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9677B1 -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9677B1
KR102219677B1 KR1020200087601A KR20200087601A KR102219677B1 KR 102219677 B1 KR102219677 B1 KR 102219677B1 KR 1020200087601 A KR1020200087601 A KR 1020200087601A KR 20200087601 A KR20200087601 A KR 20200087601A KR 102219677 B1 KR102219677 B1 KR 1022196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cement
throttling
bridge
excess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76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재균
Original Assignee
부국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국테크(주) filed Critical 부국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0876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1967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96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96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3/00Measuring instru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3/02Rulers with scales or marks for direct read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0002Arrangements for supporting, fixing or guiding the measuring instrument or the object to be measure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1/00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 G01M1/14Determining imbalanc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교량받침 상판에 결합되는 상부브라켓, 상부브라켓의 타측 단부 아래 초기 위치하며, 지시창 및 제1 및 제2교축 초과 지시창과 제1 및 제2교직 초과 지시창을 구비하는 본체, 교량받침 하판에 결합되는 하부브라켓, 본체 내부에 결합되는 교축 변위자, 제1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 및 제1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변위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the Device for Measurement of Displacement of Bridge Bearing Pads}
본 발명은 교량받침의 변위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거에 일어난 허용 변위량의 초과 변위를 수치값으로 측정 가능한 변위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교량에는 상부구조(교량 거더)에서 받는 힘을 하부구조(교대)로 전달하기 위해 상부구조와 하부구조의 경계에 지지장치인 교량받침을 설치하는데, 이러한 받침은 기능적으로 보아서 교량을 고정하는 지점(고정점)에 설치하는 고정받침과 하부구조에 대한 상부구조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지점(가동점)에 설치하는 가동받침으로 대별되며, 가동받침은 좌, 우로만 가동하는 일방향 받침과 좌, 우, 종, 횡 방향으로 가동하는 양방향 받침이 있다.
또한, 가동받침은 상판 구조물인 강재나 콘크리트의 온도변화, 건조수축, 크리프(creep: 일정한 하중을 재하한 콘크리트는 재하 직후 탄성 변형이 생긴 후에도 시간에 따라 변형이 증가하는 현상) 등에 의한 교량의 이동을 원활하게 하는 구조로 하는 것이 필요하며, 일반적으로 탄성중합체(Elastomer)로 제작된다.
이와 같은 가동받침은 여러 외적 조건(온도변화나 진동)에 따라 교량의 상부 구조가 늘어나거나 또는 줄어드는 등, 교량의 이동(신축작용)을 하게 되는데, 이에 따라 이 가동받침도 종, 횡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받침의 하단은 교량의 하부구조에 결합되어 고정되고, 상단은 교량의 상부구조에 결합되어 고정되기 때문에 교량의 상부구조가 신축됨에 따라 받침의 상단이 이동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교량의 변위량은 교량의 안전점검 시 점검대상이며, 이 변위량을 측정하기 위해 받침에 교량받침 측정장치를 설치하여 사용한다.
이러한 변위량은 작업자가 측정하는 시점 이전에 일어난 허용 초과 변위량은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과거에 일어난 변위량이 허용범위 내의 변위라면 문제가 없겠으나, 허용범위를 벗어난 변위가 일어났던 상태라면, 반드시 교량의 안전점검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허용 초과 범위의 변위를 파악 가능한 것은 교량의 상태를 더 정확하게 판단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추후 문제에 대비할 수 있다는점에서 중요한 데이터이다.
선행기술 등록특허 제10-1618229호에서 좌측 이동체(130a)가 지침의 상대 변위량이 게이지 본체의 눈금 영역을 좌측으로 초과하는 경우(교량 상부구조물의 상시변위를 초과하는 경우) 지침(150)에 의해 밀리면서 좌 또는 우측으로 진출하여 교량 상부구조물의 상시변위를 초과한 좌 또는 우측 이동량을 표시하게 하고, 지진 변위 시에는 좌측 이동체(130a) 및 우측 이동체(130b)가 지침(150)에 의해 급격히 밀리면서 스토퍼 돌기(140a, 140b)에 걸려 부러짐으로써 상시변위 내지 지진변위 사이의 중간변위를 초과하는 경우도 표시 가능하게 하였으나, 이는, 정확한 수치값으로 파악할 수 없고, 지진 등으로 좌측 이동체(130a) 및 우측 이동체(130b)가 부러진 경우에는 부품을 교체해야 하며, 교직방향만 확인 가능한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5-0145396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6-0010248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9-001050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교축 및 교직방향 모두에 대한 허용 초과 변위량을 측정 가능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초과 변위가 일어난 시점이 지나도 정확한 허용 초과 변위량을 확인 가능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소모품 교환이 필요없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4목적은, 허용 초과 변위량을 정확한 수치값으로 측정 가능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교량받침 상판에 결합되는 상부브라켓, 상기 상부브라켓의 타측 단부 아래 초기 위치하며, 정면에 내부 투사 가능하게 형성되고, 중앙을 좌우측으로 횡단하는 교축지시선이 구비된 지시창과, 교축지시선 기준으로 정면 좌측 상단을 관통하는 제1교축 초과 지시창과, 상기 교축지시선 기준으로 정면 우측 하단을 관통하는 제2교축 초과 지시창이 구비되는 본체,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교량받침 하판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하부브라켓, 일측 단부가 상기 상부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브라켓의 움직임에 따라 감김 또는 풀리도록 코일형상으로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시창에 대응되는 일면에 허용범위 및 허용 초과 범위를 포함하는 교축 변위수치가 표기되는 교축 변위자, 상기 제1교축 초과 지시창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1교축 초과 수치가 표기되고, 일측이 상기 제1교축 초과 지시창 하단에 초기 배치되며, 타측이 상기 일측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교축 초과 변위자 및 상기 제2교축 초과 지시창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2교축 초과 수치가 표기되고, 타측이 상기 제2교축 초과 지시창 상단에 초기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타측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2교축 초과 변위자를 포함하되, 상기 교축 변위자는 상기 교축지시선 기준으로 상기 교축 변위수치의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 또는 제2교축 초과 변위자의 타측을 진행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타면에 교축측 돌기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교축 초과 변위자는 교축측 돌기와 대응되는 하단이 본체 정면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제2교축 초과 변위자는 교축측 돌기와 대응되는 상단이 본체 내부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교축측 돌기에 걸려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지시창 상단에 허용범위를 포함하는 교직 변위수치가 표기되고, 상기 교축 변위자는 상기 일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교직지시선이 형성되어, 상기 교량받침 상판이 교직 이동하면 상기 교직지시선이 그에 상응하는 상기 교직 변위수치를 지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 및 상기 제2교축 초과 변위자의 양 단에 상응하는 양측에 한 쌍의 교축 변위자 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교축 변위자 고정부는 ‘ㄷ’자로 절곡된 판 형으로,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평행부와, 상기 제1평행부에 수직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 일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제1수직부로 구성되는 하우징브라켓, 상기 제1수직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1평행부에 양단이 결합되는 리드스크류 및 ‘ㄷ’자로 절곡된 판 형으로, 한 쌍의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리드스크류가 관통하여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평행부와,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제2교축 초과 변위자의 타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제2수직부로 구성되는 이동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브라켓은 상기 리드스크류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하나 이상의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축 변위자 고정부는 길이방향 단면이 ‘ㄷ’자 형상이고, 상기 제1수직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1평행부에 양단이 결합되는 가이드로드가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의 타측 단부 및 상기 제2교축 초과 변위자의 일측 단부가 개구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삽입되어, 상기 교축측 돌기가 진행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해도 안정적으로 수평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교축 변위자 고정부는 상기 제2평행부의 관통홀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부시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이동브라켓이 상기 리드스크류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관통홀이 상기 리드스크류의 나사산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의 정면 기준으로,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의 일측 단부가 결합된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제2교축 초과 변위자의 일측 단부가 결합된 상기 가이드로드 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교축 초과 변위자의 타측 단부가 결합된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의 타측 단부가 결합된 상기 가이드로드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서로 동선이 겹침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는 상기 제1교축 초과 수치 및 제2교축 초과 수치의 눈금에 인접하게 설정 간격으로 교축 리턴홀이 형성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정면을 기준으로, 상기 교직 변위수치의 좌측 최댓값의 좌측 상단을 관통하는 제1교직 초과 지시창 및 상기 교직 변위수치의 우측 최댓값의 우측 상단을 관통하는 제2교직 초과 지시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타측이 상기 제1교직 초과 지시창 우측에 초기 배치되고, 상기 제1교직 초과 지시창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1교직 초과 수치가 표기되며, 일측은 타측에서 제1교직 초과 지시창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제1교직 초과 변위자 및 일측이 상기 제2교직 초과 지시창 좌측에 초기 배치되고, 상기 제2교직 초과 지시창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2교직 초과 수치가 표기되며, 타측은 일측에서 제2교직 초과 지시창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제2교직 초과 변위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교직 초과 변위자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제2교직 초과 변위자의 타측 단부는 각각 상기 본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교직측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교축 변위자의 상기 교직 변위수치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이동에 의해 밀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교직 초과 변위자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는 상기 제1교직 초과 수치 및 상기 제2교직 초과 수치의 눈금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홀과, 그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키홈 형상인 리미트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교직 초과 변위자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의 후방에 결합되는 교직 변위자 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교직변위자고정부는 상기 제1교직 초과 변위자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의 각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제1서포트판, 상기 제1서포트판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서포트판, 상기 리미트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서포트판 및 제2서포트판을 상기 본체 정면에 결합시키는 리미트볼트 및 상기 리미트볼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서포트판 및 제2서포트판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교량받침 상판의 교직 이동에 따라 상기 제1교직 초과 변위자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의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이 안정적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교직 초과 변위자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는 상기 제1교직 초과 수치 및 제2교직 초과 수치의 눈금에 인접하게 설정 간격으로 교직 리턴홀이 형성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는, 제1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와 제1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를 구성하여, 교량받침 상판이 허용범위를 벗어나 이동하는 허용 초과 변위의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교축 변위자 고정부를 구성하여 제1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의 이동된 위치로부터 고정시키고, 교직 변위자 고정부를 구성하여 제1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의 이동된 위치로부터 고정시키도록 하여 허용 초과 변위가 일어난 시점이 지나도 그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와 제1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 각각에는 리턴홀을 구비하여 핀셋 등을 이용하여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또한, 제1 및 제2교축 초과 수치 및 제1 및 제2교직 초과 수치는 눈금 및 숫자로 표기되어 정확한 허용 초과 변위량의 측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량받침 상판이 제1방향으로 허용 초과한 교축이동이 일어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량받침 상판이 제2방향으로 허용 초과한 교축이동이 일어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의 교축 변위자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의 확대도이다.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의 교축 변위자 고정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교량받침 상판이 제1방향으로 허용범위의 교직 이동이 일어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교량받침 상판이 제1방향으로 허용 초과한 교직이동이 일어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교량받침 상판이 허용범위 내로 복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본문의 도면은, 설명하고자 하는 특정 구성요소의 가독성을 높이기 위해, 그와 직접 연결되지 않는 구성요소를 미표시하거나 간략하게 표현하였고, 숨은선을 실선으로 표시하는 등, 통상적인 기계제도방법을 따르지 않고 표현되었음을 알린다.
또한, 본문에서 “제1교축~”은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0)의 본체(20)의 정면을 기준으로 교량받침 상판(1)이 멀어지는 방향이고, “제2교축~”는 본체(20)의 정면을 기준으로 교량받침 상판(1)이 멀어지는 방향을 의미로 작성되었다. “제1교직~”은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0)의 본체(20)의 정면을 기준으로 교량받침 상판(1)이 좌측으로 이동하는는 방향을 의미하고, “제2교직~”은 본체(20)의 정면을 기준으로 교량받침 상판(1)이 우측으로 이동하는 방향의 의미로 작성되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0)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0)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량받침 상판(1)이 제1방향으로 허용 초과한 교축이동이 일어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량받침 상판(1)이 제2방향으로 허용 초과한 교축이동이 일어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받침의 교축방향(차량의 진행방향)측 측면에 설치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0)는 상부브라켓(10), 본체(20), 하부브라켓(30), 교축 변위자(40), 제1교축 초과 변위자(50a)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부브라켓(10)은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교량받침 상판(1)에 결합된다. 본체(20)는 상부브라켓(10)의 타측 단부 아래 초기 위치하며, 그 정면에 지시창(21), 제1교축 초과 지시창(22) 및 제2교축 초과 지시창(23)이 구비된다. 지시창(21)은 본체(20) 내부를 투사가능하게 형성되고 중앙을 좌우측으로 횡단하는 교축지시선(211)이 구비된다. 제1교축 초과 지시창(22)은 교축지시선(211)을 기준으로 정면 좌측 상단을 관통하고, 제2교축 초과 지시창(23)은 교축지시선(211)을 기준으로 정면 우측 하단을 관통한다. 하부브라켓(30)은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교량받침 하판(미도시)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본체(20)의 배면에 결합되도록 형성된다. 교축 변위자(40)는 일측 단부가 상부브라켓(10)에 결합되어 상부브라켓(10)의 움직임에 따라 감김 또는 풀리도록 코일형상으로 본체(20) 내부에 배치되고, 지시창(21)에 대응되는 일면에 허용범위 및 허용 초과 범위를 포함하는 교축 변위수치(41)가 표기된다. 제1교축 초과 변위자(50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축 초과 지시창(22)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1교축 초과 수치(51a)가 표기되고, 일측이 제1교축 초과 지시창(22) 하단에 초기 배치되며, 타측이 일측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b)는 도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교축 초과 지시창(23)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2교축 초과 수치(51b)가 표기되고, 타측이 제2교축 초과 지시창(23) 상단에 초기 배치되며, 일측이 타측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된다.
특히, 교축 변위자(40)는 교축지시선(211) 기준으로 교축 변위수치(41)의 허용 수치를 벗어나면, 제1교축 초과 변위자(50a) 또는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b)의 타측을 교축 진행 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타면에 교축측 돌기(43)가 형성된다. 이때, 제1교축 초과 변위자(50a)는 교축측 돌기(43)와 대응되는 하단이 본체(20) 정면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b)는 교축측 돌기(43)와 대응되는 상단이 본체(20) 내부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교축측 돌기(43)와 안정적으로 맞닿여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축 변위자(40)는 상부브라켓(10)을 따라 본체(20)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변위자 가이드부(70)에 결합되어 본체(20)와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위자 가이드부(70)는 센터롤러(71), 측판(72), 가이드파이프(73) 및 리드로드(74)를 포함한다. 센터롤러(71)는 교축 변위자(40)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어 코일 형상의 중심이 되는 중심축과, 그 중심축의 양단에 교축 변위자(40)의 양측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된다. 측판(72)은 센터롤러(71)가 하단에 위치하고 그 양측면으로 커버하도록 형성된다. 가이드파이프(73)는 측판(72)의 상단 및 하단에 양단이 결합되어 교축 변위자(40)의 감김 및 풀림을 가이드한다. 또한, 하나 이상의 리드로드(74)는 가이드파이프(73)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본체(20)의 상단 및 하단의 양측면에 양 단이 결합된다. 특히, 가이드파이프(73)는 교축 변위자(40)의 폭에 상응하는 양단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구비하여, 교축 변위자(40)가 수평하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가이드한다.
또한, 교축 변위자(40)가 풀리거나 감길 때, 교축측 돌기(43)가 지나가는 길목에 상응하는 외주면에 둘레를 따라 가이드홈(731)이 형성되어 교축측 돌기(43)를 가이드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체(20)는 정면의 지시창(21) 상단에 허용범위를 포함하는 교직 변위수치(24)가 표기되고, 교축 변위자(40)는 일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교직지시선(42)을 구비하여, 교량받침 상판(1)이 교직 이동하면, 교직지시선(42)이 그에 상응하는 교직 변위수치(24)를 지시하도록 형성된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도 1은 교량받침 상판(1)이 어떠한 방향으로도 변위를 일으키지 않은 모습으로 초기 상태를 나타낸다.
또한, 도 2는, 교량받침 상판(1)이 교축 변위수치(41)의 제1방향 측 허용범위 최댓값을 벗어나 허용 초과 범위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낸다. 이는, 변위량 측정 시점 기준으로, 교량받침 상판(1)이 제1방향 측으로 20 mm 교축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3은, 교량받침 상판(1)이 교축 변위수치(41)의 제2방향 측 허용범위 최댓값을 벗어나 허용 초과 범위에 진입하였음을 나타낸다. 이는, 변위량 측정 시점 기준으로, 교량받침 상판(1)이 제2방향 측으로 20 mm 교축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0)의 교축 변위자 고정부(27)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B’의 확대도이며, 도 6은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0)의 교축 변위자 고정부(27)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는 제1교축 초과 변위자(50a)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b)의 양 단에 상응하는 양측에 한 쌍의 교축 변위자 고정부(27)를 추가로 포함한다.
교축 변위자 고정부(27)는 하우징브라켓(271), 리드스크류(272) 및 가이드로드(274)로 구성된다. 하우징브라켓(271)은 ‘ㄷ’자로 절곡된 판 형으로, 본체(20)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평행부(2711)와, 제1평행부(2711)에 수직하고 본체(20)의 외측 일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제1수직부(2713)로 구성된다. 리드스크류(272)는 제1수직부(2713)와 평행하고 제1평행부(2711)에 양 단이 결합된다. 이동브라켓(273)은 ‘ㄷ’자로 절곡된 판 형으로, 한 쌍의 관통홀(2731)을 구비하여 리드스크류(272)가 관통하여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평행부(2732)와, 제1교축 초과 변위자(50a)의 일측 단부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b)의 타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제2수직부(2733)로 구성된다. 가이드로드(274)는 길이방향 단면이 ‘ㄷ’자 형상이고, 제1수직부(2713)와 평행하고 제1평행부(2711)에 양단이 결합되어 제1교축 초과 변위자(50a)의 타측 단부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b)의 일측 단부가 개구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삽입되어 안정적으로 수평이동 가능하다. 이때, 이동브라켓(273)은 리드스크류(272)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하나 이상의 요철(2734)을 형성하여, 제1교축 초과 변위자(50a)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b)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교량받침 상판(1)이 허용범위 내로 복귀하더라도 허용 초과 범위의 이동 이력을 정확한 수치로 확인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더욱 상세하게 교축 변위자 고정부(27)는 제2평행부(2732)의 관통홀(2731)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부시(275)를 추가로 구비하여, 이동브라켓(273)이 리드스크류(272)를 따라 상승 또는 하상 시 관통홀(2731)이 리드스크류(272)의 나사산에 걸리는 것을 방지한다. 가이드부시(275)의 길이는 리드스크류(272)의 1 피치를 조금 넘는 나사산과 대응되는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일예로, 제1 및 제2 교축 초과 수치는 리드스크류(272)의 나사 피치에 따라 결정되는데 섬세한 변위량을 파악할 수 있도록 리드스크류(272)의 나사 피치(P)는 1 mm 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전술한 바와 같은 숫자 한정은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는다.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받침 상판(1)이 제1교축 방향으로 최대 허용 초과 수치만큼 이동되었을 때, 제1교축 초과 변위자(50a)의 일측 단부가 결합된 리드스크류(272)와 타측 단부가 결합된 가이드로드(274)는 한 쌍의 교축 변위자 고정부(27)의 각 상단에 위치하게 되고,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받침 상판(1)이 제2교축 방향으로 최대 허용 초과 수치만큼 이동되었을 때,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b)의 타측 단부가 결합된 리드스크류(272)와 일측 단부가 결합된 가이드로드(274)는 한 쌍의 교축 변위자 고정부(27)의 각 하단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제1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a, 50b)는 제1 및 제2교축 초과 수치(51a, 51b)의 눈금에 인접하게 설정 간격으로 교축 리턴홀(52)이 형성된다. 교축 리턴홀(52)은 5 mm 단위마다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핀셋, 핀 또는 펜 등을 이용해서 교축 리턴홀(52)에 삽입하고 초기 방향으로 설정 힘 이상을 가하면 요철(2734)이 나사산을 넘어 이동하면서 초기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도 1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20)의 정면 기준으로, 제1교축 초과 변위자(50a)의 일측 단부가 결합된 리드스크류(272)는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b)의 일측 단부가 결합된 가이드로드(274)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b)의 타측 단부가 결합된 리드스크류(272)는 제1교축 초과 변위자(50a)의 타측 단부가 결합된 가이드로드(274)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서로의 동선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형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0)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0)는 교직방향의 허용 초과 변위 또한 측정가능하다.
이를 위해, 본체(20)에는 교직 변위수치(24)의 좌측 최댓값 기준 좌측 상단을 관통하는 제1교직 초과 지시창(25) 및 교직 변위수치(24)의 우측 최댓값 기준 우측 상단을 관통하는 제2교직 초과 지시창(26)을 구비된다.
제1교직 초과 변위자(60a)는 타측이 제1교직 초과 지시창(25) 우측에 초기 배치되고, 제1교직 초과 지시창(25)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1교직 초과 수치(61a)가 표기되며, 일측은 타측에서 제1교직 초과 지시창(25)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장되어 형성된다. 제2교직 초과 변위자(60b)는 일측이 제2교직 초과 지시창(26) 좌측에 초기 배치되고, 제2교직 초과 지시창(26)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2교직 초과 수치(61b)가 표기되며, 타측은 일측에서 제2교직 초과 지시창(26)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된다. 이때, 제1교직 초과 변위자(60a)의 일측 단부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60b)의 타측 단부는 각각 본체(20)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교직측 돌기(62)를 형성하여 교축 변위자(40)의 교직 변위수치(24)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이동에 의해 밀리도록 형성된다.
도 8은 도 4에 도시된 교량받침 상판(1)이 제1방향으로 허용범위의 교직 이동이 일어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도 4에 도시된 교량받침 상판(1)이 제1방향으로 허용 초과한 교직이동이 일어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며, 도 10은 도 6에 도시된 교량받침 상판(1)이 허용범위 내로 복귀한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0의 평면도는 도 7의 ‘C’를 확대한 모습으로, 교량받침 상판(1)의 교직 이동에 따른 제1교직 초과 변위자(60a)와 교직 변위자 고정부(28)의 결합 상태를 상세히 나타낸다.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교직 초과 변위자(60a)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60b)는 제1교직 초과 수치(61a) 및 제2교직 초과 수치(61b)의 눈금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홀(63)과, 그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키홈 형상인 리미트홀(64)이 각각 형성된다. 본체(20)는 제1교직 초과 변위자(60a)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60b)의 후방에 결합되는 교직 변위자 고정부(28)를 추가로 포함한다. 교직 변위자 고정부(28)는 제1교직 초과 변위자(60a)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60b)의 각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고정홀(63)에 삽입되는 고정돌기(2811)가 형성된 제1서포트판(281)과, 제1서포트판(281)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서포트판(282)과, 리미트홀(64)을 통과하여 제1서포트판(281) 및 제2서포트판(282)을 본체(20) 정면에 결합시키는 리미트볼트(283) 및 리미트볼트(283)를 중심으로 제1서포트판(281) 및 제2서포트판(282)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284)이 구비되어, 상기 교량받침 상판(1)의 교직 이동에 따라 제1교직 초과 변위자(60a)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60b)의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이 안정적으로 가능하다. 즉, 제1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60a, 60b)(60b)가 고정 시에는, 고정돌기(2811)가 고정홀(63)에 안착되고, 코일스프링(284)은 인장되어 원래 형상으로 복귀하려는 힘으로 제2서포트판(282)에 반하여 제1서포트판(281)을 밀어내어 고정돌기(2811)가 고정홀(63)에 안착된 상태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된 원리이다. 또한, 제1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60a, 60b)가 이동 시에는, 제1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60a, 60b)에 설정 힘 이상이 적용되어 코일스프링(284)이 압축됨과 동시에 고정돌기(2811)가 고정홀(63)에서 이탈되어 다른 고정홀(63)로 이동되는 원리이다.
그뿐만 아니라, 제1교직 초과 변위자(60a) 및 제2교직 초과변위자 역시, 제1교직 초과 수치(61a) 및 제2교직 초과 수치(61b)의 눈금에 인접하게 설정 간격으로 교직 리턴홀(63)이 형성된다. 교직 리턴홀(63)은 각각 5 mm 지점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핀셋, 핀 또는 펜 등을 이용하여 교직 리턴홀(63)에 삽입하고 초기 방향으로 설정 힘을 가하면, 코일스프링(284)이 압축됨과 동시에 고정돌기(2811)가 고정홀(63)로부터 이탈하여 이동이 자유로워지고 이에 딴라 초기 위치의 고정홀(63)에 고정돌기(2811)를 복귀시키게 된다.
일예로, 도 8은, 교량받침 상판(1)이 교직 변위수치(24)의 제1방향 측 최댓값인 20 mm만큼 이동하였으나, 제1교직 초과 변위자(60a)의 이동이 없는 것으로 보아, 제1방향으로의 허용 초과 범위 상응하는 교량받침 상판(1)의 교직 이동은 일어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9는, 교량받침 상판(1)이 교직 변위수치(24)의 제1방향 측 최대값을 벗어나 허용 초과 범위에 진입하였음을, 제1교직 초과 변위자(60a)가 제1교직 초과 지시창(25)을 통해 보여지는 것을 통해 알 수 있다. 즉, 교량받침 상판(1)이 제1방향으로 허용 범위를 초과하여 10 mm 교직 이동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도 10은, 교량받침 상판(1)의 변위량 측정 시점 기준에서, 교량받침 상판(1)이 제1방향 측으로 허용범위 내 10 mm만큼 이동하였으나, 그 시점 이전에 교량받침 상판(1)이 제1방향으로 허용 범위를 초과하여 10 mm 교직 이동한 이력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제1 및 제2교축 초과 지시창(22, 23)과 제1 및 제2교직 초과 지시창(25, 26)은 제1 및 제2 교축 초과 수치가 시작되고, 제1 및 제2교직 초과 수치(61a, 61b)가 시작되는 단부를 향하도록 삼각표시 또는 화살표를 본체(20) 정면에 표기하여 수치의 가독성을 높이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문에서 교축 변위자(40)의 교축 변위수치(41)는 허용범위를 제1교축 방향 변위량 50 mm ~ 제2교축 방향 변위량 50 mm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변위량이 50 mm를 초과 하면, 양방향 각각 80 mm 까지 표시가 가능하도록 허용 초과 범위가 표기된다.
제1교축 초과 수치(51a)는 제1교축 방향 변위량이 50 mm 초과된 시점부터 +20 mm의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고, 제2교축 초과 수치(51b)는 제2교축 방향 변위량이 50 mm 초과된 시점부터 +20 mm의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문의 정면에 표기된 교직 변위수치(24)는 허용범위를 제1교직 방향 변위량 20 mm ~ 제2교직 방향 변위량 20 mm를 기준으로 표기하였다.
제1교직 초과 수치(61a)는 제1교직 방향 변위량이 20 mm 초과된 시점부터 +10 mm의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고, 제2교직 초과 수치(61b)는 제2교직 방향 변위량이 20 mm 초과된 시점부터 +10mm의 변위량을 측정할 수 있다.
본문에서는 0점을 기준으로 제1방향 및 제2방향을 모두 절댓값으로 표기하였으나, (+), (-)로 교축 및 교직이 일어난 방향을 표기하여 가독성을 높일 수 있다.
이는 교량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숫자 한정은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범위에 적용 가능하다.
전술한 바와 같은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0)는, 제1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a, 50b)와 제1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60a, 60b)를 구성하여, 교량받침 상판(1)이 허용범위를 벗어나 이동하는 허용 초과 변위의 측정이 가능하다.
또한, 교축 변위자 고정부(27)를 구성하여 제1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a, 50b)의 이동된 위치로부터 고정시키고, 교직 변위자 고정부(28)를 구성하여 제1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60a, 60b)의 이동된 위치로부터 고정시키도록 하여 허용 초과 변위가 일어난 시점이 지나도 그 이력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1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a, 50b)와 제1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60a, 60b) 각각에는 교축 및 교직 리턴홀(52, 63)을 핀셋 등을 이용하여 제1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a, 50b)와 제1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60a, 60b)를 초기 상태로 복귀시키는 것이 용이하다.
마지막으로, 제1 및 제2교축 초과 수치(51a, 51b) 및 제1 및 제2교직 초과 수치(61a, 61b)는 눈금 및 숫자로 표기되어 정확한 허용 초과 변위량의 측정이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0)
상부브라켓(10)
본체(20)
지시창(21)
제1교축 초과 지시창(22)
제2교축 초과 지시창(23)
제1교직 초과 지시창(25)
제2교직 초과 지시창(26)
교축 변위자 고정부(27)
교직 변위자 고정부(28)
하부브라켓(30)
교축 변위자(40)
제1교축 초과 변위자(50a)
제2교축 초과 변위자(50b)
교축 리턴홀(52)
제1교직 초과 변위자(60a)
제2교직 초과 변위자(60b)
교직 리턴홀(63)
변위자 가이드부(70)

Claims (15)

  1. 교량받침의 교축방향측 측면에 설치되는 변위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교량받침 상판에 결합되는 상부브라켓;
    상기 상부브라켓의 타측 단부 아래 초기 위치하며, 정면 중앙이 내부 투사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중앙을 좌우측으로 횡단하는 교축지시선이 구비된 지시창과, 교축지시선 기준으로 상기 정면 좌측 상단을 관통하는 제1교축 초과 지시창과, 상기 교축지시선 기준으로 상기 정면 우측 하단을 관통하는 제2교축 초과 지시창이 구비되는 본체;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교량받침 하판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하부브라켓;
    일측 단부가 상기 상부브라켓에 결합되어 상기 상부브라켓의 움직임에 따라 감김 또는 풀리도록 코일형상으로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고, 상기 지시창에 대응되는 일면에 허용범위 및 허용 초과 범위를 포함하는 교축 변위수치가 표기되는 교축 변위자;
    상기 제1교축 초과 지시창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1교축 초과 수치가 표기되고, 일측이 상기 제1교축 초과 지시창 하단에 초기 배치되며, 타측이 상기 일측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1교축 초과 변위자; 및
    상기 제2교축 초과 지시창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2교축 초과 수치가 표기되고, 타측이 상기 제2교축 초과 지시창 상단에 초기 배치되며, 일측이 상기 타측에서 수직하게 연장 형성되는 제2교축 초과 변위자;를 포함하되,
    상기 교축 변위자는,
    상기 교축지시선 기준으로 상기 교축 변위수치의 허용 범위를 벗어나면,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 또는 제2교축 초과 변위자의 타측을 진행방향으로 밀어주도록 타면에 교축측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교축 변위자가 상기 교량받침 상판의 교축 및 교직 이동을 따라 상기 본체 내부에서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형성된 변위자 가이드부;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변위자 가이드부는,
    상기 교축 변위자의 타측 단부가 고정되어 코일 형상의 중심이 되는 중심축과, 상기 중심축의 양단에 상기 교축 변위자의 양측면 일부를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판으로 구성되는 센터롤러;
    상기 센터롤러가 하단에 위치하고 그 양측면을 커버하도록 형성되는 한 쌍의 측판;
    상기 측판의 상단 및 하단에 양 단이 결합되어 상기 교축 변위자의 감김 및 풀림을 가이드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파이프; 및 상기 가이드파이프가 길이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상단 및 하단의 양측면에 양 단이 각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리드로드;가 구비되며,
    상기 가이드파이프는,
    상기 교축측 돌기에 상응하는 둘레를 따라 가이드홈이 형성되어 상기 교축측 돌기를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제1교축 초과 변위자는 교축측 돌기와 대응되는 하단이 상기 본체 정면측으로 절곡 형성되고, 제2교축 초과 변위자는 교축측 돌기와 대응되는 상단이 상기 본체 내부측으로 절곡 형성되어, 교축측 돌기에 결려 이동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지시창 상단에 허용범위를 포함하는 교직 변위수치가 표기되고,
    상기 교축 변위자는,
    상기 일면 중앙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교직지시선이 형성되어, 상기 교량받침 상판이 교직 이동하면 상기 교직지시선이 그에 상응하는 상기 교직 변위수치를 지시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 및 상기 제2교축 초과 변위자의 양 단에 상응하는 양측에 한 쌍의 교축 변위자 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교축 변위자 고정부는,
    ‘ㄷ’자로 절곡된 판 형으로, 상기 본체 내부에 삽입되는 한 쌍의 제1평행부와, 상기 제1평행부에 수직하고 상기 본체의 외측 일부를 커버하도록 결합되는 제1수직부로 구성되는 하우징브라켓;
    상기 제1수직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1평행부에 양단이 결합되는 리드스크류; 및
    ‘ㄷ’자로 절곡된 판 형으로, 한 쌍의 관통홀을 구비하여 상기 리드스크류가 관통하여 삽입 결합되는 한 쌍의 제2평행부와,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제2교축 초과 변위자의 타측 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제2수직부로 구성되는 이동브라켓;을 구비하고,
    상기 이동브라켓은,
    상기 리드스크류의 나사산에 치합되는 하나 이상의 요철을 형성하여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교축 변위자 고정부는,
    길이방향 단면이 ‘ㄷ’자 형상이고, 상기 제1수직부와 평행하고 상기 제1평행부에 양단이 결합되는 가이드로드가 추가로 구비되어,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의 타측 단부 및 상기 제2교축 초과 변위자의 일측 단부가 개구부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각각 삽입되어, 상기 교축측 돌기가 진행방향으로 미는 힘을 가해도 안정적으로 수평이동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교축 변위자 고정부는,
    상기 제2평행부의 관통홀에 각각 삽입 결합되는 가이드부시;를 추가로 포함하여, 상기 이동브라켓이 상기 리드스크류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 시, 상기 관통홀이 상기 리드스크류의 나사산에 걸리는 것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정면 기준으로,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의 일측 단부가 결합된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제2교축 초과 변위자의 일측 단부가 결합된 상기 가이드로드 보다 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교축 초과 변위자의 타측 단부가 결합된 상기 리드스크류는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의 타측 단부가 결합된 상기 가이드로드 보다 전방에 배치되어, 서로 동선이 겹침을 방지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축 초과 변위자 및 제2교축 초과 변위자는,
    상기 제1교축 초과 수치 및 제2교축 초과 수치의 눈금에 인접하게 설정 간격으로 교축 리턴홀이 형성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9.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정면을 기준으로,
    상기 교직 변위수치의 좌측 최댓값의 좌측 상단을 관통하는 제1교직 초과 지시창; 및
    상기 교직 변위수치의 우측 최댓값의 우측 상단을 관통하는 제2교직 초과 지시창;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타측이 상기 제1교직 초과 지시창 우측에 초기 배치되고, 상기 제1교직 초과 지시창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1교직 초과 수치가 표기되며, 일측은 타측에서 제1교직 초과 지시창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제1교직 초과 변위자; 및
    일측이 상기 제2교직 초과 지시창 좌측에 초기 배치되고, 상기 제2교직 초과 지시창에 대응되는 일면에 제2교직 초과 수치가 표기되며, 타측은 일측에서 제2교직 초과 지시창에 상응하는 길이로 연장 형성되는 제2교직 초과 변위자;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교직 초과 변위자의 일측 단부 및 상기 제2교직 초과 변위자의 타측 단부는,
    각각 상기 본체 내측으로 절곡 형성된 교직측 돌기를 형성하여, 상기 교축 변위자의 상기 교직 변위수치의 허용범위를 벗어나는 이동에 의해 밀리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직 초과 변위자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는,
    상기 제1교직 초과 수치 및 상기 제2교직 초과 수치의 눈금에 대응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홀과, 그 하단에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하나 이상의 키홈 형상인 리미트홀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상기 제1교직 초과 변위자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의 후방에 결합되는 교직 변위자 고정부;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교직 변위자 고정부는,
    상기 제1교직 초과 변위자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의 각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고정홀에 삽입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 제1서포트판;
    상기 제1서포트판의 후방에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서포트판;
    상기 리미트홀을 통과하여 상기 제1서포트판 및 제2서포트판을 상기 본체 정면에 결합시키는 리미트볼트; 및
    상기 리미트볼트를 중심으로, 상기 제1서포트판 및 제2서포트판 사이에 배치되는 코일스프링;이 구비되어,
    상기 교량받침 상판의 교직 이동에 따라 상기 제1교직 초과 변위자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의 슬라이드 이동 및 고정이 안정적이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교직 초과 변위자 및 제2교직 초과 변위자는,
    상기 제1교직 초과 수치 및 제2교직 초과 수치의 눈금에 인접하게 설정 간격으로 교직 리턴홀이 형성되어 초기 상태로 복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14. 삭제
  1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파이프는,
    상기 교축 변위자의 폭에 상응하는 양단에 둘레를 따라 돌출 형성된 가이드돌기를 구비하여, 상기 교축 변위자가 수평하게 감기거나 풀리도록 가이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KR1020200087601A 2020-07-15 2020-07-15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KR1022196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601A KR102219677B1 (ko) 2020-07-15 2020-07-15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7601A KR102219677B1 (ko) 2020-07-15 2020-07-15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19677B1 true KR102219677B1 (ko) 2021-02-24

Family

ID=746888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7601A KR102219677B1 (ko) 2020-07-15 2020-07-15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1967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03794A (zh) * 2021-07-30 2021-10-15 徐州徐工基础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位移测量装置及推管机
KR102339242B1 (ko) * 2021-07-01 2021-12-14 주식회사 피오에스이앤씨 콘크리트 배부름 손상 계측장치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396A (ko) 2014-06-19 2015-12-30 현 송 실험도구용 보관장치
KR20160010248A (ko) 2014-07-18 2016-01-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노즐 교환 장치
KR20190010502A (ko)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해수담수화 장치
KR101960415B1 (ko) * 2017-12-13 2019-03-20 서울시설공단 받침부 변위궤적 추적을 통한 교량거동 모니터링 장치
KR102114241B1 (ko) * 2020-02-25 2020-05-26 부국테크(주)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KR102120979B1 (ko) * 2019-12-09 2020-06-10 진충한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 및 이를 구비한 교량받침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5396A (ko) 2014-06-19 2015-12-30 현 송 실험도구용 보관장치
KR20160010248A (ko) 2014-07-18 2016-01-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노즐 교환 장치
KR20190010502A (ko)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해수담수화 장치
KR101960415B1 (ko) * 2017-12-13 2019-03-20 서울시설공단 받침부 변위궤적 추적을 통한 교량거동 모니터링 장치
KR102120979B1 (ko) * 2019-12-09 2020-06-10 진충한 교량받침용 변위량 게이지 및 이를 구비한 교량받침
KR102114241B1 (ko) * 2020-02-25 2020-05-26 부국테크(주)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39242B1 (ko) * 2021-07-01 2021-12-14 주식회사 피오에스이앤씨 콘크리트 배부름 손상 계측장치
CN113503794A (zh) * 2021-07-30 2021-10-15 徐州徐工基础工程机械有限公司 一种位移测量装置及推管机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9677B1 (ko)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EP0082441B1 (de) Verfahren und Einrichtung zur Ermittlung und Korrektur von Führungsfehlern
EP2711676B1 (de) Faseroptischer Kraftsensor, Kraftmesseinrichtung und Katheter
EP2016368B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antasten eines oberflächenpunktes an einem werkstück
KR102114241B1 (ko)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DE102015203369B4 (de) Verfahren zum Bestimmen der Messbedingungen eines Rauheitssensors, Verfahren zum Vermessen der Rauheit einer Werkstückoberfläche, Computerprogrammprodukt sowie Messgerät eingerichtet zur Durchführung der Verfahren
DE69204314T2 (de) Verfahren und Anordnung zur Bestimmung der linearen thermischen Ausdehnung von langgestreckten Körpern.
EP108740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Inspizieren eines Kernreaktor-Brennelements
EP2734807B1 (de) Koordinatenmessgerät mit einer vorrichtung aus kommunizierenden röhren
DE3732076A1 (de) Vorrichtung zum inspizieren des profils eines stabes
EP3473997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dynamischen belastungsprüfung
DE10237501A1 (de) Koordinatenmeßmaschine und Korrekturverfahren dafür
DE4333032A1 (de) Vorrichtung zur Bestimmung der Lage und Ausrichtung einer Tunnelvortriebsmaschine
DE102008063236A1 (de) Verfahren zum Kalibrieren einer Messkraft an einem Koordinatenmessgerät
DE3327269C1 (de) Einrichtung zur Messung der Dicke der Betonüberdeckung von Bewehrungsstäben für Stahlbeton-Bauteile
DE102019220083B3 (de) Verwendung einer Leitungskette zur Bestimmung einer aktuellen Position eines längenverstellbaren Kranelements eines Krans und Kran
WO2013174364A2 (de) Vorrichtung zur temperaturkompensation für fbg-dehnungssensoren
DE4305914C1 (de) Brems- und/oder Treibdynamometer mit Erfassung der Querkraft
LU100882B1 (de) Vorrichtung und Verfahren zum optischen Überwachen der Anordnung wenigstens eines Zugmittels sowie Verwendung
US6710861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easuring web strain in a confined area
KR100226663B1 (ko) Pc구조물의 컴퓨터 인장시스템
DE102020205071A1 (de) Vorrichtung zur Erfassung der Relativlage zwischen einem an einer Tragstruktur angebrachten Befestigungsanker und einem endseitig am Befestigungsanker angebrachten, gespannten Tragseil
DE10322365B4 (de) Vorrichtung zum Messen der Länge, der Dicke oder ähnlicher linearer Abmessungen eines Gegenstandes, insbesondere Schub- und Schraublehre mit einem schwimmenden Meßsystem
KR20240026073A (ko) 세밀 계측 균열 게이지
DE10120363A1 (de) Vorrichtung zur Überprüfung der Maß-, Form- und/oder Lagetoleranzen einer rotationssymmetrischen Ausnehmung eines Werkstück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