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00337B1 -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00337B1
KR102200337B1 KR1020190089314A KR20190089314A KR102200337B1 KR 102200337 B1 KR102200337 B1 KR 102200337B1 KR 1020190089314 A KR1020190089314 A KR 1020190089314A KR 20190089314 A KR20190089314 A KR 20190089314A KR 102200337 B1 KR102200337 B1 KR 1022003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sealing material
region
display device
guid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89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정영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토비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토비스
Priority to KR10201900893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003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003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003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9Gaskets; Spacers; Sealing of cel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제1 기판의 일측 단부에서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부착된 구동 연결 필름, 일면이 제1 기판의 일면과 대향하는 제2 기판, 및 제1 기판과 제2 기판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밀봉재를 포함하되, 제1 기판은 제2 기판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중첩 영역 및 제2 기판과 비중첩하는 비중첩 영역을 포함하고, 구동 연결 필름은 제1 기판의 비중첩 영역에서 부착되고, 밀봉재는 비중첩 영역의 제1 기판의 일면, 제1 기판의 일측 단부의 측면 및 제2 기판의 일측 단부의 측면에 접하고, 구동 연결 필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밀봉재의 일측 단부는 구동 연결 필름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DISPLAY DEVICE AMD METHOD OF FABRICATING THEREOF}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곡면의 표시 영역을 갖는 곡면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표시 장치는 영상을 표시하기 위한 전자 장치로서, 근래에는 기술이 발전하면서 영상의 몰입감을 증대시키기 위해 곡면형 표시 장치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곡면형 표시 장치는 영상을 관람하는 면을 휘어 마치 관람자가 공간에 위치한 듯한 느낌을 주기 때문에 몰입감을 제공하는데, 통상의 곡면형 표시 장치는 평판형 표시 장치의 두께를 얇게 제작 후 디스플레이 패널을 휘어 제작할 수 있다.
한편, 곡면형 표시 장치를 제조하기 위해서는 최초 제작시 표시 장치의 두께를 얇게 설계하여 제작할 수도 있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에는 생산된 표시 장치에 대해 두께가 얇아지도록 식각 등의 과정을 거친 후 휘어 제작할 수도 있다. 식각 공정은 식각액을 이용하여 진행되는데, 식각액이 표시 장치의 실링 부재나 연성인쇄회로기판 등에 침투하면 표시 장치가 손상될 우려가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식각되지 않는 부분을 마스킹 테이프로 가려 보호하지만, 마스킹 테이프만으로는 완전한 밀봉이 쉽지 않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표시 장치의 내부와 외부 필름과의 접속부에 대한 식각액 침투가 원천 차단된 표시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다른 과제는 식각 공정 중에도 표시 장치의 내부와 외부 필름과의 접속부에 대한 식각액 침투가 원천 차단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 해결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부착된 구동 연결 필름, 일면이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대향하는 제2 기판, 및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밀봉재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2 기판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중첩 영역 및 상기 제2 기판과 비중첩하는 비중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연결 필름은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비중첩 영역에서 부착되고, 상기 밀봉재는 상기 비중첩 영역의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 및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에 접하고, 상기 구동 연결 필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밀봉재의 상기 일측 단부는 상기 구동 연결 필름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한다.
상기 밀봉재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은 평탄할 수 있다.
상기 밀봉재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은 상기 밀봉재의 제1 면 및 상기 밀봉재의 제2 면과 각각 직각을 이룰 수 있다.
상기 밀봉재는 내산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은 제1 식각 영역 및 상기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식각 영역보다 두께가 두꺼운 제1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제2 식각 영역 및 상기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식각 영역보다 두께가 두꺼운 제2 돌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식각 영역과 상기 제2 식각 영역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상기 밀봉재의 제1 면은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돌출 영역의 배면과 동일 레벨에 있고, 상기 밀봉재의 제2 면은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돌출 영역의 배면과 동일 레벨에 있을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은 각각 상기 제1 식각 영역과 상기 제2 식각 영역이 휘어진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밀봉재는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 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연결 필름은 플렉서블한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연결 필름은 상기 밀봉재에 의해 고정된 고정 영역 및 상기 밀봉재의 상기 일측 단부 외측에 위치하는 비고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다른 과제 해결을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기판 부재, 상기 제1 기판 부재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1 기판 부재의 일면 상에 부착된 구동 연결 필름, 및 일면이 상기 제1 기판 부재의 일면과 대향하는 제2 기판 부재를 포함하는 평판형 표시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부재의 배면 및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배면 상에 제1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기판 부재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 및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부재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 및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의해 정의된 공간 내에 밀봉 수지를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밀봉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기판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일측 단부는 동일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외측면 상에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보다 경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밀봉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 부재와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상기 일측 단부를 마스킹하고 상기 제1 기판 부재와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배면을 식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상기 제1 기판 부재와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상기 일측 단부를 마스킹하는 단계 전에, 상기 일측 단부의 상기 제1 기판 부재와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배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에 의하면, 밀봉재에 의해 표시 장치의 내부와 외부 필름과의 접속부에 대한 식각액 침투가 원천 차단되므로, 식각액에 의한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 밀봉재가 구동 연결 필름의 일부를 고정하여 가공 용이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밀봉재가 표시 장치의 기판과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어 가공 정밀도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손쉬운 방법으로 다양한 형태의 밀봉재를 제조할 수 있다.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Ⅰ1-Ⅰ1'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Ⅰ2-Ⅰ2'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FF1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 도 8 및 도 10은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의 일부를 순서대로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도 6의 Ⅰ3-Ⅰ3'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Ⅰ4-Ⅰ4'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단계를 더욱 세분화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도 6 내지 도 11 이후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구체적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표시 장치는 화상이나 영상을 표시하는 표시 영역을 포함하는 장치이면, 장치의 주된 용도, 부가된 기능이나 명칭 등에 관계없이 표시 장치에 해당하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는 소형 게임기, 카지노에서 사용되는 슬롯 머신 등과 같은 대형 게임기, 전자 칠판, 전자책, 스마트폰, 휴대 전화기, 태블릿 PC,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텔레비전, 퍼스널 컴퓨터의 모니터, 노트북 컴퓨터, 자동차 네이게이션, 자동차 계기판,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외부 광고판, 전광판, 각종 의료 장치, 각종 검사 장치, 냉장고나 세탁기 등과 같은 표시부를 포함하는 다양한 가전 제품, 사물 인터넷 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상술한 예들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는 마주보는 2개의 장변(도면에서 표시면을 바라보았을 때 상변과 하변)과 마주보는 2개의 단변(도면에서 표시면을 바라보았을 때 좌변과 우변)을 포함하는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다. 정상적인 표시 화면의 방향을 기준으로 표시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변이 가로로 배치될 수도 있지만, 장변이 세로로 배치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3개의 방향축이 정의된다. 제1 방향(dr1)은 표시 장치의 단변 연장 방향이고, 제2 방향(dr2)은 표시 장치의 장변의 연장 방향이며, 제3 방향(dr3)은 표시 장치의 두께 방향일 수 있다.
표시 장치는 구부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표시 장치의 표시면은 볼록 또는 오목한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장치는 도시된 것과 같이 제1 방향(dr1)축(도면상, 단변)은 직선을 유지한 채 제2 방향축(도면상, 장변)이 휘어져 이루어진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방향(dr2)축은 제3 방향(dr3)으로 오목하도록 휘어질 수 있다. 즉, 표시 장치의 곡면은 도시된 것과 같이 표시면을 바라보았을 때 표시 방향으로 오목하게 휘어진 오목면을 포함할 수 있다. 곡면형의 표시 장치는 평판형 표시 장치를 구부려서 형성한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 내 휘어진 부분의 곡률은 일정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의 휘어진 부분은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반지름을 갖는 원의 일부(원호) 상에 놓일 수 있다. 표시 장치의 곡률 반경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0.5m 내지 5m이거나, 1m 내지 2m일 수 있다.
표시 장치로는 액정 표시 장치(LCD)가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실시예에서는 표시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표시 장치가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전기 영동 표시 장치(EPD), 유기 발광 표시 장치(OLED), 마이크로 LED 표시 장치(micro-LED), 플라즈마 표시 장치(PDP), 전계 방출 표시 장치(FED), 음극선 표시 장치(CRT) 등에도 적용가능하다.
표시 장치는 제1 기판(200), 제1 기판(200)에 대향하는 제2 기판(300) 및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 사이에 개재된 액정층(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 테두리에는 실링 부재(110)가 배치되어,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을 결합하고 액정층(도 2의 '500')의 액정 분자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표시 장치의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은 모두 동일한 형상의 휘어진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표시 장치는 곡면의 제1 기판(200)과 곡면의 제2 기판(3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 중 어느 하나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고, 다른 하나는 컬러필터 기판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기판(200)이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이고, 제2 기판(300)이 컬러필터 기판인 경우가 예시된다. 표시 방향은 제2 기판(300)의 상면 외측 방향이 될 수 있다.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인 제1 기판(200)은 제2 기판(300)보다 상대적으로 돌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200)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가 제2 기판(300)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보다 더 돌출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이 제2 기판(300)으로부터 돌출되어 그에 비중첩하는 부위에는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의 각 화소를 구동하는 구동부의 적어도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는 구동 연결 필름(410) 및 그에 연결된 구동회로기판(420)을 포함할 수 있고, 이중 구동 연결 필름(410)이 제1 기판(200)의 상기 비중첩 부위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즉, 구동 연결 필름(410)은 제2 기판(300)과 비중첩할 수 있다.
한편, 제1 기판(200)이 돌출된 부위에서, 제2 기판(300)의 측면부에는 제1 밀봉재(120)가 배치되고, 구동부가 배치되는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의 단부에는 제2 밀봉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밀봉재(120) 및 제2 밀봉재(130)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도면으로 도시하진 않았지만, 표시 장치는 편광 필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편광 필름은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편광 필름의 부착 영역은 후술하는 식각 영역 내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도 2 내지 도 4를 함께 참조하여, 상기한 표시 장치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Ⅰ1-Ⅰ1'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표시 장치에서 Ⅰ2-Ⅰ2'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FF1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은 각각 유리, 석영 등으로 이루어진 절연 기판 및 그 위에 배치된 배선, 금속, 반도체층, 절연막, 컬러 필터, 블랙 매트릭스 등의 구조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조물들은 각각 제1 기판(200)의 절연 기판과 제2 기판(300)의 절연 기판의 서로 대향하는 일면(204, 304)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200)의 절연 기판과 제2 기판(300)의 절연 기판의 일면(204, 304)은 평탄하지만, 그 반대면인 타면(또는 배면)(201, 301)은 식각이나 연마에 의해 돌출 또는 함몰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편의상 절연 기판 상에 배치되는 구조물의 도시는 생략하고,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의 절연 기판의 형상만을 도시하였다. 이하에서, 제1 기판(200) 또는 제2 기판(300)의 배면 형상을 언급할 때, 해당 형상은 제1 기판(200)의 절연 기판의 배면 형상 또는 제2 기판(300)의 절연 기판의 배면 형상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상기 예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1 기판(200)이나 제2 기판(300)의 절연 기판 배면에 다른 추가적인 층이 배치되고, 해당 층이 식각이나 연마되어 돌출 또는 함몰된 영역을 포함할 수도 있다.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은 각각 제1 두께를 갖는 제1 두께 영역 및 제1 두께보다 큰 제2 두께를 갖는 제2 두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두께 영역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식각에 의해 두께가 얇아진 영역일 수 있으며, 이하에서 식각 영역(220, 320)으로 지칭된다. 제2 두께 영역은 제1 두께 영역으로부터 돌출된 영역으로, 이하에서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으로 지칭된다.
표시 장치는 중앙에 위치하는 표시 영역과 표시 영역 주변의 비표시 영역(또는 베젤 영역)을 포함하는데, 식각 영역(220, 320)은 표시 영역과 중첩하여 배치되고,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은 비표시 영역에 중첩하여 배치될 수 있다. 식각 영역(220, 320)은 비표시 영역의 일부까지 확장되어 비표시 영역과도 더 중첩할 수 있다. 반면,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은 표시 영역과는 비중첩할 수 있다.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은 표시 장치의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식각 영역(220, 320)은 돌출 영역(211, 212, 311, 312)보다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기판(200)은 제1 방향(dr1) 일측 단부(도 2에서 우측 단부) 및 타측 단부(도 2에서 좌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1 돌출 영역(212, 2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300)은 제1 방향(dr) 일측 단부 및 타측 단부에 각각 형성된 제2 돌출 영역(312, 311)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dr1) 타측은 제1 방향(dr1) 일측의 반대 방향을 의미하며, 이하에서 다른 방향의 일측과 타측을 설명할 때에서 동일한 의미로 사용된다.
각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은 제1 기판(200) 또는 제2 기판(300)의 두께가 얇아진 상태에서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을 원하는 곡면형태로 휠 때, 구동 연결 필름(410)을 보호하거나, 제1 기판(200) 또는 제2 기판(300)의 파손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의 위치는 도시된 것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은 표시 장치의 테두리 부분 즉, 상변, 하변, 좌변, 우변 중 상변과 하변(도 1 참고)에 형성되거나, 좌변과 우변에 형성되거나, 하변에만 형성되거나, 상, 하, 좌, 우변 전체(즉, 표시 장치의 전체 테두리 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다른 몇몇 실시예에서,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은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 중 어느 하나에만 형성될 수도 있다.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의 표면(배면)(202, 203, 302, 303)은 연마면을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판(200)이 제2 기판(300)보다 제1 방향(dr1) 일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제1 방향(dr1) 타측은 서로 정렬되어 있는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방향(dr1) 일측에 위치하는 제1 돌출 영역(212)의 폭은 제2 돌출 영역(312)의 폭보다 큰 반면, 제1 방향(dr1) 타측에 위치하는 제1 돌출 영역(211)의 폭과 제2 돌출 영역(311)의 폭은 동일할 수 있다.
제1 기판(200)의 제1 식각 영역(220)은 제1 돌출 영역들(212, 211) 사이에 위치하고, 제2 기판(300)의 제2 식각 영역(320)은 제2 돌출 영역들(312, 311)에 위치할 수 있다. 식각 영역(220, 320)은 인접한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으로부터 함몰된다. 상기 식각 영역(220, 320)의 함몰되는 면은 각각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의 배면(201, 301)이 된다.
제1 식각 영역(220)과 제2 식각 영역(320)은 두께 방향으로 완전히 중첩할 수 있다. 또한, 제1 식각 영역(220)의 제1 방향(dr1)의 폭과 제2 식각 영역(320)의 제1 방향(dr1)의 폭은 동일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식각 영역(220)과 제2 식각 영역(320)은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식각 영역(220)의 두께와 제2 식각 영역(320)의 두께는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식각 영역(220)의 두께와 제2 식각 영역(320)의 두께는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의 두께 대비, 약 0.1 내지 약 0.8배이거나, 0.4배 내지 0.6배일 수 있지만, 그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처럼, 제1 식각 영역(220)과 제2 식각 영역(320)은 얇은 두께를 갖기 때문에, 해당 영역은 곡면화 공정에서 잘 휘어질 수 있다.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은 각 돌출 영역(211, 212, 311, 312)과 식각 영역(220, 320) 사이에 연결면(230, 3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경사면(230, 330)은 식각 영역(220, 320)의 배면(201, 301)을 기준으로 직각을 이루거나, 둔각의 경사를 갖는 경사면일 수 있다.
제1 기판(200)의 일면(204)과 제2 기판(300) 일면(304) 사이에는 액정층(50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의 사이에는 실링 부재(110)가 배치된다. 실링 부재(110)는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 사이에서 제2 기판(30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되며,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에 중첩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실링 부재(110)의 외측면에는 제1 밀봉재(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1 밀봉재(120)는 제1 기판(200)이 상대적으로 돌출된 제1 방향(dr1) 일측에 위치하는 실링 부재(110)의 일 측면을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밀봉재(120)는 돌출된 제1 기판(200)의 일면(201, 도 2의 상면으로 제1 돌출 영역(212)에 중첩하는 일면) 및 실링 부재(110)의 측면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밀봉재(120)의 두께는 실링 부재(110)보다 두꺼울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밀봉재(120)는 제1 기판(200)의 일면(201), 실링 부재(110)의 측면 뿐만 아니라, 제2 기판(300)의 일 측면(306)의 일부 또는 전부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밀봉재(120)는 내산성을 갖는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밀봉재(120)는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acrylic resin), 에폭시계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 phenylenesulfides resin),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실링 부재(110)는 내산성을 갖지 않을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밀봉재(120)가 내산성 물질로 이루어짐으로써, 식각 공정에서 사용되는 식각액으로부터 실링 부재(11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 기판(200)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에는 구동 연결 필름(410)이 부착된다. 구동 연결 필름(410)은 제1 기판(200)과 구동회로기판(42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구동 연결 필름(410)은 제1 기판(200)의 일면(201) 상에 제1 도전성 이방성 필름(431)을 개재하여 부착될 수 있다. 그러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 연결 필름(410)이 납땜이나 초음파 접합 등을 통해 제1 기판(200)의 일면 상에 직접 부착될 수도 있다. 구동 연결 필름(410)이 제1 기판에 부착되는 영역은 제1 돌출 영역(212)에 중첩하는 영역일 수 있다. 구동 연결 필름(410)은 신호선을 포함하는 필름으로서, 플렉서블한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연성 인쇄회로기판(FPC), 탭(TAB), 커넥트 필름 등일 수 있다. 구동 연결 필름(410)은 제1 밀봉재(120)와는 이격될 수 있다. 즉, 구동 연결 필름(410)은 제1 밀봉재(120)를 기준으로 제1 방향(dr1) 일측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 연결 필름(410)의 일단에는 구동회로기판(420)이 부착될 수 있다. 구동 연결 필름(410)과 구동회로기판(420)의 부착은 그 사이에 개재된 제2 도전성 이방성 필름(432)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 연결 필름(410)과 구동회로기판(420)의 결합에 납땜이나 초음파 접합 등이 사용되는 경우 제2 도전성 이방성 필름(432)은 생략 가능하다.
구동회로기판(420)은 인쇄회로기판(PC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칩은 구동회로기판(4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구동칩은 구동 연결 필름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면에서는 구동회로기판(420)과 이를 연결하는 구동 연결 필름(410)이 제1 기판(200)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에 배치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지만, 구동회로기판(420)과 구동 연결 필름(410)은 제1 기판(200)의 제1 방향(dr1) 타측 단부에 배치되거나, 제2 방향(dr2) 일측 또는 타측 단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구동회로기판(420)과 구동 연결 필름(410)이 복수개 마련되고, 제1 기판(200)의 2 이상의 변에 인접하여 부착될 수도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하나의 구동회로기판(420)은 복수의 구동 연결 필름(410)에 의해 제1 기판(200)과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하나의 구동회로기판(420)에 그보다 폭이 작은 복수의 구동 연결 필름(410)들이 부착될 수 있다. 이웃하는 구동 연결 필름(410)들 사이는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에는 제2 밀봉재(13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 밀봉재(130)는 실링 부재(110) 및 제1 밀봉재(120)를 보호한다. 즉, 제2 밀봉재(130)는 식각 공정에서 식각액으로부터 제1 밀봉재(120), 실링 부재(110), 액정층(500), 제1 기판(200)과 구동 연결 필름(410)의 접속 영역 등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밀봉재(130)는 표시 장치의 구동 연결 필름(410)이 배치되는 일측 테두리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밀봉재(130)는 표시 장치의 장변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제2 밀봉재(130)의 제2 방향(dr2)의 길이는 표시 장치의 장변의 길이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밀봉재(130)의 제2 방향 일측 단부(측면)는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의 일측 단부(측면)에 정렬되고, 제2 밀봉재(130)의 제2 방향 타측 단부(측면)는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의 일측 단부(측면)에 정렬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밀봉재(130)는 제1 기판(200)의 일 측면(206)에 접하고, 또한 제2 기판(300)의 일 측면(306)이나 그 외측에 위치하는 제1 밀봉재(120)의 외측면에 접하며, 제1 방향(dr1) 일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밀봉재(130)는 구동회로기판(420)과는 이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밀봉재(130)의 상기 일 측면(135)과 구동회로기판(420) 사이에 이격 공간을 정의될 수 있다.
제2 밀봉재(130)의 제1 방향(dr1) 일측 단부인 일 측면(135)은 구동 연결 필름(410)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동 연결 필름(410)이 배치되는 영역에서 제2 밀봉재(130)는 구동 연결 필름(410)의 일면(도 2에서 상면), 타면(도 2에서 하면) 및 제2 방향(dr2) 측면을 둘러싸며 그들에 직접 접할 수 있다. 즉, 단면도상 제2 밀봉재(130)는 구동 연결 필름(410)을 사이에 두고 분할될 수 있다. 제2 밀봉재(130)는 구동 연결 필름(410)이 제1 기판(200)의 일면에 접속하는 영역도 함께 둘러싸며 밀봉한다. 구동 연결 필름(410)이 제2 밀봉재(130)에 둘러싸인 공간에서 구동 연결 필름(410)은 제2 밀봉재(130)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구동 연결 필름(410)은 제2 밀봉재(130)에 의해 고정된 고정 영역과 제2 밀봉재(130)의 단부 외측에 위치하는 비고정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 연결 필름(410)의 고정 영역은 휘어지지 않지만, 비고정 영역은 휘어질 수 있어 구동 연결 필름(410)에 부착된 구동회로기판(420)이 제1 기판(200)의 배면(203, 201, 202) 방향으로 접힐 수 있다. 인접한 구동 연결 필름(410) 사이의 이격 공간에서는 제2 밀봉재(130)가 분할됨 없이 두께 방향인 제3 방향(dr3)으로 일체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밀봉재(130)의 일 측면(135)은 제1 기판(200)의 일 측면(206)이 제2 기판(300)의 일 측면(306)보다 돌출된 것과는 무관하게 제3 방향(dr3)으로 평탄할 수 있다. 즉, 제1 기판(200)의 제1 방향(dr1) 일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위치하는 제2 밀봉재(130)의 단부는 제2 기판(300)의 제1 방향(dr1) 일측으로 연장된 부분에 위치하는 제2 밀봉재(130)의 단부와 대체로 정렬될 수 있다.
제2 밀봉재(130)의 타 측면(133, 134)은 제1 기판(200)의 일 측면(206)과 제2 기판(300)의 일 측면(306)(또는 제1 밀봉재(120)의 외측면)과 모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밀봉재(130)는 제1 기판(200)의 돌출된 일면(204) 상에도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 밀봉재(130)에서 제2 기판(300)의 배면(301, 302, 303)과 같은 방향을 향하는 면을 제2 밀봉재(130)의 제1 면(131)으로, 제1 기판(200)의 배면(201, 202, 203)과 같은 방향을 향하는 면을 제2 밀봉재(130)의 제2 면(132)으로 정의하면, 제2 밀봉재(130)의 제1 면(131)과 제2 면(132)은 서로 평행할 수 있다. 또한, 제2 밀봉재(130)의 제1 면(131)은 인접한 제2 기판(300)의 제2 돌출 영역(312)의 배면(303)과 대체로 동일한 레벨에 있고, 제2 밀봉재(130)의 제2 면(132)은 인접한 제1 기판(200)의 제1 돌출 영역(212)의 배면(203)과 대체로 동일한 레벨에 있을 수 있다. 즉, 제2 밀봉재(130)의 제1 면(131)은 대체로 제2 돌출 영역(312)의 배면(303)의 연장면 상에 위치하고, 밀봉재(130)의 제2 면(132)은 대체로 제1 돌출 영역(212)의 배면(203)의 연장면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대체로 동일한 레벨에 있거나, 대체로 연장면 상에 위치한다는 것은 완전히 동일한 레벨에 있거나, 연장면 상에 정확히 위치하는 것 뿐만 아니라, 표시 장치의 전체 두께 대비 5% 이내의 오차를 두고 위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제2 밀봉재(130)의 제1 면(131) 및 제2 면(132)은 제2 기판(300)의 제2 돌출 영역(312) 및 제1 기판(200)의 제1 돌출 영역(212)과 마찬가지로 제2 방향(dr2)축을 따라 휘어질 수 있다.
제2 밀봉재(130)의 일 측면(135)은 표시 장치의 테두리 중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본 명세서에서 제2 밀봉재(130)의 일 측면(135)은 때때로 제2 밀봉재(130)의 테두리면(135)으로 지칭된다. 제2 밀봉재(130)의 테두리면(135)은 평면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밀봉재(130)의 제1 면(131)은 테두리면(135)과 제1 각도(θ11)를 이룰 수 있다. 제2 밀봉재(130)의 제2 면(132)은 테두리면(135)과 제2 각도(θ21)를 이룰 수 있다. 제1 각도(θ11)와 제2 각도(θ21)는 동일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각도(θ11)와 제2 각도(θ21)는 직각일 수 있다. 즉, 제2 밀봉재(130)는 제1 면(131)과 테두리면(135) 및 제2 면(132)과 테두리면(135)에 의해 형성되는 모서리 변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밀봉재(130)는 구동 연결 필름(410)의 일면과 제3 각도(θ12)를 이루고, 구동 연결 필름(410)의 타면과 제4 각도(θ22)를 이룰 수 있다. 제3 각도(θ12)와 제4 각도(θ22)의 합은 180°일 수 있다. 또한, 제3 각도(θ12)와 제4 각도(θ22)는 각각 90°로 동일할 수 있다.
제2 밀봉재(130)는 내산성 수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밀봉재(130)는 실리콘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acrylic resin), 에폭시계 수지(epoxy resin), 페놀 수지(phenolic resin), 폴리아미드계 수지(polyamides resin), 폴리이미드계 수지(polyimides rein), 불포화 폴리에스테르계 수지(unsaturated polyesters resin), 폴리페닐렌계 수지(poly phenylenes resin), 폴리페닐렌설파이드계 수지(poly phenylenesulfides resin), 또는 벤조사이클로부텐(benzocyclobutene, BCB)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몇몇 실시예에서, 제2 밀봉재(130)는 제1 밀봉재(120)와 동일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경우, 제2 밀봉재(130)가 구동 연결 필름(410)의 일부를 둘러싸고 있으므로, 구동 연결 필름(410)이 강하게 고정되어 가공 용이성이 개선될 수 있다. 또한, 제2 밀봉재(130)의 제1 면(131), 제2 면(132)이 각각 제1 기판(200) 및 제2 기판(300)의 각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의 각 배면(202, 203, 302, 303) 높이와 대체로 동일하게 형성됨에 따라 가공 정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200), 제2 기판(300)과 제2 밀봉재(130) 사이의 틈 발생을 최소화함으로써, 식각 공정에서 식각액의 침투를 억제하고, 그에 따른 파손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표시 장치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조 방법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을 대략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은 제1 가이드 부재 배치 단계(S01), 제2 가이드 부재 배치 단계(S02), 제3 가이드 부재 배치 단계(S03), 밀봉 수지 도포 및 경화 단계(S04), 제1 내지 제3 가이드 부재 제거 단계(S05), 연마 단계(S06), 마스킹 단계(S07) 및 식각 단계(S08)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 배치 단계(S01, S02, S03)와 밀봉 수지 도포 및 경화 단계(S04) 및 제1 내지 제3 가이드 부재 제거 단계(S05)를 거쳐 제2 밀봉재(130)가 형성될 수 있다. 이어지는 연마 단계(S06)를 통해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이 정의되고 그 두께가 결정될 수 있다. 이후, 마스킹 단계(S07)와 식각 단계(S08)를 거치면서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으로부터 함몰된 식각 영역(220, 320)이 형성될 수 있다.
이하, 각 공정 단계별 도면들을 참고하여 각 단계에 대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 6, 도 8 및 도 10은 표시 장치의 제조 과정의 일부를 순서대로 도시한 사시도들이다. 도 7은 도 6의 Ⅰ3-Ⅰ3'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Ⅰ4-Ⅰ4' 선을 따라 자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단계를 더욱 세분화하여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3 내지 도 18은 도 6 내지 도 11 이후 단계를 도시한 단면도들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먼저, 평판형의 표시 장치를 준비하고, 평판형 표시 장치의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a)의 각 배면 상에 제1 가이드 부재(601)를 배치한다(S01). 제1 가이드 부재(601)의 형상과 배치는 밀봉 수지(130a)가 경화되어 형성되는 제2 밀봉재(130)의 형상을 결정하는 인자가 될 수 있다.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a)는 평판형의 표시 장치의 각 기판일 수 있다. 즉, 제1 기판 부재(200a) 및 제2 기판 부재(300a)는 각각 상술한 제1 기판(200) 및 제2 기판(300)에 대응하는 부재로서, 연마와 식각 공정을 거치기 전의 기판이다. 연마와 식각 공정을 완료한 제1 기판(200), 제2 기판(300)과 구분하기 위해 제1 기판 부재(200a), 제2 기판 부재(300a)으로 지칭한다.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a)는 연마, 식각을 거치면서 두께가 얇아지고, 그 결과로서 각각 식각 영역(220, 320)과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을 포함하는 제1 기판(200) 및 제2 기판(300)으로 완성될 것이다. 따라서,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a)는 제1 기판(200) 및 제2 기판(300)보다 두께가 더 두껍다.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a)는 제1 기판(200) 및 제2 기판(300)의 돌출 영역(211, 212, 311, 312)보다 두께가 더 두꺼울 수 있다.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a)는 각각 일면과 배면이 평행하고 전체적으로 균일한 두께를 가질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601)는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a)의 각 배면 상에 배치된다. 제1 가이드 부재(601)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a)의 각 배면 상에 부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평판형 표시 장치를 구동 연결 필름(410)이 부착된 장변이 상부를 향하도록 수직으로 세운 상태에서, 평판형 표시 장치의 양 외측면에 제1 가이드 부재(601)를 부착할 수 있다. 이때, 구동 연결 필름(410)과 구동회로기판(420)도 수직 방향으로 세워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회로기판(420)의 단부를 홀더 등으로 잡아 구동 연결 필름(410)과 구동회로기판(420)을 세워진 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601)는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a)의 배면 상에 배치되고, 기판 부재(200a, 300a)의 측면(도면에서 장변에 위치하는 측면으로서 상부 측면)으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된다. 제1 가이드 부재(601)는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a)의 배면 전체에 걸쳐 배치(또는 부착)될 수도 있지만,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것처럼, 일부 영역(도면에서 상부 영역)의 배면 상에만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 부재(601)는 접착 부재(미도시)를 통해 기판 부재(200a, 300a)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광학 투명 접착 부재(OCA) 또는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R)일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 부재(601)는 기판 부재(200a, 300a)의 배면 상에 밀착하되, 그에 부착되지는 않고, 다만 다른 고정 수단에 의해 기판 부재(200a, 300a)의 배면 상의 위치가 고정되어 있을 수도 있다.
기판 부재(200a, 300a)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된 제1 가이드 부재(601)의 단부는 구동 연결 필름(401)의 일단과 타단 사이의 중간 영역의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기판 부재(200a)의 배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 부재(601)와 제2 기판 부재(300a)의 배면 상에 배치되는 제1 가이드 부재(601)의 단부는 타측면(도면에서 하부 측면)을 기준으로 동일 높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601)의 형상은 평면상 직사각 형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 부재(601)는 유기물을 포함하는 필름일 수 있다. 제1 가이드 부재(601)는 고분자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부재(601)는 열가소성 폴리우레탄(thermoplastic polyurethane, TPU) 필름, 폴리우레탄(polyurethane, PU) 필름, 폴리디메틸실록산(Polydimethylsiloxane, PDMS) 필름, 및 폴리아미드(polyamide, PA) 필름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평판형 표시 장치가 편광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편광 필름을 제거한 후 상기한 제1 가이드 부재(601)의 배치 공정이 진행될 수 있다.
도 5,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이어, 제2 가이드 부재(602)와 제3 가이드 부재(603)의 배치 공정(S02, S03)이 진행된다.
제2 가이드 부재(602)는 제1 가이드 부재(601) 상(외측면 상)에 배치된다. 제2 가이드 부재(602)는 밀봉 수지(130a)를 도포하는 과정에서 제1 가이드 부재(601)가 벌어지지 않도록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602)도 제1 가이드 부재(601)와 마찬가지로 기판 부재(200a, 300a)의 측면으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된다.
제2 가이드 부재(602)는 제1 가이드 부재(601)보다 경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602)는 유리, 석영, 세라믹, 플라스틱, 및 금속 등의 물질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602)는 제1 가이드 부재(601)와 유사하게 직사각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602)의 면적은 제1 가이드 부재(601)의 면적 이하일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602)는 모든 면이 제1 가이드 부재(601)와 중첩되도록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가이드 부재(602)는 제1 가이드 부재(601)보다 제1 방향(dr1)으로 작은 폭을 가지며, 제1 가이드 부재(601)의 단부가 제2 가이드 부재(602)의 단부보다 돌출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가이드 부재(602)는 제1 가이드 부재(601)의 외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가이드 부재(602)는 그에 중첩하는 제1 가이드 부재(601)의 모든 면에 부착될 수도 있지만,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a)에 중첩하는 영역에서만 부착되고,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a)의 측면 외측에서는 서로 분리 가능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제3 가이드 부재(603)는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a)의 제2 방향(dr2) 양 측면 상에 배치된다. 제3 가이드 부재(603)는 평판형 표시 장치의 제2 방향(dr2) 양 측면에서 밀봉 수지(130a)가 넘치지 않도록 하고, 밀봉재(130a)의 제2 방향(dr2) 단부 형상을 가이드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부재(603)는 제1 가이드 부재(601) 보다 경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부재(603)의 경도는 제2 가이드 부재(602)와 경도가 같거나 낮을 수 있다. 제3 가이드 부재(603)는 제2 가이드 부재(602)와 동일 물질을 포함하거나, 제2 가이드 부재(602)에서 예로 든 물질 중 하나를 포함하거나, 점토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점토 조성물은 점토 조성물에 사용 가능한 것으로 알려진 임의의 성분을 별다른 제한 없이 모두 사용할 수 있으며, 이의 구체적인 예로는 카올린계 점토 등의 점토계 체질제, 또는 탈크, 마이카, 탄산칼슘(CaCO3) 또는 탄산마그네슘(MgCO3) 등의 무기계 체질제 등을 들 수 있다. 다만, 점토 조성물이 성형 가능한 점토 조성물로서 적절한 물성, 또는 건조 후에 일정 경도에 달하는 물성 등을 갖기 위해, 카올린계 점토 또는 탄산칼슘 등을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제3 가이드 부재(603)가 상술한 점토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우, 추후 제1 내지 제3 가이드 부재 제거 단계(S05)에서 쉽게 제거될 수 있다.
제3 가이드 부재(603)는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a)의 측면 상에 배치되고 그로부터 상측 방향으로 소정 거리 연장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3 가이드 부재(603)의 제1 방향(dr1)의 폭은 제2 가이드 부재(602)의 제1 방향(dr1)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나아가, 제2 가이드 부재(602)와 제3 가이드 부재(603)는 사각 틀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 가이드 부재(601)와 제2 가이드 부재(602)의 형상은 평면상 사각 형상일 수 있다.
상술한 제2 가이드 부재(602)나 제3 가이드 부재(603)는 경우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 가이드 부재(601)의 배치 공정(S01), 제2 가이드 부재(602)의 배치 공정(S02), 제3 가이드 부재(603)의 배치 공정(S03)이 순차적으로 진행되는 경우를 예시하였지만, 이들 배치 공정의 순서는 바뀔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이드 부재(601), 제3 가이드 부재(603), 제2 가이드 부재(602)의 순으로 배치되거나, 제3 가이드 부재(603)가 먼저 배치된 후 제1 가이드 부재(601)와 제2 가이드 부재(603)가 순차 배치될 수도 있다. 또, 서로 다른 가이드 부재가 동시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5, 도 10 내지 도 13을 참조하면, 이어,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b)의 일 측면 상에서 가이드 부재(601, 602, 603)에 의해 정의된 공간 내에 밀봉 수지(130a)를 충진한다.
밀봉 수지(130a)는 액상 물질일 수 있다. 밀봉 수지(130a)는 씰런트일 수 있다. 밀봉 수지(130a)는 구동 연결 필름(410)의 벽면을 따라 흐르도록 도포될 수 있고, 안쪽부터 채워질 수 있다. 밀봉 수지(130a)의 도포는 노즐이 달린 주입기(700)를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밀봉 수지(130a)는 제1 가이드 부재(601)와 구동 연결 필름(410) 사이에서, 구동 연결 필름(410)의 일면 및/또는 타면을 따라 주입될 수 있다. 밀봉 수지(130a)의 주입 초기에는 도 1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가이드 부재(601)가 내측으로 오므라들 수 있지만, 밀봉 수지(130a)가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b)의 일 측면 및 가이드 부재(601, 602, 603)에 의해 정의된 공간을 채움에 따라 도 12의 (b)에 도시된 것처럼 제1 가이드 부재(601)가 제2 가이드 부재(602)가 배치된 곳까지 벌어지면서 밀봉 수지(130a)의 모양이 갖춰질 수 있다. 액체의 밀봉 수지(130a)의 주입이 완료되면 밀봉 수지(130a)의 표면은 평탄해질 수 있다(도 13 참조).
이어, 밀봉 수지(130a)를 경화하여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2 밀봉재(130)을 형성할 수 있다. 밀봉 수지(130a)의 경화는 자외선 경화, 열경화, 자연 건조 등의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밀봉 수지(130a)를 자외선 경화하는 경우, 밀봉 수지(130a)에 자외선이 충분히 조사될 수 있도록 제1 가이드 부재(601)와 제2 가이드 부재(602)가 자외선을 통과시킬 수 있는 물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경화 공정을 통해 형성된 밀봉재(130)는 표면이 평탄하며,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b)의 일 측면 상에서 가이드 부재(601, 602, 603)에 의해 정의된 공간을 채우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밀봉재(130)는 제1 기판 부재(200a)와 제2 기판 부재(300b)의 일 측면을 밀봉하고, 구동 연결 필름(410)이 제1 기판 부재(200a)의 일면 상에 부착되는 부위까지 함께 밀봉한다.
도 5 및 도 14를 참조하면, 이어서, 제1 가이드 부재(601), 제2 가이드 부재(602), 제3 가이드 부재(603)를 제거한다. 본 단계에서는 밀봉 수지(130a)가 이미 경화되어 있으므로,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제1 가이드 부재(601) 및 제3 가이드 부재(603)와 쉽게 분리될 수 있다.
도 5 및 도 15를 참조하면, 이어, 제1 기판 부재(200a)의 배면과 제2 기판 부재(300a)의 배면을 부분적으로 연마한다(S06). 연마는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의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에 해당할 부위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을 형성할 부분을 기계적인 연마를 통해 미리 설정된 두께를 가지도록 연마하여 제1 기판 부재(200b)와 제2 기판 부재(300b)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제1 기판 부재(200b)와 제2 기판 부재(300b)의 두께 감소를 위해 식각 공정을 이용할 수도 있지만, 이 경우 식각액이 구동 연결 필름(410)이 부착 부위에 침투하거나 구동회로기판(420)을 손상시킬 수 있으므로, 본 실시예에서는 연마 공정을 통해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이 형성될 부분의 두께를 감소시킨다.
연마 공정은 기계적 연마 또는 화학적 기계적 연마 공정으로 진행될 수 있다. 상기 기계적인 연마는 원형롤 형태의 그라인더 휠을 회전시켜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을 형성할 테두리 부분을 따라 이동시키는 형태로 수행될 수 있으며,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을 형성할 부분에 표시 장치의 실링 부재(110)의 기밀을 수행하는 제1 밀봉재(120)가 부착된 경우,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이 제1 밀봉재(120)의 높이와 동일하거나 높도록 연마될 수 있다. 연마 공정시 제1 기판 부재(200a)의 배면과 제2 기판 부재(300a)의 배면 뿐만 아니라 그 측면에 결합되어 있는 제2 밀봉재(130)도 함께 연마될 수 있다. 그 결과, 제2 밀봉재(130)의 제1 면 및 제2 면은 각각 연마된 기판 부재(300b, 200b)의 배면과 대체로 동일한 레벨에 있거나, 동일한 평면 상에 놓일 수 있게 된다.
도 5 및 도 16을 참조하면, 이어,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이 될 부분인 연마된 부분을 마스킹한다(S07). 마스킹 단계(S07)는 식각 공정 전에 이루어진다.
마스킹에 사용되는 마스킹 부재(800)는 일단이 개구된 봉투 형상으로 형성되어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을 형성할 부분을 덮도록 씌워지는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다른 예로, 마스킹 부재(800)는 필름 형태로 형성되어 평판형 표시 장치의 일면(제2 기판 부재(300b)의 배면)에서의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을 형성할 부분에서부터 평판 표시 장치의 타면(제1 기판 부재(200b)의 배면)에서의 돌출 영역(211, 212, 311, 312)을 형성할 부분까지 테두리를 통해 넘겨 붙이는 형태로 설치될 수도 있다. 이때, 마스킹 부재(800)가 설치될 테두리 부분에 구동 연결 필름(410)이 부착된 경우, 구동 연결 필름(410)이 함께 씌워지거나 구동 연결 필름(410)을 함께 감싸 넘겨 붙이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마스킹 부재(800)의 테두리 부분에는 마스킹 부재(800)를 평판형 표시 장치의 외면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도록 내산성 접착 테이프(미도시)가 설치될 수도 있으며, 마스킹 부재(800)가 필름 형태로 구성되어 넘겨 붙여진 경우에는 넘겨 붙여진 양측단을 내산성 접착 테이프에 의해 부착하거나, 열융착에 의해 부착시켜 식각액의 침투를 방지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마스킹 부재(800)는 그 자체가 접착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도 5 및 도 17을 참조하면, 이어, 마스킹된 제1 기판 부재(200b)의 배면과 제2 기판 부재(300b)의 배면을 식각한다(S08).
식각 단계(S08)는 식각액을 이용한 습식 식각으로 진행될 수 있다. 식각 단계(S08)는 평판형 표시 장치의 양면에서 식각액을 분사하거나, 상부에서부터 식각액을 흘리는 형태로 식각액을 도포하는 방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이때, 식각액이 구동 연결 필름(410)에 침투하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해 평판 표시 장치에서 구동 연결 필름(410)이 상단에 위치된 상태로 식각액을 흘리거나, 분사하는 형태로 식각을 수행할 수 있다.
식각은 제1 기판 부재(200b)의 배면과 제2 기판 부재(300b)의 배면에서 마스킹되지 않고 노출된 영역에서 이루어지며, 식각을 통해 해당 영역이 마스킹된 영역보다 두께가 더 얇아지게 된다. 그에 따라, 마스킹된 영역은 식각된 영역보다 상대적으로 더 돌출된다. 그 결과로서, 돌출 영역(211, 212, 311, 312) 및 식각 영역(220, 320)이 형성된다.
이어,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킹 부재(800)를 제거한다. 식각 단계(S08)와 마스킹 부재(800)의 제거 단계 사이에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의 배면에 묻은 식각액을 제거하는 세정 단계가 더 수행될 수 있다.
이후, 마스킹 부재(800)가 제거된 평판형 표시 장치를 곡면화하며,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곡면형 표시 장치를 완성할 수 있다.
이하, 표시 장치에 관한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설명한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19의 표시 장치는 제2 밀봉재(130_1)의 형상이 도 4의 표시 장치와 상이하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제1 기판(200)의 돌출 영역의 배면(203)과 제2 밀봉재(130_1)의 제2 면(132_1)은 동일 레벨에 있고, 제2 기판(300)의 돌출 영역의 배면(303)과 제2 밀봉재(130_1)의 제1 면(131_1)은 동일 레벨에 있는 것까지는 도 4의 실시예와 유사하다. 즉, 제2 밀봉재(130_1)의 제2 면(132_1)과 제1 면(131_1)은 각각 제1 기판(200) 및 제2 기판(300)의 돌출 영역의 배면(203, 303)과 동일한 평면에 놓인다. 다만,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2 밀봉재(130_1)는 제1 면(131_1)과 테두리면(135_1) 사이 및 제2 면(132_1)과 테두리면(135_1) 사이에 둥근 모서리를 포함하는 점에서 도 4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이와 같이 제2 밀봉재(130_1)가 둥근 모서리를 가지면, 모서리 부분의 크랙 방지에 유리하고, 날카로운 모서리에 의한 안전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도 20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0은 제2 밀봉재(130_2)의 제1 면(131_2)과 제2 면(132_1)이 볼록면을 포함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도 20을 참조하면, 제2 밀봉재(130_2)의 제2 면(132_2)과 제1 면(131_1)은 대응하는 제1 기판(200)의 배면 및 제2 기판(300)의 배면보다 높은 레벨을 갖는다. 즉, 제2 밀봉재(130_2)의 제2 면(132_2)의 볼록면은 제1 기판(200)의 배면보다 두께 방향인 제3 방향(dr3) 타측으로 더 돌출된다. 또한, 제2 밀봉재(130_2)의 제1 면(131_2)의 볼록면은 제2 기판(300)의 배면보다 두께 방향인 제3 방향(dr3) 일측으로 더 돌출된다. 제2 밀봉재(130_2)의 두께는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의 배면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도 21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의 실시예는 제2 밀봉재(130_3)는 테두리면(135_3)으로부터 돌출된 외측 팁(tip)부(136_3a, 136_3b)를 포함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외측 팁부(136_3a, 136_3b)는 제2 밀봉재(130_3)의 테두리면(135_3)에 형성되며, 제1 면(131_3)과 제2 면(132_3)에 인접하여 배치된다. 외측 팁부(136_3a, 136_3b)는 표시 장치의 제조과정에서, 제1 가이드 부재(601)와 밀봉 수지(130a) 사이의 표면 장력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외측 팁부(136_3a, 136_3b)는 제2 밀봉재(130_3)에서 평탄면인 테두리면(135_3)보다 제1 방향(dr1)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며, 단면상 첨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2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2의 실시예는 제2 밀봉재(130_4)가 테두리면(135_4)으로부터 돌출된 팁부를 포함하는 것은 도 21의 실시예와 동일하지만, 팁부가 제1 면(131_3)과 제2 면(132_3)이 아닌 구동 연결 필름(410)에 인접하여 형성된 내측 팁부(137_4a, 137_4b)인 점에서 도 21의 실시예와 차이가 있다. 내측 팁부(137_4a, 137_4b)는 표시 장치의 제조과정에서, 구동 연결 필름(410)과 밀봉 수지(130a) 사이의 표면 장력에 의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내측 팁부(137_4a, 137_4b)는 제2 밀봉재(130_4)에서 평면인 테두리면(135_4)보다 제1 방향(dr1)으로 돌출된 형상일 수 있으며, 단면상 첨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3은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3의 실시예는 밀봉재(130_5)가 테두리면(135_5)으로부터 제1 방향(dr1)으로 돌출된 외측 팁부(136_5a, 136_5b)와 내측 팁부(137_5a, 137_5b)를 모두 포함할 수 있음을 예시한다. 본 실시예의 외측 팁부(136_5a, 136_5b)와 내측 팁부(137_5a, 137_5b)는 도 21의 외측 팁부 및 도 22의 내측 팁부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24는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부분 확대 단면도이다. 도 24는 제2 밀봉재(130_6)의 제2 면(132_6)과 제1 면(131_6)이 제1 기판(200) 및 제2 기판(300)의 배면보다 낮은 레벨을 가질 수 있음을 예시한다. 즉, 제1 기판(200)의 배면은 제2 밀봉재(130_6)의 제2 면(132_6)보다 두께 방향인 제3 방향(dr3) 타측으로 더 돌출되고, 제2 기판(300)의 배면은 제2 밀봉재(130_6)의 제1 면(131_6)보다 두께 방향인 제3 방향(dr3) 일측으로 더 돌출된다. 제2 밀봉재(130_2)의 두께는 제1 기판(200)과 제2 기판(300)의 배면 사이의 거리보다 작을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제2 밀봉재(130_6)의 제1 면(131_6)과 제2 면(132_6)에서 평면 부분이 제2 밀봉재(130_6)의 테두리면(135_6)까지 이어지도록 도시하였지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제2 밀봉재(130_6)의 제1 면(131_6)과 제2 면(132_6)이 오목면을 포함하도록 형성시킬 수도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10: 실링 부재
120: 제1 밀봉재
130: 제2 밀봉재
200: 제1 기판
300: 제2 기판
410: 구동 연결 필름
420: 구동회로기판
500: 액정층

Claims (15)

  1.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에 부착된 구동 연결 필름;
    일면이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대향하는 제2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의 일측 단부에 배치된 밀봉재; 및
    상기 구동 연결 필름의 일단에 부착된 구동회로기판을 포함하되,
    상기 제1 기판은 상기 제2 기판과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는 중첩 영역 및 상기 제2 기판과 비중첩하는 비중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구동 연결 필름은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비중첩 영역에서 부착되고,
    상기 밀봉재는 상기 비중첩 영역의 상기 제1 기판의 일면,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 및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에 접하고, 상기 구동 연결 필름을 부분적으로 둘러싸며,
    상기 밀봉재의 상기 일측 단부는 상기 구동 연결 필름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밀봉재는 내산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재는 상기 구동회로기판과 중첩하지 않고,
    상기 제1 기판은 제1 식각 영역 및 상기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식각 영역보다 두께가 두꺼운 제1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기판은 제2 식각 영역 및 상기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식각 영역보다 두께가 두꺼운 제2 돌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식각 영역과 상기 제2 식각 영역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고,
    상기 밀봉재의 제1 면은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돌출 영역의 배면과 동일 레벨에 있고,
    상기 밀봉재의 제2 면은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돌출 영역의 배면과 동일 레벨에 있고,
    상기 밀봉재의 제1 면은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돌출 영역의 배면과 평행하고,
    상기 밀봉재의 제2 면은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돌출 영역의 배면과 평행한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은 동일 레벨에 위치한 표시 장치.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은 상기 밀봉재의 제1 면 및 상기 밀봉재의 제2 면과 각각 직각을 이루는 표시 장치.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은 각각 상기 제1 식각 영역과 상기 제2 식각 영역이 휘어진 곡면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재는 상기 제1 기판 및 상기 제2 기판의 일 변을 따라 배치되는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연결 필름은 플렉서블한 필름을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구동 연결 필름은 상기 밀봉재에 의해 고정된 고정 영역 및 상기 밀봉재의 상기 일측 단부 외측에 위치하는 비고정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
  11. 제1 기판 부재, 상기 제1 기판 부재의 일측 단부에서 상기 제1 기판 부재의 일면 상에 부착된 구동 연결 필름, 일면이 상기 제1 기판 부재의 일면과 대향하는 제2 기판 부재, 및 상기 구동 연결 필름의 일단에 부착된 구동회로기판을 포함하는 평판형 표시 장치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부재의 배면 및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배면 상에 제1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로서, 상기 제1 기판 부재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 및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으로부터 연장되는 제1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기판 부재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상기 일측 단부의 측면, 및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에 의해 정의된 공간 내에 밀봉 수지를 충진하는 단계; 및
    상기 밀봉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 수지를 경화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를 제거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기판 부재와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상기 일측 단부를 마스킹하고 상기 제1 기판 부재와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배면을 식각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밀봉 수지가 경화된 밀봉재는 내산성 수지를 포함하고,
    상기 밀봉재는 상기 구동회로기판과 중첩하지 않고,
    식각된 상기 제1 기판 부재인 제1 기판은 제1 식각 영역 및 상기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1 식각 영역보다 두께가 두꺼운 제1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식각된 상기 제2 기판 부재인 제2 기판은 제2 식각 영역 및 상기 일측 단부에 위치하고 상기 제2 식각 영역보다 두께가 두꺼운 제2 돌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 식각 영역과 상기 제2 식각 영역은 두께 방향으로 중첩하고,
    상기 밀봉재의 제1 면은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돌출 영역의 배면과 동일 레벨에 있고,
    상기 밀봉재의 제2 면은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돌출 영역의 배면과 동일 레벨에 있고,
    상기 밀봉재의 제1 면은 상기 제2 기판의 상기 돌출 영역의 배면과 평행하고,
    상기 밀봉재의 제2 면은 상기 제1 기판의 상기 돌출 영역의 배면과 평행한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일측 단부와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배면에 배치되는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일측 단부는 동일 높이에 위치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3.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 후에, 상기 제1 가이드 부재의 외측면 상에 상기 제1 가이드 부재보다 경도가 높은 물질을 포함하는 제2 가이드 부재를 배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14. 삭제
  15.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판 부재와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상기 일측 단부를 마스킹하는 단계 전에, 상기 일측 단부의 상기 제1 기판 부재와 상기 제2 기판 부재의 배면을 연마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0190089314A 2019-07-24 2019-07-24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003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314A KR102200337B1 (ko) 2019-07-24 2019-07-24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89314A KR102200337B1 (ko) 2019-07-24 2019-07-24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00337B1 true KR102200337B1 (ko) 2021-01-08

Family

ID=74127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89314A KR102200337B1 (ko) 2019-07-24 2019-07-24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0033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879B1 (ko) * 2022-05-12 2023-10-27 주식회사 토비스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753A (ko) * 2012-08-22 2014-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3448A (ko) * 2012-10-26 2015-07-17 주식회사 토비스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101624717B1 (ko) * 2014-12-24 2016-05-26 주식회사 토비스 지연식각부재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패널의 식각방법
KR101658432B1 (ko) * 2015-04-01 2016-09-21 주식회사 토비스 디스플레이패널의 식각을 위한 디스플레이패널의 씰링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패널의 식각방법
KR20170143355A (ko) * 2016-06-21 2017-12-29 주식회사 토비스 곡면형 디스플레이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곡면형 디스플레이패널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5753A (ko) * 2012-08-22 2014-03-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83448A (ko) * 2012-10-26 2015-07-17 주식회사 토비스 곡면형 디스플레이의 제조방법
KR101624717B1 (ko) * 2014-12-24 2016-05-26 주식회사 토비스 지연식각부재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패널의 식각방법
KR101658432B1 (ko) * 2015-04-01 2016-09-21 주식회사 토비스 디스플레이패널의 식각을 위한 디스플레이패널의 씰링방법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패널의 식각방법
KR20170143355A (ko) * 2016-06-21 2017-12-29 주식회사 토비스 곡면형 디스플레이패널의 제조방법 및 이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곡면형 디스플레이패널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94879B1 (ko) * 2022-05-12 2023-10-27 주식회사 토비스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WO2023219387A1 (ko) * 2022-05-12 2023-11-16 주식회사 토비스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64713B2 (en) Curved display panel manufacturing method
CN106449699B (zh) 柔性显示装置
EP3291656B1 (en) Display device
JP6010282B2 (ja) 表示パネル
US20140226111A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curved-surface display
US20160313478A1 (en) Flexible substrate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2115174B1 (ko) 표시 패널
JP2018060096A (ja) 表示装置
US20210202868A1 (en) Display apparatus
US20130308076A1 (en) Flexible display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20200145934A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US12007634B2 (en)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US9674957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2339969B1 (ko) 칩-온-필름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장치
KR102200337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158617B1 (ko) 곡면형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US20210202853A1 (en) Display apparatus
KR102557962B1 (ko) 터치스크린을 구비하는 평판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JP2003337543A (ja) 表示装置
KR102247790B1 (ko) 곡면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01719B1 (ko) 터치 센싱 유닛 및 표시 장치
KR102026422B1 (ko) 표시 패널
CN114550603A (zh) 拼接屏、拼接屏制造方法和显示装置
KR102228447B1 (ko)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609472B1 (ko)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