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9645B1 - 동력전달장치 - Google Patents

동력전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9645B1
KR102309645B1 KR1020170044785A KR20170044785A KR102309645B1 KR 102309645 B1 KR102309645 B1 KR 102309645B1 KR 1020170044785 A KR1020170044785 A KR 1020170044785A KR 20170044785 A KR20170044785 A KR 20170044785A KR 102309645 B1 KR102309645 B1 KR 1023096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pulley
magnet
contac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4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359A (ko
Inventor
김규식
김규섭
이병화
김수철
이봉현
Original Assignee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자동차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자동차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4478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09645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3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3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96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96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DCOUPLINGS FOR TRANSMITTING ROTATION; CLUTCHES; BRAKES
    • F16D27/0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 F16D27/10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 F16D27/118Magnetically- or electrically- actuated clutches; Control or electric circuits therefor with an electromagnet not rotating with a clutching member, i.e. without collecting rings with interengaging jaws or gear tee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ynamo-Electric Clutches, Dynamo-Electric Brake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Devices For Conveying Motion By Means Of Endless Flexible Members (AREA)

Abstract

동력전달장치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동력전달장치는: 동력부와 연결된 벨트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부와, 풀리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자석과, 자석의 외측면을 감싸며, 전류공급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자석을 착자 또는 탈자시키는 코일이 구비되는 자력조절부와, 풀리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자석의 착자 또는 탈자에 의해 풀리부와 접촉되거나 비접촉되어 풀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거나 동력이 차단되어 작동을 멈추는 가동부와, 가동부의 작동여부에 따라 동작여부가 결정되는 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동력전달장치{POWER TRANSMISSION DEVICE}
본 발명은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동력 및 전력손실을 줄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회전력이 필요한 기기는 동력부에 연결된 풀리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는다. 즉, 동력부의 동력이 풀리에 전달되어 작동되고, 작동되는 풀리와 연결된 기기에 풀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된다. 그러나, 풀리는 작동 유무와 관계없이 항상 부하상태로 기기와 연결되어 있어 동력 및 전력이 불필요하게 손실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
본 발명에 대한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3468호(발명의 명칭:동력 전달 장치, 등록일:2017.02.28.)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필요성에 의해 창출된 것으로서, 자력조절부를 통해 자석의 착자 및 탈자 특성을 이용하여 기기부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동력을 차단할 수 있어, 동력 및 전력손실을 줄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력전달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동력전달장치는: 동력부와 연결된 벨트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부;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싸며, 전류공급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자석을 착자 또는 탈자시키는 코일이 구비되고, 상기 풀리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자력조절부; 상기 풀리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자석의 착자 또는 탈자에 의해 상기 풀리부와 접촉되거나 비접촉되어 상기 풀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거나 동력이 차단되어 작동을 멈추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부의 작동여부에 따라 동작여부가 결정되는 기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자석의 착자에 의해 상기 풀리부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풀리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자석의 탈자에 의해 상기 풀리부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풀리부와 비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는, 상기 기기부의 기기회전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축; 및 상기 가동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자석의 착자 또는 탈자에 의해 상기 가동축과 함께 이동되어 상기 풀리부와 접촉되거나 비접촉되는 가동부몸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몸체는 상기 자석의 착자에 의해 상기 풀리부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풀리부와 접촉되고, 상기 가동축은 상기 가동부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기기회전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기기회전부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가동부몸체는 상기 자석의 탈자에 의해 상기 풀리부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풀리부와 비접촉되고, 상기 가동축은 상기 가동부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기기회전부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기기회전부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기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풀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풀리부가 회전되도록 상기 풀리부를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코일은 전류공급부로 공급받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자석을 착자 또는 탈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는 자력조절부를 통해 자석의 착자 및 탈자 특성을 이용하여 기기부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동력을 차단할 수 있어, 동력 및 전력손실을 줄여 에너지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자력조절부에 전류가 공급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가동부의 가동축과 기기부의 기기회전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자력조절부에 전류가 공급되어 가동부가 풀리부에 접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가동부의 가동축과 기기부의 기기회전부가 치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자력조절부에 전류가 공급되어 가동부가 풀리부에 이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가동부의 가동축과 기기부의 기기회전부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가동부의 가동축과 기기부의 기기회전부의 치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를 설명하도록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자력조절부에 전류가 공급되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가동부의 가동축과 기기부의 기기회전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자력조절부에 전류가 공급되어 가동부가 풀리부에 접촉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가동부의 가동축과 기기부의 기기회전부가 치합된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자력조절부에 전류가 공급되어 가동부가 풀리부에 이격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가동부의 가동축과 기기부의 기기회전부가 분리되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의 가동부의 가동축과 기기부의 기기회전부의 치합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1)는 풀리부(100), 자력조절부(200), 가동부(300) 및 기기부(400)를 포함한다.
풀리부(100)는 동력부(10)와 연결된 벨트(20)에 의해 회전된다. 즉, 풀리부(100)는 벨트(20)를 통해 동력부(1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자력조절부(200)는 풀리부(100) 상에서 풀리부(100)와 이격되게 배치되며, 기기부(400)에 연결된 제2연결부재(700)에 의해 연결된다.
자력조절부(200)에는 자석(210)과 코일(220)이 구비된다. 자석(210)는 알리코계열로 풀리부(100)의 내부에 배치되도록 기기부(400)에 설치된다.
코일(220)은 자석(210)의 외측면을 감싸며, 전류공급부(3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자석(210)을 착자 또는 탈자시킨다. 구체적으로, 전류공급부(30)로부터 전류를 받아 코일(220)로 공급할 때, 전류의 방향을 역전시켜 자기장의 방향을 바꿔주면, 자석(210)은 역전된 전류의 방향에 따라 착자 또는 탈자된다.
가동부(300)는 풀리부(100)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자석(210)의 착자 또는 탈자에 의해 풀리부(100)와 접촉되거나 비접촉되어 풀리부(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거나 동력이 차단되어 작동을 멈춘다.
가동부(300)는 기기부(400)의 기기회전부(4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며, 자석(210)이 착자 또는 탈자됨에 따라 풀리부(100) 측으로 이동되거나, 풀리부(100)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가동부(300)는 풀리부(100)와 접촉되어 풀리부(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거나, 풀리부(100)와 비접촉되어 풀리부(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지 못하게 된다.
가동부(300)와 풀리부(100) 사이의 간격은 자력조절부(200)와 풀리부(100)의 간격보다 좁을 수 있다. 이로 인해, 자석(210)의 착자시 가동부(300)는 풀리부(100)에 용이하게 접촉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기기부(400)는 가동부(300)의 작동여부에 따라 동작여부가 결정된다. 구체적으로, 가동부(300)가 풀리부(100)와 접촉되어 풀리부(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면, 가동부(300) 역시 기기부(400)와 연결되어 풀리부(100)로부터 전달받은 동력을 기기부(400)에 전달한다. 이로 인해, 기기부(400)의 기기회전부(410)는 동작하게 된다. 반대로, 가동부(300)가 풀리부(100)와 비접촉되어 풀리부(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지 못하면 작동이 멈춰지고, 기기부(400) 역시 동작이 멈춰진다.
가동부(300)는 자석(210)의 착자에 의해 풀리부(100) 측으로 이동되어 풀리부(100)와 접촉된다. 도 4와 같이, 자석(210)이 착자되면, 가동부(300)는 상측으로(도 4 기준) 이동되어 풀리부(100)와 접촉된다. 이때, 가동부(300)가 상측으로(도 4 기준) 이동되면, 가동부(300)의 가동축(310)은 기기부(400)의 기기회전부(410)와 치합된다(도 5 참조). 이에 따라, 가동부(300)가 풀리부(10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기기부(400)의 기기회전부(410) 역시 가동부(300)의 회전에 연동되어 회전된다. 즉, 동력부(10)에서 풀리부(100)로 전달된 동력이 가동부(300)를 거쳐 기기부(400)의 기기회전부(410)로 전달되어 기기부(400)가 작동된다.
가동부(300)는 자석(210)의 탈자에 의해 풀리부(100)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풀리부(100)와 비접촉된다. 도 6과 같이, 자석(210)이 탈자되면, 가동부(300)은 하측으로(도 6 기준) 이동되어 풀리부(100)와 분리된다. 즉, 가동부(300)는 풀리부(100)와 비접촉된다. 이때, 가동부(300)은 하측으로(도 6 기준) 이동되어 풀리부(100)와 분리되면, 가동부(300)의 가동축(310)은 기기부(400)의 기기회전부(410)과 분리된다(도 7 참조). 이에 따라, 가동부(300)는 풀리부(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지 못해 작동이 멈추고, 기기부(400) 역시 작동을 멈춘다.
코일(220)은 전류공급부(30)로부터 공급받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자석(210)을 착자 또는 탈자시킨다. 구체적으로, 코일(220)에 공급되는 전류가 (+)방향으로 흐르면, 코일(220) 주위에 자계가 발생하게 된다. 이에 의해 자석(210)은 착자된다. 즉, 자석(210)은 자력이 증대된다. 이때, 자석(210)이 착자되어 가동부(300)와 풀리부(100)가 접촉되면, 코일(220)에 전류를 공급하지 않아도 가동부(300)와 풀리부(100)의 접촉된 상태가 유지되어 가동부(300)는 풀리부(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반대로, 코일(220)에 공급되는 전류가 (-)방향으로 흐르면, 코일(220) 주위에 (+)방향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 자계가 발생된다. 이에 의해, 자석(210)은 탈자되어 자력이 약해진다. 이와 같이, 자석(210)이 탈자되면 가동부(300)와 풀리부(100)가 이격되어 비접촉되므로, 가동부(300)는 풀리부(100)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없게 된다.
가동부(300)는 가동축(310)과 가동부몸체(320)를 포함한다. 가동축(310)은 기기부(400)의 기기회전부(410)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3과 같이, 가동축(310)은 기기부(400)의 기기저면부(420)에 형성된 홀부(421)에 삽입된다. 이때, 가동축(310)의 너비는 홀부(421)의 너비보다 좁으므로, 자석(210)이 상하측으로(도 5, 7 기준) 용이하게 이동될 수 있다.
가동축(310)은 가동축몸체(311)와 가동기어(312)를 포함한다. 가동축몸체(311)는 일측단부가 가동부몸체(320)와 연결되며, 타측단부가 기기부(400)의 기기회전부(410)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된다.
가동축(310)은 가동축몸체(311)의 측부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313)를 더 포함한다. 이에 따라, 자석(210)이 탈자되어 가동축(310)이 설정거리만큼 하측으로(도 7 기준)되면, 걸림돌기(313)가 기기저면부(420)에 접촉되어 가동축(310)의 이동이 멈춰진다. 이에 따라, 가동축(310)가 기기부(400)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될 수 있다.
가동기어(312)는 가동축몸체(311)의 타측단부에 구비된다. 가동기어(312)는 자석(210)의 착자시 가동축몸체(311)와 함께 상측으로(도 8(b) 기준) 이동되어 기어부(400)의 기기회전부(410)와 치합된다(도 8 참조). 이때, 가동기어(312)는 기어회전부(410)의 내부에 형성된 가동기어홈부(411)에 맞물리도록 치합된다. 이에 따라, 가동기어(312)가 가동축몸체(311)의 회동에 의해 회전되면, 기어회전부(410)의 가동기어홈부(411)가 가동기어(312)와 맞물려 회전된다.
가동부몸체(320)는 가동축(310)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자석(210)의 착자 및 탈자에 의해 가동축(310)와 함께 이동되어 풀리부(100)와 접촉되거나 비접촉된다.
가동부몸체(320)는 자석(210)의 착자에 의해 풀리부(100) 측으로 이동되어 풀리부(100)와 접촉되고, 가동축(310)은 가동부몸체(320)의 이동에 따라 기어부(400)의 기기회전부(410) 방향으로 이동되어 기기회전부(410)과 치합된다. 반대로, 가동부몸체(320)는 자석(210)의 탈자에 의해 풀리부(100)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풀리부(100)와 비접촉되고, 가동축(310)은 가동부몸체(320)의 이동에 따라 기기회전부(410)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기기회전부(410)과 분리된다.
도 2 내지 도 7과 같이, 가동부몸체(320)는 풀리부(100)와 마주보도록 이격되게 배치되며, 자석(210)의 착자에 의해 상측(도 4 기준)으로 이동되어 풀리부(100)와 접촉된다. 이때, 가동축(310) 역시 가동부몸체(320)를 따라 상측(도 5 기준)으로 이동되어 기기부(400)의 기기회전부(410)에 치합된다. 이로써, 풀리부(100)의 동력이 가동부(300)를 통해 기기부(400)의 기기회전부(410)로 전달되어 기기부(400)가 작동될 수 있다.
반대로, 가동부몸체(320)는 자석(210)의 탈자에 의해 하측(도 6 기준)으로 이동되어 풀리부(100)와 비접촉된다. 이때, 가동축(310)은 가동부몸체(320)를 따라 하측(도 7 기준)으로 이동되어 기기부(400)의 기기회전부(410)과의 치합이 해제된다. 이로써, 풀리부(100)의 동력이 가동부(300)를 통해 기기부(400)의 기기회전부(410)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기기부(400)의 작동이 멈춰질 수 있다.
동력전달장치(1)는 베어링부(500)를 더 포함한다. 베어링부(500)는 기기부(400)와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600)와, 풀리부(100) 사이에 배치되며, 풀리부(100)가 회전되도록 풀리부(100)를 지지한다. 이로 인해, 풀리부(100)는 베어링부(500)를 통해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다.
이하,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력전달장치(1)의 작동 및 효과를 살펴보도록 한다.
작업자는 기기부(400)로부터 동력을 전달하기 위해, 자력조절부(200)로 전류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코일(220)은 전류공급부(30)로부터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공급받는다. 코일(220)에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220) 주위에 자계가 발생되고, 자석(210)은 착자되어 자력이 증대된다. 이와 같이, 자석(210)이 착자되어 자력이 증대되면, 가동부(300)는 풀리부(100) 측으로 이동되어 풀리부(100)와 접촉된다.
구체적으로, 가동부몸체(320)는 상측(도 4 기준)으로 이동되어 풀리부(100)와 접촉되고, 가동부몸체(320)의 이동에 따라 가동축(310)이 상측(도 5 기준)으로 이동되어 기기부(400)의 기기회전부(410)에 치합된다. 이로 인해, 풀리부(100)의 동력이 가동부(300)를 통해 기기부(400)의 기기회전부(410)로 전달되어 기기부(400)가 작동된다. 이때, 자석(210)이 착자되어 가동부(300)와 풀리부(100)이 접촉되면, 전력공급없이도 가동부(300)와 풀리부(100)의 접촉상태가 유지되므로 전력공급을 중단할 수 있다.
이후, 작업자가 기기부(400)로 전달되는 동력을 차단하기 위해, 자력조절부(200)로 전류를 공급한다. 구체적으로, 코일(220)은 전류공급부(30)로부터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를 공급받는다. 코일(220)에 (-)방향으로 흐르는 전류가 공급되면, 코일(220) 주위에 (+)방향 전류와 반대 방향으로 자계가 발생되고, 자석(210)은 탈자되어 자력이 약해진다. 이와 같이, 자석(210)이 탈자되어 자력이 약해지면, 가동부(300)는 풀리부(100)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풀리부(100)와 비접촉된다.
구체적으로, 가동부몸체(320)는 하측(도 6 기준)으로 이동되어 풀리부(100)와 이격되고, 가동부몸체(320)의 이동에 따라 가동축(310)이 하측(도 5 기준)으로 이동되어 가동축(310)과 기기회전부(410)의 치합이 해제된다. 이로 인해, 풀리부(100)의 동력이 가동부(300)를 통해 기기부(400)의 기기회전부(410)로 전달되는 것이 차단되어 기기부(400)의 작동이 멈춰진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동력전달장치(1)은 기기부(400)에 동력을 전달하거나 동력을 차단할 때만 전류공급부(30)로부터 전류를 공급받는다.
또한, 기기부(400)에 동력을 전달할 때에만 가동부(300)가 풀리부(100)에 접촉되어 풀리부(100)의 동력을 전달받아 기기부(400)에 전달하므로, 동력의 사용을 최소화하여 동력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 : 동력전달장치 10 : 동력부
20 : 벨트 30 : 전류공급부
100 : 풀리부 200 : 자력조절부
210 : 자석 220 : 코일
300 : 가동부 310 : 가동축
311 : 가동축몸체 312 : 가동기어
313 : 걸림돌기 320 : 가동부
400 : 기기부 410 : 기기회전부
411 : 가동기어홈부 420 : 기기저면부
421 : 홀부 500 : 베어링부
600 : 제1연결부재 700 : 제2연결부재

Claims (8)

  1. 동력부와 연결된 벨트에 의해 회전되는 풀리부;
    자석과, 상기 자석을 감싸며, 전류공급부로부터 전류를 공급받아 상기 자석을 착자 또는 탈자시키는 코일이 구비되고, 상기 풀리부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자력조절부;
    상기 풀리부와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기 자석의 착자 또는 탈자에 의해 상기 풀리부와 접촉되거나 비접촉되어 상기 풀리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작동되거나 동력이 차단되어 작동을 멈추는 가동부; 및
    상기 가동부의 작동여부에 따라 동작여부가 결정되는 기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기기부의 기기회전부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축; 및
    상기 가동축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며, 상기 자석의 착자 또는 탈자에 의해 상기 가동축과 함께 이동되어 상기 풀리부와 접촉되거나 비접촉되는 가동부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축은 일측단부가 상기 가동부몸체와 연결되며, 타측단부가 상기 기기회전부에 탈착가능하게 설치되는 가동축몸체와, 상기 가동축몸체의 타측단부에 구비되는 가동기어와, 상기 가동축몸체의 측부에서 돌출되는 걸림돌기를 포함하고,
    상기 가동기어는 상기 기기회전부의 내부에 형성된 가동기어홈부에 맞물리도록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자석의 착자에 의해 상기 풀리부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풀리부와 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는 상기 자석의 탈자에 의해 상기 풀리부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풀리부와 비접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몸체는 상기 자석의 착자에 의해 상기 풀리부 측으로 이동되어 상기 풀리부와 접촉되고,
    상기 가동축은 상기 가동부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기기회전부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기기회전부와 치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동부몸체는 상기 자석의 탈자에 의해 상기 풀리부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풀리부와 비접촉되고,
    상기 가동축은 상기 가동부몸체의 이동에 따라 상기 기기회전부의 이격되는 방향으로 이동되어 상기 기기회전부와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기기부에 연결되는 제1연결부재와, 상기 풀리부 사이에 배치되며, 상기 풀리부가 회전되도록 상기 풀리부를 지지하는 베어링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은 전류공급부로 공급받는 전류의 방향에 따라 상기 자석을 착자 또는 탈자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력전달장치.
KR1020170044785A 2017-04-06 2017-04-06 동력전달장치 KR1023096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785A KR102309645B1 (ko) 2017-04-06 2017-04-06 동력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4785A KR102309645B1 (ko) 2017-04-06 2017-04-06 동력전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359A KR20180113359A (ko) 2018-10-16
KR102309645B1 true KR102309645B1 (ko) 2021-10-08

Family

ID=641327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4785A KR102309645B1 (ko) 2017-04-06 2017-04-06 동력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096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960B1 (ko) * 2018-10-25 2021-06-16 한국자동차연구원 동력전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5727B2 (ja) 2005-06-30 2011-02-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クラッチ機構及び自動車の動力伝達機構
KR101289750B1 (ko) * 2007-08-24 2013-07-2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
JP2014101902A (ja) * 2012-11-16 2014-06-05 Denso Corp クラッチ機構
JP6023569B2 (ja) 2012-12-05 2016-11-09 小倉クラッチ株式会社 電磁駆動装置および電磁駆動装置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51026A (ja) * 1990-10-09 1992-05-25 Tokin Corp 回転動力の伝達機構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25727B2 (ja) 2005-06-30 2011-02-02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磁アクチュエータ及びそれを用いたクラッチ機構及び自動車の動力伝達機構
KR101289750B1 (ko) * 2007-08-24 2013-07-26 한라비스테온공조 주식회사 압축기용 전자클러치
JP2014101902A (ja) * 2012-11-16 2014-06-05 Denso Corp クラッチ機構
JP6023569B2 (ja) 2012-12-05 2016-11-09 小倉クラッチ株式会社 電磁駆動装置および電磁駆動装置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359A (ko) 2018-10-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0622B2 (en) Selectable one-way clutch having strut with separate armature
KR20190031115A (ko) 자기력 제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자성체 홀딩 장치
US20180369937A1 (en) Attachable and Extendable Saw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102309645B1 (ko) 동력전달장치
EP1754907B1 (en) Electromagnetic actuator, clutch device using it, and power transmission device for automobile
US20190283153A1 (en) Attachable and Extendable Saw and Methods for Using the Same
JP2002519980A (ja) 電動モータ
US9476464B2 (en) Electromagnetic driving device and methods for manufacturing and controlling same
JPH0365468B2 (ko)
US10622775B2 (en) Power supply apparatus for field winding motor and field winding motor including the same
JP4630373B2 (ja) 電磁石装置
KR101647787B1 (ko) 에스컬레이터의 완속 제동을 위한 클러치 장치
CN109004794B (zh) 一种双模式管状电机
JP2008032036A (ja) 回転伝達装置
KR20100000054U (ko) 잠금용 솔레노이드 장치
US10625437B2 (en) Attachable and extendable saw and methods for using same
KR20150144131A (ko) 저전력 솔레노이드 구조 및 이의 제어 방법
CN205401548U (zh) 制动器和动力设备
JP2013162098A (ja) ロック装置及び駆動装置
JP3194017U (ja) ワンウェイクラッチ
JP2008144949A (ja) 回転伝達装置
KR100537819B1 (ko) 기어드 모터
KR101759304B1 (ko) 자동 절체 스위치
KR102031486B1 (ko) 핸들록킹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차단기
KR200284063Y1 (ko) 전자클러치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