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74834B1 - 자동차 휠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휠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74834B1
KR102174834B1 KR1020197005317A KR20197005317A KR102174834B1 KR 102174834 B1 KR102174834 B1 KR 102174834B1 KR 1020197005317 A KR1020197005317 A KR 1020197005317A KR 20197005317 A KR20197005317 A KR 20197005317A KR 102174834 B1 KR102174834 B1 KR 1021748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ring
leaf spring
vehicle
fixing device
wheel suspe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53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30229A (ko
Inventor
인고 빈테르
Original Assignee
폭스바겐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폭스바겐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폭스바겐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900302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302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748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748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 B60G11/0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leaf springs only arranged substantially transverse to the longitudinal axis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3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 B60G11/3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 B60G11/38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and also rubber springs
    • B60G11/4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springs of different kinds including leaf springs and also rubber springs the rubber springs being attached to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3/00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 B60G3/1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 B60G3/28Resilient suspensions for a single wheel with two or more pivoted arms, e.g. parallelogram at least one of the arms itself being resilient, e.g. leaf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8Attaching arms to unsprung part of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2Attaching arms to sprung part of vehi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00Springs
    • F16F1/02Springs made of steel or other material having low internal friction; Wound, torsion, leaf, cup, ring or the like springs, the material of the spring not being relevant
    • F16F1/18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0/00Indexing codes relating to suspension types
    • B60G2200/10Independent suspensions
    • B60G2200/18Multilink suspensions, e.g. elastokinematic arrangements
    • B60G2200/182Multilink suspensions, e.g. elastokinematic arrangements with one longitudinal arm or rod and lateral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1Leaf spring
    • B60G2202/114Leaf spring transversally arran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4Plastic spring, e.g. rubber
    • B60G2202/143Plastic spring, e.g. rubber subjected to co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1Mounting of 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5Mounting of rubber type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8Bearings, e.g. ball or roller b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22Links for mounting suspension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2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left and right unit on same ax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80Interactive suspensions; arrangement affecting more than one suspension unit
    • B60G2204/83Type of interconnection
    • B60G2204/8302Mechanic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8Leaf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70Materials used in suspensions
    • B60G2206/71Light weight materials
    • B60G2206/7101Fiber-reinforced plastics [FRP]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24/00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 F16F2224/02Materials; Material properties solids
    • F16F2224/0241Fibre-reinforced plastics [FR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 Sp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 휠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치(10)에 관한 것으로,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 1 판 스프링(11)과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 2 판 스프링(12)을 포함한다. 제 2 판 스프링(12)은 제 1 판 스프링(11)보다 짧고, 제 1 판 스프링(11)과 함께 V형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V형 구조는 V형상의 병합 단부들의 영역에 차체즉 지지를 위한 제 1 고정 장치(13)를 갖고, 제 1 판 스프링(11)의 V형상의 자유 단부에는 휠측 지지를 위한 제 2 고정 장치(14)를 갖고, 제 2 판 스프링(12)에 차체측 지지를 위한 제 3 고정 장치(15)를 갖는다.

Description

자동차 휠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기술 분야 및 이 경우에 특히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 1 판 스프링을 포함하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술한 방식의 스프링 장치는 DE 32 43 434 A1호에 자동차의 후차축과 관련해서 공개되어 있다.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판 스프링은 가로방향 제어 암의 방식으로 차량 가로 방향으로 휠 캐리어로 연장되고, 차체 측으로는 금속으로 이루어진 고정된 축 캐리어에 대해 고정된다.
또한, DE 10 2013 209 648 A1호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에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곡선형 스프링의 사용을 개시한다.
차체의 지지를 위해 및/또는 경우에 따라서 휠 가이드를 위해서도 휠 서스펜션에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스프링 장치들의 사용에 의해 자동차축의 중량이 감소할 수 있다. 해당하는 스프링 장치들이 특히 횡단 판 스프링으로서 사용되면, 즉, 주로 차량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면, 차체측 연결부의 영역에 거대한 구조가 형성되고, 상기 구조는 더 경량인 스프링 장치의 중량 장점을 약화시킨다.
본 발명의 과제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에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판 스프링들의 중량 장점을 가급적 효율적으로 자동차의 전체 중량의 감소로 실현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항 제 1 항에 따른 스프링 장치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장치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 1 판 스프링 및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 2 판 스프링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판 스프링은 제 1 판 스프링보다 짧고, 제 1 판 스프링과 함께 V형 구조를 형성하고, 상기 V형 구조는 병합 단부들의 영역에 차체측 지지를 위한 제 1 고정 장치를 가지며, 제 1 판 스프링의 자유 단부에는 휠측 지지를 위한 제 2 고정 장치를 갖고 제 2 판 스프링의 자유 단부에는 차체측 지지를 위한 제 3 고정 장치를 갖는다.
이로써 서로 이격된 2개의 지점을 통해, 즉 한편으로는 제 2 판 스프링의 V형상의 자유 단부들을 통해 및 V형상의 병합 단부들 또는 제 1 및 제 2 판 스프링의 상응하는 단부 섹션들의 영역을 통해 차체측 힘 도입이 이루어져서, 자동차 상의 대응하는 차체측 구조들이 그렇게 거대하지 않게 따라서 그렇게 무겁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장치의 본 발명에 따른 배치는 자동차의 수직 방향과 관련하여 높은 에너지 흡수 성능을 갖는 낮은 전체 높이를 가능하게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장치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에서 종래의 스프링 제어 암을 거기에 지지되는 차체 스프링으로, 실제로 특히, 종래의 휠측 및 차체측 연결 지점들이 유지되도록 대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다른 특허 청구항들의 대상이다.
따라서 제 1 판 스프링과 제 2 판 스프링은 특히 별도의 부품들로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부품들은 V형상으로 서로 고정된다. 또한, 예를 들어 제 1 고정 장치는 제 1 및 제 2 판 스프링의 단부 섹션들의 상호 고정을 위한 클램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 장치는 차체에 또는 차체에 제공된 보조 프레임에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한 베어링용 수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선회 가능한 지지에 의해 특히 판 스프링들의 소정의 변형으로 인해 발생하는 상대 이동이 더 양호하게 보상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구속(restraint)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장치의 판 스프링들은, 스프링 장치의 릴리스된 상태에서 제 1 판 스프링의 주 연장 방향과 제 2 판 스프링의 주 연장 방향이 예각, 특히 15°내지 35°의 예각을 형성하도록 서로 배치될 수 있다. 이는 차량 상의 설치 위치에서 낮은 전체 높이를 가능하게 한다. 차체의 지지를 위한 별도의 코일 스프링들의 생략 시 또한 이로 인해 특히 큰 트렁크- 또는 화물칸 폭 및 낮게 위치한 트렁크- 또는 화물칸 바닥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고정 장치는 휠 캐리어에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한 베어링 수용부를 갖는다. 이러한 고정 장치를 통해 휠 서스펜션에서 휠 캐리어로부터 제 1 판 스프링으로 수직력 및 횡력이 전달된다. 선회 가능한 연결부는 구속을 방지하고, 휠 캐리어와 차체 사이에 추가 휠 가이드 부재의 설치와 관련해서 더 큰 프레임 형상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나 기본적으로, 적절한 탄성의 보장 시 휠 캐리어에 제 1 판 스프링을 비 조인트식으로 고정하는 것, 예를 들어 움직이지 않게 클램핑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3 고정 장치는 아래에서 차체의 섹션에 제 2 판 스프링의 자유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 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결합 부재를 통해 제 2 판 스프링으로부터 차체로 수직력이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결합 부재는 제 2 판 스프링과 차체 사이의 상대 이동의 보상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상대 이동은 탄성 작용을 위해 상기 판 스프링의 소정의 변형 시 불가피하게 발생한다.
또한, 본 경우에 특허 청구항 제 7 항에 따른 자동차 휠 서스펜션이 제안된다. 상기 자동차 휠 서스펜션은 휠측마다 전술한 방식의 스프링 장치를 포함하고, 이 경우 제 1 및 제 2 판 스프링은 각각 차량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수평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차량 가로 방향과 함께 최대 +/-15°의 각도를 형성한다. 따라서 자동차의 길이 방향으로 볼 때 X형 스프링 시스템이 제공되고, 상기 스프링 시스템의 암들은 전체적으로 4개의 판 스프링 - 휠측마다 각각 2개의 판 스프링 - 에 의해 형성된다.
이로써 자동차를 위한 특히 가볍고 저렴한 축이 형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 방법은 특히 승용차 및 경량 상용차의 후차축에 적합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제 2 판 스프링은 각각 아래에서 차체의 길이 방향 캐리어에 지지된다. 이 경우 자동차의 길이 방향 캐리어가 일반적으로 수직력을 지지하기에 충분한 안정성을 갖는다는 사실을 이용하므로, 여기에서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판 스프링의 사용은 차체측에서 자동차의 전체 중량을 증가시키는 추가적인 보강 조치를 필요로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장치는 특히 편평한 축 구조를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 경우 제 1 판 스프링들은 수평면 상의 차량의 정지 위치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거나 수평면과 함께 최대 +/-10°의 각도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 장치들이 차량 가로 방향으로 중앙 영역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중앙 영역은 차량 가로 방향으로 차체의 길이 방향 캐리어에 의해 제한된다. 특히, 제 1 고정 장치들을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차량의 차륜 거리에 대하여 차량 가로 방향으로 중간 1/3에, 특히 중간 1/5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는 판 스프링의 특히 긴 길이 및 차체의 질량을 판 스프링에 의해서만 지지할 수 있게 하는 상응하게 높은 에너지 흡수 성능을 가능하게 하며, 이로써 상기 목적을 위해 일반적으로 제공된 코일 스프링은 경우에 따라서 완전히 생략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각각의 스프링 장치는 결합 링크를 갖고, 상기 결합 링크는 상기 스프링 장치를 제 1 고정 장치의 차체측 연결 지점을 지나 차량 중심을 향해 계속 연장하고, 이 경우 스프링 장치들의 교호 압축을 감소시키기 위해, 스프링 장치들의 결합 링크들은 조인트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이로써 스프링 장치들, 특히 그것의 제 1 판 스프링들에 의해 스태빌라이저의 기능이 추가적으로 재현될 수 있다.
또한, 제 1 및 제 2 판 스프링을 위한 클램핑을 형성하는 제 1 고정 장치에 각각의 결합 링크를 연장부로서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로써 하나의 부품에 특히 높은 기능 통합이 달성된다.
계속해서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들을 참고로 설명된다.
도 1은 제 1 실시예로서, 수평면 상의 차량의 정지 위치에서 자동차 내의 장착 위치에 해당하는 상태에서 본 발명에 따른 스프링 장치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따른 스프링 장치의 변형 가능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제 2 실시예로서, 수평면 상의 자동차의 정지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도 1에 따른 스프링 장치를 가진 자동차 휠 서스펜션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에 따른 자동차 휠 서스펜션에서 스프링 장치의 압축 및 압축 해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5는 제 3 실시예로서, 수평면 상의 자동차의 정지 위치에 해당하는 위치에서 결합된 스프링 장치들을 갖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도 5에 따른 자동차 휠 서스펜션에서 스프링 장치들의 교호 탄성 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도 5에 따른 자동차 휠 서스펜션에서 스프링 장치들의 쌍방 압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8은 스프링 장치들의 결합부의 상세도.
도 9는 베어링 수용부가 절단되어 있는, 스프링 장치들의 결합부의 다른 상세도.
제 1 실시예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치(10)를 도시한다. 스프링 장치(10)는 제 1 판 스프링(11)과 제 2 판 스프링(12)을 포함한다. 2개의 판 스프링(11, 12)은 섬유 강화 플라스틱, 예를 들어 유리섬유 강화 플라스틱(GFRP)으로 또는 탄소섬유 강화 플라스틱(CFRP)으로 제조된다. 상기 스프링들은 특히 바- 또는 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2개의 판 스프링(11, 12)은 도 1에 도시된 제 1 실시예에서 별도의 부품들로 구현된다. 그러나 2개의 판 스프링(11, 12)을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일체형 바디에 통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2개의 판 스프링(11, 12)은 상이한 길이를 갖는다. 즉, 제 1 판 스프링(11)이 제 2 판 스프링(12)보다 긴 길이를 갖는다.
또한, 제 1 판 스프링(11)과 제 2 판 스프링(12)은 특수한 방식으로 공간적으로 서로에 대해, 즉 함께 탄성 V형 구조를 형성하도록 배치된다. 이를 위해 본 경우에 제 1 판 스프링(11)의 단부 섹션(11a)과 제 2 판 스프링(12)의 단부 섹션(12a)이 각각 병합되어 서로 연결됨으로써, V형 구조의 팁을 형성할 수 있다. 각각 마주 놓인 단부 섹션들(11b, 12b)은 따라서 V형상의 자유 단부들을 형성한다. 이 경우 V형 구조의 팁과 자유 단부들은 스프링 장치(10) 내로 힘 도입 지점으로써 이용된다.
낮은 장착 높이와 관련해서 V형상은, 스프링 장치(10)의 릴리스된 상태에서 제 1 판 스프링(11)의 주 연장 방향과 제 2 판 스프링(12)의 주 연장 방향이 예각(α)을 형성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예각(α)은 바람직하게 15 °내지 35 °이므로, 한편으로는 낮은 장착 높이가 보장될 수 있고, 다른 한편으로 에너지 흡수를 위한 충분한 압축 가능성이 제공된다. 도 1은 차량 내 장착 위치에 해당하는 약간 압축된 상태에서 스프링 장치(10)를 도시한다. 릴리스된 상태는 실질적으로 도 2에 점선으로 도시된 압축 해제 상태에 해당한다.
전술한 힘 도입 지점들에 각각 상응하게 고정 장치가 제공된다. 제 1 고정 장치(13)는 따라서 제 1 및 제 2 판 스프링(11, 12)의 병합 단부 섹션들(11a, 12a)의 영역에 위치한다. 이러한 제 1 고정 장치(13)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에서 차체측 지지를 위해 이용된다. 이로써 스프링 장치(10)의 V형 구조의 팁 영역은 차체 구조 또는 예를 들어 보조 프레임 등과 같은 차체 고정식 구조에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 1 판 스프링(11)의 자유 단부에 제 2 고정 장치(14)가 위치한다. 이러한 제 2 고정 장치(14)는 예를 들어 휠 캐리어 또는 휠 가이드 부재에서 휠측 지지에 이용된다. 또한, 차체측 지지를 위해 제 2 판 스프링(12)의 자유 단부 섹션(12b)에 제 3 고정 장치(15)가 제공된다.
제 1 판 스프링(11)의 휠측 지지 지점보다 차량 중심에 가깝게 차량 가로 방향으로 스프링 장치(10)의 배치 시, 제 2 판 스프링(12)의 더 짧은 길이로 인해 제 2 판 스프링(12)의 자유 단부 섹션(12b) 상에 상기 스프링의 차체측 지지 지점이 위치한다.
제 1 및 제 2 판 스프링(11, 12)의 병합 단부 섹션들(11a, 12a)은 직접 서로 고정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제 1 고정 장치(13)는 제 1 및 제 2 판 스프링(11, 12)의 단부 섹션들(11a, 12a)의 상호 고정을 위한 클램핑(13a)을 갖는다. 또한, 클램핑(13a)에 의해 제 1 판 스프링(11)의 압축 및 변형으로 야기되는 제 1 판 스프링의 회전 운동도 제 2 판 스프링(12)에 전달될 수 있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클램핑(13a)은 예를 들어 제 1 및 제 2 판 스프링(11, 12)의 단부 섹션들(11a, 12a)이 삽입되는 포크형의 클로(claw)로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클램핑(13a)의 형성은 이러한 클로 형태로 제한되지 않는다. 오히려 여기에서 다른 실시예도 가능하다. 고정은 도시된 바와 같이 인장 볼트(13b)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클로의 대응하는 플랜지 섹션(13b)에 의해 단부 섹션들(11a, 12a)의 표면에 걸쳐 인장력의 균일한 분포가 달성된다.
또한, 실시예의 제 1 고정 장치(13)는 스프링 장치(10)의 선회 가능한 베어링부를 가능하게 한다. 제 1 고정 장치(13)는 이를 위해 예를 들어 차체에 또는 차체에 제공된 보조 프레임에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한 베어링용 수용부(13d)를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를 위해 제 1 고정 장치(13)에 예를 들어 베어링 아이가 통합된다. 베어링용 수용부(13d)로서, 예를 들어 베어링 볼트 또는 이와 같은 것이 이용될 수도 있고, 상기 베어링 볼트에 의해 선회 가능한 베어링부가 구현될 수 있다.
제 2 고정 장치(14)는 예를 들어 휠 캐리어에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한 베어링 수용부(14a)를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이를 위해 예시적으로만 포크로서 형성된 베어링 수용부(14a)를 도시하고, 상기 베어링 수용부에 의해 예를 들어 고무 베어링이 수용될 수 있다. 제 1 고정 장치(13)와 관련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베어링 수용부(14a)로서 예컨대 베어링 볼트 등과 같은 다른 구조들도 기본적으로 가능하다.
기본적으로, 제 2 판 스프링(12)의 자유 단부 섹션(12b)을 차체측 구조에 직접 고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가장 간단한 경우에 제 3 고정 장치(15)는 인장 볼트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고정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여기에도, 추가 자유도를 도입하기 위해, 조인트식 결합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제 2 판 스프링(12)의 변형으로 인해 거의 방지될 수 없는 차체 또는 차체 고정식 구조에 대한 상대 이동을 제 3 고정 장치(15)에 의해 보상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1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이를 위해 제 3 고정 장치(15)는 아래에서 차체의 섹션에 제 2 판 스프링(12)의 자유 단부를 연결하기 위한 결합 부재(15a)를 갖는다.
결합 부재(15a)는 예를 들어, 제 1 고무 버퍼(15c)에 의해 차체에 지지되고 제 2 고무 버퍼(15d)에 의해 제 2 판 스프링(12)의 자유 단부(12b)에 지지되는 압력- 및 인장 저항을 갖도록 형성된 지지체(15b)를 가질 수 있다. 지지체(15b)의 축방향 단부들에 핀(15e, 15f)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핀들은 각각의 고무 버퍼(15c, 15d)를 관통하고, 대응 개구들이 제공될 수 있는 제 2 판 스프링(12) 및 차체에서 결합 부재(15a)의 위치 고정에 이용된다. 고무 버퍼(15c, 15d)는 제 2 판 스프링(12)의 변형 및 선회 시 구속을 방지하여, 제 2 판 스프링(12)의 변형 가능성이 양호하게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소음 발생이 저지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지지체(15b)가 스프링으로 형성됨으로써, 지지체를 통해 스프링 장치(10)의 스프링 시스템 내로 추가 탄성이 제공될 수 있다.
도 2는 스프링 장치(10)의 압축- 및 압축 해제 거동을 도시한다. 이 경우 판 스프링(11, 12)의 변형은 압축된 상태에서 점으로 도시되고, 압축 해제된 상태에서 점선으로 도시된다. 차체측 연결 지점들의 위치는 변경되지 않기 때문에, 결합 부재(15A)의 영역에서의 상대 변위의 보상 및 관련 베어링에서의 제 1 고정 장치(13)의 선회를 제외하면, 제 2 판 스프링(12)의 단부 섹션들(12a, 12b)의 위치는 실제로 변경되지 않고 유지된다. 그와 달리 제 1 판 스프링(11)의 자유 단부 섹션(11b)은 휠 캐리어와 함께 차체에 대해 눈에 띄게 이동한다. 그로 인해 발생하는 제 1 판 스프링(11)의 굽힘 변형은 제 1 고정 장치(13)의 영역에서 제 2 판 스프링(12)과의 결합으로 인해 제 2 판 스프링(12)의 변형도 야기하고, 상기 제 2 판 스프링도 따라서 탄성 에너지를 흡수하여, 상응하는 반력을 제 3 고정 장치(15)에 의해, 이 실시예에서 결합 부재(15a)에 의해 차체에 대해 지지한다.
도 3 및 도 4에 의해 자동차의 휠 서스펜션(20)에서 이러한 스프링 장치(10)의 이용이 설명된다. 도 3 및 도 4에 예시적으로 후차축이 도시되고, 상기 후차축은 휠측마다 이러한 스프링 장치(10)를 갖는다.
휠 서스펜션(20)은 차량 휠마다 휠 캐리어(21)를 포함하고, 상기 휠 캐리어는 복수의 휠 가이드 부재에 의해 차체(40)에 대해 또는 보조 프레임(41)과 같은 차체 고정식 구조에 대해 지지된다.
휠 가이드 부재는 본 경우에 휠측마다 길이 방향 제어 암(22) 및 상부 가로 방향 제어 암(23)과 하부 가로 방향 제어 암(24)을 포함한다.
또한, 진동 댐퍼(25)가 도시되고, 상기 진동 댐퍼의 한 단부는 휠 캐리어(21), 경우에 따라서 휠 가이드 부재에도 지지되고, 다른 단부는 차체(40)에 지지된다.
휠 서스펜션(20)은 또한 스태빌라이저(26)를 포함하고, 상기 스태빌라이저는 휠 캐리어(21) 및 차량 휠의 교호 압축을 감소시킨다.
본 경우의 휠 서스펜션(20)은 차량 질량의 지지를 위한 코일 스프링 없이 이루어진다. 상기 스프링의 기능은 본 경우에 스프링 장치(10)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나 전술한 방식의 스프링 장치(10)를 포함하는 휠 서스펜션(20)에서 차량 질량의 지지를 위해 추가로 통상적인 코일 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휠 서스펜션(20)은, 이러한 휠 서스펜션 내의 스프링 장치(10)의 장착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예일 뿐이다. 따라서, 차량 휠들에 대해 차체의 질량을 지지하고 필요 시 추가로 휠 가이드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해당하는 스프링 장치(10)는 도시된 것과 다른 휠 서스펜션(20)에서도 사용될 수 있음이 명확하게 강조되어야 한다.
전술한 스프링 장치(10)는, 제 1 및 제 2 판 스프링(11, 12)이 각각 차량 가로 방향(y)으로 연장되거나 수평 평면(xy)에서 볼 때 차량 가로 방향(y)과 함께 최대 +/-15°의 각도를 형성하도록, 휠 서스펜션(20) 내에 장착된다.
제 1 판 스프링(11)은 이 경우 차량 수직 방향(z)에 관하여 제 2 판 스프링(12) 아래에 위치한다.
또한, 스프링 장치(10)는 차량 중심을 향해 매우 멀리 연장되고, 이로써 제 1 및 제 2 판 스프링(11, 12)을 위해 상응하게 높은 에너지 흡수 성능을 갖는 긴 길이가 제공된다. 선택된 V형상에 의해 차량 수직 방향(z)으로 전체 높이는 그럼에도 낮게 유지된다.
수평면 상의 차량의 수평 정지 위치에서 제 1 판 스프링(11)은 주로 수평으로 연장되고, 즉 상기 제 1 스프링은 수평 평면(xy)과 함께 최대 +/-10°의 각도를 형성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람직하게 보조 프레임(41)의 가로 방향 스트럿(42)에 제 1 고정 장치(13)를 이용해서 V형상의 팁 영역에서 스프링 장치(10)의 연결이 이루어진다. 반대편 휠측의 도시되지 않은 스프링 장치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차량 가로 방향(y)으로 스프링 장치(10)의 가급적 긴 길이를 구현하기 위해, 제 1 고정 장치(13)는 차량의 길이 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차량의 차륜 거리에 대하여 차량 가로 방향(y)으로 바람직하게 중간 1/3에, 더 바람직하게는 중간 1/5에 배치된다. 보조 프레임(41)에 연결은 본 경우에 예를 들어 제 1 고정 장치(13)의 수용부(13d)에서 고무 베어링(27)에 의해 이루어지므로, 스프링 장치(10)는 차량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되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선회할 수 있다.
또한, 스프링 장치(10)는 추가 고무 베어링(28)에 의해 휠 캐리어(21)에 선회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추가 고무 베어링(28)은 제 1 판 스프링(11)의 자유 단부 섹션(11b)을 휠 캐리어(21)에 조인트식으로 연결하고, 이 경우 이와 같이 형성된 조인트의 관련 선회축도 주로 차량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제1 판 스프링(11)의 자유 단부 섹션(11b)을 예를 들어 휠 캐리어(21) 상의 클램핑에 수용하는 것, 즉 비 조인트 식으로 고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스프링 장치(10)는 제 2 판 스프링(12)의 자유 단부 섹션(12b)에 의해 차체(40)에 지지된다. 이로 인해 차체측 힘 도입이 2개의 지점으로 분배된다. 제 2 판 스프링(12)의 이러한 지지는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체(40)의 길이 방향 캐리어(43)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는 또한 아래에서 이루어진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분명하게 변형 가능한 결합 부재(15a) 형태의 관련 고정 장치(15)에 의해 제 2 판 스프링(12)의 의도된 변형 시 발생하는 상대 이동의 보상이 달성될 수 있다.
자동차 축의 2개의 스프링 장치(10)의 제 1 고정 장치들(13)은 차량 가로 방향으로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영역은 차량 가로 방향으로 차체(40)의 길이 방향 캐리어(43)에 의해 제한된다.
이로 인해 낮은 트렁크- 또는 화물칸 에지 및 큰 트렁크 - 또는 화물칸 폭을 가능하게 하는 평면 구조의 자동차 축이 제공된다.
또한,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판 스프링들(11, 12)의 중량의 장점은 실제로 완전히 차량 중량의 중량 감소로 실현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스프링 장치들(10)의 차체측 연결 영역에서 중량을 높이는 보강 조치들이 불필요해지기 때문인데, 상기 보강 조치들은 제 1 판 스프링(11)과 제 2 판 스프링(12)을 가진 스프링 장치들(10)의 중량의 장점을 약화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2와 유사하게 스프링 장치(10)의 압축 및 압축 해제를 도시하고, 이 경우 스프링 장치(10)의 최대로 압축된 상태는 점으로 도시되고, 스프링 장치(10)의 최대로 압축 해제된 상태는 점선으로 도시된다. 휠 캐리어(21)는 이 경우 수평면 상의 차량의 정지 위치에서만 도시된다.
도 5 내지 도 9에 의해 최종적으로 제 3 실시예를 참고로 휠 서스펜션(20) 내에 스프링 장치(10)의 장착을 위한 변형 가능성이 제시된다. 제 3 실시예의 스프링 장치(10)와 휠 서스펜션(20)은 실질적으로 전술한 실시예들에 상응하므로, 도 5 내지 도 9에서 상응하는 도면부호들이 사용된다. 계속해서 제 1 및 제 2 실시예와의 차이점만이 설명된다.
제 3 실시예는, 스태빌라이저(도 3의 도면부호 26 참조)의 기능을 차축의 스프링 장치(10)에 의해 재현하는 사상에 기초하므로, 별도의 부품으로서 스태빌라이저를 생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스프링 장치(10)는 결합 링크(16)를 갖고, 상기 결합 링크는 스프링 장치(10)를 제 1 고정 장치(13)의 차체측 연결부를 지나 차량 중심을 향해 계속 연장한다. 2개의 휠측의 스프링 장치들(10)의 결합 링크(16)는 조인트(17)에 의해 서로 연결된다. 조인트(17)는 선회축을 갖고, 상기 선회축은 차량 길이 방향(x)으로 연장된다. 이러한 결합에 의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프링 장치들(10) 및 특히 상기 스프링 장치의 제 1 판 스프링들(11)의 교호 압축이 감소하고 또는 관련된 전체 스프링률이 높아지는데, 그 이유는 이러한 경우에 2개의 스프링 장치(10)의 결합 링크들(16)은,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는 경향을 갖기 때문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동시 압축 시 결합 링크들(16)은 그와 달리 동일한 방향으로 이동한다. 이때 전체 스프링률은 교호 압축 시보다 작다.
결합 링크들(16) 및 조인트(17)에 의한 이들의 연결은 도 8 및 도 9에 상세히 도시된다. 따라서 결합 링크들(16)은 각각 관련 스프링 장치(10)의 제 1 고정 장치(13)의 연장부로서 형성될 수 있고, 상기 고정 장치는 본 경우에 또한 클램프(13a)와 베어링 수용부(13d)를 포함하고, 이로써 높은 기능 통합을 갖는, 바람직하게 금속 재료로 제조된 부품이 형성된다. 그러나 판 스프링들(11, 12)을 각각 차체측 연결부의 지점을 지나 차량 중심을 향해 계속 연장하는 것과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상응하는 부품들을 조인트(17)에 의해 서로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조인트(17)는 본 경우에 결합 링크(16)에 형성된 조인트 아이(17a) 및 다른 결합 링크(16)에 형성된 핀(17b)에 의해 형성된다. 2개의 조인트 부품은 핀(17c)에 의해 조인트(17)의 선회축의 방향으로 서로 고정된다. 전술한 조인트(17)는 예시적일 뿐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조인트(17) 대신에, 차량 중심에서 2개의 휠측의 결합 링크(16)의 선회 가능한 결합을 허용하는 다른 조인트도 이용될 수 있다.
자동차 축의 스프링 장치들(10)의 결합에 의해 스태빌라이저의 기능이 달성될 수 있는데, 그 이유는 교호 압축 시 결합된 스프링 장치들(10)의 스프링 시스템을 보강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별도의 스태빌라이저는 불필요하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추가 변형예에 의해 설명되었다. 실시예 및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실행 가능성을 입증하는데 이용된다. 문맥상 위에서 추가로 개별 특징들이 논의된 기술적인 개별 특징들은, 이것이 기술적으로 가능하다면 명시적으로 설명되지 않더라도 상기 개별 특징들과 무관하게 그리고 다른 개별 특징들과 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설명된 실시예에 명백하게 한정되지 않고, 청구 범위에 의해 정의된 모든 실시예를 포함한다.
10 스프링 장치
11 제 1 판 스프링
12 제 2 판 스프링
11a 제 1 판 스프링(11)의 연결된 단부 섹션
11b 제 1 판 스프링(11)의 자유 단부 섹션
12a 제 2 판 스프링(12)의 연결된 단부 섹션
12b 제 2 판 스프링(11)의 자유 단부 섹션
13 제 1 고정 장치
13a 클램프
13b 인장 볼트
13c 플랜지 섹션
13d 베어링용 수용부(베어링 수용부)
14 제 2 고정 장치
14a 베어링용 수용부(베어링 수용부)
15 제 3 고정 장치
15a 결합 부재
15b 지지체
15c 고무 버퍼
15d 고무 버퍼
15e 핀
15f 핀
16 결합 링크
17 조인트
20 자동차 휠 서스펜션
21 휠 캐리어
22 길이 방향 제어 암
23 상부 가로 방향 제어 암
24 하부 가로 방향 제어 암
25 진동 댐퍼
26 스태빌라이저
27 고무 베어링
28 추가 고무 베어링
40 차체
41 보조 프레임
42 가로 방향 스트럿
43 길이 방향 캐리어
x 차량 길이 방향
y 차량 가로 방향
z 차량 수직 방향
α 예각

Claims (12)

  1. 휠측마다 스프링 장치(10)를 포함하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10)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 1 판 스프링(11)과,
    상기 제 1 판 스프링(11)보다 짧고 상기 제 1 판 스프링(11)과 함께 V형 구조를 형성하는, 섬유 강화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제 2 판 스프링(12)
    을 포함하고,
    상기 V형 구조는 병합 단부들의 영역에 차체즉 지지를 위한 제 1 고정 장치(13)를 가지며, 제 1 판 스프링(11)의 자유 단부에는 휠측 지지를 위한 제 2 고정 장치(14)를 갖고 상기 제 2 판 스프링(12)의 자유 단부에는 차체측 지지를 위한 제 3 고정 장치(15)를 가지며,
    제 1 판 스프링(11) 및 제 2 판 스프링(12)은 각각 차량 가로 방향으로 연장되거나, 수평 평면에서 볼 때 상기 차량 가로 방향과 최대 +/-15°의 각도를 형성하고,
    각각의 스프링 장치(10)는 결합 링크(16)를 갖고, 상기 결합 링크(16)는 상기 스프링 장치(10)를 상기 제 1 고정 장치(13)의 차체측 연결부를 지나 차량 중심을 향해 계속 연장하고, 스프링 장치(10)들의 교호 압축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스프링 장치(10)들의 상기 결합 링크(16)들은 조인트(17)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장치(13)는 상기 제 1 판 스프링(11) 및 상기 제 2 판 스프링(12)의 단부 섹션들(11a, 12a)의 상호 고정을 위한 클램핑(13a)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장치(13)는, 차체(40)에 또는 상기 차체(40)에 제공된 보조 프레임(41)을 포함한 차체 고정식 구조에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한 베어링용 수용부(13d)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장치(10)의 릴리스(release)된 상태에서 상기 제 1 판 스프링(11)의 주 연장 방향과 상기 제 2 판 스프링(12)의 주 연장 방향은 예각(α)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고정 장치(14)는 휠 캐리어(21)에 선회 가능한 지지를 위한 베어링 수용부(14a)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고정 장치(15)는 아래에서 차체(40)의 섹션에 상기 제 2 판 스프링(12)의 자유 단부 섹션(12b)을 연결하기 위한 결합 부재(15a)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판 스프링(12)은 각각 아래에서 차체(40)의 길이 방향 캐리어(43)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판 스프링(11)은 수평면 상의 차량의 정지 위치에서 수평으로 연장되거나 수평 평면과 함께 최대 +/-10°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고정 장치(13)는 차량 가로 방향으로 중앙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중앙 영역은 차량 가로 방향으로 차체의 길이 방향 캐리어(43)에 의해 제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
  10. 제 1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결합 링크(16)는 제 1 판 스프링(11) 및 제 2 판 스프링(12)을 위한 클램핑(13a)을 형성하는 제 1 고정 장치(13)에 연장부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휠 서스펜션.
  11. 삭제
  12. 삭제
KR1020197005317A 2016-10-18 2017-08-28 자동차 휠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치 KR1021748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20325.8A DE102016220325A1 (de) 2016-10-18 2016-10-18 Federein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Radaufhängung
DE102016220325.8 2016-10-18
PCT/EP2017/071578 WO2018072917A1 (de) 2016-10-18 2017-08-28 Federein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radaufhängung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30229A KR20190030229A (ko) 2019-03-21
KR102174834B1 true KR102174834B1 (ko) 2020-11-05

Family

ID=59714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5317A KR102174834B1 (ko) 2016-10-18 2017-08-28 자동차 휠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0889154B2 (ko)
EP (1) EP3529090B1 (ko)
KR (1) KR102174834B1 (ko)
CN (1) CN109843613B (ko)
DE (1) DE102016220325A1 (ko)
ES (1) ES2845148T3 (ko)
WO (1) WO201807291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5111B3 (de) 2018-09-05 2020-01-02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X-Federein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Radaufhängung
DE102019203366A1 (de) 2019-03-12 2020-10-01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Blattfederlager und Kraftfahrzeugradaufhängung mit einem solchen
JP7424762B2 (ja) 2019-06-25 2024-01-30 日本発條株式会社 懸架装置
US11458792B2 (en) * 2019-11-04 2022-10-04 Nate's Hot Rod Garage, LLC Methods and apparatus for center pivot suspension system
CN113059974A (zh) * 2020-01-02 2021-07-02 株洲时代新材料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材料板簧保护装置
DE102020207153A1 (de) 2020-06-08 2021-12-0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X-Federeinrichtung für eine Kraftfahrzeug-Radaufhängung
DE102021201757B3 (de) 2021-02-24 2022-07-14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Höhenstandsmessung an einer Blattfedern aufweisenden Kraftfahrzeugachse und Anordnung zur Höhenstandsmessung an einem Kraftfahrzeug
DE102021106716A1 (de) 2021-03-18 2022-09-22 Rheinmetall Invent GmbH Blattfedervorrichtung, Fahrwerk und Fahrzeug
KR20220153971A (ko) * 2021-05-12 2022-11-21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용 서스펜션 장치
DE102021204965A1 (de) 2021-05-17 2022-11-17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oppeleinrichtung zur Anbindung einer Blattfeder an einen Radträger einer Kraftfahrzeug-Radaufhängung und Kraftfahrzeug-Radaufhängung mit einer solchen Koppeleinrichtung
KR20230008415A (ko) * 2021-07-07 2023-01-16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차량의 현가장치
DE102021208304B4 (de) 2021-07-30 2023-03-23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Radaufhängung mit einer Blattfedereinrichtung je Radseite
DE102021208302B3 (de) 2021-07-30 2023-01-05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Radaufhängung mit einer Blattfedereinrichtung je Radseite
DE102021208301B3 (de) 2021-07-30 2022-05-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Radaufhängung mit einer Blattfedereinrichtung je Radseite
KR20230082424A (ko) * 2021-12-01 2023-06-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현가 스프링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차량용 현가 시스템
KR102642945B1 (ko) * 2021-12-28 2024-03-05 현대제철 주식회사 차량용 리프 스프링 및 이를 이용한 차량 서스펜션 구조
CN115366602B (zh) * 2022-08-23 2024-03-08 襄阳长源东谷汽车科技有限公司 一种双桥式l形梁空气悬架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7673A (ja) 2009-04-15 2010-11-04 Honda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04742675A (zh) 2015-03-31 2015-07-01 河北开云汽车制造有限公司 横置多片板簧带平衡杆后桥总成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504594A (fr) * 1919-10-06 1920-07-08 Marius Jean Baptiste Barbarou Suspension arrière pour voitures automobiles
GB513682A (en) * 1937-03-17 1939-10-19 Junius Ford Cook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vehicle spring suspensions
JPS56131203U (ko) * 1980-03-07 1981-10-05
DE3243434C2 (de) 1982-11-24 1986-10-23 Audi AG, 8070 Ingolstadt Unabhängige Radaufhängung für die Hinterräder eines Kraftfahrzeuges
DE3674021D1 (de) * 1985-02-26 1990-10-18 Mazda Motor Hinterradaufhaengung fuer ein fahrzeug.
GB2222559B (en) * 1988-08-11 1992-12-16 Honda Motor Co Ltd Suspension system for automobiles
JPH058625A (ja) * 1990-08-28 1993-01-19 Nhk Spring Co Ltd 車両用ばね装置および懸架装置
KR20000003313A (ko) * 1998-06-27 2000-01-15 김무 상용차량의 프론트서스펜션
JP2005225382A (ja) * 2004-02-13 2005-08-25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リヤサスペンション装置
CA2553518A1 (en) * 2005-09-14 2007-03-14 Standens Ltd. Leaf spring assembly having safety spring with retaining elements
DE102010022895A1 (de) * 2010-06-07 2011-12-08 Schaeffler Technologies Gmbh & Co. Kg Einrichtung für ein Fahrwerk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1018276A1 (de) * 2011-04-20 2012-10-25 Audi Ag Radaufhängung für eine Achse eines Kraftfahrzeuges
DE102011077336A1 (de) 2011-06-10 2012-12-13 Zf Friedrichshafen Ag Radaufhängungselement, umfassend zumindest eine Tragstruktur und einen Lenker
DE102011116034A1 (de) * 2011-10-17 2013-04-18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Radaufhängungsvorrichtung für einKraftfahrzeug
DE102012216822A1 (de) * 2012-09-19 2014-05-28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Fahrzeug-Radaufhängung der Schwertlenker-Bauart
DE102012021290A1 (de) * 2012-10-30 2014-04-30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hinterachse
US9657799B2 (en) * 2013-03-15 2017-05-23 Polyone Corporation Suspension sub-assembly
DE102013209648A1 (de) 2013-05-24 2014-11-27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Radaufhängung für ein Fahrzeu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247673A (ja) 2009-04-15 2010-11-04 Honda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装置
CN104742675A (zh) 2015-03-31 2015-07-01 河北开云汽车制造有限公司 横置多片板簧带平衡杆后桥总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S2845148T3 (es) 2021-07-26
EP3529090A1 (de) 2019-08-28
EP3529090B1 (de) 2020-11-04
US10889154B2 (en) 2021-01-12
CN109843613A (zh) 2019-06-04
CN109843613B (zh) 2022-06-28
KR20190030229A (ko) 2019-03-21
US20190241036A1 (en) 2019-08-08
DE102016220325A1 (de) 2018-04-19
WO2018072917A1 (de) 2018-04-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74834B1 (ko) 자동차 휠 서스펜션용 스프링 장치
US10807426B2 (en) Multi-link suspension for a motor vehicle
CN112638670B (zh) 用于机动车车轮悬架的x弹簧装置
JP5688029B2 (ja) 自動車の車軸
JP2006503750A (ja) シャックルアッセンブリ
US5427404A (en) Stiff beam suspension system
US9174505B2 (en) Vehicle independent suspension
US11001113B2 (en) Dual-rate leaf spring suspension for a vehicle
US11358426B2 (en) X-spring device for a motor vehicle wheel suspension
CA2512848A1 (en) Lightweight, low part-count, suspension system for wheeled vehicles
US10427481B2 (en) Motor vehicle wheel suspension
US6637762B2 (en) Axle suspension for rigid axles of vehicles
EP1185428B1 (en) Air suspension anti-roll stabilisation system
US10894455B2 (en) Trailing-arm suspension with leaf springs
KR102299166B1 (ko) 모터 차량의 후방 구조체
CN109664704A (zh) 用于机动车辆车身悬架的纵向片簧装置
US10882369B2 (en) Longitudinal leaf spring device having bump stop unit
KR101361246B1 (ko) 자동차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JP2001287525A (ja) トーションバー・エア・ライド・サスペンション
JPH1142917A (ja) 車両用懸架装置
KR102178445B1 (ko) 차량 프레임
CN115593164A (zh) 扭力梁式悬架
JP2000264031A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