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5816B1 - 주출 장치 - Google Patents

주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5816B1
KR102205816B1 KR1020167003503A KR20167003503A KR102205816B1 KR 102205816 B1 KR102205816 B1 KR 102205816B1 KR 1020167003503 A KR1020167003503 A KR 1020167003503A KR 20167003503 A KR20167003503 A KR 20167003503A KR 102205816 B1 KR102205816 B1 KR 1022058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w
flow path
beer
state
pou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30293A (ko
Inventor
히로카즈 사카마키
고타로 니시야마
Original Assignee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산토리 홀딩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302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302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58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58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12Vessels or pots for table us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27Froth control
    • B67D1/1275Froth control promoting fro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1/14Reducing valves or control taps
    • B67D1/1405Control taps
    • B67D1/1411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 B67D1/1416Means for controlling the build-up of foam in the container to be filled comprising foam induc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3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automatic fluid control means

Landscapes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Abstract

가반 용기로부터 맥주잔 등에 따라진 발포성 음료에 대해,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크리미한 거품을 적당량으로 부가할 수 있는 주출 장치를 제공한다. 가반 용기로서의 피처 (10) 에 장착되고, 피처 (10) 에 수용되어 있는 맥주를 주출하는 주출 장치 (30) 로서, 피처 (10) 에 수용되어 있는 맥주를 받아들이는 받아들임구 (41, 42) 와, 받아들임구 (41, 42) 로부터 받아들여진 맥주를 주출하는 주출구 (43) 와, 받아들임구 (41, 42) 와 주출구 (43) 를 연통하는 통류 경로 (40) 와, 통류 경로 (40) 를 통류하는 맥주의 통류량을 정량 또는 소량으로 변경하는 유량 변경 기구 (50) 와, 통류 경로 (40) 를 통류하는 맥주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가진 기구 (71) 를 구비하고, 가진 기구 (71) 는 주출량이 소량일 때에 기동된다.

Description

주출 장치 {POURING DEVICE}
본 발명은, 가반 (可搬) 용기에 장착되고, 상기 가반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발포성 음료를 주출하는 주출 (注出)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맥주로 대표되는 발포성 음료 (이하, 「맥주 등」 이라고도 한다) 는, 맥주잔이나 글래스 등의 용기 (이하, 「맥주잔 등」 이라고 한다) 에 따랐을 때, 풍미, 입맛, 목넘김, 보기에 좋게 하기 위해서, 7 할 정도의 맥주 등의 층 위에 3 할 정도의 크리미한 거품층이 형성되는 것이 선호되고 있다. 거품이 미세할수록 지속되므로, 맥주 등 내에 용존하는 탄산의 빠짐이나, 맥주 등의 산화를 지연시켜, 맥주 등의 맛을 지속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비어 홀, 비어 가든, 선술집 등의 점포 (이하, 「비어 홀 등」 이라고 한다) 에서는, 통에 담긴 맥주 등을 전용의 맥주 디스펜서를 사용하여, 맥주잔 등에 주출하여 제공하고 있다. 맥주 등의 층 위에 크리미한 거품층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맥주 등을 따를 때의 맥주잔 등의 각도, 주출 콕 조작, 주출량, 가스압의 조정 등에 숙련을 필요로 한다.
이와 같은 맥주 등의 주출에 관해, 특허문헌 1 에는, 맥주 디스펜서의 주출 유로에 초음파 발생 소자를 장착한 탭이 제안되어 있다.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숙련자가 아니어도 용이하게 크리미한 거품을 형성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런데, 비어 홀 등에서는, 종업원이 맥주 디스펜서로부터 개별 맥주잔 등에 맥주 등을 주출하여 손님에게 제공하는 것 외에, 맥주잔 등 몇 잔분의 맥주 등을 수용 가능한 피처라고 불리는 가반 용기를 사용하여 손님에게 제공하는 경우도 있다. 피처에 의해 제공된 맥주 등은, 각 테이블에서 손님 자신이 개별 맥주잔 등에 주출한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00-327096호
피처는 업무용으로서 수지제이고 수용량이 1 ∼ 2 ℓ 정도인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피처에 맥주 등을 가득 채웠을 때에는, 피처 자체의 무게에 더하여, 맥주 등의 무게에 의해 2 ㎏ 을 초과하는 무게가 되어 버리는 경우가 있다.
맥주 등의 주출에 익숙하지 않은 손님이 이와 같이 무거운 피처를 능숙하게 취급하는 것은 곤란하다. 맥주 등을 따르는 힘이 지나치게 강하면, 따라진 맥주 등이 맥주잔 등의 내부의 맥주 등의 액면을 쳐서 거품 투성이의 맥주 등이 되어 버리고, 반대로 맥주 등을 따르는 힘이 지나치게 약하면, 거품이 적게 일어나는 맥주 등이 되어 버리기 때문이다.
이와 같이, 맥주잔 등 내에 크리미한 거품을 적당량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매우 어렵다.
또, 비어 홀 등 이외의 야외의 행락지나 가정 내에 있어서, 피처에 한정되지 않고 캔이나 병과 같은 가반 용기로부터 개별 맥주잔 등에 맥주 등을 따를 때에도, 상기 서술과 동일하게 크리미한 거품을 적당량으로 발생시키는 것이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가반 용기로부터 맥주잔 등에 따라진 발포성 음료에 대해,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크리미한 거품을 적당량으로 부가할 수 있는 주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주출 장치의 제 1 특징 구성은, 가반 용기에 장착되고, 상기 가반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발포성 음료를 주출하는 주출 장치로서, 상기 가반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발포성 음료를 받아들이는 받아들임구와, 상기 받아들임구로부터 받아들여진 발포성 음료를 주출하는 주출구와, 상기 받아들임구와 상기 주출구를 연통하는 통류 (通流) 경로와, 상기 통류 경로를 통류하는 발포성 음료의 통류 상태를 적어도 제 1 주출 상태 또는 제 2 주출 상태로 변경하는 통류 상태 변경 기구와, 상기 통류 경로를 통류하는 발포성 음료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가진 (加振)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가진 기구는, 상기 제 2 주출 상태일 때에 기동되는 점에 있다.
가진 기구에 의해 발포성 음료에 진동을 부여하면 용존하고 있는 탄산 가스에 의해 거품이 발생한다. 통류 상태 변경 기구에 의해 발포성 음료의 통류 상태가 제 1 주출 상태일 때에는, 가진 기구에 의해 진동을 부여하지 않고 거품의 발생을 억제하고, 제 2 주출 상태일 때에는 가진 기구에 의해 통류 경로를 통류하는 발포성 음료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크리미한 거품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크리미한 거품을 적당량으로 부가할 수 있다.
동 제 2 특징 구성은, 상기 가반 용기를 기울인 주출 자세로 함으로써, 상기 주출구로부터 발포성 음료가 주출되도록 구성됨과 함께,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상기 주출구로부터 주출되는 발포성 음료의 주출량을 정량 또는 소량으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 1 주출 상태는, 상기 주출량이 정량일 때의 상태이고, 상기 제 2 주출 상태는, 상기 주출량이 소량일 때의 상태인 점에 있다.
맥주잔 등에 발포성 음료를 주출하고자 할 때에는, 통류 상태 변경 기구에 의해 주출구로부터 주출되는 발포성 음료의 주출량을 정량으로 하여 소정의 유량을 확보함으로써, 재빠른 주출이 가능해진다. 한편, 맥주잔 등에 거품을 주출하고자 할 때에는, 통류 상태 변경 기구에 의해 상기 주출량을 소량으로 하고, 또한 그 상태에서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요컨대 주출량이 소량이므로, 거품을 지나치게 발생시킬 우려가 없어진다. 따라서, 맥주잔 등에 대해,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적당량의 거품을 따를 수 있다.
동 제 3 특징 구성은, 상기 통류 경로는, 적어도 하나씩 구비된 상기 받아들임구와 상기 주출구를 연통하는 복수의 통류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상기 복수의 통류관 중 적어도 하나의 통류관을 폐색함으로써, 상기 주출량을 정량으로부터 소량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진 기구는, 상기 복수의 통류관 중 폐색되어 있지 않은 다른 통류관을 통류하는 발포성 음료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점에 있다.
복수의 통류관을 준비해 두고, 적어도 그 하나를 폐색한다는 간단한 구성으로, 용이하게 주출량의 변경이 가능해진다.
동 제 4 특징 구성은, 상기 복수의 통류관 중,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에 의한 상기 폐색 대상의 통류관의 총유로 단면적은, 다른 통류관의 총유로 단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점에 있다.
폐색 대상의 통류관은 발포성 음료의 통류 경로이다. 따라서, 당해 통류 경로의 총유로 단면적을, 폐색 대상이 아닌 통류관의 총유로 단면적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발포성 음료의 주출량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 폐색 대상이 아닌 통류관은 거품을 발생시키기 위한 발포성 음료의 통류 경로이다. 따라서, 당해 통류 경로의 총유로 단면적을, 폐색 대상의 통류관의 총유로 단면적보다 작게 설정함으로써, 통류관 내에 있어서 확실하게 거품을 발생시킴과 함께, 거품의 발생량을 적당량의 것으로 할 수 있다.
동 제 5 특징 구성은, 상기 복수의 통류관 중,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에 의한 상기 폐색 대상의 통류관은, 상기 가반 용기가 상기 주출 자세일 때, 상기 다른 통류관보다 상대적으로 하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점에 있다.
맥주잔 등에 발포성 음료를 따를 때, 가반 용기 내에 발생하고 있는 여분의 거품이 발포성 음료와 함께 주출될 우려가 저감된다.
동 제 6 특징 구성은, 상기 통류 경로는, 적어도 하나씩 구비된 상기 받아들임구와 상기 주출구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류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상기 통류관의 유로 단면적을 작게함으로써, 상기 주출량을 정량으로부터 소량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진 기구는, 상기 통류관을 통류하는 발포성 음료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점에 있다.
맥주잔 등에 발포성 음료를 주출하고자 할 때에는, 통류 상태 변경 기구에 의해 주출구로부터 주출되는 발포성 음료의 주출량을 정량으로 하여 소정의 유량을 확보함으로써, 재빠른 주출이 가능해진다. 한편, 맥주잔 등에 거품을 주출하고자 할 때에는, 통류 상태 변경 기구에 의해 상기 주출량을 소량으로 하고, 또한 그 상태에서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요컨대 주출량이 소량이므로, 거품을 지나치게 발생시킬 우려가 없어진다. 따라서, 맥주잔 등에 대해,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적당량의 거품을 따를 수 있다.
동 제 7 특징 구성은,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조작부와, 가동부와, 상기 통류관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 형성된 가요성의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튜브를 압압 (押壓) 변형시킴과 함께, 상기 가진 기구의 기동 스위치를 온으로 하는 점에 있다.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가요성의 튜브를 압압 변형시켜 통류관을 폐색하거나, 또는 유로 단면적을 작게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복잡하고 고가의 기구를 사용하지 않고 간소, 경량이고 저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동 제 8 특징 구성은,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조작부와, 가동부와, 상기 통류관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 형성된 유량 변경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유량 변경 밸브의 개도를 변경시킴과 함께, 상기 가진 기구의 기동 스위치를 온으로 하는 점에 있다.
유량 변경 기구는, 유량 변경 밸브의 개폐에 의해, 통류관의 폐색 또는 유로 단면적을 작게하는 구성이기 때문에, 확실하게 유체의 유량을 변경할 수 있다.
동 제 9 특징 구성은,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상기 가동부를 소정의 가동 위치에 유지하는 위치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유지 기구는, 상기 가동부가 상기 가동 위치에 유지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가동부를 상기 가동 위치에 유지하여 상기 주출량을 소량으로 유지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가동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유지를 해제하여 상기 주출량을 정량으로 유지하는 점에 있다.
위치 유지 기구를 구비함으로써, 조작부를 계속 조작하지 않아도, 상기 통류 경로를 통류하는 발포성 음료의 유량이 소량으로 유지된다. 다시 조작부를 조작하면, 상기 유량이 소량의 상태가 해제되게 된다.
동 제 10 특징 구성은, 상기 가진 기구는,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에 의해 상기 주출량이 소량으로부터 정량으로 변경되었을 때에 정지되는 점에 있다.
발포성 음료의 주출을 정지하는 동작에 수반하여, 가진 기구도 정지할 수 있다.
동 제 11 특징 구성은, 상기 가반 용기의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가스 공급 기구가 공급한 가스에 의해 상기 가반 용기의 내압을 높임으로써, 상기 주출구로부터 발포성 음료가 주출되도록 구성됨과 함께, 상기 주출구는, 제 1 주출구와, 제 2 주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통류 경로는, 상기 받아들임구와 상기 제 1 주출구를 연통하는 제 1 통류 경로와, 상기 받아들임구와 상기 제 2 주출구를 연통하는 제 2 통류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상기 제 1 통류 경로 또는 상기 제 2 통류 경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 1 주출 상태는, 상기 제 1 통류 경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이고, 상기 제 2 주출 상태는, 상기 제 2 통류 경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인 점에 있다.
통류 상태 변경 기구에 의해 제 1 통류 경로를 선택하고 있을 때에는, 가진 기구에 의해 진동을 부여하지 않아 거품의 발생을 억제하고, 제 2 통류 경로를 선택하고 있을 때에는, 가진 기구에 의해 통류 경로를 통류하는 발포성 음료에 진동을 부여함으로써 크리미한 거품을 일으키게 할 수 있다. 발포성 음료와 거품으로, 각각에 적합한 통류 경로를 준비하여 구분하여 사용함으로써, 각각에 적합한 주출을 할 수 있다.
동 제 12 특징 구성은, 상기 제 1 통류 경로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 2 통류 경로의 유로 단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점에 있다.
맥주잔 등에 발포성 음료를 주출하고자 할 때에는, 통류 상태 변경 기구에 의해 유로 단면적이 큰 제 1 통류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주출구로부터 주출되는 발포성 음료의 주출량을 정량으로 하여 소정의 유량을 확보할 수 있어, 재빠른 주출이 가능해진다. 한편, 맥주잔 등에 거품을 주출하고자 할 때에는, 통류 상태 변경 기구에 의해 유로 단면적이 작은 제 2 통류 경로를 선택함으로써, 상기 주출량을 소량으로 하고, 또한 그 상태에서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요컨대 주출량이 소량이므로, 거품을 지나치게 발생시킬 우려가 없어진다. 따라서, 맥주잔 등에 대해,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용이하게 적당량의 거품을 따를 수 있다.
동 제 13 특징 구성은, 상기 가반 용기에 공급된 가스를 방출하는 방출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상기 제 1 통류 경로 및 상기 제 2 통류 경로 모두 선택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방출 경로를 개방하는 점에 있다.
맥주잔 등에 발포성 음료 및 거품의 어느 것도 주출하고 있지 않은 상태일 때에는, 가반 용기에 공급된 가스를 방출하여, 내부의 가압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갑자기 발포성 음료 또는 거품이 제 1 통류 경로 또는 제 2 통류 경로를 통하여 주출구로부터 주출될 우려가 방지된다.
동 제 14 특징 구성은, 상기 가진 기구는 초음파 발생 수단이고, 상기 초음파 발생 수단은 초음파에 의해 상기 통류 경로를 통하여 당해 통류 경로를 통류하는 발포성 음료에 진동을 부여하는 점에 있다.
초음파 발생 수단이 파생하는 초음파의 진동에 의해 발생하는 거품을 미세한 것으로 할 수 있다.
동 제 15 특징 구성은, 상기 초음파 발생 수단의 진동 주파수 및 진동 진폭의 조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점에 있다.
조정부에 의해 진동 주파수 및 진동 진폭을 변경함으로써 주출되는 거품의 상태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발생하는 거품의 상태는 발포성 음료의 온도 등의 상태나 종류, 상표에 따라서도 상이하기 때문에, 가반 용기에 수용되는 발포성 음료마다 최적인 설정을 복수개 메모리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도 1 은, 제 1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가 피처에 장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 는, 제 1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 및 피처의 설명도이다.
도 3 은, 제 1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의 기계부의 설명도이다.
도 4 는, 제 1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의 본체부의 설명도이다.
도 5 는, 도 4 의 IV-IV 선 단면도이다.
도 6 은, 제 1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에 의한 거품 주출의 설명도이다.
도 7 은, 제 2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에 의한 거품 주출의 설명도이다.
도 8 은, 제 3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 및 피처의 설명도이고, (a) 는 평면도, (b) 는 측면도이다.
도 9 는, 제 3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의 설명도로서, 도 10 의 IX-IX 선 화살표에서 본 방향의 측단면도이다.
도 10 은, 제 3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의 본체부의 설명도이다.
도 11 은, 위치 유지 기구의 설명도로서, (a) 는 위치 유지가 해제되어 있을 때의 설명도, (b) 는 위치 유지되어 있을 때의 설명도이다.
도 12 는, 탈락 방지 레버의 설명도로서, 도 10 의 XII-XII 선 화살표에서 본 방향의 측단면도이다.
도 13 은, 제 3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에 의한 맥주 주출의 설명도이다.
도 14 는, 제 3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에 의한 거품 주출의 설명도이다.
도 15 는, 제 4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의 설명도이고, (a) 는 평면도, (b) 는 정면도, (c) 는 측면도이다.
도 16 은, 제 4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의 내부 구조의 설명도이다.
도 17 은, 제 4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의 주요부의 설명도이다.
도 18 은, 제 4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의 주요부의 설명도이다.
도 19 는, 제 4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의 대기시의 설명도이다.
도 20 은, 제 4 실시형태의 주출 장치의 거품 주출시의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관련된 주출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에 관련된 주출 장치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는, 발포성 음료로서의 맥주를 예로 설명한다. 또, 맥주를 수용하는 가반 용기로서 피처를 예로 설명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맥주」 란, 상면 발효, 하면 발효, 자연 발효의 것, 발포주 등의 맥주 풍미의 발포 알코올 음료, 논알코올 맥주 등의 맥주 테이스트 음료 등을 널리 포함하는 개념으로서, 어떠한 특정한 종류나 상표를 배제하는 것은 아니다. 또, 「피처」 란, 맥주를 맥주잔 등에 주출하는 데에 사용하는 맥주 피처를 말한다.
도 1 에는, 피처 (10) 와, 피처 (10) 의 개구부 전체를 덮도록 장착된 주출 장치 (30) 가 나타나 있다.
피처 (10) 는, 업무용의 것으로 하고, 그 용량은 2 ℓ 정도인 것이 일반적이며, 통상의 맥주잔 등 몇 잔분의 맥주가 수용 가능하다. 비어 홀 등에 있어서, 종업원이 맥주 디스펜서로부터 피처 (10) 에 맥주를 넣고, 손님의 테이블에서 개별 맥주잔 등에 주출하거나, 종업원이 맥주 디스펜서로부터 맥주를 넣은 피처 (10) 의 제공을 받은 손님 자신이 개별 맥주잔 등에 주출하거나 하는 데에 사용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의 「사용자」 란, 피처 (10) 로부터 맥주잔 등에 맥주를 따르는 사람을 말한다.
도 1, 도 2, 도 5 를 참조하면서, 피처 (10) 에 대해 설명한다. 피처 (10) 는, 맥주를 수용하는 내측 용기부 (11) 와, 내측 용기부 (11) 의 외주에 배치되고, 내측 용기부 (11) 와의 사이에 단열 공간을 형성하는 외측 용기부 (12) 를 가지고 있다. 내측 용기부 (11) 및 외측 용기부 (12) 는, 각각 성형성, 단열성이 우수한 메타크릴 수지 등의 합성 수지 재료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내측 용기부 (11) 는, 저벽부 (13) 로부터 상단의 개구부 (14) 에 걸쳐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대략 원추 형상의 둘레벽부 (15) 와, 개구부 (14) 로부터 외주 전체에 걸쳐 외측 하방으로 일체적으로 연장 형성된 스커트부 (16) 를 구비하고 있다. 개구부 (14) 의 일부에는, 외방 경사 상방에 횡단면 형상이 V 자상을 이루는 주입구 (17) 가 형성되어 있다.
외측 용기부 (12) 는, 저벽부 (18) 와, 저벽부 (18) 와 일체적으로 형성된 둘레벽부 (19) 를 구비하고 있다. 둘레벽부 (19) 의 상단부는 내측 용기부 (11) 의 스커트부 (16) 의 하단부와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접합부 (20) 를 구성한다. 외측 용기부 (12) 의 둘레벽부 (19) 에는, 주입구 (17) 와 대향하는 위치에, 예를 들어 사용자가 피처 (10) 를 파지 (把持) 하기 위한 손잡이부 (21) 가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주출 장치 (30) 에 대해 설명한다. 주출 장치 (30) 는, 본체부 (31) 와 기계부 (32) 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 (31) 및 기계부 (32) 의 외장 자체는 ABS 수지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본체부 (31) 와 기계부 (32) 를 별체로 구성하고 있지만, 본체부 (31) 와 공통의 외장에 기계부 (32) 의 기능을 장착하여 일체로 구성해도 된다.
먼저, 도 2, 도 4, 도 5 를 참조하면서, 주출 장치 (30) 의 본체부 (31) 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부 (31) 는, 하단 개구부 (33) 로부터 상단 개구부 (34) 에 걸쳐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대략 원추 형상의 둘레벽부 (35) 와, 둘레벽부 (35) 의 내부의 중복 (中腹) 에 형성되고, 하단 개구부 (33) 와 상단 개구부 (34) 를 구획하는 구획부 (36) 와, 둘레벽부 (35) 의 상단으로부터 외주 전체에 걸쳐 외측 하방으로 연장된 스커트부 (37) 를 구비하고 있다. 둘레벽부 (35) 의 외주벽은, 피처 (10) 의 내측 용기부 (11) 의 주입구 (17) 를 포함하는 개구부 (14) 의 형상과 대략 상사 (相似) 형상을 이루고, 피처 (10) 에 대해 개구부 (14) 의 상방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압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둘레벽부 (35) 의 하방의 외주벽에는 둘레 방향에 패킹 (38) 이 형성되고, 둘레벽부 (35) 를 피처 (10) 의 내측 용기부 (11) 에 압입했을 때, 패킹 (38) 에 의해 내측 용기부 (11) 와 둘레벽부 (35) 의 간극이 시일되어, 피처 (10) 본체를 기울여도 피처 (10) 의 맥주가 내측 용기부 (11) 와 둘레벽부 (35) 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둘레벽부 (35) 의 외주와 스커트부 (37) 의 내주의 경계부 (39) 는, 주출 장치 (30) 를 피처 (10) 에 장착했을 때, 둘레벽부 (35) 의 외주와 스커트부 (37) 의 내주의 간극에 진입한 피처 (10) 의 개구부 (14) 의 둘레 가장자리부를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덮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 (31) 는, 주출 장치 (30) 를 피처 (10) 에 장착했을 때, 내측 용기부 (11) 의 맥주를 주출하기 위한 통류 경로 (40) 를 구비하고 있다.
통류 경로 (40) 는, 주출 장치 (30) 를 피처 (10) 에 장착했을 때 피처 (10) 의 주입구 (17) 와 대응하는 위치로서, 둘레벽부 (35) 의 내부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고, 피처 (10) 에 수용된 맥주를 받아들이는 제 1 받아들임구 (41) 및 제 2 받아들임구 (42) 와, 제 1 받아들임구 (41) 및 제 2 받아들임구 (42) 로부터 받아들여진 맥주를 맥주잔 등에 주출하는 주출구 (43) 를 연통하는 경로이다.
통류 경로 (40) 는, 맥주용 통류관 (44) 과, 맥주와 거품의 겸용 통류관 (45) 과, 맥주용 통류관 (44) 과 겸용 통류관 (45) 의 합류부 (46) 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 (31) 의 내부에서는, 맥주용 통류관 (44) 은,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피처 (10) 가 맥주를 주출하기 위해서 기울여진 자세 (이하, 「주출 자세」 라고 한다) 일 때, 겸용 통류관 (45) 보다 상대적으로 하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맥주용 통류관 (44) 은, 구획부 (36) 의 하면 중, 주입구 (17)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받아들임구 (41) 와, 둘레벽부 (35) 의 상면 중, 주입구 (17)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주출구 (43) 를 연통한다. 겸용 통류관 (45) 은, 구획부 (36) 의 하면 중, 주입구 (17) 에 대응하는 위치로서, 피처 (10) 가 주출 자세일 때, 제 1 받아들임구 (41) 보다 상방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받아들임구 (42) 와, 맥주용 통류관 (44) 의 하류측으로서, 주출구 (43) 로부터 경사 하방으로 분기 형성된 합류부 (46) 를 연통한다. 따라서, 겸용 통류관 (45) 은, 일단이 경사 자세의 합류부 (46) 에 접속되고, 도중에 만곡되어 연직 자세가 되어 제 2 받아들임구 (42) 에 접속된다.
맥주용 통류관 (44) 및 겸용 통류관 (45) 은, 내부를 통류하는 맥주의 압력에 견딜 수 있고, 적어도 맥주용 통류관 (44) 은 외부로부터의 부하에 의해 변형 가능한 적당한 탄성을 갖는 가요성의 튜브로 구성되어 있다. 당해 튜브를 구성하는 재질은, 내부를 통류하는 맥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당한 재질이 선택된다. 맥주용 통류관 (44) 의 유로 단면적은, 겸용 통류관 (45) 의 유로 단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맥주용 통류관 (44) 과 겸용 통류관 (45) 의 1 개당의 유로 단면적은 동일하게 하고, 맥주용 통류관 (44) 의 수를 겸용 통류관 (45) 보다 많게 함으로써, 맥주용 통류관 (44) 의 유로 단면적이, 겸용 통류관 (45) 의 유로 단면적보다 커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구획부 (36) 에는, 통류 경로 (40) 가 배치 형성된 위치와 대향하는 측의 소정 위치에 공기공 (空氣孔) (47) 이 형성되어 있다. 공기공 (47) 은, 피처 (10) 의 맥주의 액면 상의 내부 공간과, 본체부 (31) 의 외부 공간을 연통하고, 맥주의 주출시의 피처 (10) 의 내부 공간의 기압과, 피처 (10) 의 외부 공간의 기압차를 없앤다. 이로써 원활한 맥주의 주출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한, 본체부 (31) 는, 통류 경로 (40) 를 통류하는 맥주의 유량 변경 기구 (50) 를 구비하고 있다. 유량 변경 기구 (50) 는, 조작부 (51) 와, 조작부 (51) 에 연동하는 가동부 (52) 를 구비하고 있다. 조작부 (51) 는, 둘레벽부 (35) 와 스커트부 (37) 의 경계부 (39) 상의 본체부 (31) 의 주출구 (43) 와 대향하는 위치로서, 피처 (10) 의 손잡이부 (21) 의 상방인 위치에 고정된 지지축 (53) 과, 지지축 (53) 둘레로 요동 가능하게 축 지지된 조작 레버 (54) 에 의해 구성된다.
조작 레버 (54) 는, 지지축 (53) 으로부터 본체부 (31) 의 외측 하방을 향하여, 사용자가 피처 (10) 의 손잡이부 (21) 를 파지했을 때, 예를 들어 엄지 손가락에 의해 압하 용이한 위치를 향해 연장 형성된 압하부 (55) 와, 지지축 (53) 으로부터 본체부 (31) 의 내측 하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작용부 (56)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가동부 (52) 는, 구획부 (36) 의 상면에 재치 (載置) 되는 가동 바 (57)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동 바 (57) 는, 구획부 (36) 의 상면의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된 1 쌍의 가이드부 (58) 를 따라 소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가동 바 (57) 의 일단에는, 본체부 (31) 의 둘레벽부 (35) 의 내주벽으로서, 맥주용 통류관 (44) 에 대응하는 위치에 배치된 수압부 (受壓部) (59) 와 협동하여, 당해 맥주용 통류관 (44) 을 압압하여 폐색하는 압압부 (60) 가 배치되어 있다. 가동 바 (57) 의 타단에는, 작용부 (56) 가 맞닿는 맞닿음부 (61) 가 배치되어 있다. 맞닿음부 (61) 의 작용부 (56) 가 맞닿는 부분의 뒤쪽에는, 구획부 (36) 의 상면의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된 수압부 (62) 의 사이에 압축 스프링 (63)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바 (57) 는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에 의해 작용부 (56) 측으로 항상 탄성 지지되어 있다. 이 가동 바 (57) 가 조작 레버 (54) 측에 있을 때의 위치를 「초기 위치」 라고 한다.
사용자가 조작 레버 (54) 를 조작하는, 요컨대, 피처 (10) 의 손잡이부 (21) 를 파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압하부 (55) 를 누르면, 조작 레버 (54) 가 지지축 (53) 둘레로 회전함에 따라, 작용부 (56) 가 지지축 (53) 둘레로 회전하여 둘레벽부 (35) 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맞닿음부 (61) 를 개재하여 가동 바 (57) 를 초기 위치로부터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에 대향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딩시키며, 압압부 (60) 가 본체부 (31) 측의 수압부 (59) 와 협동하여 맥주용 통류관 (44) 을 구성하는 튜브를 변형시켜, 맥주용 통류관 (44) 이 폐색된다. 가동 바 (57) 가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맥주용 통류관 (44) 측으로 이동된 상태일 때의 위치를 「압압 위치」 라고 한다.
이와 같이 맥주용 통류관 (44) 이 폐색되었을 때, 피처 (10) 의 맥주는 겸용 통류관 (45) 만으로부터 주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유량 변경 기구 (50) 는, 복수의 통류관 중 적어도 하나의 통류관을 폐색함으로써, 주출구 (43) 로부터 주출되는 맥주의 주출량을 정량으로부터 소량으로 변경한다.
사용자가 조작 레버 (54) 를 떼면, 요컨대, 압하부 (55) 의 누름을 멈추면,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 및 튜브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바 (57) 는 압압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 통류 경로 (40) 의 맥주용 통류관 (44) 의 폐색이 해제되고, 주출구 (43) 로부터 주출되는 맥주의 주출량은 소량으로부터 정량으로 변경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량 변경 기구 (50) 가 통류 경로 (40) 를 통류하는 맥주의 통류 상태를 적어도 제 1 주출 상태 또는 제 2 주출 상태로 변경하는 통류 상태 변경 기구를 구성하고, 맥주용 통류관 (44) 이 폐색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상기 제 1 주출 상태를 구성하고, 맥주용 통류관 (44) 이 폐색되어 있는 상태가 제 2 주출 상태를 구성한다.
가동 바 (57) 는, 추가로 압압부 (60) 와 맞닿음부 (61) 사이에, 상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연동부 (64) 를 구비하고 있다. 연동부 (64) 는, 가동 바 (57) 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이동하여, 후술하는 초음파 발생기 (72) 의 기동 스위치 (75) 의 온/오프를 한다.
또한, 본체부 (31) 는, 가동 바 (57) 의 일부와 압축 스프링 (63) 을 포함하는 부분을 덮는 보호 덮개 (86) 를 구비하고 있다. 보호 덮개 (86) 에는, 가동 바 (57) 의 연동부 (64) 가 진입 가능한 슬릿 (87) 이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 도 3, 도 5 를 참조하면서, 주출 장치 (30) 의 기계부 (32) 에 대해 설명한다.
기계부 (32) 는, 본체부 (31) 의 상방으로부터 둘레벽부 (35) 와 구획부 (36) 로 구획되는 공간에 수용되는 하우징부 (70) 를 구비하고, 하우징부 (70) 의 상부는, 주출 장치 (30) 의 상단 개구부 (34) 의 천개 (天蓋) 를 구성하도록 외방 주위를 향하여 연장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부 (70) 에는, 가진 기구 (71) 가 수용되어 있다. 가진 기구 (71) 는, 통류 경로 (40) 를 통류하는 맥주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초음파 발생기 (72) 와, 초음파 발생기 (72) 의 구동 회로가 실장된 기판 (73) 과, 초음파 발생기 (72) 의 기판 (73) 에 공급되는 전력원인 2 개의 단 3 형 건전지를 수용하는 전지 박스 (74) 와, 초음파 발생기 (72) 의 동작의 온/오프를 위한 기동 스위치 (75)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력원은, 상기 서술한 건전지에 한정되지 않고, 초음파 발생기 (72) 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전력이 얻어지는 것이면 된다.
초음파 발생기 (72) 는, 기판 (73) 에 실장된 구동 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압전 소자를 구비한 초음파 발생 수단으로서, 소정의 진동 주파수 및 진동 진폭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진동 주파수는 20 ∼ 40 ㎑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 발생기 (72) 는, 하우징부 (70) 의 측방에 경사 하방을 향해 주위가 가이드됨과 함께, 내부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 (76) 으로 외방으로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그 진동면 (77) 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기계부 (32) 를 본체부 (31) 에 수용했을 때, 진동면 (77) 이 통류 경로 (40) 중 합류부 (46) 에 맞닿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초음파 발생기 (72) 가 발생하는 초음파에 의해 합류부 (46) 를 진동시키고, 맥주는 합류부 (46) 를 통과할 때에 발포가 여기되어, 크리미한 거품이 되어 주출구 (43) 로부터 주출된다.
하우징부 (70) 는, 그 하면에 착탈이 자유로운 덮개체 (78) 를 구비하고, 당해 덮개체 (78) 를 개방한 상태에서 가진 기구 (71) 가 내부에 수용된다. 가진 기구 (71) 는, 도시되지 않은 나사 등으로 적절히 하우징부 (70) 내에 고정된다. 하우징부 (70) 의 덮개체 (78) 의 적당한 위치에는, 보호 덮개 (86) 의 슬릿 (87) 에 대응한 위치에, 상기 서술한 가동 바 (57) 의 연동부 (64) 가 진입 가능한 슬릿 (79) 이 형성되고, 당해 슬릿 (79) 내의 소정 위치에 기동 스위치 (75) 가 배치 형성된다. 가동 바 (57) 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연동부 (64) 가 기동 스위치 (75) 를 압압하면, 전지 박스 (74) 에 수용된 건전지로부터의 전력이 기판 (73) 에 공급되어, 구동 회로가 초음파 발생기 (72) 를 기동시킨다. 기동 스위치 (75) 는 압압되어 있는 동안, 온 상태를 유지한다. 연동부 (64) 가 기동 스위치 (75) 로부터 이간되면, 기판 (73) 으로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고, 초음파 발생기 (72) 는 정지된다.
기판 (73) 의 구동 회로는, 일정한 진동 주파수 및 진동 진폭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초음파 발생기 (72) 를 구동시켜도 되고, 1 회의 온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초음파 발생기 (72) 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 및 진동 진폭이 변경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거품의 주출 시기에 따라 거품의 미세함을 바꿀 수 있다. 또한, 기계부 (32) 는, 초음파 발생기 (72) 의 온/오프만이 아니라, 초음파 발생기 (72) 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나 진동 진폭을 가변으로 설정 가능한 조정부를 구비해도 된다. 당해 조정부에 의해 진동 주파수 및 진동 진폭을 변경함으로써 주출되는 거품의 상태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발생하는 거품의 상태는 맥주의 온도 등의 상태나 종류, 상표에 따라서도 상이하기 때문에, 피처 (10) 에 수용되는 맥주마다 최적인 설정을 복수개 메모리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초음파 발생기 (72) 의 설치 위치는, 통류 경로 (40) 를 통류하는 맥주에 초음파에 의한 진동을 부여할 수 있는 지점이면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진동면 (77) 은, 합류부 (46) 가 아니라, 겸용 통류관 (45) 을 구성하는 튜브에 접촉하고, 당해 튜브를 진동시켜, 당해 튜브 내를 통류하는 맥주를 발포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초음파 발생기 (72) 의 진동면 (77) 은, 통류 경로 (40) 의 합류부 (46) 에 항상 접촉하고 있는 구성 외에, 진동시에만 합류부 (46) 에 접촉하는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통류 경로 (40) 에 매설되거나, 통류 경로 (40) 내벽에 노출시켜 맥주에 직접 진동을 부여하거나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초음파 발생기 (72) 는,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 구비해도 된다. 또한, 기판 (73) 에 실장된 구동 회로에 지연 수단을 구비하고, 기동 스위치 (75) 의 투입 후의 소정 시간 후에 초음파 발생기 (72) 를 기동시키거나, 타이머로 소정 시간만 기동시키거나, 또 그것들을 조합해도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주출 장치 (30) 를 사용한 맥주의 주출에 대해 설명한다.
맥주는, 예를 들어 종업원에 의해, 맥주 디스펜서로부터 거품이 일어나는 것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피처 (10) 에 주출된다. 피처 (10) 에 소정량의 맥주가 수용되면, 주출 장치 (30) 가 피처 (10) 에 장착되고, 그 상태에서 손님에게 제공된다. 그리고, 피처의 제공을 받은 손님이 개별 맥주잔 등에 맥주를 주출하게 된다.
손님, 요컨대 사용자는, 손잡이부 (21) 를 잡아 피처 (10) 를 들어올리고, 그 자세 (이하, 「정상 자세」 라고 한다) 로부터 서서히 피처 (10) 를 기울인 주출 자세로 하면서 맥주잔 등에 주출하기 시작한다. 이 단계에서는 맥주잔 등 내의 거품이 일어나는 것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천천히 따른다. 사용자는 맥주잔 등의 7 할 정도까지 맥주가 따라지면, 피처 (10) 의 손잡이부 (21) 를 파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조작 레버 (54) 의 압하부 (55) 를 누름 조작한다.
그렇게 하면, 도 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 바 (57) 의 선단의 압압부 (60) 가 수압부 (59) 와 협동하여 맥주용 통류관 (44) 을 폐색하여, 겸용 통류관 (45) 만이 통류한 상태가 된다. 이것에 연동하여, 가동 바 (57) 의 연동부 (64) 가 기동 스위치 (75) 를 온으로 하여, 구동 회로가 초음파 발생기 (72) 를 기동시켜, 겸용 통류관 (45) 의 하류의 합류부 (46) 를 진동시킨다. 맥주는 합류부 (46) 를 통과할 때에 진동이 부여되어 발포가 여기되어, 크리미한 거품이 되어 주출구 (42) 로부터 맥주잔 등으로 주출된다. 맥주잔 등에 원하는 양의 거품이 주출되면, 사용자는 피처 (10) 를 주출 자세로부터 정상 자세로 되돌리면서, 엄지 손가락을 압하부 (55) 로부터 뗀다. 이상과 같이, 피처 (10) 로부터 맥주잔 등에 따라진 맥주에 대해,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크리미한 거품을 적당량으로 부가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주출 장치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간략 또는 생략한다.
도 7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출 장치 (30) 의 본체부 (31) 는, 내측 용기부 (11) 의 맥주를 주출하기 위한 통류 경로 (80) 를 구비하고 있다. 통류 경로 (80) 는, 주출 장치 (30) 를 피처 (10) 에 장착했을 때에 피처 (10) 의 주입구 (17) 와 대응하는 위치로서, 둘레벽부 (35) 의 내부의 소정 위치에 구비되고, 피처 (10) 에 수용된 맥주를 받아들이는 받아들임구 (81) 와, 받아들임구 (81) 로부터 받아들여진 맥주를 맥주잔 등에 주출하는 주출구 (82) 를 연통하는 경로이다.
통류 경로 (80) 는 받아들임구 (81) 와 주출구 (82) 를 연통하는 가요성의 튜브 (83) 로 구성되어 있다. 당해 통류 경로 (80) 는, 사용자가 유량 변경 기구 (50) 의 조작 레버 (54) 를 조작하는, 요컨대, 피처 (10) 의 손잡이부 (21) 를 파지한 손의 엄지 손가락으로 압하부 (55) 를 누르면, 조작 레버 (54) 가 지지축 (53) 둘레로 회전함에 따라, 작용부 (56) 가 지지축 (53) 둘레로 회전하여 둘레벽부 (35) 로부터 이간되는 방향으로 이동하고, 맞닿음부 (61) 를 개재하여 가동 바 (57) 를 슬라이딩시키며, 압압부 (60) 가 본체부 (31) 측의 수압부 (59) 와 협동하여 통류 경로 (80) 를 구성하는 튜브 (83) 를 변형시켜, 유로 단면적을 작게함으로써, 주출구 (83) 로부터 주출되는 맥주의 주출량을 정량으로부터 소량으로 변경한다.
사용자가 조작 레버 (54) 를 떼면, 요컨대, 압하부 (55) 의 누름을 멈추면,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 및 튜브 자체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바 (57) 는 압압 위치로부터 이동하여 초기 위치로 되돌아가, 통류 경로 (80) 의 변형이 해제되고, 주출구 (83) 로부터 주출되는 맥주의 주출량은 소량으로부터 정량으로 변경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량 변경 기구 (50) 가 통류 경로 (80) 를 통류하는 맥주의 통류 상태를 적어도 제 1 주출 상태 또는 제 2 주출 상태로 변경하는 통류 상태 변경 기구를 구성하고, 통류 경로 (80) 가 변형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상기 제 1 주출 상태를 구성하고, 통류 경로 (80) 가 변형되어 있는 상태가 제 2 주출 상태를 구성한다.
초음파 발생기 (72) 의 진동면 (77) 은, 통류 경로 (80) 중 일단부가 주출구 (82) 를 구성하는 배관부 (84) 에 맞닿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 (54) 의 조작에 의해, 튜브 (83) 가 유로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변형되는 데에 연동하여, 가동 바 (57) 의 연동부 (64) 가 기동 스위치 (75) 를 온으로 하고, 구동 회로가 초음파 발생기 (72) 를 기동시켜, 배관부 (84) 를 진동시킨다. 맥주는 배관부 (84) 를 통과할 때에 진동이 부여되어 발포가 여기되어, 크리미한 거품이 되어 주출구 (82) 로부터 맥주잔 등에 주출된다. 맥주잔 등에 원하는 양의 거품이 주출되면, 사용자는 피처 (10) 를 주출 자세로부터 정상 자세로 되돌리면서, 엄지 손가락을 압하부 (55) 로부터 뗀다. 이상과 같이, 피처 (10) 로부터 맥주잔 등에 따라진 맥주에 대해,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크리미한 거품을 적당량으로 부가할 수 있다. 또한, 진동면 (77) 은, 배관부 (84) 에 접촉하는 구성에 한정되지 않고, 튜브 (83) 에 접촉하여, 튜브 (83) 를 진동시켜, 튜브 (83) 내를 통류하는 맥주에 진동을 부여하여 발포시키는 구성이어도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관련된 주출 장치의 제 3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제 1 실시형태와 상이한 부분에 대해 상세히 서술하고,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설명을 간략 또는 생략한다.
도 8 에는, 피처 (10) 와, 피처 (10) 의 개구부 전체를 덮도록 장착된 주출 장치 (301) 가 나타나 있다. 주출 장치 (301) 는, 본체부 (311) 와 기계부 (321) 로 구성되어 있다.
도 8, 도 9 를 참조하면서, 주출 장치 (301) 의 본체부 (311) 에 대해 설명한다.
본체부 (311) 는, 하단 개구부 (33) 로부터 상단 개구부 (34) 에 걸쳐 상측으로 갈수록 넓어지는 대략 원추 형상의 둘레벽부 (35) 와, 둘레벽부 (35) 의 내부의 중복에 형성되고, 하단 개구부 (33) 와 상단 개구부 (34) 를 구획하는 구획부 (36) 와, 개구부 (14) 의 상단으로부터 전체 둘레에 걸쳐 또는 둘레 방향으로 부분적으로 외측 하방으로 연장된 스커트부 (371) 를 구비하고 있다. 둘레벽부 (35) 의 외주벽은, 피처 (10) 의 내측 용기부 (11) 의 주입구 (17) 를 포함하는 개구부 (14) 의 형상과 대략 상사 형상을 이루고, 피처 (10) 에 대해 개구부 (14) 의 상방으로부터 소정 깊이로 삽입 가능하게 되어 있다.
둘레벽부 (35) 의 외주와 스커트부 (371) 의 내주의 경계부 (39) 에는, 전체 둘레에 걸쳐서 패킹 (381) 이 형성되고, 주출 장치 (301) 를 피처 (10) 에 장착했을 때에 패킹 (381) 에 의해 내측 용기부 (11) 와 경계부 (39) 의 간극이 시일되어, 피처 (10) 본체를 기울여도 피처 (10) 의 맥주가 내측 용기부 (11) 와 경계부 (39) 의 간극으로부터 외부로 누설되는 것이 방지된다.
또한, 본체부 (311) 는, 주출 장치 (301) 를 피처 (10) 에 장착했을 때, 내측 용기부 (11) 의 맥주를 주출하기 위한 통류 경로 (401) 를 구비하고 있다.
통류 경로 (401) 는, 제 1 받아들임구 (41) 및 제 2 받아들임구 (42) 와, 제 1 받아들임구 (41) 및 제 2 받아들임구 (42) 로부터 받아들여진 맥주를 주출하는 주출구 (43) 를 연통하는 경로이다.
통류 경로 (401) 는, 맥주용 통류관 (441) 과, 맥주와 거품의 겸용 통류관 (451) 과, 맥주용 통류관 (441) 과 겸용 통류관 (451) 의 합류부 (461) 를 구비하고 있다. 본체부 (311) 의 내부에서는, 맥주용 통류관 (441) 은,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주출 자세일 때, 겸용 통류관 (451) 보다 상대적으로 하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맥주용 통류관 (441) 은, 구획부 (36) 의 하면 중, 주입구 (17)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 1 받아들임구 (41) 와, 둘레벽부 (35) 의 상면 중, 주입구 (17) 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주출구 (43) 를 연통한다. 겸용 통류관 (451) 은, 구획부 (36) 의 하면 중, 주입구 (17) 에 대응하는 위치로서, 피처 (10) 가 주출 자세일 때, 제 1 받아들임구 (41) 보다 상방이 되는 위치에 형성된 제 2 받아들임구 (42) 와, 맥주용 통류관 (441) 의 하류측으로서, 주출구 (43) 로부터 경사 하방으로 분기 형성된 합류부 (461) 를 연통한다. 따라서, 겸용 통류관 (451) 은, 일단이 경사 자세의 합류부 (461) 에 접속되고, 도중에 굴곡되어 연직 자세가 되어 제 2 받아들임구 (42) 에 접속된다.
맥주용 통류관 (441) 의 유로 단면적은, 겸용 통류관 (451) 의 유로 단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맥주용 통류관 (441) 과 겸용 통류관 (451) 의 1 개당의 유로 단면적은 동일하게 하고, 맥주용 통류관 (441) 의 수를 겸용 통류관 (451) 보다 많게 함으로써, 맥주용 통류관 (441) 의 유로 단면적이 겸용 통류관 (451) 의 유로 단면적보다 커지도록 구성해도 된다. 맥주용 통류관 (441) 및 겸용 통류관 (451) 은, 내부를 통류하는 맥주의 압력에 견딜 수 있는 배관으로 구성되어 있다. 당해 배관을 구성하는 재질은, 내부를 통류하는 맥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당한 재질이 선택되며, 예를 들어 PP 나 POM 등의 수지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또한, 본체부 (311) 는, 통류 경로 (401) 를 통류하는 맥주의 유량 변경 기구 (501) 를 구비하고 있다. 유량 변경 기구 (501) 는, 조작부 (51) 와, 조작부 (51) 에 연동하는 가동부 (521) 와, 맥주용 통류관 (441) 에 배치 형성된 유량 변경 밸브 (48)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동부 (521) 는, 구획부 (36) 의 상면에 재치되는 가동 바 (571)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가동 바 (571) 는, 구획부 (36) 의 상면의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된 1 쌍의 가이드부 (58) 를 따라 소정 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가동 바 (571) 는, 전방부 (571a) 와, 후방부 (571b) 와, 그것들을 접속하는 중간부 (571c) 를 구비한 평면에서 본 크랭크형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전방부 (571a) 에는, 후술하는 피니언 기어 (484) 와 협동하여, 후술하는 밸브체 (482) 를 회동 (回動) 시키기 위한 락 기어 (601)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후방부 (571b) 에는, 작용부 (56) 가 맞닿는 맞닿음부 (611)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중간부 (571c) 의 좌방에는, 구획부 (36) 의 상면의 소정 위치에 돌출 형성된 수압부 (62) 의 사이에 압축 스프링 (63)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 바 (571) 는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에 의해 작용부 (56) 측으로 항상 탄성 지지되어 있다.
도 11(a), (b)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가동부 (521) 에는, 가동 바 (571) 를,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맥주용 통류관 (441) 측의 소정 위치에 유지하는 위치 유지 기구 (90) 가 구비되어 있다. 위치 유지 기구 (90) 는, 후방부 (571b) 에 배치 형성된 평면에서 본 하트형의 안내 홈 (91) 과, 갈고리상의 선단 (92a) 이 안내 홈 (91) 내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배치되고, 갈고리상의 후단 (92b) 이 수압부 (62) 의 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된 핀 (92) 을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안내 홈 (91) 의 저면의 깊이는, 도 11(a) 에 나타낸 핀 (92) 의 선단 (92a) 의 배치 지점에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으로 얕아지도록 경사지고, 단차부 (91a) 에서 깊어지며, 그 깊어진 지점에서 평면에서 보았을 때 반시계 방향을 따라 얕아지도록 경사지고, 단차부 (91b) 에서 다시 깊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안내 홈 (91) 내에는, 평면에서 보았을 때 하트형의 섬상으로 형성된 핀 수용부 (91c) 가 배치 형성되어 있고, 핀 수용부 (91c) 에 대향하는 안내 홈 (91) 의 내벽 볼록부 (91d) 는, 핀 수용부 (91c) 에 대해 도면 중 하방으로 약간 어긋나게 배치 형성되어 있다.
조작부 (51) 의 조작 레버 (54) 를 조작하면, 가동 바 (571) 가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좌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핀 (92) 의 선단 (92a) 은, 단차부 (91b) 에 의해 시계 방향의 이동이 규제되어 있기 때문에, 안내 홈 (91) 내를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핀 (92a) 의 선단 (92a) 이 단차부 (91b) 를 통과한 후에, 조작 레버 (54) 의 조작을 멈추면, 가동 바 (571) 는,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에 의해 우방으로 이동하고자 하므로, 선단 (92a) 은 핀 수용부 (91c) 에 끼워 맞춰진다. 이로써, 가동 바 (571) 는,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맥주용 통류관 (441) 측으로 이동된 소정 위치에서 유지된다. 이 상태일 때의 위치를 「가동 위치」 라고 칭한다.
다시 조작부 (51) 의 조작 레버 (54) 를 조작하면, 가동 바 (571) 가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좌방으로 이동함에 따라, 핀 (92) 의 선단 (92a) 은, 핀 수용부 (91c) 로부터 이탈되어, 내벽 볼록부 (91d) 를 따라 안내 홈 (91) 내의 상방으로 안내된다. 이와 같이 하여, 위치 유지 기구 (90) 에 의한 가동 바 (571) 의 유지가 해제된다.
그 후 조작 레버 (54) 의 조작을 멈추면, 그 후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바 (571) 가 초기 위치의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 안내 홈 (91) 내를 반시계 방향으로 슬라이딩한다. 핀 (92) 의 선단 (92a) 은 단차부 (91b) 를 통과하여, 도 11(a) 에 나타내는 위치로 되돌아오고, 따라서 가동 바 (571) 도 초기 위치로 되돌아온다.
또한, 가동 바 (571) 의 일부와, 압축 스프링 (63) 과, 위치 유지 기구 (90) 를 포함하는 부분은, 착탈 가능한 보호 덮개 (861) 에 의해 덮여 있다.
유량 변경 밸브 (48) 는, 맥주용 통류관 (441) 의 도중에 배치 형성된 통상의 밸브 유지부 (481) 와, 밸브 유지부 (481) 의 내부에 회동 가능하게 유지된 밸브체 (482)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밸브체 (482) 에는 맥주용 통류관 (441) 에 연통 가능한 통류로 (483) 가 관통 형성되고, 또한 축심 방향의 일단면에는 피니언 기어 (484) 가 일체적으로 구비되어 있다. 락 기어 (601) 의 전후 이동에 의해 피니언 기어 (484) 및 밸브체 (482) 가 회전하고, 유량 변경 밸브 (48) 는,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류로 (483) 가 맥주용 통류관 (441) 에 연통되도록 개방되거나,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통류로 (483) 가 맥주용 통류관 (441) 에 연통되지 않게 폐쇄되거나 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사용자가 조작 레버 (54) 를 조작하면, 가동 바 (571) 가 맥주용 통류관 (441) 측으로 이동하여, 락 기어 (601) 가 피니언 기어 (484) 를 개재하여 밸브체 (482) 를 회동시켜 유량 변경 밸브 (48) 가 폐쇄되고, 맥주용 통류관 (441) 이 폐색된다. 이 때, 위치 유지 기구 (90) 에 의해, 핀 (92) 의 선단 (92a) 은, 핀 수용부 (91c) 에 끼워맞춰져, 가동 바 (571) 는 가동 위치에 유지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조작 레버 (54) 의 조작을 계속할 필요는 없다.
맥주용 통류관 (441) 이 폐색되었을 때에는, 피처 (10) 의 맥주는 겸용 통류관 (451) 만으로부터 주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유량 변경 기구 (501) 는, 복수의 통류관 중 적어도 하나의 통류관을 폐색함으로써, 주출구 (43) 로부터 주출되는 맥주의 주출량을 정량으로부터 소량으로 변경한다.
사용자가 조작 레버 (54) 를 다시 조작하면, 위치 유지 기구 (90) 에 의한 핀 (92) 의 이동의 규제가 해제되어, 압축 스프링 (63) 의 탄성력에 의해 가동 바 (57) 가 초기 위치로 되돌아옴에 따라, 락 기어 (601) 가 피니언 기어 (484) 를 개재하여 밸브체 (482) 를 회동시켜, 유량 변경 밸브 (48) 가 개방되고, 통류 경로 (40) 의 맥주용 통류관 (44) 은 폐색이 해제되어, 주출구 (43) 로부터 주출되는 맥주의 주출량은 소량으로부터 정량으로 변경된다. 즉 본 실시형태에서는, 유량 변경 기구 (501) 가 통류 경로 (401) 를 통류하는 맥주의 통류 상태를 적어도 제 1 주출 상태 또는 제 2 주출 상태로 변경하는 통류 상태 변경 기구를 구성하고, 맥주용 통류관 (441) 이 유량 변경 밸브 (48) 에 의해 폐색되어 있지 않은 상태가 상기 제 1 주출 상태를 구성하고, 맥주용 통류관 (441) 이 유량 변경 밸브 (48) 에 의해 폐색되어 있는 상태가 제 2 주출 상태를 구성한다.
가동 바 (57) 는, 작용부 (56) 의 상방에 전방을 향하여 연장 형성된 연동부 (641) 를 구비하고 있다. 연동부 (641) 는, 가동 바 (57) 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전후 이동하여, 후술하는 초음파 발생기 (72) 의 기동 스위치 (751) 의 온/오프를 한다. 또한, 기동 스위치 (571) 도, 위치 유지 기구 (90) 에 의해, 조작 레버 (54) 를 안정적으로 계속 조작하지 않아도 온 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도 9, 도 12 를 참조하면서, 주출 장치 (301) 의 기계부 (321) 에 대해 설명한다.
기계부 (321) 는, 본체부 (311) 의 상방으로부터 둘레벽부 (35) 와 구획부 (36) 로 구획되는 공간에 수용되는 하우징부 (701) 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부 (701) 에는, 피처 (10) 의 둘레벽부 (35) 에 걸치도록 1 쌍의 탈락 방지 레버 (372)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하우징부 (701) 의 윗면에는 손잡이 (702) 가 구비되고, 손잡이 (702) 에는, 손잡이 (702) 내부에 배치 형성된 압축 스프링 (703) 에 의해 서로 이간되도록 탄성 지지되는 1 쌍의 버튼 부재 (704)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버튼 부재 (704) 에는, 하우징부 (701) 의 윗면 내부를 따라 직경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 (705) 가 일체 형성되고, 연장부 (705) 의 선단에 탈락 방지 레버 (372) 의 상단이 접속되어 있다. 탈락 방지 레버 (372) 는, 패킹 (381)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고, 둘레벽부 (35) 의 상단으로부터 외측 하방으로 연장되며, 그 하단에 피처 (10) 의 외주의 피걸림부, 예를 들어 접합부 (20) 에 걸기 위한 폴부 (372a) 를 구비하고 있다.
주출 장치 (301) 를 피처 (10) 에 장착할 때에는, 피처 (10) 에 대해 주출 장치 (301) 를 하방에 삽입한다. 폴부 (372a) 는, 선단의 경사면이 피처 (10) 의 접합부 (20) 에 맞닿아 슬라이딩하면서 눌러서 확대된다.
탈락 방지 레버 (372) 는, 패킹 (381)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고, 이로써 연장부 (705) 는, 압축 스프링 (703)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된다.
개구부 (14) 의 상단이 주출 장치 (301) 의 패킹 (381) 에 접촉한 위치까지 삽입되어, 폴부 (372a) 가 접합부 (20) 에 걸림 가능한 위치가 되면, 압축 스프링 (703) 의 탄성력에 의해, 연장부 (705) 는 직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되고, 탈락 방지 레버 (372) 는 패킹 (381)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폴부 (372a) 가 접합부 (20) 에 걸린다.
이와 같이, 탈락 방지 레버 (372) 의 폴부 (372a) 가 피처 (10) 의 접합부 (20) 에 걸리므로, 주출 장치 (301) 는 피처 (10) 에 확실하게 고정되어, 맥주를 따를 때에 피처 (10) 로부터 주출 장치 (301) 가 갑자기 탈락할 우려가 배제된다.
양 버튼 부재 (704) 를 압축 스프링 (703)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압압하면, 양 연장부 (705) 는 직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고, 양 탈락 방지 레버 (372) 는 패킹 (381) 부분을 중심으로 회동하여, 폴부 (372a) 가 접합부 (20) 로부터 이간되도록 개방되어 걸림이 해제된다. 그 상태에서, 주출 장치 (301) 를 피처 (10) 로부터 끌어올림으로써, 주출 장치 (301) 를 피처 (10) 로부터 떼어낼 수 있다.
하우징부 (701) 에는, 가진 기구 (71) 를 구성하는 초음파 발생기 (72) 와, 초음파 발생기 (72) 의 구동 회로가 실장된 기판 (73) 과, 초음파 발생기 (72) 의 기판 (73) 에 공급되는 전력원인 3 개의 단 3 형 건전지를 수용하는 전지 박스 (74) 와, 초음파 발생기 (72) 의 동작의 온/오프를 위한 기동 스위치 (751) 와, 초음파 발생기 (72) 가 구동 상태인 것을 알리기 위해서 점등하고, 상기 건전지의 전압이 소정의 임계값 전압 이하가 되면 건전지의 교환을 촉진시키기 위해서 점멸하도록 제어되는 LED85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수용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부 (70) 는, 전지 박스 (74) 의 덮개부에 패킹을 구비하고, 상기 덮개부를 상기 패킹에 압압한 상태에서 고정시키는 체결 기구를 구비하고 있고, IP04 정도의 방수 성능을 구비하고 있다.
기동 스위치 (751) 는, 조작 레버 (54) 의 연동부 (641) 와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 형성되어 있다. 조작 레버 (54) 의 조작에 의해 연동부 (641) 가 기동 스위치 (751) 를 압압하면, 전지 박스 (74) 에 수용된 건전지로부터의 전력이 기판 (73) 에 공급되어, 구동 회로가 초음파 발생기 (72) 를 기동시킨다. 기동 스위치 (751) 는 압압되어 있는 동안, 온 상태를 유지한다. 작용부 (56) 가 기동 스위치 (751) 로부터 이간되면, 기판 (73) 으로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어, 초음파 발생기 (72) 는 정지된다.
초음파 발생기 (72) 는, 그 진동면 (77) 이 통류 경로 (401) 중 합류부 (461) 에 맞닿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초음파 발생기 (72) 가 발생하는 초음파에 의해 합류부 (461) 가 진동하고, 맥주는 합류부 (461) 를 통과할 때에 발포가 여기되어, 크리미한 거품이 되어 주출구 (43) 로부터 주출된다.
이상의 구성에 의해, 가반 용기로부터 맥주잔 등에 따라진 발포성 음료에 대해,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크리미한 거품을 적당량으로 부가할 수 있는 주출 장치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상기 서술한 제 3 실시형태에서는, 통류 경로 (401) 는, 맥주용 통류관 (441) 과, 맥주와 거품의 겸용 통류관 (451) 과, 맥주용 통류관 (441) 과 겸용 통류관 (451) 의 합류부 (461) 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지만, 통류 경로 (401) 는, 겸용 통류관 (451), 합류부 (461), 및 제 2 받아들임구 (42) 를 구비하지 않는 구성이어도 된다.
이 경우, 맥주용 통류관 (441) 에 구비되는 유량 변경 밸브 (48) 는, 가동 바 (571) 가 가동 위치에 있을 때에도, 맥주용 통류관 (441) 을 완전히 폐색되지 않게 폐쇄함으로써, 주출구 (43) 로부터 주출되는 발포성 음료의 유량을 정량으로부터 소량으로 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서술한 제 3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위치 유지 기구 (90) 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도 있다. 위치 유지 기구 (90) 에 의해 가동 바 (57) 를 압압 위치에 유지할 수 있으므로, 조작 레버 (54) 의 조작을 멈추어도, 가동 바 (57) 는 튜브를 계속 폐색하도록 구성한다. 따라서, 사용자는 거품의 주출시에 조작 레버 (54) 를 계속 조작해 둘 필요가 없어진다.
또, 제 3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기동 스위치 (751) 와 연동부 (641) 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도 있다. 또한, 제 3 실시형태가 구비하는 탈락 방지 레버 (372) 는 제 1 및 제 2 실시형태에 적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주출 장치 (30) 는, 상기 서술한 이중 구조의 피처 (10) 에 한정되지 않고, 그 밖의 예를 들어 단열 공간을 구비하지 않은 피처에도 장착 가능하게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주출 장치 (30) 는, 피처 (10) 의 개구부 전체를 덮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일부 개구부가 노출되는 구성이어도 상관없다.
상기 서술한 제 1 내지 제 3 실시형태에서는, 가반 용기가 피처 (10) 인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가반 용기는 캔, 병, 수지제의 용기여도 된다.
이하에, 가반 용기가 캔인 경우를 예로, 본 발명에 관련된 주출 장치의 제 4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a), (b), (c) 및 도 16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주출 장치 (100) 는, 배면의 개구 (104) 로부터 캔 (101) 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 (111) 와, 수납부 (111) 에 수납된 캔 (101) 으로부터 맥주 또는 거품을 그 전면 상방에 배치 형성된 제 1 주출구 (121) 또는 제 2 주출구 (122) 를 통하여 주출하기 위한 배관부 (120) 가 배치 형성된 하측 하우징부 (102) 와, 윗면에 구비한 조작 레버 (164) 의 조작에 기초하여, 배관부 (120) 를 제어하여 맥주 또는 거품의 주출이 가능한 제어부 (150) 가 배치 형성된 상측 하우징부 (103) 를 구비하고 있다. 하측 하우징부 (102) 의 하부에는, 하측 하우징부 (102) 보다 크게 구성된 원판상의 토대부 (112) 가 구비되고, 토대부 (112) 의 전방에는, 제 1 주출구 (121) 또는 제 2 주출구 (122) 로부터 흘러넘친 맥주 또는 거품을 수용하는 수용부 (113)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상측 하우징부 (103) 는 측면에 1 쌍의 걸어맞춤부 (107) 를 구비하고, 하측 하우징부 (102) 의 주위에 배치 형성된 피걸어맞춤부 (108) 와 걸어맞춤 가능하게 되어 있다. 걸어맞춤부 (107) 와 피걸어맞춤부 (108) 의 걸어맞춤/해제를 함으로써, 상측 하우징부 (103) 는 하측 하우징부 (102) 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토대부 (112) 의 중앙에는, 캔 (101) 의 저면의 오목부에 끼워 맞춤 가능한 볼록부를 갖는 재치부 (114)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재치부 (114) 의 저면에는, 깊이가 둘레 방향을 따라 서서히 깊어지는 경사면 (115)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토대부 (112) 의 내부로서, 재치부 (114) 의 하방에는, 핸들 (116a) 을 구비한 하부 슬라이딩 부재 (116)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하부 슬라이딩 부재 (116) 는, 핸들 (116a) 을 캔 (101) 의 수직 방향의 축심 둘레로 조작함으로써, 토대부 (112) 내에서 상기 축심 둘레로 슬라이딩한다. 하부 슬라이딩 부재 (116) 에는, 재치부 (114) 의 경사면 (115) 에 맞닿음 가능한 돌출부 (117)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 (117) 는, 경사면 (115) 의 최심부의 깊이와 동일한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돌출부 (117) 는, 하부 슬라이딩 부재 (116) 의 슬라이딩에 수반하여 경사면 (115) 을 따라 슬라이딩하고, 경사면 (115) 이 얕아짐에 따라, 경사면 (115) 의 최심부와 최천부 (最淺部) 의 차분만큼 재치부 (114) 를 밀어 올린다.
하측 하우징부 (102) 의 내부 상방에는, 캔 (101) 의 윗면을 복개 (覆蓋) 가능한 패킹 (118)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패킹 (118) 에는 캔의 윗면 주위의 감아 조임부 (105) 에 대응하는 위치에, 감아 조임부 (105) 를 수용 가능한 오목부 (119) 가 형성되어 있다.
재치부 (114) 로부터 패킹 (118) 까지의 거리는, 캔 (101) 의 높이에 경사면 (115) 의 최심부와 최천부의 차를 더한 거리보다 약간 짧은 거리로서, 재치부 (114) 가 최저 위치에 있을 때, 캔 (101) 을 순조롭게 재치할 수 있는 거리에 설정되어 있다. 또, 캔 (101) 의 감아 조임부 (105) 로부터 오목부 (119) 까지의 거리는, 경사면 (115) 의 최심부와 최천부의 차의 거리보다 짧은 거리로 설정되고, 재치부 (114) 를 상방으로 밀어 올렸을 때, 감아 조임부 (105) 가 오목부 (119) 에 가압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써, 재치부 (114) 가 최저 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캔 (101) 을 재치부 (114) 에 재치하고, 하부 슬라이딩 부재 (116) 의 상기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재치부 (114) 를 밀어 올리면, 캔 (101) 의 감아 조임부 (105) 는, 패킹 (118) 의 오목부 (119) 에 가압되어, 강고하게 시일된다.
또한, 재치부 (114) 로부터 패킹 (118) 까지의 거리는, 캔 (101) 이 500 ㎖ 캔, 350 ㎖ 캔, 330 ㎖ 캔 모두 재치할 수 있도록, 500 ㎖ 캔의 높이를 기준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350 ㎖ 캔이나 330 ㎖ 캔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각 500 ㎖ 캔과의 높이의 차를 메우기 위한 스페이서 부재를 재치부 (114) 상에 재치하고, 상기 스페이서 부재 상에 350 ㎖ 캔이나 330 ㎖ 캔을 재치하게 된다. 또한, 개구 (104) 도 500 ㎖ 캔을 출납 가능한 크기로 설정되어 있다.
패킹 (118) 의 윗면에는, 캔 (101) 의 탭을 조작함으로써 형성되는 입구 (106) 에 삽입 통과 가능한 배관 (123) 이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다. 배관 (123) 은, 하단부의 받아들임구 (123a) 가 캔 (101) 의 저면에 충분히 도달하는 길이로 설정되고, 상단부가 패킹 (118) 을 관통하여 배관부 (120) 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패킹 (118) 에는, 배관부 (120) 측으로부터 캔 (101) 측으로 가스를 유입하거나, 또는 캔 (101) 측으로부터 배관부 (120) 측으로 가스를 유출하기 위한 가스 유로 (124) 가 배치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측 하우징부 (103), 하측 하우징부 (102), 토대부 (112) 및 재치부 (114) 등의 외장 부품은 ABS 수지 등의 합성 수지에 의해 성형되어 있다.
도 17 및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배관부 (120) 는, 받아들임구 (123a) 로부터 받아들인 맥주가 버퍼되는 매니폴드 (125) 를 구비하고, 제 1 주출구 (121) 에 이르는 제 1 주출 배관 (126) 및 제 2 주출구 (122) 에 이르는 제 2 주출 배관 (127) 이 각각 매니폴드 (125) 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받아들임구 (123a) 로부터 매니폴드 (125) 와 제 1 주출 배관 (126) 을 개재하여 제 1 주출구 (121) 에 이르는 경로가 제 1 통류 경로 (128) 를 구성하고, 받아들임구 (123a) 로부터 매니폴드 (125) 와 제 2 주출 배관 (127) 을 개재하여 제 2 주출구 (122) 에 이르는 경로가 제 2 통류 경로 (129) 를 구성한다. 제 1 주출 배관 (126) 의 유로 단면적은, 제 2 주출 배관 (127) 의 유로 단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다. 또한, 배관부 (120) 를 구성하는 재질, 내부를 통류하는 맥주의 품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적당한 재질이 선택되며, 예를 들어 PP, POM 및 ABS 수지 등의 수지가 바람직하게 예시된다.
또한, 배관부 (120) 는, 가스 유로 (124) 에 연통하는 챔버 (130) 를 구비하고 있다. 챔버 (130) 는, 외부 공간과 연통하는 방출구 (131) 에 연통되어 있다. 따라서, 캔 (101) 으로부터 가스 유로 (124), 챔버 (130) 및 방출구 (131) 를 개재한 외부 공간까지의 경로가 방출 경로를 구성한다.
도 16 으로 되돌아와, 상측 하우징부 (103) 는, 배관부 (120) 의 제 2 통류 경로 (129) 를 진동시키는 가진 기구 (140) 와, 챔버 (130) 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기구 (A) 와, 이들의 제어부 (150) 를 구비하고 있다.
가진 기구 (140) 는, 제 2 통류 경로 (129) 를 통류하는 맥주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초음파 발생기 (141) 를 구비하고 있다. 가스 공급 기구 (A) 는, 펌프 (170) 와, 펌프 (170) 를 구동시키는 모터 (171) 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부 (150) 는, 초음파 발생기 (141) 의 구동 회로와, 모터 (171) 의 구동 회로가 실장된 기판과, 상기 기판에 공급되는 전력원인 2 개의 단 3 형 건전지를 수용하는 전지 박스와, 초음파 발생기 (141) 의 온/오프를 위한 기동 스위치 (173), 모터 (171) 의 온/오프를 위한 기동 스위치 (172) 가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전력원은, 상기 서술한 건전지에 한정되지 않고, 초음파 발생기 (141) 나 모터 (171) 를 구동시키기 위해서 필요한 전력이 얻어지는 것이면 된다.
초음파 발생기 (141) 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구동 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압전 소자를 구비한 초음파 발생 수단으로서, 소정의 진동 주파수 및 진동 진폭의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진동 주파수는 20 ∼ 40 ㎑ 정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초음파 발생기 (141) 는, 상측 하우징부 (103) 내에서 하방을 향해 주위가 가이드됨과 함께, 내부에 배치된 압축 스프링 (144) (도 19 참조) 으로 하방으로 탄성 지지된 상태에서, 그 진동면 (145) 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고, 진동면 (145) 이 제 2 통류 경로 (129) 에 맞닿도록 배치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초음파 발생기 (141) 가 발생하는 초음파에 의해 제 2 통류 경로 (129) 를 진동시키고, 맥주는 제 2 통류 경로 (129) 를 통과할 때에 발포가 여기되어, 크리미한 거품이 되어 제 2 주출구 (122) 로부터 주출된다.
조작 레버 (164) 를 기울이면 기동 스위치 (173) 가 온으로 되고, 상기 건전지로부터의 전력이 상기 기판에 공급되어, 구동 회로가 초음파 발생기 (141) 를 기동시킨다. 기동 스위치 (173) 는 조작 레버 (164) 를 기울이고 있는 동안, 온 상태를 유지한다. 조작 레버 (164) 를 원래대로 되돌리면 기동 스위치 (173) 가 오프로 되고, 상기 기판으로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어, 초음파 발생기 (141) 는 정지된다.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가진 기구 (140) 는, 조작 레버 (164) 의 조작에 연동하여, 제 1 밸브체 (152) 가 폐쇄되고, 제 2 밸브체 (152) 가 개방되어 있을 때, 즉 제 1 통류 경로 (128) 가 폐색되고, 제 2 통류 경로 (129) 가 연통되어 있을 때에 기동된다. 제 1 통류 경로 (128) 및 제 2 통류 경로 (129) 를 통류하는 맥주 중, 제 2 통류 경로 (129) 를 통류하는 맥주만이 발포한다.
구동 회로는, 일정한 진동 주파수 및 진동 진폭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도록 초음파 발생기 (141) 를 구동시켜도 되고, 1 회의 온 상태를 유지하는 중에, 초음파 발생기 (141) 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 및 진동 진폭이 변경되는 구성이어도 된다. 거품의 주출 시기에 따라 거품의 미세함을 바꿀 수 있다. 또한 구동 회로에, 초음파 발생기 (141) 의 온/오프만이 아니라, 초음파 발생기 (141) 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의 진동 주파수나 진동 진폭을 가변으로 설정 가능한 조정부를 구비해도 된다. 당해 조정부에 의해 진동 주파수 및 진동 진폭을 변경함으로써 주출되는 거품의 상태를 자유롭게 조정할 수 있다. 발생하는 거품의 상태는 맥주의 온도 등의 상태나 종류, 상표에 따라서도 상이하기 때문에, 상표 등마다 최적인 설정을 복수개 메모리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초음파 발생기 (141) 의 설치 위치는, 제 2 통류 경로 (129) 를 통류하는 맥주에 초음파에 의한 진동을 부여할 수 있는 지점이면 임의로 선택 가능하다. 예를 들어, 초음파 발생기 (141) 는, 제 2 통류 경로 (129) 에 항상 접촉되어 있는 구성 외에, 진동시에만 제 2 통류 경로 (129) 에 접촉되는 구성이어도 되고, 또한 제 2 통류 경로 (129) 에 매설되거나, 제 2 통류 경로 (129) 내벽에 노출시켜 맥주에 직접 진동을 부여하거나 하는 구성이어도 된다. 또, 초음파 발생기 (141) 는, 하나에 한정되지 않고 복수개 구비해도 된다. 또한, 상기 기판에 실장된 구동 회로에, 지연 수단을 구비하고, 기동 스위치 (173) 의 투입 후의 소정 시간 후에 초음파 발생기 (141) 를 기동시키거나, 타이머로 소정 시간만 기동시키거나, 또 그것들을 조합해도 된다.
펌프 (170) 는, 상기 기판에 실장된 구동 회로에 의해 구동되는 모터 (171) 에 의해 구동되어, 외기를 챔버 (130) 에 공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공급하는 가스의 압력은 캔 (101) 내부의 맥주의 액면을 압압함으로써, 맥주를 제 1 주출구 (121) 또는 제 2 주출구 (122) 로부터 주출할 수 있는 소정의 압력으로 설정된다.
조작 레버 (164) 를 기울이면 기동 스위치 (172) 가 온으로 되고, 상기 건전지로부터의 전력이 상기 기판에 공급되어, 구동 회로가 모터 (171) 를 기동시킨다. 기동 스위치 (172) 는 조작 레버 (164) 를 기울이고 있는 동안, 온 상태를 유지한다. 조작 레버 (164) 를 원래대로 되돌리면 기동 스위치 (172) 가 오프로 되고, 상기 기판으로의 전력의 공급이 정지되어, 모터 (171) 는 정지된다.
펌프 (170) 에 의해 가스를 챔버 (130) 에 공급하면, 당해 가스는, 가스 유로 (124) 를 통하여 패킹 (118) 과 캔 (101) 의 윗면으로 구획된 공간, 또한 입구 (106) 를 통하여 캔 (101) 의 내면과 맥주의 액면으로 구획된 공간에 공급된다.
펌프 (170) 에 의해 공급된 가스에 의해 캔 (101) 의 내압은 높아지고, 요컨대 맥주의 액면이 하방으로 압압되고, 맥주는 받아들임구 (123a) 및 배관 (123) 을 통하여 매니폴드 (125) 에 압출된다. 그리고, 제 1 통류 경로 (128) 또는 제 2 통류 경로 (129) 를 통하여 제 1 주출구 (121) 또는 제 2 주출구 (122) 로부터 주출된다.
도 17 및 도 18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부 (150) 는, 배관부 (120) 의 제 1 주출 배관 (126) 을 폐색 가능한 제 1 밸브체 (151) 와, 제 2 주출 배관 (127) 을 폐색 가능한 제 2 밸브체 (152) 와, 방출구 (131) 를 폐색 가능한 제 3 밸브체 (153) 를 구비하고 있다.
각 밸브체 (151, 152, 153) 는 동일한 구성이기 때문에, 제 1 밸브체 (151) 에 대해서만 그 구성을 상세히 서술하고, 그 밖에는 생략한다.
제 1 밸브체 (151) 는, 밸브 지지부 (151a) 내에서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되는 밸브 본체부 (151b) 와, 밸브 본체부 (151b) 의 상단에 접속되는 밸브 머리부 (151c) 와, 밸브 본체부 (151b) 의 하부를 덮는 밸브 각부 (脚部) (151d) 를 구비하고 있다.
밸브 지지부 (151a) 와 밸브 머리부 (151c) 의 사이에는, 제 1 밸브체 (151) 를 상방으로 탄성 지지하는 압축 코일 스프링 (151e) 이 배치 형성되어 있다.
밸브 각부 (151d) 는, 상단이 밸브 지지부 (151a) 측에 고정되고, 하단이 밸브 본체부 (151b) 의 상하동에 수반하여 상하 이동 가능한 벨로즈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밸브 머리부 (151c) 를 압축 코일 스프링 (151e) 의 탄성력에 대항하여 하방으로 압압하면, 상기 탄성력에 의해 밸브 본체부 (151b) 가 밸브 지지부 (151a) 내에서 하방으로 이동하고, 밸브 각부 (151d) 는, 그 하면에서, 매니폴드 (125) 로부터 제 1 주출 배관 (126) 에 이르는 통류구 (126a) 를 폐색한다.
또한, 제어부 (150) 는, 조작 레버 (164) 의 조작에 기초하여 각 밸브체 (151, 152, 153) 의 개폐를 제어하는 캠 기구 (160) 를 구비하고 있다.
도 19 및 도 2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캠 기구 (160) 는, 조작 레버 (164) 가 장착된 축부 (165) 와 축부 (165) 를 축 지지하는 지지체 (166) 와, 축부 (165) 에 장착된 제 1 캠 (161), 제 2 캠 (162), 제 3 캠 (163) 을 구비하고 있다.
제 1 캠 (161), 제 2 캠 (162), 제 3 캠 (163) 은, 조작 레버 (164) 를 기울이는 조작에 의한 축부 (165) 의 회동에 수반하여 회동하고, 그 둘레면에서 제 1 밸브체 (151), 제 2 밸브체 (152), 제 3 밸브체 (153) 를 하방으로 압압 가능한 판 캠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 1 캠 (161) 은, 조작 레버 (164) 를 일방으로 기울였을 때에는, 제 1 밸브체 (151) 의 하방으로의 압압을 해제하고, 조작 레버 (164) 를 기울이지 않을 때 또는 타방으로 기울였을 때에는, 제 1 밸브체 (151) 를 하방으로 압압하도록 편심된 형상을 하고 있다. 제 1 캠 (161) 의 둘레면에는, 조작 레버 (164) 를 기울이지 않을 때에 상방이 되는 위치에 규제부 (161b) 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 (161b) 는, 조작 레버 (164) 를 상기 일방으로 기울였을 때, 지지체 (166) 에 형성된 스토퍼에 맞닿아, 조작 레버 (164) 의 그 이상의 회동을 규제한다. 또는, 제 1 캠 (161) 의 측방에 형성된 토션 스프링 (161c) 에 의해, 제 1 캠 (161) 에 대해, 조작 레버 (164) 를 상기 일방으로 기울였을 때, 그 탄성력에 의해 조작 레버 (164) 를 상기 타방측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조작 레버 (164) 의 필요 이상의 회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이들을 조합해도 된다.
제 1 캠 (161) 의 둘레면에는 외방으로 연장된 연장부 (161a) 가 형성되고, 조작 레버 (164) 를 기울이지 않을 때 또는 상기 일방으로 기울였을 때에는, 연장부 (161a) 가 펌프 (170) 의 기동 스위치 (172) 로부터 이간되어 있지만, 조작 레버 (164) 를 상기 타방으로 기울였을 때에는, 연장부 (161a) 가 펌프 (170) 의 기동 스위치 (172) 에 맞닿아 온으로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제 1 캠 (161) 측에만, 기동 스위치 (172) 의 측방에, 가진 기구 (140) 의 기동 스위치 (173) 가 배치 형성되고, 연장부 (161a) 에 의해, 기동 스위치 (172) 의 온/오프와 동시에 온/오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2 캠 (162) 은, 기본적으로 제 1 캠 (161) 과 동일한 형상을 하고 있지만, 조작 레버 (164) 에 대해 180 도 회전 대칭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제 2 캠 (162) 의 둘레면에는, 조작 레버 (164) 를 기울이지 않을 때에 상방이 되는 위치에 규제부 (162b) 가 연장 형성되어 있다. 규제부 (162b) 는, 조작 레버 (164) 를 상기 타방으로 기울였을 때, 지지체 (166) 에 형성된 스토퍼에 맞닿아, 조작 레버 (164) 의 그 이상의 회동을 규제한다. 또는, 제 2 캠 (162) 의 측방에 형성된 토션 스프링 (162c) 에 의해, 제 2 캠 (162) 에 대해, 조작 레버 (164) 를 상기 타방으로 기울였을 때, 그 탄성력에 의해 조작 레버 (164) 를 상기 일방측으로 탄성 지지함으로써, 조작 레버 (164) 의 필요 이상의 회동을 규제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또, 이들을 조합해도 된다.
제 2 캠 (162) 의 둘레면에는 외방으로 연장된 연장부 (162a) 가 형성되고, 조작 레버 (164) 를 기울이지 않을 때 또는 조작 레버 (164) 를 상기 일방으로 기울였을 때에는, 제 2 밸브체 (152) 를 하방으로 압압하고, 상기 타방으로 기울였을 때에는, 제 2 밸브체 (152) 의 하방으로의 압압을 해제하게 되어 있다.
조작 레버 (164) 를 상기 일방으로 기울였을 때에는, 돌출부 (162a) 가 펌프 (170) 의 기동 스위치 (172) 에 맞닿아 온으로 되고, 조작 레버 (164) 를 기울이지 않을 때 또는 상기 타방으로 기울였을 때에는, 돌출부 (162a) 가 펌프 (170) 의 기동 스위치 (172) 로부터 이간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 3 캠 (163) 은, 조작 레버 (164) 를 상기 일방 및 상기 타방으로 기울였을 때에는, 제 3 밸브체 (153) 를 하방으로 압압하고, 조작 레버 (164) 를 기울이지 않을 때에는, 제 3 밸브체 (153) 를 하방으로 압압되지 않도록 편심된 형상을 하고 있다.
따라서, 배관부 (120) 및 캠 기구 (160) 가, 조작 레버 (164) 를 상기 일방으로 기울였을 때에 제 1 통류 경로 (128) 를 통하여 맥주를 주출하는 제 1 주출 상태와, 조작 레버 (164) 를 상기 타방으로 기울였을 때에 제 2 통류 경로 (129) 를 통하여 거품을 주출하는 제 2 주출 상태를 선택 가능한 통류 상태 변경 기구를 구성한다. 또한,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조작 레버를 상기 타방으로 기울였을 때에 제 1 통류 경로 (128) 를 통하여 맥주를 주출하는 제 1 주출 상태와, 조작 레버 (164) 를 상기 일방으로 기울였을 때에 제 2 통류 경로 (129) 를 통하여 거품을 주출하는 제 2 주출 상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해도 된다.
또한,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제 1 통류 경로 (128) 및 제 2 통류 경로 (129) 모두 선택하고 있지 않을 때, 요컨대 조작 레버 (164) 를 기울이지 않을 때, 방출구 (131) 를 개방하여 캔 (101) 의 내부에 공급된 가스를 빼, 높아진 내압을 대기압으로 되돌린다. 이와 같이 캔 (101) 의 내부의 가압 상태를 해제함으로써, 갑자기 맥주 또는 거품이 제 1 주출구 (121) 나 제 2 주출구 (122) 로부터 주출될 우려가 방지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주출 장치 (100) 를 사용한 맥주의 주출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는 맥주의 캔 (101) 의 입구 (106) 를 개방하고, 주출 장치 (100) 의 수용부 (111) 내에 수직으로 형성되어 있는 배관 (123) 의 받아들임구 (123a) 를 입구 (106) 에 삽입 통과시키면서, 캔 (101) 을 수납부 (111) 내의 재치부 (114) 에 재치한다. 그리고, 토대부 (112) 의 핸들 (116a) 을 슬라이딩시켜, 재치부 (112) 를 밀어 올려, 캔 (101) 의 감아 조임부 (105) 가 패킹 (118) 의 오목부 (119) 에 끼워 맞춰진 것을 확인한다.
다음으로, 맥주잔 등을 기울인 상태에서 제 1 주출구 (121) 및 제 2 주출구 (122) 의 근방에 대면서, 조작 레버 (164) 를 상기 일방으로 기울인다. 그렇게 하면, 펌프 (170) 가 구동되어, 펌프 (170) 에 의해 공급된 가스에 의해 캔 (101) 의 내압은 높아지고, 맥주의 액면이 하방으로 압압되어, 맥주는 받아들임구 (123a) 및 배관 (123) 을 통하여 매니폴드 (125) 에 압출되고, 제 1 통류 경로 (128) 를 통하여 제 1 주출구 (121) 로부터 주출된다. 이 단계에서는 맥주잔 등 내의 거품이 일어나는 것이 최대한 억제되도록 천천히 따른다. 사용자는 맥주잔 등의 7 할 정도까지 맥주가 따라지면, 조작 레버 (164) 를 기울이지 않은 상태로 되돌린다.
다음으로 조작 레버 (164) 를 상기 타방으로 기울인다. 그렇게 하면, 다시 펌프 (170) 가 구동되어, 펌프 (170) 에 의해 공급된 가스에 의해 캔 (101) 의 내압이 높아지고, 맥주의 액면이 하방으로 압압되어, 맥주는 받아들임구 (123a) 및 배관 (123) 을 통하여 매니폴드 (125) 에 압출되고, 제 2 통류 경로 (129) 를 통하여 제 2 주출구 (122) 로부터 주출된다. 이 때, 구동 회로는 가진 기구 (140) 를 기동시켜, 제 2 통류 경로 (129) 를 진동시키므로, 맥주는 제 2 통류 경로 (129) 를 통과할 때에 진동이 부여되어 발포가 여기되어, 제 2 주출구 (122) 로부터 주출되는 맥주는 크리미한 거품이 되어 맥주잔 등에 주출된다. 맥주잔 등에 원하는 양의 거품이 주출되면, 사용자는 조작 레버 (164) 를 기울이지 않은 상태로 되돌린다. 이상과 같이, 맥주잔 등에 따라진 맥주에 대해, 숙련을 필요로 하지 않고 크리미한 거품을 적당량으로 부가할 수 있다.
발포성 음료로서 맥주를 예로 설명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발포주, 시드르, 이른바 저알코올 음료 등이어도 된다. 또, 음료는, 알코올을 함유하는 음료에 한정되지 않고, 알코올을 함유하지 않는 음료여도 된다.
10 : 피처
30 : 주출 장치
301 : 주출 장치
40 : 통류 경로
401 : 통류 경로
41 : 제 1 받아들임구
42 : 제 2 받아들임구
43 : 주출구
44 : 맥주용 통류관
441 : 맥주용 통류관
45 : 겸용 통류관
451 : 겸용 통류관
48 : 유량 변경 밸브
50 : 유량 변경 기구
501 : 유량 변경 기구
51 : 조작부
52 : 가동부
521 : 가동부
71 : 가진 기구
72 : 초음파 발생기
75 : 기동 스위치
751 : 기동 스위치
80 : 통류 경로
81 : 받아들임구
82 : 주출구
83 : 튜브
84 : 배관부
90 : 위치 유지 기구
100 : 주출 장치
101 : 캔
120 : 배관부
121 : 제 1 주출구
122 : 제 2 주출구
123 : 배관
123a : 받아들임구
128 : 제 1 통류 경로
129 : 제 2 통류 경로
131 : 방출구
140 : 가진 기구
141 : 초음파 발생기
150 : 제어부
160 : 캠 기구
170 : 펌프
171 : 모터

Claims (15)

  1. 가반 용기에 장착되고, 상기 가반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발포성 음료를 주출하는 주출 장치로서,
    상기 가반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발포성 음료를 받아들이는 받아들임구와,
    상기 받아들임구로부터 받아들여진 발포성 음료를 주출하는 주출구와,
    상기 받아들임구와 상기 주출구를 연통하는 통류 경로와,
    상기 통류 경로를 통류하는 발포성 음료의 통류 상태를 적어도 제 1 주출 상태 또는 제 2 주출 상태로 변경하는 통류 상태 변경 기구와,
    상기 통류 경로를 통류하는 발포성 음료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가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가반 용기를 기울인 주출 자세로 함으로써, 상기 주출구로부터 발포성 음료가 주출되도록 구성됨과 함께,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상기 주출구로부터 주출되는 발포성 음료의 주출량을 정량 또는 소량으로 변경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 1 주출 상태는, 상기 주출량이 정량일 때의 상태이고,
    상기 제 2 주출 상태는, 상기 주출량이 소량일 때의 상태이고,
    상기 가진 기구는, 상기 제 2 주출 상태일 때에 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류 경로는, 적어도 하나씩 구비된 상기 받아들임구와 상기 주출구를 연통하는 복수의 통류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상기 복수의 통류관 중 적어도 하나의 통류관을 폐색함으로써, 상기 주출량을 정량으로부터 소량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진 기구는, 상기 복수의 통류관 중 폐색되어 있지 않은 다른 통류관을 통류하는 발포성 음료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류관 중,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에 의한 상기 폐색 대상의 통류관의 총유로 단면적은, 다른 통류관의 총유로 단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 장치.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통류관 중,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에 의한 상기 폐색 대상의 통류관은, 상기 가반 용기가 상기 주출 자세일 때, 상기 다른 통류관보다 상대적으로 하방이 되는 위치에 배치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 장치.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류 경로는, 적어도 하나씩 구비된 상기 받아들임구와 상기 주출구를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통류관으로 구성되고,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상기 통류관의 유로 단면적을 작게함으로써, 상기 주출량을 정량으로부터 소량으로 변경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가진 기구는, 상기 통류관을 통류하는 발포성 음료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 장치.
  6. 제 2 항,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조작부와, 가동부와, 상기 통류관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 형성된 가요성의 튜브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튜브를 압압 변형시킴과 함께, 상기 가진 기구의 기동 스위치를 온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상기 가동부를 소정의 가동 위치에 유지하는 위치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유지 기구는,
    상기 가동부가 상기 가동 위치에 유지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가동부를 상기 가동 위치에 유지하여 상기 주출량을 소량으로 유지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가동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유지를 해제하여 상기 주출량을 정량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 장치.
  8. 제 2 항,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조작부와, 가동부와, 상기 통류관의 적어도 일부에 배치 형성된 유량 변경 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가동부는 상기 조작부의 조작에 연동하여, 상기 유량 변경 밸브의 개도를 변경시킴과 함께, 상기 가진 기구의 기동 스위치를 온으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상기 가동부를 소정의 가동 위치에 유지하는 위치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위치 유지 기구는,
    상기 가동부가 상기 가동 위치에 유지되어 있지 않을 때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가동부를 상기 가동 위치에 유지하여 상기 주출량을 소량으로 유지하고,
    상기 가동부가 상기 가동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 상기 조작부가 조작되면, 상기 유지를 해제하여 상기 주출량을 정량으로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 장치.
  10.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및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 기구는,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에 의해 상기 주출량이 소량으로부터 정량으로 변경되었을 때에 정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 장치.
  11. 가반 용기에 장착되고, 상기 가반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발포성 음료를 주출하는 주출 장치로서,
    상기 가반 용기에 수용되어 있는 발포성 음료를 받아들이는 받아들임구와,
    상기 받아들임구로부터 받아들여진 발포성 음료를 주출하는 주출구와,
    상기 받아들임구와 상기 주출구를 연통하는 통류 경로와,
    상기 통류 경로를 통류하는 발포성 음료의 통류 상태를 적어도 제 1 주출 상태 또는 제 2 주출 상태로 변경하는 통류 상태 변경 기구와,
    상기 통류 경로를 통류하는 발포성 음료에 대해 진동을 부여하는 가진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가반 용기의 내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가스 공급 기구를 구비하고,
    상기 가스 공급 기구가 공급한 가스에 의해 상기 가반 용기의 내압을 높임으로써, 상기 주출구로부터 발포성 음료가 주출되도록 구성됨과 함께,
    상기 주출구는, 제 1 주출구와, 제 2 주출구를 구비하고,
    상기 통류 경로는, 상기 받아들임구와 상기 제 1 주출구를 연통하는 제 1 통류 경로와, 상기 받아들임구와 상기 제 2 주출구를 연통하는 제 2 통류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상기 제 1 통류 경로 또는 상기 제 2 통류 경로를 선택 가능하게 구성되고,
    상기 제 1 주출 상태는, 상기 제 1 통류 경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이고,
    상기 제 2 주출 상태는, 상기 제 2 통류 경로가 선택되어 있는 상태이고,
    상기 가진 기구는, 상기 제 2 주출 상태일 때에 기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류 경로의 유로 단면적은, 상기 제 2 통류 경로의 유로 단면적보다 크게 설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 장치.
  13. 제 11 항 또는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가반 용기에 공급된 가스를 방출하는 방출 경로를 구비하고,
    상기 통류 상태 변경 기구는, 상기 제 1 통류 경로 및 상기 제 2 통류 경로 모두 선택하고 있지 않을 때, 상기 방출 경로를 개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 장치.
  14. 제 1 항, 제 2 항, 제 3 항, 제 5 항, 제 11 항, 및 제 12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가진 기구는 초음파 발생 수단이고,
    상기 초음파 발생 수단은 초음파에 의해 상기 통류 경로를 통하여 당해 통류 경로를 통류하는 발포성 음료에 진동을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초음파 발생 수단의 진동 주파수 및 진동 진폭의 조정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주출 장치.
KR1020167003503A 2013-07-12 2014-07-11 주출 장치 KR1022058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146940 2013-07-12
JP2013146940 2013-07-12
JP2014017887A JP6227433B2 (ja) 2013-07-12 2014-01-31 注出装置
JPJP-P-2014-017887 2014-01-31
PCT/JP2014/068577 WO2015005474A1 (ja) 2013-07-12 2014-07-11 注出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30293A KR20160030293A (ko) 2016-03-16
KR102205816B1 true KR102205816B1 (ko) 2021-01-20

Family

ID=522801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3503A KR102205816B1 (ko) 2013-07-12 2014-07-11 주출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JP (1) JP6227433B2 (ko)
KR (1) KR102205816B1 (ko)
CN (1) CN105722436B (ko)
HK (1) HK1222101A1 (ko)
SG (1) SG11201600178TA (ko)
TW (1) TWI619653B (ko)
WO (1) WO201500547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895667B2 (en) 2015-05-05 2018-02-20 Fizzics Group Llc Carbonated fluid dispenser with ultrasonic foaming mechanism
US9745187B2 (en) 2015-05-05 2017-08-29 Fizzics Group Llc Carbonated fluid dispenser with ultrasonic foaming mechanism
JP6598509B2 (ja) * 2015-05-19 2019-10-30 有限会社ユタカ産業 注出装置
KR101807359B1 (ko) * 2015-08-28 2017-12-11 씨제이제일제당 (주) 발효식품 보관 용기
WO2017105552A1 (en) * 2015-12-14 2017-06-22 Fizzics Group Llc Beer dispenser with ultrasonic foaming mechanism for bulk-storage container
JP2018122892A (ja) * 2017-01-31 2018-08-09 株式会社グリーンハウス 振動付与装置
JP6160890B1 (ja) * 2017-03-31 2017-07-12 株式会社グリーンハウス 液体供給機
KR102304505B1 (ko) * 2017-07-21 2021-09-23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초음파 진동 부여 장치
JP6934664B2 (ja) * 2017-11-21 2021-09-15 フジテクノ株式会社 飲料案内管付き交換部品、飲料案内管付き交換部品とディスペンスヘッドとの組み合わせ、飲料案内管付き交換部品と注出コック部との組み合わせ、および、交換部品の取付方法
JP7217512B2 (ja) * 2018-01-19 2023-02-03 フジテクノ株式会社 発泡性飲料の注出方法、および、発泡性飲料の注出装置
TWI667187B (zh) * 2018-11-28 2019-08-01 先進動力實驗股份有限公司 加壓液體保存裝置及其配送方法
JP7263395B2 (ja) * 2018-12-27 2023-04-24 サントリー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発泡性飲料の注出装置
JP7204191B2 (ja) * 2018-12-28 2023-01-16 フジテクノ株式会社 発泡性飲料注出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65599A (ja) * 2001-11-28 2003-06-10 Mitsumi Electric Co Ltd 発泡促進装置
JP2003170998A (ja) * 2001-09-25 2003-06-17 Sapporo Breweries Ltd ガス含有アルコール飲料の注出方及びそれを達成するための注出装置及び延長ノズル。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53691A (ja) * 1991-02-04 1992-09-09 Daiichi Denki Kk ビール超音波泡付け装置と方法
JP2000327096A (ja) 1999-05-14 2000-11-28 Sapporo Breweries Ltd 発泡性飲料注出用タップ及びこれを備えた注出装置
US7021206B2 (en) * 2002-06-18 2006-04-04 Eckenhausen Roland B Hot dairy-based beverage dispenser
JP3100108U (ja) * 2003-08-28 2004-04-30 株式会社タイザー 泡立て用サーバー
JP2012144258A (ja) * 2011-01-06 2012-08-02 Tekkusu Iijii:Kk 容器入り発泡飲料用泡立て装置
JP6147014B2 (ja) * 2013-02-05 2017-06-14 株式会社テックスイージー 瓶入り発泡飲料用泡立て装置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170998A (ja) * 2001-09-25 2003-06-17 Sapporo Breweries Ltd ガス含有アルコール飲料の注出方及びそれを達成するための注出装置及び延長ノズル。
JP2003165599A (ja) * 2001-11-28 2003-06-10 Mitsumi Electric Co Ltd 発泡促進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05474A1 (ja) 2015-01-15
JP2015034057A (ja) 2015-02-19
HK1222101A1 (zh) 2017-06-23
TWI619653B (zh) 2018-04-01
KR20160030293A (ko) 2016-03-16
CN105722436B (zh) 2017-10-13
TW201520143A (zh) 2015-06-01
JP6227433B2 (ja) 2017-11-08
CN105722436A (zh) 2016-06-29
SG11201600178TA (en) 2016-02-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05816B1 (ko) 주출 장치
JP2020506045A (ja) 飲料内へガスを噴射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4752018A (en) Micro-gravity pre-mix package
US20120074173A1 (en) Bottle with drinking reservoir and pump
RU2518800C9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вливания напитка из сосуда и способ
US6695177B2 (en) Apparatus for dispensing a beverage
JPWO2017179628A1 (ja) 飲料注出装置
JP6807697B2 (ja) 発泡性飲料供給装置及び発泡性飲料供給方法
JP4525369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JP2007091334A (ja) 液体包装袋用ワイン容器
GB2260310A (en) Dispensing liquid from packaging
JP6158593B2 (ja) 飲料注出部材セット、飲料注出装置及び飲料
JP6431306B2 (ja) 発泡性飲料自動注出装置
JP6556027B2 (ja) 飲料ディスペンサ
US20200400361A1 (en) Dry ice receptacle for crystallizing, containing, and sublimating dry ice and dry ice dispensing device
JP2016078858A (ja) 泡コック
JPH0257597A (ja) 供給バルブユニット
JP2002068379A (ja) 家庭用飲料サーバー
WO2021002468A1 (ja) 注出ノズル
JPH11268798A (ja) 飲料注出具及び飲料用容器
JP2003170998A (ja) ガス含有アルコール飲料の注出方及びそれを達成するための注出装置及び延長ノズル。
JP6721292B2 (ja) 発泡性飲料自動注出装置
WO2021002467A1 (ja) 飲料サーバー
JP2000344296A (ja) 飲料注出用タップ及びこれを備えた注出装置
RU2782911C1 (ru) Устройство подачи жидкост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