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18459B1 - 공기입 타이어 - Google Patents

공기입 타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18459B1
KR102218459B1 KR1020197012408A KR20197012408A KR102218459B1 KR 102218459 B1 KR102218459 B1 KR 102218459B1 KR 1020197012408 A KR1020197012408 A KR 1020197012408A KR 20197012408 A KR20197012408 A KR 20197012408A KR 102218459 B1 KR102218459 B1 KR 1022184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re
layer
rubber layer
tie rubber
partial ti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24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2493A (ko
Inventor
마사아키 미요시
Original Assignee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요코하마 고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62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2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184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184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5/00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 B60C5/12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 B60C5/14Inflatable pneumatic tyres or inner tubes without separate inflatable inserts, e.g. tubeless tyres with transverse section open to the rim with impervious liner or coating on the inner wall of the ty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13/00Tyre sidewalls; Protecting, decorating, marking, or the like,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CVEHICLE TYRES; TYRE INFLATION; TYRE CHANGING; CONNECTING VALVES TO INFLATABLE ELASTIC BODIES IN GENERAL; DEVICES OR ARRANGEMENTS RELATED TO TYRES
    • B60C9/00Reinforcements or ply arrangement of pneumatic tyres
    • B60C9/02Carcasses
    • B60C9/14Carcasses built-up with sheets, webs, or films of homogeneous material, e.g. synthetics, sheet metal, rubber
    • B60C2009/145Carcasses built-up with sheets, webs, or films of homogeneous material, e.g. synthetics, sheet metal, rubber at the inner side of the carcass 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ires In General (AREA)

Abstract

카커스층과 이너 라이너층과의 층간의 일부에 한정적으로 배치되는 부분 타이(tie) 고무층을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고, 한층 더 상세하게는, 공기 투과 방지성과 조종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가일층의 타이어 중량의 경감을 도모하고, 이들 성능을 밸런스 좋게 양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한다. 카커스층(4)과 이너 라이너층(9)과의 층간에 있어서, 비드부(3)의 선단(先端)을 제외하는 영역에 걸쳐 배치된 부분 타이 고무층(40)을 설치하여, 벨트층(7)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 단부로부터 이너 라이너층(9)을 향하여 그은 수선 P에 대한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비드부(3) 측으로의 돌출량 L1을, 수선 P와 타이어 내표면과의 교점 A로부터 비드 토우(toe)의 선단점 B까지의 타이어 내면을 따른 페리퍼리(periphery) 길이 L2의 0.25배 ~ 0.80배로 한다.

Description

공기입 타이어
본 발명은, 카커스층과 이너 라이너층과의 층간의 일부에 한정적으로 배치되는 부분 타이(tie) 고무층을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고, 한층 더 상세하게는, 공기 투과 방지성과 조종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가일층의 타이어 중량의 경감을 도모하고, 이들 성능을 밸런스 좋게 양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다.
공기입 타이어에서는, 일반적으로, 타이어 제조 시에 미가류 타이어를 인플레이트(inflate)할 때에, 카커스 코드가 이너 라이너층에 박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카커스층과 이너 라이너층과의 층간에 타이(tie) 고무층이 배치된다. 이와 같은 타이 고무층에 관하여, 근년(近年), 타이어 중량이나 구름 저항의 저감을 도모하기 위하여, 카커스층과 이너 라이너층과의 층간의 전역(全域)이 아니라 좌우의 숄더 영역에 선택적으로 배치된 부분 타이 고무층을 채용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어, 특허 문헌 1, 2를 참조).
확실히, 이와 같은 부분 타이 고무층이라면, 카커스층과 이너 라이너층과의 층간의 전역에 배치되는 종래의 타이 고무층(풀 타이 고무층)과 비교하여 타이 고무층의 사용량을 저감하여, 타이어 중량이나 구름 저항의 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그렇지만, 이와 같은 부분 타이 고무층은, 각 숄더 영역에 설치된 각 부분 타이 고무층이 한 쌍의 단부(端部)(타이어 적도 측의 단부와 타이어 폭 방향 외측(外側)의 단부)를 가지기 때문에, 타이어 구성 부재간의 떨어짐의 기점이나 제조 시에 미압착부가 될 우려가 있는 단부의 수가 많아지고, 타이어의 제조성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었다.
한편으로, 종래의 풀 타이 고무층의 폭을 좁히는 것으로 타이 고무층의 사용량을 저감하려고 하면, 충분한 타이어 중량의 경감 효과를 얻으면서 공기 투과 방지성이나 조종 안정성을 고도(高度)로 유지하여, 이들 성능을 밸런스 좋게 양립하는 것이 어렵기 때문에, 부분 타이 고무층의 구조나 배치에 관하여 가일층의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5239507호 일본국 특허공보 특허제5723086호
본 발명의 목적은, 카커스층과 이너 라이너층과의 층간의 일부에 한정적으로 배치되는 부분 타이 고무층을 구비한 공기입 타이어에 관한 것이고, 한층 더 상세하게는, 공기 투과 방지성과 조종 안정성을 유지하면서, 가일층의 타이어 중량의 경감을 도모하고, 이들 성능을 밸런스 좋게 양립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공기입 타이어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여 환상(環狀)을 이루는 트레드부와, 당해 트레드부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월부와, 이들 사이드 월부의 타이어 경(徑)방향 내측(內側)에 배치된 한 쌍의 비드부를 구비하고, 당해 한 쌍의 비드부 사이에 걸쳐 놓아진 카커스층과, 상기 트레드부에 있어서의 당해 카커스층의 외주(外周) 측에 배치된 벨트층과, 상기 카커스층을 따라 타이어 내면에 배치된 이너 라이너층과, 상기 카커스층과 상기 이너 라이너층과의 층간에 있어서, 자오선 단면에 있어서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 측의 상기 비드부와 타방 측의 상기 비드부와의 사이에서 타이어 적도를 걸쳐 연속적으로 연재하여 상기 비드부의 선단(先端)을 제외하는 영역의 전체에 걸쳐 배치된 부분 타이 고무층을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부분 타이 고무층을 구성하는 고무의 경도가 55 ~ 65이고, 상기 벨트층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 단부로부터 상기 이너 라이너층을 향하여 그은 수선 P에 대한 상기 부분 타이 고무층의 상기 비드부 측으로의 돌출량 L1이, 상기 수선 P와 타이어 내표면과의 교점 A로부터 비드 토우(toe)의 선단점 B까지의 타이어 내면을 따른 페리퍼리(periphery) 길이 L2의 0.25배 ~ 0.8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부분 타이 고무층을 채용하여 풀 타이 고무층을 가지는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에 비하여 타이어 중량을 경감하는 것에 있어서, 수선 P(즉, 벨트층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 단부의 위치)에 대한 돌출량 L1을 상기와 같이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충분히 타이어 중량을 저감하면서, 종래와 동등한 공기 투과 방지성이나 조종 안정성을 얻기 위하여 최저한 필요한 영역을 부분 타이 고무층으로 덮어 종래의 뛰어난 공기 투과 방지성 및 조종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공기 투과 방지성과 조종 안정성과 타이어 중량의 경감을 밸런스 좋게 양립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페리퍼리 길이」란, 타이어 자오선 단면에 있어서, 각 타이어 구성 요소(부분 타이 고무층)의 연장 방향을 따라 측정되는 길이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분 타이 고무층의 돌출량 L1이 1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돌출량 L1을 적절한 범위로 설정하고, 최적화하는 것으로, 공기 투과 방지성과 조종 안정성과 타이어 중량의 경감을 한층 더 밸런스 좋게 양립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분 타이 고무층을 구성하는 고무의 경도가 55 ~ 65이므로, 부분 타이 고무층의 사용량의 억제에 수반하여 저하할 우려가 있는 사이드 월부의 강성을 보충할 수 있기 때문에, 조종 안정성을 유지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의 「고무의 경도」란, JIS K6253에 준거하고 듀로미터의 타입 A에 의하여 온도 20℃에서 측정된 단단함(소위, JIS-A 경도)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부분 타이 고무층의 두께가 0.1mm ~ 1.0m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부분 타이 고무층의 두께를 적절한 범위로 설정하고, 최적화하는 것으로, 공기 투과 방지성과 조종 안정성과 타이어 중량의 경감을 한층 더 밸런스 좋게 양립할 수 있다. 덧붙여, 본 발명에 있어서 「부분 타이 고무층의 두께」란, 부분 타이 고무층의 주요 부분(일정한 두께를 유지하면서 연재하는 부분)의 두께이며, 부분 타이 고무층이 예를 들어 단부를 향하여 두께가 감소하는 앞쪽 끝으로 갈수록 가늘어지는 형상을 가지고 있는 경우에는, 이 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있어서의 두께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로 이루어지는 공기입 타이어의 자오선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구성에 관하여 첨부의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공기입 타이어는,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하여 환상을 이루는 트레드부(1)와, 이 트레드부(1)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월부(2)와, 사이드 월부(2)의 타이어 경방향 내측에 배치된 한 쌍의 비드부(3)를 구비하고 있다. 덧붙여, 도 1에 있어서, CL은 타이어 적도를 나타낸다.
좌우 한 쌍의 비드부(3) 사이에는 카커스층(4)이 걸쳐 놓아져 있다. 이 카커스층(4)은, 타이어 경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보강 코드를 포함하고, 각 비드부(3)에 배치된 비드 코어(5)의 둘레에 차량 내측으로부터 외측으로 되접어 꺾여 있다. 또한, 비드 코어(5)의 외주 상에는 비드 필러(6)가 배치되고, 이 비드 필러(6)가 카커스층(4)의 본체부와 되접어 꺾음부에 의하여 감싸져 있다. 한편, 트레드부(1)에 있어서의 카커스층(4)의 외주 측에는 복수 층(도시의 예에서는 2층)의 벨트층(7)이 매설되어 있다. 각 벨트층(7)은,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하여 경사하는 복수 개의 보강 코드를 포함하고, 또한 층간에서 보강 코드가 서로 교차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들 벨트층(7)에 있어서, 보강 코드의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는 예를 들어 10° ~ 40°의 범위로 설정되어 있다. 나아가, 벨트층(7)의 외주 측에는 벨트 보강층(8)(도시의 예에서는, 벨트층(7)의 단부를 덮는 한 쌍의 벨트 보강층(8)이 설치되어 있다. 벨트 보강층(8)은,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배향하는 유기 섬유 코드를 포함한다. 벨트 보강층(8)에 있어서, 유기 섬유 코드는 타이어 둘레 방향에 대한 각도가 예를 들어 0° ~ 5°로 설정되어 있다. 타이어 내면에는 이너 라이너층(9)이 설치되어 있다. 이 이너 라이너층(9)은 공기 투과 방지 성능을 가지는 부틸 고무를 주체로 하는 고무 조성물로 구성되고, 타이어 내에 충전된 공기가 타이어 밖으로 투과하는 것을 막고 있다.
트레드부(1)에 있어서의 카커스층(4)의 외주 측에는 트레드 고무층(10)이 배치되고, 사이드 월부(2)에 있어서의 카커스층(4)의 외주 측(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는 사이드 고무층(20)이 배치되고, 비드부(3)에 있어서의 카커스층(4)의 외주 측(타이어 폭 방향 외측)에는 림 쿠션 고무층(30)이 배치되어 있다. 트레드 고무층(10)은, 물성이 다른 2종류의 고무층(캡 트레드 고무층, 언더 트레드 고무층)을 타이어 경방향으로 적층한 구조여도 무방하다.
이너 라이너층(9)과 카커스층(4)과의 사이에는 부분 타이 고무층(40)이 배치되어 있다. 타이 고무층이란, 타이어 제조 시에 미가류의 공기입 타이어를 인플레이트할 때에 카커스 코드가 이너 라이너층(9)에 박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층이며, 제조 후의 타이어에 있어서는 공기 투과 방지성이나 드라이 노면에 있어서의 조종 안정성에 기여하는 것이고, 종래는 카커스층(4)과 이너 라이너층(9)과의 층간의 전역을 덮도록 설치되는 것이었지만(풀 타이 고무층), 본 발명에서는, 부분 타이 고무층(40)으로서, 비드부(3)의 선단을 제외하는 후술의 영역에 선택적으로 설치된다. 즉, 본 발명의 부분 타이 고무층(40)은, 벨트층(7)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 단부로부터 이너 라이너층(9)을 향하여 그은 수선 P에 대한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비드부(3) 측으로의 돌출량 L1이, 수선 P와 타이어 내표면과의 교점 A로부터 비드 토우의 선단점 B까지의 타이어 내면을 따른 페리퍼리 길이 L2의 0.25배 ~ 0.80배가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부분 타이 고무층(40)을 채용하여 풀 타이 고무층을 가지는 종래의 공기입 타이어에 비하여 타이어 중량을 경감하는 것에 있어서, 수선 P(즉, 벨트층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 단부의 위치)에 대한 돌출량 L1을 상기와 같이 설정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와 동등한 공기 투과 방지성이나 조종 안정성을 얻기 위하여 최저한 필요한 영역을 부분 타이 고무층(40)으로 덮을 수 있고, 종래의 뛰어난 공기 투과 방지성 및 조종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이들 성능을 얻기 위하여 부분 타이 고무층(40)이 덮는 영역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고, 부분 타이 고무층의 사용량을 극력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타이어 중량을 충분히 경감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공기 투과 방지성과 조종 안정성과 타이어 중량의 경감을 밸런스 좋게 양립할 수 있다.
이 때, 돌출량 L1이 페리퍼리 길이 L2의 0.25배보다도 작으면, 부분 타이 고무층(40)에 의하여 충분한 영역을 덮지 못하고, 공기 투과 방지성 및 조종 안정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없다. 돌출량 L1이 페리퍼리 길이 L2의 0.80배보다도 크면, 실질적으로 풀 타이 고무층과 동등하게 되고, 타이어 중량을 경감하는 효과를 충분히 얻을 수 없게 된다.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돌출량 L1은, 상기 범위를 충족할 뿐만 아니라, 1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자는, 부분 타이 고무층(40)을 채용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배치에 관하여 예의(銳意) 연구한 결과, 종래의 풀 타이 고무층을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와 동등한 공기 투과 방지성과 조종 안정성을 얻으려면, 부분 타이 고무층(40)이 적어도 벨트층(7)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 단부의 근방의 특정의 영역(수선 P의 위치와 수선 P로부터 비드부(3) 측에 부분 타이 고무층(40)을 따라 15mm의 위치와의 사이의 영역)을 덮고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을 지견(知見)하고 있고, 돌출량 L1을 상기와 같이 15mm 이상으로 하는 것으로, 이 영역을 부분 타이 고무층(40)에 의하여 확실히 덮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공기 투과 방지성과 조종 안정성을 고도로 유지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이 때, 돌출량 L1이 15mm 미만이면, 전술의 영역을 덮지 못하고, 공기 투과 방지성 및 조종 안정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타이어 중량의 경감과, 공기 투과 방지성 및 조종 안정성의 유지를 한층 더 밸런스 좋게 고도로 양립하려면, 돌출량 L1을 페리퍼리 길이 L2의 0.30배 ~ 0.70배로 설정하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부분 타이 고무층(40)이, 전술의 부분 타이 고무층(40)이 덮는 것이 바람직한 영역을 포함하는 충분한 영역을 덮는 한편으로,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사용량도 적도(適度)로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공기 투과 방지성 및 조종 안정성을 고도로 유지하면서, 타이어 중량을 경감하기에는 매우 유리하게 된다.
본 발명에서는, 부분 타이 고무층(40)이 상술의 위치에 배치될 뿐만 아니라, 그 단부 위치가 이하와 같이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단부가 림 쿠션 고무층(30)의 타이어 경방향 외측 단부보다도 타이어 경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단부와 림 쿠션 고무층(30)의 타이어 경방향 외측 단부와의 이간 거리 L3이 타이어 단면 높이 SH의 0.50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단부가 비드 필러(6)의 타이어 경방향 외측 단부보다도 타이어 경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단부와 비드 필러(6)의 타이어 경방향 외측 단부와의 이간 거리 L4가 타이어 단면 높이 SH의 0.40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에 의하여, 부분 타이 고무층(40)과 다른 타이어 구성 부재(림 쿠션 고무층(30), 비드 필러(6)와의 위치 관계가 최적화되고, 강성 부재인 다른 타이어 구성 부재(림 쿠션 고무층(30), 비드 필러(6)와 적도로 이간시킬 수 있기 때문에, 특히 조종 안정성을 유지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나아가,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단부가 타이어 최대 폭 위치보다도 타이어 경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단부와 타이어 최대 폭 위치와의 이간 거리 L5가 타이어 단면 높이 SH의 0.0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부분 타이 고무층(40)이 타이어 최대 폭 위치와 겹치지 않도록 하는 것으로, 타이어 중량의 경감 효과를 보다 향상할 수 있다.
부분 타이 고무층(40)을 구성하는 고무 조성물로서는, 종래의 타이 고무층(종래의 풀 타이 고무층이나 부분 타이 고무층)에 사용되는 고무 조성물을 이용할 수 있지만, 그 고무 경도가 바람직하게는 50 ~ 70, 보다 바람직하게는 55 ~ 65인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면 된다. 이와 같이 부분 타이 고무층(40)으로서 적도의 경도를 가지는 고무 조성물을 이용하는 것으로,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사용량의 억제에 수반하여 저하할 우려가 있는 사이드 월부(2)의 강성을 보충할 수 있고, 조종 안정성을 유지하기에는 유리하게 된다. 이 때,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경도가 50보다도 작으면, 전술과 같이 사이드 월부(2)의 강성을 보충하는 효과가 한정적으로 되고, 조종 안정성을 고도로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경도가 70보다도 크면, 사이드 월부(2)의 강성이 너무 높아지기 때문에, 공기입 타이어의 본래의 성능에 악영향을 미칠 우려가 있다.
부분 타이 고무층(40)은, 타이 고무층으로서의 기능(타이어 제조 시에 있어서의 이너 라이너층(9)으로의 카커스 코드의 박힘을 방지하는 것 등)을 충분히 발휘하기 위하여 충분한 두께를 가지는 것이 요구되지만, 그 한편으로, 타이어 중량의 경감을 위하여 사용량을 억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두께 T를, 바람직하게는 0.1mm ~ 1.0mm, 보다 바람직하게는 0.3mm ~ 0.7mm로 설정하면 된다. 이것에 의하여, 타이 고무층으로서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하여, 공기 투과 방지성 및 조종 안정성을 호적(好適)하게 유지하면서, 타이어 중량의 경감 효과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다. 이 때,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두께 T가 0.1mm보다도 작으면, 부분 타이 고무층(40)이 너무 얇기 때문에, 부분 타이 고무층(40)이 타이 고무층으로서 충분히 기능하지 않게 되고, 타이어 제조 시에 있어서의 이너 라이너층(9)으로의 카커스 코드의 박힘을 방지하는 효과가 한정적으로 된다. 그 결과, 충분한 공기 투과 방지성 및 조종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이 어렵게 된다. 부분 타이 고무층(40)의 두께 T가 1.0mm보다도 크면, 부분 타이 고무층(40)이 너무 두껍게 되어 사용량이 증대하기 때문에, 타이어 중량의 경감 효과가 한정적으로 된다.
실시예
타이어 사이즈가 195/65 R15이며, 도 1에 도시하는 기본 구조를 가지고, 타이 고무층의 구조, 벨트층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 단부로부터 이너 라이너층을 향하여 그은 수선 P에 대한 부분 타이 고무층의 비드부 측으로의 돌출량 L1, 수선 P와 타이어 내표면과의 교점 A로부터 비드 토우의 선단점 B까지의 타이어 내면을 따른 페리퍼리 길이 L2, 부분 타이 고무층의 단부와 림 쿠션 고무의 타이어 경방향 외측 단부와의 이간 거리 L3의 타이어 단면 높이 SH에 대한 비율(L3/SH), 부분 타이 고무층의 단부와 비드 필러의 타이어 경방향 외측 단부와의 이간 거리 L4의 타이어 단면 높이 SH에 대한 비율(L4/SH), 부분 타이 고무층의 단부와 타이어 최대 폭 위치와의 이간 거리 L5의 타이어 단면 높이 SH에 대한 비율(L5/SH), 부분 타이 고무층을 구성하는 고무 조성물의 경도, 부분 타이 고무층의 고무 두께 T를 각각 표 1 ~ 2와 같이 설정한 종래예 1, 비교예 1 ~ 4, 실시예 1 ~ 16, 참고예 1 ~ 4의 25종류의 공기입 타이어를 제작하였다.
덧붙여, 표 1 ~ 2의 「타이 고무층의 구조」의 란에 관하여, 타이 고무층이 풀 타이 고무층인 경우는 「풀」, 부분 타이 고무층인 경우는 「부분」이라고 기재하였다.
이들 25종류의 공기입 타이어에 관하여, 하기의 평가 방법에 의하여, 타이 고무 사용량, 공기 투과 방지성, 드라이 노면에 있어서의 조종 안정성(조종 안정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표 1 ~ 2에 아울러 나타내었다.
   타이 고무 사용량
각 시험 타이어에 있어서의 타이 고무의 사용량을 측정하였다. 평가 결과는, 종래예 1의 측정값을 100으로 하는 지수로 나타내었다. 이 지수값이 작을수록 타이 고무 사용량이 적고, 타이어 중량을 경감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이 지수값이 「95」 미만이면, 타이 고무 사용량이 충분히 적다고 말할 수 있고, 충분한 타이어 중량의 경감 효과가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이 지수값이 「85」 이하이면 타이어 중량의 경감 효과가 뛰어나 있고, 이 지수값이 「65」 이하이면 타이어 중량의 경감 효과가 매우 뛰어나 있는 것을 의미한다.
   공기 투과 방지성
각 시험 타이어를, 림 사이즈 15×6J의 휠에 조립 장착하고, 공기압을 230kPa로 하여, 상온의 방에 720시간 방치한다. 방치 개시 시의 공기압과 720시간 후(방치 종료 시)의 공기압을 기초로, 실온의 온도 보정을 한 다음, 공기 누출율을 산출하였다. 평가 결과는, 종래예 1의 산출값의 역수를 100으로 하는 지수로 나타내었다. 이 지수값이 클수록 공기 누출율이 작고, 공기 투과 방지성에 뛰어난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이 지수값이 「90」 이상이면, 종래 레벨을 유지하여 충분한 공기 투과 방지성이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이 지수값이 「94」 이상이면, 공기 투과 방지성이 충분히 높다고 말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공기 투과 방지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을 의미한다.
   조종 안정 성능
각 시험 타이어를 림 사이즈 15×6J의 휠에 조립 장착하고, 공기압을 210kPa로 하여 배기량 1.5L의 시험 차량에 장착하고, 건조 노면으로 이루어지는 테스트 코스에서, 테스트 드라이버에 의한 관능 평가를 행하였다. 평가 결과는, 종래예 1을 100으로 하는 지수로 나타내었다. 이 지수값이 클수록 조종 안정성에 뛰어난 것을 의미한다. 덧붙여, 이 지수값이 「90」 이상이면, 종래 레벨을 유지하여 충분한 조종 안정성이 얻어진 것을 의미한다. 특히, 이 지수값이 「94」 이상이면, 조종 안정성이 충분히 높다고 말할 수 있고, 효과적으로 조종 안정성을 유지할 수 있었던 것을 의미한다.
Figure 112020094598382-pct00004
Figure 112020094598382-pct00005
표 1 ~ 2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실시예 1 ~ 16 및 참고예 1 ~ 4는 모두, 종래예 1에 대하여, 공기 투과 방지성 및 조종 안정 성능을 유지하면서 타이어 중량을 유지 또는 경감하였다. 특히, 돌출량 L1이 보다 바람직한 범위를 충족하는 실시예 2 ~ 4, 부분 타이 고무층의 경도가 참고예보다 바람직한 범위를 충족하는 실시예 6 ~ 7, 부분 타이 고무층의 고무 두께가 참고예보다 바람직한 범위를 충족하는 실시예 9 ~ 10은, 타이 고무 사용량이 충분히 억제되어 타이어 중량이 충분히 경감되어 있는 한편으로, 타이어 중량의 경감율과 대비하여 공기 투과 방지성 및 조종 안정성도 양호하게 유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성능을 밸런스 좋게 양립하였다.
한편, 비교예 1 ~ 2는, 돌출량 L1이 너무 작기 때문에, 부분 타이 고무층에 의한 적절한 피복이 곤란하게 되어, 공기 투과 방지성 및 조종 안정성을 양호하게 유지할 수 없었다. 비교예 3 ~ 4는, 돌출량 L1이 너무 크기 때문에, 부분 타이 고무층의 사용량이 과잉이 되어, 타이어 중량을 충분히 경감할 수 없었다.
1: 트레드부
2: 사이드 월부
3: 비드부
4: 카커스층
5: 비드 코어
6: 비드 필러
7: 벨트층
8: 벨트 보강층
9: 이너 라이너층
10: 트레드 고무층
20: 사이드 고무층
30: 림 쿠션 고무층
40: 부분 타이 고무층
CL: 타이어 적도

Claims (4)

  1. 타이어 둘레 방향으로 연재(延在)하여 환상(環狀)을 이루는 트레드부와, 당해 트레드부의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사이드 월부와, 이들 사이드 월부의 타이어 경(徑)방향 내측(內側)에 배치된 한 쌍의 비드부를 구비하고, 당해 한 쌍의 비드부 사이에 걸쳐 놓아진 카커스층과, 상기 트레드부에 있어서의 당해 카커스층의 외주(外周) 측에 배치된 벨트층과, 상기 카커스층을 따라 타이어 내면에 배치된 이너 라이너층과, 상기 카커스층과 상기 이너 라이너층과의 층간에 있어서, 자오선 단면에 있어서 타이어 폭 방향의 일방 측의 상기 비드부와 타방 측의 상기 비드부와의 사이에서 타이어 적도를 걸쳐 연속적으로 연재하여 상기 비드부의 선단(先端)을 제외하는 영역의 전체에 걸쳐 배치된 부분 타이(tie) 고무층을 가지는 공기입 타이어에 있어서,
    상기 부분 타이 고무층을 구성하는 고무의 경도가 55 ~ 65이고,
    상기 벨트층의 타이어 폭 방향 최외측 단부(端部)로부터 상기 이너 라이너층을 향하여 그은 수선 P에 대한 상기 부분 타이 고무층의 상기 비드부 측으로의 돌출량 L1이, 상기 수선 P와 타이어 내표면과의 교점 A로부터 비드 토우(toe)의 선단점 B까지의 타이어 내면을 따른 페리퍼리(periphery) 길이 L2의 0.25배 ~ 0.80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량 L1이 15mm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부분 타이 고무층의 두께가 0.1mm ~ 1.0m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입 타이어.
  4. 삭제
KR1020197012408A 2016-11-22 2017-11-20 공기입 타이어 KR1022184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6-226852 2016-11-22
JP2016226852A JP6376210B2 (ja) 2016-11-22 2016-11-22 空気入りタイヤ
PCT/JP2017/041649 WO2018097097A1 (ja) 2016-11-22 2017-11-20 空気入りタイ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2493A KR20190062493A (ko) 2019-06-05
KR102218459B1 true KR102218459B1 (ko) 2021-02-22

Family

ID=621959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2408A KR102218459B1 (ko) 2016-11-22 2017-11-20 공기입 타이어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190351705A1 (ko)
EP (1) EP3546243B1 (ko)
JP (1) JP6376210B2 (ko)
KR (1) KR102218459B1 (ko)
CN (1) CN109982864B (ko)
WO (1) WO201809709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15818B2 (ja) * 2019-03-18 2023-07-27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7512633B2 (ja) 2020-03-24 2024-07-09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タイ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9974A (ja) * 2008-05-19 2009-12-03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15174594A (ja) * 2014-03-17 2015-10-0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239507B2 (ko) 1973-06-15 1977-10-05
JPS5723086B2 (ko) 1974-03-20 1982-05-17
JPH0459403A (ja) * 1990-06-28 1992-02-26 Yokohama Rubber Co Ltd:The ランフラット空気入りラジアルタイヤ
JP2895953B2 (ja) * 1990-11-13 1999-05-3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H0550807A (ja) * 1991-08-19 1993-03-02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US5280817A (en) * 1991-10-07 1994-01-25 The Goodyear Tire & Rubber Company Radial pneumatic tire having contoured zones in the sidewalls
DE69637882D1 (de) * 1995-01-27 2009-04-30 Yokohama Rubber Co Ltd Luftreif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JP2004359196A (ja) * 2003-06-09 2004-12-24 Yokohama Rubber Co Ltd:The 乗用車用空気入りタイヤ
US7404424B2 (en) * 2003-07-17 2008-07-29 The Yokohama Rubber Co., Ltd. Pneumatic tire with buffer rubber layer
JP2007176439A (ja) * 2005-12-28 2007-07-12 Sumitomo Rubber Ind Ltd 空気入りタイヤ
JP4681497B2 (ja) * 2006-05-08 2011-05-11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4976788B2 (ja) * 2006-09-04 2012-07-1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タイヤ
JP5723086B2 (ja) * 2009-05-12 2015-05-27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438474B2 (ja) * 2009-11-13 2014-03-12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重荷重用空気入りタイヤ及びその製造方法
JP4915471B1 (ja) * 2010-11-17 2012-04-11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CN110077173A (zh) * 2011-10-26 2019-08-02 横滨橡胶株式会社 充气轮胎
FR2989030B1 (fr) * 2012-04-06 2015-04-03 Michelin & Cie Pneumatique a carcasse radiale ou croisee
JP6082203B2 (ja) * 2012-08-01 2017-02-15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5947173B2 (ja) * 2012-09-19 2016-07-06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BR112016006422A2 (pt) * 2013-09-24 2017-08-01 Bridgestone Americas Tire Operations Llc pneu com elemento toroidal
JP2016064810A (ja) * 2014-09-19 2016-04-28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JP6304285B2 (ja) * 2016-02-23 2018-04-04 横浜ゴム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279974A (ja) * 2008-05-19 2009-12-03 Yokohama Rubber Co Ltd:The 空気入りタイヤ
JP2015174594A (ja) * 2014-03-17 2015-10-05 住友ゴム工業株式会社 空気入りタイ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97097A1 (ja) 2018-05-31
KR20190062493A (ko) 2019-06-05
EP3546243B1 (en) 2021-08-11
JP6376210B2 (ja) 2018-08-22
JP2018083490A (ja) 2018-05-31
EP3546243A4 (en) 2020-07-22
CN109982864B (zh) 2021-08-13
CN109982864A (zh) 2019-07-05
EP3546243A1 (en) 2019-10-02
US20190351705A1 (en) 2019-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944483A1 (en) Pneumatic motorcycle tire
KR102218459B1 (ko) 공기입 타이어
KR20180120764A (ko)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JP6135719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6764336B2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123928B1 (ko) 공기입 타이어
JP2018177115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008614A (ja) 空気入りタイヤ
KR102248005B1 (ko) 공기입 타이어 및 그 제조 방법
JP6305784B2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008616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008617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008613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17711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177113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177114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9055651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008620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008619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9055652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9055653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9055654A (ja) 空気入りタイヤ
JP2018065468A (ja) 空気入りタイ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