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36159B1 - 흡음재 부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 Google Patents

흡음재 부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36159B1
KR102536159B1 KR1020210050112A KR20210050112A KR102536159B1 KR 102536159 B1 KR102536159 B1 KR 102536159B1 KR 1020210050112 A KR1020210050112 A KR 1020210050112A KR 20210050112 A KR20210050112 A KR 20210050112A KR 102536159 B1 KR102536159 B1 KR 1025361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ing material
tire
sound absorbing
pad
vacu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3510A (ko
Inventor
주원경
Original Assignee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0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6159B1/ko
Publication of KR202201435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35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61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61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9/00Tyre parts or construc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C19/002Noise damping elements provided in the tyre structure or attached thereto, e.g. in the tyre interi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057Reinforcements comprising preshaped elements, e.g. undulated or zig-zag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18Structure or arrangement of belts or breakers, crown-reinforcing or cushioning layers
    • B60C9/1835Rubber strips or cushions at the belt edges
    • B60C2009/1842Width or thickness of the strips or cush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2210/00Details of active noise control [ANC] covered by G10K11/178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G10K2210/10Applications
    • G10K2210/128Vehicles
    • G10K2210/1282Automobi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접촉하여, 상기 이너라이너에 흡착 고정되는 진공 패드, 상기 진공 패드와 연결되며, 상기 진공 패드로부터 흡인된 기체가 통과하는 진공홀이 형성된 패드 몸체 및 상기 패드 몸체에 결합된 흡음재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흡음재 부착 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흡음재 부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Sound absorbing material attachment unit and tir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흡음재 부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전기자동차 출현 등과 더불어 최근에는 자동차 품질 향상을 위해 승차감 향상 및 실내 소음뿐만 아니라 타이어에 의해 발생되는 외부 소음에 대한 저감화의 요구가 점점 커지고 있다. 이 중에서 공기입 타이어는 내부 공간(cavity)에서 기인되는 소음이 차량의 실내에서 날카로운 피크를 가지는 음으로 발생하기 때문에 운전자에게 불쾌감을 주며 승차감을 감소시키게 된다.
이러한 타이어 공명 소음을 저감시키기 위해 종래에는 타이어의 내부면에 흡음 성능을 가진 특수 스펀지를 장착하거나, 림에 장착할 수 있는 환상체를 배치하여 내부 공간을 변형시키기도 하며, 휠 표면에 모피 등의 재질을 부착하는 방법이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타이어 내부에 흡음 성능을 가진 특수 스펀지를 장착하거나 휠 표면에 이물질을 부착하는 경우, 타이어와 휠 제조 후 별도의 공정이 추가되어 비용이 증가할 뿐만 아니라 제조된 타이어와 휠의 보관이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원주 전체로 부착하는 경우 중량 증가로 인하여 타이어의 성능이 저하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별도의 부착재 없이 흠음재를 타이어 내부에 부착시킬 수 있는 흡음재 부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접촉하여, 상기 이너라이너에 흡착 고정되는 진공 패드, 상기 진공 패드와 연결되며, 상기 진공 패드로부터 흡인된 기체가 통과하는 진공홀이 형성된 패드 몸체 및 상기 패드 몸체에 결합된 흡음재를 포함하는, 타이어의 흡음재 부착 유닛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 몸체는 상기 진공홀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 패드의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음재는 상기 기둥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패드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 몸체는 상기 기둥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둥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진공패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직경은 상기 흡음재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공패드의 직경은 상기 타이어의 벨트층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지면과 접하는 트레드부, 림에 장착되는 비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비드부를 연결하는 사이드월부, 상기 비드부를 감싸 타이어의 골격을 이루며, 상기 트레드부, 상기 사이드월부 및 상기 비드부를 따라 연장된 카카스층, 상기 카카스층의 내측에 상기 타이어의 내면을 형성하는 이너라이너 및 상기 이너라이너에 흡착 고정되는 흡음재 부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 부착 유닛은, 상기 이너라이너에 접촉하여 상기 이너라이너에 흡착 고정되는 진공패드, 상기 진공 패드와 연결되며 상기 진공 패드로부터 흡인된 기체가 통과하는 진공홀이 형성된 패드 몸체 및 상기 패드 몸체에 결합된 흡음재를 구비하는 타이어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 몸체는 상기 진공홀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 패드의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음재는 상기 기둥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패드 몸체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드 몸체는 상기 기둥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둥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진공패드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직경은 상기 흡음재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진공패드의 직경은 상기 타이어의 벨트층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 부착 유닛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타이어의 이너라이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부착될 수 있다.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특허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음재 부착 유닛을 포함하는 타이어는 흡음재를 진공패드에 결합하여 부착시킴으로써, 별도의 부착재가 필요없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음재 부착 유닛은 일반 타이어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일반 타이어를 저소음 타이어로 활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 부착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의 흡음재 부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 부착 유닛이다.
도 6은 도 5의 흡음재 부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흡음재 부착 유닛이 배치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효과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한정적인 의미가 아니라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는 목적으로 사용되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또는 구성요소가 존재함을 의미하는 것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특징들 또는 구성요소가 부가될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구성 요소들이 그 크기가 과장 또는 축소될 수 있다. 예컨대, 도면에서 나타난 각 구성의 크기 및 두께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임의로 나타내었으므로, 본 발명이 반드시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 가류 금형(100)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타이어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절취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 및 트레드부(110)의 양측으로부터 연장된 사이드월부(120), 사이드월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는 비드부(130) 및 카카스층(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와 한 쌍의 사이드월부(120)들 내측에 위치하여 타이어(100)의 내부 공기압을 유지시키는 이너라이너(23) 및 상기 이너라이너(23)에 흡착 고정되는 흡음재 부착 유닛(20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타이어(100)는 트레드부(110)의 아래에 위치하는 벨트층(24)과 카카스층(40)을 포함할 수 있으며, 트레드부(110)와 벨트층(24) 사이에는 캡 플라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는 두꺼운 고무층으로 이루어져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트레드부(110)의 표면에는 조종 안전성, 견인력, 제동성을 위한 트레드 패턴들(114)과 트레드 패턴들(114)에 의해 구획된 블록들(116)이 위치할 수 있다. 트레드 패턴들은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 시 배수를 위한 복수의 그루브들과 견인력 및 제동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루브는 차량의 주행방향과 일치하는 원주방향 그루브와 원주방향 그루브 사이의 횡방향 그루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이프는 블록에 형성되며, 그루브보다 작은 크기를 가진 홈일 수 있다. 사이프는 젖은 노면에서의 주행시 수분을 흡수하여 수막을 끊는 역할을 함으로써, 타이어(100)의 구동력과 제동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블록(116)은 트레드부(110)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영역으로, 지면과 직접 접하여 차량의 구동력 및 제동력을 지면에 전달한다.
사이드월부(120)는 트레드부(110)의 단부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어 배치된다. 사이드월부(120)는 타이어(100)의 옆부분으로, 카카스층(40)을 보호하고, 타이어(100)의 측면 안정성을 제공하며, 굴신운동을 함으로써 승차감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사이드월부(120)는 드라이브 샤프트를 통해 받은 엔진의 토크를 트레드부(110)에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30)는 사이드월부(120)의 단부에 구비되며, 공기입 타이어(100)를 림(Rim)에 장착시키는 역할을 한다. 비드부(130)는 고무가 코팅된 강철 와이어를 복수 개 꼬아 형성되는 비드 코어(132) 및 비드 코어(132)에 부착된 비드 에이펙스(Apex, 134)를 포함할 수 있다.
카카스층(40)은 타이어(100)의 골격을 형성하며, 타이어(100)가 받는 하중, 충격 등을 견디고 타이어(100)의 공기압을 유지시킨다. 카카스층(40)은 스틸 또는 폴리에스터, 레이온 등과 같은 고강도 섬유 유기재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코드지를 겹친 후,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카카스층(40)은 트레드부(110), 사이드월부(120) 및 비드부(130)를 따라 연장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와 카카스층(40) 사이의 벨트층(24)은 차량의 주행시 노면 충격을 감소시키고, 노면에 닿은 트레드부(110) 부위를 넓게 하여 주행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트레드부(110)와 카카스층(40)의 분리를 방지할 수 있다. 벨트층(24)은 스틸로 이루어지는 복수의 벨트 코드를 고무로 피복하여 압연 가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트레드부(110)와 벨트층(24) 사이에는 캡 플라이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캡 플라이는 벨트층(24) 위에 부착되는 특수코드지로 주행시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캡 플라이는 일 예로 폴리에스테르 합성섬유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이너라이너(23)는 튜브대신 타이어(100)의 공기 누출을 방지하는 층으로, 밀폐성이 우수한 고무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 예로, 이너라이너(23)는 밀도가 높은 부틸고무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타이어(100) 내의 공기압을 유지시킬 수 있다.
흡음재 부착 유닛(200)은 흡음재를 포함하며, 이너라이너(23)에 흡착 고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흡음재 부착 유닛(200)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 부착 유닛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의 흡음재 부착 유닛의 단면도이다.
다시 도 2,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 부착 유닛(200)은 진공 패드(210), 패드 몸체(220) 및 흡음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패드(210)는 이너라이너(23)에 접촉하여 이너라이너(23)에 흡착 고정되는 부분으로, 예를 들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공 패드(210)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진공을 통해 이너라이너(23)에 흡착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든 변형이 가능하다.
진공 패드(210)는 이너라이너(23)에 흡착되기 전에는 이너라이너(23)의 곡면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굽은 곡면을 가질 수 있다. 부착 전 진공 패드(210)와 이너라이너(23)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되는데, 이 공간의 공기가 진공홀(225)을 통해 흡인되면서 탄성력을 갖는 진공 패드(210)는 이너라이너(23)에 흡착하게 된다.
이때, 진공 패드(210)의 직경(W2)은 타이어의 벨트층(24)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진공 패드(210)의 직경(W2)이 타이어의 벨트층(24)의 폭(W1)보다 큰 경우, 타이어의 벨트층(24)과 진공 패드(210)의 가장자리 부분과의 간섭 현상이 발생될 수 있고, 이 경우 흡착력이 약해질 수 있다. 따라서, 진공 패드(210)의 직경(W2)은 타이어의 벨트층(24)의 폭(W1)보다 작을 수 있다.
타이어의 벨트층(24)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너라이너(23) 상에 배치되는 제1 벨트층과 상기 제1 벨트층 상에 배치되는 제2 벨트층의 이중 구조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이 경우, 진공 패드(210)의 직경(W2)은 폭이 더 작은 제2 벨트층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패드 몸체(220)는 진공 패드(210)와 연결되며, 진공 패드(210)로부터 흡인된 기체가 통과하는 진공홀(225)이 형성될 수 있다. 패드 몸체(220)는 진공홀(225)이 형성되며, 진공 패드(2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기둥부를 포함할 수 있다.
패드 몸체(220)는 진공 패드(210)보다 큰 강성을 가져, 흡음재(230)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패드 몸체(220)의 경우도 소정의 탄성을 가져 타이어의 주행 중에 발생되는 진동에 유연하게 대응하므로,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흡음재(230)는 패드 몸체(2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진공 패드(21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재(230)는 패드 몸체(220)의 기둥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패드 몸체(220)와 진공 패드(21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실시예로서, 흡음재(230)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를 들면, 흡음재(230)는 스펀본드 부직포(spun-bonded non-woven fabric), 스펀레이스 부직포(spunlace non-woven fabric), 멜트블로운 부직포(melt-blown non-woven fabric), 열융착 부직포(thermally bonded non-woven fabric), 건식적층 부직포(dry laying non-woven fabric), 니들펀칭 부직포(needle punching nonwoven fabric), 스티치본드 부직포(stich bond non-woven fabric) 및 케미칼본드 부직포(chemical bond non-woven fabric)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어느 하나 또는 이들 중 2종 이상의 부직포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흡음재(230)는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흡음재(230)를 형성하는 폴리우레탄 폼은 이소시아네이트 성분을 포함하는 제1 반응물과, 적어도 폴리올 성분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제2 반응물을 혼합하여 형성될 수 있다.
흡음재(230)가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지는 경우, 흡음재(230)는 진공 패드(210)와 패드 몸체(220)의 기둥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먼저 제조되어, 패드 몸체(220) 및 진공 패드(210)의 일면에 부착되어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서, 흡음재(230)가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진공 패드(210)의 주변에 혼합한 제1 반응물 및 제2 반응물을 발포하고, 경화시킴으로써, 흡음재(230)는 진공 패드(210)와 패드 몸체(22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 부착 유닛이며, 도 6은 도 5의 흡음재 부착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흡음재 부착 유닛(200)은 일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진공 패드(210), 패드 몸체(220) 및 흡음재(2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공 패드(210)는 이너라이너(23)에 접촉하여 이너라이너(23)에 흡착 고정되는 부분으로, 예를 들면, 소정의 탄성을 가지는 고무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진공 패드(210)는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진공을 통해 이너라이너(23)에 흡착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든 변형이 가능하다.
패드 몸체(220)는 진공 패드(210)와 연결되며, 진공 패드(210)로부터 흡인된 기체가 통과하는 진공홀(225)이 형성될 수 있다. 패드 몸체(220)는 진공홀(225)이 형성되며, 진공 패드(210)의 중앙 영역에 배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기둥부(221)와, 상기 기둥부(221)와 연결되며, 기둥부(221)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기둥부(221)와 고정부(222)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기둥부(221)와 고정부(222)는 결합 가능한 형태로 형성되고, 흡음재(230)를 진공 패드(210) 상에 부착한 후, 고정부(222)를 결합할 수도 있다.
고정부(222)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둥부(221)와 연결되되, 흡음재 부착 유닛(200)의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흡음재(230)는 고정부(222)와 진공 패드(2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즉, 고정부(222)는 흡음재(230)를 진공 패드(210)에 더욱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고정부(222)의 직경은 흡음재(23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고정부(222)가 흡음재(230) 상부를 모두 덮어버리는 경우, 흡음재(230)의 성능을 저하시킬 수 있으므로, 고정부(222)의 직경은 흡음재(230)의 직경보다 작을 수 있다.
흡음재(230)는 패드 몸체(220)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때, 진공 패드(210)의 일면에 부착될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흡음재(230)는 패드 몸체(220)의 기둥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패드 몸체(220)와 진공 패드(210)의 일면에 결합될 수 있다.
흡음재(230)는 부직포 재질로 이루어져, 진공 패드(210)에 부착되거나, 폴리우레탄 폼으로 이루어져 진공 패드(210)와 고정부(222) 사이에 발포되어 경화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흡음재 부착 유닛(200)이 배치되는 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타이어(100)는 복수개의 흡음재 부착 유닛(200)을 구비할 수 있다. 다시 말해, 복수개의 흡음재 부착 유닛(200)은 이너라이너(23)의 내측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될 수 있다. 흡음재 부착 유닛(200)은 도 7과 같이 이너라이너(23)의 내측에 일렬로 배치될 수도 있고, 도 8과 같이 이너라이너(23)의 내측에 2열 이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흡음재 부착 유닛(200)이 일렬로 배치되거나 2열 이상으로 배치되는 경우에도, 흡음재 부착 유닛(200)이 부착되는 영역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벨트층(24)의 폭보다 작을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음재 부착 유닛을 포함하는 타이어는 흡음재를 진공패드에 결합하여 부착시킴으로써, 별도의 부착재가 필요없어 제조 공정을 간소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흡음재 부착 유닛은 일반 타이어에 적용이 가능하므로, 필요에 따라 일반 타이어를 저소음 타이어로 활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일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실시예의 변형이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타이어
110: 트레드부
120: 사이드월부
130: 비드부
200 : 흡음재 부착 유닛
210 : 진공 패드
220 : 패드 몸체
230 : 흡음재

Claims (11)

  1. 타이어의 이너라이너에 접촉하여, 상기 이너라이너에 흡착 고정되는 진공 패드;
    상기 진공 패드와 연결되며, 상기 진공 패드로부터 흡인된 기체가 통과하는 진공홀이 형성된 패드 몸체; 및
    상기 패드 몸체에 결합된 흡음재;를 포함하고,
    상기 패드 몸체는 상기 진공홀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 패드의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음재는 상기 기둥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패드 몸체에 결합되는, 타이어의 흡음재 부착 유닛.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몸체는 상기 기둥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둥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진공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타이어의 흡음재 부착 유닛.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직경은 상기 흡음재의 직경보다 작은, 타이어의 흡음재 부착 유닛.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패드의 직경은 상기 타이어의 벨트층의 폭보다 작은, 타이어의 흡음재 부착 유닛.
  6. 지면과 접하는 트레드부;
    림에 장착되는 비드부;
    상기 트레드부와 상기 비드부를 연결하는 사이드월부;
    상기 비드부를 감싸 타이어의 골격을 이루며, 상기 트레드부, 상기 사이드월부 및 상기 비드부를 따라 연장된 카카스층;
    상기 카카스층의 내측에 상기 타이어의 내면을 형성하는 이너라이너; 및
    상기 이너라이너에 흡착 고정되는 흡음재 부착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 부착 유닛은,
    상기 이너라이너에 접촉하여 상기 이너라이너에 흡착 고정되는 진공패드;
    상기 진공 패드와 연결되며 상기 진공 패드로부터 흡인된 기체가 통과하는 진공홀이 형성된 패드 몸체; 및
    상기 패드 몸체에 결합된 흡음재;를 구비하고,
    상기 패드 몸체는 상기 진공홀이 형성되며, 상기 진공 패드의 중앙영역에 배치되어 외부로 돌출되는 기둥부를 포함하며,
    상기 흡음재는 상기 기둥부를 둘러싸는 형태로 상기 패드 몸체에 결합되는, 타이어.
  7. 삭제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패드 몸체는 상기 기둥부와 연결되며, 상기 기둥부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갖는 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음재는 상기 고정부와 상기 진공패드 사이에 위치하는, 타이어.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의 직경은 상기 흡음재의 직경보다 작은, 타이어.
  10.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진공패드의 직경은 상기 타이어의 벨트층의 폭보다 작은, 타이어.
  11.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흡음재 부착 유닛은 복수개로 구비되며, 상기 타이어의 이너라이너를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배열되어 부착되는, 타이어.
KR1020210050112A 2021-04-16 2021-04-16 흡음재 부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253615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112A KR102536159B1 (ko) 2021-04-16 2021-04-16 흡음재 부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112A KR102536159B1 (ko) 2021-04-16 2021-04-16 흡음재 부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510A KR20220143510A (ko) 2022-10-25
KR102536159B1 true KR102536159B1 (ko) 2023-05-26

Family

ID=838036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112A KR102536159B1 (ko) 2021-04-16 2021-04-16 흡음재 부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615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0443A (ja) 2007-10-23 2011-01-06 ソシエテ ド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タイヤと柔軟性部材の組立体
JP2012025319A (ja) 2010-07-27 2012-02-09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76649A (ja) 2010-10-04 2012-04-19 Bridgestone Corp タイヤ
JP2012240465A (ja) 2011-05-16 2012-1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13039911A (ja) 2011-07-19 2013-02-28 Bridgestone Corp 取付構造体
KR101781697B1 (ko) * 2015-11-13 2017-10-2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흡착판과 진공흡착공간을 구비하는 타이어 센서설치구조
KR102229485B1 (ko) * 2019-10-01 2021-03-18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관통구멍형 흡음부재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1761B1 (ko) * 2006-06-16 2008-02-11 (주)에어픽스 진공 흡착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500443A (ja) 2007-10-23 2011-01-06 ソシエテ ド テクノロジー ミシュラン タイヤと柔軟性部材の組立体
JP2012025319A (ja) 2010-07-27 2012-02-09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012076649A (ja) 2010-10-04 2012-04-19 Bridgestone Corp タイヤ
JP2012240465A (ja) 2011-05-16 2012-12-10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13039911A (ja) 2011-07-19 2013-02-28 Bridgestone Corp 取付構造体
KR101781697B1 (ko) * 2015-11-13 2017-10-23 한국타이어 주식회사 흡착판과 진공흡착공간을 구비하는 타이어 센서설치구조
KR102229485B1 (ko) * 2019-10-01 2021-03-18 넥센타이어 주식회사 관통구멍형 흡음부재를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3510A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87141B2 (en) Low noise pneumatic tire
KR101767077B1 (ko) 공기입 타이어
CN108688406A (zh) 半充气轮胎及半充气轮胎的制造方法
JP3621899B2 (ja) 空気入りタイヤとリムとの組立体
US7556075B2 (en) Low noise pneumatic tire
US7581577B2 (en) Low noise pneumatic tire
JP2006306302A (ja) 空気入りタイヤとリムとの組立体
KR102536159B1 (ko) 흡음재 부착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JP2018095068A (ja) 非空気圧タイヤ
KR101890371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03054216A (ja) 空気入りタイ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93303B1 (ko) 소음 저감부재가 구비된 공기입 타이어
KR102425078B1 (ko) 타이어
KR102412976B1 (ko) 이너라이너 및 이를 포함하는 타이어
KR101775105B1 (ko) 타이어
KR102149457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304424B1 (ko) 타이어 및 타이어 조립체
KR102605834B1 (ko) 타이어
KR102661522B1 (ko) 공기입 타이어
KR102476522B1 (ko) 타이어
JPH08268005A (ja) 車両用タイヤ
JP2009040145A (ja) 空気入りタイヤ
US11001100B2 (en) Pneumatic tire
US11554616B2 (en) Pneumatic tire with removably mounted run-flat load support bodies
JP2024031060A (ja) タイヤ・リム組立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