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9640B1 -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 - Google Patents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9640B1
KR102189640B1 KR1020200093772A KR20200093772A KR102189640B1 KR 102189640 B1 KR102189640 B1 KR 102189640B1 KR 1020200093772 A KR1020200093772 A KR 1020200093772A KR 20200093772 A KR20200093772 A KR 20200093772A KR 102189640 B1 KR102189640 B1 KR 1021896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inner circumferential
unit
packing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37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목
Original Assignee
김영목
비타네이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목, 비타네이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목
Priority to KR10202000937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964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96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96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41/00Caps, e.g. crown caps or crown seals, i.e. members having parts arranged for engagement with the external periphery of a neck or wall defining a pouring opening or discharge aperture; Protective cap-like covers for closure members, e.g. decorative covers of metal foil or paper
    • B65D41/02Caps or cap-like covers without lines of weakness, tearing strips, tags, or like opening or removal devices
    • B65D41/0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 B65D41/0407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 B65D41/0414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 B65D41/0421Threaded or like caps or cap-like covers secured by rotation with integral sealing means formed by a plug, collar, flange, rib or the like contacting the internal surface of a container neck and combined with integral sealing means contacting other surfaces of a container neck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34/00Container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handling liquid toiletry or cosmetic substances, e.g. perfumes
    • A45D2034/002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05Details of containers
    • A45D2200/051Airtight contain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0Packaging reuse or recycling, e.g. of multilayer packag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캡부에 조립되는 패킹부를 구성함으로써 용기본체의 입구에 보다 긴밀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를 개시한다. 본 발명은 용기본체부의 입구를 개방 및 밀폐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로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내주턱이 형성된 캡부; 상기 캡부의 상기 개방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부의 상기 내주턱이 끼워지도록 상기 캡부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외주턱과, 상기 용기본체부의 입구에 삽입되는 원통영역을 구비한 패킹부; 및 상기 패킹부가 상기 캡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캡부를 수용하여 상기 패킹부가 상기 캡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싱부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SEALED CAP ASSEMBLY FOR COSMETIC CONTAINER}
본 발명은 밀폐 캡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기는 화장품이나 약물 등과 같은 액상의 물질을 보관하는데 사용되고 있다. 특히 화장품 용기는 유통 중이거나 진열 보관시 또는 개봉 전은 물론이고 개봉후의 사용 중에도 내용물의 누출을 효과적으로 예방하는 기능이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러한 용기에는 용기의 개방과 밀폐를 위해 캡 형태의 용기뚜껑이 제공된다.
종래의 화장품을 수용하는 용기는 유리병이나 튜브 형태의 바디에 화장품을 수용하는 단순한 구조가 일반적이다. 이 중, 액상의 화장품인 경우에는 대개 유리 용기가 사용되고, 겔이나 크림 형태의 화장품인 경우에는 튜브 형태의 용기가 주로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화장품이 담아져 있는 바디의 상면에 캡이 단순히 착탈가능한 구조로만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바디의 견고한 기밀 및 수밀성을 기대하기 어렵다.
예를 들어, 종래의 화장품 용기는 바디에 캡이 결합되어 있어도 용기 바디와 캡의 결합부위를 통해 공기가 얼마든지 유동할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즉 대개의 경우 바디 용기에서 캡을 열어둔 상태로 화장품을 사용하는데, 이때 화장품이 담아져 있는 바디 용기의 토출구(입구)가 대기 중에 그대로 노출될 수 있다. 나아가 이 토출구를 통해 대기 중의 이물질이나 물 등이 용기 내부로 침투되면 화장품의 고유 기능이 상실되어 더 이상 화장품으로서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다양한 용기뚜껑의 결합구조가 제안되어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도 1를 참조하면 종래의 화장품 용기뚜껑(100)은 밀폐용 리브(101)를 일체로 성형하고 화장품 용기(200)의 병목부(201)에는 버진 시일(즉 '패킹'; 203)이 장착된 별도의 용기패킹(202)을 설치하여 유통 중이나 버진 시일(203) 개봉 전에 내용물의 누설을 방지하는 구조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버진 시일(203)을 개봉한 후에는 용기패킹(202)과 용기뚜껑(100) 사이의 공간에 내용물이 고여 있다가 사용시 흘러 나오는 문제가 있고, 제조면에 있어서 부품수가 많아져 생산공정이 복잡해지고 생산 비용이 높은 단점이 있었다.
다른 예로서, 액상의 비타민제 등을 수용한 화장품 용기에 용기뚜껑의 결합구조가 적용된 경우가 있다. 비타민제 등이 수용된 용기의 경우, 운송 과정이나 휴대시에 흔들림으로 인해 용기의 내부에 가스가 발생하여 용기 내부의 압력이 상승하게 된다. 이 경우 용기를 밀폐하고 있는 패킹(도 1에서 버진 시일; 203)의 하부에서 용기의 내부에서 팽창된 압력이 가하게 되어 패킹이 밀려 올라가서 밀폐성능이 저하되고, 심하면 내용물의 누유나 용기 내부로의 공기유입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가 제기되었다.
아울러 용기 내부에 포함된 물질에 따라 용기 내부에 상당한 팽창압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상황에서 사용을 위해 패킹을 개방하게 되면, 그 팽창 압력에 의해 패킹이 사용자의 안면 등으로 튕겨져 상해 등을 입히는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를 위해 종래에는 도 2와 같이 패킹부(2)가 뚜껑부(1)에 일체로 형성된 용기뚜껑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용기뚜껑은 종래의 다른 용기뚜껑과 동일하게 내측에 병목부에 결합을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고, 뚜껑부(1)의 내측에는 용기의 개구부를 밀폐하기 위한 패킹부(2)가 일체로 형성된 구성을 갖는다.
이러한 용기뚜껑은 사용자가 용기본체에서 용기뚜껑을 돌려서 개방하면, 뚜껑부(1)에 일체로 형성된 패킹부(2)가 용기본체의 개구 측에서 용기뚜껑과 함께 분리된다. 따라서 화장품 용기를 용이하게 개방시켜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또한 사용 후에 용기뚜껑을 다시 용기본체에 돌려서 간편하게 밀폐시킬 수 있어 사용 상의 장점있다.
그러나 이러한 구성의 용기뚜껑은 뚜껑부(1)와 패킹부(2)가 동일한 재질(통상 플라스틱)로 사출 성형하여 제작된다. 따라서 용기부의 병목부의 내부에 긴밀한 밀착력을 확보하기 어려운 문제가 제기되었다. 즉 용기본체는 통상적으로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되기 때문에 병목부의 내주면은 일부에 변형구간을 갖게 된다(즉 사출에 의해 내주면이 일정한 곡률을 갖는 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변경구간을 밀폐하기에는 뚜껑부(1)에 일체로 형성된 패킹부(2; 플라스틱재질의 패킹)는 적합하지 않아 견고한 밀폐성능을 확보할 수 없으며, 때때로 내용물이 유출되는 등의 사용상 불편한 문제가 제기되었다.
<선행문헌 1> :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5-0050378호(공개일자: 2005년 5월 31일)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서, 화장품 용기의 개폐를 용이하게 하면서도, 용기 내부 압력이 상승하여 패킹이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종래의 금속재질의 케이싱을 플라스틱재질의 케이싱으로 대체하여 추후 분리배출이 용이하고 재활용이 용이한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위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실시 형태에 따르면, 용기본체부의 입구를 개방 및 밀폐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로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내주턱이 형성된 캡부; 상기 캡부의 상기 개방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부의 상기 내주턱이 끼워지도록 상기 캡부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상하로 배치된 복수의 외주턱과, 상기 용기본체부의 입구에 삽입되는 원통영역을 구비한 패킹부; 및 상기 패킹부가 상기 캡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캡부를 수용하여 상기 패킹부가 상기 캡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복수의 외주턱의 사이의 둘레면에는 적어도 하나의 슬립방지 노치가 형성되고, 상기 슬립방지 노치와 대응되는 상기 캡부의 내주턱의 일부에는 적어도 하나의 고정영역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캡부의 하단에는 외측으로 돌출된 형상의 하부 장착턱이 형성되며, 상기 케이싱의 내주면에는 상기 하부 장착턱이 삽입되어 고정되는 하부 장착홈이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캡부의 외측 둘레면에는 다수의 수직리브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패킹부의 상기 원통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환형 리브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용기본체부의 입구를 개방 및 밀폐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로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내주턱이 형성되고, 상기 내주턱에는 다수의 관통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슬릿의 사이에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캡부; 상기 캡부의 상기 개방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부의 상기 내주턱의 전체가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돌기가 위치하는 상부홈과 상기 내주턱의 일부가 수용되는 측면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외주턱과, 상기 용기 본체부의 입구에 삽입되는 원통영역을 구비한 패킹부; 및 상기 패킹부가 상기 캡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캡부를 수용하여 상기 패킹부가 상기 캡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가 제공된다.
상기 캡부의 상기 관통슬릿은 상기 내주턱의 상면에 관통된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캡부의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내주턱의 상면에서 일정높이 연장된 형태로 제공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부에 조립되는 패킹부를 구성함으로써 용기본체의 입구에 보다 긴밀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고, 다양한 형태의 용기본체의 입구에 적용할 수 있어 제품 신뢰성과 사용 편의성을 증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싱부를 캡부에서 착탈이 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사용 후에 재활용이 용이하여 환경개선의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구조체의 일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2는 종래의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구조체의 다른 예를 도시한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의 캡부의 사시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의 패킹부의 사시도,
도 5b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의 패킹부를 다른 각도에서 보여주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의 케이싱부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의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의 캡부의 사시도,
도 11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의 패킹부의 사시도,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또한, 사용되는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에 있어서 다른 정의가 없다면, 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통상적으로 이해하고 있는 의미를 갖는다. 하기의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첨부된 도면들은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제시되는 도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또한, 명세서 전반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들로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는 케이싱부(10), 캡부(20), 및 패킹부(30)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도 4와 같이 캡부(20)는 상부가 좁고 하부로 갈수록 넓어지는 원통형으로 구성된다. 또한 캡부(20)는 합성수지(플라스틱)재질로 사출성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캡부(20)는 내주면에 나사산(25)이 형성되고, 캡부(20)의 외주면 전체에 걸쳐 수직하게 형성된 수직리브(24)가 형성된다. 또한 캡부(20)의 상단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일정길이 돌출된 내주턱(21)이 형성되고, 내주턱(21)의 일부에는 서로 마주하는 위치에 제1 고정영역(22a)과 제2 고정영역(22b)이 형성된다.
또한 캡부(20)의 하단 둘레면에는 외주를 따라 돌출형성된 하부 장착턱(23)이 형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있어서, 패킹부(30)는 원통영역(35)이 형성되고, 원통영역(35)의 상부에는 제1 외주턱(31)과 제2 외주턱(32)이 외측방향으로 일정길이만큼 돌출형성된다. 또한 원통영역(35)의 중간에는 한 쌍의 환형 리브(33a,33b)가 일정 간격을 두고 상하로 각각 형성된다. 이때 제1 환형 리브(33a)보다 하부측에 위치한 제2 환형 리브(33b)를 더 두껍게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환형 리브(33b)를 더 두껍게 구성함으로써 패킹부(30)가 용기본체부(50)의 병목(51)에 삽입된 상태에서 하부측의 제2 환형 리브(33b)의 밀착력을 보다 증대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30)의 제1 외주턱(31)과 제2 외주턱(32)의 사이의 외주면에는 일정길이의 평면으로 이루어진 슬립방지 노치(32a)가 형성된다. 이때 도 5b에는 보이지 않지만 슬립방지 노치(32a)는 복수 개가 서로 마주하는 위치(원통영역(35)의 외주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 슬립방지 노치(32a)는 캡부(20)에 패킹부(30)가 삽입된 상태에서 내주턱(21)을 따라 패킹부(30)가 회전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제공된다. 즉 내주턱(21)에 형성된 제1 고정영역(22a)과 제2 고정영역(22b)에 맞춰 패킹부(30)의 슬립방지 노치(32a)가 맞물리게 위치함으로써 패킹부(30)가 캡부(20)에 장착된 상태에서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캡부에서 패킹부가 자유회전되어 밀폐성능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함).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용기 본체부(50)의 병목(51)의 외주면에는 체결 나사산(52)이 형성된다. 이 체결 나사산(52)에 캡부(20)의 나사산(25)이 체결되는 것으로 캡부(20)는 용기 본체부(50)의 입구(병목; 51)에 장착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용기 본체부(50)의 병목(51)에는 패킹부(30)의 원통부(35)가 삽입된다. 이때 병목(51)의 내주면에는 제1 및 2 환형 리브(33a,33b)가 밀착됨으로써 패킹부(30)는 보다 높은 밀폐성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캡부(20)의 내주턱(21)은 패킹부(30)의 제1 외주턱(31)과 제2 외주턱(32)의 사이의 홈에 삽입된다. 이 상태로 패킹부(30)는 캡부(20)의 내부에 결합된 상태를 이룬다.
한편 캡부(20)에 패킹부(30)가 삽입된 상태에서 캡부(20)에는 케이싱부(10)가 끼워진다. 구체적으로 케이싱부(10)는 밀폐된 상태의 상부면(11)과 상부면(11)의 둘레를 따라 수직하게 연장된 외주면(12)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케이싱부(10)는 캡부(20)의 상부를 덮도록 장착되고, 캡부(20)의 하부에 형성된 하부 장착턱(23)이 케이싱부(10)의 내주면 하단측에 형성된 하부 장착홈(13)이 끼워짐으로써 캡부(20)가 케이싱부(10)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케이싱부(10)가 캡부(20)에 장착됨으로써 캡부(20)의 내부에 삽입된 패킹부(30)가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도 7과 같이 용기 본체부(50)에 장착된 상태에서 용기 본체부(50)의 내부 압력이 높아진 경우 패킹부(30)가 용기 본체부(50)의 내부 압력에 의해 밀려 올라가 밀폐상태가 해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케이싱부(10)는 금속이 아닌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져, 용기의 사용 후에도 재활용이 가능하다. 즉 종래의 금속재질로 케이싱부(10)를 형성한 경우에는 분리수거가 불가능하여 재활용이 어려운 문제가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케이싱부(10)를 플라스틱으로 형성하고, 캡부(20)와 하부 장착턱(23)과 하부 장착홈(13)에 의해 쉽게 분리가능하게 결합된 구조를 제공함으로써, 용기의 사용 후에도 분리수거나 재활용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제1 실시예서는 캡부(20)와 케이싱부(10)가 하부 장착턱(23)과 하부 장착홈(13)이 서로 끼워맞춤되는 것으로 결합되는 예로 설명하였다. 또한, 제2 실시예에서는 금속재질의 케이싱부(10)가 적용된 예를 설명하였다. 이 경우 금속재질의 케이싱부(10a)는 하부에 앞서 설명한 장착홈을 포함하지 않고, 이와 대응되도록 캡부(20a)에도 앞서 설명한 장착턱을 포함하여 구성되지 않는다.
즉,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케이싱부(10)는 캡부(20)에 고온융착에 의해 접합되는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케이싱부(10)의 고정은 고정턱과 고정홈을 통한 착탈방식(제1 실시예)로 구성하거나, 본 실시예와 같이 고온융착방식에 의해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케이싱부(10)는 필요에 따라 앞서 설명한 2가지 방식 중 택일하여 캡부(20)에 장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캡부(20)에 조립되는 패킹부(30)를 구성하여, 캡부(20)와 상이한 고무나 실리콘재질로 구성하여, 이를 통해 용기본체부(50)의 입구에서 보다 긴밀한 밀착력을 제공할 수 있고, 곡률이 일정하지 않은 다양한 형태의 용기본체에도 적용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밀폐 캡 조립체는 제품 신뢰성과 사용 편의성을 모두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케이싱부를 캡부에서 착탈가능하게 장착함으로써 사용 후에 재활용이 가능하다.
다음으로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르면, 도 10과 같이 캡부(60)의 내주턱(63)의 평면 상에는 상하로 관통된 관통슬릿(62)이 형성된다. 또한 관통슬릿(62)의 사이에는 고정돌기(61)가 형성되는데, 고정돌기(61)는 내주턱(63)의 평면상에서 상부로 돌출되게 형성된다. 이 밖에 캡부(60)의 다른 구성은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동일하다.
한편 도 11 및 도 12와 같이, 패킹부(70)는 캡부(60)의 내주턱(63)을 감싸도록 제1 외주턱(71)과 제2 외주턱(72)이 형성된다. 이때 패킹부(70)의 형성은 통상의 인서트 사출의 방식을 적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사출성형을 통해 플라스틱 재질의 캡부(60)를 형성한다. 즉 캡부(60)에는 내주턱(63)에 관통슬릿(62)과 고정돌기(63)가 형성된 구성으로 성형된다(1차 사출성형).
다음으로 캡부(60)의 내부에 패킹부(70)에 대응하는 주형을 설치하고 통상의 패킹부재의 원료(고무나 실리콘재)를 주형에 부어 넣어 사출성형한다(2차 사출성형).
이러한 방식으로 2차 사출성형한 패킹부(70)는 도 11과 같은 형태를 이룬다. 즉 캡부(60)의 내주턱(63)을 완전하게 둘러싸도록 상부의 제1 외주턱(71)과 그 측면의 제2 외주턱(72)이 형성된다. 이때 제1 외주턱(71)에는 사출 성형시 캡부(60)의 고정돌기(64)가 위치하는 상부홈(73)이 형성되고, 제2 외주턱(72)의 측면에는 내주턱(63)의 일부가 수용된 측면홈(74)이 형성된다.
즉, 도 11과 같이 본 실시예에서 패킹부(70)는 캡부(60)의 내주턱(63)을 완전하게 둘러싸도록 구성된다. 이에 따라 용기부 내에 강한 압력이 걸려서 패킹부(70)가 캡부(60)의 상부로 솟아 올라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패킹부(70)의 상부홈(73)와 측면홈(74)이 캡부(60)의 고정돌기(64)와 내주턱(63)의 고정영역(61)에 각각 위치함으로써, 캡부(60)를 용기본체에 체결하는 과정에서 패킹부(70)가 수평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캡부(60)의 내주턱(63)을 완전하게 감싸는 형태로 패킹부(70)의 외주턱(71,72)을 형성한 구성이 제공된다. 이를 통해 패킹부(70)를 보다 견고하게 캡부(60)의 내주턱(63)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종래에 충격이나 흔들림에 의해 용기 내부의 압력이 고압(내용물의 평창에 의해)을 형성하고 그로 인해 패킹부(70)가 캡부(60)의 상부로 융기되어 분리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특정의 실시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0: 케이싱부
11: 상부면
12: 외주면
13: 하부 장착홈
20, 60: 캡부
21,63: 내주턱
22a: 제1 고정영역
22b: 제2 고정영역
23: 하부 장착턱
24: 수직리브
25: 나사산
30,70: 패킹부
31,71: 제1 외주턱
32,72: 제2 외주턱
33a: 제1 환형 리브
33b: 제2 환형 리브
35: 원통영역
32a: 슬립방지 노치
50: 용기본체부

Claims (5)

  1. 용기 본체부의 입구를 개방 및 밀폐하기 위한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로서,
    내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고 상부에 개방구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의 내주면에는 내측으로 일정길이만큼 돌출된 내주턱이 형성되고, 상기 내주턱에 다수의 관통슬릿이 형성되고 상기 관통슬릿의 사이에는 다수의 고정돌기가 형성된 캡부;
    상기 캡부의 상기 개방구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캡부의 상기 내주턱의 전체가 수용되도록 상기 고정돌기가 위치하는 상부홈과 상기 내주턱의 일부가 수용되는 측면홈이 형성되고 상기 캡부의 상부 외주면을 따라 배치된 외주턱과, 상기 용기 본체부의 입구에 삽입되는 원통영역을 구비한 패킹부; 및
    상기 패킹부가 상기 캡부에 결합된 상태에서 상기 캡부를 수용하여 상기 패킹부가 상기 캡부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케이싱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캡부의 상기 관통슬릿은 상기 내주턱의 상면에 관통된 형태로 제공되고,
    상기 캡부의 상기 고정돌기는 상기 내주턱의 상면에서 일정높이 연장된 형태로 제공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200093772A 2020-07-28 2020-07-28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 KR1021896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772A KR102189640B1 (ko) 2020-07-28 2020-07-28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3772A KR102189640B1 (ko) 2020-07-28 2020-07-28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9640B1 true KR102189640B1 (ko) 2020-12-11

Family

ID=737862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3772A KR102189640B1 (ko) 2020-07-28 2020-07-28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96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634B1 (ko) * 2022-04-04 2022-06-23 김영목 기밀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조립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030B1 (ko) * 2011-04-04 2013-03-06 석종철 밀폐용기용 뚜껑
JP3215464U (ja) * 2018-01-09 2018-03-22 一也 花田 蓋付容器
JP6346229B2 (ja) * 2016-09-09 2018-06-20 猛夫 田辺 飲料用容器の栓体並びに飲料用容器
KR101918477B1 (ko) * 2017-03-15 2018-11-14 (주)아모레퍼시픽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뚜껑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40030B1 (ko) * 2011-04-04 2013-03-06 석종철 밀폐용기용 뚜껑
JP6346229B2 (ja) * 2016-09-09 2018-06-20 猛夫 田辺 飲料用容器の栓体並びに飲料用容器
KR101918477B1 (ko) * 2017-03-15 2018-11-14 (주)아모레퍼시픽 뒤틀림 방지 구조를 갖는 용기뚜껑
JP3215464U (ja) * 2018-01-09 2018-03-22 一也 花田 蓋付容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12634B1 (ko) * 2022-04-04 2022-06-23 김영목 기밀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조립체
WO2023195672A1 (ko) * 2022-04-04 2023-10-12 주식회사 경민산업 기밀성이 향상된 화장품 용기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58832C2 (ru) Укупороч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набженное клапаном, и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5297688A (en) Closure for sealing a container rim
KR102085110B1 (ko) 화장품 용기
US20110108509A1 (en) Container closure
PL177645B1 (pl) Pokrywka pojemnika, zwłaszcza butelki
US11267624B2 (en) Two-piece cap
US6305579B1 (en) Snap-on screw-off closure
CN111051208A (zh) 封盖
CZ20021922A3 (cs) Výlevka s ochranou proti skapávání a uzávěr
US6427881B1 (en) Edge seal closure
KR102189640B1 (ko) 화장품 용기의 밀폐 캡 조립체
CA2459100A1 (en) Closure cap
US5950851A (en) Safety closure and container having biasing means
ITBO950151U1 (it) Capsula a vite in materiale plastico per la chiusura di contenitori
US2104413A (en) Closure for containers
GB2080775A (en) Plastics container and closure device
JP3606939B2 (ja) ピルファープルーフキャップの密封栓
RU2272765C2 (ru) Выливное устройство с усовершенствованной блокировкой и укупорочный колпачок, снабженный таким выливным устройством
KR102373120B1 (ko) 분리배출 및 재활용이 가능한 화장품 용기 조립체
JP5386398B2 (ja) 密閉容器
JP3676024B2 (ja) 内容物吐出容器のキャップ
JP3805516B2 (ja) 二液押出し容器
KR100560305B1 (ko) 화장품 용기의 구조 및 이의 제작방법
US20240140659A1 (en) Aseptic container closure having a hinge and a mouthpiece
KR102620222B1 (ko) 리필이 용이한 내용물 용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