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411B1 -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 Google Patents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411B1
KR102386411B1 KR1020200067190A KR20200067190A KR102386411B1 KR 102386411 B1 KR102386411 B1 KR 102386411B1 KR 1020200067190 A KR1020200067190 A KR 1020200067190A KR 20200067190 A KR20200067190 A KR 20200067190A KR 102386411 B1 KR102386411 B1 KR 10238641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fixed
movable blade
movable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6719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0164A (ko
Inventor
고광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동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동
Priority to KR102020006719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6411B1/ko
Publication of KR202101501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01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41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41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34/00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 A01D34/01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 A01D34/02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 A01D34/03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 A01D34/04Mowers; Mowing apparatus of harvesters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ating to the type of cutting apparatus having reciprocating cutters mounted on a vehicle, e.g. a tractor, or drawn by an animal or a vehicle with cutters at the front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DHARVESTING; MOWING
    • A01D41/00Combines, i.e. harvesters or mowers combined with threshing devices
    • A01D41/12Details of combines
    • A01D41/14Mowing tabl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Harvester Elements (AREA)

Abstract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취장치는, 예취부 하단의 장착 프레임에 부착 고정되는 베이스부와, 베이스부의 일측에 부착 고정되며 제1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날을 갖는 고정날부와, 고정날부 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좌우로 상대 운동을 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날과 겹치도록 상기 고정날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가동날을 갖는 가동날부와, 회전운동을 하는 구동축과 가동날부 사이에 설치되어 입력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가동날부에 제공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베이스부에는 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장공을 관통하여 장착 프레임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통해 베이스부가 상기 장착 프레임에 부착 고정되되, 장공에 의해 허용된 범위 안에서 고정볼트를 기준으로 베이스부의 제1 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가동날과 고정날 사이의 제1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요지로 한다.

Description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Mowing device with fine adjustment of blade gap}
본 발명은 콤바인에 설치되는 예취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좀 더 구체적으로는 두 칼날(고정날과 가동날) 사이의 예취방향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행하면서 작물을 베어내고 베어낸 작물에서 곡물과 검불을 선별 분리하여 선별된 곡물을 임시 저장하는 일련의 과정을 연속적으로 행하는 농작업 차량을 콤바인(Combine)이라 한다. 콤바인은 통상, 예취부, 탈곡부, 짚 배출부 및 곡물탱크 등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구조 및 기능적인 측면에서 자탈형 콤바인과 보통형 콤바인으로 구분된다.
자탈형 콤바인은 예취된 작물을 탈곡통의 중심축과 평행하게 이송시키면서 탈곡부에 이삭만을 투입하여 탈곡하는 형식의 콤바인이며, 본 발명과 관련한 보통형 콤바인은 서양에서 주로 사용되는 대형 콤바인의 일종으로 예취부를 통해 예취된 작물의 줄기와 이삭을 동시에 탈곡부에 투입하여 탈곡하는 형식의 콤바인이다.
보통형 콤바인은 일본특허공개 제2010-239980호와 일본특허공개 제2014-193115호를 비롯해 다수의 공지 기술에 기재된 바와 같이, 직립된 작물을 베어내는 예취부와 예취 작물에 대한 실질적인 탈곡이 이루어지는 탈곡장치, 그리고 예취부를 통해 예취된 곡물을 상기 탈곡장치로 이송하는 피더(Feeder)를 포함한다.
피더는 상기 예취부와 탈곡장치에 걸쳐 설치되며 작물을 이송하는 이송체인을 구비하며, 상기 이송체인은 주행 기체 전방의 상기 예취부와 주행기체의 상기 탈곡장치를 연통 연결하는 피더 케이스에 의해 둘러싸여 있다. 피더는 엔진이 출력하고 상기 탈곡장치를 구동하는 동력으로부터 취출된 동력으로 구동되며, 예취부가 상기 피더와 연동된다.
보통형 콤바인에서 예취부에 적용되는 예취장치는, 한국공개특허 제2007-0003535호 등에 개시된 바와 같이, 작동방향이 상반되는 바리칸 타입(bariquant type)의 예취장치가 예취부의 가로 폭 방향을 따라 일렬로 맞대어 배치되고, 예취장치를 구성하는 두 개의 예취날의 슬라이딩 방향 상대 운동으로 예취동작이 행해지도록 구성된다.
두 개의 예취날은 고정날와 가동날로 구성된다. 가동날은 고정날 위로 밀착 배치되며 정해진 스크로크 범위 내에서 좌우로 움직인다. 이때 가동날을 구성하는 칼날이 고정날을 구성하는 칼날 중 이웃하는 두 칼날 사이를 왕복 이동하며, 가동날의 칼날이 고정날의 칼날과 교차하는 순간 발생하는 전단력 때문에 예취가 구현되는 것이다.
고정날의 칼날과 가동날의 칼날 사이의 수평방향 간격은 예취 성능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다. 예를 들어, 중립위치에서 가동날을 구성하는 칼날의 중심 위치가 고정날을 구성하는 칼날의 중심 위치에서 조금이라도 벗어나면, 가동날의 움직임을 기준으로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방향에 대해서는 절단 불량이 발생할 수 밖에 없다.
이에 장시간 사용으로 중립 위치에서 두 칼날의 중심이 조금씩 틀어질 경우 가동날의 수평방향 위치를 재조정하여 절단(예취) 성능을 회복시키게 되는데, 종래 보통형 콤바인에 적용된 예취장치에서는 가동날 측과 구동축이 상호 스플라인 연결된 부분의 회전방향 스플라인 결합 위치를 조절하여 가동날의 수평방향 위치를 조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종래에는 가동날 측과 구동축이 상호 스플라인 연결된 부분의 회전방향 결합 위치를 조절하면, 조절량에 상응하는 스크로크 만큼 가동날이 수평방향으로 움직여 고정날과의 간격이 조절 되는데, 스플라인 외연의 치(Tooth)와 치(Tooth) 사이의 간격이 정해져 있기 때문에 가동날의 수평방향 위치를 보다 미세하게 조절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5731280호(등록일 2015.04.17) 일본등록특허 제5330781호(등록일 2013.08.02)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고정날과 가동날 사이의 수평방향(고정날에 대해 가동날이 움직이는 방향)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의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제의 해결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예취부 하단의 장착 프레임에 부착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부착 고정되며 제1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날을 갖는 고정날부;
상기 고정날부 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좌우로 상대 운동을 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날과 겹치도록 상기 고정날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가동날을 갖는 가동날부;
회전운동을 하는 입력축과 상기 가동날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가동날부에 제공하는 동력전달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장공을 관통하여 장착 프레임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통해 베이스부가 상기 장착 프레임에 부착 고정되되,
상기 장공에 의해 허용된 범위 안에서 고정볼트를 기준으로 베이스부의 제1 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가동날과 고정날 사이의 제1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장착 프레임에 부착 고정되며 상기 장공이 형성된 제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직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정날부가 부착 고정되는 제2 베이스 프레임으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고정날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볼트로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가동날을 제1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롯이 형성된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과 고정편을 연결하는 아래로 볼록한 아치형 연결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아치형 연결편과 고정날의 경계부에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이탈방지턱에 일 측면부가 접하도록 상기 가동날의 일측 하면에 이탈방지블록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예취장치는, 상기 베이스부에 제1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에 대하여 가동날부가 상기 고정날부 측으로 가압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날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장착 프레임에 대해 베이스부의 제1 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가동날과 고정날 사이의 제1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위치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부착되며 체결구멍이 형성된 조절판과, 상기 체결구멍에 나사 결합되며 장착 프레임의 일측의 지지판을 관통하는 칼날조절볼트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적용된 상기 동력전달부는, 입력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구비된 구동축과, 상기 가동날부 일측의 링크 연결부에 한 쪽 끝이 힌지구조로 연결된 가동링크와, 상기 구동축의 일측 단부에 한 쪽 끝이 동심 결합되고 다른 쪽 끝은 상기 가동링크의 타측에 힌지구조로 연결된 요동아암으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고정날부에 대해 가동날부가 상대 운동을 함에 있어, 탄성 가압부에 의하여 가동날부의 들뜸이 억제되고, 고정날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턱과 가동날에 결합된 이탈방지블록에 의해 가동날부의 전방 이탈이 저지됨으로써, 가동날부가 들뜨거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고 예취 동작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장시간 구동으로 동력전달부의 유격이나 칼날이 마모된 경우, 허용범위 안에서 베이스부의 제1 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가동날과 고정날 사이의 제1 방향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동력전달부의 유격이나 칼날 마모 정도에 맞춰 칼날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재조정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절단 불량을 명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예취장치의 요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예취장치를 Ⅰ-Ⅰ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
도 5는 도 2의 'B'부를 확대 도시한 저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취장치의 작동 상태도.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더하여,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도면 참조부호를 부여하기로 하며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발명을 설명하기에 앞서 이후 사용될 방향관련 용어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정의하기로 한다.
이후 사용되는 방향 용어 중 제1 방향은 가동날부와 고정날부의 길이방향으로서, 고정날부에 대해 가동날부가 정해진 스크로크 범위 내에서 좌우로 움직이는 방향을 가리키며, 제2 방향은 제1 방향과 같은 평면 상에서 제1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고, 제3 방향은 제1 방향 및 제2 방향의 임의 축선에 의해 구획되는 평면과 수직인 방향으로 정의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의 전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2는 도 1의 'A'부를 확대 도시한 본 발명의 요부 확대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예취장치의 요부를 저면에서 바라본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에 도시된 예취장치를 Ⅰ-Ⅰ선 방향에서 바라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취장치는 크게, 베이스부(10), 고정날부(20)와 가동날부(30) 및 동력전달부(40)로 구성된다. 베이스부(10)는 보통형 콤바인의 주행 기체 전방에 배치되는 예취부 하단의 장착 프레임(6, 도 3 참조)에 부착 고정되며, 베이스부(10) 일측에 상기 고정날부(20)가 부착 고정된다. 그리고 고정날부(20) 상에 상기 가동날부(30)가 배치된다.
가동날부(30)는 고정날부(20)에 대해 제1 방향을 따라 좌우로 상대 운동을 하도록 배치됨으로써 가동날부(30)를 구성하는 칼날(이하, '가동날(36)'이라 함)이 고정날부(20)를 구성하는 칼날(이하, '고정날(26)'이라 함)과 교차하는 순간 발생하는 전단력에 의해 예취 동작이 구현되며, 동력전달부(40)는 이를 구성하는 입력축(50)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가동날부(30)에 제공한다.
베이스부(10)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미도시된 예취부 하단의 장착 프레임(6)에 부착 고정된다. 베이스부(10)에는 도 2에 도시돤 바와 같이 제1 방향에 대해 균일 또는 불균일 간격으로 이격 형성되는 둘 이상 복수의 장공(13)을 구비하며, 이러한 장공(13)을 관통하여 장착 프레임(6)에 체결되는 고정볼트(B)를 통해 베이스부(10)는 상기 장착 프레임(6)에 부착 고정될 수 있다.
베이스부(10)는 바람직하게, 제1 베이스 프레임(12)과 제2 베이스 프레임(14)으로 이루어진 구성일 수 있다. 제1 베이스 프레임(12)은 상기 장착 프레임에 부착 고정되는 부분으로서 둘 이상 복수의 상기 장공(13)을 구비하며, 제2 베이스 프레임(14)은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12)에 직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정날부(20)가 부착 고정되는 장착면(140)을 제공한다.
제1 베이스 프레임(12)에 장공(13)이 형성됨으로써 허용된 범위(장공(13)에 의해 허용된 범위)에서 고정볼트(B)를 기준으로 베이스부(10)의 제1 방향 위치를 원하는 만큼 조절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칼날(고정날(26) 및 가동날(36))이나 동력전달부(40)의 유격이나 마모 상태에 따라 가동날(36)과 고정날(26) 사이의 제1 방향 간격을 미세 조절하여 절단(예취)력을 손쉽게 재조정할 수 있다.
고정날부(20)는 도면(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너트와 같은 결속수단을 통해 상기 제2 베이스 프레임(14)에 견고하게 부착 고정될 수 있으며, 제1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상기 고정날(26)을 포함한다. 이때 고정날(26)은 도면의 예시와 같이 제2 방향으로 길게 뻗은 핑거 타입(Finger type)으로 구성될 수 있다.
고정날부(20)는 구체적으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베이스 프레임(14)에 볼트-너트와 같은 결속수단으로 고정되는 부분인 고정편(22)과, 가동날(36)을 제1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롯(260)이 형성된 복수의 상기 고정날(26)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고정날(26)과 고정편(22)을 연결하는 아래로 볼록한 아치형 연결편(24)을 구비한다.
고정날부(20)를 구성하는 상기 아치형 연결편(24)과 고정날(26)의 경계부는 소정의 높이로 단차지게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경계부에는 소정의 높이로 이탈방지턱(25)이 형성되며, 이러한 이탈방지턱(25)에 일 측면부가 접하도록 상기 가동날(36)의 일측 하면에 이탈방지블록(38)이 결합됨으로써 예취동작 시 고정날부(20)에 대한 가동날부(30)의 제2 방향 이탈이 저지될 수 있다.
가동날부(30)는 상기 고정날부(20) 상에서 고정날부(20)에 대하여 제1 방향을 따라 좌우로 상대 운동을 하도록 배치된다. 가동날부(30)는 적어도 일부가 고정날(26)과 겹치도록 고정날(26)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가동날(36)을 포함한다. 이때 가동날(36)은 평면 모양이 삼각형으로 제1 방향을 따라 연속되며, 각각의 좌우 가장자리 변에 날카로운 날이 형성된 구성일 수 있다.
동력전달부(40)는 엔진 출력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입력축(50)과 상기 가동날부(30)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축(50)이 제공하는 동력을 적절히 전환하여 상기 가동날부(30)에 제공한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엔진 출력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입력축(50)의 회전력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가동날부(30)에 제공하도록 기능한다.
동력전달부(40)는 구체적으로, 입력축(50)의 회전운동에 따라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구비된 구동축(42)과, 가동날부(30) 일측의 링크 연결부(32)에 한 쪽 끝이 힌지구조로 연결된 가동링크(46)와, 상기 구동축(42)의 일측 단부에 한 쪽 끝이 동심 결합되고 다른 쪽 끝은 상기 가동링크(46)의 타측에 힌지구조로 연결된 요동아암(44)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입력축(50)의 회전에 따라 구동축(42)이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정/역 방향으로 왕복 각운동을 하도록 두 축은 캠 구조, 예를 들어 요동 캠(48)으로 연결될 수 있다(도 1의 부분 확대도 참조).
이와 같은 구성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입력축(50)의 회전으로 구동축(42)이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왕복 각운동을 하고, 구동축(42)의 왕복 각운동으로 구동축(42)에 연결된 요동아암(44)과 요동아암(44)에 힌지구조로 연결된 가동링크(46)가 제1 방향에 대해 좌우 요동됨으로써, 고정날부(20)에 대해 가동날부(30)가 제1 방향에 대해 좌우로 상대 운동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 3 및 도 4에서 도면부호 16은 베이스부(10)에 설치되는 탄성 가압부(16)를 가리킨다. 탄성 가압부(16)는 베이스부(10)에 제1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에 대하여 가동날부(30)를 상기 고정날부(20) 측으로 가압하여 밀착되도록 기능한다. 이로 인해 가동날부(30)의 들뜸이 억제되어 원활한 절단 성능이 발휘될 수 있다.
탄성 가압부(16)는 도 3 및 도 4의 예시와 같이, 베이스부(10), 구체적으로는 제2 베이스 프레임(14)의 상면에 고정되는 리벳 또는 볼트-너트 방식으로 부착 고정되는 고정단(160)과, 고정단(160)에서 가동날부(30)를 향하도록 연장되고 연장된 끝 부분이 가동날부(30)의 상면에 밀착됨으로써 가동날부(30)를 제3 방향으로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위로 만곡진 곡선상의 탄성편(162)으로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의 다른 요부를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2의 'B'부를 확대 도시한 저면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는 또한, 전술한 베이스부(10)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장착 프레임(6)에 대해 베이스부(10)의 제1 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가동날(36)과 고정날(26) 사이의 제1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위치 조절부(18)를 포함한다.
위치 조절부(18)는 바람직하게, 베이스부(10)의 일측에 부착되며 체결구멍이 형성된 조절판(180)과, 상기 체결구멍에 나사 결합되며 장착 프레임(6)의 일측의 지지판(60)을 관통하는 칼날조절볼트(182)로 이루어져, 전술한 고정볼트(B)를 릴리즈시킨 상태에서 칼날조절볼트(182)를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 가동날(36)과 고정날(26) 사이의 제1 방향 간격을 조절하도록 된 구성일 수 있다.
즉 칼날조절볼트(182)의 회전운동에 따라 이에 나사 체결된 조절판(180)이 제1 방향을 대하여 직선운동을 함으로써 베이스부(10)가 이동되고, 이에 따라 베이스부(10)에 부착 고정된 가동날부(30)의 제1 방향 위치를 전술한 장공(13)이 허용하는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이는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 예로서 특별히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베이스부(1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켜 가동날부(30)의 제1 방향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구성이면 족하므로, 베이스부(10)를 제1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는 메커니즘을 갖는 공지된 모든 형태의 기구 또는 기계적인 구조나 구성으로 대체 가능하며, 따라서 그러한 변형 역시 본 발명의 범주에 포함될 수 있음을 밝혀 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취장치의 작동에 대해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취장치의 작동 상태도로서, 도 6의 (a)는 입력축(50)으로부터 전달된 회전력에 따라 가동날부(30)가 제1 방향에 대해 슬라이딩 작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6의 (b)는 동력전달부(40)의 유격이나 칼날(고정날(26)과 가동날(36))이 마모된 경우 가동날(36)과 고정날(26) 사이의 제1 방향 간격 조절을 위한 위치 조절부(18)의 조작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및 앞서 첨부된 도 1을 함께 참조하면, 엔진 출력으로 일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입력축(50)에 구동축(42)이 전술한 캠(요동 캠(48))으로 연결된다. 이에 따라 일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입력축(50)의 회전으로 구동축(42)은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시계 및 반시계 방향으로 왕복 각운동을 한다.
구동축(42)의 왕복 각운동에 따라 구동축(42)에 연결된 요동아암(44)의 타단이 제1 방향에 대해 요동운동을 하고, 요동운동을 하는 요동아암(44)의 타단에 힌지구조로 연결된 가동링크(46)가 제1 방향에 대해 좌우 요동됨으로써, 가동날부(30)가 고정날부(20)에 대해 제1 방향을 따라 정해진 범위에서 좌우로 상대 운동을 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가동날부(30)를 구성하는 가동날(36)이 고정날부(20)를 구성하는 고정날(26) 중 이웃하는 두 고정날(26) 사이를 왕복 이동하며, 가동날(36)이 고정날(26)과 교차하는 순간 발생하는 전단력으로 인하여 기체의 전진 이동에 따라 이웃하는 두 고정날(26) 사이로 진입한 작물의 밑동을 절단하는 예취가 구현되는 것이다.
고정날부(20)에 대해 가동날부(30)가 상대 운동을 함에 있어, 전술한 탄성 가압부(16)에 의하여 가동날부(30)의 들뜸이 억제되고, 고정날부(20)에 형성된 이탈방지턱(25)과 가동날(36)에 결합된 이탈방지블록(38)에 의해 가동날부(30)의 전방 이탈이 저지됨으로써 가동날부(30)가 들뜨거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고 예취 동작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장시간 구동으로 동력전달부(40)의 유격이나 칼날(고정날(26)과 가동날(36))이 마모된 경우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예취장치는, 허용된 범위(장공(13)에 의해 허용된 범위) 내에서 고정볼트(B)를 기준으로 베이스부(10)의 제1 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가동날(36)과 고정날(26) 사이의 제1 방향 간격을 미세 조절함으로써 절단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는, 동력전달부(40)의 유격이나 칼날이 마모되어 두 칼날 사이의 간격이 조절이 필요한 경우, 전술한 고정볼트(B)(도 2 참조)들을 살짝 풀어 장착 프레임(6)에 대해 베이스부(10)가 제1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 상태에서, 도 6의 (b)나 (c)와 같이 위치 조절부(18)의 칼날조절볼트(182)를 회전시켜 고정날(26)과 가동날(36) 사이의 간격을 손쉽게 재조정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의하면, 고정날부에 대해 가동날부가 상대 운동을 함에 있어, 탄성 가압부에 의하여 가동날부의 들뜸이 억제되고, 고정날부에 형성된 이탈방지턱과 가동날에 결합된 이탈방지블록에 의해 가동날부의 전방 이탈이 저지됨으로써, 가동날부가 들뜨거나 전방으로 이탈되지 않고 예취 동작이 안정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장시간 구동으로 동력전달부의 유격이나 칼날이 마모된 경우, 허용범위 안에서 베이스부의 제1 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가동날과 고정날 사이의 제1 방향 간격을 미세하게 조절할 수 있다. 즉 동력전달부의 유격이나 칼날 마모 정도에 맞춰 칼날 사이의 간격을 정확하게 재조정할 수 있어 그에 따른 절단 불량을 명확하게 방지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 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6 : 장착 프레임 10 : 베이스부
12 : 제1 베이스 프레임 13 : 장공
14 : 제2 베이스 프레임 16 : 탄성 가압부
18 : 위치 조절부 20 : 고정날부
22 : 고정편 24 : 연결편
25 : 이탈방지턱 26 : 고정날
30 : 가동날부 32 : 링크 연결부
36 : 가동날 38 : 이탈방지블록
40 : 동력전달부 42 : 구동축
44 : 요동아암 46 : 가동링크
48 : 요동 캠 50 : 입력축
60 : 지지판 140 : 장착면
160 : 고정단 162 : 탄성편
180 : 조절판 182 : 칼날조절볼트
260 : 슬롯 B : 고정볼트

Claims (8)

  1. 예취부 하단의 장착 프레임에 부착 고정되는 베이스부;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부착 고정되며 제1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복수의 고정날을 갖는 고정날부;
    상기 고정날부 상에서 제1 방향을 따라 좌우로 상대 운동을 하도록 배치되며, 적어도 일부가 상기 고정날과 겹치도록 상기 고정날 각각에 대응하여 구비되는 복수의 가동날을 갖는 가동날부;
    엔진에 기구적으로 연결되어 엔진 출력에 의해 일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는 입력축과 상기 가동날부 사이에 설치되며, 상기 입력축의 회전운동을 직선운동으로 전환하여 상기 가동날부에 제공하는 동력전달부; 및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 단부에 배치되며, 상기 장착 프레임에 대해 베이스부의 제1 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가동날과 고정날 사이의 제1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위치 조절부;를 포함하며,
    상기 베이스부에는 둘 이상의 장공이 형성되고 각각의 장공을 관통하여 장착 프레임에 체결되는 고정볼트를 통해 베이스부가 상기 장착 프레임에 부착 고정되되,
    상기 장공에 의해 허용된 범위 안에서 고정볼트를 기준으로 베이스부의 제1 방향 위치를 조절하여 상기 가동날과 고정날 사이의 제1 방향 간격을 조절할 수 있는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장착 프레임에 부착 고정되며 상기 장공이 형성된 제1 베이스 프레임과,
    상기 제1 베이스 프레임과 직각으로 연결되며 상기 고정날부가 부착 고정되는 제2 베이스 프레임으로 구성되는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날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볼트로 고정되는 고정편과,
    상기 가동날을 제1 방향으로 요동 가능하게 수용하는 슬롯이 형성된 고정날과,
    상기 고정날과 고정편을 연결하는 아래로 볼록한 아치형 연결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아치형 연결편과 고정날의 경계부에 이탈방지턱이 형성된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이탈방지턱에 일 측면부가 접하도록 상기 가동날의 일측 하면에 이탈방지블록이 결합되는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에 제1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설치되며, 제1 방향과 수직인 제3 방향에 대하여 가동날부가 상기 고정날부 측으로 가압되어 밀착될 수 있도록 상기 가동날부를 탄성적으로 가압하는 탄성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치 조절부는,
    상기 베이스부의 일측에 부착되며 체결구멍이 형성된 조절판과,
    상기 체결구멍에 나사 결합되며 장착 프레임의 일측의 지지판을 관통하는 칼날조절볼트를 포함하는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입력축의 회전운동에 따라 정해진 각도 범위 내에서 정/역 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도록 구비된 구동축과,
    상기 가동날부 일측의 링크 연결부에 한 쪽 끝이 힌지구조로 연결된 가동링크와,
    상기 구동축의 일측 단부에 한 쪽 끝이 동심 결합되고 다른 쪽 끝은 상기 가동링크의 타측에 힌지구조로 연결된 요동아암으로 구성되는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KR1020200067190A 2020-06-03 2020-06-03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KR10238641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190A KR102386411B1 (ko) 2020-06-03 2020-06-03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67190A KR102386411B1 (ko) 2020-06-03 2020-06-03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164A KR20210150164A (ko) 2021-12-10
KR102386411B1 true KR102386411B1 (ko) 2022-04-15

Family

ID=788654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67190A KR102386411B1 (ko) 2020-06-03 2020-06-03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41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1887A (ja) * 2011-03-16 2012-10-11 Kubota Corp 摘心機
KR101989182B1 (ko) 2012-07-24 2019-06-13 대동공업주식회사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31280B2 (ko) 1974-02-14 1982-07-03
JPS5251009A (en) 1975-10-17 1977-04-23 Morinaga Milk Ind Co Ltd Method of producing drug for treating marrow leukemia
JPH09238534A (ja) * 1996-03-07 1997-09-16 Kubota Corp 刈取収穫機の刈刃駆動構造
KR20140112797A (ko) * 2013-03-14 2014-09-24 안태웅 콤바인용 예취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91887A (ja) * 2011-03-16 2012-10-11 Kubota Corp 摘心機
KR101989182B1 (ko) 2012-07-24 2019-06-13 대동공업주식회사 칼날 유격조절 기능을 갖는 예취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0164A (ko) 2021-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597170C2 (ru) Низкопрофильный привод режущего аппарата
EP2713695B1 (en) Cam driven low profile sickle drive
EP2713691B1 (en) Pivoting action low profile sickle drive
EP2713693B1 (en) Slot driven low profile sickle drive
US6314707B1 (en) Balanced reciprocating, brush cutting, mower attachment
JPH09215426A (ja) 普通型コンバインのセカンドモア
KR102386411B1 (ko) 칼날 미세 조절이 가능한 예취장치
US2724941A (en) Lawn mower with oscillating cutters
IE53233B1 (en) Harvester
JP5614106B2 (ja) コンバイン
JP6731886B2 (ja) 収穫機
JP3280255B2 (ja) コンバインの刈取部構造
JPH09238534A (ja) 刈取収穫機の刈刃駆動構造
RU2588163C2 (ru) Низкопрофильный привод режущего аппарата поворотного действия
JP4733512B2 (ja) 収穫機用のバリカン型刈取り装置
JP2686600B2 (ja) 刈取装置の駆動機構
JP3372446B2 (ja) コンバイン
JP2660286B2 (ja) 刈刃機構における刈刃保持構造
JPH09238530A (ja) 刈取収穫機の刈刃駆動構造
JPH09238531A (ja) 刈取収穫機の刈刃駆動構造
JPS6033782Y2 (ja) コンバインの刈刃駆動安全装置
JP4820076B2 (ja) 刈取装置
JPS63177734A (ja) コンバイン
JP2649053B2 (ja) 刈刃装置における刈刃機構
JP2791548B2 (ja) 刈刃機構における刈刃保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