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1144B1 - 차량용 마운팅 부시 및 그 설치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용 마운팅 부시 및 그 설치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1144B1
KR102361144B1 KR1020170092530A KR20170092530A KR102361144B1 KR 102361144 B1 KR102361144 B1 KR 102361144B1 KR 1020170092530 A KR1020170092530 A KR 1020170092530A KR 20170092530 A KR20170092530 A KR 20170092530A KR 102361144 B1 KR102361144 B1 KR 102361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rusion
stopper
bush
vehicl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25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0158A (ko
Inventor
차승환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25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1144B1/ko
Publication of KR201900101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015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36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 F16F1/38Springs made of rubber or other material having high internal friction, e.g. thermoplastic elastomers with a sleeve of elastic material between a rigid outer sleeve and a rigid inner sleeve or pin, i.e. bushing-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Springs (AREA)
  • Vibration Prevention Devices (AREA)

Abstract

차량용 마운팅 부시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차량용 마운팅 부시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는 내파이프부와, 내파이프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서브프레임부의 마운트 브라켓부에 결합되는 외파이프부와, 내파이프부와 외파이프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러버부가 구비되는 부시본체부 및 돌출부를 둘러싸며, 부시본체부 상에 안착 결합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돌출부의 차체 측 단부는 스토퍼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외측으로 굽힘 처리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스토퍼부를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마운팅 부시 및 그 설치방법{MOUNTING BUSH FOR VEHICLE AND INSTALL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차량용 마운팅 부시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체와 스토퍼부와의 이음 현상을 방지하고, 부시본체부와 스토퍼부 사이로 수분의 유입을 차단하는 차량용 마운팅 부시 및 그 설치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체는 자동차의 외형을 이루고 있는 부분으로서 다수개의 부재들이 적절하게 접합되어 이루어진다. 서브프레임(SUB FRAME)은 전방 차체의 하부에서 각 모서리 부위가 차체의 좌우측 사이드멤버(SIDE MEMBER)와 크로스멤버(CROSS MEMBER)상에 다수개의 부위로 결합된다.
이러한 서브프레임은 엔진 룸 내로 탑재되는 엔진과 변속기 등의 주요 부품들을 지지해주는 기능을 하게 된다. 서브프레임은 다수의 부분들이 서로 결합되는 부위에 대한 체결력, 강성을 강화시키고, 전방 충돌 시 이에 따른 변형이나 파손을 최대한 줄여 주면서 탑승자의 부상도 방지하도록 한다.
부시 타입의 서브프레임인 경우, 부시의 상단에는 차체와의 안착을 위해 스토퍼를 배치한다. 종래 차량 운행 중 급제동 시 스토퍼와 차체 안착면과의 슬립에 의해 이음이 발생되고, 스토퍼와 부시파이프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어 별도의 수분 배출부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5-0054516호(2015.05.20 공개, 발명의 명칭: 차량용 스토퍼)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내파이프부에 형성되고 일단부가 외측으로 컬링(CURLING)되어 스토퍼부를 가압하여 차체와 스토퍼부 사이에 슬립 및 이로 인한 이음을 방지할 수 있는 차량용 마운팅 부시 및 그 설치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는 내파이프부와; 상기 내파이프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차량에 설치되는 서브프레임부의 마운트 브라켓부에 결합되는 외파이프부와; 상기 내파이프부와 상기 외파이프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러버부;가 구비되는 부시본체부; 및 상기 돌출부를 둘러싸며, 상기 부시본체부 상에 안착 결합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차체 측 단부는 상기 스토퍼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외측으로 굽힘 처리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토퍼부를 가압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내파이프부가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와 결합되고, 상기 차체와 마주보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면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완충부; 상기 부시본체부와 마주보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면에 원주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완충부가 결합되는 내측부; 상기 제2완충부와 결합되고, 상기 내측부보다 상기 부시본체부로부터 상기 차체 측으로 더 이격되는 외측부; 및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를 연결하며, 상기 외측부에서 상기 내측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돌출부는, 돌출본체와; 상기 돌출본체와 연결되고 외측으로 굽힘 처리되는 컬링부와; 상기 컬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완충부와 접촉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컬링부의 상기 차체 측 단부는 상기 외측부보다 상기 차체에 더 근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 설치방법은: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는 내파이프부와; 상기 내파이프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차량에 설치되는 서브프레임부의 마운트 브라켓부에 결합되는 외파이프부와; 상기 내파이프부와 상기 외파이프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러버부;가 구비되는 부시본체부;를 상기 마운트 브라켓부에 압입하는 압입단계; 상기 돌출부를 둘러싸며 스토퍼부;를 상기 부시본체부에 안착시키는 조립단계; 및 상기 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스토퍼부를 가압 고정하도록 상기 돌출부를 굽히는 컬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는 돌출부의 차체 측 단부가 스토퍼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외측으로 컬링됨으로 인하여 충격 발생 시 차체와 먼저 접촉되고, 차체와 스토퍼부 간 슬립, 슬립으로 인한 이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고정부가 제1완충부를 원주 방향을 따라 전 구간에서 가압 고정함으로 인해 부시본체부와 스토퍼부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수분 유입으로 인한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외측부가 내측부보다 부시본체부로부터 차체 측으로 더 근접 배치됨으로 인하여 외파이프부와 플레이트부 간의 충돌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컬링부의 상단부가 외측부의 상단부보다 차체 측에 근접하게 배치됨으로 인해 주행 중 충격 시 플레이트부보다 먼저 차체와 접촉되어 플레이트부와 차체 간 슬립을 방지하고, 슬립으로 인한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제1완충부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차체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제2완충부로 인하여 주행 중 충격이 발생된 경우 형상이 변형되어 플레이트부와 외파이프부 간 접촉으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의 설치방법은 컬링단계로 인해 설계 성능에 따라 스토퍼부와 차체 사이의 간격이 조절되도록 돌출부를 굽힘 처리하여 돌출부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를 도시한 정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 및 그 설치방법의 일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의 장착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를 도시한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를 도시한 정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를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를 도시한 정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1)는 부시본체부(100), 스토퍼부(2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본체부(100)는 서브프레임부(10)의 마운트 브라켓부(11)에 장착되는 것으로, 내파이프부(110), 외파이프부(120), 러버부(130)를 포함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내파이프부(110)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 구체적으로 차체(5) 측(도 4 기준 상측)으로 원주 방향으로 돌출부(111)가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돌출부(111)의 외측면은 뒤에 설명할 스토퍼부(200), 구체적으로 플레이트부(210)의 내측부(211)의 내측면과 접한다. 돌출부(111)의 외측면은 뒤에 설명할 제1완충부(220)의 내측면과 접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돌출부(111)는 내파이프부(110)의 상측 단부(도 4 기준)에서 차체(5) 측(도 4 기준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것으로, 돌출본체(112), 컬링부(113), 고정부(114)를 포함한다.
돌출본체(112)는 플레이트부(210)의 내측부(211)의 내측면과 접하며 플레이트부(210)를 관통하는 것으로 원주 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컬링부(113)는 돌출본체(112)와 연결되고 외측으로 굽힙 처리되는 것으로, 컬링부(113)에서 차체(5) 측에 가장 가깝게 배치되고 굽혀지는 부분은 라운드 처리되어 차체(5)와의 접촉 시 접촉되는 면적이 증가되고 충격력을 분산시켜, 충격으로 인한 차체(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정부(114)는 컬링부(113)의 외측 단부에 연결되는 것으로, 컬링부(113)와 일체로 형성된다.
컬링부(113)와 연결되는 고정부(114)의 일단부와 대향되는 타단부는 뒤에 설명할 플레이트부(210), 구체적으로 원주 방향으로 전면이 제1완충부(220)와 접촉된다. 내파이프부(110)에 형성되는 돌출부(111), 구체적으로 고정부(114)가 제1완충부(220)와 접촉되어 스토퍼부(200)를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파이프부(120)는 내파이프부(110)의 외측에 배치되는 것으로 마운트 브라켓부(11)에 접촉되어 고정된다. 러버부(130)는 고무 재질로 형성되고, 내파이프부(110)와 외파이프부(120) 사이에 형성된다.
러버부(130)로 인하여 차량의 운행 중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이 흡수되어 탑승자에 충격이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차량 승차감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토퍼부(200)는 돌출부(111)를 둘러싸며 부시본체부(100) 상에 안착 결합되는 것으로, 플레이트부(210), 제1완충부(220), 제2완충부(2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부(210)는 내파이프부(110)가 관통되는 관통홀부(212)가 형성되는 것으로, 내측부(211), 외측부(213), 연결부(215)를 포함한다. 플레이트부(210)는 스틸(STEEL) 재질로 형성된다.
관통홀부(212)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부(210), 구체적으로 내측부(211)의 내측면은 돌출부(111)의 외측면과 접촉되어 스토퍼부(200)가 부시본체부(100) 상에서 좌우(도 4 기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부(213)는 제2완충부(230)와 결합되는 것으로, 내측부(211)보다 부시본체부(100)로부터 차체(5) 측(도 7 기준 상측)으로 더 이격된다.
이로 인하여 외파이프부(120)와 플레이트부(210) 간의 충돌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고 차량의 성능에 따라 소정 거리를 유지하도록 내파이프부(110)에 안착되는 내측부(211)보다 차체(5) 측(도 7 기준 상측)에 근접하게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플레이트부(210)의 내측부(211)와 외측부(213)는 동일 평면 상에 배치되지 않고 플레이트부(210)의 외측부(213)가 내측부(211)보다 상측(도 4 기준)에 위치하게 된다. 제1완충부(220)는 내측부(211)의 상면에서 내측부(211)와 결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내측부(211)의 하면(도 4 기준)은 돌출부(111)가 형성되지 않는 내파이프부(110)의 상면(도 4 기준)에 접촉되며, 내파이프부(110)에 안착된다. 내측부(211)의 중앙부는 내파이프부(110)가 관통되는 관통홀부(212)가 형성되며, 관통홀부(212)의 내측면은 돌출부(111), 구체적으로 돌출본체(112)의 외측면과 접촉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측부(213)의 상단부는 컬링부(113)의 상단부(도 4 기준)보다 하측에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컬링부(113)가 플레이트부(210), 구체적으로 외측부(213)보다 상측(도 4 기준), 차체(5)에 근접하게 배치되어 주행 중 충격 시 플레이트부(210)보다 먼저 차체(5)와 접촉되어 플레이트부(210)와 차체(5) 간 슬립을 방지하고, 슬립으로 인한 이음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2,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215)는 내측부(211)와 외측부(213)를 연결하는 것으로 내측부(211)로 갈수록 하향 경사면이 형성된다.
연결부(215)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내측부(211) 및 외측부(213)와 일체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단을 달리하는 내측부(211)와 외측부(213)를 연결하며 위치 고정시키는 효과가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연결부(215)는 중심을 기준으로 내측에서 외측으로 갈수록 경사가 상향되는 면으로 형성되며, 원주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1완충부(220)는 플레이트부(210)와 결합되고, 차체(5)와 마주보는 플레이트부(210)의 일면(도 4 기준 상면), 구체적으로 내측부(211)의 일면과 돌출부(111) 사이에 배치된다.
도 4를 참조하면, 제1완충부(220)는 내측부(211)의 일면(도 4 기준 상면)과 돌출부(111), 구체적으로 고정부(114) 사이에 배치되고, 제1완충부(220)는 고정부(114)와 접촉되고 고정부(114)에 의해 가압 고정된다.
제1완충부(220)는 돌출부(111) 구체적으로 돌출본체(112)가 관통되도록 홀부가 형성되고, 제1완충부(220)의 내측면은 돌출본체(112)의 외측면과 접촉된다. 고정부(114)가 원주 방향을 따라 전 구간에서 제1완충부(220)를 가압하도록 형성된다.
제1완충부(220)는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완충부(220)는 중앙부에 홀부가 형성되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차체(5)와 돌출부(111)의 접촉 시 충격으로 인해 컬링부(113)가 눌리게 되고 차체(5)에 접촉된 상태에서 돌출부(111)의 상하 방향(도 4 기준)으로 이동 됨에 따라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제1완충부(220) 형상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고, 차체(5)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2완충부(230)는 부시본체부(100)와 마주보는 플레이트부(210)의 타면(도 4 기준 하면)에 원주 방향으로 결합된다.
제2완충부(230)는 변형이 가능한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구체적으로 고무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2완충부(230)는 중앙부에 홀부가 형성되는 링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차량 운행 시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에 의해 플레이트부(210)가 외파이프부(120)와 접촉되는데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제2완충부(230)의 형상이 변형되면서 충격을 흡수하여 플레이트부(210), 부시본체부(100), 마운트 브라켓부(11) 간의 충돌로 인한 손상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1)의 작동원리 및 효과를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1)는 부시본체부(100), 스토퍼부(200)를 포함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부시본체부(100)는 서브프레임부(10)의 마운트 브라켓부(11)에 압입 결합되고, 부시본체부(100)의 외측면은 마운트 브라켓부(11)의 내측면과 접촉되어 설치된다.
도 3,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시본체부(100)는 내파이프부(110), 외파이프부(120), 러버부(130)를 포함하고, 내파이프부(110)의 내측면을 따라 상측(도 4 기준)으로 돌출부(111)가 연장 형성된다. 내파이프부(110)는 알루미늄 재질로 형성되고 이로 인하여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것에 비해 중량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돌출부(111)는 돌출본체(112), 컬링부(113), 고정부(114)를 포함하고, 플레이트부(210)가 돌출본체(112)를 둘러싸며 내파이프부(110)의 상면(도 4 기준)에 안착 결합되고, 컬링부(113)는 상단부가 외측 방향으로 굽혀져 라운드 처리되며, 컬링부(113)와 연결되는 고정부(114)가 플레이트부(210)를 가압하며 고정시킨다.
구체적으로 고정부(114)는 플레이트부(210)의 내측부(211)에 결합되는 제1완충부(220)를 접촉 가압하고, 지면으로부터 충격이 전달되는 경우 부시본체부(100)의 돌출부(111), 구체적으로 컬링부(113)가 차체(5)에 접촉되게 되고, 컬링부(113)가 차체(5)에 눌려 하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1완충부(220)가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컬링부(113)가 차체(5)에 눌려 고정부(114)가 하측(도 4 기준)으로 가압 시 형상이 변형되며 충격을 흡수하고, 내파이프부(110), 구체적으로 컬링부(113)와 차체(5)와의 슬립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컬링부(113)의 차체(5) 측 단부(도 4 기준 상단부)는 플레이트부(210)의 외측부(213)보다 차체(5)에 더 근접 배치됨으로 인하여 차체(5)와 스토퍼부(200) 간의 슬립(SLIP) 및 슬립으로 인한 이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고정부(114)가 제1완충부(220)를 원주 방향을 따라 전 구간에서 가압 고정함으로 인하여 스토퍼부(200)와 내파이프부(110), 외파이프부(120) 사이로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하고, 수분 유입으로 인한 부시본체부(100), 스토퍼부(200)의 부식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제2완충부(230)는 부시본체부(100)와 마주보는 플레이트부(210)의 타면(도 4 기준 하면)에 원주 방향으로 결합되는 것으로, 고무 재질로 형성된다.
제2완충부(230)는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스틸 재질로 형성되는 플레이트부(210)의 외측부(213)와 부시본체부(100), 구체적으로 외파이프부(120) 간의 직접 접촉으로 인한 소음, 충돌로 인한 플레이트부(210), 부시본체부(10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완충부(230)가 플레이트부(210)와 부시본체부(100) 사이에 배치됨으로 인하여 외파이프부(120)가 제2완충부(230)에 충돌 시 차량의 운행 중 지면으로부터 전달되는 충격을 흡수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컬링부(113)는 스토퍼부(200), 구체적으로 플레이트부(210)의 외측부(213)보다 상측(도 4 기준)에 배치되도록 외측으로 굽힘 처리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스토퍼부(200)를 가압 고정하고, 컬링부(113)의 차체(5) 측 단부 즉 굽힘 처리되는 상측(도 4 기준)단부는 플레이트부(210)의 외측부(213)보다 차체(5)에 더 근접하게 배치된다.
이로 인하여 주행 중 충돌 시 돌출부(111), 구체적으로 컬링부(113)가 먼저 차체(5)에 접촉되고, 스토퍼부(200)가 차체(5)와 이격되어 스토퍼부(200), 구체적으로 플레이트부(210)의 외측부(213)와 차체(5)와의 슬립으로 인한 이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플레이트부(210)는 내측부(211), 외측부(213), 연결부(215)를 포함하고, 외측부(213)는 내측부(211)보다 부시본체부(100)로부터 차체(5) 측(도 4 기준 상측)으로 더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내측부(211)는 내파이프부(110)에서 돌출부(111)가 형성되지 않는 부분의 상면에 안착 결합되고, 외측부(213)는 내측부(211)보다 상측에 위치하여 외파이프부(120)와 소정 거리 이격됨으로 인해 외파이프부(120)와의 충돌로 인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1)의 설치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의 설치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용 마운팅 부시(1)의 설치방법은 압입단계(S1), 조립단계(S2), 컬링단계(S3)를 포함한다.
압입단계(S1)는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돌출부(111)가 연장 형성되는 내파이프부(110)와, 내파이프부(110)의 외측에 배치되며 서브프레임부(10)의 마운트 브라켓부(11)에 결합되는 외파이프부(120), 내파이프부(110)와 외파이프부(120) 사이에 형성되는 러버부(130)가 구비되는 부시본체부(100)를 서브프레임부(10)의 마운트 브라켓부(11)에 압입하는 단계를 말한다.
마운트 브라켓부(11)의 내부는 부시본체부(100)가 관통되도록 중공으로 형성되고, 부시본체부(100)가 마운트 브라켓부(11)의 내측에서 결합된다. 부시본체부(100)를 마운트 브라켓부(11) 내측으로 압입하여 부시본체부(100)가 마운트 브라켓부(11)에 위치 고정되도록 한다.
조립단계(S2)는 스토퍼부(200)를 부시본체부(100)에 안착시키는 단계로, 구체적으로 돌출부(111)는 돌출본체(112), 컬링부(113), 고정부(114)를 포함하고, 뒤에 설명하는 컬링단계(S3)에서 돌출부(111)를 굽히기 전에는 상측(도 3 기준)으로 원통 형상으로 연장 형성된다.
마운트 브라켓부(11)에 부시본체부(100)가 압입 결합되고, 돌출부(111)를 관통하며 내파이프부(110)의 상면(도 4 기준)에 스토퍼부(200)가 안착된다. 스토퍼부(200) 구체적으로 플레이트부(210)의 내측부(211)는 내파이프부(110)의 상면에 안착되고, 내측부(211)의 내측면과 돌출부(111), 구체적으로 돌출본체(112)의 외측면이 접촉된다.
컬링단계(S3)는 돌출부(111)의 상측 단부가 스토퍼부(200)를 가압 고정하도록 돌출부(111)를 굽히는 단계를 말하고, 컬링단계(S3)를 거친 돌출부(111)는 돌출본체(112), 컬링부(113), 고정부(114)를 포함한다.
이때 돌출부(111)의 굽힘 위치를 조절하여 차량 설계 사항에 따라 플레이트부(210)와 플레이트부(210)의 상측(도 4 기준)에 배치되는 차체(5)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고, 플레이트부(210)와 차체(5)와의 간격이 형성됨에 따라 스토퍼부(200)와 차체(5) 간 슬립을 방지하고, 슬립으로 인한 이음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컬링단계(S3)에서 돌출부(111)가 굽힘처리 됨으로 인해 돌출부(111)의 단부, 즉 제1완충부(220)를 접촉 가압하는 고정부(114)로 인하여 스토퍼부(200)와 부시본체부(100) 사이에 수분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수분 유입으로 인한 부시본체부(100), 스토퍼부(200)의 부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차량용 마운팅 부시 5: 차체
10: 서브프레임부 11: 마운트 브라켓부
100: 부시본체부 110: 내파이프부
111: 돌출부 112: 돌출본체
113: 컬링부 114: 고정부
120: 외파이프부 130: 러버부
200: 스토퍼부 210: 플레이트부
211: 내측부 212: 관통홀부
213: 외측부 215: 연결부
220: 제1완충부 230: 제2완충부
S1: 압입단계 S2: 조립단계
S3: 컬링단계

Claims (6)

  1.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는 내파이프부와; 상기 내파이프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차량에 설치되는 서브프레임부의 마운트 브라켓부에 결합되는 외파이프부와; 상기 내파이프부와 상기 외파이프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러버부;가 구비되는 부시본체부; 및
    상기 돌출부를 둘러싸며, 상기 부시본체부 상에 안착 결합되는 스토퍼부;를 포함하며,
    상기 돌출부의 차체 측 단부는 상기 스토퍼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도록 외측으로 굽힘 처리되어 원주 방향을 따라 상기 스토퍼부를 가압 고정하고,
    상기 스토퍼부는,
    상기 내파이프부가 관통되는 관통홀부가 형성되는 플레이트부;
    상기 플레이트부와 결합되고, 상기 차체와 마주보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일면과 상기 돌출부 사이에 배치되는 제1완충부;
    상기 부시본체부와 마주보는 상기 플레이트부의 타면에 원주 방향으로 결합되는 제2완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운팅 부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레이트부는,
    상기 제1완충부가 결합되는 내측부;
    상기 제2완충부와 결합되고, 상기 내측부보다 상기 부시본체부로부터 상기 차체 측으로 더 이격되는 외측부; 및
    상기 내측부와 상기 외측부를 연결하며, 상기 외측부에서 상기 내측부로 갈수록 하향 경사면이 형성되는 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운팅 부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부는, 돌출본체와; 상기 돌출본체와 연결되고 외측으로 굽힘 처리되는 컬링부와; 상기 컬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완충부와 접촉되는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운팅 부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컬링부의 상기 차체 측 단부는 상기 외측부보다 상기 차체에 더 근접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운팅 부시.
  6.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고, 축 방향으로 돌출부가 연장 형성되는 내파이프부와; 상기 내파이프부의 외측에 배치되며, 서브프레임부의 마운트 브라켓부에 결합되는 외파이프부와; 상기 내파이프부와 상기 외파이프부의 사이에 형성되는 러버부;가 구비되는 부시본체부;를 상기 마운트 브라켓부에 압입하는 압입단계;
    상기 돌출부를 둘러싸는 스토퍼부를 상기 부시본체부 상에 안착시키는 조립단계; 및
    상기 돌출부의 단부가 상기 스토퍼부를 가압 고정하도록 상기 돌출부를 굽히는 컬링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마운팅 부시 설치방법.
KR1020170092530A 2017-07-21 2017-07-21 차량용 마운팅 부시 및 그 설치방법 KR102361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530A KR102361144B1 (ko) 2017-07-21 2017-07-21 차량용 마운팅 부시 및 그 설치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2530A KR102361144B1 (ko) 2017-07-21 2017-07-21 차량용 마운팅 부시 및 그 설치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158A KR20190010158A (ko) 2019-01-30
KR102361144B1 true KR102361144B1 (ko) 2022-02-10

Family

ID=6527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2530A KR102361144B1 (ko) 2017-07-21 2017-07-21 차량용 마운팅 부시 및 그 설치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6114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42162B1 (ko) * 2022-07-25 2024-03-04 케이지모빌리티 주식회사 자동차용 서브프레임과 바디의 마운팅 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963B1 (ko) * 2012-11-13 2013-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충돌 완충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7963B1 (ko) * 2012-11-13 2013-12-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충돌 완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0158A (ko)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3592B1 (ko) Tm마운트의 스토퍼
CN107250600B (zh) 防振装置及缓冲装置
US10661648B2 (en) Rubber stopper
US10807454B2 (en) Vibration isolation structure
KR102361144B1 (ko) 차량용 마운팅 부시 및 그 설치방법
JP6624377B2 (ja) マウント装置
JP2008248898A (ja) 筒型防振装置
KR101337963B1 (ko) 차량용 서브프레임의 충돌 완충 장치
KR100986086B1 (ko) 마운팅 부시유닛
JP2004232824A (ja) ストラットマウント
KR101886351B1 (ko) 자동차용 프레임 보강구조
KR100599283B1 (ko) 엔진의 부시형 마운트 장치
KR100968739B1 (ko) 자동차 엔진의 롤 마운팅 구조
KR102598415B1 (ko) 자동차용 롤 마운트
KR100460929B1 (ko) 차량용 변속기의 마운팅 장치
CN216184442U (zh) 防异响液压悬置软垫组件
KR20030085837A (ko) 차량의 배기계통 행거러버
KR100622500B1 (ko) 엔진 마운팅 인슐레이터
JP2001003987A (ja) エンジンマウント
KR100501436B1 (ko) 엔진 마운팅을 위한 인슐레이터
KR101665778B1 (ko) 차량용 프레임
JPH10331899A (ja) 防振ゴム及びこれを使用した防振機構
KR20140008764A (ko) 현가부재용 부시
JP2003097629A (ja) 防振マウント
JP4252466B2 (ja) ストッパ付防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