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0784B1 -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 Google Patents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0784B1
KR102480784B1 KR1020160082921A KR20160082921A KR102480784B1 KR 102480784 B1 KR102480784 B1 KR 102480784B1 KR 1020160082921 A KR1020160082921 A KR 1020160082921A KR 20160082921 A KR20160082921 A KR 20160082921A KR 102480784 B1 KR102480784 B1 KR 102480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mergency signal
location
unit
network camera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829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03292A (ko
Inventor
박성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829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0784B1/ko
Publication of KR201800032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032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0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0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8Capturing isolated or intermittent images triggered by the occurrence of a predetermined event, e.g. an object reaching a predetermined pos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3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 H04N7/185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single remote source from a mobile camera, e.g. for remote contro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larm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는 영상을 인식하고 촬영하는 촬영부; 위급신호 송출기로부터 송출되는 위급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위급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급신호 송출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 상기 촬영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위급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부가 위급신호가 송출된 위치를 촬영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NETWORK CAMERA AND MONITORING SYSTEM USING THEROF}
본 발명은 네트워크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스마트 워치에서 특정 신호가 발생하면 이를 감지하여 동작하고, 영상을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 어린이집 및 유치원과 같은 유아 위탁 및 교육 장소에서 발생하는 범죄 및 사고가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범죄 및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부모들은 자녀들에게 휴대폰을 소지하게 하고 휴대폰의 위치 추적 및 각종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을 통하여 부모들은 자녀들의 위치나 상태정보를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휴대폰을 소지하지 않거나 휴대폰을 능숙하게 조작하지 못하는 영유아의 부모들은 자신들의 아이들을 어린이집 및 유치원 등에 보내고 난 후에는 아이들의 건강, 위치 및 상황에 대한 정보를 확인할 방법이 없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신설하는 어린이집과 유치원 등에 대해서 CCTV 설치를 의무화하는 법안이 마련되었으나, 실제 많은 어린이집과 유치원에 CCTV 설치되어 있으나 여전히 유아 폭행 사고는 끊이지 않고 발생하고 있다.
CCTV를 설치하더라도 보호자가 CCTV 영상을 24시간 관찰할 수는 없으며 CCTV 사각 지대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즉, 개별적으로 보육 시설 및 교육 시설의 선생님들은 각 보호자가 유아의 상태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 각 CCTV 카메라가 설치된 구역을 확인하고, 유아가 해당 CCTV 카메라가 있는 영역에 계속 있는지 없는 지를 확인하여야 하며, 유아의 이동에 따라 촬영영상을 추출하여 보내야 하는 번거로운 불편함이 있다.
또한, 종래의 CCTV 카메라의 경우 폭력이 발생한 후 이를 확인하는 것에 불과하기 때문에 폭력이 발생하기 전에 폭력 징후를 미리 감지하고 이를 방지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폭력 또는 아동 학대의 징후가 감지되는 경우, 폭력 발생이 예상되는 지역을 촬영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폭력 발생이 예상되는 상황을 촬영하여 보호자에게 전송함으로써 폭력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네트워크 카메라 및 감시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는 영상을 인식하고 촬영하는 촬영부; 위급신호 송출기로부터 송출되는 위급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위급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급신호 송출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 상기 촬영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위급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부가 위급신호가 송출된 위치를 촬영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출된 위치가 촬영된 영상을 기 설정된 서버 또는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상기 기 설정된 단말기는 상기 위급신호 송출기의 보호자 단말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상기 위급신호는 비콘신호 또는 IR-UWB 신호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위급신호를 수신하는 2개의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산출부는 상기 2개의 안테나에 위급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차를 이용하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급신호는 상기 무선신호를 기반으로 산출된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산출부는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상기 위급신호가 복수의 위급신호 송출기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복수의 위급신호 송출기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영상인식부가 줌인 또는 줌아웃 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위급신호 송출기가 같은 장면 내에서 촬영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상기 위급신호가 복수의 위급신호 송출기로부터 수신되고, 상기 복수의 위급신호 송출기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범위를 벗어나 존재하는 경우, 상기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위급신호 송출기 중 근접한 영역에 있는 근접 위급신호 송출기를 결정하고, 상기 근접 위급신호 송출기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상기 위급신호 수신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산출부는 위급신호의 수신 시간과 상기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의 위급신호 수신 시간차를 이용하여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인체의 체온을 검출하는 PIR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가 상기 위치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영역과 PIR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영역을 한 장면에 촬영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센서; 및 상기 음성을 분석하여 위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음성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음성 분석부가 이상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위급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음성이 발생한 영역을 촬영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은 인체에 부착되어 심박수를 감지하고, 심박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비콘신호를 발생하는 스마트워치; 상기 비콘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비콘신호를 기반으로 산출된 위치정보를 미리 등록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카메라 초점을 이동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전송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카메라; 및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워치가 수신한 비콘신호의 세기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카메라가 산출된 위치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에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스마트워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워치와 근접한 네트워크 카메라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카메라가 상기 산출된 위치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폭력 또는 아동학대 징후가 발생하면 네트워크 카메라가 이를 인식하여 촬영하여 보호자에게 전송할 수 있다. 따라서 보호자는 폭력 상황이 발생하기 전에 이를 확인하여 보호자에게 폭력 또는 아동학대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네트워크 카메라의 블럭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위치 산출 방법을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며, 의미 한정이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연결되는/결합되는’이란 표현은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를 통해 간접적으로 연결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은 표현은, 복수의 구성들을 구분하기 위한 용도로만 사용된 표현으로써, 구성들 사이의 순서나 기타 특징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 및 네트워크 카메라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감시 시스템을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1을 참조하면, 감시 시스템(100)은 위급신호 송출기(또는 수신기)(10), 다수의 네트워크 카메라(20), 및 보호자 단말기(30)를 포함하고, 도 2를 참조하면, 감시 시스템(100)은 위급신호 송출기(10), 다수의 네트워크 카메라(20), 보호자단말기(30), 및 관리서버(40)를 포함한다.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는 다수개로 표현하였으나 하나의 카메라가 시스템에 포함될 수도 있다.
도 2에 감시 시스템(200)은 도 1의 감시 시스템(100)에 관리서버(40)가 추가된 구성으로 나머지 요소는 도 1의 감시 시스템(100)과 동일하다. 따라서 도 1을 중심으로 설명하고, 관리서버(40)에 대해서는 필요한 경우마다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위급신호 송출기(10)는 사용자의 건강상태나 바이오 지수를 체크할 수 있는 스마트 워치와 같은 웨어러블 기기일 수 있다. 상기 위급신호 송출기(10)는 사용자의 바이오 지수를 체크하면서 사용자가 흥분 상태에 있거나 위급한 상태에 있는 경우 위급신호를 발생하고, 미리 등록된 보호자의 이동단말기로 위급을 알리는 메시지 또는 신호를 발송한다. 상기 위급신호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위급신호 송출기(10)는 호흡 및 심박수를 체크하면서 호흡 또는 심박수가 미리 설정한 기준치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비콘(beacon) 신호나 IR-UWB(Impulse Radio - Ultra Wide Band), 위급신호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비콘(beacon) 신호나 IR-UWB 신호를 수신 후 위치정보를 획득하여, 해당 위치를 포함하는 위급신호를 송출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위급신호 송출기(10)는 위급신호를 생성하고 발생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신호를 수신하는 수신기로서의 기능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폭력 상황과 같이 위급한 상황에서는 호흡과 심박수가 증가하기 때문에 심박수가 증가하는 경우에는 무선신호를 송출하고, 보호자에게 위급 상황을 알리는 것이다.
하지만, 실제 호흡이나 심박수가 증가하는 것은 폭력상황과 같은 위급 상황이 아닌 경우에도 발생할 수 있으므로 보호자는 위급신호를 수신하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영상을 통해 구체적인 상황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상기 위급신호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이므로 위급신호 송출기(10)를 식별할 수 있는 ID(identification) 정보가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수신부에서는 상기 ID 정보를 확인하여 사용자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따라서 위급신호 송출기(10)를 착용하고 있는 어린이 또는 유아의 보호자를 파악할 수 있다.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카메라(20)는 상기 위급신호가 송출되면 이를 수신하여 해당 위급신호 송출기(10)의 위치를 파악하고 해당 지역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미리 저장된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하거나, 위급신호에 포함된 보호자 단말기의 네트워크 주소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자를 이용하여 보호자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20)의 상세 구조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20)는 촬영부(21), 구동부(22), 통신 인터페이스부(23), 위치산출부(24), 센서부(25), 영상저장부(26), 사용자정보저장부(27), 및 제어부(28)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촬영부(21)는 촬영 대상물을 인식하기 위한 이미지 센서(CCD/CMOS)로 구성될 수 있다. 촬영부(21)는 이미지 센서에 도달하기 전 촬영대상물의 정확한 색상을 나타내기 위해 적외선을 제거하기 위하여 광학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는 빛 에너지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키고, 전기적 디지털화하기 위하여 제어부(28)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촬영부(21)는 적외선 필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2)는 상기 제어부(2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영부(21)의 움직임을 조정한다. 제어부(28)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부(21)의 패닝(panning), 틸팅(tilting), 및 주밍(zooming)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줌값에 따라 촬영부(21)에 장착된 줌 렌즈의 동작을 제어하고, 팬값에 따라 카메라의 회전을 제어하며, 틸트값에 따라 카메라의 기울기를 제어한다. 본 발명에서 주밍은 줌인(Zoom in) 및 줌아웃(Zoom out)을 모두 포함한다.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3)는 상기 위급신호를 수신할 수 있으며, 다른 기기들과 통신네트워크를 통해 연결되어 필요한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 카메라는 데이터 송수신을 위해 안테나가 형성될 수 있는데, 안테나는 한 개 또는 그 이상 사용될 수 있다.
통신인터페이스부(23)는 유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적어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카메라와 접속하여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3)는 카메라를 다른 기기와 연결하기 위하여 CP/IP, UDP, HTTP, HTTPS, SMTP, NTP, DHCP, FTP, DDNS, RTP, RTSP 프로토콜 방식으로 통신하기 위한 하드웨어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인터페이스부(23)는 이동통신 모듈,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통신 모듈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기와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상기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유무선 인터넷 모듈은 유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을 말하는 것으로, 무선 인터넷 기술로는 WLAN(Wireless LAN), 와이파이(Wi-Fi),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모듈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을 말한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위급신호 송출기(10)에 송출되는 위급신호는 근거리 무선통신 신호이므로 근거리 통신모듈을 통해 수신된다.
상기위치산출부(24)는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23)에서 수신한 위급신호의 세기를 이용하여 상기 위급신호 송출기(10)의 위치를 산출한다. 특히 안테나가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두 안테나가 신호를 수신한 시간차를 이용하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스마트 워치에는 GPS 모듈이 포함되어 있어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으나, 실내에 있는 경우에는 GPS 모듈을 통한 위치 파악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GPS 모듈을 사용하지 않고 근거리 무선통신신호로부터 위치를 산출한다.
도 4는 위치산출부(24)에서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간략히 도시한 것으로, 도 4의 (a)는 비콘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고, (b)는 IR-UWB 신호를 이용하여 위치를 산출하는 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위급신호송출기(10)가 위급신호를 송출하는 경우에는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비콘신호에 포함된 좌표 정보 및 신호의 세기 등을 이용하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위급신호 송출기(10)은 산출된 위치정보를 네트워크 카메라로 전송할 수 있다. 네트워크 카메라는 해당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부(22)는 네트워크 카메라제어부(2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영부(21)의 움직임을 조정한다. 제어부(28)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부(21)의 패닝(panning), 틸팅(tilting), 및 주밍(zooming)을 제어한다. 즉 위급신호 송출기의 위치로 초점을 맞춰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위급신호 송출기(10)가 위급신호로 비콘 신호를 송출하는 경우에는 두 개 이상의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수신되는 비콘신호의 신호세기 또는 수신시간차를 이용하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정확한 위치 산출을 위해서는 적어도 3개의 네트워크 카메라에서 수신한 무선신호 세기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는 한 대의 네트워크 카메라가 복수의 수신안테나를 구비하여 각 안테나별 수신 신호세기 또는 시간차를 이용하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네트워크 카메라는 해당 위치정보에 기반하여 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구동부(22)는 제어부(28)의 제어에 따라 상기 촬영부(21)의 움직임을 조정한다. 제어부(28)로부터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제어신호에 따라 촬영부(21)의 패닝(panning), 틸팅(tilting), 및 주밍(zooming)을 제어한다. 즉 위급신호 송출기의 위치로 초점을 맞춰 영상을 수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4의 (a)를 참조하면, 3개의 네트워크 카메라(20a, 20b, 20c)에서 비콘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비콘 신호의 세기를 관리서버(40)로 전송한다. 관리서버(40)는 네트워크 카메라가 설치된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각각의 네트워크 카메라가 수신한 비콘신호의 세기 정보를 이용하여 측위 알고리즘에 따라 위급신호 송출기(10)의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즉, 이러한 경우에는 위치산출부(24)는 관리서버(40)에 형성될 수도 있다. 3각 측량을 이용한 측위 알고리즘은 공지된 다양한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즉, 상기 위치산출부(24)는 네트워크 카메라와 분리되어 관리서버(40)에 별도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네트워크 카메라 내부에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네트워크 카메라는 앞서 살펴본 바와 같이 통신 인터페이스부(23)를 통해 상호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으므로, 각각의 네트워크 카메라는 수신한 비콘 신호에 대한 정보(비콘 신호의 세기)를 송수신하여 필요한 정보를 취득하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도 4의 (b)를 참조하면, 4개의 AP(Access Point)가 무선신호 송출기(10)에서 송출되는 IR-UWB 신호를 수신한다. 이들 AP는 서로 각각의 좌표를 인지하고 있고, 수신되는 IR-UWB 신호의 세기를 분석한다. 네트워크 카메라의 위치산출부(24)는 IR-UWB 신호와 함께 AP로부터 분석된 신호 세기에 대한 정보도 함께 수신하여 위급신호 송출기(10)의 위치를 산출한다.
상기 AP는 유치원 등 네트워크 카메라가 설치된 건물 내에 설치될 수 있으며, 최소한 3개 이상 설치되는 것이 좋다.
상기센서부(25)는 음성신호를 감지하는 음성센서 및 사람의 움직임을 감지하는 움직임 감지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움직임 감지 센서는 PIR(Passive Infrar Ray) 센서 일 수 있다.
상기 PIR 센서는 소정 시야 범위(field of view) 내에서 벽(wall) 등의 주위 물체와 온도가 다른 인체가 지나가는 경우 인체로부터 방출되는 적외선을 감지함으로써 인체를 감지할 수 있는 수동형 감지 센서의 일종이다. 동작감지 센서는 감지할 수 있는 소정 시야각을 가질 수 있다.
네트워크 카메라가 3대 미만을 경우 비콘 신호를 이용한 위치 검출은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는데, 이때 PIR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된 위치 근처의 체온을 감지하고 감지된 체온 영역을 모두 포함하여 한 씬(scene)에 근처 사람이 함께 촬영되도록 하여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촬영시에는 위치산출부(24)에 의해 산출된 영역과 체온이 감지된 영역이 모두 한 장면(scene)에 잡히도록(Zooming) 촬영할 수 있다.
음성센서가 포함되면 음성을 분석하여 날카로운 고함이나 비명 등을 인식하여 위험상황 판단에 대한 분별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또는 폭력상황에 해당하는 표현들("아야", "아파요", "잘못했어요", "다시는 안그럴께요", "싫어", "엄마" 등)을 음성인식하여 위험상황 판단에 대한 분별력을 상승시킬 수 있다.
따라서 음성센서는 상기 위급신호 송출기(10)에 형성될 수도 있고 네트워크 카메라에 형성될 수도 있다. 음성센서가 사용되는 경우에는 음성신호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음성센서가 위급신호 송출기(10)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심박수 체크와 동시에 음성신호를 함께 분석하여 이상 상황을 판단하여 무선신호를 송출할 수 있다.
음성센서는 복수개 배치되어 각각의 센서에 수신된 음성 신호의 세기를 비교하여 수신된 방향을 탐지할 수 있다. 따라서
음성센서가 네트워크 카메라에 형성되는 경우에는 위급신호 송출기(10)에서 위급을 알리는 무선통신 신호가 송출되지 않더라고 음성을 분석하여 위급 상황이라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촬영을 음성신호가 발생된 위치에 대한 촬영을 개시할 수 있다.
상기 영상저장부(26)는 네트워크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저장한다. 영상저장부(26)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정보 저장부(27)는 위급신호 송출기(10)별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위급신호 송출기(10)에는 개별 ID가 부여되어 있으며, 사용자정보 저장부(27)는 각각의 위급신호 송출기(10)에 대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정보는 보호자의 전화번호를 포함한다.
위급신호송출기(10)에서 위급신호가 수신되면 네트워크 카메라는 제어부(28)의 제어에 의해 상기 사용자정보 저장부(27)에 저장되어 있는 무선신호 송출기(10)의 보호자로 등록되어 있는 전화번호로 영상을 전송한다.
상기제어부(28)는 네트워크 카메라의 전체 동작을 제어하는 부분으로, 앞서 살펴본 일련의 동작을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위급신호 송출기(10)의 위치가 산출되면 촬영부(21)가 해당 지역을 촬영할 수 있도록 구동부(22)를 제어하고, 촬영부(21)가 촬영을 시작하도록 제어한다.
만약 복수의 네트워크 카메라가 상기 무선신호를 수신하면, 무선신호를 수신한 네트워크 카메라 모두가 촬영을 개시하고 모두 영상을 전송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영상을 전송하는 경우에는 트래픽이 증가할 수 있으므로, 가장 가까이서 촬영한 영상만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에는 상기 관리서버(40)가 다수의 네트워크 카메라 중 가장 무선신호 송출기(10)와 가장 근접한 카메라를 선택하여 영상을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다수의 위급신호 송출기에서 위급신호가 동시에 발생할 수 있다. 다수의 어린이가 동일한 상황에 처해 있을 때에는 위급신호가 동시에 송출될 수 있다.
이때, 다수의 위급신호 송출기(10)가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이내에 있는 경우에는, 하나의 카메라가 줌 아웃하면서 동일 장면 내에서 촬영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만약, 다수의 위급신호 송출기(10)가 미리 설정된 일정 거리 범위를 벗어나 떨어져 있는 경우에는 각각의 위급신호 송출기(10)로부터 가장 근접한 네트워크 카메라가 각각 촬영하도록 할 수 있다. 즉, 상기 제어부(28)는 촬영부(21)가 근접한 영역에 있는 위급신호 송출기(10)만을 촬영하도록 구동부(22)를 제어한다.
이때 위급신호를 수신한 각각의 카메라의 제어부(28) 위치 산출부에서 산출된 위치를 근거로 가까운 영역을 선택하여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관리서버(40)가 각각의 네트워크 카메라 및 위급신호 송출기의 위치를 산출하여 각 위급신호 송출기(10)와 가까이 있는 네트워크 카메라가 동작하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위급신호 송출기
20 : 네트워크 카메라
30 : 보호자 단말기
40 : 관리서버

Claims (13)

  1. 영상을 인식하고 촬영하는 촬영부;
    위급신호 송출기로부터 송출되는 위급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촬영부에서 촬영된 영상을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위급신호를 이용하여 상기 위급신호 송출기의 위치를 산출하는 위치산출부;
    상기 촬영부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구동부; 및
    상기 위급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촬영부가 위급신호가 송출된 위치를 촬영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위급신호가 복수의 위급신호 송출기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위급신호 송출기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상기 촬영부가 줌인 또는 줌아웃 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위급신호 송출기가 같은 장면 내에서 촬영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위급신호 송출기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범위를 벗어나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위급신호 송출기 중 근접한 영역에 있는 근접 위급신호 송출기를 결정하고, 상기 근접 위급신호 송출기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송출된 위치가 촬영된 영상을 기 설정된 서버 또는 기 설정된 단말기로 전송하도록 설정된 네트워크 카메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단말기는 상기 위급신호 송출기의 보호 단말기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위급신호는 비콘신호 또는 IR-UWB 신호인 네트워크 카메라.
  5. 제1항에 있어서,
    서로 이격되어 상기 위급신호를 수신하는 2개의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산출부는 상기 2개의 안테나에 위급신호가 수신되는 시간차를 이용하여 위치를 감지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6. 제1항에 있어서,
    무선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급신호는 상기 무선신호를 기반으로 산출된 위치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산출부는 상기 위치정보를 이용하여 위치를 감지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로부터 상기 위급신호 수신 시간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위치산출부는 위급신호의 수신 시간과 상기 다른 네트워크 카메라의 위급신호 수신 시간차를 이용하여 위치를 감지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10. 제1항에 있어서,
    인체의 체온을 검출하는 PIR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촬영부가 상기 위치산출부에 의해 산출된 영역과 PIR 센서에 의해 감지된 영역을 한 장면에 촬영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11. 제1항에 있어서,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 센서; 및
    상기 음성을 분석하여 위급상황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음성 분석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음성 분석부가 이상상황이라고 판단하는 경우, 상기 위급신호가 수신되지 않는 경우에도 음성이 발생한 영역을 촬영하도록 상기 구동부를 제어하는 네트워크 카메라.
  12. 인체에 부착되어 심박수를 감지하고, 심박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하는 경우 비콘신호를 발생하는 스마트워치;
    상기 비콘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비콘신호를 기반으로산출된 위치정보를 미리 등록된 서버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카메라 초점을 이동하고, 상기 위치정보에 대응하는 영역을 촬영하여 촬영 영상을 전송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카메라; 및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카메라의 위치 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스마트워치가 수신한 비콘신호의 세기를 수신하여 상기 스마트 워치의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다수의 네트워크 카메라가 산출된 위치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관리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비콘신호가 복수의 스마트워치로부터 수신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스마트워치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이내에 존재하는 경우, 네트워크 카메라를 줌인 또는 줌아웃 되도록 제어하여 상기 복수의 스마트워치가 같은 장면 내에서 촬영되도록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스마트워치 간의 거리가 미리 정해진 거리 범위를 벗어나 존재하는 경우, 상기 복수의 스마트워치 중 근접한 영역에 있는 근접 스마트워치를 결정하고, 상기 네트워크 카메라를 상기 근접 스마트워치의 위치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는 상기 스마트워치의 위치를 기반으로 상기 스마트 워치와 근접한 네트워크 카메라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네트워크 카메라가 상기 산출된 위치를 촬영하도록 제어하는 감시 시스템.


KR1020160082921A 2016-06-30 2016-06-30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KR102480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921A KR102480784B1 (ko) 2016-06-30 2016-06-30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82921A KR102480784B1 (ko) 2016-06-30 2016-06-30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92A KR20180003292A (ko) 2018-01-09
KR102480784B1 true KR102480784B1 (ko) 2022-12-22

Family

ID=610007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82921A KR102480784B1 (ko) 2016-06-30 2016-06-30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078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064708A (zh) * 2018-08-24 2018-12-21 广东工业大学 一种防保姆虐童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35420A (ko) * 2009-09-30 2011-04-06 이정대 감지 센서를 이용한 위험 알림 방법
KR101679597B1 (ko) * 2014-04-11 2016-12-06 렉스젠(주) 객체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052496A (ko) * 2016-04-23 2016-05-12 정은철 비명소리 탐지 비상호출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03292A (ko) 2018-01-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48054B1 (ko) 물체의 이동 경로를 추적하는 물체 추적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45598B1 (ko) 이상행동 탐지 방범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328246B1 (ko) 이동 객체 자동 추적 시스템과 그 방법
KR101481051B1 (ko) 개인용 블랙박스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101459104B1 (ko) 동작분석을 통하여 위급상황을 감지하는 지능형 cctv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위급상황 감지방법
US10341616B2 (en) Surveillance system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145543B1 (ko) 피보호자 영상 제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617342B1 (ko) 놀이시설장소 돌봄 장치 및 돌봄 방법
KR20180007615A (ko)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이용한 폭력 감지 방법
KR20110035420A (ko) 감지 센서를 이용한 위험 알림 방법
KR102480784B1 (ko) 네트워크 카메라 및 이를 포함하는 감시 시스템
EP3413281A1 (en) Lifi enabled guard security system
KR101020670B1 (ko) 원격테스트 기능을 구비한 방범 시스템
KR101852056B1 (ko) 비콘 일체형 영상촬영장치를 이용한 위치기반 부가 서비스 제공시스템
KR20080076201A (ko) 전방향 감지카메라에 의한 이동식 보안 시스템
KR20210002288A (ko) Cctv 겸용 드론을 이용한 cctv 감시 시스템
KR100819028B1 (ko) 보안 로봇 및 로봇을 이용한 보안 방법
KR101848320B1 (ko) 총소리 감지 및 영상촬영 방법
KR101653820B1 (ko) 열 감지 기반의 대상체 및 상황 감지 시스템
US1143194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amera and beacon integration
KR101527813B1 (ko) 유아를 위한 보육 및 교육 시설에서 유아 보호를 위한 cctv 관리 단말, 그리고 cctv 정보 획득 방법
KR101859883B1 (ko) 네트워크 장치
KR20150136226A (ko) 출입자 관리 시스템 및 이의 제어 방법
US1040490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method, system and computer program
US10999495B1 (en) Internet of things-based indoor selfie-supporting camera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