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190B1 - 아필리모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아필리모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190B1
KR102320190B1 KR1020167022474A KR20167022474A KR102320190B1 KR 102320190 B1 KR102320190 B1 KR 102320190B1 KR 1020167022474 A KR1020167022474 A KR 1020167022474A KR 20167022474 A KR20167022474 A KR 20167022474A KR 102320190 B1 KR102320190 B1 KR 1023201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pilimod
composition
cell
cancer
huma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24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26984A (ko
Inventor
헨리 리히텐슈타인
조나단 엠. 로스버그
소피아 게일
닐 비해리
폴 베케트
션 란드레테
크리스 콘래드
매트 다이어
티안 수
Original Assignee
에이아이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이아이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에이아이 테라퓨틱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60126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26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1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1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5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at least one nitrogen and one oxygen as the ring hetero atoms, e.g. 1,2-oxazines
    • A61K31/53751,4-Oxazines, e.g. morpholine
    • A61K31/53771,4-Oxazines, e.g. morpholine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tim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0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 A61K31/40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e.g. sulpiride, succinimide, tolmetin, buflomedil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carbazole
    • A61K31/404Indoles, e.g. pindol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781,3-Diazoles not condensed 1,3-diazoles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e.g. pilocarpine, nitrofuranto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353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36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 systems the heterocyclic ring system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having oxygen as a ring hetero atom, e.g. rapamy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7Quinolines; Isoquinolines
    • A61K31/475Quinolines; Isoquinolines having an indole ring, e.g. yohimbine, reserpine, strychnine, vinblasti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06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not condensed and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56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 A61K31/57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 A61K31/573Compounds containing cyclopenta[a]hydrophenanthrene ring systems; Derivatives thereof, e.g. steroids substituted in position 17 beta by a chain of two carbon atoms, e.g. pregnane or progesterone substituted in position 21, e.g. cortisone, dexamethasone, prednisone or aldoster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6Phosphorus compounds
    • A61K31/675Phosphorus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pyridoxal phosphat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69Boron compoun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70Carbohydrates; 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31/7028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 A61K31/703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 A61K31/704Compounds having saccharide radicals attached to non-saccharide compounds by glycosidic linkages attached to a carbocyclic compound, e.g. phloridzin attached to a condensed carbocyclic ring system, e.g. sennosides, thiocolchicosides, escin, daunorubic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5/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active ingredi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61K45/06Mixtures of active ingredients without chemical characterisation, e.g. antiphlogistics and cardiac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43/00Drugs for specific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1P1/00-A61P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Antibodies Or Antigens For Use As Internal Diagnostic Agent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아필리모드를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 및 관련 조성물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아필리모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Apilimo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본 발명은 아필리모드를 포함하는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후에는 "아필리모드 (apilimod)"이지만, STA-5326로도 언급되는, 아필리모드는 IL-12 및 IL-23의 강력한 전사 억제제로 인식되고 있다. 예를 들어, 문헌 [Wada et al. Blood 109 (2007): 1156-1164]을 참고한다. IL-12 및 IL-23은 보통 항원성 자극에 대한 반응으로, B-세포 및 대식세포와 같은 면역세포에 의해 생산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이다. 만성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 장애 및 다른 장애는 부분적으로 이들 사이토카인의 부적절한 생산을 특징으로 한다. 최근에 면역세포에서 아필리모드에 의한 IL-12/IL-23 전사의 선택적 억제가 포스파티딜이노시톨-3-포스페이트 5-키나아제 (PIKfyve)에 대한 아필리모드의 직접적인 결합에 의해 매개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를 들어, 문헌 [Cai et al. Chemistry and Biol. 20 (2013): 912-921]을 참고한다. PIKfyve는 선천적 면역에 중요한 Toll-유사 수용체 시그널링에 역할을 한다.
IL-12/IL-23의 면역조절제 및 특이적 억제제로서 이의 활성에 근거하여, 아필리모드는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제안되어 왔다.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6,858,606호 및 제6,660,733호를 참고한다 (류마티스 관절염, 패혈증, 크론병, 다발성 경화증, 건선, 또는 인슐린 의존성 당뇨병과 같은IL-12 또는 IL-23 과생산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 및 장애를 치료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생각되는, 아필리모드를 비롯한 피리미딘 화합물의 패밀리를 기술함). 유사하게, 아필리모드는 c-Rel 또는 IL-12/23을 억제하는 이의 활성에 근거하여 특정 암, 특히 이들 사이토카인이 비정상적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여겨지는 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제안되었다. 예를 들어, 국제공개특허 WO2006/128129호 및 문헌 [Baird et al., Frontiers in Oncology 3:1 (2013, 각각)]을 참고한다.
아필리모드의 3개 임상 실험 각각은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에서 이의 잠재적 효능에 집중되어 왔다. 이 실험은 건선, 류마티스 관절염, 및 크론병을 갖는 환자에 대해 수행되었다. 건선 환자에서의 개방형 (open label) 임상 연구는 아필리모드의 경구 투여가 TH1- 및 TH17-매개 염증성 질환의 치료를 위해 IL-12/IL-23 합성의 억제를 지지하는 면역조절 활성을 나타내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Wada et al., PLosOne 7:e35069 (April 2012)]. 그러나 류마티스 관절염 및 크론병에서의 제어된 실험의 결과는 아필리모드에 의한 IL-12/IL-23 억제가 이들 징후의 어느 하나에서도 임상적 개선으로 해석된다는 개념을 지지하지 않았다. 류마티스 관절염 환자에서의 아필리모드의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제어된 II기 임상 실험에서, 아필리모드는 활액 (synovial)의 IL-12 및 IL-23 발현을 변경하지 못하였다 [Krauz et al., Arthritis & Rheumatism 64: 1750-1755 (2012)]. 이 저자는 "결과가 아필리모드에 의한 IL-12/IL-23 억제가 RA에서 확고한 임상적 개선을 유도할 수 있다는 개념을 지지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 유사하게, 활성 크론병의 치료를 위한 아필리모드의 무작위, 이중-맹검, 위약-제어된 실험은, 잘 용인된다고 하더라도, 아필리모드가 위약 이상의 효능을 입증하지 않았다는 결론을 내렸다 [Sands et al Inflamm Bowel Dis. 2010 Jul; 16(7): 1209-18].
라파마이신 (mTOR) 경로의 포유동물 표적은 세포 성장, 세포 증식, 대사, 단백질 합성 및 자가포식현상 (autophagy)을 포함하는, 다양한 생리학적 기능에 관여하는 중요한 세포성 시그널링 경로이다 (La Plante et al Cell 2012, (149 (2), pp. 274-293). mTOR은 아미노산, 스트레스, 산소, 에너지, 및 성장인자의 수준을 신호하는 세포 내 및 세포 외 단서를 통합하고 이들 환경적 단서에 대한 세포성 반응을 조절하는 키나아제이다. mTOR 탈조절 (deregulation)은 암, 비만, 당뇨 및 신경변성을 비롯한 광범위한 장애 및 질환에 관련되어 왔다. mTOR 경로의 특정 구성요소는 이들 질환의 일부를 치료하기 위한 약물 표적으로서 탐색되어 왔다. 그러나, 치료적 효능은, 예를 들어 일부 암의 치료로 제한되어 왔고, 일부 mTOR 억제제는 대사에 유해한 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절 경화 (tuberous sclerosis) 복합체 종양 저해 유전자인, TSC1 및 TSC2는 mTOR의 음성 조절자이다.
본 발명은 부분적으로 아필리모드가 TSC 무표지 세포 (null cells)에서 고도의 세포독성제라는 놀라운 발견에 근거한다. 이들 세포에서, mTOR 경로는 구성적으로 활성이다. mTOR 경로는 다수의 암에서 활성화되고, 아필리모드는 100종이 넘는 암 세포주의 추가의 스크리닝에서 다양한 암으로부터의 세포주에서 항-증식 활성을 나타내었다. 아필리모드 감수성 세포주 중에서, B-세포 림프종이 가장 감수성이다. 그러나, 예상치 못하게도, 아필리모드에 대한 B 세포 림프종의 차등적 감수성은 이들 세포에서 c-Rel 발현, IL-12 발현, 또는 IL-23 발현과 아무런 관련이 없었다. 초기 연구에서 아필리모드가 c-Rel 및/또는 IL-12/23 발현이 비정상적 세포 증식을 촉진하는데 결정적이었던 암에 대해 유용할 것임을 제안하였기 때문에 이는 놀라웠다. 그 대신에, 본 발명자들은 암세포에서 아필리모드의 세포독성 활성이 세포내 통행 (trafficking)의 억제 및 상응하는 세포자멸사의 증가에 기인하였음을 증명하였다. 이 활성은 그의 IL-12/23 생산 억제를 통한 아필리모드의 면역조절 활성에 근거하는 것으로 예측되지 않았다. 또한, 450종이 넘는 키나아제의 스크리닝은 PIKfyve를 인간 암 세포주에서 아필리모드에 대해 유일하게 고 친화성 결합 표적 (Kd=75 pM)으로 동정하였다. 본 발명은 아필리모드의 치료학적 용도, 특히 암의 치료, 구체적으로 B 세포 림프종 및 특히 표준 화학요법 레지멘 (regimen)에 내성이거나 난치성인 암의 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한다.
일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아필리모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포접 화합물, 수화물, 다형체, 전구약물,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아필리모드 조성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을 암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개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아필리모드 조성물은 아필리모드 유리 염기 또는 아필리모드 디메실레이트 (dimesylate)를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방법은 개체에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를 투여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는 치료제 또는 비-치료제일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는 아필리모드 조성물과 함께 단일 투약 형태로, 또는 아필리모드 조성물과는 별개의 투약 형태로 투여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는 알킬화제, 중격제 (intercalating agent), 튜불린 결합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는 이부르티닙, 리툭시맙, 독소루비신, 프레드니솔론, 빈크리스틴, 벨케이드, 및 에베롤리무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료제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는 사이클로포스파미드, 히드록시다우노루비신 (독소루비신 또는 Adriamycin™으로도 언급됨), 빈크리스틴 (Oncovin™으로도 언급됨),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료제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는 아필리모드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의 부작용을 개선하기 위해 선택되는 비-치료제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비-치료제는 온단세트론, 그라니세트론, 돌라세트론 및 팔로노세트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비-치료제는 핀돌롤 및 리스페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아필리모드 조성물의 투약 형태는 경구 투약 형태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아필리모드 조성물의 투약 형태는 정맥내 투여에 적합하다. 일 실시양태에서, 투약 형태가 정맥내 투여에 적합한 경우에 단일 주사 또는 드립 백 (drip bag)에 의해 투여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개체는 인간 암 환자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의 아필리모드 조성물을 이용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 암 환자는 그의 암이 표준 화학요법 레지멘에 난치성인 환자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아필리모드 조성물을 이용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인간 암 환자는 그의 암이 표준 화학요법 레지멘을 이용한 치료 후 재발되었던 환자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암은 림프종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암은 B 세포 림프종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B 세포 림프종은 비-호지킨 B 세포 림프종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비-호지킨 B 세포 림프종은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DLBCL), 버킷 림프종, 종격 B 세포 림프종, 외투 세포 림프종, 및 소포 림프종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비-호지킨 B 세포 림프종은 DLBCL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DLBCL은 GCB 아형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표준 화학요법 레지멘은 이부르티닙, 리툭시맙, 독소루비신, 프레드니솔론, 빈크리스틴, 벨케이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덱사메타손 및 에베롤리무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치료제를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표준 화학요법 레지멘은 CHOP (사이클로포스파미드, 히드록시다우노루비신, Oncovin™ (빈크리스틴), 및 프레드니손 또는 프레드니솔론), COOP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프로카르바진 염산염, 프레드니손), CVP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프레드니손), EPOCH (에토포시드, 프레드니손,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독소루비신 염산염), 하이퍼-CVAD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독소루비신 염산염, 덱사메타손), ICE (이포스파미드, 카르보플라틴, 에토포시드), R-CHOP (리툭시맙,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프로카르바진 염산염, 프레드니손, 및 R-CVP (리툭시맙,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프레드니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방법은 림프종의 치료를 위해 아필리모드 조성물과 화학요법 레지멘을 포함하는 조합 요법을 이용하여 림프종을 치료하는 방법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화학요법 레지멘은 CHOP 레지멘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요법 레지멘은 COOP, CVP, EPOCH, 하이퍼-CVAD, ICE, R-CHOP, 및 R-CVP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TSC 결핍 및/또는 mTOR 활성화와 연관된 암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아필리모드 조성물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아필리모드 조성물을 이용하여 TSC1- 또는 TSC2-결핍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아필리모드 조성물을 이용하여 mTOR 연관된 암을 치료하기 위한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mTOR 연관된 암은 결손, 기능 소실 돌연변이, 저 발현 또는 다른 TSC1 또는 TSC2 결핍과 연관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mTOR 연관된 암은 암세포에서 mTOR 경로의 활성화 (예를 들어, 구성적 활성화)를 초래하는 기능 획득 돌연변이와 연관된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개체의 TSC1, TSC2 및/또는 mTOR 상태에 근거하여 암을 갖는 개체가 아필리모드 조성물을 이용한 치료에 대한 후보자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추가로 포함하는 방법이 본원에서 제공된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양태에서, TSC1 또는 TSC2 결핍 (예를 들어, TSC1 또는 TSC2에서의 불활성화 돌연변이) 또는 구성적으로 활성인 mTOR 시그널링을 갖는 개체는 아필리모드 조성물을 이용한 치료에 대한 후보자이다.
도 1: TSC2 결핍 세포는 아필리모드에 대해 고 감수성이다 (IC50 = 20 nM).
도 2A: 아필리모드에 대한 암 세포주의 감수성 (500 nM 미만의 IC50을 갖는 세포주의 비율).
도 2B: NHL 세포주는 아필리모드에 특히 감수성이다 (500 nM 미만의 IC50을 갖는 세포주의 비율).
도 2C: 아필리모드의 세포독성 활성은 정상 세포에 비해 암세포에 대해 선택적이다. 정상적인 폐 섬유아세포는 10 μM과 같이 높은 농도에서 아필리모드-유도된 세포독성에 둔감성이다.
도 3: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SUDHL-4는 50 nM의 IC50을 나타내었다.
도 4: NHL 세포에서의 아필리모드의 세포독성 활성은 증가된 세포자멸사의 결과였다. 배양 배지에 아필리모드 첨가 48시간 후 아필리모드 처리된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세포에서의 세포자멸성 [캐스파제 (Caspase)-3/7, 가운데 막대] 및 괴사성 (bis-AAF-R110, 우측 막대) 마커를 나타내고; 좌측 막대는 생존력 마커 (GF-AFC)를 나타낸다.
도 5: 아필리모드는 용량-의존적 방식으로 자가포식현상 (autophagy)을 유도한다.
도 6: 최적화된 포획 조건하에서 0.1 M 농도로 CT-689를 적용하는 유의미한 포획된 적중 (captured hits)의 화산형 플롯.
도 7: 아필리모드는 PIKfyve에 고 친화력 (Kd = 75 pM)으로 결합한다.
도 8: 아필리모드 감수성 (세포주 #1-13) 및 둔감성 (세포주 #14-22) B 세포 림프종 세포주에서 REL CCLE 발현.
도 9: 아필리모드 감수성 (#1-23 세포주) 및 둔감성 (#24-75 세포주) 암 세포주에서 IL12A CCLE 발현.
도 10: 아필리모드 감수성 (#1-23 세포주) 및 둔감성 (#24-75 세포주) 암 세포주에서 IL12B CCLE 발현.
도 11: 아필리모드 감수성 (#1-23 세포주) 및 둔감성 (#24-75 세포주) 암 세포주에서 IL12RB1 CCLE 발현.
도 12: 아필리모드 감수성 (#1-23 세포주) 및 둔감성 (#24-75 세포주) 암 세포주에서 IL12RB2 CCLE 발현.
도 13: 아필리모드 감수성 (#1-23 세포주) 및 둔감성 (#24-75 세포주) 암 세포주에서 IL23R CCLE 발현.
도 14: 아필리모드 감수성 (#1-23 세포주) 및 둔감성 (#24-75 세포주) 암 세포주에서 IL23A CCLE 발현.
도 15: IL-23A 발현은 비-호지킨 B 세포 림프종에서 감수성의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예측자가 아니다. 아필리모드 감수성 NHB 세포주 (하부, 짙은 색) 및 둔감성 (상부, 밝은 색)을 나타낸다.
도 16: 아필리모드는 SU-DHL-6 DLBCL 이종이식 종양의 성장을 억제한다; 맨 윗줄이 비히클 식염수 (다이아몬드, 밝은 회색 실선) QD x5, 2일 휴식, QD x5 i.v.를 나타낸다; 0.5% 메틸셀룰로스 (삼각형, 짙은 회색 실선) QD x5, 2일 휴식, QD x5 p.o.; 아필리모드 디메실레이트 (사각형, 점선) 67.5 mg/kg (47 mg/kg 유리 염기) QD x5 i.v., 2일 휴식, QD x5; 아필리모드 유리 염기 (사각형, 밝은 회색 실선) 150 mg/kg QD x5, 2일 휴식, QD x5 p.o; 아필리모드 유리 염기 (십자가, 실선) 75 mg/kg BID x5, 2일 휴식, BID x5 p.o.
도 17: 생체 내에서 DLBCL 종양에 대한 이부르티닙과 조합된 아필리모드의 항종양 활성; 맨 윗줄이 비히클 (다이아몬드, 밝은 회식 실선) QD x5, 2일 휴식, QD x5 p.o. + i.v.을 나타낸다; 이부르티닙 (삼각형, 짙은 회식 실선) 10 mg/kg QD x12 i.v.; 아필리모드 유리 염기 (사각형, 점선) 75 mg/kg QD x5, 2일 휴식, QD x5 p.o.; 이부르티닙 (십자가, 짙은 실선) 20 mg/kg QD x12 i.v.; 아필리모드 유리 염기 75 mg/kg QD x5, 2일 휴식, QD x5 p.o. + 이부르티닙 10 mg/kg QD x12 i.v. (사각형, 밝은 회색 실선); 아필리모드 유리 염기 75 mg/kg QD x5, 2일 휴식, QD x5 p.o. + 이부르티닙 10 mg/kg QD x12 i.v. (원형, 중간 회색 실선).
도 18: 아필리모드 (10 nM)의 존재 및 부재에서 93종의 수동으로 관리된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SU-DHL-4 세포의 스크리닝은 아필리모드와 조합될 때 상승적 활성을 나타내는 약물로 이부르티닙을 동정하였다.
도 19: 아필리모드는 대표적인 암 세포주의 액포화를 유도한다. 좌측: 미처리 세포. 우측: 500 nM 아필리모드로 24시간 처리된 생세포.
본 발명은 이러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개체, 바람직하게는 인간 개체에서 암을 치료하기 위한 아필리모드의 사용에 관련된 조성물 및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림프구 및 비-림프구 기원 둘 모두의 암세포의 범위에 대한 아필리모드의 세포독성 활성의 놀라운 발견에 근거한 아필리모드의 신규한 용도에 관한 것으로, 이 활성은 아필리모드의 공지된 면역조절 및 IL-12/23 억제 활성과는 명백히 관련이 없거나, 또는 그로부터 예측 가능하지도 않다. 또한, 본 발명은 아필리모드 및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치료제를 이용한 조합 요법에 근거하는 암 치료에 대한 신규한 치료적 접근법을 제공한다. 본원에 기술된 조합 요법은, 예를 들어 항암제를 비롯한 다른 치료제와 조합되는 경우 상승적 효과를 제공하는 것으로 나타난 아필리모드의 독특한 세포독성 활성을 이용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아필리모드 조성물"은 아필리모드 그 자체 (유리 염기)를 포함하는 조성물을 지칭하거나, 또는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필리모드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포접 화합물, 수화물, 다형체, 전구약물,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아필리모드의 구조는 하기 화학식 I로 표시된다:
[화학식 I]
Figure 112016079841729-pct00001
아필리모드의 화학명은 2-[2-피리딘-2-일)-에톡시]-4-N'-(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노]-6-(모르폴린-4-일)-피리미딘 (IUPAC 명칭: (E)-4-(6-(2-(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닐)-2-(2-(피리딘-2-일)에톡시)피리딘-4-일)모르폴린)이고, CAS 번호는 541550-19-0이다.
아필리모드는, 예를 들어 미국특허 제7,923,557호, 및 제7,863,270호, 및 WO 2006/128129에 개시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예를 들어 아필리모드 조성물의 산성 및 염기성 기로부터 형성된 염이다. 예시적인 염에는,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설페이트, 시트레이트, 아세테이트, 옥살레이트, 염화물, 브롬화물, 요오드화물, 니트레이트, 바이설페이트, 포스페이트, 산성 포스페이트, 이소니코티네이트, 락테이트, 살리실레이트, 산성 시트레이트, 타르트레이트, 올리에이트, 타네이트, 판토테네이트, 비타르트레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석시네이트, 말리에이트, 베실레이트, 겐티시네이트, 푸마레이트, 글루코네이트, 글루카로네이트, 사카레이트, 포르메이트, 벤조에이트, 글루타메이트, 메탄설포네이트, 에탄설포네이트, 벤젠설포네이트, p-톨루엔설포네이트, 및 파모에이트 (예를 들어, 1,1'-메틸렌-비스-(2-히드록시-3-나프토에이트)) 염이 포함된다.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아필리모드의 염은 메탄설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또한 카르복실산 관능기와 같은 산성 관능기를 갖는 아필리모드 조성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무기 또는 유기 염으로부터 제조된 염을 지칭한다.
용어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은 또한 아미노 관능기와 같은 염기성 관능기를 갖는 아필리모드 조성물 및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무기 또는 유기 산으로부터 제조된 염을 지칭한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의 염은 문헌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P. Hemrich Stalil (Editor), Camille G. Wermuth (Editor), ISBN: 3-90639-026-8, August 2002]에 기술된 방법과 같은 통상적인 화학적 방법에 의해 모체 화합물로부터 합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염은 물 또는 유기 용매, 또는 이 둘의 혼합물 중에서 모체 화합물을 적합한 산과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의 하나의 염 형태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잘 알려진 방법에 의해 유리 염기 및 선택적으로 다른 염 형태로 전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리 염기는 염 용액을 아민 정지상을 함유하는 칼럼 (예를 들어, 스트라타 (Strata)-NH2 칼럼)을 통과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물 중의 염 용액은 염을 분해하고 유리 염기를 침전시켜 제거하기 위해 중탄산 나트륨으로 처리될 수 있다. 유리 염기는 그 후에 통상의 방법을 이용하여 다른 산과 조합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다형체"는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2-[2-피리딘-2-일)-에톡시]-4-N'-(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노]-6-(모르폴린-4-일)-피리미딘) 또는 이의 착체의 고체 결정 형태를 의미한다. 동일한 화합물의 상이한 다형체는 상이한 물리적, 화학적 및/또는 분광학적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상이한 물리적 특성에는,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안정성 (예를 들어, 열 또는 광에 대한), 압축성 및 밀도 (제형화 및 제품 생산에 중요함), 및 용해율 (생체이용률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포함된다. 안정성의 차이는 화학적 반응성 (예를 들어, 다른 하나의 다형체로 이루어지는 경우보다 하나의 다형체로 이루어지는 경우에 더욱 신속하게 변색되는 투약 형태와 같은 차등적 산화) 또는 기계적 특성 (예를 들어, 동역학적으로 유리한 다형체가 열역학적으로 더욱 안정한 다형체로 전환되는 바와 같은 저장 시 정제 크럼블) 또는 둘 모두 (예를 들어, 하나의 다형체의 정제는 높은 습도에서 더 분해되기 쉬움)에서의 변화에서 비롯된다. 다형체의 상이한 물리적 특성은 이들의 가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다형체는 용매화물의 형성이 더 용이할 수 있거나 또는, 예를 들어 입자 자체의 모양 또는 크기 분포로 인해 다른 것보다 불순물의 여과 또는 세척 제거가 더 어려울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수화물"은 비-공유 분자간 힘에 의해 결합된 물의 화학량론적 또는 비-화학량론적 양을 추가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2-[2-피리딘-2-일)-에톡시]-4-N'-(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노]-6-(모르폴린-4-일)-피리미딘) 또는 이의 염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포접 화합물 (clathrate)"은 게스트 분자 (예를 들어, 용매 또는 물)가 그 안에 포획되는 공간 (예를 들어, 채널)을 함유하는 결정 격자의 형태인 본 발명의 화합물 (예를 들어, 2-[2-피리딘-2-일)-에톡시]-4-N'-(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노]-6-(모르폴린-4-일)-피리미딘) 또는 이의 염을 의미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전구약물"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제공하기 위해 가수분해하고, 산화하고, 또는 다르게는 생물학적 조건 (시험관 내 또는 생체 내)에서 반응할 수 있는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예를 들어, 2-[2-피리딘-2-일)-에톡시]-4-N'-(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노]-6-(모르폴린-4-일)-피리미딘)의 유도체를 의미한다. 전구약물은 생물학적 조건에서 이러한 반응 시에만 단지 활성일 수 있거나, 또는 이들은 이들의 미반응 형태로 활성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서 고려되는 전구약물의 예시에는,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생가수분해성 (biohydrolyzable) 아마이드, 생가수분해성 에스테르, 생가수분해성 카바메이트, 생가수분해성 카보네이트, 생가수분해성 우레이드, 및 생가수분해성 포스페이트 유사체와 같은 생가수분해성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 (예를 들어, 2-[2-피리딘-2-일)-에톡시]-4-N'-(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노]-6-(모르폴린-4-일)-피리미딘)의 유사체 또는 유도체가 포함된다. 전구약물의 다른 예시에는 -NO, -NO2, -ONO, 또는 -ONO2 모이어티를 포함하는 본원에 기술된 화학식의 임의의 하나의 화합물의 유도체를 포함한다. 전구약물은 전형적으로 문헌 [Burger's Medicinal Chemistry and Drug Discovery (1995) 172-178, 949-982 (Manfred E. Wolff ed., 5th ed)]에 기술된 것과 같은, 잘 알려진 방법을 이용하여 제조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용매화물"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용매화물"은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의 하나 (예를 들어, 2-[2-피리딘-2-일)-에톡시]-4-N'-(3-메틸-벤질리덴)-히드라지노]-6-(모르폴린-4-일)-피리미딘)에 대한 하나 이상의 용매 분자의 연합으로부터 형성된 용매화물이다. 용어 용매화물에는 수화물 (예를 들어, 반-수화물, 모노-수화물, 이수화물, 삼수화물, 사수화물 등)이 포함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유사체 (analog)"는 서로 구조적으로 유사하지만 조성에서는 약간 다른 (한 원자의 다른 원소의 원자로의 대체 또는 특정 관능기의 존재, 또는 한 관능기의 다른 관능기로의 대체에서와 같음) 화학적 화합물을 지칭한다. 따라서, 유사체는 기능 및 외관 상으로는 유사 또는 상응하지만 참조 화합물과는 구조 또는 기원에서 다른 화합물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유도체"는 공통의 핵심 구조를 갖고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다양한 기로 치환된 화합물을 지칭한다.
치료 방법
본 발명은 아필리모드,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 용매화물, 포접 화합물, 수화물, 다형체, 전구약물, 유사체 또는 유도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치료학적 유효량의 아필리모드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아필리모드 조성물은 아필리모드 유리 염기 또는 아필리모드 디메실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암의 치료에 유용한 약물의 제조를 위한 아필리모드 조성물의 용도를 추가로 제공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암은 뇌암, 신경교종, 육종, 유방암, 폐암, 비-소세포 폐암, 중피종, 충수암, 비뇨생식기암, 콩팥세포암종, 전립샘암, 방광암, 고환암, 음경암, 자궁경부암, 난소암, 폰히펠-린다우병 (von Hippel Lindau disease), 두경부암, 위장관암, 간세포암종, 담낭암, 식도암, 위암, 대장암, 췌장암, 신경내분비암, 갑상선 종양, 뇌하수체 종양, 부신 종양, 혈액암, 또는 백혈병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암은 림프종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림프종은 B 세포 림프종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B 세포 림프종은 호지킨 B 세포 림프종 및 비-호지킨 B 세포 림프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B 세포 림프종은 DLBCL, 소포 림프종, 변연부 림프종 (MZL) 또는 점막 연관 림프 조직 림프종 (MALT), 소세포 림프구 림프종 (만성 림프구 백혈병과 중복됨) 및 외투 세포 림프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호지킨 B 세포 림프종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B 세포 림프종은 버킷 림프종, 버킷 림프종, 일차 종격 (가슴샘) 거대 B-세포 림프종, 발덴스트룀 마크로글로불린혈증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으로 나타날 수 있는, 림프형질세포 림프종, 결절 변연부 B 세포 림프종 (NMZL), 지라 변연부 림프종 (SMZL), 혈관내 거대 B-세포 림프종, 일차 삼출 림프종, 림프종모양육아종증, T 세포/조직구-풍부 거대 B-세포 림프종, 일차 중추신경계 림프종, 일차 피부 확산 거대 B-세포 림프종, leg 유형 (일차 피부 DLBCL, leg 유형), 노인층의 EBV 양성 확산 거대 B-세포 림프종, 염증과 연관된 확산 거대 B-세포 림프종, 혈관내 거대 B-세포 림프종, ALK-양성 거대 B-세포 림프종, 및 형질모세포 림프종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비-호지킨 B 세포 림프종이다.
조합 요법
본 발명은 또한 조합 요법을 포함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조합 요법" 또는 "동시-요법"은 아필리모드 조성물과 부가적인 활성제의 동시-작용으로부터 유익한 효과를 제공하도록 의도되는 특정 치료 레지멘의 일부로서, 치료학적 유효량의 아필리모드 조성물과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의 투여를 포함한다. "조합 요법"은 의도되거나 예측되지 않았던 유익한 효과를 부수적이고 임의로 초래하는 별도의 단일요법 레지맨의 일부로서 둘 이상의 치료적 화합물의 투여를 포함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일 실시양태에서, 본 방법은 아필리모드 조성물 및 암의 치료를 위한 화학요법 레지멘을 포함하는 조합 요법을 이용하여 암을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화학요법 레지멘은 CHOP 레지멘이다. CHOP는 다음의 활성제로 이루어진 비-호지킨 림프종의 치료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레지멘을 지칭한다: DNA에 결합하여 교차결합의 형성을 야기함으로써 DNA를 손상시키는 알킬화제인 (C) 사이클로포스파미드; DNA 염기들 사이에 스스로 삽입되어 DNA를 손상시키는 중격제인, (H) 히드록시다우노루비신 (독소루비신 또는 Adriamycin으로도 불림); 단백질 튜불린에의 결합에 의해 세포가 복제하는 것을 방지하는, (O) Oncovin (빈크리스틴);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인, (P) 프레드니손 또는 (P) 프레드니솔론. 다른 실시양태에서, 화학요법 레지멘은 COOP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프로카르바진 염산염, 프레드니손), CVP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프레드니손), EPOCH (에토포시드, 프레드니손,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독소루비신 염산염), 하이퍼-CVAD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독소루비신 염산염, 덱사메타손), ICE (이포스파미드, 카르보플라틴, 에토포시드), R-CHOP (리툭시맙,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프로카르바진 염산염, 프레드니손, 및 R-CVP (리툭시맙,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프레드니손)으로부터 선택된다.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는 치료제, 예를 들어 항암제 또는 암 화학요법제, 또는 비-치료제, 및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치료제와 관련하여, 조합의 유익한 효과는,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치료학적 활성 화합물의 조합으로부터 초래하는 약력학적 또는 약동학적 동시-작용을 포함한다. 비-치료제와 관련하여, 조합의 유익한 효과는 조합 시 치료학적 활성제와 연관된 독성, 부작용, 또는 유해 작용의 완화와 관련될 것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작용제 (agent)는 아필리모드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의 부작용을 완화시키는 비-치료제이고, 하나 이상의 부작용은 구역질, 구토, 두통, 현기증, 어지러움 (lightheadedness), 졸음 및 스트레스의 어느 하나로부터 선택된다. 이 실시양태의 일 측면에서, 비-치료제는 5-히드록시트립타민 수용체 또는 5-HT 수용체로도 알려진, 세로토닌 수용체의 길항제이다. 일 측면에서, 비-치료제는 5-HT3 또는 5-HT1a 수용체의 길항제이다. 일 측면에서, 비-치료제는 온단세트론, 그라니세트론, 돌라세트론 및 팔로노세트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다른 측면에서, 비-치료제는 핀돌롤 및 리스페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작용제는 치료제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제는 항암제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항암제는 이부르티닙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아필리모드 조성물은 단일 투약 형태 또는 별도 투약 형태로 이부르티닙과 함께 투여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투약 형태는 경구 투약 형태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투약 형태는 정맥내 투여에 적합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항암제는 림프종의 치료에 사용이 허가된 약물이다. 이러한 약물의 비-제한적인 예시에는 아비트렉세이트 (메토트렉세이트), 아드세트리스 (브렌툭시맙 베도틴), 암보콜린 (클로르암부칠), 암보클로린 (클로르아무칠), 아라논 (넬라라빈), 베세눔 (카르무스틴), 벨레오닥 (벨리노스탓), 벨리노스탓, 벤다무스틴 염산염, 벡사르 (토시투모맙 및 요오드 I 131 토시투모맙), BiCNU (카르무스틴), 벨레녹산 (블레오마이신), 블레오마이신, 보르테조밉, 브렌툭시맙 베도틴, 카르무브리스 (카르무스틴), 카르무스틴, 클로르암부칠, 클라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사이톡산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데니류킨 디프티톡스, 데포Cyt (리포좀 시트라빈), 독소루비신 염산염, 폴렉스 (메토트렉세이트), 폴로틴 (프랄라트렉세이트),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이부르티닙, 이델라리십, 임브루비카 (이브트루티닙), 인트론 A (재조합 인터페론 알파-2b), 이스토닥스 (로미뎁신), 레날리도미드, 류케란 (클로르암부칠), 린폴리진 (클로르암부칠), 리포좀 시트라빈, 메클로르에타민 염산염, 메토트렉세이트, 메토트렉세이트 LPF (메토트렉세이트), 메세이트 (메토트렉세이트), 메세이트-AQ (메토트렉세이트), 모조빌 (페릭사포르), 머스타르겐 (메클로르에타민 염산염), 넬라라빈, 네오사르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온탁 (데니플레우킨 디프티톡스), 페릭사포르, 프랄라트렉세이트, 프레드니손, 재조합 인터페론 알파-2b, 레블리미드 (레날리도미드), 리툭산 (리툭시맙), 리툭시맙, 로미뎁신, 토시투모맙 및 요오드 I 131 토시투모맙, 트레안다 (벤다무스틴 염산염), 벨반 (빈블라스틴 설페이트), 벨케이드 (보르테조밉), 벨사르 (빈블라신테 설페이트), 빈블라스틴 설페이트, 빈카사르 PFS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빈크리스틴 설페이트, 보리노스탓, 제발린 (이브리투모맙 트리욱세탄), 졸린자 (보리노스탓), 및 지델리그 (이델라리십)가 포함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항암제는 EZH2, 예를 들어 EPZ-6438의 억제제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항암제는 탁솔, 빈크리스틴, 독소루비신, 템시롤리무스, 카르보플라틴, 오파투무맙, 리툭시맙, 및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작용제는 B 세포 수용체 경로 억제제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B 세포 수용체 경로 억제제는 CD79A 억제제, CD79B 억제제, CD19 억제제, Lyn 억제제, Syk 억제제, PI3K 억제제, Blnk 억제제, PLCy 억제제, PKCP 억제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일부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작용제는 항체, B 세포 수용체 시그널링 억제제, PI3K 억제제, IAP 억제제, mTOR 억제제, 방사면역치료제, DNA 손상제, 프로테오좀 억제제, 히스톤 탈아세틸화제 억제제, 단백질 키나아제 억제제, 헤지호그 (hedgehog) 억제제, Hsp90 억제제, 텔로머라제 억제제, Jakl/2 억제제, 프로테아제 억제제, PKC 억제제, PARP 억제제,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작용제는 클로르암부칠, 이포스파미드, 독소루비신, 메살라진, 탈리도미드, 레날리도미드, 템시롤리무스, 에베롤리무스, 플루다라빈, 포스타마티닙,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오파투무맙, 리툭시맙, 덱사메타손, 프레드니손, CAL-101, 이브리투모맙, 토시투모맙, 보르테조밉, 펜토스타틴, 엔도스타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작용제는 단일클론 항체, 예를 들어, 알렘투주맙, 베바시주맙, 카투막소맙, 세툭시맙, 에드레콜로맙, 겜투주맙, 오파투무맙, 판티투무맙, 리툭시맙, 투라스투주맙, 에쿨리주맙, 에팔리주맙, 무로맙-CD3, 나탈리주맙, 아달리무맙, 아펠리모맙, 세르톨리주맙 페골, 골리무맙, 인플릭시맙, 바실릭시맙, 카나킨무맙, 다클리주맙, 메폴리주맙, 토실리주맙, 우스테키누맙, 이브리투모맙 티욱세탄, 토시투모맙, 아바고보맙, 아데카투무맙, 알렘투주맙, 항-CD30 단일클론 항체 Xmab2513, 항-MET 단일클론 항체 MetMab, 아폴리주맙, 아포맙, 아르시투모맙, 바실릭시맙, 이중특이적 항체 2B1, 블리나투모맙, 브렌툭시맙 베도틴, 카프로맙 펜데티드, 식수투무맙, 클라우딕시맙, 코나투무맙, 다세투주맙, 데노수맙, 에쿨리주맙, 에프라투주맙, 에르투막소맙, 에타라시주맙, 피지투무맙, 프레솔리무맙, 갈릭시맙, 간티무맙, 겜투주맙 오조가미신, 글렘바투무맙, 이브리투모맙, 이노투주맙 오조가미신, 이필리무맙, 렉사투무맙, 린투주맙, 린투주맙, 루카투무맙, 마파투무맙, 마투주맙, 밀라투주맙, 단일클론 항체 CC49, 넥시투무맙, 니모투주맙, 오파투무맙, 오레고보맙, 퍼투주맙, 라마쿠리맙, 라니비주맙, 시플리주맙, 소네프시주맙, 타네주맙, 토시투모맙, 트라스투주맙, 트레멜리무맙, 투코투주맙 셀모류킨, 벨투주맙, 비실리주맙, 볼로식시맙, 및 잘루투무맙이다.
조합 요법의 문맥에서, 아필리모드 조성물의 투여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활성제의 투여와 동시이거나 또는 이와 연속적일 수 있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조합 요법의 상이한 성분의 투여는 상이한 빈도일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작용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 전에 (예를 들어, 5분, 15분, 30분, 45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8주, 또는 12주 전), 그와 동시에, 또는 그 후에 (예를 들어, 5분, 15분, 30분, 45분, 1시간, 2시간, 4시간, 6시간, 12시간, 24시간, 48시간, 72시간, 96시간, 1주, 2주, 3주, 4주, 5주, 6주, 8주, 또는 12주 후) 투여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활성제는 본원에 더 상세히 기술된 바와 같이, 단일 투약 형태로 아필리모드 조성물과의 동시-투여를 위해 제형화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활성제는 본 발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투약 형태와 별도로 투여될 수 있다. 부가적인 활성제가 아필리모드 조성물과 별도로 투여되는 경우, 이는 아필리모드 조성물과 동일하거나 상이한 투여 경로에 의해서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작용제와 함께 아필리모드 조성물의 투여는 치료되는 개체에 상승적 반응을 제공한다. 이 문맥에서, 용어 "상승적"은 어느 하나의 단일 요법 단독의 부가적인 효과보다 더 효과적인 조합의 효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합 요법의 상승적 효과는 조합을 제외하고는 그의 용량 및/또는 빈도에 비해 조합 내 적어도 하나의 작용제의 더 낮은 용량 및/또는 더 적은 빈도의 투여를 가능케 한다. 조합의 부가적인 유익한 효과는 조합 내 어느 한 요법의 단독 사용 (단일요법으로도 언급됨)과 연관된 유해하거나 원치 않는 부작용의 회피 또는 감소로 나타날 수 있다.
"조합 요법"은 또한 비-약물 요법 (예를 들어, 수술 또는 방사선 치료)과의 추가의 조합에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투여를 포함한다. 조합 요법이 비-약물 치료를 추가로 포함하는 경우, 비-약물 치료는 치료적 화합물과 비-약물 치료의 동시-작용으로부터의 유익한 효과가 달성되는 한 임의의 적당한 시점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합한 사례에서, 비-약물 치료가 아마도 수일 또는 심지어 수주 동안 치료적 화합물의 투여로부터 일시적으로 제거되는 경우에도 유익한 효과가 여전히 달성된다.
비-약물 치료는 화학요법, 방사선 요법, 호르몬 요법, 항-에스트로겐 요법, 유전자 요법, 및 수술로부터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약물 요법은 난소의 적출 (예를 들어, 신체 내 에스트로겐 수준의 감소를 위해), 가슴천자 (예를 들어, 흉부로부터 체액의 제거를 위해), 천자 (예를 들어, 복부로부터 체액의 제거를 위해), 혈관근지방종을 제거 또는 축소하기 위한 수술, 폐 이식 (및 선택적으로 이식으로 인한 감염을 예방하기 위한 항생제와 함께), 또는 산소 요법 [예를 들어, 두 콧구멍 내에 위치하는 2개의 작은 플라스틱 튜브 또는 뾰족한 기구 (prong)를 함유하는 비강 캐뉼라를 통해, 코와 입에 잘 맞는 얼굴 마스크를 통해, 또는 경기관 산소 요법으로도 불리는, 목의 정면을 통해 기관 내로 삽입되는 작은 튜브를 통해]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치료학적 유효량의 아필리모드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함으로써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mTOR-관련 질환, 장애, 및 병태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이러한 질환 및 장애에는, 예를 들어 mTOR가 탈조절된 암이 포함된다. mTOR 탈조절은 모든 암의 70%에 관련되어 왔다. 예를 들어, 문헌 [Menon et al Oncogene 27 (2009): S43-S51]을 참고한다. mTOR 탈조절의 성분을 갖는 특정 암에는 신경교종 (예를 들어, 다형성아교모세포종)과 같은 뇌암, 육종, 유방암, 폐암 (예를 들어, 비-소세포 폐암), 중피종, 충수암, 비뇨생식기암 (예를 들어, 콩팥세포암종, 전립샘, 방광, 고환, 음경, 자궁경부암, 난소암, 폰히펠-린다우병), 두경부암, 위장관 종양 (예를 들어, 간세포암종, 담낭암, 식도암, 위암, 대장암, 또는 췌장암), 신경내분비암 (NET), 갑상선 종양, 뇌하수체 종양, 부신 종양, 혈액암 (예를 들어, 비-호지킨 림프종, 외투 세포 림프종, 골수종, B-세포 림프종, 백혈병, 호지킨 림프종), 또는 본원에 기술된 하나 이상의 암의 전이 형태가 포함된다. 예를 들어, 문헌 [Laplante et al. Cell 149 (2012): 274-293]을 참고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문맥 내에서, 개체에 투여되는 아필리모드 조성물의 양은 치료학적 유효량이다. 용어 "치료학적 유효량"은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을 치료, 완화하고, 중증도를 감소시키고, 또는 기간을 단축하고, 또는 다른 요법의 치료 효과를 증강 또는 개선시키기에 충분하거나, 또는 개체에서 검출가능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기에 충분한 양을 치징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아필리모드 조성물의 치료학적 유효량은 PIKfyve 키나아제 활성을 억제하는데 효과적인 양이다.
아필리모드 조성물의 유효량은 약 0.001 mg/kg 내지 약 1000 mg/kg, 약 0.01 mg/kg 내지 약 100 mg/kg, 약 10 mg/kg 내지 약 250 mg/kg, 약 0.1 mg/kg 내지 약 15 mg/kg의 범위이거나; 또는 그 범위의 하한이 0.001 mg/kg과 900 mg/kg 사이의 임의의 양이고 그 범위의 상한이 0.1 mg/kg과 1000 mg/kg 사이의 임의의 양 (예를 들어, 0.005 mg/kg 및 200 mg/kg, 0.5 mg/kg 및 20 mg/kg)인 임의의 범위일 수 있다. 효과적인 용량은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치료되는 질환, 투여 경로, 부형제 용법, 및 다른 작용제의 사용과 같은 다른 치료적 처리와의 동시-용법의 가능성에 따라서 또한 달라질 것이다. 예를 들어, 본원에 참조로서 포함되는 미국특허 제7,863,270호를 참고한다.
더욱 특정한 측면에서, 아필리모드 조성물은 적어도 1주일 동안 (예를 들어, 1, 2, 3, 4, 5, 6, 7, 8, 9, 10, 11, 12, 36, 48주, 또는 그 이상) 30-1000 mg/일 (예를 들어, 30, 35, 40, 45, 50, 55, 60, 65, 70, 75, 80, 85, 90, 95, 100, 125, 150, 175, 200, 225, 250, 275, 또는 300 mg/일)의 투여량 레지멘으로 투여된다. 바람직하게는, 아필리모드 조성물은 4주 또는 16주 동안 100-1000 mg/일의 투여량 레지멘으로 투여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아필리모드 조성물은 8주, 또는 선택적으로 52주 동안 1일 2회 100 mg-300 mg의 투여량 레지멘으로 투여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아필리모드 조성물은 8주, 또는 선택적으로, 52주 동안 1일 2회 50 mg-1000 mg의 투여량 레지멘으로 투여된다.
아필리모드 조성물의 유효량은 매일 1회, 매일 2 내지 5회, 매일 최대 2회 또는 최대 3회, 또는 매일 최대 8회 투여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아필리모드 조성물은 매일 3회, 매일 2회, 매일 1회, 14일간 지속하고 (매일 4회, 매일 3회, 매일 2회, 또는 매일 1회) 7일간 쉬는 3주 주기로 투여되거나, 또는 최대 5일 또는 7일간 지속하고 (매일 4회, 매일 3회, 매일 2회, 또는 매일 1회) 14-16일간 쉬는 3주 주기로 투여되거나, 또는 2일마다 1회, 매주 1회, 2주마다 1회, 3주마다 1회 투여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는 질환, 장애 또는 병태를 갖는 개체, 또는 전반적으로 집단에 비해 질환, 장애 또는 병태가 발병할 증가한 위험성을 갖는 개체이다.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는 질환 또는 장애에 대한 현재 이용가능한 요법에 대해 "비-반응성" 또는 "난치성"인, 예를 들어 암일 수 있다. 이 문맥에서, 용어 "비-반응성" 및 "난치성"은 질환 또는 장애와 연관된 하나 이상의 증상을 완화하기에 임상적으로 적합하지 않은 바와 같은 요법에 대한 개체의 반응을 지칭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의 일 측면에서,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는 암이 표준 요법에 대해 난치성이거나 암이 표준 치료 이후에 재발되었던 암을 갖는 개체이다.
"개체"는 포유동물을 포함한다. 포유동물은, 예를 들어 임의의 포유동물, 예를 들어 인간, 영장류, 척추동물, 조류, 마우스, 래트, 가금류, 개, 고양이, 소, 말, 염소, 낙타, 양 또는 돼지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포유동물은 인간이다. 용어 "환자"는 인간 개체를 지칭한다.
본 발명은 또한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질환, 장애 또는 병태에 대한 단일요법을 제공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일요법"은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 단일 활성 또는 치료적 화합물의 투여를 지칭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치료", "치료하는" 또는 "치료하다"는 질환, 병태 또는 장애와의 투병을 목적으로 하는 환자의 관리 및 간호를 기술하고 질환, 병태 또는 장애의 증상 또는 합병증을 경감하거나 질환, 상태 또는 장애를 제거하기 위한 아필리모드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예방", "예방하는" 또는 "예방하다"는 질환, 병태 또는 장애의 증상 또는 합병증의 개시를 감소 또는 제거하는 것을 기술하고 질환, 병태 또는 장애의 증상의 개시, 발병 또는 재발을 감소시키기 위한 아필리모드 조성물의 투여를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아필리모드 조성물의 투여는 치료되는 질환 또는 장애의 증상 또는 합병증의 제거를 초래하지만, 제거가 필수적이지는 않다. 일 실시양태에서, 증상의 중증도가 감소한다. 암의 맥락에서, 이러한 증상은 종양이 성장 인자를 분비하고, 세포외 기질을 분해하고, 혈관신생이 되고, 병렬된 (juxtaposed) 조직에 대한 부착을 상실하고, 또는 전이하는 정도뿐만 아니라 전이의 개수를 포함하는 중증도 또는 진행의 임상적 마커를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암 치료는 종양의 크기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종양의 크기에 있어서의 감소는 또한 "종양 퇴행"으로 지칭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후, 종양 크기는 치료 전의 크기에 비해 5%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종양 크기는 1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감소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을 초과하여 감소한다. 종양 크기는 임의의 재현가능한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종양의 크기는 종양의 직경으로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암 치료는 종양 부피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후, 종양 부피는 치료 전 크기에 비해 5%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종양 부피는 1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감소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을 초과하여 감소한다. 종양 부피는 임의의 재현가능한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암 치료는 종양 개수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후, 종양 개수는 치료 전 개수에 비해 5%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종양 개수는 1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감소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이상을 초과하여 감소한다. 종양 개수는 임의의 재현가능한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종양 개수는 육안으로 또는 특정된 배율에서 보이는 종양을 계수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정된 배율은 2x, 3x, 4x, 5x, 10x, 또는 50x이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암 치료는 일차 종양 부위로부터 멀리 있는 다른 조직 또는 기관 내 전이 병변의 개수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후, 전이 병변의 개수는 치료 전 개수에 비해 5%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전이 병변의 개수는 1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이상 감소하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감소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초과하여 감소한다. 전이 병변의 개수는 임의의 재현가능한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전이 병변의 개수는 육안으로 또는 특정된 배율에서 보이는 종양을 계수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특정된 배율은 2x, 3x, 4x, 5x, 10x, 또는 50x이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장애,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는 담체 단독을 투여받은 집단에 비해 치료된 개체의 집단에서 평균 생존 시간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생존 시간은 30일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일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일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일을 초과하여 증가한다. 집단의 평균 생존 시간의 증가는 임의의 재현가능한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집단의 평균 생존 시간의 증가는,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을 이용한 치료의 개시 후 그 집단에 대한 평균 생존 기간을 계산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집단의 평균 생존 기간의 증가는 또한 활성 화합물을 이용한 치료의 1회차의 종결 후 그 집단에 대한 평균 생존 기간을 계산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장애,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는 치료되지 않은 개체의 집단에 비해 치료된 개체의 집단의 평균 생존 시간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생존 시간은 30일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일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일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일을 초과하여 증가한다. 집단의 평균 생존 시간의 증가는 임의의 재현가능한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집단의 평균 생존 시간의 증가는,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을 이용한 치료의 개시 후 그 집단에 대한 평균 생존 기간을 계산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집단의 평균 생존 시간의 증가는 또한,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을 이용한 치료의 1회차의 종결 후 그 집단에 대한 평균 생존 기간을 계산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장애,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는 본원에 기술된 아필리모드 조성물이 아닌 약물을 이용한 단일요법을 투여받은 집단에 비해 치료된 개체의 집단의 평균 생존 시간의 증가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평균 생존 시간은 30일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일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일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120일 초과하여 증가한다. 집단의 평균 생존 시간의 증가는 임의의 재현가능한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집단의 평균 생존 시간의 증가는,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을 이용한 치료의 개시 후 그 집단에 대한 평균 생존 길이를 계산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집단의 평균 생존 시간의 증가는 또한,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을 이용한 치료의 1회차의 종결 후 그 집단에 대한 평균 생존 길이를 계산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장애,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는 담체를 단독으로 투여받은 집단에 비해 치료된 개체의 집단의 사망률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장애,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는 치료되지 않은 집단에 비해 치료된 개체의 집단의 사망률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장애,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는 아필리모드 조성물이 아닌 약물을 이용한 단일요법을 투여받은 집단에 비해 치료된 개체의 집단의 사망률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사망률은 2%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5% 초과;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25% 초과하여 감소한다. 치료된 개체 집단의 사망률 감소는 임의의 재현가능한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집단의 사망률 감소는,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을 이용한 치료의 개시 후 그 집단에 대한 단위 시간당 질환-관련 사망의 평균 개를 계산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집단의 사망률 감소는 또한, 예를 들어 활성 화합물을 이용한 치료의 1회차의 종결 후 그 집단에 대한 단위 시간당 질환-관련 사망의 평균 수를 계산함으로써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장애,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는 종양 성장률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후, 종양 성장률은 치료 전 개수에 비해 적어도 5%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종양 성장률은 적어도 10%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감소하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감소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감소한다. 종양 성장률은 임의의 재현가능한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종양 성장률은 단위 시간 당 종양 직경의 변화에 따라 측정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 후 종양 성장률은 대략 제로 (zero)일 수 있고 동일한 크기를 유지, 예를 들어 성장이 멈춘 것으로 결정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장애, 질환 또는 병태의 치료는 종양 재성장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후 종양 재성장은 5% 미만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종양 재성장은 1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40% 미만;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50% 미만; 가장 바람직하게는, 75% 미만이다. 종양 재성장은 임의의 재현가능한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종양 재성장은, 예를 들어 치료에 수반된 이전 종양 수축 후 종양 직경의 감소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된다. 종양 재성장의 감소는 치료를 중단한 후 종양 재발생의 실패로 표시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세포 증식성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은 세포 증식률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후, 세포 증식률은 적어도 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감소한다. 세포 증식률은 임의의 재현가능한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새포 증식률은, 예를 들어 단위 시간당 조직 시료에서 분열 세포의 개수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된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세포 증식성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은 증식하는 세포 집단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후, 증식하는 세포 집단은 적어도 5%;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감소한다. 증식하는 세포 집단은 임의의 재현가능한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증식하는 세포 집단은, 예를 들어 조직 시료 내 비분열 세포의 개수에 대한 분열 세포의 개수를 정량함으로써 측정된다. 증식하는 세포 집단은 유사분열 지수와 동등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세포 증식성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은 세포 증식의 영역 또는 구역의 크기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후, 세포 증식의 영역 또는 구역의 크기는 치료 전 크기에 비해 적어도 5%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감소하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감소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감소한다. 세포 증식의 영역 또는 구역의 크기는 임의의 재현가능한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세포 증식의 영역 또는 구역의 크기는 세포 증식의 영역 또는 구역의 직경 또는 너비로서 측정될 수 있다.
본원에 기술된 방법에 따른 세포 증식성 장애의 치료 또는 예방은 비정상적 모양 또는 형태를 갖는 세포의 개수 또는 집단의 감소를 초래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치료 후, 비정상적 형태를 갖는 세포의 개수는 치료 전 크기에 비해 적어도 5%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30%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40% 감소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감소하고;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50% 감소하고; 가장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75% 감소한다. 비정상적 세포 모양 또는 형태는 임의의 재현가능한 측정 수단에 의해 측정될 수 있다. 비정상 세포 형태는 현미경, 예를 들어 도립 조직 배양 현미경을 이용하여 측정될 수 있다. 비정상적 세포 형태는 핵 다형성 (pleiomorphism)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선택적으로"는 다른 집단에서보다 한 집단에서 더 높은 빈도로 일어나는 경향이 있음을 의미한다. 비교되는 집단은 세포 집단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원에 기술된 바와 같은 아필리모드 조성물은 정상 세포에 비해, 과잉증식 세포 또는 비정상적 증식 세포에 선택적으로 작용한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정상 세포"는 "세포 증식성 장애"의 일부로서 분류될 수 없는 세포이다. 정상 세포는 원치 않는 병태 또는 질환의 발병을 초래할 수 있는 비조절된 또는 비정상적 성장, 또는 둘 모두가 결여된다. 바람직하게는, 정상 세포는 정상적으로 기능하는 세포 주기 체크포인트 제어 기작을 보유한다. 바람직하게는, 아필리모드 조성물은 하나의 분자 표적 (예를 들어, 표적 키나아제)을 조정하도록 선택적으로 작용하지만 다른 분자 표적 (예를 들어, 비-표적 키나아제)을 유의미하게 조정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은 또한 키나아제와 같은 효소의 활성을 선택적으로 억제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사건이 집단 B에 비해 집단 A에서 2배 초과로 더 빈번하게 일어난다면 이 사건은 집단 B에 비해 집단 A에서 선택적으로 일어난다. 사건이 집단 A에서 5배 초과로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면 이 사건은 선택적으로 일어난다. 사건이 집단 A에서 10배 초과로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면, 더욱 바람직하게는, 집단 B에 비해 집단 A에서 15배 초과; 더욱 더 바람직하게는, 100배 초과; 가장 바람직하게는, 1000배 초과로 더 빈번하게 발생한다면, 이 사건은 선택적으로 일어난다. 예를 들어, 세포사가 정상 세포에 비해 병적인 또는 과잉증식 세포에서 2배 초과로 더 빈번하게 일어난다면 이 세포사는 병적인 또는 과잉증식 세포에서 선택적으로 일어난다고 말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 및 제형
본 발명은 포유동물, 바람직하게는 인간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바람직하게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조성물인 아필리모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 문맥에서, 조성물은 적어도 하나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 또는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그 양은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효과적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질환 또는 장애는 암, 바람직하게는 림프종, 가장 바람직하게는 B 세포 림프종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질환 또는 장애는 mTOR 질환 또는 장애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아필리모드 조성물은 아필리모드 유리 염기 또는 아필리모드 디메실레이트를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아필리모드 조성물은 단일 투약 형태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와 조합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항산화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는 알킬화제, 중격제, 튜불린 결합제, 코르티코스테로이드,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는 이부르티닙, 리툭시맙, 독소루비신, 프레드니솔론, 빈크리스틴, 벨케이드, 및 에베롤리무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료제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는 사이클로포스파미드, 히드록시다우노루비신 (독소루비신 또는 Adriamycin™으로도 언급됨), 빈크리스틴 (Oncovin™으로도 언급됨), 프레드니손, 프레드니솔론,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치료제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는 아필리모드 조성물 중 하나 이상의 부작용을 개선하도록 선택된 비-치료제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비-치료제는 온단세트론, 그라니세트론, 돌라세트론 및 팔로노세트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비-치료제는 핀돌롤 및 리스페리돈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는 mTOR 경로의 억제제, PI3K 억제제, 이중 PI3K/mTOR 억제제, SRC 억제제, VEGF 억제제, 야누스 키나아제 (JAK) 억제제, Raf 억제제, Erk 억제제, 파네실트렌스퍼라제 억제제, 히스톤 디아세틸라제 억제제, 항-유사분열 작용제, 다약제 내성 유출 억제제, 항생제, 및 치료적 항체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는 파네실트렌스퍼라제 억제제 (예를 들어, 티피파르닙), 항-유사분열 작용제 (예를 들어, 도세탁셀), 히스톤 디아세틸라제 억제제 (예를 들어, 보리노스탓), 및 다약제 내성 유출 억제제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mTOR 억제제는 라파마이신 (시롤리무스로도 언급됨), 에베롤리무스, 템시롤리무스, 리다포롤리무스, 우미롤리무스, 조타롤리무스, AZD8055, INK128, WYE-132, 토린-1, 피라졸로피리미딘 유사체 PP242, PP30, PP487, PP121, KU0063794, KU-BMCL-200908069-1, Wyeth-BMCL-200910075-9b, INK-128, XL388, AZD8055, P2281, 및 P529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문헌 [Liu et al. Drug Disc. Today Ther . Strateg., 6(2): 47-55 (2009)]을 참고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mTOR 억제제는 트랜스-4-[4-아미노-5-(7-메톡시-1H-인돌-2-일)이미다조[5,1-f][1,2,4]트리아진-7-일]사이클로헥산 카르복실산 (OSI-027로도 알려짐), 및 이의 임의의 염, 용매화물, 수화물, 및 다른 물리적 형태, 결정형 또는 무정형이다. 미국특허공개 제2007/0112005호를 참고한다. OSI-027은 참조로 본원에 포함되는, 미국특허공개 제2007/0112005호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mTOR 억제제는 OXA-01이다. 예를 들어, 국제특허공개 제WO 2013152342 A1호를 참고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PI3K 억제제는 GS-1101 (이델라리십), GDC0941 (픽틸리십), LY294002, BKM120 (부파를리십), PI-103, TGX-221, IC-87114, XL 147, ZSTK474, BYL719, AS-605240, PIK-75, 3-메틸아데닌, A66, PIK-93, PIK-90, AZD6482, IPI-145 (두벨리십), TG100-115, AS-252424, PIK294, AS-604850, GSK2636771, BAY 80-6946 (콘파닐리십), CH5132799, CAY10505, PIK-293, TG100713, CZC24832 및 HS-173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이중 PI3K/mTOR 억제제는 GDC-094, WAY-001, WYE-354, WAY-600, WYE-687, Wyeth-BMCL-200910075-16b, Wyeth-BMCL-200910096-27, KU0063794 및 KUBMCL-200908069-5, NVP-BEZ235, XL-765, PF-04691502, GDC-0980 (아피톨리십), GSK1059615, PF-05212384, BGT226, PKI-402, VS-558 및 GSK2126458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참조로서 본원에 포함되는, 문헌 [Liu et al. Drug Disc. Today Ther. Strateg., 6(2): 47-55 (2009)]을 참고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mTOR 경로 억제제는 mTOR 경로에서 단백질 (또는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에 결합하여 그의 발현 수준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항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핵산 (예를 들어, 이중-가닥 소 간섭 RNA, 짧은 헤어핀 RNA, 마이크로-RNA,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잠김 (locked) 핵산, 또는 앱타머)이다. 예를 들어, 폴리펩티드 또는 핵산은 mTOR 복합체 1 (mTORC1), mTOR의 조절-연관 단백질 (랩터), 포유동물 치사 관련 SEC13 단백질 8 (MLST8), 40 kDa의 프롤린-풍부 Akt 기질 (PRAS40), DEP 도메인-함유 mTOR-상호작용 단백질 (DEPTOR), mTOR 복합체 2 (mTORC2), mTOR (RICTOR)의 라파마이신-둔감성 동료, G 단백질 베타 서브유닛-유사 (GβL), 포유동물 스트레스-활성화 단백질 키나아제 상호작용 단백질 1 (mSIN1), 팍실린, RhoA, Ras-관련 C3 보툴리늄 독소 기질 1 (Rac1), 세포 분열 제어 단백질 42 동종체 (Cdc42), 단백질 키나아제 Cα (PKCα), 세린/트레오닌 단백질 키나아제 Akt, 포스포이노시티드 3-키나아제 (PI3K), p70S6K, Ras, 및/또는 진핵성 번역 개시 인자 4E (eIF4E)-결합 단백질 (4EBPs), 또는 이들 단백질 중 하나를 암호화하는 핵산을 억제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SRC 억제제는 보수티닙, 사라카티닙, 다사티닙, 포나티닙, KX2-391, XL-228, TG100435/TG100855, 및 DCC203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다. 예를 들어, 문헌 [Puls et al. Oncologist. 2011 May; 16(5): 566578]을 참고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SRC 억제제는 SRC 단백질 또는 SRC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에 결합하여 그의 발현 수준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항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핵산 (예를 들어, 이중-가닥 소 간섭 RNA, 짧은 헤어핀 RNA, 마이크로-RNA,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잠김 핵산, 또는 앱타머)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VEGF 억제제는 베바시주맙, 수니티닙, 파조파닙, 악시티닙, 소라페닙, 레고라페닙, 레바티닙, 및 모테사닙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VEGF 억제제는 VEGF 단백질, VEGF 수용체 단백질, 또는 이들 단백질 중 하나를 암호화하는 핵산에 결합하여 그의 발현 수준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항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핵산 (예를 들어, 이중-가닥 소 간섭 RNA, 마이크로-RNA,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모르폴리노, 잠김 핵산, 또는 앱타머)이다. 예를 들어, VEGF 억제제는 가용성 VEGF 수용체 (예를 들어, 가용성 VEGF-C/D 수용체 (sVEGFR-3))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JAK 억제제는 파시티닙, 룩솔리티닙, 바리시티닙, CYT387 (CAS 번호 1056634-68-4), 레스타우르티닙, 파크리티닙, 및 TG101348 (CAS 번호 936091-26-8)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JAK 억제제는 JAK (예를 들어, JAK1, JAK2, JAK3, 또는 TYK2) 또는 JAK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에 결합하여 그의 발현 수준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항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핵산 (예를 들어, 이중-가닥 소 간섭 RNA, 짧은 헤어핀 RNA, 마이크로-RNA,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모르폴리노, 잠김 핵산, 또는 앱타머)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Raf 억제제는 PLX4032 (베무라페닙), 소라페닙, PLX-4720, GSK2118436 (다브라페닙), GDC-0879, RAF265, AZ 628, NVP-BHG712, SB90885, ZM 336372, GW5074, TAK-632, CEP-32496 및 LGX818 (엔코라페닙)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Raf 억제제는 Raf (예를 들어, A-Raf, B-Raf, C-Raf) 또는 Raf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에 결합하여 그의 발현 수준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항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핵산 (예를 들어, 이중-가닥 소 간섭 RNA, 짧은 헤어핀 RNA, 마이크로-RNA,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모르폴리노, 잠김 핵산, 또는 앱타머)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MEK 억제제는 AZD6244 (셀루메티닙), PD0325901, GSK1120212 (트라메티닙), U0126-EtOH, PD184352, RDEA119 (라파메티닙), PD98059, BIX 02189, MEK162 (비니메티닙), AS-703026 (피마세르팁), SL-327, BIX02188, AZD8330, TAK-733 및 PD318088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MEK 억제제는 MEK (예를 들어, MEK-1, MEK-2) 또는 MEK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에 결합하여 그의 발현 수준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항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핵산 (예를 들어, 이중-가닥 소 간섭 RNA, 짧은 헤어핀 RNA, 마이크로-RNA,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모르폴리노, 잠김 핵산, 또는 앱타머)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Akt 억제제는 MK-2206, KRX-0401 (페리포신), GSK690693, GDC-0068 (이파타세르팁), AZD5363, CCT128930, A-674563, PHT-427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Akt 억제제는 Akt (예를 들어, Akt-1, Akt-2, Akt-3) 또는 Akt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에 결합하여 그의 발현 수준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항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핵산 (예를 들어, 이중-가닥 소 간섭 RNA, 짧은 헤어핀 RNA, 마이크로-RNA,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모르폴리노, 잠김 핵산, 또는 앱타머)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파네실트렌스퍼라제 억제제는 LB42708 또는 티피파르닙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파네실트렌스퍼라제 억제제는 파네실트렌스퍼라제 또는 파네실트렌스퍼라제 단백질을 암호화하는 핵산에 결합하여 그의 발현 수준 또는 활성을 억제하는 폴리펩티드 (예를 들어, 항체 또는 이의 단편) 또는 핵산 (예를 들어, 이중-가닥 소 간섭 RNA, 짧은 헤어핀 RNA, 마이크로-RNA, 안티센스 올리고뉴클레오티드, 모르폴리노, 잠김 핵산, 또는 앱타머)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히스톤 조절 억제제는 아나카르드산, C646, MG149 (히스톤 아세틸트랜스퍼라제), GSK J4 Hcl (히스톤 데메틸라제), GSK343 (EZH2에 대해 활성), BIX 01294 (히스톤 메틸트랜스퍼라제), MK0683 (보리노스탓), MS275 (엔티노스탓), LBH589 (파노비노스탓), 트리코스타틴 A, MGCD0103 (모세티노스탓), 타스퀴니모드, TMP269, 넥스투라스탓 A, RG2833, PDX101 (벨리노스탓)으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항-유사분열 작용제는 그리세오풀빈, 비노렐빈 타르트레이트, 파클리탁셀, 도세탁셀, 빈크리스틴, 빈블라스틴, 에포틸론 A, 에포틸론 B, ABT-751, CYT997 (렉시불린), 빈플루닌 타르트레이트, 포르브레타불린, GSK461364, ON-01910 (리고세르팁), Ro3280, BI2536, NMS-P937, BI 6727 (볼라세르팁), HMN-214 및 MLN0905로부터 선택된다.
일 실시양태에서, 폴리에테르 항생제는 소디움 모넨신, 니게리신, 발리노마이신, 살리노마이신으로부터 선택된다.
"약학적 조성물"은 개체에 투여하기에 적합한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형태로 본원에 기술된 화합물을 함유하는 제형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어구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은 건전한 의학적 판단의 범위 내에서, 합리적인 유익/유해 비율에 비례하여 과도한 독성, 자극, 알러지 반응, 또는 다른 문제 또는 합병증 없이 인간 및 동물의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그러한 화합물, 재료, 조성물, 담체 및/또는 투약 형태를 지칭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는 일반적으로 안전하고, 비-독성이며 생물학적으로도 또는 다르게도 바람직한 약학적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유용한 부형제를 의미하고, 인간의 약학적 용도뿐만 아니라 수의학적 용도에도 허용가능한 부형제를 포함한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부형제의 예시에는, 제한 없이, 멸균 액체, 물, 완충 식염수, 에탄올, 폴리올 (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등), 오일, 세정제, 현탁화제, 탄수화물 (예를 들어, 글루코스, 락토스, 수크로스 또는 덱스트란), 항생제 (예를 들어, 아스코르브산 또는 글루타치온), 킬레이트화제, 저분자량 단백질, 또는 이들의 적당한 혼합물이 포함된다.
약학적 조성물은 대량으로 또는 투약 단위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복용량의 투여 및 균질화의 용이함을 위해 투약 단위 형태 내로 약학적 조성물을 제형화하는 것이 특히 유리하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투약 단위 형태"는 치료되는 개채에 대한 단일 투여량으로 적합한 물리적으로 분리된 단위를 지칭하고; 각 단위는 요구되는 약학적 담체와 연관된 바람직한 치료 효과를 나타내도록 계산된 활성 화합물의 미리 결정된 양을 함유한다. 본 발명의 투약 단위 형태에 대한 설명은 활성 화합물의 독특한 특성 및 달성되는 특정 치료 효과에 의해 지시되고 직접적으로 그에 의존한다. 투약 단위 형태는 앰플, 바이알, 좌약, 당의정, 정제, 캡슐, IV 백, 또는 에어로졸 흡입기 상의 단일 펌프일 수 있다.
치료적 응용에서, 투여량은 선택된 투여량에 영향을 미치는 다른 요인들 중에서 작용제, 수용 환자의 연령, 체중, 및 임상 상태, 및 요법을 투여하는 임상의 또는 개업의의 경험 및 판단에 따라 달라진다. 일반적으로, 용량은 치료학적 유효량이어야 한다. 투여량은 (환자의 체중은 kg으로, 체표면적은 m2으로, 연령은 세로 조정될 수 있는) 측정의 mg/kg/일 단위로 제공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의 유효량은 임상의 또는 다른 적격의 전문가에 의해 인지되는 바와 같이 객관적으로 식별가능한 개선을 제공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장애, 질환 또는 병태의 증상을 완화하는 것이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용량 효과적인 방식"은 개체 또는 세포에서 바람직한 생물학적 효과를 생산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의 양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투약 단위 형태는 1 ng 내지 2 mg, 또는 0.1 mg 내지 2 g; 또는 10 mg 내지 1 g, 또는 50 mg 내지 500 mg 또는 1 μg 내지 20 mg; 또는 1 μg 내지 10 mg; 또는 0.1 mg 내지 2 mg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임의의 바람직한 경로 (예를 들어, 폐내, 흡입, 비강내, 경구, 볼내, 혀밑, 비경구, 피하, 정맥내, 근육내, 복강내, 흉강내, 경막내, 경피, 경점막 등)에 의한 투여를 위해 임의의 적합한 형태 (예를 들어, 액체, 에어로졸, 용액, 흡입제, 미스트, 스프레이; 또는 고체, 분말, 연고, 페이스트, 크림, 로숀, 겔, 패취 등)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입 또는 코 중 하나를 통한) 흡입 또는 통기 (insufflation)에 의한 에어로졸 투여를 위한 수성 용액 또는 분말의 형태, 경구 투여를 위한 정제 또는 캡슐의 형태; 정맥내 주입을 위한 직접 주사 또는 멸균 주입 유체의 첨가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멸균 수성 용액 또는 분산액의 형태; 또는 경피 또는 경점막 투여를 위한 로숀, 크림, 거품, 패취, 현탁액, 용액 또는 좌약의 형태일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캡슐, 정제, 구강 형태 (buccal forms), 트로키 (troches), 로젠지 (lozenges), 및 에멀젼, 수성 현탁액, 분산액 또는 용액과 같은 경구 액체를 포함하는, 경구로 허용가능한 투약 형태의 형태일 수 있다. 캡슐은 본 발명의 화합물과 불활성 충전제 및/또는 희석제, 예컨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전분 (예를 들어, 옥수수, 감자 또는 타피오카 전분), 당, 인공 감미료, 분말화된 셀룰로스, 예컨대 결정형 및 미세결정형 셀룰로스, 밀가루, 젤라틴, 검 등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경구 사용을 위한 정제의 경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에는 락토스 및 옥수수 전분이 포함된다.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와 같은 윤활제가 또한 첨가될 수 있다. 캡슐 형태로의 경구 투여를 위해, 유용한 희석제에는 락토스 및 건조 옥수수 전분이 포함된다. 수성 현탁액 및/또는 에멀젼이 경구로 투여되는 경우,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에멀젼화제 및/또는 현탁화제와 조합된 오일상에 현탁 또는 용해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경우에, 특정 감미제 및/또는 향미제 및/또는 착색제가 첨가될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정제의 형태일 수 있다. 정제는 불활성 희석제 또는 담체, 예컨대 당 또는 당 알코올, 예를 들어 락토스, 수크로스, 소르비톨, 만니톨과 함께 본 발명의 화합물의 단위 투여량을 포함할 수 있다. 정제는 탄산나트륨, 인산칼슘, 탄산칼슘과 같은 비-당류 유래 희석제, 또는 메틸 셀룰로스, 에틸 셀룰로스, 히드록시프로필 메틸 셀룰로스와 같은 셀룰로스 또는 이의 유도체, 및 옥수수 전분과 같은 전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정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과 같은 결합제 및 과립화제, 붕해제 (예를 들어, 가교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와 같은 팽윤성 가교화 중합체), 윤활제 (예를 들어, 스테아레이트), 보존제 (예를 들어, 파라벤), 항산화제 (예를 들어, BHT), 완충제 (예를 들어, 인산염 또는 시트르산염 완충제), 및 시트르산염/중탄산염 혼합물과 같은 발포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정제는 코팅된 정제일 수 있다. 코팅은 보호적 필름 코팅 (예를 들어, 왁스 또는 바니시) 또는 활성제의 방출, 예를 들어 지연 방출 (섭취 후 미리 지정된 지체 시간 후 활성제의 방출) 또는 위장관 내 특정 위치에서의 방출을 제어하도록 고안된 코팅일 수 있다. 후자는, 예를 들어 상품명 유드라짓® (Eudragit®)으로 판매되는 것과 같은 장내 필름 코팅을 이용하여 달성될 수 있다.
정제 제형은,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스테아르산, 탈크,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미세결정형 셀룰로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칼슘, 폴리비닐피롤리돈, 젤라틴, 알긴산, 아카시아검, 잔탄검, 소디움 시트레이트, 복합체 실리케이트, 탄산칼슘, 글리신, 덱스트린, 수크로스, 소르비톨, 디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설페이트, 락토스, 카올린, 만니톨, 염화나트륨, 탈크, 건조 전분 및 분말화 당을 포함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결합제, 윤활제, 붕해제, 표면 개질제 (계면활성제 포함), 현탁 또는 안정화제를 이용하여 통상적인 압축, 습식 과립화 또는 건식 과립화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표면 개질제에는 비이온성 및 음이온성 표면 개질제가 포함된다. 표면 개질제의 대표적인 예시에는, 이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폴록사머 188, 염화벤즈알코늄, 칼슘 스테아레이트, 세토스테아릴 알코올, 세토마크로골 에멀젼화 왁스, 소르비탄 에스테르, 콜로이드 이산화규소, 포스페이트, 소디움 도데실설페이트,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및 트리에탄올아민이 포함된다.
약학적 조성물은 경질 또는 연질 젤라틴 캡슐의 형태일 수 있다. 이 제형에 따르면, 본 발명의 화합물은 고체, 반-고체, 또는 액체 형태일 수 있다.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 투여를 위한 멸균 수성 용액 또는 분산액일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비경구는 피하, 피내, 정맥내, 근육내, 관절내, 동맥내, 활액내, 흉골내, 난포내, 병변내 및 두개내를 포함한다.
약학적 조성물은 직접 주사에 의한 또는 정맥내 주입을 위한 멸균 주입 유체에의 첨가에 의한 투여에 적합한 멸균 수성액 또는 분산액의 형태일 수 있고, 물, 에탄올, 폴리올 (예를 들어, 글리세롤, 프로필렌 글리콜 및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이들의 적절한 혼합물, 또는 하나 이상의 식용유를 포함하는 용매 또는 분산 매질을 포함한다. 유리 염기 또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으로서 본 발명의 화합물의 용액 또는 현탁액은 계면활성제와 적절히 혼합된 물 중에서 제조될 수 있다. 적합한 계면활성제의 예시는 하기에 제공된다. 분산액은 또한, 예를 들어 글리세롤, 액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오일 중의 이들의 혼합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은 제형 내에 존재하는 임의의 담체 또는 희석제 (예컨대, 락토스 또는 만니톨)에 덧붙여 하나 이상의 첨가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첨가제는 하나 이상의 계면활성제를 포함하거나 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전형적으로, 약물 침투 및 흡수를 증강시키기 위해 이들을 세포의 지질 구조물 내로 직접 삽입할 수 있는 지방산과 같은 하나 이상의 긴 지방족 사슬을 갖는다. 계면활성제의 상대적 친수성 및 소수성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경험적 파라미터가 친수성-친유성 균형 (hydrophilic-lipophilic balance, "HLB" 값)이다. 더 낮은 HLB 값을 갖는 계면활성제는 더욱 소수성이고, 오일 중에 더 우수한 용해도를 갖는 반면, 더 높은 HLB 값을 갖는 계면활성제는 더욱 친수성이고, 수성 용액 중에 더 우수한 용해도를 갖는다. 따라서, 친수성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약 10 초과의 HLB 값을 갖는 그러한 화합물인 것으로 간주되고, 소수성 계면활성제는 일반적으로 약 10 미만의 HLB 값을 갖는 것들이다. 그러나, 이들 HLB 값은 단지 수많은 계면활성제에 대한 가이드일 뿐이고, HLB 값은 HLB 값을 결정하기 위해 선택된 경험적 방법에 따라서 약 8 HLB 유닛만큼이나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에 사용하기 위한 계면활성제 중에서 폴리에틸렌 글리콜 (PEG)-지방산 및 PEG-지방산 모노 및 디에스테르, PEG 글리세롤 에스테르, 알코올-오일 트랜스에스테르화 산물, 폴리글리세릴 지방산, 프로필렌 글리콜 지방산 에스테르, 스테롤 및 스테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당 및 그의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알킬 페놀,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POE-POP) 블록 공중합체,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이온성 계면활성제, 지방-가용성 비타민 및 이들의 염, 수-가용성 비타민 및 이들의 양친매성 유도체, 아미노산 및 이들의 염, 및 유기산 및 이들의 에스테르 및 무수물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의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패키징 및 키트를 제공한다. 키트는 병, 바이알, 앰플, 블리스터 팩, 및 주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키트는 본 발명의 질환, 병태 또는 장애를 치료 및/또는 예방하는데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사용설명서, 하나 이상의 주사기, 하나 이상의 애플리케이터, 또는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의 재구성에 적합한 멸균 용액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모든 백분율 및 비율은, 달리 지시되지 않는 한, 중량 기준이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 및 이점은 다양한 예시로부터 자명하다. 제공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다른 성분 및 방법론을 설명한다. 실시예가 청구된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개시에 근거하여,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데 유용한 다른 성분 및 방법론을 확인하고 이용할 수 있다.
실시예
실시예 1 : 아필리모드는 TSC2 무표지 세포 증식의 고도의 선택적 억제제이다
아필리모드를 TSC2 -/- 마우스 배아 섬유아세포 (MEF-EV) 세포를 이용한 고성능 세포 생존력 스크리닝에서 동정하였다. TSC2 무표지 (null) 세포는 구성적으로 활성인 mTOR을 갖는다. 간략히는, TSC2 -/- 넉아웃 (knockout) 마우스 배아 [Onda et al., J. Clin . Invest. 104(6): 687-95, 1999]로부터 유래한 MEF 세포를 하이그로마이신 항생제 내성 유전자 (MEF-EV)를 암호화하는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또는 또한 TSC2 (MEF-TSC2)를 암호화하는 동일한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로 감염시켰다. MEF-EV 및 MEF-TSC2 세포주를 그 후에 하이그로마이신 선별에 의해 확립하였다.
세포를 10% FBS (Omega Scientific) 및 2 mM L-글루타민을 함유하는 DMEM에서 증폭시켰다. 세포의 냉동 스톡 (stocks)을 HTS 분석에의 직접적인 사용을 위해 제조하였다. 세포를 수확하고, 팰렛화한 후 1X107 세포/ml의 농도로 95% FBS & 5% DMSO에 재현탁하였다. 1 ml의 부분표본 (aliquot)을 1℃/분의 속도로 -80℃로 냉동시켰다. 이들 스톡을 그 후에 장기간 보관을 위해 증기상 액체 질소로 옮겼다.
스크리닝을 위해, 바이알을 해동되기 직전까지 지속적으로 교반하면서 37℃에서 해동시킨 후 실온에서 분석 배지에 재-현탁하고 1,000 rpm에서 5분간 원심분리하였다. 결과 펠렛을 적절한 부피로 재-현탁하고 자동화 세포 계수기를 이용하여 계수한 후 40,000개 세포/ml의 최종 수로 적절히 희석하였다.
시험 화합물 (5 μl 스톡 용액, 6 x 요구되는 최종 세포 농도)을 바이오맥스 FX 액체 핸들러 (Biomek FX liquid handler)를 사용하여 384-웰 분석 플레이트 (코닝 3712)에 분주하였다. MEF-EV 세포 (25 μL의 배지 중 웰당 1000 세포)를 표준 내강 카세트 헤드 (standard bore cassette head)를 갖는 써모 웰메이트 (Thermo Wellmate), 비-접촉 분주 시스템을 사용하여 이들 사전-포맷팅된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가습 인큐베이터 내 5% CO2의 대기 하 37℃에서 7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세포 생존력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서 셀타이터-글로® 발광 분석 (CellTiter-Glo® luminescence assay, Promega)을 이용해 결정하였다. 생존력을 비처리 대조군 세포의 비율로 표현하였다. 예시로서, 아필리모드의 경우, MEF-EV 세포 생존력 (평균 +/- StDev, n=3)은 0.5 μM에서 2.16 +/- 0.36%이었고, 5 μM에서 1.94 +/-0.07%이었다.
TSC2 결핍 세포에 대한 아필리모드의 활성은 상기에 기술된 MEF-EV 및 MEF-TSC2 세포주에서 뿐만 아니라 동종 세포주의 3종의 부가적인 쌍에 대한 10 포인트 용량 반응을 수행함으로써 추가로 입증되었다: (1) (TSC2 -/-, p53-/-) 및 (TSC2 +/-, p53 -/-) MEF 세포주는 표준 방법에 따라서 (TSC2 -/-, p53-/-) 또는 (TSC2 +/-, p53 -/-) 배아로부터 확립되었다. 예를 들어, 문헌 [Zhang et al. J. Clin . Invest. 112 , 1223-33, 2003]을 참고한다. ( 2) ELT3-EV 및 ELT3-TSC2 세포주는 ELT3 래트 종양 세포주로부터 확립되었다. ELT3 세포주는 LAM/TSC에 대한 확립된 래트 종양 모델이다. 예를 들어, 문헌 [Howe et al., Am. J. Path. 146 , 1568-79, 1995]을 참고한다. 이들 세포는 TSC2에 불활성화 돌연변이를 보유하고, 이는 mTOR 경로의 구성적 활성화를 초래한다. 세포의 동종 쌍을 개발하기 위하여, ELT3 세포를 하이그로마이신 항생제 내성 유전자 (ELT3-EV)를 암호화하는 레트로바이러스 벡터 또는 또한 TSC2 (ELT3-TSC2)를 암호화하는 레트로바이러스 벡터로 감염시켰다. ELT3-EV 및 ELT3-TSC2 세포주를 그 후에 하이그로마이신 선별에 의해 확립하였다. ( 3) TRI-AML102 및 AML103 세포주를 엘리자베스 헨스캐 (Elizabeth Henske) (Fox Chase Cancer Center, Philadelphia, PA) 박사로부터 제공된 TSC2 무표지 (null) 일차 인간 AML 시료로부터 확립하였다. 세포를 HPV16 E6 및 E7 해독틀 및 네오마이신 내성 카세트를 암호화하는 양종향성 (amphotropic) 레트로바이러스 LXSN16E6E7로 감염시켰다. 세포를 증폭시키고 네오마신-선별하였다. 개별적인 클론을 분리하였고 냉동시켰다. 하이그로마이신 내성 카세트 (pLXSN hTERT-hyg 플라스미드)를 갖는 인간 텔로머라제 유전자 (hTERT)에 대한 코딩 서열은 푸진6 (Fugene6) 형질감염 시약 (Roche Applied Science, Indianapolis, IN)을 사용하여 TSC2-/- 확정 E6E7 AML 클론 내로 안정하게 발현되었다. TRI-AML102는 대조군 제오마이신 선별 플라스미드 (pcDNA3.1-zeo)의 안정적 도입에 의해 생성된 반면, TRI-AML103은 인간 TSC2 cDNA pcDNA3.1-zeo 플라스미드를 발현한다. 이들 조작 과정의 결과, TRI102 및 TRI103 둘 모두는 네오마이신, 하이그로마이신, 및 제오마이신 내성 균주이다.
10-포인트 용량 반응의 경우, 100 μL의 성장 배지 [DMEM (CellGro 10-017-CV) FBS 10% (Sigma Aldrich F2442-500ML, Lot 12D370)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0X) (CellGro Ref 30-002) 중의 750 MEF, 2000 ELT3, 또는 2000 AML 세포를 96 웰 플레이트의 각 웰에 도말하였다. 세포를 도말하고 24시간 후, 배지를 제거하고 100 μL의 성장 배지 중의 아필리모드 희석액 (1-500 nM, 2-배 희석)을 첨가하였다 (0.1% 최종 DMSO 농도). 화합물 첨가 72시간 후, 상대적 세포 생존력을 셀타이터-글로® 발광 분석 (Promega)으로 결정하고 비히클 (DMSO) 처리된 대조군 세포에 대한 비율로 표현하였다. IC50 값을 그 후에 XLFIT (IDBS)를 사용하여 용량 반응 곡선으로부터 계산하였다.
TSC2 결핍 세포는 아필리모드에 대해 고도로 감수성이었다 (IC50 = 20 nM, 1). TSC2 -/- p53-/- MEF는 상기 1의 선택적 비율에 의해 지시되는 바와 같이 TSC2 +/- p53 -/- MEF에 비해 아필리모드에 증가된 감수성을 입증하였다 (2.45).
다양한 세포 유형에서 아필리모드의 IC50 (생존력)
세포 유형: MEF
TSC2 -/-
MEF
TSC2 -/-
p53-/-
AML
TSC2 +/-
p53 -/-
ELT3
IC50 TSC2 -/- 19.70 28.80 117.00 13.70
IC50 TSC2 회복 20.10 70.70 132.00 16.05
선택성 비율 1.02 2.45 1.13 1.17
IC50 (nM)을 TSC2 -/- 결핍 및 회복 세포주에 대한 10-포인트 용량 반응으로부터 계산하였다. IC50은 2회 실험의 평균으로부터 계산된다. 감수성 비율은 TSC2 회복 세포주의 IC50을 TSC2 -/- 세포주로 나누어 계산한다.
또한, 더 높은 농도의 아필리모드는 TSC2 회복 MEF-TSC2 세포에 비해 TSC2 -/- MEF-EV 세포에 더 높은 효능을 나타내었다. 이 데이터는, 아필리모드가 말초 혈액 단핵구 세포에 대해서뿐만 아니라 (Wada et al., Blood 109, 1156-64, 2007), U937, HELA, 저켓 (Jurkat), 및 THP-1을 비롯한 다양한 기타 암 세포주에 대해서도 (PCT 공개번호 WO 2006/128129) 세포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사실과 함께, 아필리모드를 이용한 TSC2 -/- 암세포 치료에 대해 높은 치료 지수가 존재할 것임을 제안한다 (도 2A-2C).
실시예 2 : 아필리모드는 암세포에서 고도의 선택적 세포독성제이다
아필리모드의 세포독성 활성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서 셀타이터글로™ (CellTiterGlo™)와 같은 표준 세포 생존력을 이용하여 평가하였다. 122종의 인간 암 세포주를 아필리모드에 대한 감수성에 대해 평가하였다. IC50이 500 nM 미만이었다면 세포주는 아필리모드 감수성이라고 칭하였다. 35종의 세포주가 아필리모드-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해 감수성으로 동정되었다. 아필리모드는 또한 정상 세포에 비해 암세포에 대해 고도로 선택적이었는데, 이는 암세포에 비해 20-200배 더 높은 범위의 IC50을 나타내었다 (도 2A-2C).
도 2A는 비-호지킨 림프종, 호지킨 림프종, 결장직장암, 및 폐암을 비롯한 여러 상이한 암으로부터 유도된 세포가 아필리모드-감수성 세포에 포함되었음을 보여준다. 검사된 세포들 중 가장 감수성은 비-호지킨 림프종 (NHL) 세포주였다. 검사된 NHL 세포주의 50%를 약간 웃도는 정도가 아필리모드에 대해 감수성이었다. NHL은 느린 성장 내지 침습성 범위의 아형에 따라서, 중증도가 달라지는 다양한 혈액암의 다양한 그룹을 대표한다. NHL의 아형에는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DLBCL), 버킷 림프종, 외투 림프종, 및 소포 B 세포 림프종이 포함된다. DLBCL은 유전자 발현 및 세포 기원을 기준으로 GCB 및 ABC 2종의 아형으로 구분된다. GCB는 정상적인 배중심 B 세포으로부터 유래하는 배중심 B 세포 유형이고, ABC는 형질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서 후-배중심 B 세포로부터 유래하는 활성화된 B 세포이다. 본 연구에서, 본 발명자들은 특정 아형의 NHL이 100 nM 미만의 IC50 값을 가져, 아필리모드에 매우 감수성이었음을 확인하였다 (500 nM이었던, 스크리닝에서 감수성/둔감성에 대한 컷오프 대비). 이들은 인간 버킷 림프종 (ST486), 인간 외투 세포 림프종 (JeKo-1) 및 인간 DLBCL (SUDHL-4, IC50 = 50 nM)을 포함하였다. 2B를 참고한다. 이들 결과는 아필리모드가 종종 표준 치료에 난치성인 더 침습성인 아형을 포함하는 다수의 NHL 암에 대해 효과적일 수 있음을 나타낸다.
하기, 실시예 6 및 7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자들은 암세포에 대한 아필리모드의 선택적 세포독성의 근원적인 생물학적 기작을 조사하였고 이것이 세포내 통행의 억제 및 그러한 세포에서 세포자멸사의 상응하는 증가에 기인하는 것임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3 : 아필리모드는 CHOP의 성분과 상승적으로 작용함
상기에 논의된 바와 같이, NHL 세포는 본 발명의 암 세포주 스크리닝에서 아필리모드에 대한 특별한 감수성을 입증하였다. DLBCL은 서양 국가에서 림프종의 30-40%에 달하는, 가장 일반적인 유형의 NHL이다. DLBCL은 성숙 B 세포의 공격적 신생물이다. 모든 DLBCL 환자의 대략 40%가 일선 치료 (first line treatment) 후 재발한다. 다수의 난치성 DLBCL-GCB 암은 MYC 및 BCL2의 단일 및 이중 전위를 나타낸다. 이러한 유전적 변형을 갖는 환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MYC 및 BCL2의 과다발현에 의해 나쁜 예후를 갖는 경향이 있다. 명백히, 아필리모드는 이들 전위를 나타내는 DLBCL-GCB 세포주에서조차 효과적이었는데 (표 2), 이는 단일요법으로서, 단독으로 또는 표준 치료와 조합하여, 심지어 NHL의 침습성 아형의 치료에 대한 아필리모드의 역할을 지지한다.
B 세포 림프종 세포주의 Bcl -2 및 c- myc 전위 상태 및 이들의 아필리모드에 대한 감수성. ND = 데이터 없음
번호 B 세포 림프종 모델 세포주 IC50 (nM) Bcl-2 C-myc
7 인간 DLBCL-GCB SUDHL-4 25 Yes Yes
8 인간 DLBCL-GCB SUDHL-6 80 Yes No
9 인간 DLBCL-GCB DB 150 No No
10 인간 DLBCL-GCB Toledo 270 ND ND
11 인간 DLBCL-GCB SUDHL-10 20 Yes Yes
12 인간 DLBCL-GCB WSU-DLCL2 160 Yes No
13 인간 DLBCL-GCB OCI-Ly19 380 Yes No
20 인간 DLBCL-GCB HT 642 ND ND
21 인간 DLBCL-GCB Pfeiffer 2,620 ND ND
침습성 NHL 종양에 대한 아필리모드의 효능을 더욱 평가하기 위하여, 다수의 이러한 암에 대한 표준 일선 치료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수의 화학요법제와 상승적으로 작용하는 아필리모드의 능력을 시험하였다. 이들은, 예를 들어,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독소루비신, 빈크리스틴 및 프레드니손 ("CHOP" 화학요법 레지멘으로 언급됨), 및 종종 CHOP (R-CHOP)와 조합되는 리툭시맙, 뿐만 아니라 재발된 외투 세포 림프종, 및 에베롤리무스에 대해 요구되는, mTOR의 억제제인, 화학요법제 벨케이드를 포함한다.
상승작용 연구를 위해 다음의 DLBCL-GCB 세포주를 사용하였다: WSU-DLCL2, SUDHL-4 및 SUDHL-6. 세포를 이들의 최적 밀도로 96 웰에 접종하였다. 아필리모드 단독 (7.8 - 1000 nM), 독소루비신 (3.13 - 400 nM), 빈크리스틴 (0.08 - 10 nM), 프레드니손 (19.5 - 2500 nM), 벨케이드 (0.16 - 20 nM), 또는 에베롤리무스 (0.23 - 500 nM)를, 단독으로 또는 아필리모드와 조합하여 세포에 처리하였다. 각 경우에, 희석은 약물 농도 범위에 걸쳐서 총 8회 희석으로 2배였다.
세포를 증식 전에 72시간 동안 처리하고 셀타이터글로® (Promega)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상승작용의 계산을 위해, 칼큐신 (CalcuSyn, version 2.11, Biosoft)을 문헌 [Chou et al., Adv . Enzyme. Regul. (1984) 22: 2755]에 정의된 바와 같이 조합 지수 (combination index, CI)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하였다. 따라서, CI 값 > 1을 생성하는 약물 조합을 길항적으로, CI = 1을 부가적으로, CI < 1을 상승적으로 정의하였다.
표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필리모드는 SUDHL-6 세포주에서 6종의 시험된 작용제 중 5종 (독소루비신, 프레드니솔론, 빈크리스틴, 벨케이드, 및 에베롤리무스)과 상승적 활성을 입증하였고 빈크리스틴과는 모든 3종의 세포주에서 상승적이었다. 또한, 아필리모드는 시험된 3종의 세포주 중 적어도 2종에서 프레드니솔론, 벨케이드, 및 에베롤리무스와 상승적이었다. 이들 결과는 아필리모드와의 조합 요법이 표준 화학요법 레지멘 후 재발하거나 그에 난치성인 환자에 이익을 주는 치료에 대한 충족되지 않은 의학적 요구를 해소하는데 유망한 새로운 접근법을 제시함을 입증한다.
조합 치료 WSU-DLCL2 SU-DHL-4 SU-DHL-6
치료 기준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아필리모드 ND ND ND
독소루비신
50-400 nM
아필리모드
125-500 nM
길항적 ND 상승적
프레드니솔론
62-1667 nM
아필리모드
62.5-500 nM
상승적 ND 상승적
빈크리스틴
0.6-10 nM
아필리모드
62.5-1000 nM
상승적 상승적 상승적
다른 요법 벨케이드
1.3-5 nM
아필리모드
62.5-250 nM
부가적 상승적 상승적
에베롤리무스
18.5-55.6 nM
아필리모드
62.5-250 nM
상승적 ND 상승적
DLBCL-GCB 세포주에서 아필리모드와 CHOP (사이클로포스파미드 제외)의 개별 성분, 벨케이드 또는 에베롤리무스의 약물 조합의 요약. 조합 효과를 결정하기 위해 조합 지수 (CI)가 사용되었는데, CI > 1은 길항적이고, CI = 1은 부가적이며 CI < 1은 상승적이다. 기술된 효과를 양산하기 위한 CHOP 성분, 벨케이드 또는 에베롤리무스 중 어느 하나와의 조합에서 아필리모드의 농도 범위를 나타낸다 (이탤릭체).
실시예 4 : 아필리모드와 이부르티닙 사이의 상승적 활성
아필리모드와 상승적으로 작용할 수 있는 다른 약물을 스크리닝하기 위하여 SUDHL-4 세포에서의 연구가 또한 수행되었다. FDA 승인 및 비승인 약물 모두를 포함하는 수동으로 관리된 93종의 약물 라이브러리를 스크리닝에 사용하였다. 세포를 10 포인트-농도 반응 곡선 (1.5-30,000 nM; 3배 희석)으로 시험되는 라이브러리의 각 약물을 이용해, 아필리모드와 함께 또는 없이 (IC20 = 10 nM), 약물의 존재하에 성장시켰다. SUDHL-4 세포를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100X) (셀그로 Ref 30-002)를 함유하는 RPMI 배지 1640 (Sigma Aldrich F2442-500ML, Lot 12D370)에서 성장시켰다. 세포를 50 μL의 최종 부피로, 웰 당 19,000개 세포의 밀도로 96 웰 플레이트에 접종하였다. 50 μL의 10 포인트 약물 희석 시리즈 (2x)를 상기에 언급된 최종 농도를 제공하도록 세포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가습 인큐베이터 내 5% CO2 대기 하에서 37℃로 인큐베이션하였다. 화합물 첨가 72시간 후 상대적인 세포 생존력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서 셀타이터-글로® 발광 분석 (Promega)으로 결정하였고, 값을 비히클 (DMSO) 처리된 대조군 세포 (100%으로 설정)에 대한 백분율로 표현하였다.
약물 라이브러리 내 개별 화합물로 처리된 세포의 생존력을 각 라이브러리 약물 + 아필리모드 (IC20)로 처리된 세포의 생존력과 비교하였고 유의미한 조합을 확인하였다. 이부르티닙은 이부르티닙 또는 아필리모드 단독에 비해 아필리모드의 존재하에서 SUDHL-4 세포 생존력을 현저히 감소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18을 참고한다. 이부르티닙은 B-세포 악성종양을 표적하는 FDA 승인 약물이고 외투 세포 림프종 및 만성 림프구 백혈병을 치료하는 단일요법으로 처방된다. 이는 또한 PCI-32765로도 알려져 있으며 상품명 임부르비카™ (Imbruvica™)로 판매된다. 이부르티닙은 효소 브루톤 티로신 키나아제 (Bruton's tyrosine kinase, BTK)의 선택적 및 공유 억제제이다. BTK는 병렬로 일어나는 적어도 3개의 중요한 B-세포 전-생존 (pro-survival) 기작 - 세포자멸사, 세포 부착, 및 세포 이동과 귀소의 조절의 결정적인 매개자이다. 아필리모드와 이부르티닙의 상숭적 활성은 아필리모드가 다른 화학요법제, 특히 B-세포 림프종에 대해 표적된 것들과의 조합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유망한 작용제임을 더욱 나타낸다.
실시예 5 : 생체 내에서 DLBCL 종양에 대한 이부르티닙과의 조합 시 아필리모드의 항-종양 활성
단독으로 또는 이부르티닙과의 조합으로, 생체 내에서 종양 성장을 억제하는 아필리모드의 능력을 이어서 시험하였다. 하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아필리모드 단독은 종양 성장을 현저히 감소시켰고 아필리모드와 이부르티닙의 조합은 이들의 단독 작용제에 비해 더 우수한 성장 억제를 제공하였다.
본 연구 목적은 피하 SUDHL-6 인간 DLBCL 암 이종이식 모델에서 단독으로 및 이부르티닙과의 조합으로, 아필리모드의 생체 내 치료 효능을 전-임상적으로 평가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첫 번째 목표에서, 아필리모드를 단독으로 시험하였다. SUDHL-6 세포주를 37℃, 5% CO2 대기 중에서 10% 소 태아 혈청 및 L-글루타민 (2 mM)이 보충된 RPMI-1640 배지에서 유지하였다. 종양 세포를 주 2회 계대-배양하였고 종양 접종을 위해 지수적 성장 도중에 수확하였다. NOD-SCID 마우스를 접종 24시간 전에
Figure 112016079841729-pct00002
조사하였다. 각 마우스의 우측 옆구리에 마트리겔과 함께 0.1 ml의 PBS (1:1) 중의 SU-DHL-6 종양 세포 (5 x 106)를 피하로 접종하였다. 그 후에 종양을 대략 80-120 mm3의 평균 크기로 성장시켰고 마우스를 5개 그룹으로 나눈 후 표 4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처리하였다.
DLBCL 종양의 이종이식 모델
그룹 처리 용량 투약 일정 투여 경로 마우스의 수
1 비히클(식염수) - QD×5-2일 휴식-QD×5 i.v. 6
2 아필리모드 디메실레이트 67.5 mg/kg
(47 mg/kg 유리 염기)
QD×5-2일 휴식-QD×5 i.v. 6
3 0.5% 메틸셀룰로스 - BID×5-2일 휴식-BID×5 p.o. 6
4 아필리모드 유리 염기 75 mg/kg BID×5-2일 휴식-BID×5 p.o. 6
5 아필리모드 유리 염기 150 mg/kg QD×5-2일 휴식-BID×5 p.o. 6
종양 크기를 칼리퍼를 사용하여 2차원적으로 주 2회 측정하였고, 용적을 화학식: V = 0.5 a x b 2 (여기서, ab는 각각 종양의 긴 직경 및 짧은 직경임)을 이용하여 mm3로 표현된다. 마우스를 29일간 모니터링하였고 유의미한 성장 억제가 모든 아필리모드 처리군에서 관찰되었다. 정맥 내 투여는 종양 크기를 58% (47 mg/kg) 감소시켰고 경구 투여는 체중에 무시할 만한 효과를 나타내면서 성장을 68 % (150 mg/kg 분할 용량) 또는 64% (150 mg/kg 단일 용량) 감소시켰다 (도 16 참고). 따라서, 아필리모드의 정맥 내 및 경구 투여는 시험관 내에서 SU-DHL-6 종양의 성장을 약화시키는데 유사한 효능을 나타내었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동일한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동일한 SUDHL-6 인간 DLBCL 암 이종이식 모델에서 아부르티닙과 조합될 때, 아필리모드의 효능을 본 연구의 제2 군에서 평가하였다. 각 마우스의 우측 옆구리에 마트리겔과 함께 0.1 ml의 PBS (1:1) 중의 SU-DHL-6 종양 세포 (5 x 106)를 피하로 접종하였다. 그 후에 종양을 대략 80-120 mm3의 평균 크기로 성장시켰고 마우스를 6개 그룹으로 나눈 후 표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처리하였다.
SUDHL-6 세포주 이종이식 실험
그룹 처리 용량 투약 일정 투여 경로 마우스의 수
1 비히클 NA QDx5-2일 휴식-QDx5 p.o. + i.v. 6
2 아필리모드 유리 염기 75 mg/kg QDx5-2일 휴식-QDx5 p.o. 6
3 이부르티닙 10 mg/kg QD×12 i.v. 6
4 이부르티닙 20 mg/kg QD×12 i.v. 6
5 아필리모드 유리 염기 + 이부르티닙 75 mg/kg + 10 mg/kg QDx5-2일 휴식-QDx5 + QD×12 p.o. + i.v. 6
6 아필리모드 유리 염기 + 이부르티닙 75 mg/kg + 20 mg/kg QDx5-2일 휴식-QDx5 + QD×12 p.o. + i.v. 6
종양 크기를 칼리퍼를 사용하여 2차원적으로 주 2회 측정하였고, 용적을 화학식: V = 0.5 a x b 2 (여기서, ab는 각각 종양의 긴 직경 및 짧은 직경임)을 이용하여 mm3로 표현된다. 마우스를 31일간 모니터링하였고 유의미한 성장 억제가 75 mg/kg 아필리모드 (57%), 10 mg/kg 이부르티닙 (54%), 및 20 mg/kg 이부르티닙 (64%) 처리군에서 관찰되었다. 75 mg/kg 아필리모드와 이부르티닙의 조합은 용량 의존적 방식으로 종양 성장을 더욱 감소시켰다; 10 mg/kg 이부르티닙 (65%) 및 20 mg/kg 이부르티닙 (70%) (도 17 참고).
실시예 6 : 아필리모드는 PIKfyve 키나아제의 고도의 선택적 결합제이다
암세포에서 아필리모드의 세포 표적을 동정하기 위하여, 인간 신경아교종 세포로부터 제조된 전 세포 용해물을 화학적 포획 질량 분광계 (chemical capture mass spectrometry, CCMS)를 사용하여 그의 결합 파트너를 동정하는데 사용하였다. 이 작업은 독일 베를린 소재의 카프로텍 바이오어날리스틱스 (Caprotec Bioanalytics) GmbH에서 수행하였다. 문헌 [Michaelis et al., J. Med . Chem., 55: 3934-44 (2012)] 및 그에 인용된 참조를 참고한다. 간략히는, 단일 배향으로 부착된 선택성 함수로서 아필리모드를 이용하는 2종의 포획 화합물 변형체를 합성하였고 동일성 및 순도를 보증하기 위해 LCMS 및 1H-NMR로 분석하였다. 포획 조건, 예를 들어 포획 화합물과 단백질의 비-특이적 상호작용의 최소화, 단백질과 포획 화합물의 최대 결합을 얻기 위한 시약 및 단백질의 농도 등을 전 세포 용해물에서 최적화하였다. 경쟁자 리간드로서 아필리모드를 사용한 CCMS 실험에서 특정 단백질을 동정하기 위해 하나의 포획 화합물을 선택하였다. 포획 분석에서 LC-MS에 의해 검출되고 경쟁 대조군 실험에서 현저히 감소된 단백질이 특이적 결합제로 고려된다. 이들 특이적 결합체를 불편추정 (unbiased) 데이터 평가 후 특이성을 결정하기 위해 엄격한 데이터 분석 기준에 추가로 적용하였다. 특이적 단백질 결합제는 포획 실험에서의 이들의 배수 변화 (fold change, FC) 값에 따라서 순위를 매겼다. 단지 2종의 단백질이 아필리모드의 높은 가능성의 후보 표적으로 동정되었다: PIKfyve 및 Vac14. 4회의 상이한 포획 화합물 농도 실험에서 이들 단백질에 대한 FC 및 p값을 표 6에 나타내었다.

포획 화합물 농도
0.1 μM 0.5 μM 1.0 μM 2.0 μM
PIKfyve log2(FC) 6.3 6.2 4.1 4.3
-log10(p-값) 3.7 2.8 5.1 3.9
Vac14 log2(FC) 6.2 5.6 Inf. 3.9
-log10(p-값) 3.9 3.8 1.9 3.6
별도의 연구에서, 키나아제 표적을 동정하기 위하여 아필리모드의 단백질 키나아제 프로파일링을 수행하였다 (DiscoveRx, Fremont, CA). 아필리모드의 공지의 표적인 PIKfyve에 대해 상승하는 농도 (0.05-3000 nM)로 아필리모드를 사용하여 용해 상수 (Kd)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실험을 2회 수행하였고 Kd는 0.075 nM (범위 0.069 - 0.081 nM)인 것으로 결정되었다 (도 7).
이어서, 아필리모드를 키나아제의 광범위한 패널 (PIKfyve는 포함되지 않음)에 대해 스크리닝하였다. 종합적으로, 질환-관련 키나아제를 비롯한 456종의 키나아제를 아필리모드와 결합하는 이들의 능력에 대해 분석하였다. 아필리모드의 스크리닝 농도는 1 μM이었는데, 이 농도는 PIKfyve에 대한 아필리모드의 Kd보다 >10,000 더 높다. 본 스크리닝 결과는 아필리모드가 시험된 456종의 키나아제의 어느 것에도 결합하지 않았음을 보여주었다.
종합하면, 이들 결과는 아필리모드가 암세포에서 단일 세포성 키나아제인, PIKfyve에 대해 높은 선택성으로 결합함을 입증한다. PIKfyve는 PI(3)P에 결합하고 지질 제2 메신저 PI(3,5)P2 및 PI(5)P의 형성을 촉매하는 효소이고, 다른 결과는 아필리모드가 또한 정상 세포에서 이 키나아제 PIKfyve의 강력하고 특이적 억제제임을 보여주고 있다. 문헌 [Cai X et al., Chem Biol. 2013 Jul 25; 20(7): 912-21]. 하기에서 더욱 상세히 논의되는 바와 같이, 암세포에 대한 아필리모드의 선택적 세포독성 기작을 이해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들은 암세포에서 이의 생물학적 활성을 규명하기 위해 일련의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7 : 아필리모드의 항암 활성 기작
아필리모드는 염증성 사이토카인 IL-12 및 IL-23의 강력한 억제제로 알려져 있다. 아필리모드가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에 대해 처방되는 한, 이 활성에 대해 단정적이었다. 아필리모드의 임상 시험이 건선, 류마티스 관절염, 및 크론병과 같은 자가면역 및 염증성 질환에서 이의 강력한 효능에 대해 집중되었다고 하더라도, 아필리모드가 암, 특히 c-rel 또는 IL-12/23이 전-증식성 (pro-proliferative) 요인이었던 암에 대해 유용한 작용제일 수 있다는 몇몇 공개된 제안이 존재하였다. 예를 들어, WO 2006/128129 및 문헌 [Baird et al., Frontiers in Oncology 3:1 (2013)]을 각각 참고한다. 놀랍게도, 아필리모드의 IL-12/23 억제 활성에 대해 단정적이었던 이들 예상과는 달리, 본 발명자들은 c-Rel 발현 (c-Rel은 IL-12/23 유전자에 대한 전사 인자임), IL-12, 또는 IL-23 발현의 어느 하나와 시험된 세포주에서 아필리모드에 대한 감수성 사이에 아무런 상관관계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도 8-14 참고).
간략히는, 암 세포주 백과사전 (Cancer Cell Line Encyclopedia, CCLE)으로부터의 유전자 발현 데이터를 그에 대해 아필리모드에 대한 용량 반응 곡선이 수득되었던 22종의 B 세포 림프종 세포주에 대해 분석하였다 (표 7 참고).
아필리모드에 대한 유전자 발현 및 반응에 대해 분석된 22종의 B 세포 림프종 세포주. 엡스타인 바 ( Epstein Barr ) 상태 및 핵 cREL 상태가 주목된다. ND = 데이터 없음
번호 B 세포 림프종 모델 세포주 IC50 (nM) EBV REL
1 인간 버킷 림프종 ST486 25 No ND
2 인간 버킷 림프종 Daudi 200 Yes Yes
3 인간 버킷 림프종 EB1 174 Yes ND
4 인간 버킷 림프종 GA-10 382 No ND
5 인간 외투 세포 림프종 Rec-1 300 No ND
6 인간 외투 세포 림프종 JeKo-1 70 No ND
7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SUDHL-4 25 No Yes
8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SUDHL-6 80 No ND
9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DB 150 No ND
10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Toledo 270 No ND
11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SUDHL-10 20 No ND
12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WSU-DLCL2 160 No ND
13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OCI-Ly19 380 Yes ND
14 인간 버킷 림프종 Namalwa 600 Yes ND
15 인간 버킷 림프종 CA46 >10,000 No ND
16 인간 버킷 림프종 Raji >10,000 Yes Yes
17 인간 외투 세포 림프종 GRANTA-519 >10,000 Yes ND
18 인간 소포 B 세포 림프종 RL >10,000 ND ND
19 인간 소포 림프종-DLBCL-GCB DOHH-2 700 No ND
20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HT 642 No ND
21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Pfeiffer 2,620 ND ND
22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KARPAS-422 >10,000 No ND
c-REL의 발현을 감수성 (500 nM 미만의 IC50) 및 둔감성 (500 nM 초과의 IC50) 세포주에서 비결합 (unpaired) t-검정에 의해 비교하였다. c-REL 발현과 감수성 사이에 어떠한 유의미한 관계도 발견되지 않았다 (p=0.97). 또한, 아필리모드에 대한 감수성과, 그에 대한 데이터가 공개되어 있는 세포주 내 구성적 핵 c-REL의 존재 또는 엡스타인 바 바이러스의 감염 사이에서도 유의미한 관계가 전혀 검출되지 않았다. 시험된 세포주는 다음의 아필리모드 감수성 (#1-13) 및 둔감성 (#14-22) B 세포 림프종 세포주를 포함한다: 인간 버킷 림프종 세포주 1-4 (ST486, Daudi, EB1, GA-10), 인간 외투 세포 림프종 5-6 (Rec-1, JeKo-1),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GCB 7-13 (SUDHL-4, SUDHL-6, DB, Toledo, SUDHL-10, WSU-DLCL2, OCl-Ly19), 인간 버킷 림프종 14-16 (Namalwa, CA46, Raji), 인간 외투 세포 림프종 17 (GRANTA-519), 인간 소포 B 세포 림프종 18 (RL), 인간 소포 림프종-DLBCL-GCB 19 (DOHH-2),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GCB (HT, Pfeiffer, KARPAS-422).
IL-12A, IL-12RB1, IL-12RB2, IL-12B, IL-23A 및 IL-23R의 발현을 상기에 언급된 22종의 림프종 세포주를 포함하는 75종의 암 세포주의 다양한 그룹에서 추가로 분석하였다 (표 8 참고).
다양한 암 세포주
번호 암 모델 세포주 IC50 (nM)
1 인간 버킷 림프종 ST486 25
2 인간 외투 세포 림프종 JeKo-1 70
3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SUDHL-4 25
4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SUDHL-6 80
5 인간 버킷 림프종 Daudi 200
6 인간 조직구 림프종 U937 106
7 인간 폐 암종 A549 110
8 인간 결장직장암 HCT116 125
9 인간 B-세포 림프종 DB 150
10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WSU-DLCL2 160
11 인간 결장직장암 HCT-15 200
12 인간 결장직장암 SW480 90
13 인간 결장직장암 COLO-205 380
14 인간 결장직장암 SW620 90
15 인간 T-세포 백혈병 Jurkat 200
16 인간신경아교종 H4 250
17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Toledo 270
18 인간 B 세포 비-호지킨 림프종 Rec-1 300
19 인간 호지킨 림프종 KMH-2 181
20 인간 버킷 림프종 EB1 174
21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SUDHL-10 20
22 인간 버킷 림프종 GA-10 382
23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OCI-Ly19 380
24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HT 642
25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Pfeiffer 2,620
26 인간 버킷 림프종 Namalwa 600
27 인간 소포 B 세포 림프종-GCB DOHH-2 700
28 인간 방광 암종 (GATOR -/-) SW780 1000
29 인간 결장직장암 MDST8 1000
30 인간 버킷 림프종 Raji 10,000
31 인간 호지킨 림프종 HD-MyZ >1000
32 인간 호지킨 림프종 L540 >1000
33 인간 호지킨 림프종 HDLM-2 >1000
34 인간 버킷 림프종 CA46 >10,000
35 인간 역형성 큰세포 림프종 SUDHL-1 590
36 인간 폐 암종 H1734 1500
37 인간 결장직장암 SW1116 1500
38 인간 결장직장암 COLO-320DM 2,060
39 인간 신경모세포종 A172 2000
40 인간 폐 암종 H1693 2000
41 인간 폐 암종 H460 > 2000
42 인간 폐 암종 H358 >2000
43 인간 췌장암 CAPAN2 >2000
44 인간 췌장암 PANC1 >2000
45 인간 췌장암 MiaPaCa-2 >2000
46 인간 췌장암 AsPC1 >2000
47 인간 전립샘암 DU145 >2000
48 인간 급성 골수성 백혈병 KG-1 >2500
49 인간 전립샘암 LnCap 3000
50 인간 T-세포 림프종 HH 3,300
51 인간 T-세포 백혈병 MOLT-4 3,300
52 인간 전립샘암 22RV1 >5000
53 인간 결장직장암 DLD-1 >5000
54 인간 골수성 백혈병 K562 >5000
55 인간 결장직장암 RKO >5000
56 인간 난소암 TOV-21G 7000
57 인간 전립샘암 PC-3 10,000
58 인간 호지킨 림프종 L428 10,000
59 인간 형질세포종 RPMI-8226 >10,000
60 인간 폐 암종 NCI-1975 >10,000
61 인간 유방암 CAMA1 >10,000
62 인간 신경모세포종 SW1088 >10,000
63 인간 신경모세포종 M0591K >10,000
64 인간 신경모세포종 U-118 MG >10,000
65 인간 신경모세포종 U-87 MG >10,000
66 인간 급성 단핵구 백혈병 THP1 >10,000
67 인간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GCB KARPAS-422 >10,000
68 인간 소포 B 세포 림프종 RL >10,000
69 인간 외투 세포 림프종 GRANTA-519 >10,000
70 인간 기관지폐포암 NCI-H1650 >20,000
71 인간 기관지폐포암 SW1573 >20,000
72 인간 기관지폐포암 NCI-H1781 >20,000
73 인간 기관지폐포암 NCI-H1666 20,000
74 인간 결장직장암 LOVO >10,000
75 인간 결장직장암 HT-29 >10,000
간략히는, CCLE로부터의 유전자 발현 데이터를 그에 대해 아필리모드에 대한 용량 반응 곡선이 수득되었던 75종의 암 세포주에 대해 분석하였다. 각 인터류킨 유전자의 발현을 감수성 (500 nM 미만의 IC50) 및 둔감성 (500 nM 초과의 IC50) 세포주에서 비결합 t-검정에 의해 비교하였다. IL-23A만이 유일한 예외이고 어떠한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도 발견되지 않았다 (p = 0.022). IL-23A는 이전에 아필리모드 감수성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에서 상승하였던 것으로 나타났고, 재조합 IL-23A는 비소세포 폐암 세포주의 증식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Baird et al. 2013, 상동 참고). 중요하게는, 감수성 암 세포주에서 IL-23A 발현의 통계학적 유의성이 단지 2종의 결장직장암 세포주에 의해 전적으로 유도된 것으로 보인다. 또한, IL-23A 발현은 비-호지킨 B 세포 림프종에서 감수성의 통계학적으로 유의미한 예언자가 아니다 ( 15). CCLE 데이터베이스로부터의 포괄적인 유전자 발현 데이터를 22종의 B 세포 림프종 세포주에서 아필리모드 감수성에 대해 2종의 신뢰할만한 유전자 바이오마커에 대해 분석하였다.
부가적인 실험은 아필리모드의 세포독성 활성이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그의 유발 세포성 세포자멸사를 기반으로 하였음을 입증하였다. 세포자멸사를 정량화하였고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서 아포톡스-글로 트리플렉스 분석 (Apotox-Glo Triplex assay, Promega, Inc.)을 이용하여 괴사와 구분하였다. 이 분석에서, 생존력, 세포자멸사 및 괴사를 3종의 상이한 마커 (각각 GF-AFC, 캐스파제-3/7, 및 비스-AAF-R110)를 이용하여 동시에 평가하였다. 4는 배양 배지에 아필리모드를 첨가하고 48시간 후에 아필리모드 처리된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세포주에서 세포자멸성 (중간 막대) 및 괴사성 (우측 막대) 마커를 나타낸다. 좌측 막대는 생존력 마커를 나타낸다.
H4 신경아교종 세포주에서의 처리 (IC50 250-300 nM) 72시간 후 자가포식 액포 (autophagic vacuoles)에 대해 분석함으로써 아필리모드의 세포독성 활성의 기작을 더욱 조사하였다. 자가포식현상을 제조사의 지침에 따라서 Cyto-ID 자가포식현상 검출 키트 (Enzo)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5는 아필리모드가 용량-의존적 방식으로 자가포식현상을 포함함을 보여준다.
PIKfyve는 초기 엔도좀의 세포질 소엽 (leaflet)과 연관이 있으며 그의 활성은 내막 (endomembrane) 항상성, 엔도리소좀 (endolysosomal) 기능 및 엔도좀으로부터 트랜스-골지 네트워크 (trans-Golgi network)로의 적절한 역행 운반에 요구된다. 세포로의 키나아제 무용 돌연변이 (dead mutant)의 도입은 PI(3,5)P2의 주입에 의해 회복될 수 있는 팽윤된 액포 표현형질을 유도한다. RNAi뿐만 아니라 약리학적 방법에 의한 PIKfyve의 억제가 또한 팽윤된 액포 및 내막 역학의 파괴를 초래한다. 2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아필리모드를 이용한 PIKfyve의 약리학적 파괴는 세포내 통행의 파괴를 통해 특정 암 세포주에서 선택적 치사를 유도한다.

Claims (23)

  1. 이를 필요로 하는 개체에서 난치성 또는 재발성 비-호지킨 B 세포 림프종의 치료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아필리모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상기 방법이 치료학적 유효량의 아필리모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염을 개체에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아필리모드 디메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조성물이 경구 투약 형태, 또는 정맥내 투여에 적합한 투약 형태인, 조성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비-호지킨 B 세포 림프종이 미만성 큰 B 세포 림프종 (DLBCL), 버킷 림프종, 종격 B 세포 림프종, 외투 세포 림프종, 및 소포 림프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비-호지킨 B 세포 림프종이 DLBCL, DLBCL-GCB, 및 소포 림프종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방법이 이부르티닙, 리툭시맙, 독소루비신 (히드록시다우노루비신 또는 Adriamycin™으로도 언급됨), 프레드니솔론, 빈크리스틴 (Oncovin™으로도 언급됨), 벨케이드, 에베롤리무스, 사이클로포스파미드, 또는 프레드니손,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와 함께 아필리모드를 투여하는 것을 포함하는,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가 리툭시맙 및 이부르티닙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가 독소루비신, 프레드니솔론, 빈크리스틴, 벨케이드, 에베롤리무스, 또는 이부르티닙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조성물.
  9. 제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부가적인 활성제가 아필리모드 조성물과 함께 단일 투약 형태로, 또는 아필리모드 조성물과 별개의 투약 형태로 투여되는, 조성물.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개체가 인간인, 조성물.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17. 삭제
  18. 삭제
  19. 삭제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67022474A 2014-01-24 2015-01-23 아필리모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KR1023201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31078P 2014-01-24 2014-01-24
US201461931075P 2014-01-24 2014-01-24
US61/931,075 2014-01-24
US61/931,078 2014-01-24
US201462077127P 2014-11-07 2014-11-07
US62/077,127 2014-11-07
PCT/US2015/012733 WO2015112888A1 (en) 2014-01-24 2015-01-23 Apilimo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26984A KR20160126984A (ko) 2016-11-02
KR102320190B1 true KR102320190B1 (ko) 2021-11-03

Family

ID=5368198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2474A KR102320190B1 (ko) 2014-01-24 2015-01-23 아필리모드 조성물 및 이를 사용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3) US10179135B2 (ko)
EP (1) EP3096757B1 (ko)
JP (2) JP6855243B2 (ko)
KR (1) KR102320190B1 (ko)
CN (1) CN106659716B (ko)
AU (1) AU2015209133B2 (ko)
BR (1) BR112016017112A2 (ko)
CA (1) CA2937655C (ko)
IL (1) IL246879B (ko)
MX (1) MX2016009590A (ko)
RU (2) RU2016134406A (ko)
WO (1) WO201511288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2015209133B2 (en) 2014-01-24 2019-10-03 AI Therapeutics, Inc. Apilimo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BR112017008799A2 (pt) * 2014-11-07 2017-12-19 Lam Therapeutics Inc composições de apilimod e métodos de uso das mesmas no tratamento de câncer renal
RU2731908C2 (ru) * 2014-11-07 2020-09-09 ЭйАй ТЕРАПЬЮТИКС, ИНК. Композиции апилимода и способы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ри лечениии меланомы
US10729694B2 (en) 2015-01-23 2020-08-04 AI Therapeutics, Inc. Anti-viral compositions containing PIKfyve inhibitors and use thereof
US20180078561A1 (en) * 2015-03-31 2018-03-22 Lam Therapeutics, Inc. Active metabolites of apilimod and uses thereof
TWI746449B (zh) 2015-07-20 2021-11-21 美商Ai治療公司 使用阿吡莫德治療癌症之方法
BR112018009738A2 (pt) * 2016-01-21 2018-12-04 Lam Therapeutics Inc biomarcadores para tratamento contra o câncer com apilimod
KR20180015441A (ko) 2016-08-03 2018-0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롤리 키보드
CA3034453A1 (en) * 2016-08-25 2018-03-01 AI Therapeutics, Inc. Compositions comprising pikfyve inhibitors and methods related to inhibition of rank signaling
CA3090807A1 (en) 2018-02-21 2019-08-29 AI Therapeutics, Inc. Combination therapy with apilimod and glutamatergic agents
CN108743947B (zh) * 2018-07-04 2020-12-15 复旦大学附属肿瘤医院 一种治疗b细胞淋巴瘤的药物组合物
CN110496128B (zh) * 2019-09-23 2022-09-30 吉林大学 利培酮或帕潘立酮在制备治疗弥漫性大b细胞淋巴瘤的药物中的应用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8129A2 (en) * 2005-05-26 2006-11-30 Synta Pharmaceuticals Corp. Method for treating cancer

Family Cites Families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0015A (en) 1990-08-06 1993-05-11 Hoffman-La Roche Inc. Homogeneous assay system using the nuclease activity of a nucleic acid polymerase
DK1921169T3 (da) 1993-11-12 2012-06-04 Phri Properties Inc Hybridiseringssonder til nukleinsyredetektion, universelle stamceller, fremgangsmåder og kits
US6693097B2 (en) 2001-11-30 2004-02-17 Synta Pharmaceuticals Corp. Pyrimidine compounds
US20050255118A1 (en) 2004-02-06 2005-11-17 Nancy Wehner Methods and composition for treating tumors and metastatic disease
JP4926943B2 (ja) * 2004-04-13 2012-05-09 シンタ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 コーポレーション Il−12産生を阻害する二塩
WO2006029385A2 (en) * 2004-09-08 2006-03-16 Chelsea Therapeutics, Inc. Quinazoline derivatives as metabolically inert antifolate compounds.
WO2006053112A1 (en) 2004-11-10 2006-05-18 Synta Pharmaceuticals Corp. Process for preparing trisubstituted pyrimidine compounds
TW200720256A (en) 2005-05-13 2007-06-01 Synta Pharmaceuticals Corp IL-12 modulatory compounds
BRPI0618622A2 (pt) 2005-11-17 2011-09-06 Osi Pharm Inc composto, composição, e, uso de um composto
AR057960A1 (es) 2005-12-02 2007-12-26 Osi Pharm Inc Inhibidores de proteina quinasa biciclicos
WO2007087395A2 (en) 2006-01-25 2007-08-02 Osi Pharmaceuticals, Inc. UNSATURATED mTOR INHIBITORS
KR101460999B1 (ko) 2006-07-12 2014-11-17 유니버시티 오브 테네시 리서치 파운데이션 치환된 아실아닐리드 및 그의 사용 방법
EP2118087B1 (en) 2007-02-06 2012-03-28 Novartis AG Pi 3-kinase inhibitors and methods of their use
RU2438664C2 (ru) 2007-05-15 2012-01-10 Пирамал Лайф Сайнсиз Лимитед Синергическая фармацевтическая комбинация для лечения рака
DE102007036076A1 (de) 2007-08-01 2009-02-05 Bayer Healthcare Aktiengesellschaft Dipeptoid-Produgs und ihre Verwendung
US8193182B2 (en) 2008-01-04 2012-06-05 Intellikine, Inc. Substituted isoquinolin-1(2H)-ones, and methods of use thereof
JP5258331B2 (ja) * 2008-03-03 2013-08-07 ロート製薬株式会社 光安定性が改善されたニューキノロン系抗菌剤含有医薬組成物
US20110224223A1 (en) 2008-07-08 2011-09-15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A California Corporation MTOR Modulators and Uses Thereof
EP3023426A1 (en) 2008-07-17 2016-05-25 Critical Outcome Technologies, Inc. Thiosemicarbazone inhibitor compounds and cancer treatment methods
DK2544674T3 (da) * 2010-03-08 2018-01-29 Sloan Kettering Inst Cancer Res Cdc7-kinaseinhibitorer og anvendelser deraf
EP2554169B1 (en) 2010-03-29 2019-11-20 EA Pharma Co., Ltd.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mprising phenylalanine derivative
US8402515B2 (en) 2010-05-06 2013-03-19 Jonathan Weizman Apparatus and method for establishing a peer-to-peer communication session with a client device
WO2011146727A1 (en) * 2010-05-19 2011-11-24 Philip Bosch Methods of treating interstitial cystitis
US8709419B2 (en) 2010-08-17 2014-04-29 Hoffmann-La Roche, Inc. Combination therapy
WO2012066518A1 (en) * 2010-11-19 2012-05-24 Ecole Polytechnique Federale De Lausanne (Epfl) 2-piperazin-1-yl-4h-1,3-benzothiazin-4-one derivatives and their use for the treatment of mammalian infections
WO2013152342A1 (en) 2012-04-06 2013-10-10 OSI Pharmaceuticals, LLC Anti-cancer mtor inhibitor and anti-androgen combination
US8940742B2 (en) 2012-04-10 2015-01-27 Infinity Pharmaceuticals, Inc. Heterocyclic compounds and uses thereof
US9856320B2 (en) 2012-05-15 2018-01-02 Bristol-Myers Squibb Company Cancer immunotherapy by disrupting PD-1/PD-L1 signaling
US20140105891A1 (en) 2012-10-05 2014-04-17 Cerulean Pharma Inc. Treatment of cancer
US9295731B2 (en) 2013-04-01 2016-03-29 Mark Quang Nguyen Cleavable drug conjugates, compositions thereof and methods of use
AU2015209133B2 (en) 2014-01-24 2019-10-03 AI Therapeutics, Inc. Apilimo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RU2731908C2 (ru) 2014-11-07 2020-09-09 ЭйАй ТЕРАПЬЮТИКС, ИНК. Композиции апилимода и способы его использования при лечениии меланомы
BR112017008799A2 (pt) 2014-11-07 2017-12-19 Lam Therapeutics Inc composições de apilimod e métodos de uso das mesmas no tratamento de câncer renal
CA2999965A1 (en) 2015-02-03 2016-08-11 Lam Therapeutics, Inc. Apilimo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20180078561A1 (en) 2015-03-31 2018-03-22 Lam Therapeutics, Inc. Active metabolites of apilimod and uses thereof
TWI746449B (zh) 2015-07-20 2021-11-21 美商Ai治療公司 使用阿吡莫德治療癌症之方法
WO2020009971A1 (en) 2018-07-05 2020-01-09 Mayo Foundation For Medical Education And Research Pikfyve inhibitors
AR119934A1 (es) 2019-09-12 2022-01-19 Ai Therapeutics Inc Inhibidores de pikfyve para terapia contra el cánc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28129A2 (en) * 2005-05-26 2006-11-30 Synta Pharmaceuticals Corp. Method for treating cancer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Frontiers in Oncology. June 2013. Vol. 3, Article 162. pages 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659716B (zh) 2021-03-12
JP2017503842A (ja) 2017-02-02
US11266654B2 (en) 2022-03-08
AU2015209133B2 (en) 2019-10-03
EP3096757B1 (en) 2020-10-21
NZ722491A (en) 2021-01-29
RU2016134406A (ru) 2018-03-01
CA2937655C (en) 2022-06-28
US10179135B2 (en) 2019-01-15
US20200268764A1 (en) 2020-08-27
IL246879A0 (en) 2016-08-31
AU2015209133A1 (en) 2016-08-11
RU2016134406A3 (ko) 2018-09-20
CN106659716A (zh) 2017-05-10
BR112016017112A2 (pt) 2017-08-08
EP3096757A4 (en) 2017-10-04
IL246879B (en) 2020-05-31
CN106659716A8 (zh) 2017-06-30
JP2021046430A (ja) 2021-03-25
WO2015112888A1 (en) 2015-07-30
MX2016009590A (es) 2017-05-09
KR20160126984A (ko) 2016-11-02
US20170007613A1 (en) 2017-01-12
RU2019107011A (ru) 2019-04-08
CA2937655A1 (en) 2015-07-30
US20190183902A1 (en) 2019-06-20
EP3096757A1 (en) 2016-11-30
JP6855243B2 (ja) 2021-04-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66654B2 (en) Apilimo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US11166944B2 (en) Apilimo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in the treatment of renal cancer
US20180078561A1 (en) Active metabolites of apilimod and uses thereof
AU2015342876B2 (en) Apilimod for use in the treatment of colorectal cancer
US20190015421A1 (en) Biomarkers for Treating Cancer with Apilimod
NZ722491B2 (en) Apilimod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using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