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50044B1 - Plating bath and plating device having the same - Google Patents

Plating bath and plating device having the sam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50044B1
KR102350044B1 KR1020150034609A KR20150034609A KR102350044B1 KR 102350044 B1 KR102350044 B1 KR 102350044B1 KR 1020150034609 A KR1020150034609 A KR 1020150034609A KR 20150034609 A KR20150034609 A KR 20150034609A KR 102350044 B1 KR102350044 B1 KR 102350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d
plating
positive electrode
inlet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34609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60109701A (en
Inventor
최성훈
우경녕
류한권
임기영
이만형
김종만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케이넥실리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3460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50044B1/en
Publication of KR201601097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09701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50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50044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17/00Constructional parts, or assemblies thereof, of cells for electrolytic coating
    • C25D17/16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 C25D17/18Apparatus for electrolytic coating of small objects in bulk having closed containers
    • C25D17/20Horizontal barre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21In horizontal cells

Abstract

본 발명은, 피도금재에 금속을 전기 도금 가능한 도금조에 관한 것으로서,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도금액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 제1 피도금재가 상기 도금액에 침지된 상태로 상기 수용 공간을 일방향 또는 상기 일방향과 대향되는 타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입구와 제1 출구; 제2 피도금재가 상기 도금액에 침지된 상태로 상기 수용 공간을 상기 일방향과 상기 타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입구와 상기 제2 출구; 상기 제1 피도금재와 대면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제1 양극판; 및 상기 제2 피도금재와 대면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제2 양극판을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에 의하면, 피도금재가 도금조를 왕복 통과함으로써 도금조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설비의 필요 설치 공간을 줄임과 동시에 설비의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ing bath capable of electroplating a metal on a material to be plated, comprising: a case; an accommodating space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ccommodating the plating solution; a first inlet and a first outlet respectively formed in the case so that the first plated material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while being immersed in the plating solution; a second inlet and a second outlet respectively formed in the case such that a second to-be-plated material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in either one of the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while being immersed in the plating solution; a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to face the first plated material; and a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face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number of plating baths can be reduced as the material to be plated reciprocates through the plating bath,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quired installation space of the equipment and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equipment.

Description

도금조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 장치{Plating bath and plating device having the same}A plating bath and a plating device including the same {Plating bath and plating device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피도금재에 금속을 전기 도금 가능한 도금조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lating bath capable of electroplating a metal on a material to be plated and a pl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도 1은 종래의 도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plating apparatus.

종래의 도금 장치, 보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수직 도금 장치는, 피도금재(F)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공급 유닛(210), 도금액이 수용되며, 피도금재(F)가 도금액에 침지된 상태로 도금조(220)를 연속적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입구와 출구가 마련된 복수의 도금조(220), 도금조(220)의 내부를 연속적으로 통과하는 피도금재(F)와 소정 거리 이격되도록 각각의 도금조(220)의 내부에 설치되는 양극판(222), 각각의 도금조(220)의 입구 측과 출구 측에 구비되어 피도금재(F)에 음전위를 인가함과 동시에 피도금재(F)를 공정 진행 방향으로 이송시키는 복수의 통전롤(230), 피도금재(F)의 진행 방향을 전환하는 복수의 방향 전환롤(240), 및 도금이 완료된 피도금재(F)를 회수하는 회수 유닛(250)을 구비한다.In a conventional plating apparatus, more specifically, in a conventional vertical plating apparatus, a supply unit 210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material to be plated (F), a plating solution is accommodated, and the material to be plated (F) is immersed in the plating solution. A plurality of plating baths 220 having inlets and outlets provided so as to continuously pass through the plating bath 220, and each of the plating baths 220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y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material to be plated F that continuously passes through the interior of the plating bath 220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22 installed inside the plating bath 220 is provided on the inlet side and the outlet side of each plating bath 220 to apply a negative potential to the material to be plated (F) and at the same time to the material to be plated (F) A plurality of energizing rolls 230 for transporting in the process proceeding direction, a plurality of direction changing rolls 240 for changing the moving direction of the material to be plated (F), and the number of times to recover the material to be plated (F) on which plating is completed A unit 250 is provided.

상기 피도금재(F)의 표면은 통전롤(230)에 의하여 음전위로 대전되므로, 도금액에 포함된 금속이온이 전기화학적 반응에 의해 피도금재(F)의 표면에 전착됨으로써 금속의 도금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Since the surface of the material to be plated (F) is negatively charged by the energizing roll 230, metal ions contained in the plating solution are electro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e material to be plated (F) by an electrochemical reaction, so that the metal plating is continuous. will be done with

이러한 종래의 도금 장치는 도금의 진행 양상을 조절하기 위하여, 복수의 도금조(220)를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한 후 피도금재(F)를 각각의 도금조(220)를 일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이송하였다. 이와 같이 복수의 도금조(220)를 마련함에 따라 종래의 도금 장치는, 설비의 필요 설치 공간이 커지고, 설비의 설치 비용이 증가된다는 문제점이 있었다.In this conventional plating apparatus, in order to control the progress of plating, a plurality of plating baths 220 are disposed along a process progress direction, and then the material to be plated F passes through each plating bath 220 in one direction. transferred. As described above, as the plurality of plating baths 220 are provided, the conventional plating apparatus has problems in that the required installation space of the equipment increases and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equipment increases.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도금조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도록 구조를 개선한 도금조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lating bath having an improved structure so as to reduce the number of plating baths installed, and a pl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in order to solve the above problem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양상한 따른 도금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도금액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 제1 피도금재가 상기 도금액에 침지된 상태로 상기 수용 공간을 일방향 또는 상기 일방향과 대향되는 타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입구와 제1 출구; 제2 피도금재가 상기 도금액에 침지된 상태로 상기 수용 공간을 상기 일방향과 상기 타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입구와 상기 제2 출구; 상기 제1 피도금재와 대면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제1 양극판; 및 상기 제2 피도금재와 대면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제2 양극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ating bath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 case; an accommodating space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ccommodating the plating solution; a first inlet and a first outlet respectively formed in the case so that the first plated material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while being immersed in the plating solution; a second inlet and a second outlet respectively formed in the case such that a second to-be-plated material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in either one of the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while being immersed in the plating solution; a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to face the first plated material; and a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face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피도금재와 상기 제2 피도금재는 각각 상기 제1 양극판과 상기 제2 양극판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an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are respectively position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양극판과 상기 제2 양극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격자 형태의 그물망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esh structure in the form of a grid.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양극판과 상기 제2 양극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t least one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피도금재와 상기 제2 피도금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it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shielding member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lated material an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 부재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hield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erethrough at predetermined intervals.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제1 피도금재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제1 피도금재의 일측 단부와 대면하는 상기 제2 피도금재의 일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차폐 부재; 및 상기 제1 피도금재의 타측 단부 및 상기 제1 피도금재의 타측 단부와 대면하는 상기 제2 피도금재의 타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차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hielding member includes: a first shielding member install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and one end of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acing the one end of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and a second shielding member install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ac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바람직하게, 상기 차폐 부재는, 격자 형태의 그물망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shielding member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esh structure in the form of a grid.

바람직하게, 상기 제1 양극판과 상기 제2 양극판이 서로 동일한 전위를 갖도록 상기 제1 양극판과 상기 제2 양극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further comprises a connecting member fo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to have the same potential with each other.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일 양상에 따른 도금 장치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도금조; 상기 제1 피도금재를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1 출구를 통해 상기 도금조의 상기 수용 공간을 통과하도록 이송하고, 상기 제2 피도금재를 상기 제2 입구와 상기 제2 출구를 통해 상기 도금조의 상기 수용 공간을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includes: a plating bath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porting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to pas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of the plating tank through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and transferring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through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outle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comprises a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o pas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of the jaw.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1 피도금재와 상기 제2 피도금재에 각각 음전위를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피도금재와 상기 제2 피도금재를 각각 이송하는 복수의 통전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transfer unit applies a negative potential to each of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and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and a plurality of energizing rolls for respectively transferring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and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at the same tim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바람직하게,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에 공급하는 공급 유닛; 및 상기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로부터 회수하는 회수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피도금재는,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1 출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피도금재의 어느 일부분이고, 상기 제2 피도금재는,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출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을 통과한 후, 상기 제2 입구와 상기 제2 출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을 재통과하는 상기 피도금재의 다른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supply unit for supplying a material to be plated to the plating tank; and a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material to be plated from the plating bath;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is any part of the material to be plated that passes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is, through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outlet After passing through the accommodating space,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another part of the plated material that re-passes the accommodating space through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outlet.

바람직하게, 상기 도금조는, 미리 정해진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출구는 각각, 상기 도금조의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입구는 각각, 상기 도금조의 케이스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들 중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1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들 중 어느 도금조의 제1 출구로부터 배출된 피도금재를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다른 도금조의 제1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도금조들 중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1 출구로부터 배출된 피도금재를 상기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2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들 중 어느 도금조의 제2 출구로부터 배출된 피도금재를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다른 도금조의 제2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2 출구로부터 배출된 피도금재를 상기 회수 유닛으로 회수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plurality of plating baths are provided along a predetermined process direction, and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of a case of the plating bath, and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Each of the inlets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case of the plating bath, and the transfer unit transfers the material to be plated from the supply unit to the first inlet of the plating bath disposed at the most upstream among the plating baths. or the material to be plated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of one of the pair of plating bath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of the other plating bath along the process progress direction, or one of the plating baths The material to be plated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of the plating tank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of the plating tank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or the second of a pair of plating tank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nstalled to introduce the material to be plated discharged from the outlet into the second inlet of another plating bath along the process progress direction, or to recover the material to be plated discharged from the second outlet of the plating bath disposed at the uppermost stream to the recovery unit characterized in that

바람직하게, 상기 도금조는, 미리 정해진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출구는 각각, 상기 도금조의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입구는 각각, 상기 도금조의 케이스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들 중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1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각각의 도금조의 제1 출구로부터 배출된 피도금재를 상기 각각의 도금조의 제2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들 중 어느 도금조의 제2 출구로부터 배출된 피도금재를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다른 도금조의 제1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도금조들 중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2 출구로부터 배출된 피도금재를 상기 회수 유닛으로 회수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plurality of plating baths are provided along a predetermined process direction, and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of a case of the plating bath, and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Each of the inlets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case of the plating bath, and the transfer unit transfers the material to be plated from the supply unit to the first inlet of the plating bath disposed at the most upstream among the plating baths. The material to be plated, which is introduced or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of each plating bath,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of each plating bath, or from the second outlet of any of a pair of plating bath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discharged material to be plated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of another plating bath along the process progress direction, or the material to be plated discharged from the second outlet of the plating bath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among the plating baths is recovered to the recovery unit.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바람직하게,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피도금재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the conveying un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with a direction changing roll for chang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material to be plated.

바람직하게, 상기 제1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에 공급하는 제1 공급 유닛; 상기 제1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로부터 회수하는 제1 회수 유닛; 상기 제2 피도재를 상기 도금조에 공급하는 제2 공급 유닛; 및 상기 제2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로부터 회수하는 제2 회수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first supply unit for supplying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to the plating tank; a first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from the plating tank; a second supply unit supplying the second target material to the plating bath; and a second recovery unit configured to recover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rom the plating tank.

바람직하게, 상기 도금조는, 미리 정해진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는 각각, 상기 도금조의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는 각각, 상기 도금조의 케이스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1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제1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들 중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1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들 중 어느 도금조의 제1 출구로부터 배출된 제1 피도금재를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다른 도금조의 제1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도금조들 중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1 출구로부터 배출된 제1 피도금재를 상기 제1 회수 유닛으로 회수시키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2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제2 피도금재를 상기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2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들 중 어느 도금조의 제2 출구로부터 배출된 제2 피도금재를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다른 도금조의 제2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2 출구로부터 배출된 제2 피도금재를 상기 제2 회수 유닛으로 회수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Preferably, a plurality of plating baths are provided along a predetermined process direction, and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of a case of the plating bath, and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Each of the outlets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case of the plating bath, and the transfer unit transfers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supplied from the first supply unit to the plating bath disposed at the most upstream among the plating baths.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of any one of the pair of plating tank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or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of the pair of plating tank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of the other plating tank along the process progress direction; , is installed to recover a first material to be plated discharged from a first outlet of a plating bath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among the plating baths to the first recovery unit, wherein the conveying unit is supplied from the second supply unit The second plated material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of the plating tank disposed at the uppermost stream, or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second outlet of any plating tank among the pair of plating tank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is processed. It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to collect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of another plating tank along the direction or discharged from the second outlet of the plating tank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to the second recovery unit.

본 발명에 따른 도금조 및 이를 포함하는 도금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갖는다.The plating bath and the plating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e the following effects.

첫째, 피도금재가 하나의 도금조를 왕복 통과함으로써 도금조의 설치 개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설비의 필요 설치 공간을 줄임과 동시에 설비의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First, since the number of plating baths can be reduced because the material to be plated passes through one plating bath reciprocally,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quired installation space of the equipment and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equipment.

둘째, 하나의 도금조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진행되는 2개의 피도금재에 대하여 동시에 도금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도금조에서 단일의 피도금재에 대하여 도금을 진행하는 경우에 비해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Second, since plating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n two materials to be plated in different directions in one plating bath, productivity can be improved compared to when plating is performed on a single material to be plated in a plating bath .

도 1은 종래의 도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a는 도 2의 도금 장치가 구비하는 일 예에 따른 도금조의 평면도.
도 3b는 도 3a의 도금조의 측면도.
도 4a는 도 2의 도금 장치가 구비하는 다른 일 예에 따른 도금조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제1 양극판 및 제2 양극판의 평면도.
도 4c는 도 4a의 차폐 부재의 평면도.
도 5a는 도 2의 도금 장치가 구비하는 다른 일 예에 따른 도금조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제1 양극판 및 제2 양극판의 평면도.
도 5c는 도 5a의 도금조의 측면도.
도 6a는 도 2의 도금 장치가 구비하는 다른 일 예에 따른 도금조의 측면도.
도 6b는 도 6a의 차폐 부재의 평면도.
도 7은 도 2의 도금 장치가 구비하는 다른 일 예에 따른 도금조의 측면도.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1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plating apparatus.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A is a plan view of a plating bath according to an example provided in the plating apparatus of FIG. 2 ;
Fig. 3b is a side view of the plating bath of Fig. 3a;
4A is a plan view of a plating bath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provided in the plating apparatus of FIG. 2 ;
4B is a plan view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of FIG. 4A;
Fig. 4c is a plan view of the shield member of Fig. 4a;
5A is a plan view of a plating bath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provided in the plating apparatus of FIG. 2 ;
5B is a plan view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of FIG. 5A;
Fig. 5c is a side view of the plating bath of Fig. 5a;
6A is a side view of a plating bath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provided in the plating apparatus of FIG. 2 ;
Fig. 6B is a plan view of the shielding member of Fig. 6A;
7 is a side view of a plating bath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provided in the plating apparatus of FIG. 2 .
Fig. 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Fig. 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he terms or words u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being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properly define the concept of the term in order to best describe his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there is, it should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configuration shown in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is only the most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represent all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so at the time of the present application, variou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equivalents and variations.

도면에서 각 구성요소 또는 그 구성요소를 이루는 특정 부분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따라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러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In the drawings, the size of each component or a specific part constituting the component is exaggerated, omitted, or schematically illustrated for convenience and clarity of description. Therefore, the size of each component does not fully reflect the actual size.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such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본 명세서에서,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란 도금조들 중 피도금재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과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도금조를 말한다. 또한,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란 도금조들 중 피도금재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과 가장 멀게 배치된 도금조를 말한다. 또한,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들'이란 도금조들 중 미리 정해진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들을 말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공정 진행 방향'이란 피도금재를 미리 정해진 공정 순서대로 도금조들을 순차적으로 통과시키기 위한 피도금재의 이송 방향을 말한다.In the present specification, the 'plating tank disposed at the uppermost stream' refers to a plating tank disposed most adjacent to a supply unit for supplying a material to be plated among the plating tanks. In addition, the 'plating tank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refers to a plating tank disposed farthest from a supply unit for supplying a material to be plated among the plating tanks. In addition, the term 'a pair of plating bath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refers to a pair of plating baths continuously arranged along a predetermined process progress direction among the plating baths.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process direction' refers to a transport direction of the plated material for sequentially passing the plated material through the plating baths in a predetermined process order.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3a는 도 2의 도금 장치가 구비하는 일 예에 따른 도금조의 평면도이며, 도 3b는 도 3a의 도금조의 측면도이다.2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3a is a plan view of a plating bath according to an example provided in the plating apparatus of FIG. 2, and FIG. 3b is a side view of the plating bath of FIG. 3a to be.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는, 피도금재(F)를 공급하는 공급 유닛(10), 피도금재(F)에 대한 도금이 진행되는 복수의 도금조(20), 각각의 도금조(20)를 일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피도금재(F)를 이송함과 동시에 각각의 도금조(20)를 일방향과 대향되는 타방향으로 통과하도록 피도금재(F)를 이송하는 이송 유닛(30); 도금이 완료된 피도금재(F)를 회수하는 회수 유닛(40)을 포함한다.The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upply unit 10 for supplying a material to be plated (F), a plurality of plating tanks 20 for plating the material to be plated (F), and each A transfer unit that transports the material to be plated F so that it passes through the plating bath 20 in one direction and at the same time conveys the material F to pass through each plating bath 20 in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 30); and a recovery unit 40 for recovering the plated material F on which plating has been completed.

먼저, 공급 유닛(10)은, 피도금재(F)를 연속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장치이다. 공급 유닛(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롤 형태로 권취된 시트 형상의 피도금재(F)를 권출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할 수 있다. 또한, 공급 유닛(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조(20)들 중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20)의 제1 입구(23a)와 대응하도록 설치된다.First, the supply unit 10 is a device for continuously supplying the material F to be plated. As shown in FIG. 2 , the supply unit 10 may unwind and continuously supply the plated material F in the form of a sheet wound in a roll shape. Also, the supply unit 10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first inlet 23a of the plating bath 20 disposed at the most upstream among the plating baths 20 as shown in FIG. 2 .

다음으로, 도금조(20)는, 피도금재(F)에 금속을 도금하기 위한 장치이다. 도금조(20)는, 도 3a 및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21), 케이스(21)의 내부에 마련되며, 도금액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22), 피도금재(F)가 수용 공간(22)을 일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스(21)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입구(23a)와 제1 출구(23b), 피도금재(F)가 수용 공간(22)을 타방향으로 통과할 수 있도록 케이스(21)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입구(24a)와 제2 출구(24b), 입구(23a)(24a)들과 출구(23b)(24b)들을 통해 도금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차단롤(28), 제1 입구(23a)와 제1 출구(23b)를 통해 수용 공간(22)을 일방향으로 통과하고 있는 피도금재(F)와 대면하도록 수용 공간(22)에 설치되는 제1 양극판(25), 제2 입구(24a)와 제2 출구(24b)를 통해 수용 공간(22)을 타방향으로 통과하는 있는 피도금재(F)와 대면하도록 수용 공간(22)에 설치되는 제2 양극판(26)을 포함한다.Next, the plating tank 20 is an apparatus for plating a metal on the material F to be plated. As shown in FIGS. 3A and 3B , the plating bath 20 includes a case 21 , provided inside the case 21 , an accommodation space 22 accommodating a plating solution, and a material F to be plated. The first inlet 23a and the first outlet 23b respectively formed in the case 21 so that the receiving space 22 can pass in one direction, and the plated material F pas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22 in the other direction. Preventing the plating solution from leaking through the second inlet 24a and the second outlet 24b, the inlets 23a, 24a, and the outlets 23b and 24b respectively formed in the case 21 to pass through It is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22 to face the plated material F passing through the receiving space 22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blocking roll 28, the first inlet 23a and the first outlet 23b. Installed in the receiving space 22 to face the plated material F passing through the receiving space 22 in the other direction through the first positive plate 25, the second inlet 24a and the second outlet 24b. and a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which is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입구(23a)와 제1 출구(23b)를 통해 수용 공간(22)을 일방향으로 통과하고 있는 피도금재(F)를 제1 피도금재(F1)로 명명하고, 제2 입구(24a)와 제2 출구(24b)를 통해 수용 공간(22)을 타방향으로 재통과하고 있는 피도금재(F)를 제2 피도금재(F2)라고 명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for convenience of description,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passing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22 through the first inlet 23a and the first outlet 23b in one direction. Named as, and the second inlet (24a) and the second outlet (24b) through the receiving space 22 re-passing the receiving space 22 in the other direction (F) is named as a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 decide to do

도금조(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 개가 설치된다. 도금조(20)의 설치 개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피도금재(F) 상에 형성하고자 하는 금속층의 두께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a plurality of plating baths 20 are install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long the process progress direction. The number of the plating baths 20 installe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determined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metal layer to be formed on the material F to be plated.

케이스(21)는, 도금조(20)의 외관을 형성하며, 도금조(20)가 구비하는 구성 요소들의 설치 공간을 제공한다. 케이스(21)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케이스(21)는 장방향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case 21 forms the exterior of the plating bath 20 and provides an installation space for components included in the plating bath 20 . The shape of the case 21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case 21 may have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shape.

수용 공간(22)은, 도금조(20)의 내부에 형성되며, 전해 도금 방식으로 피도금재(F) 상에 금속층을 형성하기 위한 도금액이 수용된다. 수용 공간(22)은, 외부의 도금액 공급장치(미도시)와 연결되어 도금액 공급장치로부터 도금액을 연속적으로 보충받을 수 있다.The accommodation space 22 is formed in the plating bath 20 , and a plating solution for forming a metal layer on the material F to be plated by an electrolytic plating method is accommodated. The accommodation space 22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plating solution supply device (not shown) to continuously receive the plating solution from the plating solution supply device.

제1 입구(23a)와 제1 출구(23b)는 제1 피도금재(F1)가 도금액에 침지된 상태로 수용 공간(22)을 일방향으로 통과하기 위한 제1 피도금재(F1)의 이동 통로를 제공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구(23a)는 케이스(21)의 일측면에 형성되며, 제1 출구(23b)는 케이스(21)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케이스(21)의 타측면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제1 입구(23a)와 제1 출구(23b)가 마련됨에 따라 제1 피도금재(F1)는, 후술할 통전롤(32)에 의해 음전위로 대전된 상태로 제1 입구(23a)를 통해 수용 공간(22)으로 유입된 후 제1 출구(23b)를 통해 수용 공간(22)으로부터 배출되어 수용 공간(22)을 일방향으로 통과하게 된다.The first inlet 23a and the first outlet 23b are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to pass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22 in one direction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is immersed in the plating solution F 1 ) provides a passageway for As shown in FIG. 3A , the first inlet 23a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21 , and the first outlet 23b is the other side of the case 21 opposite to one side of the case 21 . is formed in As described above, as the first inlet 23a and the first outlet 23b are provided,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F 1 is negatively charged by the energizing roll 32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first inlet 23a ) through the receiving space 22 and then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space 22 through the first outlet 23b to pas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22 in one direction.

제2 입구(24a)와 제2 출구(24b)는 제2 피도금재(F2)가 도금액에 침지된 상태로 수용 공간(22)을 타방향으로 통과하기 위한 제2 피도금재(F2)의 이동 통로를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입구(24a)는 케이스(21)의 타측면에 형성되며, 제2 출구(24b)는 케이스(21)의 일측면에 형성된다. 즉, 제2 입구(24a) 및 제2 출구(24b)는, 제1 입구(23a) 및 제1 출구(23b)와 형성 방향이 반대된다. 이와 같이 제2 입구(24a)와 제2 출구(24b)가 마련됨에 따라 제2 피도금재(F2)는, 후술할 통전롤(32)에 의해 음전위로 대전된 상태로 제2 입구(24a)를 통해 수용 공간(22)으로 유입된 후 제2 출구(24b)를 통해 수용 공간(22)으로부터 배출되어 수용 공간(22)을 타방향으로 통과하게 된다.The second inlet 24a and the second outlet 24b have a second plated material F 2 to pass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22 in the other direction while the second plated material F 2 is immersed in the plating solution. ) to provide a passageway. 3 , the second inlet 24a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21 , and the second outlet 24b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21 . That is, the formation direction of the 2nd inlet 24a and the 2nd outlet 24b is opposite to the 1st inlet 23a and the 1st outlet 23b. As described above, as the second inlet 24a and the second outlet 24b are provide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is negatively charged by the energizing roll 32 to be described later, and the second inlet 24a ) through the receiving space 22 and then discharged from the receiving space 22 through the second outlet 24b to pas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22 in the other direction.

차단롤(28)은 입구들(23a)(24a)과 출구들(23b)(24b)을 통해 도금액이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부재이다. 차단롤(28)은, 제1 입구(23a), 제1 출구(23b), 제2 입구(24a) 및 제2 출구(24b)에 각각 설치된다.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단롤(28)은 입구들(23a)(24a)과 출구들(23b)(24b)의 외측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차단롤(28)은 입구들(23a)(24a)과 출구들(23b)(24b)의 내측에 설치되거나 입구들(23a)(24a)과 출구들(23b)(24b)의 외측과 내측에 모두 설치될 수도 있다. 또한, 차단롤(28)은 도금액에 포함되는 금속 이온이 석출되지 않도록 절연체인 것이 바람직하며 피도금재(F)의 표면에 손상을 주지 않는, 예컨데 고무 수지와 같은 재료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blocking roll 28 is a member for preventing the plating solution from flowing out through the inlets 23a and 24a and the outlets 23b and 24b. The blocking roll 28 is provided at the first inlet 23a, the first outlet 23b, the second inlet 24a, and the second outlet 24b,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3A , the blocking roll 28 is preferably installed outside the inlets 23a and 24a and the outlets 23b and 24b,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at is, the blocking roll 28 is installed inside the inlets 23a, 24a and the outlets 23b and 24b, or outside the inlets 23a, 24a and the outlets 23b and 24b. They may all be installed inside. In addition, the blocking roll 28 is preferably an insulator so that metal ions contained in the plating solution do not precipitate, and is preferably formed of a material such as rubber resin that does not damage the surface of the material F to be plated.

제1 양극판(25)은 음전위로 대전된 제1 피도금재(F1)와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도록 설치되며, 제2 양극판(26)은 음전위로 대전된 제2 피도금재(F2)와 소정의 간격을 사이에 두고 대향되도록 설치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양극판(25)과 제2 양극판(26)은, 제1 양극판(25)과 제2 양극판(26) 사이 공간에 제1 피도금재(F1)와 제2 피도금재(F2)가 각각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양극판(25)과 제2 양극판(26)의 형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제1 양극판(25)과 제2 양극판(26)은 판상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제1 양극판(25)과 제2 양극판(26)은 각각, 소정의 전원 공급 장치인 정류기(미도시)와 연결되며, 정류기로부터 양전위가 인가된다.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is installed to face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F 1 charged with negative potential with a predetermined distance therebetween,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is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charged to the negative potential ( F 2 ) is installed to face each other with a predetermined interval therebetween. As shown in FIG. 3 ,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are form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 with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 2 It is preferable that the material to be plated (F 2 ) is installed so as to be positioned respectively. The shapes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may have a plate shape.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are respectively connected to a rectifier (not shown) that is a predetermined power supply, and a positive potential is applied from the rectifier.

한편, 제1 양극판(25) 및 제2 양극판(26)에서 발생한 전기장들은 각각, 제1 양극판(25) 및 제2 양극판(26)과 제1 피도금재(F1) 및 제2 피도금재(F2) 사이의 거리의 제곱에 반비례한 세기로 제1 피도금재(F1) 및 제2 피도금재(F2)에 작용한다. 그런데, 제1 양극판(25)과 제2 양극판(26)의 전위가 서로 다른 경우, 예를 들어, 제2 양극판(26)의 전위가 제1 양극판(25)의 전위보다 큰 경우에는 제2 양극판(26)의 전기장이 제1 양극판(25)의 전기장에 비해 더 넓은 범위에서 더 큰 세기로 제1 피도금재(F1) 및 제2 피도금재(F2)에 작용하게 된다.On the other hand, the electric fields generated in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respectively,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F 1 ) and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 2 ) It acts on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 an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 with an intensity inversely proportional to the square of the distance between them. However, when the potential of the first positiv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plate 26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when the potential of the second positive plate 26 is greater than the potential of the first positive plate 25 ,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The electric field of (26) acts on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F 1 ) an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 with greater strength in a wider range than the electric field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

그러면, 비록 제1 양극판(25)과 제1 피도금재(F1) 사이의 거리가 제2 양극판(25)과 제1 피도금재(F2) 사이의 거리보다 가깝더라도 제2 양극판(26)의 전기장이 제1 양극판(25)의 전기장보다 제1 피도금재(F1)에 더 강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이로 인해, 제2 양극판(26)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1 피도금재(F1)에 도달하여 제1 피도금재(F1)에 금속층이 오석출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Then, even i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first to-be-even if the distance between the coating material (F 1) clos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first to-be-coated member (F 2), the second bipolar plate (26, ) may have a stronger effect on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than the electric field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 Because of this, there is the possibility that the electrons reach the first to-be-coated member (F 1) a first metal layer on the P-coated material (F 1) five deposition occurs emitted from the two positive electrode plates (26).

또한, 이러한 제1 양극판(25)과 제2 양극판(26) 사이의 전위의 불일치 이외에도 여러 가지 원인들로 인하여, 제1 양극판(25)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2 피도금재(F2)에 도달하거나 제2 양극판(26)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1 피도금재(F1)에 도달함으로써 제1 피도금재(F1)와 제2 피도금재(F2)에 각각 금속층이 오석출될 가능성이 있다.In addition, due to various causes in addition to the mismatch in potential between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 electrons emitted from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re transferred to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 When the electrons that reach or are emitted from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reach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F1, the metal layer may be erroneously deposited on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F 1 and the material to be second to be plated F 2 , respectively. There is a possibility.

이러한 금속층의 오석출을 방지하기 위해 도금조(20)는, 제1 피도금재(F1)와 제2 피도금재(F2) 사이 공간에 위치하도록 수용 공간(22)에 설치되는 차폐 부재(2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폐 부재(27)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도금재(F1)의 양측 단부 및 제2 피도금재(F2)의 양측 단부와 케이스(21)의 내측면 사이 공간을 지나는 전자들을 차폐할 수 있도록 제1 피도금재(F1) 및 제2 피도금재(F2)보다 넓은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차폐 부재(27)는, 차폐 부재(27) 상에 금속 이온이 오석출되지 않도록 절연체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차폐 부재(27)가 마련됨에 따라, 제1 양극판(25) 및 제2 피도금재(F2) 사이 공간과, 제2 양극판(26) 및 제1 피도금재(F1) 사이 공간을 각각 차폐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양극판(25)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2 피도금재(F2)로 도달하거나 제2 양극판(26)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1 피도금재(F1)에 도달하여 제1 피도금재(F1)와 제2 피도금재(F2)에 각각 금속층이 오석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In order to prevent erroneous precipitation of the metal layer, the plating tank 20 is a shielding member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22 to be positioned in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and the second plated material F 2 . (27) may be further included. The shielding member 27 is, as shown in FIG. 3b , a space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F 1 and both ends of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21 . It is preferable to have a wider width than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 an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 to shield electrons passing through. In addition, the shielding member 27 is preferably an insulator so that metal ions do not erroneously precipitate on the shielding member 27 . As the shielding member 27 is provided in this way, the space between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and the space between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and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F 1 . can be shielded from each other. Accordingly, electrons emitted from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reach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 2 , or electrons emitted from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reach the first material F 1 to be plated It is possible to prevent erroneous precipitation of the metal layer on the material to be plated (F 1 ) and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 2 ), respectively.

다음으로, 이송 유닛(30)은, 피도금재(F)를 이송함과 동시에 피도금재(F)가 음전위를 인가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송 유닛(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도금재(F)에 음전위를 인가함과 동시에 피도금재(F)를 각각의 도금조(20)의 수용 공간(22)을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복수의 통전롤(32), 및 피도금재(F)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롤(34)을 포함한다.Next, the transfer unit 30 is a device for transferring the material to be plated (F) and simultaneously applying the negative potential to the material to be plated (F). As shown in FIG. 2 , the transfer unit 30 applies a negative potential to the material to be plated F and at the same time passes the material to be plated F through the receiving space 22 of each plating bath 20 . It includes a plurality of energizing rolls 32 that are transferred so as to be transferred, and a direction change roll 34 that switches the transfer direction of the material to be plated (F).

통전롤(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유닛(10)과 도금조(20)들 중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20)의 제1 입구(23a) 사이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20)들 중 어느 도금조(20)의 제1 출구(23b)와 다른 도금조(20)의 제1 입구(23a) 사이와, 그리고 도금조(20)들 중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20)의 제1 출구(23b)와 상기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20)의 제2 입구(24a) 사이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통전롤(32)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20)들 중 어느 도금조(20)의 제2 출구(24b)와 다른 도금조(20)의 제2 입구(24a) 사이와, 상기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20)의 제2 출구(24b)와 회수 유닛(40) 사이에 각각 적어도 하나씩 설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2 , the energizing roll 32 is disposed between the supply unit 10 and the first inlet 23a of the plating bath 20 disposed at the most upstream among the plating baths 20 and adjacent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2 . Between the first outlet 23b of one plating bath 20 and the first inlet 23a of the other plating bath 20 among the arranged pair of plating baths 20 and among the plating baths 20 . At least one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first outlet 23b of the plating bath 20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and the second inlet 24a of the plating bath 20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In addition, as shown in FIG. 2 , the energizing roll 32 has a plating bath different from the second outlet 24b of any plating bath 20 among a pair of plating baths 20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20), and between the second outlet 24b of the plating bath 20 disposed at the uppermost stream and the recovery unit 40, respectively, at least one may be installed.

방향 전환롤(34)은, 도금조(20)들 중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20)의 제1 출구(23b)와 도금조(20)들 중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20)의 제2 입구(24a) 사이에 설치되며, 피도금재(F)의 이송 방향을 일방향 쪽에서 타방향 쪽으로 전환한다.The direction change roll 34 includes the first outlet 23b of the plating bath 20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among the plating baths 20 and the plating bath 20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of the plating baths 20 . It is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inlet 24a of the plated material (F) is switched from one direction to the other direction.

이와 같이 통전롤(32)과 방향 전환롤(34)이 마련됨에 따라 이송 유닛(3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유닛(10)과 방향 전환롤(34) 사이 구간에서는 피도금재(F)를 각각의 도금조(20)의 수용 공간(22)을 일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이송하고, 방향 전환롤(34)과 회수 유닛(40) 사이 구간에서는 피도금재(F)를 각각의 도금조(20)의 수용 공간(22)을 타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이송할 수 있다. 그러면, 피도금재(F)는 각각의 도금조(20)의 수용 공간(22)을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각각 1번씩, 총 2번에 걸쳐 통과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는, 피도금재(F)가 각각의 도금조(220)의 수용 공간을 일방향으로 1번씩만 통과하는 종래의 도금 장치에 비하여, 도금조(20)의 설치 개수를 절반으로 줄일 수 있으므로, 설비의 필요 설치 공간을 줄임과 동시에 설비의 설치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energizing roll 32 and the direction change roll 34 are provided, the transfer unit 30 is plated in the section between the supply unit 10 and the direction change roll 34 as shown in FIG. 2 . The ash F is transferred to pas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22 of each plating bath 20 in one direction, and in the section between the direction change roll 34 and the recovery unit 40, the plated material F is transferred to each It can be transferred to pas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22 of the plating bath 20 in the other direction. Then, the material to be plated F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22 of each plating bath 20 once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in one direction, a total of two times. Accordingly, in the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lating bath 20 ), the number of installations can be reduced by half, so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required installation space of the equipment and at the same time reduce the installation cost of the equipment.

한편, 통전롤(32)을 이용하여 피도금재(F)를 이송함과 동시에 피도금재(F)에 음전위를 인가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이송 유닛은, 구동 모터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피도금재(F)를 이송하는 구동 PVC롤(미도시) 기타 다양한 종류의 이송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lthough it has been described that a negative potential is applied to the material to be plated (F) at the same time as the material to be plated (F) is transferred using the energizing roll (32), but is not limited thereto. For example, the conveying unit may further include a driving PVC roll (not shown) and other various types of conveying members receiving the driving force from the driving motor to convey the material F to be plated.

다음으로, 회수 유닛(40)은, 피도금재(F)를 연속적으로 회수하기 위한 장치이다. 회수 유닛(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이 완료된 피도금재(F)를 롤 형태로 권취하여 연속적으로 회수할 수 있다. 또한, 회수 유닛(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조(20)들 중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20)의 제2 출구(24b)와 대응하도록 설치된다.Next, the recovery unit 40 is a device for continuously recovering the material F to be plated. As shown in FIG. 2 , the recovery unit 40 may continuously recover the plating target material F by winding it in a roll shape. In addition, the recovery unit 40 is installed to correspond to the second outlet 24b of the plating bath 20 disposed at the most upstream among the plating baths 20 as shown in FIG. 2 .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를 이용한 도금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plating method using a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피도금재(F)가 통과될 수 있는 제1 입구(23a), 제1 출구(23b), 제2 입구(24a) 및 제2 출구(24b)가 각각 구비된 복수의 도금조(20)를 미리 정해진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배치한다.First, a plurality of plating baths 20 each having a first inlet 23a, a first outlet 23b, a second inlet 24a, and a second outlet 24b through which a material to be plated F can pass. ) along the predetermined process direction.

다음으로, 제1 양극판(25)을 제1 피도금재(F1)와 대향되도록 설치하고, 제2 양극판(26)을 제2 피도금재(F2)와 대향되도록 설치하고, 차폐 부재(27)를 제1 피도금재(F1)와 제2 피도금재(F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하고, 차단롤(28)을 각각의 입구(23a)(24a)와 각각의 출구(23b)(24b)에 설치하고, 각각의 도금조(20)에 도금액을 충전한다.Next,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is installed to face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is installed to face the second plated material F 2 , and a shielding member ( 27) is install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F 1 ) an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 and the blocking roll 28 is installed at each of the inlets 23a and 24a and the outlets 23b. ) 24b, and each plating tank 20 is filled with a plating solution.

이후에, 통전롤(32)을 각각의 도금조(20)의 사이와, 공급 유닛(10)과 도금조(20)들 중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20)의 사이와, 도금조(20)들 중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20)와 회수 유닛(40) 사이에 각각 설치한다. 또한, 방향 전환롤(34)을 최하류에 위치한 도금조(20)의 제1 출구(23b)와 제2 입구(24a)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한다.Thereafter, the energizing roll 32 is applied between the respective plating baths 20 and between the supply unit 10 and the plating bath 20 disposed at the most upstream among the plating baths 20 and between the plating baths 20 ) are installed between the plating tank 20 and the recovery unit 40 disposed at the most upstream among them. In addition, the direction changing roll 34 is installed to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outlet 23b and the second inlet 24a of the plating bath 20 located at the most downstream.

상술한 준비 과정이 완료되면, 각각의 통전롤(32)과 각각의 양극판(25)(26)에 음전위 및 양전위를 각각 인가하고, 피도금재(F)를 공급 유닛(10)과 방향 전환롤(34) 사이 구간에서는 각각의 도금조(20)의 수용 공간(22)을 일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이송하고 방향 전환롤(34)과 회수 유닛(40) 사이 구간에서는 각각의 도금조(20)의 수용 공간(22)을 타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이송한다. 그러면 양 전위로 대전된 각각의 양극판(25)(26)과 음전위로 대전된 각각의 제1 피도금재(F1) 또는 제2 피도금재(F2) 사이에서 전해 반응이 유발되어 금속 이온이 제1 피도금재(F1) 또는 제2 피도금재(F2)의 표면에 석출되어 전착된다.When the above-described preparation process is completed, negative and positive potentials are respectively applied to each of the energizing rolls 32 and each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s 25 and 26 , and the direction of the plated material F is switched with the supply unit 10 . In the section between the rolls 34, the receiving space 22 of each plating bath 20 is transferred to pass in one direction, and in the section between the direction changing roll 34 and the collecting unit 40, each plating bath 20 is It is transferred to pass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22 in the other direction. Then, an electrolytic reaction is induced between each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s 25 and 26 charged to the positive potential and each of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F 1 or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charged to the negative potential, thereby causing metal ions It is deposited and electrodeposited on the surface of this 1st to-be-plated material F 1 or the 2nd to-be-plated material F 2 .

예를 들어, 도금액으로 황산구리 수용액을 사용할 경우, 도금조(20)의 수용 공간(22)의 피도금재(F)가 통과하는 동안 도금조(20)의 수용 공간(22)에서 발생하는 전기화학 반응식은 하기 화학식 1과 같다.For example, when a copper sulfate aqueous solution is used as the plating solution, electrochemical generated in the receiving space 22 of the plating bath 20 while the material F to be plated in the receiving space 22 of the plating bath 20 passes. The reaction formula is shown in Chemical Formula 1 below.

[화학식 1][Formula 1]

도금액 ; CuSO4 ↔ Cu2+ + SO4 2- plating amount; CuSO 4 ↔ Cu 2+ + SO 4 2-

H2O ↔ H+ + OH- H 2 O ↔ H + + OH -

피도금재(F) ; Cu2 + + 2e- → Cumaterial to be plated (F); Cu 2 + + 2e - → Cu

양극판 ; 2H2O → O2 + 4H+ + 4e- bipolar plate ; 2H 2 O → O 2 + 4H + + 4e -

상기와 같은 금속의 전착은 피도금재(F)가 각각의 도금조(20)를 통과할 때마다 반복적으로 이루어진다.The electrodeposition of the metal as described above is repeatedly performed whenever the material to be plated (F) passes through each plating bath (20).

도 4a는 도 2의 도금 장치가 구비하는 다른 일 예에 따른 도금조의 평면도이며, 도 4b는 도 4a의 제1 양극판 및 제2 양극판의 평면도이며, 도 4c는 도 4a의 차폐 부재의 평면도이다.4A is a plan view of a plating bath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cluded in the plating apparatus of FIG. 2 , FIG. 4B is a plan view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of FIG. 4A , and FIG. 4C is a plan view of the shielding member of FIG. 4A .

다른 일 예에 따른 도금조(20a)는, 도 4a 내지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양극판(25a) 및 제2 양극판(26a)의 구조와 차폐 부재(27a)의 구조가 변경되었다는 점에서 상술한 일 예에 따른 도금조(20)와 차이점을 갖는다.In the plating bath 20a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4A to 4C , the structures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a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a and the structure of the shielding member 27a are changed. has a difference from the plating bath 2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먼저, 제1 양극판(25a) 및 제2 양극판(26a)은 각각,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25b)(26b)을 구비한다.First,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a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a have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5b and 26b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respectively, as shown in FIG. 4B .

도금액과 제1 양극판(25a) 및 제2 양극판(26a)의 반응 효율을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제1 양극판(25a) 및 제2 양극판(26a)과 넓은 면적에 걸쳐 접촉되도록 도금액이 유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양극판(25)과 제2 양극판(26)이 판상 형태를 갖는 경우에는, 도금액이 제1 피도금재(F1) 및 제2 피도금재(F2)와 각각 대면하는 제1 양극판(25) 및 제2 양극판(26)의 일면의 양측 단부를 경유하여야만 상기 제1 양극판(25) 및 제2 양극판(26)의 일면의 반대 쪽에 위치한 제1 양극판(25) 및 제2 양극판(26)의 타면 쪽으로 도금액이 유동될 수 있다. 따라서, 도금액의 유동 경로가 상대적으로 긴 제1 양극판(25) 및 제2 양극판(26)의 타면은 도금액과의 반응에 실질적으로 참여하지 못하게 된다.In order to increase the reaction efficiency between the plating liquid and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a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a, it is preferable that the plating liquid flow so as to be in contact with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a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a over a large area. . By the way, as shown in FIG. 3A , when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have a plate shape, the plating solution includes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 F 1 ) and the material to be second to be plated (F). 2 )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one surface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only through both ends of one surface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facing each other (25) and the plating solution may flow toward the other surface of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Accordingly, the other surfaces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having a relatively long flow path of the plating liquid do not substantially participate in the reaction with the plating liquid.

그런데,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양극판(25a)과 제2 양극판(26a)에 복수의 관통홀(25b)(26b)이 형성된 경우에는, 도금액이 제1 양극판(25a) 및 제2 양극판(26a)의 일면의 양측 단부를 경유하지 않아도 각각의 관통홀(25b)(26b)을 통해 제1 양극판(25a) 및 제2 양극판(26a)의 타면까지 도금액이 바로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양극판(25a) 및 제2 양극판(26a)의 타면과 관통홀(25a)(26a)들의 내주면이 도금액과의 반응에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어 도금액과 제1 양극판(25a) 및 제2 양극판(26a) 사이의 반응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However, as shown in FIG. 4B , when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5b and 26b are formed in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a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a, the plating solution is applied to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a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a. The plating liquid may directly enter the other surfaces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a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a through each of the through holes 25b and 26b without passing through both ends of one surface of the positive electrode plate 26a. Accordingly, the other surfaces of the first and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s 25a and 26a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s of the through holes 25a and 26a can substantially participate in the reaction with the plating solution, so that the plating solution and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a and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a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a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reaction efficiency between the two positive electrode plates 26a.

다음으로, 차폐 부재(27a)는,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리 정해진 간격을 두고 형성된 복수의 관통홀(27b)을 구비한다. 차폐 부재(27a)는 제1 피도금재(F1)와 제2 피도금재(F2) 사이에 위치하여 제1 양극판(25a)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2 피도금재(F2)를 향해 유동하거나 제2 양극판(26a)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1 피도금재(F1)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차단할 수 있으나, 차폐 부재(27a)로 인해 도금액의 유동이 저해되어 도금액과 제1 피도금재(F1) 및 제2 피도금재(F2)의 반응 효율이 저해될 가능성이 있다.Next, the shielding member 27a is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27b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as shown in FIG. 4C . The shielding member 27a is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F 1 an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 and electrons emitted from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a strike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 Although it is possible to block electrons flowing toward or emitted from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a from flowing toward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F1, the flow of the plating liquid is inhibited due to the shielding member 27a, so that the plating liquid and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are prevented from flowing. There is a possibility that the reaction efficiency of the ash (F 1 ) and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 2 ) is impaired.

이를 해결하기 위하여, 차폐 부재(27a)에 도금액이 통과될 수 있는 복수의 관통홀(27b)을 마련하는 것이다. 그런데, 차폐 부재(27a)의 전체 영역 중 제1 피도금재(F1)와 대면하지 않는 영역에 관통홀(27b)이 형성되면, 이러한 관통홀(27b)을 통해 제1 양극판(25a)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2 피도금재(F2)를 향해 유동하거나 제2 양극판(26a)으로부터 방출된 전가가 제1 피도금재(F1)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부재(27a)의 전체 영역 중 제1 피도금재(F1)와 대면하지 않는 영역에는 관통홀(27b)이 형성되지 않도록 관통홀(27b)은 차폐 부재(27a)의 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l) 이상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27b through which the plating solution can pass are provided in the shielding member 27a. However, when the through-hole 27b is formed in the area that does not face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F 1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shielding member 27a,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a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7b. The emitted electrons may flow towar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 or the electrons emitted from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26a may flow toward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F 1 . Therefore, as shown in FIG. 4C , the through-hole 27b is shielded so that the through-hole 27b is not formed in the area that does not face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F 1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shielding member 27a.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member 27a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 or more.

이와 같이 관통홀(27b)이 형성됨에 따라, 차폐 부재(27a)를 통해 전자의 유동을 차단함과 동시에 관통홀(27b)들을 통해 도금액의 유동이 저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s the through-hole 27b is formed in this way, it is possible to block the flow of electrons through the shielding member 27a and prevent the flow of the plating solution from being inhibited through the through-holes 27b.

도 5a는 도 2의 도금 장치가 구비하는 다른 일 예에 따른 도금조의 평면도이며, 도 5b는 도 5a의 제1 양극판 및 제2 양극판의 평면도이며, 도 5c는 도 5a의 도금조의 측면도이다.5A is a plan view of a plating bath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cluded in the plating apparatus of FIG. 2 , FIG. 5B is a plan view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of FIG. 5A , and FIG. 5C is a side view of the plating bath of FIG. 5A .

다른 일 예에 따른 도금조(20b)는, 도 5a 내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양극판(25c) 및 제2 양극판(26c)의 구조와 차폐 부재의 구조가 변경되었다는 점에서 상술한 일 예에 따른 도금조(20)와 차이점을 갖는다.In the plating bath 20b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as shown in FIGS. 5A to 5C , the structures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c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c and the structure of the shielding member are changed as described above. It has a difference from the plating bath 20 according to an example.

먼저, 제1 양극판(25c) 및 제2 양극판(26c)은 각각,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태의 그물망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제1 양극판(25c) 및 제2 양극판(26c)의 그물눈은, 도 4b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양극판(25a) 및 제2 양극판(26a)의 관통홀(25b)(26b)보다 더욱 촘촘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그러면, 제1 양극판(25a) 및 제2 양극판(26a)의 관통홀(25b)(26b)을 통해 도금액이 제1 양극판(25a) 및 제2 양극판(26a)의 타면으로 진입하는 경우에 비하여, 제1 양극판(25c) 및 제2 양극판(26c)의 그물눈을 통해 도금액이 제1 양극판(25c) 및 제2 양극판(26c)의 타면으로 더욱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양극판(25c) 및 제2 양극판(26c)의 타면과 그물눈의 내주면이 도금액과의 반응에 실질적으로 참여할 수 있게 되어 도금액과 제1 양극판(25c) 및 제2 양극판(26c) 사이의 반응 효율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First, each of the first positive plate 25c and the second positive plate 26c has a mesh structure in the form of a grid, as shown in FIG. 5B . Here, the meshes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c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c are, as shown in FIGS. 4B and 5B , the through holes 25b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a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a ( 26b) is formed at a tighter interval. Then, the plating solution enters the other surfaces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a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a through the through holes 25b and 26b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a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a, compared to the case of entering the other surfaces, The plating solution may more easily enter the other surfaces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c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c through the meshes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c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c. Accordingly, the other surfaces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c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c and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meshes can substantially participate in the reaction with the plating liquid, so that the plating liquid and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c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c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It is possible to further increase the reaction efficiency.

다음으로, 차폐 부재는,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도금재(F1)의 일측 단부 및 제1 피도금재(F1)의 일측 단부와 대면하는 제2 피도금재(F2)의 일측 단부 사이 공간에 설치되는 제1 차폐 부재(27c), 및 제1 피도금재(F1)의 타측 단부 및 제1 피도금재(F1)의 타측 단부와 대면하는 제2 피도금재(F2)의 타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차폐 부재(27d)를 포함한다.Next, the shield member, as shown in Fig. 5c, the first to-be-coated member (F 1) at one end and the first to-be-coated member (F 1) second to-be-coated member, which faces the one end (the F of the second to-be fac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shielding member (27c), and the first to-be-coated member (F 1), the other side end portion and the first to-be-coated member (F 1) of which is installed in a space between the one side end in Fig. 2) It includes a second shielding member (27d) install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plating material (F 2).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양극판(25c)과 제2 피도금재(F2) 사이에는 제1 피도금재(F1)가 위치하고, 제2 양극판(26c)과 제1 피도금재(F1) 사이에는 제2 피도금재(F2)가 위치하고 있다. 그러므로, 제1 양극판(25c)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2 피도금재(F2)를 향해 유동하기 위해서는 제1 피도금재(F1)의 양측 단부와 케이스(21)의 내측면 사이 공간을 경유하여야 하며, 제2 양극판(26c)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1 피도금재(F1)를 향해 유동하기 위해서는 제2 피도금재(F2)의 양측 단부와 케이스(21)의 내측면 사이 공간을 경유하여야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c) an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between, the first to-be-coated member (F 1) is locate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c) and the first to-be-coated member (F 1 ) between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 2 ) is located. Therefore, in order for the electrons emitted from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c to flow toward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 2 , a space between both ends of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F 1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21 is formed. It should pass through, and in order for electrons emitted from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c to flow toward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F 1 , between both ends of the material to be plated F 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21 . must pass through space.

그러므로, 제1 피도금재(F1)의 양측 단부 및 케이스(21)의 내측면 사이 공간과 제2 피도금재(F2)의 양측 단부 및 케이스(21)의 내측면 사이 공간만 차단하여도 제1 양극판(25c)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2 피도금재(F2)를 향해 유동하거나 제2 양극판(26c)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1 피도금재(F1)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차폐 부재(27c)와 제2 차폐 부재(27d)를 각각 마련함으로써, 제1 양극판(25c)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2 피도금재(F2)를 향해 유동하거나 제2 양극판(26c)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1 피도금재(F1)를 향해 유동하는 것을 방지함과 동시에 제1 차폐 부재(27c)와 제2 차폐 부재(27d)로 인한 도금액의 유동 저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Therefore, only the space between the both ends of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F 1 )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21 and the space between both ends of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case 21 is blocked The electrons emitted from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c flow toward the second plated material F 2 or the electrons emitted from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26c flow toward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 You can actually block it. Accordingly, by providing the first shielding member 27c and the second shielding member 27d, respectively, electrons emitted from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c flow toward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 2 or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electrons emitted from 26c) from flowing toward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F 1 ) and at the same time minimize the flow inhibition of the plating solution due to the first shielding member 27c and the second shielding member 27d. have.

도 6a는 도 2의 도금 장치가 구비하는 다른 일 예에 따른 도금조의 측면도이며, 도 6b는 도 6a의 차폐 부재의 평면도이다.6A is a side view of a plating bath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ncluded in the plating apparatus of FIG. 2 , and FIG. 6B is a plan view of the shielding member of FIG. 6A .

다른 일 예에 따른 도금조(20c)는, 도 6a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부재(27e)의 구조가 변경되었다는 점에서 상술한 일 예에 따른 도금조(20)와 차이점을 갖는다.The plating bath 20c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s different from the plating bath 2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in that the structure of the shielding member 27e is changed, as shown in FIGS. 6A and 6B . .

차폐 부재(27e)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자 형태의 그물망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차폐 부재(27e)의 그물눈(27f)은, 도 4c 및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부재(27a)의 관통홀(27b)보다 더욱 촘촘한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차폐 부재(27e)는, 차폐 부재(27e)로 인하여 도금액의 유동이 저해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The shielding member 27e has a mesh structure in the form of a grid, as shown in FIG. 6B . Here, the meshes 27f of the shielding member 27e are formed at a closer distance than the through holes 27b of the shielding member 27a, as shown in FIGS. 4C and 6B . Accordingly, the shielding member 27e can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flow of the plating liquid from being inhibited by the shielding member 27e.

그런데, 차폐 부재(27e)의 전체 영역 중 제1 피도금재(F1) 및 제2 피도금재(F2)와 대면하지 않는 영역에 그물눈(27f)이 형성되면, 이러한 그물눈(27f)을 통해 제1 양극판(25)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2 피도금재(F2)를 향해 유동하거나 제2 양극판(26)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1 피도금재(F1)를 향해 유동할 수 있다. 따라서, 차폐 부재(27e)의 전체 영역 중 제1 피도금재(F1) 및 제2 피도금재(F2)와 대면하지 않는 영역에는 그물눈(27f)이 형성되지 않도록 그물눈(27f)은 차폐 부재(27e)의 단부로부터 미리 정해진 간격(l) 이상 이격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By the way, when the mesh 27f is formed in the area that does not face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and the second plated material F 2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shielding member 27e, the mesh 27f is The electrons emitted from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through the flow toward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 2 ) or the electrons emitted from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can flow toward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F 1 ). have. Therefore, the mesh 27f is shielded so that the mesh 27f is not formed in the area that does not face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and the second plated material F 2 among the entire area of the shielding member 27e. It is preferable to be form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end of the member 27e by a predetermined distance l or more.

도 7은 도 2의 도금 장치가 구비하는 다른 일 예에 따른 도금조의 측면도이다.7 is a side view of a plating bath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provided in the plating apparatus of FIG. 2 .

다른 일 예에 따른 도금조(20d)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폐 부재(27) 대신 연결 부재(29)를 포함하다는 점에서 상술한 일 예에 따른 도금조(20)와 차이점을 갖는다.The plating bath 20d according to another example is different from the plating bath 20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xample in that it includes a connecting member 29 instead of a shielding member 27 as shown in FIG. 7 . have

연결 부재(29)는, 제1 양극판(25)과 제2 양극판(26)이 서로 동일한 전위를 갖도록 제1 양극판(25)과 제2 양극판(2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부재이다. 연결 부재(29)의 구조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연결 부재(29)는 제1 양극판(25)과 제2 양극판(26)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전기 배선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그러면, 제1 양극판(25)과 제2 양극판(26)이 연결 부재(29)에 의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전위를 갖게 됨으로써, 제1 피도금재(F1)에는 이와 근접한 제1 양극판(25)의 전기장이 우세한 영향을 미치고 제2 피도금재(F2)에는 이와 근접한 제2 양극판(26)의 전기장이 우세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로 인해, 제1 양극판(25)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는 이와 대면하는 제1 피도금재(F1)를 향해서만 유동하고 제2 양극판(26)으로부터 방출된 전자는 이와 대면하는 제2 피도금재(F2)를 향해서만 유동하게 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29)는, 제1 피도금재(F1)와 제2 피도금재(F2)에 각각 금속층이 오석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연결 부재(29)와 전술한 차폐 부재는, 이 중 어느 하나가 도금조에 선택적으로 설치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며, 도금조에 함께 설치될 수도 있다.The connecting member 29 is a member that electrically connects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so that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have the same potential. The structure of the connecting member 29 is not particularly limited. For example, the connection member 29 may have a structure of an electric wiring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 Then,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are electrically connected by the connecting member 29 to have the same potential, so that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djacent thereto has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 ) and the electric field of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adjacent thereto has a predominant influence on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 2 ). For this reason, electrons emitted from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flow only toward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facing it, and electrons emitted from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face the second plated material F 1 . It flows only toward (F 2 ). Accordingly, the connecting member 29 may prevent misprecipitation of the metal layer on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and the second plated material F 2 , respectively. Here, the connecting member 29 and the above-mentioned shielding member do not need to be selectively installed in any one of them in the plating bath, but may be installed together in the plating bath.

한편, 본 명세서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양극판(25), 제2 양극판(26) 및 차폐 부재(27)는 도금조(20)에 함께 설치되고,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양극판(25a), 제2 양극판(26a) 및 차폐 부재(27a)는 도금조(20a)에 함께 설치되고,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양극판(25c), 제2 양극판(25c), 제1 차폐 부재(27c) 및 제2 차폐 부재(27d)는 도금조(20b)에 함께 설치되고,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양극판(25), 제2 양극판(26) 및 차폐 부재(27e)는 도금조(20c)에 함께 설치되고,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양극판(25), 제2 양극판(26) 및 연결 부재(29)는 도금조(20d)에 함께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양극판(25)(25a)(25c)들과, 제2 양극판(26)(26a)(26c)들과, 차폐 부재(27)(27a)(27c)(27d)(27e)들과, 연결 부재(29)는 각각, 개별적으로 선택되어 도금조(20)에 설치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s shown in FIG. 3A ,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 and the shielding member 27 are installed together in the plating bath 20 , and as shown in FIG. 4A , Likewise,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a,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a, and the shielding member 27a are installed together in the plating bath 20a, and as shown in FIG. 5A ,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c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5c , the first shielding member 27c and the second shielding member 27d are installed together in the plating bath 20b, and as shown in FIG. 6A ,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 and the shielding member 27e are installed together in the plating bath 20c, and as shown in FIG. 7 ,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26 and the connecting member 29 are installed in the plating bath 20d ) was described as being installed together.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s 25 , 25a , 25c ,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s 26 , 26a , 26c , and the shielding members 27 , 27a , 27c ) ( 27d) and 27e and the connecting member 29 may be individually selected and installed in the plating bath 20 .

도 8은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8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금조(20)와 이송 유닛(30)의 통전롤(32)의 배치 형태가 변경되었다는 점에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와 차이점을 갖는다.In the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 8 , the arrangement of the plating tank 20 and the energizing roll 32 of the transfer unit 30 is changed in the plat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different from the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입구(23a)와 제1 출구(23b)를 통해 수용 공간(22)을 일방향으로 통과하고 있는 피도금재(F)를 제1 피도금재(F1)로 명명하고, 제2 입구(24a)와 제2 출구(24b)를 통해 수용 공간(22)을 타방향으로 재통과하고 있는 피도금재(F)를 제2 피도금재(F2)라고 명명하기로 한다.In the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plated material F passing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22 in one direction through the first inlet 23a and the first outlet 23b. is named as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F 1 ), and the material to be plated (F) re-passing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22 in the other direction through the second inlet 24a and the second outlet 24b is removed. 2 The material to be plated (F 2 ) will be named.

도금조(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도금조(20)의 입구들(23a)(24a) 및 출구들(23b)(24b)과 다른 도금조(20)의 입구들(23a)(24a) 및 출구들(23b)(24b)이 서로 대면하지 않도록 배치된다.The plating bath 20, as shown in FIG. 8, has inlets 23a, 24a and outlets 23b and 24b of one plating bath 20 and inlets ( 23a) (24a) and the outlets (23b, 24b) are arranged not to face each other.

통전롤(3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도금재(F)를 어느 도금조(20)의 수용 공간(22)을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왕복 통과한 후에 다른 도금조(20)를 향하도록 이송한다.As shown in FIG. 8 , the energizing roll 32 reciprocate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22 of one plating bath 20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and then passes the material to be plated F through another plating bath 20 . transported toward

보다 구체적으로, 통전롤(3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 유닛(10)과 도금조(20)들 중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20)의 제1 입구(23a) 사이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20)들 중 어느 도금조(20)의 제2 출구(24b)와 다른 도금조(20)의 제1 입구(23a) 사이와,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20)의 제2 출구(24b)와 회수 유닛(4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통전롤(32)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의 도금조(20)의 제1 출구(23b)와 제2 입구(24a) 사이에 배치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8 , the energizing roll 32 is disposed between the supply unit 10 and the first inlet 23a of the plating bath 20 disposed at the most upstream among the plating baths 20 . , disposed between the second outlet 24b of one of the plating baths 20 and the first inlet 23a of the other plating bath 20 among the pair of plating baths 20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It may be installed between the second outlet 24b of the plating bath 20 and the recovery unit 40 . In addition, as shown in FIG. 8 , the energizing roll 32 may be installed to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outlet 23b and the second inlet 24a of each plating bath 20 .

이와 같이 통전롤(32)이 마련됨에 따라 이송 유닛(30)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피도금재(F)를 어느 도금조(20)의 수용 공간(22)을 일방향과 타방향으로 왕복 주행한 후 다른 도금조(20)를 향하도록 이송할 수 있다. 그러면, 각각의 도금조(20)의 제1 출구(23b)로부터 배출된 피도금재(F)를 각각의 도금조(20)의 제2 입구(24a)로 바로 유입시킬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에 비하여, 제1 피도금재(F1)와 제2 피도금재(F2)에 형성된 금속층의 두께 차이가 적어짐으로써 제1 피도금재(F1)와 제2 피도금재(F2)의 저항이 차이가 적어진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는, 제1 양극판(25)으로부터 방출된 전자가 제2 피도금재(F2)를 향해 유동되어 제2 피도금재(F2) 상에 금속층이 오석출되는 것을 보다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s the energizing roll 32 is provided, the transfer unit 30 transfers the plated material F to the receiving space 22 of a certain plating bath 20 in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as shown in FIG. 8 . After reciprocating with the , it can be transferred to another plating bath 20 . Then, the material to be plated F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23b of each plating bath 20 may be directly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24a of each plating bath 20 . Therefore, compared to the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in the thickness of the metal layer formed on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F 1 an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decreases, so that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F 1 ) The difference in resistance between F 1 ) an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decreases. Accordingly, in the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electrons emitted from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25 flow toward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 2 , and to be formed on the material to be plated F 2 . It is possible to more effectively prevent the metal layer from being misprecipitated.

도 9는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9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는, 서로 개별적으로 공급 및 회수되는 제1 피도금재(F1)와 제2 피도금재(F2)를 도금조(130)의 수용 공간(132)에 동시에 통과시키는 점에서, 단일의 피도금재(F)를 도금조(20)의 수용 공간(22)에 왕복 통과시키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와 차이점을 갖는다.In the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and the second plated material F 2 , which are separately supplied and recovered from each other,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132 of the plating bath 130 . ), it has a difference from the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which a single material to be plated F is reciprocally passed through the receiving space 22 of the plating bath 20 .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는, 제1 피도금재(F1)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1 공급 유닛(110), 제2 피도금재(F2)를 연속적으로 공급하는 제2 공급 유닛(120),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설치되는 복수의 도금조(130), 제1 피도금재(F1)를 각각의 도금조(130)의 수용 공간(132)을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제1 이송 유닛(140), 제2 피도금재(F2)를 각각의 도금조(130)의 수용 공간(132)을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제2 이송 유닛(150), 도금이 완료된 제1 피도금재(F1)를 회수하는 제1 회수 유닛(160), 및 도금이 완료된 제2 피도금재(F2)를 회수하는 제2 회수 유닛(170)을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9 , in the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first supply unit 110 for continuously supplying a first material to be plated F 1 , and a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 2 . of the second feed unit 120, a plurality of the plating, which is installed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long the forward processing direction of tank 130, the first to-be-coated member (F 1) for each of the plating vessel 130 is continuously supplied to the The first transfer unit 140 for transferring the accommodating space 132 an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 the second transfer unit for transferring the second transfer unit 140 to pass through the accommodating space 132 of each plating bath 130 . (150), a first recovery unit 160 for recovering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on which plating is completed, and a second recovery unit 170 for recovering the second plated material F 2 on which the plating is completed. includes

먼저, 제1 공급 유닛(110) 및 제2 공급 유닛(120)은 각각, 롤 상태로 권취된 제1 피도금재(F1)와 제2 피도금재(F2)를 권출하여 연속적으로 공급한다. 또한, 제1 공급 유닛(110) 및 제2 공급 유닛(120)은 각각, 도금조(130)들 중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130)의 제1 입구(133a) 및 제2 입구(134a)와 대응하도록 설치된다.First, the first supply unit 110 and the second supply unit 120 are continuously supplied by unwinding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and the second plated material F 2 wound in a roll state, respectively. do. In addition, the first supply unit 110 and the second supply unit 120 are, respectively, a first inlet 133a and a second inlet 134a of the plating bath 130 disposed at the most upstream among the plating baths 130 . installed to correspond to

다음으로, 도금조(130)는, 입구들(133a)(134a)과 출구들(133b)(134b)의 형성 위치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의 도금조(20)와 다르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입구(133a)와 제2 입구(134a)는 케이스(131)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제1 출구(133b)와 제2 출구(134b)는 케이스(131)의 일측면과 대면하는 케이스(131)의 타측면에 형성된다.Next, the plating bath 130 is different from the plating bath 20 of the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the formation positions of the inlets 133a, 134a and the outlets 133b and 134b. .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9 , the first inlet 133a and the second inlet 134a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31 , and the first outlet 133b and the second outlet 134b are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131 .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case 131 facing one side of the case 131 .

또한, 도금조(13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피도금재(F1)와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제1 양극판(135), 및 제2 피도금재(F2)와 대면하도록 설치되는 제2 양극판(136)을 포함한다. 제1 양극판(135)과 제2 양극판(136)은 그 사이 공간에 제1 피도금재(F1)와 제2 피도금재(F2) 사이에 위치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 9 , the plating tank 130 faces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135 installed to face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F 1 , and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 2 . and a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136 installed to do so.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135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136 are preferably installed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and the second plated material F 2 in the space therebetween.

다음으로, 제1 이송 유닛(140)은, 제1 피도금재(F1)를 각각의 도금조(130)의 수용 공간(132)을 일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이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이송 유닛(140)은, 제1 피도금재(F1)를 각각의 도금조(130)의 제1 입구(133a)로 유입된 후 각각의 도금조(130)의 제1 출구(133b)로부터 배출되어 각각의 도금조(130)의 수용 공간(132)을 일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이송한다. Next, the first transfer unit 140 transfers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F 1 to pass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132 of each plating bath 130 in one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first transfer unit 140 introduces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F 1 into the first inlet 133a of each plating bath 130, 1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133b and transported to pas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132 of each plating bath 130 in one direction.

이를 위하여, 제1 이송 유닛(14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공급 유닛(110)과 도금조(130)들 중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130)의 제1 입구(133a) 사이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130)들의 제1 출구(133b)와 제1 입구(133a) 사이와, 도금조(130)들 중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130)의 제1 출구(133b)와 제1 회수 유닛(16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제1 피도금재(F1)를 이송함과 동시에 제1 피도금재(F1)에 음전위를 인가하는 복수의 제1 통전롤(142)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first transfer unit 140 is, as shown in FIG. 9 , the first inlet 133a of the plating bath 130 disposed at the uppermost one among the first supply unit 110 and the plating bath 130 . ), between the first outlet 133b and the first inlet 133a of the pair of plating baths 13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lating bath 130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of the plating baths 130 . ) for applying a negative potential to the first outlet (133b) of the first collecting unit 160 is respectively installed between, the first to-be-coated member (F 1) feed, and at the same time first to-be-coated member (F 1) the A plurality of first energizing rolls 142 may be included.

다음으로, 제2 이송 유닛(150)은, 제2 피도금재(F2)를 각각의 도금조(130)의 수용 공간(132)을 일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이송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이송 유닛(150)은, 제2 피도금재(F2)를 각각의 도금조(130)의 제2 입구(134a)로 유입된 후 각각의 도금조(130)의 제2 출구(134b)로부터 배출되어 각각의 도금조(130)의 수용 공간(132)을 일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이송한다.Next, the second transfer unit 150 transfers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to pass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132 of each plating bath 130 in one direction.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transfer unit 150 introduces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into the second inlet 134a of each plating bath 130 and then enters the second plated material F 2 of each plating bath 130 . 2 It is discharged from the outlet 134b and transported to pas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132 of each plating bath 130 in one direction.

이를 위하여, 제2 이송 유닛(15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급 유닛(110)과 도금조(130)들 중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130)의 제2 입구(134a) 사이와,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130)들의 제2 출구(134b)와 제2 입구(134a) 사이와, 도금조(130)들 중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130)의 제2 출구(134b)와 제2 회수 유닛(170) 사이에 각각 설치되어, 제2 피도금재(F2)를 이송함과 동시에 제2 피도금재(F2)에 음전위를 인가하는 복수의 제2 통전롤(152)을 포함할 수 있다.To this end, the second transfer unit 150 is, as shown in FIG. 9 , the second inlet 134a of the plating bath 130 disposed at the most upstream among the second supply unit 110 and the plating bath 130 . ), between the second outlet 134b and the second inlet 134a of the pair of plating baths 130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and the plating bath 130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of the plating baths 130 . ) the second outlet (134b) and the second is respectively provided between the collecting unit 170, an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for applying a negative potential to the transfer, and at the same time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 2) of the A plurality of second energizing rolls 152 may be included.

다음으로, 제1 회수 유닛(160) 및 제2 회수 유닛(170)은 각각, 도금이 완료된 제1 피도금재(F1)와 제2 피도금재(F2)를 롤 상태로 권취하여 연속적으로 회수한다. 제1 회수 유닛(160) 및 제2 회수 유닛(170)은 각각, 도금조(130)들 중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130)의 제1 출구(133b) 및 제2 출구(134b)와 대응하도록 설치된다.Next, the first recovery unit 160 and the second recovery unit 170 continuously wind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and the second plated material F 2 , which have been plated, in a roll state, respectively. return to The first recovery unit 160 and the second recovery unit 170 have a first outlet 133b and a second outlet 134b of the plating tank 130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among the plating tanks 130, respectively. installed to respond.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는, 서로 개별적으로 공급 및 회수되는 제1 피도금재(F1)와 제2 피도금재(F2)를 각각의 도금조(130)의 수용 공간(132)을 동시에 통과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도금 장치는, 서로 다른 2개의 피도금재(F1)(F2)에 대하여 동시에 도금을 진행할 수 있으므로, 단일의 피도금재에 대하여만 도금을 진행할 수 있는 종래의 도금 장치에 비하여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In the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plated material F 1 and the second plated material F 2 , respectively supplied and recovered from each other, are accommodated in the receiving space of each plating bath 130 . (132) can pass simultaneously. Accordingly, in the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since plating can be performed simultaneously on two different materials to be plated (F 1 ) (F 2 ), plating is performed only on a single material to be plated. It is possible to improve the productivity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plating apparatus that can.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In the above, 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embodiment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will be described below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y thos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of the claims.

10 : 공급 유닛 20 : 도금조
21 : 케이스 22 : 수용 공간
23a : 제1 입구 23b : 제1 출구
24a : 제2 입구 24b : 제2 출구
25 : 제1 양극판 26 : 제2 양극판
27 : 차폐 부재 28 : 차단롤
29 : 연결 부재 30 : 이송 유닛
32 : 통전롤 34 : 방향 전환롤
40 : 회수 유닛 F : 피도금재
F1 : 제1 피도금재 F2 : 제2 피도금재
10: supply unit 20: plating tank
21: case 22: accommodation space
23a: first inlet 23b: first outlet
24a: second inlet 24b: second outlet
25: first positive plate 26: second positive plate
27: shielding member 28: blocking roll
29: connecting member 30: transfer unit
32: energized roll 34: direction change roll
40: recovery unit F: material to be plated
F 1 : First material to be plated F 2 : Material to be second to be plated

Claims (17)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내부에 마련되며, 도금액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
제1 피도금재가 상기 도금액에 침지된 상태로 상기 수용 공간을 일방향 또는 상기 일방향과 대향되는 타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각각 형성되는 제1 입구와 제1 출구;
제2 피도금재가 상기 도금액에 침지된 상태로 상기 수용 공간을 상기 일방향과 상기 타방향 중 어느 한쪽 방향으로 통과하도록 상기 케이스에 각각 형성되는 제2 입구와 제2 출구;
상기 제1 피도금재와 대면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제1 양극판; 및
상기 제2 피도금재와 대면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제2 양극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피도금재와 상기 제2 피도금재는 각각 상기 제1 양극판과 상기 제2 양극판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피도금재는 상기 제2 피도금재에 연결되어 상기 제2 피도금재와 다른 방향으로 진행하는 도금조.
case;
an accommodating space provided inside the case and accommodating the plating solution;
a first inlet and a first outlet respectively formed in the case so that the first plated material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in one direction or the other direction opposite to the one direction while being immersed in the plating solution;
a second inlet and a second outlet respectively formed in the case such that a second to-be-plated material passe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in either one of the one direction and the other direction while being immersed in the plating solution;
a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to face the first plated material; and
and a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installed in the accommodating space to face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and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are respectively locat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A plating bath in which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is connected to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and proceeds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at of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도금재와 상기 제2 피도금재는 각각 상기 제1 양극판과 상기 제2 양극판의 사이 공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조.
According to claim 1,
The plating bath, characterized in that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and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are respectively positioned in a space between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극판과 상기 제2 양극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격자 형태의 그물망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조.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is a plating bath,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esh structure in the form of a gr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극판과 상기 제2 양극판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조.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of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is a plating bath,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도금재와 상기 제2 피도금재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수용 공간에 설치되는 차폐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조.
According to claim 1,
and a shielding member install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to be positioned between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and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관통 형성된 다수의 관통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hielding member, plating bath, characterized in that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through-holes formed therethrough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상기 제1 피도금재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제1 피도금재의 일측 단부와 대면하는 상기 제2 피도금재의 일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1 차폐 부재; 및
상기 제1 피도금재의 타측 단부 및 상기 제1 피도금재의 타측 단부와 대면하는 상기 제2 피도금재의 타측 단부 사이에 설치되는 제2 차폐 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hielding member is
a first shielding member installed between one end of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and one end of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facing the one end of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and
and a second shielding member provided between the other end of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and the other end of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acing the other end of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 부재는, 격자 형태의 그물망 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조.
6. The method of claim 5,
The shielding member is a plating bath,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mesh structure in the form of a gri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양극판과 상기 제2 양극판이 서로 동일한 전위를 갖도록 상기 제1 양극판과 상기 제2 양극판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연결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조.
According to claim 1,
and a connecting member electrically connecting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so that the first positive electrode plate and the second positive electrode plate have the same potential.
청구항 제1항 내지 청구항 제9항 중 어느 한 항의 도금조; 및
상기 제1 피도금재를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1 출구를 통해 상기 도금조의 상기 수용 공간을 통과하도록 이송하고, 상기 제2 피도금재를 상기 제2 입구와 상기 제2 출구를 통해 상기 도금조의 상기 수용 공간을 통과하도록 이송하는 이송 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장치.
The plating bath of any one of claims 1 to 9; and
transporting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to pas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of the plating tank through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and transferring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through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outlet and a conveying unit conveying to pass through the receiving space of the bath.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1 피도금재와 상기 제2 피도금재에 각각 음전위를 인가함과 동시에 상기 제1 피도금재와 상기 제2 피도금재를 각각 이송하는 복수의 통전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nveying unit includes a plurality of current-carrying rolls that respectively apply negative potentials to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s to be plated and simultaneously convey the first and second materials to be plated. Pla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10항에 있어서,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에 공급하는 공급 유닛; 및
상기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로부터 회수하는 회수 유닛을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피도금재는,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1 출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을 통과하는 상기 피도금재의 어느 일부분이고,
상기 제2 피도금재는,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출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을 통과한 후, 상기 제2 입구와 상기 제2 출구를 통해 상기 수용 공간을 재통과하는 상기 피도금재의 다른 일부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 supply unit for supplying a material to be plated to the plating tank; and
a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material to be plated from the plating bath;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is any part of the material to be plated that passes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first inlet and the first outlet,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is another portion of the material to be plated that passes through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outlet, and then re-passes the accommodation space through the second inlet and the second outlet. Pla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는, 미리 정해진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고,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출구는 각각, 상기 도금조의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입구는 각각, 상기 도금조의 케이스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들 중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1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들 중 어느 도금조의 제1 출구로부터 배출된 피도금재를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다른 도금조의 제1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도금조들 중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1 출구로부터 배출된 피도금재를 상기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2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들 중 어느 도금조의 제2 출구로부터 배출된 피도금재를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다른 도금조의 제2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2 출구로부터 배출된 피도금재를 상기 회수 유닛으로 회수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 plurality of the plating baths are provided along a predetermined process progress direction,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of the plating bath,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inlet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case of the plating bath,
The transfer unit introduces the material to be plated,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into a first inlet of a plating tank disposed at the most upstream among the plating tanks, or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 plating tank from among a pair of plating tank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1 The material to be plated discharged from the outlet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of another plating bath along the process progress direction, or the material to be plated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of the plating bath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among the plating baths is transferred to the most downstream. The material to be plated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of the plating bath disposed in The plating apparatus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plated material introduced or discharged from the second outlet of the plating tank disposed at the uppermost stream is recovered to the recovery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는, 미리 정해진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출구는 각각, 상기 도금조의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입구는 각각, 상기 도금조의 케이스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들 중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1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각각의 도금조의 제1 출구로부터 배출된 피도금재를 상기 각각의 도금조의 제2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들 중 어느 도금조의 제2 출구로부터 배출된 피도금재를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다른 도금조의 제1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도금조들 중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2 출구로부터 배출된 피도금재를 상기 회수 유닛으로 회수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A plurality of the plating baths are provided along a predetermined process progress direction,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of the plating bath,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inlet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case of the plating bath,
The transfer unit introduces the material to be plated, supplied from the supply unit, into a first inlet of a plating bath disposed at the most upstream among the plating baths, or transfers the material to be plated, discharged from a first outlet of each plating bath, to the respective of the plating bath of the second inlet, or the material to be plated discharged from the second outlet of any one of a pair of plating baths arranged adjacent to each other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of another plating bath along the process progress direction. or, the plating apparatus is installed to recover the material to be plated discharged from the second outlet of the plating bath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among the plating baths to the recovery unit.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피도금재의 이송 방향을 전환하는 방향 전환롤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장치.
13. The method of claim 12,
The conveying unit comprises a direction changing roll for changing the conveying direction of the material to be plated.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에 공급하는 제1 공급 유닛;
상기 제1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로부터 회수하는 제1 회수 유닛;
상기 제2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에 공급하는 제2 공급 유닛; 및
상기 제2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로부터 회수하는 제2 회수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 first supply unit supplying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to the plating tank;
a first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first material to be plated from the plating tank;
a second supply unit supplying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to the plating tank; and
and a second recovery unit for recovering the second material to be plated from the plating tank.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도금조는, 미리 정해진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마련되며,
상기 제1 입구와 상기 제2 입구는 각각, 상기 도금조의 케이스의 일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제1 출구와 상기 제2 출구는 각각, 상기 도금조의 케이스의 일측면과 대향되는 타측면에 형성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1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제1 피도금재를 상기 도금조들 중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1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들 중 어느 도금조의 제1 출구로부터 배출된 제1 피도금재를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다른 도금조의 제1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도금조들 중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1 출구로부터 배출된 제1 피도금재를 상기 제1 회수 유닛으로 회수시키도록 설치되고,
상기 이송 유닛은, 상기 제2 공급 유닛으로부터 공급된 제2 피도금재를 상기 최상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2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서로 인접하게 배치된 한 쌍의 도금조들 중 어느 도금조의 제2 출구로부터 배출된 제2 피도금재를 공정 진행 방향을 따라 다른 도금조의 제2 입구로 유입시키거나, 상기 최하류에 배치된 도금조의 제2 출구로부터 배출된 제2 피도금재를 상기 제2 회수 유닛으로 회수시키도록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도금 장치.
17. The method of claim 16,
A plurality of the plating baths are provided along a predetermined process progress direction,
The first inlet and the second inlet are respectively formed on one side of the case of the plating bath,
The first outlet and the second outlet are respectively formed on the other side opposite to one side of the case of the plating bath,
The transfer unit may be configured to introduce a first to-be-plated material supplied from the first supply unit into a first inlet of a plating tank disposed at the most upstream among the plating tanks, or from among a pair of plating tank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The first to-be-plat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of one plating tank is introduced into the first inlet of another plating tank along the process progress direction, or the first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first outlet of the plating tank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among the plating tanks 1 is installed to recover the material to be plated to the first recovery unit,
The transfer unit introduces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supplied from the second supply unit into a second inlet of the plating tank disposed at the uppermost stream, or may be configured to select a plating tank from among a pair of plating tanks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2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outlet is introduced into the second inlet of another plating bath along the process progress direction, or the second to-be-plated material discharged from the second outlet of the plating bath disposed at the most downstream is transferred to the second A plating apparatu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installed so as to be recovered to a recovery unit.
KR1020150034609A 2015-03-12 2015-03-12 Plating bath and plating device having the same KR102350044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609A KR102350044B1 (en) 2015-03-12 2015-03-12 Plating bath and plating device hav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34609A KR102350044B1 (en) 2015-03-12 2015-03-12 Plating bath and plating device having the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701A KR20160109701A (en) 2016-09-21
KR102350044B1 true KR102350044B1 (en) 2022-01-10

Family

ID=57079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34609A KR102350044B1 (en) 2015-03-12 2015-03-12 Plating bath and plating device having the sam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50044B1 (en)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6607B1 (en) * 2017-07-06 2019-10-28 김혜연 Electroplating method of nonconductive objects and ornaments produced thereby
KR102274531B1 (en) * 2020-09-08 2021-07-07 주식회사 아젠컴 Apparatus and method for electrolytic plating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9594A (en) * 1991-08-05 1993-02-19 Aichi Steel Works Ltd Plating device
JPH07173673A (en) * 1993-12-21 1995-07-11 Nkk Corp Production of tin electroplated steel sheet
KR20090049953A (en) * 2007-11-14 2009-05-19 삼성전기주식회사 Plating apparatus
KR101004116B1 (en) * 2008-03-25 2010-12-27 주식회사 서남 Apparatus for electro plating of coated conductor
KR20140094061A (en) * 2013-01-16 2014-07-30 주식회사 잉크테크 Continuous plating apparatus and continuous plating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09701A (en) 2016-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574434B (en) Method and conveyorized system for electrolytically processing work pieces
RU2420616C2 (en) Device and procedure for electro-plating
US20130081939A1 (en) Serial plating system
TWI586848B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lytically depositing a deposition metal on a workpiece
KR2011003040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lectroplating substrates
KR102350044B1 (en) Plating bath and plating device having the same
TWI513859B (en) Electroplating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CN110062822B (en) Electroplating method for metal zipper and electroplating device for metal zipper
TWI716130B (en) Electroplating device
US20080257752A1 (en) Device and Method for Electrolytically Treating Flat Work Pieces
JP2009024242A (en) Plating device for metal pipe, and plating method for metal pipe
JP2010236037A (en) Plating method of copper foil and plating apparatus therefor
JP3154267U (en) Plated material holder
US20170298530A1 (en) Electroplating anode assembly
DE19633796B4 (en) Device for electroplating electronic circuit boards
CA2156644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inuous galvanic or chemical application of metallic layers on a body
JP6115309B2 (en) Chemical processing equipment
CN110938861B (en) Tin stripping equipment
US20170298529A1 (en) Electroplating system
TWI605158B (en) Galvanic plating device of a horizontal galvanic plating processing line for galvanic metal deposition
WO2013117269A1 (en) Multi-wire plating line at various levels
JP2011153335A (en) Plating method and electroplating apparatus
KR102406772B1 (en) Roll-to-roll electroplating equipment with plating peeling function for clamp
KR100748792B1 (en) Apparatus for perpendicular type metal coating and method thereof
CN220952133U (en) Electroplating equi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