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25113B1 - 투명성과 고시성이 우수한 수축 라벨용 필름 - Google Patents

투명성과 고시성이 우수한 수축 라벨용 필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25113B1
KR102525113B1 KR1020200163687A KR20200163687A KR102525113B1 KR 102525113 B1 KR102525113 B1 KR 102525113B1 KR 1020200163687 A KR1020200163687 A KR 1020200163687A KR 20200163687 A KR20200163687 A KR 20200163687A KR 102525113 B1 KR102525113 B1 KR 1025251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m
weight
layer
parts
core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6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77168A (ko
Inventor
오선형
이현섭
김태우
이정민
문윤아
김준기
신직수
손병삼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롯데알미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36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25113B1/ko
Priority to US18/253,380 priority patent/US20240025162A1/en
Priority to PCT/KR2021/016291 priority patent/WO2022114606A1/ko
Priority to EP21898432.6A priority patent/EP4253046A1/en
Publication of KR202200771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771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25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25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B32B27/32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comprising polycyclo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4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no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in side chain, and hav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a carbocyclic or in a heterocyclic ring system;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2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 B32B27/3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36Hard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5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mechanical properties
    • B32B2307/54Yield strength; Tensile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2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32Dimensional properties
    • B32B2307/734Dimensional stability
    • B32B2307/736Shrink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19/00Labels, badg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1/00Properties
    • C08L2201/10Transparent films; Clear coatings; Transpar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0Applications used for bott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3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hree or more polymers in a blen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비접착식 폴리올레핀계 소재를 이용한 수축 라벨용 필름에 있어 투명성과 고시성이 향상된 수축 라벨용 필름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스킨층, 코어층 및 씰층을 포함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으로서, 상기 스킨층 및 씰층은 환형 올레핀 수지 70 내지 90 중량부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은 환형 올레핀 수지 5 내지 25 중량부, 프로필렌 공중합체 60 내지 85 중량부 및 개질제 1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을 제공한다.

Description

투명성과 고시성이 우수한 수축 라벨용 필름{Shrink label film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and stiffness}
본 발명은 수축 라벨용 필름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투명성과 고시성이 우수한 수축 라벨용 필름에 관한 것이다.
PET 병 등 각종 플라스틱 용기에는 일반적으로 외면에 인쇄층이 형성된 라벨이 부착되고 있다. 이러한 라벨의 종류로는 접착식 라벨과 비접착식 라벨이 있으며, 이는 용기와 라벨 사이의 접착제의 사용 유무에 따라 구분된다.
접착식 라벨의 경우 통상 폴리프로필렌 소재를 사용하여 제조되고, 비접착식 라벨의 경우 폴리스티렌, 폴리에스테르, 폴리염화비닐 등을 주로 사용하여 제조된다. 라벨이 부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스티렌(PS) 등의 용기는 사용 후 분쇄되어 펠렛화된 후 재생 공정을 거쳐 용기로 재생된다. 이때, 재생 공정은 펠렛화된 용기를 물에 투입하여 비중 차이에 의해 분류되어진다.
한편, 환경부는 포장재 재활용 용이성 등급 기준을 시행(환경부고시 제2019-255호, 19.12.30. 시행)하였으며, 이에 따르면 비중 1 미만의 비접착식 라벨을 최우수 재활용 용이성 등급으로 구분하고 있고, 따라서 비중 1 미만의 비접착식 라벨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비접착식 라벨의 물성에 있어, 기존 PS, PET, 폴리염화비닐(PVC) 등의 경우 비중이 큰 관계로 비중이 1 미만인 폴리올레핀 소재의 사용을 고려할 수 있으나, 폴리올레핀 소재 필름은 수축성 및 시밍(seaming)성 부여가 어려워 환형 올레핀 수지(Cyclic Olefin Copolymer, COC)를 첨가하여 필름을 성형하고 있다. 그러나, 환형 올레핀 수지를 첨가하더라도 우수한 투명성을 구현하기 쉽지 않고, 특히, 라벨 부착 공정 중에 라벨을 용기에 고정시키는 슈팅(Shooting) 공정에 있어 요구되는 고시성 내지 강성(stiffness)이 충분하지 않아 제품 품질은 물론 생산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606915호는 표면층, 중간충 및 내면층을 포함하되, 표면층의 비중 및 상기 내면층의 비중은 각각 상기 중간층의 비중 보다 크고, 각 층은 소정 함량의 환형 올레핀 수지와 블로킹 방지 및 슬립제를 포함하는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을 개시하고 있으나, 첨가제 사용에 따라 투명성이 만족스럽지 않고, 고시성이 충분하지 않아 라벨 부착 공정상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비접착식 폴리올레핀계 소재를 이용한 수축 라벨용 필름에 있어 투명성과 고시성이 향상된 수축 라벨용 필름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스킨층, 코어층 및 씰층을 포함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으로서, 상기 스킨층 및 씰층은 환형 올레핀 수지 70 내지 90 중량부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은 환형 올레핀 수지 5 내지 25 중량부, 프로필렌 공중합체 60 내지 8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환형 올레핀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60 내지 75℃이고,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2종의 α-올레핀과의 삼원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 내지 0.95 g/㎤ 및 융점(Tm)이 118 내지 128℃이고,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융점(Tm)이 123 내지 138℃ 및 용융지수(230℃, 2.16 kg 하중)가 2 내지 10 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코어층은 밀도가 0.85 내지 0.9 g/㎤ 및 용융지수(230℃, 2.16 kg 하중)가 0.5 내지 5 g/10min인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코어층은 개질제로서 연화점이 120 내지 140℃인 석유수지; 또는 융점(Tm)이 155 내지 165℃ 및 용융지수(230℃, 2.16 kg 하중)가 1 내지 10 g/10min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1 내지 20 중량부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필름은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된 횡방향(TD) 수축률이 40% 이상이고, 헤이즈(ASTM D1003, 두께 50 ㎛)가 8% 미만이고, 고시성(stiffness)이 4.5 gf/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을 제공한다.
[수축률 측정방법]
횡방향(TD)으로 연신된 필름을 50 mm × 50 mm 크기로 절단하여 60, 70, 80, 90 및 100℃의 온수조에 각 10초 동안 침지시킨 후 치수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종방향(MD) 및 횡방향(TD) 수축률을 각각 계산하고 평균 수축률로 나타냄.
[수학식 1]
Figure 112020128824023-pat00001
[고시성(stiffness) 측정방법]
LOOP STIFFNESS TESTER(TOYOSEIKI사)를 이용하여, 연신된 필름을 25 mm × 150 mm 크기로 절단하여 시험기의 좌우 크램프(필름 고정 장치)의 간격을 50 mm로 하여 고정시킨 후 양 크램프의 바깥에 나와 있는 부분은 커팅 후 크램프 간격이 없어지도록 필름을 구부려 형성된 LOOP 형태의 시편의 끝부분이 Recoder(하중장치)로 60 mm/min 속도로 밀어질 때 걸리는 하중(gf)을 측정함.
또한 상기 스킨층, 코어층 및 씰층을 각각 용융 혼련(melt blend)한 후 합지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특정 조성의 스킨층, 코어층 및 씰층을 포함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 조성으로서, 폴리올레핀 소재를 활용 및 기존 첨가제의 사용 없이, 각 층 조성에 따른 상용성 향상과 용융 혼련에 따른 분산성 향상을 통해 투명성을 더욱 개선하면서도, 코어층에서 석유수지 등 개질제를 사용함으로써 고시성을 향상시켜 라벨 부착 공정 시 트러블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는 수축 라벨용 필름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시험예에서 필름의 접착 유무를 확인하는 부위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은 스킨층, 코어층 및 씰층을 포함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으로서, 상기 스킨층 및 씰층은 환형 올레핀 수지 70 내지 90 중량부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은 환형 올레핀 수지 5 내지 25 중량부, 프로필렌 공중합체 60 내지 8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을 개시한다.
본 발명에서 스킨층, 코어층 및 씰층에 각각 사용되는 상기 환형 올레핀 수지는 기본적으로 폴리올레핀 소재의 수축성 및 시밍(seaming)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성분으로, 유리전이온도(Tg)가 60 내지 75℃인 것이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70℃인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60℃ 미만이면 저온 수축이 발생하여 여름철에 대기 온도가 상승할 경우 수축 라벨용 필름의 치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고, 75℃를 초과하면 수축 라벨용 필름 제조 공정 중 연신 공정에서 연신 방향으로의 연신 온도가 높아져야 하기 때문에 필름의 열수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기 환형 올레핀 수지는 환형 올레핀 성분을 공중합 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환형 올레핀 성분을 주쇄에 포함하는 폴리올레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상기 환형 올레핀 수지는 환형 올레핀의 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환형 올레핀과 α-올레핀의 공중합체 또는 그 수소 첨가물 등일 수 있다. 또한 이들 중합체에 친수성기를 갖는 불포화 화합물을 그래프트 및/또는 공중합시킨 것일 수 있다. 이러한 환형 올레핀 수지는 단독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2종 이상이 조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상기 스킨층 및 씰층에 사용되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해당 층에서 상기 환형 올레핀 수지에 특정 함량으로 혼합되어 환형 올레핀 수지 사용으로 인해 향상된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한도에서 필름의 비중을 낮추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밀도는 0.9 내지 0.95 g/㎤ 및 융점(Tm)은 118 내지 128℃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 밀도는 0.91 내지 0.93 g/㎤ 및 융점(Tm)은 120 내지 125℃일 수 있다.
상기 코어층에 사용되는 프로필렌 공중합체 역시 코어층에서 상기 환형 올레핀 수지에 특정 함량으로 혼합되어 환형 올레핀 수지 사용으로 인해 향상된 물성이 저하되지 않는 한도에서 필름의 비중을 낮춤과 동시에 필름의 고시성 향상 측면에서 올레핀계 수지 중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특정 함량으로 혼합하는 것이 가장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2종의 α-올레핀과의 삼원 공중합체로서 융점(Tm)이 123 내지 138℃ 및 용융지수(230℃, 2.16 kg 하중)가 2 내지 10 g/10min인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융점(Tm)이 126 내지 135℃ 및 용융지수(230℃, 2.16 kg 하중)가 4 내지 8 g/10min일 수 있다.
상기 삼원 공중합체로서 바람직하게는 에틸렌-프로필렌-α-올레핀 삼원 공중합체일 수 있으며, α-올레핀은 탄소수 4 내지 10으로서 예컨대, 1-부텐, 1-펜텐, 1-헥센, 4-메틸-1-펜텐, 1-헵텐, 1-옥텐, 1-노넨, 1-데센 등일 수 있고, 에틸렌-프로필렌-α-올레핀 삼원 공중합체의 경우 에틸렌 및 α-올레핀의 함량은 각각 0.5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어층은 필름의 투명성 개선과 함께 고시성 향상을 위한 개질제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석유수지 또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개질제의 목적을 고려하여 상기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는 융점(Tm)이 155 내지 165℃ 및 용융지수(230℃, 2.16 kg 하중)가 1 내지 10 g/10min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융점(Tm)이 156 내지 160℃ 및 용융지수(230℃, 2.16 kg 하중)가 2 내지 5 g/10min일 수 있다.
상기 석유수지는 나프타 등의 고온열분해유 속에 있는 고급 불포화탄화수소를 원료로 하여 산성 촉매로 중합시켜 얻는 중량평균분자량 2,000 이하의 연한 황색 또는 흑갈색 열가소성 수지로서, 본 발명에서는 고시성 향상 관점에서 연화점이 120 내지 140℃,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40℃인 석유수지가 사용될 수 있다.
석유수지로서 방향족 석유수지의 경우 주요 성분은 스티렌비닐톨루엔, α-메틸스티렌, 인덴의 공중합체일 수 있고, 지방족 석유수지의 경우에는 나프타 분해공정 중 올레핀 공정에서 생산되는 유분 가운데 C5 유분을 원료로 하여 제조되는 수지로서, 주요 성분은 이소프렌, 피페리렌-2-메틸부텐-1 등의 공중합체일 수 있다. 또한 지방족 석유수지는 디시클로펜다디엔을 원료로 제조된 석유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소 첨가 석유수지의 경우 상기 방향족 석유수지와 상기 지방족 석유수지에 수소를 첨가하여 형성된 수지로서, 디시클로펜다디엔을 원료로 제조되고 수소가 첨가된 석유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코어층에는 환형 올레핀 수지 성분과 폴리프로필렌 성분의 상용성 증가를 통한 분산 및 흐름성 개선을 위해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고려하여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밀도가 0.85 내지 0.9 g/㎤ 및 용융지수(230℃, 2.16 kg 하중)가 0.5 내지 5 g/10min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밀도가 0.86 내지 0.89 g/㎤ 및 용융지수(230℃, 2.16 kg 하중)가 1 내지 3 g/10min일 수 있다.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는 프로필렌과 프로필렌 이외의 탄소수 2 내지 10인 α-올레핀의 공중합체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프로필렌과 5 내지 20 중량% 함량의 에틸렌이 공중합된 에틸렌-프로필렌 고무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성분 조합의 각 층에서 일정 범위의 성분 함량비를 통해 수축 라벨용 필름으로서 목적하는 투명성 및 고시성 구현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스킨층 및 씰층에서는 환형 올레핀 수지가 70 내지 90 중량부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이 10 내지 30 중량부 함량 범위로 포함되고, 상기 코어층에서는 환형 올레핀 수지가 5 내지 25 중량부 및 프로필렌 공중합체가 60 내지 85 중량부와, 임의로 개질제가 1 내지 20 중량부 함량 범위로 포함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스킨층 및 씰층에서 환형 올레핀 수지는 75 내지 85 중량부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15 내지 25 중량부 함량 범위로 포함되고, 상기 코어층에서 환형 올레핀 수지는 10 내지 20 중량부,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65 내지 80 중량부 및 개질제가 5 내지 15 중량부 함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스킨층 및 씰층에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함량이 1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저비중의 필름 구현이 어렵고, 30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필름의 수축성 및 시밍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코어층에서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 함량이 60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연신 시 투명도가 저하되고, 8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필름의 수축성이 저하되고, 개질제가 포함될 경우 그 함량이 20 중량부를 초과하여 과도할 경우에는 필름의 수축성이 저하될 수 있다.
또한 스킨층, 코어층 및 씰층의 각 층에서 상기 환형 올레핀 수지 함량이 일정 수준에 미치지 못할 경우 필름의 투명성이 저하되고, 그 함량이 과도할 경우에는 필름의 고시성이 저하된다.
또한 상기 코어층에서 수축 특성과 투명성의 보강을 위해 포함될 수 있는 상기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POE)는 5 내지 25 중량부 함량 범위로 포함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 중량부 함량 범위로 포함되 수 있으며, 그 함량이 과도할 경우에는 필름의 수축성이 저하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상기 환형 올레핀 수지 함량 증가 시 폴리올레핀과의 점도 차이로 인한 흐름 불균일이 발생할 수 있는데, 이러한 문제 해결을 위해 스킨층, 코어층 및 씰층은 각각 용융 혼련(melt blend)된 조성물로 형성되도록 할 수 있으며, 각각의 조성물을 합지하여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로써 각 층의 원료의 흐름성 차이에 의한 필름 연신 전 용융 혼련을 통해 분산성 향상과 함께 필름 성형 후 원활한 연신 공정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수축 라벨용 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의 수지 조성은 본 발명의 목적을 훼손하지 않는 한, 필요에 따라 각종 첨가제, 예컨대, 산화방지제, 촉매중화제, 안료, 분산제, 내후제, 대전방지제, UV 안정제, 탈크 등을 1종 이상 추가로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들의 사용량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수축 라벨용 필름의 특성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이를 제조하는 데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범위 내에서 전체 제조량 및 제조 공정 등을 고려하여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성분들을 이용한 필름의 제조는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따를 수 있다. 예컨대, 각 층을 구성하는 상기 성분들을 각각 필요한 양으로 믹서에 투입시켜 혼합한 후 압출기를 이용하여 180 내지 240℃에서 펠렛상으로 제조하고, 다층 필름 성형기를 통하여 용융 성형하여 필름(film)화함으로써, 수축 라벨용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때, 다층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스킨층, 코어층 및 씰층의 두께 비율을 예컨대, 1: 2~6 : 0.5~1.5 로 구성하여 두께 175 내지 200 ㎛의 시트 형태로 성형 후 연신부 80 내지 85℃, 예열부 95 내지 100℃ 및 열고정부 75 내지 80℃ 조건에서 연신비 3.5 내지 5배로 연신된 최종 두께 50 ㎛의 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수축 라벨용 필름은 폴리올레핀 소재를 활용하고 기존 첨가제의 사용 없이도, 투명성을 더욱 개선하면서도 고시성을 향상시켜 라벨 부착 공정 시 트러블을 현저히 저감시킬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축 라벨용 필름은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된 횡방향(TD) 수축률이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46%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이상일 수 있고, 헤이즈(ASTM D1003, 두께 50 ㎛)가 8% 미만, 바람직하게는 5 미만일 수 있고, 고시성(stiffness)이 4.5 gf/50㎛ 이상, 바람직하게는 5.5 gf/50㎛ 이상일 수 있다.
[수축률 측정방법]
횡방향(TD)으로 연신된 필름을 50 mm × 50 mm 크기로 절단하여 60, 70, 80, 90 및 100℃의 온수조에 각 10초 동안 침지시킨 후 치수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종방향(MD) 및 횡방향(TD) 수축률을 각각 계산하고 평균 수축률로 나타냄.
[수학식 1]
Figure 112020128824023-pat00002
[고시성(stiffness) 측정방법]
LOOP STIFFNESS TESTER(TOYOSEIKI사)를 이용하여, 연신된 필름을 25 mm × 150 mm 크기로 절단하여 시험기의 좌우 크램프(필름 고정 장치)의 간격을 50 mm로 하여 고정시킨 후 양 크램프의 바깥에 나와 있는 부분은 커팅 후 크램프 간격이 없어지도록 필름을 구부려 형성된 LOOP 형태의 시편의 끝부분이 Recoder(하중장치)로 60 mm/min 속도로 밀어질 때 걸리는 하중(gf)을 측정함.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 사용된 성분 사양과 물성 측정방법은 다음과 같다.
[성분 사양]
- 환형 올레핀 수지 : 유리전이온도(Tg)가 65 내지 70℃인 환형 올레핀 수지(9506F-500, TOPAS사)를 사용하였다.
-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 융점(Tm)이 123℃ 및 밀도가 0.92 g/㎤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UF315, 롯데케미칼사)과, 밀도가 0.918 g/㎤인 및 용융지수가 3.1 g/10min인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Smart 183, SK케미칼사)을 사용하였다.
- 프로필렌 공중합체 : 프로필렌 삼원 공중합체로서 각각 융점(Tm)이 131 내지 133℃ 및 용융지수가 7 g/10min(SFI-553, 롯데케미칼사), 융점(Tm)이 129 내지 130℃, 용융지수가 5.5 g/10min 및 열량이 75 J/g(SB-740D, 롯데케미칼사), 융점(Tm)이 129 내지 130℃, 용융지수가 5.5 g/10min 및 열량이 78 J/g(SFI-740T, 롯데케미칼사), 융점(Tm)이 128 내지 129℃, 용융지수가 5.5 g/10min 및 열량이 65 J/g(SFI-841A, 롯데케미칼사)인 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사용하였다.
- 석유수지 : 연화점이 125℃인 석유수지(SU-625, 코오롱인더스트리사) 및 연화점이 136℃
Figure 112020128824023-pat00003
인 석유수지(SU-640, 코오롱인더스트리사)를 사용하였다.
-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 : 융점(Tm)이 158℃ 및 용융지수가 3 g/10min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FO-135, 롯데케미칼사)를 사용하였다.
-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 밀도가 0.874 g/㎤인 및 용융지수가 2.2 g/10min이고, 에틸렌 함량이 10.5 중량%인 에틸렌-프로필렌 고무(Vistamaxx 3020FL, 엑손모빌사)를 사용하였다.
[물성 측정방법]
- 밀도 : ASTM D 1505 밀도구배관법에 의거하여 측정하였다.
- 용융지수 : ASTM D1238 규격에 따라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의 경우 190℃, 나머지 수지의 경우 230℃에서 하중 2.16 ㎏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 융점(Tm) : 차동 주사 열량계(DSC, TA Instruments)를 사용하여 질소가스 대기 하에 220℃에서 5분 동안 시험편 10 mg을 예비 용융시킨 후, 온도를 10℃/min의 감온 속도로 40℃로 강하시켰다. 그 후, 온도를 10℃/min의 승온 속도로 상승시키고, 수득된 용융 흡열 곡선의 최대 피크의 피크 온도를 융점(Tm)으로 정의하였다.
- 유리전이온도(Tg) : 차동 주사 열량계(DSC, TA Instruments)를 사용하여 질소가스 대기 하에 220℃에서 5분 동안 시험편 10 mg을 예비 용융시킨 후, 온도를 10℃/min의 감온 속도로 -80℃로 강하시켰다. 그 후, 온도를 10℃/min의 승온 속도로 상승시키면서, 유리전이 전환 시작 지점과 끝난 지점의 높이 중간값을 유리전이온도(Tg)로 산출하여 정의하였다.
- 연화점 : ASTM D1525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침투형 시험으로 두께가 3 mm인 시편에 1 kg 또는 5 kg의 하중을 가하고 50℃/hr의 속도로 균일하게 승온하면서 표면적이 1 ㎟인 표준 바늘이 시편을 1 mm 침투했을 때의 온도를 연화점으로 정의하였다.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4
하기 표 1의 조성으로 각 층별 건식 혼합물(dry blend)과 용융 혼합물(melt blend)(2축 스크류 압출기 사용)을 준비한 후, 각 층별 혼합물을 다층 필름 성형기를 이용하여 스킨층, 코어층 및 씰층의 두께 비율을 1:4:1 로 구성하여 두께 175 내지 200 ㎛의 시트 형태로 성형 후 연신부 80 내지 85℃, 예열부 98℃ 및 열고정부 78℃ 조건에서 연신비 3.8 내지 4.8배로 연신하여 최종 두께 50 ㎛의 필름을 제조하였다.
시험예
상기 제조된 필름에 대하여 하기 방법으로 물성을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방법]
- 수축률 : 횡방향(TD)으로 연신된 필름을 50 mm × 50 mm 크기로 절단하여 60, 70, 80, 90 및 100℃의 온수조에 각 10초 동안 침지시킨 후 치수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종방향(MD) 및 횡방향(TD) 수축률을 각각 계산하고 평균 수축률로 나타내었다.
[수학식 1]
Figure 112020128824023-pat00004
- Seaming : Solvent(톨루엔, 클로로포름, 리모넨 또는 알파피넨)를 면봉에 묻혀서 연신된 필름의 외면과 배면의 접착 유무를 확인하였다(도 1 참조).
- Haze : ASTM D1003 규격에 따라 측정하였다.
- Loop-stiffness : LOOP STIFFNESS TESTER(TOYOSEIKI사)를 이용하여, 연신된 필름을 25 mm × 150 mm 크기로 절단하여 시험기의 좌우 크램프(필름 고정 장치)의 간격을 50 mm로 하여 고정시킨 후 양 크램프의 바깥에 나와 있는 부분은 커팅 후 크램프 간격이 없어지도록 필름을 구부려 형성된 LOOP 형태의 시편의 끝부분이 Recoder(하중장치)로 60 mm/min 속도로 밀어질 때 걸리는 하중(gf)을 측정하였다.
Figure 112020128824023-pat00005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스킨층, 코어층 및 씰층을 특정 조성으로 포함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의 경우 수축 특성, 시밍성, 투명성 및 고시성에 있어 모두 우수한 물성이 구현됨을 알 수 있다. 특히, 코어층에서 개질제로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5)와 석유수지를 사용한 경우(실시예 3 및 4)를 비교하면, 고시성 향상 측면에서는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사용하는 것이 유리하나, 투명성과의 물성 밸런스를 고려하면 석유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코어층에서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 성분으로 더욱 보강할 경우(실시예 6 내지 8)에는 고시성 측면에서 약간의 희생이 있으나, 수축 특성 및 투명성까지 감안하면 전체적인 필름 물성 밸런스가 더욱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실시예 1 및 2를 참조할 때, 스킨층 및 씰층에 환형 올레핀 수지를 사용하고 코어층에서 개질제를 사용는 것이 필름의 수축 특성과 투명성 측면에서 보다 바람직한 것이 확인된다.
이에 대하여, 스킨층 및 씰층에 환형 올레핀 수지를 사용하지 않고, 코어층에 개질제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비교예 1 및 2)에는 모든 물성에서 현저한 저하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다.
한편, 필름 제조에 사용된 각 층의 수지 조성물을 건식 혼합된 수지 조성물을 사용하는 경우 대비 용융 혼련된 수지 조성물로 사용할 경우 수지 성분 간 점도 차이로 인한 흐름 불균일 현상이 해소되어 수축 특성, 투명성 및 고시성 모두 향상된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스킨층, 코어층 및 씰층을 포함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으로서,
    상기 스킨층 및 씰층은 환형 올레핀 수지 70 내지 90 중량부 및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10 내지 30 중량부를 포함하고,
    상기 코어층은 환형 올레핀 수지 5 내지 25 중량부, 프로필렌 공중합체 60 내지 85 중량부를 포함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으로서,
    상기 코어층은 개질제로서 연화점이 120 내지 140℃인 석유수지; 또는 융점(Tm)이 155 내지 165℃ 및 용융지수(230℃, 2.16 kg 하중)가 1 내지 10 g/10min인 프로필렌 단독 중합체;를 5 내지 15 중량부 더 포함하고,
    상기 필름은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된 수축률이 40% 이상이고, 헤이즈(ASTM D1003, 두께 50 ㎛)가 8% 미만이고, 고시성(stiffness)이 5.5 gf/50㎛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
    [수축률 측정방법]
    횡방향(TD)으로 연신된 필름을 50 mm × 50 mm 크기로 절단하여 60, 70, 80, 90 및 100℃의 온수조에 각 10초 동안 침지시킨 후 치수를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종방향(MD) 및 횡방향(TD) 수축률을 각각 계산하고 평균 수축률로 나타냄.
    [수학식 1]
    Figure 112022093830180-pat00008

    [고시성(stiffness) 측정방법]
    LOOP STIFFNESS TESTER(TOYOSEIKI사)를 이용하여, 연신된 필름을 25 mm × 150 mm 크기로 절단하여 시험기의 좌우 크램프(필름 고정 장치)의 간격을 50 mm로 하여 고정시킨 후 양 크램프의 바깥에 나와 있는 부분은 커팅 후 크램프 간격이 없어지도록 필름을 구부려 형성된 LOOP 형태의 시편의 끝부분이 Recoder(하중장치)로 60 mm/min 속도로 밀어질 때 걸리는 하중(gf)을 측정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형 올레핀 수지는 유리전이온도(Tg)가 60 내지 75℃이고,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프로필렌과 2종의 α-올레핀과의 삼원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밀도가 0.9 내지 0.95 g/㎤ 및 융점(Tm)이 118 내지 128℃이고,
    상기 프로필렌 공중합체는 융점(Tm)이 123 내지 138℃ 및 용융지수(230℃, 2.16 kg 하중)가 2 내지 10 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층은 밀도가 0.85 내지 0.9 g/㎤ 및 용융지수(230℃, 2.16 kg 하중)가 0.5 내지 5 g/10min인 폴리올레핀 엘라스토머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축 라벨용 필름.
  5. 삭제
  6. 삭제
  7. 제1항의 스킨층, 코어층 및 씰층을 각각 용융 혼련(melt blend)한 후 합지하여 필름을 제조하는 방법.
KR1020200163687A 2020-11-30 2020-11-30 투명성과 고시성이 우수한 수축 라벨용 필름 KR1025251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687A KR102525113B1 (ko) 2020-11-30 2020-11-30 투명성과 고시성이 우수한 수축 라벨용 필름
US18/253,380 US20240025162A1 (en) 2020-11-30 2021-11-10 Film for shrinkable label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and stiffness
PCT/KR2021/016291 WO2022114606A1 (ko) 2020-11-30 2021-11-10 투명성과 고시성이 우수한 수축 라벨용 필름
EP21898432.6A EP4253046A1 (en) 2020-11-30 2021-11-10 Film for shrinkable label having excellent transparency and stiffnes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687A KR102525113B1 (ko) 2020-11-30 2020-11-30 투명성과 고시성이 우수한 수축 라벨용 필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7168A KR20220077168A (ko) 2022-06-09
KR102525113B1 true KR102525113B1 (ko) 2023-04-28

Family

ID=817560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687A KR102525113B1 (ko) 2020-11-30 2020-11-30 투명성과 고시성이 우수한 수축 라벨용 필름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025162A1 (ko)
EP (1) EP4253046A1 (ko)
KR (1) KR102525113B1 (ko)
WO (1) WO2022114606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0750A1 (ja) 2003-06-11 2004-12-23 Gunze Limited 多層熱収縮性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ラベルが熱収縮装着された容器
JP2005047182A (ja) 2003-07-30 2005-02-24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 多層熱収縮性延伸フィルム
WO2016192901A1 (en) 2015-06-02 2016-12-08 Fuji Seal International, Inc. Multi-layer shrink film, label and container
JP2017071064A (ja) * 2015-10-05 2017-04-13 グンゼ株式会社 熱収縮性多層フィルム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15260A (ja) * 2000-03-02 2001-11-13 C I Kasei Co Ltd 熱収縮性ポリオレフィン系フイルム
KR101092056B1 (ko) * 2002-09-16 2011-12-12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엘엘씨 고 투명도, 고 강성도 필름
JP4348156B2 (ja) * 2003-09-30 2009-10-21 三菱樹脂株式会社 ポリオレフィン系熱収縮性積層フィルム
CN1960868B (zh) * 2004-05-18 2010-05-26 郡是株式会社 多层热收缩性膜的应用和包装电池
KR101606915B1 (ko) 2015-07-28 2016-03-25 위더스케미칼 주식회사 라벨용 열수축성 필름, 상기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및 상기 라벨이 부착된 용기
KR101924552B1 (ko) * 2016-05-12 2018-12-03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분리가 용이한 열수축 필름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4110750A1 (ja) 2003-06-11 2004-12-23 Gunze Limited 多層熱収縮性フィルム及びそれからなるラベルが熱収縮装着された容器
JP2005047182A (ja) 2003-07-30 2005-02-24 Asahi Kasei Life & Living Corp 多層熱収縮性延伸フィルム
WO2016192901A1 (en) 2015-06-02 2016-12-08 Fuji Seal International, Inc. Multi-layer shrink film, label and container
JP2017071064A (ja) * 2015-10-05 2017-04-13 グンゼ株式会社 熱収縮性多層フィル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14606A1 (ko) 2022-06-02
EP4253046A1 (en) 2023-10-04
KR20220077168A (ko) 2022-06-09
US20240025162A1 (en) 2024-01-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80294B2 (en) Biaxially oriented LLDPE blends
EP2208757B1 (en) Cyclic olefin resin composition
KR20150038416A (ko) 에틸렌계 중합체 및 이로부터 제조된 물품
JP5205340B2 (ja)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
US20100015331A1 (en)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and methods of making and using same
WO2007094378A1 (ja) エチレン系重合体及びこれから得られる成形体
WO2022104275A1 (en) Compatibilization of post consumer resins
WO2020000589A1 (zh) 热塑性弹性体材料及薄膜
US20110045265A1 (en) Polyolefin composition and film thereof
KR102525113B1 (ko) 투명성과 고시성이 우수한 수축 라벨용 필름
JP2023521297A (ja) ポストコンシューマレジンを含むフィルム
KR20220075523A (ko)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CN1247683C (zh) 一种用于沥青软包装的改性聚烯烃材料
CN105209505B (zh) 基于乙烯的聚合物和由其制得的制品
KR20230076565A (ko) 투명성과 인쇄성이 우수한 수축 라벨용 필름
JP4892784B2 (ja) レトルト包装用多層フィルム
JP2005047182A (ja) 多層熱収縮性延伸フィルム
KR20240074510A (ko) 수축성과 고시성이 우수한 수축 라벨용 필름
TWI733830B (zh) 熱塑性樹脂摻合組成物、母料及雙軸延伸聚烯烴類膜成形用組成物
JP5375454B2 (ja) ポリプロピレン系樹脂組成物および延伸フィルム
EP4141066B1 (en) Polyolefin composition comprising polyethylene and recycled plastic material
JP2022154305A (ja) 4-メチル-1-ペンテン系重合体組成物およびその用途
US20230220136A1 (en) Polyolefin Compositions and Articles Thereof
JP2019001139A (ja) 多層二軸延伸フィルムおよび転写フィルム
KR20230165538A (ko)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