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11407B1 -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11407B1
KR102111407B1 KR1020130098032A KR20130098032A KR102111407B1 KR 102111407 B1 KR102111407 B1 KR 102111407B1 KR 1020130098032 A KR1020130098032 A KR 1020130098032A KR 20130098032 A KR20130098032 A KR 20130098032A KR 102111407 B1 KR102111407 B1 KR 1021114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uminance
display module
image
user
input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98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20912A (ko
Inventor
김성환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30098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11407B1/ko
Priority to US14/912,738 priority patent/US10021378B2/en
Priority to CN201380079655.6A priority patent/CN105556951B/zh
Priority to PCT/KR2013/011344 priority patent/WO2015026017A1/en
Priority to EP13891670.5A priority patent/EP3036896B1/en
Publication of KR201500209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2091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114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114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 G09G3/03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specially adapted for displays having non-planar surfaces, e.g. curved displays for flexible display surfa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32Displays for viewing with the aid of special glasses or head-mounted displays [HM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73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forward-backward translational head movements, i.e. longitudinal mov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6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 H04N13/376Image reproducers using viewer tracking for tracking left-right translational head movements, i.e. lateral mov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3/00Stereoscopic video systems; Multi-view video systems; Details thereof
    • H04N13/30Image reproducers
    • H04N13/398Synchronisation thereof;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44Receiver circuitry for the reception of television signals according to analogue transmission standards
    • H04N5/57Control of contrast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8Active matrix structure, i.e. with use of active elements, inclusive of non-linear two terminal elements, in the pixels together with light emitting or modulating elements
    • G09G2300/0809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 G09G2300/0842Several active elements per pixel in active matrix panels forming a memory circuit, e.g. a dynamic memory with one capacit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61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in the context of movement of objects on the screen or movement of the observer relative to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60/00Aspects of the architecture of display systems
    • G09G2360/1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 G09G2360/144Detecting light within display terminals, e.g. using a single or a plurality of photosensors the light being ambient ligh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001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 G09G3/003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using specific devic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9G3/02 - G09G3/36, e.g. using an intermediate record carrier such as a film slide; Projection systems; Display of non-alphanumerical information, solely or in combination with alphanumerical information, e.g. digital display on projected diapositive as background to produce spatial visual effec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와,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입력 영상 중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휘도 변화량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휘도 변화량 보다 더 크도록, 입력 영상에 대해 휘도 가변을 수행하고, 휘도 가변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에 의해, 휘도 개선된 입체감 있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휘도 개선된 입체감 있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에 관한 것이다.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는 다양한 형태가 사용되고 있다. 일례로, 액정 디스플레이 패널(liquid crystal display panel), 플라스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panel) 등의 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용 분야가 점차 확대됨에 따라 각 사용 분야에서 다양한 특성이 요구되고 있으며, 단순히 화상을 표시하는 것과 관련된 특성뿐만 아니라 입체감, 몰입감 등을 고려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다양한 요구를 만족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를 다양한 형태로 개선하고자 하는 연구가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휘도 개선된 입체감 있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와,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입력 영상 중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휘도 변화량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휘도 변화량 보다 더 크도록, 입력 영상에 대해 휘도 가변을 수행하고, 휘도 가변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와,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과, 입력 영상 중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흐르는 전류 레벨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흐르는 전류 레벨 보다 크도록,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은,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으로서,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와, 입력 영상 중 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휘도 변화량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휘도 변화량 보다 더 크도록, 입력 영상에 대해 휘도 가변을 수행하는 단계와, 휘도 가변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장치는, 휘어진 디스플레이 모듈에 입력 영상 표시시, 입력 영상 중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1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휘도 변화량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제2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휘도 변화량 보다 더 크도록, 입력 영상에 대해 휘도 가변을 수행하고, 휘도 가변된 영상을 표시한다. 이에 의해, 어둡게 느껴지는 영역에 대한 휘도가 개선되며, 결국 휘도 개선된 입체감 있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를 가변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에게 더 먼 측면 영역에서의 휘도 변화량이 더 증가하도록 한다. 따라서, 입체감 있는 영상 및 휘도 개선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를 가변한다. 구체적으로, 거리가 더 멀수록, 휘도 변화량이 더 증가하도록 한다. 따라서, 입체감 있는 영상 및 휘도 개선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사용자의 시선 위치에 대응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를 가변한다. 구체적으로, 시선 위치에서 더 멀수록, 휘도 변화량이 더 증가하도록 한다. 따라서, 입체감 있는 영상 및 휘도 개선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를 가변한다. 구체적으로, 곡률이 더 작을수록, 휘도 변화량이 더 증가하도록 한다. 따라서, 입체감 있는 영상 및 휘도 개선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도 6 내지 도 18은 도 5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20은 도 19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1은 도 20의 절개 사시도이다.
도 22는 도 19 내지 도 21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은 도 19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곡률 가변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로 변형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면에서는 본 발명을 명확하고 간략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설명과 관계 없는 부분의 도시를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극히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참조부호를 사용한다. 그리고 도면에서는 설명을 좀더 명확하게 하기 위하여 두께, 넓이 등을 확대 또는 축소하여 도시하였는바, 본 발명의 두께, 넓이 등은 도면에 도시된 바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명세서 전체에서 어떠한 부분이 다른 부분을 "포함"한다고 할 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부분을 배제하는 것이 아니며 다른 부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위에" 있다고 할 때,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다고 할 때에는 중간에 다른 부분이 위치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10)과, 카메라(195)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화면이 전체적으로 곡면을 이루는 곡면형(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curved display module)일 수 있다. 좀더 상세하게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화면이 일정한 곡률 반경(R)을 가지도록 휘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양 측면이 사용자 방향으로 돌출되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 부분이 오목하게 들어간 형상을 가지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까지의 거리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체 영역에서 일정하게 된다.
종래에는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 부분까지의 거리보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 부분의 거리가 길기 때문에 측면 부분의 인지도가 감소하는 현상이 발생하여 양쪽 측면 부분이 흐릿하게 보이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었다.
반면, 본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 부분 및 측면 부분까지의 거리를 균일한 수준으로 유지하여, 화면의 입체감을 향상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 반경(R)이 일정 범위 내에 속하도록 하여 몰입감을 향상하고 안정성을 향상하도록 할 수 있다. 곡률 반경(R)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화면 크기(일례로, 화면의 수평 길이)와 측면 부분이 중앙 부분에 비하여 돌출된 정도에 따라 변화된 수치를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여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 부분이 중앙 부분에 비하여 돌출된 정도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연장된 평면(FS)과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 부분으로부터 측면 부분까지 연장된 경사면(IS) 사이의 각도(A)로 정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 반경(R)을 가지는 가상의 원(C)과 상기 경사면(IS)이 직각을 이루므로, 가상의 원(C) 상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이루는 원호를 가지는 부채꼴의 중심각이 2A가 된다.
이때, 아래 수학식 1에서와 같이 중심각(2A)에 대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수평 길이(W)의 비율과 전체 각도(360도)에 대한 가상의 원(C)의 원주 길이의 비율이 같다.
[수학식 1]
2A : W = 360 : 2πR
그러면, 특정 각도(A)에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수평 길이(W)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 반경(RA)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수학식 2]
RA = (360W) / {(2π)·(2A)}
이때,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 반경(R)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 부분이 중앙 부분에 비하여 5도만큼 돌출된 경우의 곡률 반경(이하 "5도 곡률 반경")(R5) 내지 15도만큼 돌출된 경우의 곡률 반경(이하 "15도 곡률 반경") (R15) 사이의 값을 가질 수 있다. 곡률 반경(R)이 5도 곡률 반경(R5)보다 작은 경우에는 중앙 부분 및 측면 부분까지의 거리를 균일한 수준으로 유지하기 어려울 수 있다. 곡률 반경(R)이 15도 곡률 반경(R15)보다 큰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 반경이 너무 커져서 오히려 사용자에게 불편감을 줄 수 있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안정성이 저하될 수 있다.
수학식 2에 따르면, 5도 곡률 반경(R5)은 대략 5.8W가 되고, 15도 곡률 반경(R15)은 대략 W가 된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수평 길이(W)에 대한 곡률 반경(R)의 비율은 대략 1.9배 내지 5.8배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수평 길이(W)에 대한 곡률 반경(R)을 한정하여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안정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유기 발광 소자(organic light emitting device, OLED)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할 수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라 함은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박막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밝고 선명한 화질을 가지며 시야각에 의한 제한이 없으며 전력 소모가 적은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특히, 유기물 박막을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질 수 있어 상술한 바와 같이 일정한 곡률 반경(R)을 가지도록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영상 수신부(101), 저장부(140),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 제어부(170), 디스플레이 모듈(10), 오디오 출력부(185), 전원공급부(190), 카메라(195)를 포함할 수 있다.
영상 수신부(101)는, 외부로부터의 입력 영상을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튜너(110), 복조부(120),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포함할 수 있다.
튜너(115)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저장된 모든 채널에 해당하는 방송 신호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선택된 방송 신호를 중간 주파수 신호 혹은 베이스 밴드 영상 또는 음성신호로 변환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튜너(115)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 및 채널 복호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복조부(120)는, 복조 및 채널 복호화를 수행한 후 스트림 신호(TS)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스트림 신호는 영상 신호, 음성 신호 또는 데이터 신호가 다중화된 신호일 수 있다.
복조부(120)에서 출력한 스트림 신호는 제어부(170)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역다중화, 영상/음성 신호 처리 등을 수행한 후,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영상을 출력하고, 오디오 출력부(185)로 음성을 출력한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외부 장치와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접속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A/V 입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는, DVD(Digital Versatile Disk), 블루레이(Blu ray), 게임기기, 카메라, 캠코더, 컴퓨터(노트북), 셋탑 박스 등과 같은 외부 장치와 유/무선으로 접속될 수 있으며, 외부 장치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A/V 입출력부는, 외부 장치의 영상 및 음성 신호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입력할 수 있도록, USB 단자, CVBS(Composite Video Banking Sync) 단자, 컴포넌트 단자, S-비디오 단자(아날로그), DVI(Digital Visual Interface) 단자,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단자, RGB 단자, D-SUB 단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는, 다양한 셋탑 박스와 상술한 각종 단자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접속되어, 셋탑 박스와 입력/출력 동작을 수행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인터넷망을 포함하는 유/무선 네트워크와 연결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는, 네트워크를 통해, 인터넷 또는 컨텐츠 제공자 또는 네트워크 운영자가 제공하는 컨텐츠 또는 데이터들을 수신할 수 있다.
한편,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는, 유선 통신부(미도시) 또는 무선 통신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는, 다른 전자기기와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등의 통신 규격에 따라 다른 전자기기와 네트워크 연결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의 각 신호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도 있고, 신호 처리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신호를 저장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로부터 입력되는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채널 기억 기능을 통하여 소정 방송 채널에 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저장부(140) 내에 저장되어 있는 컨텐츠 파일(동영상 파일, 정지영상 파일, 음악 파일, 문서 파일, 애플리케이션 파일 등)을 재생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저장부(140)가 제어부(170)와 별도로 구비된 실시예를 도시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저장부(140)는 제어부(170) 내에 포함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는, 사용자가 입력한 신호를 제어부(170)로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사용자에게 전달한다.
예를 들어, 원격제어장치(200)로부터 전원 온/오프, 채널 선택, 화면 설정 등의 사용자 입력 신호를 송신/수신하거나, 전원키, 채널키, 볼륨키, 설정치 등의 로컬키(미도시)에서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사용자의 제스처를 센싱하는 센서부(미도시)로부터 입력되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제어부(170)에 전달하거나, 제어부(170)로부터의 신호를 센서부(미도시)로 송신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튜너(115)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하거나, 역다중화된 신호들을 처리하여, 영상 또는 음성 출력을 위한 신호를 생성 및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디스플레이 모듈(10)로 입력되어, 해당 영상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으로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영상 처리된 영상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오디오 출력부(185)로 오디오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음성 신호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하여 외부 출력장치로 입력될 수 있다.
도 3에는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 영상처리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 외,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70)는, 튜너(115)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특히, 네트워크에 접속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애플리케이션 또는 애플리케이션 목록을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로 다운받을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 모듈(10)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되는 영상은, 정지 영상 또는 동영상일 수 있으며, 2D 영상 또는 3D 영상일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카메라(195)로부터 촬영된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간의 거리(z축 좌표값)를 파악할 수 있다. 그 외,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x축 좌표값, 및 y축 좌표값를 파악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제어부(170)에서 처리된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OSD 신호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수신되는 영상 신호, 데이터 신호 등을 각각 R,G,B 신호로 변환하여 구동 신호를 생성한다.
디스플레이 모듈(10)은 PDP, LCD, OLED 등이 가능하며, 또한,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가 가능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어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 사용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10)은,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curved display module)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flexible display modlue)일 수도 있다.
오디오 출력부(185)는, 제어부(170)에서 음성 처리된 신호를 입력 받아 음성으로 출력한다.
전원 공급부(19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전반에 걸쳐 해당 전원을 공급한다. 특히, 시스템 온 칩(System On Chip,SOC)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제어부(170)와, 영상 표시를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10), 및 오디오 출력을 위한 오디오 출력부(185)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전원 공급부(190)는, 교류 전원을 직류 전원으로 변환하는 컨버터(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카메라(195)는, 영상을 촬영하고, 촬영된 영상을 제어부(170)로 전송한다. 이때 카메라(195)의 동작 제어는 제어부(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카메라(195)는 복수개로 구비되는 것도 가능하다. 복수개로 구비되는 경우, 제1 시점 영상과 제2 시점 영상의 촬영이 가능하며, 이에 의해,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거리를 연산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카메라(195)는, RGB 카메라 외에, 적외선 방식의 카메라 등 다양한 방식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로 송신한다. 이를 위해, 원격제어장치(200)는, RF(Radio Frequency) 통신, 적외선(IR) 통신, 블루투스(Bluetooth),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방식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원격제어장치(20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에서 출력한 영상, 음성 또는 데이터 신호 등을 수신하여, 이를 원격제어장치(200)에서 표시하거나 음성 또는 진동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원격제어장치(200)는,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좌표값 정보를 디스플레이 장치(1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원격제어장치(200)의 움직임에 대응하는 포인터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3D 공간 상의 움직임에 따라 해당 포인터가 이동되어 표시되므로, 이를 3D 포인팅 장치(3D pointing device)라 명명할 수 있다.
한편, 도 3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즉,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또한, 각 블록에서 수행하는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그 구체적인 동작이나 장치는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지 아니한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달리, 도 3의 도시된 튜너부(115)와 복조부(120)를 구비하지 않고,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서, 방송 영상을 수신하고, 이를 재생할 수도 있다.
도 4는 도 3의 제어부의 내부 블록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제어부(170)는,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믹서(350),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 및 포맷터(360)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외 음성 처리부(미도시),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다중화부(310)는, 입력되는 스트림을 역다중화한다. 예를 들어, MPEG-2 TS가 입력되는 경우 이를 역다중화하여, 각각 영상, 음성 및 데이터 신호로 분리할 수 있다. 여기서, 역다중화부(310)에 입력되는 스트림 신호는, 튜너(115) 또는 복조부(120)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에서 출력되는 스트림 신호일 수 있다.
영상 처리부(320)는, 역다중화된 영상 신호의 영상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영상 처리부(320)는, 영상 디코더(325), 및 스케일러(335)를 구비할 수 있다.
영상 디코더(325)는, 역다중화된 영상신호를 복호화하며, 스케일러(335)는, 복호화된 영상신호의 해상도를 디스플레이 모듈(10)에서 출력 가능하도록 스케일링(scaling)을 수행한다.
영상 디코더(325)는 다양한 규격의 디코더를 구비하는 것이 가능하다.
한편, 영상 처리부(320)에서 복호화된 영상 신호는, 믹서(350)로 입력되게 된다.
프로세서(33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내 또는 제어부(170) 내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30)는 튜너(115)를 제어하여, 사용자가 선택한 채널 또는 기저장된 채널에 해당하는 RF 방송을 선택(Tuning)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사용자 입력 인터페이스부(150)를 통하여 입력된 사용자 명령 또는 내부 프로그램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5) 또는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0)와의 데이터 전송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30)는, 제어부(170) 내의 역다중화부(310), 영상 처리부(320), OSD 생성부(340) 등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OSD 생성부(34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또는 자체적으로 OSD 신호를 생성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 신호 또는 제어 신호에 기초하여,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화면에 각종 정보를 그래픽(Graphic)이나 텍스트(Text)로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생성되는 OSD 신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화면, 다양한 메뉴 화면, 위젯, 아이콘 등의 다양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OSD 생성부(340)는, 방송 영상의 자막 또는 EPG에 기반한 방송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한편, OSD 생성부(340)는, 오에스디 신호 또는 그래픽 신호를 생성하므로, 이를 그래픽 처리부라 명명할 수도 있다.
믹서(350)는, OSD 생성부(340)에서 생성된 OSD 신호와 영상처리부(220)에서 영상 처리된 복호화된 영상 신호를 믹싱할 수 있다. 믹싱된 신호는 포맷터(360)에 제공된다. 복호화된 방송 영상 신호 또는 외부 입력 신호와 OSD 신호가 믹싱됨으로 인하여, 방송 영상 또는 외부 입력 영상 상에 OSD가 오버레이 되어 표시될 수 있게 된다.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Frame Rate Conveter;FRC)(355)는, 입력되는 영상의 프레임 레이트를 변환할 수 있다. 한편,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는, 별도의 프레임 레이트 변환 없이, 그대로 출력하는 것도 가능하다.
포맷터(360)는,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5)의 출력 신호를 입력받아, 디스플레이 모듈(10)에 적합하도록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여 출력한다. 예를 들어, R,G,B 데이터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이러한 R,G,B 데이터 신호는, 낮은 전압 차분 신호(Low voltage differential signaling, LVDS) 또는 mini-LVDS로 출력될 수 있다.
한편, 포맷터(360)는, 3D 영상 신호의 포맷을 변경하거나, 2D 영상을 3D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음성 신호의 음성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다양한 디코더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70) 내의 음성 처리부(미도시)는, 베이스(Base), 트레블(Treble), 음량 조절 등을 처리할 수 있다.
제어부(170) 내의 데이터 처리부(미도시)는,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의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역다중화된 데이터 신호가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인 경우, 이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된 데이터 신호는, 각 채널에서 방영되는 방송프로그램의 시작시간, 종료시간 등의 방송정보를 포함하는 EPG(Electronic Progtam Guide) 정보일 수 있다.
한편, 도 4에 도시된 제어부(170)의 블록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위한 블록도이다. 블록도의 각 구성요소는 실제 구현되는 제어부(170)의 사양에 따라 통합, 추가, 또는 생략될 수 있다.
특히, 프레임 레이트 변환부(350), 및 포맷터(360)는 제어부(170) 내에 마련되지 않고, 각각 별도로 구비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고, 도 6 내지 도 18은 도 5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참조되는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입력 영상을 수신한다(S510).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영상 수신부(101)는, 방송 영상, 외부 장치로부터의 외부 영상, 또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외부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튜너(110)를 통해 방송 영상을 수신하거나, 외부장치 인터페이스부(135)를 통해, 외부 영상을 수신하거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부(130)를 통해, 외부 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되는 입력 영상은, 신호 처리를 위해, 제어부(170)로 전달될 수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한다(S520).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카메라(195)는, 영상을 촬영하며, 촬영 영상을 제어부(170)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연속 촬영된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x 좌표값(가로 위치),y 좌표값(세로 위치), 및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거리인 z축 좌표값를 연산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중앙 위치를, 사용자에 대한 위치 연산을 위한 기준으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영 영상 내에 사용자의 위치가, 정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x 좌표값, y 좌표값은 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정 중앙에서 좌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x 좌표값은 음수값을 가지고, 사용자가 정 중앙에서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x 좌표값은 양수값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위치에 따른 y 좌표값도 연산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거리, 즉 z 좌표값은, 연속 촬영 영상에서의, 사용자 크기에 기초하여, 연산될 수 있다. 촬영 영상 내에 사용자 크기가 큰 경우, 거리가 가까운 것으로 파악하고, 먼 경우, 거리가 먼 것으로 파악할 수 있다.
한편, 1개의 카메라가 구비되는 경우,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영상 내의 사용자 얼굴의 크기, 눈의 크기 또는 눈과 눈 사이의 거리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7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복수개의 카메라가 구비되는 경우, 각 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사이의 차이에 기초하여, 사용자(7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또는, 카메라(195)가 사용자 거리 검출을 위한 적외선 카메라를 포함하는 경우, 적외선 카메라로부터 거리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위치 정보 파악시, 사용자의 눈의 위치 정보를 더 파악하는 것도 가능하다. 촬영 영상 중, 사용자 얼굴 인식 알고리즘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 얼굴 내의 눈 영역을 인식할 수 있다. 그리고, 해당 눈 영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도 있다.
다음,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 영역 보다 측면 영역에 대한 입력 영상의 휘도 변화량을 더 증가시킨다(S53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휘도 가변된 영상을 표시한다(S540).
도 6은 평판 디스플레이 모듈(180) 상에 소정 영상(40)이 표시되는 것을 예시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중앙 영역(30)이 아닌, 제1 측면 영역(32)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영상(40) 중 제2 측면 영역(34)이 어둡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사용자가 중앙 영역(30)이 아닌, 제2 측면 영역(34)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영상(40) 중 제1 측면 영역(32)이 어둡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즉, 사용자에게 더 먼 영역에 대해, 어둡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시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사용자의 위치에 따라, 입력 영상의 휘도 변화량을 가변하는 것으로 한다.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의 양 측면 중 사용자 위치에 더 먼 측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대해, 휘도 변화량이 더 커지도록 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에게 더 먼 위치에 대응하는 영역이 어둡게 보이지 않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사용자 위치에 따른 입력 영상의 휘도 변화량 가변을,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해서 적용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구비한다. 특히, 도 1과 같이, 중앙 영역이 오목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을 구비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일정한 곡률을 가지면서, 휘어지므로, 사용자가 정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 시청시의 시청 거리가 일정하게 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영상 시청시 입체감을 더욱 느낄 수 있게 된다.
한편, 이와 같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인 경우, 영상 시청시의 입체감을 느낄 수 있으나, 일정한 휘도의 영상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 영역에 대해, 표시되는 경우, 사용자가 전 영역에서, 일정한 휘도가 아닌 것으로 느낄 수 있게 된다.
특히,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 영역 보다 측면 영역에 대해, 휘도가 낮은 것 처럼 인식할 수 있다.
주변 조명에 의한 광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불균일하게 입사되거나, 일정한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곡률에도 불구하고,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각 지점 별 순간 기울기의 크기가 다름으로 인해, 사용자가 느끼는 휘도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명세서에서는,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해, 사용자가 균일한 휘도를 느낄 수 있도록,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 가변을 수행하되, 입력 영상의 제1 영역의 휘도 변화량이, 제2 영역의 휘도 변화량 보다 커지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 영역에 대응하는 제1 영역의 휘도 변화량이, 중앙 영역에 대응하는 제2 영역의 휘도 변화량 보다 커지도록 한다.
이를 위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제어부(170)는, 입력 영상의 각 픽셀별, 또는 각 블록별 휘도를 파악하고, 각 픽셀별 또는 블록별 휘도를 가변시킨다. 예를 들어, 제1 영역의 휘도 변화량은 +7으로 설정하고, 제2 영역의 휘도 변화량은 +3으로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70)는, 휘도 가변된 영상을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표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측면 영역에 대해, 보다 밝기가 향상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7은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을 복수의 영역 별로 구분하고, 각 영역 별로,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 변화량을 달리하는 것을 예시한다.
사용자(700)의 위치가 도면과 같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중앙 영역(center)에 대응하는 위치에 있는 경우, 제어부(170)는, 입력 영상의 휘도를 가변하되, 중앙 영역(center)을 기준으로, 양 측면 영역(A1,A2,B1,B2,C1,C2,D1,D2)으로 갈수록, 그 변화량이 더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입력 영상의 전체 휘도는, 휘도 레벨이 L2 인 것으로 가정한다. 즉, 일정한 휘도 레벨(L2)의 입력 영상에 대해, 휘도를 증가시키되, 영역별로 휘도 변화량이 달라지도록 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중앙 영역(Center)의 휘도 레벨 (L5) 보다 인접하는 영역(A1,A2)의 휘도 레벨(L6)이 더 큰 것을 예시한다. 또한, 영역(A1,A2)의 휘도 레벨(L6) 보다 인접하는 영역(B1,B2)의 휘도 레벨(L7)이 더 크며, 영역(B1,B2)의 휘도 레벨(L7) 보다 인접하는 영역(C1,C2)의 휘도 레벨(L8)이 더 크며, 영역(C1,C2)의 휘도 레벨(L8) 보다 인접하는 영역(D1,D2)의 휘도 레벨(L9)이 더 큰 것을 예시한다.
즉, 중앙 영역에서 측면 영역으로 갈수록, 휘도 변화량이 더 커질 수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디스플레이 장치(100) 주변의 외부광이, 디스플레이 모듈(10)에 고르게 입사되는 것을 전제로, 중앙 영역에서 측면 영역으로 갈수록, 휘도 변화량이 더 커지는 것으로 기술하였으나, 주변 외부광의, 불균일하게 디스플레이 모듈(10)로 입사되는 경우, 이를 고려하여, 각 영역의 휘도 변화량을 더 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주변 외부광의 조도를 측정하기 위한 조도 센서(미도시)를 구비하는 경우, 조도 센서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전 영역에 대해, 입사되는 광의 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변 조명 장치가,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측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부 영역에 입사되는 외부광이 더 큰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상부 영역 보다 하부 영역의 휘도 변화량이 더 커지도록 조정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주변 조명 등, 외부광을 고려한, 휘도 레벨 변화를 수행할 수 있게 되어, 사용자는 더욱 휘도 개선된 입체감 있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영상의 입력 휘도 대비, 출력 휘도에 대한 그래프를 예시한다. 특히,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각 영역별, 휘도 변화를 위한 감마 커브 그래프(gamma curve graph)를 예시한다.
도면과 같이, 센터 영역에서의, 출력 휘도 레벨 보다, A,B,C,D 영역으로 출력 휘도 레벨이 순차적으로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입력 휘도 대비 출력 휘도에 대한 연산은, 제어부(170)에서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메모리(140)에 기 저장된, 영역 별 휘도 변화량 테이블에 기초하여, 출력 휘도에 대한 연산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휘도 변화량에 대한 제어는, 결국,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각 영역별, 픽셀 소자에 흐르는 전류 레벨 가변으로 이어진다.
도 9는,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인 경우의, 서브셀(sub ell) 회로도를 예시한다.
각 서브셀(sub ell)은, 녹색(R),적색(G),청색(B),백색(W) 유기발광 서브셀일 수 있다.
한편, 각 서브셀(sub ell)은, 스위칭 트랜지스터(SW TFT), 저장 커패시터(Cst), 구동 트랜지스터(DRV TFT), 유기발광층(OLED)을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스위칭 트랜지스터(SW TFT)는, 게이트 단자에 스캔 라인(Scan line)이 접속되어, 입력되는 스캔 신호에 따라 턴 온하게 된다. 턴 온되는 경우, 입력되는 데이터 신호를 구동 트랜지스터(DRV TFT)의 게이트 단자 또는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으로 전달한다.
저장 커패시터(Cst)는, 구동 트랜지스터(DRV TFT)의 게이트 단자와 소스 단자 사이에 형성되며, 저장 커패시터(Cst)의 일단에 전달되는 데이터 신호 레벨과, 저장 커패시터(Cst)의 타단에 전달되는 직류 전원(VDD) 레벨의 소정 차이를 저장한다.
예를 들어, 데이터 신호가, PAM(Pluse Amplitude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레벨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의 레벨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다른 예로, 데이터 신호가 PWM(Pluse Width Modulation) 방식에 따라 서로 다른 펄스폭을 갖는 경우, 데이터 신호의 펄스폭 차이에 따라,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되는 전원 레벨이 달라지게 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RV TFT)는, 저장 커패시터(Cst)에 저장된 전원 레벨에 따라 턴 온된다. 구동 트랜지스터(DRV TFT)가 턴 온하는 경우, 저장된 전원 레벨에 비례하는, 구동 전류(IOLED)가 유기발광층(OLED)에 흐르게 된다. 이에 따라, 유기발광층(OLED)은 발광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결국, 상술한 바와 같이,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에 대응하는 입력 영상의 각 영역별 휘도 변화량이 가변될 때, 해당 영역에 배치되는, 각각의 스위칭 트랜지스터(SW TFT), 저장 커패시터(Cst), 구동 트랜지스터(DRV TFT), 유기발광층(OLED)에 흐르는 전류 레벨이 가변되게 된다.
구체적으로, 입력 영상 중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의 측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셀에 흐르는 전류 레벨(IOLED1)이, 디스플레이 모듈의 중앙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셀에 흐르는 전류 레벨(IOLED2) 보다 커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전류 레벨의 가변 제어는, 상술한 제어부(170)에 의해 제어된다.
한편, 도 7에서는,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 내의 영역 구분시, 중앙 영역의 크기가, 가장 크고, 그 외의 측면 영역의 크기가 중앙 영역 보다 작은 것을 예시하나, 이와 달리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중앙 영역과 측면 영역의 크기가 모두 동일하거나, 또는 순차적으로 측면 영역으로 갈수록, 작아지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도 7에서는 각 영역을 9개 영역으로 구분하는 것으로 예시하나, 이와 달리, 3개, 5개, 7개 영역 등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도 10 내지 도 13은 사용자 위치에 따른, 입력 영상의 휘도 가변을 예시한다.
먼저, 도 10은, 도 7과 비교하여, 사용자(700)가 제1 거리(D1) 만큼 좌측으로 이동한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이동을 파악하고, 양 측면 영역(D1,D2) 중 우측면 영역(D2)의 휘도 변화량이, 좌측면 영역(D1)의 휘도 변화량 보다 더 크도록 제어한다.
즉, 도면과 같이,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A1 영역이 새로운 기준이 되어, A1 영역의 휘도 레벨이 L5로 설정되고, A1 영역을 대칭으로, B1,center 영역의 휘도 레벨이 L5 보다 높은, L6 레벨로 설정되고, C1,A2 영역의 휘도 레벨이 L6 보다 높은, L7 레벨로 설정되며, D1,B2 영역의 휘도 레벨이 L7 보다 높은, L8 레벨로 설정되며, C2,D2 영역으로 갈수록, 그 휘도 레벨이 L9,L10로 순차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더 먼 측면 영역에서의 휘도가 개선되게 된다. 따라서, 입체감 있는 영상 및 휘도 개선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1은, 도 10과 비교하여, 사용자(700)가 제1 거리(D1) 보다 더 먼 제2 거리(D2) 만큼 좌측으로 이동한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이동을 파악하고, 양 측면 영역(D1,D2) 중 우측면 영역(D2)의 휘도 변화량이, 좌측면 영역(D1)의 휘도 변화량 보다 더 크도록 제어한다.
즉, 도면과 같이,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B1 영역이 새로운 기준이 되어, B1 영역의 휘도 레벨이 L5로 설정되고, B1 영역을 대칭으로, C1,A1 영역의 휘도 레벨이 L5 보다 높은, L6 레벨로 설정되고, D1,center 영역의 휘도 레벨이 L6 보다 높은, L7 레벨로 설정되며, A2,B2,C2,D2 영역으로 갈수록, 그 휘도 레벨이 L8,L9,L10,L11로 순차 증가할 수 있다.
도 10과 비교하여, 우측 영역의 휘도 레벨이 더 증가하고, 좌측 영역의 휘도 레벨이 더 감소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더 먼 측면 영역에서의 휘도가 개선되게 된다. 따라서, 입체감 있는 영상 및 휘도 개선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2는, 도 10과 비교하여, 사용자(700)가 제1 거리(D1) 만큼 좌측에 위치하나, 사용자(700)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거리가, Da에서 Db로 더 멀어진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이동을 파악하고,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 가변시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한다.
즉, 도면과 같이,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A1 영역이 기준이 되어, A1 영역의 휘도 레벨이 도 10 보다 3 레벨 높은 L8로 설정되고, A1 영역을 대칭으로, B1,center 영역의 휘도 레벨이 L8 보다 높은, L9 레벨로 설정되고, C1,A2 영역의 휘도 레벨이 L9 보다 높은, L10 레벨로 설정되며, D1,B2 영역의 휘도 레벨이 L10 보다 높은, L11 레벨로 설정되며, C2,D2 영역으로 갈수록, 그 휘도 레벨이 L12,L13로 순차 증가할 수 있다.
즉, 도 10에 비해, 전반적으로 휘도 레벨이 3 레벨 정도 더 상승한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거리에 대응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가 개선되게 된다. 따라서, 입체감 있는 영상 및 휘도 개선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3은 도 10과 반대로, 사용자(700)가 제1 거리(D1) 만큼 우측으로 이동한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사용자의 위치 이동을 파악하고, 양 측면 영역(D1,D2) 중 좌측면 영역(D1)의 휘도 변화량이, 우측면 영역(D2)의 휘도 변화량 보다 더 크도록 제어한다.
즉, 도면과 같이,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는 A2 영역이 새로운 기준이 되어, A2 영역의 휘도 레벨이 L5로 설정되고, A2 영역을 대칭으로, B2,center 영역의 휘도 레벨이 L5 보다 높은, L6 레벨로 설정되고, C2,A1 영역의 휘도 레벨이 L6 보다 높은, L7 레벨로 설정되며, D2,B1 영역의 휘도 레벨이 L7 보다 높은, L8 레벨로 설정되며, C1,D1 영역으로 갈수록, 그 휘도 레벨이 L9,L10로 순차 증가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 위치에 대응하여, 사용자에게 더 먼 측면 영역에서의 휘도가 개선되게 된다. 따라서, 입체감 있는 영상 및 휘도 개선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다음, 도 14는 복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앞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제어부(170)는, 카메라(195)를 통해, 복수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고, 복수의 사용자의 평균 위치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 가변을 수행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제1 사용자(700a)가 C1 영역 앞에 위치하고, 제2 사용자(700b)가 센터 영역 앞에 위치하므로, 그 평균인, A1 영역을 기준으로, 영상의 휘도 가변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즉, A1 영역 앞에, 단일의 제3 사용자(700c))가 위치하는 것으로 하여, 도 10과 같은, 각 영역별 휘도 가변이 수행되는 것과 동일하게, 휘도 가변이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14와 달리, 복수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장치(100) 앞에 위치하는 경우, 각 사용자 별로 가중치를 할당하여, 복수 사용자를 대표하는 대표 위치를 연산하고, 대표 위치에 기초하여,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 가변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도 14에 도시된 제1 사용자(700a)와 제2 사용자(700b) 중 제2 사용자(700b)가,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을 아예 시청하지 않고 있는 경우, 제1 사용자(700a)에 대한 가중치를 1로 할당하고, 제2 사용자(700b)에 대한 가중치를 0으로 할당하여, 결국, 제1 사용자(700a)의 위치를, 대표 위치로서 연산하고, 제1 사용자(700a)의 위치를 기준으로, 각 영역별 휘도 가변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다른 예로, 도 14에 도시된 제1 사용자(700a)와 제2 사용자(700b) 중 제2 사용자(700b)가, 제1 사용자(700a) 대비 50% 시간 동안,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표시되는 영상을 시청하는 경우, 제1 사용자(700a)에 대한 가중치를 2/3로 할당하고, 제2 사용자(700b)에 대한 가중치를 1/3으로 할당하여, 대표 위치를 연산할 수 있다. 대표 위치는, 대략, B1 위치에 대응할 수 있다. 이에 따라, B1 영역을 기준으로, 영상의 휘도 가변을 수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사용자별 영상 시청 시간 등은, 카메라(195)를 통해 촬영된, 영상을 통해, 사용자의 얼굴 또는 시선이 디스플레이 장치(100) 방향으로 향하는 시간 등에 기초하여, 연산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4는, 사용자의 위치 중 x 좌표(좌,우 이동), z 좌표(가깝거나 더 멀거나)에 기초하여, 휘도 가변이 수행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와 달리, y 좌표(상,하 이동 또는 사용자의 눈 위치)에 기초하여, 휘도 가변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에 대해서는 도 15 및 도 16을 참조하여 기술한다.
먼저, 도 15(a)는, 사용자의 눈(702)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인 H1 높이에 대응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70)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하 영역 구분 없이, 휘도 가변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15(b)는, 사용자의 눈(702)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인 H1 높이인 상태에서, 좌측으로, D1 만큼 사용자가 이동한 경우를 예시한다. 이에 따라, 도 10과 같은, 각 영역 별 휘도 레벨이 설정될 수 있다. 즉, 우측면 영역의 휘도 레벨이 더 커질 수 있다.
다음, 도 16(a)는, 사용자의 눈(702)의 위치가 디스플레이 장치의 중앙인 H1 높이 보다 더 높은 H2 위치에 대응하는 것을 예시한다. 이러한 경우, 제어부(170)는, 사용자의 시선 위치에 대응하여, 디스플레이의 모듈의 어느 한 수직 라인에 대해, 휘도 변화량이 가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시선 위치에 대응하는 H2 높이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휘도 레벨이 증가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H2 높이를 기준으로, 상부 영역(A1)과 하부 영역(A2)로 나누고, 상부 영역(A1) 내의 각 영역들(center,A1,A2,B1,B2,C1,C2,D1,D2)의 휘도 레벨은, 도 15(b)와 같은 휘도 레벨을 가지고, 하부 영역(A2) 내의 각 영역들(center,A1,A2,B1,B2,C1,C2,D1,D2)의 휘도 레벨은, 상부 영역(A1) 내의 각 영역들(center,A1,A2,B1,B2,C1,C2,D1,D2)의 휘도 레벨 보다, 각각 1 휘도 레벨 더 높은 것을 예시한다. 즉, 사용자의 시선에 더 멀수록, 휘도 변화량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의해, 사용자의 시선 위치에 대응하여, 입력 영상의 휘도가 개선되게 된다. 따라서, 입체감 있는 영상 및 휘도 개선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도 17은 곡률 반경에 따른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 변화량이 달라지는 것을 예시한다.
도 17(a)는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a)의 곡률 반경이 Ra 인 것을 예시하며, 도 17(c)는,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b)의 곡률 반경이 Ra 보다 더 작은 Rb인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7(b)는, 도 17(a)의 곡률 반경(Ra)에 대응하여, 제어부(170)가, 어느 한 픽셀(820a)에 대해, 휘도 가변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L6 휘도 레벨에서 L7 휘도 레벨로 1 레벨 상승시키는 것을 예시한다.
한편, 도 17(d)는, 도 17(c)의 곡률 반경(Rb)에 대응하여, 제어부(170)가, 어느 한 픽셀(820a)에 대해, 휘도 가변을 수행하는 것을 예시한다. 도면에서는, L6 휘도 레벨에서 L9 휘도 레벨로 3 레벨 상승시키는 것을 예시한다.
즉, 동일 위치의 픽셀에 대해서, 휘도 가변시, 곡률 반경이, 작을수록, 휘도 변화량이 더 커지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입체감 있는 영상 및 휘도 개선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사용자 시선에 대해, 영역 구분하여, 휘도를 가변하는 도 16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도 7 내지 도 17은, 각 영역별, 휘도 변화량이 동일한 것으로 기술하나, 이와 달리 다양한 예가 가능하다.
즉, 각 영역 내에서도, 사용자 위치에 따라, 휘도 변화량이 달라질 수 있으며, 각 영역 내에서, 모두 휘도가 변하지 않고, 일부 영역만 휘도가 변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도 7 내지 도 17은, 휘어지는 디스플레이 모듈(10a)을 세로로 구획하여, 각 영역을 구분하였으나, 이와 달리, 임의의 사이즈의 블럭(block) 별로, 각 영역을 구획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구분되는 각 블럭의 개수가 많아질수록, 보다 정확한, 휘도 레벨 가변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한편, 입력 영상의 전체적인 휘도 레벨에 따라, 휘도 변화량이 가변되는 것도 가능하다. 전체적으로,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이 높은 경우, 전체적으로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이 낮은 경우에 비해, 각 영역별 휘도 증가량이 작도록 설정할 수 있다. 즉,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이 150 레벨인 경우, +2 레벨 내지 +6 레벨 사이에서 휘도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하고, 입력 영상의 휘도 레벨이 50 레벨인 경우, +22 레벨 내지 +26 레벨 사이에서 휘도 레벨을 증가시키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10 내지 도 17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수평 라인을 기준으로 휘어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며, 이에 따라, 중앙 영역에서 측면 영역으로 갈수록, 해당 영상의, 휘도 레벨의 변화량을 달리하는 것을 설명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모듈(10)이 수직 라인을 기준으로 휘어지는 경우, 중앙 영역에서, 상부 영역 또는 하부 영역으로 갈수록, 해당 영상의, 휘도 레벨 변화량이 증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휘도 레벨을 더 증가시킬 수도 있다.
결국,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10)이 휘어지는 경우, 표시 영상의 휘도 레벨을, 입력 영상 대비하여, 증가시키며, 특히, 디스플레이 모듈(10)의 휘어지는 방향을 기준으로, 더 멀어질수록, 휘도 레벨 변화량이 더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디스플레이 모듈(10c)이 오목 영역(920)과 볼록 영역(910)을 동시에 구비하는 경우,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 변화량이 달라지는 것을 예시한다.
도 18(a)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10c)이, 복수의 곡률을 가질 수 있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모듈인 경우, 제어부(170)는, 오목 영역(920)에 대응하여, 입력 영상 대비, 휘도 레벨을 증가시키고, 볼록 영역(910)에 대응하여, 입력 영상 대비, 휘도 레벨을 감소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8(b)는, 입력 영상(901)을 예시하며, 도 18(c)는, 입력 영상(910) 중 오목 영역(920)에 대응하는 영역(Ad) 내의 픽셀(915)에 대해, L6 휘도 레벨(820a)에서 L7 휘도 레벨(820b)로 1 레벨 상승시키며, 입력 영상(910) 중 볼록 영역(910)에 대응하는 영역(Ae) 내의 픽셀(917)에 대해, L6 휘도 레벨(825a)에서 L5 휘도 레벨(825b)로 1 레벨 감소시키는 것을 예시한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10c)의 휘어지는 특성에 따라, 입체감 있는 영상 및 휘도 개선된 영상을 시청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제어부(170)는, 사용자와 디스플레이 장치(100) 사이의 거리가 가까울수록, 휘도 변화량이 더 커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Ra 보다 더 가까운 Rb 위치에 사용자가 위치하는 경우, 오목 영역(920)에 대응하는 영역(Ad) 내의 픽셀(915)에 대해, L6 휘도 레벨)에서 L8 휘도 레벨로 2 레벨 상승시키며, 입력 영상(910) 중 볼록 영역(910)에 대응하는 영역(Ae) 내의 픽셀(917)에 대해, L6 휘도 레벨에서 L4 휘도 레벨로 2 레벨 감소시킬 수도 있다.
이때의 디스플레이 모듈(10c)은, 휴대폰과 같은 이동 단말기(미도시)에 채용 가능한 디스플레이 모듈로서, 이동 단말기의 휘어지는 상태에 따라, 함께 휘어질 수 있다.
한편, 도 18은 오목 영역(920)과 볼록 영역(910)의 곡률이 동일한 것으로 도시하나, 각각 서로 다른 곡률을 가지는 것이 가능하다. 그리고, 곡률이 서로 다른경우에는, 도 17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곡률이 작을수록, 휘도 변화량이 더 커질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기(미도시)에 본 발명이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움직임 외에, 이동 단말기의 움직임을 고려하여, 휘도 변화량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사용자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가 우측으로 이동하는 경우, 이동 단말기 대비 사용자 위치가 좌측에 위치하는 것이므로, 이를 고려하여, 휘도 변화량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결국, 이동 단말기의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 대비 사용자 위치를 고려하여, 휘도 변화량을 결정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후면 분해 사시도이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화상이 구현되는 디스플레이 모듈(510)과,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가변 부재(520)를 포함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후면을 덮는 덮개 부재(5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디스플레이 모듈(510)은, 실질적으로 화상을 구현하는 디스플레이 패널(512)과, 디스플레이 패널(512)의 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12)을 지지하는 지지 부재(514)와, 지지 부재(514)에 고정되며 디스플레이 패널(512)의 구동을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패널 구동부(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에 별도로 도시하지 않았지만, 디스플레이 패널(512) 및 지지 부재(514)의 가장자리를 감싸는 프레임부가 더 위치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512)은 화상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가지며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져 가변 부재(520)에 의하여 형상이 변화할 수 있는 패널이다.
일례로, 디스플레이 패널(512)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일 수 있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이라 함은 형광 또는 인광 유기물 박막에 전류를 흐르게 하여 전자와 정공이 유기물 박막에서 결합하면서 빛이 발생하는 원리를 이용한 자체 발광형 디스플레이 패널이다. 유기 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은 밝고 선명한 화질을 가지고 시야각에 의한 제한이 없으며 전력 소모가 적은 등의 다양한 장점이 있다. 특히, 유기물 박막을 적층하는 것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으므로 플렉서블한 특성이 우수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구조 및 방식을 가지는 다양한 디스플레이 패널(512)이 적용될 수 있다.
지지 부재(514)는 디스플레이 패널(512)의 후면에 위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12)을 지지한다. 또한 지지 부재(514)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512)을 구동하며 지지 부재(514)의 후면에 고정되는 패널 구동부 및 가변 부재(520)가 위치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 부재(514)는 디스플레이 패널(512), 패널 구동부 및 가변 부재(520)가 지지되고 고정될 수 있는 강도를 가지면서, 디스플레이 패널(512)의 형상이 변화할 때는 형상이 변화할 수 있도록 플렉서블한 특성, 탄성 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열적 스트레스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지지 부재(514)는 디스플레이 패널(512)과 유사한 수준의 열팽창 계수를 가질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514)는 강화 플라스틱 등의 복합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복합 소재라 함은 두 종류 이상의 물질을 인위적으로 결합하여 우수한 특성을 가지도록 한 재료이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 지지 부재(514)는 탄소 섬유 강화 플라스틱(carbon fiber reinforced plastic, CFRP), 유리 섬유 강화 플라스틱(glass fiber reinforced plastic, GFRP) 등의 강화 플라스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면, 플라스틱에 의하여 가볍고 플렉서블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다양한 섬유 형태의 보강재에 의하여 높은 강도, 탄성, 우수한 내마모성을 가질 수 있다. 지지 부재(514)는 단일의 복합 소재층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우수한 강도를 위하여 복수 개의 복합 소재층이 적층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지지 부재(514)는 디스플레이 패널(512)의 후면에 접착제(일례로, 양면 테이프)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그 외의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패널(512)과 지지 부재(514)가 고정될 수 있다.
지지 부재(514)의 후면에 고정되는 패널 구동부는 패널을 구동하기 위한 신호를 제공하는 다양한 배선, 소자 등을 포함하는 회로 기판(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한다. 이러한 패널 구동부는 브라켓(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하여 지지 부재(514)에 고정될 수 있는데, 일례로, 브라켓은 중앙 부분에서만 지지 부재(514)에 고정되어 디스플레이 패널(512)의 형상을 변화시킬 때 필요한 힘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패널 구동부의 일부 또는 전부가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외부에 위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의 패널 구동부는 가변 부재(520)(특히, 구동부(524))를 구동하기 위한 배선, 소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패널(512) 및 지지 부재(514)의 가장자리를 보호하는 프레임부(도시하지 않음)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프레임부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지지 부재(514)를 보호하는 한편, 고정 부재(도시하지 않음) 등에 의하여 후면 커버(530)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프레임부의 형상, 프레임부와 후면 커버(530)의 고정 구조 등은 다양한 구조, 방식이 적용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디스플레이 모듈(510)(좀더 상세하게는, 지지 부재(514))의 후면에는 디스플레이 패널(512)을 변화시킬 수 있는 가변 부재(520)가 위치한다. 본 실시예에서 가변 부재(520)는, 변형부(522)와, 변형부(522)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기계적 에너지를 제공하는 구동부(52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변형부(522)는 일 방향(일례로,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좌우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변형부(522)는 구동부(524)에 의하여 기계적 에너지가 제공되면 중앙 부분이 후퇴하고 양쪽 단부 부분이 돌출되는 형상으로 변화할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좌우 방향에서 일정한 곡률 반경(5도 22의 참조부호 R, 이하 동일)을 가지도록 전체적으로 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형상이 변화하면 사용자의 눈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512)까지의 거리가 중앙 부분과 측면 부분에서 차이를 가지지 않거나 차이가 있더라도 아주 미세한 수준이 된다. 이에 따라 사용자의 몰입감을 향상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변형부(522)의 변형 형상이 달라질 수 있고, 이에 따른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변형 형상이 달라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면에서는 변형부(522)가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상부 부분에 하나 위치하고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하부 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예시로 도시하였다. 변형부(522)가 중앙 부분에서 하나만 위치할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가장자리 부분의 변형이 잘 일어나지 않을 수 있음을 고려한 것이다. 이와 같이 변형부(522)가 복수 개로 구비되면 전체적으로 균일하게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변형부(522)를 하나만 구비하여 비용을 절감하고 구조를 단순화할 수도 있다. 또는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대면적화되는 경우 등을 고려하여 3개 이상의 변형부(522)를 구비할 수도 있다. 그 외에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여기서, 변형부(522)는,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지지 부재(514)에 고정되는 제1 부분(622)과, 지지 부재(514)와 제1 부분(622) 사이에 위치하며 양 단부가 제1 부분(622)의 양 단부에 고정되는 제2 부분(624)을 포함한다.
이때, 제2 부분(624)의 일부가 구동부(524)에 고정되고 구동부(524)에 의하여 제공된 기계적 에너지에 의하여 제2 부분(624)의 연결 길이(즉, 제2 부분(624)과 연결된 제1 부분(622)의 양 단부 사이의 직선 거리)가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부분(624)의 연결 길이가 달라지게 되면 제1 부분(622)의 형상이 변화하게 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도 22를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와 같이 제1 부분(622)의 형상이 변화하면 제1 부분(622)이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힘을 가하여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형상 또한 이에 대응하도록 변화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 부분(622)은 제2 부분(624)에 의하여 힘을 받아서 형상이 변화된 후에 형상 변화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형상을 변화시키는 부분이다. 이에 따라 제1 부분(622)은 플렉서블(flexible)한 특성을 가지면서도 우수한 강도를 가지는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부분(622)을 구성하는 물질은 디스플레이 장치(500)를 경량화할 수 있도록 가벼운 물질일 수 있다.
일례로, 제1 부분(622)은 복합 소재, 일례로 강화 플라스틱(CFRP, GFRP 등)을 포함하는 층을 단일 또는 복수로 구비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물질로 제1 부분(622)을 형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그리고 제1 부분(622)은 일정한 폭(W)을 가지면서 길게 이어지는 밴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힘을 좀더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부분(622)이 다양한 형상을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때, 제1 부분(622)은 중앙 영역이 디스플레이 모듈(510)(좀더 상세하게는 지지 부재(514))에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고, 제1 부분(622)의 양측 단부 영역은 이동이 가능하다. 제1 부분(622)의 중앙 영역을 고정하면서도 양측 단부 영역을 자유롭게 하여 제1 부분(622)의 형상이 자유롭게 변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부분(622)의 중앙 영역은 고정 부재(622a)에 의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제1 부분(622)의 중앙 영역과 지지 부재(514) 사이의 거리는 제1 부분(622)의 단부 영역과 지지 부재(514) 사이의 거리보다 클 수 있다. 일례로, 제1 부분(622)의 중앙 영역이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후방으로 좀더 돌출된 라운드 형태를 가지도록 제1 부분(622)이 지지 부재(514) 상에 위치할 수 있다. 그러면, 구동부(524)에 의하여 제2 부분(624)의 길이가 변화하는 것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전체적으로 일정한 곡률 반경(R)로 변형할 때 좀더 쉽게 변형이 가능해진다. 고정 부재(622a)는 팸넛과, 스크루 등의 체결 부재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팸넛과 스크루를 이용하면 간단하고 쉽게 체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부재(514)와 측면 부분(626b)의 고정 구조로는 다양한 방식,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부분(622)의 양측 단부 영역은 지지 부재(514)에 고정된 가이드 부재(626)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제1 부분(622)의 양측 단부 영역이 쳐지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면서도 제1 부분(622)을 이동 가능하게 고정할 수 있다.
가이드 부재(626)는, 지지 부재(514)와 일정한 공간을 두고 이격되어 위치하는 상부 부분(626a)과, 상부 부분(626a)으로부터 절곡되어 지지 부재(514)에 인접하는 측면 부분(626b)을 포함한다. 측면 부분(626b)는 체결 부재(626c)에 의하여 지지 부재(514)에 고정된다. 일례로, 지지 부재(514)에 팸넛(642)이 위치할 수 있고, 팸넛(642) 및 측면 부분(626b)의 체결 홀에 스크루 등의 체결 부재(626c)를 체결하여 가이드 부재(626)와 지지 부재(514)를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팸넛과 스크루를 이용하면 간단하고 쉽게 체결이 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지지 부재(514)와 측면 부분(626b)의 고정 구조로는 다양한 방식, 구조가 사용될 수 있다.
제2 부분(624)은 와이어 형상을 가지며, 양 단부가 제1 부분(622)의 양 단부에 각기 고정될 수 있다. 제2 부분(624)은 구동부(524)의 회전축(749)에 고정되어 회전축(749)에 감기거나 풀리는 것에 의하여 연결 길이가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2 부분(624)의 단부는 제1 부분(622)의 단부에 형성된 홀(622b)을 통과한 다음 접착제 또는 밀봉재 등과 같은 고정 부재(628)에 의하여 제1 부분(622)에 고정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법에 의하여 제1 부분(622)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부분(624)은 다양한 조건에서도 늘어나지 않거나 거의 늘어나지 않으며 큰 항복 강도를 가지는 물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부분(624)이 늘어나게 되면 연결 길이를 정밀하게 변형시키기 어려울 수 있으며 더 많은 기계적 에너지를 제공하여야 하기 때문이다. 일례로, 제2 부분(624)은 금속 강선(일례로, 스테인리스 강선), 아라미드 섬유(aramid fiber), 탄소 강선 등의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부분(624)은 직경이 0.5mm 내지 10mm일 수 있다. 제2 부분(624)의 직경이 0.5mm 미만이면, 구동부(524)로부터 에너지를 받을 때 제2 부분(624)이 끊어지거나 변형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제2 부분(624)의 직경이 10mm를 초과하면, 제2 부분(624)의 연결 길이를 증가시키는 데 필요한 기계적 에너지가 커져서 비용이 증가하고 구성이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2 부분(624)이 다양한 물질, 직경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각각의 제1 부분(622)에 대하여 제2 부분(624)이 하나만 구비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제2 부분(624)이 복수로 구비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기계적 에너지를 제공하는 구동부(524)는 변형부(522)의 형상을 변화시킬 수 있는 다양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부(524)가 기계적 에너지를 이용하여 변형부(522)의 형상을 변화시키므로, 변형부(522)를 쉽게 변형할 수 있고 변형부(522)의 변형 정도, 변형 시간 등을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를 함께 참조하여 구동부(524)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동부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1은 도 20의 절개 사시도이다.
본 실시예에서 구동부(524)는 회전 에너지를 제공하는 모터(64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모터(524)로는 초음파 모터를 사용할 수 있다. 초음파 모터는 초음파 진동하는 진동체와 이동자의 사이에서 발생하는 마찰력을 회전력으로 변화시키는 모터로서, 압전 세라믹스의 압전 효과를 이용하기 때문에 압전 모터(5piezoelectric moto)라고도 불린다.
초음파 모터는 기존의 전자기식 모터보다 10배 이상 빠른 반응 속도를 가지며 큰 힘을 발생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인간의 가청 영역 밖의 초음파를 구동 주파수로 사용하여 작동 소음이 없으며 모터 자체의 구조가 간단하여 작은 크기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자석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구동 시 디스플레이 모듈(510)에 불필요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또한, 그 자체로 멈출 수 있는 홀딩 토크(holding torque)가 커서 전압을 걸지 않아도 역회전이 발생하지 않기 때문에 디스플레이 모듈(510)을 변형시킨 후에 별도의 전력 등을 제공하지 않더라도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변형 시의 안정성을 향상하고, 변형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별도의 구성이 필요하지 않아 구성이 단순화될 수 있다.
구동부(524)는 모터(642)의 속도를 줄여 회전 에너지를 좀더 크게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감속기(64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감속기(644)를 사용하면 모터(642)의 크기 등을 크게 줄일 수 있다. 이때, 감속기(644)의 감속비는 1:2 내지 1:300일 수 있다. 이러한 범위는 모터(642)의 크기를 최소화하면서도 변형부(522)를 충분하게 변형할 수 있는 기계적 에너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범위로 한정된 것이다. 그러나 모터(642)의 종류, 변형부(522)의 구조, 방식 등에 의하여 감속기(644)의 감속비가 변화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646) 내에 모터(642)와 감속기(644)가 위치하도록 한다.
이와 같이 하우징(646)을 이용하여 구동부(524)의 구조를 간단하게 할 수 있다. 하우징(646)의 체결 구멍(646a)에 체결 부재(646b)를 체결하는 것 등에 의하여 하우징(646)을 지지 부재(514)에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구동부(524)를 쉽게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지지 부재(514)에는 체결 부재(646b)가 체결되는 팸넛(도시하지 않음)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하우징(646)이 모터(642)가 위치하는 제1 하우징부(647)와 감속기(644)가 위치하는 제2 하우징부(648)를 포함하여 모터(642) 및 감속기(644)가 서로 불필요하게 간섭하지 않도록 하는 것을 예시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하나의 하우징부 내에 모터(642)와 감속기(644)가 함께 위치하는 것도 가능하며 그 외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그리고 하우징(646) 내에서 모터(642)와 감속기(644)를 평행하게 위치시키는 것에 의하여 두께를 줄일 수 있다. 그러면,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으면서 구동부(524)를 설치할 수 있다. 일례로, 본 실시예에서는 하우징(646)의 일부, 특히 감속기(644) 부분이 디스플레이 모듈(510)과 제1 부분(642) 사이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그러면, 감속기(644)의 회전축(749)에 제2 부분(624)을 고정하고 제2 부분(624)이 회전축(749)에 감기거나 풀리는 것에 의하여 쉽게 제2 부분(624)의 연결 길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배치되면 공간 상으로도 이점을 가진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구동부(524)가 변형부(522)로부터 이격되어 설치될 수도 있다.
모터(642)는 모터 기어(741)를 포함한다. 그리고 감속기(646)는 모터 기어(741)에 계합되는 링 기어(743)와, 링 기어(743) 내부에 위치하는 복수의 유성 기어(745)와, 유성 기어(745)에 계합되는 선 기어(747)와, 선 기어(747)에 연결되며 제2 부분(644)이 고정되는 고정부(749a)를 구비하는 회전축(749)을 포함한다. 모터(524)의 모터 기어(741)가 회전하면, 이에 계합되는 링 기어(743)가 회전하고 이에 따라 유성 기어(745) 및 선 기어(747)가 회전하여 회전축(749)을 회전시킨다. 유성 기어(745)는 복수 층으로 구비되어 감속비를 좀더 향상할 수 있다.
이때, 회전축(749)은 디스플레이 모듈(510)를 향해 하우징(646)의 외부로 돌출되며, 회전축(749)의 단부에는 오목부 형상의 고정부(749a)가 형성된다. 오목부 형상의 고정부(749a) 내에 제2 부분(644)이 걸리는 것에 의하여 제2 부분(644)의 중앙 부분이 회전축(749)에 고정된다. 회전축(749)에 오목부 형상의 고정부(749a)를 형성하여 제2 부분(624)을 고정하는 것에 의하여 별도의 추가적인 구성 없이 쉽제 제2 부분(624)을 고정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방식, 구조의 고정부(749a)가 형성될 수 있으며, 고정부(749a)가 회전축(749)와 별개로 위치하는 등 다양한 변형이 가능하다.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지만, 회전축(749)의 외면에 제2 부분(644)이 감기는 경로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러면 회전에 의하여 제2 부분(644)이 회전축(749)에 감길 때 좀더 안정적으로 감길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변형부(522) 각각에 대응하여 하나씩의 구동부(524)가 형성되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의 변형부(522)를 하나의 구동부(524)로 구동할 수도 있다. 또한, 감속기(644)로 유성 기어 감속기를 사용한 것을 예시하였으나 감속기(644)의 구조, 방식 등은 다양하게 변화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모듈(510) 및 가변 부재(520)의 후면에는 후면 커버(530)가 위치한다. 후면 커버(530)는 패널 구동부 등의 구성이 위치할 공간을 제공하면서 디스플레이 모듈(510), 패널 구동부 등을 외부 충격으로 보호한다. 또한, 후면 커버(530)는 패널 구동부 등을 덮어서 외부에서 내부 구성이 보이는 것을 방지하고 외관을 향상하는 역할을 한다. 일례로, 후면 커버(530)는 전체적으로 완곡한 곡면으로 이루어져서 공간을 충분히 확보하고, 외관을 향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후면 커버(530)는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형상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물질, 구조 등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디스플레이 장치(500)의 형상 변화에 대하여 도 22을 참조하여 좀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2는 도 19 내지 도 21에 의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형상 변화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참고로 도 22는 도 20의 V-V 선에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면에서는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가이드 부재(626) 및 후면 커버(530)의 도시를 생략하였다.
도 22의 (a)에서와 같이, 다른 조작이 없는 상태에서는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평판 형태를 가지게 된다.
이때, 변형부(522)의 제1 부분(622)은 중앙 영역이 고정 부재(622a)에 의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고정되며, 좌우 가장자리보다 중앙 부분에서 후면을 향해 좀더 돌출된 형태로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형상 변형이 좀더 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부분(622)의 단부 영역은 가이드 부재(도 19의 참조부호 226)에 의하여 이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리고 제2 부분(624)은 구동부(524)의 회전축(749)의 고정부(도 19의 참조부호 349a 참조, 이하 동일)에 고정된 상태이다.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형상을 변화하기 위한 명령을 부여하면, 패널 구동부 중에서 구동부(524)를 구동하는 소자에 의하여 구동부(524)가 작동한다. 일례로, 모터(642)가 회전하여 감속기(644)의 회전축(749)을 회전시킨다. 그러면, 회전축(749)에 고정된 제2 부분(624)이 회전축(749)과 함께 회전하면서 회전축(749)의 적어도 일부에 감기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부분(624)의 연결 길이가 짧아져서 제1 부분(622)의 양 단부 사이의 직선 거리가 짧아지게 된다. 그러면 제1 부분(622)이 전체적으로 휘면서 단부 영역이 돌출되도록 형상이 변화하고,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모듈(510)의 형상 또한 변화시킨다. 그러면, 도 22의 (b)에서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510)이 좌우 방향에서 전체적으로 균일한 곡률 반경(R)을 가지는 곡면으로 변형되어 사용자의 몰입감을 좀더 향상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그리고 사용자가 다시 원래 상태로 형상을 변화시키기 위한 명령을 부여하면, 도 22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회전축(749)에 감겨 있던 제2 부분(644)이 풀리면서 제2 부분(644)의 연결 길이가 상대적으로 길어지면서 변형부(522)가 최초 상태로 돌아가게 된다.
도 23은 도 19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곡률 가변에 대한 설명에 참조되는 도면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장치(500)는, 사용자(1100)가 감지되는 경우, 자동으로, 휘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가(100)가 없는 경우, 다시 평판 디스플레이로 복원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3(a)와 같이, 카메라(미도시) 등을 통해, 사용자(1100)가 감지되는 경우, 제어부(170)는, 가변 부재(520)를 제어하여, 도 23(b)와 같이, 사용자 방향으로 오목하게 휘어지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카메라(미도시) 등을 통해, 사용자(1100)가 감지되는 경우, 변 부재(520)를 제어하여, 도 23(c)와 같이, 휘어지지 않는, 평면 디스플레이가 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은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프로세서에 의해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또한, 인터넷을 통한 전송 등과 같은 캐리어 웨이브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또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에 분산되어, 분산방식으로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가 저장되고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20)

  1.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센터 영역이 오목하며, 일정 곡률에 따라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입력 영상 표시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센터 영역에서 측면 영역으로 갈수록 출력 휘도 레벨이 높아지도록,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해 휘도 가변을 수행하고, 상기 휘도 가변된 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 가변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측면 영역으로 갈수록, 휘도 변화량이 더 커지도록,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해 휘도 가변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대비, 상기 휘도 가변된 영상의 휘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양 측면 영역 중, 사용자에게 더 먼 제1 측면 영역에서의 휘도 가변시의 휘도 변화량이, 제2 측면 영역에서의 휘도 가변시의 휘도 변화량 보다, 더 크도록,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해 휘도 가변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카메라;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카메라로부터의 사용자 촬영 영상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의 위치를 파악하며, 상기 사용자 위치에 따라,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 가변시의, 휘도 변화량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복수의 사용자가 있는 경우, 상기 복수의 사용자의 위치에 기초하여, 대표 위치를 연산하고, 상기 대표 위치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 가변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곡률이 작아질수록,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 가변시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 가변시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9. 삭제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 가변시, 사용자의 눈 위치와의 거리가 멀수록,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디스플레이의 모듈의 어느 한 수직 라인에 대해, 사용자의 눈 위치에 기초하여, 휘도 변화량이 가변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주변의 외부광의 조도를 검출하는 조도 센서;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광의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를 더 가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이 가변되는 볼록 영역과, 오목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 영상 중 상기 오목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휘도 레벨을 증가시키고, 상기 입력 영상 중 상기 볼록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의 휘도 레벨을 감소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이 휘어지도록,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형상을 가변하는 가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은,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을 구비하고,
    상기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측면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셀에 흐르는 전류 레벨이, 상기 유기발광 디스플레이 패널의 상기 센터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배치되는 서브셀에 흐르는 전류 레벨 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6.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영상 수신부;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 및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센터 영역이 오목하며, 일정 곡률에 따라 휘어진 상태에서 , 상기 입력 영상 표시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센터 영역에서 측면 영역으로 갈수록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에 흐르는 전류 레벨이 더 커지도록 ,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표시장치.
  17. 휘어질 수 있는 디스플레이 모듈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에 있어서,
    입력 영상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센터 영역이 오목하며, 일정 곡률에 따라 휘어진 상태에서, 상기 입력 영상 표시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상기 센터 영역에서 측면 영역으로 갈수록 출력 휘도 레벨이 높아지도록,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해 휘도 가변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휘도 가변된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휘도 가변 단계는,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의 양 측면 영역 중, 상기 사용자에게 더 먼 제1 측면 영역에서의 휘도 가변시의 휘도 변화량이, 제2 측면 영역에서의 휘도 가변시의 휘도 변화량 보다, 더 크도록,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해 휘도 가변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사용자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휘도 가변 단계는,
    사용자와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사이의 거리가 멀수록,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 가변시의, 휘도 변화량이 커지도록,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해 휘도 가변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모듈 주변의 외부광의 조도를 검출하는 단계; 및
    상기 외부광의 조도에 기초하여, 상기 입력 영상에 대한 휘도를 더 가변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방법.
KR1020130098032A 2013-08-19 2013-08-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1114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032A KR102111407B1 (ko) 2013-08-19 2013-08-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14/912,738 US10021378B2 (en) 2013-08-19 2013-12-09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CN201380079655.6A CN105556951B (zh) 2013-08-19 2013-12-09 显示设备及其操作方法
PCT/KR2013/011344 WO2015026017A1 (en) 2013-08-19 2013-12-09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EP13891670.5A EP3036896B1 (en) 2013-08-19 2013-12-09 Display apparatu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98032A KR102111407B1 (ko) 2013-08-19 2013-08-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20912A KR20150020912A (ko) 2015-02-27
KR102111407B1 true KR102111407B1 (ko) 2020-05-15

Family

ID=524837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98032A KR102111407B1 (ko) 2013-08-19 2013-08-19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021378B2 (ko)
EP (1) EP3036896B1 (ko)
KR (1) KR102111407B1 (ko)
CN (1) CN105556951B (ko)
WO (1) WO2015026017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152A1 (ko) * 2022-07-07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967546B2 (en) 2013-10-29 2018-05-08 Vefxi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verting 2D-images and videos to 3D for consumer, commercial and professional applications
US20150116458A1 (en) 2013-10-30 2015-04-30 Barkatech Consulting,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enhanced 3d-effects for real-time and offline appplications
CN104955285B (zh) * 2014-03-26 2018-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US10158847B2 (en) 2014-06-19 2018-12-18 Vefxi Corporation Real—time stereo 3D and autostereoscopic 3D video and image editing
KR20160061794A (ko) * 2014-11-24 201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84547A (ko) * 2015-01-05 2016-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액정 표시 장치
KR102261876B1 (ko) * 2015-01-06 2021-06-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20160089019A (ko) * 2015-01-16 2016-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EP3067857A1 (en) * 2015-03-13 2016-09-14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a peripheral image
CN106157814B (zh) * 2015-03-23 2018-12-21 Tcl光电科技(惠州)有限公司 曲面显示装置
US10037724B2 (en) * 2015-09-04 2018-07-31 Dell Products L.P. Information handling system selective color illumination
KR102355759B1 (ko) * 2015-11-05 2022-01-26 삼성전자주식회사 사용자의 위치를 결정하는 전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20170171534A1 (en) * 2015-11-12 2017-06-15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to display stereoscopic image in 3d display system
US10277877B2 (en) 2015-11-13 2019-04-30 Vefxi Corporation 3D system including a neural network
US10277879B2 (en) 2015-11-13 2019-04-30 Vefxi Corporation 3D system including rendering with eye displacement
WO2017083509A1 (en) * 2015-11-13 2017-05-18 Craig Peterson Three dimensional system
US10277880B2 (en) 2015-11-13 2019-04-30 Vefxi Corporation 3D system including rendering with variable displacement
US10122987B2 (en) 2015-11-13 2018-11-06 Vefxi Corporation 3D system including additional 2D to 3D conversion
US10284837B2 (en) 2015-11-13 2019-05-07 Vefxi Corporation 3D system including lens modeling
US10121280B2 (en) 2015-11-13 2018-11-06 Vefxi Corporation 3D system including rendering with three dimensional transformation
US10242448B2 (en) 2015-11-13 2019-03-26 Vefxi Corporation 3D system including queue management
US10225542B2 (en) 2015-11-13 2019-03-05 Vefxi Corporation 3D system including rendering with angular compensation
US10148932B2 (en) 2015-11-13 2018-12-04 Vefxi Corporation 3D system including object separation
US10148933B2 (en) 2015-11-13 2018-12-04 Vefxi Corporation 3D system including rendering with shifted compensation
US10154244B2 (en) 2016-02-18 2018-12-11 Vefxi Corporation 3D system including a marker mode
CN105843572B (zh) * 2016-03-21 2020-02-2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信息处理方法及可形变的电子设备
TWI576639B (zh) * 2016-05-19 2017-04-01 友達光電股份有限公司 具有光線調整模組的顯示裝置及其控制方法
KR102558473B1 (ko) * 2016-09-30 2023-07-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표시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180050847A (ko) 2016-11-07 201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N106504695B (zh) * 2016-12-15 2019-03-01 深圳市奥拓立翔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可弯曲的led显示屏局部亮度调整的控制方法
JP2018185437A (ja) * 2017-04-26 2018-11-22 京セラ株式会社 3次元表示装置、3次元表示システム、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および移動体
CN107123402B (zh) * 2017-05-26 2019-08-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及其控制方法
KR102364165B1 (ko) * 2017-06-30 2022-0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CN107146529A (zh) * 2017-07-13 2017-09-08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用于柔性显示屏的显示方法、柔性显示装置
KR102390984B1 (ko) * 2017-08-10 2022-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N108447433A (zh) * 2018-02-28 2018-08-24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曲面显示面板及其应力检测及电压调节方法
KR102553092B1 (ko) * 2018-04-17 2023-07-10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A3028220C (en) 2018-12-20 2020-08-18 Cae Inc. Dynamically adjusting image characteristics in real-time
US11217204B2 (en) * 2018-12-19 2022-01-04 Cae Inc. Dynamically adjusting image characteristics in real-time
KR102652550B1 (ko) * 2019-02-13 2024-03-2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형 표시 장치
JP2021107886A (ja) * 2019-12-27 2021-07-29 富士フイルムビジネスイノベーション株式会社 制御装置およびプログラム
KR20220030372A (ko) * 2020-08-28 2022-03-1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20096870A (ko) * 2020-12-31 2022-07-0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표시 장치
KR20230035784A (ko) * 2021-09-06 2023-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제어 방법
CN115064102A (zh) * 2021-11-30 2022-09-16 深圳荣耀智能机器有限公司 一种显示屏、电子设备和显示屏的制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87296B2 (ja) * 2001-03-21 2007-10-03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情報処理方法、情報処理プログラムを情報処理装置に実行させる媒体、プログラム実行装置、情報処理プログラム
KR20070079221A (ko) * 2006-02-01 2007-08-06 엘지전자 주식회사 표시기기 시청상태 최적화 장치 및 방법
KR20080062546A (ko) * 2006-12-29 2008-07-0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영상표시장치 시스템 및 이의 구동방법
EP2133861A3 (en) 2008-06-10 2010-07-28 LG Electronics, Inc. Display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JP4743234B2 (ja) * 2008-07-02 2011-08-10 ソニー株式会社 表示装置及び表示方法
KR101074906B1 (ko) * 2009-06-30 2011-10-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 및 그의 제어 방법
EP2315186B1 (en) * 2009-10-26 2016-09-21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with flexible body for inputting a signal upon bending said body
KR101147419B1 (ko) * 2010-05-04 2012-05-22 삼성모바일디스플레이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를 위한 감마 설정 방법
WO2012035193A1 (en) * 2010-09-17 2012-03-22 Nokia Corporation Adjustment of display brightness
KR101258327B1 (ko) * 2010-10-13 2013-04-25 주식회사 팬택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장치 및 그 디스플레이 방법
US8395656B1 (en) * 2011-01-24 2013-03-12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Methods and apparatus to direct attention in a video content display
EP2500894A1 (en) 2011-03-18 2012-09-19 Research In Motion Limited System and method for bendable display
KR101850718B1 (ko) * 2011-12-15 2018-04-20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3d 영상 변환 방법
JP5085793B1 (ja) * 2012-02-08 2012-11-28 シャープ株式会社 映像表示装置およびテレビ受信装置
KR101507206B1 (ko) * 2012-02-13 2015-03-30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연한 표시장치
KR102109933B1 (ko) * 2013-07-01 2020-05-12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의 곡률을 참조하는 영상 처리장치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10152A1 (ko) * 2022-07-07 2024-0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차량용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021378B2 (en) 2018-07-10
EP3036896A4 (en) 2017-04-19
EP3036896B1 (en) 2020-06-17
EP3036896A1 (en) 2016-06-29
US20160205391A1 (en) 2016-07-14
KR20150020912A (ko) 2015-02-27
WO2015026017A1 (en) 2015-02-26
CN105556951A (zh) 2016-05-04
CN105556951B (zh)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1407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33764B1 (ko) 영상표시장치
WO2015072257A1 (ja) 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US20140098076A1 (en) Display apparatus, user terminal apparatus, external apparatus, display method, data receiving method and data transmitting method
KR10258666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KR20170065926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10157733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JP2007158787A (ja) 表示装置及び表示制御方法
US20190295479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improving contrast
US1160021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20230222949A1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2930712A1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KR102224634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60063011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1008624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KR102252578B1 (ko) 영상표시장치
KR102431504B1 (ko) 영상표시장치
KR20170114813A (ko) 영상표시장치
US20240038184A1 (en) Image display device
KR102114309B1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20027820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230039030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20099757A (ko) 영상표시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20170022334A (ko) 디지털 디바이스 및 상기 디지털 디바이스에서 데이터 처리 방법
KR20130066989A (ko) 영상표시장치, 및 시청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