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9356B1 -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9356B1
KR102489356B1 KR1020207004151A KR20207004151A KR102489356B1 KR 102489356 B1 KR102489356 B1 KR 102489356B1 KR 1020207004151 A KR1020207004151 A KR 1020207004151A KR 20207004151 A KR20207004151 A KR 20207004151A KR 102489356 B1 KR102489356 B1 KR 1024893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quid crystal
glass plate
spacer
laminated glass
crystal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41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5410A (ko
Inventor
노리오 이시이
게이스케 미우라
유스케 하기와라
Original Assignee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이니폰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to KR10202370012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3707B1/ko
Publication of KR20200035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5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93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93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02F1/13394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spacers regularly patterned on the cell subtrate, e.g. walls,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67Variable transmission
    • B32B17/10495Variable transmission optoelectronic, i.e. optical valve
    • B32B17/10504Liquid crys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293Edge features, e.g. inserts or holes
    • B32B17/10302Edge seal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339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 B32B17/10348Specific part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being colored or tinted comprising an obscuration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165Functional features of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31Specific parts for the modulation of light incorporated into the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467Variable transmi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7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polyest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88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ethylene vinylacet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0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 B32B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 B32B3/08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form at particular places, e.g. in edge regions characterised by added members at particular parts spaced apart pieces on the surface of a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8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with constructional differences between the display region and the peripheral region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09Filters, e.g. light shielding masks
    • G02F1/133512Light shielding layers, e.g. black matr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5/00Condition, form or state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5/55Liquid cryst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iquid Crystal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액정 고임이나 공극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시일재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접합 유리를 제공한다. 접합 유리(1)는, 제1 유리판(33A)과, 제1 중간막(31A)과, 액정 필름(10)과, 제2 중간막(31B)과, 제2 유리판이, 이 순서로 적층 배치되어 있고, 제1 유리판(33A) 및 제2 유리판(33B)은, 액정 필름(10)보다 외형 형상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제1 유리판(33A)과 제2 유리판(33B)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이며, 또한 액정 필름(1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스페이서(32)가 배치되어 있다.

Description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은,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 들어 창에 첩부하여 외래 광의 투과를 제어하는 전자 블라인드 등에 이용 가능한 조광 부재가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이러한 조광 부재의 하나로, 액정을 이용한 것이 있다.
액정을 이용한 조광 부재로서의 액정 필름은, 투명 전극을 포함하는 투명 판재에 의해 액정 재료를 끼움 지지하여 액정 셀이 제조되고, 이 액정 셀을 직선 편광판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제작된다. 이 액정 필름은, 투명 전극 사이에 인가하는 전계를 변화시킴으로써 액정의 배향을 변화시켜, 외래 광의 투과량을 제어한다.
또한, 상술한 액정 필름을 다시 유리 사이에 끼워 넣어 접합 유리를 제조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3).
그러나 종래는 액정 필름을 끼워 넣은 접합 유리가 실제로 제조된 일이 없었다. 따라서, 단순히 중간막을 끼워 구성되는 종래의 접합 유리와 마찬가지의 방법을 그대로 적용한 것만으로는, 액정 필름을 끼워 넣은 접합 유리를 바르게 제조할 수 없는 경우가 있었다.
액정 필름을 끼워 넣은 접합 유리를 바르게 제조할 수 없는 경우로서, 액정 필름 내에 있어서의 액정이 일부에 많이 고여 버리는 현상(이하, 「액정 고임」이라고 칭함)이 있다. 또한, 접합 유리의 일부에 공극이 발생해 버리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액정 고임이나 공극이 존재하면, 불량품으로서 폐기할 수 밖에 없어, 개선이 요망되고 있다.
또한, 액정 필름은, 시일재에 의해 액정층을 밀봉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사용 환경에 따라서는, 시일재에 태양광이 조사됨으로써 시일재의 열화가 우려되는 경우가 있었다. 시일재가 열화되면, 액정층의 액정이 누출될 우려가 있어, 대책이 요망되고 있었다.
일본 특허 공개 평03-4739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평08-18427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16-164617호 공보
본 발명의 과제는, 액정 고임이나 공극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시일재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이하와 같은 해결 수단에 의해, 상기 과제를 해결한다. 또한,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대응하는 부호를 붙여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발명은, 제1 유리판(33A)과, 제1 중간막(31A)과, 액정 필름(10)과, 제2 중간막(31B)과, 제2 유리판(33B)이, 이 순서로 적층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액정 필름(10)은, 액정층(14)과, 상기 액정층(14)을 밀봉하고, 상기 액정층(1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시일재(25)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유리판(33A) 및 상기 제2 유리판(33B)은, 상기 액정 필름(10)보다 외형 형상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리판(33A)과 상기 제2 유리판(33B)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이며, 또한 상기 액정 필름(1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스페이서(32)가 배치되어 있고, 평면으로 보아, 상기 시일재(25)의 외측이, 상기 스페이서(32)로 둘러싸여 있는 접합 유리(1)이다.
제2 발명은, 제1 발명에 기재된 접합 유리(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2)는, 상기 액정 필름(10)의 외주를 전체 둘레로 둘러싸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1)이다.
제3 발명은, 제1 발명에 기재된 접합 유리(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2)의 높이 쪽은 상기 액정 필름(10)의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1)이다.
제4 발명은, 제1 발명에 기재된 접합 유리(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2)는, 상기 액정 필름(10)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1)이다.
제5 발명은, 제1 발명에 기재된 접합 유리(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2)는, 상기 액정 필름(10)과의 사이에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1)이다.
제6 발명은, 제5 발명에 기재된 접합 유리(1)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2)와 상기 액정 필름(10) 사이에는, 상기 제1 중간막(31A) 및 상기 제2 중간막(31B) 중 적어도 한쪽이 부분적으로 들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1)이다.
제7 발명은, 액정 필름(10)을 제1 유리판(33A)과 제2 유리판(33B) 사이에 끼운 적층체(30)를 사용한 접합 유리(1)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액정 필름(10)은, 액정층(14)과, 상기 액정층(14)을 밀봉하고, 상기 액정층(1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시일재(25)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유리판(33A) 및 상기 제2 유리판(33B)은, 상기 액정 필름(10)보다 외형 형상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리판(33A)과 상기 제2 유리판(33B)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이며, 또한 상기 액정 필름(1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평면으로 보아, 상기 시일재(25)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스페이서(32)를 배치하는 스페이서 배치 공정과, 상기 스페이서(32)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리판(33A)과 상기 제2 유리판(33B) 중 적어도 한쪽의 판면으로 가압하는 가압 공정을 구비하는 접합 유리(1)의 제조 방법이다.
제8 발명은, 제7 발명에 기재된 접합 유리(1)의 제조 방법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32)의 높이 쪽은 상기 액정 필름(10)의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1)의 제조 방법이다.
제9 발명은, 제1 유리판(33A)과, 제1 중간막(31A)과, 액정 필름(10)과, 제2 중간막(31B)과, 제2 유리판(33B)이, 이 순서로 적층 배치되어 있고, 상기 액정 필름(10)은, 액정을 밀봉하는 시일재(25)를 주위에 갖고 있고, 상기 시일재(25)에 도달하는 외부로부터의 광을 차광하는 차광부(70A, 70B, 70C, 70D)를 당해 접합 유리(1A, 1B, 1C, 1D)의 외주를 따라 구비하는 접합 유리(1A, 1B, 1C, 1D)이다.
제10 발명은, 제9 발명에 기재된 접합 유리(1A)에 있어서, 사용 상태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70A)는, 당해 접합 유리(1A)의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시일재(25)보다 내측의 위치까지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액정 필름(10)과 상기 제1 유리판(33A)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1A)이다.
제11 발명은, 제9 발명에 기재된 접합 유리(1B)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70A, 70B)는, 당해 접합 유리(1B)의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시일재(25)보다 내측의 위치까지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액정 필름(10)과 상기 제1 유리판(33A)의 사이가 되는 위치, 및 상기 액정 필름(10)과 상기 제2 유리판(33B)의 사이가 되는 위치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1B)이다.
제12 발명은, 제9 발명에 기재된 접합 유리(1C)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70C)는, 당해 접합 유리(1C)의 단부면을 덮고, 또한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시일재(25)보다 내측의 위치까지 당해 접합 유리(1C)를 끼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1C)이다.
제13 발명은, 제9 발명에 기재된 접합 유리(1D)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70A, 70B, 70D)는, 당해 접합 유리(1D)의 단부면을 덮고, 또한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시일재(25)보다 외측의 위치까지 당해 접합 유리(1D)를 끼워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액정 필름(10)과 상기 제1 유리판(33A)의 사이가 되는 위치, 및 상기 액정 필름(10)과 상기 제2 유리판(33B)의 사이가 되는 위치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1D)이다.
제14 발명은, 제9 발명에 기재된 접합 유리(1A, 1B, 1C, 1D)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판(33A) 및 상기 제2 유리판(33B)은, 상기 액정 필름(10)보다 외형 형상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리판(33A)과 상기 제2 유리판(33B)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이며, 또한 상기 액정 필름(1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스페이서(32)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1A, 1B, 1C, 1D)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액정 고임이나 공극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시일재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는 접합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적층체(30)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액정 필름(10)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접합 유리(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적층체 배치 공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는 접합 유리(1)의 제조 과정에서 구성되는 적층체 지지 구조물(5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6은 진공 라미네이터에 의한 프리 라미네이트 가공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7은 가압 공정에 있어서의 실리콘 고무 시트(64)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스페이서(32)와 액정 필름(10)의 높이의 관계가 프리 라미네이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실험 결과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9는 스페이서(32)의 재료가 프리 라미네이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실험 결과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10a는 PVB 중간막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서(32)의 형상과 배치가 프리 라미네이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실험 결과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10b는 PET 기재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서(32)의 형상과 배치가 프리 라미네이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실험 결과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11은 형태 1-1의 스페이서(32)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형태 1-2의 스페이서(32)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형태 1-3의 스페이서(32)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형태 1-4의 스페이서(32)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형태 1-5의 스페이서(32)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6은 형태 1-6의 스페이서(32)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은 형태 1-7의 스페이서(32)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스페이서(32)의 점유율이 프리 라미네이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실험 결과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각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A)가 프레임(F)에 설치된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B)가 프레임(F)에 설치된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2는 제4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C)의 단부 부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3은 제5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D)의 단부 부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형태에 대해 도면 등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 실시 형태)
도 1은, 본 실시 형태의 적층체(30)의 구성을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1을 포함하여, 이하에 나타내는 각 도면은,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며, 각 부의 크기, 형상은,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적절하게 과장하여 도시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수치, 형상, 재료 등을 나타내어 설명을 행하지만, 이들은 적절하게 변경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형상이나 기하학적 조건을 특정하는 용어, 예를 들어 평행이나 직교 등의 용어에 대해서는, 엄밀하게 의미하는 것에 더하여, 마찬가지의 광학적 기능을 발휘하고, 평행이나 직교라고 간주할 수 있을 정도의 오차를 갖는 상태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판, 시트, 필름 등의 용어를 사용하고 있지만, 이들은, 일반적인 사용 방법으로서, 두께가 두꺼운 순으로, 판, 시트, 필름의 순으로 사용되고 있고, 본 명세서 내에서도 그것에 따라서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이 구분하여 사용하는 것에는 기술적인 의미는 없으므로, 이들 문언은, 적절하게 치환할 수 있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 내에 있어서, 시트면이란, 각 시트에 있어서, 그 시트 전체적으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시트의 평면 방향이 되는 면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다. 또한, 판면, 필름면에 관해서도 마찬가지인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 투명이란, 적어도 이용하는 파장의 광을 투과하는 것을 말한다. 예를 들어, 가령 가시광을 투과하지 않는 것이라고 하더라도, 적외선을 투과하는 것이면, 적외선 용도에 사용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투명으로서 취급하는 것으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규정하는 구체적인 수치에는, 일반적인 오차 범위는 포함하는 것으로서 취급해야 한다. 즉, ±10% 정도의 차이는, 실질적으로는 차이가 없는 것이며, 본건의 수치 범위를 근소하게 초과한 범위로 수치가 설정되어 있는 것은, 실질적으로는, 본건 발명의 범위 내의 것이라고 해석해야 한다.
본 실시 형태의 설명 중에서는, 접합 유리(1)의 각 구성 부재가 적층 배치되어 있는 것을 적층체(30)라고 칭한다. 적층체(30)는, 접합 유리(1)의 각 부재가 접합되기 전의 상태를 가리키고 있으므로, 구성 자체는, 접합 유리(1)와 동등하다. 따라서, 도 1의 분해 사시도는, 접합 유리(1)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기도 하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체(30)는, 제1 유리판(33A)과, 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와, 액정 필름(10)과,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와, 제2 유리판(33B)이, 이 순서로 적층 배치되어 있다. 또한, 액정 필름(10)과 동일 평면이 되는 위치에는, 스페이서(32)와, 경사 완화 부재(34)가 배치되어 있다.
도 2는, 실시 형태의 액정 필름(10)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액정 필름(10)은, 접합 유리로서 구성되어 조광을 도모할 부위에 사용된다. 조광을 도모할 부위란, 예를 들어 차량의 외광이 입사하는 부위(리어 윈도우, 사이드 윈도우, 선루프 등), 건축물의 창유리, 쇼케이스, 옥내의 투명 파티션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액정 필름(10)은, 액정을 이용하여 투과광을 제어하는 조광 부재이며, 필름형의 액정용 제2 적층체(13) 및 액정용 제1 적층체(12)에 의해 액정층(14)을 끼움 지지하여 액정 셀(15)이 제조되고, 이 액정 셀(15)을 직선 편광판(16, 17)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제작된다.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정층(14)의 구동에는, VA(Vertical Alignment) 방식이 채용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TN(Twisted Nematic) 방식, IPS(In-Plane-Switching) 방식 등, 다양한 구동 방식을 적용할 수 있다.
또한, VA 방식은, 액정의 배향을 수직 배향과 수평 배향으로 변화시켜 투과광을 제어하는 방식이며, 무전계 시, 액정을 수직 배향시킴으로써, 액정층(14)을 수직 배향층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액정 셀(15)이 구성되고, 전계의 인가에 의해 액정 재료를 수평 배향시키도록 구성된다.
액정 필름(10)에는, 액정층(14)의 두께를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액정 내 스페이서(24)가 액정용 제1 적층체(12) 및/또는 액정용 제2 적층체(13)에 마련된다.
액정용 제1 적층체(12) 및 액정용 제2 적층체(13)는, 각각 기재(21A, 21B)에 제1 전극(22A), 제2 전극(22B), 배향층(23A, 23B)을 순차 제작하여 형성된다. 또한 액정 필름(10)은, 게스트 호스트 방식의 액정 셀을 구비한 구성으로 해도 되고, 이 경우, 직선 편광판은 생략할 수 있다. 또한, 게스트 호스트 방식의 경우에, 직선 편광판은, 필요에 따라서 액정 셀의 한쪽, 또는 양쪽에 배치해도 된다.
액정 필름(10)은, 제1 전극(22A)과 제2 전극(22B) 사이의 전위차를 변화시킴으로써 외래 광의 투과를 제어하여, 투명 상태와 비투명 상태로 상태를 전환하도록 구성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층(14)의 구동은, 이른바 노멀리 블랙의 구성을 사용하여 구동하는 예에 대해 설명하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노멀리 화이트의 구성으로 구동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IPS 방식을 채용하는 경우, 제1 전극(22A) 및 제2 전극(22B)은, 배향층(23A)측 또는 배향층(23B)측 중 어느 쪽으로 합쳐져 구성되고, 이것에 대응하도록 액정용 제1 적층체(12) 및 액정용 제2 적층체(13)가 구성되게 된다.
또한, 노멀리 블랙이란, 액정에 전압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에 투과율이 최소가 되어, 검은 화면이 되는 구조이다. 노멀리 화이트란, 액정에 전압이 가해지지 않았을 때에 투과율이 최대가 되어, 투명해지는 구조이다.
[기재]
기재(21A, 21B)는, 액정 셀(15)에 적용 가능한 가요성을 갖는 TAC, 폴리카, COP, 아크릴, PET 등, 각종 투명 필름재를 적용할 수 있고, 이 실시 형태에서는, 양면에 하드 코팅층이 형성된 폴리카르보네이트의 필름재가 적용된다.
[전극]
제1 전극(22A) 및 제2 전극(22B)은, 액정층(14)에 전계를 인가 가능하며, 투명하다고 느껴지는 다양한 구성을 적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전극(22A) 및 제2 전극(22B)은, 투명 전극재인 ITO(Indium Tin Oxide)에 의한 투명 도전막을 기재(21A, 21B)의 전체면에 제조하여 형성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IPS 방식 등에 있어서는, 전극은 원하는 형상으로 패터닝된 구성이 된다.
[배향층]
배향층(23A) 및 배향층(23B)은, 광 배향층에 의해 형성된다. 광 배향층에 적용 가능한 광 배향 재료는, 광 배향 방법을 적용 가능한 각종 재료를 널리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예를 들어 광 이량화형 재료를 사용한다. 이 광 이량화형 재료에 대해서는, 「M. Schadt, K. Schmitt, V. Kozinkov and V. Chigrinov : Jpn. J. Appl. Phys., 31, 2155(1992)」, 「M. Schadt, H. Seiberle and A. Schuster : Nature, 381, 212(1996)」 등에 개시되어 있다.
배향층(23A) 및 배향층(23B)은, 광 배향층 대신에, 러빙 처리에 의해 제조해도 된다. 이 경우, 배향층(23A, 23B)은, 폴리이미드 등의 배향층에 적용 가능한 각종 재료층을 제조한 후, 이 재료층의 표면에 러빙 롤을 사용한 러빙 처리에 의해 미세한 라인형 요철 형상을 제조하여 형성된다.
또한, 배향층(23A) 및 배향층(23B)은, 이러한 러빙 처리에 의한 배향층, 광 배향층 대신에, 러빙 처리에 의해 제조한 미세한 라인형 요철 형상을 부형 처리에 의해 제조하여 배향층을 제조해도 된다.
[액정 내 스페이서]
액정 내 스페이서(24)는, 액정층(14)의 두께를 규정하기 위해 마련되고, 각종 수지 재료를 널리 적용할 수 있지만,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포토레지스트에 의해 제조된다. 액정 내 스페이서(24)는, 제2 전극(22B)이 형성된 기재(21B) 상에, 포토레지스트를 도공하여 노광, 현상함으로써 형성된다. 또한 액정 내 스페이서(24)는, 액정용 제1 적층체(12)에 마련하도록 해도 되고, 액정용 제1 적층체(12) 및 액정용 제2 적층체(13)의 양쪽에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액정 내 스페이서(24)는, 배향층(23B) 상에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스페이서는, 이른바 비즈 스페이서를 적용해도 된다. 비즈 스페이서는, 구 형상뿐만 아니라, 로드 형상(원통 형상)이나, 타원 구 형상 등의 형상을 사용해도 된다.
액정 내 스페이서(24)에 비즈 스페이서를 사용하는 경우, 비즈 스페이서는, 배향층을 형성한 후에, 배향층 상에 살포됨으로써 배치된다. 이 경우, 액정층(14) 내(배향층 상)에 있어서의 비즈 스페이서의 이동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비즈 스페이서의 표면에 점착제 등에 의해 형성되는 고착층을 마련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액정층(14) 내에 있어서의 비즈 스페이서의 이동을 억제한다는 관점에서, 배향층을 형성하는 수지에 비즈 스페이서를 미리 분산시켜 배향층의 형성과 함께 비즈 스페이서를 배치하도록 하거나, 액정층을 구성하는 액정 재료에 비즈 스페이서를 미리 분산시켜 액정층의 형성과 함께 비즈 스페이서를 배치하도록 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비즈 스페이서는, 상술한 포토레지스트의 스페이서와 마찬가지로, 제1 적층체 및 제2 적층체 중 어느 한쪽에 배치되도록 해도 되고, 또한 각 적층체의 각각에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액정층]
액정층(14)은, 이러한 종류의 조광 부재에 적용 가능한 각종 액정 재료를 널리 적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정층(14)에는, 중합성 관능기를 갖고 있지 않은 액정 화합물로서, 네마틱 액정 화합물, 스메틱 액정 화합물 및 콜레스테릭 액정 화합물을 적용할 수 있다.
네마틱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비페닐계 화합물, 터페닐계 화합물, 페닐시클로헥실계 화합물, 비페닐시클로헥실계 화합물, 페닐바이시클로헥실계 화합물, 트리플루오로계 화합물, 벤조산페닐계 화합물, 시클로헥실벤조산페닐계 화합물, 페닐벤조산페닐계 화합물, 바이시클로헥실카르복실산페닐계 화합물, 아조메틴계 화합물, 아조계 화합물, 및 아조옥시계 화합물, 스틸벤계 화합물, 톨란계 화합물, 에스테르계 화합물, 바이시클로헥실계 화합물, 페닐피리미딘계 화합물, 비페닐피리미딘계 화합물, 피리미딘계 화합물, 및 비페닐에틴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스메틱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폴리아크릴레이트계, 폴리메타크릴레이트계, 폴리클로로아크릴레이트계, 폴리옥시란계, 폴리실록산계, 폴리에스테르계 등의 강유전성 고분자 액정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콜레스테릭 액정 화합물로서는, 예를 들어 콜레스테릴리놀레이트, 콜레스테릴올리에이트, 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펩티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머크사 제조 MLC2166 등의 액정 재료를 적용할 수 있다. 또한, 게스트 호스트 방식에 의한 경우, 액정층(14)에는, 액정 재료와 조광에 제공하는 색소가 혼입되기는 하지만, 게스트 호스트 방식에 대해 제안되어 있는 액정 재료와 색소의 혼합물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액정 셀(15)은, 액정층(14)을 둘러싸도록, 시일재(25)가 배치되고, 이 시일재(25)에 의해 액정의 누출이 방지된다. 예를 들어, 도 1과 같이 액정 필름(10)이 사각형이고, 액정층(14)도 또한 사각형인 경우, 시일재(25)는, 액정층(14)의 외측에 틀 형상으로 배치된다. 여기서 시일재(25)는, 예를 들어 에폭시 수지, 자외선 경화성 수지 등을 적용할 수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
제1 전극(22A) 및 제2 전극(22B)과 외부의 전기적 접속을 행하기 위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18)이 배치되어 있다.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18)은, 예를 들어 도 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전극(22A) 및 제2 전극(22B)이 액정층(14)을 사이에 끼우고 있지 않은 영역에 있어서, 제1 전극(22A) 및 제2 전극(22B) 사이에 끼워져 배치됨으로써 접속할 수 있다. 또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18)은, 도 2에 도시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제1 전극(22A) 및 제2 전극(22B) 사이에 끼워져 있지 않은 형태로 해도 되고, 제1 전극(22A) 및 제2 전극(22B) 중 한쪽에만 접속하는 형태로 해도 된다.
도 1로 돌아가, 제1 유리판(33A) 및 제2 유리판(33B)은, 각각, 접합 유리(1)의 표리면에 배치되는 판유리이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유리판(33A) 및 제2 유리판(33B)은, 모두 두께 2㎜의 판유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1 유리판(33A) 및 제2 유리판(33B)은, 평판 유리로서 설명하지만, 곡면 유리나 3D 곡면으로 구성된 유리판이어도 된다. 또한, 제1 유리판(33A) 및 제2 유리판(33B)은, 액정 필름(10)보다 외형 형상이 크게 구성되어 있다.
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 및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PVB(폴리비닐부티랄) 수지제의, 두께 760㎛의 시트를 사용하고 있다. 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는, 제1 유리판(33A)과 액정 필름(10)을 접합시키고, 마찬가지로,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는, 제2 유리판(33B)과 액정 필름(10)을 접합시킨다. 접합 유리(1)가 완성된 상태에서는, 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 및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는, 각각, 제1 중간막 및 제2 중간막을 구성한다. 따라서, 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 및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는, 접합 유리(1)가 완성된 상태에서는, 각각, 제1 중간막(31A) 및 제2 중간막(31B)으로서 볼 수 있다.
또한, 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 및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의 소재로서는, EVA(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COP(시클로올레핀폴리머) 등을 사용해도 된다.
스페이서(32)는, 제1 유리판(33A)과 제2 유리판(33B)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이며, 또한 액정 필름(10)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32)는, 액정 필름(10)과 동일 평면이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액정 필름(10)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공극을 메울 수 있다. 스페이서(32)는, 액정 필름(10)보다 두께가 두꺼운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페이서(32)는, 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 및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와 동일 소재를 사용하여 구성하면, 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 및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와의 접합 강도를 높일 수 있다.
도 1에 예시한 형태에서는, 스페이서(32)는, 내측이 제거된 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외형 형상은 제1 유리판(33A) 및 제2 유리판(33B)과 동일하고, 내측의 제거된 형상은, 액정 필름(10)의 외형 형상과 동등하게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스페이서(32)는, 액정 필름(10)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공극을 남김없이 메우도록 배치되어 있게 된다.
스페이서(32)와 액정 필름(10)의 치수 관계와, 스페이서(32)의 소재와, 스페이서(32)의 형상 및 배치에 대한 상세는, 후술한다.
경사 완화 부재(34)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두께에 의해 발생하는 적층체(30)에 있어서의 제1 유리판(33A)과 제2 유리판(33B)의 상대적인 기울어짐을 완화시키는 부재이다. 경사 완화 부재(34)는,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필름(10)을 사이에 두고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18)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된다. 이 경사 완화 부재(34)의 배치 위치는 일례이며, 접합 유리(1)의 크기나 형상에 따라서, 최적의 위치에 배치하면 된다. 또한, 경사 완화 부재(34)는, 그 두께가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18)과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경사 완화 부재(34)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18)과 동일하거나, 또는 유사한 소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음으로, 접합 유리(1)의 제조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접합 유리(1)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는 흐름도이다.
도 4는, 도 3 중의 적층체 배치 공정을 보다 상세하게 나타낸 흐름도이다.
접합 유리(1)의 제조는, 스텝(이하, 단순히 「S」라고 나타냄) 10에서, 적층체 배치 공정을 행하는 것부터 개시한다. 이 적층체 배치 공정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S11에서는, 제2 유리판(33B)을 배치한다(제2 유리판 배치 공정). 또한, 후술하는 제2 덧댐판(41B)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제2 덧댐판(41B)을 배치한 후에, 제2 유리판(33B)을 배치한다.
S12에서는,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를 제2 유리판(33B) 상에 배치한다(제2 중간막 형성 시트 배치 공정).
S13에서는, 액정 필름(10)을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 상에 배치한다(액정 필름 배치 공정). 여기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필름(10)에 이미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18)이 접속되어 있으므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18)도 이 S13에서 배치된다(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 배치 공정).
S14에서는, 경사 완화 부재(34)를 상술한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다(경사 완화 부재 배치 공정).
S15에서는, 스페이서(32)를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 상이며, 또한 액정 필름(10)이 배치되어 있지 않은 위치에 배치한다. 또한, 스페이서(32)는,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18) 및 경사 완화 부재(34)와 겹쳐지지만, 이후의 가압 공정 등에 의해 스페이서(32)가 변형되므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그대로 겹쳐 있어도 지장은 없다.
S16에서는, 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를, 액정 필름(10) 및 스페이서(32) 상에 배치한다(제1 중간막 형성 시트 배치 공정).
S17에서는, 제1 유리판(33A)을 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 상에 배치한다(제1 유리판 배치 공정).
이상의 공정에 의해, 적층체(30)의 배치(가적층)가 완료된다.
도 5는, 접합 유리(1)의 제조 과정에서 구성되는 적층체 지지 구조물(50)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적층체(30)는, 각 구성 부재가 서로 고정되어 있지 않으므로, 그 상태로는 제조 과정에서 위치 어긋남이 발생하거나 할 우려가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는, 액정 필름(10)을 끼워 넣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는 점에서, 후술하는 가압 공정에서는, 제1 유리판(33A) 및 제2 유리판(33B)에 균등하게 압력을 가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0)를 제조 공정 중에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적층체 지지 구조물(50)을 구성한다.
본 실시 형태의 적층체 지지 구조물(50)은, 적층체(30)와, 제1 덧댐판(41A)과, 제2 덧댐판(41B)과, 지지체(43)를 구비하고 있다.
제1 덧댐판(41A) 및 제2 덧댐판(41B)은, 적층체(30)를 상하 사이에 끼워 넣도록 배치되는 부재이다. 본 실시 형태의 제1 덧댐판(41A) 및 제2 덧댐판(41B)은, 제1 유리판(33A) 및 제2 유리판(33B)과 동등하거나, 또는 그 이상의 두께의 유리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제1 덧댐판(41A) 및 제2 덧댐판(41B)은, 제1 유리판(33A) 및 제2 유리판(33B)보다 두께가 두꺼운 유리를 사용함으로써, 가압 시에 제1 유리판(33A) 및 제2 유리판(33B)이 휘는 것을 방지하는 것이 주 목적이다. 따라서, 제1 덧댐판(41A) 및 제2 덧댐판(41B)은, 유리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부재에 의해 구성해도 된다. 또한, 제1 유리판(33A) 및 제2 유리판(33B)의 강성이 충분히 높은 경우에는, 제1 덧댐판(41A) 및 제2 덧댐판(41B)을 생략해도 된다.
지지체(43)는, 적층체(30)의 외주를 따라 배치되는 틀 형상의 부재이다. 지지체(43)는, 후술하는 가압 공정에 있어서의 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 및 상기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보다 강성이 높은 재료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알루미늄제의 각재를 사용하고 있다.
또한, 지지체(43)의 높이는, 적층체(30)와, 제1 덧댐판(41A) 및 제2 덧댐판(41B)을 겹친 높이에 대해 적절한 범위 내(높이의 차가 소정값 내)에 있을 필요가 있다. 또한, 제1 덧댐판(41A) 및 제2 덧댐판(41B)을 사용하지 않고 접합 유리의 제조를 행하는 경우에는, 지지체(43)의 높이는, 적층체(30)의 높이와의 비교에 있어서, 적절한 범위 내일 필요가 있다.
또한, 지지체(43)는, 각각이 틀 형상으로 구성된 부재인 예를 나타냈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부분적으로 분해 가능한 구성으로서, 적층체(30)의 주위에 있어서의 착탈이 용이해지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도 3으로 돌아가, S20에서는, 적층체(30)의 주위에 지지체(43)를 배치한다(지지체 배치 공정).
S30에서는, 적층체의 내부를 진공 상태로 하는 진공 공정을 행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이 진공 공정과, 후술하는 가압 공정을, 진공 라미네이터에 의한 프리 라미네이트 가공이라고 불리는 방법에 의해 행한다.
도 6은, 진공 라미네이터에 의한 프리 라미네이트 가공의 개요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진공 라미네이터에 의한 프리 라미네이트 가공에서는, 제1 챔버(61A)와 제2 챔버(61B)의 두 공간을 구비한 압력 용기(61)를 사용한다. 제1 챔버(61A)와 제2 챔버(61B)의 경계에는, 실리콘 고무 시트(64)가 마련되어 있어, 제1 챔버(61A)와 제2 챔버(61B) 사이는 기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 챔버(61A)와 제2 챔버(61B)에는, 각각, 통기 구멍(62, 63)이 마련되어 있고, 외부의 에어 펌프에 각각이 독립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제1 챔버(61A)와 제2 챔버(61B)는, 각각의 공간을 독립적으로 감압하는 정도를 제어 가능하다. 또한, 제1 챔버(61A)의 저면에는 히터가 내장되어 있어, 제1 챔버(61A) 내의 피가공물을 가열할 수 있다.
이 S30에서는, 제1 챔버(61A) 내에 적층체 지지 구조물(50)을 배치하여, 제1 챔버(61A)와 제2 챔버(61B)의 양쪽을 진공 상태로 하여, 적층체 지지 구조물(50)에 잔류하는 공기를 제거한다. 본 실시 형태의 진공 공정은, 상온하에서 행하였다.
도 3으로 돌아가, S40에서는, 적층체 지지 구조물(50)째, 적층체(30)에 압력을 가한다(가압 공정). 여기서, 가압 공정은, 적층체(30)를 가열한 상태에서 행해진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적층체(30)를 적층체 지지 구조물(50)째 가열하였다. 또한, 가압 공정은, 0.5기압 이하의 압력에서 행해진다.
이 S40의 가압 공정은, S30의 진공 공정에 이어서 연속적으로 행해지고, 앞서 나타낸 압력 용기(61)의 제1 챔버(61A) 내에 적층체 지지 구조물(50)을 진공 상태로 둔 채 행해진다. 가압 공정에서는, 제1 챔버(61A)를 진공 상태로 유지하고, 또한 제2 챔버(61B) 내를 가압하여, 제1 챔버(61A)와 제2 챔버(61B)의 차압이 적층체(30)에 가할 압력과 일치하도록 조정한다. 예를 들어, 적층체(30)에 0.5기압을 가하는 경우에는, 제2 챔버(61B) 내의 흡인을 억제하거나 정지시키거나 하여, 0.5기압 상당의 공기가 제2 챔버(61B) 내로 유입되도록 한다.
도 7은, 가압 공정에 있어서의 실리콘 고무 시트(64)의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공기가 제2 챔버(61B)로 보내져, 압력이 제2 챔버(61B)로부터 제1 챔버(61A)로 가해지면, 이 압력에 의해 실리콘 고무 시트(64)가 제1 챔버(61A)를 향해 압박되어, 실리콘 고무 시트(64)는, 적층체 지지 구조물(50)에 밀착되고, 적층체 지지 구조물(50)에 대해서도 압력이 가해진다.
본 실시 형태의 가압 공정에서는, 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 및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의 Tg±10℃, 0.5기압의 상태를 유지하였다.
가압 공정이 종료되면, 접합 유리로서의 프리 라미네이트가 종료된다.
S50에서는, 오토클레이브 공정을 행한다. 이 오토클레이브 공정에서는, 프리 라미네이트가 종료된 적층체(30)를 오토클레이브용 압력 용기로 옮겨, 고압 고온 환경하에 적층체(30)를 소정 시간 두고, 접합 유리로서의 접합을 강화하여 강도를 높인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120℃, 8기압의 환경하에 프리 라미네이트 후(가압 공정 후)의 적층체(30)를 두고, 오토클레이브 공정으로 하였다. 오토클레이브 공정이 종료되면, 접합 유리(1)로서 완성된다. 또한, 필요에 따라서, 이하의 절제 공정을 행할 수도 있다.
S60에서는, 오토클레이브 공정이 완료된 적층체(30)(접합 유리(1))의 외주의 일부를 절제하는 절제 공정을 행한다. 또한, 이 절제 공정은, 행하지 않아도 된다.
다음으로, 스페이서(32)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8은, 스페이서(32)와 액정 필름(10)의 높이의 관계가 프리 라미네이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실험 결과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실험은, PVB 중간막을 소재로 하는 스페이서(32)의 높이로부터 액정 필름(10)의 높이를 뺀 값(높이의 차)을 변화시킨 실험이다. 다른 조건은, 상술한 조건으로 일정하게 하고 있다. 실험에 사용한 시험편(접합 유리)의 크기는, 한 변이 100㎜인 정사각형이다. 판정의 내용은, 액정의 치우침의 발생의 유무와, 액정 필름(10) 내의 기포의 발생의 유무와, 액정 필름(10)과 중간막(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 사이의 접착 상태이다. 또한, 기포의 발생이란, 여기서는, 기포라고 표현하고 있기는 하지만, 공간이 발생되어 있는 상태이며, 진공 상태인지, 기체가 포함되어 있는지는 따지지 않는다. 판정 결과의 "excellent"는, 액정의 치우침이 발생하지 않거나, 또는, 셀 내의 기포가 발생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고, "good"은, 복수 회의 실험에 있어서 매우 드물게 발생하는 것이며, "bad"는, 빈번하게 발생하는 것이다. 접착 상태에 관한 판정은, 오토클레이브 공정 후의 판정이며, 판정 결과의 "excellent"는, 양호한 접착 상태를 유지하고 있고, "good"은, 복수 회의 실험에 있어서 매우 드물게 접착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며, "bad"는, 빈번하게 접착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다.
또한, 도 8의 판정 결과를 포함하여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판정 결과 중에 있어서, "excellent", "good", "bad"의 판정 결과를 사용하지만,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상술한 기준으로 판정을 행하고 있다. 또한, 판정 결과가, "excellent" 및 "good"은, 제품으로서의 사용이 가능한 것이고, "bad"는, 제품으로서의 사용이 불가능한 것이다.
도 8의 결과로부터, 스페이서(32)의 높이(두께)는, 액정 필름(10)의 높이(두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스페이서(32)의 높이로부터 액정 필름(10)의 높이를 뺀 값(높이의 차)은, 0㎜ 이상, +0.9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스페이서(32)의 높이로부터 액정 필름(10)의 높이를 뺀 값(높이의 차)은, +0.12㎜가 바람직하다.
도 9는, 스페이서(32)의 재료가 프리 라미네이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실험 결과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9에 나타내는 실험은, 스페이서(32)의 재료를 변화시킨 실험이다. 다른 조건은, 상술한 조건으로 일정하게 하고 있다. 또한, 스페이서(32)의 높이로부터 액정 필름(10)의 높이를 뺀 값(높이의 차)은, +0.12㎜로 하였다.
실험에 사용한 스페이서(32)의 재료로서는, 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와 동일 재료의 PVB 중간막과, 이것과는 다른 중간막으로서 이용 가능한 EVA 중간막과, PET 기재와, COP 기재를 사용하였다.
도 9의 결과로부터, 상술한, PVB 중간막과, EVA 중간막과, PET 기재와, COP 기재 중 어느 재료라도, 액정의 치우침, 셀 내 기포, 셀과 중간막의 접착 중 어느 판정에 있어서도, "bad"의 판정 결과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제품에 있어서 스페이서(32)로서 사용할 수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PVB 중간막 또는 EVA 중간막을 스페이서(32)의 재료로서 사용하면 된다.
도 10a는, PVB 중간막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서(32)의 형상과 배치가 프리 라미네이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실험 결과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10a에 나타내는 실험은, 스페이서(32)의 형상과 배치를 변화시킨 실험이다. 다른 조건은, 상술한 조건으로 일정하게 하고 있다. 또한, 스페이서(32)의 높이로부터 액정 필름(10)의 높이를 뺀 값(높이의 차)은, +0.12㎜로 하였다.
도 10b는, PET 기재에 의해 형성된 스페이서(32)의 형상과 배치가 프리 라미네이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실험 결과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10b의 실험에서는, 재료가 다른 것 외에는, 상기 도 10a와 마찬가지인 조건으로 하였다.
스페이서(32)의 형상과 배치의 조합으로서, 도 10a 및 도 10b 중에 기재한 7 형태에 대해 실험을 행하였다. 이 형태를 도 11 내지 도 17에 도시하였다.
도 11은, 형태 1-1의 스페이서(32)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형태 1-1은,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필름(10)의 외주를 전체 둘레 둘러싸는 「ロ」자 형상의 스페이서(32)를 배치하는 형태이다.
도 12는, 형태 1-2의 스페이서(32)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형태 1-2는, 도 12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의 4개의 스페이서(32)를 배치하는 형태이다.
도 13은, 형태 1-3의 스페이서(32)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형태 1-3은, 도 1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의 2개의 스페이서(32)를, 액정 필름(1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두 변에 배치하는 형태이다.
도 14는, 형태 1-4의 스페이서(32)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형태 1-4는,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직선 형상의 1개의 스페이서(32)를 배치하는 형태이다.
도 15는, 형태 1-5의 스페이서(32)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형태 1-5는,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 형상의 2개의 스페이서(32)를 배치하는 형태이다.
도 16은, 형태 1-6의 스페이서(32)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형태 1-6은,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L자 형상의 1개의 스페이서(32)를 배치하는 형태이다.
도 17은, 형태 1-7의 스페이서(32)의 배치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형태 1-7은, 도 1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액정 필름(10)의 외주를 전체 둘레 둘러싸면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위치를 제외한 직사각 형상의 스페이서(32)를 배치하는 형태이다.
도 10a 및 도 10b의 결과로부터, 적어도 액정 필름(10)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두 변에 스페이서(32)를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32)는, 액정 필름(10)의 외주를 전체 둘레 둘러싸고 배치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a의 PVB 중간막의 경우에는, 형태 1-7과 같이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위치에서 겹치지 않게 하는 것보다, 스페이서(32)를 균등하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0b의 PET 기재의 경우에는, 가열해도 PET 기재가 변형되기 어렵다는 점에서,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18)의 위치에서 겹치지 않게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도 10a의 결과로부터, 형태 1-4 및 형태 1-6은, "bad"의 판정 결과를 포함하기 때문에 사용 불가능하지만, 그 밖의 형태에 대해서는, "bad"의 판정 결과를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제품으로서 사용 가능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접합 유리에 있어서의 중간막의 점유율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 점유율이란, 제1 유리판(33A)과 제2 유리판(33B)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에 있어서, 액정 필름(10) 및 스페이서(32)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면적 비율을 % 표시로 나타낸 것이다. 또한, 이 점유율의 값은, 프리 라미네이트를 행하기 전의 부재 치수에 있어서의 값으로 한다. 이상적으로는, 100%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100%로 하면, 치수 변동이나 조립 변동을 고려하면, 스페이서(32)가 액정 필름(10)과 겹쳐 배치되어 버릴 우려가 높아진다. 그래서 스페이서(32)가 액정 필름(10)과의 사이에 어느 정도의 간극을 마련하는 것이 좋을지, 점유율을 파라미터로 하여 조사하였다.
도 18은, 스페이서(32)의 점유율이 프리 라미네이트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실험 결과를 정리한 도면이다.
도 19는, 도 18의 각 형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또한, 도 19는, 배치 공정 직후의 상태, 즉, 각 층을 단순히 겹쳐 배치하였을 뿐인 상태이며, 아직 열을 가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각 층이 용융되거나 접합하거나 하지 않은 상태를, 설명을 위해 모식적으로 도시한 도면으로, 제조 후의 접합 유리(1)의 적층 상태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도 18에 나타내는 실험은, 스페이서(32)의 점유율을 변화시킨 실험이다.
도 18 중의 중간막 기포의 판정은, 중간막 부분에 있어서 잔존하는 기포의 발생 상황을 판정한 결과이다. 판정 기준에 대해서는, 셀 내 기포의 판정 기준과 마찬가지이다.
형태 2-1은, 스페이서(32)를 마련하지 않는 형태이며, 점유율은 99%이다. 또한, 이 형태 2-1에서는, 상기 점유율의 정의로는, 스페이서(32)가 배치되어 있지 않다는 점에서 점유율은 더 낮은 값이 되지만, 도 19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가 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와 접합되어 실질적으로 공간을 메운다는 점에서, 도 19의 (a) 중에 나타낸 삼각 형상의 공극이 남는 것으로써 점유율을 연산하여 99%로 하였다.
형태 2-2는, 스페이서(32)와 액정 필름(10) 사이의 간극이 0이고, 점유율은, 100%이다. 도 19의 (b)는, 이 형태 2-2를 나타내고 있다.
형태 2-3 및 형태 2-4는, 스페이서(32)와 액정 필름(10) 사이의 간극이 0이고, 점유율은 100%이지만, 액정 필름(10)과의 겹침이 발생한 경우이다. 도 19의 (d)는 형태 2-3을 나타내고, 도 19의 (e)는 형태 2-4를 나타내고 있다.
형태 2-5는, 스페이서(32)와 액정 필름(10) 사이의 간극이 1㎜이고, 점유율은 91%이다. 도 19의 (c)는, 이 형태 2-5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점유율을 크게 낮추기 위해, 액정 필름(10)의 형상을 변경한 품목을 제작하여, 비교를 위해 실험을 행하였다.
형태 2-6은, 액정 필름(10)의 코너에 각 R=20㎜로 하여 점유율을 낮춘 형태이며, 점유율은 85%이다.
형태 2-7은, 액정 필름(10)의 형상을 반경 R=40㎜의 원형으로 하여 점유율을 낮춘 형태이며, 점유율은 69%이다.
또한, 스페이서(32)의 형상은, 모두 「ロ」자 형상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페이서(32)와 액정 필름(10) 사이의 간극을 0으로 하고, 점유율 100%로 하면, 적절하게 양자가 배치되어 있는 경우(형태 2-2)에는, 양호한 결과가 얻어지기는 하지만, 양자가 겹쳐져 버리면, 매우 나쁜 결과로 되어 있다(형태 2-3, 형태 2-4). 한편, 점유율이 지나치게 크게 낮아진 형태(형태 2-6 및 형태 2-7)에 대해서도, 매우 나쁜 결과로 되어 있다.
그래서 형태 2-5와 같이, 스페이서(32)와 액정 필름(10) 사이의 간극을 적절하게 두고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점유율을 91% 이상으로 하고, 또한 스페이서(32)와 액정 필름(10) 사이의 간극을 1㎜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프리 라미네이트 전에는, 스페이서(32)와 액정 필름(10) 사이에는 공극이 존재하지만, 이 공극이 있는 부분에는, 프리 라미네이트 후, 제1 중간막 형성 시트(31A) 및 제2 중간막 형성 시트(31B)가 부분적으로 들어가 있고, 또한 스페이서(32)도 이 공극으로 들어가, 공극이 메워져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페이서(32)를 배치함으로써, 프리 라미네이트의 성공률이 비약적으로 향상된다. 그 이유에 대해 설명한다.
액정 필름(10)은, 그 내부에 액정층이 형성되어 있어, 이 액정 필름(10)을 끼워 넣은 접합 유리는, 종래의 접합 유리에서는, 있을 수 없는 유연한 소재를 끼워 넣게 된다. 따라서, 프리 라미네이트의 가압 공정에 있어서, 근소하게라도 압력이 가해지는 쪽으로 치우침 등이 존재하면, 그 영향을 받아, 액정층이 유동해 버려, 액정 필름(10)에 액정 고임이나 공극이 발생해 버린다. 특히, 진공 라미네이터에 의한 프리 라미네이트 가공에서는, 실리콘 고무 시트(64)가 가압 시에 적층체(30)의 외주 부분, 즉, 제1 유리판(33A) 또는 제2 유리판(33B)의 외주 부분을 압박함으로써, 제1 유리판(33A) 또는 제2 유리판(33B)을 뒤틀리게 해 버리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스페이서(32)를 주위에 배치함으로써, 제1 유리판(33A) 또는 제2 유리판(33B)의 외주 부분에 압박력이 가해져 버린다고 하더라도, 스페이서(32)가 있음으로써 제1 유리판(33A) 또는 제2 유리판(33B)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제1 유리판(33A) 및 제2 유리판(33B)에 균등하게 압력을 가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따라서, 액정층에 불필요한 유동 등을 발생시키는 일 없이, 적절하게 프리 라미네이트를 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액정 고임이나 공극의 발생을 저감시킬 수 있는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필름(10)의 액정층(14)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시일재(25)가 배치되고, 액정 필름(10)의 주위에 스페이서(32)가 배치되어 있으므로, 평면으로 보아, 시일재(25)의 외측이 스페이서(32)로 둘러싸여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시일재(25)에 태양광이 장시간 조사되면, 시일재(25)의 재료에 따라서는, 시일재(25)가 열화될 우려가 있고, 시일재(25)가 열화되어 버리면, 그 시일 기능이 저하되어, 액정층(14)이 누출되어 버릴 우려가 있다.
그러나 본 실시 형태에서는, 평면으로 보아, 시일재(25)의 외측이 스페이서(32)로 둘러싸여 있으므로, 스페이서(32)에 의해, 접합 유리(1)의 측면 방향으로부터의 광이 시일재(25)에 직접 닿지 않도록 차단할 수 있어, 시일재(25)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스페이서(32)가 액정 필름(10)의 외주를 전체 둘레 둘러싸고 배치되는 경우, 즉, 스페이서(32)가 시일재(25)의 외측을 전체 둘레 둘러싸고 배치되는 경우에 있어서 현저하게 얻어지지만, 스페이서(32)가 액정 필름(10)의 외주에 배치되어 있으면, 일부가 도중에 끊어져 배치되어 있어도, 얻어진다.
또한, 상술한 실험은, 한 변이 100㎜인 것이었지만, 지지체가 상술한 적절한 위치에 배치되어 있으면, 양호한 프리 라미네이트 결과가 얻어지는 것을, 한 변이 300㎜인 접합 유리를 사용하여 확인하였으며, 이 결과로부터, 더욱 큰 사이즈의 접합 유리에 있어서도 마찬가지가 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2 실시 형태)
도 20은, 제2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A)가 프레임(F)에 설치된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제2 실시 형태 및 후술하는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접합 유리(1A(1B))가 틀 형상의 프레임(창틀)(F)에 고정되어 설치된 구성으로 하여 설명한다.
제2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A)는, 실제의 사용 시에, 필요한 구성을 더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도 20의 단면은, 접합 유리(1A)가 프레임(F)에 설치된 상태를, 접합 유리(1A)의 단부 근방에서 절단하여 도시하고 있다. 접합 유리(1A)는, 도 20에 도시하는 층 구성이 전체 둘레에 걸쳐 구성되어 있고, 접착제(80)를 사용하여 프레임(F)에 설치되어 있다.
또한, 접합 유리(1A)를 차량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차체가 프레임(F)에 상당하고, 접합 유리(1A)를 건물에 설치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창틀이 프레임(F)에 상당한다. 또한, 도 20 중에서 하방이 차내측이나 옥내측이고, 상방이 차외측이나 옥외측인 것으로서 나타내고 있고, 이들을 도면 중에 "INSIDE", "OUTSIDE"로 나타냈다.
제2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A)는, 차광부(70A)를 추가로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와 다르다.
차광부(70A)는, 적어도 자외광 영역의 파장의 광을 차광하는 작용을 구비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시일재(25)에 도달하는 외부로부터의 광을 차광한다. 차광부(70A)는, 접합 유리의 외주를 따라 전체 둘레에 배치되어 있다. 차광부(70A)는, 차광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면 되므로, 광 흡수 작용에 의해 차광하는 광 흡수부로서 구성해도 되고, 광을 반사하는 작용에 의해 차광하는 광 반사부로서 구성해도 된다.
제2 실시 형태의 차광부(70A)는, 접합 유리(1A)의 단부면으로부터 시일재(25)보다 내측의 위치까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제2 실시 형태의 차광부(70A)는, 액정 필름(10)과 제1 유리판(33A)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광부(70A)는, 제1 유리판(33A)과 제1 중간막(31A)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차광부(70A)를 형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형태 및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어떠한 것이든 좋다. 예를 들어, 차광부(70A)는, 제1 유리판(33A) 상, 또는 제1 중간막(31A) 상에 인쇄에 의해 형성해도 된다.
차광부(70A)를 제1 유리판(33A) 상에 인쇄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액상의 흑세라믹을 인쇄하여 건조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차광부(70A)를 제1 중간막(31A) 상에 인쇄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 등을 잉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광부(70A)는, 차광 필름 등을 제1 유리판(33A)과 제1 중간막(31A) 사이에 배치하여 구성해도 된다. 차광부(70A)를 차광 필름 등의 배치에 의해 형성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흑색으로 착색된 PET 기재 등을 차광부(70A)의 소재로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차광 필름 등을 제1 유리판(33A)과 제1 중간막(31A) 사이에 배치하여 구성하면, 차광 필름 등을 제1 유리판(33A)과의 사이에서의 접착력이 충분해지지 않는 경우가 상정된다. 그러한 경우에는, 차광 필름 등을 제1 유리판(33A)과의 사이에 추가로, 중간막 등을 배치하면 된다.
도 2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합 유리(1A)는, 제1 유리판(33A)이 차외측 또는 옥외측이 되고, 제2 유리판(33B)이 차내측 또는 옥내측이 되도록 하여, 프레임(F)에 설치된다. 여기서, 제2 실시 형태의 프레임(F)은, 시일재(25)의 위치보다 접합 유리(1A)의 내측까지 연장되어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접합 유리(1A)의 단부나 차내측 또는 옥내측으로부터 시일재(25)로 도달하는 광은, 프레임(F)에 의해 차단된다. 또한, 겉보기에도 프레임(F)에 의해 차단되어 시일재(25)는 차내측 또는 옥내측으로부터 보이지 않게 가려진다.
한편, 차외측 또는 옥외측으로부터 시일재(25)를 향하는 광에 관해서는, 차광부(70A)가 가령 배치되어 있지 않은 경우, 차외측 또는 옥외측으로부터 시일재(25)로 태양광 등이 직접 조사되게 된다. 시일재(25)에 태양광이 장시간 조사되면, 시일재(25)의 재료에 따라서는, 시일재(25)가 열화될 우려가 있다. 시일재(25)가 열화되어 버리면, 그 시일 기능이 저하되어, 액정층(14)이 누출되어 버릴 우려도 있다.
그래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광부(70A)가 상술한 위치에 배치됨으로써, 시일재(25)에 직접 광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일재(25)의 열화를 방지하고 있다. 또한, 차광부(70A)에 의해, 차외측 또는 옥외측으로부터 시일재(25)를 가림으로써,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 실시 형태에 따르면, 시일재(25)에 직접 광이 조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시일재(25)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F)이 차광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라도, 스페이서(32)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접합 유리의 측면 방향으로부터의 광이 시일재(25)에 직접 닿지 않게 차단할 수 있어, 시일재(25)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3 실시 형태)
도 21은, 제3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B)가 프레임(F)에 설치된 사용 상태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3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B)는, 차광부(70A, 70B)를 구비한다는 점이 제2 실시 형태와 다르지만, 기본적인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A)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전술한 제2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차광부(70A)와 차광부(70B)의 2개의(2층의) 차광부를 구비하고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차광부(70A)는, 제2 실시 형태의 차광부(70A)와 마찬가지로 구성되어 있다.
제3 실시 형태의 차광부(70B)는, 액정 필름(10)과 제2 유리판(33B)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실시 형태에서는, 차광부(70B)는, 제2 유리판(33B)과 제2 중간막(31B)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다. 차광부(70B)의 그 밖의 구성, 형성 방법 등은, 제1 실시 형태의 차광부(70A)와 마찬가지이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실시 형태에서는, 액정 필름(10)과 제1 유리판(33A)의 사이가 되는 위치, 및 액정 필름(10)과 제2 유리판(33B)의 사이가 되는 위치의 양쪽에 차광부(70A, 70B)를 배치하였다. 따라서, 접합 유리(1A)의 표리 어느 방향으로부터의 광에 대해서도, 시일재(25)로 도달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표리 어느 측으로부터 보아도, 시일재(25)를 가릴 수 있어,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도 2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임(F)이 시일재(25)의 외측까지밖에 도달하고 있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차내측 또는 옥내측으로부터 시일재(25)로 도달하는 광을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3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B)는, 시일재(25)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고, 또한 시일재(25)를 보이지 않게 가릴 수 있다. 또한, 접합 유리(1B)가 평판형이면, 표리의 구별을 하지 않고 사용하는 것이 가능해,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프레임(F)이 차광성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스페이서(32)가 배치되어 있음으로써, 접합 유리의 측면 방향으로부터의 광이 시일재(25)에 직접 닿지 않게 차단할 수 있어, 시일재(25)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4 실시 형태)
도 22는, 제4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C)의 단부 부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 제4 실시 형태 및 후술하는 제5 실시 형태에서는, 차량 등의 슬라이드 개폐 가능한 창에 사용되는 접합 유리(1C(1D))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도 22에 도시하는 단면은, 슬라이드 개폐 가능한 창으로서 사용되는 접합 유리(1C)의 개방 상태에 있어서 차량 등의 프레임으로부터 이격되어 노출되는 부위의 단부 부근을 절단하여 도시하고 있다.
제4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C)는, 실제의 사용 시에, 필요한 구성을 더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기본적인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전술한 제1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제4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C)는, 차광부(70C)를 구비하고 있다는 점에서, 제1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와 다르다.
차광부(70C)는, 적어도 자외광 영역의 파장의 광을 차광하는 작용을 구비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시일재(25)에 도달하는 외부로부터의 광을 차광한다. 차광부(70C)는, 접합 유리(1C)의 단부면을 덮고, 또한 단부면으로부터 시일재(25)보다 내측의 위치까지 접합 유리(1C)를 끼워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차광부(70C)가 배치되는 위치는, 접합 유리의 외주를 따른 위치이며, 적어도 창을 개방 상태로 하였을 때에 노출되는 단부를 따라 배치되어 있다. 또한, 창의 개폐 기구가 접속되어 있는 측의 단부 부근에서 차체 내부 등에 가려지는 부위에 대해서는, 차광부(70C)는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차광부(70C)는, 차광 기능을 발휘할 수 있으면 되므로, 광 흡수 작용에 의해 차광하는 광 흡수부로서 구성해도 되고, 광을 반사하는 작용에 의해 차광하는 광 반사부로서 구성해도 된다.
차광부(70C)를 형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형태 및 구체적인 제조 방법은, 어떠한 것이든 좋다. 예를 들어, 차광부(70C)는, 수지 성형 부품을 끼워 맞추어 접착 고정하여 구성해도 되고, 수지나 도료 등을 도포하여 구성해도 되고, 테이프나 시트 등을 붙여 구성해도 된다.
제4 실시 형태에 따르면, 접합 유리(1C)는, 차광부(70C)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시일재(25)에 직접 광이 닿지 않게 차단할 수 있어, 시일재(25)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32)를 배치함으로써, 시일재(25)를 접합 유리의 내측에, 측면으로부터 이격시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접합 유리의 측면 방향으로부터의 광이 시일재(25)에 직접 닿지 않게 차단할 수 있어, 시일재(25)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제5 실시 형태)
도 23은, 제5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D)의 단부 부근을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제5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D)는, 실제의 사용 시에, 필요한 구성을 더 추가한 구성으로 되어 있지만, 기본적인 구성은 제3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B)와 마찬가지이다. 따라서, 전술한 제3 실시 형태와 마찬가지의 기능을 하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중복되는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제5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D)는, 제3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B)에, 차광부(70D)를 더 추가한 형태에 상당한다. 또한, 제5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D)는, 슬라이드 개폐 가능한 형태로 사용된다는 점에서도, 제3 실시 형태의 접합 유리(1B)와 다르다.
차광부(70D)는, 제4 실시 형태의 차광부(70C)와 기본적으로는 마찬가지의 구성을 하고 있지만, 단부면으로부터 시일재(25)보다 외측의 위치까지밖에 접합 유리(1D)를 끼워 배치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 제4 실시 형태의 차광부(70C)와 다르다.
앞서 설명한 제4 실시 형태의 차광부(70C)는, 접합 유리의 단부에 마련되어 있지만, 창을 개방 상태로 한 경우에는, 눈에 띄는 위치가 된다. 따라서, 의장성을 향상시킨다는 관점에서, 차광부(70C)를 작게 하고 싶은 경우가 있다. 그러한 경우,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시일재(25)까지 차광부(70D)가 도달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그러한 경우에는, 도 2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차광부(70A, 70B)를 차광부(70D)와 함께 배치함으로써, 시일재(25)에 도달하는 광을 차단할 수 있어, 시일재(25)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페이서(32)를 배치함으로써, 시일재(25)를 접합 유리의 내측에, 측면으로부터 이격시켜 배치할 수 있으므로, 접합 유리의 측면 방향으로부터의 광이 시일재(25)에 직접 닿지 않게 차단할 수 있어, 시일재(25)의 열화를 방지할 수 있다.
(변형 형태)
이상 설명한 실시 형태에 한정되는 일 없이, 다양한 변형이나 변경이 가능하며, 그것들도 본 발명의 범위 내이다.
(1)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VA 방식의 액정 필름에 대해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전위차에 의해 조광량을 조정할 수 있는 다른 방식이어도 된다.
예를 들어, VA 방식 이외의 액정 필름으로서, TN 방식(twisted Nematic)을 사용해도 된다. TN 방식은, 액정 필름은, 전압이 인가되고 있지 않을 때는 액정 분자가 수평으로 배열되어, 광을 통과시켜 화면이 「백색」이 된다. 서서히 전압을 인가해 가면, 액정 분자가 수직으로 기립하여, 광을 차단하여 화면이 검게 되는 방식이다.
(2) 각 실시 형태에 있어서, 액정 셀을 직선 편광판 사이에 끼움 지지하여 액정 필름을 구성하는 경우에 대해 서술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게스트 호스트형 액정에 의한 액정층을 사용하여 직선 편광판을 생략하고 액정 필름을 구성하는 경우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3)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경사 완화 부재(34)는, 직사각 형상이며,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18)과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틀 형상의 경사 완화 부재를 배치해도 되고, 경사 완화 부재의 형상 및 배치는,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4) 제1 실시 형태에 있어서, 가압 공정에는, 진공 라미네이터에 의한 프리 라미네이트 가공을 사용한 예를 들어 설명하였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열 라미네이터를 이용하여 가압 공정을 행해도 되고, 진공백법이나 튜브법이라도, 본 발명을 적용 가능하다.
(5) 제2 실시 형태 내지 제5 실시 형태의 작성에 있어서, 스페이서(32)를 구비하는 구성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다.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어 스페이서(32)를 생략한 접합 유리로 해도 된다.
또한, 각 실시 형태 및 변형 형태는, 적절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상 설명한 각 실시 형태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접합 유리
10: 액정 필름
12: 액정용 제1 적층체
13: 액정용 제2 적층체
14: 액정층
15: 액정 셀
16: 직선 편광판
17: 직선 편광판
18: 플렉시블 프린트 배선 기판
21A: 기재
21B: 기재
22A: 제1 전극
22B: 제2 전극
23A: 배향층
23B: 배향층
24: 액정 내 스페이서
25: 시일재
30: 적층체
31A: 제1 중간막 형성 시트(제1 중간막)
31B: 제2 중간막 형성 시트(제2 중간막)
32: 스페이서
33A: 제1 유리판
33B: 제2 유리판
34: 경사 완화 부재
41A: 제1 덧댐판
41B: 제2 덧댐판
43: 지지체
50: 적층체 지지 구조물
61: 압력 용기
61A: 제1 챔버
61B: 제2 챔버
62: 통기 구멍
63: 통기 구멍
64: 실리콘 고무 시트
70A, 70B, 70C, 70D: 차광부
80: 접착제
F: 프레임

Claims (14)

  1. 제1 유리판과, 제1 중간막과, 액정 필름과, 제2 중간막과, 제2 유리판이, 이 순서로 적층 배치되어 있고, 제1 중간막과 제2 중간막은 각각 제1 유리판과 액정 필름을 접합시키는 제1 중간막 형성 시트 및 제2 유리판과 액정 필름을 접합시키는 제2 중간막 형성 시트로부터 구성되고,
    상기 액정 필름은,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을 밀봉하고, 상기 액정층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시일재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유리판 및 상기 제2 유리판은, 상기 액정 필름보다 외형 형상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이며, 또한 상기 액정 필름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스페이서가 배치되어 있고,
    평면으로 보아, 상기 시일재의 외측이, 상기 스페이서로 둘러싸여 있고,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필름 및 상기 스페이서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면적 비율을 %표시로 나타낸 것을 점유율로 하면, 상기 점유율이 91 % 이상이고, 또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액정 필름 사이의 간극이 1mm 이상 비어있는, 접합 유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액정 필름의 외주를 전체 둘레 둘러싸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 쪽은 상기 액정 필름의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액정 필름에 인접하여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액정 필름과의 사이에 거리를 두고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액정 필름 사이에는, 상기 제1 중간막 및 상기 제2 중간막 중 적어도 한쪽이 부분적으로 들어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
  7. 액정 필름을 제1 유리판과 제2 유리판 사이에 끼운 적층체를 사용한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이며,
    상기 액정 필름은, 액정층과, 상기 액정층을 밀봉하고, 상기 액정층의 주위를 둘러싸도록 배치된 시일재를 갖고 있고,
    상기 제1 유리판 및 상기 제2 유리판은, 상기 액정 필름보다 외형 형상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이며, 또한 상기 액정 필름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평면으로 보아, 상기 시일재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스페이서를 배치하는 스페이서 배치 공정과,
    상기 스페이서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중 적어도 한쪽의 판면으로 가압하는 가압 공정을 구비하고,
    상기 스페이서 배치공정에서, 상기 스페이서는, 상기 액정 필름과의 사이에 거리를 두고 배치되고,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필름 및 상기 스페이서가 배치되어 있는 영역의 면적 비율을 %표시로 나타낸 것을 점유율로 하면, 상기 점유율이 91 % 이상이고, 또한 상기 스페이서와 상기 액정 필름 사이의 간극을 1mm 이상 비우고 상기 스페이서가 배치되는,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스페이서의 높이 쪽은 상기 액정 필름의 높이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액정 필름은, 액정을 밀봉하는 시일재를 주위에 갖고 있고,
    상기 시일재에 도달하는 외부로부터의 광을 차광하는 차광부를 당해 접합 유리의 외주를 따라 구비하는 접합 유리.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당해 접합 유리의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시일재보다 내측의 위치까지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액정 필름과 상기 제1 유리판의 사이가 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당해 접합 유리의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시일재보다 내측의 위치까지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액정 필름과 상기 제1 유리판의 사이가 되는 위치, 및 상기 액정 필름과 상기 제2 유리판의 사이가 되는 위치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당해 접합 유리의 단부면을 덮고, 또한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시일재보다 내측의 위치까지 당해 접합 유리를 끼워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차광부는,
    당해 접합 유리의 단부면을 덮고, 또한 상기 단부면으로부터 상기 시일재보다 외측의 위치까지 당해 접합 유리를 끼워 배치되어 있고,
    또한,
    상기 액정 필름과 상기 제1 유리판의 사이가 되는 위치, 및 상기 액정 필름과 상기 제2 유리판의 사이가 되는 위치의 양쪽에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리판 및 상기 제2 유리판은, 상기 액정 필름보다 외형 형상이 크게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1 유리판과 상기 제2 유리판 사이에 끼워지는 영역이며, 또한 상기 액정 필름이 배치되지 않는 영역의 적어도 일부에 스페이서가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접합 유리.
KR1020207004151A 2017-07-31 2018-07-30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4893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7001284A KR102663707B1 (ko) 2017-07-31 2018-07-30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7148594 2017-07-31
JPJP-P-2017-148594 2017-07-31
PCT/JP2018/028475 WO2019026849A1 (ja) 2017-07-31 2018-07-30 合わせガラス、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01284A Division KR102663707B1 (ko) 2017-07-31 2018-07-30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5410A KR20200035410A (ko) 2020-04-03
KR102489356B1 true KR102489356B1 (ko) 2023-01-18

Family

ID=65233908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4576A KR20240064046A (ko) 2017-07-31 2018-07-30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0237001284A KR102663707B1 (ko) 2017-07-31 2018-07-30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0207004151A KR102489356B1 (ko) 2017-07-31 2018-07-30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14576A KR20240064046A (ko) 2017-07-31 2018-07-30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KR1020237001284A KR102663707B1 (ko) 2017-07-31 2018-07-30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604385B2 (ko)
EP (1) EP3663269A4 (ko)
JP (3) JP7107317B2 (ko)
KR (3) KR20240064046A (ko)
CN (1) CN111051264A (ko)
WO (1) WO201902684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27658B2 (en) 2012-05-31 2017-11-28 Black & Decker Inc. Power tool having latched pusher assembly
WO2020003252A1 (en) * 2018-06-29 2020-01-02 Agp America S.A. Laminated glazing with a switchable liquid crystal layer
JP6930677B2 (ja) * 2019-02-20 2021-09-01 Agc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JP7328625B2 (ja) * 2020-02-28 2023-08-17 Agc株式会社 機能性部材付き合わせガラス及び機能性部材付き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WO2022039089A1 (ja) * 2020-08-21 2022-02-24 Agc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および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WO2022050188A1 (ja) * 2020-09-02 2022-03-10 Agc株式会社 車両用合わせガラス
US20220413330A1 (en) * 2021-06-25 2022-12-29 Wicue, Inc. Liquid crystal window bonding and sealing
TWI766756B (zh) * 2021-07-13 2022-06-01 陳宗億 電子式自動控制遮光裝置
WO2023090133A1 (ja) * 2021-11-19 2023-05-2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及び液晶装置
CN115182669B (zh) * 2022-07-22 2023-12-08 福耀玻璃工业集团股份有限公司 调光玻璃、车门总成及车辆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2068A1 (en) * 2008-09-22 2010-03-25 Pilkington Group Limited Switchable glazing
US20110292494A1 (en) * 2002-06-10 2011-12-01 E Ink Corporation Electro-optic display with edge seal
WO2017099167A1 (ja) * 2015-12-09 2017-06-15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18102A (en) * 1981-05-14 1983-11-29 Eaton Corporation Liquid crystal displays having improved hermetic seal
JPH0347392A (ja) 1989-07-12 1991-02-28 Natl House Ind Co Ltd 液晶パネル
US5147485A (en) * 1990-10-29 1992-09-15 Ford Motor Company Lamination of semi-rigid material between glass
JPH08184273A (ja) 1994-12-27 1996-07-16 Ohbayashi Corp 調光ガラス窓
JP3799829B2 (ja) * 1997-09-11 2006-07-1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電気光学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投射型表示装置
JP3895447B2 (ja) * 1998-01-06 2007-03-22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060249B2 (ja) 2003-07-29 2008-03-12 日本板硝子株式会社 調光体及び合わせガラス
KR101113919B1 (ko) * 2004-04-13 2012-02-29 리서치 프론티어스 인코퍼레이티드 Spd 광 밸브용 필름의 라미네이트 방법 및 이러한 라미네이트 필름이 합체된 spd 광 밸브
GB0607746D0 (en) * 2006-04-20 2006-05-31 Pilkington Plc Glazing
GB0607743D0 (en) * 2006-04-20 2006-05-31 Pilkington Plc Laminated glazing
JP2007326763A (ja) 2006-06-09 2007-12-20 Nippon Sheet Glass Co Ltd シート封入合わせガラス
GB0811058D0 (en) * 2008-06-17 2008-07-23 Pilkington Group Ltd Sealed switchable glazing
JP2013218234A (ja) * 2012-04-12 2013-10-24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及び電子機器
CA2893198C (en) 2012-12-06 2017-12-05 Saint-Gobain Glass France Glazing having electrically switchable optical properties
GB201307495D0 (en) * 2013-04-25 2013-06-12 Pilkington Group Ltd Laminated glazing
WO2015190360A1 (ja) * 2014-06-10 2015-12-17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機能付き音声伝達装置
JP7027165B2 (ja) * 2014-11-17 2022-03-01 アルファマイクロン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軟質電気光学セルを生成する方法
JP2016164617A (ja) 2015-03-06 2016-09-0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液晶セルの製造方法、調光材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JP6213653B2 (ja) * 2015-11-13 2017-10-18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調光フィルム及び合わせガラス
JP2017223809A (ja) * 2016-06-14 2017-12-2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調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調光フィルム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2494A1 (en) * 2002-06-10 2011-12-01 E Ink Corporation Electro-optic display with edge seal
WO2010032068A1 (en) * 2008-09-22 2010-03-25 Pilkington Group Limited Switchable glazing
WO2017099167A1 (ja) * 2015-12-09 2017-06-15 旭硝子株式会社 合わせ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026849A1 (ja) 2019-02-07
KR20240064046A (ko) 2024-05-10
US20230152634A1 (en) 2023-05-18
US12019337B2 (en) 2024-06-25
KR102663707B1 (ko) 2024-05-08
JP7107317B2 (ja) 2022-07-27
EP3663269A1 (en) 2020-06-10
JP2022140449A (ja) 2022-09-26
KR20230010851A (ko) 2023-01-19
US11604385B2 (en) 2023-03-14
JP2023165720A (ja) 2023-11-17
JPWO2019026849A1 (ja) 2020-08-13
US20210103174A1 (en) 2021-04-08
CN111051264A (zh) 2020-04-21
EP3663269A4 (en) 2021-05-05
KR20200035410A (ko) 2020-04-03
JP7355170B2 (ja) 2023-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89356B1 (ko) 접합 유리,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
KR20220039857A (ko) 조광 장치
CN111247111A (zh) 夹层玻璃的制造方法、夹层玻璃、调光膜
JP2017068196A (ja) 調光フィルム及び調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JP6245537B1 (ja) 調光装置及び車両
US20230202147A1 (en) Light modulating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JP7073795B2 (ja) 合わせガラス製造方法
JP7420298B2 (ja) 調光セルおよび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調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056419B2 (ja) 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JP2022079778A (ja) 調光セル、調光パネル、車両、および調光パネルの製造方法
JP2020030355A (ja) 調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6299923B1 (ja) 調光装置
JP2018088010A (ja) 調光装置
JP7147139B2 (ja) 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JP7156308B2 (ja) 液晶フィルム、合わせガラス
JP2019026517A (ja) 合わせガラス、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
JP7340163B2 (ja) 合わせガラスの製造方法及び合わせガラス
JP7415270B2 (ja) 調光装置の製造方法
JP7432139B2 (ja) 調光装置
JP2019142752A (ja) 合わせガラス製造方法
CN118302713A (en) Laminated glass and liquid crystal device
CN117881640A (zh) 车辆用夹层玻璃和车辆用窗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