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4241B1 -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 Google Patents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4241B1
KR102114241B1 KR1020200022699A KR20200022699A KR102114241B1 KR 102114241 B1 KR102114241 B1 KR 102114241B1 KR 1020200022699 A KR1020200022699 A KR 1020200022699A KR 20200022699 A KR20200022699 A KR 20200022699A KR 102114241 B1 KR102114241 B1 KR 1021142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idge
coupled
displacement
plate
display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26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재균
Original Assignee
부국테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부국테크(주) filed Critical 부국테크(주)
Priority to KR10202000226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424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42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42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5/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 G01B5/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mechan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e.g. mechanical strain gauge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DCONSTRUCTION OF BRIDGES, ELEVATED ROADWAYS OR VIADUCTS; ASSEMBLY OF BRIDGES
    • E01D19/00Structural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21/00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 G01B21/32Measuring arrangements or details thereof, where the measuring technique is not covered by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unspecified or not relevant for measuring the deformation in a solid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08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of bridg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5/00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 G01M5/0041Investigating the elasticity of structures, e.g. deflection of bridges or air-craft wings by determining deflection or stres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 Measuring Device Byusing Mechanical Method (AREA)

Abstract

교량받침의 교축방향측 측면에 설치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절곡되어 교량받침 상판에 결합되는 상부브라켓,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부브라켓의 타측 단부 아래 위치하며 정면에 교량받침 상판의 교직방향 변위량이 표시되는 본체,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절곡되어 교량받침 하판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하부브라켓 및 코일형상으로 감김 또는 풀림이 가능하도록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 단부가 본체 외부로 노출 연장되어 상부 브라켓의 일측 단부측 저면에 결합되며 일면에 교량받침 상판의 교축방향 변위량이 표시되는 변위량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the Device for Measurement of Displacement of Bridge Bearing Pads}
본 발명은 교량받침의 변위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교량받침의 측면에 설치되어 교량 하부에 대비하여 교량 상부의 교축(차량의 통행 방향) 및 교직(교축방향과 같은 평면에서 교축방향으로부터 수직한 방향)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른 교량받침의 기울기(이하, '변위량'으로 표기한다)를 측정하는 변위량 측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교량은 구조적으로 상부에는 차량 또는 사람이 이동하는 교량 거더와 하부에는 이러한 교량 거더를 받치는 교대(또는 교각, 이하 '교대'로 표기한다)로 구성된다. 또한, 교대와 교량 거더 사이에는 교량받침이 장착된다. 교량 거더는 신축, 팽창, 풍하중 및 지진하중에 의해 교축 및 교직방향의 움직임이 발생하게 된다. 이때 교량받침은 이와 같은 움직임에 따라 적절하게 기울어짐으로써 하중 또는 충격을 흡수한다.
이러한 교량받침은 주로 탄성중합체(Elastomer)로 제작된다. 예를 들어 온도의 변화에 따라 교량 거더가 신축하게 되면, 교량받침의 상판이 교량 거더가 수축하는 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이때의 변위량이 임계범위 내에 속하는지, 임계점 범위를 초과하는지 또는 임계점 내에 속한다면 어느 정도로 안전한지 등을 작업자가 측정하여 알 수 있다. 즉, 교량받침의 변위량 측정은 교량의 안전점검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유지보수 과정이다. 또한, 교량의 상태를 작업자가 보고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추후에 생길 수 있는 재난을 사전에 막는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작업자가 직접 교량받침에 접근하여 줄자를 이용하여 교량받침의 변위량을 측정을 하였다. 이러한 측정 방법은 정밀한 측정이 어렵고, 작업 환경에 비추어 안전성 및 편리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로 인해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를 사용하게 되었다.
하지만, 선행기술문헌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5-0145396호 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는 작업자가 일일이 휴대를 하고 다녀야 했다. 따라서 이송 도중에 생길 수 있는 흠집으로 정밀도가 낮아질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선행기술문헌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6-0010248호 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구성요소 중 소모품이 포함되어, 해당 소모품의 부러짐 발생 시 일일이 확인하여 교체해야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그뿐만 아니라, 선행기술문헌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9-0010502호 에서 개시된 바와 같이, 교량받침에서 적어도 두 위치에 설치를 해야 함으로써, 경제성이 낮고 유지 보수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5-0145396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6-0010248호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19-0010502호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제1목적은, 휴대할 필요가 없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소모품 교환이 필요없는 구성요소로 이루어진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한 위치에만 설치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의 교축방향측 측면에 설치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는 상부 브라켓, 본체, 하부 브라켓, 변위량 표시부재를 포함한다.
상부 브라켓은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절곡되어 교량받침 상판에 결합되고, 본체는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상부브라켓의 타측 단부 아래 위치하며 정면에 상기 교량받침 상판의 교직방향 변위량이 표시되며, 하부 브라켓은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절곡되어 교량받침 하판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고, 변위량 표시부재는 코일형상으로 감김 또는 풀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 연장되어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기 일측 단부측저면에 결합되며 일면에 상기 교량받침 상판의 교축방향 변위량이 표시된다.
또한, 하부 브라켓은 중간 브라켓을 통해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된다. 상기 중간 브라켓은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하부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중간 브라켓의 타측 단부에 복수개의 상이한 높이의 높이조절홈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라켓은 상기 높이조절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높이지정 홀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설치 높이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높이지정 홀과 복수개의 높이조절 홈을 대응하여 결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는 교량받침에 고정 결합되고,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구성되어 반영구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또한, 소모품이 사용되지 않는 구조로 구성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또한, 하나의 세트로 교직방향 및 교축방향의 변위량 모두 측정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의 좌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의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에 보조지지부가 설치된 모습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의 보조지지부를 설명하는 부분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변위량 표시부재의 다양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가 교량받침에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에 변위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에 다른 방향으로의 변위가 발생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의 좌측면도이며, 도 3은 도 1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의 정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는 상부 브라켓(200), 본체(100), 하부 브라켓(300), 변위량 표시부재(400) 및 중간 브라켓(500)을 포함한다.
상부 브라켓(200)은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교량받침 상판(1a)의 교축방향측 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상부 브라켓(200)의 일측 단부는 교량받침 상판(1a)의 적어도 두면에 밀착되도록 '┘'자 형태로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0)는 상면이 개구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부 브라켓(200)의 타측 단부 아래 위치한다. 본체(100)는 교량받침 외측 방향을 향하는 정면에 상기 교량받침 상판(1a)의 교직방향 변위량(110)이 표시된다. 교직방향 변위량(110)은 눈금으로 표기되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교직 지시선(450)에 의해 지시된 눈금만큼 변위가 일어난 것으로 작업자가 쉽게 판단할 수 있다.
하부 브라켓(300)은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교량받침 하판(1c)의 교축방향측 측면에 결합된다. 이때 하부 브라켓(300)의 일측 단부는 교량받침 하판(1c)의 적어도 두면에 밀착되도록 부분 절개되어 절곡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부 브라켓(300)의 타측 단부는 상측으로 절곡되어 교량받침 측 방향인 본체(100)의 배면에 결합된다.
변위량 표시부재(400)는 띠 형상으로 형성되고 코일 형태로 감김 또는 풀림이 가능하도록 본체(100)의 내부에 결합된다. 띠 형상의 변위량 표시부재(400)는 태엽스프링(미도시)을 중심으로 코일 형상으로 결합하여, 변위량 표시부재(400)는 감기는 방향 복원력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위량 표시부재(400)의 일측 단부는 본체(100)의 개구된 상면을 통해 외부로 노출 연장되어 상부 브라켓(200)의 일측 단부 저면에 결합된다.
작업자는 변위량 표시부재(400)의 일측 단부를 상부 브라켓(200)에 걸고 빼는 행위만으로 결합시킬 수도 있다. 이하,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상부 브라켓(200)의 일측 단부에는 하나 이상의 고정고리 홈(210)이 관통 형성된다. 변위량 표시부재(400)의 일측 단부에는 외측을 향하는 일면에서 돌출된 형상으로 고정고리 부재(410)가 결합된다. 고정고리 부재(410)는 절곡된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고정고리 홈(210)에 걸리도록 결합하여 변위량 표시부재(400)를 상부 브라켓(200)의 일측 단부에 결합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변위량 표시부재(400)는 복원력을 가지는 코일 형상으로 결합되어, 작업자가 고정고리 부재(410)를 변위량 표시부재(400)가 풀리는 방향으로 당겨야만 걸림이 해지된다.
변위량 표시부재(400)의 일면에는 교량받침 상판(1a)의 교축방향 변위량(430)이 표시된다. 교축방향 변위량(430)은 눈금으로 표기되어 아래에서 설명하는 교축 지시선(131)에 의해 지시된 눈금만큼 변위가 일어난 것으로 작업자가 쉽게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변위량 표시부재(400)는 감김, 풀림 뿐만 아니라, 좌우로의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해야 한다. 이러한 감김, 풀림 및 좌우로의 슬라이드 이동 시 좌우로 비틀림을 방지하기 위해 리드로드(150), 표시부재 측판(190) 및 가이드 부재(17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나 이상의 리드로드(150)는 본체(100)의 개구된 상면측에 각각 수평 이격되어 위치하며 양 단이 각각 본체(100)의 양측면에 결합된다. 본체(100)의 양 측면 사이에 한 쌍의 표시부재 측판(190)이 양 측면과 평행하게 배치된다. 한 쌍의 표시부재 측판(190) 사이에 변위량 표시부재(400)가 배치된다. 하나 이상의 리드로드(150)가 한 쌍의 표시부재 측판(190)의 상부를 각각 관통하여 결합한다. 가이드부재(170)는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리드로드(150)에 각각 삽입되어 한 쌍의 표시부재 측판(190)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가이드부재(170)는 변위량 표시부재(400)의 폭보다 넓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시부재 측판(190) 사이에 배치되어 가이드부재(170)와 표시부재 측판(190)은 리드로드(150)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조립된다. 또한, 가이드부재(170)는 양단에 가이드턱(171)을 형성하여 변위량 표시부재(400)가 감기거나 풀릴 때 좌우로 비틀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가이드부재(170)는 표시부재 측판(190)이 일정한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어, 띠 형상의 변위량 표시부재(400)는 본체(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같은 선상으로 일정하게 감김, 풀림 또는 좌우이동이 가능하여 작업자가 정밀하게 변위량(110,430)을 확인할 수 있다.
교량마다 교량받침 하판(1c)에서 본체(100)가 설치되는 위치가 달라질 수 있다. 이런 경우, 하부 브라켓(300)은 중간 브라켓(500)과 결합되어 더 자유롭게 본체의 설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더욱 상세하게, 중간 브라켓(500)은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본체(100)의 배면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는 하부 브라켓(300)의 타측 단부에 결합된다. 중간 브라켓(500)의 타측 단부에는 복수개의 높이조절 홈(510)이 서로 상이한 높이로 관통 형성된다. 높이조절 홈(510)은 중간 브라켓(500)의 길이방향으로 장경을 이루는 키홈 형상으로 관통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브라켓(300)에는 높이조절 홈(510)에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높이지정 홀(310)이 구비된다. 따라서 복수개의 높이지정 홀(310)과 복수개의 높이조절 홈(510)을 대응하여 결합되어 알맞은 높이로 본체를 설치할 수 있다.
또한, 중간 브라켓(500)은 본체의 높이를 쉽게 조정할 수 있도록 하여 아래에서 설명하는 교축 지시선(131)이 도 6에서 설명하는 서로 다른 측정 범위로 구성된 변위량 표시부재(400)의 0점을 잡는 것이 용이하도록 한다.
이하, 교직방향 변위량(110) 및 교축방향 변위량(430)이 지시되는 구조를 설명한다.
본체(100)의 정면에는 직사각 형상으로 관통되고 그 자리에 본체(100)의 내부가 투사 가능한 재질인 지시창(130)이 결합된다. 지시창(130)의 재질로는 투명한 유리, 아크릴, PVC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지시창(130)의 설정 위치에는 수평 방향으로 교축지시선(131)이 형성된다. 교축지시선(131)은 변위량 표시부재(400)의 교축방향 변위량(430)의 설정 눈금을 지시한다. 변위량 표시부재(400)의 일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교직지시선(450)이 형성된다. 교직지시선(450)은 변위량 표시부재(400)가 본체(100)의 양측면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본체(100) 정면에 표시된 교직방향 변위량(110)의 설정 눈금을 지시하도록 형성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에 보조지지부(230)가 설치된 모습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230)의 정면도이다.
선박이 지나가는 인천대교처럼 교대와 교량 거더 사이(D)가 넓은 경우에는 교직방향 변위량 및 교축방향 변위량(110,430)의 범위가 넓어지게 된다. 따라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 또한 넓은 범위의 교직방향 변위량 및 교축방향 변위량(110,430)을 수용할 수 있도록 한다.
도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브라켓(200), 본체(100) 및 하부 브라켓(300)을 각각 길이방향으로 연장한 형태로 구성함으로써 넓은 범위의 교직방향 변위량 및 교축방향 변위량(110,430)을 수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상부 브라켓(200)의 일측 단부에 결합된 변위량 표시부재(400)의 일측 단부와 본체(100)에 코일형상으로 결합된 변위량 표시부재(400)의 타측 단부는 상당한 거리가 이격될 수 있다. 따라서 상부 브라켓(200) 저면에서 본체(100) 상면까지의 이격거리(D1)에 미소한 변화가 생길 수 있다. 또한, 변위량 표시장치(400)의 일측 단부와 타측 단부가 본체(100)의 정면 측을 기준으로 했을 때, 일직선상이 아닌 좌우로 비틀림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보조 지지부(230)를 추가로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보조 지지부(230)는 한 쌍의 판스프링부재(233), 연결로드(235) 및 캠(237)을 포함한다. 보조 지지부(230)가 구비되기 위해서 보조 가이드 홈(231)이 변위량 표시부재(400)와 대응되는 상부 브라켓의 타측 단부에 직사각 형상으로 관통된다. 특히, 보조 가이드 홈(231)은 상부 브라켓(200)의 타측 단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판스프링부재(233)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일측이 보조 가이드 홈(231)에 각각 삽입된다. 판스프링부재(233)의 타측은 상부 브라켓(200)에 각각 결합되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된다. 연결로드(235)는 양 단이 판스프링부재(233) 일측에 각각 결합된다. 캠(237)은 본체(100) 방향으로 장경이 형성되는 판 형상인 한 쌍의 판상부(2371), 한 쌍의 판상부(2371)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2372), 연결부(2372)의 외주면에 돌출 형성되는 보조턱(2373)을 포함한다. 캠(237)의 판상부(2371)와 연결부(2372)를 관통하여 연결로드(235)가 결합된다. 판상부(2371)는 상부 브라켓(200)의 저면에 상응하는 위치의 변위량 표시부재(400) 보다 아래로 설정 높이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보조 지지부(230)의 작동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4 내지 도 5의 (a)는 보조 지지부(230)가 하강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이때, 변위량 표시부재(400)의 일측 단부는 타측 단부로부터 상당 거리가 이격된다. 이 경우, 캠(237) 특히, 판상부(2371)가 변위량 표시부재(400)가 좌우로 비틀어지는 것을 방지하여 작업자가 정밀한 변위량(110,430)을 측정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의 (b)는 보조 지지부(230)가 상승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낸다. 교량받침의 상판(1a)이 교축방향 특히, 본체(100)측 방향으로 변위 시 판상부(2371)가 본체(100)의 배면측에 위치한 리드로드(150)와 마찰된다. 그와 동시에 판스프링부재(233)의 일측이 상승하고 연결로드(235)가 판스프링부재(233)를 따라 상승하며 판상부(2371)는 교량받침측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상부 브라켓(200)의 타측 단부가 본체(100) 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한다. 따라서 상기 (a)에서의 이격거리(D1)와 상기(b)에서의 이격거리(D1)는 일정하게 된다.
도 6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변위량 표시부재(400)의 다양한 실시예이다.
상기 내용과 같이 교대와 교량 거더 사이(D)가 넓은 경우가 있고 좁은 경우가 있다. 이에 따라 교량받침 상판(1a)의 교축방향 변위량 및 교직방향 변위량(110,430) 범위가 다양하여 교축방향 변위량의 측정범위를 달리하여 주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a), (b), (c) 및 (d)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교축방향 변위량의 기준이 되는 0점의 위치가 다르게 형성된다. 작업 환경에 따라 (a) 내지 (d) 외에 다양한 범위로도 구성 가능하다.
예를 들어, 교대와 교량 거더 사이(D)가 200 mm 인 경우, 교축방향 변위량(430) 측정범위는 -99 ~ 0 ~ +99 mm 가 된다. 교대와 교량 거더 사이(D)가 800 mm 인 경우, 교축방향 변위량(430) 측정범위는 -300 ~ 0 ~ +300 mm 가 된다. 상부 브라켓(200)의 저면으로부터 본체의 상면까지의 이격거리(D1)을 기준으로 본체(100)의 높이를 조절하여 설치하면, 0점의 위치가 서로 다른 변위량 표시부재(400)도 교축지시선에 의해 0점을 지시하게 되도록 구성된다. 특히, 본문에서는 상부 브라켓(200)의 저면으로부터 본체(100)의 상면까지의 이격거리(D1)를 5 mm 기준으로 모각(模刻)된 도면을 기초로 하였다. 전술한 바와 같은 숫자 한정은 예를 들어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지 않고, 다양한 범위에 적용 가능하다.
도 7은 도1 내지 도3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가 교량받침에 바람직하게 설치된 모습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에 변위가 발생한 모습이며, 도 9는 도 7에 도시된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에 다른 방향으로의 변위가 발생한 모습이다.
도 7에서 교량받침 상판(1a)의 교축방향 변위량 및 교직방향 변위량(110,430)은 0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는 교량받침의 교축방향측 일측면에 결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8은 교량받침 상판(1a)에 본체(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하여, 우측으로의 교직방향, 배면측으로의 교축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한 모습이다.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가 상부 브라켓(200) 타측 단부에서 멀어진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내부에서 변위량 표시부재(400)가 중심선에서 우측으로 이동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도 9는 교량받침 상판(1a)에 본체(100)의 정면을 기준으로 하여, 좌측으로의 교직방향, 정면측으로의 교축방향으로 변위가 발생한 모습이다. (A)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가 상부 브라켓(200) 일측 단부에 가까운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B) 및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100) 내부에서 변위량 표시부재(400)가 중심선에서 좌측으로 이동한 모습을 확인할 수 있다.
상기 내용 뿐만 아니라,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는 작업자의 작업 환경에 따라 교량받침의 교직방향측 측면에 설치될 수도 있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부 브라켓(200)의 일측 단부가 교량받침 상판(1a)의 교직방향측 측면에 결합되고, 하부 브라켓(300)의 일측 단부가 교량받침 하판(1c)의 교직방향측 측면에 결합된다. 따라서 본체(100)의 정면에는 교축방향 변위량(430)이 표시되고, 변위량 표시부재(400)의 일면에는 교직방향 변위량(110)이 표시된다.
본 발명의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10)는 교량에 직접 결합되어 반영구적으로 사용되는 것이 목적이다. 따라서 상부 브라켓(200), 본체(100), 하부 브라켓(300), 변위량 표시부재(400), 중간 브라켓(500), 리드로드(150), 가이드부재(170), 고정고리 부재(410), 표시부재 측판(190) 및 보조 지지부(230)는 알루미늄 합금으로 이루어진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알루미늄 합금은 아노다이징 도장하여 내식성을 갖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교량받침 1
교량받침 상부 1a
교량받침 하부 1c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10
본체 100 교직방향 변위량 110
지시창 130
교축지시선 131
리드로드 150
가이드부재 170
가이드턱 171
표시부재 측판 190
상부 브라켓 200
고정고리 홈 210
보조 지지부 230
보조가이드홈 231
판스프링부재 233
연결로드 235
캠 237
판상부 2371
연결부 2372
보조턱 2373
하부브라켓 300
높이지정 홀 310
변위량 표시부재 400
고정고리 부재 410
교축방향 변위량 430
교직 지시선 450
중간브라켓 500
높이조절 홈 510

Claims (9)

  1. 교량받침의 교축방향측 측면에 설치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에 있어서,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교량받침 상판에 결합되는 상부 브라켓;
    직육면체 형상으로 상기 상부 브라켓의 타측 단부 아래 위치하며 정면에 상기 교량받침 상판의 교직방향 변위량이 표시되는 본체;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교량받침 하판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측으로 절곡되어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는 하부브라켓; 및
    코일형상으로 감김 또는 풀림이 가능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부에 배치되고 일측 단부가 상기 본체 외부로 노출 연장되어 상기 상부 브라켓의 상기 일측 단부측저면에 결합되며 일면에 상기 교량받침 상판의 교축방향 변위량이 표시되는 변위량 표시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브라켓은 중간브라켓을 통해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되,
    상기 중간브라켓은 판 형상으로 일측 단부가 상기 본체의 배면에 결합되고 타측 단부가 상기 하부 브라켓에 결합되고,
    상기 중간 브라켓의 타측 단부에 복수개의 상이한 높이의 높이조절홈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하부브라켓은 상기 높이조절 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복수개의 높이지정 홀이 구비되어,
    상기 본체의 설치 높이에 따라 복수개의 상기 높이지정 홀과 복수개의 높이조절 홈을 대응하여 결합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변위량 표시부재는
    상기 본체의 양측면으로 슬라이딩 이동하여 상기 본체의 교직방향 변위량의 설정위치를 지시하도록 형성된 교직지시선이 길이방향을 따라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정면에는
    내부가 투사 가능한 재질의 지시창이 배치되고,
    상기 지시창에는 수평 방향으로 상기 교축방향 변위량의 설정위치를 지시하는 교축지시선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은 하나 이상의 고정고리 홈이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고정고리 홈에 삽입되어 걸리도록 구성되어 상기 변위량 표시부재의 상기 일측 단부를 상기 상부 브라켓 저면에 고정시키는 고정고리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외량 측정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의 양측면 상부에 양측단부가 각각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리드로드;
    판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변위량 표시부재의 양측면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표시부재 측판; 및
    파이프 형상으로 형성되고 하나 이상의 리드로드에 각각 삽입되며 상기 표시부재 측판 사이에 배치되는 하나 이상의 가이드부재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은 상기 변위량 표시부재와 대응되는 타측 단부에 보조 가이드 홈이 관통 형성되고,
    상기 보조 가이드 홈에서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보조 지지부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보조 지지부는,
    'ㄱ'자 형상으로 형성되고 일측이 상기 보조 가이드 홈에 각각 삽입되며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어 각각 상기 상부 브라켓에 결합되는 한 쌍의 판스프링부재;
    상기 보조 가이드 홈에 삽입된 상기 한 쌍의 판스프링부재에 양 단이 각각 결합되어 상하 이동하는 연결로드; 및
    상기 본체 방향으로 장경이 형성되는 판 형상인 한 쌍의 판상부와 상기 한 쌍의 판상부를 연결하는 파이프 형상의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로드가 상기 한 쌍의 판상부와 연결부를 관통하여 결합되어 설정 각도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은 일측 단부가 상기 교량받침 상판의 교직방향측 측면에 결합되고 상기 하부 브라켓의 일측 단부가 교량받침 하판의 교직방향측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본체의 정면에 교축방향 변위량이 표시되고, 상기 변위량 표시부재의 일면에 교직방향 변위량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브라켓, 본체, 하부브라켓, 변위량 표시부재, 중간브라켓, 리드로드, 가이드부재, 고정고리 부재, 표시부재 측판 및 보조 지지부는 알루미늄 합금 재질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KR1020200022699A 2020-02-25 2020-02-25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KR1021142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699A KR102114241B1 (ko) 2020-02-25 2020-02-25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2699A KR102114241B1 (ko) 2020-02-25 2020-02-25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14241B1 true KR102114241B1 (ko) 2020-05-26

Family

ID=709150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2699A KR102114241B1 (ko) 2020-02-25 2020-02-25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14241B1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677B1 (ko) * 2020-07-15 2021-02-24 부국테크(주)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CN115060523A (zh) * 2022-08-17 2022-09-16 山东大学 一种桥梁支座损伤检测方法、***、存储介质及设备
CN115323918A (zh) * 2022-07-08 2022-11-11 华南理工大学 一种大节段钢箱梁支座安装预偏量调整和计算方法
KR20230012268A (ko) * 2021-07-15 2023-01-26 김재성 교량 상부구조물 교축 방향 변위 측정장치
KR102588788B1 (ko) 2023-03-03 2023-10-16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축사사무소 안전진단을 위한 교량 받침의 이동량 측정장치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068B1 (ko) * 2014-02-24 2014-12-02 주식회사 다인건설 교량용 교좌장치
KR20150145396A (ko) 2014-06-19 2015-12-30 현 송 실험도구용 보관장치
KR20160010248A (ko) 2014-07-18 2016-01-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노즐 교환 장치
KR101809604B1 (ko) * 2017-09-21 2017-12-15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교량 변위 다축 측정장치
KR101906865B1 (ko) * 2018-04-10 2018-10-11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다축형 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KR20190010502A (ko)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해수담수화 장치
KR101997492B1 (ko) * 2019-01-28 2019-07-08 웰테크(주) 디지털 이동량 게이지가 적용된 교량 받침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68068B1 (ko) * 2014-02-24 2014-12-02 주식회사 다인건설 교량용 교좌장치
KR20150145396A (ko) 2014-06-19 2015-12-30 현 송 실험도구용 보관장치
KR20160010248A (ko) 2014-07-18 2016-01-27 한화테크윈 주식회사 노즐 교환 장치
KR20190010502A (ko) 2017-07-21 2019-01-30 주식회사 아모그린텍 해수담수화 장치
KR101809604B1 (ko) * 2017-09-21 2017-12-15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교량 변위 다축 측정장치
KR101906865B1 (ko) * 2018-04-10 2018-10-11 재단법인 한국재난연구원 다축형 구조물 변위 측정장치
KR101997492B1 (ko) * 2019-01-28 2019-07-08 웰테크(주) 디지털 이동량 게이지가 적용된 교량 받침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19677B1 (ko) * 2020-07-15 2021-02-24 부국테크(주)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KR20230012268A (ko) * 2021-07-15 2023-01-26 김재성 교량 상부구조물 교축 방향 변위 측정장치
KR102644860B1 (ko) * 2021-07-15 2024-03-06 김재성 교량 상부구조물 교축 방향 변위 측정장치
CN115323918A (zh) * 2022-07-08 2022-11-11 华南理工大学 一种大节段钢箱梁支座安装预偏量调整和计算方法
CN115323918B (zh) * 2022-07-08 2023-11-14 华南理工大学 一种大节段钢箱梁支座安装预偏量调整和计算方法
CN115060523A (zh) * 2022-08-17 2022-09-16 山东大学 一种桥梁支座损伤检测方法、***、存储介质及设备
KR102588788B1 (ko) 2023-03-03 2023-10-16 주식회사 태일종합건축사사무소 안전진단을 위한 교량 받침의 이동량 측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4241B1 (ko)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KR102137556B1 (ko) 교량받침 연단거리 측정장치
EP3191793B1 (en) A device for measurement of deviation from a reference axis
KR101991890B1 (ko) 교량에 설치되는 받침의 고무재 높이 및 변형량 측정장치
EP0105119B1 (en) Metal tape transducer for the micrometric measurement of linear quantities
CN110954051A (zh) 一种墙面水平测量装置
KR102009001B1 (ko) 시설물의 안전진단용 균열계측장치
KR102219677B1 (ko) 교량받침 변위량 측정장치
CN114001721A (zh) 一种预制梁轴线测量单位装置及预制梁轴线测量方法
KR102233762B1 (ko) 상부구조물의 변위식별장치 및 변위식별이 간편한 적층고무받침
CN112697045A (zh) 安全壳三向位移测量装置
KR102520191B1 (ko) 구조물 안전진단을 위한 교량 받침장치의 변위량 측정장치
KR102571428B1 (ko) 교량 받침의 안전 진단용 변위 측정 장치
CN108387211B (zh) 支护拱顶下沉监测装置及方法
CN111750280B (zh) 检测设备
CN105300210A (zh) 一种多功能测量仪
KR101926840B1 (ko) 안전진단시 나선방식을 이용한 구조 간격 측정이 가능한 받침 지지 길이확장형 계측장치
CN211504162U (zh) 一种光学测量仪器的校准器
CN114893624A (zh) 具备沉降监测装置的市政管道
JP5873591B1 (ja) 変位測定装置
KR101991888B1 (ko) 교량에 설치되는 탄성받침의 높이 및 기울기 측정장치
CN1025972C (zh) 精密水准仪综合检验仪
KR101926827B1 (ko) 받침 지지와 연동한 길이확장 가능한 나사결합 방식 정밀 선형구동 타입 안전진단용 구조물 사이 간격 측정 장치
CN209459573U (zh) 一种深盲孔测量装置
JP2021116137A (ja) 間隔測定治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