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30372A -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30372A
KR20220030372A KR1020200109286A KR20200109286A KR20220030372A KR 20220030372 A KR20220030372 A KR 20220030372A KR 1020200109286 A KR1020200109286 A KR 1020200109286A KR 20200109286 A KR20200109286 A KR 20200109286A KR 20220030372 A KR20220030372 A KR 20220030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lay area
display
edge
state
are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092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석훈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092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30372A/ko
Priority to US17/412,804 priority patent/US11631361B2/en
Priority to CN202110992347.9A priority patent/CN114120872A/zh
Publication of KR20220030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0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66Details of drivers for scan electr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39Pixel structures
    • G09G2300/0465Improved aperture ratio, e.g. by size reduction of the pixel circuit, e.g. for improving the pixel density or the maximum displayable luminance or brightne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32Special driving of display border area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the drivers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e.g. use of D/A convert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75Details of drivers for data electrodes, other than drivers for liquid crystal, plasma or OLED displays, not related to handling digital grey scale data or to communication of data to the pixels by means of a curr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33Improving the luminance or brightness uniformity across the scree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2Improving the quality of display appearance
    • G09G2320/0271Adjustment of the gradation levels within the range of the gradation scale, e.g. by redistribution or clipping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20/00Control of display operating conditions
    • G09G2320/0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 G09G2320/0686Adjustment of display parameters with two or more screen areas displaying information with different brightness or colou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40/00Aspects of display data processing
    • G09G2340/04Changes in size, position or resolution of an image
    • G09G2340/0407Resolution change, inclusive of the use of different resolutions for different screen are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Control Of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 Ray Tubes (AREA)
  •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Control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갖고,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장자리가 평평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 따라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픽셀 밀도를 갖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픽셀 밀도보다 작은 제2 픽셀 밀도를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가장자리에 대응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본 발명은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을 라운드 상태 및 플랫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 및 이를 구동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스마트폰과 같은 소형 표시 장치에서, 디자인을 향상시키고, 그립감을 향상시키며,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적용하기 위해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을 라운드지게 형성한 표시 장치가 제조되고 있다.
또한, 대형 표시 장치의 경우에는 사용자의 몰입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을 라운드지게 형성한 커브드 표시 장치가 제조되고 있다.
이와 같은 표시 패널의 라운드 에지에 대해서는 호불호가 나뉘는 경향이 있으며, 사용자가 라운드 에지에 대해 충분히 만족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러한 점에서 착안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을 라운드 상태 및 플랫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게이트 구동부, 데이터 구동부 및 구동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갖고,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장자리가 평평한 형상을 갖는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는 상기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 따라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픽셀 밀도를 갖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픽셀 밀도보다 작은 제2 픽셀 밀도를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가장자리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에 대응하며, 상기 가장자리를 상기 굴곡진 형상 및 상기 평평한 형상으로 가변하도록 하는 힌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맞도록 업스케일링하여 업스케일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트리밍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동일한 계조를 갖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제1 휘도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제2 휘도가 일치하도록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휘도를 보상하는 휘도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3 표시 영역이며, 상기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사이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 가장자리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4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3 표시 영역이며, 상기 제3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4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4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5 표시 영역이며, 상기 제2 표시 영역, 상기 제3 표시 영역, 상기 제4 표시 영역 및 상기 제5 표시 영역의 사이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며, 상기 제4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4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5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5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 가장자리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4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3 표시 영역이며, 상기 제3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4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4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5 표시 영역이며, 상기 제2 표시 영역, 상기 제3 표시 영역, 상기 제4 표시 영역 및 상기 제5 표시 영역의 사이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가장자리 및 상기 제3 가장자리가 만나는 제1 코너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1 코너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 및 상기 제3 가장자리가 만나는 제2 코너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2 코너 표시 영역이며, 상기 제1 가장자리 및 상기 제4 가장자리가 만나는 제3 코너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3 코너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 및 상기 제4 가장자리가 만나는 제4 코너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4 코너 표시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며, 상기 제4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4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5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5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될 수 있다. 상기 제1 코너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보상값 및 상기 제4 표시 영역의 보상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보상되고, 상기 제2 코너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보상값 및 상기 제4 표시 영역의 보상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보상되며, 상기 제3 코너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보상값 및 상기 제5 표시 영역의 보상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보상되고, 상기 제4 코너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보상값 및 상기 제5 표시 영역의 보상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보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동일한 계조를 갖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제1 색 좌표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제2 색 좌표가 일치하도록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색 좌표를 보상하는 색 좌표 보상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3 표시 영역이며, 상기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사이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색 좌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색 좌표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색 좌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색 좌표를 기초로 보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가장자리의 각도를 센싱하는 각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가장자리의 상기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제3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은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을 갖고,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표시면은 오목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은 표시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갖는 제1 상태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가장자리가 평평한 형상을 갖는 제2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 따라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픽셀 밀도를 갖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픽셀 밀도보다 작은 제2 픽셀 밀도를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한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가장자리에 대응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활성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맞도록 업스케일링하여 업스케일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트리밍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은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을 라운드 상태 및 플랫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은 픽셀들을 포함하므로,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이 플랫 상태를 가질 때, 상기 표시 패널의 전 영역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이 플랫 상태를 가질 때, 상기 표시 패널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 및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하는 제2 표시 영역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 차이 및 색좌표 차이를 보상하여 표시 패널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표시 패널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표시 영역 및 제2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패널이 제1 상태를 가질 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패널이 제2 상태를 가질 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구동 제어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구동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이 제1 상태를 가질 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표시 패널이 제2 상태를 가질 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표시 패널이 제3 상태를 가질 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제어부(2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구동 제어부(200),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적어도 상기 구동 제어부(200) 및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가 일체로 형성된 구동 모듈을 타이밍 컨트롤러 임베디드 데이터 구동부(Timing Controller Embedded Data Driver, TED)로 명명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픽셀들이 배치되는 픽셀부(AA) 및 상기 픽셀부에 이웃하여 배치되며 구동 회로가 배치되는 회로부(PA)를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로부(PA)에도 픽셀이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상기 픽셀부(AA)의 픽셀 밀도와 상기 회로부(PA)의 픽셀 밀도는 상이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복수의 게이트 라인들(GL), 복수의 데이터 라인들(DL) 및 상기 게이트 라인들(GL)과 상기 데이터 라인들(DL) 각각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복수의 픽셀들(P)을 포함한다.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은 제1 방향(D1)으로 연장되고, 상기 데이터 라인들(DL)은 상기 제1 방향(D1)과 교차하는 제2 방향(D2)으로 연장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외부의 장치(미도시)로부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입력 제어 신호(CONT)를 수신한다. 예를 들어,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적색 영상 데이터, 녹색 영상 데이터 및 청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백색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는 마젠타색(magenta) 영상 데이터, 황색(yellow) 영상 데이터 및 시안색(cyan) 영상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마스터 클럭 신호, 데이터 인에이블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는 수직 동기 신호 및 수평 동기 신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 및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제1 제어 신호(CONT1), 제2 제어 신호(CONT2), 제3 제어 신호(CONT3) 및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를 생성하여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에 출력한다.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는 수직 개시 신호 및 게이트 클럭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는 수평 개시 신호 및 로드 신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근거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한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입력 제어 신호(CONT)를 근거로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를 생성하여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에 출력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1 제어 신호(CONT1)에 응답하여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을 구동하기 위한 게이트 신호들을 생성한다.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게이트 신호들을 상기 게이트 라인들(GL)에 순차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게이트 구동부(300)는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회로부(PA) 상에 집적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회로부(PA)에도 픽셀들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입력 받은 상기 제3 제어 신호(CONT3)에 응답하여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생성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제공한다.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은 각각의 데이터 신호(DATA)에 대응하는 값을 갖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 내에 배치되거나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구동 제어부(200)로부터 상기 제2 제어 신호(CONT2) 및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입력 받고, 상기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로부터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입력 받는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신호(DATA)를 상기 감마 기준 전압(VGREF)을 이용하여 아날로그 형태의 데이터 전압으로 변환한다.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는 상기 데이터 전압을 상기 데이터 라인(DL)에 출력한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닐 수 있는 스마트폰이나 태블릿 컴퓨터일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표시 장치는 사용자가 휴대하고 다니지 않는 컴퓨터 모니터나 텔레비전일 수도 있다.
도 2는 도 1의 표시 패널(10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제1 표시 영역(A1) 및 제2 표시 영역(A2)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패널(100)이 제1 상태를 가질 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표시 패널(100)이 제2 상태를 가질 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갖고,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장자리가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100)의 중심 부분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와 무관하게 평평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가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반드시 상기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 모두가 굴곡진 형상 및 평평한 형상 중 어느 하나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좌측 가장자리 및 우측 가장자리는 독립적으로 굴곡진 형상 및 평평한 형상을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픽셀 밀도를 갖는 제1 표시 영역(A1) 및 상기 제1 픽셀 밀도보다 작은 제2 픽셀 밀도를 갖는 제2 표시 영역(예컨대, A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예컨대, A2)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은 상기 좌측 가장자리 및 상기 우측 가장자리 사이의 영역에 대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가장자리 및 상기 표시 패널(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3 표시 영역(A3)일 수 있고, 상기 제2 표시 영역(A2)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의 사이에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이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서는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이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의 상기 제1 픽셀 밀도보다 작은 제2 픽셀 밀도를 갖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상기 제3 표시 영역(A3)도 상기 제1 픽셀 밀도보다 작은 제2 픽셀 밀도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제2 표시 영역(A2)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은 상기 가장자리의 굴곡진 부분과 정확히 일치하지는 않을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와 무관하게 평평한 상태를 유지하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며, 상기 좌측 가장자리 중 상기 중심 영역에 인접한 일부분 및 상기 우측 가장자리 중 상기 중심 영역에 인접한 일부분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즉, 상기 제1 표시 영역(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경계는 상기 제1 상태에서 해당 영역이 굴곡진 부분인지 평평한 부분인지로 결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제1 표시 영역(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픽셀 밀도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가장자리를 상기 굴곡진 형상 및 상기 평평한 형상으로 가변하도록 하는 힌지(H1, H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좌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제1 힌지(H1) 및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우측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제2 힌지(H2)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상기 힌지(H1, H2)가 배치되는 상기 표시 장치의 하면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표시 패널(100)의 표시면 방향으로 밀어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를 평평하게 할 수 있다. 반대로, 사용자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표시면의 가장자리부를 상기 표시 장치의 하면 방향으로 밀어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를 굴곡지게 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A2)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A2)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가 라운드진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에지 라운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가 플랫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표시 장치는 에지 플랫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에지 라운드 모드에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에만 영상이 표시되는 반면, 상기 에지 플랫 모드에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A2 및 A3) 모두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구동 제어부(200)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7은 도 6의 구동 제어부(200)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 따라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A1)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A1)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상기 제2 표시 영역(A2)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A3)에 맞도록 업스케일링하여 업스케일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상기 제2 표시 영역(A2)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A3)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상기 제2 표시 영역(A2)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A3)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상기 제2 표시 영역(A2)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A3)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IMG)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A2)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A3)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트리밍 데이터 신호(DATA)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500)에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동일한 계조를 갖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의 제1 휘도와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제2 휘도가 일치하도록 상기 제1 표시 영역(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휘도를 보상하는 휘도 보상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3 표시 영역(A3)이며, 상기 제2 표시 영역(A2)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의 사이에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이 배치될 때,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A2)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A3)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A2)에 인접한 영역인 도 7의 Z1, Z4, Z7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A3)에 인접한 영역인 도 7의 Z3, Z6, Z9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동일한 계조를 갖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의 제1 색 좌표와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제2 색 좌표가 일치하도록 상기 제1 표시 영역(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A1)의 색 좌표를 보상하는 색 좌표 보상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색 좌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A2)에 인접한 영역인 도 7의 Z1, Z4, Z7의 평균 색 좌표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의 색 좌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A3)에 인접한 영역인 도 7의 Z3, Z6, Z9의 평균 색 좌표를 기초로 보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을 라운드 상태 및 플랫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은 픽셀들을 포함하므로,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이 플랫 상태를 가질 때, 상기 표시 패널(100)의 전 영역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이 플랫 상태를 가질 때, 상기 표시 패널(100)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영역(A1)에 표시되는 영상 및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하는 제2 표시 영역(A2) 및 제3 표시 영역(A3)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 차이 및 색좌표 차이를 보상하여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태가 가변하는 가장자리가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7의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3 내지 도 6 및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갖고,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장자리가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100)의 중심 부분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와 무관하게 평평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좌측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좌측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가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반드시 상기 좌측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 모두가 굴곡진 형상 및 평평한 형상 중 어느 하나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좌측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는 독립적으로 굴곡진 형상 및 평평한 형상을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픽셀 밀도를 갖는 제1 표시 영역(A1) 및 상기 제1 픽셀 밀도보다 작은 제2 픽셀 밀도를 갖는 제2 표시 영역(예컨대, A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예컨대, A2)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 가장자리 및 상기 표시 패널(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4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3 표시 영역(A3)이며, 상기 제3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4 표시 영역(A4)이고, 상기 제4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5 표시 영역(A5)이며, 상기 제2 표시 영역(A2), 상기 제3 표시 영역(A3), 상기 제4 표시 영역(A4) 및 상기 제5 표시 영역(A5)의 사이에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내지 제5 표시 영역(A2 내지 A5)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내지 제5 표시 영역(A2 내지 A5)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 따라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동일한 계조를 갖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의 제1 휘도와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제2 휘도가 일치하도록 상기 제1 표시 영역(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휘도를 보상하는 휘도 보상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A2)에 인접한 영역인 도 8의 Z1, Z4, Z7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A3)에 인접한 영역인 도 8의 Z3, Z6, Z9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며, 상기 제4 표시 영역(A4)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중 상기 제4 표시 영역(A4)에 인접한 영역인 도 8의 Z1, Z2, Z3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5 표시 영역(A5)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중 상기 제5 표시 영역(A5)에 인접한 영역인 도 8의 Z7, Z8, Z9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동일한 계조를 갖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의 제1 색 좌표와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제2 색 좌표가 일치하도록 상기 제1 표시 영역(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A1)의 색 좌표를 보상하는 색 좌표 보상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색 좌표 보상부(220)는 상기 휘도 보상부(210)의 동작과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을 라운드 상태 및 플랫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은 픽셀들을 포함하므로,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이 플랫 상태를 가질 때, 상기 표시 패널(100)의 전 영역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이 플랫 상태를 가질 때, 상기 표시 패널(100)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영역(A1)에 표시되는 영상 및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내지 제5 표시 영역(A2 내지 A5)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 차이 및 색좌표 차이를 보상하여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구동 제어부의 동작을 나타내는 개념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태가 가변하는 가장자리가 상하좌우에 배치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7의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도 3 내지 도 6 및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갖고,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장자리가 평평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100)의 중심 부분은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와 무관하게 평평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좌측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갖고,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좌측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가 평평한 형상을 가지는 경우를 예시하였다. 반드시 상기 좌측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 모두가 굴곡진 형상 및 평평한 형상 중 어느 하나를 가져야 하는 것은 아니며, 상기 좌측 가장자리, 우측 가장자리, 상측 가장자리 및 하측 가장자리는 독립적으로 굴곡진 형상 및 평평한 형상을 갖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픽셀 밀도를 갖는 제1 표시 영역(A1) 및 상기 제1 픽셀 밀도보다 작은 제2 픽셀 밀도를 갖는 제2 표시 영역(예컨대, A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표시 영역(예컨대, A2)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은 상기 표시 패널(100)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100)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 가장자리 및 상기 표시 패널(100)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4 가장자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3 표시 영역(A3)이며, 상기 제3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4 표시 영역(A4)이고, 상기 제4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5 표시 영역(A5)이며, 상기 제2 표시 영역(A2), 상기 제3 표시 영역(A3), 상기 제4 표시 영역(A4) 및 상기 제5 표시 영역(A5)의 사이에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내지 제5 표시 영역(A2 내지 A5)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내지 제5 표시 영역(A2 내지 A5)은 활성화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 따라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동일한 계조를 갖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의 제1 휘도와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제2 휘도가 일치하도록 상기 제1 표시 영역(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휘도를 보상하는 휘도 보상부(21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A2)에 인접한 영역인 도 8의 Z1, Z4, Z7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A3)에 인접한 영역인 도 8의 Z3, Z6, Z9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며, 상기 제4 표시 영역(A4)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중 상기 제4 표시 영역(A4)에 인접한 영역인 도 8의 Z1, Z2, Z3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5 표시 영역(A5)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A1) 중 상기 제5 표시 영역(A5)에 인접한 영역인 도 8의 Z7, Z8, Z9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가장자리 및 상기 제3 가장자리가 만나는 제1 코너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1 코너 표시 영역(AC1)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 및 상기 제3 가장자리가 만나는 제2 코너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2 코너 표시 영역(AC2)이며, 상기 제1 가장자리 및 상기 제4 가장자리가 만나는 제3 코너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3 코너 표시 영역(AC3)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 및 상기 제4 가장자리가 만나는 제4 코너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4 코너 표시 영역(AC4)일 수 있다.
상기 제1 코너 표시 영역(AC1)의 휘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보상값 및 상기 제4 표시 영역(A4)의 보상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보상되고, 상기 제2 코너 표시 영역(AC2)의 휘도는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의 보상값 및 상기 제4 표시 영역(A4)의 보상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보상되며, 상기 제3 코너 표시 영역(AC3)의 휘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보상값 및 상기 제5 표시 영역(A5)의 보상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보상되고, 상기 제4 코너 표시 영역(AC4)의 휘도는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의 보상값 및 상기 제5 표시 영역(A5)의 보상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보상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제2 상태에서 동일한 계조를 갖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의 제1 색 좌표와 상기 제2 표시 영역(A2)의 제2 색 좌표가 일치하도록 상기 제1 표시 영역(A1)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A1)의 색 좌표를 보상하는 색 좌표 보상부(22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색 좌표 보상부(220)는 상기 휘도 보상부(210)의 동작과 유사하게 동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을 라운드 상태 및 플랫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은 픽셀들을 포함하므로,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이 플랫 상태를 가질 때, 상기 표시 패널(100)의 전 영역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이 플랫 상태를 가질 때, 상기 표시 패널(100)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영역(A1)에 표시되는 영상 및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하는 제2 내지 제5 표시 영역(A2 내지 A5)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 차이 및 색좌표 차이를 보상하여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표시 패널이 제1 상태를 가질 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표시 패널이 제2 상태를 가질 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도 10의 표시 패널이 제3 상태를 가질 때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태가 제1 상태, 제2 상태 및 제3 상태로 가변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7의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1 및 도 10 내지 도 12를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갖고,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장자리가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제3 상태에서 상기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100)의 중심 부분은 상기 제1 상태, 상기 제2 상태 및 상기 제3 상태와 무관하게 평평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100)의 표시면은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을 갖고(도 10),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표시면은 오목하게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도 12).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및 제3 표시 영역(A2 및 A3)은 비활성화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및 제3 표시 영역(A2 및 A3)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및 제3 표시 영역(A2 및 A3)은 활성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을 라운드 상태 및 플랫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은 픽셀들을 포함하므로,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이 플랫 상태를 가질 때, 상기 표시 패널(100)의 전 영역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이 플랫 상태를 가질 때, 상기 표시 패널(100)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영역(A1)에 표시되는 영상 및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하는 제2 표시 영역(A2) 및 제3 표시 영역(A3)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 차이 및 색좌표 차이를 보상하여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은 표시 장치가 각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제외하면, 도 1 내지 도 7의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므로,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사용하고,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 2 내지 도 7 및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100) 및 표시 패널 구동부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 구동부는 구동 제어부(200), 게이트 구동부(3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400) 및 데이터 구동부(500)를 포함한다.
상기 표시 패널(100)은 제1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갖고,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장자리가 평평한 형상을 가지며, 제3 상태에서 상기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표시 패널(100)의 중심 부분은 상기 제1 상태, 상기 제2 상태 및 상기 제3 상태와 무관하게 평평한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가장자리의 각도를 센싱하는 각도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각도 센서는 상기 표시 패널(100)의 플랫한 중심부를 기준으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가장자리의 각도를 센싱할 수 있다.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A2)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은 비활성화될 수 있다. 이와는 달리,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A1)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A2)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은 활성화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구동 제어부(200)는 상기 가장자리의 상기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2 표시 영역(A2)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구동 제어부(200)가 상기 제2 표시 영역(A2)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A3)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방식은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을 라운드 상태 및 플랫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은 픽셀들을 포함하므로,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이 플랫 상태를 가질 때, 상기 표시 패널(100)의 전 영역에 영상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표시 패널(100)의 상기 가장자리 영역이 플랫 상태를 가질 때, 상기 표시 패널(100)의 중심 영역에 대응하는 제1 표시 영역(A1)에 표시되는 영상 및 상기 표시 패널(100)의 가장자리 영역에 대응하는 제2 표시 영역(A2) 및 제3 표시 영역(A3)에 표시되는 영상의 휘도 차이 및 색좌표 차이를 보상하여 표시 패널(100)의 표시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따른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에 따르면,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 영역을 라운드 상태 및 플랫 상태 중 어느 하나로 선택적으로 구현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표시 패널 200: 구동 제어부
300: 게이트 구동부 400: 감마 기준 전압 생성부
500: 데이터 구동부 600: 각도 센서

Claims (20)

  1. 제1 상태에서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갖고, 제2 상태에서 상기 가장자리가 평평한 형상을 갖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게이트 구동부;
    상기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데이터 구동부; 및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 따라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구동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픽셀 밀도를 갖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픽셀 밀도보다 작은 제2 픽셀 밀도를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장치는 상기 표시 패널의 가장자리에 대응하여 배치되며, 상기 가장자리를 상기 굴곡진 형상 및 상기 평평한 형상으로 가변하도록 하는 힌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비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출력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맞도록 업스케일링하여 업스케일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출력하고,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트리밍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데이터 구동부에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동일한 계조를 갖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제1 휘도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제2 휘도가 일치하도록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휘도를 보상하는 휘도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3 표시 영역이며, 상기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사이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 가장자리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4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3 표시 영역이며, 상기 제3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4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4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5 표시 영역이며, 상기 제2 표시 영역, 상기 제3 표시 영역, 상기 제4 표시 영역 및 상기 제5 표시 영역의 사이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며, 상기 제4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4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5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5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의 상측에 배치되는 제3 가장자리 및 상기 표시 패널의 하측에 배치되는 제4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3 표시 영역이며, 상기 제3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4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4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5 표시 영역이며, 상기 제2 표시 영역, 상기 제3 표시 영역, 상기 제4 표시 영역 및 상기 제5 표시 영역의 사이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제1 가장자리 및 상기 제3 가장자리가 만나는 제1 코너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1 코너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 및 상기 제3 가장자리가 만나는 제2 코너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2 코너 표시 영역이며, 상기 제1 가장자리 및 상기 제4 가장자리가 만나는 제3 코너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3 코너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 및 상기 제4 가장자리가 만나는 제4 코너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4 코너 표시 영역이며,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며, 상기 제4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4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5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5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휘도를 기초로 보상되며,
    상기 제1 코너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보상값 및 상기 제4 표시 영역의 보상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보상되고, 상기 제2 코너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보상값 및 상기 제4 표시 영역의 보상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보상되며, 상기 제3 코너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보상값 및 상기 제5 표시 영역의 보상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보상되고, 상기 제4 코너 표시 영역의 휘도는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보상값 및 상기 제5 표시 영역의 보상값을 인터폴레이션하여 보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1.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제2 상태에서 동일한 계조를 갖는 영상 데이터에 대해 상기 제1 표시 영역의 제1 색 좌표와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제2 색 좌표가 일치하도록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색 좌표를 보상하는 색 좌표 보상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표시 패널의 좌측에 배치되는 제1 가장자리, 상기 표시 패널의 우측에 배치되는 제2 가장자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상기 제2 표시 영역이고, 상기 제2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표시 영역은 제3 표시 영역이며, 상기 제2 표시 영역 및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사이에 상기 제1 표시 영역이 배치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색 좌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색 좌표를 기초로 보상되고, 상기 제3 표시 영역의 색 좌표는 상기 제1 표시 영역 중 상기 제3 표시 영역에 인접한 영역의 평균 색 좌표를 기초로 보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3.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가장자리의 각도를 센싱하는 각도 센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부는 상기 가장자리의 상기 각도를 기초로 상기 제2 표시 영역의 활성화 및 비활성화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제3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은 상기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가지며,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표시면은 볼록하게 굴곡진 형상을 갖고,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표시면은 오목하게 굴곡진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비활성화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3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
  17. 표시 패널의 적어도 하나의 가장자리가 굴곡진 형상을 갖는 제1 상태 및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가장자리가 평평한 형상을 갖는 제2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제1 상태 및 상기 제2 상태에 따라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표시 패널의 게이트 라인에 게이트 신호를 인가하는 단계; 및
    상기 표시 패널의 데이터 라인에 데이터 전압을 인가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 패널은 제1 픽셀 밀도를 갖는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1 픽셀 밀도보다 작은 제2 픽셀 밀도를 갖는 제2 표시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상기 표시 패널의 상기 가장자리에 대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비활성화되며,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고, 상기 제2 표시 영역은 활성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맞도록 업스케일링하여 업스케일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제2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를 기초로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상태에서 상기 제1 표시 영역 및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입력 영상 데이터로부터 상기 제2 표시 영역에 대응되는 영역을 제외한 트리밍 데이터 신호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200109286A 2020-08-28 2020-08-2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20030372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286A KR20220030372A (ko) 2020-08-28 2020-08-2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US17/412,804 US11631361B2 (en) 2020-08-28 2021-08-26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ying the same
CN202110992347.9A CN114120872A (zh) 2020-08-28 2021-08-27 显示设备以及驱动该显示设备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09286A KR20220030372A (ko) 2020-08-28 2020-08-2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0372A true KR20220030372A (ko) 2022-03-11

Family

ID=803571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09286A KR20220030372A (ko) 2020-08-28 2020-08-28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31361B2 (ko)
KR (1) KR20220030372A (ko)
CN (1) CN114120872A (ko)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09984B2 (en) * 2008-09-08 2015-04-21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US8933874B2 (en) * 2008-09-08 2015-01-13 Patrik N. Lundqvist Multi-panel electronic device
US8860632B2 (en) * 2008-09-08 2014-10-14 Qualcomm Incorporated Multi-panel device with configurable interface
US8195244B2 (en) * 2009-02-25 2012-06-05 Centurylink Intellectual Property Llc Multi-directional display communication devices, systems, and methods
KR20130043526A (ko) * 2011-10-20 2013-04-30 삼성전자주식회사 플렉시블 표시장치
US9672796B2 (en) * 2012-02-17 2017-06-06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including flexible display
US8963857B2 (en) * 2012-02-21 2015-02-24 Lg Electronics Inc.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420329B1 (ko) * 2012-06-11 2014-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2015187620A (ja) * 2012-08-10 2015-10-29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
KR102082779B1 (ko) * 2013-04-16 2020-03-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KR102111407B1 (ko) * 2013-08-19 2020-05-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동작방법
US9430180B2 (en) * 2013-11-15 2016-08-30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Display panel and electronic device
CN104955285B (zh) * 2014-03-26 2018-08-31 联想(北京)有限公司 一种控制电子设备的方法及电子设备
KR102181236B1 (ko) * 2014-04-18 2020-1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 제어 방법
DE112015002144T5 (de) * 2014-05-06 2017-03-02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Elektronische Vorrichtung
KR20150139214A (ko) * 2014-06-03 2015-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미지를 처리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KR102365159B1 (ko) * 2014-07-15 2022-02-18 삼성전자주식회사 커브된 터치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245366B1 (ko) * 2014-10-27 2021-04-28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지털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20160050689A (ko) * 2014-10-30 2016-05-1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방법
KR20160061794A (ko) * 2014-11-24 2016-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60084547A (ko) * 2015-01-05 2016-07-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곡면 액정 표시 장치
KR20160089019A (ko) * 2015-01-16 2016-07-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그 구동 방법
KR102281902B1 (ko) * 2015-02-05 2021-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1942950B1 (ko) 2015-03-31 2019-01-28 삼성전자주식회사 폴더블 디바이스 및 그 제어 방법
KR102537463B1 (ko) * 2016-01-20 2023-05-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의 얼룩 보상 장치, 이를 이용하는 표시 패널의 얼룩 보상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패널의 구동 방법
WO2017209744A1 (en) * 2016-06-01 2017-12-07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mpany, L.P.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US10878771B2 (en) * 2016-07-13 2020-12-29 Motorola Mobility Llc Deform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s and systems for display remediation to compensate performance degradation
KR20180029477A (ko) * 2016-09-12 2018-03-21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185064B2 (en) * 2016-10-26 2019-01-22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urved edge display with controlled luminance
US10223952B2 (en) * 2016-10-26 2019-03-05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Curved edge display with controlled distortion
KR20180050847A (ko) * 2016-11-07 2018-05-16 삼성전자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및 디스플레이 방법
CN107146573B (zh) * 2017-06-26 2020-05-01 上海天马有机发光显示技术有限公司 显示面板、其显示方法及显示装置
KR102364165B1 (ko) * 2017-06-30 2022-02-1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336173B1 (ko) * 2017-07-24 2021-12-07 삼성전자 주식회사 커버 글라스의 가공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90984B1 (ko) * 2017-08-10 2022-04-26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407746B1 (ko) * 2017-12-01 2022-06-13 삼성전자주식회사 풀 디스플레이를 구비한 전자 장치
US11630485B2 (en) * 2018-09-10 2023-04-18 Apple Inc. Housing structures and input-output devices for electronic devices
CN109904204B (zh) * 2019-03-15 2021-07-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柔性显示面板和显示装置
KR20210056094A (ko) * 2019-11-08 2021-05-1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TWI723716B (zh) * 2019-12-31 2021-04-01 宏碁股份有限公司 具有非平面顯示表面的電子裝置與其影像顯示方法
CN111060196A (zh) * 2020-01-03 2020-04-24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屏的亮度获取设备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631361B2 (en) 2023-04-18
US20220068189A1 (en) 2022-03-03
CN114120872A (zh) 2022-03-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5953B2 (en) Display device capable of changing frame frequency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7973973B2 (en) Display device, display panel driver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8922581B2 (en) Data processing device, display system including the same and method of processing data
EP2833352B1 (en)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US9189999B2 (en) Signal processing device, liquid crystal device, electronic apparatus and signal processing method
CN107945766A (zh) 显示装置
CN104658504A (zh) 一种液晶显示器的驱动方法及驱动装置
CN104658502A (zh) 一种液晶显示器的驱动方法及驱动装置
US11514867B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using the same
US11232735B2 (en) Method of driving display panel and display apparatus for performing the same
CN104658503A (zh) 一种液晶显示器的驱动方法及驱动装置
CN111445871A (zh) 显示装置和显示***
JP2003255908A (ja) 液晶表示装置の駆動方法
US11645985B2 (en) Display apparatus including a luminance compensating part and method of driving the same
KR20170021425A (ko) 타이밍 컨트롤러,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및 이 표시 장치의 구동 방법
US1078990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9613558B2 (en) Pixel driving method and associated display device
US11170738B2 (en) Display device
KR20220030372A (ko) 표시 장치 및 이의 구동 방법
KR20220060862A (ko) 색역 매핑 방법 및 장치
US7446746B2 (en) Method for detecting whether or not display mode has to be switched
KR102604729B1 (ko) 폴더블 표시 장치 및 화질 개선 방법
US9818324B2 (en) Transmission device, display device, and display system
US11615762B1 (en) Edge illumination architecture for display device
US20230306888A1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