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3265B1 - 화장료 용기 - Google Patents

화장료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3265B1
KR102353265B1 KR1020200159125A KR20200159125A KR102353265B1 KR 102353265 B1 KR102353265 B1 KR 102353265B1 KR 1020200159125 A KR1020200159125 A KR 1020200159125A KR 20200159125 A KR20200159125 A KR 20200159125A KR 102353265 B1 KR102353265 B1 KR 10235326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rel
cap
axial direction
hole
cro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591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4546A (ko
Inventor
유키카즈 이시다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도끼와
Publication of KR202101045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454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326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326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02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 A45D40/04Casings wherein movement of the lipstick or like solid is a sliding movement effected by a screw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2040/20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0/00Casing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toring or handling solid or pasty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shaving soaps or lipsticks
    • A45D40/20Pencil-like cosmetics; Simple holders for handling stick-shaped cosmetics or shaving soap while in use
    • A45D40/205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 A45D2040/208Holders for stick-shaped cosmetics whereby the stick can move axially relative to the holder the relative movement being made by a rotating action, e.g. effected by a screw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편평 형상을 갖는 선통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화장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일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용기는, 선통 전방부(4A)를 갖는 선통(4)과, 선통(4)이 진입하는 통구멍(11d)을 갖는 캡(1)을 구비하고,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선통 전방부(4A)를 절단한 선통 전방부(4A)의 단면은, 장축(A1) 및 단축(A2)을 갖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고, 선통 전방부(4A)는, 개구로 향함에 따라서 장축(A1)의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면(4c)을 가지며,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통구멍(11d)을 절단한 통구멍(11d)의 단면은, 장축(C1) 및 단축(C2)을 갖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고, 통구멍(11d)은, 통구멍(11d)에 선통 전방부(4A)가 삽입될 때에, 장축(A1)의 연장 방향이 장축(C1)의 연장 방향에 일치하도록 선통(4)을 회전시키는 가이드면(11x)을 포함하고 있고, 폐지부의 내면에는 선통 전방부(4A)가 밀접한다.

Description

화장료 용기{COSMETIC MATERIAL CONTAINER}
본 개시는 화장료 용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화장료 용기에 관해서는 여러가지의 것이 알려져 있다. 실용 신안 등록 제3169255호 공보에는, 양끝이 개구된 통형의 선통(先筒)과, 선통에 축선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결합하는 용기 본체와, 선통의 전방부에 착탈 가능하게 장착되는 기밀 캡을 구비한 휘발성 막대형 화장료 조출(繰出) 용기가 기재되어 있다. 선통에는 휘발성 막대형 화장료가 수용되어 있고, 캡의 내부에는 선통의 선단을 덮고 상기 선단에 밀접하도록 장착되는 중간 덮개가 마련되어 있다. 축선 방향을 따라 본 캡의 형상은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선통을 절단한 선통의 단면은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실용 신안 등록 제3174125호 공보에는, 막대형 화장료 조출 용기 및 화장품이 기재되어 있다. 막대형 화장료 조출 용기는, 선통과, 선통에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는 용기 본체와, 선통의 전방부에 장착되는 캡을 구비한다. 캡이 선통의 전방부에 장착됨으로써, 선통에 수용되는 화장료가 밀폐된다. 축선 방향을 따라 본 캡의 형상은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선통을 절단한 선통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특허문헌 1 : 실용 신안 등록 제3169255호 공보 특허문헌 2 : 실용 신안 등록 제3174125호 공보
전술한 휘발성 막대형 화장료 조출 용기 및 막대형 화장료 조출 용기에서는, 캡이 선통을 밀봉함으로써 선통에 수용된 화장료의 휘발을 억제한다. 또한,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선통을 절단한 선통의 단면의 형상은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그런데, 화장료 용기에서는, 화장료에 의한 가는 라인 및 굵은 라인을 자유자재로 그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선통 및 화장료의 단면이 편평 형상이 되는 경우가 있다.
선통 및 화장료의 단면이 편평 형상이 되어 있는 경우, 피도포면에 대한 선통의 회전 위치를 바꾸는 것에 의해 피도포면에 가는 라인 및 굵은 라인을 자유자재로 그을 수 있게 되므로 사용성을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러나, 캡의 단면 형상은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편평 형상의 선통의 외면과 원형상의 캡의 내면 사이에 큰 간극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편평 형상을 갖는 선통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의 기밀성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다.
본 개시는, 편평 형상을 갖는 선통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는 화장료 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개시에 관한 화장료 용기는, 화장료가 출현하는 개구가 형성된 선통 전방부를 갖고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선통과, 선통으로부터 축선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용기 본체와, 선통이 진입하는 통구멍을 갖는 캡을 구비하고, 캡의 내부에는, 선통의 개구를 막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폐지부(閉止部)가 마련되어 있고,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선통 전방부를 절단한 선통 전방부의 단면은, 제1 장축 및 제1 단축을 갖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고, 선통 전방부는, 개구로 향함에 따라서 제1 장축의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을 가지며,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캡의 통구멍을 절단한 통구멍의 단면은, 제2 장축 및 제2 단축을 갖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고, 통구멍은, 통구멍에 선통 전방부가 삽입될 때에, 제1 장축의 연장 방향이 제2 장축의 연장 방향에 일치하도록 선통을 회전시키는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있고, 폐지부의 내면에는 선통 전방부가 밀접한다.
이 화장료 용기에서는, 선통은, 화장료가 출현하는 개구가 형성된 선통 전방부를 가지며,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선통 전방부를 절단한 선통 전방부의 단면은 제1 장축 및 제1 단축을 갖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통을 회전시키면서 개구로부터 노출되는 화장료를 피도포면에 도포함으로써, 가는 라인 및 굵은 라인을 자유자재로 그릴 수 있기 때문에 화장료 용기로서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화장료 용기의 캡의 내부에는, 선통의 개구를 막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폐지부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폐지부에 의해 선단의 개구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선통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료의 기밀을 확보할 수 있다. 선통 전방부는 개구로 향함에 따라서 제1 장축의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을 가지며, 폐지부의 내면에는 선통 전방부가 밀접한다. 따라서, 선통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료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캡은, 단면이 제2 장축 및 제2 단축을 갖는 편평 형상으로 된 통구멍을 갖는다. 통구멍은, 선통 전방부가 캡에 삽입될 때에, 선통 전방부의 제1 장축의 연장 방향이 제2 장축의 연장 방향에 일치하도록 선통을 회전시키는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편평 형상의 캡에 대한 편평 형상의 선통의 회전 위치가 어느 위치라 하더라도, 캡에 선통 전방부를 삽입했을 때에, 제2 장축에 제1 장축이 맞도록 가이드면이 선통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캡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편평 형상의 캡에 대한 편평 형상의 선통의 회전 위치가 어느 위치라 하더라도, 캡에 선통을 삽입하면 선통의 회전 위치가 가이드면에 의해 교정되기 때문에, 편평 형상을 갖는 선통에 대한 캡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선통은, 선통 전방부와 용기 본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선통 후방부를 가지며, 선통 후방부의 외면은, 통구멍의 가이드면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있고, 선통 후방부의 접촉면이 통구멍의 가이드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캡에 대한 선통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캡의 통구멍에 선통 후방부가 진입했을 때에, 통구멍의 가이드면에 선통 후방부의 접촉면이 접촉함으로써, 캡에 대한 선통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통구멍에서 선통 후방부를 축선 방향을 따라 또한 회전시키지 않고 진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통에 대한 캡의 장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선통 전방부는, 제1 장축의 폭이 통구멍의 제2 단축의 폭 이하인 선단부를 가져도 좋다. 이 경우, 선단부에서의 제1 장축의 폭은 통구멍의 제2 단축의 폭 이하이기 때문에, 통구멍에 대한 선단부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캡에 대한 선통의 선단부의 회전 위치가 어느 위치라 하더라도 통구멍에 대한 선단부의 삽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선통에 대한 캡의 장착을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선통 전방부를 절단한 선통 전방부의 단면은,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선통 전방부의 형상을 모서리부를 갖지 않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가이드면에 의한 선통 전방부의 회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선통에 대한 캡의 장착을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가이드면으로서 평탄면을 포함하는 캡의 통구멍을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은,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접촉면으로서 평탄면을 포함하는 선통 후방부를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은,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통구멍의 단면 형상이 평탄면을 가이드면으로서 포함하는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통구멍에 삽입되는 선통 후방부의 단면 형상은 평탄면을 접촉면으로서 포함하는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통 후방부의 평탄형의 접촉면이 통구멍의 평탄형의 가이드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선통의 회전이 규제되기 때문에, 통구멍에 대한 선통 후방부의 삽입을 한층 더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캡평탄면을 포함하는 캡을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은,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용기 본체 평탄면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를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은,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캡평탄면은 용기 본체 평탄면에 축선 방향을 따라 연속되어도 좋다. 이 경우, 캡이 용기 본체 평탄면에 연속되는 캡평탄면을 가짐으로써, 용기 본체에 대한 캡의 회전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용기 본체 평탄면에 캡평탄면이 맞도록 캡을 장착하면 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에 대한 캡의 장착을 한층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보다 사용성이 높은 화장료 용기로 할 수 있다.
본 개시에 의하면, 편평 형상을 갖는 선통의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용기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화장료 용기로부터 캡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화장료 용기의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화장료 용기의 선통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선통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선통을 전측으로부터 본 선통의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선통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화장료 용기의 캡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캡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0의 (a)는 도 8의 캡을 전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고, 도 10의 (b)는 도 8의 캡을 후측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캡의 폐지부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2의 폐지부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폐지부를 후측으로부터 본 배면도이다.
도 14는 도 1의 화장료 용기의 캡, 선통, 용기 본체 및 조작통을 도시하는 사시도이다.
도 15의 (a)는 캡의 통구멍에 대한 선통 전방부의 삽입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고, 도 15의 (b)는 도 15의 (a)보다 선통 전방부를 더 삽입시킨 상태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며, 도 15의 (c)는 캡의 통구멍에 대한 선통 후방부의 삽입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개시에 관한 화장료 용기의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한다. 도면의 설명에서 동일 또는 상당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중복 설명을 적절하게 생략한다.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용기(100)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장료 용기(100)는, 축선 방향(L)을 따라 연장되는 막대형을 나타낸다. 화장료 용기(100)는, 캡(1)과, 용기 본체(2)와, 조작통(3)을 외관 구성으로서 구비한다. 화장료 용기(100)는, 예컨대 내부에 수용된 화장료(M)(도 3 참조)를 조작통(3)의 조작에 의해 조출하는(압출하는) 펜슬이다.
본 개시에서, 「축선 방향」이란, 화장료 용기의 후술하는 선통의 축선이 연장되는 상기 축선의 연장 방향을 나타내며, 「축선 방향」은, 예컨대 화장료 용기의 길이 방향과 일치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용기 본체(2)로부터 볼 때 캡(1)이 설치되는 방향을 「전」으로 하고, 용기 본체(2)로부터 볼 때 조작통(3)이 설치되는 방향을 「후」로 하여 설명한다. 단, 이들 방향은 설명의 편의를 위한 것이며, 방향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캡(1)은 캡평탄면(1b)을 갖고, 용기 본체(2)는 용기 본체 평탄면(2b)을 가지며, 캡(1)은, 캡평탄면(1b)이 용기 본체 평탄면(2b)에 축선 방향(L)을 따라 연속되도록 용기 본체(2)에 장착된다. 본 개시에서, 「캡평탄면」이란 캡의 외주에 형성된 평탄면을 나타내고, 「용기 본체 평탄면」이란 용기 본체의 외주에 형성된 평탄면을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 「평탄면」은, 엄밀한 평면뿐만 아니라, 약간 볼록한 만곡면 및 약간 오목한 만곡면을 포함하고 있다.
캡(1)의 캡평탄면(1b) 이외의 부분은, 예컨대 캡(1)의 둘레 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만곡면(1c)으로 되어 있다. 캡평탄면(1b)은, 예컨대 축선 방향(L)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전측으로 향함에 따라서[용기 본체(2)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캡평탄면(1b)의 폭이 넓어져도 좋다. 이 경우, 캡(1)을 손가락으로 한층 더 잡기 쉽게 할 수 있기 때문에, 한층 더 사용성이 높은 화장료 용기(100)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용기 본체(2)의 용기 본체 평탄면(2b) 이외의 부분은 용기 본체(2)의 둘레 방향을 따라 원호형으로 연장되는 만곡면(2c)으로 되어 있다. 용기 본체 평탄면(2b)은, 예컨대 축선 방향(L)을 따라 직선형으로 연장되어 있고, 용기 본체(2)의 축선 방향(L)의 도중 부분까지 연장되어 있다. 즉, 용기 본체 평탄면(2b)은, 용기 본체(2)의 후측[조작통(3)측]에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축선 방향(L)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용기 본체(2)의 후측을 절단했을 때의 용기 본체(2)의 단면은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조작통(3)은 화장료 용기(100)의 후면 마개로서 기능한다. 즉, 조작통(3)은, 용기 본체(2)에 결합함으로써 통형의 용기 본체(2)의 후단을 막는다. 조작통(3)은, 예컨대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축선 방향(L)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조작통(3)을 절단했을 때의 조작통(3)의 단면은 원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전술한 용기 본체(2)의 후측의 단면 형상과, 조작통(3)의 단면 형상이 모두 원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에 의해, 용기 본체(2)와 조작통(3) 사이를 원활하게 연속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2는 화장료 용기(100)로부터 캡(1)을 제거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선통(4)에는 캡(1)이 장착된다. 캡(1)의 내부에는, 용기 본체(2)에 축선 방향(L)으로 결합하는 선통(4)이 수용된다. 선통(4)은, 편평 형상을 갖는 선통 전방부(4A)와, 평탄면(4x)을 갖는 선통 후방부(4B)를 포함하고 있다. 본 개시에서 「편평 형상」이란,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어떤 것을 상기 길이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했을 때의 단면이 장축 및 단축을 갖는 것의 형상을 나타낸다. 선통(4)은, 예컨대 슬라이딩이 용이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일례로서 PBT(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도 1의 화장료 용기(100)의 종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캡(1)은, 화장료 용기(100)의 외측으로 노출된 외측 캡(11)과, 외측 캡(11)과는 별체로 되어 있고 외측 캡(11)의 내부에 위치하는 내측 캡으로서 기능하는 폐지부(12)를 포함하고 있다. 폐지부(12)는, 예컨대 선통(4)의 선통 전방부(4A)가 삽입된 상태로 선통(4)의 개구(4d)를 막는다.
외측 캡(11)은, 슬라이딩이 용이한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일례로서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폐지부(12)는, 예컨대 탄성 재료로 구성되어 있고, 일례로서, TPEE(폴리에스테르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 구성되어 있다.
용기 본체(2)의 내부에는, 조작통(3)과 둘레 방향(회전 방향)에 결합하고 내부에 암나사(5c)를 갖는 통형의 암나사 부재(5)와, 암나사 부재(5)의 암나사(5c)와 나사 결합하는 수나사(6b)를 갖는 이동체(6)와, 이동체(6) 및 화장료(M)의 사이에 개재하여 이동체(6)의 전진에 따라 화장료(M)를 전측으로 압출하는 피스톤(7)이 설치된다. 암나사(5c)와 수나사(6b)는, 예컨대 화장료 용기(100)의 나사 결합부(R)를 구성하며, 나사 결합부(R)의 나사 결합 작용에 의해 이동체(6)가 전진한다.
암나사 부재(5)는, 예컨대 POM(폴리아세탈)로 구성되어 있다. 암나사 부재(5)는, 암나사(5c)를 갖는 전측 통부(5b)와, 전측 통부(5b)의 후측에서 전측 통부(5b)에 대하여 직경이 커지는 확경 통부(5d)와, 확경 통부(5d)의 전측 통부(5b)와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스프링부(5j)를 구비한다. 전측 통부(5b)는, 후방으로부터 선통(4)에 삽입되는 삽입부로 되어 있다. 암나사(5c)는, 예컨대 전측 통부(5b)의 전측(일례로서, 전단을 포함하는 영역)에 형성되어 있다.
확경 통부(5d)는, 예컨대 암나사 부재(5)의 직경 방향으로 탄성을 갖는 탄성 돌기부(5f)를 갖는다. 탄성 돌기부(5f)는, 암나사 부재(5)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축선 방향을 따라 나열된 한 쌍의 슬릿과, 상기 한 쌍의 슬릿의 둘레 방향의 단부 사이에서 축선 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릿에 의해 구획되어 있다.
이들 슬릿은, 예컨대 コ자형으로 되어 있고, コ자형으로 된 슬릿의 내측에 탄성 돌기부(5f)가 마련된다. 탄성 돌기부(5f)는, 예컨대 용기 본체(2)의 내면에 형성된 돌기부에 클릭 결합한다. 본 실시형태에서의 클릭 결합이란, 돌기부와 돌기부의 결합 중,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결합과 결합 해제를 반복하여 「딱딱」거리는 클릭음을 발하고 클릭감을 사용자에게 부여하는 결합을 가리킨다.
스프링부(5j)는, 예컨대 축선 방향으로 신축 가능하게 되어 있는 수지 스프링을 구성한다. 스프링부(5j)는, 예컨대 축선 방향(L)으로 나란히 마련되는 복수의 슬릿(5g)으로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부(5j)의 슬릿(5g) 이외의 복수의 원환형의 부분이 축선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부(5j)는, 화장료 용기(100)의 축선 방향(L)으로 수축하여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화장료 용기(100)로의 충격에 대한 내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암나사 부재(5)는 또한 스프링부(5j)의 후측에 암나사 부재(5)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5h)를 구비한다. 복수의 돌출부(5h)의 각각은, 축선 방향(L)으로 연장되어 있고, 또한 조작통(3)의 내측으로 들어가 있다. 돌출부(5h)는, 조작통(3)의 내면에 위치하는 복수의 결합 돌기(3f)의 각각에 둘레 방향으로 결합한다. 따라서, 암나사 부재(5)는 조작통(3)에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조작통(3)의 전측 부분은 후방으로부터 용기 본체(2)에 삽입되어 있다. 조작통(3)은, 화장료 용기(100)의 외부에 노출되는 부분보다 전측에 용기 본체(2)의 후단에 들어가는 환형 볼록부(3b), 환형 오목부(3d) 및 환형 볼록부(3c)를 구비한다. 용기 본체(2)의 내면의 후단에는, 조작통(3)이 결합하는 환형 오목부(2f), 환형 볼록부(2g) 및 환형 오목부(2h)가 형성되어 있다. 환형 오목부(2f), 환형 볼록부(2g) 및 환형 오목부(2h)의 각각에 환형 볼록부(3c), 환형 오목부(3d) 및 환형 볼록부(3b)의 각각이 결합하는 것에 의해, 조작통(3)은 용기 본체(2)에 상대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피스톤(7)은 이동체(6)의 전측에 설치된다. 피스톤(7)은, 이동체(6)의 전단이 들어가는 오목부(7b)와, 화장료(M)를 압출하는 압출면(7c)을 갖는다. 압출면(7c)은 피스톤(7)의 전단에 마련되어 있고, 예컨대 평탄형으로 되어 있다. 피스톤(7)은, 이동체(6)의 전진에 따라 화장료(M)를 압출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상의 화장료 용기(100)에서, 선통(4)으로부터 캡(1)을 제거하고 용기 본체(2)에 대하여 조작통(3)을 상대 회전시키면, 조작통(3)과 함께 암나사 부재(5)가 용기 본체(2) 및 이동체(6)에 대하여 상대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암나사 부재(5)가 이동체(6)에 대하여 상대 회전하기 때문에, 나사 결합부(R)의 나사 결합 작용이 작용하고, 상기 나사 결합 작용에 의해 이동체(6)가 전진한다. 이동체(6)가 전진하면, 피스톤(7)을 통해 화장료(M)가 전방으로 압출되고, 이에 따라 화장료(M)가 선통(4)의 개구(4d)로부터 노출되어 화장료(M)의 이용에 제공된다.
상기 예에서는, 용기 본체(2), 조작통(3), 암나사 부재(5), 이동체(6) 및 피스톤(7)이 화장료(M)의 조출 기구로서 기능한다. 그러나, 화장료 용기의 조출 기구의 구성은, 용기 본체(2), 조작통(3), 암나사 부재(5), 이동체(6) 및 피스톤(7)을 구비하는 것에 한정되지 않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본 개시에 관한 화장료 용기는, 화장료를 조출하는 조출 기구를 갖지 않는 용기이어도 좋다.
다음으로, 화장료 용기(100)의 선통(4) 및 캡(1)의 상세에 관해 설명한다. 도 4는 선통(4)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통(4)은, 축선 방향(L)으로 연장되는 단차가 있는 원통형을 나타낸다. 선통(4)은 화장료(M)를 수용하는 수용 영역(4b)을 갖는다. 선통(4)은 선통 전방부(4A)와 선통 후방부(4B)를 포함하고 있다.
선통 전방부(4A)는, 선통(4)의 전단 및 개구(4d)를 포함하는 영역인 선단부(4w)와, 선단부(4w)로부터 후방으로 연장되는 테이퍼면(4c)을 갖는다. 테이퍼면(4c)은, 선단부(4w)로부터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선통(4)의 직경이 서서히 확대되도록 축선 방향(L)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선통 후방부(4B)는, 평탄면(4x)과, 캡(1)이 결합하는 결합 돌기(4r, 4s)를 갖는다.
선통 후방부(4B)는, 예컨대 선통(4)의 직경 방향을 따라 나열된 한 쌍의 평탄면(4x)을 갖는다. 평탄면(4x)은, 플랜지부(4f)로부터 개구(4d)를 향해 연장되는 띠형상으로 되어 있다. 평탄면(4x)의 폭은, 예컨대 플랜지부(4f)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작아져도 좋다. 평탄면(4x)의 전단은, 예컨대 둘레 방향의 일방측으로부터 타방측으로 향할 때에 축선 방향(L)에 대하여 경사져 있다.
이와 같이, 평탄면(4x)의 전단은, 축선 방향(L)에 대하여 비스듬히 경사져도 좋고, 경사지지 않아도 좋다. 예컨대, 결합 돌기(4r)는 평탄면(4x) 상에 마련된다. 선통(4)의 직경 방향 외측으로부터 본 결합 돌기(4r)의 형상은, 예컨대 선통(4)의 둘레 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는 장원형(타원형)으로 되어 있다. 결합 돌기(4s)는, 예컨대 축선 방향(L)으로 연장되는 직선형으로 되어 있다.
본 개시에서, 「장원형」은 장축 및 단축을 갖는 형상을 나타내며, 예컨대 타원 형상 및 모서리가 라운딩된 장방형상을 포함한다. 「장원형」은, 일부에 직선을 갖는 형상이어도 좋고, 예컨대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며 세로 방향으로 나열된 한 쌍의 직선과, 한 쌍의 직선의 단부끼리를 서로 접속하는 한 쌍의 곡선을 갖는 트랙 형상을 포함하고 있다.
선통(4)의 선통 후방부(4B)보다 후방에는, 플랜지부(4f)와, 원통부(4g)와,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선통(4)의 직경이 확대되도록 경사진 경사면(4h)과, 경사면(4h)의 후방에 위치하는 환형 오목부(4j)가 마련된다. 환형 오목부(4j)보다 더 후방에는, 환형 볼록부(4k)와,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선통(4)의 직경이 확대되도록 경사진 경사면(4m)과, 경사면(4m)의 후방에서 축선 방향(L)으로 연장된 복수의 돌출부(4q)가 마련된다.
용기 본체(2)의 내면에는, 예컨대 복수의 돌출부(2j)가 형성되어 있고, 복수의 돌출부(2j)는 용기 본체(2)의 둘레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돌출부(2j)에는 선통(4)의 돌출부(4q)가 회전 방향으로 결합하고, 이것에 의해, 선통(4)은 용기 본체(2)에 동기 회전 가능하게 결합한다. 또한, 경사면(4m), 환형 볼록부(4k), 환형 오목부(4j), 경사면(4h) 및 원통부(4g)는, 이 순으로 전방으로부터 용기 본체(2)의 내측에으로 들어간다. 환형 볼록부(4k)는 용기 본체(2)의 내면에 대하여 축선 방향으로 결합한다. 이때, 용기 본체(2)의 전단의 환형 오목부(2d)에 선통(4)의 플랜지부(4f)가 들어간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선통(4)은, 용기 본체(2)에 대하여 동기 회전 가능하게 또한 축선 방향 이동 불가능하게 결합한다.
도 6은 선통(4) 및 용기 본체(2)를 전측으로부터 본 정면도이다. 도 7은 도 4의 선통 후방부(4B)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3,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축선 방향(L)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선통 전방부(4A)를 절단한 선통 전방부(4A)의 단면은, 장축(A1)(제1 장축) 및 단축(A2)(제1 단축)을 갖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다. 상기 단면은, 일례로서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전측으로부터 본 선통(4)의 선통 전방부(4A)의 형상은, 장축(A1) 및 단축(A2)을 갖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에 따라, 개구(4d)의 형상도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다.
축선 방향(L)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선통 후방부(4B)를 절단한 선통 후방부(4B)의 단면은, 장축(B1) 및 단축(B2)을 갖고 한 쌍의 평탄면(4x)을 포함하는 장원형으로 되어 있다. 전측으로부터 선통 후방부(4B)를 본 선통 후방부(4B)의 외형도 예컨대 장원형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평탄면(4x)의 사이는, 예컨대 원호형의 만곡면(4t)에 의해 서로 접속되어 있다.
도 8은 캡(1)[외측 캡(11)]을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캡(11)은, 전측에 위치하는 바닥면(11h)을 갖는 바닥이 있는 원통형으로 되어 있다. 외측 캡(11)은, 개구(11b)와, 개구(11b)로부터 삽입된 선통(4)이 결합하는 오목부(11c)와, 선통(4)이 삽입되는 통구멍(11d)을 갖는다. 통구멍(11d)은, 선통(4)의 회전을 안내하는 가이드면(11x)(도 15 참조)을 갖는다. 가이드면(11x)은, 예컨대 외측 캡(11)의 직경 방향을 따라 나열된 한 쌍의 평탄면이다. 가이드면(11x)의 기능에 관해서는 이후에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외측 캡(11)은, 통구멍(11d)의 바닥면(11h)측에 외측 캡(11)의 내측으로 돌출된 환형 볼록부(11f)와, 환형 볼록부(11f) 및 바닥면(11h)의 사이에 위치하는 환형 오목부(11g)를 갖는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환형 볼록부(11f) 및 환형 오목부(11g)에는 폐지부(12)가 축선 방향으로 결합하고, 바닥면(11h)에는 폐지부(12)의 전단이 접촉한다.
도 10의 (a)는 외측 캡(11)을 전방으로부터 본 외측 캡(11)의 정면도이다. 도 10의 (b)는 외측 캡(11)을 후방으로부터 본 외측 캡(11)의 배면도이다. 도 10의 (a) 및 도 10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측 캡(11)은, 외측 캡(11)의 직경 방향을 따라 나열된 한 쌍의 캡평탄면(1b)과, 한 쌍의 캡평탄면(1b)의 단부끼리 접속하는 한 쌍의 만곡면(1c)을 갖는다.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캡(1)[외측 캡(11)]을 절단한 캡(1)의 단면은, 캡평탄면(1b)을 포함하는 장원형(일례로서 트랙 형상)으로 되어 있다.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캡(1)[외측 캡(11)]을 절단한 통구멍(11d)의 단면은, 장축(C1)(제2 장축) 및 단축(C2)(제2 단축)을 갖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다. 통구멍(11d)의 상기 단면은, 예컨대 장원형(일례로서 트랙 형상)으로 되어 있다.
도 11은 폐지부(12)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D-D선 단면도이다.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지부(12)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으로 되어 있다. 폐지부(12)는, 개구(12k)와, 개구(12k)로부터 삽입된 선통 전방부(4A)의 테이퍼면(4c)에 밀접하는 환형 볼록부(12m)과, 선통 전방부(4A)가 삽입되는 구멍부(12p)를 갖는다.
폐지부(12)는, 그 외주에, 환형 볼록부(12c)와, 환형 볼록부(12c)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환형 볼록부(12f)와, 환형 볼록부(12f)의 전측에서 폐지부(12)로부터 직경이 축소되도록 경사진 테이퍼면(12g)을 갖는다. 또한, 폐지부(12)는, 테이퍼면(12g)의 전측에, 전단측면부(12h)와, 전단측면부(12h)의 전단에서 폐지부(12)가 직경이 축소되도록 경사진 경사면(12j)과, 폐지부(12)의 전단에서 후방으로 움푹 팬 오목부(12q)를 갖는다.
도 13은 후방으로부터 폐지부(12)를 본 배면도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으로부터 본 폐지부(12)의 형상은, 예컨대 한 쌍의 평탄면(12r)을 갖는 장원형으로 되어 있다. 한 쌍의 평탄면(12r)의 단부끼리는, 원호형으로 만곡된 만곡면(12b)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후방으로부터 본 개구(12k)의 형상은, 장축(D1) 및 단축(D2)를 갖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개구(12k)의 형상은, 일례로서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개구(12k)는, 전측으로부터 본 선통 전방부(4A)의 형상과 서로 닮은 형상이어도 좋다. 개구(12k)의 장축(D1) 및 단축(D2)의 각각의 길이는, 선통 전방부(4A)의 장축(A1) 및 단축(A2)의 각각의 길이와 대략 동일(같은 정도)이어도 좋다. 이 경우, 개구(12k)에 진입한 선통 전방부(4A)의 기밀성을 보다 높이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지부(12)의 환형 볼록부(12f)는, 외측 캡(11)의 환형 볼록부(11f)보다 전측에 위치하는 환형 오목부(11g)에 들어가 있다. 이와 같이, 환형 볼록부(12f)가 환형 오목부(11g)에 들어가는 것에 의해 폐지부(12)는 외측 캡(11)의 내측에 장착되어 있다. 폐지부(12)의 내측에는 선통(4)의 선통 전방부(4A)가 들어가 있고, 선통 전방부(4A)의 테이퍼면(4c)에 환형 볼록부(12m)가 밀접하는 것에 의해, 개구(4d)의 내부에 위치하는 화장료(M)의 기밀이 확보된다.
다음으로, 도 14, 도 15의 (a), 도 15의 (b) 및 도 15의 (c)를 참조하면서, 캡(1)에 선통(4)을 삽입할 때의 캡(1) 및 선통(4)의 움직임에 관해 설명한다. 외측 캡(11)의 내부에는 미리 폐지부(12)가 장착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용기(100)에서는, 캡(1)[외측 캡(11)] 및 선통(4)의 단면이 원형상이 아니라 편평 형상이다. 이 때문에, 도 1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캡(1)에 대한 선통(4)의 회전 위치를 맞춰[예컨대, 선통 후방부(4B)의 평탄면(4x)의 회전 위치를 캡(1)의 캡평탄면(1b)의 회전 위치에 맞춰] 삽입하면, 캡(1)으로의 선통(4)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용기(100)에서는, 캡(1)에 대한 선통(4)의 회전 위치를 맞추지 않더라도 캡(1)으로의 선통(4)의 삽입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그 때의 동작에 관해 설명한다. 예컨대, 도 1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통(4)의 선단부(4w)의 장축(A1)이 통구멍(11d)의 장축(C1)에 교차(일례로서 직교)하고, 또한 선통 전방부(4A)의 단축(A2)이 통구멍(11d)의 단축(C2)에 교차하는 상태로 후측으로부터 개구(11b)에 선통 전방부(4A)를 삽입한다.
선통 전방부(4A)의 테이퍼면(4c)은, 후방으로 향함에 따라서 장축(A1)이 길어지기 때문에, 통구멍(11d)으로의 선통 전방부(4A)의 삽입을 계속하면, 도 1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통 전방부(4A)의 장축(A1)의 단부가 통구멍(11d)의 가이드면(11x)을 장축(C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슬라이딩 접촉한다. 이때, 장축(A1)의 단부는, 예컨대 가이드면(11x)에 점접촉한다.
이와 같이, 가이드면(11x) 상을 선통 전방부(4A)의 장축(A1)의 단부가 슬라이딩 접촉하는 것에 의해, 캡(1)에 대하여 선통(4)이 회전한다. 상기와 같이 통구멍(11d)으로의 선통 전방부(4A)의 삽입을 계속하면, 캡(1)에 대하여 선통(4)이 회전하여, 가이드면(11x)에 의해, 선통 전방부(4A)의 장축(A1)이 통구멍(11d)의 장축(C1)에 맞도록 캡(1)에 대한 선통(4)의 회전 위치가 교정된다.
선통(4)의 선통 후방부(4B)는, 예컨대 캡(1)에 대한 회전 위치가 교정된 후에 캡(1)에 들어간다. 즉, 선통 후방부(4B)가 캡(1)에 삽입되는 시점에서, 선통 전방부(4A)의 장축(A1)의 연장 방향은 통구멍(11d)의 장축(C1)의 연장 방향에 일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는, 캡(1)에 대한 선통(4)의 회전 위치가 정해져 있고, 캡(1)에 대하여 선통(4)은 회전 불가능하게 되어 있다. 캡(1)에 선통 후방부(4B)가 삽입될 때에는, 통구멍(11d)의 가이드면(11x)에 평탄면(4x)이 접촉한(또는 맞닿은) 상태로 선통 후방부(4B)가 전진한다.
이와 같이, 선통 후방부(4B)의 평탄면(4x)은 가이드면(11x)에 대한 접촉면(또는 맞닿음면)으로서 기능한다. 가이드면(11x)에 평탄면(4x)이 접촉함으로써, 선통 후방부(4B)에서의 기밀이 확보된다. 그 후에는, 선통 후방부(4B)의 결합 돌기(4r)가 캡(1)의 오목부(11c)에 결합하여 캡(1)에 대한 선통(4)의 장착이 완료한다.
계속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화장료 용기(100)의 작용 효과에 관해 상세히 설명한다. 화장료 용기(100)에서는, 도 3, 도 14 및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통(4)은, 화장료(M)가 출현하는 개구(4d)가 형성된 선통 전방부(4A)를 가지며, 축선 방향(L)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선통 전방부(4A)를 절단한 선통 전방부(4A)의 단면은 장축(A1) 및 단축(A2)을 갖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통(4)을 회전시키면서 개구(4d)로부터 노출되는 화장료(M)를 피부 등의 피도포면에 도포함으로써, 가는 라인 및 굵은 라인을 자유자재로 그릴 수 있기 때문에 화장료 용기(100)로서의 사용성을 높일 수 있다.
화장료 용기(100)의 캡(1)의 내부에는, 선통(4)의 개구(4d)를 막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폐지부(12)가 마련되어 있다. 따라서,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폐지부(12)에 의해 선통(4)의 개구(4d)를 막을 수 있기 때문에, 선통(4)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료(M)의 기밀을 확보할 수 있다. 선통 전방부(4A)는 개구(4d)로 향함에 따라서 장축(A1)의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면(4c)을 가지며, 폐지부(12)의 내면에는 선통 전방부(4A)가 밀접한다. 따라서, 선통(4)의 내부에 수용되어 있는 화장료(M)의 기밀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캡(1)은, 단면이 장축(C1) 및 단축(C2)을 갖는 편평 형상으로 된 통구멍(11d)을 갖는다. 통구멍(11d)은, 선통 전방부(4A)가 캡(1)에 삽입될 때에, 선통 전방부(4A)의 장축(A1)의 연장 방향이 장축(C1)에 일치하도록 선통(4)을 회전시키는 가이드면(11x)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편평 형상의 캡(1)에 대한 편평 형상의 선통(4)의 회전 위치가 어느 위치라 하더라도, 캡(1)에 선통 전방부(4A)를 삽입했을 때에, 장축(C1)에 장축(A1)이 맞도록 가이드면(11x)이 선통(4)을 회전시키기 때문에, 선통(4)에 대한 캡(1)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편평 형상의 캡(1)에 대한 편평 형상의 선통(4)의 회전 위치가 어느 위치라 하더라도, 캡(1)에 선통(4)을 삽입하면 선통(4)의 회전 위치가 가이드면(11x)에 의해 교정되기 때문에, 편평 형상을 갖는 선통(4)에 대한 캡(1)의 장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선통(4)은, 선통 전방부(4A)와 용기 본체(2)의 사이에 위치하는 선통 후방부(4B)를 가지며, 선통 후방부(4B)의 외면은, 통구멍(11d)의 가이드면(11x)에 접촉하는 접촉면[예컨대 평탄면(4x)]을 포함하고 있고, 선통 후방부(4B)의 상기 접촉면이 통구멍(11d)의 가이드면(11x)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캡(1)에 대한 선통(4)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캡(1)의 통구멍(11d)에 선통 후방부(4B)가 진입했을 때에, 통구멍(11d)의 가이드면(11x)에 선통 후방부(4B)의 상기 접촉면이 접촉함으로써, 캡(1)에 대한 선통(4)의 회전이 규제된다. 따라서, 통구멍(11d)에서 선통 후방부(4B)를 축선 방향(L)을 따라서 또한 회전시키지 않고 진입시킬 수 있기 때문에, 선통(4)에 대한 캡(1)의 장착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선통 전방부(4A)는, 장축(A1)의 폭이 통구멍(11d)의 단축(C2)의 폭 이하인 선단부(4w)를 가져도 좋다. 이 경우, 선단부(4w)에서의 장축(A1)의 폭은 통구멍(11d)의 단축(C2)의 폭 이하이기 때문에, 통구멍(11d)으로의 선단부(4w)의 삽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즉, 캡(1)에 대한 선통(4)의 선단부(4w)의 회전 위치가 어느 위치라 하더라도 통구멍(11d)으로의 선단부(4w)의 삽입을 행할 수 있기 때문에, 선통(4)에 대한 캡(1)의 장착을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그러나, 선통 전방부는, 장축의 폭이 통구멍(11d)의 단축(C2)의 폭 이상인 선단부를 가져도 좋다. 이 경우, 통구멍(11d)에 상기 선단부를 삽입할 때에, 단축(C2)에 대하여 상기 선단부의 장축을 비스듬히 삽입할 필요가 있지만, 캡(1)에 대한 선통(4)의 회전을 보다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축선 방향(L)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선통 전방부(4A)를 절단한 선통 전방부(4A)의 단면은,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선통 전방부(4A)의 형상을 모서리부를 갖지 않는 매끄러운 형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해지기 때문에, 가이드면(11x)에 의한 선통 전방부(4A)의 회전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따라서, 선통(4)에 대한 캡(1)의 장착을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가이드면(11x)으로서 평탄면을 포함하는 캡(1)의 통구멍(11d)을 축선 방향(L)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은,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접촉면으로서 평탄면(4x)을 포함하는 선통 후방부(4B)를 축선 방향(L)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은,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어도 좋다. 이 경우, 통구멍(11d)의 단면 형상이 평탄면을 가이드면(11x)으로서 포함하는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통구멍(11d)에 삽입되는 선통 후방부(4B)의 단면 형상은 평탄면(4x)을 접촉면으로서 포함하는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다. 따라서, 선통 후방부(4B)의 평탄면(4x)이 통구멍(11d)의 평탄형의 가이드면(11x)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선통(4)의 회전이 규제되기 때문에, 통구멍(11d)에 대한 선통 후방부(4B)의 진입을 한층 더 원활하게 행할 수 있다.
캡평탄면(1b)을 포함하는 캡(1)을 축선 방향(L)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은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용기 본체 평탄면(2b)을 포함하는 용기 본체(2)를 축선 방향(L)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은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캡평탄면(1b)은 용기 본체 평탄면(2b)에 축선 방향(L)을 따라 연속되어도 좋다. 이 경우, 캡(1)이 용기 본체 평탄면(2b)에 연속되는 캡평탄면(1b)을 가짐으로써, 용기 본체(2)에 대한 캡(1)의 회전 위치를 사용자에게 인식시키기 쉽게 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용기 본체 평탄면(2b)에 캡평탄면(1b)이 맞도록 캡(1)을 장착하면 되는 것을 인식할 수 있다. 따라서, 용기 본체(2)에 대한 캡(1)의 장착을 한층 더 용이하게 행할 수 있고, 보다 사용성이 높은 화장료 용기(100)로 할 수 있다.
이상, 본 개시에 관한 화장료 용기의 실시형태에 관해 설명했다. 그러나, 본 개시는 전술한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각 청구항에 기재한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해도 좋다. 즉, 화장료 용기의 각 부품의 종류, 형상, 크기, 수, 재료 및 배치 양태는 상기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예컨대,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선통(4)에 결합하는 캡(1)에 관해 설명했다. 그러나, 캡은, 용기 본체에 결합하는 것이어도 좋고, 캡이 결합하는 상대의 부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캡(1)에서 외측 캡(11)과 폐지부(12)가 서로 별체인 예에 관해 설명했다. 그러나, 외측 캡 및 폐지부는 일체이어도 좋고, 캡의 구성은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축선 방향(L)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캡(1)을 절단한 통구멍(11d)의 단면이 장원형(트랙 형상)인 예에 관해 설명했다. 그러나, 통구멍의 단면의 형상은, 예컨대 타원형, 마름모꼴, 장방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이어도 좋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선통(4)과, 선통(4)에 축선 방향(L)에 결합하는 용기 본체(2)를 구비한 화장료 용기(100)에 관해 설명했다. 즉, 선통(4)과 용기 본체(2)가 별체로 되어 있는 예에 관해 설명했다. 그러나, 선통과 용기 본체가 일체가 된 화장료 용기이어도 좋다.
전술한 실시형태에서는, 선통 전방부(4A)의 단면이 타원 형상이며, 선통 후방부(4B)의 단면이 장원형(트랙 형상)인 예에 관해 설명했다. 그러나, 선통 전방부 및 선통 후방부의 단면은, 예컨대 타원형, 마름모꼴, 장방형, 육각형 또는 팔각형 등이어도 좋고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용기 본체의 단면 형상에 관해서도 동일하다. 또한, 조작통의 단면 형상이, 용기 본체(2)와 마찬가지로, 평탄면을 갖는 장원 형상이어도 좋고, 조작통의 단면 형상에 관해서도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다.
1 : 캡 1b : 캡평탄면
1c : 만곡면 2b : 용기 본체 평탄면
2c : 만곡면 2d, 2f : 환형 오목부
2g : 환형 볼록부 2h : 환형 오목부
2j : 돌출부 3 : 조작통
3b, 3c : 환형 볼록부 3d : 환형 오목부
3f : 결합 돌기 4 : 선통
4A : 선통 전방부 4b : 수용 영역
4B : 선통 후방부 4c : 테이퍼면
4d : 개구 4f : 플랜지부
4g : 원통부 4h : 경사면
4j : 환형 오목부 4k : 환형 볼록부
4m : 경사면 4q : 돌출부
4r, 4s : 결합 돌기 4t : 만곡면
4w : 선단부 4x : 평탄면(접촉면)
5 : 암나사 부재 5b : 전측 통부
5c : 암나사 5d : 확경 통부
5f : 탄성 돌기부 5g : 슬릿
5h : 돌출부 5j : 스프링부
6 : 이동체 6b : 수나사
7 : 피스톤 7b : 오목부
7c : 압출면 11 : 외측 캡
11b : 개구 11c : 오목부
11d : 통구멍 11f : 환형 볼록부
11g : 환형 오목부 11h : 바닥면
11x : 가이드면 12 : 폐지부
12b : 만곡면 12c, 12f : 환형 볼록부
12g : 테이퍼면 12h : 전단측면부
12j : 경사면 12k : 개구
12m : 환형 볼록부 12p : 구멍부
12q : 오목부 12r : 평탄면
100 : 화장료 용기 A1 : 장축(제1 장축)
A2 : 단축(제1 단축) B1 : 장축
B2 : 단축 C1 : 장축(제2 장축)
C2 : 단축(제2 단축) D1 : 장축
D2 : 단축 L : 축선 방향
M : 화장료 R : 나사 결합부

Claims (8)

  1. 화장료가 출현하는 개구가 형성된 선통(先筒) 전방부를 갖고 축선 방향으로 연장된 선통과,
    상기 선통으로부터 상기 축선 방향의 후방으로 연장되는 용기 본체와,
    상기 선통이 진입하는 통구멍을 갖는 캡
    을 구비하고,
    상기 캡의 내부에는, 상기 선통의 상기 개구를 막는 바닥이 있는 통형상의 폐지부(閉止部)가 마련되어 있고,
    상기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상기 선통 전방부를 절단한 상기 선통 전방부의 단면은, 제1 장축 및 제1 단축을 갖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선통 전방부는, 상기 개구로 향함에 따라서 상기 제1 장축의 폭이 작아지는 테이퍼면을 가지며,
    상기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상기 캡의 상기 통구멍을 절단한 상기 통구멍의 단면은, 제2 장축 및 제2 단축을 갖는 편평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통구멍은, 상기 통구멍에 상기 선통 전방부가 삽입될 때에, 상기 제1 장축의 연장 방향이 상기 제2 장축의 연장 방향에 일치하도록 상기 선통을 회전시키는 가이드면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폐지부의 내면에는 상기 선통 전방부가 밀접하는 것인 화장료 용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통은, 상기 선통 전방부와 상기 용기 본체의 사이에 위치하는 선통 후방부를 가지며,
    상기 선통 후방부의 외면은, 상기 통구멍의 상기 가이드면에 접촉하는 접촉면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선통 후방부의 상기 접촉면이 상기 통구멍의 상기 가이드면에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캡에 대한 상기 선통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는 것인 화장료 용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선통 전방부는, 상기 제1 장축의 폭이 상기 통구멍의 상기 제2 단축의 폭 이하인 선단부를 갖는 것인 화장료 용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통 전방부는, 상기 제1 장축의 폭이 상기 통구멍의 상기 제2 단축의 폭 이하인 선단부를 갖는 것인 화장료 용기.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면으로서 평탄면을 포함하는 상기 캡의 상기 통구멍을 상기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은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접촉면으로서 평탄면을 포함하는 상기 선통 후방부를 상기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은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인 화장료 용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상기 선통 전방부를 절단한 상기 선통 전방부의 단면은 타원 형상으로 되어 있는 것인 화장료 용기.
  7.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캡평탄면을 포함하는 상기 캡을 상기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은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용기 본체 평탄면을 포함하는 상기 용기 본체를 상기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은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캡평탄면은 상기 용기 본체 평탄면에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것인 화장료 용기.
  8. 제6항에 있어서, 캡평탄면을 포함하는 상기 캡을 상기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은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용기 본체 평탄면을 포함하는 상기 용기 본체를 상기 축선 방향에 직교하는 평면으로 절단한 단면은 장원 형상으로 되어 있고,
    상기 캡평탄면은 상기 용기 본체 평탄면에 상기 축선 방향을 따라 연속되는 것인 화장료 용기.
KR1020200159125A 2020-02-17 2020-11-24 화장료 용기 KR10235326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24636 2020-02-17
JP2020024636A JP2021126465A (ja) 2020-02-17 2020-02-17 化粧料容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4546A KR20210104546A (ko) 2021-08-25
KR102353265B1 true KR102353265B1 (ko) 2022-01-18

Family

ID=77227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59125A KR102353265B1 (ko) 2020-02-17 2020-11-24 화장료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160350B2 (ko)
JP (1) JP2021126465A (ko)
KR (1) KR102353265B1 (ko)
CN (1) CN113261764A (ko)
FR (1) FR310716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9760A1 (en) 2006-07-19 2008-01-24 Tokiwa Corporation Stick-shaped cosmetic material feeding container
US20160345709A1 (en) 2015-05-29 2016-12-01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Rotary advancing container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31816B (it) 1989-09-04 1992-01-14 Enichem Spa Interruttore ottico non lineare.
JPH03169255A (ja) 1989-11-27 1991-07-22 Ricoh Co Ltd 昇圧型dc―dcコンバータ
JP3169255B2 (ja) 1992-02-26 2001-05-21 電気化学工業株式会社 共重合体の製造方法
JP3174125B2 (ja) 1992-03-30 2001-06-11 川崎製鉄株式会社 現品トラッキング方法
JP2001218621A (ja) * 2000-02-14 2001-08-14 Suzuno Kasei Kk 棒状化粧材繰出容器
KR20110007785U (ko) * 2010-01-29 2011-08-04 권혁탁 튜브형 화장품용기
JP3169255U (ja) 2011-05-11 2011-07-21 株式会社トキワ 揮発性棒状化粧料繰出容器
JP3174125U (ja) 2011-12-02 2012-03-08 株式会社トキワ 棒状化粧料繰出容器及び化粧品
CN108720239B (zh) * 2017-04-20 2021-09-14 株式会社常盘 棒状化妆品推出容器
JP6746190B2 (ja) * 2019-05-27 2020-08-26 株式会社タイキ 簡易棒状化粧品用の用具と簡易棒状化粧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019760A1 (en) 2006-07-19 2008-01-24 Tokiwa Corporation Stick-shaped cosmetic material feeding container
US20160345709A1 (en) 2015-05-29 2016-12-01 Mitsubishi Pencil Company, Limited Rotary advancing contain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07166B1 (fr) 2022-11-04
CN113261764A (zh) 2021-08-17
FR3107166A1 (fr) 2021-08-20
US20210251368A1 (en) 2021-08-19
US11160350B2 (en) 2021-11-02
KR20210104546A (ko) 2021-08-25
JP2021126465A (ja)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36408B2 (en) Liquid material feeding container
US11752797B2 (en) Dual twist structure, object ejec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and structure for sealing the same
US20210331514A1 (en) Retractable Nosecone Writing Instrument
KR102353265B1 (ko) 화장료 용기
US6478495B2 (en) Capless writing instrument
JP2015112775A (ja) 出没式筆記具
US20200260837A1 (en) Coating material feeding container
JP2019150080A (ja) 棒状化粧料容器
WO2014192175A1 (ja) カートリッジ式化粧料容器
US6126350A (en) Writing utensil
US11641926B2 (en) Coating material, feeding container
CN114828694A (zh) 棒状化妆品容器
CN110063563B (zh) 涂布容器
CN105538956B (zh) 一种揿动笔
KR102248778B1 (ko) 도포 용기
US11659913B2 (en) Application container with leading cylinder
JP7431440B2 (ja) 化粧料容器
CN210329731U (zh) 结合胶笔和眉笔的两用化妆笔
JP2022064019A (ja) キャップ及び塗布容器
JP2587441Y2 (ja) 繰り出し式の消しゴム装置
JP3638966B2 (ja) レフィール装置及びその筆記具
JP2021010609A (ja) 塗布材押出容器
JP4414480B1 (ja) 密封容器
WO2014168195A1 (ja) 筆記具
KR20200017225A (ko) 화장품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