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08048B1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08048B1
KR102308048B1 KR1020167026381A KR20167026381A KR102308048B1 KR 102308048 B1 KR102308048 B1 KR 102308048B1 KR 1020167026381 A KR1020167026381 A KR 1020167026381A KR 20167026381 A KR20167026381 A KR 20167026381A KR 102308048 B1 KR102308048 B1 KR 1023080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bsorber
width direction
region
bending
she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263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7547A (ko
Inventor
노리히로 도키타
히로키 고다
Original Assignee
유니 참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 참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유니 참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601375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754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080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080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7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 A61F13/4704Sanitary towels, incontinence pads or napkin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1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having preferential bending zones, e.g. fold lines or groo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104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 A61F13/51108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the top sheet having a three-dimensional cross-section, e.g. corrugations, embossments, recesses or projections the top sheet having corrugations or embossments having one axis relatively longer than the other axis, e.g. forming channels or grooves in a longitudinal direc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outer layers
    • A61F13/511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 A61F13/513Topsheet, i.e. the permeable cover or layer facing the skin characterised by its function or properties, e.g. stretchability, breathability, rewet, visual effect; having areas of different permeabil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61F13/53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having discontinuous areas of compre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체가 목적으로 하는 형상으로 변형하기 쉽고, 사용시의 흡수체의 형상이 무너져 버리는 것도 막을 수 있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공한다. 흡수체에 가랑이 영역 중심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절곡 유도 대역(8)이 설치되고, 좌우 한 쌍의 절곡 유도 대역의 사이의 폭방향의 거리는, 가랑이 영역 중심에 비해,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 및 후단에 있어서 넓고,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 및 후단은, 방누벽과 톱 시트와의 접합 영역(9)의 폭방향 내측 위치보다도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절곡 유도 대역은 친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지만, 흡수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단위 중량(目付;metsuke)이 낮고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이 낮으며, 각 절곡 유도 대역 내에는 압착 줄홈(10)이 설치되고, 압착 줄홈은 흡수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밀도가 높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ABSORBENT PRODUCT}
본 발명은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회용 기저귀에 관한 것이다.
일본국 특개 2006-141761호 공보에 기재된 일회용 기저귀는, 중앙 흡수체와, 한 쌍의 사이드 흡수체와의 사이에 각각 절리부(切離部)를 갖고 있고, 절리부는 각각 중앙 흡수체의 적어도 길이 방향(제품 장방향) 중앙부의 양단부에 설치되며, 또한 길이 방향 타방부(他方部)(뒷길부)의 양단부에 개방되어 있고, 이 사이드 흡수체는, 적어도 가랑이 아래부(股下部)(제품 중앙부 부근)에 배치되어 있다. 이 종래예는, 절리부(슬릿)가 있음으로써, 기저귀 착용 상태에서 가랑이 아래부가 출렁거리지 않고, 기저귀의 외관이 산뜻하게 되어 있고, 고간부(股間部)에서의 피트성, 방누성이 우수하며, 또 기저귀의 제조 현장에 있어서의 생산 안정성(연속 생산성)도 우수하다.
일본국 특개 2006-141761호 공보
흡수체에 절리부를 설치한 기저귀에서는, 기저귀를 장착할 때에, 변형의 자유도가 너무 높기 때문에, 흡수체가 의도하지 않은 변형을 해 버려서, 엉덩이의 사이에 기저귀가 비집고 들어가는 등의 트러블이 있었다. 또, 장시간의 사용(야간·외출시 등) 또는 움직임이 격렬한 유유아(乳幼兒)·유아에의 장착시에는, 흡수 전 또는 흡수 후의 흡수체에 부하가 걸려, 흡수체의 형상이 무너져 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나아가서는, 이 붕괴를 억제하기 위해, 과도하게 흡수체를 프레스 등 하여 밀도를 너무 높게 하면, 기저귀로서의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흡수체 부분이 목적으로 하는 형상으로 변형하기 쉽고, 사용시의 흡수체의 형상이 무너져 버리는 일도 막을 수 있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흡수성 물품의 흡수체에, 저(低)단위 중량(目付;metsuke)이고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 함유율이 낮은 절곡 유도 대역을 설치하고, 추가로 절곡 유도 대역 내에 고밀도의 줄홈을 설치하여, 절곡 유도 대역을 흡수체 측연(側緣) 부근까지 존재하게 함으로써, 상기 종래예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즉, 본 발명은,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 그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수체, 방누벽을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시트 및 외장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흡수체는 친수성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사이드 시트는 전단(前端) 영역과 중앙 영역과 후단(後端)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사이드 시트의 폭방향 외측 영역은 톱 시트, 백 시트 및 외장 시트 중 적어도 1개와 접합하며,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 및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는 톱 시트와 접합하고, 사이드 시트의 중앙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며, 자유단에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고, 그리고 사이드 시트의 중앙 영역은 방누벽으로서 기능하며,
흡수체는 전(前) 영역과 가랑이 영역과 후(後)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흡수체에는 가랑이 영역 중심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절곡 유도 대역이 설치되며,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과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사이의 폭방향의 거리는, 가랑이 영역 중심에 비해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 및 후단에 있어서 넓고,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 및 후단은,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 및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와 톱 시트의 접합 영역의 폭방향 내측 위치보다도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절곡 유도 대역은 친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지만, 흡수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단위 중량이 낮고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이 낮으며,
각 절곡 유도 대역 내에는 줄홈이 설치되고, 줄홈은 흡수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밀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다음의 실시 양태를 포함한다.
[1]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 그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수체, 방누벽을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시트 및 외장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흡수체는 친수성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사이드 시트는 전단 영역과 중앙 영역과 후단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사이드 시트의 폭방향 외측 영역은 톱 시트, 백 시트 및 외장 시트 중 적어도 1개와 접합하며,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 및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는 톱 시트와 접합하고, 사이드 시트의 중앙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며, 자유단에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고, 그리고 사이드 시트의 중앙 영역은 방누벽으로서 기능하며,
흡수체는 전(前) 영역과 가랑이 영역과 후(後)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흡수체에는 가랑이 영역 중심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절곡 유도 대역이 설치되며,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과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사이의 폭방향의 거리는, 가랑이 영역 중심에 비해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 및 후단에 있어서 넓고,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 및 후단은,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 및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와 톱 시트의 접합 영역의 폭방향 내측 위치보다도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절곡 유도 대역은 친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지만, 흡수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단위 중량이 낮고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이 낮으며,
각 절곡 유도 대역 내에는 줄홈이 설치되고, 압착 줄홈은 흡수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밀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 및 후단이 흡수체의 측연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3] 절곡 유도 대역은,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을 향해 볼록한 곡선상(狀) 또는 꺾인선상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또는 [2]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4] 절곡 유도 대역은,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을 향해 볼록한 호상(弧狀)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3]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5] 흡수체의 단위 중량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비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6] 압착 줄홈은 톱 시트를 통하여 흡수체를 가압 엠보스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7] 흡수체와 톱 시트의 사이 및 흡수체와 백 시트의 사이에 흡수체 랩 시트가 개재하고, 압착 줄홈은, 톱 시트 및 흡수체 랩 시트를 통하여 또는 흡수체 랩 시트를 통하여, 흡수체를 가압 엠보스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8] 절곡 유도 대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의 35∼6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9] 절곡 유도 대역에 있어서의 친수성 섬유의 단위 중량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친수성 섬유의 단위 중량의 45∼80질량%이며, 절곡 유도 대역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중량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중량의 25∼5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10]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의 50∼8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 부분이 목적으로 하는 형상으로 변형하기 쉬우며, 사용시의 흡수체의 형상이 무너져 버리는 것도 막을 수 있고, 또한 누설을 발생시키기 어렵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하나의 실시 형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다른 실시 형태의 절곡 유도 대역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4는 흡수체 제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제 1 적층 드럼의 적층부 단면(斷面)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제 1 적층 드럼의 적층부 단면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은 제 2 적층 드럼의 적층부 단면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은 가압 엠보스 롤의 엠보스 형상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도면의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하나의 실시 형태의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으로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일회용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실금 패드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의 흡수성 물품은 일회용 기저귀의 예이다.
도 2는 도 1의 Ⅰ-Ⅰ선에 있어서의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1)은,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2),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3), 그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수체(4), 방누벽을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시트(5, 5) 및 외장 시트(6)를 갖는다.
흡수체(4)는 친수성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사이드 시트(5)는 전단 영역(5F)과 중앙 영역(5C)과 후단 영역(5R)으로 이루어지고, 사이드 시트의 폭방향 외측 영역(5O)은 톱 시트(2), 백 시트(3) 및 외장 시트(6) 중 적어도 1개와 접합하며,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 및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5)는 톱 시트(2)와 접합하고, 사이드 시트의 중앙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5Ci)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며, 자유단에는 탄성 부재(7)가 부착되고, 그리고 사이드 시트의 중앙 영역은 방누벽으로서 기능한다.
흡수체(4)는 전 영역(4F)과 가랑이 영역(4C)과 후 영역(4R)으로 이루어지고, 흡수체(4)에는 가랑이 영역 중심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절곡 유도 대역(8, 8)이 설치되며,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과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사이의 폭방향의 거리는, 가랑이 영역 중심에 비해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8f) 및 후단(8r)에서 넓고,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8f) 및 후단(8r)은,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 및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와 톱 시트의 접합 영역(9)의 폭방향 내측 위치(9i)보다도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절곡 유도 대역(8)은 친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지만, 흡수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단위 중량이 낮고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이 낮다.
각 절곡 유도 대역(8) 내에는 압착 줄홈(10)이 설치되며, 압착 줄홈(10)은 흡수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밀도가 높다.
절곡 유도 대역(8)은, 친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지만, 흡수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단위 중량이 낮은 영역이며, 띠 형상의 가늘고 긴 형상을 갖고, 흡수체 측연 또는 흡수체 측연 근방에 시점 및 종점을 가지며, 폭방향 내측을 향해 볼록한 곡선상 또는 꺾인선상의 형상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흡수체 측연에 시점 및 종점을 갖고, 폭방향 내측을 향해 볼록한 호상의 형상을 갖는다. 단, 절곡 유도 대역(8)의 형상은, 최종적으로 흡수체의 내측으로부터 외측인 흡수체의 측연을 향한 형상이면, 예를 들면 직선상의 형상이어도, 또는 도중에 부분적으로 내측을 향한 형상 등이어도 상관없다. 여기에서, 폭방향이란 좌우 방향과 동일하다. 또, 절곡 유도 대역(8)의 시점 및 종점은,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8f) 및 후단(8r)과 동일하다.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과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사이의 폭방향의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가랑이 영역 중심에 있어서 가장 좁고,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8f) 및 후단(8r)에 있어서 가장 넓다.
여기에서, 흡수체의 가랑이 영역(4C)이란, 흡수성 물품을 장착했을 때에 가랑이에 맞닿는 영역을 말한다. 흡수체의 전 영역(4F)이란, 가랑이 영역(4C)보다 앞(복측(腹側))의 흡수체의 영역을 말한다. 흡수체의 후 영역(4R)이란, 가랑이 영역(4C)보다 뒤(배측(背側))의 흡수체의 영역을 말한다. 흡수체의 가랑이 영역 중심이란, 가랑이 영역(4C)의 전후 방향의 거의 중심을 말한다. 반대로 말하면,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과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사이의 폭방향의 거리가 가장 좁은 위치가 흡수체의 가랑이 영역 중심이다.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과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사이의 폭방향의 거리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가장 좁은 곳에서, 예를 들면 20∼90㎜이고, 바람직하게는 25∼7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5∼60㎜이고, 가장 넓은 곳에서는, 바람직하게는 흡수체의 폭과 거의 일치한다.
절곡 유도 대역의 폭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3∼30㎜이고, 바람직하게는 5∼2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7∼20㎜이다. 절곡 유도 대역의 폭이 너무 좁으면, 절곡 유도 대역과 가압 엠보스의 동기 위치 어긋남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지고, 반대로 너무 넓으면, 동기 위치 어긋남의 가능성은 저하되기는 하지만, 친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이 낮아지는 영역이 증가하여 흡수체의 보수(保水) 성능이 저하될 가능성이 생긴다.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과 후단의 직선 거리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50∼400㎜이고, 바람직하게는 100∼35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300㎜이다.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과 후단의 직선 거리가 너무 짧으면, 기저귀 착용 상태에서 가랑이 아래부가 끼어서 갑갑해질 우려가 있고, 반대로 너무 길면, 기저귀 착용 상태에서 가랑이 아래부가 출렁거릴 우려가 있다.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8f) 및 후단(8r)은,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 및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5)와 톱 시트(2)와의 접합 영역(9)의 폭방향 내측 위치(9i)보다도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8f) 및 후단(8r)은 흡수체의 측연(4r, 4l)에 위치하고 있다. 즉 절곡 유도 대역은 흡수체의 측연(4r, 4l)에까지 도달하고 있다.
도 3은 다른 실시 형태의 절곡 유도 대역의 형상을 나타낸다. 도 3은 일부 부재의 도시를 생략하고 있다. 도 3의 절곡 유도 대역(8)은,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8f) 및 후단(8r)이,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5F) 및 후단 영역(5R)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와 톱 시트의 접합 영역(9)의 폭방향 내측 위치(9i)보다도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지만, 흡수체의 측연(4r, 4l)까지는 도달하고 있지 않다.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8f) 및 후단(8r)이,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 및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5)와 톱 시트(2)와의 접합 영역(9)의 폭방향 내측 위치(9i)보다도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음으로써, 방누벽의 전단 및 후단의 근방에 있어서 흡수체가 폭방향 내측으로 접어들어가는 것을 막아(즉 가랑이부에 있어서의 피트성이 우수하여), 방누벽을 타고 넘는 누설을 방지할 수 있다.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 및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5)와 톱 시트(2)는 접합하여, 접합 영역(9)을 형성하고 있다.
여기에서, 사이드 시트(5)는, 전후 방향 즉 길이 방향으로 전단 영역(5F)과 중앙 영역(5C)과 후단 영역(5R)으로 나뉘고, 중앙 영역(5C)이란 자유단 즉 방누벽이 존재하는 영역이며, 전단 영역(5F)이란 자유단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으로서 중앙 영역보다도 앞에 있는 영역이며, 후단 영역(5R)이란 자유단이 존재하지 않는 영역으로서 중앙 영역보다도 뒤에 있는 영역이다. 전단 영역(5F)의 전후 방향 치수는, 예를 들면 10∼100㎜이고, 바람직하게는 20∼8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이다. 후단 영역(5R)의 전후 방향 치수는, 예를 들면 10∼100㎜이고, 바람직하게는 20∼9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80㎜이다.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란,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의 근방의 영역을 말하며, 예를 들면, 폭방향 내측연으로부터 10㎜ 이내의 영역을 말한다. 사이드 시트의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란, 사이드 시트의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의 근방의 영역을 말하며, 예를 들면, 폭방향 내측연으로부터 10㎜ 이내의 영역을 말한다.
사이드 시트(5)와 톱 시트(2)의 접합부(9)는,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 및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존재한다. 접합부(9)는,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 및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의 근방의 영역에 존재하면 되고, 반드시 폭방향 내측연까지 존재할 필요는 없으며, 예를 들면 폭방향 내측연으로부터 2㎜ 이내, 바람직하게는 1㎜ 이내는 접합하고 있지 않아도 된다.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5F)에 있어서의 접합부(9)의 전후 방향 치수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10∼100㎜이고, 바람직하게는 20∼8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70㎜이다. 사이드 시트의 후단 영역(5R)에 있어서의 접합부(9)의 전후 방향 치수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10∼100㎜이고, 바람직하게는 20∼90㎜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30∼80㎜이다. 접합부(9)의 폭방향 치수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1∼20㎜이고, 바람직하게는 1.5∼15㎜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10㎜이다.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5F)에 있어서의 접합부(9)의 폭방향 치수와 사이드 시트의 후단 영역(5R)에 있어서의 접합부(9)의 폭방향 치수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사이드 시트(5)와 톱 시트(2)와의 접합 영역(9)의 폭방향 내측 위치(9i)는, 사이드 시트의 폭방향 내측연으로부터의 거리가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과 후단 영역에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지만, 달라도 된다. 전단 영역과 후단 영역에서, 폭방향 내측 위치(9i)의 사이드 시트의 폭방향 내측연으로부터의 거리가 다른 경우는,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8f)이,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5F)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5)와 톱 시트(2)와의 접합 영역(9)의 폭방향 내측 위치(9i)보다도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고, 그리고 절곡 유도 대역의 후단(8r)이, 사이드 시트의 후단 영역(5R)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5)와 톱 시트(2)와의 접합 영역(9)의 폭방향 내측 위치(9i)보다도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한다.
사이드 시트의 중앙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5Ci)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다. 자유단에는 탄성 부재(7)가 부착되어 있다. 도 1에는, 탄성 부재(7)가 1개 부착된 양태가 나타나 있지만, 탄성 부재는 복수개 부착되어 있어도 된다. 사이드 시트의 중앙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5Ci)이 자유단으로 되어 있고, 또한 자유단에 탄성 부재(7)가 부착되어 있음으로써, 사이드 시트의 중앙 영역은 방누벽으로서 기능한다.
절곡 유도 대역(8)은 친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지만, 흡수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단위 중량이 낮고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이 낮다. 절곡 유도 대역(8)의 단위 중량이 흡수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낮음으로써, 흡수성 물품을 장착했을 때에, 흡수체는 절곡 유도 대역에 있어서 절곡하기 쉬워지고, 그 결과, 형편이 좋지 않은 장소에서의 절곡을 방지할 수 있어, 흡수체가 의도하지 않은 변형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절곡 유도 대역 내에는 가압 엠보스에 의한 압착 줄홈이 설치되어 있지만, 가압 엠보스되는 개소에 고흡수성 폴리머가 많이 존재하면, 가압 엠보스에 의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고밀도화됨으로써, 절곡 유도 대역의 흡수체가 경화되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감(粒感)이 착용자측 표면 및 착측(着側) 표면에서 이물감으로서 발생하고, 다른 개소와 비교하여 흡수체로서 피부에의 부담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질 우려가 있지만,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을 낮게 함으로써, 이들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즉,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이 낮은 절곡 유도 대역 내에 압착 줄홈이 설치됨으로써, 흡수체의 부드러움을 유지할 수 있다.
절곡 유도 대역 이외의 영역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은 균일해도 좋지만,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과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의 영역에서 단위 중량이 달라도 된다. 바람직하게는, 흡수체의 단위 중량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비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낮다.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의 50∼80질량%이다. 흡수체의 단위 중량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비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낮음으로써, 기저귀 착용 상태에서 가랑이 아래부가 출렁거리지 않고, 외관이 산뜻하게 되어 있고, 고간부에서의 피트성이 향상된다.
여기에서,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이란,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의 좌측연과,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우측연과,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과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을 잇는 직선과,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의 후단과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후단을 잇는 직선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을 한다.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의 영역이란,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의 우측연과, 흡수체의 우측연과,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과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을 잇는 선분을 오른쪽으로 연장한 직선과,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의 후단과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후단을 잇는 선분을 오른쪽으로 연장한 직선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 및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좌측연과, 흡수체의 좌측연과,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과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을 잇는 선분을 왼쪽으로 연장한 직선과,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의 후단과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후단을 잇는 선분을 왼쪽으로 연장한 직선에 의해 둘러싸이는 영역을 말한다.
이하,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을 「크로치 둘레 내측부」라고도 하고,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의 영역을 「크로치 둘레 외측부」라고도 한다.
또, 절곡 유도 대역을 「저단위 중량 영역」이라고도 하고, 절곡 유도 대역 이외의 영역을 「고(高)단위 중량 영역」이라고도 한다. 또, 흡수체의 단위 중량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비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낮은 경우는, 절곡 유도 대역을 「저단위 중량 영역」이라고도 하고,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의 영역을 「중(中)단위 중량 영역」이라고도 하고,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의 영역과 절곡 유도 대역을 제외한 나머지의 흡수체의 영역을 「고단위 중량 영역」이라고도 한다.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은,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00∼1000g/㎡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0∼900g/㎡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0∼800g/㎡이다.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이 너무 낮으면, 흡수체로서의 보수 성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될(누설로 연결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너무 높으면, 고간부가 출렁거려, 외관이 산뜻하지 않고, 고간부에서의 피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10∼80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20∼70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0∼60질량%이다.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이 너무 낮으면, 흡수체로서의 보수 성능을 유지할 수 없게 될(누설로 연결될) 우려가 있고, 반대로 너무 높으면, 흡수체가 경화하여,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감에 의한 이물감이 발생하고, 또한 소변 흡수시에 팽윤함으로써 흡수체의 뻣뻣해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다.
절곡 유도 대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의 35∼65질량%이다. 절곡 유도 대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이 너무 낮으면, (그 부위를 계기로) 흡수체의 형태 무너짐이 발생할 우려가 있고, 또한 소변 등의 체액이 과도하게 침입한 경우, 체액을 흡수, 유지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체액 누설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너무 높으면, 가압 엠보스에 의해 흡수체가 경화되어(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감에 의한 이물감이 발생), 다른 개소와 비교하여, 흡수체로서 피부에의 부담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절곡 유도 대역에 있어서의 친수성 섬유의 단위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친수성 섬유의 단위 중량의 45∼80질량%이다. 절곡 유도 대역에 있어서의 친수성 섬유의 단위 중량이 너무 낮으면, 소변 등의 체액을 재빠르게 흡수체로 흡수하는 능력(초기 흡수 능력)이 저하되어, 체액 누설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너무 높으면, (친수성 섬유의 두께에 의해) 가압 엠보스에 의한, 절곡 유도 대역의 형성이 불충분해져, 흡수체 내측으로의 접어들어감 제어능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절곡 유도 대역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중량은, 바람직하게는,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중량의 25∼50질량%이다. 절곡 유도 대역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중량이 너무 낮으면, 소변 등의 체액을 흡수, 유지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체액 누설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너무 높으면, 가압 엠보스에 의해 흡수체가 경화되어(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감에 의한 이물감이 발생), 다른 개소와 비교하여, 흡수체로서 피부에의 부담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절곡 유도 대역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은, 바람직하게는 10∼80질량%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5∼70질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60질량%이다. 절곡 유도 대역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이 너무 낮으면, 소변 등의 체액을 흡수, 유지하는 능력이 저하되어, 체액 누설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반대로 너무 높으면, 가압 엠보스에 의해 흡수체가 경화되어(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감에 의한 이물감이 발생), 다른 개소와 비교하여, 흡수체로서 피부에의 부담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진다.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이하 「SAP」라고도 함)의 함유율은, 다음과 같이 측정한다.
[SAP 함유율 측정법(톨루엔 침지법)]
<준비물>
·흡수체
·펀칭형(型)(금속 날이 부착된 펀칭형)
·250 메시 나일론 네트(NBC고교 제조 N-NO.250HD)(200×200㎜의 주머니 형상으로 시일해 둠)
·톨루엔
·알루미늄 트레이
·핀셋
·여과지(어드밴텍 No.2, 100㎜×100㎜)
·3.5㎏/100㎠의 추
·전자 천칭
·히트 시일러
·비이커(1000mL)
·원심분리기(고쿠산 엔신(주) 분리기, 형 HI30, 회전수 850rpm=150G)
<평가 플로우>
(이하, 드래프트 외에서의 작업)
(1) 펄프, SAP 적층 후, 핫 멜트 접착제를 도포한 티슈를 서로 겹쳐, 티슈로 끼워진 흡수체를 준비한다.
(2) 금속 날이 부착된, 펀칭형(면적 2.785㎠)에서, 각 샘플, 부위마다의 펀칭을 실시하여, 약 1g을 채취한다.
※부위: 크로치 둘레 내측부, 크로치 둘레 외측부, 절곡 유도 대역의 3개소.
각 샘플을 넣는 메시의 건조 중량을 측정해 둔다.
(이하, 드래프트 내에서의 작업)
(3) 알루미늄 트레이에 톨루엔을 넣고, 펀칭한 샘플을 톨루엔에 담가 헹군 후, 다른 트레이로 옮겨, 핀셋으로 상하의 티슈를 벗긴다.
(4) 그 상태에서 가볍게 액체를 뺀 후, 나일론 네트에 넣고, 여과지를 상하에 각 20매 끼워, 추로 하중을 가한다(1분).
※나일론 네트는 미리 건조 중량을 측정해 둔다(중량 A).
(5) 톨루엔이 어느 정도 제거된 것을 확인한 후, 나일론 네트 내의 흡수체를 약수저(藥匙)로 교반시킨다(부순다).
(6) 드래프트 내에서 건조시킨다(드래프트 내에 빨래집게 등을 준비하여 매달아 건조시켜도 됨)(5시간).
(7) 톨루엔이 휘발한 것을 확인한 후, 흡수체가 든 네트를 꺼낸다(건조 상황에 의해 시간은 적절히 조정함).
(이하, 드래프트 외에서의 작업)
(8) 나일론 네트의 나머지 한 변에 시일을 실시하고, 흡수체를 봉입 상태로 하여 건조 중량을 측정한다(중량 B).
(8-1) 흡수 배율의 측정
(8-1-1) 비이커에 이온 교환수를 1000mL 넣는다.
(8-1-2) 준비해 둔 봉입 상태의 주머니를 (8-1-1)의 비이커의 바닥에 닿도록 침지시킨다.
(8-1-3) 주머니의 상부의 한 변을 빨래집게로 비이커의 가장자리에 고정한다.
(8-1-4) 1시간 방치한다.
(8-1-5) 방치 후 주머니를 끌어올려, 주머니의 짧은 변의 중앙(상단으로부터 5㎜, 양단으로부터 50㎜)을 빨래집게로 끼워, 15분간 물 빼기를 실시한다.
(8-1-6) 중량을 측정한다(중량 C).
(8-2) 보수 배율의 측정
(8-2-1) (8-1-6)을 원심분리기로 탈수한다. 조건: 850rpm(150G), 시간: 850rpm 일정 후 90초.
(8-2-2) 탈수 후의 중량을 측정한다(중량 D).
(8-3) 흡수 배율 및 보수 배율을 다음 계산식에 의해 계산한다.
흡수 배율=(중량 C―중량 A)/(중량 B―중량 A)
보수 배율=(중량 D―중량 A)/(중량 B―중량 A)
※ 흡수 배율, 보수 배율 모두 나일론 네트의 흡수 배율, 보수 배율은 무시한다.
(9) SAP 비율 산출을 위한 검량선 작성
이하의 3종류의 시료를 준비하고, 상기 (1)∼(8)과 마찬가지로, 흡수 배율 및 보수 배율을 산출한다.
·펄프: 1g(SAP 비율 0%)
·펄프: 0.5g, SAP: 0.5 g(SAP 비율 50%)
·SAP: 1g(SAP 비율 100%)
(10) 상기 (9)의 측정 결과로부터, 검량선(보수 배율당의 SAP 함유율)을 작성한다.
※ 3점을 근사값으로 하는 직선에서, 보수 배율로부터 SAP 함유율을 동정(同定)할 수 있다.
(11) 상기 (10)에서 작성한 검량선에 상기 (8)에서 측정한, 각 흡수체의 부위마다의 보수 배율을 대입하여, 각 흡수체 부위마다의 SAP 함유율을 산출한다.
※ 상기 (8)과 마찬가지로, 상기 (9)에서 산출한 흡수 배율, 보수 배율 모두 나일론 네트의 흡수 배율, 보수 배율은 무시하고 있기 때문에, SAP 함유율의 값에의 영향은 없는 것으로 생각해도 된다.
절곡 유도 대역(8) 내에는 압착 줄홈(10)이 설치되어 있다. 여기에서, 압착 줄홈이란, 압축함으로써 형성된 띠 형상의 홈을 말한다. 압착 줄홈(10)을 설치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을 장착했을 때에, 흡수체는 압착 줄홈이 설치된 개소에서 절곡하기 쉬워지고, 그 결과, 형편이 좋지 않은 장소에서의 절곡을 방지할 수 있어, 흡수체가 의도하지 않은 변형을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 효과는, 절곡 유도 대역의 단위 중량이 낮음으로써도 이루는 것이지만, 압착 줄홈을 설치함으로써, 흡수체의 의도하지 않은 변형을 더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 압착 줄홈은 흡수체의 형태 무너짐의 방지에도 기여한다.
압착 줄홈은 흡수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밀도가 높다. 여기에서 밀도란, 단위 체적 당의 질량을 말한다. 밀도(g/㎤)는, 시료의 면적(㎠), 두께(cm) 및 질량(g)을 측정하고, 질량(g)을 면적(㎠)과 두께(cm)의 곱으로 나누어 구한다. 흡수체의 다른 부위의 밀도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0.01∼0.5g/㎤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0.4g/㎤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0.3g/㎤이다. 흡수체의 다른 부위의 밀도가 너무 낮으면, 흡수체 전체가 출렁거려, 외관이 산뜻하지 않고, 특히 고간부에서의 피트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반대로 너무 높으면, 흡수체 전체가 경화하여, 피부에의 부담을 일으킬 우려가 있다.
압착 줄홈은, 절곡 유도 대역 내에 설치되어 있는 한, 절곡 유도 대역 내의 어디에 있어도 되지만, 바람직하게는, 압착 줄홈은 절곡 유도 대역의 폭방향 거의 중앙에 설치된다.
압착 줄홈의 폭은, 절곡 유도 대역의 폭보다 작은 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0.5∼2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1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5㎜이다. 압착 줄홈의 폭이 너무 좁으면, 가압 엠보스에 의한 접합 강도가 저하되어, 접합된 톱 시트와 흡수체가 벗겨질 가능성이 있고, 또 (압착 줄홈을 기점으로 하는) 절곡 유도 자체가 불가능해질 가능성이 있다. 반대로 너무 넓으면, 절곡 유도 대역이 친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이 낮게 억제되어 있다고는 해도, 가압 엠보스의 강성(剛性)에 의해 피부에의 부담이 생길 우려가 있다.
압착 줄홈의 전단과 후단의 직선 거리는,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과 후단의 직선 거리와 동일하거나 그것보다 짧은 한,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50∼400㎜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350㎜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300㎜이다. 압착 줄홈의 전단과 후단의 직선 거리가 너무 짧으면, 기저귀 착용 상태에서 가랑이 아래부가 끼어서 갑갑해질 우려가 있다. 반대로 너무 길면, 기저귀 착용 상태에서 가랑이 아래부가 출렁거릴 우려가 있다.
압착 줄홈은, 통상, 흡수체를 엠보스 롤 등에 의해 가압 엠보스함으로써 형성된다. 하나의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압착 줄홈은 톱 시트를 통하여 흡수체를 가압 엠보스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압착 줄홈은, 흡수체와 톱 시트를 함께 톱 시트측으로부터 가압 엠보스함으로써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다른 실시 양태에 있어서는, 흡수체와 톱 시트의 사이 및 흡수체와 백 시트의 사이에 흡수체 랩 시트가 개재되고, 압착 줄홈은, 톱 시트 및 흡수체 랩 시트를 통하여 또는 흡수체 랩 시트를 통하여, 흡수체를 가압 엠보스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즉, 흡수체의 톱 시트측의 면이 흡수체 랩 시트에 의해 피복되어 있을 때는, 흡수체와 흡수체 랩 시트를 함께 흡수체 랩 시트측으로부터 가압 엠보스함으로써, 압착 줄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흡수체와 흡수체 랩 시트와 톱 시트를 함께 톱 시트측으로부터 가압 엠보스함으로써, 압착 줄홈을 형성해도 된다.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톱 시트는, 소변 등의 체내로부터의 액상 배설물을, 그 하층에 설치한 흡수체로 통과시키는 기능을 갖는 동시에, 백 시트와의 사이에 흡수체를 끼움으로써 흡수체를 홀딩하기 위한 것이다. 톱 시트는, 그 전부 또는 일부가 액체 투과성이며, 액체 투과 영역은, 다수의 액체 투과 구멍이 형성된 수지 필름, 다수의 그물코를 갖는 네트 형상 시트, 액체 투과성의 부직포, 또는 직포 등으로 형성된다. 상기 수지 필름이나 네트 형상 시트는, 폴리프로필렌(PP), 폴리에틸렌(P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등으로 형성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 부직포로는, 레이온 등의 셀룰로오스 섬유, 합성 수지 섬유 등으로 형성된 스펀레이스 부직포, 상기 합성 수지 섬유로 형성된 에어스루 부직포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소재로서 폴리 유산, 키토산, 폴리알긴산 등의 생분해성이 가능한 천연물을 이용할 수도 있다. 또, 다수의 액체 투과 구멍을 형성하는 동시에, 실리콘계나 불소계의 발수성 유제를 도포하여, 그 외면에 체액이 부착되기 어려운 것으로 해도 된다.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백 시트는, 흡수체에 흡수된 소변 등의 액체가 바깥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그러한 액체가 바깥으로 새어나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재료가 사용된다. 또, 액체는 통과시키지 않지만 통기성이 있는 소재로 함으로써, 착용시의 짓무름을 저감시킬 수 있어, 착용시에 있어서의 불쾌감을 저감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폴리프로필렌(PP) 등을 주체로 한 액체 불투과성 필름, 통기성 필름, 스펀본드 등의 부직포의 편면(片面)에 액체 불투과성 필름을 래미네이트한 복합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소수성의 부직포, 불투수성(不透水性)의 플라스틱 필름, 부직포와 불투수성 플라스틱 필름과의 래미네이트 시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내수성이 높은 멜트블로운 부직포를 강도가 강한 스펀본드 부직포로 끼운 SMS 부직포여도 된다.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흡수체는, 소변 등의 액체를 흡수하여 유지하는 기능을 가짐으로써, 벌키하고, 형태가 무너지기 어렵고, 화학적 자극이 적은 것인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체는 친수성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한다.
친수성 섬유로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플러프(fluff) 형상 펄프, 화학 펄프, 셀룰로오스 섬유, 레이온, 아세테이트 등의 인공 셀룰로오스 섬유를 들 수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Superabsorbent Polymer, 「SAP」라고도 함)는, 수용성 고분자가 적당히 가교된 삼차원 그물코 구조를 가짐으로써, 수십배∼수백배의 물을 흡수하지만 본질적으로 수불용성(水不溶性)이며, 일단 흡수된 물은 다소의 압력을 가해도 이수(離水)하지 않는 것이고, 예를 들면, 전분계, 아크릴산계, 아미노산계의 입자상 또는 섬유상의 폴리머를 예시할 수 있다.
흡수체는, 흡수체 랩 시트에 의해 끼워지고 또는 싸여 있어도 된다. 흡수체 랩 시트로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티슈를 들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사이드 시트는 방누벽을 형성하는 것이다.  
사이드 시트를 구성하는 소재로는,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본드, 필름, 개공(開孔) 필름을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중에서도 에어스루 부직포가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사이드 시트(5)는, 흡수성 물품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고, 그 외형 윤곽은, 외장 시트(6)와 겹치는 부분에 있어서 외장 시트(6)와 거의 동일하며, 톱 시트(2)의 측연부와 부분적으로 서로 겹쳐 있고, 톱 시트(2)와 서로 겹쳐 있지 않은 부분은 외장 시트(6)와 서로 겹치며, 적어도 부분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사이드 시트(5)와, 톱 시트(2) 및 외장 시트(6)의 접합은, 예를 들면 핫 멜트 접착제 또는 열 엠보스에 의해 실시된다. 단, 사이드 시트(5)는, 반드시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이드 시트의 폭방향 측연부가, 톱 시트와 함께 흡수체의 이면(裏面)으로 돌아들어간 형태여도 된다.
사이드 시트의 자유단에 부착되는 탄성 부재로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천연 고무의 고무실, 폴리우레탄 탄성 섬유나 폴리에스테르엘라스토머 섬유 등의 합성 탄성 섬유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을 구성하는 외장 시트는, 톱 시트와 반대측에 설치되어, 흡수성 물품의 외형을 획정한다. 외장 시트를 구성하는 소재로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스펀본드·멜트블로운·스펀본드(SMS)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스펀본드 부직포 등의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외장 시트는, 복수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2매 이상의 부직포를 서로 겹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백 시트가 외장 시트를 구성하는 2매 이상의 부직포의 사이에 끼워넣어져 있어도 된다. 또, 외장 시트는, 백 시트보다도 피부면측에 존재하는 커버 부직포(사이드 톱 시트)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설명한다.
흡수체는, 친수성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하고, 적층하여 성형된다. 적층시에, 절곡 유도 대역에 상당하는 영역의 단위 중량 및 SAP 함유율이 낮아지도록 적층한다.
도 4는, 흡수체 제조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단,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도 4에 나타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우선, 코터(51)로, 티슈 등의 흡수체 랩 시트(52)의 전면(全面)에 핫 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섬유상으로 분산시켜 도공한다. 접착제를 도공한 흡수체 랩 시트(52)를 벨트 콘베이어(53)에 실어 반송한다.
제 1 적층 드럼(54)으로, 고단위 중량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중단위 중량 영역을 설치하는 경우는 고단위 중량 영역 및 중단위 중량 영역에 상당하는 부분. 이하 마찬가지임)을 적층한다. 적층 단위 중량은 고단위 중량 영역의 단위 중량으로부터 저단위 중량 영역(즉 절곡 유도 대역)의 단위 중량을 뺀 단위 중량으로 설정한다. 적층은, 친수성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혼합하고, 에어 반송하여,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통기성의 메시 스크린(71) 상에 적층한다. 적층시에 절곡 유도 대역에 상당하는 영역에 흡수체가 적층되지 않도록, 비통기성의 돌기부(72)를 설치해 둔다. 비통기성의 돌기부(72)의 소재로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알루미늄이나 철 등의 금속성의 플레이트나 나일론, 고무상의 탄성체의 플레이트가 이용된다. 또, 중단위 중량 영역을 설치하는 경우는, 또한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단위 중량 영역에 상당하는 개소에 통기성 제어 부재(73)를 설치해 둔다. 통기성 제어 부재(73)가 설치된 개소는 적층 단위 중량이 낮아진다. 통기성 제어 부재로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메시(예를 들면 금속성, 탄성체) 플레이트가 이용된다.
제 1 적층 드럼(54)에 적층된 제 1 적층물(55)을, 벨트 콘베이어(53) 아래에 설치된 전사 석션 박스(56)로 흡인함으로써 흡수체 랩 시트(52)의 접착제를 도공한 면에 전사한다.
다음으로, 제 2 적층 드럼(57)으로, 흡수체 전체를 적층한다. 적층 단위 중량은, 저단위 중량 영역의 단위 중량에 맞추어 설정한다. 제 2 적층 드럼(57)으로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비통기성의 돌기부나 통기성 제어 부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통기성 메시 스크린(71) 상에, 균일한 단위 중량으로 적층한다.
제 2 적층 드럼(57)에 적층된 제 2 적층물(58)을, 벨트 콘베이어(53) 아래에 설치된 전사 석션 박스(59)로 흡인함으로써 제 1 적층물(55) 위에 전사하고, 제 1 적층물(55)과 제 2 적층물(58)의 적층체(60)를 제작한다.
다음으로, 코터(61)로, 티슈 등의 흡수체 랩 시트(62)의 전면에 핫 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섬유상으로 분산시켜 도공하고, 도공한 면이 적층체(60)에 접촉하도록, 흡수체 랩 시트(62)를 적층체(60)에 겹친다. 흡수체 랩 시트(62)를 겹친 적층체(60)를 가압 장치(63)에 통과시켜, 고단위 중량 영역의 두께가 일정해지도록 압축한다. 또한, 두께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기용 일회용 기저귀로서의 사용을 상정하면, 고단위 중량 영역에서 3㎜ 정도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후, 가압 엠보스 롤(64)을 이용하여, 절곡 유도 대역 내에 압착 줄홈을 형성한다. 가압 엠보스 롤(64)의 엠보스 형상은,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내는 형상이어도 된다. 또한, 도 8 중의 수치의 단위는 ㎜이다. 엠보스의 강도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지만, 아기용 일회용 기저귀로서의 사용을 상정하면, 가압 엠보스 후의 접합부의 접합 강도는 0.065N/25㎜ 이상으로 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2매의 흡수체 랩 시트에 끼워진 흡수체가 얻어진다.
다음으로, 외장 시트, 백 시트, 흡수체, 톱 시트 및 한 쌍의 사이드 시트를, 상법(常法)에 의해 서로 겹쳐, 흡수성 물품을 제작한다.
이상,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상기의 제조 방법에 한정되지 않는다.
종래 기술의 중앙 흡수체와 사이드 흡수체의 절리부를 갖는 일회용 기저귀에 있어서는, 절리부가 존재함으로써, 그 개소에 있어서의 흡수체 자체의 강도(형태 유지성)가 저하하는 동시에, 절리부 자체는 흡수체로서의 체액 흡수 성능을 갖지 않는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을 장착 후, 다리를 움직이는 등의 동작 후에 절리부를 중심으로 흡수체의 형태가 무너져, 기저귀의 위치 어긋남(흡수체 갈라짐)에 의한 유리(遊離))이 일어나기 쉬워지며, 그 주연부를 중심으로 소변 등의 체액을 흡수, 유지하는 능력이 저하되고, 체액 누설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져, 결과적으로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방누 성능이 저하된다. 또, 절리부가 존재하기는 하지만, 흡수체의 앞길부에 있어서, 흡수체가 특정의 절곡 구조를 갖고 있지 않기 때문에, 절리부가 아닌 개소에서 흡수체가 접혀 들어가버려, 목적의 흡수 면적을 확보할 수 없을 우려가 있다.
그에 반해,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에 절곡 유도 영역을 설치하고, 또한 절곡 유도 영역 내에 압착 줄홈을 설치함으로써, 흡수체의 형태가 무너지기 어렵고, 착용시의 외관이 산뜻하게 되어 있으며, 가랑이 아래부에서의 피트성이 우수하다.
실시예
도 4에 나타내는 흡수체 제조 장치를 이용하여 흡수체를 제조했다. 얻어진 흡수체를 사용하여, 상법에 의해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하고, 평가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있어서는, 다음의 원재료를 사용했다.
친수성 섬유: 목재 플러프 펄프(NBKP)
고흡수성 폴리머: 스미토모 세이카사 제조 SAP 아쿠아키프 SA60S
핫 멜트 접착제: 헨켈재팬사 제조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티슈: 유니참 곡코 논우븐사 제조(16g/㎡)
실시예 1
제 1 적층 드럼에 있어서, 반송된 티슈에 핫 멜트 접착제 5g/㎡를 도포하고, 그 위에 미리 검량된 펄프 90g/㎡, SAP 140g/㎡를 적층했다. 단, 절곡 유도 대역에 상당하는 개소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통기성의 돌기부(72)를 실시하여, 적층되지 않도록 했다.
 제 2 적층 드럼에 있어서, 미리 검량된 펄프 160g/㎡, SAP 80g/㎡를 적층하고, 그 위에 핫 멜트 접착제 5g/㎡를 도포한 티슈를 서로 겹쳐, 티슈로 끼워넣어진 흡수체를 성형했다.
가압 장치에 의해 고단위 중량부의 두께를 3㎜로 압축한 후, 도 8에 나타내는 엠보스 형상을 갖는 엠보스 롤을 이용하여 가압 엠보스함으로써, 절곡 유도 대역에 상당하는 개소에 압착 줄홈을 형성했다. 가압 엠보스 후의 접합부의 접합 강도는 0.065N/25㎜로 조정했다.
절곡 유도 대역 및 압착 줄홈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랑이 영역 중심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연장하고,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과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사이의 폭방향의 거리는, 가랑이 영역 중심에 있어서 좁고, 가랑이 영역 중심으로부터 멀어짐에 따라서 넓어지며, 흡수체의 측연까지 신장된 형상으로 했다. 이상의 공정에 의해 크로치 둘레 내측부 및 크로치 둘레 외측부가 고단위 중량 영역(펄프 250g/㎡, SAP 220g/㎡), 절곡 유도 대역이 저단위 중량 영역(펄프 160g/㎡, SAP 80g/㎡)인 흡수체를 얻었다. 또한, 절곡 유도 대역의 저단위 중량 영역은, 중심부에 가압 엠보스를 실시한 고밀도 영역과, 그 주위의 엠보스를 실시하고 있지 않은 저밀도 영역으로 이루어진다. 흡수체의 외형 치수는, 길이 420㎜, 폭 120㎜이고, 절곡 유도 대역의 폭은 10㎜이며, 2개의 절곡 유도 대역의 사이의 폭방향의 거리는, 가장 좁은 곳에서 35㎜이며,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과 후단의 직선 거리는 220㎜였다.
제작한 티슈로 끼워넣어진 흡수체를, 외장 시트 및 백 시트 위에 겹쳐, 티슈로 끼워넣어진 흡수체 위에 톱 시트를 겹치고, 그 위에 한 쌍의 사이드 시트를 겹쳐, 도 1에 나타내는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실시예 2
제 1 적층 드럼에 있어서,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 및 후단이, 흡수체의 측연보다는 폭방향 내측이고, 또한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과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와 톱 시트의 접합 영역의 폭방향 내측 위치보다도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적층 드럼의 비통기성의 돌기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적층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 및 후단의 흡수체 측연으로부터의 거리는 10㎜이며,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과 후단의 직선 거리는 195㎜였다.
실시예 3
제 1 적층 드럼에 있어서, 크로치 둘레 외측부에 상당하는 개소에 메시로 개공 한 통기성 제어 부재(도 6 참조)를 배치하고, 펄프 25g/㎡, SAP 40g/㎡가 적층되도록 조정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실시예 4
제 1 적층 드럼으로 펄프 130g/㎡, SAP 160g/㎡를 적층했다. 단, 절곡 유도 대역에 상당하는 개소에는 비통기성의 돌기부를 설치하여, 적층되지 않도록 하고, 크로치 둘레 외측부에 상당하는 개소에는 메시로 개공한 통기성 제어 부재(도 6 참조)를 배치하여, 펄프 25g/㎡, SAP 30g/㎡가 적층되도록 조정했다. 제 2 적층 드럼에 있어서, 펄프 120g/㎡, SAP 60g/㎡를 적층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실시예 5
제 1 적층 드럼으로 펄프 50g/㎡, SAP 120g/㎡를 적층했다. 단, 절곡 유도 대역에 상당하는 개소에는 비통기성의 돌기부를 설치하여, 적층되지 않도록 하고, 크로치 둘레 외측부에 상당하는 개소는 메시로 개공한 통기성 제어 부재(도 6 참조)를 배치하여, 펄프 25g/㎡, SAP 50g/㎡가 적층되도록 조정했다. 제 2 적층 드럼에 있어서, 펄프 200g/㎡, SAP 100g/㎡를 적층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비교예 1
제 1 적층 드럼에 있어서,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 및 후단이,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과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와 톱 시트의 접합 영역의 폭방향 내측 위치보다도, 더욱 폭방향 내측에 위치하도록, 제 1 적층 드럼의 비통기성의 돌기부의 위치를 조정하여 적층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비교예 2
제 1 적층 드럼으로 펄프 250g/㎡, SAP 220g/㎡를 적층했다. 단, 절곡 유도 대역에 상당하는 개소에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비통기성의 돌기부를 설치하여 적층되지 않도록 했다. 제 2 적층 드럼의 공정은 생략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이 비교예 2의 일회용 기저귀는, 크로치 둘레 내측부 및 크로치 둘레 외측부가 고단위 중량 영역(펄프 250g/㎡, SAP 220g/㎡)이며, 절곡 유도 대역에 상당하는 개소에 단위 중량이 없는 절리부가 존재하는 것이었다.
비교예 3
제 1 적층 드럼으로 펄프 250g/㎡, SAP 220g/㎡를 적층했다. 단, 제 1 적층 드럼의 적층부에는,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비통기성의 돌기부도 통기성 제어 부재도 갖지 않는 통기성의 메시 스크린을 이용했다. 제 2 적층 드럼의 공정은 생략했다. 그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이 비교예 3의 일회용 기저귀는, 크로치 둘레 내측부, 크로치 둘레 외측부, 절곡 유도 대역에 상당하는 개소의 전영역이 고단위 중량 영역(펄프 250g/㎡, SAP 220g/㎡)인 것이었다.
비교예 4
가압 엠보스를 실시하지 않은 점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이 비교예 4의 일회용 기저귀는 압착 줄홈이 존재하지 않는 것이었다.
비교예 5
가압 엠보스를 실시하지 않은 점 이외에는,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이 비교예 5의 일회용 기저귀는 절곡 유도 대역도 압착 줄홈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었다.
비교예 6
제 1 적층 드럼의 적층부의 메시 스크린의 형상에 있어서, 크로치 둘레 외측부를 폐(廢)한 형상(소위 모래시계형)의 메시 스크린을 이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2와 마찬가지로 하여 일회용 기저귀를 제작했다. 이 비교예 6의 일회용 기저귀는 흡수체에 크로치 둘레 외측부도 절곡 유도 대역도 존재하지 않는 것이었다.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작한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 흡수체 내측으로의 접어들어감, 부드러움(피부에의 부담) 및 형태 무너짐(기저귀의 위치 어긋남)을 평가했다. 각 평가 항목의 평가 방법은 다음과 같다. 평가 결과는 표 1에 나타낸다.
[흡수체 내측으로의 접어들어감] (실제의 아기의 장착 상태로 확인)
평가 대상의 일회용 기저귀를, 실제로 아기 6명에게 장착하고, 자유 동작 20분 후의 일회용 기저귀의 외관, 및 탈의 후의 기저귀의 톱 시트(피부면)측으로부터, 흡수체의 내측으로의 접어들어감을 확인하고, 이하의 평가로 했다.
접어들어감 인원수: 0∼1명(○), 2∼3명(△), 4명 이상(×)
[부드러움(피부에의 부담)」(장착자(모친)로부터의 의견으로 확인)
평가 대상의 일회용 기저귀를, 실제로 아기 6명에게 장착할 때의 장착자(모친)로부터, 기저귀의 톱 시트(피부면)측의 촉감을 확인받아, 가압 엠보스에 의한 딱딱함에 의한 의견을 확인하고, 이하의 평가로 했다.
「딱딱하다」고 느낀 인원수: 0∼1명(○), 2∼3명(△), 4명 이상(×)
[형태 무너짐(기저귀의 위치 어긋남)] (실제의 아기의 장착 상태로 확인)
평가 대상의 일회용 기저귀를, 실제로 아기 6명에게 장착하고, 자유 동작 10분 후, 0.9% 식염수 100cc를 고간부에 주입 후, 추가로 자유 동작 10분 후의 종이 기저귀 탈의 후의 기저귀의 톱 시트(피부면)측으로부터, 흡수체의 비틀림, 들뜸 상태를 확인하고, 고간부의 흡수체가 크게 비틀림(사용 전 위치와 비교하여 폭방향으로 10㎜ 이상의 비틀림) 또는 톱 시트가 들떠 있는 상태(사용 전 위치와 비교하여 20㎜ 이상의 차이)를 「형태 무너짐」이라고 판단하고, 이하의 평가로 했다.
형태 무너짐 인원수: 0∼1명(○), 2∼3명(△), 4명 이상(×)
[표 1]
Figure 112016092428949-pct00001
실시예 1은, 크로치 둘레 내측부 및 크로치 둘레 외측부를 고단위 중량 영역으로 설정하여, 절곡 유도 대역의 단위 중량을 저감시키고, 또한 가압 엠보스에 의한 압착 줄홈을 흡수체 측연까지 실시한 실시예이다. 절곡 유도 대역의 단위 중량을 저감시킨 것, 또한 가압 엠보스를 실시함으로써, 절곡 유도 대역 부근의 흡수체로서의 흡수 성능을 유지하면서, 흡수체의 형태 무너짐을 막을 수 있다. 또, 단위 중량 저감에 더하여 절곡 유도 대역의 SAP 함유율을 저감시킴으로써, 가압 엠보스에 의해 SAP 입자가 고밀도화되어, 절곡 유도 대역의 흡수체가 경화할 우려를 회피하고, 다른 개소와 마찬가지의 유연성을 유지하여, 피부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또, 절곡 유도 대역이 크로치 둘레부로부터 전후 길이 방향을 향하여 방사상으로 신장하고, 흡수체의 측연까지 도달함으로써, 방누벽의 전단 및 후단에서의 흡수체 내측으로의 접어들어감이 제어되어, 방누벽을 타고 넘는 누설 방지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2는, 실시예 1의 구성에 있어서, 가압 엠보스에 의한 절곡 유도 대역을 흡수체의 측연보다는 폭방향 내측에서, 또한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과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와 톱 시트의 접합 영역의 폭방향 내측 위치보다, 폭방향 외측에 존재하도록 실시한 실시예이다.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과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와 톱 시트의 접합 영역의 폭방향 내측 위치보다, 폭방향 외측에 존재시킴으로써 실시예 1과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을 나타내고, 방누벽의 전단 및 후단에서의 흡수체 내측으로의 접어들어감이 제어되어, 방누벽을 타고 넘는 누설 방지를 기대할 수 있다.
실시예 3은, 실시예 1의 구성에 있어서, 크로치 둘레 외측부의 단위 중량을 저감시킨 실시예이다. 크로치 둘레 외측부의 단위 중량을 약간 저감시키고 있지만, 작용으로는, 실시예 1과 거의 마찬가지의 작용을 나타낸다. 흡수성 물품의 목적·용도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실시예 4는, 실시예 1의 구성에 있어서, 크로치 둘레 외측부 및 절곡 유도 대역의 단위 중량을 실시예 3보다도 더욱 저감시킨 실시예이다. 크로치 둘레 외측부 및 절곡 유도 대역의 단위 중량을 저감시킴으로써, 흡수체 전체로서의 흡수 용량은 실시예 1과 비교하면 약간 저하는 하지만, 절곡 유도 대역에 가압 엠보스를 실시함으로써, 흡수체의 형태 무너짐을 막을 수 있다. 또, 단위 중량 저감에 더하여 절곡 유도 대역의 SAP 함유율을 저감시킴으로써, 가압 엠보스에 의해 SAP 입자가 고밀도화되어 절곡 유도 대역의 흡수체가 경화할 우려를 회피하고, 다른 개소와 마찬가지의 유연성을 유지하여, 피부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목적·용도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실시예 5는, 실시예 1의 구성에 있어서, 크로치 둘레 외측부의 단위 중량을 실시예 1보다는 낮지만 실시예 3보다는 높게 하고, 그리고 절곡 유도 대역의 단위 중량을 실시예 1이나 실시예 3보다도 높게 한 실시예이다. 크로치 둘레 외측부 및 절곡 유도 대역의 단위 중량을 실시예 3보다도 높게 함으로써, 흡수체 전체로서의 흡수 용량은 실시예 3과 비교하면 향상되지만, 절곡 유도 대역에 가압 엠보스를 실시함으로써, 흡수체의 형태 무너짐을 막을 수 있다. 절곡 유도 대역의 단위 중량이 증가됨으로써, 그 개소에 차지하는 SAP의 전체량도 증가되고, 가압 엠보스에 의해 SAP 입자에 의한 절곡 유도 대역의 흡수체가 약간 경화는 하지만, 다른 개소와 거의 마찬가지의 유연성을 유지하여, 피부에의 부담을 경감시킬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목적·용도에 따라서 조정할 수 있는 실시예이다.
비교예 1은, 실시예 1의 구성에 있어서,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 및 후단이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과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와 톱 시트의 접합 영역의 폭방향 내측 위치보다도 폭방향 내측에 존재하도록 실시한 예이다.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 및 후단이,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 및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와 톱 시트의 접합 영역의 폭방향 내측 위치보다도, 더욱 폭방향 내측에 존재하는 형태로 하면, 방누벽의 전단 및 후단에서의 흡수체 내측으로의 접어들어감이 발생하고, 종래의 흡수체 영역에 소변이 적하되지 않고 방누벽 상에 적하되어 버려, 방누벽을 타고 넘는 누설로 연결될 우려가 높다.
비교예 2는, 실시예 1의 절곡 유도 대역의 단위 중량을 폐하여, 절곡 유도 대역을 절리부로 한 예이다. 절곡 유도 대역이 흡수체의 측연까지 도달함으로써, 흡수체 내측으로의 접어들어감은 제어할 수 있는 한편, 크로치 둘레 부근의 배뇨 위치 부근에서는 흡수체(펄프/SAP)가 존재하지 않는 절리부 때문에 형태 무너짐이 발생하는 것, 또한 종래 기술예와 마찬가지로, 절리부 자체에 흡수체로서의 체액 흡수 성능을 갖지 않음으로써, 소변 등의 체액을 흡수, 유지하는 능력이 저하되고, 체액 누설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져, 결과적으로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방누 성능(흡수 용량)이 저하된다.
비교예 3은, 실시예 1이 절곡 유도 대역의 단위 중량을, 크로치 둘레 내측부 단위 중량, 크로치 둘레 외측부 단위 중량과 마찬가지로 고단위 중량으로 한 예이다. 절곡 유도 대역이 고단위 중량이면, 가압 엠보스에 의해 SAP 입자가 고밀도화됨으로써, 절곡 유도 대역의 흡수체가 경화하여(SAP의 입감에 의한 이물감이 발생), 다른 개소와 비교하여 흡수체로서 피부에의 부담을 일으킬 우려가 높아진다.
비교예 4는, 실시예 1의 구성에 있어서, 절곡 유도 대역에 가압 엠보스를 실시하지 않는 예이다. 가압 엠보스에 의한 압착 줄홈이 없으면 절곡 유도 대역에 따른 흡수체 내측으로의 접어들어감 제어가 되기 어려워져, 방누벽을 타고 넘는 누설로 연결될 우려가 높아지는 것 외에, 저단위 중량 영역이 절곡 유도 대역 부근을 중심으로 흡수체의 형태 무너짐이 발생하여, 기저귀의 위치 어긋남(흡수체 갈라짐에 의한 유리)가 일어나기 쉬워지고, 그 주연부를 중심으로 소변 등의 체액을 흡수, 유지하는 능력이 저하되며, 체액 누설을 일으킬 우려가 높아져, 결과적으로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방누 성능도 저하된다.
비교예 5는, 비교예 3과 마찬가지로, 흡수체 전영역을 고단위 중량 영역으로 한 예이지만, 비교예 3과 다르게 가압 엠보스에 의한 압착 줄홈이 없기 때문에, 흡수체 경화는 발생하지 않기는 하지만, 절곡 유도 대역을 따른 흡수체 내측으로의 접어들어감 제어를 할 수 없게 되어, 방누벽을 타고 넘는 누설로 연결될 우려가 높아지는 것 외에, 기저귀의 위치 어긋남(흡수체 갈라짐에 의한 유리)가 일어나기 쉬워지고, 그 주연부를 중심으로 소변 등의 체액을 흡수, 유지하는 능력이 저하되고, 체액 누설을 일으킬 가능성이 높아져, 결과적으로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방누 성능이 저하된다.
비교예 6은, 흡수체 형상의 크로치 둘레 외측부를 폐한 소위 모래시계형으로 한 것이다. 모래시계형으로 함으로써 절곡 유도 대역에 상당하는 영역이 없어져, 그 개소를 중심으로 한 흡수체의 형태 무너짐은 발생하지 않지만, 가압 엠보스가 없기 때문에 절곡 유도 대역을 따른 흡수체 내측으로의 접어들어감 제어를 할 수 없게 되어, 방누벽을 타고 넘는 누설로 연결될 가능성이 높아지는 것 외에, 모래시계형의 흡수체 형상이 됨으로써, 전체의 흡수 용적이 저하되기 때문에, 소변 등의 체액을 흡수, 유지하는 능력이 저하되고, 체액 누설을 일으킬 우려가 높아져, 결과적으로 흡수성 물품으로서의 방누 성능이 저하한다.
본 발명의 흡수성 물품은, 영아(乳兒)용 일회용 기저귀, 유아(幼兒)용 일회용 기저귀, 트레이닝 팬츠, 성인용 일회용 기저귀, 실금 패드 등에 적합하게 이용할 수 있다.
1 : 흡수성 물품
2 : 톱 시트
3 : 백 시트
4 : 흡수체
5 : 사이드 시트
6 : 외장 시트
7 : 탄성 부재
8 : 절곡 유도 대역
9 : 접합 영역
10 : 압착 줄홈
51 : 코터
52 : 흡수체 랩 시트
53 : 벨트 콘베이어
54 : 제 1 적층 드럼
55 : 제 1 적층물
56 : 전사 석션 박스
57 : 제 2 적층 드럼
58 : 제 2 적층물
59 : 전사 석션 박스
60 : 적층체
61 : 코터
62 : 흡수체 랩 시트
63 : 가압 장치
64 : 가압 엠보스 롤
71 : 통기성의 메시 스크린
72 : 비통기성의 돌기부
73 : 통기성 제어 부재

Claims (10)

  1. 액체 투과성의 톱 시트, 액체 불투과성의 백 시트, 그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흡수체, 방누벽(防漏壁)을 형성하는 좌우 한 쌍의 사이드 시트 및 외장 시트를 갖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흡수체는 친수성 섬유와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고,
    사이드 시트는 전단 영역과 중앙 영역과 후단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사이드 시트의 폭방향 외측 영역은 톱 시트, 백 시트 및 외장 시트 중 적어도 1개와 접합하며,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 및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 사이드 시트는 톱 시트와 접합하고, 사이드 시트의 중앙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은 자유단으로 되어 있으며, 자유단에는 탄성 부재가 부착되고, 그리고 사이드 시트의 중앙 영역은 방누벽으로서 기능하며,
    흡수체는 전(前) 영역과 가랑이 영역과 후(後) 영역으로 이루어지고, 흡수체에는 가랑이 영역 중심으로부터 전방 및 후방을 향해 연장되는 좌우 한 쌍의 절곡 유도 대역이 설치되며, 오른쪽 절곡 유도 대역과 왼쪽 절곡 유도 대역의 사이의 폭방향의 거리는, 가랑이 영역 중심에 비해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 및 후단에 있어서 넓고,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 및 후단은, 사이드 시트의 전단 영역 및 후단 영역의 폭방향 내측연부에 있어서의 사이드 시트와 톱 시트의 접합 영역의 폭방향 내측 위치보다도 폭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있으며, 절곡 유도 대역은 친수성 섬유 및 고흡수성 폴리머를 포함하지만, 흡수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단위 중량(目付;metsuke)이 낮고 또한 고흡수성 폴리머의 함유율이 낮으며,
    각 절곡 유도 대역 내에는 압착 줄홈이 설치되고, 압착 줄홈은 흡수체의 다른 부위에 비해 밀도가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 1 항에 있어서,
    절곡 유도 대역의 전단 및 후단이 흡수체의 측연에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3. 제 1 항에 있어서,
    절곡 유도 대역은,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을 향해 볼록한 곡선상(狀) 또는 꺾인선상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4. 제 3 항에 있어서,
    절곡 유도 대역은, 흡수체의 폭방향 중앙을 향해 볼록한 호상(弧狀)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체의 단위 중량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비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낮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압착 줄홈은 톱 시트를 통하여 흡수체를 가압 엠보스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흡수체와 톱 시트의 사이 및 흡수체와 백 시트의 사이에 흡수체 랩 시트가 개재되고, 압착 줄홈은, 톱 시트 및 흡수체 랩 시트를 통하여 또는 흡수체 랩 시트를 통하여, 흡수체를 가압 엠보스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8.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곡 유도 대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의 35∼65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9.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곡 유도 대역에 있어서의 친수성 섬유의 단위 중량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친수성 섬유의 단위 중량의 45∼80질량%이며, 절곡 유도 대역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중량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고흡수성 폴리머의 단위 중량의 25∼5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이, 절곡 유도 대역으로부터 폭방향 내측의 영역에 있어서의 흡수체의 단위 중량의 50∼80질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재의 흡수성 물품.
KR1020167026381A 2014-03-25 2015-03-24 흡수성 물품 KR1023080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4-062128 2014-03-25
JP2014062128A JP6238808B2 (ja) 2014-03-25 2014-03-25 吸収性物品
PCT/JP2015/058943 WO2015146991A1 (ja) 2014-03-25 2015-03-24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7547A KR20160137547A (ko) 2016-11-30
KR102308048B1 true KR102308048B1 (ko) 2021-09-30

Family

ID=541955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26381A KR102308048B1 (ko) 2014-03-25 2015-03-24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EP (1) EP3123994B1 (ko)
JP (1) JP6238808B2 (ko)
KR (1) KR102308048B1 (ko)
CN (1) CN106132367B (ko)
AU (1) AU2015234994B2 (ko)
BR (1) BR112016021226B1 (ko)
MY (1) MY178636A (ko)
PH (1) PH12016501834A1 (ko)
RU (1) RU2667237C2 (ko)
WO (1) WO20151469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47882B1 (ja) * 2016-03-01 2017-06-1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パッド
GB201610184D0 (en) 2016-06-10 2016-07-27 Eumar Tech Ltd Product
JP6844413B2 (ja) * 2017-05-17 2021-03-17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およびその製造装置
JP2019024607A (ja) * 2017-07-26 2019-02-21 王子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993133B2 (ja) * 2017-07-31 2022-01-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513163B2 (ja) * 2017-10-31 2019-05-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2334104B (zh) * 2018-06-19 2023-02-28 尤妮佳股份有限公司 吸收性物品
JP7064975B2 (ja) * 2018-06-19 2022-05-11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13456348B (zh) * 2021-08-17 2022-03-25 泉州翔锐机械有限公司 一种用于卫生用品的高分子波形散播式吸收芯成型装置
CN116570432A (zh) * 2023-05-11 2023-08-11 美佳爽(中国)有限公司 一种新型速吸干爽吸收芯体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652A (ja) 2004-09-06 2005-02-10 Daio Paper Corp 使い捨ておむつ
WO2010107096A1 (ja) 2009-03-19 2010-09-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1156032A (ja) 2010-01-29 2011-08-18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53561B2 (ja) * 1995-10-19 2000-06-19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2000091929A (ja) * 1998-09-11 2000-03-31 Sanyo Electric Co Ltd 移動体端末機
ES2201841T3 (es) * 1998-11-30 2004-03-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rticulo absorbente que tiene un canal.
JP4180865B2 (ja) * 2002-09-09 2008-11-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可撓軸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4198978B2 (ja) * 2002-12-05 2008-12-17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縦長の吸収性物品
JP4390445B2 (ja) * 2002-12-05 2009-12-24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縦長の吸収性物品
JP4159539B2 (ja) 2004-11-22 2008-10-01 花王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4870365B2 (ja) * 2005-02-23 2012-02-08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生理用ナプキン
JP4261593B2 (ja) * 2007-04-27 2009-04-30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SG186933A1 (en) * 2010-07-07 2013-02-28 Kao Corp Disposable diaper
JP5701027B2 (ja) * 2010-11-30 2015-04-15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着用物品
JP5698513B2 (ja) * 2010-12-14 2015-04-08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34652A (ja) 2004-09-06 2005-02-10 Daio Paper Corp 使い捨ておむつ
WO2010107096A1 (ja) 2009-03-19 2010-09-2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1156032A (ja) 2010-01-29 2011-08-18 Daio Paper Corp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RU2667237C2 (ru) 2018-09-17
CN106132367B (zh) 2019-08-06
EP3123994A4 (en) 2017-03-22
JP2015181790A (ja) 2015-10-22
PH12016501834B1 (en) 2017-01-09
PH12016501834A1 (en) 2017-01-09
AU2015234994A1 (en) 2016-10-27
EP3123994A1 (en) 2017-02-01
JP6238808B2 (ja) 2017-11-29
MY178636A (en) 2020-10-19
BR112016021226A2 (ko) 2017-08-15
BR112016021226B1 (pt) 2022-01-25
CN106132367A (zh) 2016-11-16
EP3123994B1 (en) 2018-06-20
KR20160137547A (ko) 2016-11-30
WO2015146991A1 (ja) 2015-10-01
AU2015234994B2 (en) 2019-01-31
RU2016140725A3 (ko) 2018-07-11
RU2016140725A (ru) 2018-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048B1 (ko) 흡수성 물품
KR102353425B1 (ko) 흡수성 물품
JP5144539B2 (ja) 吸収性物品
EP2572687B1 (en) Bodily absorbent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JP5727246B2 (ja) 吸収性物品
KR20140122762A (ko) 흡수체 물품
JP2009519098A (ja) 吸収性用品
JP6320827B2 (ja) 吸収性物品
KR102574646B1 (ko) 신체 순응 구조를 구비한 흡수 용품
AU2013390918B2 (en) Absorbent article
JP6062707B2 (ja) 吸収性パッド
JP6186176B2 (ja) 吸収性物品
JP6513163B2 (ja) 吸収性物品
JP6756427B2 (ja) 吸収性物品
JP6603922B2 (ja) 吸収性物品
JP6944575B2 (ja) 吸収性物品
JP2005087655A (ja) 女性用失禁パッド
JP2017131280A (ja) 吸収性物品
JP6701555B2 (ja) 吸収性物品
JP6358823B2 (ja) 吸収性物品
RU2405519C2 (ru) Абсорбирующее изделие
WO2018122899A1 (ja) 吸収性物品
JP2013121486A (ja) 使い捨ておむつ
CN110891536A (zh) 带有液体侧阻挡件的一次性卫生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