55 (s, 3H), 2.43 (s, 1H), 1.93 (s, 1H), 1.89-1.64 (m, 6H), 1.60 -1.36 (m, 4H), 1.23 (t, J = 7.1 Hz, 3H).
단계 6: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CM(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20 mg, 0.29 mmol)의 용액에 Et3SiH(0.22 mL, 2.87 mmol) 및 TFA(0.46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41 mg, 94%).
MS (ESI, 양이온) m/z: 523.2 [M+H]+.
단계 7: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80 mg, 0.34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140 mg, 3.44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1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4 mg, 14%).
MS (ESI, 양이온) m/z: 495.6 [M+H]+;
HRMS (ESI, 양이온) m/z: 495.1369, (C24H24ClN6O2S)[M+H]+ 이론적인 값: 495.1370;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73 (s, 1H), 8.55 (s, 1H), 8.37 (s, 1H), 7.59 (s, 1H), 7.39 (s, 1H), 6.91 (s, 1H), 6.59 (s, 1H), 4.56 (s, 1H), 2.09 (s, 1H), 1.97 (s, 2H), 1.55 (m, 9H), 1.24 (s, 3H).
실시예 27: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사이클로프로필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05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4-다이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3의 단계 2에 따른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단계 3: (2 S ,3 S )-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표제 화합물을 실시예 13의 단계 3에 따른 합성 방법에 의해 제조하였다.
단계 4: (2 S ,3 S )-에틸 3-((6-(5-브로모티오펜-2-일)-2-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20 mL) 중 (2S,3S)-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59 g, 3.88 mmol)의 용액에 NBS(0.84 g,4.7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9 g, 57%).
MS (ESI, 양이온) m/z: 488.0 [M+H]+.
단계 5: (2 S ,3 S )-에틸 3-((2-클로로-6-(5-사이클로프로필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톨루엔(20 mL) 및 H2O(1 mL)의 혼합된 용매에 (2S,3S)-에틸 3-((6-(5-브로모티오펜-2-일)-2-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950 mg, 1.94 mmol), 세슘 카보네이트(45 mg, 0.20 mmol), Pd(OAc)2(45 mg, 0.20 mmol), n-부틸다이-1-아다만틸포스핀(143 mg, 0.39 mmol) 및 사이클로프로필보론산(205 mg, 2.39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9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2)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42 mg, 96%).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61 (dd, J = 3.8, 1.5 Hz, 1H), 6.84 (d, J = 3.8 Hz, 1H), 4.51 (t, J = 5.1 Hz, 1H), 4.23 (qd, J = 7.1, 1.0 Hz, 2H), 2.40 (d, J = 5.8 Hz, 1H), 2.03 (d, J = 2.3 Hz, 1H), 1.91 (d, J = 2.4 Hz, 1H), 1.84 (m, 1H), 1.75 - 1.63 (m, 6H), 1.28 (t, J = 7.1 Hz, 3H), 1.12 - 1.07 (m, 2H), 0.86 - 0.81 (m, 2H).
단계 6: (2 S ,3 S )-에틸 3-((2-브로모-6-(5-사이클로프로필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33%, 10 mL)에 (2S,3S)-에틸 3-((2-클로로-6-(5-사이클로프로필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84 g, 1.90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100 mL)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설페이트(10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고(0.98 g, 90%),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MS (ESI, 양이온) m/z: 494.0 [M+H]+.
단계 7: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사이클로프로필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20 mL)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65%, 1.81 g, 2.25 mmol), K2CO3(0.83 g, 6.00 mmol), PdCl2(dppf)(0.45 g, 0.60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6-(5-사이클로프로필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98 g, 2.00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H2O(1 m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7 g, 67%).
단계 8: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사이클로프로필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20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5-사이클로프로필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7 g, 1.32 mmol)의 용액에 Et3SiH(2.55 mL, 16.00 mmol) 및 TFA(1.20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일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5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20 mg, 16%).
단계 9: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사이클로프로필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2 mL/2 mL/2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5-사이클로프로필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12 g, 0.21 mmol)의 용액에 NaOH(86 mg, 2.1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수(1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2 mg, 54%).
MS (ESI, 양이온) m/z: 539.0 [M+H]+;
HRMS (ESI, 양이온) m/z: 539.1448, (C26H25ClN6O2S)[M+H]+ 이론적인 값: 539.1432;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2.76 (s, 1H), 8.50 (d, J = 2.9 Hz, 1H), 8.37 (s, 1H), 7.66 (d, J = 3.0 Hz, 1H), 7.58 (d, J = 6.1 Hz, 1H), 6.97 (d, J = 3.6 Hz, 1H), 4.66 (t, J = 6.2 Hz, 1H), 2.84 (d, J = 7.0 Hz, 1H), 2.23 (m, 1H), 2.10 (s, 1H), 1.74 (m, 2H), 1.59-1.48 (m, 3H), 1.44- 1.31 (m, 2H).
실시예 28: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06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플루오로티오펜
질소 보호 하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8 mL) 중 티오펜(500 mg, 5.94 mmol)의 -15℃ 용액에 n-부틸리튬(2.60 mL, 6.54 mmol, 2.5 mol/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이러한 온도에서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반응 혼합물을 -78℃까지 냉각하고, 5분 동안 교반하고, NFSI(2.07 g, 6.54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6시간 내에 실온까지 자연히 가온하고, 이어서 증류 방법을 사용함으로써 분획을 수집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고(607 mg, 41%), 후속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단계 3: 2,4-다이클로로-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 mL) 중 2-플루오로티오펜(3.76 g, 36.80 mmol)의 용액에 -15℃의 n-부틸리튬(15.0 mL, 36.80 mmol, 2.5 mol/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다이클로로(N,N,N',N'-테트라메틸에틸렌다이아민)아연(II)(3.07 g, 12.11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팔라듐 다이클로라이드(653 mg, 3.68 mmol), 트라이페닐포스핀(1.93 g, 7.36 mmol) 및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7.43 g, 40.50 mmol)을 혼합물에 차례차례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55℃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이러한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41 g, 26%).
MS (ESI, 양이온) m/z: 249.0 [M+H]+.
단계 4: ( 2S , 3S )-에틸 3-((2-클로로-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30 mL) 중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631 mg, 2.70 mmol) 및 2,4-다이클로로-6-(5-플루오로퓨란-3-일)피리미딘(559 mg, 2.24 mmol)의 용액에 칼륨 카보네이트(620 mg, 4.49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59 mg, 61%).
MS (ESI, 양이온) m/z: 410.0 [M+H]+.
단계 5: (2 S ,3 S )-에틸 3-((2-브로모-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6 mL) 중 브롬화수소산(880 mg, 3.51 mmol)의 용액에 (2S,2S)-에틸 3-((2-클로로-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20 g, 2.93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4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 x 3) 및 포화 염수(3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12 g, 84%).
MS (ESI, 양이온) m/z: 454.0 [M+H]+.
단계 6: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및 H 2 O(1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2.36 g, 2.71 mmol, 60%), K2CO3(1.02 g, 7.39 mmol), PdCl2(dppf)(190 mg, 0.25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12 g, 2.46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18 g, 62%).
단계 7: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18 g, 1.53 mmol)의 용액에 Et3SiH(2.40 mL, 15.30 mmol) 및 TFA(1.20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780 mg, 97%).
MS (ESI, 양이온) m/z: 527.7 [M+H]+.
단계 8: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780 mg, 1.48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592 mg, 14.80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1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65 mg, 77%).
MS (ESI, 양이온) m/z: 499.10 [M+H]+;
HRMS (ESI, 양이온) m/z: 499.1121, (C23H21FClN6O2S) [M+H]+ 이론적인 값: 499.1119;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3.17 (s, 1H), 8.54 (s, 1H), 8.49 (s, 1H), 8.33 (s, 1H), 7.38 (s, 1H), 6.82 (d, J = 3.0 Hz, 1H), 6.52 (s, 1H), 4.47 (s, 1H), 2.43 (s, 1H), 1.93 (m, 2H), 1.87 -1.28 (m, 9H).
실시예 29: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07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및 H 2 O(1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280 mg, 0.54 mmol), K2CO3(202 mg, 1.46 mmol), PdCl2(dppf)(40 mg, 0.05 mmol) 및 (2S,3S)-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00 mg, 0.49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1 mg, 27%).
단계 3: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83 mg, 0.24 mmol)의 용액에 Et3SiH(0.40 mL, 2.38 mmol) 및 TFA(0.20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9 mg, 71%).
MS (ESI, 양이온) m/z: 527.1 [M+H]+.
단계 4: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75 mg, 0.14 mmol)의 용액에 NCS(0.86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v/v) = 10/1 → 3/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13 mg, 92%).
단계 5: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13 mg, 0.91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366 mg, 9.14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2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1 mg, 21%).
MS (ESI, 양이온) m/z: 533.0 [M+H]+;
HRMS (ESI, 양이온) m/z: 533.0743, (C23H20FCl2N6O2S) [M+H]+ 이론적인 값: 533.0730;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78 (s, 1H), 8.52 (d, J = 2.4 Hz, 1H), 8.36 (s, 1H), 7.69 (m, 2H), 7.27 (d, J = 3.7 Hz, 1H), 4.67 (s, 1H), 2.85 (d, J = 6.7 Hz, 1H), 2.09 (s, 1H), 2.00 (s, 2H), 1.74 (d, J = 10.2 Hz, 2H), 1.62-1.41 (m, 5H), 1.21 (d, J = 5.9 Hz, 1H).
실시예 30: ( 2 S ,3 S )-3- ((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 -7-일)-5- 플루오로 -6-(1 H -피롤-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08
단계 1: t-부틸 2-(2-클로로-6-(((2 S ,3 S )-3-(에톡시카보닐)바이사이클로[2.2.2]옥탄-2-일)아미노)-5-플루오로피리미딘-4-일)-1 H -피롤-1-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3 mL) 및 H2O(0.1 mL)의 혼합물에 (2S,3S)-에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0 mg, 0.14 mmol), K2CO3(58 mg, 0.42 mmol), Pd(dppf)Cl2(21 mg, 0.03 mmol) 및 (1-(t-부톡시카보닐)-1H-피롤-2-일)보론산(30 mg, 0.14 mmol)을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고, 이어서 관 내의 혼합물을 밀봉하고, 11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20 mg, 29%).
MS (ESI, 양이온) m/z: 493.1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42 (dd, J = 3.2, 1.7 Hz, 1H), 6.60 (dd, J = 3.2, 1.5 Hz, 1H), 6.29 (t, J = 3.3 Hz, 1H), 4.53 (t, J = 5.6 Hz, 1H), 4.24 (q, J = 7.1 Hz, 2H), 2.39 (d, J = 5.8 Hz, 1H), 2.03 (d, J = 2.2 Hz, 1H), 1.91 (d, J = 2.1 Hz, 1H), 1.84 (m, 1H), 1.74-1.63 (m, 6H), 1.47 (s, 9H), 1.27 (t, J = 2.1 Hz, 3H).
단계 2: (2 S ,3 S )-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1 H -피롤-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33%, 4 mL)에 t-부틸 2-(2-클로로-6-(((2S,3S)-3-(에톡시카보닐)바이사이클로[2.2.2]옥탄-2-일)아미노)-5-플루오로피리미딘-4-일)-1H-피롤-1-카복실레이트(0.12 g, 0.2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8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10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00 mg, 94%).
MS (ESI, 양이온) m/z: 369.2 [M+H]+.
단계 3: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1 H -피롤-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20 mL) 및 H 2 O(1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985 g, 1.23 mmol, 65%), K2CO3(465 mg, 3.36 mmol), Pd(dppf)Cl2(251 mg, 0.34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1H-피롤-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86 mg, 1.11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588 mg, 45%).
단계 4: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1 H -피롤-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20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1H-피롤-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88 mg, 0.78 mmol)의 용액에 Et3SiH(1.50 mL, 9.39 mmol) 및 TFA(0.70 mL, 9.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82 mg, 21%).
MS (ESI, 양이온) m/z: 510.1 [M+H]+.
단계 5: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1 H -피롤-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 2 mL/2 mL/2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1H-피롤-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83 mg, 0.16 mmol)의 용액에 NaOH(66 mg, 1.6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수(1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0 mg, 77%).
MS (ESI, 양이온) m/z: 482.60 [M+H]+.
HRMS (ESI, 양이온) m/z: 482.1509, (C23H22ClN7O2)[M+H]+ 이론적인 값: 482.1508;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2.85 (s, 1H), 11.57 (s, 1H), 9.00 (s, 1H), 8.34 (s, 1H), 7.37 (d, J = 6.4 Hz, 1H), 7.07 (s, 1H), 6.78 (s, 1H), 6.28 (d, J = 3.1 Hz, 1H), 4.68 (s, 1H), 2.86 (d, J = 7.0 Hz, 1H), 2.17 (s, 1H), 1.99 (s, 1H), 1.80-1.68 (m, 2H), 1.48 (m, 5H).
실시예 31: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1,2,3-티아다이아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09
단계 1: 1-(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에탄온
2 L 3-목 플라스크에 2,4-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10.0 g, 59.9 mmol) 및 아세트산(100 mL)을 차례차례 첨가하였다. 혼합물 내의 고체를 혼합물이 초음파에 의해 투명해질 때까지 용해시키고, 이어서 황산(320 mL, 480 mmol, 1.5 mol/L)을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10℃까지 냉각하고, 질소 보호 하에 교반하고, 이어서 아세트알데하이드(34 mL, 604 mmol)를 주사기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암모늄 퍼설페이트 용액(120 mL, 120 mmol, 1 mol/L) 및 철(I) 설페이트 칠수화물 용액(120 mL, 120 mmol, 1 mol/L)을 1시간 내에 유사한 적하 속도로 반응 혼합물에 주사기로 넣었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혼합물을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36 g, 11%).
1H NMR (400 MHz, CDCl3) δ (ppm): 2.72 (s, 3H).
단계 2: ( E )-메틸 2-(1-(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에틸리덴)하이드라진카복실레이트
톨루엔(10 mL) 중 1-(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에탄온(200 mg, 0.96 mmol), 메틸 카바제이트(95 mg, 1.06 mmol) 및 p-톨루엔설폰산(18 mg, 0.11 mmol)의 현탁액을 110℃까지 가열하고, 질소 보호 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51 mg, 56%).
MS (ESI, 양이온) m/z: 281.3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27 (s, 1H), 3.94 (s, 3H), 2.32 (s, 3H).
단계 3: 5-(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1,2,3-티아다이아졸
티오닐 클로라이드(8 mL)에 0℃의 (E)-메틸 2-(1-(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에틸리덴)하이드라진카복실레이트(112 mg, 0.40 mmol)를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과량의 티오닐 클로라이드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6 mg, 26%).
1H NMR (400 MHz, CDCl3) δ(ppm) 9.52 (s, 1H).
단계 4: (2 S ,3 S )-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1,2,3-티아다이아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THF(8 mL) 중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159 mg, 0.68 mmol) 및 5-(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1,2,3-티아다이아졸(142 mg, 0.57 mmol)의 용액에 DIPEA(730 mg, 5.66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15 mg, 92%).
MS (ESI, 양이온) m/z: 412.5 [M+H]+;
1H NMR (400 MHz, CDCl3) δ(ppm) 9.31 (s, 1H), 5.58 (d, J = 3.8 Hz, 1H), 4.61 (t, J = 5.0 Hz, 1H), 4.25 (q, J = 7.1 Hz, 2H), 2.45 (d, J = 5.8 Hz, 1H), 2.07 (s, 1H), 1.96 (d, J = 2.4 Hz, 1H), 1.88 -1.60 (m, 8H), 1.29 (d, J = 7.2 Hz, 3H).
단계 5: (2 S ,3 S )-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1,2,3-티아다이아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6 mL) 중 브롬화수소산(370 mg, 0.63 mmol)의 용액에 (2S,3S)-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1,2,3-티아다이아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15 mg, 0.52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4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 x 3) 및 포화 염수(3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29 mg, 96%).
MS (ESI, 양이온) m/z: 458.5 [M+H]+.
단계 6: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1,2,3-티아다이아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및 H2O(1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480 mg, 0.55 mmol, 60%), K2CO3(210 mg, 1.51 mmol), PdCl2(dppf)(40 mg, 0.05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1,2,3-티아다이아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29 mg, 0.50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86 mg, 48%).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58 (s, 1H), 8.45 (s, 1H), 7.96 (s, 1H), 7.34-7.29 (m, 10H), 7.23 (m, 5H), 5.33 (d, J = 5.8 Hz, 1H), 4.65 (t, J = 7.1 Hz, 1H), 4.10 (m, 2H), 3.72 (d, J = 4.8 Hz, 1H), 2.38 (d, J = 6.7 Hz, 1H), 2.09 (s, 1H), 2.06 (s, 1H), 1.76-1.64 (m, 8H), 1.18 (t, J = 7.1 Hz, 3H).
단계 7: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1,2,3-티아다이아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1,2,3-티아다이아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75 mg, 0.49 mmol)의 용액에 Et3SiH(0.78 mL, 4.89 mmol) 및 TFA(0.39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01 mg, 78%).
MS (ESI, 양이온) m/z: 529.0 [M+H]+.
단계 8: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1,2,3-티아다이아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1,2,3-티아다이아졸-5-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50 mg, 0.28 mmol)의 용액에 농축 염산(290 mg, 2.84 mmol, 33%)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5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2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포화 NaHCO3(3 M)으로 pH 약 6까지 조정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Et3N (v/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5 mg, 25%).
MS (ESI, 양이온) m/z: 501.5 [M+H]+;
HRMS (ESI, 양이온) m/z: 501.1016, (C21H19FClN8O2S)[M+H]+ 이론적인 값: 501.1024;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9.85 (s, 1H), 8.65 (s, 1H), 8.37 (s, 1H), 7.84 (d, J = 6.1 Hz, 1H), 4.73 (s, 1H), 2.88 (d, J = 7.2 Hz, 1H), 2.14 (s, 1H), 2.01 (s, 2H), 1.76-1.37 (m, 8H).
실시예 32: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피리딘-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10
단계 1: (2 S,3 S)-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피리딘-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8 mL) 및 H2O(1 mL)의 혼합물에 피리딘-2-일보론산(200 mg, 1.63 mmol), K2CO3(675 mg, 4.88 mmol), PdCl2(dppf)(122 mg, 0.16 mmol) 및 (2S,3S)-에틸-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650 mg, 1.79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0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8 mg, 15%).
MS (ESI, 양이온) m/z: 405.5 [M+H]+.
단계 2: (2 S ,3 S )-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피리딘-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6 mL) 중 브롬화수소산(440 mg, 0.41 mmol)의 용액에 (2S,3S)-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피리딘-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40 mg, 0.3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4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80 mL) 및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41 mg, 91%).
MS (ESI, 양이온) m/z: 449.0 [M+H]+.
단계 3: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피리딘-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및 H 2 O(1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10 mg, 0.36 mmol, 60%), K2CO3(135 mg, 0.97 mmol), PdCl2(dppf)(25 mg, 0.03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피리딘-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40 mg, 0.32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4 mg, 68%).
단계 4: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피리딘-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6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피리딘-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64 mg, 0.21 mmol)의 용액에 Et3SiH(2.50 mg, 2.14 mmol) 및 TFA(0.14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6 mg, 86%).
MS (ESI, 양이온) m/z: 522.1 [M+H]+.
단계 5: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피리딘-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 =5 mL/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피리딘-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92 mg, 0.18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70 mg, 1.76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1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8 mg, 67%).
MS (ESI, 양이온) m/z: 494.1 [M+H]+;
HRMS (ESI, 양이온) m/z: 494.1496, (C24H22FClN7O2)[M+H]+ 이론적인 값: 494.1508;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8.74 (s, 1H), 8.57 (s, 1H), 8.37 (s, 1H), 8.26 (s, 1H), 8.02 (s, 1H), 7.61 (s, 1H), 7.52 (s, 1H), 4.69 (s, 1H), 2.85 (s, 1H), 2.12 (s, 1H), 1.99 (s, 2H), 1.77 -1.30 (m, 8H).
실시예 33: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11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4-다이클로로-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 mL) 중 2-메틸티오펜(1.00 g, 10.00 mmol)의 용액에 -15℃의 n-부틸리튬(4.10 mL, 10.0 mmol, 2.5 mol/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다이클로로(N,N,N',N'-테트라메틸에틸렌다이아민)아연(II)(850 mg, 3.40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이러한 온도에서 유지하면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팔라듐 다이클로라이드(180 mg, 1.0 mmol), 트라이페닐포스핀(530 mg, 2.0 mmol) 및 2,4,6-트라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2.30 g, 11.0 mmol)을 혼합물에 차례차례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55℃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이러한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87 mg, 22%).
MS (ESI, 양이온) m/z: 262.9 [M+H]+;
1H NMR (400 MHz, CDCl3) δ(ppm) 7.86 (dd, J = 3.7, 1.6 Hz, 1H), 6.93 (d, J = 3.7 Hz, 1H), 2.61 (s, 3H).
단계 3: (2 S ,3 S )-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6 mL) 중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627 mg, 2.68 mmol) 및 2,4-다이클로로-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587 mg, 2.23 mmol)의 용액에 칼륨 카보네이트(620 mg, 4.46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40 mL)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이어서,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28 mg, 56%).
MS (ESI, 양이온) m/z: 410.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64 (d, J = 2.7 Hz, 1H), 6.84 (d, J = 3.6 Hz, 1H), 5.27 (d, J = 4.5 Hz, 1H), 4.52 (s, 1H), 4.27-4.20 (m, 2H), 2.56 (s, 3H), 2.40 (d, J = 5.8 Hz, 1H), 2.03 (d, J = 2.3 Hz, 1H), 1.91 (d, J = 2.4 Hz, 1H), 1.85-1.59 (m, 7H), 1.45 (m, 1H), 1.29 (m, 3H).
단계 4: (2 S ,3 S )-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528 mg, 1.25 mmol)에 (2S,3S)-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80 mg, 0.5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혼합물을 얼음-물(3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80 mL) 및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21 mg, 89%).
단계 5: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및 H 2 O(1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1.08 mg, 1.25 mmol, 60%), K2CO3(470 mg, 3.41 mmol), PdCl2(dppf)(86 mg, 0.09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32 mg, 1.14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99 mg, 67%).
1H NMR (400 MHz, CDCl3) δ(ppm) 8.42 (s, 1H), 7.94 (s, 1H), 7.71 (d, J = 3.0 Hz, 1H), 7.37 - 7.30 (m, 10H), 7.22 (m, 5H), 6.85 (d, J = 3.2 Hz, 1H), 5.04 (d, J = 5.6 Hz, 1H), 4.61 (t, J = 7.0 Hz, 1H), 4.06 (m, 2H), 2.58 (s, 3H), 2.33 (d, J = 7.2 Hz, 1H), 2.07 (s, 3H), 1.69 (m, 5H), 1.56 - 1.38 (m, 5H), 1.17 (t, J = 7.1 Hz, 3H).
단계 6: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99 mg, 0.76 mmol)의 용액에 Et3SiH(1.30 mL, 7.65 mmol) 및 TFA(0.60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85 mg, 93%).
MS (ESI, 양이온) m/z: 541.2 [M+H]+.
단계 7: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85 mg, 0.71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285 mg, 7.12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1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01 mg, 55%).
MS (ESI, 양이온) m/z: 513.6 [M+H]+;
HRMS (ESI, 양이온) m/z: 513.1285, (C24H23FClN6O2S)[M+H]+ 이론적인 값: 513.1276;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76 (s, 1H), 8.50 (s, 1H), 8.37 (s, 1H), 7.70 (d, J = 3.1 Hz, 1H), 7.57 (d, J = 6.3 Hz, 1H), 6.97 (d, J = 3.0 Hz, 1H), 4.66 (t, J = 6.6 Hz, 1H), 2.85 (d, J = 7.1 Hz, 1H), 2.54 (s, 3H), 2.11 (s, 1H), 1.99 (s, 2H), 1.83 - 1.64 (m, 2H), 1.64- 1.21 (m, 6H);
13C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76.08, 155.77, 155.69, 152.50, 152.39, 144.26, 144.21, 142.71, 141.01, 140.66, 140.53, 140.45, 138.07, 135.97, 135.91, 135.84, 134.92, 130.03, 129.93, 127.48, 114.07, 51.35, 48.00, 28.79, 28.57, 25.91, 24.21, 21.68, 19.56, 15.63.
실시예 34: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9071341718-pct00112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4-다이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 mL) 중 티오펜(300 mg, 3.57 mmol)의 용액에 -15℃의 n-부틸리튬(1.4 mL, 3.57 mmol, 2.5 mol/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N,N,N',N'-테트라메틸에틸렌다이아민)아연(II) 다이클로라이드(300 mg, 1.18 mmol)를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팔라듐 다이클로라이드(65 mg, 0.36 mmol), 트라이페닐포스핀(188 mg, 0.71 mmol) 및 5-플루오로-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790 mg, 3.92 mmol)을 혼합물에 차례차례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55℃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이러한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66 mg, 41%).
MS (ESI, 양이온) m/z: 272.0 [M+Na]+.
단계 3: (2 S ,3 S )-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6 mL) 중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3]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411 mg, 1.76 mmol) 및 2,4-다이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366 mg, 1.47 mmol)의 용액에 칼륨 카보네이트(406 mg, 2.9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40 mL)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이어서,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88 mg, 64%).
MS (ESI, 양이온) m/z: 410.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84 (s, 1H), 7.57 (d, J = 4.8 Hz, 1H), 7.18 (t, J = 4.2 Hz, 1H), 5.34 (s, 1H), 4.53 (s, 1H), 4.24 (m, 2H), 2.41 (d, J = 5.5 Hz, 1H), 2.05 (d, J = 10.7 Hz, 2H), 1.93 - 1.77 (m, 3H), 1.69 (d, J = 9.2 Hz, 5H), 1.29 (t, J = 5.2 Hz, 3H).
단계 4: (2 S ,3 S )-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33%, 20 mL)에 (2S,3S)-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74 g, 1.80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100 mL)에 천천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설페이트(20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0.75 g, 91%).
MS (ESI, 양이온) m/z: 454.1 [M+H]+.
단계 5: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20 mL) 및 H 2 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65%, 1.07 g, 1.10 mmol), K2CO3(0.51 g, 3.70 mmol), PdCl2(dppf)(0.28 g, 0.38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55 g, 1.21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713 mg, 77%).
단계 6: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20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71 g, 0.92 mmol)의 용액에 Et3SiH(1.80 mL, 11.30 mmol) 및 TFA(0.82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4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00 mg, 62%).
MS (ESI, 양이온) m/z: 527.1 [M+H]+;
HRMS (ESI, 양이온) m/z: 527.1430, (C25H25FClN6O2S)[M+H]+ 이론적인 값: 527.1432;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8.50 (s, 1H), 8.38 (s, 1H), 7.86 (d, J = 4.6 Hz, 1H), 7.67 (d, J = 6.4 Hz, 1H), 7.29 (s, 1H), 6.63 (d, J = 3.0 Hz, 1H), 4.73 (s, 1H), 4.11 - 4.01 (m, 2H), 2.92 (d, J = 6.5 Hz, 1H), 2.09 (s, 1H), 1.97 (s, 2H), 1.76 (m, 3H), 1.55 (s, 3H), 1.45 - 1.36 (m, 2H), 1.12 (t, J = 6.9 Hz, 3H).
실시예 35: (2 S ,3 S )-3-((2-(3-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13
단계 1: 3-클로로-7-요오도-5 H -피롤로[2,3- b ]피라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0 mL) 중 3-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300 mg, 1.95 mmol)의 용액에 NIS(543 mg, 2.34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나트륨 티오설페이트(5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EtOAc(5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46 mg, 100%).
MS (ESI, 양이온) m/z: 280.2 [M+H]+.
단계 2: 3-클로로-7-요오도-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DMF(10 mL) 중 3-클로로-7-요오도-5H-피롤로[2,3-b]피라진(546 mg, 1.95 mmol)의 용액에 0℃의 NaH(93 mg, 2.3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트라이페닐클로로메탄(599 mg, 2.15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6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84 mg, 87%).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45 (s, 1H), 7.70 (s, 1H), 7.34 (dd, J = 9.7, 7.2 Hz, 10H), 7.17 (d, J = 6.9 Hz, 5H).
단계 3: 3-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무수 THF(10 mL) 중 3-클로로-7-요오도-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450 mg, 0.86 mmol) 및 이소프로폭시보론산 피나콜 에스터(208 mg, 1.12 mmol)의 용액을 -27℃까지 냉각하고, 질소 보호 하에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이소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 용액(THF 중 2 M, 0.52 m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27℃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50 mg, 100%),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4: (2 S ,3 S )-에틸 3-((2-(3-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10 mL) 및 H2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3-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40%, 326 mg, 0.25 mmol), K2CO3(93 mg, 0.67 mmol), PdCl2(dppf)(51 mg, 0.07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5 mg, 0.22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1 mg, 92%).
단계 5: (2 S ,3 S )-에틸 3-((2-(3-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6 mL) 중 (2S,3S)-에틸 3-((2-(3-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61 mg, 0.21 mmol)의 용액에 Et3SiH(0.40 mL, 2.50 mmol) 및 TFA(0.19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93 mg, 84%).
MS (ESI, 양이온) m/z: 510.1 [M+H]+.
단계 6: (2 S ,3 S )-3-((2-(3-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 2 mL/2 mL/2 mL) 중 (2S,3S)-에틸 3-((2-(3-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5-메틸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93 mg, 0.17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69 mg, 1.73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수(2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박층 분취용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5 mg, 96%).
MS (ESI, 양이온) m/z: 513.6 [M+H]+;
HRMS (ESI, 양이온) m/z: 513.1265, (C23H22ClN7O2)[M+H]+ 이론적인 값: 513.1276;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2.78 (s, 1H), 8.60 (s, 1H), 8.41 (s, 1H), 7.69 (s, 1H), 7.58 (d, J = 5.9 Hz, 1H), 6.97 (s, 1H), 4.62 (s, 1H), 2.84 (d, J = 6.6 Hz, 1H), 2.53 (s, 3H), 2.07 (s, 1H), 1.98 (s, 1H), 1.86 (s, 1H), 1.73 (m, 2H), 1.53 (m, 2H), 1.44-1.33 (m, 2H);
13C NMR (101 MHz, DMSO-d 6 ) δ (ppm): 176.08, 155.78, 152.32, 144.21, 140.95, 140.72, 138.17, 138.05, 135.85, 135.69, 133.87, 130.00, 129.90, 127.45, 114.74, 51.35, 48.07, 28.83, 28.57, 25.92, 24.10, 21.67, 19.54, 15.63.
실시예 36: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모폴리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14
단계 1: (+/-)- 트랜스- 메틸 3-((2,6-다이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트랜스-메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40 g, 13.0 mmol),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1.80 g, 9.8 mmol) 및 DIPEA(4.00 g, 29.0 mmol)를 다이클로로메탄(20 mL)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06 g, 64%).
단계 2: (+/-)- 트랜스- 메틸 3-((2-클로로-6-모폴리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트랜스-메틸 3-((2,6-다이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55 g, 1.50 mmol) 및 모르핀(5.0 g, 60 mmol)의 혼합물을 90℃까지 가열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45 g, 78%).
MS (ESI, 양이온) m/z: 381.2 [M+H]+.
단계 3: (+/-)- 트랜스- 3-((2-브로모-6-모폴리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트랜스-메틸 3-((2-클로로-6-모폴리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00 mg, 1.05 mmol),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5 mL, 30.00 mmol, 33%) 및 물(5 mL)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40 mg, 100%).
MS (ESI, 양이온) m/z: 411.1 [M+H]+.
단계 4: (+/-)- 트랜스- 메틸 3-((2-브로모-6-모폴리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무수 메탄올(10 mL) 중 (+/-)-트랜스-3-((2-브로모-6-모폴리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200 mg, 0.48 mmol)의 용액을 0℃까지 냉각하고, 티오닐 클로라이드(0.8 g, 7 mmo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밤새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0 mg, 48%).
MS (ESI, 양이온) m/z: 425.2 [M+H]+.
단계 5: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모폴리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10 mL) 및 H2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258 mg, 0.29 mmol, 60%), K2CO3(136 mg, 0.99 mmol), PdCl2(dppf)(26 mg, 0.03 mmol) 및 (+/-)-트랜스-메틸 3-((2-브로모-6-모폴리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24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4 mg, 31%).
단계 6: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 모폴리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모폴리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4 mg, 0.07 mmol)의 용액에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80 mL, 4.95 mmol) 및 트라이에틸 실리칸(0.38 mL, 4.9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카보네이트(10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5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0 mg, 81%).
MS (ESI, 양이온) m/z: 498.3 [M+H]+.
단계 7: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모폴리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3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모폴리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0 mg, 0.06 mmol)의 용액에 물(2 mL) 중 NaOH(24 mg, 0.60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2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5 mg, 51%).
MS (ESI, 양이온) m/z: 484.3 [M+H]+;
HRMS (ESI, 양이온) m/z: 484.1864, (C23H27ClN7O3)[M+H]+ 이론적인 값: 484.1864;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2.75 (s, 1H), 12.16 (s, 1H), 8.56 (s, 1H), 8.39 (s, 1H), 7.31 (s, 1H), 6.92 (s, 1H), 4.36 (s, 1H), 3.71 (d, J = 3.7 Hz, 4H), 3.66 (d, J = 4.1 Hz, 4H), 1.98 (d, J = 6.9 Hz, 1H), 1.91 (s, 1H), 1.86 (s, 1H), 1.76 (s, 1H), 1.65 (s, 2H), 1.49 (m, 5H).
실시예 37: ( R )-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Figure 112019071341718-pct00115
단계 1: ( R )-메틸 3-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메탄올(60 mL) 중 (R)-3-아미노-4,4-다이메틸펜탄산(1.01 g, 6.96 mmol)의 0℃ 용액에 옥살릴 클로라이드(0.9 mL, 10 mmo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이러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65℃까지 가열하고, 추가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 건조하고, 잔사를 톨루엔(30 mL x 3)으로 세척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흡입에 의해 여과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11 g, 99%).
MS (ESI, 양이온) m/z: 160.3 [M+H]+.
단계 2: ( R )-메틸 3-((2-클로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DMF(6 mL) 중 (R)-메틸 3-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243 mg, 1.67 mmol) 및 2,4-다이클로로-6-(퓨란-2-일)피리미딘(300 mg, 1.40 mmol)의 용액에 칼륨 카보네이트(385 mg, 2.8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3 mg, 22%).
MS (ESI, 양이온) m/z: 339.2 [M+H]+.
단계 3: ( R )-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1,4-다이옥산(8 mL) 및 H2O(1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3,4-b]피라진(96 mg, 0.18 mmol), K2CO3(115 mg, 0.83 mmol), PdCl2(dppf)(13 mg, 0.02 mmol) 및 (R)-메틸 3-((2-클로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56 mg, 0.17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3 mg, 20%).
단계 4: ( R )-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
다이클로로메탄(8 mL) 중 (R)-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4-다이메틸펜타노에이트(50 mg, 0.08 mmol)의 용액에 Et3SiH(0.76 mmol, 86 mg) 및 TFA(0.76 mmol, 88 mg)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0 mg, 61%).
MS (ESI, 양이온) m/z: 455.2 [M+H]+;
HRMS (ESI, 양이온) m/z: 455.1620, (C22H24ClN6O3)[M+H]+ 이론적인 값:455.1598;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52 (s, 1H), 8.53 (s, 1H), 8.28 (s, 1H), 7.59 (s, 1H), 7.32 (d, J = 3.2 Hz, 1H), 6.78 (s, 1H), 6.59 (dd, J = 3.3, 1.7 Hz, 1H), 5.37 (t, J = 4.6 Hz, 1H), 3.60 (s, 3H), 2.78 (dd, J = 15.2, 3.8 Hz, 1H), 2.50 (dd, J = 14.9, 9.1 Hz, 1H), 2.08 - 2.00 (m, 1H), 1.07 (s, 9H).
실시예 38: (2 S ,3 S )-에틸 3-((6-(벤조[ b ]티오펜-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9071341718-pct00116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4-(벤조[ b ]티오펜-2-일)-2,6-다이클로로피리미딘
THF(15 mL) 및 물(5 mL)의 혼합물 중 벤조[b]티오펜-2-일보론산(485 mg, 2.73 mmol), 비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II) 클로라이드(383 mg, 0.54 mmol),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0.50 g, 2.73 mmol) 및 나트륨 카보네이트(867 mg, 8.18 mmol)의 현탁액을 질소 보호 하에 4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00 mg, 65%).
MS (ESI, 양이온) m/z: 281.0 [M+H]+.
단계 3: (2 S ,3 S )-에틸 3-((6-(벤조[ b ]티오펜-2-일)-2-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460 mg, 2.13 mmol) 및 4-(벤조[b]티오펜-2-일)-2,6-다이클로로피리미딘(500 mg, 1.77 mmol)을 DMF(10 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칼륨 카보네이트(740 mg, 5.33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20 mg, 66%).
MS (ESI, 양이온) m/z: 442.1 [M+H]+.
단계 4: (2 S ,3 S )-에틸 3-((6-(벤조[ b ]티오펜-2-일)-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10 mL) 및 H2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26 mg, 0.40 mmol, 60%), K2CO3(187 mg, 1.35 mmol), PdCl2(dppf)(26 mg, 0.03 mmol) 및 (2S,3S)-에틸 3-((6-(벤조[b]티오펜-2-일)-2-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50 mg, 0.33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3 mg, 30%).
단계 5: (2 S ,3 S )-에틸 3-((6-(벤조[ b ]티오펜-2-일)-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CM(5 mL) 중 (2S,3S)-에틸 3-((6-(벤조[b]티오펜-2-일)-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5 mg, 0.06 mmol)의 용액에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80 mL, 4.95 mmol) 및 트라이에틸 실리칸(0.38 mL, 4.9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10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5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5 mg, 47%).
MS (ESI, 양이온) m/z: 559.1 [M+H]+;
HRMS (ESI, 양이온) m/z: 559.1683, (C26H28ClN6O2S)[M+H]+ 이론적인 값:559.1683;
1H NMR (400 MHz, CDCl3) δ (ppm): 10.30 (s, 1H), 8.62 (s, 1H), 8.25 (d, J = 3.8 Hz, 1H), 8.02 (s, 1H), 7.89 (dd, J = 5.8, 3.3 Hz, 1H), 7.85 (dd, J = 5.8, 3.3 Hz, 1H), 7.38 (dd, J = 6.0, 3.1 Hz, 2H), 7.28 (s, 1H), 6.78 (s, 1H), 4.40 (s, 1H), 4.25 - 4.13 (m, 2H), 2.49 (d, J = 4.3 Hz, 1H), 2.10 (s, 1H), 2.06 - 2.01 (m, 1H), 1.96 (s, 1H), 1.85 (d, J = 11.9 Hz, 2H), 1.75 - 1.61 (m, 5H), 1.23 (d, J = 6.6 Hz, 3H).
실시예 39: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4-페닐피페라진-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17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 S ,3 S )-에틸 3-((2,6-다이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2.34 g, 10.0 mmol),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2.00 g, 11.00 mmol) 및 DIPEA(4.00 g, 29.0 mmol)를 다이클로로메탄(20 mL)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15 g, 62%).
단계 3: (2 S ,3 S )-에틸 3-((2-클로로-6-(4-페닐피페라진-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S,3S)-에틸 3-((2,6-다이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30 g, 0.87 mmol), 1-페닐피페라진(0.68 g, 4.36 mmol) 및 DIPEA(0.34 g, 2.61 mmol)를 에탄올(5 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혼합물을 90℃까지 가열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6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36 g, 87%).
MS (ESI, 양이온) m/z: 470.3 [M+H]+.
단계 4: (2 S ,3 S )-3-((2-클로로-6-(4-페닐피페라진-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물(1 mL), 메탄올(2 mL) 및 THF(2 mL)의 혼합된 용매에 (2S,3S)-에틸 3-((2-클로로-6-(4-페닐피페라진-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21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170 mg, 4.25 mmo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HCl(1 M)로 pH 약 4 내지 5까지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4 mg, 99%).
MS (ESI, 양이온) m/z: 442.2 [M+H]+.
단계 5: (2 S ,3 S )-3-((2-브로모-6-(4-페닐피페라진-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235 mg, 10 mmol, 33%)에 (2S,3S)-3-((2-클로로-6-(4-페닐피페라진-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200 mg, 0.48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에 의해 pH 약 4까지 조정하였고, 침전된 대량의 고체가 존재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물(20 mL x 2)로 세척하고, 60℃에서 12시간 동안 진공에서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0 mg, 96%).
MS (ESI, 양이온) m/z:488.1 [M+H]+.
단계 6: (2 S ,3 S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4-페닐피페라진-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1,4-다이옥산(5 mL) 및 H2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220 mg, 0.25 mmol, 60%), K2CO3(142 mg, 1.03 mmol), PdCl2(dppf)(30 mg, 0.04 mmol) 및 (2S,3S)-3-((2-브로모-6-(4-페닐피페라진-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100 mg, 0.24 mmol)을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을 띤 적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5 mg, 100%).
단계 7: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4-페닐피페라진-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다이클로로메탄(10 mL) 중 (2S,3S)-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4-페닐피페라진-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165 mg, 0.20 mmol)의 용액에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80 mL, 4.95 mmol) 및 트라이에틸 실리칸(0.38 mL, 4.9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5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1 mg, 18%).
MS (ESI, 양이온) m/z: 559.7 [M+H]+;
HRMS (ESI, 양이온) m/z: 559.2326, (C29H32ClN8O2)[M+H]+ 이론적인 값: 559.2337;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44 (s, 1H), 8.23 (s, 1H), 7.61-7.48 (m, 1H), 7.26 (t, J = 7.9 Hz, 2H), 7.01 (d, J = 8.1 Hz, 2H), 6.87 (t, J = 7.3 Hz, 1H), 6.71 (s, 1H), 4.60 (dd, J = 13.6, 6.8 Hz, 1H), 3.90 (t, J = 9.0 Hz, 4H), 3.27 (d, J = 4.5 Hz, 4H), 2.56 (d, J = 5.1 Hz, 1H), 2.06 (s, 1H), 1.92 (s, 2H), 1.77 (s, 2H), 1.71-1.62 (m, 3H), 1.54-1.47 (m, 2H).
실시예 40: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다이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18
단계 1: 2,6-다이클로로- N , N -다이페닐피리미딘-4-아민
THF(20 mL) 중 다이페닐아민(1.00 g, 5.91 mmol)의 용액에 0℃의 LDA(6.00 mL, 11.8 mmol, 2.0 mol/L)를 천천히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0℃까지 냉각하고,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1.08 g, 5.91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5 g, 56%).
MS (ESI, 양이온) m/z:316.3 [M+H]+.
단계 2: (+/-)- 트랜스- 메틸 3-((2-클로로-6-(다이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10 mL) 중 2,6-다이클로로-N,N-다이페닐피리미딘-4-아민(0.50 g, 1.60 mmol), (+/-)-트랜스-메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41 g, 2.2 mmol), 칼륨 카보네이트(0.66 g, 4.7 mmol)의 현탁액을 8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6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44 g, 60%).
MS (ESI, 양이온) m/z: 463.1 [M+H]+.
단계 3: (+/-)- 트랜스- 3-((2-클로로-6-(다이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물(1 mL), 메탄올(2 mL) 및 THF(2 mL)의 혼합된 용매에 (+/-)-트랜스-메틸 3-((2-클로로-6-(다이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80 mg, 0.60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480 mg, 6.00 mmo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HCl(1 M)로 pH 약 4까지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65 mg, 97%).
MS (ESI, 양이온) m/z:449.1 [M+H]+.
단계 4: (+/-)- 트랜스- 3-((2-브로모-6-(다이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10 mL, 20 mmol, 33%)에 (+/-)-트랜스-3-((2-클로로-6-(다이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320 mg, 0.72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로 pH 약 5까지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물(20 mL)로 세척하고, 60℃에서 12시간 동안 진공 중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50 mg, 99%).
MS (ESI, 양이온) m/z: 493.1 [M+H]+.
단계 5: (+/-)- 트랜스- 메틸 3-((2-브로모-6-(다이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트랜스-3-((2-브로모-6-(다이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300 mg, 0.60 mmol) 및 요오도메탄(172 mg, 1.20 mmol)을 DMF(10 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칼륨 카보네이트(252 mg, 1.8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클로라이드(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05 mg, 98%).
MS (ESI, 양이온) m/z: 507.1 [M+H]+.
단계 6: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다이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5 mL) 및 H2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210 mg, 0.23 mmol, 60%), K2CO3(110 mg, 0.78 mmol), PdCl2(dppf)(28 mg, 0.04 mmol) 및 (+/-)-트랜스-메틸 3-((2-브로모-6-(다이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19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50 mg, 92%).
단계 7: (+/-)- 트랜스- (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다이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10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다이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50 mg, 0.18 mmol)의 용액에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80 mL, 4.95 mmol) 및 트라이에틸 실리칸(0.38 mL, 4.9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카보네이트(10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5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72 mg, 68%).
단계 8: (+/-)- 트랜스-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다이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3 mL) 중 (+/-)-트랜스-메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다이페닐아미노)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72 mg, 0.12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50 mg, 1.20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1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3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0 mg, 56%).
MS (ESI, 양이온) m/z: 566.2 [M+H]+;
HRMS (ESI, 양이온) m/z: 566.2077, (C31H29ClN7O2)[M+H]+ 이론적인 값: 566.2071;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3.37 (s, 1H), 12.77-12.18 (m, 1H), 8.96 (s, 1H), 8.46 (s, 1H), 8.29 (s, 1H), 7.53 (s, 10H), 7.14 (s, 1H), 3.98 (s, 1H), 3.17 (s, 1H), 2.28 (d, J = 5.7 Hz, 1H), 1.94 (s, 1H), 1.69 (s, 1H), 1.63 (d, J = 7.1 Hz, 2H), 1.50 (s, 1H), 1.35-1.28 (m, 4H).
실시예 41: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3,4-다이하이드로이소퀴놀린-2(1 H )-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19
단계 1: (2 S ,3 S )-에틸 3-((2-클로로-6-(3,4-다이하이드로이소퀴놀린-2(1 H )-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S,3S)-에틸 3-((2,6-다이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30 g, 0.87 mmol),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린(1.22 g, 8.72 mmol) 및 DIPEA(0.34 g, 2.61 mmol)를 에탄올(8 mL)에 용해시키고, 이어서 혼합물을 90℃까지 가열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40 mL)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v/v) = 15 /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36 g, 93%).
MS (ESI, 양이온) m/z:441.1 [M+H]+.
단계 2: (2 S ,3 S )-3-((2-클로로-6-(3,4-다이하이드로이소퀴놀린-2(1 H )-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물(2 mL), 메탄올(2 mL) 및 THF(2 mL)의 혼합된 용매에 (2S,3S)-에틸 3-((2-클로로-6-(3,4-다이하이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60 mg, 0.81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650 mg, 16.33 mmo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HCl(1 M)로 pH 약 4 내지 5까지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30 mg, 97%).
MS (ESI, 양이온) m/z: 413.1 [M+H]+.
단계 3: (2 S ,3 S )-3-((2-브로모-6-(3,4-다이하이드로이소퀴놀린-2(1 H )-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10 mL, 20 mmol, 33%)에 (2S,3S)-3-((2-클로로-6-(3,4-다이하이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330 mg, 0.80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하이드록사이드로 pH 약 5까지 조정하고, 침전된 대량의 고체가 존재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물(20 mL)로 세척하고, 60℃에서 12시간 동안 진공 중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60 mg, 98%).
MS (ESI, 양이온) m/z: 457.5 [M+H]+.
단계 4: (2 S ,3 S )-메틸 3-((2-브로모-6-(3,4-다이하이드로이소퀴놀린-2(1 H )-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10 mL) 중 (2S,3S)-3-((2-브로모-6-(3,4-다이하이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360 mg, 0.78 mmol), 요오도메탄(230 mg, 1.57 mmol)의 현탁액에 칼륨 카보네이트(330 mg, 2.3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70 mg, 99%).
MS (ESI, 양이온) m/z: 473.1 [M+H]+.
단계 5: (2 S ,3 S )-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3,4-다이하이드로이소퀴놀린-2(1 H )-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5 mL)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81 mg, 0.38 mmol, 60%), K2CO3(220 mg, 1.59 mmol), PdCl2(dppf)(46 mg, 0.06 mmol) 및 (2S,3S)-메틸 3-((2-브로모-6-(3,4-다이하이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50 mg, 0.31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H2O(0.5 m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고, 이어서 관 내의 혼합물을 밀봉하고, 11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90 mg, 75%).
단계 6: (2 S ,3 S )-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3,4-다이하이드로이소퀴놀린-2(1 H )-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10 mL) 중 (2S,3S)-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3,4-다이하이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90 mg, 0.24 mmol)의 용액에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80 mL, 4.95 mmol) 및 트라이에틸 실리칸(0.38 mL, 4.9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카보네이트(6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5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10 mg, 83%).
MS (ESI, 양이온) m/z: 544.2 [M+H]+.
단계 7: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3,4-다이하이드로이소퀴놀린-2(1 H )-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2S,3S)-메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3,4-다이하이드로이소퀴놀린-2(1H)-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10 mg, 0.20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80 mg, 2.00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2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0 mg, 51%).
MS (ESI, 양이온) m/z: 530.7 [M+H]+;
HRMS (ESI, 양이온) m/z: 530.2078, (C28H29ClN7O2)[M+H]+ 이론적인 값:530.2071;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2.85 (s, 1H), 12.24 (s, 1H), 8.69 (s, 1H), 8.43 (s, 1H), 7.21 (d, J = 20.7 Hz, 4H), 6.92 (s, 1H), 5.00-4.88 (m, 2H), 4.47 (s, 1H), 4.03 (dd, J = 14.2, 7.1 Hz, 3H), 2.90 (s, 2H), 1.99 (s, 1H), 1.96 (s, 1H), 1.90 (s, 1H), 1.71 (m, 3H), 1.60-1.48 (m, 3H), 1.41-1.34(m, 2H).
실시예 42: (2 S ,3 S )-3-((5-플루오로-2-(3-메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20
단계 1: 3,5-다이브로모-6-메틸피라진-2-아민
DCM(300 mL) 중 6-메틸피라진-2-아민(14.40 g, 132 mmol) 및 피리딘(26.0 g, 330 mmol)의 용액에 브롬(53.00 g, 330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150 mL)을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분배하였다. 유기 상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4.01 g, 96%).
MS (ESI, 양이온) m/z: 267.9 [M+H]+.
단계 2: 5-브로모-6-메틸-3-((트라이메틸실릴)에틴일)피라진-2-아민
3,5-바이브로모-6-메틸피라진-2-아민(34.00 g, 127 mmol), 트라이에틸아민(39.3 g, 382 mmol), 구리(I) 요오다이드(2.50 g, 12.7 mmol) 및 팔라듐(II)비스(트라이페닐포스핀) 다이클로라이드(9.0 g, 12.7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500 mL)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이어서 트라이메틸실릴아세틸렌(20.00 mL, 140 mmol)을 혼합물에 적가하였다. 첨가 후, 반응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50 mL)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3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8.0 g, 77%).
MS (ESI, 양이온) m/z: 284.0 [M+H]+.
단계 3: 5-브로모-3-에틴일-6-메틸피라진-2-아민
5-브로모-6-메틸-3-((트라이메틸실릴)에틴일)피라진-2-아민(16.00 g, 56 mmol) 및 칼륨 카보네이트(15.6 g, 112 mmol)를 메탄올(100 mL)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3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물(50 mL)로 세척하고, 6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중에 건조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2 g, 85%).
단계 4: 2-브로모-3-메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NMP(100 mL) 중 5-브로모-3-에틴일-6-메틸피라진-2-아민(6.70 g, 32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이어서 칼륨 t-부톡사이드(11.0 g, 95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80 mL)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3/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0 g, 90%).
MS (ESI, 양이온) m/z: 212.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10.38 (s, 1H), 7.60 - 7.51 (m, 1H), 6.67 (dd, J = 3.5, 1.8Hz, 1H), 2.75 (s, 3H).
단계 5: 3-메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무수 에탄올(60 mL)에 2-브로모-3-메틸-5H-피롤로[2,3-b]피라진(6.00 g, 28 mmol), 암모늄 포름에이트(27.00 g, 428 mmol) 및 10% Pd/C(6 g)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5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v/v) = 4/1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10 g, 82%).
MS (ESI, 양이온) m/z: 134.2 [M+H]+.
단계 6: 7-요오도-3-메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DMF(30 mL) 중 3-메틸-5H-피롤로[2,3-b]피라진(3.10 g, 23 mmol)의 용액에 NIS(5.8 g, 26.00 mmol)를 여러 분획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나트륨 티오설페이트(5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5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 → 4/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40 g, 73%).
MS (ESI, 양이온) m/z: 259.9 [M+H]+.
단계 7: 7-요오도-3-메틸-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THF(80 mL) 중 7-요오도-3-메틸-5H-피롤로[2,3-b]피라진(4.40 g, 17 mmol)의 교반된 0℃ 용액에 NaH(1.40 g, 34 mmol, 60%)를 여러 분획으로 천천히 첨가하고,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트라이페닐클로로메탄(7.10 g, 25.00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물(10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20 mL x 2)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20 g, 96%).
1H NMR (400 MHz, CDCl3) δ(ppm): 8.23 (s, 1H), 7.57 (m, 1H), 7.33-7.28 (m, 15H), 2.26 (s, 3H).
단계 8: 3-메틸-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THF(80 mL) 중 7-요오도-3-메틸-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4.00 g, 7.98 mmol) 및 이소프로폭시보론산 피나콜 에스터(2.23 g, 5 mmol)의 용액을 -30℃까지 냉각하고, 교반하고, 이어서 이소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 용액(2 M, 12 mL)을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3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10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56 g, 64%).
MS (ESI, 양이온) m/z: 502.4 [M+H]+.
단계 9: (2 S ,3 S )-에틸 3-((5-플루오로-2-(3-메틸-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및 H2O(1 mL)의 혼합된 용매에 3-메틸-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10 mg, 0.61 mmol), K2CO3(250 mg, 1.76 mmol), PdCl2(dppf)(40 mg, 0.05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00 mg, 0.44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0 mg, 48%).
단계 10: (2 S ,3 S )-에틸 3-((5-플루오로-2-(3-메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2S,3S)-에틸 3-((5-플루오로-2-(3-메틸-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60 mg, 0.21 mmol)의 용액에 Et3SiH(0.40 mL, 2.38 mmol) 및 TFA(0.20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4 mg, 86%).
MS (ESI, 양이온) m/z: 507.1 [M+H]+.
단계 11: (2 S ,3 S )-3-((5-플루오로-2-(3-메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2S,3S)-에틸 3-((5-플루오로-2-(3-메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94 mg, 0.14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60 mg, 1.42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1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4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0 mg, 90%).
MS (ESI, 양이온) m/z: 479.1 [M+H]+;
HRMS (ESI, 양이온) m/z: 479.1680, (C24H24FN7O2S)[M+H]+ 이론적인 값:479.1665;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19 (s, 1H), 8.47 (s, 1H), 8.29 (d, J = 2.4 Hz, 1H), 7.87 (s, 1H), 7.82 (d, J = 4.9 Hz, 1H), 7.56 (d, J = 6.1 Hz, 1H), 7.31-7.25 (m, 1H), 4.64 (s, 1H), 2.84 (d, J = 6.9 Hz, 1H), 2.58 (s, 3H), 2.10 (s, 1H), 1.99 (s, 1H), 1.90 (s, 1H), 1.74 (s, 2H), 1.63-1.40 (m, 5H).
실시예 43: (2 S ,3 S )-3-((5-플루오로-2-(2-메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21
단계 1: 3-브로모-5-메틸피라진-2-아민
DCM(250 mL) 중 5-메틸피라진-2-아민(5.00g, 45.8 mmol) 및 피리딘(4.35g, 55.0 mmol)의 용액에 브롬(8.80 g, 55.0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1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분배하였다.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7.64 g, 88%).
MS (ESI, 양이온) m/z: 190.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83 (s, 1H), 4.93 (s, 2H), 2.41 (s, 3H).
단계 2: 5-메틸-3-((트라이메틸실릴)에틴일)피라진-2-아민
3-브로모-5-메틸피라진-2-아민(7.64 g, 40.6 mmol), 트라이에틸아민(12.3 g, 122 mmol), 구리(I) 요오다이드(0.77 g, 4.06 mmol) 및 팔라듐(II)비스(트라이페닐포스핀) 다이클로라이드(2.85 g, 4.06 mmol)를 테트라하이드로퓨란(150 mL)에 용해시켰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이어서 트라이메틸실릴아세틸렌(8.00 mL, 56.9 mmol)을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4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3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7.0 g, 84%).
MS (ESI, 양이온) m/z: 206.1 [M+H]+.
단계 3: 3-에틴일-5-메틸피라진-2-아민
메탄올(70 mL)에 5-메틸-3-((트라이메틸실릴)에틴일)피라진-2-아민(7.00 g, 34 mmol) 및 칼륨 카보네이트(9.40 g, 6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3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물(50 mL)로 1회 세척하고, 60℃에서 24시간 동안 진공 중에 계속 교반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0 g, 88%).
단계 4: 2-메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NMP(80 mL) 중 3-에틴일-5-메틸피라진-2-아민(4.00 g, 30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교반하고, 이어서 칼륨 t-부톡사이드(10.0 g, 89 mmol)를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8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에틸 아세테이트(80 mL)로 희석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3/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00 g, 75%).
MS (ESI, 양이온) m/z: 134.1 [M+H]+;
1H NMR (400 MHz, CDCl3) δ(ppm): 10.90 (s, 1H), 8.16(s, 1H) , 7.64- 7.59 (m, 1H), 6.67 (dd, J = 3.5 ,1.8Hz, 1H), 2.69 (s, 3H).
단계 5: 7-요오도-2-메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DMF(30 mL) 중 2-메틸-5H-피롤로[2,3-b]피라진(3.00 mg, 23 mmol)의 용액에 NIS(5.6 g, 25.00 mmol)를 여러 분획으로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나트륨 티오설페이트(5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5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4/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40 g, 41%).
MS (ESI, 양이온) m/z: 259.9 [M+H]+.
단계 6: 7-요오도-2-메틸-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THF(40 mL) 중 7-요오도-2-메틸-5H-피롤로[2,3-b]피라진(2.40 g, 9.30 mmol)의 0℃ 용액에 NaH(0.74 g, 19 mmol, 60%)를 여러 분획으로 첨가하고, 혼합물을 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트라이페닐클로로메탄(3.90 g, 14.00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10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2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50 g, 97%).
단계 7: 2-메틸-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THF(90 mL) 중 7-요오도-2-메틸-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4.50 g, 8.97 mmol) 및 이소프로폭시보론산 피나콜 에스터(3.34 g, 17.9 mmol)의 용액을 -30℃까지 냉각하고, 교반하고, 이어서 이소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 용액(2 M, 13 mL)을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30℃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10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20 g, 71%).
MS (ESI, 양이온) m/z: 502.2 [M+H]+.
단계 8: (2 S ,3 S )-에틸 3-((5-플루오로-2-(2-메틸-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및 H2O(1 mL)의 혼합된 용매에 2-메틸-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80 mg, 0.34 mmol, 45%), K2CO3(160 mg, 1.14 mmol), PdCl2(dppf)(40 mg, 0.05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30 mg, 0.26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0℃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50 mg, 70%).
단계 9: (2 S ,3 S )-에틸 3-((5-플루오로-2-(2-메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2S,3S)-에틸 3-((5-플루오로-2-(2-메틸-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50 mg, 0.20 mmol)의 용액에 Et3SiH(0.40 mL, 2.38 mmol) 및 TFA(0.20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1 mg, 89%).
MS (ESI, 양이온) m/z: 507.1 [M+H]+.
단계 10: (2 S ,3 S )-3-((5-플루오로-2-(2-메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2S,3S)-에틸 3-((5-플루오로-2-(2-메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91 mg, 0.17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35 mg, 0.89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2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72 mg, 83%).
MS (ESI, 양이온) m/z: 478.9 [M+H]+;
HRMS (ESI, 양이온) m/z: 479.1676, (C24H24FN6O2S)[M+H]+ 이론적인 값:479.1665;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26 (d, J = 2.2 Hz, 1H), 8.34 (d, J = 2.9 Hz, 1H), 8.19 (s, 1H), 7.88 (d, J = 3.2 Hz, 1H), 7.83 (d, J = 4.9 Hz, 1H), 7.55 (d, J = 6.3 Hz, 1H), 7.30 -7.26 (m, 1H), 4.68 (s, 1H), 2.85 (m, 1H), 2.64 (s, 3H), 2.14 (s, 1H), 1.99 (s, 1H), 1.90 (s, 1H), 1.80-1.70 (m, 2H), 1.60-1.35 (m, 5H).
실시예 44: (2 S ,3 S )-헵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9071341718-pct00122
단계 1: (2 S ,3 S )-헵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10 mL)에 (2S,3S)-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625 mg, 1.46 mmol), 칼륨 카보네이트(600 mg, 4.39 mmol), 7-브로모-1-헵탄(525 mg, 2.93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770 mg, 100%).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83 (d, J = 3.7 Hz, 1H), 7.57 (d, J = 5.0 Hz, 1H), 7.20 - 7.16 (m, 1H), 5.31 (s, 1H), 4.54 (s, 1H), 4.23 - 4.15 (m, 2H), 2.41 (d, J = 5.9 Hz, 1H), 2.04 (s, 1H), 1.92 (s, 1H), 1.84 (s, 1H), 1.67 (m, 7H), 1.30 (m, 10H), 0.88 (t, J = 6.8 Hz, 3H).
단계 2: (2 S ,3 S )-헵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10 mL)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40 mg, 0.91 mmol, 65%), K2CO3(420 mg, 3.05 mmol), PdCl2(dppf)(110 mg, 0.03 mmol) 및 (2S,3S)-헵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00 mg, 0.76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H2O(1 m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10 mg, 69%).
단계 3: (2 S ,3 S )-헵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10 mL) 중 (2S,3S)-헵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10 mg, 0.60 mmol)의 용액에 Et3SiH(0.80 mL, 4.76 mmol) 및 TFA(0.80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3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4/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55 mg, 70%).
MS (ESI, 양이온) m/z: 598.2 [M+H]+;
HRMS (ESI, 양이온) m/z: 597.2202, (C30H35ClFN6O2S)[M+H]+ 이론적인 값: 508.2228;
1H NMR (600 MHz, CDCl3) δ (ppm): 10.02 (s, 1H), 8.49 (s, 1H), 8.27 (s, 1H), 7.91 (s, 1H), 7.56 (d, J = 4.0 Hz, 1H), 7.20 (s, 1H), 5.29 (s, 1H), 4.79 (s, 1H), 4.12 (s, 1H), 3.99 (s, 1H), 2.47 (d, J = 4.1 Hz, 1H), 2.18 - 1.97 (m, 4H), 1.86 - 1.67 (m, 8H), 1.18 (s, 8H), 0.82 (t, J = 6.2 Hz, 3H).
실시예 45: (2 S ,3 S )-((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9071341718-pct00123
단계 1: (2 S ,3 S )-3-((2-클로로-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 8 mL/4 mL/4 mL) 중 (2S,3S)-에틸 3-((2-클로로-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21 g, 2.72 mmol)의 용액에 NaOH(0.24 g, 5.45 mmol)를 여러 분획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2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5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12 g, 98%).
LC-MS (ESI, 양이온) m/z: 417.8[M+H]+.
단계 2: (2 S ,3 S )-3-((2-브로모-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2S,3S)-3-((2-클로로-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1.12 g, 2.69 mol) 및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15 mL, 90 mmol, 33%)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2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20 mL x 3) 및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1 g, 89%).
MS (ESI, 양이온) m/z: 461.9 [M+H]+.
단계 3: (2 S ,3 S )-((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2-브로모-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클로로메틸 에틸 카보네이트(0.66 g, 4.77 mmol), 칼륨 카보네이트(1.00 g, 7.16 mmol) 및 (2S,3S)-3-((2-브로모-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1.10 g, 2.39 mmol)을 DMF(10 m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3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90 g, 67%).
단계 4: ( 2 S ,3 S )-(( 에톡시카보닐 ) 옥시 ) 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10 mL)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70 mg, 0.96 mmol, 65%), 칼륨 포스페이트(442 mg, 3.19 mmol), Pd(dppf)Cl2(83 mg, 0.10 mmol) 및 (2S,3S)-((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2-브로모-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50 mg, 0.80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H2O(1 m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100℃에서 1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50 mg, 64%).
단계 5: (2 S ,3 S )-((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10 mL) 중 (2S,3S)-((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50 mg, 0.51 mmol)의 용액에 Et3SiH(0.80 mL, 4.76 mmol) 및 TFA(0.80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4/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62 mg, 80%).
MS (ESI, 양이온) m/z: 637.2 [M+H]+;
HRMS (ESI, 양이온) m/z: 635.1043, (C26H31ClN7O2)[M+H]+ 이론적인 값: 635.1046;
1H NMR (400 MHz, CDCl3) δ(ppm): 10.40 (s, 1H), 8.40 (d, J = 2.4 Hz, 1H), 8.26 (s, 1H), 7.62 (d, J = 3.6 Hz, 1H), 6.98 (d, J = 3.8 Hz, 1H), 5.80 (d, J = 5.6 Hz, 1H), 5.69 (d, J = 5.6 Hz, 1H), 5.33 (d, J = 4.5 Hz, 1H), 4.69 (s, 1H), 4.16 - 4.08 (m, 2H), 2.58 (s, 1H), 2.09 (s, 2H), 1.94 (s, 1H), 1.82 (s, 1H), 1.76 - 1.56 (m, 6H), 1.17 (s, 3H).
실시예 46: (2 S ,3 S )-(5-메틸-2-옥소-1,3-다이옥솔-4-일)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9071341718-pct00124
단계 1: (2 S ,3 S )-(5-메틸-2-옥소-1,3-다이옥솔-4-일)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10 mL)에 (2S,3S)-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1.56 g, 2.10 mmol), 칼륨 카보네이트(880 mg, 6.31 mmol), 4-(브로모메틸)-5-메틸-1,3-다이옥솔-2-온(0.82 g, 4.21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70 g, 95%).
단계 2: (2 S ,3 S )-(5-메틸-2-옥소-1,3-다이옥솔-4-일)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15 mL) 중 (2S,3S)-(5-메틸-2-옥소-1,3-다이옥솔-4-일)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70 g, 2.0 mmol)의 용액에 Et3SiH(2.00 mL, 9.60 mmol) 및 TFA(4.00 mL, 5.4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3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4/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00 mg, 25%).
MS (ESI, 양이온) m/z: 611.2 [M+H]+;
HRMS (ESI, 양이온) m/z: 597.2202, (C28H25ClFN6O5S)[M+H]+ 이론적인 값: 597.2215;
1H NMR (600 MHz, CDCl3) δ (ppm): 9.77 (s, 1H), 8.47 (d, J = 2.8 Hz, 1H), 8.28 (s, 1H), 7.92 (d, J = 3.5 Hz, 1H), 7.58 (d, J = 5.0 Hz, 1H), 7.23 - 7.19 (m, 1H), 5.29 (d, J = 6.0 Hz, 1H), 4.91 (d, J = 13.9 Hz, 1H), 4.82 (t, J = 5.8 Hz, 1H), 4.65 (s, 1H), 2.50 (d, J = 6.1 Hz, 1H), 2.13 (s, 1H), 2.07 (s, 1H), 2.03 (s, 3H), 1.79 - 1.67 (m, 8H).
실시예 47: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피리딘-2-일)펜탄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25
단계 1: 2-메틸-2-(피리딘-2-일)프로판니트릴
톨루엔(200 mL) 중 2-플루오로피리딘(10 g, 103 mmol) 및 이소부티로니트릴(28 g, 412 mmol)의 용액에 칼륨 비스(트라이메틸실릴)아미드(160 mL, 1.0 mol/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물(20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6.50 g, 43%).
MS (ESI, 양이온) m/z: 147.2 [M+H]+.
단계 2: ( E )-에틸 3-아미노-4-메틸-4-(피리딘-2-일)펜트-2-에노에이트
테트라하이드로퓨란(150 mL) 중 아연 분말(15.00 g, 220 mmol)의 현탁액에 메탄설폰산(1.70 g, 18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가열 환류시키고, 질소 보호 하에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50 mL) 중 2-메틸-2-(피리딘-2-일)프로판니트릴(6.5 g, 44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50 mL) 중 2-브로모에틸 아세테이트(22 g, 131 mmol)의 용액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20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7.0 g, 67%).
MS (ESI, 양이온) m/z: 235.1 [M+H]+.
단계 3: 에틸 3-아미노-4-메틸-4-(피리딘-2-일)펜타노에이트
에탄올(300 mL) 및 빙상 아세트산(30 mL)의 혼합된 용매에 (E)-에틸 3-아미노-4-메틸-4-(피리딘-2-일)펜트-2-에노에이트(7.0 g, 29.9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2.25 g, 35.9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6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0 m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7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클로라이드(7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7.0 g, 99%).
MS (ESI, 양이온) m/z: 237.1[M+H]+.
단계 4: 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피리딘-2-일)펜타노에이트
THF(20 mL) 중 에틸 3-아미노-4-메틸-4-(피리딘-2-일)펜타노에이트(2.50 g, 10.4 mmol) 및 2,4-다이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2.00 g, 8.03 mmol)의 용액에 DIPEA(406 mg, 2.94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환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40 mL)로 희석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42 g, 94%).
MS (ESI, 양이온) m/z: 449.3 [M+H]+.
단계 5: 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피리딘-2-일)펜타노에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40 mL, 240 mmol, 33%)에 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피리딘-2-일)펜타노에이트(3.40 g, 7.57 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2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DCM(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20 mL x 3) 및 포화 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30 g, 88%).
MS (ESI, 양이온) m/z: 495.0 [M+H]+.
단계 6: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피리딘-2-일)펜타노에이트
1,4-다이옥산(5 mL) 및 H2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30 mg, 0.44 mmol, 70%), K2CO3(230 mg, 1.62 mmol), PdCl2(dppf)(60 mg, 0.08 mmol) 및 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피리딘-2-일)펜타노에이트(200 mg, 0.40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20 mg, 67%).
단계 7: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피리딘-2-일)펜타노에이트
DCM(10 mL) 중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피리딘-2-일)펜타노에이트(220 mg, 0.27 mmol)의 용액에 Et3SiH(1 mL, 6.26 mmol) 및 TFA(1.0 mL, 13.46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20 mg, 77%).
MS (ESI, 양이온) m/z: 566.3 [M+H]+.
단계 8: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피리딘-2-일)펜탄산
에탄올(4 mL) 및 THF(4 mL)의 혼합된 용매 중 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피리딘-2-일)펜타노에이트(120 mg, 0.21 mmol)의 용액에 물(2 mL) 중 NaOH(42 mg, 1.06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물(10 mL)로 급랭시키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8 mg, 94%).
MS (ESI, 양이온) m/z: 538.3 [M+H]+;
HRMS (ESI, 양이온) m/z: 538.1251, (C25H22ClN7O2S)[M+H]+ 이론적인 값: 538.1228;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84 (d, J = 2.3 Hz, 1H), 11.94 (s, 1H), 8.57 (dd, J = 4.4, 1.8 Hz, 2H), 8.41 (s, 1H), 7.90 (d, J = 3.4 Hz, 1H), 7.86 (d, J = 4.9 Hz, 1H), 7.81 (s, 2H), 7.63 (d, J = 8.7 Hz, 1H), 7.29 (dd, J = 9.4, 4.7 Hz, 2H), 5.39 (t, J = 9.0 Hz, 1H), 2.57 - 2.53 (m, 1H), 2.23 - 2.15 (m, 1H), 1.50 (s, 3H), 1.45 (s, 3H).
실시예 48: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티아졸-2-일)펜탄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26
단계 1: 티아졸-2-카브알데하이드
사이클로헥산(60 mL, 150 mmol, 2.5 mol/L) 및 무수 에틸 에터(100 mL) 중 n-부틸 리튬의 용액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78℃에서 질소 보호 하에 교반하고, 이어서 2-브로모티아졸(20 g, 122 mmol)을 혼합물에 1시간 동안 천천히 적가하였다. 혼합물을 70℃까지 가열하고, 3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DMF(14.26 g, 195 mmol)를 1시간 동안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0℃까지 냉각하고,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까지 가온하고, 반응 혼합물에 HCl(4 M)(10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포화 수성 칼륨 카보네이트로 pH 약 7 내지 8까지 조정하였다. 혼합물을 에틸 에터(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을 띤 적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7.0 g, 51%).
MS (ESI, 양이온) m/z: 114.1 [M+H]+.
단계 2: 티아졸-2-일메탄올
무수 메탄올(140 mL) 중 티아졸-2-카브알데하이드(7.00 g, 61.9 mmol)의 0℃ 용액에 나트륨 보로하이드라이드(4.70 g, 12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물(200 mL)을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5.80 g, 81%).
MS (ESI, 양이온) m/z: 116.2 [M+H]+.
단계 3: 2-(클로로메틸)티아졸
DCM(100 mL) 중 티아졸-2-일메탄올(5.80 g, 50.4 mmol)의 0℃ 용액에 티오닐 클로라이드(12.00 g, 101 mmol)를 천천히 첨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가열 환류시키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고(6.70 g, 100%),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 사용하였다.
단계 4: 2-(티아졸-2-일)아세토니트릴
테트라하이드로퓨란(150 mL, 150 mmol, 1.0 mol/L) 중 TBAF의 용액에 2-(클로로메틸)티아졸(5.80 g, 50.4 mmol) 및 트라이메틸실릴 시아나이드(10.00 g, 10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10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5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2.4 g, 39%).
MS (ESI, 양이온) m/z: 125.2 [M+H]+.
단계 5: 2-메틸-2-(티아졸-2-일)프로판니트릴
2-(티아졸-2-일)아세토니트릴(2.40 g, 19 mmol)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60 mL)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까지 냉각하고, 칼륨 t-부톡사이드(6.50 g, 58 mmol) 및 18-크라운 에터-6(1.0 g, 3.8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이어서 요오도메탄(4.80 mL, 77 mmo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암모늄 클로라이드(100 mL)에 붓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8/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2.0 g, 68%).
MS (ESI, 양이온) m/z: 153.2 [M+H]+.
단계 6: ( E )-에틸 3-아미노-4-메틸-4-(티아졸-2-일)펜트-2-에노에이트
아연 분말(3.65 g, 55.8 mmol) 및 테트라하이드로퓨란(30 mL)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고, 이어서 메탄설폰산(0.43 g, 4.6 mmol)을 질소 보호 하에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가열 환류시키고,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50 mL) 중 2-메틸-2-(티아졸-2-일)프로판니트릴(1.70 g, 11.2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이어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10 mL) 중 에틸 2-브로모아세테이트(5.60 g, 33.5 mmol)의 용액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8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상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60 g, 59%).
MS (ESI, 양이온) m/z: 241.2 [M+H]+.
단계 7: 에틸 3-아미노-4-메틸-4-(티아졸-2-일)펜타노에이트
메탄올(70 mL) 및 빙상 아세트산(10 mL)의 혼합된 용매에 (E)-에틸 3-아미노-4-메틸-4-(티아졸-2-일)펜트-2-에노에이트(1.60 g, 6.66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나트륨 시아노보로하이드라이드(1.05 g, 16.7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질소 보호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100 mL)를 잔사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클로라이드(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56 g, 96%).
MS (ESI, 양이온) m/z: 243.1 [M+H]+.
단계 8: 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티아졸-2-일)펜타노에이트
THF(20 mL) 중 에틸 3-아미노-4-메틸-4-(티아졸-2-일)펜타노에이트(1.56 g, 6.3 mmol) 및 2,4-다이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1.20 g, 4.80 mmol)의 용액에 DIPEA(1.20 g, 9.6 mmol)를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밤새 환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82 g, 83%).
MS (ESI, 양이온) m/z: 455.2 [M+H]+.
단계 9: 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티아졸-2-일)펜타노에이트
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티아졸-2-일)펜타노에이트(1.82 g, 4.00 mol) 및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20 mL, 109 mmol, 33%)을 반응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얼음-물(3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DCM(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20 mL x 3) 및 포화 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89 g, 94%).
MS (ESI, 양이온) m/z:498.9 [M+H]+.
단계 10: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티아졸-2-일)펜타노에이트
1,4-다이옥산(5 mL) 및 H2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50 mg, 0.44 mmol, 65%), K2CO3(230 mg, 1.62 mmol), PdCl2(dppf)(60 mg, 0.08 mmol) 및 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티아졸-2-일)펜타노에이트(200 mg, 0.40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50 mg, 76%).
단계 11: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티아졸-2-일)펜타노에이트
DCM(10 mL) 중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티아졸-2-일)펜타노에이트(250 mg, 0.30 mmol)의 용액에 Et3SiH(1 mL, 2.52 mmol) 및 TFA(1.0 mL, 2.70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6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0 mg, 56%).
MS (ESI, 양이온) m/z: 572.0 [M+H]+.
단계 12: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티아졸-2-일)펜탄산
에탄올(4 mL) 및 THF(4 mL)의 혼합된 용매 중 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4-메틸-4-(티아졸-2-일)펜타노에이트(100 mg, 0.17 mmol)의 용액에 물(2 mL) 중 NaOH(34 mg, 0.87 mmol)의 용액을 여러 분획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2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0 mg, 94%).
MS (ESI, 양이온) m/z: 544.0 [M+H]+;
HRMS (ESI, 양이온) m/z: 544.0788, (C23H20ClN7O2S2)[M+H]+ 이론적인 값: 544.0792;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80 (s, 1H), 8.51 (d, J = 2.9 Hz, 1H), 8.39 (s, 1H), 7.91 (d, J = 3.1 Hz, 1H), 7.87 (d, J = 4.9 Hz, 1H), 7.77 (d, J = 3.2 Hz, 1H), 7.65 (d, J = 3.2 Hz, 1H), 7.56 (d, J = 8.8 Hz, 1H), 7.34- 7.27 (m, 1H), 5.30 (t, J = 8.8 Hz, 1H), 2.60 (dd, J = 16.0, 10.9 Hz, 1H), 2.47 - 2.40 (m, 1H), 1.55 (d, J = 14.1 Hz, 6H).
실시예 49: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아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27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 S ,3 S )-에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8 mL)에 2,4,6-트라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1.54 g, 7.65 mmol) 및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1.51 g, 7.65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K2CO3(2.11 g, 15.30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 x 2)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69 g, 25%).
MS (ESI, 양이온) m/z: 362.1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5.38 (d, J = 4.2 Hz, 1H), 4.53 (t, J = 5.0 Hz, 1H), 4.22 (q, J = 7.1 Hz, 2H), 2.38 (d, J = 5.8 Hz, 1H), 2.04 (d, J = 2.2 Hz, 1H), 1.89 (s, 1H), 1.80 (m, 1H), 1.61 (m, 4H), 1.47 (m, 1H), 1.28 (t, J = 7.1 Hz, 4H).
단계 3: (2 S ,3 S )-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트라이메틸스탄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20 mL) 중 (2S,3S)-에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51 g, 4.17 mmol), 헥사메틸이주석(2.05 g, 6.26 mmol), 트라이페닐아르신(0.14 g, 0.44 mmol) 및 비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II) 클로라이드(0.30 g, 0.42 mmol)의 현탁액을 85℃에서 밤새 질소 보호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10 mL)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흑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2.03 g), 추가 정제 없이 후속 단계에 직접 사용하였다.
MS (ESI, 양이온) m/z: 492.2 [M+H]+.
단계 4: (2 S ,3 S )-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티아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10 mL) 중 (2S,3S)-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트라이메틸스탄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1 g, 2.06 mmol), 2-브로모티아졸(0.28 mL, 3.10 mmol), 비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II) 클로라이드(271 mg, 6.20 mmol), 구리(I) 요오다이드(79 mg, 0.41 mmol), 리튬 클로라이드(271 mg, 6.20 mmol)의 현탁액을 90℃에서 6시간 동안 질소 보호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10 mL x 2)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62 mg, 43%).
MS (ESI, 양이온) m/z: 411.2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08 (d, J = 3.1 Hz, 1H), 7.59 (d, J = 3.2 Hz, 1H), 4.57 (t, J = 5.6 Hz, 1H), 4.24 (q, J = 7.1 Hz, 2H), 2.43 (d, J = 5.9 Hz, 1H), 1.94 (d, J = 2.2 Hz, 1H), 1.83 (m, 1H), 1.74- 1.68 (m, 4H), 1.60 (m, 2H), 1.50 - 1.44 (m, 1H), 1.29 (m, 3H).
단계 5: (2 S ,3 S )-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아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33%, 10 mL)에 (2S,3S)-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티아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14 g, 0.3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5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25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6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0.15 g, 97%).
MS (ESI, 양이온) m/z: 455.0 [M+H]+.
단계 6: (2 S, 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아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10 mL) 및 H2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265 mg, 0.33 mmol, 65%), K2CO3(138 mg, 1.00 mmol), PdCl2(dppf)(74 mg, 0.10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아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50 mg, 0.33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이어서,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20 mg, 47%).
MS (ESI, 양이온) m/z: 770.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44 (s, 1H), 8.08 (d, J = 3.2 Hz, 1H), 7.96 (s, 1H), 7.59 (d, J = 3.2 Hz, 1H), 7.32 (m, 9H), 7.22 (m, 6H), 4.64 (s, 1H), 4.17-4.11 (m, 2H), 2.38 (d, J = 7.4 Hz, 1H), 1.95 (s, 1H), 1.71 (d, J = 7.7 Hz, 4H), 1.53 (m, 4H), 1.17 (t, J = 7.1 Hz, 3H).
단계 7: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아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6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아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20 mg, 0.16 mmol)의 용액에 Et3SiH(0.30 mL, 1.90 mmol) 및 TFA(0.14 mL, 1.9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61 mg, 74%).
MS (ESI, 양이온) m/z: 528.1 [M+H]+.
단계 8: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아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 2 mL/2 mL/2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아졸-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60 mg, 0.11 mmol)의 용액에 NaOH(46 mg, 1.15 mmol)를 여러 분획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수(2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5 mg, 44%).
MS (ESI, 양이온) m/z: 500.2 [M+H]+;
HRMS (ESI, 양이온) m/z: 500.1078, (C22H20ClFN7O2S)[M+H]+ 이론적인 값: 500.1072;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2.80 (s, 1H), 8.53 (s, 1H), 8.38 (s, 1H), 8.12 (d, J = 2.7 Hz, 1H), 8.02 (s, 1H), 7.84 (d, J = 5.6 Hz, 1H), 4.69 (s, 1H), 2.87 (d, J = 6.4 Hz, 1H), 2.09 (s, 1H), 2.00 (m, 2H), 1.75 (m, 2H), 1.57 - 1.42 (m, 4H).
실시예 50: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28
단계 1: (2 S ,3 S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4-다이클로로-6-(티오펜-3-일)피리미딘
아세토니트릴(4 mL) 중 티오펜-3-일보론산(100 mg, 0.78 mmol), 테트라키스(트라이페닐포스핀)팔라듐(90 mg, 0.08 mmol),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144 mg, 0.79 mmol)의 현탁액에 수성 칼륨 카보네이트 용액(0.4 M, 4 mL, 1.60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90℃까지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1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2 mg, 45%).
MS (ESI, 양이온) m/z: 231.1[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27 (dd, J = 3.0, 1.2 Hz, 1H), 7.67 (dd, J = 5.1, 1.2 Hz, 1H), 7.52 (s, 1H), 7.48 (dd, J = 5.1, 3.0 Hz, 1H).
단계 3: (2 S ,3 S )-에틸 3-((2-클로로-6-(티오펜-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6 mL) 중 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101 mg, 0.43 mmol) 및 2,4-다이클로로-6-(티오펜-3-일)피리미딘(82 mg, 0.35 mmol)의 용액에 칼륨 카보네이트(147 mg, 1.06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6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2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00 mg, 72%).
MS (ESI, 양이온) m/z: 392.5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11 (d, J = 2.0 Hz, 1H), 7.60 (d, J = 4.8 Hz, 1H), 7.40 (dd, J = 5.1, 3.1 Hz, 1H), 6.71 (s, 1H), 5.46 (s, 1H), 4.32 (s, 1H), 4.26 - 4.16 (m, 2H), 2.37 (d, J = 4.4 Hz, 1H), 2.10 (s, 1H), 1.90 - 1.84 (m, 1H), 1.80 - 1.61 (m, 8H).
단계 4: ( 2 S ,3 S )-에틸 3- ( (2- 브로모 -6-(티오펜-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2 mL, 33%)에 (2S,3S)-에틸 3-((2-클로로-6-(티오펜-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82 mg, 0.21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1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1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8 mg, 64%).
MS (ESI, 양이온) m/z: 436.4 [M+H]+.
단계 5: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및 H2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167 mg, 0.19 mmol, 60%), K2CO3(61 mg, 0.44 mmol), Pd(dppf)Cl2(24 mg, 0.03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6-(티오펜-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8 mg, 0.15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63 mg, 57%).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56 (s, 1H), 8.07 (d, J = 2.0 Hz, 1H), 7.95 (s, 1H), 7.65 (d, J = 5.0 Hz, 1H), 7.40 (dd, J = 5.0, 3.1 Hz, 1H), 7.34- 7.29 (m, 9H), 7.23 (dd, J = 6.5, 3.1 Hz, 6H), 6.65 (s, 1H), 5.89 (s, 1H), 4.34 (s, 1H), 4.16 (dd, J = 13.4, 6.3 Hz, 2H), 2.45 (s, 1H), 1.94 (s, 1H), 1.56 (m, 9H), 1.22 (t, J = 7.1 Hz, 3H).
단계 6: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티오펜-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63 mg, 0.08 mmol)의 용액에 Et3SiH(0.14 mL, 0.84 mmol) 및 TFA(0.06 mL, 0.8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2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2.7 mg, 100%).
MS (ESI, 양이온) m/z: 509.1 [M+H]+.
단계 7: (2 R ,3 R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 5 mL/5 mL/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티오펜-3-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2 mg, 0.10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33 mg, 0.83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수(1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5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3 mg, 58%).
MS (ESI, 양이온) m/z: 481.1 [M+H]+;
HRMS (ESI, 양이온) m/z: 481.1206, (C23H22ClN6O2S)[M+H]+ 이론적인 값: 481.1213;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8.64 (s, 1H), 8.36 (s, 1H), 8.27 (s, 1H), 7.70 - 7.66 (m, 1H), 7.48 (s, 1H), 6.70 (s, 1H), 4.57 (s, 1H), 2.04- 1.51 (m, 10H).
실시예 51: (2 S ,3 S )-3-((2-(3-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29
단계 1: (2 S ,3 S )-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1 mL) 및 물(1 mL)의 혼합된 용매 중 (2S,3S)-에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g, 2.76mmol), 퓨란-2-일보론산(0.29 g, 2.62 mmol), Pd(dppf)Cl2(450 mg, 0.55 mmol), 칼륨 아세테이트(0.82 g, 8.41 mmol), 리튬 클로라이드(271 mg, 6.20 mmol)의 현탁액을 24시간 동안 질소 보호 하에 환류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여과 케이크를 에틸 아세테이트(10 mL)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50 mg, 23%).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66 (s, 1H), 7.19 - 7.13 (m, 1H), 6.59 (dd, J = 3.3, 1.6 Hz, 1H), 5.35 (d, J = 3.9 Hz, 1H), 4.54 (s, 1H), 4.24 (q, J = 7.2 Hz, 2H), 2.41 (d, J = 5.8 Hz, 1H), 1.91 (s, 1H), 1.84 (t, J = 11.7 Hz, 1H), 1.68 (d, J = 11.6 Hz, 5H), 1.46 (t, J = 10.3 Hz, 1H), 1.28 (m, 5H).
단계 2: (2 S ,3 S )-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33%, 5 mL)에 (2S,3S)-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2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3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6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97 mg, 87%).
MS (ESI, 양이온) m/z: 440.1 [M+H]+.
단계 3: (2 S ,3 S )-에틸 3-((2-(3-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3 mL) 및 H2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116 mg, 0.22 mmol), 칼륨 카보네이트(70 mg, 0.51 mmol), Pd(dppf)Cl2(27 mg, 0.03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75 mg, 0.17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00 mg, 78%).
단계 4: ( 2 S ,3 S )-에틸 3-((2-(3-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3 mL) 중 (2S,3S)-에틸 3-((2-(3-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13 mmol)의 용액에 Et3SiH(0.22 mL, 1.33 mmol) 및 TFA(0.10 mL, 1.33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2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2 mg, 62%).
단계 5: (( 2 S ,3 S )-3- ((2-(3-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 -7-일)-5- 플루오로 -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 1 mL/1 mL/1 mL) 중 (2S,3S)-에틸 3-((2-(3-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퓨란-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2 mg, 0.08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20 mg, 0.50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2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5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6 mg, 98%).
MS (ESI, 양이온) m/z: 483.6 [M+H]+;
HRMS (ESI, 양이온) m/z: 483.1355, (C23H21ClFN6O3)[M+H]+ 이론적인 값: 483.1348;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59 (s, 1H), 8.45 (s, 1H), 7.99 (s, 1H), 7.58 (s, 1H), 7.23 (s, 1H), 6.75 (s, 1H), 5.33 (s, 1H), 4.64 (s, 1H), 2.67 (s, 1H), 2.33 (s, 2H), 2.03 (m, 8H).
실시예 52: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1 H -이미다졸-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30
단계 1: (2 S ,3 S )-에틸 3-((2-클로로-6-(1 H -이미다졸-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톨루엔(3 mL)에 (2S,3S)-에틸 3-((2,6-다이클로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88 mg, 0.26 mmol), 이미다졸(22 mg, 0.32 mmol), 칼륨 카보네이트(166 mg, 0.51 mmol), Pd(dba2)3(24 mg, 0.03 mmol) 및 X-Phos(12 mg, 0.02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고, 이어서, 혼합물을 120℃까지 가열하고,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3 mg, 45%).
MS (ESI, 양이온) m/z: 376.3[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65 (s, 1H), 7.85 (s, 1H), 7.16 (s, 1H), 6.40 (s, 1H), 6.15 (s, 1H), 4.25 - 4.11 (m, 2H), 3.49 (s, 1H), 2.44 (s, 1H), 1.96 - 1.35 (m, 10H), 1.28 - 1.21 (m, 3H).
단계 2: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1 H -이미다졸-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3 mL) 및 H2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00 mg, 0.35 mmol, 60%), 칼륨 카보네이트(110 mg, 0.80 mmol), Pd(dppf)Cl2(35 mg, 0.05 mmol) 및 (2S,3S)-에틸 3-((2-클로로-6-(1H-이미다졸-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27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110℃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41 mg, 72%).
단계 3: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1 H -이미다졸-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1H-이미다졸-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40 mg, 0.19 mmol)의 용액에 Et3SiH(0.31 mL, 0.84 mmol) 및 TFA(0.14 mL, 0.8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2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3.9 mg, 100%).
MS (ESI, 양이온) m/z: 493.6[M+H]+.
단계 4: ( 2 S ,3 S )-3- ((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 -7-일)-6-(1 H -이미다졸-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 5 mL/5 mL/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1H-이미다졸-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10 mg, 0.22 mmol)의 용액에 NaOH(89 mg, 2.23 mmol)를 여러 분획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수(15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5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0 mg, 96%).
MS (ESI, 양이온) m/z: 465.1 [M+H]+;
HRMS (ESI, 양이온) m/z: 465.1554, (C22H22ClN8O2)[M+H]+ 이론적인 값: 465.1550;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88 (s, 1H), 8.66 (s, 1H), 8.44 (s, 1H), 8.13 (d, J = 5.8 Hz, 1H), 8.02 (s, 1H), 7.43 (s, 1H), 7.08 (s, 1H), 4.48 (s, 1H), 1.95 (s, 1H), 1.86 (s, 2H), 1.70 - 1.37 (m, 8H);
13C NMR (151 MHz, DMSO-d 6) δ (ppm): 163.87, 156.11, 154.07, 142.18, 141.64, 136.42, 136.28, 135.86, 135.31, 130.12, 129.95, 117.24, 111.86, 99.16, 50.92, 49.96, 45.82, 31.74, 29.54, 29.48, 29.44, 29.32, 29.30, 29.28, 29.20, 29.15, 29.03, 28.65, 28.47, 27.01, 26.02, 25.58, 24.33, 22.55, 21.34, 19.52, 14.41.
실시예 53: (2 S , 3 S)-3-((2-(3-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31
단계 1: (2 S ,3 S )-에틸 3-((2-(3-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3-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73 mg, 0.29 mmol, 40%), 칼륨 카보네이트(91 mg, 0.66 mmol), Pd(dppf)Cl2(35 mg, 0.04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22 mmol)를 1,4-다이옥산(3 mL)에 첨가하고, 이어서 H2O(0.5 m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69 mg, 100%).
1H NMR (400 MHz, DMSO-d 6 ) δ(ppm): 8.54 (s, 1H), 8.29 (s, 1H), 7.82 (d, J = 4.6 Hz, 2H), 7.70 (d, J = 6.9 Hz, 1H), 7.36 (dt, J = 6.7, 4.6 Hz, 10H), 7.19 (d, J = 7.0 Hz, 5H), 4.50 (t, J = 7.1 Hz, 1H), 4.03 (dd, J = 7.1, 1.9 Hz, 2H), 2.89 (d, J = 7.4 Hz, 1H), 1.94 (s, 1H), 1.85 (s, 1H), 1.71 (s, 2H), 1.46 (m), 1.11 (t, J = 7.1 Hz, 3H).
단계 2: (2 S ,3 S )-에틸 3-((2-(3-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3 mL) 중 (2S,3S)-에틸 3-((2-(3-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69 mg, 0.22 mmol)의 용액에 Et3SiH(0.35 mL, 2.20 mmo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16 mL, 2.20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2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0 mg, 78%).
단계 3: (2 S ,3 S )-3-((2-(3-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 1 mL/1 mL/1 mL) 중 (2S,3S)-에틸 3-((2-(3-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90 mg, 0.17 mmol)의 용액에 NaOH(67 mg, 1.71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수(2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6 mg, 77%).
MS (ESI, 양이온) m/z: 499.0 [M+H]+;
HRMS (ESI, 양이온) m/z: 499.1110, (C23H21ClFN6O2S)[M+H]+ 이론적인 값: 499.1119;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59 (s, 1H), 8.42 (s, 1H), 7.87 (d, J = 3.4 Hz, 1H), 7.84 (d, J = 4.9 Hz, 1H), 7.64 (d, J = 6.3 Hz, 1H), 7.29 - 7.25 (m, 1H), 4.63 (t, J = 6.4 Hz, 1H), 3.16 (s, 1H), 2.07 (s, 1H), 1.99 (s, 1H), 1.75 (t, J = 9.7 Hz, 2H), 1.57 - 1.32 (m, 6H).
실시예 54: (2 S ,3 S )-((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9071341718-pct00132
단계 1: (2 S ,3 S )-((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20 mL) 중 (2S,3S)-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2.00 g, 4.69 mmol)의 용액에 칼륨 카보네이트(2.02 g, 14.20 mmol) 및 클로로메틸 에틸 카보네이트(0.79 g, 5.7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48 g, 69%).
MS (ESI, 양이온) m/z: 527.7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7.84 - 7.81 (m, 1H), 7.57 (d, J = 5.0 Hz, 1H), 7.20 - 7.14 (m, 1H), 6.02 (d, J = 5.7 Hz, 1H), 5.77 (d, J = 5.6 Hz, 1H), 4.45 (d, J = 5.2 Hz, 1H), 4.24 (q, J = 7.1 Hz, 2H), 2.50 (d, J = 5.4 Hz, 1H), 2.03 (d, J = 2.3 Hz, 1H), 1.91 (d, J = 2.4 Hz, 1H), 1.81 (m, 1H), 1.72 (m, 4H), 1.65 - 1.57 (m, 2H), 1.33 (t, J = 7.1 Hz, 3H).
단계 2: (2 S ,3 S )-((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20 mL) 및 H 2 O(1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65%, 0.85 g, 1.10 mmol), K2CO3(0.40 g, 2.90 mmol), Pd(dppf)Cl2(0.22 g, 0.29 mmol) 및 (2S,3S)-((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50 g, 0.95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69 g, 86%).
단계 3: (2 S ,3 S )-((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10 mL) 중 (2S,3S)-((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0.69 g, 0.82 mmol)의 용액에 Et3SiH(1.60 mL, 10.00 mmol) 및 TFA(0.74 mL, 10.0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4/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25 g, 51%).
MS (ESI, 양이온) m/z: 600.8 [M+H]+;
HRMS (ESI, 양이온) m/z: 601.1483, (C27H27ClFN6O5S)[M+H]+ 이론적인 값: 601.1436;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0.09 (s, 1H), 8.46 (d, J = 2.7 Hz, 1H), 8.28 (s, 1H), 7.93 (d, J = 3.1 Hz, 1H), 7.58 (d, J = 4.8 Hz, 1H), 7.24- 7.17 (m, 1H), 5.80 (d, J = 5.6 Hz, 1H), 5.69 (d, J = 5.6 Hz, 1H), 4.71 (s, 1H), 4.18 - 4.08 (m, 2H), 2.60 (s, 1H), 2.09 (s, 1H), 1.92 (s, 1H), 1.81 (m, 1H), 1.76 - 1.61 (m, 5H), 1.50 (m, 1H), 1.18 (t, J = 7.1 Hz, 3H).
실시예 55: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1 H -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33
단계 1: 2,4-다이클로로-6-(1 H -피롤-1-일)피리미딘
나트륨 하이드라이드(1.43 g, 35.8 mmol, 60%)를 2-목 플라스크에 첨가하였다.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3회 교환하고, 이어서 무수 THF(20 m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까지 냉각하고, 피롤(2.00 g, 29.8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이러한 온도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6.01 g, 32.8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06 mg, 13%).
단계 2: (2 S ,3 S )-에틸 3-((2-클로로-6-(1 H -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2,4-다이클로로-6-(1H-피롤-1-일)피리미딘(800 mg, 3.74 mmol) 및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961 mg, 4.11 mmol)를 DMF(5 mL)에 첨가하고, 이어서 K2CO3(1.55 g, 11.2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27 mg, 9%).
MS (ESI, 양이온) m/z: 375.1[M+H]+.
단계 3: (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1 H -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3 mL) 및 물(0.5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61 mg, 0.42 mmol, 60%), 칼륨 카보네이트(132 mg, 0.96 mmol), Pd(dppf)Cl2(52 mg, 0.06 mmol) 및 ((2S,3S)-에틸 3-((2-클로로-6-(1H-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20 mg, 0.32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여액을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235 mg, 100%).
단계 4: ( 2 S ,3 S )-에틸 3- ((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 -7-일)-6-(1 H -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1H-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85 mg, 0.25 mmol)의 용액에 Et3SiH(0.40 mL, 2.52 mmo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19 mL, 2.52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2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7 mg, 30%).
MS (ESI, 양이온) m/z: 492.6[M+H]+.
단계 5: (2 R ,3 R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1 H -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 1 mL/1 mL/1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1H-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7 mg, 0.08 mmol)의 용액에 NaOH(30 mg, 0.8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염수(30 m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8 mg, 52%).
MS (ESI, 양이온) m/z: 464.1 [M+H]+;
HRMS (ESI, 양이온) m/z: 464.1589, (C23H22ClN6O3)[M+H]+ 이론적인 값: 464.1602;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2.80 (s, 1H), 8.66 (s, 1H), 8.38 (s, 1H), 7.71 (s, 1H), 7.49 (s, 1H), 6.39 (s, 1H), 6.33 (s, 2H), 4.57 (s, 1H), 3.60 (s, 1H), 2.83 (s, 1H), 1.97 (s, 1H), 1.91 (s, 1H), 1.76 (s, 2H), 1.41 (m, 6H).
실시예 56: (2S,3S)-3-((5-플루오로-2-(2-플루오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34
단계 1: 5-브로모-3-((트라이메틸실릴)에틴일)피라진-2-아민
THF(24 mL) 중 3,5-다이브로모피라진-2-아민(2.00 g, 7.91 mmol)의 용액에 트라이에틸아민(3.3 mL, 24 mmol), 구리(I) 요오다이드(151 mg, 0.79 mmol) 및 Pd(PPh3)2Cl2(561 mg, 0.79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5℃까지 질소 보호 하에 냉각하고, 이어서 트라이메틸실릴아세틸렌(1.07 mL, 7.50 mmol)을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0℃까지 가온하고,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흑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42 mg, 94%).
MS (ESI, 양이온) m/z: 272.00 [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04 (s, 1H), 5.14 (s, 2H), 0.30 (s, 9H).
단계 2: 2-브로모-5-토실-5 H -피롤로[2,3- b ]피라진
무수 DMF(10 mL) 중 5-브로모-3-((트라이메틸실릴)에틴일)피라진-2-아민(1.22 g, 4.52 mmol)의 0℃ 용액에 나트륨 하이드라이드(253 mg, 6.33 mmol, 60%)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파라톨루엔설폰일 클로라이드(865 mg, 4.51 mmo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얼음-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6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24 mg, 39.2%).
단계 3: t-부틸 (5-토실-5 H -피롤로[2,3- b ]피라진-2-일)카밤에이트
1,4-다이옥산(10 mL) 중 2-브로모-5-토실-5H-피롤로[2,3-b]피라진(624 mg, 1.77 mmol)의 용액에 t-부틸 카밤에이트(311 mg, 2.65 mmol), 칼륨 카보네이트(734 mg, 5.31 mmol), 잔트포스(209 mg, 0.35 mmol) 및 팔라듐 아세테이트(41 mg, 0.17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5℃까지 가열하고, 2.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13 mg, 75%).
단계 4: 5-토실-5 H -피롤로[2,3- b ]피라진-2-아민
인산(5 mL, 85.97 mmol) 중 t-부틸 (5-토실-5H-피롤로[2,3-b]피라진-2-일)카밤에이트(513 mg, 1.32 mmol)의 용액을 70℃까지 가열하고,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00 mg, 53%).
MS (ESI, 양이온) m/z: 289.4 [M+H]+.
단계 5: 2-플루오로-5-토실-5 H -피롤로[2,3- b ]피라진
수성 HBF4 용액(3 mL, 40%) 중 5-토실-5H-피롤로[2,3-b]피라진-2-아민(50 mg, 0.17 mmol), 구리 분말(1 mg, 0.02 mmol)의 현탁액을 실온에서 1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5℃까지 냉각하고, 나트륨 니트라이트(12 mg, 0.2 mmol)를 현탁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15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실온으로 가온하고, 6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0℃까지 냉각하고, 포화 수성 나트륨 카보네이트로 pH 6까지 조정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5 mg, 49%).
MS (ESI, 양이온) m/z: 292.2 [M+H]+;
1H NMR (400 MHz, CDCl3) δ(ppm): 8.19 (d, J = 6.9 Hz, 1H), 8.09 - 8.03 (m, 3H), 7.34 (d, J = 8.1 Hz, 2H), 6.75 (d, J = 4.1 Hz, 1H), 2.42 (s, 3H).
단계 6: 2-플루오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
TBAF(0.42 mL, 0.42 mmol, THF 중 1 mol/L) 중 2-플루오로-5-토실-5H-피롤로[2,3-b]피라진(100 mg, 0.34 mmol)의 용액을 실온에서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20 mL)로 희석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2 mg, 89%).
MS (ESI, 양이온) m/z: 138.1 [M+H]+;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2.31 (s, 1H), 8.20 (d, J = 6.9 Hz, 1H), 7.96 (d, J = 3.5 Hz, 1H), 6.58 (d, J = 3.5 Hz, 1H).
단계 7: 2-플루오로-7-요오도-5 H -피롤로[2,3- b ]피라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0 mL) 중 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423 mg, 3.09 mmol)의 용액에 NIS(787 mg,3.39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나트륨 티오설페이트(5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EtOAc(5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 → 4/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14 mg, 100%).
MS (ESI, 음이온) m/z: 262.1 [M-H]-.
단계 8: 2-플루오로-7-요오도-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DMF(10 mL) 중 2-플루오로-7-요오도-5H-피롤로[2,3-b]피라진(834 mg, 3.17 mmol)의 용액을 0℃까지 냉각하고, NaH(152 mg, 3.80 mmol, 60%)를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트라이페닐클로로메탄(972 mg, 3.49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 g, 100%).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03 (d, J = 7.0 Hz, 1H), 7.72 (s, 1H), 7.32 (dd, J = 9.2, 7.1 Hz, 10H), 7.16 (d, J = 6.8 Hz, 5H).
단계 9: 2 - 플루오로 -7-(4,4,5,5- 테트라메틸 -1,3,2- 다이옥사보롤란 -2-일)-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THF(10 mL) 중 2-플루오로-7-요오도-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500 mg, 0.99 mmol) 및 이소프로폭시보론산 피나콜 에스터(231 mg, 1.24 mmol)의 용액을 -27℃까지 냉각하고, 혼합물을 격렬히 교반하고, 이어서 테트라하이드로퓨란(2 M, 0.58 mL) 중 이소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의 용액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1.5시간 동안 계속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카보네이트(40 mL)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00 mg, 100%).
MS (ESI, 양이온) m/z: 506.1 [M+H]+.
단계 10: (2 S ,3 S )-에틸 3-((5-플루오로-2-(2-플루오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H2O(0.2 mL, 10 mmol) 및 1,4-다이옥산(2 mL)의 혼합된 용매에 2-플루오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1.34 g, 1.33 mmol, 50%), (2S,3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00 mg, 1.10 mmol), 칼륨 카보네이트(456 mg, 3.30 mmol), Pd(dppf)Cl2(179 mg, 0.220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n-헥산/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20 mg, 99%).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32 (s, 1H), 8.02 (d, J = 7.5 Hz, 1H), 7.83 (d, J = 5.0 Hz, 2H), 7.70 (d, J = 6.7 Hz, 1H), 7.35 (dd, J = 10.1, 7.2 Hz, 10H), 7.18 (d, J = 7.0 Hz, 5H), 4.55 (t, J = 7.0 Hz, 1H), 4.06 - 4.01 (m, 2H), 2.89 (d, J = 7.4 Hz, 1H), 1.95 (s, 1H), 1.89 (s, 1H), 1.72 (d, J = 7.2 Hz, 2H), 1.49 (m, 6H), 1.12 (t, J = 7.1 Hz, 3H).
단계 11: (2 S ,3 S )-에틸 3-((5-플루오로-2-(2-플루오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10 mL) 중 (2S,3S)-에틸 3-((5-플루오로-2-(2-플루오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820 mg, 1.09 mmol)의 용액에 Et3SiH(1.74 mL, 10.9 mmo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81 mL, 10.9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4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60 mg, 83%).
MS (ESI, 양이온) m/z: 511.3[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21 (s, 1H), 8.55 (d, J = 3.1 Hz, 1H), 8.13 (d, J = 7.0 Hz, 1H), 7.95 (d, J = 3.6 Hz, 1H), 7.58 (d, J = 5.0 Hz, 1H), 7.24- 7.19 (m, 1H), 5.29 (d, J = 5.7 Hz, 1H), 4.78 (s, 1H), 4.23 - 4.10 (m, 2H), 2.45 (d, J = 5.8 Hz, 1H), 2.10 (s, 1H), 2.06 (s, 1H), 1.94 (d, J = 13.4 Hz, 1H), 1.85 - 1.63 (m, 6H), 1.52 (d, J = 13.7 Hz, 1H), 1.15 (t, J = 7.1 Hz, 3H).
단계 12: (2 S , 3 S)-3-((5-플루오로-2-(2-플루오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 1/1/1, 3 mL) 중 (2S,3S)-에틸 3-((5-플루오로-2-(2-플루오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60 mg, 0.90 mmol)의 용액에 NaOH(360 mg, 9.00 mmol)를 여러 분획으로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수(2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5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50 mg, 81%).
MS (ESI, 양이온) m/z: 482.9 [M+H]+;
HRMS (ESI, 양이온) m/z: 483.1416, (C23H21F2N6O2S)[M+H]+ 이론적인 값: 483.1415;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2.74 (s, 1H), 8.52 (s, 1H), 8.27 (d, J = 7.3 Hz, 1H), 7.89 (d, J = 3.0 Hz, 1H), 7.84 (d, J = 4.9 Hz, 1H), 7.62 (d, J = 6.2 Hz, 1H), 7.32 - 7.24 (m, 1H), 4.65 (d, J = 6.3 Hz, 1H), 2.85 (d, J = 7.0 Hz, 1H), 2.11 (s, 1H), 1.98 (d, J = 14.1 Hz, 2H), 1.84- 1.29 (m, 8H);
13C NMR (151 MHz, DMSO-d6) δ (ppm): 176.19, 158.21, 156.64, 155.93, 155.88, 152.54, 152.46, 140.90, 140.38, 140.33, 140.29, 138.65, 138.45, 138.41, 134.94, 132.43, 132.33, 130.48, 130.46, 129.72, 129.65, 128.98, 125.03, 124.73, 113.79, 51.36, 48.03, 28.82, 28.49, 25.91, 23.99, 21.67, 19.56.
실시예 57: (2 S ,3 S )-3-((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2-(2-플루오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35
단계 1: (2 S ,3 S )-에틸 3-((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2-(2-플루오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H2O(0.2 mL) 및 1,4-다이옥산(10 mL)의 혼합된 용매에 2-플루오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1.24 g, 1.23 mmol, 50%), (2S,3S)-에틸 3-((2-브로모-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00 mg, 1.02 mmol), 칼륨 카보네이트(423 mg, 3.07 mmol) 및 Pd(dppf)Cl2(107 mg, 0.20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15 mg, 64%).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30 (s, 1H), 8.03 (d, J = 7.5 Hz, 1H), 7.78 (d, J = 6.9 Hz, 1H), 7.63 (d, J = 3.4 Hz, 1H), 7.35 (dd, J = 10.7, 7.2 Hz, 10H), 7.28 (d, J = 4.1 Hz, 1H), 7.18 (d, J = 7.1 Hz, 5H), 4.52 (t, J = 7.1 Hz, 1H), 4.04 (m, 2H), 2.89 (d, J = 7.3 Hz, 1H), 1.94 (s, 1H), 1.85 (s, 1H), 1.72 (d, J = 7.1 Hz, 2H), 1.56 - 1.39 (m, 6H), 1.12 (t, J = 7.1 Hz, 3H).
단계 2: (2 S ,3 S )-에틸 3-((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2-(2-플루오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10 mL) 중 (2S,3S)-에틸 3-((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2-(2-플루오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15 mg, 0.65 mmol)의 용액에 Et3SiH(1.04 mL, 6.54 mmo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48 mL, 6.54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4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6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90 mg, 81%).
MS (ESI, 양이온) m/z: 544.8[M+H]+;
1H NMR (400 MHz, CDCl3) δ (ppm): 9.18 (s, 1H), 8.52 (d, J = 3.1 Hz, 1H), 8.13 (d, J = 7.0 Hz, 1H), 7.69 (d, J = 3.2 Hz, 1H), 7.02 (d, J = 4.0 Hz, 1H), 5.27 (d, J = 5.2 Hz, 1H), 4.78 (s, 1H), 4.24- 4.10 (m, 2H), 2.44 (d, J = 5.9 Hz, 1H), 2.10 (s, 1H), 2.06 (s, 1H), 1.94 (d, J = 13.6 Hz, 1H), 1.82 - 1.63 (m, 6H), 1.52 (d, J = 13.8 Hz, 1H), 1.16 (t, J = 7.1 Hz, 3H).
단계 3: (2 S ,3 S )-3-((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2-(2-플루오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1 mL/1 mL/1 mL) 중 (2S,3S)-에틸 3-((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2-(2-플루오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90 mg, 0.53 mmol)의 용액에 NaOH(212 mg, 5.32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수(1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15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20 mg, 80%).
MS (ESI, 양이온) m/z: 517.2 [M+H]+;
HRMS (ESI, 양이온) m/z: 517.1025, (C23H20ClF2N6O2S)[M+H]+ 이론적인 값: 517.1022;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2.74 (s, 1H), 12.25 (s, 1H), 8.51 (s, 1H), 8.27 (d, J = 7.3 Hz, 1H), 7.74- 7.64 (m, 2H), 7.29 (d, J = 4.0 Hz, 1H), 4.65 (t, J = 6.3 Hz, 1H), 2.84 (d, J = 7.0 Hz, 1H), 2.09 (s, 1H), 1.97 (d, J = 16.1 Hz, 2H), 1.73 (d, J = 8.6 Hz, 2H), 1.62 - 1.32 (m, 6H).
실시예 58: (2 S ,3 S )-((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5-플루오로-2-(2-플루오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9071341718-pct00136
단계 1: ( 2 S ,3 S )-(( 에톡시카보닐 ) 옥시 ) 메틸 3-((5-플루오로-2-(2-플루오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H2O(0.2 mL) 및 1,4-다이옥산(10 mL)의 혼합된 용매에 2-플루오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803 mg, 0.79 mmol, 50%), (2S,3S)-((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00 mg, 0.76 mmol), 칼륨 카보네이트(313 mg, 2.27 mmol) 및 Pd(dppf)Cl2(123 mg, 0.15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00 mg, 80%).
1H NMR (400 MHz, CD3OD) δ (ppm): 8.50 (s, 1H), 7.92 (d, J = 3.7 Hz, 1H), 7.80 (d, J = 7.3 Hz, 1H), 7.66 (d, J = 5.0 Hz, 1H), 7.37 - 7.25 (m, 15H), 7.24- 7.21 (m, 1H), 5.72 (d, J = 5.8 Hz, 1H), 5.66 (d, J = 5.8 Hz, 1H), 4.13 - 4.04 (m, 2H), 2.80 (d, J = 7.7 Hz, 1H), 1.92 (s, 1H), 1.82 (s, 2H), 1.67 - 1.47 (m, 6H), 1.34 (s, 4H), 1.14 (t, J = 7.1 Hz, 3H).
단계 2: (2 S ,3 S )-((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5-플루오로-2-(2-플루오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10 mL) 중 (2S,3S)-((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5-플루오로-2-(2-플루오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00 mg, 0.60 mmol)의 용액에 Et3SiH(0.97 mL, 6.05 mmo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45 mL, 6.05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카보네이트(3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50 mg, 71%).
MS (ESI, 양이온) m/z: 584.8[M+H]+;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2.72 (s, 1H), 8.49 (d, J = 2.2 Hz, 1H), 8.27 (d, J = 7.2 Hz, 1H), 7.89 (s, 1H), 7.85 (d, J = 4.7 Hz, 1H), 7.69 (d, J = 6.1 Hz, 1H), 7.28 (d, J = 3.9 Hz, 1H), 5.73 (d, J = 5.9 Hz, 1H), 5.67 (d, J = 6.0 Hz, 1H), 4.69 (s, 1H), 4.07 (d, J = 6.8 Hz, 2H), 3.60 (s, 1H), 3.02 (d, J = 6.7 Hz, 1H), 2.11 (s, 1H), 1.97 (s, 2H), 1.76 (d, J = 3.7 Hz, 2H), 1.56 - 1.38 (m, 4H), 1.12 (t, J = 7.0 Hz, 3H);
13C NMR (151 MHz, DMSO-d 6) δ (ppm): 173.44, 158.21, 156.64, 155.90, 155.85, 153.66, 152.43, 152.35, 140.90, 140.48, 140.43, 140.38, 138.64, 138.40, 138.35, 134.86, 132.43, 132.33, 130.56, 129.78, 129.71, 129.00, 125.06, 124.76, 113.75, 82.44, 67.49, 64.78, 50.99, 47.79, 28.79, 28.52, 25.69, 25.59, 23.87, 21.31, 19.38, 14.26.
실시예 59: (2 S ,3 S )-((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2-(2-플루오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Figure 112019071341718-pct00137
단계 1: (2 S ,3 S )-((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2-(2-플루오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H2O(0.2 mL) 및 1,4-다이옥산(10 mL)의 혼합된 용매에 2-플루오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685 mg, 0.75 mmol, 55%), (2S,3S)-((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2-브로모-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20 mg, 0.75 mmol), 칼륨 카보네이트(309 mg, 2.24 mmol) 및 Pd(dppf)Cl2(121 mg, 0.15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00 mg, 62%).
1H NMR (400 MHz, DMSO-d 6) δ(ppm): 8.30 (s, 1H), 8.03 (d, J = 7.5 Hz, 1H), 7.83 (d, J = 6.7 Hz, 1H), 7.63 (d, J = 3.4 Hz, 1H), 7.41 - 7.31 (m, 10H), 7.28 (d, J = 4.1 Hz, 1H), 7.18 (d, J = 7.1 Hz, 5H), 5.68 (dd, J = 12.7, 6.1 Hz, 2H), 4.50 (t, J = 6.9 Hz, 1H), 4.10 - 4.04 (m, 2H), 3.00 (d, J = 7.5 Hz, 1H), 1.95 (s, 1H), 1.86 (s, 1H), 1.72 (d, J = 8.7 Hz, 2H), 1.46 (m, 6H), 1.12 (t, J = 7.1 Hz, 3H).
단계 2: (2 S ,3 S )-((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2-(2-플루오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10 mL) 중 ((2S,3S)-((에톡시카보닐)옥시)메틸 3-((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2-(2-플루오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00 mg, 0.46 mmol)의 용액에 Et3SiH(0.74 mL, 4.64 mmo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35 mL, 4.64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카보네이트(3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6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80 mg, 63%).
MS (ESI, 양이온) m/z: 619.3[M+H]+;
HRMS (ESI, 양이온) m/z: 619.1371, (C27H26ClF2N6O5S)[M+H]+ 이론적인 값: 619.1342;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2.74 (s, 1H), 8.49 (s, 1H), 8.27 (d, J = 7.2 Hz, 1H), 7.76 (d, J = 5.9 Hz, 1H), 7.68 (d, J = 3.3 Hz, 1H), 7.28 (d, J = 3.8 Hz, 1H), 5.75 - 5.65 (m, 2H), 4.68 (s, 1H), 4.09 - 4.02 (m, 2H), 3.01 (d, J = 6.7 Hz, 1H), 2.09 (s, 1H), 1.97 (d, J = 7.0 Hz, 2H), 1.75 (d, J = 11.1 Hz, 2H), 1.55 - 1.38 (m, 4H), 1.12 (t, J = 7.0 Hz, 3H).
실시예 60: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1 H -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38
단계 1: 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아민
EtOH(50 mL, 100 mmol, 2 mol/L) 중 NH3의 용액에 2,4,6-트라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8.00 g, 39.7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0℃에서 1.5시간 동안 질소 보호 하에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2 g, 86%).
MS (ESI, 양이온) m/z: 181.9 [M+H]+.
단계 2: 2-브로모-6-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아민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1 mL, 1 mol/L)에 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아민(100 mg, 0.55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에 포화 수성 나트륨 카보네이트를 pH 약 8까지 적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3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0 mg, 80.369%).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8.14 (s, 2H).
단계 3: 2-브로모-4-클로로-5-플루오로-6-(1 H -피롤-1-일)피리미딘
빙상 아세트산(10 mL) 중 2-브로모-6-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아민(2.33 g, 10.3 mmol)의 용액에 2,5-다이메톡시테트라하이드로퓨란(1.63 g, 12.3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00℃까지 가열하고, 1.5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2 mg, 74%).
1H NMR (400 MHz, CDCl3) δ (ppm):7.66 (d, J = 1.5 Hz, 2H), 6.49 - 6.44 (m, 2H).
단계 4: (2 S ,3 S )-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1 H -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2 mL)에 2-브로모-4-클로로-5-플루오로-6-(1H-피롤-1-일)피리미딘(100 mg, 0.36 mmol) 및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78 mg, 10.60 mmol)를 첨가하고, 이어서 칼륨 카보네이트(149 mg, 1.08 mmol)를 혼합물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4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52 mg, 33%).
MS (ESI, 양이온) m/z: 439.0 [M+H]+.
단계 5: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1 H -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H2O(0.2 mL, 10 mmol) 및 1,4-다이옥산(10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917 mg, 1.14 mmol, 65%), (2S,3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1H-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00 mg, 1.14 mmol), 칼륨 카보네이트(1.61 g, 4.76 mmol), X-Phos(109 mg, 0.23 mmol) 및 Pd2(dba)3(209 mg, 0.23 mmol)을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60 mg, 42%).
단계 6: (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1 H -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10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1H-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660 mg, 0.88 mmol)의 용액에 Et3SiH(1.40 mL, 8.77 mmo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0.65 mL, 8.77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3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400 mg, 89%).
MS (ESI, 양이온) m/z: 510.1[M+H]+.
단계 7: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1 H -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 1 mL/1 mL/1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1H-피롤-1-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400 mg, 0.78 mmol)의 용액에 NaOH(313 mg, 7.84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수(3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0 mg, 42%).
MS (ESI, 양이온) m/z: 482.2 [M+H]+;
HRMS (ESI, 양이온) m/z: 482.1508, (C23H22ClFN7O2)[M+H]+ 이론적인 값: 482.1498;
1H NMR (400 MHz, DMSO-d6) δ (ppm): 12.81 (s, 1H), 12.21 (s, 1H), 8.63 (d, J = 2.8 Hz, 1H), 8.39 (s, 1H), 7.76 (s, 2H), 7.65 (d, J = 6.1 Hz, 1H), 6.40 (s, 2H), 4.67 (s, 1H), 2.85 (d, J = 6.8 Hz, 1H), 2.08 (s, 1H), 1.99 (s, 1H), 1.78-1.70 (m, 2H), 1.56-1.34 (m, 6H).
실시예 61: (2 S ,3 S )-3-((2-(3-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39
단계 1: (2 S ,3 S )-에틸 3-((2-(3-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3 mL) 및 H2O(0.5 mL)의 혼합된 용매에 3-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373 mg, 0.29 mmol, 40%), 칼륨 카보네이트(91 mg, 0.66 mmol), Pd(dppf)Cl2(35 mg, 0.04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22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오일로서 수득하였다(169 mg, 100%).
1H NMR (400 MHz, DMSO-d 6 ) δ(ppm): 8.54 (s, 1H), 8.29 (s, 1H), 7.82 (d, J = 4.6 Hz, 2H), 7.70 (d, J = 6.9 Hz, 1H), 7.36 (dt, J = 6.7, 4.6 Hz, 10H), 7.19 (d, J = 7.0 Hz, 5H), 4.50 (t, J = 7.1 Hz, 1H), 4.03 (dd, J = 7.1, 1.9 Hz, 2H), 2.89 (d, J = 7.4 Hz, 1H), 1.94 (s, 1H), 1.85 (s, 1H), 1.71 (s, 2H), 1.46 (m), 1.11 (t, J = 7.1 Hz, 3H).
단계 2: (2 S ,3 S )-에틸 3-((2-(3-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6 mL) 중 (2S,3S)-에틸 3-((2-(3-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28 mg, 0.69 mmol)의 용액에 NCS(110 mg, 0.82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10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수(3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8 mg, 18%).
1H NMR (400 MHz, CDCl3) δ(ppm): 8.51 (s, 1H), 8.40 (s, 1H), 7.64 (d, J = 3.9 Hz, 1H), 7.34- 7.30 (m, 10H), 7.24 (m, 5H), 6.99 (d, J = 4.0 Hz, 1H), 5.10 (d, J = 6.6 Hz, 1H), 4.59 (t, J = 6.9 Hz, 1H), 4.06 (m, 2H), 2.37 - 2.32 (m, 2H), 2.31 (s, 2H), 2.24 (d, J = 3.0 Hz, 2H), 2.02 (s, 1H), 1.70 (m, 4H), 1.16 (d, J = 7.1 Hz, 3H).
단계 3: (2 S ,3 S )-에틸 3-((2-(3-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3 mL) 중 (2S,3S)-에틸 3-((2-(3-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98 mg, 0.12 mmol)의 용액에 Et3SiH(142 mg, 1.22 mmo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142 mg, 1.22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카보네이트(3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6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2 mg, 91%).
MS (ESI, 양이온) m/z: 561.1[M+H]+.
단계 4: (2 S ,3 S )-3-((2-(3-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H2O(v/v/v = 1 mL/1 mL/1 mL) 중 (2S,3S)-에틸 3-((2-(3-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5-클로로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62 mg, 0.11 mmol)의 용액에 물(1 mL) 중 NaOH(45 mg, 1.10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염수(30 mL)를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분취용 박층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6 mg, 61%).
MS (ESI, 양이온) m/z: 533.0 [M+H]+;
HRMS (ESI, 양이온) m/z: 533.0745, (C23H20Cl2FN6O2S)[M+H]+ 이론적인 값: 533.0730;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2.78 (s, 1H), 8.62 (s, 1H), 8.43 (s, 1H), 7.71 (d, J = 6.5 Hz, 1H), 7.67 (d, J = 3.8 Hz, 1H), 7.28 (d, J = 4.0 Hz, 1H), 4.62 (s, 1H), 3.61 (d, J = 6.3 Hz, 1H), 2.83 (d, J = 7.0 Hz, 1H), 2.05 (s, 1H), 1.99 (s, 1H), 1.74- 1.35 (m, 8H).
실시예 62: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40
단계 1: ( 2 S ,3 S )-에틸 3- 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 -2- 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2,4-다이클로로-5-플루오로-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
무수 테트라하이드로퓨란(20 mL) 중 2-플루오로티오펜(1.65 g, 16.20 mmol)의 용액에 -15℃의 n-부틸리튬(6.50 mL, 16.20 mmol, 2.5 mol/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15℃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다이클로로(N,N,N',N'-테트라메틸에틸렌다이아민)아연(II)(1.36 g, 5.33 mmol)을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이어서, 팔라듐 다이클로라이드(290 mg, 1.62 mmol), 트라이페닐포스핀(850 mg, 3.23 mmol) 및 5-플루오로-2,4,6-트라이클로로피리미딘(3.60 g, 17.80 mmol)을 혼합물에 차례차례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질소 보호 하에 55℃까지 가열하고, 이어서 이러한 온도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33 g, 31%).
단계 3: (2 S ,3 S )-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30 mL) 중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1.39 g, 5.94 mmol) 및 2,4-다이클로로-5-플루오로-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1.32 g, 4.95 mmol)의 용액에 칼륨 카보네이트(1.31 g, 9.91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9 g, 79%).
MS (ESI, 양이온) m/z: 428.2 [M+H]+.
단계 4: (2 S ,3 S )-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6 mL) 중 브롬화수소산(599 mg, 2.41 mmol)의 용액에 (2S,3S)-에틸 3-((2-클로로-5-플루오로-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860 mg, 2.01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4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80 mL) 및 포화 염수(3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22 mg, 97%).
MS (ESI, 양이온) m/z: 474.1 [M+H]+.
단계 5: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및 H2O(1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1.55 g, 2.14 mmol, 60%), K2CO3(810 mg, 5.84 mmol), PdCl2(dppf)(190 mg, 0.19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920 mg, 1.95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35 g, 99%).
단계 6: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6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35 g, 1.71 mmol)의 용액에 Et3SiH(2.70 mL, 17.10 mmol) 및 TFA(1.35 mL, 17.10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22 mg, 56%).
MS (ESI, 양이온) m/z: 545.0 [M+H]+.
단계 7: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5-플루오로-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5-플루오로-6-(5-플루오로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522 mg, 0.96 mmol)의 용액에 물(5 mL) 중 NaOH(388 mg, 9.60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00 mg, 40%).
MS (ESI, 양이온) m/z: 517.0 [M+H]+;
HRMS (ESI, 양이온) m/z: 517.1027, (C23H20F2ClN6O2S)[M+H]+ 이론적인 값: 517.1025;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3.17 (s, 1H), 8.54 (s, 1H), 8.49 (s, 1H), 8.33 (s, 1H), 7.38 (s, 1H), 6.82 (d, J = 3.0 Hz, 1H), 6.52 (s, 1H), 4.47 (s, 1H), 2.43 (s, 1H), 1.93 (m, 2H), 1.87 - 1.28 (m, 9H).
실시예 63: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시아노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41
단계 1: ( 2 S ,3 S )-에틸 3- 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 -2- 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
표제 화합물을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단계 2: ( 2 S ,3 S )-에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5 mL) 중 2,4,6-트라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2.34 g, 11.70 mmol),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2.48 g, 10.60 mmol) 및 K2CO3(2.95 g, 21.30 mmol)의 현탁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10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8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5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22 g, 58%).
MS (ESI, 양이온) m/z: 362.1 [M+H]+.
단계 3: (2 S ,3 S )-에틸 3-((2-클로로-6-(5-시아노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및 H2O(1 mL)의 혼합된 용매에 (5-시아노티오펜-2-일)보론산(564 mg, 3.68 mmol), Na2CO3(1.06 g, 10.05 mmol), PdCl2(PPh3)2(474 mg, 0.67 mmol) 및 (2S,3S)-에틸 3-((2,6-다이클로로-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21 g, 3.35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40℃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61 mg, 25%).
1H NMR (400 MHz, CDCl3) δ(ppm): 7.79 - 7.76 (m, 1H), 7.66 (d, J = 4.0 Hz, 1H), 5.45 (d, J = 5.5 Hz, 1H), 4.56 (t, J = 5.4 Hz, 1H), 4.24 (q, J = 7.1 Hz, 2H), 2.41 (d, J = 5.8 Hz, 1H), 1.92 (s, 1H), 1.85 (s, 1H), 1.70 (m, 8H), 1.30 - 1.27 (m, 3H).
단계 4: (2 S ,3 S )-에틸 3-((2-브로모-6-(5-시아노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140 mg, 0.55 mmol, 33%)에 (2S,3S)-에틸 3-((2-클로로-6-(5-시아노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00 mg, 0.46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4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80 mL) 및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20 mg, 100%).
MS (ESI, 양이온) m/z: 479.0 [M+H]+.
단계 5: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시아노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및 H 2 O(1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474 mg, 0.53 mmol, 60%), K2CO3(206 mg, 1.43 mmol), PdCl2(dppf)(40 mg, 0.05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6-(5-시아노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29 mg, 0.48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1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31 mg, 35%).
1H NMR (400 MHz, CDCl3) δ(ppm): 8.41 (s, 1H), 7.96 (s, 1H), 7.82 (d, J = 3.2 Hz, 1H), 7.68 (d, J = 4.0 Hz, 1H), 7.38 - 7.29 (m, 10H), 7.22 (dd, J = 6.3, 3.3 Hz, 5H), 5.18 (s, 1H), 4.66 (t, J = 7.1 Hz, 1H), 4.12 - 4.05 (m, 2H), 2.35 (d, J = 7.2 Hz, 1H), 2.09 (s, 1H), 1.68 (m, 5H), 1.28 (s, 4H), 1.18 (t, J = 7.1 Hz, 3H).
단계 6: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시아노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6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6-(5-시아노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31 mg, 0.16 mmol)의 용액에 Et3SiH(191 mg, 1.65 mmol) 및 TFA(191 mg, 1.6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85 mg, 93%).
MS (ESI, 양이온) m/z: 552.1 [M+H]+.
단계 7: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5-시아노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6-(5-시아노티오펜-2-일)-5-플루오로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96 mg, 0.17 mmol)의 용액에 물(5 mL) 중 LiOH(4 mg, 0.21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8 mg, 31%).
MS (ESI, 양이온) m/z: 524.1 [M+H]+;
HRMS (ESI, 양이온) m/z: 524.1037, (C24H20FClN7O2S)[M+H]+ 이론적인 값: 524.1072;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8.54 (s, 1H), 8.38 (s, 1H), 8.08 (d, J = 4.1 Hz, 1H), 7.89 (s, 1H), 7.88 (s, 1H), 4.68 (t, J = 6.8 Hz, 1H), 3.59 (d, J = 6.6 Hz, 1H), 2.86 (d, J = 7.4 Hz, 1H), 2.08 (s, 1H), 2.02 (d, J = 12.2 Hz, 3H), 1.78 - 1.74 (m, 2H), 1.49 (m, 4H).
실시예 64: (2 S ,3 S )-3-((5-플루오로-2-(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42
단계 1: 7-요오도-5 H -피롤로[2,3- b ]피라진
2-메틸테트라하이드로퓨란(8 mL) 중 5H-피롤로[2,3-b]피라진(500 mg, 4.20 mmol)의 용액에 NIS(1.13 g, 5.04 mmol)를 첨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나트륨 티오설페이트(50 mL)를 첨가하여 반응을 급랭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분배하였다. 수성 층을 EtOAc(50 mL x 2)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 → 4/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965 mg, 94%).
MS (ESI, 양이온) m/z: 246.0 [M+H]+;
1H NMR (600 MHz, DMSO-d 6 ) δ (ppm) 12.51 (s, 1H), 8.46 (d, J = 2.5 Hz, 1H), 8.29 (d, J = 2.5 Hz, 1H), 8.11 (d, J = 2.5 Hz, 1H).
단계 2: 7-요오도-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
DMF(8 mL) 중 7-요오도-5H-피롤로[2,3-b]피라진(937 mg, 3.82 mmol)의 교반된 0℃ 용액에 NaH(60%, 185 mg, 4.59 mmol)를 천천히 첨가하고, 이어서 트라이페닐클로로메탄(1.18 g, 4.21 mmol)을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물(10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50 mL x 3)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A(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55 g, 83%).
1H NMR (400 MHz, CDCl3) δ(ppm): 8.40 (d, J = 2.5 Hz, 1H), 7.98 (d, J = 2.5 Hz, 1H), 7.65 (s, 1H), 7.34 - 7.29 (m, 10H), 7.20 - 7.17 (m, 5H).
단계 3: 7 -(4,4,5,5- 테트라메틸 -1,3,2- 다이옥사보롤란 -2-일)-5- 트라이틸 -5 H -피롤로[2,3- b ]피라진
THF(10 mL) 중 7-요오도-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500 mg, 1.03 mmol) 및 이소프로폭시보론산 피나콜 에스터(250 mg, 1.33 mmol)의 용액을 -27℃까지 냉각하고, 질소 보호 하에 교반하고, 이어서 이소프로필마그네슘 클로라이드 용액(2 M, 0.70 mL)을 천천히 적가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10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10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83 mg, 77%).
MS (ESI, 양이온) m/z: 488.3 [M+H]+.
단계 4: (2 S ,3 S )-에틸 3-((5-플루오로-6-(티오펜-2-일)-2-(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8 mL) 및 H2O(1 mL)의 혼합된 용매에 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118 mg, 0.29 mmol), 칼륨 카보네이트(91 mg, 0.66 mmol), PdCl2(dppf)(35 mg, 0.04 mmol) 및 (2S,8S)-에틸 3-((2-브로모-5-플루오로-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00 mg, 0.22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혼합물을 마이크로파 가열에 의해 11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37 mg, 85%).
1H NMR (400 MHz, CDCl3) δ (ppm): 8.53 (d, J = 2.5 Hz, 1H), 8.42 (s, 1H), 7.97 (d, J = 2.4 Hz, 1H), 7.92 (d, J = 2.7 Hz, 1H), 7.55 (d, J = 4.2 Hz, 1H), 7.32 - 7.29 (m, 10H), 7.24 (dd, J = 6.9, 2.9 Hz, 6H), 5.10 (d, J = 5.9 Hz, 1H), 4.59 (t, J = 7.2 Hz, 1H), 4.18 - 4.08 (m, 2H), 2.34 (d, J = 7.4 Hz, 1H), 2.04 (s, 1H), 1.74- 1.62 (m, 9H), 1.16 (t, J = 7.1 Hz, 3H).
단계 5: ( 2 S ,3 S )-에틸 3- ((5-플루오로-2-(5 H -피롤로 [2,3- b ] 피라진 -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5 mL) 중 (2S,3S)-에틸 3-((5-플루오로-6-(티오펜-2-일)-2-(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88 mg, 0.26 mmol)의 용액에 Et3SiH(0.41 mL, 2.56 mmol) 및 TFA(0.19 mL, 2.56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을 중단시키고,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50 mL)에 첨가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6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26 mg, 100%).
MS (ESI, 양이온) m/z: 493.1 [M+H]+.
단계 6: (2 S ,3 S )-3-((5-플루오로-2-(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5 mL/5 mL) 중 (2S,3S)-에틸 3-((5-플루오로-2-(5H-피롤로[2,3-b]피라진-7-일)-6-(티오펜-2-일)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80 mg, 0.37 mmol)의 용액에 물(2 mL) 중 NaOH(146 mg, 3.65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 → 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58 mg, 34%).
MS (ESI, 양이온) m/z: 465.1 [M+H]+;
HRMS (ESI, 양이온) m/z: 465.1495, (C23H22FN6O2S)[M+H]+ 이론적인 값: 465.1509;
1H NMR (400 MHz, DMSO-d 6 ) δ (ppm): 12.58 (s, 1H), 8.55 (d, J = 2.4 Hz, 1H), 8.40 (s, 1H), 8.29 (d, J = 2.4 Hz, 1H), 7.88 (d, J = 3.4 Hz, 1H), 7.83 (d, J = 5.0 Hz, 1H), 7.60 (d, J = 6.3 Hz, 1H), 7.31 - 7.25 (m, 1H), 4.65 (t, J = 6.4 Hz, 1H), 2.83 (d, J = 6.6 Hz, 1H), 2.09 (s, 1H), 2.00 (s, 1H), 1.82 - 1.29 (m, 8H);
13C NMR (151 MHz, DMSO-d 6 ) δ (ppm): 156.39, 156.34, 152.48, 152.41, 142.35, 140.42, 140.30, 140.25, 139.88, 138.68, 138.56, 138.51, 137.52, 137.28, 133.39, 130.40, 130.37, 129.63, 129.56, 128.93, 114.29, 51.45, 48.19, 28.86, 28.57, 25.95, 24.12, 21.73, 19.59.
실시예 65: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1,3-다이플루오로프로판-2-일)-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43
단계 1: 2,4-다이클로로-7-(1,3-다이플루오로프로판-2-일)-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
DCM(30 mL)에 2,4-다이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1.00 g, 5.32 mmol), 트라이페닐포스핀(2.09 g, 7.98 mmol) 및 1,3-다이플루오로프로판-2-올(0.62 g, 6.38 mmo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까지 냉각하고, 이어서 DIAD(1.61 g, 7.98 mmol)를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하였다. 첨가 후, 생성된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물(5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DCM(5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08 g, 76%).
MS (ESI, 양이온) m/z: 266.1 [M+H]+.
단계 2: (2 S ,3 S )-에틸 3-((2-클로로-7-(1,3-다이플루오로프로판-2-일)-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20 mL)에 2,4-다이클로로-7-(1,3-다이플루오로프로판-2-일)-7H-피롤로[2,3-d]피리미딘(1.08 g, 4.06 mmol), 칼륨 카보네이트(1.68 g, 12.20 mmol),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1.24 g, 5.28 mmol)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8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이 완료된 후,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2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62 g, 93%).
MS (ESI, 양이온) m/z: 427.1 [M+H]+.
단계 3: (2 S ,3 S )-에틸 3-((2-브로모-7-(1,3-다이플루오로프로판-2-일)-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10 mL, 40 mmol, 33%)에 (2S,3S)-에틸 3-((2-클로로-7-(1,3-다이플루오로프로판-2-일)-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20 mg, 0.75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2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20 mL x 3) 및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16 mg, 89%).
단계 4: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1,3-다이플루오로프로판-2-일)-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6 mL) 및 H2O(0.6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00 mg, 0.80 mmol, 60%), 칼륨 카보네이트(370 mg, 2.68 mmol), Pd(dppf)Cl2(98 mg, 0.13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7-(1,3-다이플루오로프로판-2-일)-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16 mg, 0.67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셀라이트 패드를 통해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350 mg, 66%).
단계 5: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1,3-다이플루오로프로판-2-일)-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10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7-(1,3-다이플루오로프로판-2-일)-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350 mg, 0.44 mmol)의 용액에 트라이메틸실릴아세틸렌(0.73 g, 6.26 mmo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1.53 g, 13.4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칼륨 카보네이트를 pH 약 7 내지 8까지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2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5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4/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50 mg, 99%).
단계 6: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1,3-다이플루오로프로판-2-일)-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8 mL/4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7-(1,3-다이플루오로프로판-2-일)-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40 mg, 0.44 mmol)의 용액에 물(2 mL) 중 NaOH(55 mg, 1.31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 내지 7까지 조정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60 mg, 26%).
LC-MS (ESI, 양이온) m/z: 516.3[M+H]+;
HRMS (ESI, 양이온) m/z: 516.1736, (C24H25ClF2N7O2)[M+H]+ 이론적인 값: 516.1726;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2.60 (s, 1H), 8.52 (s, 1H), 8.34 (s, 1H), 7.31 (d, J = 6.4 Hz, 1H), 7.25 (d, J = 3.1 Hz, 1H), 6.70 (d, J = 2.8 Hz, 1H), 5.34- 5.25 (m, 1H), 5.17 - 5.10 (m, 1H), 5.06 - 4.99 (m, 2H), 4.92 (s, 1H), 4.74 (s, 1H), 2.68 (d, J = 6.4 Hz, 1H), 2.14 (s, 1H), 2.02 - 1.89 (m, 3H), 1.74 (m, 2H), 1.64- 1.48 (m, 4H).
실시예 66: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이소부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44
단계 1: 2,4-다이클로로-7-이소부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
2,4-다이클로로-7H-피롤로[2,3-d]피리미딘(1.00 g, 5.32 mmol)을 DMF(20 mL)에 용해시켰다. 용액을 0℃까지 냉각하고, 나트륨 하이드라이드(0.43 g, 10.60 mmol, 60%)를 용액에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0℃에서 0.5시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이소부틸 요오다이드(1.47 g, 7.98 mmol)를 혼합물에 천천히 적가하였다. 첨가 후, 혼합물을 실온으로 가온하고,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염산(1 M, 10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5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3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0.70 g, 53%).
MS (ESI, 양이온) m/z: 244.1 [M+H]+.
단계 2: (2 S ,3 S )-에틸 3-((2-클로로-7-이소부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DMF(15 mL)에 2,4-다이클로로-7-이소부틸-7H-피롤로[2,3-d]피리미딘(0.70 g, 2.86 mmol), 칼륨 카보네이트(1.20 g, 8.60 mmol), (2S,3S)-에틸 3-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하이드로클로라이드(0.87 g,3.73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80℃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물(4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10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5/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엷은 색의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10 g, 94%).
MS (ESI, 양이온) m/z: 405.1 [M+H]+.
단계 3: (2 S ,3 S )-에틸 3-((2-브로모-7-이소부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아세트산 중 브롬화수소산의 용액(10 mL, 60 mmol, 33%)에 (2S,3S)-에틸 3-((2-클로로-7-이소부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39 mg, 0.59 mmol)를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물(30 mL)에 첨가하고,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수성 나트륨 바이카보네이트(80 mL) 및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하고, 진공 중에 농축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13 mg, 95%).
MS (ESI, 양이온) m/z: 451.2 [M+H]+.
단계 4: (2 S ,3 S )-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이소부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1,4-다이옥산(6 mL) 및 H2O(0.6 mL)의 혼합된 용매에 2-클로로-7-(4,4,5,5-테트라메틸-1,3,2-다이옥사보롤란-2-일)-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488 mg, 0.56 mmol, 60%), 칼륨 카보네이트(260 mg, 1.89 mmol), Pd(dppf)Cl2(70 mg, 0.95 mmol) 및 (2S,3S)-에틸 3-((2-브로모-7-이소부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00 mg, 0.49 mmol)를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발포시킴으로써, 혼합물 내의 공기를 질소로 교환하였다. 밀봉-관 내의 혼합물을 120℃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여과하여 고체 불순물을 제거하고, 용매를 제거하였다.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연황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270 mg, 74%).
단계 5: (2 S ,3 S )-에틸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이소부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
다이클로로메탄(10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트라이틸-5H-피롤로[2,3-b]피라진-7-일)-7-이소부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270 mg, 0.35 mmol)의 용액에 트라이메틸실릴아세틸렌(0.73 g, 6.26 mmol) 및 트라이플루오로아세트산(1.53 g, 13.46 mmol)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포화 수성 칼륨 카보네이트로 pH 약 7 내지 8까지 조정하였다. 생성된 혼합물을 다이클로로메탄(30 mL x 3)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2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PE/EtOAc(v/v) = 4/1)로 정제하여 연황색 고체를 수득하였다(144 mg, 78%).
MS (ESI, 양이온) m/z: 522.3[M+H]+.
단계 6: (2 S ,3 S )-3-((2-(2-클로로-5 H -피롤로[2,3- b ]피라진-7-일)-7-이소부틸-7 H -피롤로[2,3- d ]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산
THF/MeOH(v/v = 8 mL/4 mL) 중 (2S,3S)-에틸 3-((2-(2-클로로-5H-피롤로[2,3-b]피라진-7-일)-7-이소부틸-7H-피롤로[2,3-d]피리미딘-4-일)아미노)바이사이클로[2.2.2]옥탄-2-카복실레이트(144 mg, 0.27 mmol)의 용액에 물(2 mL) 중 NaOH(110 mg, 2.70 mmol)의 용액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물(30 mL)을 반응 혼합물에 첨가하고, 혼합물을 염산(1 M)으로 pH 약 6까지 산성화시켰다. 생성된 혼합물을 EtOAc(30 mL x 3)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포화 염수(80 mL)로 세척하고, 무수 나트륨 설페이트 상에서 건조하고, 여과하였다. 여액을 진공 중에 농축하여 용매를 제거하고, 잔사를 실리카 겔 컬럼 크로마토그래피(DCM/MeOH(v/v) = 10/1)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120 mg, 88%).
MS (ESI, 양이온) m/z: 494.1[M+H]+;
HRMS (ESI, 양이온) m/z: 494.2077, (C25H29ClN7O2)[M+H]+ 이론적인 값: 494.2071;
1H NMR (400 MHz, DMSO-d 6) δ (ppm): 12.64 (s, 1H), 12.27 (s, 1H), 8.52 (s, 1H), 8.36 (s, 1H), 7.14 (s, 1H), 6.68 (s, 1H), 4.72 (s, 1H), 4.02 (d, J = 6.3 Hz, 2H), 2.73 (s, 1H), 2.34- 2.25 (m, 1H), 2.14 (s, 1H), 2.05 - 1.90 (m, 3H), 1.78 (m, 3H), 1.57 (m, 3H), 0.89 (dd, J = 5.7, 3.1 Hz, 6H).
생물학적 검정의 실시예
본 발명의 화합물 중 일부를 예로서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자들은 하기 실시예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항바이러스 및 세포독성 활성 및 약동학적 특성을 검출하였다.
실시예 A: 세포변성 효과 검정(CPE 검정)
시험관내 세포 수준에 관해, 바이러스 H1N1 A/웨이스(Weiss)/43에 의해 유발된 세포변성 효과(CPE)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대조군 화합물 A(화합물 A는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됨)의 억제 효과의 검출.
Figure 112019071341718-pct00145
대조군 화합물 A
계획: MDCK 세포(마딘-다비(Madin-Daby) 개 신장 세포)를 384-웰 플레이트에 웰 당 2,000 세포로 시딩하고, 5% CO2 조건 하에 37℃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다음 날, 세포 배양 매질에 적절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 및 다양한 감염의 바이러스 H1N1 A/웨이스/43을 함유하는 신선한 매질을 채워 80 내지 95% CPE를 수득하였다(또는 역가는 1 TCID90/웰였음). 시험 화합물의 상부 최종 농도는 50 μM였고, 이어서 50 nM, 16.67 nM, 5.56 nM, 1.85 nM, 0.62 nM, 0.21 nM, 0.069 nM, 0.023 nM의 총 8개의 농도를 위해 연속적으로 3-배만큼 희석되었다. 세포독성 시험 군의 시험 조건은, 세포독성 시험 군의 세포 배양 매질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한 바와 동일하였다. 약물이 없는 바이러스 대조군, 및 약물이 없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세포 대조군을 동시에 준비하였다. 각각의 군을 중복되게 준비하고, 5% CO2 조건 하에 5일 동안 37℃에서 항온처리하였다. CCK-8 키트를 사용하여 세포 활성을 검출하고, 데이터를 사용하여 화합물의 바이러스-감염된 세포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 및 세포독성을 계산하였다. 그래프패드 프리즘(GraphPad Prism)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CPE 억제 비 및 세포 생존 비를 계산하였다. EC50 및 CC50 값은 곡선 정합에 따라 수득하였다.
CPE 억제 비 = (투약 웰의 흡광도 - 바이러스 대조군 웰의 흡광도) / (세포 대조군 웰의 흡광도 - 바이러스 대조군 웰의 흡광도) x 100%
세포 생존 비 = (투약 웰의 흡광도 - 매질 대조군 웰의 흡광도) / (세포 대조군 웰의 흡광도 - 매질 대조군 웰의 흡광도) x 100%
표 1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웨이스/43(H1N1))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일부의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표 1]
인플루엔자 바이러스(A/웨이스/43(H1N1))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일부의 억제 활성
Figure 112019071341718-pct00146
표 1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양호한 항-인플루엔자 바이러스 활성을 가짐을 나타낸다.
실시예 B: 정맥내 또는 경구에 의한 소정량의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 후 약동학적 평가
SD 래트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대조군 화합물 A(화합물 A는 국제 공개공보 제2015/073491호에 개시된 합성 방법에 따라 제조됨)의 약동학적 특징을 평가하였다. 본원에 개시된 화합물을 5% DMSO, 5% 콜리포르(Kolliphor) HS 15 및 90% 염수를 함유하는 염수 용액의 형태로 투여하였다. 정맥내 투여(iv)를 위하여, 동물에게 1 mg/kg의 복용량으로 투여하고, 혈액 샘플(0.3 mL)을 약물 투여 후 0.083, 0.25, 0.5, 1.0, 2.0, 5.0, 7.0 및 24시간의 시점에 수집하고, 이어서 각각의 혈액 샘플을 3,000 rpm 또는 4,000 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함으로써 처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경구 투여(po)의 경우, 동물에게 5 mg/kg의 복용량으로 투여하고, 혈액 샘플(0.3 mL)을 0.25, 0.5, 1.0, 2.0, 5.0, 7.0 및 24시간의 시점에 수집하고, 이어서 각각의 혈액 샘플을 3,000 rpm 또는 4,000 rpm으로 10분 동안 원심분리함으로써 처리하여 혈장을 분리하였다. 혈장 샘플을 수집하고, LC/MS/MS 분석시까지 -20 또는 -70℃로 저장하였다.
Figure 112019071341718-pct00147
대조군 화합물 A
[표 2]
SD 래트의 생체 내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일부의 약동학적 데이터
Figure 112019071341718-pct00148
표 2는 SD 래트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AUClast 및 AUCINF가, 대조군 화합물 A와 비교하여, 정맥내 투여 및 경구 투여 둘 다에 대해 높음을 나타낸다. 이는 본 발명의 화합물이 높은 노출 수준 및 양호한 흡수를 갖고, 본 발명의 화합물이, 대조군 화합물 A와 비교하여, 양호한 약동학적 특성을 가짐을 나타낸다.
실시예 C: 세포변성 효과 검정(CPE 검정)
시험관내 세포 수준에 관해,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B/리(Lee)/40에 의해 유발된 세포변성 효과(CPE)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 및 대조군 화합물 JNJ-872의 억제 효과의 검출.
실험 과정: MDCK 세포(마딘-다비 개 신장 세포)를 384-웰 플레이트에 웰 당 6,000 세포로 시딩하고, 5% CO2 조건 하에 37℃에서 밤새 배양하였다. 다음 날, 세포 배양 매질을 적절한 농도의 시험 화합물 및 바이러스 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B/리/40을 함유하는 신선한 매질로 교환하였다(역가는 30 TCID50/웰였음). 시험 화합물의 최고 시험 농도는 50 μM였고, 이어서 총 11개의 농도를 위해 연속적으로 3-배만큼 희석되었다. 세포독성 시험 군은, 세포독성 시험 군의 세포 배양 매질이 인플루엔자 바이러스를 함유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전술한 시험 조건과 동일하였고, 약물이 없는 바이러스 대조군, 및 약물이 없는 바이러스에 감염되지 않은 세포 대조군을 동시에 준비하였다. 각각의 군을 중복되게 준비하고, 5% CO2 조건 하에 3일 동안 37℃에서 항온처리하였다. 프로메가 셀티터 셀 바이어빌러티(Promega CellTiter Cell Viability) 키트를 사용하여 세포 활성을 검출하고, 데이터를 사용하여 화합물의 바이러스-감염된 세포에 대한 항바이러스 효과 및 세포독성을 계산하였다. 그래프패드 프리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CPE 억제 비 및 세포 생존 비를 계산하였다. EC50 값은 곡선 정합에 따라 수득하였다.
CPE 억제 비 = (투약 웰의 평균 검출 값 - 바이러스 대조군 웰의 평균 검출 값) / (세포 대조군 웰의 평균 검출 값 - 바이러스 대조군 웰의 평균 검출 값) x 100%
세포 생존 비 = 투약 웰의 평균 검출 값 / 세포 대조군 웰의 평균 검출 값 x 100%
Figure 112019071341718-pct00149
대조군 화합물 JNJ-872
표 3은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B/리/40)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일부의 억제 활성을 나타낸다.
[표 3]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B/리/40)에 대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일부의 억제 활성
Figure 112019071341718-pct00150
표 3은 본 발명의 화합물이 양호한 항-인플루엔자 B 바이러스 활성을 가짐을 나타낸다.
본원 전반에 걸쳐 "양태", "일부 양태", "하나의 양태", "다른 예", "예", "구체적인 예" 또는 "일부 예"에 대한 언급은 상기 양태 또는 예와 관련하여 기술된 구체적인 특징, 구조, 물질 또는 특성이 본 개시내용의 하나 이상의 양태 또는 예에 포함됨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다양한 위치에서 "일부 양태에서", "한 양태에서", "양태에서", "다른 예에서", "예에서", "특정 예에서" 또는 "일부 예에서"와 같은 어구의 출현은 본 개시내용의 동일한 양태 또는 예를 필수적으로 지칭하지는 않는다. 또한, 구체적인 특징, 구조, 물질 또는 특성은 하나 이상의 양태 또는 예에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설명적인 양태 또는 예가 제시되고 기술되었지만, 상기 양태 또는 예가 본 개시내용을 제한하는 것으로 간주될 수 없고, 본 개시내용의 사상, 원리 및 범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양태에서 변화, 변경 또는 변형이 수행될 수 있음이 인정될 것이다.

Claims (30)

  1. 하기 화학식 I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화학식 I]
    Figure 112023036842518-pct00174

    상기 식에서,
    각각의 R1, R2 및 R3은 독립적으로 H, D, F, Cl, Br, CN, NO2, C1-6 알킬, C2-6 알켄일 또는 C2-6 알킨일이고;
    R4는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C6-10 아릴 또는 5- 내지 16-원 헤테로아릴이고, 이때 각각의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C6-10 아릴 및 5- 내지 16-원 헤테로아릴은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5는 H, D, F, Cl, Br, CN, NO2, C1-6 알킬, C2-6 알켄일 또는 C2-6 알킨일이거나;
    R4 및 R5는, 이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6-10 방향족 고리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이때 각각의 C6-10 방향족 고리 및 5- 내지 10-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는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각각의 R'는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Rb, -NRcRd, RbO-C1-4 알킬렌, RdRcN-C1-4 알킬렌, Ra-C(=O)-O-C1-4 알킬렌-O-C1-4 알킬렌, RbO-C(=O)-O-C1-4 알킬렌-O-C1-4 알킬렌, -C(=O)Ra, -C(=O)ORb, -C(=O)NRcRd, C1-12 알킬, C1-6 할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C1-4 알킬렌,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고;
    R6은 H, D 또는 C1-6 알킬이고;
    W는 하기 하위-화학식 중 하나이고
    Figure 112023036842518-pct00175
    (상기 식에서, n은 0, 1, 2, 3 또는 4이다);
    각각의 Rw는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 -C(=O)Ra, -C(=O)ORb, -C(=O)-O-C1-4 알킬렌-O-C(=O)-ORb, C1-6 알킬, 5- 또는 6-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이고;
    각각의 Ra, Rb, Rc 및 Rd는 독립적으로 H, D, 하이드록시, C1-6 할로알킬, C1-6 알킬, n-헵틸, C1-6 알콕시, C2-6 알켄일, C2-6 알킨일, C3-6 카보사이클릴, C3-6 카보사이클릴-C1-4 알킬렌,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 (3- 내지 12-원 헤테로사이클릴)-C1-4 알킬렌, C6-10 아릴, C6-10 아릴-C1-4 알킬렌,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I의 화합물:
    [화학식 II]
    Figure 112023036842518-pct00176

    상기 식에서,
    A는 C6-10 방향족 고리 또는 5- 내지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이고;
    q는 0, 1, 2, 3, 4 또는 5이다.
  3. 제2항에 있어서,
    A가 벤젠, 나프탈렌, 퓨란, 피롤, 피리딘, 피라졸, 이미다졸, 트라이아졸, 테트라졸, 옥사졸, 옥사다이아졸, 1,3,5-트라이아진, 티아졸, 티오펜, 피라진, 피리다진 또는 피리미딘인, 화합물.
  4. 제1항에 있어서,
    R4가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C6-10 아릴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이고, 이때 각각의 5- 내지 8-원 헤테로사이클릴, C6-10 아릴 및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이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5가 H, D, F, Cl, Br, CN, NO2, C1-3 알킬, C2-4 알켄일 또는 C2-4 알킨일이거나;
    R4 및 R5가, 이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C6-10 방향족 고리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를 형성하고, 이때 각각의 C6-10 방향족 고리 및 5- 또는 6-원 헤테로방향족 고리가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화합물.
  5. 제1항에 있어서,
    R4가 피롤리딘일, 피라졸리딘일, 이미다졸리딘일, 테트라하이드로퓨릴, 테트라하이드로티엔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피페리딘일, 모폴린일, 티오모폴린일, 피페라진일, 페닐, 나프틸, 퓨릴, 벤조퓨릴, 피롤릴, 피리딜,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아다이아졸릴, 티엔일, 벤조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딘일, 인돌일, 퓨린일, 퀴놀릴, 이소퀴놀릴, 페녹사티인일,
    Figure 112023036842518-pct00177
    이고, 이때 각각의 피롤리딘일, 피라졸리딘일, 이미다졸리딘일, 테트라하이드로퓨릴, 테트라하이드로티엔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오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이소퀴놀릴, 피페리딘일, 모폴린일, 티오모폴린일, 피페라진일, 페닐, 나프틸, 퓨릴, 벤조퓨릴, 피롤릴, 피리딜,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아다이아졸릴, 티엔일, 벤조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딘일, 인돌일, 퓨린일, 퀴놀릴, 이소퀴놀릴, 페녹사티인일,
    Figure 112023036842518-pct00178
    가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고;
    R5가 H, D, F, Cl, Br, CN, NO2, 메틸, 에틸 또는 i-프로필이거나;
    R4 및 R5가, 이들이 부착된 탄소 원자와 함께, 벤젠, 나프탈렌, 퓨란, 벤조퓨란, 피롤, 피리딘, 피라졸,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라이아졸, 테트라졸, 옥사졸, 옥사다이아졸, 1,3,5-트라이아진, 티아졸, 티오펜, 벤조티오펜, 피라진, 피리다진, 피리미딘, 인돌, 퓨린, 퀴놀린 또는 이소퀴놀린을 형성하고, 이때 각각의 벤젠, 나프탈렌, 퓨란, 벤조퓨란, 피롤, 피리딘, 피라졸, 이미다졸, 벤즈이미다졸, 트라이아졸, 테트라졸, 옥사졸, 옥사다이아졸, 1,3,5-트라이아진, 티아졸, 티오펜, 벤조티오펜, 피라진, 피리다진, 피리미딘, 인돌, 퓨린, 퀴놀린 및 이소퀴놀린이 독립적으로 1, 2, 3, 4 또는 5개의 R'로 치환되거나 비치환되는,
    화합물.
  6.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R1, R2 및 R3이 독립적으로 H, D, F, Cl, Br, CN, NO2,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i-프로필인, 화합물.
  7.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R'가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Rb, -NRcRd, Ra-C(=O)-O-C1-2 알킬렌-O-C1-2 알킬렌, RbO-C(=O)-O-C1-2 알킬렌-O-C1-2 알킬렌, -C(=O)Ra, -C(=O)ORb, -C(=O)NRcRd, C1-9 알킬, C1-3 할로알킬, C3-6 사이클로알킬,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페닐, 페닐-C1-2 알킬렌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인, 화합물.
  8.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R'가 독립적으로 D, F, Cl, Br, CN, NO2, ORb, -NRcRd,
    Figure 112023036842518-pct00179
    , -C(=O)Ra, -C(=O)ORb, -C(=O)NRcRd,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n-부틸, i-부틸, t-부틸,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다이플루오로메틸, 모노플루오로메틸, 2,2-다이플루오로에틸, 1,2-다이플루오로에틸, 트라이플루오로에틸, 1-플루오로에틸, 2-플루오로에틸, 사이클로프로필, 테트라하이드로퓨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엔일, 테트라하이드로피란일, 테트라하이드로티아피란일, 피페리딜, 모폴린일, 티오모폴린일, 피페라진일, 페닐, 페닐-C1-2 알킬렌, 퓨릴, 벤조퓨란일, 피롤릴, 피리딘일,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벤즈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엔일, 벤조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또는 피리미딘일인, 화합물.
  9. 제1항에 있어서,
    R6이 H, D, 메틸, 에틸, n-프로필 또는 i-프로필인, 화합물.
  10. 제1항에 있어서,
    Rw가 D, F, Cl, Br, CN, NO2, =O, -C(=O)OCH3, -C(=O)OCH2CH3, -C(=O)OCH2CH2CH2CH3, -C(=O)O(CH2)6CH3, -C(=O)OH,
    Figure 112023036842518-pct00180
    , 메틸, 에틸, n-프로필, i-프로필, 퓨릴, 피롤릴, 피리딜, 피라졸릴, 이미다졸릴, 트라이아졸릴, 테트라졸릴, 옥사졸릴, 옥사다이아졸릴, 1,3,5-트라이아진일, 티아졸릴, 티엔일, 피라진일, 피리다진일, 피리미딜 또는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인, 화합물.
  11.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Ra, Rb, Rc 및 Rd가 독립적으로 H, D, 하이드록시, 트라이플루오로메틸, 메틸, 에틸, i-프로필, n-프로필, n-부틸, t-부틸, n-펜틸, n-헥실, n-헵틸, 메톡시, 에톡시, C3-6 카보사이클릴, 5- 또는 6-원 헤테로사이클릴, 페닐,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아릴)-C1-4 알킬렌인, 화합물.
  1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III, IV, V, VI, IX 또는 X의 화합물:
    Figure 112023036842518-pct00181

    상기 식에서,
    A는 C6-10 방향족 고리 또는 5- 내지 10-원 헤테로방향족 고리이고;
    q는 0, 1, 2, 3, 4 또는 5이다.
  13. 제1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XI, XII, XIII 또는 XIV의 화합물:
    Figure 112023036842518-pct00182
    .
  14.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중 하나의 화합물, 또는 이의 입체 이성질체, 호변 이성질체, N-옥사이드, 용매화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Figure 112023036842518-pct00183

    Figure 112023036842518-pct00184

    Figure 112023036842518-pct00185

    Figure 112023036842518-pct00186

    Figure 112023036842518-pct00187

    Figure 112023036842518-pct00188

    Figure 112023036842518-pct00189

    Figure 112023036842518-pct00190

    Figure 112023036842518-pct00191

    Figure 112023036842518-pct00192

    Figure 112023036842518-pct00193

    Figure 112023036842518-pct00194
    .
  15. 대상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인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발된 질환 또는 질병을 예방하거나 관리하거나 치료하거나 완화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효과량의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부형제, 비히클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하는 약학 조성물.
  16.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대상에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인 바이러스 감염에 의해 유발된 질환 또는 질병을 예방하거나 관리하거나 치료하거나 완화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17.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RNA 중합효소를 억제하는 데 사용하기 위한, 화합물.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24. 삭제
  25. 삭제
  26. 삭제
  27. 삭제
  28. 삭제
  29. 삭제
  30. 삭제
KR1020197020318A 2016-12-15 2017-12-14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복제의 억제제 및 이의 용도 KR1025540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1611158754.5 2016-12-15
CN201611158754 2016-12-15
PCT/CN2017/116154 WO2018108125A1 (en) 2016-12-15 2017-12-14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 replication and uses thereof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2545A KR20190092545A (ko) 2019-08-07
KR102554019B1 true KR102554019B1 (ko) 2023-07-11

Family

ID=625580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20318A KR102554019B1 (ko) 2016-12-15 2017-12-14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복제의 억제제 및 이의 용도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0987354B2 (ko)
EP (1) EP3555095B1 (ko)
JP (1) JP7034162B2 (ko)
KR (1) KR102554019B1 (ko)
CN (1) CN108218873B (ko)
AU (1) AU2017376541B2 (ko)
CA (1) CA3045371C (ko)
WO (1) WO20181081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PE20181516A1 (es) 2015-12-15 2018-09-21 Shionogi & Co Medicamento para tratar la gripe caracterizado por combinar un inhibidor de endonucleasa dependiente de cap y un farmaco antigripal
US11098042B2 (en) 2017-01-05 2021-08-24 Sunshine Lake Pharma Co., Ltd.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 replication and uses thereof
WO2018157830A1 (en) 2017-03-02 2018-09-07 Sunshine Lake Pharma Co., Ltd.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 replication and uses thereof
CN109384783A (zh) * 2017-08-09 2019-02-26 银杏树药业(苏州)有限公司 新型杂环化合物及其作为抗流感病毒抑制剂的医药用途
CN111665297B (zh) * 2019-03-05 2024-04-26 广东东阳光药业股份有限公司 一种Baloxavir marboxil光学异构体的分离检测方法
CN110013483B (zh) * 2019-05-10 2022-04-15 江苏师范大学 噻唑并[3,2-a]嘧啶-6-甲腈衍生物用于抗菌的用途
CN110305091B (zh) * 2019-06-19 2021-05-18 江苏理工学院 一种巴洛沙韦中间体化合物的制备方法
CN112684028B (zh) * 2020-12-04 2022-05-17 中山奕安泰医药科技有限公司 一种2-(2-氯-1-亚乙基)酰肼甲酸甲酯纯度的检测方法
CN113603693B (zh) * 2021-07-13 2022-08-26 陕西丽彩药业有限公司 一种2-溴-5-对甲苯磺酰基-5H-吡咯并[2,3-b]吡嗪的制备方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0738A (ja) 2004-11-22 2008-06-19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ロテインキナーゼの阻害剤として有用なピロロピラジンおよびピラゾロピラジン
JP2012530713A (ja) 2009-06-17 2012-12-06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複製の阻害剤
WO2013184985A1 (en) 2012-06-08 2013-12-12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es replication
JP2016537347A (ja) 2013-11-13 2016-12-01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アザインドール化合物の製剤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492381A (zh) 2010-12-16 2014-01-01 沃泰克斯药物股份有限公司 流感病毒复制的抑制剂
WO2012083121A1 (en) 2010-12-16 2012-06-21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es replication
CA2822062A1 (en) 2010-12-16 2012-06-21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es replication
UA118010C2 (uk) 2011-08-01 2018-11-12 Вертекс Фармасьютікалз Інкорпорейтед Інгібітори реплікації вірусів грипу
SI3421468T1 (sl) 2013-11-13 2021-03-31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Postopki za pripravo inhibitorjev replikacije virusov influence
EP3177609A1 (en) 2014-08-08 2017-06-14 Janssen Sciences Ireland UC Indoles for use in influenza virus infection
KR102531340B1 (ko) 2014-09-08 2023-05-10 얀센 사이언시즈 아일랜드 언리미티드 컴퍼니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 사용하기 위한 피롤로피리미딘
EP3294717B1 (en) 2015-05-13 2020-07-29 Vertex Pharmaceuticals Inc. Methods of preparing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es replication
KR20180087290A (ko) 2015-11-27 2018-08-01 얀센 사이언시즈 아일랜드 유씨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감염에서 사용하기 위한 복소환식 인돌
SG11201804225PA (en) 2015-12-09 2018-06-28 Sunshine Lake Pharma Co Ltd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 replication, application methods and uses thereof
US10526338B2 (en) 2016-01-07 2020-01-07 Janssen Sciences Ireland Uc Functionalized pentanoic acids for use influenza viral infections
DK3405466T3 (da) 2016-01-20 2021-02-01 Janssen Sciences Ireland Unlimited Co Arylsubstituerede pyrimidiner til anvendelse ved influenzavirusinfektion
WO2017133664A1 (en) 2016-02-05 2017-08-10 Savira Pharmaceuticals Gmbh Bicyclic pyridine and pyrim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amelioration or prevention of influenza
WO2017133670A1 (en) 2016-02-05 2017-08-10 Savira Pharmaceuticals Gmbh Pyridine and pyrim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treatment, amelioration or prevention of influenza
WO2017133667A1 (en) 2016-02-05 2017-08-10 Savira Pharmaceuticals Gmbh Pyrimidine and pyridine derivatives and use in treatment, amelioration or prevention of influenza thereof
WO2017133669A1 (en) 2016-02-05 2017-08-10 Savira Pharmaceuticals Gmbh 5, 7-diazaindole and 5, 7-diazaindazol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amelioration or prevention of influenza
WO2017133665A1 (en) 2016-02-05 2017-08-10 Savira Pharmaceuticals Gmbh 6,7-diazaindazole and 6,7-diazaindole derivatives and use in treatment, amelioration or prevention of influenza thereof
WO2017133658A1 (en) 2016-02-05 2017-08-10 Savira Pharmaceuticals Gmbh 4, 7-diazaindole and 4, 7-diazaindazol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the treatment, amelioration or prevention of influenza
WO2017133657A1 (en) 2016-02-05 2017-08-10 Savira Pharmaceuticals Gmbh Pyridine and pyrimidine derivatives and their use in treatment, amelioration or prevention of influenza
WO2017198122A1 (zh) 2016-05-19 2017-11-23 四川大学 抗流感小分子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用途
WO2018033082A1 (en) 2016-08-16 2018-02-22 Sunshine Lake Pharma Co., Ltd.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 replication, application methods and uses thereof
WO2018041091A1 (en) 2016-08-30 2018-03-08 Sunshine Lake Pharma Co., Ltd.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 replication, application methods and uses thereof
MX2019002541A (es) 2016-09-05 2019-07-01 Guangdong Raynovent Biotech Co Ltd Derivados de pirimidina contra virus de la influenza.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520738A (ja) 2004-11-22 2008-06-19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プロテインキナーゼの阻害剤として有用なピロロピラジンおよびピラゾロピラジン
JP2012530713A (ja) 2009-06-17 2012-12-06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インフルエンザウイルス複製の阻害剤
WO2013184985A1 (en) 2012-06-08 2013-12-12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es replication
JP2016537347A (ja) 2013-11-13 2016-12-01 バーテックス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アザインドール化合物の製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3045371C (en) 2024-05-14
EP3555095B1 (en) 2023-04-12
WO2018108125A1 (en) 2018-06-21
JP7034162B2 (ja) 2022-03-11
JP2020513415A (ja) 2020-05-14
EP3555095A4 (en) 2020-07-01
EP3555095A1 (en) 2019-10-23
US20200085822A1 (en) 2020-03-19
AU2017376541B2 (en) 2021-08-05
CN108218873B (zh) 2020-07-07
AU2017376541A1 (en) 2019-06-13
CN108218873A (zh) 2018-06-29
CA3045371A1 (en) 2018-06-21
KR20190092545A (ko) 2019-08-07
US10987354B2 (en) 2021-04-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25477B2 (en)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 replication, application methods and uses thereof
KR102554019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복제의 억제제 및 이의 용도
US10647693B2 (en)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 replication, application methods and uses thereof
US10501444B2 (en)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 replication, application methods and uses thereof
TWI785116B (zh) 流感病毒複製抑制劑及其用途
US11098042B2 (en)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 replication and uses thereof
CN108727369B (zh) 流感病毒复制抑制剂及其用途
CN110117285B (zh) 流感病毒复制抑制剂及其用途
US10927118B2 (en) Inhibitors of influenza virus replication and uses thereof
KR102671350B1 (ko)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복제 저해제, 활용 방법 및 그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