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165538A -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165538A
KR20230165538A KR1020220065423A KR20220065423A KR20230165538A KR 20230165538 A KR20230165538 A KR 20230165538A KR 1020220065423 A KR1020220065423 A KR 1020220065423A KR 20220065423 A KR20220065423 A KR 20220065423A KR 20230165538 A KR20230165538 A KR 202301655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resin composition
copolymer
film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654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진주
김송호
오선형
문윤아
Original Assignee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0654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165538A/ko
Priority to PCT/KR2023/002563 priority patent/WO2023229155A1/ko
Publication of KR202301655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65538A/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07Copolymers of ethene with unsaturated hydrocarbons only containing more than three carbon atoms
    • C08L23/0815Copolymers of ethene with aliphatic 1-olef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1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 B29C55/1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multiaxial biax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10/00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 C08F210/16Copolymers of ethene with alpha-alkenes, e.g. EP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8Copolymers of eth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12Melt flow index or melt flow ratio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500/00Characteristics or properties of obtained polyolefins; Use thereof
    • C08F2500/26Use as polymer for film form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3/00Applications
    • C08L2203/16Applications used for film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5/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 C08L2205/02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 C08L2205/025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other features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C08L -group containing two or more polymers of the same hierarchy C08L, and differing only in parameters such as density, comonomer content, molecular weight, structur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2Ziegler natta catalys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14/00Polymer mixtures characterised by way of preparation
    • C08L2314/06Metallocene or single site catalys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Abstract

이축연신기로 성형 가능하고 우수한 연신 특성을 나타내고, 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이축 연신이 가능하고 두께 평활도 및 투명도가 우수한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 개시된다. 본 발명은 a-TREF(Analytical Temperature rising elution fractionation) 분석을 통해 35℃ 이하의 온도에서 분획되는 분자중량물이 5 내지 20 중량%이고, 94℃ 이상의 온도에서 분획되는 분자중량물이 5 내지 20 중량%인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Polyethylene resin composition for bi-directionally oriented films}
본 발명은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플라스틱 관련 산업에 있어, 해양 플라스틱 문제를 비롯해 새로운 이슈가 등장함에 따라 시장환경이 급변하고 있다. 사용량이 많은 용기포장 소재도 예외는 아니며, 포장용 소재 생산에 그치지 않고 가공식품/음료, 유통 분야 역시 플라스틱 폐기물, 온실가스 감축 등 환경 문제에 대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다.
특히, 포장용기 관련 기업들은 환경 부담을 줄일 수 있는 소재 개발에 집중할 필요성을 인지하였고, 세계적으로는 리사이클을 전제로 단일소재(Uni material) 관련 제품과 이산화탄소(CO2) 감축에 기여하는 바이오 플라스틱의 개발 및 사용이 활발해지고 있다.
세계적으로 폴리에틸렌(PE)계 소재가 단일소재화 흐름의 주류를 이루고 있다. 이는 다층 필름 설계 과정에서 내용물, 용도 등을 감안하여 실란트층이 가장 먼저 검토되는데, 가운데 실란트층에 폴리에틸렌이 채용되는 비율이 비교적 높아 전체 제품을 단일소재화할 때 결과적으로 표면 소재도 폴리에틸렌계가 되기 쉽기 때문이다.
미국에서는 폴리에틸렌 제품의 회수와 리사이클 체제를 확립하고 있어 폴리에틸렌계의 공급이 주를 이룰 것으로 전망되고, 원료 수지, 필름 생산기업 등을 산하에 두고 있는 Mitsui Chemicals사는 나일론/폴리에틸렌 구성을 대체하겠다는 목표 아래 폴리에틸렌계의 단일 소재화에 주력하고 있다. 또한 Dow Chemical사는 지나치게 많은 기능 부여가 된 필름 용도(건조과일, 냉동식품, 애완동물용 사료 등)에 투입되는 파우치 소재를 PET/PE계에서 PE 유니(Uni) 소재(단일제품)로 바꾸고 있다.
한편, 이축배향용 필름에 있어서도 종래 BOPA(biaxially oriented polyamide)나 BOPET(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 terephthalate)로 사용하던 층을 BOPE(biaxially oriented polyethylene)로 대체하여 단일소재화할 경우 이러한 개발 동향에 부합할 수 있으나, 아직까지 이축연신기로 성형 가능한 폴리에틸렌으로서 만족스러운 연신 특성을 나타낸 사례는 제시되지 않고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0746253호는 엘먼도르프 인열 강도가 우수하고, 균일하게 연신하는 것이 가능한 폴리에틸렌계 연신 필름을 개시하고 있으나, 실제 제시된 조성으로 이축연신 시 만족스러운 강도 특성을 얻기 어렵다.
본 발명은 이축연신기로 성형 가능하고 우수한 연신 특성을 나타내고, 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이축 연신이 가능하고 두께 평활도 및 투명도가 우수한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a-TREF(Analytical Temperature rising elution fractionation) 분석을 통해 35℃ 이하의 온도에서 분획되는 분자중량물이 5 내지 20 중량%이고, 94℃ 이상의 온도에서 분획되는 분자중량물이 5 내지 20 중량%인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A) 밀도가 0.860 내지 0.910 g/㎤인, 에틸렌과 탄소수 4 내지 10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1 내지 30 중량%; (B) 밀도가 0.925 g/㎤ 이상 0.940 g/㎤ 미만인, 에틸렌과 탄소수 4 내지 10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60 내지 98 중량%; 및 (C) 밀도가 0.940 내지 0.970 g/㎤인 에틸렌과 탄소수 4 내지 10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a-TREF(Analytical Temperature rising elution fractionation) 분석을 통해 35℃ 이하의 온도에서 분획되는 분자중량물이 5 내지 20 중량%이고, 94℃ 이상의 온도에서 분획되는 분자중량물이 5 내지 2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 공중합체는 용융지수(190℃, 2.16 kg 하중)가 0.2 내지 6 g/10min이고, 상기 (B) 공중합체는 용융지수(190℃, 2.16 kg 하중)가 1 내지 3.5 g/10min이고, 상기 (C) 공중합체는 용융지수(190℃, 2.16 kg 하중)가 0.2 내지 2.5 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A)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50 내지 -45℃이고, 상기 (B) 공중합체는 녹는점 온도(Tm)가 120 내지 130℃ 및 결정화 온도(Tc)가 110 내지 115℃이고, 상기 (C) 공중합체는 녹는점 온도(Tm)가 130 내지 140℃ 및 결정화 온도(Tc)가 115 내지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190℃, 2.16 kg 하중)가 1 내지 3 g/10min이고, 밀도가 0.920 내지 0.94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하기 조건에서 측정된 종방향 및 횡방향의 인장강도가 각각 700 kgf/㎠ 이상이고, 연신 두께 편차가 15% 이하이고, 흐림도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
[측정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속도 400 m/min, 종방향(MD) 연신비 5배 및 연신온도 112 내지 128℃, 횡방향 연신비 9배 및 연신온도 108 내지 116℃ 조건으로 필름 두께 20 ㎛, 필름 폭 8 m인 이축연신 필름을 제조하고, 이축연신 필름 시편에 대하여 ASTM D882의 규정에 따라 인장시험기(모델명 : Instron, 4466)를 이용하여 로드 셀(Load cell) 100 N 및 시험속도 500 mm/min 조건으로 인장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조된 필름을 1 m 길이로 재단하여 8분할 된 임의 지점에서 두께를 측정하여 연신 전 두께 대비 편차를 구하고 이를 평균하여 연신 두께 편차를 측정하고, 상기 시편에 대하여 ASTM D1003의 규정에 따라 Haze meter(모델명 : Nippon Denshoku, NDH5000)를 이용하여 연신 필름의 헤이즈(Haze)를 측정함.
본 발명에 따르면 일정 범위로 밀도가 상이한 에틸렌과 탄소수 4 내지 10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3종을 혼합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로서, 나아가, CFC를 이용한 특정 a-TREF 분석에 따른 분획 특성을 갖는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시하여, 이축연신기로 성형 가능하고 우수한 연신 특성을 나타내고, 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이축 연신이 가능하고 두께 평활도 및 투명도가 우수한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수지 조성물에 대한 TREF 분석법을 설명하는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각각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TREF를 이용하여 온도상승 용리 분별로 분석한 온도-용리분별 곡선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의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 BOPA나 BOPET로 사용하던 층을 BOPE로 대체하여 단일소재화함에 있어 아직까지 만족스러운 연신 특성을 나타내는 조성이 제시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CFC(Cross-Fractionation Chromatography, 교차 분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특정 a-TREF 분석에 따른 분획 특성을 가지고, 나아가, 일정 범위로 밀도가 상이한 에틸렌과 탄소수 4 내지 10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3종이 혼합된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의 경우 이축연신기로 성형 가능하고 우수한 연신 특성을 나타내고, 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이축 연신이 가능하고 두께 평활도 및 투명도가 우수한 것을 확인하고 본 발명에 이르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a-TREF(Analytical Temperature rising elution fractionation) 분석을 통해 35℃ 이하의 온도에서 분획되는 분자중량물이 5 내지 20 중량%이고, 94℃ 이상의 온도에서 분획되는 분자중량물이 5 내지 20 중량%인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개시하며,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A) 밀도가 0.860 내지 0.910 g/㎤인, 에틸렌과 탄소수 4 내지 10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1 내지 30 중량%; (B) 밀도가 0.925 g/㎤ 이상 0.940 g/㎤ 미만인, 에틸렌과 탄소수 4 내지 10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60 내지 98 중량%; 및 (C) 밀도가 0.940 내지 0.970 g/㎤인 에틸렌과 탄소수 4 내지 10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서 상기 (A) 공중합체는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밀도가 0.860 내지 0.910 g/㎤이고, 바람직하게는 0.870 내지 0.910 g/㎤일 수 있다. 밀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축연신 성형이 어렵다.
또한 상기 (A)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가 -4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40℃일 수 있다. 이 경우 저온의 환경에서 사용 시 최종 필름 물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A) 공중합체는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고, 에틸렌과 1-부텐, 1-헥센, 1-옥텐 등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탄소수 6 내지 8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1-헥센 또는 1-옥텐과의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용융지수(190℃, 2.16 kg 하중)가 0.2 내지 6 g/10min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2 g/10min일 수 있다.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공중합체를 적용하거나, 에틸렌과의 공중합되는 공단량체로 탄소수 4 내지 10 이외의 α-올레핀을 사용하여 제조된 공중합체를 적용하거나, 용융지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축연신 성형이 어려울 수도 있다. (A) 공중합체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기상법, 솔루션법, 슬러리법 등 어느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A) 공중합체는 전체 수지 조성물 중에 1 내지 30 중량% 함량으로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A) 공중합체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역시 이축연신 성형이 어렵고,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다량의 저결정성 분자로 인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최종 인장강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B) 공중합체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밀도가 0.925 내지 0.940 g/㎤이고, 바람직하게는 0.925 내지 0.935 g/㎤일 수 있다. 밀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축연신 성형이 어렵다.
또한 상기 (B) 공중합체는 필름 성형이 가능한 범위가 확보되도록 지글러-나타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것이 바람직하게 사용될 수 있고, 에틸렌과 1-부텐, 1-헥센, 1-옥텐 등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1-부텐, 1-헥센 또는 1-옥텐의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용융지수(190℃, 2.16 kg 하중)가 1 내지 3.5 g/10min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2 내지 3 g/10min일 수 있다. 메탈로센 촉매를 사용하여 제조된 공중합체를 적용하거나, 에틸렌과의 공중합되는 공단량체로 탄소수 4 내지 10 이외의 α-올레핀을 사용하여 제조된 공중합체를 적용하거나, 용융지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축연신 성형이 어려울 수도 있다. (B) 공중합체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기상법, 솔루션법, 슬러리법 등 어느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 공중합체는 최종 필름이 더욱 넓은 온도 범위에서 이축 연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녹는점 온도가 120 내지 130℃, 결정화 온도가 110 내지 115℃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에 따라 연신 공정 온도 108 내지 128℃의 넓은 온도 범위에서 이축연신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B) 공중합체는 전체 수지 조성물 중에 60 내지 98 중량% 함량으로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65 내지 80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B) 공중합체 함량이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역시 이축연신 성형이 어렵고, 60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필름의 인장강도가 현저히 저하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C) 공중합체는 최종 필름의 인장강도 향상과 함께 연신가공성 및 색상 개선을 위해 혼합되는 고밀도 폴리에틸렌으로서, 밀도가 0.940 내지 0.970 g/㎤이고, 바람직하게는 0.950 내지 0.960 g/㎤일 수 있다. 밀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축연신 성형이 어렵다.
또한 상기 (C) 공중합체는 에틸렌과 1-부텐, 1-헥센, 1-옥텐 등의 α-올레핀과의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에틸렌과 1-부텐 또는 1-헥센의 공중합체가 사용될 수 있으며, 용융지수(190℃, 2.16 kg 하중)가 0.2 내지 2.5 g/10min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 g/10min일 수 있다. 에틸렌과의 공중합되는 공단량체로 탄소수 4 내지 10 이외의 α-올레핀을 사용하여 제조된 공중합체를 적용하거나, 용융지수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이축연신 성형이 어려울 수도 있다. (C) 공중합체의 중합 방법은 특별히 한정하지 않으며, 기상법, 솔루션법, 슬러리법 등 어느 방법으로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C) 공중합체는 연신 공정에서 필름의 강성을 유지하여 성형성을 더욱 개선시키고, 최종 이축연신 필름의 기계적 물성을 극대화하기 위해 녹는점 온도가 13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 내지 140℃일 수 있고, 결정화 온도가 115 내지 125℃일 수 있다.
상기 (C) 공중합체는 전체 수지 조성물 중에 1 내지 10 중량% 함량으로 포함되고,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 함량으로 포함될 수 있다. (C) 공중합체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다량의 결정성 분자로 인해 연신 공정에서 연신이 불가하여 파단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A) 공중합체, (B) 공중합체 및 (C) 공중합체의 혼합에 따라 최종 수지 조성물의 용융지수(190℃, 2.16 kg 하중)는 1 내지 3 g/10min,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5 g/10min일 수 있고, 밀도는 0.900 내지 0.940 g/㎤, 바람직하게는 0.925 내지 0.935 g/㎤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조성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이 이축배향 필름으로 성형 시 CFC(Cross-Fractionation Chromatography, 교차 분별 크로마토그래피)를 이용한 a-TREF(Analytical Temperature rising elution fractionation) 분석에 따른 일정한 분획 특성을 가질 때 원활한 성형성을 보이면서 만족스러운 강도 특성이 구현되고, 더 넓은 온도 범위에서 이축 연신이 가능하고 두께 평활도 및 투명도가 향상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수지 조성물은 전술한 바와 같이, a-TREF 분석을 통해 35℃ 이하의 온도에서 분획되는 분자중량물이 5 내지 20 중량%, 94℃ 이상의 온도에서 분획되는 분자중량물이 5 내지 20 중량%이고, 바람직하게는 35℃ 이하의 온도에서 분획되는 분자중량물이 10 내지 20 중량%, 94℃ 이상의 온도에서 분획되는 분자중량물이 5 내지 15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a-TREF 분석법을 통한 온도-분자중량물 곡선은 온도 상승 용리 분획법으로서, 희석제에 의해 녹는점이 내려가는 현상을 표현한 Flory Huggins의 통계 열역학 식(하기 수학식 1 참조)에 기본을 두고 있다.
[수학식 1]
수학식 1에서, Tm은 순수 고분자의 녹는점 온도, Tm 0은 희석된 고분자의 녹는점 온도, R은 기체상수, ΔHu는 고분자의 반복 단위당 융해열량, NA는 희석제의 몰 분율이다.
용매 또는 공단량체를 고분자의 희석제라고 할 수 있는데, 폴리올레핀의 결정화 온도는 희석제의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게 된다. TREF 실험은 시료를 녹여 고온 상태로 컬럼에 주입한 후 서서히 온도를 낮춰 시료의 결정화를 유도하는 것이 필요하며, 온도를 낮춰 고분자가 컬럼 내에서 침전이 되면 다시 승온 과정에 따라 서서히 컬럼의 온도를 높이면서 컬럼 내 침전되어 있던 고분자가 온도에 따라 용출되는 시료를 분석하는 것으로, 각 온도에서 용출되는 분자중량물을 구분하게 된다(도 1 참조).
본 발명에 따른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에는 다양한 용도로 적용되기 위해 일반적인 폴리에틸렌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으며, 예컨대, 산화방지제, 열 및 광 안정제, 대전방지제, 윤활제, 블로킹 방지제, 방부제, 가공조제, 슬립제, 점착방지제, 안료, 난연제, 발포제 등을 적당량 첨가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당 업계에 알려진 통상의 방법에 따라 상기 성분들을 혼합 및 압출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성분들을 2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용융 혼련하여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에 따른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은 이축연신 성형이 가능하고, 우수한 연신 특성을 나타내며, 구체적으로 하기 조건에서 측정된 종방향 및 횡방향의 인장강도가 각각 700 kgf/㎠ 이상, 횡방향의 인장강도의 경우 바람직하게는 950 kgf/㎠ 이상일 수 있고, 연신 두께 편차가 15% 이하,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일 수 있고, 흐림도가 10% 이하, 바람직하게는 8% 이하일 수 있다.
[측정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속도 400 m/min, 종방향(MD) 연신비 5배 및 연신온도 112 내지 128℃, 횡방향 연신비 9배 및 연신온도 108 내지 116℃ 조건으로 필름 두께 20 ㎛, 필름 폭 8 m인 이축연신 필름을 제조하고, 이축연신 필름 시편에 대하여 ASTM D882의 규정에 따라 인장시험기(모델명 : Instron, 4466)를 이용하여 로드 셀(Load cell) 100 N 및 시험속도 500 mm/min 조건으로 인장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조된 필름을 1 m 길이로 재단하여 8분할 된 임의 지점에서 두께를 측정하여 연신 전 두께 대비 편차를 구하고 이를 평균하여 연신 두께 편차를 측정하고, 상기 시편에 대하여 ASTM D1003의 규정에 따라 Haze meter(모델명 : Nippon Denshoku, NDH5000)를 이용하여 연신 필름의 헤이즈(Haze)를 측정함.
이하, 구체적인 실시예 및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밀도, 용융 지수 및 CFC 분석은 하기 방법에 따라 측정되었다.
[측정 방법]
(1) 밀도
ASTM D1505에 준하여 측정하였다.
(2) 용융지수(MI, Melt Index)
ASTM D1238에 준하여 190℃ 및 2.16 kg 하중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3) CFC(Cross-Fractionation Chromatography, 교차 분별 크로마토그래피) 를 이용한 a-TREF 분석
CFC 분석은 스페인 발렌시아 소재 Polymer Char로부터의 CFC 기구 상에서 수행하였다. 기구에는 제1 차원에는 TREF 컬럼, 제2 차원에는 GPC 컬럼 세트, GPC 컬럼의 하류에는 적외선 검출기(Polyemr Char로부터의 IR4)가 포함된다. 분석하고자 하는 샘플을 80분 동안 150℃에서 교반시켜 약 2.5 mg/㎖ 농도로 1,2,3-트리클로로벤젠에 용해시켰다. 상기 용액을 TREF 컬럼 중앙에 로딩하고, 100℃에서 45분간 안정화시킨 후 35℃로 천천히(0.5 ℃/분) 냉각시켜 폴리머를 결정화시켰다. 이후 10분 동안 저온 유지 후, 가용성 분획을 GPC 컬럼에 주입했다. 1 ㎖/분, 140℃ 이하의 컬럼 온도 및 "중첩 GPC 주입" 모드로, 용매 1,2,4-트리클로로벤젠을 사용하여 모든 GPC 분석을 수행하였다.
(4) 열적 특성
시차 주사 열량계(상표명 DSC, 퍼킨-엘머 컴퍼니(Perkin-Elmer Co.) 제조)를 사용하여 질소가스 대기 하에 220℃에서 5분 동안 시험편 10 mg을 예비 용융시킨 후, 온도를 5 ℃/min의 감온 속도로 -100℃까지 강하시킨다. 그 후, 온도를 10 ℃/min의 승온 속도로 200℃까지 상승시키고, 승온 속도와 동일하게 감온 속도로 냉각시키면서 유리전이온도(Tg), 녹는점 온도(Tm) 및 결정화 온도(Tc)를 확인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
표 1 및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조성물을 준비하되, 공중합체 혼합 조성(실시예 1 내지 5, 비교예 2, 3, 5 및 6)의 경우 해당 조합의 공중합체를 2축 압출기에 투입하여 180 내지 220℃ 조건에서 용융 혼련하여 펠렛상의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비교예 1 및 4의 경우 혼합 과정 없이 별도로 준비하였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에 따라 제조된 조성물에 대하여 TREF를 이용하여 온도상승 용리 분별로 분석한 온도-용리분별 곡선을 각각 도 2 및 도 3에 나타내었다.
실험예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속도 400 m/min, 종방향(MD) 연신비 5배 및 연신온도 112 내지 128℃, 횡방향 연신비 9배 및 연신온도 108 내지 116℃ 조건으로 필름 두께 20 ㎛, 필름 폭 8 m인 이축연신 필름을 제조하고, 이축연신 필름 시편에 대하여 ASTM D882의 규정에 따라 인장시험기(모델명 : Instron, 4466)를 이용하여 로드 셀(Load cell) 100 N 및 시험속도 500 mm/min 조건으로 인장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조된 필름을 1 m 길이로 재단하여 8분할 된 임의 지점에서 두께를 측정하여 연신 전 두께 대비 편차를 구하고 이를 평균하여 연신 두께 편차를 측정하고, 상기 시편에 대하여 ASTM D1003의 규정에 따라 Haze meter(모델명 : Nippon Denshoku, NDH5000)를 이용하여 연신 필름의 헤이즈(Haze)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연신 두께 편차는 연신가공성을 나타내는 지표로서, 두께 편차 10% 이하의 경우 '◎', 15% 이하의 경우 '○', 15% 초과의 경우 '△', 파단된 경우 'X'로 표시하였다.
표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라 일정 범위의 용융지수 및 밀도를 가지고, 나아가, 일정 범위의 유리전이온도, 녹는점 온도 또는 결정화 온도를 가지고, 특정 공단량체를 이용하여 제조된 (A)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B)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및 (C)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혼합된 수지 조성물로서, 일정 범위의 TREF 중량분율을 나타내는 수지 조성물로 제조된 필름의 경우(실시예 1 내지 5) 더욱 넓은 온도 범위에서 이축연신이 가능하고, 두께 평활도 및 색상 특성이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에 대하여 표 2를 참조하면, (B)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 단독의 경우(비교예 1 및 4) 연신 시 파단이 발생하거나 두께 편차가 15%를 초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목적하는 TERF 중량분율을 벗어나 이축연신 특성이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C) 고밀도 폴리에틸렌이 혼합되지 않거나(비교예 2), (A) 초저밀도 폴리에틸렌이 혼합되지 않은 경우(비교예 3)에도 역시 연신 시 파단이 발생하거나 두께 편차가 15%를 초과하는 문제점이 있으며, 목적하는 TERF 중량분율을 벗어나 이축연신 특성이 저조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A) 내지 (C) 공중합체가 모두 혼합되더라도 (C) 고밀도 폴리에틸렌 함량이 과도할 경우(비교예 5) 다량의 결정성 분자로 인해 연신 공정에서 연신이 불가하여 파단이 발생하고, (A) 초저밀도 폴리에틸렌 함량이 과도할 경우(비교예 6) 다량의 저결정성 분자로 인해 기계적 물성이 저하되어 최종 인장강도가 저하되어 실제 제품으로 적용이 어려운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범위 및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6)

  1. a-TREF(Analytical Temperature rising elution fractionation) 분석을 통해 35℃ 이하의 온도에서 분획되는 분자중량물이 5 내지 20 중량%이고, 94℃ 이상의 온도에서 분획되는 분자중량물이 5 내지 20 중량%인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A) 밀도가 0.860 내지 0.910 g/㎤인, 에틸렌과 탄소수 4 내지 10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1 내지 30 중량%;
    (B) 밀도가 0.925 g/㎤ 이상 0.940 g/㎤ 미만인, 에틸렌과 탄소수 4 내지 10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60 내지 98 중량%; 및
    (C) 밀도가 0.940 내지 0.970 g/㎤인 에틸렌과 탄소수 4 내지 10의 올레핀과의 공중합체 1 내지 10 중량%;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A) 공중합체는 용융지수(190℃, 2.16 kg 하중)가 0.2 내지 6 g/10min이고, 상기 (B) 공중합체는 용융지수(190℃, 2.16 kg 하중)가 1 내지 3.5 g/10min이고, 상기 (C) 공중합체는 용융지수(190℃, 2.16 kg 하중)가 0.2 내지 2.5 g/10min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A) 공중합체는 유리전이온도(Tg)가 -50 내지 -45℃이고, 상기 (B) 공중합체는 녹는점 온도(Tm)가 120 내지 130℃ 및 결정화 온도(Tc)가 110 내지 115℃이고, 상기 (C) 공중합체는 녹는점 온도(Tm)가 130 내지 140℃ 및 결정화 온도(Tc)가 115 내지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용융지수(190℃, 2.16 kg 하중)가 1 내지 3 g/10min이고, 밀도가 0.920 내지 0.940 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조성물은 하기 조건에서 측정된 종방향 및 횡방향의 인장강도가 각각 700 kgf/㎠ 이상이고, 연신 두께 편차가 15% 이하이고, 흐림도가 1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측정방법]
    상기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성형속도 400 m/min, 종방향(MD) 연신비 5배 및 연신온도 112 내지 128℃, 횡방향 연신비 9배 및 연신온도 108 내지 116℃ 조건으로 필름 두께 20 ㎛, 필름 폭 8 m인 이축연신 필름을 제조하고, 이축연신 필름 시편에 대하여 ASTM D882의 규정에 따라 인장시험기(모델명 : Instron, 4466)를 이용하여 로드 셀(Load cell) 100 N 및 시험속도 500 mm/min 조건으로 인장강도를 측정하고, 상기 제조된 필름을 1 m 길이로 재단하여 8분할 된 임의 지점에서 두께를 측정하여 연신 전 두께 대비 편차를 구하고 이를 평균하여 연신 두께 편차를 측정하고, 상기 시편에 대하여 ASTM D1003의 규정에 따라 Haze meter(모델명 : Nippon Denshoku, NDH5000)를 이용하여 연신 필름의 헤이즈(Haze)를 측정함.
KR1020220065423A 2022-05-27 2022-05-27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20230165538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423A KR20230165538A (ko) 2022-05-27 2022-05-27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PCT/KR2023/002563 WO2023229155A1 (ko) 2022-05-27 2023-02-22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65423A KR20230165538A (ko) 2022-05-27 2022-05-27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65538A true KR20230165538A (ko) 2023-12-05

Family

ID=88919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65423A KR20230165538A (ko) 2022-05-27 2022-05-27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30165538A (ko)
WO (1) WO2023229155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6585B1 (ko) * 1997-06-30 2002-10-04 주식회사 엘지화학 재사용 및 재활용이 가능한 초박형 폴리에틸렌블로우 제품
GB0016153D0 (en) * 2000-06-30 2000-08-23 Borealis Tech Oy Process
JP4748346B2 (ja) * 2000-10-17 2011-08-1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ストレッチラベル
US7135526B2 (en) * 2001-06-22 2006-11-14 Univation Technologies, Llc Very low density polyethylene and high density polyethylene blends
BR102015027108B1 (pt) * 2014-10-27 2021-01-12 China Petroleum & Chemical Corporation composição de polietileno, e, películ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229155A1 (ko) 2023-1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3044B1 (en) Film with high impact strength
US4960820A (en) Compositions and articles using high melt flow poly-1-butene and polypropylene blends
US5189106A (en) Polyethylene composition
JP6141837B2 (ja)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に適したポリエチレンブレンド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れから作製されるフィルム
CA1239723A (en) Film of polymer mixture containing 4-methyl-1-pentene polymer
JP2015524489A (ja)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に適したポリエチレン混合組成物およびそれから作製されるフィルム
CA2617251A1 (en) Polypropylene resin composition, film or sheet, stretched film obtained from the film or the sheet, laminate and stretched film obtained from the laminate
KR20060021353A (ko) 에틸렌 중합체 블렌드로부터 제조된 필름층
JP6280545B2 (ja)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に適したポリエチレンブレンド組成物、及びそれから作製されるフィルム
JP5205340B2 (ja) ポリエチレン樹脂組成物およびそれよりなる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
KR101504434B1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EP1546254B1 (en) Polymer compositions for extrusion coating
US6998441B2 (en) Polyethylene/low molecular weight hydrogenated aliphatic resin blends
WO2015101667A1 (en) Polymer blend: hdpe with ethylene-norbornene or propylene-norbornene copolymer
US20220396689A1 (en) Blends of virgin hdpe and post consumer recyclate hdpe and methods thereof
KR20220075523A (ko)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KR101762095B1 (ko)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EP3581611B1 (en) Polyethylene resin film
KR101634456B1 (ko)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제조하는 방법과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을 이용하여 제조된 필름
KR20230165538A (ko) 이축배향 필름용 폴리에틸렌 수지 조성물
WO2022106507A1 (en) Polyethylene film structures for safer collation-shrink films
US11787925B2 (en) Composition comprising polypropylene for injection stretch blow molding, methods of making and using the same
JP2000119451A (ja) インフレーションフィルム成形性の改良された樹脂組成物又はフィルム
JPH0649287A (ja) エチレン重合体組成物
JP3894822B2 (ja) 樹脂組成物及び延伸成形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